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405Y1 - 홈오토메이션 기능을 갖는 듀얼 스크린 인터페이스 회로 - Google Patents

홈오토메이션 기능을 갖는 듀얼 스크린 인터페이스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405Y1
KR920004405Y1 KR2019890016980U KR890016980U KR920004405Y1 KR 920004405 Y1 KR920004405 Y1 KR 920004405Y1 KR 2019890016980 U KR2019890016980 U KR 2019890016980U KR 890016980 U KR890016980 U KR 890016980U KR 920004405 Y1 KR920004405 Y1 KR 9200044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ome automation
visitor
converte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69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0342U (ko
Inventor
변지선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69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4405Y1/ko
Publication of KR9100103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03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4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4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36Radio; T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홈오토메이션 기능을 갖는 듀얼 스크린 인터페이스 회로
제 1 도는 본 고안의 설명을 위한 홈오토메이션 상세 회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듀얼 스크린 인터페이스의 상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11 : A/D변환부 A12 : 데이타 제어부
A13 : D/A변환부 A14 : 클럭 발생부
A15 : 기억 제어부 A16 : 램
A17 : 마이콤 SW1, SW2 : 스위칭부
본 고안은 홈오토메이션 기능을 갖는 듀어 스크린 인터페이스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홈오토메이션의 디지탈 모니터에 나타나는 화상을 듀얼 스크린상에 선택적으로 지정되어져 수신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에 의해서 사용자는 홈오토메이션 작동과 동시에 TV 모니터의 듀얼 스크린상으로 방문객의 화상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오토메이션은 상호 통화 기능을 갖는 도어폰과 주 장치도로 이루어지며 도어폰에는 방문객의 화상을 수신하는 카메라 센서가 설치되어져 이의 카메라 센서로 부터 수신된 화상은 홈오토메이션의 주장치에 장착 되어있는 모니터 또는 액정 TV에 디스플레이 되는 기능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도는 이러한 홈오토메이션 기능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즉 도어폰(1)에는 송,수화용 스피커(SP)와 도어 스위치(DSW)가 홈오토메이션의 주장치(2)에 연결되어져 송,수화용 스피커(SP)는 통화 회로(3)와 송수화기(4)를 통해 통화 기능이 수행되어지고 또한 도어폰(1)에 카메라 센서(VS)가 설치되어져 방문객의 화상(picture)을 수신하여 주장치(2)에 입력시키면, 수신되는 화상신호를 증폭하고 드라이브하여 CRT 또는 액정 TV(DTV)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증폭부(A4, A6)와 드라이브 회로(A5)이 연결되어져 있으며, 방문객의 화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수평 수직 동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싱크 제너레이타(A7)의 수직 수평 카운터부(A1, A2)가 도시되지 않은 카메라 센서(CS)의 찰상관을 통해서 연결 되어진 것이다.
이것에 의해서 도어폰과 홈오토메이션의 주장치는 상호 통화 또는 방문객의 화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적용되어지는 홈오토메이션에 의하여 내실의 사용자가 별도의 장소에 설치되어진 TV를 시청하고 있는 도중에 방문객이 방문시에 홈오토메이션을 사용하려면 그 홈오토메이션이 설치되어진 장소까지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홈오토메이션과 듀얼 픽쳐 시스템 TV를 상호 연결하여 도어폰으로부터 홈오토메이션으로 수신되는 방문객의 화상을 TV의 듀얼 픽쳐 기능으로서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제어회로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본 고안인 홈오토메이션과의 화상 인터페이스 제어회로도로서 채널 선택 스위치(SW1)로부터 연결되는 pip용 신호는 A/D변환부(A11)를 통해 데이타 제어부(A12)에 연결됨과 아울러 D/A변환부(A13)를 거쳐 스위칭부(SW2)와 모니터(CRT)에 접속되며, pip 동기신호와 메인 방송 동기신호가 입력되는 클럭 발생부(A14)는 A/D변환부(A11)와 데이타 제어부(A12)에 라이트 클럭 신호로서 연결되며, 클럭 발생부 (A14)에서의 레드 클록 단자는 기억 제어부(A15)와 데이타 제어부(A2) 및 램(A16)와 D/A 변환부(A13)에 연결되어 구성한다.
이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외부의 도어등에 설치되는 도어폰(1)으로부터 방문객이 도어 스위치 (DSW)를 누르게 되면 도어 스위칭 펄스가 홈오토메이션의 주장치(2)에 입력이 된다.
그러면 주장치(2)는 별도의 링깅 회로(5)를 통해 신호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내실의 사용자가 '송'수화기(4)를 들게 되면 통화회로(3)가 훅온되면서 방문객과의 통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동시에 카메라 센서(CS)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싱크 제너레이터(A7)로 부터 발생된 발진 신호는 수평 카운터부(A1)와 수직 카운터부(A2)로 각각 입력되어져 카메라 센서(CS)로부터 수신된 방문객의 화상을 도시되지 않은 찰상관이 R, G, B의 영상신호로서 합성시키게 한다.
따라서 도어폰(1)의 카메라 센서(CS)로부터 수신되는 방문객의 화상은 프리증폭부(A4)와 드라이브 회로(A5)를 통해 주장치(2)의 CRT 또는 액정 TV(DTV)에 디스플레이 되어진다.
이와같은 동작에 의해 사용자는 도어폰(1)과 주장치(2)를 통해 방문객의 화상을 보면서 통화를 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방문객이 내방시 주장치(2)가 아닌 내실 또는 거실등에 설치된 듀얼 픽쳐 시스템 TV 시청과 동시에 그 방문객의 화상을 TV의 픽쳐 기능으로 확인하면서 통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내실등에 설치된 듀얼 픽쳐 시스템 TV를 시청하면서 도어폰(1)을 통해 방문객과의 통화가 이루어지게 하려면 주장치(2)의 외부에 설치된 채널 선택 스위치(SW1)를 채널 1로 선택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 스위치(DSW)가 눌려지면 주장치(2)의 통화회로(3)를 통해서 링깅회로(5)에 도어신호가 입력됨과 아울러 마이콤(A17)에 입력이 된다.
그러면 마이콤(A17)은 로우레벨의 스페셜 선택신호를 채널 선택 스위치(SW2)에 입력을 시킨다.
이에 채널 선택 스위치(SW1)는 채널 1에 선택된 상태이므로 접점(SWa1)으로 접속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카메라 센서(CS)에서 수신된 화상이 증폭부(A6)를 통해 출력이 되어질 때 이의 화상 신호가 채널 선택 스위치(SW1)의 접점(SWa1)을 거쳐 A/D변환부(A11)에 입력이 되어진다.
동시에 마이콤(A17)은 기억 제어부(A15)에 이던트(Ident)신호와 클럭 신호 및 데이타 신호를 출력시킴으로서 듀얼 픽쳐(pip) 화면의 크기와 위치등의 정보를 보내게 된다.
이때 여기에서 클럭 발생부(A14)에 입력되는 듀얼 픽쳐(pip) 및 메인 스페셜 신호는 영상 신호의 동기신호로서 채널 1이 선택이 되면 증폭부(A6)의 출력단에 일부 동기 신호가 입력이 되어져 라이트 클럭신호를 발생시키게 한다.
이의 라이트 클럭 신호는 A/D변환부(A11)와 데이타 제어부(A12)에 각각 입력되어져 방문객의 화상 신호를 A/D변환시킨 후 데이타 제어부(A12)에 입력시킨다.
또한 기억 제어부(A15)는 듀얼 픽쳐 동기신호(pip)로부터 클럭 발생부(A14)에서 만들게 되는 라이트 클럭으로 A/D변환되어 데이타 제어부(A12)에 입력된 방문객의 듀얼 픽쳐(pip) 신호를 램(A16)에 보관하도록 기억제어부(A15)에 별도의 제어신호를 입력시킨다.
이에 따라 데이타 제어부(A12)는 방문객의 듀얼 픽쳐(pip) 신호를 램(A16)에 기억시키게 되는 것이다.
동시에 기억 제어부(A15)는 클럭 발생부(A14)에서 메인 동기 신호에 의해 발생되어진 레드 클럭 신호로서 데이타 제어부(A12)로 하여금 램(A16)의 지정번지에 기억 되어진 화상 데이타를 읽어 내도록 제어 신호를 입력시킨다.
그러면 데이타 제어부(A12)는 레드 데이타 라인을 통해 램(A16)에 기억된 화상 데이타를 읽어 들어 D/A변환부(A13)로 송출시킴과 동시에 메인 신호의 스위칭을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시킨다.
이 구동신호에 의해 스위칭부(SW2)는 접점(SWa1)으로 접속되어져 D/A변환된 듀얼 픽쳐(pip)신호가 모니터(CRT)에 송출되어진다.
이에 모니터(CRT)에는 마이콤(A17)이 지정한 장소와 크기에 따라 듀얼 픽쳐 (pip) 화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동작이 반복되면서 모니터(CRT)의 일부 지정된 장소에서는 카메라 센서(CS)로 부터 연속적으로 수신된 방문개의 화상이 나타나게 되어져 사용자는 이의 화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도어 스위치(DSW)이 인가 신호가 "하이"레벨의 상태동안 상기와 같은 동작이 되어진 이후에 다시 로우레벨의 상태가 되면 마이콤(A17)에서는 기억 제어부 (A15)로 듀얼 픽쳐(pip)중단 정보 신호를 출력시켜 데이타 제어부(A12)에 차단 제어부(A12)를 출력시키게 한다.
그러면 데이타 제어부(A12)는 램(A16)으로의 레드 신호 출력을 중지함과 동시에 스위칭부(SW2)의 스위칭 신호를 차단시키게 한다.
이에 스위칭부(SW2)는 접점(SWa2)로 접속되어져 모니터(CRT)는 방송 화상만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의 도어폰과 홈오토메이션 송수신 기능을 듀얼 픽쳐 시스템 TV에 연결하여 홈오토메이션 직접적인 작용없이도 방문객의 화상을 확인할 수 있는 잇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채널 선택 스위치(SW1)로부터 연결되는 pip용 신호는 A/D변환부(A11)를 통해 데이타 제어부(A12)에 연결됨과 아울러 D/A변환부(A13)를 거쳐 스위칭부(SW2)와 모니터(CRT)에 접속되며, pip 동기신호와 메인 방송 동기 신호가 입력되는 클럭 발생부 (A14)는 A/D변환부(A11)와 데이타 제어부(A12)에 라이트 클럭 신호로서 연결되며, 클럭 발생부(A14)에서의 레드 클록 단자는 기억 제어부(A15)와 데이타 제어부(A12) 및 램(A16)와 D/A변환부(A13)에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오토메이션 기능을 갖는 듀얼 스크린 인터페이스 회로.
KR2019890016980U 1989-11-16 1989-11-16 홈오토메이션 기능을 갖는 듀얼 스크린 인터페이스 회로 KR9200044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6980U KR920004405Y1 (ko) 1989-11-16 1989-11-16 홈오토메이션 기능을 갖는 듀얼 스크린 인터페이스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6980U KR920004405Y1 (ko) 1989-11-16 1989-11-16 홈오토메이션 기능을 갖는 듀얼 스크린 인터페이스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0342U KR910010342U (ko) 1991-06-29
KR920004405Y1 true KR920004405Y1 (ko) 1992-06-29

Family

ID=19291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6980U KR920004405Y1 (ko) 1989-11-16 1989-11-16 홈오토메이션 기능을 갖는 듀얼 스크린 인터페이스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440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0342U (ko) 199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1728A (en) Electronic display apparatus
US6072541A (en) Video/audio signal switching circuit and method
KR970019574A (ko) 더블스크린을 이용한 정보 및 외부신호 표시장치
KR100959209B1 (ko) 외부 av 기기의 라벨 표시방법
JPH09149333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222615B1 (ko) 티브이 셋트와 주변기기의 연결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KR920004405Y1 (ko) 홈오토메이션 기능을 갖는 듀얼 스크린 인터페이스 회로
KR100561386B1 (ko) Tv의 외부기기 소스 인터페이싱 시스템
KR100557135B1 (ko) 텔레비전 영상신호 수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다수 채널 표시 및 채널변경 방법
JP2915298B2 (ja) 映像信号表示装置
KR100713282B1 (ko) 외부기기의 표시를 위한 텔레비젼 수상기 및 방법
JPH0241083A (ja) テレビ電話付きテレビ受像機
JPH0746514A (ja) テレビ電話付きvtr内蔵テレビ受像機
JPH05236478A (ja) カメラ付きインターホン用モニターテレビ及びこれに使用する機能拡張ユニット
KR960011229B1 (ko) 도어비젼 운영방법 및 그 장치
JP2684907B2 (ja) テレビインターホン
JP2543043B2 (ja) 映像メモリ付テレビドアホン装置
JPH01234993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930012243B1 (ko) Tv수상기용 아답터 장치
JPH05122704A (ja) 玄関カメラ装置
JPH0767098A (ja) 動画像監視装置
KR100241427B1 (ko) 컴퓨터통신을 이용한 브이씨알의 예약녹화 방법 및 장치
KR950011654B1 (ko) Osd의 rgb 입력장치
JP2606242B2 (ja) 画像及び音声の出力装置
KR970001498Y1 (ko) 티브이(tv) 자막의 확대 /축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