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3889A - 재해경보 자동 검출 및 표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해경보 자동 검출 및 표시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3889A
KR20050013889A KR1020030052482A KR20030052482A KR20050013889A KR 20050013889 A KR20050013889 A KR 20050013889A KR 1020030052482 A KR1020030052482 A KR 1020030052482A KR 20030052482 A KR20030052482 A KR 20030052482A KR 20050013889 A KR20050013889 A KR 20050013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om
stb
state
decoder
dis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2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의
Original Assignee
김창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의 filed Critical 김창의
Priority to KR1020030052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3889A/ko
Publication of KR20050013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388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8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V or radio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2Powering on the client, e.g. bootstrap loading using setup parameters being stored locally or received from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6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a ticker, e.g. scrolling banner for news, stock exchange, weath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표준(규약)으로 정한 재해경보방송 시작 신호(100)가 decoder(n)(111)와 micom(n)(112)으로 검출(103)되면, tv 에 내장 또는 stb에 외장된 micom(1)(102)과 senser(powerdetecter) (104) 로 tv의 on(105) 또는 off(106)상태를 파악하고,tv가 on(105) 상태이면 on(105)상태 그대로 두고, tv가 off(106) 상태 이면 on(105) 상태로 전환 (107)시키고,
종료신호(110)가 decoder(n)(111)와 micom(n)(112)으로 검출(103)되면, tv등에 내장 또는 stb에 외장된 micom(n)(112)과 senser(power detecter) (104)로 tv의 on(105) 또는 off(106)상태를 파악하고, 재해경보방송 시작 이전에, tv가 on(105)상태 이었으면 on(105) 상태 그대로 두고, tv가 off(106) 상태 이었 으면-재해경보방송시작 으로 on(105)상태로 된 것을 다시- off(106) 상태 로 전환(117) 시키는 방법
지역정보(우편번호,행자부 행정지역 code, 행정지역 명칭 등) 또는 집단정보 (소방공무원,재해담당 공무원,주민등록번호,사회보장번호 등) 또는 장르별 정보(뉴스,뉴스 속보 등)를 시작신호(100)에 이어서 화상신호에 중첩하여 송출하여 조건에 따라 수신 집단을 선택 하는 방법
data 방송이나 위성방송 등 같이 고객db(data base)(130)가 있는 경우에는, 그 db(130)를 조건에 따라 지역 또는 집단 또는 장르 별로 부분집합(131~n)으로 구성하고 ,그 부분집합(131~n)의 교집합 또는 합집합 등의 방법으로, data(제어신호 또는 정보)를 수신 하는 방법

Description

재해경보 자동 검출 및 표시 시스템{system for automaticdetecting and displaying disaster warning broadcast}
tv를 켜는 일은 ,첫째 tv의 대기전원을 켜고,둘째 리모콘 스위치 등으로 tv화면을 켜는(on) 일이다.
종래의 기술은 리레이등을 이용하여 ,첫 번째 tv의 대기전원을 켜는 일에 한정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둘째 리모콘 스위치 등으로 tv화면을 켜는(on) 방식등에 관한 것이다.리모콘 스위치등은 한번 누르면 겨지고 또 한번 누르면 꺼지는 토글 (toggle)형 스위치의 특징이 있다.
이것을 이용하여,긴급한 재해 등이 발생한 경우,tv등을 방송 신호 또는 data 신호로 강제로 켜고, 정보를 제공하여 신속히 대처 하게 하는 시스템이다.
도1:senser(104)가 내장된 stb(settop box)의 구조
100:시작신호
101:decoder(1) 107:on상태로 전환
102:micom(1) 110:종료신호
104: senser(power detecter) 111:decoder(n)
105:on(tv) 112: micom(n)
106:Off (tv) 117:off상태로전환
(n): n은 1 이상의 정수
표준(규약)으로 정한 재해경보방송 시작신호(100)와 재해경보방송 종료신호 (110)등을 vbi(vertical blanking interval)로 표시 되는 신호(closed caption ,extended data service,text)에 중첩하여 송출된, 재해경보방송 시작신호(100)를 tv에 내장 또는 stb에 외장된 decoder(1)(101)와 micom(1)(102)으로 검출(103)하는 수단과 방식으로 시작 신호(100)가 decoder(1)(101)와 micom(1)(102)으로 검출 (103)되면, tv 에 내장 또는 stb에 외장된 micom(1)(102)과 senser(powerdetecter) (104) 로 tv의 on(105) 또는 off(106)상태를 파악하고,tv가 on(105) 상태이면 on (105)상태 그대로 두고, tv가 off(106) 상태 이면 on(105) 상태로 전환 (107)시키는 방식
단,decoder(1)(101)와 micom(1)(102)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표준으로 정한 재해경보방송 종료신호(110)를 tv에 내장 또는 stb에 외장된 decoder(1)(101) 와 micom(1)(102)으로 검출(103)하는 방식
종료신호(110)가 decoder(1)(101)와 micom(1)(102)으로 검출(103)되면, tv등에 내장 또는 stb에 외장된 micom(1)(102)과 senser(power detecter) (104)로 tv의 on(105) 또는 off(106)상태를 파악하고, 재해경보방송 시작 이전에, tv가 on(105)상태 이었으면 on(105) 상태 그대로 두고, tv가 off(106) 상태 이었 으면-재해경보방송 시작 으로 on(105)상태로 된 것을 다시- off(106) 상태 로 전환(117) 시키는 방법
표준으로 정한 재해경보방송 시작신호(100)와 재해경보방송 종료신호(110)등을 주전파의 화상 신호에 중첩하여 송출 하여 tv등을 on/off등으로 제어 하고 정보를 제공 하는 송출 방식
재해경보방송 시작과 종료시간 사이에 중대한 상황 변화가 있어서 변경 사실을 다시 알려야할 필요가 있을 시에는, 표준으로 정해진 재해경보방송 시작신호 (100)등을 반복 송출 하여,시작과 종료 사이에 상태변화 시에도 다시 경보를 접하게 하는 송출 방법
지역정보(우편번호,행자부 행정지역 code, 행정지역 명칭 등) 또는 집단정보 (소방공무원,재해담당 공무원,주민등록번호,사회보장번호 등) 또는 장르별 정보(뉴스,뉴스 속보 등)를 시작신호(100)에 이어서 화상신호에 중첩하여 송출하여 수신기 입력 조건에 따라 수신 집단을 선택하는 방법
data 방송이나 위성방송 같이 고객db(data base)(130)가 있는 경우에는, 그 db(130)를 조건에 따라 지역 또는 집단 또는 장르 별로 부분집합(131~n)으로 구성하고 ,그 부분집합(131~n)의 교집합 또는 합집합등의 원소(element)들에 , data(제어 신호)를 수신 하는 방법
즉,tv에 내장 또는 stb에 외장된 decoder(n)(111)와 micom(n)(112)으로 (data신호로 표시되는)시작신호(100)가 검출(103)되면, micom(n)(112)과 senser (power detecter) (104) 로 tv의 on(105) 또는 off(106)상태를 파악하고,tv가 on(105) 상태이면 on(105)상태 그대로 두고, tv가 off(106) 상태 이면 on(105) 상태로 전환 (107)시키고
tv에 내장 또는 stb에 외장된 decoder(n)(111) 와 micom(n)(112)으로 (data신호로 표시되는)종료신호(110)를 검출(103)하는 수단과 방식
tv에 내장 또는 stb에 외장된 decoder(n)(111)와 micom(n)(112)으로 (data신호로 표시되는)종료신호(110)가 검출(103)되면, micom(n)(112)과 senser(power detecter) (104)로 tv의 on(105) 또는 off(106)상태를 파악하고, 재해경보방송 시작 이전에, tv가 on(105)상태 이었 으면 on(105) 상태 그대로 두고, tv가 off(106) 상태 이었으면-재해경보방송시작 으로 on(105)상태로 된 것을 다시- off(106) 상태 로 전환(117) 시키는 수단과 방법
재해경보방송 시작시에 이어서 자막(open,closed자막),data(문자,graphic,화상등) ,음성 등의 방법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
아나로그 방송에서는 tv등을 시청중 일때,다른 채널에서 재해경보 방송을 하는 경우등을 고려하면 튜너가 2개 있어야 모든 경우에 대처 할수 있으나,
디지털방송은 방송국 자체에서 코드 분할 방식으로,방송국 자체에서 지정된 채널로 선택 하여 재해경보방송을 시청 하게 하는 방식으로 1개의 demux만 으로 가능 하다.
표준으로 정한 재해경보방송 시작신호(100)송출시 현재 시각을 동시에 송출 하여,이 시각과 rtc의 시각이 오차 한계내에 있으면 재해경보방송실행 시작으로 인식하여 tv등의 전원을 on 또는 off 등으로 제어하고 정보를 제공하는데, 오작동을 방지하는 수신 방식
디지털이나 또는 유선 또는 무선 으로 수신 되는 모든 신호가 ,같은방식 (즉,시작 신호(100)가 decoder(n)(111)와 micom(n)(112)으로 검출(103)되면 등)으로 처리될수 있고, 다른 기기에도 활용 가능 하다.
아나로그 tv로 tv를 시청중인 경우에,다른 채널로 주어지는 재해경보를 접하기 위해서는 한 개의 튜너가 더 필요 하고,아나로그 tv에는 rtc(real time clock) 또는 decoder(1) 가 내장 되어 있는 model도 있고 없는 model도 있다. 없는 경우 에는 rtc(real time clock) 또는 decoder(1) 을 내장 해야 한다.
수신기를 구성하는 거의 모든 부품이 디지털 tv(d-tv) 또는 디지털위성방송 stb에 이미 내장 되어 있어 소프트웨어 변경으로 구현 할 수 있는 것이 특징 이다.따라서 비용이 적게 소요 되고, 구현이 간단한 것이 특징이다.
수신기중 아나로그 형태의 stb의 한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Claims (13)

  1. 미도시된
    유선 또는 무선으로 tv 또는 stb(settop box)로 수신되는 신호중,표준(규약)으로 정한 재해경보방송 시작신호(100)를 tv에 내장 또는 stb에 외장된 decoder(1) (101)와 micom(1)(102)으로 검출(103)하는 수단과 방식.
    시작 신호(100)가 decoder(1)(101)와 micom(1)(102)으로 검출(103)되면, tv에 내장 또는 stb에 외장된 micom(1)(102)과 senser(power detecter)(104) 로 tv의 on(105) 또는 off(106)상태를 파악 하고,tv가 on(105) 상태이면 on(105)상태 그대로 두고, tv가 off(106) 상태 이면 on(105) 상태로 전환 (107)시키는 수단과 방식
    단,decoder(1)(101)와 micom(1)(102)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2. 제1항에서
    표준으로 정한 재해경보방송 종료신호(110)를 tv에 내장 또는 stb에 외장된 decoder(1)(101) 와 micom(1)(102)으로 검출(103)하는 수단과 방식
    종료신호(110)가 decoder(1)(101)와 micom(1)(102)으로 검출(103)되면, tv에 내장 또는 stb에 외장된 micom(1)(102)과 senser(power detecter) (104)로 tv의 on(105) 또는 off(106)상태를 파악하고, 재해경보방송 시작 이전에, tv가 on(105)상태 이었 으면 on(105) 상태 그대로 두고, tv가 off(106) 상태 이었 으면-재해경보방송시작 으로 on(105)상태로 된 것을 다시- off(106) 상태 로 전환(117) 시키는수단과 방법
  3. 제1,2항에서
    리모콘 또는 (tv 또는 stb)본체 버튼 등으로, tv에 내장 또는 stb에 외장된 micom(1)(102)에 지역정보(우편번호,행자부 행정지역 code, 행정지역 명칭 등) 또는 집단정보(소방공무원,재해담당 공무원,주민등록번호,사회보장번호 등) 또는 장르별 정보(뉴스,뉴스 속보 등)를 선택할 입력할 수단을 갖고,그것을 입력하여 지역 또는(and/or) 집단 또는 (and/or) 장르별 또는(and/or) 그것 들의 합집합 또는 교집합으로 입력된 조건에 따라 수신 집단을 선택 하는 수단
  4. 제1,2항에서
    data 방송이나 위성방송 같이 고객db(data base)(130)가 있는 경우에는, 그 db(130)를 조건에 따라 지역 또는 집단 또는 장르 별로 부분집합(131~n)으로 구성하고 ,그 부분집합(131~n)의 교집합 또는 합집합등의 방법으로된 부분 집합에, tv에 내장 또는 stb에 외장된 decoder(n)(111)와 micom(n)(112)으로 각각의 원소로 수신 되는 data(제어) 신호를 검출(103)하는 하는 수단 과 방법.
    (data신호 등으로 표시되는)시작 신호(100)가 decoder(n)(111)와 micom(n) (112)으로 검출(103)되면, tv에 내장 또는 stb에 외장된 micom(n)(112)과 senser (power detecter) (104) 로 tv의 on(105) 또는 off(106)상태를 파악 하고,tv가 on (105) 상태이면 on(105)상태 그대로 두고, tv가 off(106) 상태 이면 on(105) 상태로 전환 (107)시키는 수단과 방식
    단,decoder(n)(111)와 micom(n)(112)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data신호 등으로 표시되는)종료신호(110)가 decoder(n)(111)와 micom(n) (112)으로 검출(103)되면, tv에 내장 또는 stb에 외장된 micom(n)(112)과 senser (power detecter) (104)로 tv의 on(105) 또는 off(106)상태를 파악하고, 재해경보방송 시작 이전에, tv가 on(105)상태이었 으면 on(105) 상태 그대로 두고, tv가 off(106) 상태 이었으면-재해경보방송시작 으로 on(105)상태로 된 것을 다시- off (106)상태 로 전환(117) 시키는 수단과 방법
  5. 제1,2항에서
    표준으로 정한 재해경보방송 시작과 종료시간 사이에 tv의 상태 변화(tv의 전원 off 또는 음량 변화 또는 채널 변경 등)(120)가 있으면 재해경보방송 종료시에 변화된 상태(120)로 유지하는 수단과 방법
    재해경보방송 시작과 종료시간 사이에 중대한 상황 변화가 있어서 변경 사실을 다시 알려야할 필요가 있을 시에는, 표준으로 정한 재해경보방송 시작신호(100)등을 반복 송출 하여,
    tv에 내장 또는 stb에 외장된 decoder(1)(101) 와 micom(1)(102)으로 시작신호(100) 등을 다시 검출(103)하여,다시 tv전원을 on(105)상태 등으로 하여,시작과 종료 사이에 상태변화 시에도 다시 경보를 접하게 하는 송출 또는 수신 방법
  6. 제1,2항에서
    재해경보방송 시작신호(100)가 tv에 내장 또는 stb에 외장된 decoder(n) (111)와 micom(n)(112)으로 검출(103)되면, tv에 내장 또는 stb에 외장된 micom(n) (112)으로,음량을 일정 레벨(level) 까지 입력 하는 수단 또는(and/or) 음량을 일정 레벨 까지 단계적 으로 높이는 수단 또는(and/or) 일정 시간이 지나서도 tv상태 변화가 없을시 음량을 최고 레벨 까지 높이는 수단
  7. 제1,2항에서
    재해경보방송 시작신호(100)가 tv에 내장 또는 stb에 외장된 decoder(n) (111)와 micom(n)(112)으로 검출(103)되면, 이어서 자막(open,closed자막)/data(문자,graphic,화상등) /음성 등의 방법으로 정보가 제공되는 수단
  8. 제1,2항에서
    재해경보방송 시작신호(100)가 tv에 내장 또는 stb에 외장된 decoder(n) (111)와 micom(n)(112)으로 검출(103)되면- 스피커,부저,경광등,기타 수단의- 경보가 동시에 울리거나 빛을 발생하여 경보 상태임을 알려 주는 보조경보 장치 설치 수단
  9. 제1,2항에서
    밧데리 또는 기타의 수단으로 가동되거나 맞춰지게 되어 있는, rtc(realtime clock)(140)가 표시하는 시각(141)과 재해경보방송 시작시 동시에 송출되는 시각(142)을 비교하는 수단을 갖고, 두 시각(141)(142)이 허용 오차의 한계내(143)에 있으면 재해경보방송 시작신호(100)의 실행을 시작하는 정보 점검 수단과 방식
  10. 제1,2항에서
    stb에서,전화 등을 사용 하여 stb에 내장된 스마트 카드에 지역 정보 또는 집단정보 또는 장르별 정보 또는 경보시 음량 레벨 등을 입력 하는 수단을 갖고 그 조건에 따라 정보 등을 수신하는 수단
  11. 제1,2항에서
    재해경보방송 시작신호(100)가 tv에 내장 또는 stb에 외장된 decoder(n) (111)와 micom(n)(112)으로 검출(103)되면, tv 또는 stb에 내외장된 micom(1)(102)에 선택될 채널(108) 입력수단 과 재해경방송시작시 입력된 채널로 바뀌는 수단
  12. stb에서,미도시된
    ir blaster본체(150)(151)를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구성하는 수단재해경보방송 시작신호(100)가 tv에 내장 또는 stb에 외장된 decoder(n)(111)와 micom(n) (112)으로 검출(103)되면재해경보방송 시작신호(100)가 tv에 내장 또는 stb에 의장된 decoder(n)(111)와 micom(n)(112)으로 검출(103)되면
    ①ir blaster 본체(150)(151)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diode)와 도선 등으로구성되고, 적외선이 잘 투과 되는 물질로 만들어진 커버(cover)가 있어서 그 곳으로 적외선이 잘 투과 되도록 되어 있고
    ②stb에 내장된 micom(n)(112)에,해당 tv의 리모콘 신호 체계와 ir blaster (즉,micom(n):112)의 신호 체계가 일치되게 하는 입력 수단을 갖고
    (만능 리모콘 기능)
    (또는 ir blaster 본체 등에 내장한 micom(n)(112) 에 ,해당 tv의 리모콘신호 체계와 ir blaster 신호 체계가 일치 되게 하는 입력 수단을 갖고: 만능 리모콘 기능)
    ③stb와 ir blaster 본체(150)(151)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되는 수단을 갖고
    ④ir blaster 본체(150)(151)에서 송출 되는 제어 신호가 , tv 리모콘 수광부에 잘 수신 되는 위치에 두어서
    ⑤재해경보방송 시작신호(100)가 decoder(n)(111)와 micom(m)(112)으로 검출 (103)등이 되면,micom(n)(112)과 ir blaster 본체(150)(151)에서
    ㉠tv를 on 또는 off시키는 제어 신호의 송출 수단
    ㉡tv의 음량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제어 신호의 송출 수단
    ㉢지정된 채널로 바꾸어주는 제어 신호의 송출 수단
    ⓐ아나로그 또는 디지털 수신기에서, ㉠과(and)㉡과(and)㉢의 수단을 갖는 ir blaster 본체
    (150) 또는
    ⓑ디지털 수신기에서,(디지털방송은 방송국 자체에서 코드 분할 방식으로 지정된 채널로 선택 할 수 있으므로)㉠과(and)㉡ 만의 수단을 갖는 ir blaster 본체 (151)
  13. 도1,2에서
    ir blaster 본체(150)(151)와 연결되는 단자(161)를 stb에 설치하는 수단.
    tv에 전원 공급 및 (senser(104)가 설치되어) tv 전원의 On 또는 off상태를 감지하는 수단을 갖는 ol (162:out let:ol)을 stb에 설치하는 수단.
    1개의 단자(161)와 1개의 ol(162)을 필수로 갖고,그 외의 다른 연결 단자 또는(and/or) 코드등을 갖는 stb의 구조. 또는 단자(161)대신 ir blaster 본체(150) (151)를 직접 도선 (또는 무선) 으로 연결 하는 수단을 갖는 stb의 구조
KR1020030052482A 2003-07-29 2003-07-29 재해경보 자동 검출 및 표시 시스템 KR200500138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2482A KR20050013889A (ko) 2003-07-29 2003-07-29 재해경보 자동 검출 및 표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2482A KR20050013889A (ko) 2003-07-29 2003-07-29 재해경보 자동 검출 및 표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889A true KR20050013889A (ko) 2005-02-05

Family

ID=37225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2482A KR20050013889A (ko) 2003-07-29 2003-07-29 재해경보 자동 검출 및 표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38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124B1 (ko) * 2005-10-17 2006-12-20 (주)뉴멀티테크 방재 기상경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24144B1 (ko) * 2008-06-05 2009-10-2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124B1 (ko) * 2005-10-17 2006-12-20 (주)뉴멀티테크 방재 기상경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24144B1 (ko) * 2008-06-05 2009-10-2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81774B1 (en) Display of closed captioning status
US7784072B2 (en) Apparatus having an emergency alert function with single button control
US6940404B2 (en) Transmitter for surveillance camera, and surveillance system
KR20050074623A (ko) 비상 경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50013889A (ko) 재해경보 자동 검출 및 표시 시스템
KR20040032792A (ko) 재해경보 자동 검출 및 표시 시스템 (티브이/셋탑박스)
JP2007524882A (ja) 緊急警戒警報機能を有する装置の自己診断テスト
KR20050012090A (ko) 재해경보 자동 검출 및 표시 시스템
KR20050016782A (ko) 재해경보 자동 검출 및 표시 시스템 (stb)
KR20050014338A (ko) 재해경보 자동 검출 및 표시 시스템
KR20050015921A (ko) 재해경보 자동 검출 및 표시 시스템(stb)
KR20050027873A (ko) 재해경보 자동 검출 및 표시 시스템(셋탑 박스 /티브이)
KR20050015830A (ko) 재해경보 자동 검출 및 표시 시스템 (stb)
KR20050016781A (ko) 재해경보 자동 검출 및 표시 시스템 (tv)
KR20050023653A (ko) 재해경보 자동 검출 및 표시 시스템 (stb/tv)
KR20050018254A (ko) 재해경보 자동 검출 및 표시 시스템 (tv)
KR20050015829A (ko) 재해경보 자동 검출 및 표시 시스템(tv)
KR20050027872A (ko) 재해경보 자동 검출 및 표시 시스템 (tv)(티브이)
KR20050023022A (ko) 재해(재난)경보 자동 검출 및 표시 시스템 (stb/tv)
KR20050023021A (ko) 재해(재난)경보 자동 검출 및 표시 시스템 (tv)
KR20050028270A (ko) 재해경보 자동 검출 및 표시 시스템 (티브이)
KR20020050041A (ko) Tv 자동 on/off 시스템 ( r4 )
KR20060105939A (ko) 경보방송용 텔레비전 시스템과 dmb용 수신기
KR20050024127A (ko) 재해경보 자동 검출 및 표시 시스템 (tv)
KR20060099563A (ko) 조건에 따라,선택 수신하는 수단을 갖는 티브이 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