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5477B1 - 표시장치 및 그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그 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5477B1
KR100235477B1 KR1019950044504A KR19950044504A KR100235477B1 KR 100235477 B1 KR100235477 B1 KR 100235477B1 KR 1019950044504 A KR1019950044504 A KR 1019950044504A KR 19950044504 A KR19950044504 A KR 19950044504A KR 100235477 B1 KR100235477 B1 KR 100235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terminal
signal
dummy
wiring board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4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8723A (ko
Inventor
가츠아키 구와시로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960018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8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4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76Supplementary capacities in pixels having special driving circuits and electrodes instead of being connected to common electrode or ground; Use of additional capacitively coupled compensatio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7Pads along the edge of rigid circuit boards, e.g. for pluggabl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표시 화소가 배열되어 이루어진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표시 화소가 배열된 표시 패널과 입력된 시리얼 화상 신호를 직병렬 변환하여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복수의 구동 회로 소자와 각 구동 회로 소자의 각각에 시리얼 화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배선 기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배선 기판의 신호 출력 단자 근방에 더미-출력 단자를 구비하며, 하나의 더미-출력단자는 배선 기판내에서 하나의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다른 하나의 더미-단자는 배선 기판내에서 다른 하나의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검사를 실시할 수 있고, 또한 표시 불량의 원인을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기 때문에 수리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그 검사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액티브매트리스형 액정표시장치의 개략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액티브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의 X-구동 회로부의 등가 회로도.
제3도는 제1도의 액티브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의 X-구동 회로부의 일부 개략 사시도.
제4도는 다른 실시예의 X-구동회로부의 일부 개략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정 표시 장치 2 : 표시 영역
3 : 액정 패널 101 : 어레이 기판
301 : 대향 기판 121 : 박막 트랜지스터
151 : 화소 전극 161 : 보조 용량선
301 : 대향 기판 311 : 대향 전극
501 : X-구동 회로부 601 : X-TAB
611 : 플렉시블 기판 621 : 신호선 구동 IC
641 : 데이터 단자 651 : 더미 단자
701 : X-배선 기판 721 : 데이터 패드
731 : 더미 패드 751 : 제1기판
781 : 제2기판 783 : 데이터 배선군
801 : Y-구동 회로부
본 발명은 복수의 표시 화소가 배열되어 이루어진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로 대표되는 표시장치는 박형, 경량, 저소비전력의 특징을 살려서 퍼스널 컴퓨터, 워드 프로세서등의 표시 장치, TV 표시 장치, 또한 투사형의 표시 장치로서 각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각 표시 화소에 스위치 소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이루어진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장치는 인접 화소 사이에서 누화가 없는 양호한 표시 화상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활발하게 연구, 개발이 실시되고 있다.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장치는 복수의 표시 화소로 이루어진 액정 패널과, 액정 패널의 각 표시 화소의 각각에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공급하는 X-구동 회로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X-구동 회로부는 예를 들면 플렉시블(flexible) 필름상에 신호선 구동IC가 얹어 설치되어 이루어진 X측의 TAB(Tape Automated Bonding), 이 X-TAB에 몇개의 비트의 시리얼 화상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X-배선 기판을 포함하고, X-TAB의 출력단자가 표시 패널의 신호선과 이방성도 전막 등을 통해 접속되고, 또한 X-TAB의 입력 단자가 X-배선 기판에 납등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X-구동 회로부는 예를 들면 시리얼에 입력되는 시리얼 화상 데이터를 차례로 직병렬 변환하고, 또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각 표시 화소의 각각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화상 신호로서 액정 패널에 공급한다.
또한,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장치는 패널의 각 표시 화소를 행마다 차례로 선택하는 이 Y-구동 회로부를 구비하며, 이 Y-구동 회로부도 플렉시블 필름상에 구동IC가 얹어 설치되어 이루어진 Y측의 TAB, 이 Y-TAB에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Y-배선 기판을 포함하고, Y-TAB의 출력 단자가 표시 패널과 이방성 도전막등을 통하여 접속되며, Y-TAB의 입력단자가 Y-배선 기판에 납등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충분한 품질 보호를 위해 제품 검사가 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에 특정한 표시 화상을 나타내어, 시각등에 의해 표시 화상을 검사하여 양/불량의 구별을 한다. 그리고, 구동 IC와 배선 기관등의 교환에 의해 수리 가능한 표시 장치에 대해서는 각 부품을 각각 변환하는 것으로 표시 장치를 수리했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표시 불량이 표시 패널에 기인한 것인지 또는 구동 회로부에 기인한 것인지는 표시 상태에 따라 판정할 수 있지만 구동IC에 기인한 것인지, 배선 기판에 기인한 것인지 또는 다른 구동 회로 기판에 기인한 것인지 그 판정이 곤란하기 때문에 표시 장치의 수리에는 많은 시간이 필요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 과제에 대처해 이루어진 것으로 용이하게 검사를 실시할 수 있고, 또한 단시간에 수리가 가능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발명은 복수의 표시 화소가 배열된 표시 패널과, 입력된 시리얼 화상 신호를 직병렬 변환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복수의 구동 회로 소자와, 각 상기 구동 회로 소자의 각각에 시리얼 화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배선 기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신호 출력 단자 근방에 복수의 더미(dummy)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더미 출력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한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다른 더미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다른 한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표시장치이다.
특허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발명은 복수의 표시 화소가 배열된 표시 패널과, 입력되는 시리얼 화상 신호를 직병렬 변환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복수의 구동 회로 소자와, 각 상기 구동 회로 소자의 각각에 시리얼 화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배선 기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의 양측에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더미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의 더미 출력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하나의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다른 더미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다른 하나의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표시장치이다.
특허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된 발명은 복수의 표시 화상이 배열된 표시 패널과, 입력된 시리얼 화상 신호를 집병렬 변환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복수의 구동 회로 소자와, 각 상기 구동 회로 소자의 각각에 시리얼 화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배선 기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신호 출력 단자의 근방에 하나의 더미-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더미-출력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표시 장치이다.
특허청구범위 제4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구동 회로 소자는 플렉시블 기판상에 구동 IC가 얹어 설치되며, 상기 배선 기판의 상기 신호 출력 단자에 대응하는 신호 입력 단자 및 상기 더미-출력 단자에 대응하는 더미-입력 단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특허청구범위 제1항 내지 특허청구범위 제3항중 하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표시장치이다.
특허청구범위 제5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구동 회로 소자는 플렉시블 기판상에 구동 IC가 얹어 설치되며, 상기 플렉시블 기판은 상기 표시 패널의 한 변을 따라서 복수 배열 되며, 상기 더미-출력 단자는 상기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의 측쪽과 인접하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사이에 배치된 것으 특징으로 한 특허청구범위 제 1항 내지 제3항 중 하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표시 장치이다.
특허청구범위 제6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구동 회로 소자는 상기 표시 패널에 얹어 설치되며,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배선 기판의 상기 신호 출력 단자에 대응하는 신호 입력 단자 및 상기 더미-출력 단자에 대응하는 더미 입력 단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특허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3항중 하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표시장치이다.
특허청구범위 제7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구동 회로 소자는 상기 표시 패널에 얹어 설치되며, 상기 구동 회로 소자는 상기 표시 패널의 한 변을 따라서 복수 배열되며, 상기 더미-출력 단자는 상기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의 측쪽과 인접하는 상기 구동 회로 소자의 신호 출력 단자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특허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3항중 하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표시장치이다.
특허청구범위 제8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더미-출력 단자의 크기를 상기 신호 출력 단자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특허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3항중 하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표시장치이다.
특허청구범위 제9항에 기재된 발명은 복수의 표시 화소가 배열된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에 주사 펄스를 공급하는 복수의 구동 회로 소자와, 각 상기 구동 회로 소자의 각각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배선 기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신호 출력 단자 근방에 복수의 더미-출력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하나의 더미-출력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하나의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다른 하나의 더미단자는 상기 배선기판내에서 상기 다른 하나의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표시장치이다.
특허청구범위 제10항에 기재된 발명은 복수의 표시 화소가 배열된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에 주사 펄스를 공급하는 복수의 구동 회로 소자와, 각 상기 구동 회로 소자의 각각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배선 기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의 양측에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더미-출력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하나의 더미-출력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하나의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다른 하나의 더미-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다른 하나의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표시 장치이다.
특허청구범위 제 11항에 기재된 발명은 복수의 표시 화소가 배열된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에 주사 펄스를 공급하는 복수의 구동 회로 소자와, 각 상기 구동 회로 소자의 각각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배선 기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신호 출력 단자의 근방에 하나의 더미-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더미-출력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표시 장치이다.
특허청구범위 제12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구동 회로 소자는 플렉시블 기판상에 구동 IC가 얹어 설치되며, 상기 배선 기판의 상기 신호 출력 단자에 대응하는 신호 입력 단자 및 더미-출력 단자에 대응하는 더미-입력 단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특허청구범위 제9항 내지 제11항중 하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표시장치이다.
특허청구범위 제13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구동 회로 소자는 플렉시블 기판상에 구동 IC가 얹어 설치되며, 상기 플렉시블 기판은 상기 표시 패널의 한 변을 따라서 복수 배열되며, 상기 더미-출력 단자는 상기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의 측쪽과, 인접하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 사이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 특허청구범위 제9항에서 제11항중 하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표시장치이다.
특허청구범위 제14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구동 회로 소자는 상기 표시 패널에 얹어 설치되며,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배선 기판의 상기 신호 출력 단자에 대응하는 신호 입력 단자 및 상기 더미-출력 단자에 대응하는 더미-입력 단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특허청구범위 제9항 내지 제11항중 하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표시장치이다.
특허청구범위 제15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구동 회로 소자는 상기표시 패널에 얹어 설치되며, 상기 구동 회로 소자는 상기 표시 패널의 한 변을 따라서 복수 배열되며, 상기 더미-출력 단자는 상기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의 측쪽과 인접하는 상기 구동 회로 소자의 신호 출력 단자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특허청구범위 제9항 내지 제11항중 하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표시장치이다.
특허청구범위 제16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더미출력단자의 크기를 상기 신호 출력단자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특허청구범위 제9항내지 제11항중 하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표시장치이다.
특허청구범위 제17항에 기재된 발명은 복수의 표시 화소가 배열된 표시 패널과, 입력된 시리얼 화상 신호를 직병렬 변환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복수의 구동 회로 소자와, 각 상기 구동 회로 소자의 각각에 시리얼 화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배선 기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신호 출력 단자 근방에 복수의 검사용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의 검사용 출력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하나의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다른 하나의 검사용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다른 하나의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표시 장치이다.
특허청구범위 제18항에 기재된 발명은 복수의 표시 화소가 배열된 표시 패널과, 입력된 시리얼 화상 신호를 직병렬 변환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복수의 구동 회로 소자와, 각 상기 구동 회로 소자의 각각에 시리얼 화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배선 기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의 양측에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검사용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의 검사용 출력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하나의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다른 하나의 검사용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다른 하나의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표시장치이다.
특허청구범위 제19항에 기재된 발명은 복수의 표시 화소가 배열된 표시 패널과, 입력된 시리얼 화상 신호를 직병렬 변환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복수의 구동 회로 소자와, 각 상기 구동 회로 소자의 각각에 시리얼 화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배선 기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신호 출력 단자의 근방에 하나의 검사용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검사용 출력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표시 장치이다.
특허청구범위 제20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구동 회로 소자는 플렉시블 기판상에 구동 IC가 얹어 설치되며, 상기 배선 기판의 상기 신호 출력 단자에 대응하는 신호 입력 단자 및 상기 검사용 출력 단자에 대응하는 검사용 입력 단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특허청구범위 제17항내지 제19항중 하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표시장치이다.
특허청구범위 제21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구동 회로 소자는 플렉시블 기판상에 구동IC가 얹어 설치되며, 상기 플렉시블 기판은 상기 표시 패널의 한 변을 따라서 복수 배열되며, 상기 검사용 출력 단자는 상기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의 측쪽과, 인접하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특허청구범위 제17항 내지 제19항중 하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표시장치이다.
특허청구범위 제22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구동 회로 소자는 상기 표시 패널에 얹어 설치되며,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배선 기판의 상기 신호 출력 단자에 대응하는 신호 입력 단자 및 상기 검사용 출력 단자에 대응하는 검사용 입력 단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특허청구범위 제7항 내지 제19항중 하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표시장치이다.
특허청구범위 제23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구동 회로 소자는 상기 표시 패널에 얹어 설치되며, 상기 구동 회로 소자는 상기 표시 패널의 한 변을 따라서 복수 배열되며, 상기 검사용 출력 단자는 상기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의 측쪽과 인접하는 상기 구동 회로 소자의 신호 출력 단자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특허청구범위 제17항 내지 제19항중 하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표시장치이다.
특허청구범위 제24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검사용 출력 단자의 크기를 상기 신호 출력 단자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특허청구범위 제17항 내지 제19항중 하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표시장치이다.
특허청구범위 제25항에 기재된 발명은 복수의 표시 화소가 배열된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에 주사 펄스를 공급하는 복수의 구동 회로 소자와, 각 상기 구동 회로 소자의 각각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배선 기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신호 출력 단자 근방에 복수의 검사용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의 검사용 출력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하나의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다른 하나의 검사용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다른 하나의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표시장치이다.
특허청구범위 제26항에 개재된 발명은 복수의 표시 화소가 배열된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에 주사 펄스를 공급하는 복수의 구동 회로 소자와, 각 상기 구동 회로 소자의 각각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배선 기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의 양측에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검사용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의 검사용 출력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하나의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다른 하나의 검사용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다른 하나의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표시장치이다.
특허청구범위 제27항에 기재된 발명은 복수의 표시 화소가 배열된 표시 패널과, 상기 패널에 주사펄스를 공급하는 복수의 구동 회로 소자와, 각 상기 구동 회로 소자의 각각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배선 기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와 근방에 하나의 검사용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검사용 출력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표시 장치이다.
특허청구범위 제28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구동 회로 소자는 플렉시블 기판상에 구동IC가 얹어 설치되며, 상기 배선 기판의 상기 신호 출력 단자에 대응하는 신호 입력 단자 및 상기 검사용 출력 단자에 대응하는 검사용 입력 단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특허청구범위 제25항내지 제27항중 하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표시 장치이다.
특허청구범위 제29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구동 회로 소자는 플렉시블 기판상에 구동IC가 얹어 설치되며, 상기 플렉시블 기판은 상기 표시 패널의 한 변을 따라서 복수 배열되며, 상기 검사용 출력 단자는 상기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의 측쪽과 인접하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특허청구범위 제25항 내지 제27항중 하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표시장치이다.
특허청구범위 제30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구동 회로 소자는 상기 표시 패널에 얹어 설치되며,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배선 기판의 상기 신호 출력 단자에 대응하는 신호 입력 단자 및 상기 검사용 출력 단자에 대응하는 검사용 입력 단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특허청구범위 제25항 내지 제27항중 하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표시 장치이다.
제31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구동 회로 소자는 상기 표시 패널에 얹어 설치되며, 상기 구동 회로 소자는 상기 표시 패널의 한 변을 따라서 복수 배열되며, 상기 검사용 출력 단자는 상기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의 측쪽과 인접하는 상기 구동 회로 소자의 신호 출력 단자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특허청구범위 제25항에서 제27항 중 하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표시장치이다.
특허청구범위 제32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검사용 출력 단자의 크기를 상기 신호 출력 단자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특허청구범위 제25항 내지 제27항중 하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표시 장치이다.
특허청구범위 제32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검사용 출력 단자의 크기를 상기 신호 출력 단자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특허청구범위 제25항 내지 제27항중 하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표시 장치이다.
특허청구범위 제33항에 기재된 발명은 복수의 표시 화소가 배열된 표시 패널과, 입력된 시리얼 화상 신호를 직병렬 변환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복수의 구동 회로 소자와, 각 상기 구동 회로 소자의 각각에 시리얼 화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배선 기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의 검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신호 출력 단자 근방에 복수의 더미-출력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하나의 더미-출력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하나의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다른 하나의 더미-출력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다른 하나의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더미-단자에 검사용 기구를 맞닿게 하여 신호의 흐름의 유무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표시 장치의 검사 방법이다.
특허청구범위 제34항에 기재된 발명은 복수의 표시화소가 배열된 표시 패널과, 입력된 시리얼 화상 신호를 직병렬 변환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복수의 구동 회로 소자와, 각 상기 구동 회로 소자의 각각에 시리얼 화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배선 기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의 검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의 양측에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더미-출력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하나의 더미-출력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하나의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다른 하나의 더미-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다른 하나의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더미-단자에 검사용 기구를 맞닿게 하여 신호의 흐름의 유무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표시장치의 검사 방법이다.
특허청구범위 제35항에 기재된 발명은 복수의 표시 화소가 배열된 표시 패널과 입력된 시리얼 화상 신호를 직병렬 변환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복수의 구동 회로 소자와, 각 상기 구동 회로 소자의 각각에 시리얼 화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배선 기판을 구비한 표시장치의 검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신호 출력 단자의 근방에 하나의 더미-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더미-출력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더미-단자에 검사용 기구를 맞닿게 하여 신호의 흐름의 유무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표시 장치의 검사 방법이다.
특허청구범위 제36항에 기재된 발명은 복수의 표시 화소가 배열된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에 주사 펄스를 공급하는 복수의 구동 회로 소자와, 각 상기 구동 회로 소자의 각각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배선 기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의 검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신호 출력 단자 근방에 복수의 더미-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의 더미-출럭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하나의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다른 하나의 더미-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다른 하나의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더미-단자에 검사용 기구를 맞닿게 하여 신호의 흐름의 유무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표시 장치의 검사 방법이다.
특허청구범위 제37항에 기재된 발명은 복수의 표시 화소가 배열된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에 주사 펄스를 공급하는 복수의 구동 회로 소자와, 각 상기 구동 회로 소자의 각각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배선 기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의 검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신호 출력단자의 근방에 하나의 더미-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더미-출력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더미-단자에 검사용 기구를 맞닿게 하여 신호의 흐름의 유무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표시 장치의 검사 방법이다.
특허청구범위 제38항에 기재된 발명은 복수의 표시 화소가 배열된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에 주사 펄스를 공급하는 복수의 구동 회로 소자와, 각 상기 구동 회로 소자의 각각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배선 기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의 검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의 양측의 어느쪽이든 한쪽에 하나의 더미-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더미-출력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더미-단자에 검사용 기구를 맞닿게 하여 신호의 흐름의 유무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표시 장치의 검사 방법이다.
특허청구범위 제39항에 기재된 발명은 복수의 표시 화소가 배열된 표시 패널과, 입력된 시리얼 화상 신호를 직병렬 변환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복수의 구동 회로 소자와, 각 상기 구동 회로 소자의 각각에 시리얼 화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배선 기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의 검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신호 출력 단자 근방에 복수의 검사용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의 검사용 출력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하나의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다른 하나의 검사용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다른 하나의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검사용 단자에 검사용 기구를 맞닿게 하여 신호의 흐름의 유무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표시 장치의 검사 방법이다.
특허청구범위 제40항에 기재된 발명은 복수의 표시 화소가 배열된 표시 패널과, 입력된 시리얼 화상 신호를 직병렬 변환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복수의 구동 회로 소자와, 각 상기 구동 회로 소자의 각각에 시리얼 화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배선 기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의 검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의 양측에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더미-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의 검사용 출력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하나의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다른 하나의 검사용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다른 하나의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검사용 단자에 검사용 기구를 맞닿게 하여 신호의 흐름의 유무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표시 장치의 검사 방법이다.
특허청구범위 제41항에 기재된 발명은 복수의 표시 화소가 배열된 표시 패널과, 입력된 시리얼 화상 신호를 직병렬 변환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복수의 구동 회로 소자와, 각 상기 구동 회로 소자의 각각에 시리얼 화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배선 기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의 검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신호 출력 단자의 근방에 하나의 검사용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검사용 출력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더미-단자에 검사용 기구를 맞닿게 하여 신호의 흐름의 유무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표시장치의 검사 방법이다.
특허청구범위 제42항에 기재된 발명은 복수의 표시 화소가 배열된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에 주사 펄스를 공급하는 복수의 구동 회로 소자와, 각 상기 구동 회로 소자의 각각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배선 기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의 검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신호 출력 단자 근방에 복수의 검사용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의 검사용 출력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하나의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다른 하나의 검사용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하나의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다른 하나의 검사용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다른 하나의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검사용 단자에 검사용 기구를 맞닿게 하여 신호의 흐름의 유무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표시장치의 검사 방법이다.
특허청구범위 제43항에 기재된 발명은 복수의 표시 화소가 배열된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에 주사 펄스를 공급하는 복수의 구동 회로 소자와, 각 상기 구동 회로 소자의 각각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배선 기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의 검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의 양측에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검사용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의 검사용 출력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하나의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다른 하나의 검사용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내에서 상기 다른 하나의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검사용 단자에 검사용 기구를 맞닿게 하여 신호의 흐름의 유뮤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표시장치의 검사방법이다.
특허청구범위 제44항에 기재된 발명은 복수의 표시 화소가 배열된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에 주사 펄스를 공급하는 복수의 구동 회로 소자와, 각 상기 구동 회로 소자의 각각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배선 기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의 검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신호 출력 단자와 근방에 하나의 검사용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검사용 출력 단자는 상기 배선기판내에서 상기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검사용 단자에 검사용 기구를 맞닿게 하여 늘리서 신호의 흐름의 유무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표시장치의 검사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 회로 소자의 각각에 제어 신호등을 공급하는 배선 기판의 신호 출력 단자 근방에 더미-출력 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이 더미-출력 단자는 배선 기판내에서 하나의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더미-출력 단자 또는 더미-출력 단자에 대응하는 더미-입력 단자에 검사용 프로브등의 검사용 기구를 맞닿게 하여 표시 불량이 구동 회로 소자에 기인한 것인지 배선 기판에 기인한 것인지 또는 다른 요인에 의한 것인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어 장치의 수리가 단시간에 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검사용 출력 단자 또는 검사용 출력 단자에 대응하는 검사용 입력 단자에 검사용 프로브등의 검사용 기구를 맞닿게 하여 표시 불량이 구동 회로 소자에 기인한 것인지 배선 기판에 기인한 것인지 또는 다른 요인에 의한 것인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어 장치의 수리가 단시간에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배선 기판에 설치된 더미-출력 단자 또는 검사용 단자는 배선 기판의 신호 출력 단자의 접속 강도를 보강하고, 외부 응력에 대해 배선 기판의 접속 불량의 발생을 경감한다.
[제1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장치 정상 화이트.모드의 광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칼라 표시가 가능하게 구성되고,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각 14인치의 표시영역(2)을 구비하고 있다.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장치(1)를 구성하는 액정 패널(3)은 어레이 기판(101)과 대향 기판(301)이 각각 배향막(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광변조층으로서 트위스트.네마틱형 액정층(401)을 유지하고, 도시하지 않는 봉인제에 의해서 서로 유지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각 기판(101),(301) 외표면에는 각각 편광판이 그 편광축이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져 있다.
어레이 기판(101)은 640X3개의 신호선(Xi)(i=1,2, ---1920)과 480개의 주사선(Yj)(j=1,2, ---,480)이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신호선(Xi)과 각 주사선(Yj)의 교점 근방에는 각각 확성층에 비정질 실리콘 박막이 이용되어 이루어진 역 스태거형 박막 트랜지스터(121)(이하 TFT라고 약칭한다.)를 통하여 I.T.O(Indium Tin Oxide)로 이루어진 화소 전극(151)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어레이 기판(101)은 주사선(Yj)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또한 화소 전극(151)과 중복되는 영역을 가지고 배치되는 보조 용량선(161)을 구비하며, 화소 전극(151)과 보조 용량선(161)에 의해서 보조 용량(CS)이 형성되어 있다.
대향 기판(301)은 도시하지않지만 어레이 기판(101)에 형성되는 TFT(121), 신호선(Xi)과 화소 전극(151)의 간격, 주사선(Yj)과 화소 전극 (151)의 간격의 각각을 차광하기 위한 매트릭스 형상의 차광층, 칼라 표시를 실현하기 위해 차광층 사이에 배치된 적(R), 녹(G), 청(B)의 3원색으로 구성된 칼라 필터층을 구비하고 또한, I.T.O로 이루어진 대향 전극(311)이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액정 패널(3)의 표시 영역(2)은 하나의 수정 화소 어레이가 적(R), 녹(G), 청(B)의 표시 화소로 구성되는 640개의 표시 화소를 포함하고, 이와같은 수평 화소 라인이 480개 배열되어 이루어져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장치(1)의 외부 형태 크기를 작게 하기 위해서, 각 신호선(Xi) 및 각 주사선(Yj)은 각각 액정 패널(3)의 한 단변축으로만 꺼내져 있다.
액정 패널(3)의 각 신호선(Xi)은 X-구동 회로부(50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각 주사선(Yi)는 Y-구동 회로부(8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X-구동 회로부(501)와 Y-구동 회로부(801)는 각각 외부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의거하여 원하는 신호를 공급하는 컨트롤러 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Y-구동 회로부(801)는 2개의 Y-TAB(901-1),(902-2)과, 각 Y-TAB(901-1),(902-2)에 각각 신호를 공급하는 Y-배선 기판(1001)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X-구동 회로부(501)에 대해서 설명한다.
X-구동 회로부(501)는 8개의 X-TAB(601-1), (601-2), ---, 601-8)과, 각 X-TAB(601-1), (601-2), ---, (601-8)에 각각 신호를 공급하는 X-배선 기판(701)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X-TAB(601-1), (601-2), ---, (601-8)은 제2도~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611)상에 신호선 구동IC(621)가 얹어 설치되며, 한 단부측에 아날로그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240개의 아날로그 화상 데이터 출력 단자(631)를, 또한, 다른 단부측에 R,G,B 각각 6비트의 디지털 화상 데이터(DDSR),(DDSG),(DDSB), 수평 클럭 신호(CKH), 로드 신호(LD), 기준 전압(REF) 및 수평 출력 신호(SW)의 각각을 입력하는 14개의 데이터 입력 단자, 수평 스타트 신호(STH)를 입력하는 1개의 데이터 입력 단자, 수평 스타트 신호(STH)를 다음 단의 X-TAB(601)에 출력하는 1개의 데이터 출력 단자로 이루어진 16개의 데이터 단자(64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X-TAB(601-1),(601-2),---,(601-8)의 각각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X-TAB(601-1), (601-2), ---, (601-8)과 X-배선 기판(701)과의 접속 단절을 방지하기 위해 16개의 데이터 단자(641)를 좁히도록, 데이터 단자(641)보다도 단자폭, 단자길이도 모두 길게 구성된 큰면적의 한쌍의 더미-단자(651-1),(65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더미-단자(651-1)(651-2)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더미-단자와는 다르며, 접속 단절을 방지하는 목적 이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검사용 단자로 사용하는 목적도 있기 때문에 더미-단자(651-1),(651-2)는 검사용 단자라고도 말할 수 있다.
데이터 단자(641)의 폭은 0.3~0.4mm 정도이며, 16개의 데이터 단자(641)의 크기는 0.5mm정도이다. 더미-단자(651-1),(651-2)의 폭은 1~3mm 정도이다.
이와 같이, 더미-단자(651-1),(651-2)를 데이터 단자(641)보다 크게 한 것은 더미-단자(651-1) (651-2)에 검사용 프로브를 접촉시키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X-TAB(601-1)(601-2),---,(601-8)을 구성하는 신호선 구동 IC(621)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기와 같은 것을 구비하고 있다.
제1은 수평 스타트 신호(STH)를 수평 클럭 신호(CKH)에 의거하여 단계적으로 출력하는 240단의 시프트레지스터 회로(SRX)이다.
제2는 R,G,B마다 병렬로 입력된 6비트.디지털 화상 데이터(DDSR),(DDSG),(DDSB) 각각을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SRX)의 각 단의 출력에 의거하여 선택해 유지하는 직병렬 변환 회로(CP)이다.
제3은 직병렬 변환 회로(CP)로부터 전송되는 6비트.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로드 신호(LD)에 의거하여 격납하는(240화소X6비트)메모리를 구비한 래치(LA)이다.
제4는 래치(LA)로부터의 각 6비트.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이루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회로(D/A)이다.
제5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회로(D/A)로부터의 각 아날로그 화상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갖춘 스위치 회로(SW)이다.
제6은 스위치 회로(SW)로부터의 출력을 증폭하는 버퍼 회로(BA)이다.
다음에, X-배선 기판(701)에 대해서 설명한다.
X-배선 기판(701)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R,G,B 각각 6비트의 디지털 화상 데이터(DDSR),(DDSG),(DDSB), 수평 스타트 신호(STH), 수평 클럭 신호(CKH), 로드 신호(LD), 기준 전압(REF)을 8개의 X-TAB(601-1),(601-2),---,(601-8)의 각각에 병렬로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수평 스타트 신호(STH)를 각 X-TAB(601-1),(601-2),---,(601-8)에 차례로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X-배선 기판(701)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질의 다층 기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표층 기판(711)에는 각 X-TAB(601-1),(601-2),---,(601-8)의 데이터 단자(641)에 대응하는 각각 16개의 데이터 패드(721)가 형성되며, 또한 각 X-TAB(601-1),(601-2),---,(601-8)의 한쌍의 더미-단자(651-1),(651-2)에 대응해 데이터 패드(721)보다도 큰 면적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더미-패드(731-1),(731-2)가 8세트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X-배선 기판(701)을 경질의 다층 기판으로 구성된 경우를 나타냈지만 플렉시블한 배선 기판이라도 관계없다.
X-배선 기판(701)의 제2기판(781)에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R,G,B 각각 6비트의 디지털 화상 데이터(DDSR),(DDSG),(DDSB), 수평 스타트 신호(STH), 수평 클럭 신호(CKH), 로드 신호(LD), 기준 전압(REF), 수평 출력 신호(SW)를 각 X-TAB(601-1),(601-2),---,(601-8)에 병렬로 입력하도록 하고, 또한 수평 스타트 신호(STH)를 X-TAB(601-1)으로부터 X-TAB(601-8)에 차례로 전송하는 8개의 데이터 배선군(783)이 배치되어 있다.
제2기판(781)의 데이터 배선군(783)과 표층 기판(711)은 제1기판(751)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X-배선 기판(701)의 표층 기판(711)과 제2기판(781)사이에 배치되는 제1기판(751)은 표층 기판(711)에 배치되는 더미-패드(731-1),(731-2)와 데이터 배선군(783)의 1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배선(753-1),---,(753-16)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이 실시예에서는 X-TAB(601-1)의 더미-단자(651-1)에 대응하는 더미-패드(731-1)는 접속 배선(753-1)에 의해 데이터 배선군(783) 내의 수정 스타트 신호(STH)를 전달하는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X-TAB(601-1)의 더미-단자(651-2)에 대응하는 더미-패드(731-2)는 접속 배선(753-2)에 의해 데이터 배선군(783) 내의 수평 클럭 신호(CKH)을 전달하는 배선에 접속되어 있다.
X-TAB(601-2)의 더미-단자(651-1)에 대응하는 더미-패드(731-1)는 접속 배선(753-3)에 의해 데이터 배선군(783)내의 디지털 화상 데이터(DDSR)를 전달하는 배선에 접속되어 있다.
이하, 마찬가지로 접속되며, X-TAB(601-8)의 더미-단자(651-2)에 대응하는 더미-패드(731-2)는 접속 배선(753-3)에 의해 데이터 배선군(783)내의 수평 스타트 신호(STH)을 전달하는 배선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각 X-TAB(601-1),(601-2),---,(601-8)의 데이터 단자(641) 및 더미-단자(651-1), (651-2)는 도시하지 않지만 X-배선 기판(701)의 대응하는 데이터 패드(721) 및 더미-패드(731-1), (731-2)에 이방성 도전막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각 X-TAB(601-1),(601-2),---,(601-8)의 아날로그 화상 데이터 출력 단자(631)는 도시하지 않지만 이방성 도전막을 통하여 액정 패널(3)의 각 신호선(Xi)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X-TAB(601-1),(601-2),---,(601-8)과 X-배선 기판(701)은 X-TAB(601)의 데이터 단자(641)와 X-배선 기판(701)의 데이터 패드(721)와의 접속만이 아니라 더미-단자(651-1),(651-2)와 X-배선 기판(701)의 더미-패드(731-1),(731-2)에 의해서도 접속되기 때문에 외부 응력에 대해서도 접속 단절이 생기기 어렵다.
특히, X-TAB(601-1),(601-2),---,(601-8)의 더미-단자(651-1),(651-2)는 그 응력이 집중하기 쉬운 데이터 단자(641)의 양 단부측에 배치되며, 또한 데이터 단자(641)에 비해서 충분히 큰면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접속 단절이 생기기 어렵다.
또한,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특별한 검사용 패드등을 설치하지 않고 다음과 같이 용이하게 검사가 가능하게 된다. 우선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장치(1)에 표시 불량이 있는 경우, 각 X-TAB(601-1), (601-2),---(601-8)의 더미-단자(651-1),(651-2)에 차례로 프로브를 맞닿게 하여 원하는 신호가 공급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X-배선 기판(701)에 소정의 신호가 공급됨에도 불구하고, X-TAB(601-1)의 더미-단자(651-1)로부터 원하는 수평 스타트 신호(STH)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는 X-배선 기판(701)의 배선 불량등에 기인한 것이라고 판정할 수 있고, X-배선 기판(701)을 교환하여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장치(1)를 수리할수 있다.
또한, X-배선 기판(701)에 소정의 신호가 공급됨에도 불구하고, X-TAB(601-1)의 더미-단자(651-2)로부터 원하는 수평 클럭 신호(CKH)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는 역시 X-배선 기판(701)의 배선 불량등에 기인한 것이라고 판정할 수 있고, X-배선 기판(701)을 교환하여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장치(1)를 수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각 X-TAB(601-1),(601-2),---,(601-8)의 더미-단자(651-1),(651-2)에 차례로 프로브를 맞닿게 해 신호를 검출하여 표시 불량이 X-배선 기판(701)에 기인한 것인지 아닌지 판정된다.
X-배선 기판(701)에 원하는 신호가 공급되며, 또한 각 X-TAB(601-1),(601-2),---,(601-8)의 더미-단자(651-1),(651-2)로부터도 원하는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표시 불량이 X-TAB(601-1), (601-2), ---,(601-8)과 X-배선 기판(701)과의 접속 불량 또는 X-TAB(601-1),(601-2),---,(601-8)을 기인한 것이라고 생각되며, 이 X-TAB(601-1),(601-2),---,(601-8)을 교환하여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장치(1)를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검사도 실시할 수 있다.
X-배선 기판(701)에 특별한 검사용 패드등을 설치하지 않고, 사전에 X-배선 기판(701)의 각 더미-패드(731-1),(731-2)에 프로브등을 맞닿게 하여 X-배선 기판(701)의 불량 검사를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불량한 X-배선 기판(701)이 제조 공정중에 유품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즉, X-배선 기판(701)의 양 단으로부터 각종 신호를 공급하고, 각 더미-패드(731-1),(731-2)로부터 원하는 출력이 얻어 졌는지 아닌지를 검출하여 용이하게 X-배선 기판(701)의 검사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는 X-TAB(601-1),(601-2),---,(601-8) 및 X-배선 기판(701)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Y측도 마찬가지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된다.
[제2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서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8개의 신호선 구동IC(621-1),(621-2),---,(621-8)가 액정 패널(3)의 어레이 기판(101)상에 얹어 설치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각 신호선 구동IC(621-1),(621-2),---,(621-8)의 240개의 아날로그 화상 데이터 출력핀은 신호선(Xi)에 이방성 도전막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R,G,B 각각 6비트의 디지털 화상 데이터(DDSR),(DDSG),(DDSB), 수평 클럭 신호(CKH), 로드 신호(LD), 기준 전압(REF) 및 수평 출력 신호(SW)의 각각을 입력하는 14개의 입력핀, 수평 스타트 신호(STH)를 입력하는 입력 핀, 수평 스타트 신호(STH)를 다음 단계의 X-TAB(601)에 출력하는 출력핀은 어레이 기판(101)상에 배치된 16개의 데이터 단자(641)에 이방성 도전막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X-배선 기판(701)과의 접속 단절을 방지하기 위해서 16개의 데이터 단자(641)를 끼우도록 데이터 단자(641)보다도 큰면적의 한쌍의 더미-단자(651-1),(651-2)가 어레이 기판(101)상에 배치된다.
이 X-배선 기판(701)은 플렉시블한 표층 필름(712), 제1층 필름(752), 제2층 필름(782)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으로 구성되며, 그 표층 필름(712)은 각 신호선 구동IC(621-1),(621-2),---,(621-8)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구분하는 슬릿(741), 각 신호선 구동IC(621-1),(621-2),---,(621-8)에 대응하는 16개의 데이터 패드(721), 데이터 패드(721)보다도 큰면적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더미-패드(731-1), (731-2), 데이터 패드(721) 및 더미-패드(731-1),(731-20를 어레이 기판(101)상에 배치되는 데이터 단자(641) 및 더미-단자(651-1),(651-2)에 전기적인 접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창(743)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 외에는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액정 패널(3)과, X-배선 기판(701)은 액정 패널(3)의 데이터 단자(641)와 X-배선 기판(701)의 데이터 패드(721)의 접속뿐만 아니라 더미-단자(651-1),(651-2)와 X-배선 기판(701)의 더미-패드(731-1),(731-2)에 의해서도 접속되기 때문에 외부 응력에 대해서 접속 단절이 생기기 어렵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이라도 특별한 검사용 패드등을 설치하기 않고 상기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용이하게 검사 및 수리가 가능하게 된다.
우선,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장치(1)에 표시 불량이 있는 경우, X-배선 기판(701)의 더미-패드(731-1),(731-2)에 차례로 프로브를 맞닿게 하여 원하는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예를 들면, X-배선 기판(701)에 소정의 신호가 공급됨에도 불구하고, 더미-패드(731-1)로부터 원하는 수평 스타트 신호(STH)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는 X-배선 기판(701)의 배선 불량등에 기인한 것이라고 판정되며, X-배선 기판(701)을 교환하여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장치(1)를 수리할 수 있다.
또한, X-배선 기판(701)에 소정의 신호가 공급됨에도 불구하고 더미-패드(731-2)로부터 원하는 수평 클럭 신호(CKH)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는 역시 X-배선 기판(701)의 배선 불량등에 기인한 것이라고 판정되며, X-배선 기판(701)을 교환하여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장치(1)를 수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X-배선 기판(701)의 각 더미-패드(731-1),(731-2)에 차례로 프로브를 맞닿게 하여 신호를 검출하는 것으로 표시 불량이 X-배선 기판(701)에 기인하는지 아닌지가 특정된다.
X-배선 기판(701)에 원하는 신호가 공급되고 또한 각 더미-패드(731-1)(731-2)로부터도 원하는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표시 불량이 액정 패널(3)과 X-배선 기판(701)과의 접속 불량 또는 신호선 구동 IC(621-1),(621-2),---,(621-8) 를 교환하여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장치(1)을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다음과 같은 것도 실시할 수 있다.
X-배선 기판(701)에 특별한 검사용 패드등을 설치하지 않고, 사전에 X-배선 기판(701)의 각 더미-패드(731-1),(731-2)에 프로브등을 맞닿게 하여 X-배선 기판(701)의 불량 검사를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테두리 크기가 중대하지 않고 불량한 X-배선 기판(701)이 제조 공정중에 유품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에 비해 부품 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한 각 실시예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장치에 의하면, 액정 패널과 구동회로의 접속 단절을 경감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대해 강인한 구조가 된다.
또한, 구동 회로등에 특별한 검사용 패드등을 설치하지 않고,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장치의 표시 불량 원인을 비교적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단시간에 수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배선 기판에 있어서도 특별한 검사용 패드등을 설치하지 않고 제품 검사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불량한 배선 기판이 공정중에 유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변경예]
상기 실시예에서는 16개의 데이터 단자(641)의 양측에 데이터 단자(641)열을 따라서 병렬적으로 위치하는 더미-단자(651-1),(651-2) 양쪽을 검사용 단자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더미-단자(651-1)(651-2)의 적어도 어느쪽이든 한쪽만을 검사용 단자로 해도 좋다.
또한, 더미-단자(651-1),(651-2) 선단의 형상은 제3도에 있어서, 직사각형이지만 프로브를 접속시키기 쉬운 형상이면 원형, 또는 타원이라도 좋다.
또한, 16개의 데이터 단자(641) 사이에 더미-단자(651-1),(651-2)를 배치해도 좋다.
또한, 검사에 사용하는 더미-단자는 16개의 데이터 단자에 대해 상기 실시예와 같이 2개가 아니라 1개라도 좋다.

Claims (9)

  1. 복수의 표시화소가 배열된 표시패널과, 입력된 시리얼 화상신호를 직병렬 변환하여 상기 표시채널에 출력하는 적어도 제1및 제2구동회로소자와, 상기 제1 및 제2구동회로소자에 시리얼 화상신호 및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출력단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구동회로소자에 대응한 제1출력 단자군 및 상기 제2구동회로소자에 대응한 제2출력단자군을 포함하는 배선기판을 구비한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선기판은 상기 제1출력단자군의 상기 신호출력단자 근방에 제1더미-출력단자를, 상기 제2출력군의 상기 신호출력단자 근방에 제2더미출력단자를 각각 구비하고, 또한 상기 배선기판의 상기 제1더미출력단자는 상기 시리얼 화상신호 및 제어신호에서 선택된 하나의 신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더미출력단자는 상기 시리얼 화상신호 및 제어신호에서 선택된 다른 하나의 신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구동회로소자의 각각은 플렉시블기판상에 구동IC가 탑재되고, 상기 제1구동회로소자는 상기 제1더미출력단자에 대응한 제1더미입력단자를 상기 제2구동회로소자는 제2더미출력 단자에 대응하는 제1더미입력단자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구동회로소자의 각각은 플렉시블 기판상에 구동IC가 탑재되어고, 상기 표시패널의 한 변을 따라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배선기판의 상기 제1더미출력단자는 상기 제1및 제2출력단자군의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구동회로소자는 상기 표시채널의 한 변을 따라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더미출력단자는 상기 신호출력단자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복수의 표시화소가 배열된 표시 패널; 입력되는 시리얼 화상신호를 적병렬 변환하여 상기 표시패널에 출력하는 적어도 제1및 제2구동회로서자; 상기 제1 및 제2구동회로소자에 시리얼 화상신호 및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출력단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구동회로소자에 대응한 제1출력단자군 및 상기 제2구동회로소자에 대응한 제2출력단자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1출력단자군의 상기 신호출력단자 근방에 제1더미출력단자를, 상기 제2출력단자군의 상기 신호출력단자 근방에 제2더미출력단자를 각각 구비하고, 또 상기 배선기판의 상기 제1더미출력단자는 상기 시리얼 화상신호 및 제어신호에서 선택된 다른 하나의 신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더미출력단자는 상기 시리얼 화상신호 및 제어신호에서 선택된 다른 하나의 신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이루어진 전극기판을 적어도 구비한 표시장치의 검사방법으로서,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제1 및 제2구동회로소가 및 상기 제1 및 제2구동회로 소자와 상기 전극기판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공정과, 상기 제1 및 제2더미단자에 검사용 기구를 맞닿게 하는 공정과, 상기 검사용 기구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더미단자로의 신호의 공급의 유무를 검출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검사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공정에서 신호의 공급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극기판을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검사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용 기구를 맞닿게 하는 공정에 앞서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 상태를 검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검사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표시상태의 검출공정에서 표시불량이 검출되고,또 상기 검출공정에서 신호의 공급이 검출된 경우,상기 제1 및 제2구동회로소자의 어느 한쪽을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검사방법.
KR1019950044504A 1994-11-24 1995-11-24 표시장치 및 그 검사 방법 KR1002354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932394 1994-11-24
JP94-289323 1994-11-24
JP7272628A JPH08201841A (ja) 1994-11-24 1995-10-20 表示装置及びその検査方法
JP95-272628 1995-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723A KR960018723A (ko) 1996-06-17
KR100235477B1 true KR100235477B1 (ko) 1999-12-15

Family

ID=26550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4504A KR100235477B1 (ko) 1994-11-24 1995-11-24 표시장치 및 그 검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45984A (ko)
JP (1) JPH08201841A (ko)
KR (1) KR100235477B1 (ko)
TW (1) TW4453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0066B2 (ja) * 1996-09-20 2007-09-19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TW418338B (en) * 1997-03-03 2001-01-11 Toshiba Corp Display apparatus with monolithic integrated driving circuit
JP3955376B2 (ja) * 1997-05-13 2007-08-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パネルの検査方法
JP3613098B2 (ja) * 1998-12-21 2005-01-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回路基板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3054135B1 (ja) * 1999-02-05 2000-06-19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7339568B2 (en) * 1999-04-16 2008-03-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gnal transmission film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US6922226B2 (en) * 1999-12-31 2005-07-26 Lg. Philips Lcd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mplementing improved electrical lines and the fabricating method
JP2001265248A (ja) * 2000-03-14 2001-09-28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表示装置、及び、その検査方法
KR100596965B1 (ko) * 2000-03-17 2006-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구동신호 인가모듈, 이를 적용한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 및 이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의 구동신호 검사 방법
JP3892650B2 (ja) 2000-07-25 2007-03-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US6985128B1 (en) * 2000-07-31 2006-01-10 Sony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production method of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7280090B2 (en) 2000-12-22 2007-10-09 Electronics For Imaging,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repairing inoperative pixels in a display
JP4204204B2 (ja) * 2001-04-13 2009-01-07 三洋電機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KR100864922B1 (ko) * 2002-04-20 2008-10-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DE10227332A1 (de) * 2002-06-19 2004-01-15 Akt Electron Beam Technology Gmbh Ansteuervorrichtung mit verbesserten Testeneigenschaften
JP4054861B2 (ja) * 2002-08-08 2008-03-05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AU2003259746A1 (en) * 2002-08-12 2004-02-25 Iljin Diamond Co., Ltd. Lcd with eeprom and means for automatic download to fpga
JP3980462B2 (ja) * 2002-10-30 2007-09-26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画像表示装置
KR100895311B1 (ko) 2002-11-19 2009-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JP4217090B2 (ja) * 2003-03-20 2009-01-28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装置
JP4262521B2 (ja) * 2003-05-28 2009-05-13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検査方法
KR101032947B1 (ko) * 2004-03-18 2011-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장치
US7223923B2 (en) * 2004-10-26 2007-05-29 Hannstar Display Corporation PCB capable of releasing thermal stress
KR101066488B1 (ko) * 2004-10-28 2011-09-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0667111B1 (ko) * 2005-04-06 2007-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7710739B2 (en) 2005-04-28 2010-05-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display device
TWI301201B (en) * 2006-03-15 2008-09-21 Au Optronics Corp Display circuits
KR20080033564A (ko) * 2006-10-12 2008-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용 검사 장치 및 이의 검사 방법
KR101348756B1 (ko) * 2007-03-28 2014-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필름-칩 복합체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03499588B (zh) 2007-10-05 2016-09-07 株式会社尼康 显示器件的缺陷检测方法及显示器件的缺陷检测装置
JP4522445B2 (ja) * 2007-12-12 2010-08-1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134964B1 (ko) * 2007-11-21 2012-04-09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장치 및 주사선 구동 장치
KR20120139411A (ko) * 2011-06-17 2012-1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N103107111B (zh) * 2011-11-11 2017-03-01 飞思卡尔半导体公司 用于监测线接合中无空气球(fab)形成的方法和装置
KR102456696B1 (ko) 2018-08-07 2022-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33514A (ja) * 1990-12-28 1992-08-21 Sharp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
US5453991A (en) * 1992-03-18 1995-09-26 Kabushiki Kaisha Toshiba Integrated circuit device with internal inspection circuitry
JP2820233B2 (ja) * 1993-06-11 1998-11-05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の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45389B (en) 2001-07-11
US5945984A (en) 1999-08-31
JPH08201841A (ja) 1996-08-09
KR960018723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5477B1 (ko) 표시장치 및 그 검사 방법
KR101305379B1 (ko) 씨오지 타입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검사방법
KR100281058B1 (ko) 액정표시장치
TW527513B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353955B1 (ko) 신호라인 검사를 위한 액정표시장치
US8159443B2 (en) Display panels
KR100800330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신호라인 검사를 위한 액정표시패널
US7796222B2 (en) Display device, inspection method for display device, and inspection device for display device
KR20020059071A (ko) 액정표시장치의 패널내 배선의 결함 테스트 방법
KR20060015201A (ko) 어레이 기판과, 이를 갖는 모기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010070439A (ko) 어레이기판 및 어레이기판의 검사방법
TWI405989B (zh) 液晶顯示裝置之自動驗證設備及方法
US5473261A (en)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device
KR101407299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JP2002098999A (ja) 液晶表示装置
JP2872274B2 (ja) 液晶表示装置
KR102078994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검사방법
JP2000081635A (ja) 液晶表示装置
KR100442305B1 (ko) 어레이 기판 및 그 검사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192050B1 (ko) 평판표시장치의 검사방법 및 장치
JPH11119246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070071294A (ko) 액정표시소자
US20240087492A1 (en) Display substrate, test method for the same and display device
KR20000014950A (ko) 엘시디 패널 테스트용 지그
JP2002229056A (ja) 表示装置用電極基板及びその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