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9196Y1 - 텔레비젼을 이용한 비디오폰 자동확인장치(An Apparatus For Confirming Automatically Vedeo Phone To Use TV) - Google Patents

텔레비젼을 이용한 비디오폰 자동확인장치(An Apparatus For Confirming Automatically Vedeo Phone To Use TV)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9196Y1
KR200189196Y1 KR2019970021508U KR19970021508U KR200189196Y1 KR 200189196 Y1 KR200189196 Y1 KR 200189196Y1 KR 2019970021508 U KR2019970021508 U KR 2019970021508U KR 19970021508 U KR19970021508 U KR 19970021508U KR 200189196 Y1 KR200189196 Y1 KR 2001891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circuit
phone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15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8489U (ko
Inventor
홍재만
박영숙
Original Assignee
박상규
아남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규, 아남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상규
Priority to KR20199700215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9196Y1/ko
Publication of KR199900084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4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91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91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6Video 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TV수상기의 외부기기 연결단자에 비디오폰을 연결하므로써 TV를 통해 비디오폰의 호출을 화상 및 음성으로 자동확인하는 비디오폰 자동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비디오폰 자동확인장치는 영상수신회로, 음성수신회로, 동기편향회로 및 전원회로등으로 구성된 TV수상기의 외부기기 연결단자에 비디오폰 케이블을 연결하여 비디오폰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TV모니터 및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하여, 비디오폰(4)으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신호의 존재유무를 판별하여 TV수상기에 내장된 마이크로 컨트롤러(MCU), (6)에 전달하는 신호판별회로(5)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MCU), (6)의 제어신호에 따라 TV수상기의 튜너부(1)로부터 전달되는 방송신호와, 비디오폰(4)으로부터 전달되는 비디오폰 영상 및 음성신호를 적절히 선택하여 이를 TV모니터 및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영상/음성 스위칭회로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비디오폰의 호출에 따른 방문자의 인상착의와 목소리를 TV수상기를 통해 확인될 수 있게 되므로써 비디오폰이 설치된 장소로 직접 이동할 필요없이 방문자를 확인할수 있어 생활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텔레비젼을 이용한 비디오폰 자동확인장치
본 고안은 TV 수상기의 외부기기 연결단자에 비디오폰을 연결하므로써 TV를 통해 비디오폰의 화상 및 음성을 자동확인 할수있는 비디오폰 자동확인장치에 관한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TV수상기 내부회로에 비디오폰의 영상/음성 신호의 존재를 판멸하여 이를 선택출력 시킬수 있는 수단을 내장하므로서 TV수상기가 켜져있거나 꺼져 있는 것에 상관없이 자동으로 비디오폰의 영상/음성신호를 TV모니터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는 TV를 이용한 비디오폰 자동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폰은 방문자의 인상착의와 방문목적을 화상이나 음성을 통해 건물내에서 쉽게 확인하기 위하여 아파트나 단독주택의 정문 혹은 현관에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비디오폰은 방문자가 비디오폰을 누름에 따라 건물내의 비디오폰 수신장치가 이를 영상 및 음성신호로 재현하게 되는바, 보통 비디오폰 수신 장치는 사람이 주로 생활하는 거실이나 안방에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비디오폰의 호출이 있을 때 마다 비디오폰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로 사람이 일일이 이동하여 방문자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디오폰 수신장치가 갖게 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비디오폰이 설치되어 있는 가정에서 비디오폰이 설치되어 있는 곳까지 갈 필요없이 TV가 있는 거실이나 안방에서 TV를 이용하여 방문자를 자동으로 확인하므로써 생활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영상수신회로, 음성수신회동기편향회로, 전원회로등으로 구성된 TV수상기의 외부기기 연결단자에 비디오폰의 케이블을 연결하여 비디오폰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TV모니터 및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는 장치로서 상기한 장치는 비디오폰(4)으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신호의 존재유무를 판별하어 TV수상기에 내장된 마이크로 컨트롤러(MCU), (6)에 전달하는 신호판별회로(5)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MCU), (6)의 제어신호에 따라 TV수상기의 튜너부(1)로부터 전달되는 방송신호와, 비디오폰으로부터 전달되는 비디오폰 영상 및 음성신호를 적절히 선택하여 이를 TV모니터(10) 및 스피커(11)로 출력시키는 영상/음성 스위칭회로(7)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영상/음성 스위칭회로(7)는 방송영상신호 및 비디오폰 영상신호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상신호를 모니터(10)의 주화면에 출력할수 있도록 선택하는 주화면 영상신호 선택부(20)와, 방송영상신호 및 비디오폰 영상신호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상신호를 모니터(10)의 부화면에 출력할수 있도록 선택하는 부화면 영상신호 선택부(21), 및 방송음성신호 및 비디오폰 음성신호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음성신호를 스피커(11)를 통해 출력할수 있도록 선택하는 음성신호 선택부(22)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의 TV를 이용한 비디오폰 확인장치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6)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음성 스위칭회로(7)에서 선택된 주화면 영상신호에 부화면 영상신호를 중첩시키는 PIP회로부(8)를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비디오폰 자동확인장치를 포함하는 TV수상기의 전체회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제2도는 제1도에 적용된 영상/음성 스위칭회로의 상세회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튜너브 2 : 영상/음성검파회로
3 : 외부기기 4 : 비디오폰
5 : 신호판별회로 6 : 마이크로 컨트롤러(MCU)
7 : 영상/음성 스위칭회로 8 : PIP회로
9 : 전원회로 10 : TV 모니터
11 : TV 스피커 12 : 비디오폰 수신장치
13 : 신호편향처리회로 14 : 음성조정회로
15 : 음성증폭회로 16 : 수평편향회로
17 : 수직편향회로 18 : 복조 및 매트릭스
20 : 주화면 영상신호 선택부 21 : 부화면 영상신호 선택
22 : 음성신호선택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특징을 첨부도면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제1도는 본 발명의 비디오폰 자동확인장치를 포함하는 TV수상기의 전체회로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제2도는 제1도에 적용된 영상/음성 스위칭회로의 상세회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TV수상기의 내부회로에 신호판별회로(5) 마이크로 컨트롤러(MCU), (6), 영상/음성 스위칭회로(7), PIP회로(8)를 포함하므로써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신호판별회로(5)는 비디오폰(4)으로부터 TV수상기의 내부회로로 전달되는 비디오폰 영상신호의 존재유무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틀러(MCU), (6)는 신호판별회로(5)로부터 인가되는 판별신호에 따라 상기한 영상/음성 스위칭회로(7)와 PIP회로(8)를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 마이컴이다.
상기 영상/음성 스위칭회로(7)는 TV안테나로부터 전송된 방송신호와 VCR과 같은 외부기기에서 입력되는 영상/음성신호 및 비디오폰(4)에서 전달되는 비디오폰 영상/음성신호를 입력단으로 받아들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6)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소망히는 신호를 선택,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영상/음성 스위칭회로(7)의 보다 상세한 구성 및 기능을 살펴보기 위하여 제2도를 참조하면, 영상/음성 스위칭회로(7)는 다시 주화면 영상신호선택부(20), 부화면 영상신호선택부(21) 및 음성신호 선택부(22)로 구성된다.
상기 주화면 영상신호선택부(20)는 TV모니터(10)의 주화면에 출력될 영상을 선택하기 위하여 방송영상신호, 외부기기영상신호 및 비디오폰 영상신호를 마이크로 컨트롤러(6)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내부의 스위칭 작용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부화면 영상신호선택부(21)는 상기 주화면 영상신호선택부(20)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TV모니터(1O)의 부화면에 출력될 영상을 선택하는 것이다.
상기 음성신호선택부(22)는 입력된 방송음성신호 외부기기음성신호 및 비디오픈 음성신호중 스피커(11)를 통해 출력할 음성신호를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상기 영상/음성 스위칭회로부(7)는 제어신호에 따라 방송신호와 외부기기 신호 및 비디오폰 신호중 모니터(10) 및 스피커(11)를 통해 출력할 신호틀 적절히 선택하는 구성수단이다. 또한, 상기 PIP회로(8)는 영상/음성 스위칭회로부(7)에서 선택된 주화면 영상신호와 부화면 영상신호를 합성하는 수단으로서 주화면 영상신호에 부화면 영상신호를 중첩시킴으로서 그 기능을 달성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 마이크로 컨트롤러(MCU), (6)는 전원회로(9)와 연결되어 대기(STAND-BY) 전원을 공급받을 뿐만아니라 전원회로(9)에 온(ON)/오프(OFF) 제어 신호를 인가하므로써 전원회로(9)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전원회로(9)는 마이크로 컨트롤러(6)뿐만 아니라 신호판별회로(5)에도 대기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도면의 미설명부호 2는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중간주파신호를 영상/음성신호로 검파하는 영상/음성검파회로를 나타내고, 3은 VCR등과 같은 외부기기를 나타내며, 13은 합성영상신호의 휘도신호, 색신호, 동기신호를 편향처리하는 신호편향처리회로를 나타내고, 14는 음성조정회로를 15는 음성증폭회로를 16은 수평편향회로를 17은 수직편향회로를 18은 복조 및 매트릭스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비디오폰 자동확인장치의 설치 및 작용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자동확인장치가 내장된 TV 수상기의 외부기기 연결단자에 어떤 다른 접속수단을 게재하지 않그 일반 가정에 있는 비디오폰 케이블을 연결하므로써 본 고안의 설치가 간단히 완료된다.
본 고안의 작용을 보다 쉽게 이해할수 있도록 TV가 켜져 있는 경우와 TV가 꺼져 있는 경우를 나누어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1) TV가 켜져 있는 경우
가정에서 TV를 시청중에 방문자가 비디오폰(4)을 누르면 비디오폰(4)의 영상 음성신호는 비디오폰 수신장치(12)로 전달됨과 동시에 케이블을 통해 본 고안인 비디오폰 자동확인장치가 내장된 TV수상기의 영상/음성 스위칭회로(7)에 전달된다.
상기한 비디오는 영상신호는 영상/음성 스위칭회로(7)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신호판멸회로(5)이 의해 감지되고 그 감지된 신호는 마이크로 컨트롤러(MCU), (6)로 전달된다. 이렇게 신호판별회로(5)로부터 비디오폰 영상신호를 감지한 마이크로 컨트롤러(6)는 상기 영상/음성 스위칭회로(7)에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주화면 영상신호선택부(20)에서는 방송영상신호를 부화면 영상신호선택부(21)에서는 비디오폰 영상신호를 음성신호 선택부(22)에서는 비디오폰 음성신호를 선택출력 하도록 제어한다.
이렇게 선택된 주화면 영상신호 및 부화면 영상신호는 상기 영상/음성 스위칭 회로(7)의 출력단을 통해 출력된후 PIP회로(8)에 인가된다. 상기 PIP회로(8)는 주화면 영상신호에 부화면 영상신호를 중첩시켜 생성한 합성영상신호를 신호편향 처리회로(13)로 전달된다. 상기 신호편향 처리회로(13)를 거쳐 편향된 합성영상신호는 복조 및 매트릭스(18)를 거쳐 TV모니터(10)로 출력된다. 이 때, TV모니터(10)에는 주화면에 출력되는 방송영상의 일부분에 비디오폰 영상이 중첩되어 부화면으로 출력됨으로써 TV를 시청함과 동시에 비디오폰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영상/음성 스위칭회로(7)에 입력된 비디오폰 음성신호 역시 음성 신호 선택부(22)에 의해 선택된 후 음성조정회로(14)와 음성증폭회로(15)를 거쳐 TV스피커(11)를 통해 출력되므로써 방송음성은 사라지고 방문자의 목소리가 출력된다.
이렇게 TV수상기를 통해 방문자의 화상 및 음성이 출력되고 난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상기 신호판별회로(5)에 비디오폰 영상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마이크로 컨트롤러(6)는 영상/음성 스위칭회로(7)에서 비디오폰 영상/음성 신호의 선택을 해제하므로써 자동으로 TV모니터의 부화면과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비디오폰 영상신호 및 비디오는 음성신호를 사라지게 한다.
(2) TV가 꺼져있는 경우
TV가 꺼진 상태에서 방문자가 비디오폰(4)을 누르게 되면 비디오폰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는 상기(1)과 마찬가지로 비디오폰 수신장치(12)와 TV수상기의 영상/음성 스위칭회로(7)로 전달된다. TV가 꺼진 상태에서는 전원회로(9) 역시 오프(OFF)상태이므로 상기 스위칭회로(7)는 작동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리모콘을 사용하는 TV는 리모콘을 인식하기 위한 대기(STAND-BY)전원이 전원회로(9)에서 마이크로 컨트롤러(6)와 신호판별회로(5)에 공급된다. 따라서, 비디오폰 영상신호는 상기 신호판별회로(5)에 의해 감지될 수 있고 이를 마이크로 컨트롤러(6)가 인지하여 전원회로(9)를 온(ON)하므로써 TV수상기의 다른 회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렇게 스위칭 회로(7)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1)의 TV가 켜져 있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비디오폰 영상 및 음성신호가 TV모니터(10) 및 스피커(11)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6)는 방송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비디오폰 영상산호를 주화면에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칭회로(7)를 제어할수도 있다.
여기서, TV가 꺼진 상태에서 TV가 ON되는 경우는 사람이 부재중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막기위해 일정시간이 지나도록 리모콘이 수신신호가 없으면 마이크로 컨트롤러(6)의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전원이 OFF되도록 프로그래밍하거나 비디오폰의 영상신호가 끊겨 신호판별회로(5)의 판별신호가 마이크로 콘트롤러(6)에 인지되지 않으면 TV가 자동으로 꺼지도록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별개의 독립된 장치로 분리되어 있는 비디오폰과 TV 수상기를 서로 연결하여 비디오폰의 호출에 따른 방문자의 인상착의와 목소리를 TV 수상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써 비디오폰이 설치된 장소로 사람이 직접 이동할 필요없이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어 생활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영상수신회로, 음성수신회로, 동기편향회로, 전원회로등으로 구성된 TV 수상기의 외부기기 연결단자에 비디오폰의 케이블을 연결하여 비디오폰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TV 모니터 및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하여, 비디오폰으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신호의 존재유무를 판별하여 TV 수상기에 내장된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전달하는 신호판별회로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TV 수상기의 튜너부로부터 전달되는 방송신호와, 비디오폰으로부터 전달되는 비디오폰 영상 및 음성신호를 적절히 선택하여 이를 TV 모니터 및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영상/음성 스위칭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전원회로와 연결하여 TV가 꺼진 상태에서 비디오폰의 호출이 있는 경우 이를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인지하여 전원을 온(ON)하므로써 비디오포의 영상/음성신호를 출력하며, 또한, 전원이 자동으로 온(ON)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리모콘 신호나 TV본체의 키입력이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인지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전원이 오프(OFF)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를 이용한 비디오폰 자동확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음성 스위칭회로가 (1) 방송영상신호 및 비디오폰 엉상신호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상신호를 모니터의 주화면에 출력할 수 있도록 선택하는 주화면 영상신호 선택부와,
    (2) 방송영상신호 및 비디오폰 영상신호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상신호를 모니터의 부화면에 출력할 수 있도록 선택하는 부화면 영상신호 선택부 및
    (3) 방송음성신호 및 비디오폰 음성신호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음성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선택하는 음성신호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를 이용한 비디오폰 자동확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음성 스위칭회로에서 선택된 주화면 영상신호에 부화면 영상신호를 중첩시키는 PIP회로부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를 이용한 비디오폰 자동확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판별회로로부터 비디오폰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상기 영상/음성 스위칭회로를 제어하여 비디오폰 영상/음성 신호의 선택을 해제하므로써 비디오폰의 영상 및 음성을 자동으로 사라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를 이용한 비디오폰 자동확인장치.
KR2019970021508U 1997-08-05 1997-08-05 텔레비젼을 이용한 비디오폰 자동확인장치(An Apparatus For Confirming Automatically Vedeo Phone To Use TV) KR2001891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508U KR200189196Y1 (ko) 1997-08-05 1997-08-05 텔레비젼을 이용한 비디오폰 자동확인장치(An Apparatus For Confirming Automatically Vedeo Phone To Use TV)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508U KR200189196Y1 (ko) 1997-08-05 1997-08-05 텔레비젼을 이용한 비디오폰 자동확인장치(An Apparatus For Confirming Automatically Vedeo Phone To Use TV)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489U KR19990008489U (ko) 1999-03-05
KR200189196Y1 true KR200189196Y1 (ko) 2000-08-01

Family

ID=19507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1508U KR200189196Y1 (ko) 1997-08-05 1997-08-05 텔레비젼을 이용한 비디오폰 자동확인장치(An Apparatus For Confirming Automatically Vedeo Phone To Use TV)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919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640B1 (ko) * 1998-05-27 2002-02-19 윤종용 텔레비전연동제어기능을갖는비디오폰
KR20040032273A (ko) * 2002-10-08 2004-04-17 (주)디앤티 동영상 재생장치를 이용한 비디오 도어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489U (ko) 199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2627B1 (ko) 대형영상표시시스템과 텔레비젼 수신장치
KR200189196Y1 (ko) 텔레비젼을 이용한 비디오폰 자동확인장치(An Apparatus For Confirming Automatically Vedeo Phone To Use TV)
KR20080032788A (ko)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JP2000165967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3850894B2 (ja) 映像信号合成装置
JPH06351020A (ja) 監視装置
US7701324B2 (en) Collaborative wireless micro-control system
KR200270463Y1 (ko) 텔레비젼을 이용한 비디오폰 자동 전환장치
KR100279807B1 (ko) 착탈식 모니터를 이용한 홈 오토 메디아 시스템
KR20040032790A (ko) 경보방송용 텔레비전 시스템과 그 시스템에서의 경보방송전파방법
JP3511941B2 (ja) 多局接続ユニット及びテレビ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0279809B1 (ko) 착탈식 모니터를 이용한 홈 오토 메디아 시스템
KR0125918Y1 (ko) 텔레비젼수상기를 이용한 방문자 확인장치
KR200267786Y1 (ko) 다기능 디지탈 티에프티 엘시디 텔레비젼
KR200196349Y1 (ko) 텔레비젼의 동시화면 회로를 이용한 비디오폰 영상 표시장치
KR100279808B1 (ko) 착탈식 모니터를 이용한 홈 오토 메디아 시스템
JPH01106685A (ja) Avシステムのリモート制御方式
KR970003468B1 (ko) 텔레비젼겸용 비디오 도어폰 장치
KR19990047971A (ko) 방문자 확인이 가능한 도어폰을 갖는 텔레비젼 수상기 및 그 방법
KR20060046886A (ko) 영상기기의 eas 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JP2001309360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9980040838A (ko) 비디오폰 시스템
KR19990000270U (ko) 문자 메시지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KR20030045581A (ko) 액정 텔레비전을 이용한 방문객 확인 시스템
KR20050013889A (ko) 재해경보 자동 검출 및 표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