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2748B1 - 엔진 점화코일 장치 - Google Patents

엔진 점화코일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2748B1
KR100232748B1 KR1019960072086A KR19967002086A KR100232748B1 KR 100232748 B1 KR100232748 B1 KR 100232748B1 KR 1019960072086 A KR1019960072086 A KR 1019960072086A KR 19967002086 A KR19967002086 A KR 19967002086A KR 100232748 B1 KR100232748 B1 KR 100232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ignition coil
voltage terminal
coil
engine i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2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꼬또 사까마끼
도시유끼 시노자와
Original Assignee
고이데 가즈유끼
도요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54840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25013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54841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25013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54878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250137B2/ja
Application filed by 고이데 가즈유끼, 도요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이데 가즈유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2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27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3/00Other installations
    • F02P3/02Other installations having inductive energy storage, e.g. arrangements of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3/00Sparking plugs
    • H01T13/40Sparking plugs structurally combined with other devices
    • H01T13/44Sparking plugs structurally combined with other devices with transformers, e.g. for high-frequency i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원통형 제 1 케이스와, 이 제 1 케이스의 한쪽의 개방단부에 끼워 넣어져서, 이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장착되는 중앙부에 관상의 소공이 뚫려진 제 2 케이스로 구성되는 코일 케이스와, 1 차 코일 코빈, 2 차 코일 보빈의 한쪽의 칼러의 중앙부에 돌출하는 고전압 단자 홀더를 갖는 2 차 코일 보빈, 봉상 코어, 및 고전압 단자 홀더에 부착되고, 점화 플러그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접촉자를 가지는 고전압 단자로 이루어지는 조립체를 포함하는 엔진점화코일장치에 있어서, 내부 조립체가 삽입되고, 접촉자가 상기 소공의 외부로 돌출한 상태에서 고전압 단자 홀더가 소공의 내부에 압입된 코일 케이스 내에, 코일 케이스의 개방단부를 통해 용융 절연성 수지가 주입되어, 이 수지의 고상화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엔진점화코일장치를 제공하여, 내부 조립체를 추가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코일 케이스 내의 정위치에 용이하게 위치시키고 확실하게 고정시켜, 수지의 주입에 의한 일체장치 성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엔진점화코일장치
본 발명은 엔진점화코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 제 4-23296 호 공보에는, 봉상 코어가 삽입된 중공축을 갖는 제 1 코일 보빈과, 이 1 차 코일 보빈과 동축상으로 설치된 제 2 코일 보빈으로 구성되고, 용융 절연성 수지를 주입하여 일체적으로 성형시킨 조립체를 포함하는 코일 케이스를 갖는 개방 자기 회로형 엔진점화코일장치로서, 코일 케이스에 점화 플러그를 유지시키기 위한 커넥터부를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커넥터부에 삽입된 점화 플러그의 선단이 내부의 커넥터부의 내부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는 고전압 단자에 접촉하도록 한 엔진점화코일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 5-87034 호 공보에는,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폐쇄된 원통형의 코일 케이스 내에, 1 차 코일 보빈, 코어가 삽입되는 중공축을 갖는 2 차 코일 보빈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체를 넣어서, 코일 케이스 내에 용융 절연성 수지를 주입하여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코일 케이스를 포함하는 엔진점화코일장치로서, 코일 케이스 내의 개방단부의 상부에 히트 싱크가 부착된 점화기를 설치하여, 히트 싱크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코일 케이스 내에 몰드 수지를 주입하여 일체적으로 성형된 점화기 내장식 엔진점화코일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기한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해결해야 할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 문제점은, 1 차 코일 보빈, 2 차 코일 보빈, 봉상 코어, 및 고전압 단자 소켓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체가 용융수지를 코일 케이스 내에 주입하는 동안 코일 케이스의 정위치에서 움직일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점화 플러그의 선단이 코일 케이스 내에서 일체적으로 성형된 내부의 고전압 단자 소켓에 충분하게 고정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1 차 코일 보빈, 2 차 코일 보빈, 봉상 코어, 및 고전압 단자 소켓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체를 코일 케이스 내에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적절한 추가 수단을 사용해야 하며, 이는 부품이 추가되고, 공정단계각 추가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점화코일장치 제조의 효율성이 감소된다.
두 번째 문제점은, 종래의 개방 자기 회로형 엔진점화코일장치에서는, 1 차 코일 및 2 차 코일이 감겨진 코일 보빈의 중공축 내에 봉상 코어가 삽입되어 있는 구성을 갖기 때문에, 그의 발생 자속이 주위로 퍼져서 엔진의 실린더 블록 등을 통할 때, 철손에 의해 자속이 감소되어, 출력 효율이 악화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종래 장치는, 소정의 2 차 출력전압을 확보하기 위해, 장치를 대형화시켜야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열응력에 의해 코일 케이스와 조립체 사이에 개재하는 고상화된 수지에 균열이 생기기 쉽고, 균열이 발생하면 그 위치에 누설 방전이 생겨 수지가 열화된다.
세 번째 문제점은, 종래에는 코일 케이스 내의 개방 단부에, 상부에 히트 싱크가 부착된 점화기를 히트 싱크가 외부로 돌출하도록 점화기의 측부 및 저부만이 수지에 잠긴 상태로 설치하기 때문에, 점화기가 코일 케이스로부터 떨어져 나갈 염려가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종래의 엔진점화코일장치에서, 점화기는 코일 케이스 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저전압 단자 소켓과는 독립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점화기의 설치에 있어서, 저전압 단자 사이의 결선처리를 별도로 실시해야 하며, 이는 조립 작업의 효율성을 감소시킨다.
네 번째 문제점은, 점화 플러그가 직접 부착된 종래의 엔진점화코일장치는 단일편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점화코일장치의 부착 시이트 (seat) 와 점화 플러그 사이에서 상이한 크기를 갖는 엔진의 종류에 따라 크기가 다른 점화코일장치를 복수개 준비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통형 제 1 케이스와, 이 제 1 케이스의 한쪽의 개방단부에 끼워 넣어져서, 이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장착되는 중앙부에 관상의 소공이 뚫려진 제 2 케이스로 구성되는 코일 케이스와, 1 차 코일 코빈, 2 차 코일 보빈의 한쪽의 칼러의 중앙부에 돌출하는 고전압 단자 홀더를 갖는 2 차 코일 보빈, 봉상 코어, 및 고전압 단자 홀더에 부착되고, 점화 플러그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접촉자를 가지는 고전압 단자로 이루어지는 조립체를 포함하는 엔진점화코일장치로서, 내부 조립체가 삽입되고, 접촉자가 상기 소공의 외부로 돌출한 상태에서 고전압 단자 홀더가 소공의 내부에 압입된 코일 케이스 내에, 코일 케이스의 개방단부를 통해 용융 절연성 수지가 주입되어, 이 수지의 고상화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엔진점화코일장치를 제공하여, 내부 조립체가 추가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코일 케이스 내에 주어진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장치에 직접 부착되는 점화 플러그와의 전기적 접속을 확실하게 보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일 케이스, 및 1 차 코일 보빈과 봉상 코어가 삽입된 중공축을 갖는 2 차 코일 보빈을 포함하는 개방 자기 회로형 엔진점화코일장치로서, 조립체가 삽입되는 케이스부는 고투자율의 금속재료로 원통형으로 성형되며, 이 원통형의 길이 방향으로 갭을 형성하는 슬릿이 형성되고, 케이스부의 내측에 탄성 부재를 설치하여, 이 탄성 부재와 조립체 사이에 수지를 개재시켜, 출력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열응력에 의해 코일 케이스와 조립체 사이에 개재하는 고상화된 수지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엔진점화코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일 케이스의 개방단부에 케이스의 내부와 연통하는 저전압 단자 소켓 홀더가 삽입되고, 이 홀더 내에 점화기가 히트 싱크가 위로 가도록 장착된 후, 홀더는 점화기 및 히트 싱크가 침지될 때까지 용융 수지로 채워지고, 또한 캡 내측에 설치된 리브가 수지에 침지되도록 캡이 씌워져 일체화되는 엔진점화코일장치를 제공하여, 구성상 신뢰성이 확보되고, 조립시의 작업성이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점화 코일의 조립체가 수용되는 원통형 제 1 케이스부와, 이 제 1 케이스의 바닥 개방단부에 장착되는 제 2 케이스부와, 제 1 케이스의 정상 개방단부에 장착되는 저전압 단자 소켓부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는 코일 케이스를 가져, 제 2 케이스 또는 저전압 단자 소켓의 여러 가지 크기의 부품을 교환함으로서, 엔진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점화 코일의 부착크기에 대응할 수 있는 엔진점화코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엔진점화코일장치의 정단면도.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엔진점화코일장치의 코어의 횡측면도.
도 3 은 도 1 에 도시된 엔진점화코일장치의 제 1 케이스의 횡단면도.
도 4 는 도 1 에 도시된 엔진점화코일장치의 저전압 단자 소켓 홀더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5 는 점화기 및 히트 싱크 (heat sink) 로 구성되는 요소가 저전압 단자 소켓 홀더에 장착된 상태의 엔진점화코일장치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코일 케이스 2 : 제 1 케이스
3 : 제 2 케이스 4 : 소공
6 : 1 차 코일 보빈 (bobbin) 8 : 2 차 코일 보빈
9 : 코어 11 : 고전압 단자 홀더
12 : 고전압 단자 13 : 접촉자
15 : 점화 플러그 18 : 저전압 단자 소켓의 홀더
19 : 점화기 20 : 캡
21 : 리브 22 : 공기 배출구
34 : 히트 싱크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엔진점화코일장치는 코일 케이스 (1) 를 가지며, 이 코일 케이스는, 원통형 케이스 (2) 와, 중앙부에 관상의 소공 (4) 을 가지며, 코일 케이스 (1) 의 폐쇄단부를 형성하기 위해 케이스 (2) 의 개방단부에 장착되는 케이스 (3) 를 포함한다.
코일 케이스 (1) 의 내부에는, 봉상 코어 (9) 가 삽입된 중공 축을 갖는 1 차 코일 (5) 이 감겨진 코일 보빈 (bobbin) (6) 과 이 코일 보빈 (6) 과 동축상에 장착된 2 차 코일이 감겨진 코일 보빈 (8) 의 조립체를 수용한다. 코어 (9) 의 각 단부에는, 1 차 전류의 단속시에 자속량의 큰 변화를 얻기 위해 영구자석 (10) 이 장착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코일 보빈 (6) 의 중공 축에서 점적율을 증가시킴으로서 자속의 발생효율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코어 (9) 는 폭이 다른 철판들의 적층으로 구성되어 단면이 원형에 가까운 형상을 가진다.
2 차 코일 보빈 (8) 의 한쪽의 칼라부에는, 그의 중앙부에 돌출된 고전압 단자의 홀더 (11) 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홀더 (11) 에 부착된 고전압 단자 (12) 에는 점화 플러그 (15) 와의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는 접촉자 (13) 가 부착된다.
1 차 코일 보빈 (6), 2 차 코일 보빈 (8), 고전압 단자 (12), 및 접촉자 (13) 로 이루어지는 조립체는, 접촉자 (13) 가 소공 (4) 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고전압 단자 (12) 의 홀더가 코일 케이스 (1) 의 작은 홀 (4) 내에 압입되어, 코일 케이스 (1) 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다.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조립체를 갖는 코일 케이스 (1) 에는 코일 케이스 (1) 의 다른 쪽의 개구부로부터 분사된 용융 절연성 수지가 주입되어, 이 수지가 고상화하여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코어 (9) 의 각 단부에 부착된 영구자석 (10) 은 각각 댐핑 부재 (14) 로 덮혀지며, 이 댐핑 부재는 코어 (9) 내로 용융수지의 유입을 방지하고, 코어 (9) 의 종방향에서 발생하는 비교적 큰 열응력을 흡수할 수 있으며, 따라서 코어 (9) 주위에 형성된 수지층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 차 코일 보빈 (8) 의 칼라부에 형성된 고전압 단자의 홀더 (11) 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 (18) 을 통해 주입된 용융 수지로 1 차 코일 보빈 (6) 과 2 차 코일 보빈 (8)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채워진다. 두 보빈은 그들 사이에 형성된 수지층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케이스 (3) 는 또한 점화 플러그 (15) 의 연결자로서 역할을 하고, 케이스 (3) 의 선단에는 점화 플러그 (15) 를 유지하는 플러그 러버 (16) 가 제공된다. 점화 플러그 (15) 가 플러그 러버 (16) 내로 삽입되는 경우, 점화 플러그 (15) 의 선단은 접촉자 (13) 와 접촉하게 되어, 점화코일장치를 전기적 접속시킨다.
케이스 (2) 는 도전성을 갖는 투자율이 높은 규소강판과 같은 자성재료로 제조되며, 이 규소강판은 전자기 차폐효과를 가지며, 개방 자기 회로형 코어 (9) 에 의해 발생된 자속의 대부분을 케이스 (2) 에 집중시키는 측부 코어로서 역할을 하며, 따라서 발생자속이 주위의 엔진의 원통형 블록부분을 통과하여 자속이 손실되어 2 차 출력전압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케이스 (2) 는 큰 방열 효과를 갖는다.
케이스 (2) 의 길이는 코어 (9) 의 길이의 1 내지 1.3 배 정도가 최적이다. 케이스 (2) 가 상기한 값보다 짧은 경우, 코어 (9) 에 의해 발생 자 속의 퍼짐이 크게 되어서 자기 저항을 크게된다. 케이스 (2) 가 지나치게 긴 경우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케이스 (3) 는 소공 (4) 과 케이스의 측벽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리브 (30) 를 가지며, 이는 소공 (4) 에 끼워 넣어지는 고전압 단자 (12) 와 케이스 (2)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보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2) 는 종방향으로 갭을 형성하는 0.5 내지 1.5 mm 의 슬릿 (33) 을 가지며, 와전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C 형 단면을 갖는다.
케이스 (2) 의 내부는 탄성 부재 (17) (고무, 탄성중합체) 가 설치되어 있다. 이 탄성부재는 케이스 (2) 의 내벽으로부터 수지층을 분리하고, 금속의 열응력을 흡수하며, 따라서 수지층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삽입 부재 (17) 는 누설 전류에 의한 수지층의 열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장치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2) 의 상부 개방 선단에는 저전압 단자 소켓의 홀더 (18) 가 장착된다. 이 홀더 (18) 에는, 점화기 (19) 와, 그의 상부에 히트 싱크 (34) 가 내장된 요소 (35) 가 히트 싱크가 위로 가도록 설치된다. 용융수지에 요소 (35) 가 침적될 때까지 (도 1 에서 레벨 (L) 의 위치까지), 용융수지를 상부로부터 홀더 (18) 내로 주입하며, 그 후 리브 (21) 를 갖는 캡 (20) 을 리브 (21) 가 히트 싱크 (34) 위의 용융수지층 내에 삽입되도록 홀더 (18) 상에 놓는다. 따라서, 캡 (20) 과 홀더 (18) 는 케이스 (2) 의 상단을 형성하며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점화기 위에 히트 싱크 (34) 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 열응력을 완화시키는 열가소성을 가지며 또한 주입된 수지와 친화성을 갖는 균일한 두께 (1 ∼ 5 mm) 의 수지층으로 피복시킴으로서, 히트 싱크 (34) 를 갖는 요소 (35) 는 점화기 (19) 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요소 (35) 의 수지층은 코어 (9) 로부터 열응력을 완화시켜 점화기 (19) 의 손상을 방지한다. 요소 (19) 의 수지층은 벗겨지지 않으며, 열응력 균열에 대항하여 주위 수지층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요소 (35) 내의 히트 싱크 (34) 는 발열하는 코어 (9) 의 반대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점화기 (19) 의 열을 감소시킬 수 있다.
캡 (20) 은 복수의 리브 (21) 를 가진다. 이 리브들은 쿠션의 역할을 수행하여 고상화된 수지에 가해지는 열응력이 리브들에 의해 분산되어 점화기 (19) 위의 수지층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리브 (21) 가 히트 싱크 (34) 의 상부의 수지에 잠기도록 되어 있으므로, 리브 (21) 를 통해 히트 싱크 (34) 의 방열이 효과적으로 실시된다.
캡 (20) 은 공기 배출구 (22) 가 설치되어, 캡 (20) 의 장착시에 내부 압력이 빠져서 캡 (20) 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내부의 열이 유효하게 방출되도록 한다.
도 4 는 캡 (20) 을 제거한 상태의 저전압 단자 소켓의 홀더 (18) 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다. 도 5 는 홀더 (18) 내에 요소 (35) 를 갖는 저전압 단자 소켓 홀더 (18) 를 도시한다.
홀더 (18) 의 내부에는 점화기 (19) 의 접속단자 (T1∼T3) 가 설치되어 있고, 홀더 (18) 내의 소정 위치에 요소 (35) 를 장착시키는 것만으로, 점화기 (19) 의 각 단자에 접속 단자 (T1∼T3) 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점화기 (19) 의 설치에 있어서, 저전압 단자와의 사이에 결선처리를 별도로 할 필요가 없고, 조립시 작업성이 향상된다.
저전압 단자 소켓 (18) 이 케이스 (2) 의 내벽 상에 제공된 탄성부재 (17) 의 외부로 굽혀진 부분 (29) 에 장착되어, 밀봉성을 향상시킨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2) 의 저전압 단자 소켓 (18) 의 하측부분에는, 엔진의 실린더 헤드 부분에 형성된 실린더 보어 (23) 에 코일 케이스 (1) 가 매설될 때 사용되는 밀봉 고무 (24) 가 제공된다.
실린더 보어 (23) 부분에 코일 케이스 (1) 를 매설한 상태에서, 이 점화 코일 장치는 저전압 단자 소켓 (18) 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 (25) 를 통하여 볼트 (26) 에 의해서 실린더 헤드 (23) 측에 부착된다.
실린더 보어 (23) 내에 코일 케이스 (1) 의 매설된 부분이 열에 의해 압력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연통하는 공기 배출구 (27, 28) 가 밀봉 고무 (24) 와 저전압 단자 소켓 (18) 사이에 형성된다. 공기의 흐름은 도 1 에서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플러그 고무 (16) 는 그 주위에 칼라 (36) 를 가진다. 이 칼라 (36) 는 실린더 보어 (23) 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코일 케이스 (1) 를 실린더 보어 (23) 내로 삽입할 때 가이드로서 역할을 하며, 점화 플러그 (15) 와의 접속을 확실히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점화 플러그 (15) 를 통해 코일 케이스 (1) 에 가해지는 엔진 진동은 칼러 (23) 에 의해 흡수된다. 점촉자 (13) 와 점화 플러그 (15) 사이에 전기적인 접속 부분에 가해지는 진동이 억제되어,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엔진점화코일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엔진점화코일장치는, 원통형 제 1 케이스와, 이 제 1 케이스의 한쪽의 개방단부에 끼워 넣어져서, 이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장착되는 중앙부에 관상의 소공이 뚫려진 제 2 케이스로 구성되는 코일 케이스와, 1 차 코일 코빈, 2 차 코일 보빈의 한쪽의 칼러의 중앙부에 돌출하는 고전압 단자 홀더를 갖는 2 차 코일 보빈, 봉상 코어, 및 고전압 단자 홀더에 부착되고, 점화 플러그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접촉자를 가지는 고전압 단자로 이루어지는 조립체를 포함하는 엔진점화코일장치로서, 내부 조립체가 삽입되고, 접촉자가 상기 소공의 외부로 돌출한 상태에서 고전압 단자 홀더가 소공의 내부에 압입된 코일 케이스 내에, 코일 케이스의 개방단부를 통해 용융 절연성 수지가 주입되어, 이 수지의 고상화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내부 조립체가 추가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코일 케이스 내에 주어진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장치에 직접 부착되는 점화 플러그와의 전기적 접속을 확실하게 보장하며, 제조시의 작업성이 향상되어 품질이 우수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화코일장치는, 조립체가 삽입되는 케이스는 고투자율의 금속재료로 원통형으로 성형되며, 이 원통형의 길이 방향으로 갭을 형성하는 슬릿이 형성되어, 코어에서 발생하는 자속의 대부분이 주위로 퍼지지 않고 제 1 케이스를 통할 수 있고, 따라서 출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화코일장치는, 제 1 케이스 내부에 탄성 부재가 설치되고, 이 탄성 부재와 조립체 사이에 절연성 수지가 형성된다. 이 탄성부재는 열응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고상화된 수지층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수지층은 고효율의 절연체로서 역할을 하며, 코일로부터의 누설 방점에 의한 수지의 열화가 없어져서 안전성,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엔진점화코일장치에 의하면, 내부 조립체가 삽입장착되는 코일 케이스의 상부 개방 단부에 내부 조립체와 연통하는 저전압 단자 소켓 홀더가 부착되고, 점화기가 소켓 홀더 내에 설치되므로, 점화기는 추가 결선처리를 하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조립 작업이 개선된다.
점화기가 히트 싱크가 위로 가도록 장착된 소켓 홀더는 점화기와 히트 싱크가 완전히 침지될 때까지 용융수지로 채워지고, 그 후 캡 내측에 설치된 리브가 용융수지에 침지되도록 캡이 씌워져 일체화되어, 점화기의 구성에 신뢰성이 확보되고, 냉각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점화 플러그가 직접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엔진점화코일장치에 있어서, 코일 케이스는, 점화코일의 조립체를 수용하는 제 1 원통형 케이스부와, 이 제 1 케이스의 개방 바닥단부에 장착되고 플러그에 부착되어 제 2 고전압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제 2 케이스부와, 제 1 케이스의 개방 정상단부에 장착된 저전압 단자 소켓부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는 장치에 적절한 제 2 케이스 및 고전압 단자를 교환함으로서, 상이한 크기를 갖는 엔진에 점화 코일 장치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점화코일장치는, 엔진 실린더 헤드부에서, 부착 시이트의 형상 및 치수에 따라 적절한 형상 및 치수를 갖는 저전압 단자 소켓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9)

  1. 원통형 제 1 케이스와, 이 제 1 케이스의 한쪽의 개방단부에 끼워 넣어져서, 이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장착되는 중앙부에 관상의 소공이 뚫려진 제 2 케이스로 구성되는 코일 케이스와,
    1 차 코일 코빈, 2 차 코일 보빈의 한쪽의 칼러의 중앙부에 돌출하는 고전압 단자 홀더를 갖는 2 차 코일 보빈, 봉상 코어, 및 고전압 단자 홀더에 부착되고, 점화 플러그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접촉자를 가지는 고전압 단자로 이루어지는 조립체를 포함하는 엔진점화코일장치에 있어서,
    내부 조립체가 삽입되고, 접촉자가 상기 소공의 외부로 돌출한 상태에서 고전압 단자 홀더가 소공의 내부에 압입된 코일 케이스 내에, 코일 케이스의 개방단부를 통해 용융 절연성 수지가 주입되어, 이 수지의 고상화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점화코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는 전자기 차폐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점화코일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가 점화 플러그 커넥터의 역할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점화코일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는 고투자율의 금속재료로 원통형으로 제조되고, 이 원통형의 길이 방향으로 갭을 형성하는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케이스의 내측은 탄성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점화코일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 내의 조립체와 연통하기 위해, 상기 제 1 케이스의 개방단부에 저전압 단자 소켓 홀더가 삽입되고, 점화기가 상기 소켓 홀더 내에 히트 싱크가 위로 가도록 장착된 후, 상기 홀더는 상기 점화기와 상기 히트 싱크가 완전히 침지될 때까지 용융수지로 채워지고, 침지된 리브를 갖는 캡을 씌워서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점화코일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기와 상기 히트 싱크는 열가소성 절연재료를 균일한 두께로 피복함으로서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점화코일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내측에 복수의 리브가 설치되어, 성형된 수지층에 가해지는 열응력이 상기 복수의 리브에 의해 분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점화코일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캡에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점화코일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코일장치는 제 1 케이스부, 제 2 케이스부, 및 저전압 단자 소켓부를 포함하는 세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점화코일장치.
KR1019960072086A 1995-12-27 1996-12-26 엔진 점화코일 장치 KR1002327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484095A JP3250135B2 (ja) 1995-12-27 1995-12-27 エンジンの点火コイル装置
JP35484195A JP3250136B2 (ja) 1995-12-27 1995-12-27 エンジンの点火コイル装置
JP95-354840 1995-12-27
JP95-354841 1995-12-27
JP35487895A JP3250137B2 (ja) 1995-12-28 1995-12-28 エンジンの点火コイル装置
JP95-354878 1995-1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2748B1 true KR100232748B1 (ko) 1999-12-01

Family

ID=273414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2086A KR970045378A (ko) 1995-12-27 1996-12-26 엔진 점화코일 장치
KR1019960072086A KR100232748B1 (ko) 1995-12-27 1996-12-26 엔진 점화코일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2086A KR970045378A (ko) 1995-12-27 1996-12-26 엔진 점화코일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70012A (ko)
EP (1) EP0782231B1 (ko)
KR (2) KR970045378A (ko)
DE (1) DE69604375T2 (ko)
TW (1) TW3597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51379B1 (fr) * 1996-07-17 1998-10-09 Sagem Bobine d'allumage
EP0827165B1 (en) * 1996-08-31 2001-06-13 Toyo Denso Kabushiki Kaisha Engine igniting coil device
DE69706494T2 (de) * 1996-08-31 2002-04-18 Toyo Denso Kk Zündspulenvorrichtung für Brennkraftmaschine
JPH10199737A (ja) * 1996-11-18 1998-07-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内燃機関の点火コイル装置
US6977574B1 (en) * 1997-02-14 2005-12-20 Denso Corporation Stick-type ignition coil having improved structure against crack or dielectric discharge
EP1255259B1 (en) 1997-02-14 2006-11-29 Denso Corporation Stick-type ignition coil having improved structure against crack or dielectric discharge
JP3449183B2 (ja) * 1997-05-22 2003-09-22 株式会社デンソー 点火コイル
JPH11111543A (ja) * 1997-10-07 1999-04-23 Mitsubishi Electric Corp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装置
DE19927820C1 (de) * 1998-10-27 2000-07-06 Bremi Auto Elektrik Ernst Brem Stabzündspule
DE29821239U1 (de) * 1998-11-27 2000-03-30 Bosch Gmbh Robert Zündungsanlage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JP3550643B2 (ja) * 1998-12-14 2004-08-04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US6094122A (en) * 1999-09-08 2000-07-25 Ford Motor Company Mechanical locking connection for electric terminals
US6114933A (en) * 1999-09-08 2000-09-05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Pencil ignition coil assembly module environmental shield
US6178957B1 (en) 1999-09-08 2001-01-30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Pencil ignition coil assembly module
US6087918A (en) * 1999-10-20 2000-07-11 Delphi Technologies, Inc. Twist lock ignition coil
US20020057170A1 (en) * 1999-11-08 2002-05-16 Albert Anthony Skinner Ignition coil
US6215385B1 (en) 1999-11-12 2001-04-10 Delphi Technologies, Inc. Ignition coil with primary winding outside of secondary winding
JP4318273B2 (ja) * 1999-12-24 2009-08-19 株式会社デンソー 点火コイル
KR20020043803A (ko) * 2000-12-04 2002-06-12 배길훈 자동차용 스틱코일 어셈블리
US20020101315A1 (en) * 2001-01-31 2002-08-01 Colin Hamer Ignition coil with primary winding release
EP1391901B1 (en) * 2001-05-31 2011-05-25 Denso Corpora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gnition coi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6463919B1 (en) 2001-09-24 2002-10-15 Delphi Technologies, Inc. Ignition coil with polyimide case and/or secondary spool
US20040027222A1 (en) * 2002-08-06 2004-02-12 Hazelwood John E. Ignition apparatus having high density cylindrical laminated core
DE10256802B3 (de) * 2002-12-05 2004-04-15 Robert Bosch Gmbh Stabzündspule
FR2855317B1 (fr) * 2003-05-22 2008-09-26 Electricfil Procede de fabrication d'une bobine d'allumage individuel et bobine ainsi obtenue
JP4349198B2 (ja) * 2004-04-30 2009-10-21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ティック形点火コイル
JP4701835B2 (ja) * 2004-07-27 2011-06-15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ティック形点火コイル
DE102005039761B4 (de) * 2005-08-23 2014-04-03 Robert Bosch Gmbh Kernbaugruppe, insbesondere für eine Zündspule einer Brennkraftmaschine
JP4311412B2 (ja) * 2006-04-11 2009-08-12 三菱電機株式会社 点火コイル装置
JP5018319B2 (ja) * 2007-08-01 2012-09-05 株式会社デンソー 点火コイル
JP4892599B2 (ja) * 2009-10-09 2012-03-07 東洋電装株式会社 エンジンのプラグホール防水装置
US20120105189A1 (en) * 2010-11-01 2012-05-03 Tsai Hong-Jen Ignition coil for spark plugs
DE102010062349A1 (de) * 2010-12-02 2012-06-06 Robert Bosch Gmbh Zündspule mit integrierter Elektronik
US8839752B2 (en) 2011-01-14 2014-09-23 John A. Burrows Corona igniter with magnetic screening
JP5618870B2 (ja) * 2011-03-08 2014-11-05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5434966B2 (ja) * 2011-06-06 2014-03-05 株式会社デンソー 点火コイル
US9097232B2 (en) * 2011-10-26 2015-08-04 Delphi Technologies, Inc. Ignition coil assembly
US9461444B2 (en) 2014-07-15 2016-10-04 Cummins Inc. Fan cooled ignition coil method and apparatus
DE102015201167B3 (de) * 2015-01-23 2016-06-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Zündkerze zum Einleiten einer Verbrennung in einem Zylinder eines Verbrennungsmotors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erartigen Zündkerze
US9947451B1 (en) * 2016-10-11 2018-04-17 Diamond Electric Mfg. Corp. Ignition coil
CN112513948B (zh) * 2018-06-07 2023-08-04 耐普罗公司 用于提供片状产品补充需求监视的装置、系统和方法
US11319917B2 (en) * 2019-06-14 2022-05-03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Ignition coil and ignition system for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12350Z2 (it) * 1987-12-14 1989-07-04 Magneti Marelli Spa Bobina di accensione particolarmente per motori da competizione
JPH0423296A (ja) * 1990-05-18 1992-01-27 Fuji Photo Film Co Ltd 集積回路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H0423296U (ko) 1990-06-14 1992-02-26
JPH0587034A (ja) * 1991-09-24 1993-04-06 Nippondenso Co Ltd 内燃機関用点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5378A (ko) 1997-07-26
EP0782231B1 (en) 1999-09-22
EP0782231A1 (en) 1997-07-02
US5870012A (en) 1999-02-09
DE69604375D1 (de) 1999-10-28
DE69604375T2 (de) 2000-01-05
TW359721B (en) 199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2748B1 (ko) 엔진 점화코일 장치
EP0951026B1 (en) Engine igniting coil device
EP1255259A1 (en) Stick-type ignition coil having improved structure against crack or dielectric discharge
EP0827163B1 (en) Engine igniting coil device
US5929736A (en) Engine igniting coil device and method of winding an ignition coil
KR100222461B1 (ko) 엔진 점화코일 장치
KR20030026832A (ko) 비접촉 트랜스포머
JPH0917662A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3250135B2 (ja) エンジンの点火コイル装置
JP3752745B2 (ja) エンジンの点火コイル装置
JP3752743B2 (ja) エンジンの点火コイル装置
JP3250136B2 (ja) エンジンの点火コイル装置
US20060010683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ignition coil filled with resin
JP3752744B2 (ja) エンジンの点火コイル装置
JP3546991B2 (ja) 点火コイルおよび二次スプールの製造方法
JP3752742B2 (ja) エンジンの点火コイル装置
JP3250137B2 (ja) エンジンの点火コイル装置
JPH1074646A (ja) エンジンの点火コイル装置
JPH10106864A (ja) エンジンの点火コイル装置
JPH1077939A (ja) エンジンの点火コイル装置
JPH1074647A (ja) エンジンの点火コイル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