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2368B1 - 텔레비젼 수상기 - Google Patents

텔레비젼 수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2368B1
KR100232368B1 KR1019960035025A KR19960035025A KR100232368B1 KR 100232368 B1 KR100232368 B1 KR 100232368B1 KR 1019960035025 A KR1019960035025 A KR 1019960035025A KR 19960035025 A KR19960035025 A KR 19960035025A KR 100232368 B1 KR100232368 B1 KR 100232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ssage
television receiver
screen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5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4257A (ko
Inventor
야스히로 가사하라
다다시 스베
다다히로 야마구찌
유끼꼬 이와마
마사히데 아오끼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도무
Publication of KR970014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4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2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23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61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reading from or writing on a magnetic storage medium, e.g. hard disk dri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H04N7/106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for domestic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텔레비젼 수상기에 대해 여러가지를 개선하여 소위 홈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향상시켜 텔레비젼 수상기를 가정용 정보 단말기로서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텔레비젼 수상기는, 텔레비젼 신호를 수신하여 화면에 텔레비젼 영상을 표시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메모리 수단; 외부로부터 음성 정보를 입력시키는 마이크로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 정보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 수단; 및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억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 정보를 재생하여 이 재생된 음성 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 정보와 관련된 상기 부가 정보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모리 수단은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음성 정보를 메세지로서 기억한다. 기억된 메세지는 외부로부터 주어진 지시에 따라 재생되고 이 재생은 다른 사람에게 메세지를 쉽게 전달하기 위해 스피커로 출력된다.

Description

텔레비젼 수상기
본 발명은 가정용 정보 단말기로 이용가능한 텔레비젼 수상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텔레비젼 수상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텔레비젼 수상기는 텔레비젼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기본적인 기능 외에도 가정 정보 단말기로서 이용될 수 있는 홈 커뮤니케이션 기능(home communication capabilities)도 갖출 필요가 있게 되었다. 이러한 부가기능들 중 하나는 필요에 따라 재생될 음성 메세지를 기록 또는 기억시키는 음성 기록/재생 시스템 형태로 일부 텔레비젼 수상기에 실용화되어 있다. 음성 정보를 녹음, 기억 및 재생시키는 기술은 자동 응답기능을 가진 형태의 전화기에 사용되는 기술에 의해 뒷받침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타인과의 홈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술한 바와 같은 메세지 전송 기능만을 제공하므로 홈 커뮤니케이션 장치로서의 텔레비젼 수상기의 완전한 이용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통신 기기로서의 텔레비젼 수상기의 이용 가치를 높인 텔레비젼 수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의 제1양상에 따라서, 메모리 장치와 외부로부터 음성 정보를 입력시키는 마이크로폰을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최소한 하나의 음성 정보와 이 음성 정보에 관련된 부가 정보는 상기 메모리 장치에 기록되고, 이것은 사용자 지시에 따라서 적당히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의 제2양상에 따라서, 메모리 장치, 외부로부터 입력시키는 마이크로폰, 외부로부터 영상 정보를 입력시키는 비디오 카메라,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음성 정보와 상기 음성 정보가 입력될 때에 상기 비디오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상기 영상 정보를 상호 관련되게 상기 메모리 장치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 장치, 및 상기 메모리 장치에 기억된 음성 정보를 외부로부터 주어진 지시에 따라서 재생시켜 스피커를 통해 이 재생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또 상기 메모리 장치에 기억된 상기 음성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를 재생시켜 화면상에 이 재생된 영상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텔레비젼 수상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의 제3양상에 따라서, 원격 제어기상에 마이크로폰을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음성 정보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구비된 메모리 장치에 기억되고 이것은 사용자 지시에 따라서 적당히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의 제4양상에 따라서, 상호 통신 시스템(intercommunicating system)상에 설치된 호출 스위치에서 실행된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상호 통신 시스템상에 설치된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오는 비디오 영상이 텔레비젼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상의 일영역에 표시되고, 상기 상호 통신 시스템상에 설치된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오는 음성 신호는 스피커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의 제5양상에 따라서, 상호 통신 인터콤 시스템상에 설치된 호출 스위치에서 실행된 동작에 따라서, 상기 상호 통신 시스템상에 설치된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오는 영상 정보와 상기 상호 통신 시스템상에 설치된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오는 음성 정보는 상호 연관된 방식으로 메모리 장치에 기억되고 이것은 사용자 지시에 따라서 적당히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의 제6양상에 따라서, 텔레비젼 수상기가 전화선에 접속되고, 전화기로부터 상기 전화선을 통해 전송된 정보는 메모리 장치에 기억되고, 이 기억된 정보는 사용자 지시에 따라서 화면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가 제공된다. 상기 전화기로부터 오는 정보는 전화기에 입력된 어떤 값을 나타내는 코드이다. 코드용으로 미리 정해진 문장이 영상 정보로서 화면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상술한 신규한 구성들에 의해서 사용자는 텔레비젼 수상기, 원격 제어기상에 구비된 마이크로폰, 상호 통신 시스템상에 구비된 마이크로폰, TV 카메라, 음성 다이얼식(tone-dialing) 전화기, 및 TV 전화 등과 같은 여러가지 정보원으로부터 오는 정보를 메세지로서 기억시키고 필요에 따라 이 기억된 정보를 재생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서 사용자는 텔레비젼 수상기를 통해서 타인에게 메세지를 전송할 때 여러가지 정보원을 이용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특성 및 잇점들은 첨부 도면으로부터 더욱 명료하게 드러날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낸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실시된 텔레비젼 수상기를 도시한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실시된 텔레비젼 수상기를 도시한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와 제2도의 실시예들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실시된 메세지 모드용 원격 제어기를 나타낸 평면도.
제5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메세지 모드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제6도는 제5도의 흐름도로 표시된 상태에서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제7도는 제2도의 실시예의 메세지 모드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제8도는 제7도의 흐름도로 표시된 상태에서의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
제9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실시예들에서의 메세지 재생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제10도는 제9도의 흐름도로 표시된 상태에서의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
제11도는 제3도의 스피커들의 출력 음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실시된 인터콤용 원격 제어기를 나타낸 평면도.
제13도는 인터콤 모드에서의 기록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제14도는 제12도의 원격 제어기상의 표시 버튼이 제13도의 동작에서 동작된 경우에 표시된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제15도는 제12도의 원격 제어기상의 응답 버튼이 제13도의 동작에서 동작된 경우에 표시된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제16도는 인터콤 모드의 재생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제17도는 제12도의 원격 제어기상의 표시 버튼이 제16도의 동작에서 동작된 경우에 표시된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제18도는 제17도의 표시예에서 표시가 다른 메세지 영상으로 변경된 경우에 표시된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제19도는 제16도의 재생 동작에서의 표시 화면의 변경을 나타낸 도면.
제20도는 코드 메세지 모드에서의 메세지 발신측의 조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실시된 코드 메세지 모드와 TV 전화 모드에서 겸용하는 원격 제어기를 나타낸 평면도.
제22도는 코드 메세지 모드에서의 수신 재생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제23도는 제22도의 수신 재생 동작에서 표시된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제24도는 TV 전화 모드에서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제25도는 제24도의 동작에서 표시된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제26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실시된 모든 모드에서 겸용하는 원격 제어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텔레비젼 2 : 표시 화면
3 : 마이크로폰 4 : 녹음 버튼
5 : 재생 버튼 6 : 메세지 LED
7 : 비디오 카메라 8 : 제어기
8a : 타이머 9 : 기록 매체
10,11 : 스피커 12 : 발광부
13 : 광 검출기 14 : 원격 제어기
15 : 인터콤 16 : 비디오 카메라
17 : 스피커 18 : 마이크로폰
19 : 호출 스위치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메세지 전송을 위한 메세지 기능, 상호 통신 시스템(즉, 인터콤) 기능, 코드 메세지 기능, 상호 통신 시스템(즉, 인터콤) 기능, 코드 메세지 기능, 및 텔레비젼 전화 기능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이들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모드 각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의 제1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실시된 텔레비젼 수상기는 메세지 기능, 인터콤 기능, 및 코드 메세지 기능을 제공하며,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텔레비젼 수상기처럼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의 정면의 조작 패널상에 여러가지 조작 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음성 메모리를 내장하고 있으며, 마이크로 폰(3), 녹음 버튼(4), 재생 버튼(5), 및 메세지 LED(발광 다이오드)(6)를 구비하고 있다.
메세지 기능이 이용되는 메세지 모드에서는, 녹음 버튼(4)을 조작하여 마이크로폰(3)을 통해 메세지를 입력시킬 수가 있다. 입력된 메세지를 나타내는 음성 신호는 음성 메모리에 기억되며, 이때, 메세지가 입력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메세지 LED(6)가 켜지게 된다. 이러한 메세지가 음성 메모리에 기억되면, 재생 버튼(5)을 조작하여 음성 메모리로부터 메세지를 독출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상호 통신 시스템 기능이 이용되는 인터콤 모드에서는, 예컨대, 현관에 설치된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오는 영상이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의 표시 화면(2)상에 부화면으로서 표시되고, 예컨대 마이크로폰(3)을 통해 방문자와 대화를 나눌 수가 있다.
동시에, 이들 영상과 음성은 기억되었다가 나중에 재생된다.
코드 메세지 기능이 이용되는 코드 메세지 모드에서는, 예컨대 전화선을 통해 외부로부터 오는 메세지가 음성 메모리에 기억되고, 재생 버튼(5) 조작에 의해 스피커를 통해 재생된다.
본 발명의 제2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상에 비디오 카메라(7)를 구비하며 영상 메모리를 내장함으로써 텔레비젼 전화 기능이 이용되는 TV 전화 모드를 설정할 수가 있다.
TV 전화 모드에서는, 상대방의 영상이 표시 화면상에 주화면으로서 나타나고, 자신의 영상은 표시 화면상에 부화면으로서 나타난다. 상대방과의 대화는 마이크로 폰(3)을 통해 행한다.
게다가, 실시예 2의 메세지 모드에서는 메세지 입력 동안에 메세지 송출자의 얼굴 영상도 비디오 카메라(7)를 통해서 입력되어 영상 메모리에 기억된다. 이 메세지를 재생할 때는 영상 메모리로부터 영상이 재생되어 표시 화면(2)상에 부화면으로서 나타나게 된다.
제3도는 실시예 2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면 부호 8은 제어기, 도면부호 8a는 타이머, 도면 부호 9는 기록 매체, 도면 부호 10과 11은 스피커, 도면 부호 12는 발광부, 도면 부호 13은 광 검출기, 도면 부호 14는 원격 제어기, 도면 부호 15는 상호 통신 시스템(인터콤), 도면 부호 16은 비디오 카메라, 도면 부호 17은 스피커, 도면 부호 18은 마이크로폰, 도면 부호 19는 호출 스위치를 나타낸다. 제1도과 제2도에서 동일한 구성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제3도에서,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는 발광부(12)와 기록 매체(9)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기(8)는 TV 프로그램 수신과 상술한 모드 각가을 제어하며 예컨대 시간과 날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타이머(8a)를 갖고 있다. 기록 매체(9)는 상술한 모드 각각에서의 메세지를 기록한다. 발광부(12)는 제2도의 메세지 LED(6)를 턴온시킨다. 기록 매체(9)로서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하드디스크와 같은 적당한 메모리 수단과 기록 매체를 사용할 수 있다.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는 원격 제어기(14)로부터 오는 제어 신호를 광 검출기(13)에서 수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할 음성 신호도 수신할 수 있다. 텔레비젼 수상기는 또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인터콤(15)에 접속되고 전화선에도 접속된다. 제2도의 실시예 2에서는 비디오 카메라(도시안됨)(7)가 구비되어 있다. 표시 화면(2)상에 비디오 카메라의 출력 영상이 표시되는 동작된 기록 매체(9)상의 기록 및 재생 동작은 제어기(8)에 의해 제어된다.
다음에서는 상술한 모드 각각에 대해서 설명한다. 각각의 모드에 대해서 서로 다른 원격 제어기(14)가 사용됨에 주의해야 한다.
[1] 메세지 모드
제4도는 제1 및 실시예 2에서의 메세지 모드용 원격 제어기(14)의 일례에 대한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4도에서, 원격 제어기(14)는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전원 버튼(20)과 숫자 키(21) 이외에도 녹음 버튼(22), 재생 버튼(23), 커서 키(24), 결정 버튼(25) 및 마이크로폰(26)을 구비하고 있다. 마이크로폰(26)을 통해 원격 제어기(14)로부터 메세지 모드의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로의 메세지 입력과 상대방과의 대화가 행해질 수 있다.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에 내장된 기록 매체(9)를 동작시키는데는 녹음 버튼(22)과 재생 버튼(23)이 사용된다. 표시 화면(2)상에 표시된 원하는 것을 지정하는데는 커서 키(24)가 사용된다. 결정 버튼(25)은 커서 키(24)에 의한 지정을 확정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삼각형 마커들을 조작하면 커서가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고,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삼각형 마커들을 조작하면 커서가 수직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점에 주의한다.
메세지 모드에서는, 메세지가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의 마이크로폰(3) 또는 원격 제어기(14)의 마이크로폰(26)을 통해 입력되나, 제1도의 실시예와 제2도의 실시예간에는 차이점이 있다. 즉, 실시예 1에서는 음성 메세지만이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에 내장된 기록 매체(9)에 기록되나, 실시예 2에서는 비디오 카메라(7)(제2도)로부터 오는 영상도 기록된다. 여기서, 실시예 1의 경우를 음성 메세지 모드라고 하고, 실시예 2의 경우를 음성/영상 메세지 모드라 한다. 이들 모드를 합쳐서 메세지 모드라 한다.
이하 설명될 동작들은 원격 제어기(14)(제4도)를 조작함으로써 실행된다.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가 동일한 버튼을 갖고 있다면, 이 버튼에 의해 동일한 동작이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ⅰ) 음성 메세지 모드
제5도는 음성 메세지 모드에서 실행될 동작들을 설명하는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6도는 이들 동작을 각 상태에서의 표시 화면(2)(제1도)의 표시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다음에서는 메세지 모드에서의 동작들에 대해 제1도과 제4도를 참조로 설명한다.
제5도에서, 원격 제어기(14)의 전원 버튼을 턴 온시키면(단계 100),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에 전원이 들어오고, 이때는 수신된 텔레비젼 프로그램의 영상(이하 수신 영상이라 함)만이 표시 화면(2)상에 나타난다. 이것을 이후로 통상 화면이라 부른다(단계 101).
이 상태에서, 원격 제어기(14)의 녹음 버튼(22)을 조작하면(단계 102) 수신 영상에 제6(a)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화상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단계 103). 이 화상 선택 화면은 예컨대 메세지를 남기는 가족 구성원을 나타내는 아이콘(27)과 예컨대 “커서로 얼굴을 선택하고 결정 버튼을 누르시오” 라는 지시 문장을 포함한다.
메세지를 남기는 사람이 커서(27)로 자신을 나타내는 얼굴 아이콘(27)을 지정하고(단계 104) 결정 버튼을 조작하면(단계 105), 제6(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일시 입력 화면이 표시된다(단계 106). 이 화면에서는 제6(a)도의 화면에서 선택된 얼굴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27), 재생 일시를 지정하는 문자열(28), 및 “숫자 키로 지정 일시를 입력하고 결정키를 누르시오”라는 지시 문장이 표시된다.
이 지시에 따라서, 원격 제어기(14)의 숫자 키(21)를 조작하여 재생 일시를 예컨대 “7월 15일 19:30”으로 설정한(단계 107) 다음에 결정 버튼(25)을 조작하면(단계 108), 제6(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음 버튼을 눌러 녹음 개시”라는 문장을 보여주는 녹음 대기 화면이 표시된다(단계 109). 이 화면은 예컨대 대기 기간으로서 4초 동안 표시되고, 이 기간 동안에 원격 제어기(14)의 녹음 버튼(22)이 조작되지 않으면, 메세지가 남아 있지 않다고 해석하고서 처리는 단계(101)로 되돌아가 통상 화면이 표시된다.
4초의 대기 기간이 지나가기 전에 원격 제어기(14)의 녹음 버튼(22)이 눌러지면(단계 110),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의 마이크로폰(3)이나 원격 제어기(14)의 마이크로폰(26)을 통해 메세지가 입력될 수 있다. 그러는 동안에, 표시 화면(2)에는 선택된 얼굴 화상(27), 그 화상 아래의 “녹음”이라는 문자, 및 “녹음 버튼을 눌러 종료”라는 지시 문장을 보여주는 제6(d)도의 녹화 화면이 표시된다(단계 111).
메세지 입력을 중지하려고 하면(단계 112), 원격 제어기(14)의 녹음 버튼(22)이 재조작되거나(단계 113) 1회의 메세지 녹음 가능 기간, 예컨대 16초를 경과하면(단계 114), 녹음은 중지되고 제6(e)도에 도시된 확인 화면이 표시된다(단계 115).
이 확인 화면에서는 선택된 화상(27), 타이머(8a)로부터 오는 일시 정보에 따라서 메세지가 입력되는 일시(여기서는, 7월 15일 15:30), 재생 일시 “7월 15일 19:30”, “녹음된 메세지 확인 중. 소거는 녹음과 재생 버튼을 동시에 누름”이라는 문장이 표시된다. 이와 동시에, 입력된 메세지가 재생되어서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의 스피커(3)나 원격 제어기(14)의 마이크로폰(26)으로부터 출력된다. 이 순간 화상(27)은 마치 메세지를 말하는 것처럼 입을 움직이면서 표시된다.
이것은 사용자가 예컨대 메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메세지가 재생되었다면, 처리는 단계(101)로 되돌아가서 통상 화면이 표시된다. 제어기(8)는 발광부(1 2)(제3도)를 구동하여 메세지 LED(6)를 턴 온시켜 메세지가 남아 있음을 나타낸다.
입력된 메세지를 취소하기 위해서는 원격 제어기(14)상의 녹음 버튼(22)과 재생 버튼(23)이 단계(115)에서의 메세지 확인 동안에 제6(e)도의 녹음 확인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에 눌려지면 된다.
따라서, 메세지가 그 재생 일시가 지정되어서 입력되었다면, 타이머(8a)가 일시 정보가 그 지정된 일시와 비교된다. 지정된 일시(상술한 예에서는 7월 15일 19:30)가 들어왔을 때는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는 전원이 설정되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물론,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원 코드는 콘센트에 끼워져 있다) 전원 온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녹음 대기 화면과 유사한 메세지 재생 화면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영상에 표시된다. 이와 동시에, 메세지가 음성 메모리로부터 재생되어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의 스피커(3)나 원격 제어기(14)의 마이크로폰(26)으로부터 출력된다. 이 메세지 재생 화면에서는 타이머(8a)로부터 녹음시에 포착된 녹음 일시는 화상(27) 아래에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메세지가 남아 있었던 때를 알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세지를 누가 언제 남겼는지를 알 수가 있다. 또한, 재생 일시가 미리 설정되면, 사용자는 텔레비젼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지 않더라고 그 메세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가 있다.
여기서, 주의해야 될 것은 원격 제어기(14)의 녹음 버튼(22)이 제6(b)도의 재생 일시 입력 화면의 표시 동안에 재생 일시를 지정하지 않고서 조작되면(단계 110), 재생 일시가 지정되지 않았다고 판단되고, 그 경우에 후술되는 바와 같이, 그 메세지도 재생될 수가 있다는 것이다.
또, 주의해야 될 점은 다수의 메세지가 녹음될 수 있고, 각 메세지들의 재생 일시가 지정되면 메세지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으로 재생된다.
(ⅱ) 음성/영상 메세지 모드
이 모드는 제2도에 도시된 실시예 2에서 실행된다. 제7도는 음성/영상 메세지 모드에서 실행될 동작들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8도는 이들 동작의 표시 화면(2)(제2도)의 표시예들로서, 이하 제2도와 제4도를 참조로 이들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7도의 흐름도는 단계(103 내지 105)가 없다는 점만 제외하고는 제5도의 흐름도와 동일하다. 제5도의 단계(103 내지 105)는 제6(a)도의 화상 선택 화면에서 화상을 선택하는 것인데, 실시예 2에서는 필요없는 것이다. 대신에, 실시예 2에서는 제2도의 비디오 카메라(7)로부터 오는 영상을 이용한다.
제7도에서, 원격 제어기(14)의 녹음 버튼(22)이 턴 온되면(단계 100),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가 전원 온되고, 이때 표시 화면상에 수신 영상만이 표시되는 통상 화면이 표시된다(단계 101).
이 상태에서 발광부(12)의 녹음 버튼(22)을 조작하면(단계 102), 제8(a)도의 재생 일시 입력 화면이 수신 영상에 표시된다(단계 106). 이 재생 일시 입력 화면에서는 메세지를 남기는 사람의 얼굴이 비디오 카메라(7)로 촬상된 동화(animation)(29)로 표시되고, 화면의 그외 다른 부분은 제6(b)도의 재생 일시 입력 화면에서와 동일하다. 즉, 제6(b)도의 재생 일시 입력 화면에서의 화상(27) 대신에 동화(29)가 표시된다.
제8(a)도의 재생 일시 입력 화면에서 원하는 재생 일시가 결정되면(단계 107,108), 제8(b)도의 녹음 대기 화면이 나타난다. 원격 제어기(14)의 녹음 버튼(22)을 4초 대기 기간내에 누르면, 기록 매체(9)에서의 메세지 녹음과 비디오 카메라(7)로부터 오는 영상의 녹화가 시작되고, 이때에 제8(c)도의 녹음 화면이 표시된다(단계 111).
그 다음, 녹음 시작 후 16초 이내에 녹음 버튼(22)을 눌러서 메세지를 중단시키거나(단계 112,113), 녹음 시작후 16초가 경과했을 때(단계 114)는 메세지 LED(제2도)는 점등하고 제8(d)도의 녹음 확인 화면이 나타난다(단계 115). 이 녹음 확인 화면도 정지 화상(still picture) 대신에 기록 매체(9)상에 기록된 동화(29)가 표시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6(c)도의 녹음 확인 화면과 동일하다.
녹음 내용의 확인이 완료되면, 처리는 단계(101)로 진행하여 통상 화면을 표시한다. 이 순간 제3도에서 제어기(8)는 발광부(12)를 구동하여 메세지 LED(6)를 턴온시킨다.
따라서, 실시예 1에서와는 달리, 실시예 2에서는 메세지를 남긴 사람이 동화로 표시되기 때문에 그 사람은 더욱 명확해지고 그 사람의 행동도 알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실시예 2에서도 다수의 메세지를 녹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영상 메모리로서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같은 적당한 메모리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ⅲ) 메세지 재생
다음에, 제9도와 제10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녹음된 메세지의 재생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재생 일시가 지정된 메세지의 재생은 상술하였고, 따라서 이후의 설명에서는 생략한다. 다음에서는 제1도와 제2도의 실시예들 사이의 구별없이 설명하고 각 실시예에 특징적인 부분들은 실시예마다 설명하기로 한다.
제9도에서, 원격 제어기(14)의 전원 버튼(20)이 턴 온되면(단계 200),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는 전원 온되고, 이에 따라 수신 영상이 표시 화면(2)상에 표시되는 통상 화면이 표시된다(단계 201). 메세지가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의 기록 매체(9)에 기록되면, 메세지가 남아 있음을 나타내는 아이콘(30)이나 문자가 제10(e)도에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로 표시된다(단계 203). 메세지가 남아 있지 않으면, 예컨대 수신 영상만이 보여지는 통상 화면이 1초 후에 다시 표시된다.
제10(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세지가 남아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가 있는 경우, 원격 제어기(14)의 재생 버튼(23)을 조작하면(단계 204), 제10(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세지 리스트 화면이 표시된다(단계 205). 이 메세지 리스트 화면에서는 다수의 메세지(본 경우에는 예컨대 3개)에 대한 영상이 표시 화면(2)상에 부화면(31a ,31b,31c)으로서 표시된다. 수신 영상은 “커서로 선택하여 결정 버튼을 누르시오”라는 지시와 함께 주화면으로서 표시된다. 제1도의 실시예 1의 경우에서 이들 부화면( 31a,31b,31c)에 표시될 영상들은 제6도의 화상(27)이다. 제2도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영상들은 제8도의 동화(29)의 제1영상(정지 화상)이다. 이것은 사용자가 메세지들을 남긴 사람이 누구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메세지가 입력되었던 일시는 각 부화면(31a,31b,31c)의 부근에 표시된다. 재생 일시가 지정된 메세지에 대해서도 재생 일시가 표시된다. 제10(b)도의 지정된 일시의 표시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 경우, 커서는 하나의 부화면을 둘러싸는 프레임으로 표시된다. 커서(32)에 의해 현재 표시된 부화면(31b)에 대한 메세지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단계(205)로부터 단계(209)로 점프하여 상술한 문장에 주어진 지시에 따라서 원격 제어기(14)의 결정 버튼(25)을 조작한다. 이 순간, 표시 화면(2)에는 얼굴 화상의 입이 제1도의 실시예 1에서의 부화면(31b)에서 움직이면서 표시되어 메세지를 말하고 있다는 인상을 주게 된다. 제2도의 실시예 2의 경우에는 화상은 동화로 표시된다.
제10(b)도에서의 부화면(31b)이 아닌 다른 부화면에 대한 메세지, 즉 예컨대 부화면(31c)에 대한 메세지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제10(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기(14)의 커서 키(24)를 조작하여 커서(32)를 부화면(31c)에 위치 설정하고(단계 207), 이어서 원격 제어기(14)의 결정 버튼(25)을 조작하여 단계(209)이 메세지를 재생한다.
또한, 제10(b)도의 메세지 리스트 화면에 부화면(31a,31b,31c)에 영상이 표시된 메세지 이외의 메세지가 포함되어 있으면(즉, 4개 이상의 메세지가 남아 있으면), 삼각형 마커(33)가 표시된다. 화면상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메세지를 재생하기 위해서는(단계 208), 마커(33)가 표시 화면의 하측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원격 제어기(14)의 커서 키(24)를 조작하여 커서(32)를 하단 부화면(31c) 아래로 이동시킨다. 새로운 영상이 나타나서 하단에서 상단으로 스크롤된다(단계 215). 제10(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커(35)가 표시 화면의 상측에 부착되어 있으면, 커서(32)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부화면들의 영상들을 스크롤하면서 상부 부화면(31a) 위로 이동한다.
따라서, 스크롤 표시를 행하고, 커서(32)를 원하는 영상의 부화면에 위치시켜서 원격 제어기(14)의 결정 버튼을 조작하면 원하는 메세지를 재생할 수 있다(단계 210).
제10(b)도, 제10(c)도, 제(d)도에 표시된 표시 상태들에서는 표시 화면(2) 아래에 “리턴” 표시(34)가 주어진다. 이 표시는 상술한 표시 및 메세지를 중단시키는데 사용된다(단계 211). 커서로 그 표시(34)를 선택하고(단계 212) 원격 제어기(14)의 결정 버튼(25)을 조작하면, 수신 영상만이 보여지는 통상 화면이 나타난다(단계 201).
하나의 메세지가 재생되고 나면, 재생되어야 할 다른 메세지가 있을 경우, 제10(b)도의 메세지 리스트 화면의 표시 상태가 나타나고(단계 205), 그 메세지를 재생할 것인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가 있다. 재생될 메세지가 없다면, 수신 영상만이 표시되는 통상 화면이 나타난다(단계 201).
물론, 한개의 메세지를 재생하는 것을 끝낼 때마다 수신 영상만이 표시되는 통상 화면이 다시 표시될 수 있다(단계 201). 이 경우, 전원은 단계(201)에서 다시 턴 온되고, 재생될 메세지가 있다면, 제10(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세지 남아 있음”을 표시하는 정보가 표시된다. 재생될 메세지가 없다면, 그것을 표시하는 정보가 제10(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메세지와 그 메세지를 남긴 사람의 유무를 쉽게 알 수가 있다. 재생 일시가 지정된 메세지는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가 전원 온 상태에 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항상 지정된 일시에 재생된다. 그러므로, 만일 어머니가 아이에게 예컨대 그녀가 집에 없다는 메세지를 남긴 경우에 그녀는 아이가 확실히 집에 있을 시간에 그녀의 메세지 재생 시간을 지정할 수가 있기 때문에 메세지를 확실하게 전송할 수가 있다.
[2] 인터콤 모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콤(상호 통신 시스템)(15)은 예컨대 현관에 설치된다. 방문자가 호출 스위치(19)를 누르면, 제어기(8)가 이에 응답하여 작동하여 스피커(10,11)로부터 출력되는 수신 중의 텔레비젼 프로그램의 음량을 낮추고 이들 스피커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차임 음(chime sound)을 발생하여 방문자를 표시해준다.
이와 동시에, 제어기(8)는 인터콤(15)에 설치된 비디오 카메라(16)로부터의 영상과 마이크로폰(18)으로부터의 음성을 포착하여 그 영상을 표시 화면(2)상에 부화면으로서 표시하고 스피커(10,11)로부터 음성을 출력한다. 이들 영상과 음성도 기록 매체(9)에 기억된다.
스피커(10)는 우측 스피커로 기능하고 스피커(11)는 좌측 스피커로 기능하며, 부화면은 예컨대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화면(2)의 우측에 표시된다. 이 경우, 우측 스피커(10)는 인터콤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좌측 스피커(11)는 텔레비젼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우측 스피커(10)의 음량은 좌측 스피커(11) 음량 이상으로 크게 증가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젼 음성과 인터콤 음성은 스피커(10,11)로부터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우측 스피커(10)를 통한 인터콤 음량은 예컨대 4로 설정될 수 있으며, 우측 스피커(10)를 통한 텔레비젼 음량은 예컨대 1로 설정될 수 있고, 좌측 스피커(11)를 통한 인터콤 음량과 텔레비젼 음량은 예컨대 1로 설정될 수 있다.
다시, 제3도에서, 사용자가 차임을 듣고 방문 사실을 알고서 원격 제어기(14)를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라 발생된 지시가 광 검출기(13)를 통해 제어기(8)로 전송된다. 지시를 받으면, 제어기(8)는 원격 제어기(14) 및 인터콤(15)의 스피커(17)와 마이크로폰(18)간에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원격 제어기(14)를 조작하여 제어기(8)가 기록 매체(9)로부터 영상과 음성을 재생하도록 하여 영상을 표시 화면(2)상에 부화면으로서 표시하고 음성을 스피커(10,11)로부터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인터콤 모드에서는, 기록 매체(9)에 약 5분 정도 이상 영상과 음성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영역이 할당되어 약 30초 정도의 통화에서의 영상과 음성을 약 10회 정도 이상 기록하게 된다. 이 경우, 영상 신호를 방문자의 신원과 행동이 판별가능한 정도로 압축할 수 있다. 음성 신호도 방문자의 음성이 명확히 들릴 수 있는 정도로 압축될 수 있다. 각각의 기록마다 타이머(8a)(제3도)에 의해 주어진 일시 정보가 이용되어 기록 일시 정보를 제공한다.
기록 매체(9)로의 기록은 차임 음이 발생한 때부터 방문자가 돌아가는 시각까지 계속된다. 예컨대, 15초 이상 경과 후 10초 동안 인터콤(15)이나 원격 제어기(14)중 어느 것으로부터도 음성이 들어오지 않으면, 방문자는 돌아갔다고 판단하고 기록 매체(9)로의 기록이 중단된다.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가 전원 온상태에 있지 않더라도(이것은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의 전원 버튼이 턴 온되어 있지 않아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의 전원 코드를 콘센트에 끼워야 함을 의미한다) 차임 음이 발생하면 제어기(8)가 동작하여 기록 매체(9)로의 기록이 시작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가 집에 없는 동안에 방문한 방문자의 메세지를 인터콤을 통해 기록하고 후에 이 메세지를 재생할 수가 있다.
기록 매체(9)에 영상과 음성이 기록되면, 제어기(8)는 발광부(12)를 구동하여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에 설치된 인터콤 LED를 점멸시켜 방문자가 남긴 메세지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인터콤 LED로는 제1도와 제2도의 메세지 LED(6)도 좋고, 아니면 인터콤 전용의 LED이어도 된다.
기록 매체(9)내의 영상과 음성이 보존 기간은 원격 제어기(14)를 이용하여 지정될 수 있다. 보존 기간에는 다음과 같은 3가지 종류가 있다.
(a) 3일간
(b) 기록 당일
(c) 새로운 기록에 의해 소거될 때까지
(c)의 경우에는 기록 매체(9)의 용량이 제한되므로 선입 선출 방식으로(on afirst-in, first-out basis) 기록 매체(9)에서 기록들이 소거된다. (a)와 (b)의 경우에는 타이머(8a)(제3도)에 의해 제공된 일시 정보에 따라, 보존 기간이 경과하면 지정된 기록이 자동으로 소거된다.
전원 버튼(36)과 숫자 버튼(37)과 같은 통상적인 조작 버튼 이외에도, 원격 제어기(14)는 표시 버튼(38), 응답 버튼(39), 소거 버튼(40), 커서 키(41), 결정 버튼(42), 및 스피커/마이크로폰(43)을 구비하고 있다. 스피커/마이크로폰(43)을 통해서 원격 제어기(14)와 인터콤(15)(제10도)간에 통화가 가능하다.
응답 버튼(39)은 인터콤(15)과 통화를 시작한다. 표시 버튼(38)은 기록 매체(9)로부터 영상과 음성을 재생하여 표시 화면(2)상에 영상을 표시하고 스피커(10,11)로부터 음성을 출력한다. 소거 버튼(40)은 기록 매체(a)에 기록된 영상과 음성을 소거한다. 커서 키(41)와 결정 버튼(42)의 기능은 제4도의 커서 키(24)와 결정 버튼(15)의 기능과 동일하다.
다음, 인터콤 모드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ⅰ) 기록 동작
제13도는 기록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3도와 제12도를 참조하여 이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3도에서, 방문자가 호출 스위치(19)를 조작하여(단계 201) 인터콤 차임 음이 발생하면(단계 201), 제어기(8)가 작동하여 인터콤(15)으로부터 들어오는 영상과 음성을 기록하기 시작한다. 이 경우, 타이머(8a)(제3도)에서 제공된 기록 일시 정보가 함께 기록된다.
이때,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가 전원 온 상태에 있지 않거나(단계 203), 사용자가 예컨대 집에 있지 않아 전원 온되어 있지 않으면(단계 204), 변경없이 그대로 기록이 계속된다. 기록이 시작되고 나서 15초 경과 후에, 인터콤(15)이나 원격 제어기(14)로부터 들어오는 음성이 10초 동안 중단되면(단계 205), 제어기(8)는 방문자가 떠났다고 판단하여 기록을 중지하고(단계 206), 발광부(12)를 구동하여 인터콤 LED를 턴 온시켜 방문자가 왔었다는 것을 알려준다.
기록 매체(9)내의 기록이 인터콤 차임 음 발생시에 시작될 때에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가 전원 온 상태에 있거나(단계 203) 전원 온되는(204) 경우에는 인터콤(15)으로부터 오는 영상은 표시 화면(2)상에 부화면으로서 표시되고 인터콤으로부터 오는 음성은 스피커(10,11)로부터 출력된다(단계 208).
상술한 상태에서의 표시 화면은 제14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화면(2)의 오른쪽에는 2개의 부화면(44,45)이 형성되어 있다. 부화면(44)은 인터콤 화면으로서 메세지 보존 기간을 지정하기 위한 영상을 나타낸다. 부화면(45)은 인터콤 화면으로서 인터콤(15)으로부터 현재 오고 있는 영상을 나타낸다. 보존 기간으로는 상술한 3개의 기간(a),(b) 및 (c)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14도에서 초기에는 기간(a), 즉 3일간이 설정된다. 원격 제어기(14)의 커서 키(41)와 결정 버튼(42)을 조작하여 커서(음영부)를 이동시켜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은 통화 중에는 어떤 시점에서도 행할 수 있다. 선택된 보존 기간은 기록 매체(9)내의 모든 기록들에 적용된다.
다시 제13도에서, 그 표시 상태에서 방문자에게 아무런 응답을 하지 않고(단계 209) 부화면들이 아무런 변화없이 그대로 계속 표시되면(단계 210), 사용자는 원격 제어기(14)를 조작하지 않는다. 부화면을 소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원격 제어기(14)의 표시 버튼(38)을 조작하고(단계 211), 이에 따라 제14도의 부화면(44,45)이 사라지고 단계(205 내지 207)의 동작들이 이어진다.
만약 사용자가 제14도의 표시 상태에서(단계 208) 방문자에게 응답하고자 하면(단계 209), 원격 제어기(14)의 응답 버튼(39)을 조작하면 된다(단계 212). 이 조작에 따라 예컨대 인터콤(15)으로부터 오는 인터콤 화면이 표시되는 부화면 아래에 “응답중” 이라는 문장이 표시되어(단계 213) 원격 제어기(14)와 인터콤(15)간에 통화가 가능해진다(단계 214). 통화를 종료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원격 제어기(14)의 응답 버튼(39)을 다시 조작하기만 하면 되고 이에 따라서 제15도의 부화면(44,45)이 표시 화면(2)에서 사라진다(단계 216). 그 다음, 처리는 상술한 단계 206으로 진행한다.
(ⅱ) 재생 동작
제16도는 재생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3도와 제12도를 참조하여 이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6도에서, 원격 제어기(14)의 전원 버튼(36)을 조작하여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를 전원 온시키면(단계 300), 제어기(8)는 기록 매체(9)로부터 보존 기간이 경과한 메세지를 소거하고(단계 301) 표시 화면(2)상에 통상 화면을 표시한다(단계 302). 기록 매체(9)에 메세지가 기록되면,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의 인터콤 LED가 턴 온되어 그 사실을 알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메세지가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아이콘과 문자가 제10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원격 제어기(14)의 표시 버튼(38)을 조작하면, 제17도에 도시된 메세지 화면이 표시된다(단계 304).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 메세지 화면에서는 통상 화면은 주화면이고, 예컨대 3개의 부화면이 표시된다. 최상단 부화면(46)에는 보존 일수의 설정 화면이 나타난다. 그 아래의 2개 부화면(47,48)에는 영상이 기록된 순서로 기록 매체(9)에서 재생된 정지 화상으로서 제1영상이 나타난다. 이들 부화면들에도 기록 매체(9)에 기록된 영상의 기록 일시, 기록 순서, 및 갯수가 나타나고, 이때 기록 순서와 갯수는 분수 형태로 표현된다. 표시된 영상 다음에 다른 영상이 이어지면, 부화면(45 내지 48) 아래에 삼각형 마커(49)가 표시된다.
상술한 표시 상태에서 표시된 영상을 재생하기 위해서는(단계 306), 사용자는 원격 제어기(14)의 커서 키(41)를 조작하여 프레임 형태의 커서(50)를 재생될 메세지가 예로서 표시되어 있는 부화면(47)에 위치시키고(단계 312) 원격 제어기(14)의 결정 키(42)를 조작한다(단계 313). 이에 따라 선택된 부화면(47)이 동화로 표시되고 음성 메세지는 기록 매체(9)로부터 재생되어 스피커(10,11)를 통해 출력된다(단계 314). 이때, 음성 메시지의 음량은 상술한 바와 같이, 텔레비젼 음향과는 구별되어 들릴 수 있는 정도가 된다.
메세지 재생이 완료되면, 처리는 단계(304)로 진행하여 원격 제어기(14)가 조작되지 않으면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표시 상태가 다시 표시된다. 메세지 재생을 끝내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원격 제어기(14)의 표시 버튼(38)을 다시 조작한다(단계 308).
제17도의 표시 상태에서 기록 매체(9)에 기록된 영상과 음성을 보존 기간을 변경하기 위해서는(단계 305), 사용자는 원격 제어기(42)의 커서 키(41)를 조작하여 커서(50)를 보존 일수 설정 화면이 나타난 부화면(46)으로 이동시킨(단계 310) 다음에, 커서 키(41)를 조작하여 변경된 형태의 커서를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보존 일수 설정 화면내의 지정될 보존 일수의 위치에 설정하고 원격 제어기(14)의 결정 버튼(42)을 누른다(단계 311).
제17도에 표시된 메세지 이외의 메세지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커서 키(41)를 조작하여 커서(50)를 하단 부화면(48)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부화면에는 새로운 영상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불필요한 메세지를 소거하기 위해서는(단계 307), 사용자는 원격 제어기(14)의 커서 키(41)를 조작하여 커서(50)를 불필요한 메세지가 표시된 부화면으로 수직 이동시키고(단계 315) 원격 제어기(14)의 소거 버튼을 조작하면 불필요하면 메세지가 기록 매체(9)에서 소거된다(단계 316). 소거가 완료되면, 다음 영상이 부화면에 나타난다(단계 317).
제19도는 상술한 동작들에 의해 생긴 표시 화면(2)의 표시 내용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제19(a)는 원격 제어기(14)의 표시 버튼을 조작한 경우에(단계 303) 표시 화면(2)에 최초로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 상태에서 원격 제어기(14)의 커서 키(41)를 조작하여 단계(310,311)의 동작을 실행하면, 보존 기간을 변경시킬 수 있는 제19(b)도의 표시 화면이 나타난다.
제19(a)도의 표시 상태에서 원격 제어기(14)의 커서 키(41)와 결정 키(42)를 조작하여 단계(312 내지 314)의 동작을 실행하면, 상태는 제19(c)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19(b)도에 도시된 상태로 변경되어 원하는 메세지가 재생되고 부화면에 동화가 표시된다.
따라서, 인터콤 모드에서는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의 화면을 지켜보면서 인터콤(15)을 통해 방문자와 통화할 수가 있다. 이 모드에서도 사용자는 예컨대 집에 없기 때문에 통화를 할 수 없어도 기록 매체(9)에서 메세지를 재생시켜 들을 수가 있고 또 재생된 영상으로부터 방문자가 누구인지를 확실히 알 수가 있다.
[3] 코드 메세지 모드
코드 메세지 모드에서는, 음성 다이얼식 공중 전화기와 같은 가정 외부에 있는 음성 다이얼식 전화기로부터 오는 소정 형식의 메세지문이 수신되어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의 표시 화면(2)(제1도 또는 제2도)에 표시된다.
제20도는 이러한 음성 다이얼식 전화기의 메세지 발신 동작들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20도에서, 음성 다이얼링이 행해져 사용자 자택의 홈 커뮤니케이션 텔레비젼의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와의 접속이 설정되면(단계 400), 사용자는 전화기를 조작하여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를 코드 메세지 모드에 두고(단계 401) 전화기의 누름 버튼을 조작하여 소정 형식의 메세지를 전송한다(단계 402). 코드 메세지 모드에서는 몇가지 정형문이 작성되며, 각 정형문마다 서로 다른 수치를 갖는 코드가 할당된다. 원하는 정형문을 전송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누름 버튼을 통해 해당 코드를 입력하여 그 코드를 전화선을 통해 제3도의 사용자 자택의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로 보낸다.
메세지 전송에 이어 사용자는 화상을 전송할 수 있다(단계 403). 이 화상은 제6도을 참조로 설명된 가족 구성원의 얼굴을 나타내며 유일한 수치 코드가 할당되어 있다. 주의할 점은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는 코드에 대응하는 화상의 영상을 기억한다는 점이다.
사용자가 사용자, 즉 메세지를 남기고자 하는 사람의 화상에 해당하는 코드를 음성 다이얼식 전화기로부터 입력하면(단계 404), 코드가 전화선을 통해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에 전송되고, 그 코드에 해당하는 화상이 선택되고, 선택된 화상과 사용자로부터 보내진 소정 형식의 메세지(정형문)는 기록 매체(9)에 기억된다. 코드 메세지 모드에서는 기록 영역도 기록 매체(9)에 할당된다.
사용자가 음성 다이얼식 전화기를 통해 원하는 메세지에 해당하는 코드와 사용자의 화상에 해당하는 코드를 입력시키고 나면, 사용자는 전화를 끊고 전송 조작을 끝낸다(단계 405).
따라서, 정형문은 외부로부터 가정의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로 전송될 수 있다.
다음, 제21도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실시된 코드 메세지 모드용 원격 제어기(14)가 도시되어 있다. 이 원격 제어기(14)는 TV 전화 모드에도 공용이다. 도면 부호 51은 TV 전화 모드 버튼, 53a는 전화 버튼, 53b는 코드 메세지 모드 버튼, 54는 정지 버튼, 55는 소거 버튼, 56은 자동 응답 모드 버튼, 57은 표시창, 58은 숫자 버튼, 59는 결정 버튼, 60은 커서 키, 61은 마이크로폰, 62는 스피커를 나타낸다.
제21도에서, 스피커(62)는 원격 제어기(14)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마이크로폰은 하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피커(62)에서 발생된 음이 마이크로폰(61)에 들어가는 일이 방지된다. 자동 응답 모드 버튼은 사용자가 예컨대 집에 없을 때 생긴 호출에 대해서 자동으로 응답하는 모드를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제22도는 제20도에 도시된 메세지에 대해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의 코드 메세지 모드의 동작들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다음에서는 이들 동작에 대해서 원격 제어기(14)를 나타낸 제3도와 제21도를 참조로 설명한다.
제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 메세지가 들어오면 이것을 수신하여 이것이 담고 있는 메세지 및 화상을 기록 매체(9)(제3도)에 기억시킨다(단계 500). 이때, 원격 제어기(14)의 자동 응답 버튼(56)이 조작되어서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가 자동 응답 모드에 있다든지(단계 501) 또는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가 전원 오프 상태에 있다면(단계 505), 코드 메세지 LED(이 LED는 제1도와 제2도의 메세지 LED(6)와 겸용 가능)가 수 초동안 점멸하는 동작(단계 502)과 코드 메세지 LED가 수 분동안 온(on)되는 동작(단계 502)이 수십분마다 반복되어서 가족에게 코드 메세지가 들어 왔음을 알려준다. 코드 메세지의 내용을 알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원격 제어기(14)에 설치된 코드 메세지 모드 버튼(53b)을 조작한다.
원격 제어기(14)의 전원 버튼(51)이 조작되어서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가 전원 온되어 있고, 제2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화면이 수신 영상만이 표시되는 통상 화면일 때에(단계 505) 코드 메세지가 들어오게 되면, 제2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화면(2)의 예컨대 우측 코너에 아이콘 영역(63)이 설정된다. 이 아이콘 영역(63)에서 아이콘(64)은 수 초동안 점멸하고(단계 506)난 뒤에 수 분동안 온 상태가 되는데(단계 507), 이것을 수십분마다 반복하게 된다. 메세지의 내용을 알기 위해서는(단계 508), 사용자는 원격 제어기(14)의 코드 메세지 모드 버튼(53b)을 조작한다(단계 509).
사용자가 코드 메세지 모드 버튼(53b)을 조작하면(단계 509), 소정 형식의 코드 메세지가 제23(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화면(2)상에 불투명하게 투사되어서(텔롭(Telop)) 표시되고, 이와 동시에 메세지를 남긴 사람을 나타내는 화상(66)과 메세지 수신 일시(67)가 표시된다(단계 510). 메세지 수신 일시(67)로는 타이머(제3도)가 제공한 일시 정보가 사용된다. 코드 메세지(65)의 표시가 끝나면, “완료(DONE)” 마커가 부착된 아이콘(68)이 제23(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화면(2)(단계 511)에 표시된다.
그 다음, 원격 제어기(14)의 코드 메세지 모드 버튼(53b)을 조작하면(단계 512와 509), 다음 메세지가 표시된다. 원격 제어기(14)의 정지 버튼(54)을 조작하면(단계 512와 513), 아이콘(68)이 사라지고 제2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화면의 표시 상태가 다시 표시된다(단계 514).
(단계 514)의 상태에서, 원격 제어기(14)의 소거 버튼(55)을 조작하지 않으면 코드 메세지는 메모리내에 소거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게 된다. 이것은 예컨대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의 코드 메세지 LED의 턴 온 동작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코드 메세지 모드 버튼(53b)를 조작하면, 동작은 단계(509)에서부터 시작하여 코드 메세지를 대해서는 제23(c)도에 도시된 화상(66)에 “완료” 마커가 부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완료” 메세지가 이미 보였던 메세지임을 알 수가 있게 된다.
제23(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 메세지의 표시가 완료되었을 때에 원격 제어기(14)의 소거 버튼(55)을 조작하게 되면 이 코드 메세지는 소거된다. 이 경우, 메세지들은 하나씩 소거된다. 그러나, 물론 메모리내에 기억되어 있는 코드 메세지는 표시되지 않고 한번에 바로 소거될 수 있다.
또한, 물론 상술한 화상 대신에 정지 영상을 사용해도 된다. 제2도의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의 경우에는 예컨대 가족 구성원 모두의 얼굴에 대한 정지 영상을 비디오 카메라(7)로부터 등록하여 상술한 화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드 메세지는 제21도에 도시된 원격 제어기(14)를 통해 상대방에 전송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먼저 전화 버튼(53a)을 조작하여 숫자 버튼(58)을 통해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입력된 상대방의 전화번호(예컨대 “XXXX-XX-XXXX”)는 표시창(57)에 표시된다. 그 다음, 결정 버튼(59)을 조작하면 전화는 상대방에 호출을 발신하게 된다. 다음, 상대방과의 접속이 설정되면 사용자는 원격 제어기(14)의 숫자 버튼(58)을 조작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는 코드 메세지의 입력을 표시하는, 예컨대 “4649-”(“-”는 숫자 버튼(58)의 “#” 버튼으로부터 입력된다)를 입력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소정 형식의 원하는 코드 메세지에 대한 코드(이 경우, 예컨대 2자리 수치)를 입력한다. 예컨대, 입력 정보“4649-23”에 표시창(57)에 나타난다. 사용자가 결정 버튼(59)을 조작하면, 지정된 코드 “23”에 해당하는 소정 형식의 메세지가 코드 메세지로서 상대방에 전송되고 메모리에 기억된다.
[4] TV 전화 모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2(제2도)에서는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는 전화선에 접속되어 TV 전화 기능도 갖게 된다. 원격 제어기(14)(제21도)의 TV 전화 모드 버튼(52)을 조작하여 TV 전화 모드를 설정하고, 예컨대 원격 제어기(14)의 숫자 버튼(58)을 통해 상대방의 TV 전화번호를 입력한 경우에는, 사용자 화면과 상대방 화면이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의 표시 화면에 부화면으로서 표시되므로 상대방과 통화가 가능하다. 이 경우, 수신 영상은 주화면으로서 표시되나 수신 영상에 수반하는 음성은 소음(mute)된다. 원격 제어기(14)에서는 상대방이 입력 전화번호가 확인을 위해 표시창(57)에 표시된다.
상술한 TV 전화도 실시예 2에서 메세지 기능을 제공해 주는데, 이에 대해서 제21도, 제24도, 제25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가 원격 제어기(14)(제21도)의의 자동 응답 모든 버튼(56)의 조가에 의해서 자동 응답 모드에 있거나(단계 601) 또는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가 전원 온 상태(단계 602)에 있지 않을 때에 TV 전화 호출이 들어오는 경우에는,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는 상대방으로부터 영상과 음성 메세지를 수신하는 상태가 된다.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에서 제어기(8)가 동작하여 기록 매체(9)에 메세지를 기록한다(단계 603). 기록 동작이 완료되면, 제어기(8)는 발광부(12)를 구동하여 TV 전화용 메세지 LED를 턴 온시킨다(단계 604).
TV 전화 모드에서도 기록 매체(9)에 기록 영역이 할당되며 TV 전화 LED도 제1도와 제2의 메세지 LED(6)와 겸용해도 된다.
그후, 가족 구성원이 TV 전화 LED가 예컨대 온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 메세지를 보기를 원하는 경우(단계 605), 사용자는 전원이 오프되어 있다면,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에 전원을 넣는다(단계 606).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의 표시 화면(2)은 제25(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기(14)의 TV 전화 버튼(52)을 조작하면 TV 전화 메세지가 기록 매체(9)(제3도)에서 재생되고 상대방 영상이 제25(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화면(69)에 표시된다(단계 608).
이 메세지 표시를 중단하기 위해서는(단계 609), 사용자는 원격 제어기(14)의 정지 버튼(54)을 조작하기만 하면 되고(단계 610), 이에 따라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의 표시 화면(2)은 수신 영상만이 보여지는 통상 화면을 다시 표시하게 된다(단계 611).
기록 매체(9)로부터 메세지를 재생하는 동안에는, 제25(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방 영상이 보여지는 부화면(69)의 예컨대 아래에 원-터치(one-touch) 키(70)가 표시된다. 제25(b)도의 메세지를 보고서 TV 전화를 통해 상대방과 통화하고자 하면(단계 612), 커서(도시 안됨)를 가지고 그 원-터치 키(70)를 지정하면 한다(단계 613). 상대방으로의 호출이 발신된다(단계 614). 상대방과 통해지면, 사용자의 부화면(71)과 상대방의 부화면(72)이 제2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화면(2)에 표시되고 상대방과의 통화가 가능해진다(단계 615). 이 통화는 원격 제어기(14)의 마이크로폰(61)과 스피커(62) 또는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의 마이크로폰(3)(제2도)과 스피커(10,11)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에는 사용자의 친척과 같은 필요한 전화번호들이 그 코드와 함께 등록된다. 이들 친척 중 한명으로부터 호출이 있는 경우, 전화 접속이 설정되고 해당 코드도 그 호출과 함께 들어온다. 코드를 수신하면,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는 이 코드를 메세지와 함께 기록한다. 제25(c)도의 화면에서 원-터치 키(70)가 지정되면, 기록된 코드가 독출되고 이 코드에 해당하는 전화번호가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에 등록되어 있는 전화번호들 중에서 선택되어 상대방을 호출하게 된다. 따라서, 간단한 조작으로 상대방을 자동으로 호출할 수가 있다.
제24도에서,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가 자동 응답 모드에 있지 않고(단계 601) 전원 온 상태에 있을 때에(단계 602) 상대방으로부터 호출이 들어오는 경우에는 원격 제어기(14)의 TV 전화 버튼(52)을 조작하면 상대방과의 통화가 제25(c)도에 도시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가 원격 제어기(14)의 자동 응답 버튼(56) 조작에 의해 자동 응답 모드에 있고(단계 601) 전원 온 상태에 있지 않은 때에(단계 602) 상대방으로부터 호출이 들어오는 경우에는 호출이 들어왔을 때에 TV 전화 버튼(52)을 조작하면 상대방과의 통화가 가능해져(단계 615) 제25(c)도의 화면이 제공된다.
따라서, TV 전화 모드에서 수신된 메세지를 나중에 들을 수가 있다.
물론, 상술한 TV 전화 모드에서 사용자는 원격 제어기(14)의 숫자 버튼(58)을 조작하여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상대방을 호출할 수가 있다(이때는 상대방의 입력된 전화번호는 원격 제어기(14)의 표시창(57)에 표시된다). 제25(b)도의 상태에서는 원-터치 키(70) 대신에 원격 제어기(14)의 숫자 키(58)를 조작하여 상대방을 호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5(b)도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부화면(69)에 메세지 입력 일시와 시각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메세지 입력 일시와 시각으로는 타이머(8a)(제3도)에서 제공한 일시 정보가 사용된다.
상기 설명에서, 원-터치 키(70)를 지정할 때에 상대방이 자동으로 호출된다. 본 실시예는 원-터치 키(70)를 지정하면 표시 화면에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이것을 보면서 원격 제어기(14)를 사용하여 전화번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모드들은 모두 공통의 원격 제어기(14)로 조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6도는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된 원격 제어기(14)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동도에서, 도면 부호 74는 메세지 버튼, 도면 부호 75는 표시 버튼이다. 제26도, 제4도 및 제12도의 버튼들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조작 버튼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할당한다.
제26도에서, 제5도 내지 제10도을 참조하여 설명된 메세지 모드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메세지 버튼(74)을 조작하기만 하면 된다. 이것은 메세지 모드 전용의 녹음 버튼(22)과 재생 버튼(23)을 작동시켜 메세지 녹음과 재생이 가능하게 한다. 음성은 마이크로폰(61)을 통해 입력된다.
인터콤 모드에서는, 제13도 내지 제19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인터콤(15)(제3도)으로부터 들어오는 정보(차임 음)가 인터콤 모드 전용의 표시 버튼(38), 응답 버튼(39), 및 소거 버튼(40)을 작동시켜 인터콤 모드를 설정하기 때문에 이 모드를 설정하는데 특별한 조작 버튼이 필요없다.
제20도 내지 제23도을 참조하여 설명된 코드 메세지 모드에서는 사용자는 수신된 코드 메세지를 듣게 된 경우에 코드 메세지 버튼(53b)을 조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코드 메세지 버튼(53b)을 조작하면 기록 매체(9)로부터 코드 메세지가 재생되어 표시된다. 정지 버튼(54)을 조작하면 코드 메세지 모드가 정지된다. 소거 버튼(55)을 조작하면 기록 매체(9)에 기록되어 있던 코드 메세지가 소거된다. 코드 메세지를 상대방에 전송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전화 버튼(53a)을 조작하여 상기 설명된 버튼 조작을 행한다.
제21도, 제24도 및 제25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TV 전화 모드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TV 전화 버튼(66)을 조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TV 전화 버튼(52)을 조작하면 기록 매체(9)에 기록되어 있는 TV 전화 메세지가 재생 및 표시된다. 정지 버튼(54)을 조작하면 이들 재생 및 표시 동작이 정지된다. 소거 버튼(55)을 조작하면 기록 매체(9)에 기록되어 있는 TV 전화 메세지가 소거된다. 이 TV 전화 모드에서는 숫자 버튼(58) 조작으로 입력된 전화번호가 표시창(57)에 표시된다. 결정 버튼(59)을 조작하면 입력된 전화번호의 상대방으로의 호출이 이루어진다. TV 전화 모드가 종료되면 표시창(57)에서 전화번호가 사라진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상술한 모드 각각에 대해서 메세지가 재생 및 표시된다. 본 실시예는 또한 모드 구별없이, 예컨대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1)에 메세지가 입력된 순서로 재생 및 표시되게끔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재생 및 표시는 제26도에서 예컨대 모드 버튼(75)을 조작하여 실행될 수 있다. 각 모드에서 메세지 각각이 타이머(8a)(제3도)에 의해 제공된 입력 일시 및 시각 정보와 함께 기록 매체(9)에 기록되므로, 표시 모드 버튼(75)을 조작하면 메세지가 그 입력 일시 및 시각 정보에 따라서 기록 매체(9)로부터 선입 선출 방식으로 독출된다.
제27도는 상술한 경우의 표시 화면에서의 표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표시 화면에서는 3개의 부화면(76 내지 78)이 표시된다. 부화면(76)은 메세지 모드에서의 영상을 나타내며, 부화면(77)은 코드 메세지 모드에서의 영상을 나타내며, 부화면(78)은 TV 전화 모드에서의 영상을 나타낸다. 각각의 부화면에서는 메세지 입력 일시 및 시각이 표시되며 메세지의 모드를 표시하기 위한 문자나 아이콘이 표시된다.
이러한 표시된 메세지들을 보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제26도의 원격 제어기(14)에서 커서 키(50)를 조작하여 프레임형 커서를 원하는 부화면으로 이동시켜 상술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결정 버튼(59)을 조작한다.
각각의 부화면(76 내지 78)은 기록 매체(9)에 기억되어 있는 메세지 갯수와 분수 형태로 된 보존 순서를 나타낸다. 다른 메세지가 있음을 나타내는 삼각형 마커(80)도 표시된다. 표시된 메세지 이외의 메세지를 보기 위해서는 커서 키(50)를 조작하여 커서(79)를 표시 화면(2)의 상단이나 하단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서 새로운 메세지가 상하로 스크롤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여러가지 메세지 전송 방법이 이용될 수 있고, 텔레비젼 수상기의 홈 커뮤니케이션 장치로서의 기능이 크게 향상되므로 결과적으로 텔레비젼 수상기의 이용 가치가 높아진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설명은 단지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의 본질과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여러가지 수정이나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8)

  1. 텔레비젼 신호를 수신하여 화면에 텔레비젼 영상을 표시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메모리 수단; 외부로부터 음성 정보를 입력시키는 마이크로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 정보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 수단; 및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억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 정보를 재생하여 이 재생된 음성 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 정보와 관련된 상기 부가 정보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정보와 관련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음성 정보를 입력시킨 사람과 관련되며,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화면에서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정보와 관련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음성 정보가 입력된 시간을 표시하는 시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억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 정보가 상기 화면에 표시된 상기 아이콘 상에서 수행되는 지시에 응답하여 재생되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은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음성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개로 표시되고,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지정이 해당 정보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억된 상기 음성 정보가 외부로부터 지정된 재생 시작 시간에 따라서 재생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정보가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억되어 있음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8. 텔레비젼 신호를 수신하여 화면에 텔레비젼 영상을 표시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메모리 수단; 외부로부터 음성 정보를 입력시키는 마이크로폰; 외부로부터의 영상 정보를 입력시키기 위한 비디오 카메라;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상기 음성 정보와 상기 음성 정보가 입력될 때에 상기 비디오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상기 영상 정보를 상호 관련되게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 수단; 및 외부로부터의 주어진 지시에 따라서,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억된 상기 음성 정보를 재생하여 이 재생된 음성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또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억된, 상기 음성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 정보를 재생하여 이 재생된 영상 정보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정보의 재생시에 표시되는 상기 영상 정보는 정지 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10. 원격 제어기로 제어 가능한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젼 수상기가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원격 제어기 상에 설치된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음성 정보가 무선 방식으로 상기 텔레비젼 수상기에 전송되고, 이 전송된 음성 정보는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억되고,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억된 정보는 재생되어 스피커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11. 텔레비젼 신호를 수신하여 화면에 텔레비젼 영상을 표시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상호 통신 시스템 상에 설치된 호출 스위치 상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상호 통신 시스템 상에 설치된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들어오는 비디오 영상이 상기 텔레비젼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상의 한 영역에 표시되고, 상기 상호 통신 시스템 상에 설치된 마이크로폰으로부터 들어오는 음성 정보는 스피커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젼 수상기가 좌측 스피커 및 우측 스피커를 구비하고, 상기 상호 통신 시스템 상에 설치된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들어오는 상기 음성 정보가 상기 좌측 스피커와 상기 우측 스피커 중 어느 한 스피커로 출력되고, 상기 텔레비젼 신호에 반송된 오디오 신호는 나머지 다른 스피커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스피커 및 상기 우측 스피커 중 어느 한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음성 정보는 상기 텔레비젼 신호에 반송되어 상기 나머지 다른 스피커로 출력되는 상기 오디오 신호보다 음량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통신 시스템 상에 설치된 상기 호출 스위치를 눌러서 발생된 차임 음(chime sound)이 상기 좌측 스피커와 상기 우측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한 스피커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15. 텔레비젼 신호를 수신하여 화면에 텔레비젼 영상을 표시하며 메모리 수단을 구비한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상호 통신 시스템 상에 설치된 호출 스위치 상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상호 통신 시스템 상에 설치된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들어오는 영상 정보와 상기 상호 통신 시스템 상에 설치된 마이크로폰으로부터 들어오는 음성 정보가 상호 관련되어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정보와 상기 영상 정보가 각각 상기 메모리 수단에 복수의 부분 정보로 기억되고, 상기 복수의 영상 정보 중 적어도 2개의 정보가 상기 화면의 한 영역에서 정지 화상 부화면으로 표시되고, 상기 2개의 부화면 중 어느 한 부화면이 외부로부터의 주어진 지시에 따라 선택되면 그 선택된 부화면이 동화로 되고(animated)이 동화로 된 부화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가 재생되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17. 텔레비젼 신호를 수신하여 화면에 텔레비젼 영상을 표시하며, 전화선에 접속되어 있고, 메모리 수단을 구비한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상기 전화선을 통해 전화기로부터 들어오는 정보는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억되고, 이 기억된 정보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는 외부로부터의 주어진 지시에 따라서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선을 통해 전화기로부터 들어오는 정보가 상기 전화기에 입력된 임의 값을 나타내는 코드이고, 상기 코드에 대해서 정해진 문장이 상기 화면에 영상 정보로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KR1019960035025A 1995-08-24 1996-08-23 텔레비젼 수상기 KR1002323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216325A JPH0965224A (ja) 1995-08-24 1995-08-24 テレビ受像機
JP95-216325 1995-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257A KR970014257A (ko) 1997-03-29
KR100232368B1 true KR100232368B1 (ko) 1999-12-01

Family

ID=16686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5025A KR100232368B1 (ko) 1995-08-24 1996-08-23 텔레비젼 수상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36679A (ko)
EP (2) EP1024662B1 (ko)
JP (1) JPH0965224A (ko)
KR (1) KR100232368B1 (ko)
DE (1) DE6963380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5515B1 (en) * 1992-02-19 2001-04-10 Netergy Networks, Inc. Videocommunicating device with an on-screen telephone keypad user-interface method and arrangement
US6239794B1 (en) 1994-08-31 2001-05-29 E Guide, Inc. Method and system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a television program and information about the program
US8793738B2 (en) 1994-05-04 2014-07-29 Starsight Telecast Incorporated Television system with downloadable features
US6769128B1 (en) 1995-06-07 2004-07-2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Electronic television program guide schedule system and method with data feed access
US8850477B2 (en) 1995-10-02 2014-09-30 Starsight Telecas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inking television viewers with advertisers and broadcasters
US6732369B1 (en) 1995-10-02 2004-05-04 Starsight Telecas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xtually linking television program information
US6323911B1 (en) 1995-10-02 2001-11-27 Starsight Telecast,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elevision schedule information
US5940073A (en) 1996-05-03 1999-08-17 Starsight Telecast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other information in a TV program guide
US6088064A (en) * 1996-12-19 2000-07-11 Thomson Licensing S.A.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auxiliary information proximate an auxiliary image in a multi-image display
US6687906B1 (en) 1996-12-19 2004-02-03 Index Systems, Inc. EPG with advertising inserts
US6177931B1 (en) 1996-12-19 2001-01-23 Index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and recording control interface with television programs, video, advertising information and program scheduling information
US8635649B2 (en) 1996-12-19 2014-01-21 Gemstar Developmen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odifying advertisement responsive to EPG information
JP3671590B2 (ja) * 1997-01-23 2005-07-13 ソニー株式会社 表示方法、表示装置及び通信装置
AU733993B2 (en) * 1997-07-21 2001-05-31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and recording control interfaces
US6604240B2 (en) 1997-10-06 2003-08-05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system with operator showcase
GB2331423A (en) * 1997-11-14 1999-05-19 Eric Rippingale Displaying E-mail messages on a television screen
DE19754382A1 (de) * 1997-12-08 1999-06-10 Siemens Nixdorf Inf Syst Gerätekombination aus Fernseh- und Rechnerteil mit Zugriff zu einem Kommunikationsnetz sowie Fernbedienung dafür
US6087927A (en) * 1998-01-30 2000-07-11 Techknow, Inc. Order communication system for restaurant
US7185355B1 (en) 1998-03-04 2007-02-2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Program guide system with preference profiles
US6564379B1 (en) 1998-04-30 2003-05-13 United Video Properties, Inc. Program guide system with flip and browse advertisements
US20020095676A1 (en) 1998-05-15 2002-07-18 Robert A. Knee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system for determining user values for demographic categories
US6625140B1 (en) * 1998-05-25 2003-09-23 Sanyo Electric Co., Ltd. Communication terminal, repeater, peripheral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memory medium
US6154771A (en) * 1998-06-01 2000-11-28 Mediastra, Inc. Real-time receipt, decompression and play of compressed streaming video/hypervideo; with thumbnail display of past scenes and with replay, hyperlinking and/or recording permissively intiated retrospectively
US6442755B1 (en) 1998-07-07 2002-08-2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Electronic program guide using markup language
CN1867068A (zh) 1998-07-14 2006-11-22 联合视频制品公司 交互式电视节目导视系统及其方法
US6898762B2 (en) 1998-08-21 2005-05-24 United Video Properties, Inc. Client-server electronic program guide
US6599194B1 (en) * 1998-09-08 2003-07-29 Darren Smith Home video game system with hard disk drive and internet access capability
US6587154B1 (en) * 1998-09-30 2003-07-01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video signals
US6614470B1 (en) * 1999-02-26 2003-09-02 Sony Corpor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data compatible with a television receiver
MXPA01013446A (es) 1999-06-28 2002-08-06 Index Systems Inc Sistema y metodo para utilizar bases de datos de guia electronica de programas para modificar anuncios.
WO2001001689A1 (en) 1999-06-29 2001-01-04 United Video Propert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a video-on-demand-related interactive display within an interactive television application
KR20010009069A (ko) * 1999-07-07 2001-02-05 윤종용 방문자정보를 알려주는 tv수신기 및 그 방법
GB9920214D0 (en) * 1999-08-27 1999-10-27 Pace Micro Tech Ltd Audio messages
FR2805700B1 (fr) * 2000-02-25 2002-08-09 Sagem Dispositif de reception de signaux de television et de visioconference
US20010037509A1 (en) * 2000-03-02 2001-11-01 Joel Kligman Hybrid wired/wireless video surveillance system
EP2309440A1 (en) 2000-03-31 2011-04-13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etadata-linked advertisements
US8086697B2 (en) 2005-06-28 2011-12-27 Claria Innovations, Llc Techniques for displaying impressions in documents delivered over a computer network
US7475404B2 (en) 2000-05-18 2009-01-06 Maquis Techtrix Llc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click-through for browser executed software including ad proxy and proxy cookie caching
US6529233B1 (en) 2000-09-29 2003-03-04 Dige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video and audio capture and communication
US6944880B1 (en) 2000-09-29 2005-09-13 Digeo, Inc. Methods for audio capture and communication during television broadcasts
WO2002030117A1 (en) * 2000-09-29 2002-04-11 Dige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ideo and audio capture and communication
CN100397899C (zh) 2000-10-11 2008-06-25 联合视频制品公司 提供数据存储到点播媒体传递系统中服务器上的系统和方法
US20020054206A1 (en) * 2000-11-06 2002-05-09 Allen Paul G. Systems and devices for audio and video capture and communication during television broadcasts
US20050039214A1 (en) * 2001-02-21 2005-02-17 Lorenz Kim 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irect, context-sensitive customer support in an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US20040244056A1 (en) * 2001-02-21 2004-12-02 Lorenz Kim 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irect, context-sensitive customer support in an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KR100400002B1 (ko) * 2001-03-09 2003-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방송 시스템의 부가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2271782A (ja) * 2001-03-12 2002-09-20 Sony Corp 陰極線管
US20020130972A1 (en) * 2001-03-14 2002-09-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elevision receiver having a notepad/message recorder functionality
US7209187B2 (en) * 2001-05-08 2007-04-24 Thomson Licensing System for selectively extinguishing a light source that illuminates a television power button
US20030001908A1 (en) * 2001-06-29 2003-01-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icture-in-picture repositioning and/or resizing based on speech and gesture control
US9544523B2 (en) 2001-08-06 2017-01-10 Ati Technologies Ulc Wireles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7053863B2 (en) 2001-08-06 2006-05-30 Ati International Srl Wireless device method and apparatus with drawing command throttling control
US20030041332A1 (en) * 2001-08-21 2003-02-27 Allen Paul G. System and method for mitigating interruptions during television viewing
US20030041331A1 (en) * 2001-08-21 2003-02-27 Allen Paul G. System and method for mitigating interruptions during television viewing
US20030041333A1 (en) * 2001-08-27 2003-02-27 Allen Paul 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nswering and recording video calls
US7324947B2 (en) 2001-10-03 2008-01-29 Promptu Systems Corporation Global speech user interface
US20040080622A1 (en) * 2001-11-16 2004-04-29 Bernd Gombert Input device, webcam and screen having a voice input function
US7320137B1 (en) 2001-12-06 2008-01-15 Digeo,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personalized editions of media programs using bookmarks
US20030122966A1 (en) * 2001-12-06 2003-07-03 Digeo, Inc. System and method for meta data distribution to customize media content playback
TWI254551B (en) * 2001-12-11 2006-05-01 Primax Electronics Ltd Electronic answering machine
KR20030053548A (ko) * 2001-12-22 2003-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메모 기능을 구비한 영상처리장치와 영상 메모 기록및 재생 방법
US20030202006A1 (en) * 2002-04-30 2003-10-30 Callway Edward G. Set top box and associated method of operation to facilitate display of locally sourced display data
KR101020320B1 (ko) * 2002-09-12 2011-03-08 톰슨 라이센싱 개인용 비디오 메시지 시스템
KR20040024368A (ko) * 2002-09-14 200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전화 기능을 갖는 tv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7603341B2 (en) 2002-11-05 2009-10-13 Claria Corporation Updating the content of a presentation vehicle in a computer network
US7878908B2 (en) * 2002-11-14 2011-02-01 Nintendo Co., Ltd. Multiplexed secure video game play distribution
US7493646B2 (en) 2003-01-30 2009-02-1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s with digital video recording and adjustable reminders
US20040203387A1 (en) * 2003-03-31 2004-10-14 Sbc Knowledge Ventures, L.P.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ances with a wireless data enabled remote control
KR100937418B1 (ko) * 2003-08-09 2010-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재중 메시지 저장 기능을 갖는 pvr 장치 및 그 방법
US7984468B2 (en) 2003-11-06 2011-07-19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rogram suggestions in an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US7167418B2 (en) * 2004-01-06 2007-01-2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Television including a timer
US7432990B2 (en) * 2004-01-06 2008-10-07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Open aquos remote control unique buttons/features
US20050149991A1 (en) * 2004-01-06 2005-07-07 Hallberg Bryan S. Method and apparatus for finding applications and relating icons loaded on a television
US20050166255A1 (en) * 2004-01-06 2005-07-28 Hallberg Bryan S. Operation modes for a personal video recorder
US20050149969A1 (en) * 2004-01-06 2005-07-07 Vishnu Kumar TV graphical menu interface that provides browseable listing of connected removable media content
US7221407B2 (en) * 2004-01-06 2007-05-22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Television having a java engine and a removable device port
US20050149973A1 (en) * 2004-01-06 2005-07-07 Fang Henry Y. Television with application/stream-specifiable language selection
US20050185102A1 (en) * 2004-01-06 2005-08-25 Fairhurst Jon A. Single touch launch of remote applications over video
US7176794B2 (en) * 2004-01-06 2007-02-1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audio input using a television
US20050149971A1 (en) * 2004-01-06 2005-07-07 Hallberg Bryan S. Interactive television hot key manager
US7746357B2 (en) * 2004-01-06 2010-06-29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Dual-plane graphics
US20050149967A1 (en) * 2004-01-06 2005-07-07 Hanley Mark G.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oftware alert messages on televisions
TWI234752B (en) * 2004-02-19 2005-06-21 Benq Corp On screen display (OSD) device and message displaying method thereof
JP2005257525A (ja) * 2004-03-12 2005-09-22 Orion Denki Kk クイックタイマー設定表示装置
US20050281417A1 (en) * 2004-06-18 2005-12-22 Gregory Toprover Media device
JP4537147B2 (ja) * 2004-08-06 2010-09-01 富士通株式会社 端末装置、メッセージ表示方法及びメッセージ表示プログラム
US8078602B2 (en) 2004-12-17 2011-12-13 Claria Innovations, Llc Search engine for a computer network
US8255413B2 (en) 2004-08-19 2012-08-28 Carhamm Ltd.,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ponding to request for information-personalization
US20060093320A1 (en) * 2004-10-29 2006-05-04 Hallberg Bryan S Operation modes for a personal video recorder using dynamically generated time stamps
US7693863B2 (en) 2004-12-20 2010-04-06 Claria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publishing cross-network user behavioral data
US8073866B2 (en) 2005-03-17 2011-12-06 Claria Innovations, Llc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o an internet user based on the user's demonstrated content preferences
TW200743385A (en) * 2006-05-05 2007-11-16 Amtran Technology Co Ltd Method of audio-visual communication using television and television using the same
US7788266B2 (en) 2005-08-26 2010-08-31 Veveo,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mbiguous, multi-term search queries
US7742068B2 (en) * 2005-09-14 2010-06-22 Sorenson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auto configuration in a video phone system
US7746984B2 (en) * 2005-09-14 2010-06-29 Sorenson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call initiation in a video relay service
US20070057912A1 (en) * 2005-09-14 2007-03-15 Romriell Joseph 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interface of a device through motion gestures
US7746985B2 (en) * 2005-09-14 2010-06-29 Sorenson Communications, Inc.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relay call transfer service
US9113107B2 (en) 2005-11-08 2015-08-18 Rovi Guides, Inc. Interactive advertising and program promotion in an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US20070156521A1 (en) 2005-12-29 2007-07-05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mmerce in media program related merchandise
US7774294B2 (en) 2006-03-06 2010-08-10 Veveo,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electing and presenting content based on learned periodicity of user content selection
WO2007107685A1 (en) * 2006-03-23 2007-09-27 Nds Limited System for analysis of motion
US8316394B2 (en) 2006-03-24 2012-11-20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with intelligent navigation and display features
RS49875B (sr) * 2006-10-04 2008-08-07 Micronasnit, Sistem i postupak za slobodnu govornu komunikaciju pomoću mikrofonskog niza
US8832742B2 (en) 2006-10-06 2014-09-09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cquiring, categorizing and delivering media i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s
US7801888B2 (en) 2007-03-09 2010-09-21 Microsoft Corporation Media content search results ranked by popularity
JP2008288704A (ja) * 2007-05-15 2008-11-27 Sony Corp 記録システム、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80108834A (ko) * 2007-06-11 2008-12-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음성 또는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리모콘과 통신겸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WO2008152725A1 (ja) * 2007-06-14 2008-12-18 Fujitsu Limited 電話付加サービス通信制御システム
TWI385932B (zh) 2008-03-26 2013-02-11 Asustek Comp Inc 遙控器以及其系統
US10063934B2 (en) 2008-11-25 2018-08-28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Reducing unicast session duration with restart TV
US9166714B2 (en) 2009-09-11 2015-10-20 Veveo, Inc. Method of and system for presenting enriched video viewing analytics
US8359616B2 (en) 2009-09-30 2013-01-22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dvertisements using a media guidance application
US20110242268A1 (en) * 2010-03-31 2011-10-06 Jin Kim Television Appliance
WO2012094564A1 (en) 2011-01-06 2012-07-12 Veveo, Inc. Methods of and systems for content search based on environment sampling
US9323250B2 (en) 2011-01-28 2016-04-26 Intouch Technologies, Inc. Time-dependent navigation of telepresence robots
US9098611B2 (en) 2012-11-26 2015-08-04 Intouch Technologies, Inc. Enhanced video interaction for a user interface of a telepresence network
US8805418B2 (en) 2011-12-23 2014-08-12 United Video Propert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actions based on location-based rules
US9361021B2 (en) 2012-05-22 2016-06-07 Irobot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s including touchpad driving interfaces for telemedicine devices
EP2852881A4 (en) 2012-05-22 2016-03-23 Intouch Technologies Inc GRAPHIC USER INTERFACES CONTAINING TOUCH PAD TOUCH INTERFACES FOR TELEMEDICINE DEVICES
US20140195334A1 (en) 2013-01-10 2014-07-10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data driven media placement
US9848276B2 (en) 2013-03-11 2017-12-19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configuring a user equipment device with content consumption material
WO2015180057A1 (zh) * 2014-05-28 2015-12-03 赛胜源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家用电器的控制器及控制器的设置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2201A (ko) * 1991-05-16 1992-12-19 이헌조 자막방송의 문자, 음성정보 기록/재생시스템
KR940004527Y1 (ko) * 1991-12-05 1994-07-07 원영식 랩(wrap) 절단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7847A (en) * 1981-08-10 1984-01-24 Zenith Radio Corporation Television/telephone system with annunciator and intercom feature
JPS63312758A (ja) * 1987-06-16 1988-12-21 Sharp Corp 伝言装置
JP2698105B2 (ja) * 1987-07-28 1998-01-19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テレビジョン受像機
DE3727575A1 (de) * 1987-08-19 1989-03-02 Nordmende Gmbh Elektronisches geraet mit speicherplaetzen
JPH01289376A (ja) * 1988-05-17 1989-11-21 Sanyo Electric Co Ltd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900003837A (ko) * 1988-08-30 1990-03-27 최근선 음성 메세지 기억 회로 및 이를 위한 마이콤 제어 방법
US4959713A (en) * 1989-10-10 1990-09-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ome automation system
JPH0723357A (ja) * 1993-06-30 1995-01-24 Casio Comput Co Ltd テレビ電話装置
US5706334A (en) * 1994-08-18 1998-01-06 Lucent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providing a graphical control interface
US5592234A (en) * 1994-12-22 1997-01-07 U.S. Philips Corporation Interface system for a television receiver
DE29502208U1 (de) * 1995-02-10 1995-03-23 Metz Werke Gmbh & Co Kg Fernsehempfänger mit einem Datenspeicher
JPH08256297A (ja) * 1995-03-17 1996-10-01 Toshiba Corp 2画面テレビ受像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2201A (ko) * 1991-05-16 1992-12-19 이헌조 자막방송의 문자, 음성정보 기록/재생시스템
KR940004527Y1 (ko) * 1991-12-05 1994-07-07 원영식 랩(wrap) 절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36679A (en) 1999-08-10
KR970014257A (ko) 1997-03-29
EP1024662A1 (en) 2000-08-02
DE69633801T2 (de) 2005-11-03
EP1024662B1 (en) 2004-11-03
DE69633801D1 (de) 2004-12-09
EP0762751A3 (en) 1998-08-05
JPH0965224A (ja) 1997-03-07
EP0762751A2 (en) 1997-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2368B1 (ko) 텔레비젼 수상기
US5179439A (en) Personal channel display device in a tv program reservation system
US6487422B1 (en) Wireless telephone having remote controller function
JPH082091B2 (ja) テレビ予約システムにおけるチヤンネル表示装置
KR20000070998A (ko) 헬프 시스템
JPH10224488A (ja) テレビドアホン
JPH04276342A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遠隔制御システム
US5721767A (en) Video player with telephone interface to provide telephone answering and dialing functions with on-screen display
US20070171307A1 (en) Media playback system with real-time camera image display and method thereof
JP3901118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WO2009092296A1 (zh) 用于播放媒体信息的可视终端和方法
JPH05276257A (ja) ドアホン子器、インターホン親機、ロビーインターホン及びこれらを使用した不在時伝言録音機能付き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4266548A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S61128664A (ja) インタ−ホン装置
JP4056704B2 (ja) テレビ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0448248B1 (ko) 방문자의 스틸 이미지와 음성 메시지를 저장 및 재생하는도어폰 시스템
JP3198551B2 (ja) テレビ番組記録再生装置
JP2543043B2 (ja) 映像メモリ付テレビドアホン装置
KR200196349Y1 (ko) 텔레비젼의 동시화면 회로를 이용한 비디오폰 영상 표시장치
KR100241427B1 (ko) 컴퓨터통신을 이용한 브이씨알의 예약녹화 방법 및 장치
JPH0718198Y2 (ja) リモコン付き電話機
JP2000341423A (ja) ドアホン装置
JPH07110064B2 (ja) 遠隔受付応対システム
JPS62135058A (ja) 留守番機能付ドアフオン装置
JPS61296845A (ja) 留守番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