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9270B1 - 화상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화상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9270B1
KR100279270B1 KR1019980028491A KR19980028491A KR100279270B1 KR 100279270 B1 KR100279270 B1 KR 100279270B1 KR 1019980028491 A KR1019980028491 A KR 1019980028491A KR 19980028491 A KR19980028491 A KR 19980028491A KR 100279270 B1 KR100279270 B1 KR 100279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mage
input
signals
imag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8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2029A (ko
Inventor
김은석
Original Assignee
김은석
주식회사네오시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석, 주식회사네오시스트 filed Critical 김은석
Priority to KR1019980028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9270B1/ko
Publication of KR19980072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2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9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9270B1/ko

Links

Landscapes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 폰, 감시용 카메라 등의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화상을 텔레비전의 화면 전체를 통하여 또는 분할된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화상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제어 장치는 일반 텔레비젼 방송 신호나 비디오 신호를 수취하여 제1 화상 신호(1001)를 제공하는 제1 입력 수단(1000); 외부의 화상신호입력수단으로부터 전송된 화상 신호를 수취하여 제2 화상신호 (2001)를 제공하는 제2 입력 수단(2000); 상기 제1 및 제2 입력수단들(1000)(2000)로부터 각각 제공되는 제1 및 제2 화상 신호들(1001)(2001)로부터 동기 신호들을 분리하고, 상기 제2 화상 신호(2001)를 계속적으로 비교하여 신호의 변화가 검출되면 상기 입력된 화상 신호들을 믹싱하여 믹싱된 화상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믹싱된 화상 신호 가운데 선택된 화상 신호(3001)를 제공하는 화상 제어 수단(3000); 그리고 화상 제어 수단(3000)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화상 신호(3001)를 화면 상에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50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화상 제어 장치에 따르면, 비디오 폰 등의 외부입력기기로부터 입력된 화상신호를 확인하기 위해 장소를 이동해야 하는 불편을 없앨 수 있으며, 나아가서 비디오폰 등의 외부기기들에 있어서 화상출력부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절감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제어 장치
본 발명은 비디오 폰, 감시용 카메라 등의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화상을 텔레비젼 등의 화면 전체를 통하여 또는 분할된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화상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방범시스템에 이용되는 감시카메라나, 홈오토메이션에 이용되는 비디오 폰, 또는 화상전화 등에 있어서는 목적물 또는 상대방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별도의 화상출력부가 구비되어 있는 바, 이는 이러한 감시카메라 등에 의한 방범시스템의 제작 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종래 아파트를 중심으로 각 가정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비디오 폰의 경우 감지된 화상을 주로 거실의 벽에 설치되어 있는 전용 디스플레이부로만 출력하므로 화상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매번 전용 디스플레이부의 설치 장소로 이동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비디오 폰 등의 전용 디스플레이부는 크기가 작아서 물체의 식별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소비자의 요구에 부합되도록 8∼9 인치의 화면 크기를 갖는 디스플레이부가 제작되고 있으나, 이는 비디오 폰 시스템의 가격 상승이라는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텔레비젼 방송 신호나 화상 기록/재생 장치로부터 재생되는 화상 신호와, 비디오 폰의 화상 신호나 보안 시스템의 감시용 화상 신호를 텔레비젼의 분할된 화면 상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거나 후자의 화상 신호를 화면 전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화상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디오 폰 또는 보안 시스템에 각각 구비되는 전용 디스플레이부의 동작 유무에 관계 없이 비디오 폰 또는 보안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원하는 화상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여 텔레비젼이나 모니터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화상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텔레비젼이나 모니터의 분할된 화면이 항상 온(ON) 되어 있을 필요가 없으며, 비디오 폰 또는 보안 시스템으로부터 검출된 신호가 입력될 때 텔레비젼 화면의 분할 기능이 온되는 화상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디오 폰 또는 보안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화상 신호가 차단될 때 텔레비젼이나 모니터의 화면이 원래대로 자동적으로 복귀되는 화상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텔레비젼이 꺼진 상태에서 비디오 폰, 감시용 카메라, 화상 전화기 등의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화상 신호가 메모리나 VCR에 기록되는 화상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제어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제어부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도시된 믹싱부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에 도시된 화상 제어부에 의하여 수행되는 화상의 합성 동작을 예시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0: 제1 입력부, 2000: 제2 입력부, 3000: 화상 제어부,
4000: 제1 메모리, 5000: 디스플레이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제어 장치는, 일반 텔레비젼 방송 신호나 비디오 신호를 수취하여 제1 화상 신호를제공하는 제1 입력 수단; 외부의 화상신호입력수단으로부터 전송된 화상 신호를 수취하여 제2 화상신호를 제공하는 제2 입력 수단; 상기 제1 및 제2 입력 수단들로부터 각각 제공되는 제1 및 제2 화상 신호들로부터 동기 신호들을 분리하고, 상기 제2 화상 신호를 계속적으로 비교하여 신호의 변화가 검출되면 상기 입력된 화상 신호들을 믹싱하여 믹싱된 화상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믹싱된 화상 신호 가운데 선택된 화상 신호를 제공하는 화상 제어 수단; 화상 제어 수단에 의하여 믹싱된 화상 신호를 화상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기록 제어 신호에 따라 기록하고 기록된 제2 화상 신호를 제어 신호에 따라 읽어서 화상 제어 수단에 제공하는 제1 메모리; 그리고 화상 제어 수단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화상 신호를 화면 상에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제어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감지된 외부의 화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화상출력부의 설치 장소로 이동하지 않아도 되며, 별도의 전용 화상 출력부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각 가정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비디오 폰의 효율적인 이용을 제고하고 사용자의 편리성 향상 및 제조 단가의 절감을 도모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제어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제어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제어 장치는 제1 입력부(1000), 제2 입력부(2000), 화상 제어부(3000), 제1메모리(4000) 그리고 디스플레이부(5000)로 구성된다.
제1 입력부(1000)는 일반 텔레비젼 방송 신호나 비디오 신호를 수취하여 제1 화상 신호(1001)를 제공한다.
제2 입력부(2000)는 비디오 폰, 감시용 카메라, 화상 전화기 등의 기기로부터 전송된 화상 신호를 수취하여 제2 화상 신호(2001)를 제공한다.
화상 제어부(3000)는 제1 및 제2 입력부들(1000)(2000)로부터 각각 제공되는 제1 및 제2 화상 신호들(1001)(2001)로부터 동기 신호들을 분리하고, 제2 화상 신호(2001)에 대하여 현재 입력되는 화상 신호와 이전에 입력된 화상 신호를 비교하여 화상에서 움직임이 검출될 경우 상기 입력된 화상 신호들을 믹싱하여 믹싱된 화상 신호(도시되지 않음)를 생성하고, 상기 믹싱된 화상 신호 가운데 선택된 화상 신호(3001)를 제공한다.
제1 메모리(4000)는 제2화상신호(2001)를 화상 제어부(3000)로부터의 기록 제어 신호(도시되지 않음)에 따라 기록하고 기록된 제2 화상 신호를 화상 제어부(3000)로부터의 읽기 제어 신호(도시되지 않음)에 따라 읽어서 화상 제어부(3000)에 제공한다. 제1 메모리(4000)는 일례로 디램(DRAM)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000)는 화상 제어부(3000)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화상 신호(3001)를 그 화면 상에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5000)는 일례로 텔레비젼 수상기나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텔레비젼 수상기를 채택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제어부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제어부(3000)는 제1 동기 분리기(3100), 제1 클럭 발생기(3200), 제2 동기 분리기(3400), 제2 클럭 발생기(3500), 믹싱부(3600),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700), 저장부(3750), 인코딩부(3760), 주변 회로부(3770), 제2 메모리(3780) 그리고 제어부(3790)로 구성된다.
제1 동기 분리기(3100)는 제1 입력부(1000)로부터 제공되는 제1 화상 신호(1001)에 포함되는 합성 영상 신호로부터 제1 수직 동기 신호(V.SYNC1)와 제1 수평 동기 신호(H.SYNC1)를 분리한다.
제1 클럭 발생기(3200)는 제1 동기 분리기(3100)로부터의 제1 수평 동기 신호(H.SYNC1)에 응하여 제1 클럭 신호(CLK1)를 발생한다.
제2 동기 분리기(3400)는 제2 입력부(2000)로부터 제공되는 제2 화상 신호(2001)에 포함되는 합성 영상 신호로부터 제2 수직 동기 신호(V.SYNC2)와 제2 수평 동기 신호(H.SYNC2)를 분리한다.
제2 클럭 발생기(3500)는 제2 동기 분리기(3400)로부터의 제2 수평 동기 신호(H.SYNC2)에 응하여 제2 클럭 신호(CLK2)를 발생한다.
믹싱부(3600)는 제1 동기 분리기(3100)로부터의 제1 수평 동기 신호(H.SYNC1)와 제1 수직 동기 신호(V.SYNC1), 제1 클럭 발생기(3200)로부터의 제1 클럭 신호(CLK1), 제2 화상 신호(2001)에 포함되는 동기 신호(SYNC)와 알지비(RGB) 신호, 제2 동기 분리기(3400)로부터의 제2 수평 동기신호(H.SYNC2)와 제2 수직 동기 신호(V.SYNC2)가 입력되는 동안 현재 입력되는 제2 화상 신호와 이전에 입력된 제2 화상을 상호 비교하여 화상에서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제1 화상 신호(1001)와 현재 입력되는 상기 제2 화상 신호(2001)를 믹싱하여 믹싱된 신호(3671)와 선택된 동기 신호(3661)를 제공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700)는 믹싱부(3600)로부터의 믹싱된 신호(3671)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서 아날로그 변환된 믹싱 신호(3701)를 제공한다.
저장부(3750)는 출력 모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시스템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데이터에 해당하는 모드 선택 신호(MD.SLT)를 저장한다. 저장부(3750)는 일 실시예로 레지스터 세트로 구현된다.
인코딩부(3760)는 저장부(3750)로부터의 모드 선택 신호(MD.SLT)에 응하여 믹싱부(3600)로부터의 선택된 동기 신호(3661)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700)로부터의 아날로그 변환된 믹싱 신호(3701)를 합성하여 합성 영상 신호(3001)를 제공한다.
주변 회로부(3770)는 키 입력부, 리모콘 송신/수신부, 경보음 발생부 등을 포함하는 회로부로서 사용자와 교신하도록 입출력 신호(3771)(3772)를 수취하고 출력한다.
제2 메모리(3780)는 시스템 프로그램과 시스템 동작과 관련되는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읽기 위한 메모리이다.
제어부(3790)는 믹싱부(3600), 저장부(3750), 주변 회로부(3770) 그리고 제2 메모리(3780)로 각각 제1 내지 제4 제어 신호들(3791∼3794)을 인가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3790)는 인터럽트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제1 동기 분리기(3100), 제1 클럭 발생기(3200), 제2 동기 분리기(3400), 제2 클럭 발생기(3500), 믹싱부(3600), 인코딩부(3760)는 각각 저장부(3750)로부터의 모드 선택 신호(MD.SLT)에 응하여 동작 모드가 결정된다.
도 3은 도 2에서 도시된 믹싱부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믹싱부(3600)는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610),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기(3620),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630), 입력 버퍼 및 입력 타이밍 제어기(3640), 메모리 제어기(3650), 동기 신호 선택기(3660) 그리고 출력 데이터 선택기(3670)로 구성된다.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610)는 제1 수직 동기 신호(V.SYNC1)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서 디지털 변환된 제1 수직 동기 신호(3611)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기(3620)는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610)로부터의 디지털 변환된 제1 수직 동기 신호(3611), 제1 수평 동기 신호(H.SYNC1) 그리고 제1 클럭 신호(CLK1)가 입력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5000)의 화면 상에 출력될 화상의 좌표를 계산하고 이에 상응하는 제1 메모리(4000)의 주소를 계산하여 주소 데이터(3621), 클럭 신호(3622) 그리고 동기 신호(3623)를 포함하는 출력 신호를 제공한다.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630)는 알지비 신호 또는 제2 수직 동기 신호(V.SYNC2)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서 디지털 변환된 알지비 신호 또는 제2 수직 동기 신호(3631)를 제공한다.
입력 버퍼 및 입력 타이밍 제어부(3640)는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630)로부터의 디지털 변환된 알지비 신호 또는 제2 수직 동기 신호(3631), 동기 신호(SYNC), 제2 수평 동기 신호(H.SYNC2) 그리고 제2 클럭 신호(CLK2)를 입력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5000)의 화면 상에 출력될 화상의 합성과 관련된 입력 버퍼 동작과 입력 타이밍 제어 동작을 수행하여 주소 데이터(3641)와 동기 신호(3642)를 포함하는 출력 신호를 제공한다.
메모리 제어기(3650)는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기(3620)로부터의 주소 데이터(3621) 그리고 입력 버퍼 및 입력 타이밍 제어기(3640)로부터의 주소 데이터(3641)에 응하여 외부 입력의 저장 요구, 화면 출력 요구, 제어부(3790)의 데이터 요구 등에 대하여 제1 메모리 제어 신호(3651)를 제공하여 제1 메모리(4000)를 제어하며, 제1 메모리(4000)로부터 읽혀진 화상 신호(3002)로부터 얻어지는 화상 신호(3652)를 제공한다. 메모리 제어기(3650)는 리프레시(refresh) 회로와 블록 읽기/쓰기를 위한 내부 버퍼를 포함한다.
동기 신호 선택기(3660)는 디스플레이부(5000)의 화면의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기(3620)로부터의 동기 신호(3623)와 입력 버퍼 및 입력 타이밍 제어기(3640)로부터의 동기 신호(3642)를 포함하는 동기 신호들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선택하여 선택된 동기 신호(3661)를 제공한다.
출력 데이터 선택기(3670)는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기(3620)로부터의 클럭 신호(3622)에 응하여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610)로부터의 디지털 변환된 제1 수직 동기 신호 신호(3611), 메모리 제어기(3650)로부터의 화상 신호(3652) 그리고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630)로부터의 디지털 변환된 알지비 신호 또는 제2 수직 동기 신호(3631)를 입력하여 디스플레이부(5000)의 화면 상의 좌표에 따라 상기 입력된 신호들 가운데 필요한 신호들을 선택하여 선택된 신호(3671)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텔레비젼 방송 신호나 비디오 신호는 제1 입력부(1000)를 거쳐서 제1 화상 신호(1001)로서 화상 제어부(3000)로 입력되며, 비디오 폰, 감시용 카메라, 화상 전화기 등으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들은 제2 입력부(2000)를 거쳐서 제2 화상 신호(2001)로서 화상 제어부(3000)로 입력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화상 신호(1001)에 포함된 합성 영상 신호는 제1 동기 분리부(3100)를 거치면서 제1 수직 동기 신호(V.SYNC1)와 제1 수평 동기 신호(H.SYNC1)로서 출력된다. 마찬가지로, 제2 화상 신호(2001)에 포함되는 합성 영상 신호는 제2 동기 분리기(3400)를 거치면서 제2 수직 동기 신호(V.SYNC2)와 제2 수평 동기 신호(H.SYNC2)로서 출력된다.
이때, 제1 수평 동기 신호(H.SYNC1)는 제1 클럭 발생기(3200)를 거치면서 제1 클럭 신호(CLK1)로서 출력되며, 제2 수평 동기 신호(H.SYNC2)는 제2 클럭 발생기(3500)를 거치면서 제2 클럭 신호(CLK2)로서 출력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믹싱부(36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1 수직 동기 신호(V.SYNC1)는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610)를 거치면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제1 수직 동기 신호(3611)로서 출력된다. 이후, 디지털 변환된 제1 수직 동기 신호(3611), 제1 수평 동기 신호(H.SYNC1) 그리고 제1 클럭 신호(CLK1)는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기(3620)에 입력되며,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기(3620)는 모드 선택 신호(MD.SLT)에 응하여 디스플레이부(5000)의 화면 상에 출력될 화상의 좌표를 계산하며, 주소 데이터(3621), 클럭 신호(3622) 그리고 동기 신호(3623) 등을 포함하는 출력 신호를 제공한다.
알지비(RGB) 신호 또는 제2 수직 동기 신호(V.SYNC2)는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620)를 거치면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알지비 신호 또는 제2 수직 동기 신호(3631)로서 출력된다. 이후, 디지털 변환된 알지비 신호 또는 제2 수직 동기 신호(3631), 동기 신호(SYNC), 제2 수평 동기 신호(H.SYNC2) 그리고 제2 클럭 신호(CLK2)는 입력 버퍼 및 타이밍 제어기(3640)에 입력되며, 입력 버퍼 및 타이밍 제어기(3640)는 모드 선택 신호(MD.SLT)에 응하여 디스플레이부(5000)의 화면 상에 출력될 화상의 합성과 관련된 입력 버퍼 동작과 입력 타이밍 제어 동작을 수행하여 주소 데이터(3641)와 동기 신호(3642) 등을 포함하는 출력 신호를 제공한다.
주소 데이터(3621)(3641)는 메모리 제어기(3650)에 입력되며, 이때, 메모리 제어기(3650)는 모드 선택 신호(MD.SLT)에 응하여 외부 입력의 저장 요구, 화면 출력 요구, 제어부(3790)의 데이터 요구 등에 대하여 제1 메모리 제어 신호(3651)를 제공하여 제1 메모리(4000)를 제어하며, 제1 메모리(4000)로부터 읽혀진 화상 신호(3002)에 의해 화상 신호(3652)를 제공한다.
동기 신호들(3623)(3642) 등을 포함하는 동기 신호들은 동기 신호 선택기(3660)에 입력되며, 이때, 동기 신호 선택기(3660)는 모드 선택 신호(MD.SLT)에 응하여 상기 동기 신호들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선택하여 선택된 동기 신호(3661)를 제공한다.
디지털 변환된 제1 수직 동기 신호(3611), 화상 신호(3652) 그리고 디지털 변환된 알지비 신호 또는 제2 수직 동기 신호(3631)는 출력 데이터 선택기(3670)에 입력되며, 이때, 출력 데이터 선택기(3670)는 모드 선택 신호(MD.SLT)에 응하여 클럭 신호(3622)와 디스플레이부(5000)의 화면의 좌표에 따라 상기 입력된 신호들 가운데 필요한 신호들을 선택하여 선택된 신호(3671)를 제공한다.
도 1 과 도 2를 참조하여 여타의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설명한다.
믹싱부(3600)로부터의 믹싱된 신호(3671)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700)를 거치면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믹싱 신호(3701)로서 출력된다. 이후, 아날로그 변환된 믹싱 신호(3701)와 선택된 동기 신호(3661)는 인코딩부(3760)를 거치면서 합성되어서 합성 영상 신호(3001)로서 출력된다. 합성 영상 신호(3001)는 디스플레이부(5000)를 통하여 그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된다.
사용자는 키 입력 회로, 리모콘 송신/수신 회로, 경보음 발생 회로 등을 포함하는 주변 회로부(3770)를 통하여 특히, 제어부(3790), 제2 메모리(3780) 또는 믹싱부(3600)와 입력 신호(3771)와 출력 신호(3772)를 제어하게 된다.
제1 메모리(4000)는 화상 제어부(3000)로부터의 메모리 제어 신호(3651)에 따라 믹싱부(3600)로부터 제공되는 화상 신호(3002)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화상 신호를 읽어서 믹싱부(3600)에 제공한다.
상기한 구성부들 가운데 디스플레이부(5000)를 통하여 출력될 화상의 합성에 관련된 것들은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기(3620), 입력 버퍼 및 타이밍 제어기(3640), 출력 데이터 선택기(3670)이다. 도 4a는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기(3620)에서의 화면과 죄표를 예시한다. 도 4b는 감시카메라 등의 외부 입력 유닛에서의 화면과 좌표를 예시한다. 여기에서, 외부 입력 화면은 축소되며, 화면의 나머지는 공백이다. 도 4c는 출력 데이터 선택기(3670)에서 합성된 화상(또는 화면)을 예시하며, 이는 감지기로서 사용되는 카메라를 통하여 현재 검출되는 화상의 움직임이 검출될 시, 화면 상에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를 예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제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장치는 리모콘으로 작동되며, 인터폰을 눌렀을 때 또는 카메라에 의해 신호가 검출되어 텔레비젼으로 디스플레이 할 때 일정 시간 동안 작동된다. 단,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상태를 해제(오프)하면 디스플레이된 화면은 꺼진다.
그러나,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를 보고 있을 때 카메라로 검출된 화상은 녹화될 수 없다. 이 경우, 일부 화면(일례로, 정지 화상으로 16개 커트 정도)은 제1 메모리(4000)에 저장 가능하다. 이때, 화상신호의 압축 알고리즘에 의해 화상신호를 압축하면 훨씬 많은 화상을 제1 메모리(4000)에 저장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제어 장치에 따르면, 비디오 폰 등의 외부입력기기의 화상 신호를 텔레비젼에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비디오 폰 등을 통하여 입력된 화상신호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디오 폰의 출력부가 설치된 장소로 이동하지 않아도 된다. 나아가서 본 발명의 화상제어장치에 의하면 방범시스템이나 비디오폰 등의 가격상승요인으로 작용하는 화상출력부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절감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외출 시에도 감시카메라 등에 감지된 영상신호가 VCR에 녹화되거나 메모리에 저장되므로 사용자가 귀가 후 저장된 화상을 재생함으로써 부재시의 보안 상태를 추후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젼을 시청하는 도중 외부로부터 감지된 신호가 있는 경우 텔레비젼의 분활된 화면을 통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텔레비젼의 시청이 방해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당업자의 통상의 지식의 범위 내에서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다.

Claims (4)

  1. 일반 텔레비젼 방송 신호나 비디오 신호를 수취하여 제1 화상 신호(1001)를 제공하는 제1 입력 수단(1000), 외부의 화상신호입력수단으로부터 전송된 화상 신호를 수취하여 제2 화상신호 (2001)를 제공하는 제2 입력 수단(2000),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입력 수단들(1000)(2000)로부터 각각 제공되는 제1 및 제2 화상 신호들(1001)(2001)로부터 동기 신호들을 분리하고, 상기 제2 화상 신호(2001)를 계속적으로 비교하여 신호의 변화가 검출되면 상기 입력된 화상 신호(1001)(2001)들을 믹싱하여 믹싱된 화상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믹싱된 화상 신호 가운데 선택된 화상 신호(3001)를 제공하는 화상 제어 수단(30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제어 수단(3000)으로부터의 기록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화상 신호(2001)를 기록하고, 기록된 제2 화상 신호를 제어 신호에 따라 읽어서 화상 제어 수단(3000)에 제공하는 제1 메모리(4000)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제어 수단(3000)은, 제1 입력 수단(1000)으로부터 제공되는 제1 화상 신호(1001)에 포함되는 합성 영상 신호로부터 제1 수직 동기 신호(V.SYNC1)와 제1 수평 동기 신호(H.SYNC1)를 분리하기 위한 제1 동기 분리 수단(3100), 상기 제1 동기 분리 수단(3100)으로부터의 제1 수평 동기 신호(H.SYNC1)에 응하여 제1 클럭 신호(CLK1)를 발생하기 위한 제1 클럭 발생 수단(3200), 상기 제2 입력 수단(2000)으로부터 제공되는 제2 화상 신호(2001)에 포함되는 합성 영상 신호로부터 제2 수직 동기 신호(V.SYNC2)와 제2 수평 동기 신호(H.SYNC2)를 분리하기 위한 제2 동기 분리 수단(3400), 상기 제2 동기 분리 수단(3400)으로부터의 제2 수평 동기 신호(H.SYNC2)에 응하여 제2 클럭 신호(CLK2)를 발생하기 위한 제2 클럭 발생 수단(3500), 상기 제1 수평 동기 신호(H.SYNC1)와 제1 수직 동기 신호(V.SYNC1), 상기 제1 클럭 신호(CLK1), 제2 화상 신호(2001)에 포함되는 동기 신호(SYNC)와 알지비(RGB) 신호, 상기 제2 수평 동기 신호(H.SYNC2)와 제2 수직 동기 신호(V.SYNC2)가 입력되는 동안 현재 입력되는 제2 화상 신호와 이전에 입력된 제2 화상신호를 상호 비교하여 신호의 변화가 감지될 경우 제1 화상 신호(1001)와 현재 입력되는 상기 제2 화상 신호(2001)를 믹싱하여 믹싱된 신호(3671)와 선택된 동기 신호(3661)를 제공하는 믹싱 수단(3600), 상기 믹싱 수단(3600)으로부터의 믹싱된 신호(3671)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화 수단(3700), 출력 모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시스템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모드선택신호(MD.SLT)를 제공하는 저장 수단(3750), 상기 저장수단(3750)으로부터의 모드선택신호(MD.SLT)에 응하여 상기 믹싱 수단(3600)으로부터의 선택된 동기 신호(3661)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수단(3700)으로부터의 아날로그 변환된 믹싱 신호(3701)를 합성하여 합성 영상 신호(3001)를 제공하는 인코딩 수단(3760); 그리고 상기 믹싱 수단(3600), 저장 수단(3750)으로 각각 제어 신호들을 인가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 수단(379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 수단(3600)은,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3610)으로부터의 디지털 변환된 제1 수직 동기 신호(3611), 제1 수평 동기 신호(H.SYNC1) 그리고 제1 클럭 신호(CLK1)가 입력되는 동안 디스플레이 수단(5000)의 화면 상에 출력될 화상의 좌표를 계산하고 이에 상응하는 제1 메모리(4000)의 주소를 계산하여 주소 데이터(3621), 클럭 신호(3622) 그리고 동기 신호(3623)를 포함하는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 수단(3620),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3630)으로부터의 디지털 변환된 알지비 신호 또는 제2 수직 동기 신호(3631), 동기 신호(SYNC), 제2 수평 동기 신호(H.SYNC2) 그리고 제2 클럭 신호(CLK2)를 입력하는 동안 디스플레이 수단(5000)의 화면 상에 출력될 화상의 합성과 관련된 입력 버퍼 동작과 입력 타이밍 제어 동작을 수행하여 주소 데이터(3641)와 동기 신호(3642)를 포함하는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입력 버퍼 및 입력 타이밍 제어 수단(3640),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 수단(3620)으로부터의 주소 데이터(3621) 그리고 입력 버퍼 및 입력 타이밍 제어 수단(3640)으로부터의 주소 데이터(3641)에 응하여 외부 입력의 저장 요구, 화면 출력 요구, 제어 수단(3790)의 데이터 요구에 대하여 제1 메모리 제어 신호(3651)를 제공하여 제1 메모리(4000)를 제어하며, 제1 메모리(4000)로부터 읽혀진 화상 신호(3002)로부터 얻어지는 화상 신호(3652)를 제공하는 메모리 제어 수단(3650), 디스플레이 수단(5000)의 화면의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 수단(3620)으로부터의 동기 신호(3623)와 입력 버퍼 및 입력 타이밍 제어 수단(3640)으로부터의 동기 신호(3642)를 포함하는 동기 신호들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선택하여 선택된 동기 신호(3661)를 제공하는 동기 신호 선택 수단(3660); 그리고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 수단(3620)으로부터의 클럭 신호(3622)에 응하여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3610)으로부터의 디지털 변환된 제1 수직 동기 신호 신호(3611), 메모리 제어 수단(3650)으로부터의 화상 신호(3652) 그리고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3630)으로부터의 디지털 변환된 알지비 신호 또는 제2 수직 동기 신호(3631)를 입력하여 디스플레이 수단(5000)의 화면 상의 좌표에 따라 상기 입력된 신호들 가운데 필요한 신호들을 선택하여 선택된 신호(3671)를 제공하는 출력 데이터 선택 수단(36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제어 장치.
KR1019980028491A 1998-07-15 1998-07-15 화상제어장치 KR100279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8491A KR100279270B1 (ko) 1998-07-15 1998-07-15 화상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8491A KR100279270B1 (ko) 1998-07-15 1998-07-15 화상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029A KR19980072029A (ko) 1998-10-26
KR100279270B1 true KR100279270B1 (ko) 2001-01-15

Family

ID=65892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8491A KR100279270B1 (ko) 1998-07-15 1998-07-15 화상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927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029A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7030A (en) Electronic program guide device
US6025884A (en) Multimedia display monitor apparatus
KR100279270B1 (ko) 화상제어장치
JPH08139994A (ja) 画像合成システム
JP3087635B2 (ja) 画像同期制御表示装置
KR100282369B1 (ko) 영상신호 변환장치
JPH0983928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0151441B1 (ko) 영상 처리 시스템의 영상 확대 장치
JPH089343A (ja) 映像信号変換装置
KR100588934B1 (ko) 다채널 입력의 화면 분할 장치
KR970009458B1 (ko) 단일 튜너를 가지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자 화면 표시방법 및 장치
KR100213872B1 (ko) 정보 pip 화면의 표시위치 가변 장치
JPH06233303A (ja) テレビインターホン装置
KR100199877B1 (ko) 텔레비전의 파노라마화면 제어장치
JPH0767098A (ja) 動画像監視装置
KR100285893B1 (ko) 주사선 변환기능을 이용한 화면분할 표시장치
JP3410117B2 (ja) 信号処理アダプタ
KR20040072437A (ko) 영상확대장치 및 방법
JPH0638214A (ja) テレビインターホン
JP3219743B2 (ja) 撮像システム
KR20040062388A (ko) 복합 영상 장치의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2687801B2 (ja) テレビインタ−ホン
KR200325362Y1 (ko) 다기능 영상표시장치
JPH08340495A (ja) 分割画面表示システム
KR20040078969A (ko) 화면숨김기능을 구비한 감시시스템 및 그의 화면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