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6832A - 비접촉 트랜스포머 - Google Patents

비접촉 트랜스포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6832A
KR20030026832A KR1020020049447A KR20020049447A KR20030026832A KR 20030026832 A KR20030026832 A KR 20030026832A KR 1020020049447 A KR1020020049447 A KR 1020020049447A KR 20020049447 A KR20020049447 A KR 20020049447A KR 20030026832 A KR20030026832 A KR 20030026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primary
housing
resin
primary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3110B1 (ko
Inventor
이와오세이치
카츠라요시노리
야마시타미키히로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6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6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3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31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2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하우징의 바닥면에 트랜스포머(transformer)를 재치(載置)시킴과 동시에 상기 트랜스포머에 프린트기판을 장착시킨 것으로, 트랜스포머의 공심부(空心部)가 양단에서 덮개를 한 공간형상으로 된 경우에도, 상기 공심부에 잔존공기를 남기지 않고 수지를 충전시켜서 하우징에 변형 등의 부적사항을 생기지 않도록 하는 비접촉 트랜스포머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차측 트랜스포머(3)의 한 쪽 통 단면(3a)을 2차측 하우징(4)이 서로 마주보는 1 차측 하우징(2)의 바닥면(2a)에 재치한다. 1차측 트랜스포머(3)의 다른 쪽의 통 단면(3b)에 단자부(12)를 설치하여 프린트기판(7)을 장착한다. 1 차측 하우징(2) 내에 충전된 수지(6)에 1차측 트랜스포머(3)를 매몰시킨다. 프린트기판(7)과 1차측 트랜스포머(3)의 사이에 1차측 트랜스포머(3)의 공심부(1)와 1차측 트랜스포머(3)의 외부를 서로 통하게 하는 관통로(10)를 형성한다.

Description

비접촉 트랜스포머{Non-contact Transformer}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한 1차측 트랜스포머(transformer)와 2차측 트랜스포머의 사이에 전자유도에 의한 비접촉의 전력전달이 이루어지는 비접촉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접촉 트랜스포머(T)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차측 하우징(2)에 내장된 1차측 트랜스포머(3)와 2차측 하우징(4)에 내장된 2차측 트랜스포머(5)를 서로 마주보게 배치하여 구성한 것으로, 1차측 트랜스포머(3)에 구비된 1차측 코일부(8)와 2차측 트랜스포머(5)에 구비된 2차측 코일부(9) 사이에 생기는 전자유도에 의해 1차측 트랜스포머(3)와 2차측 트랜스포머(5)의 사이에 비접촉 전력전달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비접촉 트랜스포머(T)는 비접촉의 전력전달을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가지고 있는 점에서, 예를 들면, 물 주위에서 사용하는 전동치솔이나 전기 면도기 등의 전기기구(X)와 상기 전기기구(X)에 충전을 하는 충전기기(Y) 사이에 배치하여 사용된다. 요컨대, 전기기기(X)가 물에 젖은 상태에서도, 단자 등의 통전하는 부분을 직접 접촉시키지 않고 전기기기(X)와 충전기기(Y)의 사이에서 통전시켜서 전기기기(X)에 안전한 충전이 도모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충전기기(Y)를 구성하는 1차측 하우징(2)에 내장되는 1차측 트랜스포머(3)에 있어서는, 제조비용상의 이유에서 2차측 트랜스포머(5)와 함께 철심 등의 코어부재는 설치하지 않고 내부에 공심부(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방수상, 방열상의 이유에서, 1차측 하우징(2)의 내부에 충전된 수지(6)에 완전히 파묻히도록 매설시킨다(도 7). 또한, 1차측 하우징(2)의 내부에 수지(6)를 주입할 때에는, 1차측 하우징(2)의 바닥면(2a)을 바닥으로 하여 1차측 하우징(2)의 내부에 수지(6)를 주입·충전시키도록 행해지는 것이다. 여기서, 1차측 트랜스포머(3)는 상기 수지(6)에 완전하게 매몰되기 때문에, 1차측 트랜스포머(3)의 공심부(空心部)(1)에도 수지(6)가 충전되는 것이다.
여기서, 1차측 트랜스포머(3) 및 2차측 트랜스포머(5)에 있어서는, 전자유도의 효율상 이유에서 최대한 근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결국, 1차측 트랜스포머(3) 및 2차측 트랜스포머(5)는 각각 1차측 하우징(2) 및 2차측 하우징(4)의 서로 마주보는 부위(본 실시예에서는 바닥면(2a,4a))에 각각 통(筒) 단면을 접하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1차측 트랜스포머(3)에 있어서는, 1차측 하우징(2)의 바닥면(2a)의 반대측의 통 단면에는 단자부(1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단자부(12)에는 프린트기판(7)이 장착되는 것이다. 그 때문에 1차측 트랜스포머(3)의 공심부(1)에 있어서는, 그 양 통 단면에서 1차측 하우징(2)의 바닥면(2a) 및 프린트기판(7)에 의해 덮개가 씌어진 것같은 공간으로 되며, 상기 공심부(1)에 수지(6)가 충전될 때는, 1차측 하우징(2)의 바닥면(2a) 및 프린트기판(7)과 1차측 트랜스포머(3)의 양 통 단면과의 미소한 틈새로부터 수지(6)가 공심부(1)에 스며들어가도록 충전되므로써,수지(6)의 충전이 행해지기 어려운 공심부(1)에 있어서는 수지(6)가 충전되기 전에 공심부(1)에 본래부터 있던 공기가 잔존공기(15)로서 수지(6) 속에 갇히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이, 수지(6) 속에 잔존공기(15)가 갇혀 남아있게 되면, 1차측 트랜스포머(3)에 반복하여 통전시키므로서 1차측 트랜스포머(3)가 발열 등을 한 경우에, 상기 수지(6) 속의 잔존공기(15)가 팽창하여, 1차측 하우징(2)의 파손·변형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하우징의 바닥면에 트랜스포머를 재치시킴과 동시에 상기 트랜스포머에 프린트기판을 장착시키므로써, 트랜스포머의 공심부가 양단에서 덮개가 씌워진 공간형상으로 된 경우에도, 상기 공심부에 잔존공기를 남기지 않고 수지를 충전시켜서 하우징에 변형 등의 부적합 사항을 생기지 않도록 하는 비접촉 트랜스포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1차측 트랜스포머를 1차측 하우징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1차측 트랜스포머와 프린트기판 사이에 관통로를 형성한 예에 있어서, 1차측 트랜스포머를 1차측 하우징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3의 상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1차측 트랜스포머와 1차측 하우징의 바닥면 사이에 수지통로를 형성한 예에 있어서, 1차측 트랜스포머를 1차측 하우징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기술인 비접촉 트랜스포머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수지에 매몰시켜서 1차측 트랜스포머를 1차측 하우징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공심부(空心部) 2 ... 1차측 하우징
3 ... 1차측 트랜스포머(transformer) 4 ... 2차측 하우징
5 ... 2차측 트랜스포머 6 ... 수지
7 ... 프린트기판 8 ...1차측 코일부
9 ... 2차측 코일부 10 ... 관통로
11 ... 수지통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비접촉 트랜스포머는, 1차측 하우징(2)에 내장된 통형상의 1차측 트랜스포머(3)와 2차측 하우징(4)에 내장된 통형상의 2차측 트랜스포머(5)를 서로 마주보게 배치하고, 1차측 트랜스포머(3)에 구비된 1차측 코일부(8)와 2차측 트랜스포머(5)에 구비된 2차측 코일부(9)의 사이에서 생기는 전자유도에 의해 1차측 트랜스포머(3)와 2차측 트랜스포머(5)의 사이에 비접촉의 전력전달이 이루어지는 비접촉 트랜스포머로서, 1차측 트랜스포머(3)의 한 쪽의 통 단면(3a)을 2차측 하우징(4)과의 서로 마주보는 부위인 1차측 하우징(2)의 바닥면(2a)에 재치함과 동시에 1차측 트랜스포머(3)의 다른쪽 통 단면(3b)에 단자부(12)를 설치하여 프린트기판(7)을 장착하고, 1차측 하우징(2) 내에 충전시킨 수지(6)에 매몰시킨 1차측 트랜스포머(3)에 있어서 , 프린트기판(7)과 1차측 트랜스포머(3) 사이에 1차측 트랜스포머(3)의 공심부(1)와 1차측 트랜스포머(3)의 외부를 서로 통하게 하는 관통로(1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이에 의하여, 1차측 하우징(2)의 바닥면(2a) 및 프린트기판(7)에 의해 대략 덮개를 씌운 공간으로 형성된 1차측 트랜스포머(3)의 공심부(1)에 있어서도, 프린트기판(7)과 1차측 트랜스포머(3) 사이에 1차측 트랜스포머(3)의 공심부(1)와 1차측 트랜스포머(3)의 외부를 서로 통하게 하는 관통로(10)를 형성하였으므로, 1차측 트랜스포머(3)를 1차측 하우징(2) 내에 충전시킨 수지(6)에 매몰시킬 때에는, 상기 관통로(10)가 수지(6)를 공심부(1)에 도입시킴과 동시에 본래부터 공심부(1)에 있던 공기를 공심부(1) 바깥으로 도출(導出) 시켜, 1차측 트랜스포머(3)의 공심부(1)에 잔존공기(15)(도 7 참조)를 남기지 않고 수지(6)를 충전시킬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2에 관한 비접촉 트랜스포머는, 청구항 1에 있어서, 1차측 하우징(2) 내에 충전된 수지(6)의 주입포인트(G)와 반대쪽에 관통로(10)의 1차측 트랜스포머(3)의 외부에 임하는 바깥개구(1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1차측 하우징(2) 내에 주입된 수지(6)는 1차측 트랜스포머(3)의 외주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체류한 후에 관통로(10)로부터 공심부(1)에 도입되어 충전되는 것이며, 결국, 수지(6)는 1차측 트랜스포머(3)의 외주 테두리와 1차측 하우징(2)의 사이에서 정류된 후에 대략 일정한 유량으로 부드럽게 관통로(10)를 통하여 공심부(1)에 이르는 것으로, 관통로(10)에 있어서 공심부(1) 공기의 공심부(1) 바깥으로의 도출통로를 막도록 단숨에 수지(6)가 관통로(10)를 흐르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따라서, 수지(6)에 의한 안정적인 공심부(1)의 충전을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공심부(1)에 있던 공기를 잔존공기(15)로서 수지(6) 속에 가두게 되는 우려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발명의 청구항 3에 관한 비접촉 트랜스포머는, 청구항 1에 있어서, 1차측 하우징(2)의 바닥면(2a)과 1차측 트랜스포머(3) 사이에 1차측 트랜스포머(3)의 공심부(1)와 1차측 트랜스포머(3)의 외부를 서로 통하게 하는 수지통로(1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수지통로(11)가 1차측 하우징(2) 내에 주입된 수지(6)를 공심부(1)에 도입하고, 동시에 관통로(10)가 공심부(1)의 공기를 공심부(1) 바깥으로 착실(着實)하게 배출하는 것이며, 이와 같이 통로마다 별개의 단(單)기능을 가지게 하므로써 공기를 공심부(1) 바깥으로 배출시키면서 공심부(1)로의 수지(6)의 도입·충전을 부드럽게 행할 수 있으므로, 공심부(1)에 있던 공기를 잔존공기(15)로서 수지(6) 속에 가두게 되는 우려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도 1 및 도 2에는 비접촉 트랜스포머(T)(도 5 참조)를 구성하는 1차측 트랜스포머(3)를 1차측 하우징(2)에 배치한 상태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종래기술의 항에서도 설명하였으나, 비접촉 트랜스포머(T)는, 1차측 하우징(2)에 내장된 1차측 트랜스포머(3)와 2차측 하우징(4)에 내장된 2차측 트랜스포머(5)를 서로 마주보게 배치하여 구성된 것으로, 1차측 트랜스포머(3)에 구비된 1차측 코일부(8)와 2차측 트랜스포머(5)에 구비된 2차측 코일부(9) 사이에서 생기는 전자유도에 의해 1차측 트랜스포머(3)와 2차측 트랜스포머(5) 사이에서 비접촉의 전력전달을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비접촉 트랜스포머(T)는, 상기 비접촉의 전력전달을 이용하여, 물 주변에서 사용하는 전동치솔이나 전기 면도기 등의 전기기구(X)와 상기 전기기구(X)에 충전을 하는 충전기기(Y) 사이에 배치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비접촉 트랜스포머(T)는 물 주변에서 사용하는 전기기구(X)와 상기 전기기구(X)에 충전을 하는 충전기기(Y) 사이에 배치하여 사용한 것을 상정하는 것으로, 그리하여 1차측 하우징(2)은 충전기기 하우징을 말하는 동시에, 1차측 트랜스포머(3)는 충전기기측 트랜스포머를 말하며, 또한 2차측 하우징(4)은 전기기구 하우징을 말함과 동시에, 2차측 트랜스포머(5)는 전기기구측 트랜스포머를 말하는 것으로 상정하고 있다.
상기 비접촉 트랜스포머(T)를 구성하는 1차측 트랜스포머(3) 및 2차측 트랜스포머(5)는, 각각 내부에 중공부분인 공심부(1)를 가진 통형상 본체로서 주체(主體)가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통형상 본체의 일부에 통전선을 원주방향으로 감은 코일부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1차측 트랜스포머(3) 및 2차측 트랜스포머(5)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것으로, 이것은 각각의 통형상 본체의 통 단면 끼리를 서로 마주보게 함과 동시에 각각의 공심부(1)를 그 축심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코일부는 통형상 본체 중 서로 마주보는 통 단면의 부근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술하면, 통형상 본체에는 통 원주면으로부터 내경방향으로 함몰시킨 함몰부(13)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함몰부(13)에 통전선이 감겨 코일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1차측 트랜스포머(3)의 코일부는 1차측 코일부(8)라 칭하고, 2차측 트랜스포머(5)의 코일부는 2차측 코일부(9)라 칭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전시킨 1차측 코일부(8)는 전자유도 현상을 통하여 2차측 코일부(9)에 전기를 일으키는 것이며, 요컨대, 1차측 코일부(8)와 2차측 코일부(9)의 사이에서는 비접촉의 전력전달이 행해지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1차측 코일부(8) 및 2차측 코일부(9)는 1차측 트랜스포머(3) 및 2차측 트랜스포머(5) 중 서로 마주보는 부위의 부근에 설치되어 있고, 요컨대, 1차측 코일부(8) 및 2차측 코일부(9)를 근접 배치하므로써, 비접촉 트랜스포머(T)의 전기전달의 효율저하를 최대한 방지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1차측 트랜스포머(3)는 1차측 하우징(2)에 내장되고, 또한 2차측 트랜스포머(5)는 2차측 하우징(4)에 내장된 것이나, 1차측 코일부(8) 및 2차측 코일부(9)를 최대한 근접 배치시키기 위하여, 서로 마주보는 1차측 하우징(2) 및 2차측 하우징(4)의 각각의 바닥면(2a,4a)에 1차측 트랜스포머(3) 및 2차측 트랜스포머(5)의 서로 마주보는 통 단면을 각각 접지시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1차측 트랜스포머(3)가 1차측 하우징(2)의 바닥면(2a)에 접하는 통 단면을 한 쪽의 통 단면(3a)이라 부르면, 1차측 트랜스포머(3)의 통 단면 중 1차측 하우징(2)의 바닥면(2a)에 접하지 않는 쪽의 통 단면, 요컨대 다른 쪽의 통단면(3b)에는 상기 다른 쪽의 통 단면(3b)으로부터 윗 쪽으로 돌출한 4개의 리드단자(12a)에 의해 형성되는 단자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자부(12)는 1차측 트랜스포머(3)의 다른 쪽 통 단면(3b)에 재치되는 프린트기판(7)과 전기적인 접속을 이루는 것이다. 즉, 1차측 트랜스포머(3)는, 양 통 단면(3a,3b)에서 1차측 하우징(2)의 바닥면(2a) 및 프린트기판(7)에 의해 끼워져 있으며, 양 통 단면(3a,3b)을 서로 통하도록 형성된 공심부(1)는, 1차측 하우징(2)의 바닥면(2a) 및 프린트기판(7)에 의해 대략 덮개를 씌운 것 같은 공간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1차측 트랜스포머(3)의 다른쪽의 통단면(3b)에, 공심부(1)의 상단부와 1차측 트랜스포머(3)의 외부를 직선적으로 서로 통하게 하는 오목홈(10a)이 형성되어 있다. 1차측 트랜스포머(3)를 구성하는 통형상 본체에 있어서 다른쪽의 통단면(3b)으로부터 함몰부(13)까지의 거리를 A로 하면, 상기 오목홈(10a)의 홈깊이 B는, B〈 A 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 오목홈(10a)은, 다른쪽의 통 단면(3b)에 프린트기판(7)을 재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프린트기판(7)에 의해 오목홈(10a)의 윗쪽 개구가 막히는 것이며, 공심부(1)의 상단부와 1차측 트랜스포머(3)의 외부를 직선적으로 서로 연결시키는 구멍형상의 관통로(10)를 형성시키고 있다.
상기 1차측 트랜스포머(3)는, 종래기술과 같이, 1차측 하우징(2)의 내부에 주입한 수지(6)에 완전하게 매몰시킨 것이다. 또한, 1차측 하우징(2)의 내부에 수지(6)를 주입할 때에는, 1차측 하우징(2)의 바닥면(2a)을 아래 쪽에 위치시켜 용기의 바닥으로 하고, 1차측 트랜스포머(3)의 통 바깥부분과 1차측 하우징(2)과의 사이에 수지(6)를 주입시키도록 하여 행해진다(화살표 E). 그리고, 1차측 하우징(2)에 충전된 수지(6)에 1차측 트랜스포머(3)를 완전하게 매몰시키기 위해서는, 공심부(1)에도 상기 수지(6)가 충전되게 되는데, 이것은 1차측 트랜스포머(3)의 통 바깥부분과 1차측 하우징(2)과의 사이에 서서히 모인 수지(6)가 상기 관통로(10)를 통하여 공심부(1)의 내부로 서서히 유입되므로써 행해진다(화살표 F). 이와 같이, 1차측 하우징(2)의 바닥면(2a) 및 프린트기판(7)에 의해 대략 덮개를 씌운 것 같은 공간으로 형성된 1차측 트랜스포머(3)의 공심부(1)에도, 프린트기판(7)과 1차측 트랜스포머(3)의 사이에 1차측 트랜스포머(3)의 공심부(1)와 1차측 트랜스포머(3)의 바깥쪽을 서로 통하게 하는 관통로(10)를 형성하기 때문에, 1차측 트랜스포머(3)를 1차측 하우징(2) 내에 충전시킨 수지(6)에 매몰시킬 때에는, 상기 관통로(10)가 수지(6)를 공심부(1)에 도입시킴과 동시에 본래부터 공심부(1)에 있던 공기를 공심부(1) 바깥으로 도출(導出)시킴으로써, 1차측 트랜스포머(3)의 공심부(1)에 잔존공기(15)(도 7 참조)를 남기지 않고 수지(6)를 충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1차측 트랜스포머(3)에 통전시켜서 1차측 트랜스포머(3)가 발열한 때에도, 수지(6) 속에 갇힌 잔존공기(15)의 팽창이 원인인 1차측 하우징(2)의 파손이나 변형 등의 발생을 없앨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열거한다. 이들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1차측 트랜스포머(3)의 형상을 변경한 것이므로, 중복되는 부분은 설명을 생략하고, 변경점 만을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1차측 하우징(2) 내에충전시킨 수지(6)의 주입포인트(G)와 반대쪽에 관통로(10)의 1차측 트랜스포머(3)의 외부에 임하는 외개구(14)를 형성한 예이다.
앞의 실시예에서 설명하였으나, 관통로(10)는 공심부(1)의 공기를 공심부(1) 바깥으로 도출(導出)시킴과 동시에, 1차측 하우징(2) 내에 충전시킨 수지(6)를 공심부(1)에 도입하는 통로이다. 요컨대, 관통로(10)는, 그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는, 관통로(10) 내에서 수지(6)와 공기의 2개의 통로를 확보하지 않으면 안된다, 여기서, 1차측 하우징(2)에 주입되는 수지(6)는 1차측 하우징(2)의 바닥면(2a)으로부터 서서히 고이는 것이며, 상기 수지(6)의 주입포인트(G)의 부근에서는, 고인 수지(6)에 대해서 수지(6)가 주입되므로 수지(6)의 주입 충격에 의한 고인 수지(6)로의 영향, 예를 들면 기복이 발생하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상기 기복이 일어난 수지(6)는, 때때로 관통로(10)의 1차측 트랜스포머(3)의 바깥쪽에 임하는 외개구(14)를 완전하게 덮어 버리는 경우가 있고, 이와 같이 관통로(10)의 1차측 트랜스포머(3)의 바깥쪽에 임하는 외개구(14)를 수지(6)로 덮어버리면 관통로(10)의 공기의 통로를 차단해 버려, 잔존공기(15)를 남기지 않는 수지(6)의 공심부(1)로의 도입을 방해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1차측 하우징(2) 내에 충전시키는 수지(6)의 주입포인트(G)와 반대쪽에 관통로(10)의 1차측 트랜스포머(3)의 외부에 임하는 외개구(14)를 형성하였으므로, 1차측 하우징(2) 내에 주입한 수지(6)는, 1차측 트랜스포머(3)의 외주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체류하여 정류된 후에 관통로(10)에 이르며(화살표 I), 관통로(10)의 공기의 통로를 차단하는 일 없이 대략 일정한 유량으로 부드럽게 공심부(1)에 이르게 된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와 같이, 1차측 하우징(2) 내에 충전시키는 수지(6)의 주입포인트(G)와 반대쪽에 관통로(10)의 1차측 트랜스포머(3)의 외부에 임하는 외개구(14)를 형성하면, 공심부(1)에 수지(6)를 충전할 때에 상기 수지(6)에 공심부(1)에 있던 공기를 잔존공기(15)로서 수지(6) 속에 가두게 되는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관통로(10) 외에, 1차측 하우징(2)의 바닥면(2a)과 1차측 트랜스포머(3)의 사이에 1차측 트랜스포머(3)의 공심부(1)와 1차측 트랜스포머(3)의 외부를 서로 통하게 하는 수지통로(11)를 형성한 예이다. 본 실시예는, 1차측 트랜스포머(3)의 한 쪽의 통 단면(3a)에 공심부(1)의 상단부와 1차측 트랜스포머(3)의 외부를 직선적으로 서로 통하게 하는 오목홈(11a)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홈(11a)으로 상기 수지통로(11)를 형성한 것이다. 요컨대, 상기 오목홈(11a)은, 1차측 트랜스포머(3)의 한 쪽의 통 단면(3a)을 1차측 하우징(2)의 바닥면(2a)에 재치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1차측 하우징(2)의 바닥면(2a)에 의해 오목홈(11a)의 아래쪽 개구가 막히는 것으로, 공심부(1)의 하단부와 1차측 트랜스포머(3)의 외부를 직선적으로 서로 통하게 하는 구멍형상의 수지통로(11)를 형성시킨 것이다. 또한, 1차측 트랜스포머(3)를 구성하는 통형상 본체에 있어서 한쪽의 통 단면(3a)으로부터 함몰부(13)까지의 거리를 C라고 한다면, 상기 오목홈(11a)의 홈깊이 D는, D〈 C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1차측 하우징(2)의 바닥면(2a)과 1차측 트랜스포머(3)의 사이에 수지통로(11)를 형성하면, 공심부(1)에 잔존공기(15)를 남기지않고 수지(6)를 충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1차측 하우징(2) 내에 주입된 수지(6)는 1차측 하우징(2)의 바닥면(2a)으로부터 서서히 고여·충전되어 가는 것이나, 상기 1차측 하우징(2)의 바닥면(2a) 부근에 수지통로(1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지(6)는 수지통로(11)를 통하여 1차측 하우징(2) 내에 고이는 것과 대략 동일한 타이밍으로 공심부(1)에 고여·충전되어 가는 것이다. 이때, 공심부(1)에 본래부터 있던 공기는 수지(6)에 의해 윗방향으로 밀려지게 되나, 밀려진 공기는 다른 방향의 통 단면(3b)과 프린트기판(7)과의 사이에 형성된 관통로(10)를 통하여 공심부(1) 바깥으로 착실하게 배출된다(화살표 H).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로(10) 공심부(1) 공기를 공심부(1) 바깥으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수지통로(11)로 수지(6)의 공심부(1)로의 도입·충전을 시키고 있으며, 요컨대, 통로마다 단기능(單機能)을 가지게 하므로써 공심부(1)로의 수지(6)의 부드러운 도입을 행할 수 있으며, 공심부(1)에 있던 공기를 잔존공기로서 수지(6) 속에 가두게 되는 우려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비접촉 트랜스포머에 있어서는, 1차측 트랜스포머의 한쪽 통 단면을 2차측 하우징과의 서로 마주보는 부위인 1차측 하우징의 바닥면에 재치함과 동시에 1차측 트랜스포머의 다른 쪽 통 단면에 단자부를 설치하여 프린트기판을 장착하고, 1차측 하우징 내에 충전시킨 수지에 매몰시킨 1차측 트랜스포머에 있어서, 프린트기판과 1차측 트랜스포머 사이에 1차측 트랜스포머의 공심부와 1차측 트랜스포머의 외부를 서로 통하게 하는 관통로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1차측 하우징의 바닥면 및 프린트기판에 의해 대략 덮개를 씌운 것 같은 공간으로 형성된 1차측 트랜스포머의 공심부에 있어서도, 1차측 트랜스포머를 1차측 하우징 내에 충전시킨 수지에 매몰시킬 때에는, 상기 관통로가 수지를 공심부에 도입시킴과 동시에 본래부터 공심부에 있던 공기를 공심부 바깥으로 도출시켜, 1차측 트랜스포머의 공심부에 잔존공기를 남기지 않고 수지를 충전시킬 수 있으므로, 수지 내에 갇힌 잔존공기가 통전시킨 1차측 트랜스포머의 발열에 의해 팽창하여 1차측 하우징을 변형시킨다고 하는 문제를 없앨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2에 관한 비접촉 트랜스포머에 있어서는, 청구항 1의 효과에 더하여, 1차측 하우징 내에 충전시키는 수지의 주입 포인트와 반대쪽에 관통로의 1차측 트랜스포머의 외부에 임하는 개구를 형성하였으므로, 1차측 하우징 내에 주입한 수지는 1차측 트랜스포머의 외주 테두리를 감싸도록 체류한 후에 관통로로부터 공심부에 도입되어 충전되는 것으로, 요컨대, 수지는 일단 1차측 트랜스포머의 외주 테두리와 1차측 하우징 사이에서 정류된 후에 대략 일정한 유량으로 부드럽게 관통로를 통하여 공심부에 이르는 것이며, 관통로에 있어서 공심부 공기의 공심부 바깥으로의 도출통로를 막도록 단번에 수지가 관통로를 흐르는 것을 피할 수 있으므로, 수지에 의한 안정적인 공심부의 충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공심부에 있던 공기를 잔존공기로서 수지 속에 가두게 되는 것과 같은 우려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관한 비접촉 트랜스포머에 있어서는, 청구항 1의 효과에 더하여, 1차측 하우징의 바닥면과 1차측 트랜스포머의 사이에 1차측 트랜스포머의공심부와 1차측 트랜스포머의 외부를 서로 통하게 하는 수지통로를 형성하였으므로, 수지통로가 1차측 하우징 내에 주입된 수지를 공심부에 도입하고, 동시에, 관통로가 공심부의 공기를 공심부 바깥으로 착실하게 배출시키는 것이며, 이와 같이, 통로마다 각각의 단기능을 가지게 하므로써, 공기를 공심부 바깥으로 배출시키면서 공심부로의 수지의 도입·충전을 부드럽게 행할 수 있으므로, 공심부에 있던 공기를 잔존공기로서 수지속에 가두게 되는 우려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차측 하우징에 내장된 통형상의 1차측 트랜스포머와 2차측 하우징에 내장된 통형상의 2차측 트랜스포머를 서로 마주보게 배치하고, 1차측 트랜스포머에 구비된 1차측 코일부와 2차측 트랜스포머에 구비된 2차측 코일부 사이에서 생기는 전자유도에 의해 1차측 트랜스포머와 2차측 트랜스포머의 사이에서 비접촉인 전력전달이 행해지는 비접촉 트랜스포머로서, 1차측 트랜스포머의 한 쪽의 통 단면을 2차측 하우징의 서로 마주보는 부위인 1차측 하우징의 바닥면에 재치함과 동시에 1차측 트랜스포머의 다른 쪽의 통 단면에 단자부를 설치하여 프린트기판을 장착하고, 1차측 하우징 내에 충전시킨 수지에 매몰시킨 1차측 트랜스포머에 있어서, 프린트기판과 1차측 트랜스포머 사이에 1차측 트랜스포머의 공심부와 1차측 트랜스포머의 외부를 서로 통하게 하는 관통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트랜스포머.
제 1항에 있어서,
1차측 하우징 내에 충전시키는 수지의 주입포인트와 반대쪽에 관통로의 1차측 트랜스포머의 외부에 임하는 외개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트랜스포머.
제 1항에 있어서,
1차측 하우징의 바닥면과 1차측 트랜스포머의 사이에 1차측 트랜스포머의 공심부와 1차측 트랜스포머의 외부를 서로 통하게 하는 수지통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트랜스포머.
KR10-2002-0049447A 2001-09-26 2002-08-21 비접촉 트랜스포머 KR1004531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93596A JP3656585B2 (ja) 2001-09-26 2001-09-26 非接触トランス
JPJP-P-2001-00293596 2001-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832A true KR20030026832A (ko) 2003-04-03
KR100453110B1 KR100453110B1 (ko) 2004-10-15

Family

ID=19115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447A KR100453110B1 (ko) 2001-09-26 2002-08-21 비접촉 트랜스포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794975B2 (ko)
EP (1) EP1298683B1 (ko)
JP (1) JP3656585B2 (ko)
KR (1) KR100453110B1 (ko)
CN (1) CN1221991C (ko)
DE (1) DE60227628D1 (ko)
TW (1) TW56924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4746B2 (en) 2010-05-31 2013-12-10 Samsung Sdi Co., Ltd. Contactless power charging system an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93868A1 (en) * 2006-02-02 2007-08-23 Delphi Technologies, Inc. Multiplex signal system for vehicle steering column assembly
JP4420073B2 (ja) * 2007-07-11 2010-02-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コイル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US8963829B2 (en) * 2009-10-07 2015-02-24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and tracking extremities of a target
US9653206B2 (en) 2012-03-20 2017-05-16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charging pad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9431834B2 (en) 2012-03-20 2016-08-30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9160205B2 (en) * 2012-03-20 2015-10-13 Qualcomm Incorporated Magnetically permeable structures
US9583259B2 (en) 2012-03-20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fe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TWI629697B (zh) * 2016-04-19 2018-07-11 帛漢股份有限公司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filtering function
JP6880456B2 (ja) * 2017-10-27 2021-06-0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リアクトル
CN116916633B (zh) * 2023-09-11 2023-12-29 深圳市德兰明海新能源股份有限公司 谐振变换器和储能电源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76817B (de) * 1957-03-02 1960-03-03 Siemens Ag Verfahren zum Umgiessen von auf Flanschspulenkoerpern sitzenden Spulen elektrischer Geraete
US3418552A (en) * 1965-06-08 1968-12-24 Gen Electric Separable transformer battery charger
US4112481A (en) * 1977-05-05 1978-09-05 Wescom, Inc. Miniature multi-impedance transformer module
DE3503347A1 (de) * 1985-02-01 1986-08-14 Dr.Ing.H.C. F. Porsche Ag, 7000 Stuttgart Vorrichtung zur drahtlosen messsignaluebertragung
JP2914719B2 (ja) * 1990-05-18 1999-07-05 トキコ株式会社 工業用ロボット
JPH08175233A (ja) * 1994-12-26 1996-07-0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H11341712A (ja) * 1998-05-22 1999-12-10 Toko Inc 電源装置
JP2000058340A (ja) * 1998-08-05 2000-02-25 Ngk Spark Plug Co Ltd ポットコア型高圧トランス
US6388548B1 (en) * 1999-04-28 2002-05-14 Tokin Corp. Non-contact transformer and vehicular signal relay apparatus using it
JP2002043151A (ja) * 2000-07-25 2002-02-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非接触充電用トランス及び充電式電動機器セットの製造方法
JP3654223B2 (ja) * 2001-09-14 2005-06-02 松下電工株式会社 非接触トラン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4746B2 (en) 2010-05-31 2013-12-10 Samsung Sdi Co., Ltd. Contactless power charging system an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3110B1 (ko) 2004-10-15
US20030058075A1 (en) 2003-03-27
EP1298683A2 (en) 2003-04-02
DE60227628D1 (de) 2008-08-28
CN1221991C (zh) 2005-10-05
JP3656585B2 (ja) 2005-06-08
TW569248B (en) 2004-01-01
JP2003100532A (ja) 2003-04-04
US6794975B2 (en) 2004-09-21
CN1411009A (zh) 2003-04-16
EP1298683A3 (en) 2004-04-07
EP1298683B1 (en) 200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2748B1 (ko) 엔진 점화코일 장치
US5349320A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P0827165B1 (en) Engine igniting coil device
KR100453110B1 (ko) 비접촉 트랜스포머
JP2007299919A (ja) 二面開口型点火コイル装置
US5929736A (en) Engine igniting coil device and method of winding an ignition coil
US6522232B2 (en) Ignition apparatus having reduced electric field HV terminal arrangement
US6724289B2 (en) Ignition apparatus having feature for shielding the HV terminal
EP0843394B1 (en) Igni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9627124B2 (en) Ignition coil with molding mark
KR100453109B1 (ko) 비접촉 트랜스포머
US7626481B2 (en) Ignition coil
JPH0917662A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US6191674B1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8306558A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EP0785605A1 (en) Engine igniting coil device
US20070039599A1 (en) Low profile ignition apparatus
JP3828596B2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4042041B2 (ja) 点火コイル
JPS6121581Y2 (ko)
JP2008277535A (ja) 点火コイル
JP3752745B2 (ja) エンジンの点火コイル装置
JP2003017342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3425557B2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H09144639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