KR100235587B1 - 회전축의 윤활구조 - Google Patents

회전축의 윤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5587B1
KR100235587B1 KR1019970003703A KR19970003703A KR100235587B1 KR 100235587 B1 KR100235587 B1 KR 100235587B1 KR 1019970003703 A KR1019970003703 A KR 1019970003703A KR 19970003703 A KR19970003703 A KR 19970003703A KR 100235587 B1 KR100235587 B1 KR 100235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block
oil
flow path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3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2371A (ko
Inventor
마사카즈 야마자키
후미노리 기와시마
지하루 시미즈
겐스케 나까무라
노부요시 다까마쓰
도루 가노
도모키 오키타
히데오 우에시마
Original Assignee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토 노부히코
Publication of KR970062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2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0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 F16C33/1025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with liquid, e.g. oil, as lubricant
    • F16C33/106Details of distribution or circulation inside the bearings, e.g. details of the bearing surfaces to affect flow or pressure of the liquid
    • F16C33/1085Channels or passages to recirculate the liquid in the b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0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2Pressure lubrication using lubricat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6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crankshafts or connecting rods with lubricant passageways, e.g. bo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7/00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00Shafts; Axles; Cranks; Eccentrics
    • F16C3/04Crankshafts, eccentric-shafts; Cranks, eccentrics
    • F16C3/06Crank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22Compensation of inertia forces
    • F16F15/26Compensation of inertia forces of crankshaft systems using solid masses, other than the ordinary pistons, moving with the system, i.e. masses connected through a kinematic mechanism or gear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22Compensation of inertia forces
    • F16F15/26Compensation of inertia forces of crankshaft systems using solid masses, other than the ordinary pistons, moving with the system, i.e. masses connected through a kinematic mechanism or gear system
    • F16F15/264Rotating balancer shafts
    • F16F15/265Arrangement of two or more balancer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2Pressure lubrication using lubricating pumps
    • F01M2001/0253Pressure lubrication using lubricating pumps characterised by the pump driving means
    • F01M2001/0276Pressure lubrication using lubricating pumps characterised by the pump driving means driven by a balancer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1/00Apparatus or articles in engineering in general
    • F16C2361/53Spring-damper, e.g. gas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Abstract

배런서 호울더(29)에 장착한 동일부재로서되는 2개의 베어링푸시(52a,52b)에 2개의 배런서 샤프트(21,22)를 지지하고, 각 베어링푸시(52a,52b)에 급유하는 윤활유로(293,∼295)를 당해 베어링푸시(52a,52b)의 중심(0)에서 윗쪽으로 거리(δ)만큼 편기시켜서 형성한다. 각 베어링푸시(52a,52b)는 180°로 상이하는 중심각(θ)을 가지는 2개의 유공(52a1,52b1,52a2,52b2)을 갖추고 있으며, 배런서 샤프트(22)의 베어링푸시(52a)의 2개의 유공(52a1,52a2)을 윤활유로(293,294)에 각각 연통시키고 또한 배런서 샤프트(21)의 베어링푸시(52b)의 한쪽 유공(52b1)을 윤활유로(294)에 연통시킴과 동시에 다른쪽 유공(52b2)을 윤활유로(295)에서 벗어나서 폐색시킨다. 이로 인하여, 복수개의 회전축의 베어링푸시에 급유하는 윤활유로의 하류단을 브라인드 플러그 등의 특별한 폐색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폐색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회전축의 윤활구조
본 발명은 소정각도 떨어진 위치에 제1유공(油孔) 및 제2유공을 구비한 원형의 베어링 부재를 베어링블록에 형성한 복수의 베어링공(孔)에 각각 고정하고, 상기 복수의 베어링공을 관통하도록 베어링블록에 형성한 윤활유로의 상류측에서 하류측에 오일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베어링부재에 각각 지지된 복수의 회전축을 윤활하는 회전축의 윤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회전축의 윤활구조는 일본국 실공 소64-3847호 공보에 의하여 이미 공지된 바이다. 상기 공보에 기재된 것은 제1 및 제2의 배런서 샤프트의 저어널부를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의 베어링부재(푸시)가 상이한 형상을 하고 있으며, 윤활유로(윤활유 공급통로)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1의 베어링부재는 해당 윤활유로에 연통하는 2개의 유공을 구비함과 동시에, 윤활유로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2의 베어링부재는 당해 윤활유로에 연통하는 1개의 유공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윤활유로의 상류측에서 공급된 오일은 제1의 베어링부재를 2개의 유공을 통과하여 제1의 배런서 샤프트의 저어널부를 윤활한후, 제2의 베어링부재의 1개의 유공을 통과하여 제2의 배런서 샤프트의 저어널부를 윤활한다.
이때에, 1개의 유공만을 구비한 제2의 베어링부재에 의하여 윤활유로의 하류단이 폐색되기 때문에, 특별한 브라인드 플러그로 윤활유로의 하류단을 폐색할 필요가 없어져서 부품점수가 삭감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것은 제1 및 제2의 베어링부재의 형상(유공의 수량)을 상이하게 할 필요가 있으므로, 부품의 종류가 증가하여 제조코스트 및 관리코스트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행한 것이므로, 브라인드 플러그 등의 폐색부재를 사용함이 없이, 1종류의 베어링부재로서 윤활유로의 하류단을 폐색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각도 떨어진 위치에 제1유공 및 제2유공을 구비한 원형의 베어링부재를 베어링블록으로 형성한 복수의 베어링공에 각각 고정하고, 상기 복수의 베어링공을 관통하도록 베어링블록으로 형성한 윤활유로의 상류측에서 하류측에 오일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베어링부재에 각각 지지된 복수의 회전축을 윤활하는 회전축의 윤활구조로서, 오일의 공급방향 하류측단부에 위치하는 하류단측 베어링부재를 제외한 나머지의 베어링부재의 제1 및 제2유공을 상기 윤활유로에 개구(開口)시킴과 동시에, 상기 하류단측 베어링부재의 상류측의 유공을 상기 윤활유로에 개구하며, 또한 하류측의 유공을 상기 윤활유로에서 어긋나게 하여 상기 베어링블록에서 폐색된 회전축의 윤활구조가 제안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동일형상의 복수의 베어링부재를 준비하고, 그중 오일의 공급방향 하류측단부에 위치한 하류단부측 베어링부재의 고정각도를 다른 베어링부재와 상이하게 하는 것만으로, 특별한 폐색부재를 사용함이 없이 상기 윤활유로의 하류단을 폐색하여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가 있으며, 더욱이 형상이 다른 복수종류의 베어링부재를 제작할 필요가 없어져서 코스트의 삭감에 기여할 수가 있다. 더욱이, 베어링부재 각도를 달리하여 고정할 때에 베어링블록의 베어링공에 제약을 받지 않으므로 조립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을 따라서, 이하에 상술하는 적절한 실시예의 설명에서 명백하게 될 것이다.
우선, 도 1∼도 10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도 3에 나타낸 것 같이, 본 실시예의 엔진(E)은 크랭크샤프트(1)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또한 4개의 실린더축선(2…)이 거의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직렬 4기통 엔진이다. 엔진본체는 실린더헤드(3)가 실린더헤드(3)의 하면에 결합된 실린더블록(4)과 실린더블록(4)의 하면에 결합된 로워블록(low block)(5)과 이 로워블록(5)의 하면에 결합된 오일팬(6)을 지닌다. 실린더블록(4)의 하면에 형성한 5개의 저어널 지지부(41∼45)와 로워블록(5)의 상면에 형성한 5개의 저어널지지부(51∼55)의 사이에 크랭크샤프트(1)의 #1∼#5 저어널부(11∼15)가 끼워져서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었다.
로워블록(5)의 하면에는 트로코이드(trochoid) 펌프로서되는 오일펌프(7)와 엔진(E)의 2차 진동을 저감하는 2차 평행장치(8)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오일펌프(7) 및 2차평형장치(8)는 오일팬(6)내에 모인 오일에 침지된다. 오일팬(6)은 #1 저어널부(11) 하방이 #4 저어널부(14) 하방보다도 깊이되어 있으며, 오일펌프(7)를 배설함에 유리하다.
도 4∼도 6을 합쳐서 참조하면 명백한 바와 같이, 로워블록(5)의 저어널 지지부(51)의 하면에 결합된 오일펌프(7)의 펌프하우징(9)은 5개의 보울트(10…)에서 일체로 결합된 펌프보디(11) 및 펌프커버(12)의 2개의 부재에서 구성된다. 펌프보디(11)와 반대측의 펌프커버(12)의 표면에는 6개의 보강리브(121a…,121b)가 돌설된다(도 5 참조). 이 보강리브(121a…,121b)로부터 후술하는 리어 배런서 샤프트(22)의 지지강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일팬(6) 내의 오일의 출렁거림에 의한 유면(油面)변화를 억제할 수가 있다. 특히, 리어 배런서 샤프트(22)의 저어널 지지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5개의 보강리브(121a…)에서 리어 배런서 샤프트(22)의 지지강성이 대폭으로 향상한다.
펌프보디(11)는 펌프커버(12)와의 합친면에 개구하는 흡입포오트(111)와, 배출포오트(112)와, 펌프실(113)을 마련하고 있으며, 펌프실(113)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아우터 로우터(14)에 맞물리는 인너로우터(15)는 펌프보디(11)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펌프샤프트(16)에 결합되어서 구동된다.
오일팬(6) 내의 오일을 여과하여 오일펌프(7)의 흡입포오트(111)에 공급하는 오일스트레이너(17)의 부착플랜지(171)가 펌프커버(12)를 펌프보디(11)에 결합하는 상기 5개의 보울트(10…)중의 2개에 의하여 펌프커버(12)에 같이 조여진다. 또, 오일펌프(7)의 배출포오트(112)에서 배출된 오일은 유로(114)를 통하여 실린더 블록(4)에 형성된 오일갤러리(13)(도 8 참조)에 공급되고, 여기서 엔진(E)의 각부에 윤활유로서 공급된다.
그리하여, 상기 구성을 갖춘 오일펌프(7)는 #1 저어널부(11), 하방에서 펌프보디(11)를 관통하는 2개의 보울트(18,18)와 #1 저어널부(11) 및 #2 저어널부(12)사이의 하방, 즉 진동방지 저어널부(264)측에 편기한 위치에 펌프보디(11)를 관통하는 1개의 보울트(19)에 의하여 로워블록(5)의 하면에 결합된다.
2차 평형장치(8)는 크랭크샤프트(1)의 회전수의 2배의 회전수로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으로서의 프런트 배런서 샤프트(21) 및 리어 배런서 샤프트(22)를 구비한다. 프런트 배런서 샤프트(21)는 샤프트본체(23) 및 한쌍의 원통커버(24,25)로 구성되어 있으며, 샤프트본체(23)는 그 회전축에서 편심한 한쌍의 배런서 웨이트부(231,232)와 양 배런서 웨이트부(231,232)간에 형성된 주저어널부(233)와, 한쪽의 축단에 형성된 진동방지 저어널부(234)와 주저어널부(233)에 인접하여 형성된 구동 헬리컬기어(235)를 구비하고 있으며, 한쌍의 원통커버(24,25)는, 상기 회전축선과 동축으로 배치된 상기 한쌍의 배런서 웨이트부(231,232)를 피복하도록 샤프트본체(23)에 고정된다.
리어 배런서 샤프트(22)도 상기 프런트 배런서 샤프트(21)와 동일하게 샤프트본체(26) 및 한쌍의 원통커버(27,28)에서 구성되어 있으며, 샤프트본체(26)는 그 회전축선에서 편심한 한쌍의 배런서 웨이트부(261,262)와 양 배런서 웨이트부(261,262)간에 형성된 주저어널부(263)와 한편의 축단에 형성된 진동방지 저어널부(264)와, 주저어널부(263)에 인접하여 형성된 종동 헬리컬기어(265)를 지니고 있으며, 한쌍의 원통커버(27,28)는 상기 회전축선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상기 한쌍의 배런서 웨이트부(261,262)를 피복하도록 샤프트본체(26)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원통커버(24,25; 27,28)로 배런서 웨이트부(231,232; 261,262)를 피복함으로써,배런서 웨이트부(231,232; 261,262)가 오일팬(6)내의 오일을 교반하는 것을 방지하여 프런트 배런서 샤프트(21) 및 리어 배런서 샤프트(22)의 회전저항을 경감시킬 수가 있다.
도 7을 합쳐서 참조하면 명백한 것 같이, 로워블록(5)의 저어널지지부(53)의 하면에 철계 재료의 배런서 호울더(29)가 2개의 보울트(30,30)에서 결합된다. 배런서 호울더(29)에 형성된 기어실(291)의 내부에 프런트 배런서 샤프트(21)의 구동 헬리컬기어(235)와 리어 배런서 샤프트(22)의 종동 헬리컬기어(265)가 맞물린상태로서 수납되어 있으며, 이 기어실(291)의 개구부를 피복하여 프런트 배런서 샤프트(21) 및 리어 배런서 샤프트(22)의 축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러스트(turust) 플레이트(31)가 3개의 보울트(32…)로서 배런서 호울더(29)에 고정된다. 스러스트 플레이트(31)의 중앙부에는 오일 바이패스 포오트(3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일 바이패스 포오트(311)를 통하여 구동 헬리컬기어(235) 및 종동 헬리컬기어(265)의 맞물림에 의하여 기어실(291)의 내부에 발생하는 유압을 낮추도록 되어 있다.
구동 헬리컬기어(235)와 종동 헬리컬기어(265)와는 양 배런서 샤프트(21,22)의 주저어널부(233,263) 및 진동방지 저어널부(234,264)간에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주저어널부(233,263)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맞물리는 정밀도가 극히 양호하다. 또, 스러스트 플레이트(31)는 하나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부품 점수가 적어도 할 수 있으며, 부착작업도 용이하다. 또, 오일 바이패스 포오트(311)는 기어실(291)의 압력이 높은 위치에서, 더욱이 하방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오일 바이패스에 유리하다. 더욱이, 배런서 호울더(29)를 열팽창률이 작은 철계통 재료로 했으므로, 양 배런서 샤프트(21,22)의 축간거리의 변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양 헬리컬기어(235,265)의 맞물림 불량에 의한 이상한 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 4에서 명백한것 같이, 프런트 배런서 샤프트(21)의 진동방지 저어널부(234)는 펌프보디(11)에 형성한 베어링공(115)에 지지됨과 동시에 리어 배런서 샤프트(22)의 진동방지 저어널부(264)는 펌프커버(12)에 형성된 베어링공(122)에 지지된다. 오일펌프(7)의 펌프샤프트(16)와 리어 배런서 샤프트(22)와는 동축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리어 배런서 샤프트(22)의 진동방지 저어널부(264)의 축단이 면하도록 펌프커버(12)에 형성한 유실(123)은 유로(124)를 개재하여 펌프샤프트(16)의 축단에 연통되어 있다.
이와 같이, 양 배런서 샤프트(21,22)를 그 길이 방향 중앙의 주저어널부(233,263)와, 축단(軸端)의 진동방지 저어널부(234,264)와의 2개소에서 지지되어 있으므로, 회전에 수반한 양 배런서 샤프트(21,22) 진동을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다. 더욱이, 리어 배런서 샤프트(22)의 진동방지 저어널부(264)를 펌프커버(12)의 베어링공(122)에 지지하였으므로, 리어 배런서 샤프트(22)의 길이가 단축(短縮)되어서 일층 안정된 지지가 가능하다. 더욱이, 진동방지 저어널부(264) 측에 편기한 위치에서 펌프보디(11)를 보울트(19)에서 로워블록(5) 하면에 결합하고 있으므로, 리어 배런서 샤프트(22)의 지지강성이 대폭으로 향상한다.
다음에, 도 8∼도 10에 의거하여 배런서 호울더(29)에 지지된 프런트 배런서 샤프트(21) 및 리어 배런서 샤프트(22)의 윤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서 나타낸 것 같이, 실린더블록(4)에 크랭크샤프트(1)와 평행으로 형성된 메인갤러리(13)는, 실린더블록(4)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46)를 통하여 로워블록(5)과의 합친면에 형성된 유로(47)에 접속된다. 실린더블록(4)과 로워블록(5)과는 복수개의 보울트(51…) 및 배런서 호울더(29)를 로워블록(5)에 연결하는 상기 2개의 보울트(30,30)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된다. 실린더블록(4)의 합친면의 유로(47)는 로워블록(5) 및 배런서 호울더(29)와 상기 2개의 보울트(30,30)의 한편의 외주와의 사이에 형성된 유로(56,292)를 통하여 배런서 호울더(29)의 내부에 형성된 윤활유로(293,294,295)에 연통된다. 또, 실린더블록(4)의 합친면의 유로(47)는 크랭크샤프트(1)의 #3 저어널(13)의 일부를 둘러싼 기름홈(48)에 연통하여 해당 #3 저어널부(13)를 윤활한다.
알루미늄계통 재료제(材料製)의 로워블록(5)에 철계통 재료제 베어링캡(613) 및 (도 8 참조)를 매설하고, 이 철계통 재료제의 베어링캡(613) 및 배런서 호울더(29)를 공통의 보울트(30,30)에서 알루미늄계통 재료제의 실린더블록(4)에 같이 조여져있으므로, 로워블록(5)을 경량화함과 동시에, 크랭크샤프트(1) 및 양 배런서 샤프트(21,22)의 지지강성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크랭크샤프트(1) 근방에서 철계통 재료의 베어링 캡(613)을 고정하는 보울트(51,51)는 그 외측에서 철계통 재료제 베어링캡(613) 및 배런서 호울더(29)를 고정하는 보울트(30,30)가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더욱이 양 보울트(51,30)간에는 배런서 샤프트(21,22)를 윤활하기 위한 유로(4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실린더블록(4) 및 로워블록(5)을 콤팩트로 형성할 수가 있다.
도 9에서 명백한 것 같이, 배런서 호울더(29)에는 프런트 배런서 샤프트(21) 및 리어 배런서 샤프트(22)를 각각 지지하는 제1베어링푸시(52a) 및 제2베어링푸시(52b)를 장착하기 위한 2개의 베어링공(孔)(296,297)을 ,뚫었다. 윤활유로(293,294,295)는 1개의 드릴로서 도면의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여 뚫린 것으로서, 2개의 베어링공(296,297)을 관통하여 보울트(30)의 외주에 형성한 유로(292)에 도달하고 있다. 윤활유로(296,294,295)의 축선(L)은 베어링공(296,297)의 중심(0,0)[즉, 프론트 배런서 샤프트(21) 및 리어 배런서 샤프트(22)의 중심(0,0)]에 대하여 소정거리(δ)만큼 상방으로 편심하고 있다.
배런서 호울더(29)의 2개의 베어링공(296,297)에 장착되는 제1, 제2베어링푸시(52a,52b)는 동일부재로서, 도 10에서 나타내는 것 같이, 180°로 상이하는 중심각(θ)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제1유공(52a1,52b1) 및 제2유공(52a2,52b2)을 지니고 있다. 또, 그 가장자리에는 해당 베어링푸시(52a,52b)를 베어링공(296,297)에 압입할 때에 압입지그의 돌기가 맞물려서 베어링푸시(52a,52b)의 위상을 규제하기 위한 노치(523)가 형성된다.
베어링(296)에 장착되어서 리어 배런서 샤프트(22)의 주저어널부(263)를 지지하는 상류단측의 제1베어링푸시(52a)는 그 제1, 제2유공(52a1,52a2)이 각각 윤활유로(293,294)에 연통하도록 배치되며, 또 베어링공(297)에 장착된 프런트 배런서 샤프트(21)의 주저어널부(233)를 지지하는 하류단측의 제2베어링푸시(52b)는 제1유공(52b1)이 윤활유로(294)에 연통됨과 동시에, 제2유공(52b2)이 윤활유로(295)에서 벗어나가서 폐색되도록 배치된다. 리어 배런서 샤프트(22)의 주저어널부(263)의 외주에는 원형의 유홈(26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유홈(266)을 통하여 제1베어링푸시(52a)의 2개의 유공(52a1,52a2)을 연통한다. 상기 원형 유홈(266)이 형성된 것으로 인하여, 하류단측의 베어링푸시(52b)에 공급되는 윤활유량을 확보할 수가 있다.
도 1 및 도 4에서 명백한 것 같이, 펌프보디(11)에 뻗은 펌프샤프트(16)의 축단 및 프런트 배런서 샤프트(21)의 축단에 각각 펌프종동(從動) 스프로킷(33) 및 배런서 종동 스프로킷(34)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양 스프로킷(33,34)은 크랭크샤프트(1)의 축단에 고정된 구동 스프로킷(35)에 무단체인(36)을 통하여 접속된다. 무단체인(36)의 인장측에는 체인가이드(37)가 설치되고, 이완측(弛緩側)에는 유압식의 체인 텐션(38)이 설치된다.
배런서 종동 스프로킷(34)의 톱니수는 구동 스프로킷(35)의 톱니수의 2분의 1로 설정되어 있으며, 또 펌프종동 스프로킷(33)의 톱니 수는 배런서 종동 스프로킷(34)의 톱니수와는 상이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배런서 종동 스프로킷(34)의 톱니수는 펌프종동 스프로킷(33)의 톱니수보다 적은편이 오일펌프(7)의 성능상 바람직하다. 또, 오일펌프(7) 및 프런트 배런서 샤프트(21)를 구동하는 무단체인(36)은 캠샤프트 구동용의 무단체인(36a)의 안쪽, 즉 크랭크샤프트(1)의 #1 저어널부(11)측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엔진(E)을 구동하면, 크랭크샤프트(1)의 회전은 구동 스프로킷(35) 및 무단체인을 통하여 펌프종동 스프로킷(33) 및 배런서 종동 스프로킷(34)에 전달된다. 배런서종동 스프로킷(34)의 톱니수는 구동 스프로킷(35)의 톱니수의 2분의 1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프런트 배런서 샤프트(21)와, 이 프런트 배런서 샤프트(21)에 동일 톱니수의 구동 헬리컬기어(235) 및 종동 헬리컬기어(265)를 통하여 접속된 리어 배런서 샤프트(22)와는 크랭크 샤프트(1)의 2배의 회전수로서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엔진(E)의 2차 진동을 경감한다. 또, 펌프종동 스프로킷(33)의 톱니수는 배런서 종동 스프로킷(34)의 톱니수와 상이하므로, 펌프샤프트(16)는 양 배런서 샤프트(21,22)와 상이한 회전수(예컨대 양 배런서 샤프트(21,22)의 회전수의 2분의 1)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실린더블록(4)의 아래쪽에 배치된 펌프샤프트(16) 및 리어 배런서 샤프트(22)를 동축상에 분리하여 배치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하고 있으므로, 오일펌프(7)가 대형화할 필요가 없으며, 더욱이 오일펌프(7)와 리어 배런서 샤프트(22)를 실린더블록(4)의 아래쪽에 콤팩트로 배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리어 베런서 샤프트(22)의 회전수와 무관하게 오일펌프(7)의 회전수를 설정하여 설계 자유도를 유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펌프샤프트(16) 및 리어 배런서 샤프트(22)는 엄밀히 동축상에 배치할 필요는 없으나, 엔진(E)의 콤팩트화 및 설계 자유도를 고려하면, 실시예와 같이 동축상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 명백한 것 같이, 오일펌프(7)의 배출포오트(112)에 일단을 연통시키는 급유홈(125)을 펌프커버(12)의 펌프샤프트(16) 대향면에 형성하여, 이 급유홈(125)의 타단을 펌프커버(12)에 형성된 축방향의 유로(124)에 연통되어 있으므로, 배출포오트(112)에서 급유홈(125)을 통하여 공급되는 오일은 축방향의 유로(124)를 개재하여 유실(123)에 공급되며, 그 유실(123)에 이어지는 베어링공(123)에 지지된 리어 배런서 샤프트(22)의 진동방지 저어널부(264)를 윤활한다. 이와 같은 펌프커버(12)에 유로(124)를 형성함으로써 최소한의 길이의 유로로 리어 배런서 샤프트(22)의 진동방지 저어널부(264)를 윤활할 수가 있다.
또, 리어 배런서 샤프트(22)는 그의 종동 헬리컬기어(265)가 프런트 배런서 샤프트(21)의 구동 헬리컬기어(235)에서 받는 반력에 의하여, 도 4의 화살표(A)방향으로 가압된다. 그러나, 펌프커버(12)에 형성한 급유홈(125) 및 축방향의 유로(124)를 통하여 유실(123)에 작용하는 유압에 의하여 리어 배런서 샤프트(22)의 진동방지 저어널부(264)의 축단이 화살표(B)방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리어 배런서 샤프트(22)의 스러스트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여 이상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오일펌프(7)에서 실린더블록(4)의 메인갤러리(13)에 공급된 오일은 실린더블록(4)의 유로(46,47), 로워블록(5)의 유로(56) 및 배런서 호울더(29)의 유로(292)를 개재하여 배런서 호울더(29)의 윤활유로(293)에 공급된다. 윤활유로(293)에 공급된 오일은 리어 배런서 샤프트(22)의 제1베어링푸시(52a)의 제1유공(52a1)을 통하여 해당 리어 배런서 샤프트(22)의 주저어널부(263)를 윤활하고, 그 오일은 상기 주저어널부(263)에 형성된 기름홈(266) 및 상기 제1베어링푸시(52a)의 제2유공(52a2)을 통하여 배런서 호울더(29)의 윤활유로(294)에 공급된다. 그리고, 윤활유로(294)에 공급된 오일은 프런트 배런서 샤프트(21)의 제2베어링푸시(52b)의 제1유공(52b1)을 통하여 당해 프런트 배런서 샤프트(21)의 주저어널부(233)를 윤활한다.
이때, 도 9에서 명백한 것 같이, 프런트 배런서 샤프트(21)의 제2베어링푸시(52b)의 제2유공(52b2)은 배런서 호울더(29)의 윤활유로(295)에서 벗어나와 폐색되어 있으므로, 프런트 배런서 샤프트(21)의 주저어널부(233)를 윤활한 오일은 상기 윤활유로(295)에 유입하는 것을 방지시킨다. 그리고, 부품의 종류를 감소하기 위하여 프런트 배런서 샤프트(21)의 제1베어링푸시(52a)와 리어 배런서 샤프트(22)의 제2베어링푸시(52b)에 동일부재를 사용하여도, 윤활유로(295)의 단부개구를 브라인드 플러그 등의 특별한 부재로서 폐색할 필요가 없어져서 부품점수의 삭감에 기여할 수가 있다.
또, 윤활유로(293∼295)에 오일을 유도하는 유로(56,292)가 로워블록(5) 및 배런서 호울더(29)를 실린더블록(4)에 결합하는 보울트(30)의 보울트공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유로(56,292)의 형성이 용이하다. 더욱이, 배런서 호울더(29)의 윤활유로(293∼295)가 베어링공(296,297)의 중심(0,0) 보다도 윗쪽[로워블록(5)쪽]에 편기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런서 호울더(29)의 유로(292)의 길이를 최소한으로 단출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보울트(30,30)의 좌면의 위치를 위쪽에 이동시켜서 엔진(E)의 콤팩트화에 기여할 수가 있다. 특히, 도 1에 나타냄 같이 오일팬(6)의 리어측(리어 배런서 샤프트(22)의 아래쪽)이 프런트측[프런트 배런서 샤프트(21)의 아래쪽]보다도 얕을 경우는 유리하다.
도 9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윤활유로(293,294)내에 베어링푸시(52a,52b)의 3개의 유공(52a1,52a2; 52b1) 전체가 개구하여 있기 때문에, 상기 유공(52a1,52a2; 52b1)을 필요이상으로 크게 할 필요가 없게 되며, 베어링푸시(52a,52b)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윤활유량에 응하여 유공(52a1,52a2; 52b1)의 크기를 설정하여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실시예는, 배런서 호울더(29)의 윤활유로(293∼295)가 베어링공(296,297)의 중심(0,0)보다도 윗쪽에 편기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동일부재인 2개의 베어링푸시(52a,52b)의 각각에 형성된 제1유공(52a1,52b1) 및 제2유공(52a2,52b2)이 180°에 동일한 중심각(θ)을 가지고 있다. 이 제2실시예에 의하여도, 리어 배런서 샤프트(22)의 제1베어링푸시(52a)의 2개의 유공(52a1,52a2)을 윤활유로(293,294)에 각각 연통시켜서, 프런트 배런서 샤프트(21)의 제2베어링푸시(52b)의 제1유공(52b1)을 윤활유로(294)에 연통됨과 동시에 제2유공(52b2)을 윤활유로(295)에서 벗어나 폐색시키므로써, 제1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가 있다. 더욱이, 베어링푸시(52a,52b)의 제1, 제2유공(52a1,52b1; 52a2,52b2)이 이루는 중심각(θ)이 180°이므로, 해당유공(52a1,52b1; 52a2,52b2)의 가공이 용이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실시예는 배런서 호울더(29)의 윤활유로(293,295)가 베어링공(296,297)의 중심(0,0)을 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동일부재인 2개의 베어링푸시(52a,52b)의 각각에 형성된 제1, 제2유공(52a1,52b1,52a2,52b2)이 180°와 상이한 중심각(θ)을 가지고 있다. 이 제3실시예에 의하여도, 리어 배런서 샤프트(22)의 제1베어링푸시(52a)의 2개의 유공(52a1,52a2)을 윤활유로(293,294)에 각각 연통되어서, 프런트 배런서 샤프트(21)의 제2베어링푸시(52b)의 제1유공(52b1)을 윤활유로(294)에 연통함과 동시에 제2유공(52b2)을 윤활유로(295)에서 벗어나와 폐색시키므로써, 제1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가 있다. 더욱이, 윤활유로(293∼295)가 베어링공(296,297)의 중심(0,0)을 통함으로써, 해당 윤활유로(293∼295)의 가공이 용이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가지가지의 설계변경을 행하기가 가능하다.
예컨대, 실시예에서는 배런서 샤프트(21,22)의 윤활구조를 예시했으나, 본 발명은 다른 임의의 샤프트의 윤활에 대하여 적용할 수가 있으며, 더욱이 그 샤프트의 개수가 3개 이상일 경우도 좋다.
제1도 내지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도는 엔진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2-2선 단면도.
제3도은 제2도의 3방향 화살표도.
제4도는 제2도의 4-4선 확대 화살표도(2차 평형장치의 하면도).
제5도는 제4도의 5-5선 화살표도.
제6도은 제4도의 6-6선 단면도.
제7도는 제4도의 7-7선 확대단면도.
제8도는 제2도의 8-8선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요부확대도.
제10도는 베어링푸시의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상기 제9도에 대응하는 도면.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상기 제9도에 대응하는 도면.
* 도면에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크랭크샤프트 2 : 실린더축선
3 : 실린더헤드 4 : 실린더블록
5 : 로워블록 6 : 오일팬
7 : 오일펌프 8 : 2차 평형장치
9 : 펌프하우징 11 : 펌프보디
12 : 펌프커버 13 : 오일갤러리
14 : 아우터 로우터 15 : 인너로우터
17 : 오일 스트레너 21 : 프런트 배런서 샤프트 (회전축)
22 : 리어 배런서 샤프트(회전축) 23 : 샤프트본체
261 :배런서 웨이트부 25, 27, 28 : 원통커버
29 : 배런서 호울더 31 : 스러스트 플레이트

Claims (9)

  1. 소정각도 떨어진 위치에 제1유공 및 제2유공을 지닌 원형의 베어링부재를 베어링블록으로 형성한 복수의 베어링공에 각각 고정하고, 상기 복수의 베얼이공을 관통하도록 베어링블록에 형성한 윤활유로의 상류측에서 하류측에 오일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베어링부재에 각각 지지된 복수의 회전축을 윤활하는 회전축의 윤활구조로서, 오일의 공급방향 하류측 단부에 위치하는 하류단측 베어링부재를 제외한 나머지의 베어링부재의 제1 및 제2유공을 상기 윤활유로에 개구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하류단측 베어링부재의 상류측의 유공을 상기 윤활유로에 개구시키고, 또한 하류측의 유공을 상기 윤활유로에서 어긋나게 하여 상기 베어링블록으로 폐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축의 윤활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로에 오일을 공급하는 유로를 갖춘 본체블록에 상기 베어링블록을 보울트로 결합하고, 이 보울트를 끼우는 보울터공의 외주에 형성된 유로를 상기 베어링블록의 윤활유로에 연통시킴과 동시에, 이 베어링블록의 윤활유로를 상기 베어링공의 중심에서 상기 본체블록측에 어긋나게 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축의 윤활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공 및 제2유공을 180°와 상이한 각도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축의 윤활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공 및 제2유공을 180°와 동등한 각도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축의 윤활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로에 오일을 공급하는 유로를 지닌 본체블록에 상기 베어링블록을 보울트로서 결합하고, 이 보울트를 끼우는 보울트공의 외주에 형성한 유로를 상기 베어링블록의 윤활유로에 연통시킴과 동시에, 이 베어링블록의 윤활유로를 상기 베어링공의 중심을 통하도록 형성하며, 더욱이 상기 제1유공 및 제2유공을 180°와 상이한 각도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축의 윤활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블록이 엔진의 실린더블록의 하면에 로워블록을 통하여 결합되는 배런서 샤프트 지지부재이며, 상기 회전축이 배런서 샤프트 지지부재에 지지되는 배런서 샤프트이고, 크랭크샤프트의 저어널부를 지지하는 베어링 캡을 지닌 상기 로워블록을 상기 실린더블록의 양쪽벽에 당접시킴과 동시에, 이 로워블록의 하면에 상기 배런서 샤프트 지지부재를 당접시켜 이 로워블록 및 배런서 샤프트 지지부재를 공통의 보울트로 실린더블록에 같이 결합하며, 이 보울트의 삽통공을 상기 윤활유로에 급유하는 유로로 이용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축의 윤활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로를 상기 베어링공의 중심에서 상기 로워블록 축에 어긋나도록 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축의 윤활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블록이 엔진의 실린더블록의 하면에 로워블록을 통하여 결합되는 배런서 샤프트 지지부재이며, 상기 회전축이 배런서 샤프트 지지부재에 지지되는 배런서 샤프트이고, 크랭크샤프트의 저어널부를 지지하는 철계 재료의 베어링 캡을 매설한 알루미늄계 재료의 상기 로워블록을 알루미늄계 재료의 상기 실린더블록의 양쪽벽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이 로워블록의 하면에 상기 배런서 샤프트 지지부재를 고정하고, 상기 로워블록이 결합되는 상기 실린더블록의 상기 베어링 캡 대향면에 상기 배런서 샤프트 지지부재의 윤활유로의 급유하는 유로에서 분기하여 크랭크샤프트의 저어널부에 급유하는 유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축의 윤활구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로를 상기 베어링공의 중심에서 상기 로워블록 쪽에 어긋나게 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축의 윤활구조.
KR1019970003703A 1996-02-06 1997-02-06 회전축의 윤활구조 KR1002355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2029896A JP3554429B2 (ja) 1996-02-06 1996-02-06 回転軸の潤滑構造
JP96-20298 1996-0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371A KR970062371A (ko) 1997-09-12
KR100235587B1 true KR100235587B1 (ko) 1999-12-15

Family

ID=12023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3703A KR100235587B1 (ko) 1996-02-06 1997-02-06 회전축의 윤활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88381A (ko)
EP (1) EP0789165B1 (ko)
JP (1) JP3554429B2 (ko)
KR (1) KR100235587B1 (ko)
CN (1) CN1077249C (ko)
DE (1) DE6970278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1618A (ja) * 1997-11-10 1999-05-25 Aisin Seiki Co Ltd エンジンのバランサ装置
WO1999042742A2 (en) * 1998-02-18 1999-08-26 Tesma International Inc. Engine balance apparatus
DE19826845C1 (de) * 1998-06-16 1999-11-04 Daimler Chrysler Ag Brennkraftmaschine
JP3712865B2 (ja) * 1998-08-12 2005-11-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往復ピストンエンジンのつり合い装置
AT3681U1 (de) * 1998-10-06 2000-06-26 Avl List Gmbh Mehrzylinder-brennkraftmaschine mit zumindest einer ersten ausgleichswelle
DE19858861A1 (de) * 1998-12-19 2000-06-29 Bosch Gmbh Robert Common-Rail-System für Brennkraftmaschinen
DE19936103C2 (de) * 1999-07-31 2001-12-20 Daimler Chrysler Ag Brennkraftmaschine
JP3643506B2 (ja) * 1999-09-03 2005-04-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ランス軸用ハウジング
JP3738622B2 (ja) 1999-09-28 2006-01-25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バランサ装置
JP4507347B2 (ja) * 2000-04-06 2010-07-2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エンジンのバランサ装置
AT4395U1 (de) * 2000-04-06 2001-06-25 Avl List Gmbh Ausgleichswelle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DE10103351B4 (de) * 2001-01-25 2010-11-04 Valeo Klimasysteme Gmbh Achsenlager
GB0118478D0 (en) * 2001-07-28 2001-09-19 Cummins Engine Co Ltd Balancer shaft assembly
GB0215734D0 (en) 2002-07-06 2002-08-14 Cnh Uk Ltd Ancillary unit drive adapter
DE102007053718B4 (de) * 2007-11-10 2013-12-05 Audi Ag Brennkraftmaschine mit einer Pumpe für ein flüssiges Medium
GB201103261D0 (en) * 2011-02-25 2011-04-13 Mahle Int Gmbh A bearing arrangement
DE102011005467B4 (de) * 2011-03-11 2016-04-28 Federal-Mogul Wiesbaden Gmbh Gleitlagerschale mit einer Sammelnut
US8857400B2 (en) * 2011-12-12 2014-10-14 Honda Motor Co., Ltd. Balancer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6879221B2 (ja) * 2018-01-12 2021-06-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
JP7075783B2 (ja) * 2018-03-07 2022-05-26 日立Astemo株式会社 内燃機関用バランサ装置
WO2020043241A1 (de) 2018-08-30 2020-03-0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usgleichswelle
DE102019101322B4 (de) * 2018-08-30 2021-08-0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usgleichswelle
CN109139178A (zh) * 2018-11-09 2019-01-04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双平衡轴的润滑结构
GB2580363B (en) * 2019-01-04 2021-02-24 Ford Global Tech Llc Engine housing assemblies with a reinforcement member
CN112589458B (zh) * 2019-07-17 2021-11-12 烟台大丰轴瓦有限责任公司 轴瓦自动化加工系统
WO2021030710A1 (en) * 2019-08-14 2021-02-18 Viking Pump, Inc. High pressure pumping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1982A (ja) * 1992-05-19 1993-12-07 Nissan Motor Co Ltd バランサシャフト付きエンジンの本体構造
JPH0617879A (ja) * 1992-07-01 1994-01-25 Nissan Motor Co Ltd バランサシャフト付き機関のオイルパン構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1483A (en) * 1956-04-13 1959-06-23 Thompson Ramo Wooldridge Inc Movable bushing for pressure loaded gear pumps
DE2501772A1 (de) * 1975-01-17 1976-07-22 Kloeckner Humboldt Deutz Ag Kurbelgehaeuse fuer mehrzylindrige hubkolbenbrennkraftmaschinen
US4258673A (en) * 1979-04-02 1981-03-31 Chrysler Corporation Cam lubrication
US4699575A (en) * 1986-02-12 1987-10-13 Robotics, Inc. Adhesive pump and it's control system
FR2603679B1 (fr) * 1986-09-09 1990-01-05 Peugeot Agencement d'un dispositif d'equilibrage dans un carter, pour moteur a pistons alternatifs
JPH0830494B2 (ja) * 1988-06-01 1996-03-27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薄肉クロスローラ形旋回輪軸受
US5305656A (en) * 1990-12-21 1994-04-2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Balancer apparatus for engine
US5535643A (en) * 1993-11-12 1996-07-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Anti-rattle engine balancer which drives associated oil pum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1982A (ja) * 1992-05-19 1993-12-07 Nissan Motor Co Ltd バランサシャフト付きエンジンの本体構造
JPH0617879A (ja) * 1992-07-01 1994-01-25 Nissan Motor Co Ltd バランサシャフト付き機関のオイルパン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2692A (zh) 1997-10-22
CN1077249C (zh) 2002-01-02
JP3554429B2 (ja) 2004-08-18
US5788381A (en) 1998-08-04
DE69702781T2 (de) 2000-12-14
DE69702781D1 (de) 2000-09-21
EP0789165B1 (en) 2000-08-16
JPH09209729A (ja) 1997-08-12
KR970062371A (ko) 1997-09-12
EP0789165A1 (en) 1997-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5587B1 (ko) 회전축의 윤활구조
EP0789166B1 (en) Balance shaft supporting structure in engine
EP1081410B1 (en) Balance shaft for engine balancing systems
JP3712865B2 (ja) 往復ピストンエンジンのつり合い装置
EP1081345B1 (en) Balance shaft housing
EP0291358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772725B2 (en) Balance shaft, housing for balance shaft and engine oil return passage
EP0789164B1 (en) Balancer shaft supporting structure in engine
US6471008B1 (en) Balance shaft housing
US4553510A (en) Cylinder hea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6460504B1 (en) Compact liquid lubrication circuit with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2266614A (ja) オーバヘッドカム型v型エンジン
JP3712866B2 (ja) 往復ピストンエンジンのつり合い装置
JP3488774B2 (ja) エンジンにおけるバランサーシャフトの支持構造
EP1055803B1 (en) Engine device
JP3668548B2 (ja) エンジンにおけるバランサーシャフトの支持構造
JP3739689B2 (ja) エンジン用つり合い装置のハウジング
JP4091691B2 (ja) 往復ピストンエンジンのつり合い装置
JP3802800B2 (ja) エンジンのオイルポンプカバー位置決め構造
JP3127354B2 (ja) エンジンにおけるチェーンテンショナーの支持構造
JP2001280110A (ja) エンジンバランサ
JPH02245412A (ja) エンジンのシリンダブロック
JP3880214B2 (ja) 往復ピストンエンジンのつり合い装置
JPH02212643A (ja) 内燃機関のバランサ軸駆動装置
JPH09210134A (ja) エンジンのバランサーシャフ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