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349Y1 - 텔레비젼의 동시화면 회로를 이용한 비디오폰 영상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텔레비젼의 동시화면 회로를 이용한 비디오폰 영상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349Y1
KR200196349Y1 KR2019970038844U KR19970038844U KR200196349Y1 KR 200196349 Y1 KR200196349 Y1 KR 200196349Y1 KR 2019970038844 U KR2019970038844 U KR 2019970038844U KR 19970038844 U KR19970038844 U KR 19970038844U KR 200196349 Y1 KR200196349 Y1 KR 2001963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itor
signal
video
circuit
video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88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6309U (ko
Inventor
장윤기
김공수
Original Assignee
박상규
아남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규, 아남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상규
Priority to KR20199700388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349Y1/ko
Publication of KR199900263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3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3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3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6Video 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Abstract

본 고안은 비디오폰을 텔레비젼의 외부기기 연결단자에 연결하여 집안에 사람이 없더라도 방문자의 영상을 내부 기억장치에 자동 기억하고 표시할 수 있는 비디오폰 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비디오폰(21)을 텔레비젼의 외부기기 연결단자에 접속하여 방송 영상신호와 비디오폰 화상신호를 텔레비젼 화면에 동시 표시함에 있어서, 비디오폰(21)으로 부터 전송되는 방문자 화상을 TV 본체 내부(10)로 인입시키는 비디오폰 연결단자(24)와, 방문자 화상신호의 존재 유, 무를 판별하여 이를 디지털 신호로 출력하는 신호판별 회로(5)와, 방송 영상신호와 방문자 화상신호를 동시에 입력받아 이를 TV 브라운관(16)에 동시에 표시하기 위한 동시화면 회로(7)와, 상기 방문자 화상신호를 기록, 판독하는 기억장치(7b)와, 상기 신호판별회로(5)로 부터 방문자 화상신호의 존재를 나타내는 판별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방문자 화상신호를 상기 기억장치(7b)에 저장하고, 방문자 확인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기억장치(7b)에 저장된 방문자 화상신호를 판독하여 이를 방송 영상신호와 동시에 표시할 수 있도록 편집하는 제어장치(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외출하여 부재중인 경우에도 방문자의 모습을 TV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 종래의 비디오폰과 TV의 기능을 확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활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텔레비젼의 동시화면 회로를 이용한 비디오폰 영상 표시장치
본 고안은 텔레비젼의 동시화면(PIP)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디오폰을 텔레비젼의 외부기기 연결단자에 연결하여 집안에 사람이 없더라도 방문자의 영상을 내부 기억장치에 자동 기억하고 표시할 수 있는 비디오폰 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단독주택의 문앞에 설치된 비디오폰은 집안에서 방문자의 모습을 통해 신원을 확인하는 장치이다. 즉, 방문자가 문밖에 설치된 초인종을 누르면 비디오폰의 카메라가 방문자의 화상을 촬영하여 이를 케이블을 통해 집안의 비디오폰 수신장치에 전달하여 방문자의 인상착의를 확인하게 된다.
집안에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비디오폰 수신장치를 통해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지만 모두 외출하고 없을 경우에는 방문자를 확인할 수가 없다. 따라서, 본 고안자들은 사용자가 모두 외출한 상태에서 방문자가 방문했을 때 방문자의 화상을 촬영하여 이를 기억하고 추후에 이를 TV 브라운관에 표시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게 되었다.
즉, 최근의 TV에는 방송영상 뿐만 아니라 외부기기의 영상을 동시에 화면에 나타낼 수 있는 동시화면(PIP : Picture In Picture) 회로가 설치되어 있어 이를 활용한다면 비디오폰의 기능을 획기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음에 착안하게 되었다.
이러한 착상에 근거한 본 고안의 목적은 비디오폰이 설치되어 있는 가정에서 집안에 사람이 없는 경우 방문자가 와서 비디오폰을 동작시키고 주인이 없음을 확인하고 돌아간 후에 주인이 집에 돌아와서 TV를 이용하여 방문자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비디오폰(21)을 텔레비젼의 외부기기 연결단자에 접속하여 방송 영상신호와 비디오폰 화상신호를 텔레비젼 화면에 동시 표시함에 있어서, 비디오폰(21)으로 부터 전송되는 방문자 화상을 TV 본체 내부(10)로 인입시키는 비디오폰 연결단자(24)와, 방문자 화상신호의 존재 유, 무를 판별하여 이를 디지털 신호로 출력하는 신호판별 회로(5)와, 방송 영상신호와 방문자 화상신호를 동시에 입력받아 이를 TV 브라운관(16)에 동시에 표시하기 위한 동시화면 회로(7)와, 상기 방문자 화상신호를 기록, 판독하는 기억장치(7b)와, 상기 신호판별 회로(5)로 부터 방문자 화상신호의 존재를 나타내는 판별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방문자 화상신호를 상기 기억장치(7b)에 저장하고, 방문자 확인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기억장치(7b)에 저장된 방문자 화상신호를 판독하여 이를 방송 영상신호와 동시에 표시할 수 있도록 편집하는 제어장치(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서 실현될수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비디오폰 영상 표시장치가 내장된 텔레비젼의 내부회로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2도는 방문자의 방문이 있는 경우의 텔레비젼의 초기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제3도는 복수의 방문자를 주화면에 다중 출력시킨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제4도는 방송 영상신호를 주화면에 비디오폰 영상신호를 부화면에 다중출력시킨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제5도는 본 고안에 적용된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제어과정에 대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주화면 스위칭 회로 4 : 부화면 스위칭 회로
5 : 신호판별 회로 6 : 마이크로 콘트롤러
7 : 동시화면 회로 7a : PIP 제어부
7b : PIP 메모리 8 : 전원 공급장치
9 : 방문자 표시등 11 : EPROM
16 : 브라운관 21 : 비디오폰
22 : 비디오폰 수신장치 23 : 화상신호 케이블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비디오를 영상 표시장치가 적용된 TV의 내부회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통상의 컬러 TV 내부회로에 포함되어 있는 튜너부(1), 영상/음성 검파회로(2), 영상증폭회로(12), 매트릭스(13), 수평 및 수직 편향회로(14, 15), 브라운관(16), 음성조정회로(17), 음성증폭회로(18) 및 스피커(19)가 모두 포함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특히 강조되는 기술구성은 TV의 외부기기 연결단자(24)와, 주화면 및 부화면용 스위칭회로(3, 4), 동시화면 회로(7), 신호판별 회로(5), 마이크로 콘트롤러(6) 및 전원공급 장치(8)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외부기기 연결단자(24)는 VTR, VCR, 비디오폰 등과 같은 외부기기를 TV에 연결하는 수단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비디오폰(21)의 화상신호를 비디오폰 수신장치(22)로 전송하는 화상신호 케이블(23)을 분기하여 이를 TV내부(10)로 끌어들이는 비디오폰 연결단자(24a)가 추가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단자(24a)를 통해 비디오폰(21)의 화상신호는 비디오폰 수신장치(22)로 전달될 뿐만 아니라 TV 내부(10)의 신호판별 회로(5)와 주화면 및 부화면 스위칭 회로(3, 4)에 각기 전달된다.
상기 신호판별 회로(5)는 상기 비디오폰 연결단자(24a)를 통해 비디오폰 화상신호가 입력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입력될 경우에는 논리 하이(high)를 마이크로 콘트롤러(6)에 출력하고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논리 로우(low)를 마이크로 콘트롤러(6)에 출력하는 신호판별 수단이다. 상기 신호판별 회로(5)는 TV의 동작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상기 전원공급 장치(8)로 부터 공급되는 대기전원(Stand-By 전원)에 의해 정상 동작한다.
상기 주화면 스위칭 회로(3)는 텔레비젼의 주화면에 표시할 영상신호를 선택하는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존의 방송 영상신호, 외부기기의 영상신호에 비디오폰 화상신호가 추가 입력된다. 상기 주화면 스위칭 회로(3)가 3가지 이상의 입력 영상신호중 주화면에 표시할 영상신호를 선택하는 것은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6)의 제어신호에 따른다. 따라서, 마이크로 콘트롤러(6)가 비디오폰 화상신호를 선택하라는 제어신호를 상기 주화면 스위칭 회로(6)에 전달하면 스위칭 회로는 복수의 입력신호중 비디오폰 화상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상기 부화면 스위칭 회로(4) 역시 상기 주화면 스위칭 회로(3)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다만,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한 영상을 부화면에 출력하는 점이 다를 뿐이다.
상기 동시화면 회로(7)는 주화면 스위칭 회로(3)의 출력과 부화면 스위칭 회로(4)의 출력을 적절히 편집하기 위한 PIP 제어부(7a)와 비디오폰 화상신호를 기록하고 판독하기 위한 기억장치(7b)로 구성된다. 상기 기억장치(7b)는 반드시 동시화면 회로(7)내에 포함될 필요는 없다. 상기 동시화면 회로(7)의 PIP 제어부(7a)는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6)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상기 동시화면 회로(7)는 TV의 동작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도 상기 전원 공급장치(8)로 부터 공급되는 대기전원에 의해 정상 동작된다.
상기 동시화면 회로(7)에 의해 적절히 편집된 영상신호는 영상증폭회로(12)를 통해 브라운관(16)에 표시된다.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6)는 상기 신호판별 회로(5)로 부터 논리 하이가 인가되면 비디오폰 화상신호가 TV 내부(10)로 전달되고 있음을 인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주화면 및 부화면 스위칭 회로(3, 4)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각기 비디오폰 화상신호를 선택하게 한다. 또한, 동시화면 회로(7)의 PIP 제어부(7a)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기억장치(7b)에 주소를 설정하여 비디오폰 화상신호를 저장시킨다. 상기 기억장치(7b)에 저장된 비디오폰 화상신호를 판독하여 편집하고 브라운관(16)에 표시하는 것 역시 마이크로 콘트롤러(6)의 주요한 역할임은 물론이다.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6)는 사용자에 의해 프로그램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6)는 TV의 동작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도 상기 전원 공급장치(8)로 부터 공급되는 대기전원에 의해 정상 동작된다.
상기 전원 공급장치(8)는 TV의 내부 디바이스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TV가 꺼진 상태에서도 상기 신호판별 회로(5), 마이크로 콘트롤러(6), 동시화면회로(7)에 각기 대기전원(Stand-By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장치(8)에는 방문자 표시등(9)이 연결되어 있어 마이크로 콘트롤러(6)의 제어신호에 따라 방문자 표시등(9)을 점등하고 동작전원이 입력될 때에는 방문자 표시등(9)을 소등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6)에는 보조 기억장치(11)가 접속되어 비디오폰의 화상신호가 입력된 시간인 방문시간과 화면의 개수를 기록한다. 상기 보조 기억장치는 저장된 내용을 소거하고 반복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는 EPROM(11)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 TV의 외부기기 연결단자중 비디오폰 연결단자(24a)에 비디오폰(21)으로 부터 비디오폰 수신장치(22)로 연결되는 화상신호 케이블(23)을 연결한다.
집안의 모든 사람이 외출한 상태(이때, TV는 꺼진 상태다)에서 방문자가 비디오폰(21)의 초인종을 누르면 상기 비디오폰 연결단자(24a)를 통해 비디오폰 화상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비디오폰 화상신호는 신호판별 회로(5)에 인가되고 이에 따라 신호판별 회로(5)는 논리 하이를 마이크로 콘트롤러(6)에 출력한다. 논리 하이를 인가받은 마이크로 콘트롤러(6)는 방문자가 있음을 인식하게 되고 그 방문시간을 상기 EPROM(11)에 기억한다. 이때 상기 방문자의 호출이 처음이 아닌 경우에는 그 방문횟수 역시 상기 EPROM(11)에 기록시킨다. 이렇게 EPEOM(11)에 방문횟수를 기록하는 것은 이후 화면의 개수를 결정하기 위함이다.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6)는 주화면 및 부화면 스위칭 회로(3 및 4)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비디오폰 화상신호를 선택하도록 제어하고, 선택된 비디오폰 화상신호를 PIP 메모리(7b)의 지정된 주소에 저장한다.
한편, 방문자가 집안에 사람이 없음을 인지하고 돌아가면 비디오폰의 화상신호는 비디오폰의 자동꺼짐 기능에 의해 동작을 멈추게 되고, 비디오폰 화상신호가 신호판별 회로(5)에 전달되지 않아 신호판별 회로(5)는 마이크로 콘트롤러(6)에 화상신호가 없음을(방문자가 떠났으므로 메모리 동작정지) 디지털 신호로 출력한다. 이 판별신호에 따라 마이크로 콘트롤러(5)는 동시화면 회로(7)의 PIP 메모리(7b)에 비디오폰 영상신호를 저장하라는 제어신호를 중지한다. 이때 방문자의 호출이 있음을 외부에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6)는 방문자 표시등(9)을 점등시킨다.
외출에서 돌아온 사용자는 상기 방문자 표시등(9)이 점등된 것을 보고 외출한 사이에 방문자가 있었음을 인식하고 TV를 동작시킨다. TV의 동작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6)는 방문자 표시등(9)을 소등하고 방문자가 있었음을 알리는 초기화면(제2도 참조)을 방문시간과 더불어 브라운관(16)에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가 리모콘 및 TV 본체의 키로 방문자 확인신호를 인가하면,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6)는 동시화면 회로(7)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PIP 메모리(7b)로 부터 화상신호를 판독하고 이를 단독으로 혹은 방송 영상신호와 편집시켜 브라운관(16)에 출력시킨다. 이러한 편집형태가 제3도에 잘 나와 있다. 제3(a)도는 주화면에 2개의 방문자 화상이 편집된 형태를 나타내고, 제3(b)도는 주화면에 4개의 방문자 화상이 다중 편집된 형태를, 제3(c)도는 주화면에 방송 영상신호와 8개의 방문자화상이 다중 편집된 형태를, 제3(d)도는 16개의 방문자 화상이 주화면에 다중 출력된 형태를 표시한 것이다.
또한, 제4도에는 주화면에 방송 영상이 표시되고 부화면에 3개의 방문자 화상이 다중 출력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방문자가 여러명이 있을 경우를 대비하여 동시화면 기능 중 멀티화면 기능에 방문자 모습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그 멀티 화면의 수는 상기 제3도와 같이 2, 4, 8, 16 등으로 표시 가능하다.
이렇게 방문자의 화상을 통해 누가 방문하였는지 확인이 되면 TV를 시청하기 위하여 리모콘이나 TV 본체의 키로 방문자 확인 기능의 취소 명령이 마이크로 콘트롤러(6)에 입력되고 마이크로 콘트롤러(6)는 동시화면 회로(7)의 PIP 메모리(7b)에 저장된 내용을 모두 지우고 TV 본래의 기능인 방송 시청이 가능하도록 주화면 및 부화면 스위칭 회로(3 및 4)를 제어한다.
상술한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제어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플로우 챠트가 제5도에 잘 나와있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가 외출하여 부재중인 경우에도 방문자의 모습을 TV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 종래의 비디오폰과 TV의 기능을 확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활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6)

  1. 비디오폰(21)을 텔레비젼(10)의 외부기기 연결단자(24a)에 접속하여 방송 영상신호와 비디오폰 화상신호를 텔레비젼 화면에 동시 표시함에 있어서, 비디오폰(21)으로부터 전송되는 방문자 화상을 TV 본체 내부(10)로 인입시키는 비디오폰 연결단자(24a)와; 방문자 화상신호의 존재 유, 무를 판별하여 이를 디지털 신호로 출력하는 신호판별 회로(5)와; 방송 영상신호와 복수의 방문자 화상신호를 동시에 입력받아 이를 TV 브라운관(16)에 동시에 표시하고, 멀티화면 기능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방문자 화상을 다중 출력하기 위한 동시화면회로(7)와; 상기 방문자 화상신호를 기록, 판독하는 기억장치(7b)와; 상기 신호판별회로(5)로부터 방문자 화상신호의 존재를 나타내는 판별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방문자 화상신호를 상기 기억장치(7b)에 저장하고, 방문자 확인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기억장치(7b)에 저장된 방문자 화상신호를 판독하여 이를 방송영상신호와 동시에 표시할 수 있도록 편집하는 제어장치(6); 및 상기 제어장치(6)의 제어신호에 따라 방문자의 방문시간을 기록하고, TV의 동작전원 입력에 따라 이를 판독하여 초기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보조기억장치(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화면 회로를 이용한 비디오폰 화상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텔레비젼의 동작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신호판별회로(5), 동시화면회로(7) 및 제어장치(6)가 동작할 수 있도록 이들 수단에 대기전원(Stand-by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장치(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화면 회로를 이용한 비디오폰 화상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6)가 방문자 화상신호를 인식하면 이를 외부에 알리기 위하여 방문자 표시등(9)을 점등시키고, 텔레비젼에 동작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방문자 표시등(9)을 소등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화면 회로를 이용한 비디오폰 화상 표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 확인신호가 리모콘이나 TV 본체의 방문자 확인키를 통해 상기 제어장치(6)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화면 회로를 이용한 비디오폰 화상 표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6)가 상기 기억장치(7a)에 방문자 화상신호가 저장된 상태에서 텔레비젼의 동작전원이 인가되면 방문자의 방문사실을 알리는 초기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화면 회로를 이용한 비디오폰 화상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기억장치(11)가 저장된 내용을 소거하고 재 사용이 가능한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화면 회로를 이용한 비디오폰 화상 표시장치.
KR2019970038844U 1997-12-19 1997-12-19 텔레비젼의 동시화면 회로를 이용한 비디오폰 영상 표시장치 KR2001963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844U KR200196349Y1 (ko) 1997-12-19 1997-12-19 텔레비젼의 동시화면 회로를 이용한 비디오폰 영상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844U KR200196349Y1 (ko) 1997-12-19 1997-12-19 텔레비젼의 동시화면 회로를 이용한 비디오폰 영상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309U KR19990026309U (ko) 1999-07-15
KR200196349Y1 true KR200196349Y1 (ko) 2000-10-02

Family

ID=19517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8844U KR200196349Y1 (ko) 1997-12-19 1997-12-19 텔레비젼의 동시화면 회로를 이용한 비디오폰 영상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34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271B1 (ko) * 2002-06-27 2005-09-02 현대디지텍 주식회사 홈오토 단말기에서의 방문자 영상 녹화/재생 장치 및 그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309U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2368B1 (ko) 텔레비젼 수상기
JPH07298153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9149333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5703662A (en) Television for storing and displaying still picture
KR200196349Y1 (ko) 텔레비젼의 동시화면 회로를 이용한 비디오폰 영상 표시장치
JPH06351020A (ja) 監視装置
JP3850894B2 (ja) 映像信号合成装置
JPH0437479B2 (ko)
KR200189196Y1 (ko) 텔레비젼을 이용한 비디오폰 자동확인장치(An Apparatus For Confirming Automatically Vedeo Phone To Use TV)
JPH0746514A (ja) テレビ電話付きvtr内蔵テレビ受像機
JP2543043B2 (ja) 映像メモリ付テレビドアホン装置
JP2989322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4612504B2 (ja) 住宅情報盤
JP2604882Y2 (ja) モニター装置用テレビカメラ
JP3054465B2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3242822B2 (ja) テレビインターホン装置
KR940005388B1 (ko) Tv 수상기에 의한 방문자 확인장치
JP3219743B2 (ja) 撮像システム
JPH10229511A (ja) 監視カメラ装置
JP2009302801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JPH08111841A (ja) 管理情報を撮影可能な撮影システム
KR920004405Y1 (ko) 홈오토메이션 기능을 갖는 듀얼 스크린 인터페이스 회로
KR19980085968A (ko) 방문자 디스플레이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
KR100279270B1 (ko) 화상제어장치
JPH0715682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