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2627B1 - 대형영상표시시스템과 텔레비젼 수신장치 - Google Patents

대형영상표시시스템과 텔레비젼 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2627B1
KR0172627B1 KR1019940035510A KR19940035510A KR0172627B1 KR 0172627 B1 KR0172627 B1 KR 0172627B1 KR 1019940035510 A KR1019940035510 A KR 1019940035510A KR 19940035510 A KR19940035510 A KR 19940035510A KR 0172627 B1 KR0172627 B1 KR 0172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ontrol means
bidet
projector
home auto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5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2833A (ko
Inventor
키요시 오쿠이즈미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미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미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950022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2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2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26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0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 H04B1/205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with control bus for exchanging commands between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1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ome appliance, e.g. lighting, air conditioning system, met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구라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대형영상표시시스템을 제공한다.
텔레비젼수신장치는 원격제어기로부터의 명령을 자동으로 판단하여, 텔레비젼수신장치내에 설치된 비데오프로젝터제어기에 의해 비데오프로젝터의 전원스위치, 화면밝기 및 화면의 콘트라스트를 제어하고, 역시 텔레비젼수신장치내에 설치된 스크린제어기에 의해 스크린의 롤링업/다운을 제어한다.

Description

대형영상표시시스템과 텔레비젼 수신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대형영상표시시스템의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대형영상표시시스템의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대형영상표시시스템의 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대형영상표시시스템의 블록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대형영상표시시스템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2, 13, 14 : 텔레비젼수신장치
2, 22, 32, 42, 52 : 원격제어유닛
3 : 비데오프로젝터제어기 4 : 비데오프로젝터
5 : 스크린제어기 6 : 스크린
7 : 음성모드검출기
8 : 3-1스테레오방식의 가청주파증폭기
9 : 가내자동화제어회로 10 : 가내자동화시스템제어용 컴퓨터
11 : 홈버스시스템 100 : 영상신호수신/처리회로
본 발명은 대형영상표시시스템을 메인유닛으로서 구성하는 소정의 유닛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 텔레비젼수신장치를 구비한 대형영상표시시스템의 시스템제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향기기와 영상기기를 동시에 즐기려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사용자가 대형영상표시시스템을 제어하고자 할 때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을 하나하나 수동 조작하거나 원격제어해야만 한다. 최근, 유닛이 보다 많은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조작의 복잡함과 어려움을 간단화하고 또, 멀리 떨어진 장소로부터 손쉽게 제어하기 위해, 각 유닛기기에 1개 내지 2개의 원격제어유닛을 부속시키고 있다. 즉, 기기의 다기능화에 따라, 기기의 조작이 복잡해지거나 어려워지고 있는데, 이러한 결점을 감소시키고 멀리 떨어진 장소로부터 기기를 손쉽게 제어하기 위해, 각 기기에 1개 내지 2개의 전용 원격제어의 유닛을 부속시키고 있다. 이 경우에, 원격제어유닛은 일반적으로 메인원격제어유닛과, 빈번하게 사용하는 기능만을 집압시켜 키(key)수를 될 수 있는 한 삭감시킨 서브원격제어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격제어방법은 기기의 복잡한 조작을 간단하게 하고, 누구라도 기기를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도입되었으나, 시스템이 대형화되고 기기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원격제어유닛의 종류의 수도 비례하여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면, 10개의 유닛기기로 구성된 대형영상표시시스템의 경우, 각 유닛기기가 1개 내지 2개의 원격제어유닛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해당시스템은 10∼20개의 원격제어유닛을 보유하는 것이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원격제어유닛이 많이 있을 때는, 원격제어유닛의 조작횟수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어느 기기에 어느 원격제어유닛이 대응하는지 구별하기도 어려워 간편한 조작성이라고 하는 원격제어방법의 장점을 상실하게 된다.
본 발명은 조작이 간편하고, 전용 원격제어유닛을 통해 해당 텔레비젼수신장치에 접속된 기타 기기를 제어하는 텔레비젼수신장치와, 이 텔레비젼수신장치를 구비한 대형영상표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 대형영상표시시스템은, 시스템의 중심이 되는 기기의 전용 원격제어유닛만으로, 대형영상표시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기타 기기를 서로 연계해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텔레비젼수신장치를 대형영상표시시스템의 중심기기라고 간주하고, 사용자가 텔레비젼수신장치에 구비된 전용 원격제어유닛을 통해 제어신호를 송신할 때, 텔레비젼수신장치는 자동적으로 판단하여 해당 텔레비젼수신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기타 기기를 자동제어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대형영상표시시스템의 블록도이다. 텔레비젼수신장치(1)는 텔레비젼신호와 비데오카세트레코더나 레이저디스크플레이어 등의 영상 신호를 수신 · 송신처리하는 영상신호 수신/처리회로(100)외에, 비데오프로젝터제어기(3)와 스크린제어기(5)를 구비하고 있다.
또, 텔레비젼수신장치(1)는 비데오프로젝터(4)와 스크린(6)을 텔레비젼수신장치(1)의 외부기기로서 접속함으로써 대형영상표시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사용자는 원격제어유닛(2)을 통해 텔레비젼수신장치(1)에 명령신호를 보내고 이 명령신호를 수신한 텔레바젼수신장치(1)는 자동적으로 판단하여 비데오프로젝터제어기(3) 및 스크린제어기(5)를 통해 비데오프로젝터(4)와 스크린(6)을 자동제어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텔레바젼수신장치(1)에 시스템의 전원을 온(ON)시킨 때, 텔레비젼수신장치(1)는 비데오프로젝터(4)의 전원을 온시키고, 스크린(6)을 소정의 위치까지 끌어내리는, 즉 롤링다운(rolling down)하는 일련의 동작을 자동으로 행한다. 또, 사용자가 텔레비젼수신장치(1)에 시스템의 전원을 오프(OFF)시킨 경우에는, 텔레비젼수신장치(1)는 비데오프로젝터(4)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스크린(6)을 원위치까지 감아올리는 즉, 롤링업(rolling up)하는 일련의 동작을 자동으로 행한다.
[실시예2]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대형영상표시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 경우, 텔레비젼수신장치(12)는 제1실시예의 구성에, 음성모드검출기(7)를 추가하여 구비하고, 또, 대형영상표시시스템은 외부기기로서 제1실시예의 구성에, 3-1스테레오방식의 가청주파증폭기(8)를 추가하여,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원격제어유닛(22)의 명령신호는 텔레바젼수신장치(12)를 통해 3-1스테레오방식의 가청주파증폭기(8)로 송출된다. 이렇게 해서 3-1스테레오방식의 가청주파증폭기(8)에 대해서 최적의 음장(音場)을 자동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텔레비젼수신장치는 가청주파증폭기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가청주파증폭기는 서라운드시스템을 구성하는 데 필요하다.
서라운드모드(모드 명은 제작자에 의해 홀모드(Hall Rode), 스튜디움모드(studium mode), 극장모드(theater mode)로 호칭됨)는 텔레비젼수신장치에 접속된 가청주파증폭기에서 임의로 선택되기 때문에 텔레바젼수신장치와는 전혀 관계가 없는 서라운드 모드가 선택될 수도 있다.
상술한 텔레비젼수신장치는 MUSE방식 하이비젼(Highvisiou)방송을 수신하는 기능이 있다. MUSE방식 하이비젼 방송은 몇몇 종류의 음성모드를 제공하는데 그들 중 하나는 재생상태를 디지틀코드의 형태로 부여하는 모드이다. 하지만, 사용자가 마음대로 선택하는 서라운드모드에 대해서는, 방송사측에서 계획한 음성이 항상 수신장치측에서 재생될 수는 없다. 그러므로, 본 대형영상표시시스템은 수신장치측에서의 음성모드가 방송사측에서의 음성모드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여기서, 3-1스테레오방식이란 좌(L), 우(R), 중앙(C)의 3개 채널과 서라운드채널(S)로 구성된 음성재생방식을 의미한다.
[실시예3]
제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대형영상표시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 경우에 텔레비젼수신장치(13)는 제1실시예의 구성에, 가내자동화시스템(home automation 1ife system)제어회로(9)를 추가하여 구비하고, 또 대형영상표시시스템은 외부기기로서도 제1실시예의 구성에, 가내자동화시스템제어용 컴퓨터(10)를 추가하여 구비하고 있다. 가내자동화제어용 컴퓨터(10)는 조명과 커튼구동모터 등의 홈(home)기기에 접속되어 이들 기기를 제어한다.
가내자동화시스템 제어용 컴퓨터(10)는 원격제어유닛(32)을 작동시킴으로써 텔레비젼수신장치(13)의 전원이 온상태로 된 것을 검지하고 또, 예를 들어, 조명을 끄거나 커튼을 닫는 등의 홈기기를 자동제어한다.
[실시예4]
제4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대형영상표시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 경우, 텔레비젼수신장치(14)는 제3실시예의 구성에, 음성모드검출기(7)를 추가하여 구비하고, 또 대형영상표시시스템은 외부기기로서도 제3실시예의 구성에, 3-1스테레오방식의 가청주파증폭기(80)를 추가하여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원격제어유닛(42)으로부터 텔레비젼수신기(14)로 명령신호를 송출한다. 그 결과, 텔레비젼수신기(14)에 구비된 가내자동화시스템제어회로(9)로부터 3-1스테레오방식가청주파증폭기 (8)로 검출신호를 송출하고 최적음장을 자동설정한다. 게다가 흠시에터 (home theater)시스템과 오디오시스템을 가내자동화시스템에 접속시킴으로써 영상, 음향, 환경의 각각이 연계되어 자동으로 검출 제어된다.
[실시예5]
제5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대형영상표시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 경우, 외부기기로서 제4실시예의 구성에, 홈버스시스템(home bus system)(11)을 추가하여 구비함으로써 가내의 기타 기기와의 접속을 좀 더 완전하게 하는 것이 된다. 예를 들어, 비데오프로젝터로 영화를 감상할 때, 방안의 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할 뿐만 아니라, 홈기기의 제어도 행한다. 즉, 영화감상 중에 방문자가 오거나 전화가 올 때는 방안의 조명을 켜고, 영화를 일시 정지하며 영상음의 볼륨을 일시적으로 줄인다. 이 모든 작동을 자동으로 행한다. 상기 조명이나 영상음의 볼륨이외에 기타 기기의 어떠한 기능이라도 제어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기 각 실시예에 의한 대형영상표시시스템 또는 텔레바젼수신장치에서, 제어 중심이 되는 기기는 사용자의 제어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시스템내의 다수의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수의 원격제어유닛을 조종할 필요도 없다. 이와 같이 다수의 기기로 구성된 대형영상시스템의 조작의 복잡성을 해소하여 누구라도 시스템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또는 본성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그 밖의 독특한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간주될 뿐, 상기 기술에 의해서 보다는 차라리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있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청구범위와 동등한 의미와 범위내에서의 모든 변형을 다음의 특허청구의 범위내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Claims (10)

  1. 분리형 비데오프로젝터와, 텔레비젼수신장치로 이루어진 대형영상표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비데오프로젝터는 비데오프로젝터 및 스크린을 구비하고, 상기 텔레비젼수신장치는 영상신호 수신/처리수단, 비데오프로젝터제어수단 및 스크린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비데오프로젝터에 대해서는 상기 비데오프로젝터제어수단에 의해, 전원, 화면밝기 및 화면의 콘트라스트를 제어하고, 상기 스크린에 대해서는 상기 스크린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스크린의 롤링 업/다운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영상표시시스템.
  2. 분리형 비데오프로젝터와, 3-1스테레오방식의 가청주파증폭기와, 텔레비젼수신장치로 이루어진 대형영상표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비데오프로젝터는 비데오프로젝터 및 스크린을 구비하고, 상기 텔레비젼 수신장치는 영상신호 수신/처리수단, 비데오프로젝터제어수단, 스크린제어수단 및 음성모드검출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비데오 프로젝터에 대해서는 상기 비데오프로젝터제어수단에 의해 전원, 화면밝기 및 화면의 콘트라스트를 제어하고, 상기 스크린에 대해서는 상기 스크린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스크린의 롤링업/다운을 제어하고, 상기 3-1스테레오방식의 가청주파증폭기에 대해서는 상기 음성모드검출수단에 의해 서라운드모드의 절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영상표시시스템.
  3. 분리형 비데오프로젝터와, 가내자동화시스템제어용 컴퓨터수단과, 텔레비젼수신장치로 이루어진 대형영상표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비데오프로젝터는 비데오프로젝터 및 스크린을 구비하고, 상기 텔레비젼수신장치는 영상신호 수신/처리수단, 비데오프로젝터제어수단, 스크린제어수단 및 가내자동화시스템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비데오프로젝터에 대해서는 상기 비데오프로젝터제어수단에 의해, 전원, 화면밝기 및 화면의 콘트라스트를 제어하고, 상기 스크린에 대해서는 상기 스크린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스크린의 롤링업/다운을 제어하고, 상기 가내자동화시스템 룸에 대해서는 상기 가내자동화시스템에 제어수단에 의해, 조명도와 커튼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영상표시스템.
  4. 분리형 비데오프로젝터와, 3-1스테레오방식의 가청주파증폭기와, 가내 자동화시스템제어용 컴퓨터수단과, 텔레비젼수신장치로 이루어진 대형영상표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비데오프로젝터는 비데오프로젝터 및 스크린을 구비하고, 상기 텔레비젼수신장치는 영상신호 수신/처리수단과, 비데오프로젝터제어수단, 스크린제어수단, 음성모드검출수단 및 가내자동화시스템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비데오프로젝터에 대해서는 상기 비데오프로젝터제어수단에 의해 전원, 화면밝기 및 화면의 콘트라스트를 제어하고, 상기 스크린에 대해서는 상기 스크린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스크린의 롤링업/다운을 제어하고, 상기 3-1스테레오방식의 가청주파증폭기에 대해서는 상기 음성모드검출수단에 의해 서라운드모드의 절환을 제어하고, 상기 가내자동화시스템 룸에 대해서는 상기 가내자동화시스템제어수단에 의해 조명도와 커튼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영상표시시스템.
  5. 분리형 비데오프로젝터와, 3-1스테레오방식의 가청주파증폭기와, 가내자동화시스템제어용 컴퓨터수단과, 홈버스시스템과, 텔레비젼수신장치로 이루어진 대형영상표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비데오프로젝터는 비데오프로젝터 및 스크린을 구비하고, 상기 텔레비젼수신장치는 영상신호 수신/처리수단, 비데오프로젝터제어수단, 스크린제어수단, 음성모드검출수단 및 가내자동화시스템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비데오프로젝터에 대해서는 상기 비데오프로젝터제어수단에 의해 전원, 화면 밝기 및 화면의 콘트라스트를 제어하고, 상기 스크린에 대해서는 상기 스크린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스크린의 롤링업/다운을 제어하고, 상기 3-1스테레오방식의 가청주파증폭기에 대해서는 상기 음성모드검출수단에 의해 서라운드모드의 절환을 제어하고, 상기 가내자동화시스템 룸에 대해서는 상기 가내자동화시스템 제어수단에 의해 조명도와 커튼의 개폐를 제어하고, 방문자의 내방시에는 상기 홈버스시스템에 의해 실내 조명의 점등/소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영상표시시스템.
  6. 영상신호 수신/처리수단과, 비데오프로젝터제어수단과. 스크린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텔레비젼수신장치에 있어서, 분리형 비데오프로젝터에 대해서는 상기 비데오프로젝터제어수단에 의해 전원, 화면밝기 및 화면의 콘트라스트를 제어하고, 스크린에 대해서는 상기 스크린제어수단에 의래 롤링업/다운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수신장치.
  7. 영상신호 수신/처리수단과, 비데오프로젝터제어수단과, 스크린제어수단과, 음성모드검출수단으로 이루어진 텔레바젼수신장치에 있어서, 분리형 비데오프로젝터에 대해서는 상기 비데오프로젝터제어수단에 의해 전원, 화면밝기 및 화면의 콘트라스트를 제어하고, 스크린에 대해서는 상기 스크린제어수단에 의해 롤링업/다운을 제어하고, 3-1스테레오방식의 가청주파증폭기에 대해서는 상기 음성모드검출수단에 의해 서라운드모드의 절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바젼수신장치.
  8. 영상신호 수신/처리수단과, 비데오프로젝터제어수단과, 스크린제어수단과 가내자동화시스템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텔레바젼수신장치에 있어서, 분리형 비데오프로젝터에 대해서는 상기 비데오프로젝터제어수단에 의해 전원, 화면밝기 및 화면의 콘트라스트를 제어하고, 스크린에 대해서는 상기 스크린제어수단에 의해 롤링업/다운을 제어하고, 가내자동화시스템 룸에 대해서는 상기 가내자동화시스템제어수단에 의해, 조명도와 커튼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바젼수신장치.
  9. 영상신호 수신/처리수단과, 비데오프로젝터제어수단과, 스크린제어수단과, 음성모드검출수단과, 가내자동화시스템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텔레비젼수신장치에 있어서, 분리형 비데오프로젝터에 대해서는 상기 비데오프로젝터제어수단에 의해 전원, 화면밝기 및 화면의 콘트라스트를 제어하고, 스크린에 대해서는 상기 스크린제어수단에 의해, 롤링업/다운을 제어하고, 3-1스테레오방식의 가청주파증폭기에 대해서는 상기 음성모드검출수단에 의해, 서라운드모드의 절환을 제어하고, 가내자동화시스템 룸에 대해서는 상기 가내자동화시스템제어수단에 의해, 조명도와 커튼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바젼수신장치.
  10. 영상신호 수신/처리수단과, 비데오프로젝터제어수단과, 스크린제어수단과, 음성모드검출수단과, 가내자동화시스템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텔레비젼수신장치에 있어서, 분리형 비데오프로젝터에 대해서는 상기 비데오프로젝터제어수단에 의해 전원, 화면밝기 및 화면의 콘트라스트를 제어하고, 스크린에 대해서는 상기 스크린제어수단에 의해 롤링업/다운을 제어하고, 3-1스테레오방식의 가청주파증폭기에 대해서는 상기 음성모드검출수단에 의해, 서라운드모드의 절환을 제어하고, 가내자동화시스템 룸에 대해서는 상기 가내자동화시스템제어수단에 의해 조명도와 커튼의 개폐를 제어하고, 방문자의 내방시에는 홈버스시스템에 의해, 실내조명의 점등/소등과 영상음의 볼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수신장치.
KR1019940035510A 1993-12-22 1994-12-21 대형영상표시시스템과 텔레비젼 수신장치 KR01726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491593A JP3275499B2 (ja) 1993-12-22 1993-12-22 大形映像表示システムと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JP93-324915 1993-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833A KR950022833A (ko) 1995-07-28
KR0172627B1 true KR0172627B1 (ko) 1999-03-20

Family

ID=18171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5510A KR0172627B1 (ko) 1993-12-22 1994-12-21 대형영상표시시스템과 텔레비젼 수신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15219A (ko)
JP (1) JP3275499B2 (ko)
KR (1) KR0172627B1 (ko)
CN (1) CN1121671A (ko)
CA (1) CA2138738C (ko)
GB (1) GB228515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853B1 (ko) * 2002-09-17 2005-08-17 유봉근 스크린 승하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3516B1 (ko) * 1995-08-28 1999-12-01 윤종용 디지탈 tv 수신기를 이용한 가사 자동화 장치
US6263502B1 (en) * 1997-03-18 2001-07-17 Thomson Licensing S.A.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audio and video control settings for television programs
JP2000330201A (ja) 1999-03-17 2000-11-30 Fujitsu Ltd 投写型画像表示装置
KR100451736B1 (ko) * 2001-12-29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터의 전원 제어장치 및 방법
US7393110B2 (en) * 2004-07-06 2008-07-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dia projector system
KR20060023300A (ko) * 2004-09-09 2006-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홈오토메이션 장치
JP5055916B2 (ja) * 2006-09-28 2012-10-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投影型表示装置、投影型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138132A (zh) * 2008-09-01 2011-07-27 三菱数字电子美国公司 用于增强电视观看的系统和方法
KR20100062873A (ko) * 2008-12-02 2010-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신호를 이용한 인프라 제어 장치 및 시스템
JP5515389B2 (ja) * 2009-04-22 2014-06-11 ソニー株式会社 オーディオ処理装置及びオーディオ処理方法
US20140373074A1 (en) 2013-06-12 2014-12-18 Vivint, Inc. Set top box automation
CN106231277B (zh) * 2016-08-28 2018-01-16 天津通信广播集团有限公司 基于aml7366soc芯片的激光电视光机控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14501B1 (de) * 1977-04-01 1978-09-07 Grundig Emv Fernsehempfaenger als Bildwiedergabe-Terminal fuer elektronische Peripherie-Gerte
DE3036552C2 (de) * 1980-09-27 1985-04-25 Blaupunkt-Werke Gmbh, 3200 Hildesheim Fernsehempfangsanlage
GB2092347B (en) * 1981-01-30 1985-09-18 Rca Corp Television remote control system for selective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external apparatus
GB8413598D0 (en) * 1984-05-29 1984-07-04 Thorn Emi Ferguson Mainsborne network
JPS6259469A (ja) * 1985-09-09 1987-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モ−トコントロ−ル制御装置
JPH07105895B2 (ja) * 1986-06-02 1995-11-13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US4716409A (en) * 1986-07-16 1987-12-29 Homestead Products, Inc. Electrical appliance control system
JPH0710091B2 (ja) * 1986-10-24 1995-02-01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US4808992A (en) * 1987-05-08 1989-02-28 Rca Licensing Corporation Component audio/video system with automatic turn-off of peripheral devices
US4951151A (en) * 1988-07-28 1990-08-21 Dawntreader, Inc.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US4989081A (en) * 1988-11-14 1991-01-29 Sony Corporation Home-bus-information system
US5446505A (en) * 1989-05-06 1995-08-29 Daewoo Electronics Co., Ltd. Color television system having broadcast program adaptive video/audio adjustment apparatus
JPH0336890A (ja) * 1989-07-03 1991-02-18 Pioneer Electron Corp ビームインデックス方式カラー表示装置
JPH0799872B2 (ja) * 1990-01-18 1995-10-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投写型画像表示装置
JPH03236691A (ja) * 1990-02-14 1991-10-22 Hitachi Ltd テレビジョン受信機用音声回路
GB2251970A (en) * 1991-01-18 1992-07-22 Marconi Gec Ltd Remotely controlled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JP3104266B2 (ja) * 1991-03-12 2000-10-30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JPH04316298A (ja) * 1991-04-16 1992-11-06 Onkyo Corp マルチルームリモコンシステム
US5396546A (en) * 1991-10-03 1995-03-07 Vis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and user configurable information appliance
JP2981046B2 (ja) * 1992-01-24 1999-11-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音声多重放送受信機
KR0128169B1 (ko) * 1993-12-31 1998-04-15 김광호 사용자 제어 정의 기능을 가지는 가정 자동화 시스템
US5500794A (en) * 1994-03-31 1996-03-19 Panasonic Technologies, Inc.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for menu-driven user interfa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853B1 (ko) * 2002-09-17 2005-08-17 유봉근 스크린 승하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38738C (en) 2000-06-13
JP3275499B2 (ja) 2002-04-15
GB2285158B (en) 1997-10-29
JPH07184153A (ja) 1995-07-21
CA2138738A1 (en) 1995-06-23
GB9420128D0 (en) 1994-11-16
KR950022833A (ko) 1995-07-28
CN1121671A (zh) 1996-05-01
GB2285158A (en) 1995-06-28
US5815219A (en) 1998-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4830B2 (en) Video/sound output device and external speaker control device
KR0172627B1 (ko) 대형영상표시시스템과 텔레비젼 수신장치
US547727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muting of sound and the display of audio information on a television receiver
JPH06303452A (ja) リモコン装置及びリモコン装置を備えた受像機
JP2000251456A (ja) Av機器制御装置
EP1578122B1 (en) Output device and output method for video signals
JPH01106685A (ja) Avシステムのリモート制御方式
KR200189196Y1 (ko) 텔레비젼을 이용한 비디오폰 자동확인장치(An Apparatus For Confirming Automatically Vedeo Phone To Use TV)
KR200267786Y1 (ko) 다기능 디지탈 티에프티 엘시디 텔레비젼
KR100315071B1 (ko) 노래 반주기의 동영상 전송시스템
KR100803891B1 (ko) 외부입력 장치 전원제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외부입력 장치전원제어 방법
KR20060023300A (ko) 홈오토메이션 장치
KR200252656Y1 (ko) 모니터음성과 가변음성의 선택적 출력이 가능한 텔레비젼
JP3061359U (ja) 信号切替装置
KR100230274B1 (ko) 텔레비젼 채널 자동 전환방법 및 장치
JP2006313961A (ja) テレビ
KR19990041369A (ko) 티브이의 모드 자동 전환 방법
KR20000037659A (ko) 텔레비젼에서의 화면 자동 제어 방법
JPH10200968A (ja) マルチルーム用avシステム
JPH04207271A (ja) ゴースト除去チューナシステム
KR20030017770A (ko) 방송 수신장치
KR20030010488A (ko) 광기록/재생장치와 텔레비젼 복합기기 및 그의자막동작제어방법
JPH043664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20050115615A (ko) 영상재생기기의 비디오 출력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JPH05276578A (ja) 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