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2788A -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2788A
KR20080032788A KR1020060098743A KR20060098743A KR20080032788A KR 20080032788 A KR20080032788 A KR 20080032788A KR 1020060098743 A KR1020060098743 A KR 1020060098743A KR 20060098743 A KR20060098743 A KR 20060098743A KR 20080032788 A KR20080032788 A KR 20080032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video phone
wall pad
main controll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8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이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훈 filed Critical 이승훈
Priority to KR1020060098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2788A/ko
Publication of KR20080032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2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6Video door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로비폰, 현관폰, 경비실 중의 어느 하나를 통한 방문자의 호출에 따른 화상 및 음성 신호를 월패드로 출력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세대단자함 내에 내장되고, 상기 월패드로 출력된 상기 화상 및 음성 신호를 메쉬 형태로 결선된 인출구를 거쳐 다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전송하는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와 상기 인출구에 접속되고, 상기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의 출력에 따라 상기 다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에 상기 화상과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월패드로 출력된 화상 및 음성 신호가 상기 다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의 전화면 상에 출력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월패드 또는 서브비디오폰의 조그만 화면으로 확인하던 것을 TV수상기에 대응하는 화면으로 크게 영상을 확대하여 볼 수 있다.
Figure P1020060098743
홈네트워크, 월패드, TV수상기, 비디오폰유닛

Description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Homenetwork system having the preservation function}
도 1은 종래의 PIP 표시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어기 및 유닛의 구체적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2 : 월패드 100 : 세대 단자함
110 :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 220 : TV수상기
230 : 비디오폰유닛 250 : 리모컨
본 발명은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 카메라에서 오는 영상 신호를 텔레비전 수상기에 표시할 수 있는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텔레비전의 기술이 아날로그방식에서 위성방송 및 디지털방식으로 변 모함에 따라 텔레비전 관련 기술이 양적 및 질적으로 급속히 발전해가고 있다.
특히, 양적인 면에서, 아날로그에 비해 훨씬 많은 채널의 운용이 가능한 디지털 방식에 의해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방송되는 채널의 수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순히 몇몇 채널 또는 방송국명을 인지하는 것만으로는 다양한 채널을 활용할 수 없을뿐더러, 자신이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도 어렵게 된다. 그러므로, 최근의 텔레비전 기술은 시청자가 손쉽게 각 방송 프로그램을 파악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방송국으로부터 제공되는 각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사용자가 원할 때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방송정보 안내기능을 구비하고 방송관련 기술의 발전에 대응할 수 있도록 방송정보 안내기능의 기술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하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면에 다른 화면을 표시하는 PIP(Picture in Picture)의 기술도 진전되고 있다.
PIP 기능이란 영상신호를 수평 및 수직으로 압축한 PIP(Sub-picture)를 주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서, 이때 PIP 화면은 주화면과 동일채널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다른 채널 또는 외부입력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PIP는 PIP 온/오프, PIP 채널 업/다운 등의 기능을 가지며, 추가적으로 스왑(Swap), 주/부 채널 전환, 이동(move) 및 PIP 위치이동 등의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기능은 주로 리모컨에 별도의 키를 할당하여 동작한다.
또한, 최근의 텔레비전은 다양한 외부기기(VCR, VIDEO, DVD 등)에 연결 가능하고, 연결된 다양한 소스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PIP 나 다중화면 등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PIP에 관한 일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3-0078916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 공개특허공보 2003-0078916호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된 PIP 표시장치의 구성과 같이, 주영상 소스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제1 영상처리부(10), 부화면 소스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제2 영상처리부(20), 사용자의 요구신호 및 외부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30), 인터페이스(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요구 명령에 따라 제1 영상처리부(10) 및 제2 영상처리부(20)의 출력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칭부(50), 스위칭부(50)의 출력신호를 디스플레이부(70)에 표시하기 위해 처리하는 디지털 영상처리부(60), 인터페이스(3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요구 명령에 따라 제1 영상처리부(10) 및 제2 영상처리부(20)의 혼합 구성을 제어하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PIP 제어명령에 따라 화면이 구성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4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텔레비전의 PIP의 구성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PIP 윈도우 화면을 제공한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최근에는 홈네트워크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홈네트워크시스템이 설치된 공동주택 또는 단독주택이 증가되고 있다.
도 2는 방문자가 출입을 희망할 때 로비폰(90)과 현관폰(91) 등을 통하여 댁내를 호출하게 되고, 집안에서는 월패드(92) 또는 서브 비디오폰(93) 등을 통하여 방문자를 확인하고 도어락(94)를 원격 조작하여 출입문을 열어주고 있다. 또한 월패드(92)는 건물 외부의 경비실(95) 등과 연결되어 경비실(95)로부터의 호출에 대 응하고, 월패드(92)에 표시되는 방문자 등의 화상은 주방에 설치된 주방 TV폰(96)에 자동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건물 외부로부터 전화, 초고속망, 유선 TV입력이 세대단자함을 통하여 각 세대로 연결이 되며, 집안 내의 각각의 방과는 1:1로 연결되는 메쉬(성형) 형태의 결선으로 각방마다 관로를 통하여 입출구에 연결되며, 각 접속단자들이 전화, TV, 컴퓨터 등과 연결되는 홈네트워크시스템이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문헌 등에 개시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도어 카메라 또는 경비실(95)에서 오는 영상 신호를 단순히 월패드(92) 또는 월패드(92)를 통해 주방 TV폰(96) 또는 서브 비디오폰(93)에 그대로 표시된다.
그러나, 상기의 홈네트워크시스템 상에서 월패드(92), 주방 TV폰(96) 또는 서브 비디오폰(93)에 표시되는 화상은 대략 10인치 미만의 TFT-LCD등으로 구성된 작은 화면으로 일정 높이의 벽면에 설치되어 있어, 시야각 확보가 어려워 방문자의 확인이 곤란하므로, 방문자의 확인을 위해서는 반드시 월패드(92) 또는 주방 TV폰(96)의 화면 앞으로 가깝게 다가서야 지만 확인이 가능하였다.
또한 월패드(92) 또는 주방 TV폰(96)의 화상을 텔레비전 수상기의 PIP로 처리하는 경우, 텔레비전 수상기에 미리 설정된 특정 위치에만 보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거나, 텔레비전 수상기에 미리 설정된 특정 크기로만 디스플레이될 뿐 사용자가 보조 영상을 조작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월패드(92) 또는 주방 TV폰(96)의 화상을 텔레비전 수상기에 표시하는 PIP의 구조에서는 보조 영상의 디스플레이가 부드럽게 표시되지 않는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월패드의 방문자 화면을 거실 또는 방에 설치되어있는 TV수상기를 통하여 확인하고 통화를 할 수 있는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월패드(92) 또는 주방 TV폰(96)의 영상을 거실 또는 방에 설치되어있는 TV수상기를 통해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는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로비폰, 현관폰, 경비실 중의 어느 하나를 통한 방문자의 호출에 따른 화상 및 음성 신호를 월패드로 출력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세대단자함 내에 내장되고, 상기 월패드로 출력된 상기 화상 및 음성 신호를 메쉬 형태로 결선된 인출구를 거쳐 다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전송하는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와 상기 인출구에 접속되고, 상기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의 출력에 따라 상기 다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에 상기 화상과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월패드로 출력된 화상 및 음성 신호가 상기 다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의 전화면 상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폰유닛은 상기 다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텔레비전수상기를 적외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가시거리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는 상기 다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고정된 상기 비디오폰유닛을 상기 월패드와 연동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폰유닛은 상기 각각의 텔레비전 수상기가 꺼져 있으면, 상기 각각의 텔레비전 수상기를 켜고 외부 입력모드로 화면을 전환하여 상기 월패드에서 출력되는 상기 화상과 음성 신호를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폰유닛은 상기 각각의 텔레비전 수상기가 켜져 있으면, 상기 각각의 텔레비전 수상기를 외부 입력모드로 화면을 전환하여 상기 월패드에서 출력되는 상기 화상과 음성 신호를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면에 표시한 후, 상기 각각의 텔레비전 수상기가 켜져 있는 상태로 자동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는 상기 월패드의 방문자 음성통신라인 또는 경비실의 음성통신라인을 선택하기 위한 음성 라인 MUX, 상기 월패드와 선택된 음성통신라인과 음성통신을 시작한 자체통신 구간 내의 특정 비디오폰 유닛과의 음성신호의 전달을 수행하는 스피커폰, 상기 스피커폰으로 부터의 입력 신호를 1 대 다수의 연결방식으로 모든 비디오폰유닛에 연결하는 오디오 분배기, 음성통신을 시작한 자체통신 구간 내의 특정 비디오폰유닛의 마이크 입력신호를 선택하는 오디오 입력 MUX, 상기 월패드의 화상 신호를 1 대 다수의 연결방식으로 상기 각각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출력하는 비디오 분배기 및 로비폰, 현관폰, 경비실 중의 어느 하나의 호출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를 제어하는 제1의 MICO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폰유닛은 방문자와의 음성통신을 위한 송신전용의 마이크, 문 열림, 현관통화, 경비실통화의 확인버튼과 비상 경보호출의 키 입력이 마련된 키입력 패드, 상기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와 상기 월패드를 통하여 방문자에게 집주인의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 선택MUX, 리모컨으로부터 송화전용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마이크 선택MUX로 출력하는 입력 적외선 인터페이스부, 상기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와 통신하여 방문자의 확인, 마이크신호의 선별전달, 텔레비전 수상기의 제어를 실행하는 제2의 MICOM 및 상기 제2의 MICOM에 의해 외부입력의 선택/복구,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의 전원 켜기/끄기의 제어 신호만을 전달하여 텔레비전 수상기의 적외선LED를 구동시키는 출력 적외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용 AC전원을 AC/DC 변환하여 상기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의 동작 전원과 상기 비디오폰 유닛의 동작 전원에 모두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의 MICOM은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입력된 마이크 신호를 디코딩하는 음성코덱 기 능을 수행하고 D/A컨버터를 통해 상기 마이크선택MUX에 입력시켜 상기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는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기본 개념에 대해 도 3에 따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록도 이다.
방문자의 호출이 있게 되면, 종래의 기술과 마찬가지로 월패드(92)는 공동로비에서 로비폰(90)에 의한 호출인지 세대현관의 현관폰(91)에서의 호출인지를 판단하고, 홈네트워크 시스템내의 다른 기기와의 연동을 위하여 통신 포트를 통해 이 사실을 알리게 되며 곧바로 화상 신호를 출력한다.
세대 단자함(100)에 내장된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110)도 통신 포트를 통해 월패드(92)의 호출신호를 수신받게 되고 자체 통신로를 통하여 TV수상기(220)에 설치된 비디오폰유닛(230)으로 방문자의 호출을 알리게 된다.
이때 비디오폰유닛(230)이 부착된 TV수상기(220)가 꺼져 있었다면, 곧바로 TV수상기(220)를 켜고 외부 입력모드로 화면을 전환하여 월패드(92)에서 제공하는 방문자의 화상 신호가 화면에 표출된다.
그리고 리모컨(250)의 확인버튼이나 비디오폰유닛(230)의 확인버튼을 누르면, 방문자와 통화를 할 수 있으며, 방문자의 음성은 월패드(92)와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110)를 거쳐 TV수상기(220)의 스피커를 통하여 나오고, 집주인의 음성은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110)를 통하여 월패드(92)로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로비폰(90) 또는 현관폰(91)으로 전달되어 상호 간에 통화가 이루어진다.
통화가 종료되어 도어락(94)를 통해 문열림을 누르고, 확인버튼을 누르면 TV수상기(220) 또한 자동으로 종료되게 된다.
이때 비디오폰유닛(230)이 부착된 TV수상기(220)가 켜져 있어 시청중에 있을 때, 호출신호에 의해 집주인이 리모컨(250)의 확인버튼이나 비디오폰유닛(230) 내의 확인버튼을 누르게 되면, 곧바로 TV수상기(220)를 외부 입력 모드로 화면을 전환하며, 월패드(92)에서 제공하는 방문자의 비디오신호가 화면에 표출된다.
방문자와 통화는 확인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할 수 있으며, 방문자의 음성은 월패드(92)와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110)를 거쳐 TV수상기(220)의 스피커를 통하여 나오고, 집주인의 음성은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110)를 통하여 월패드(92)로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로비폰(90) 또는 현관폰(91)으로 전달되어 상호간에 통화가 이루어진다.
통화가 종료되어 도어락(94)를 통해 문 열림을 누르고 확인버튼을 누르면, TV수상기(220)는 과거에 시청중이던 화면으로 자동 전환된다.
집안에 TV수상기(220)가 다수 개,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실 용 시스템(200)과 안방용 시스템(300)이 별도로 마련된 경우, 비디오폰유닛(230)을 각각의 시스템에 설치하고, 방문자의 호출 시에는 모든 시스템의 TV수상기(220)가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며, 어느 하나의 시스템의 비디오폰유닛(230) 또는 리모컨(250)을 통해 확인 버튼이 눌려져 통화할 때, 다른 비디오폰유닛(230)들은 TV수상기(220)를 초기상태로 곧바로 전환한다.
도 3에 있어서, 세대 단자함(100)은 통상의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전화 단자함(130), 초고속망 허브단자(140), 유선 TV단자(150) 등을 구비한다.
(210)은 인출구로서,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110)의 접속단자함과 각각의 방마다 1:1로 연결되는 메쉬(성형) 형태의 결선으로 이루어지고, 각방마다 관로를 통하여 연결된 UTP 등의 신호선이 외부로 연결되는 접속단자이며, 화상 출력과 음성 출력, 데이터와 전원 그리고 마이크 입력을 연결하는 단자로 구성되어있다. 화상 출력과 음성 출력은 TV수상기(220)의 외부입력단자로 연결되고, 데이터와 전원 그리고 마이크입력을 연결하는 단자는 본 발명에 따라 TV수상기(220)마다 설치되는 비디오폰유닛(230)으로 연결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어기 및 유닛의 구체적 블록도이다.
세대 단자함(100)에 설치된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110)는 월패드(92) 등을 구비한 기존의 홈네트워크 시스템(99)와 시리얼 통신 라인, 현관 음성라인, 경비실 음성라인, 비디오 신호 라인 등을 통해 접속된다.
즉,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110)는 세대단자함(100) 또는 벽면에 붙박이 형태로 설치되며, 월패드(92)와 연동하여 다수의 비디오폰 유닛(230)을 제어함으로서 TV수상기(220)를 이용한 비디오폰 기능을 가지도록 하는 주제어기로 사용된다.
음성 라인 MUX(111)은 월패드(92)의 방문자 음성통신라인과 경비실(95)의 음성통신라인을 선택하기 위한 아나로그 MUX로서, 자체통신 구간 내의 음성통신을 시작한 특정 비디오폰유닛(230)이 통신경로를 결정하여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110)에 제어신호를 보내면 제1의 MICOM(112)에 의하여 제어된다. 선택된 통신라인은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스피커폰(113)의 매칭 트랜스로 입력하게 된다.
스피커폰(113)은 월패드(92)와 선택된 음성통신라인과 음성통신을 시작한 자체통신 구간 내의 특정 비디오폰 유닛(230)과의 음성신호의 전달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월패드와는 매칭 트랜스를 통하여 음성신호의 입출력을 수행하며, 월패드를 통한 방문자의 음성 수신신호는 증폭기를 거쳐 스피커 출력신호형태로 형성되고, 집주인의 음성은 특정 비디오폰유닛을 통하여 마이크 입력신호형태로 입력 된다.
스피커폰(113)의 출력 신호는 오디오 분배기(114)에 입력되고, 오디오 분배기(114)는 이 입력 신호(SPK OUT)를 1 대 다수의 연결방식으로 모든 비디오폰유닛(230)에 연결할 수 있도록 접속단자함(115)으로 분배된다.
음성통신을 시작한 자체통신 구간 내의 특정 비디오폰유닛(230)의 마이크 입력신호는 오디오 입력 MUX(116)를 통하여 선택되고, 증폭기 등을 통하여 매칭 트랜스로 커플링 되어 월패드(92)로 음성송신신호가 전달된다.
이때 TV수상기(220)의 스피커를 통하여 다시 비디오폰유닛(230)의 마이크로 전달되어 음성이 반복되며, 고음이 나는 하울링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110)에는 음성수신 신호가 들어올 때 자동으로 음성송신 신호를 억제하는 회로가 마련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방문자가 호출을 하게 되면 월패드(92)는 공동로비 또는 세대현관의 카메라 입력신호를 다른 기기와의 연동을 위하여 곧바로 비디오 신호라인을 통해 비디오신호로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이 신호는 아날로그 성분 신호형태로서 휘도신호, 색차신호, 그리고 동기신호가 혼합된 형태의 신호로서 임피던스 정합이 잘되어야지만 정확한 카메라 신호를 표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비디오 분배기(117)를 통하여 1대 다수의 연결방식으로 모든 방에 설치된 인출구(210)를 통해 TV수상기(220)의 비디오입력단자에 연결할 수 있도록 분배된다.
또 방문자의 호출이 있게 되면 월패드(92)는 홈네트워크 시스템(99) 내의 다른 기기와의 연동을 위하여 통신포트로 이 사실을 알리게 되며, 이때 월패드(92)와 직접연결된 COM1포트를 통하여 제1의 MICOM(112)은 통신데이터를 받으므로, 공동로비의 호출인지 또는 세대현관의 호출인지 아니면 경비실(95)에서의 호출인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의 MICOM(112)은 COM2 포트를 통하여 자체 통신로에 연결된 모든 비디오폰유닛(230)으로 방문자의 호출을 알리게 된다.
특정 비디오폰유닛(230)를 통하여 방문자를 확인버튼으로 확인하면, COM2포트로 확인을 하였다는 정보를 수신받고, 이를 월패드(92)의 표준통신프레임으로 가공하여 COM1포트를 통해 음성통신을 가능하도록 요청한다.
또한 제1의 MICOM(112)은 COM2포트를 통하여 현재 음성통신을 요청한 비디오 폰유닛(230) 외의 다른 모든 유닛의 호출을 정지시켜 초기화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월패드(92)는 제조사마다 상이한 통신프로토콜을 사용하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의 MICOM(112)을 통해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110)의 최초 설치시 통신프로토콜을 동일하게 설정하여 원활한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도 4에 있어서, (118)은 전원부로서, 상용 AC전원을 AC/DC 변환하여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110)의 동작 전원과 비디오폰유닛(230)의 동작 전원에 모두 공급한다.
또한 도 4에서,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110)의 접속단자함(115)는 각각의 방마다 1:1로 연결되는 메쉬(성형) 형태의 결선을 위하여 UTP형태의 멀티 포트로 구성된다.
또한 도 4에서 비디오폰유닛(230)은 TV수상기(220)의 리모콘(250)의 적외선센서 수광부의 인접위치에 고정되거나 바로 앞쪽에 양면테이프 등의 방법으로 부착되어 비디오폰유닛(230) 자체적으로 TV수상기(220)를 적외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가시거리 위치에 고정된다.
이러한 비디오폰유닛(230)은 인출구(210)를 통하여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110)와 연결하여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110)의 명령에 의하여 슬레이브 모드로 해당 TV수상기(220)를 제어하고, 음성통신을 방문자와 가능하도록 구성해주며, 경비실(95)과의 통화 또한 방문자와의 통화방식으로 구성이 가능하며, 비상경보 호출과 문 열림 기능을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110)를 통하여 월패드(92)로 요청하는 기 능을 가진다.
비디오폰유닛(230) 상에는 음성통신을 위하여 송신전용의 마이크가 마련된다. 음성통신을 위하여 비디오폰유닛(230)의 키입력 패드(234)의 확인버튼을 누르면 마이크인터페이스(231)를 통하여 집주인의 음성은 마이크 선택MUX(232)를 통해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110)와 월패드(92)를 통하여 방문자에게 전달된다.
또는 리모컨(250)으로부터 음성통신 확인버튼을 눌러 방문자와 통신할 경우, 송화전용 음성신호가 입력 적외선 인터페이스부(233)를 통하여 디지털신호로 입력되고, 제2의 MICOM(235)에서 음성코덱 기능에 의해 리모컨(250)으로부터 입력된 마이크 신호가 디코딩되며, 제2의 MICOM(235)내의 D/A컨버터를 통해 마이크선택MUX(232)에 입력되고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110)와 월패드(92)를 통하여 방문자에게 전달된다.
입력 적외선 인터페이스부(233)는 리모컨(250)으로부터 음성통신의 데이터신호, TV수상기(220)의 제어신호 그리고 문 열림, 현관 또는 경비실 선택신호, 비상경보 호출신호등을 입력받아 제2의 MICOM(235)으로 전달하고, 출력 적외선 인터페이스부(236)는 제2의 MICOM(235)에 의해 외부입력 선택/복구, TV수상기(220)의 전원 켜기/끄기 등의 TV수상기(220)의 제어 신호만을 전달하여 TV수상기(220)의 적외선LED를 구동시킨다.
키입력 패드(234)에는 문 열림, 현관통화, 경비실통화 등의 확인버튼과 비상 경보호출의 키 입력이 마련되며, 제2의 MICOM(235)은 키입력 패드(234)의 버튼의 누름 상태에 따라 정해진 동작을 수행한다.
즉, 제2의 MICOM(235)은 COM포트를 통하여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110)와 통신하여 방문자의 확인, 마이크신호의 선별전달, TV수상기의 제어 등을 수행한다.
다음에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보안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도 5에 따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로비폰(90), 현관폰(91), 경비실(95) 중의 어느 하나를 통한 방문자의 호출이 있게 되면, 월패드(92)가 온되어 작동된다(S10∼S50).
월패드(92)의 작동과 동시에 세대 단자함(100)에 내장된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110)의 제1의 MICOM(112)은 통신 포트, 접속단자함(115), 인출구(210)를 거쳐 TV수상기(220)를 시청 중인가 판단한다(S60).
TV 시청중이 아닌 경우, TV수상기(220)를 온시키고(S70), TV수상기(220)의 전화면 상에 월패드(92)에 표시된 화상 및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S80).
이후 집주인이 리모컨(250) 또는 비디오폰유닛(230)의 키 버튼을 작동하여 도어락(94)를 작동시키면(S90), TV수상기(220)는 오프로 된다.
단계 S60에서 집주인이 TV시청 중이면, TV수상기(220)의 전화면 상에 월패드(92)에 표시된 화상 및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S110).
이후 집주인이 리모컨(250) 또는 비디오폰유닛(230)의 키 버튼을 작동하여 도어락(94)를 작동시키면(S120), TV수상기(220)는 시청상태로 유지된다(S130).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주거형 로비폰(90), 현관문(91), 경비실(95) 중의 어느 하나를 통한 방문자의 호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무실 등의 보안 기능을 구비한 시스템에 있어서도, 로비폰(90), 현관문(91), 경비실(95) 중의 어느 하나를 통한 방문자의 호출시, 특정 디스플레이수단에 연동하여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하면, TV수상기(230)가 시청 중이거나, 꺼져있어도 방문자의 확인이 가능하고, 특히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방문자를 월패드 또는 서브비디오폰의 조그만 화면으로 확인하던 것을 TV수상기에 대응하는 화면으로 크게 영상을 확대하여 볼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하면,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경제적으로 서브 비디온폰 기능을 TV수상기를 통하여 수행할 수 있고, 댁내에서 복수 개의 TV수상기를 동시에 비디온폰 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Claims (8)

  1. 로비폰, 현관폰, 경비실 중의 어느 하나를 통한 방문자의 호출에 따른 화상 및 음성 신호를 월패드로 출력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세대단자함 내에 내장되고, 상기 월패드로 출력된 상기 화상 및 음성 신호를 메쉬 형태로 결선된 인출구를 거쳐 다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전송하는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와
    상기 인출구에 접속되고, 상기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의 출력에 따라 상기 다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에 상기 화상과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월패드로 출력된 화상 및 음성 신호가 상기 다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의 전화면 상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폰유닛은 상기 다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텔레비전수상기를 적외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가시거리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는 상기 다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고정된 상기 비디오폰유닛을 상기 월패드와 연동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폰유닛은 상기 각각의 텔레비전 수상기가 꺼져 있으면, 상기 각각의 텔레비전 수상기를 켜고 외부 입력모드로 화면을 전환하여 상기 월패드에서 출력되는 상기 화상과 음성 신호를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면에 표시한 후, 상기 각각의 텔레비전 수상기가 꺼져있는 상태로 자동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폰유닛은 상기 각각의 텔레비전 수상기가 켜져 있으면, 상기 각각의 텔레비전 수상기를 외부 입력모드로 화면을 전환하여 상기 월패드에서 출력되는 상기 화상과 음성 신호를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면에 표시한 후, 상기 각각의 텔레비전 수상기가 켜져 있는 상태로 자동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는
    상기 월패드의 방문자 음성통신라인 또는 경비실의 음성통신라인을 선택하기 위한 음성 라인 MUX,
    상기 월패드와 선택된 음성통신라인과 음성통신을 시작한 자체통신 구간 내 의 특정 비디오폰 유닛과의 음성신호의 전달을 수행하는 스피커폰,
    상기 스피커폰으로 부터의 입력 신호를 1 대 다수의 연결방식으로 모든 비디오폰유닛에 연결하는 오디오 분배기,
    음성통신을 시작한 자체통신 구간 내의 특정 비디오폰유닛의 마이크 입력신호를 선택하는 오디오 입력 MUX,
    상기 월패드의 화상 신호를 1 대 다수의 연결방식으로 상기 각각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출력하는 비디오 분배기 및
    로비폰, 현관폰, 경비실 중의 어느 하나의 호출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를 제어하는 제1의 MICO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폰유닛은
    방문자와의 음성통신을 위한 송신전용의 마이크,
    문 열림, 현관통화, 경비실통화의 확인버튼과 비상 경보호출의 키 입력이 마련된 키입력 패드,
    상기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와 상기 월패드를 통하여 방문자에게 집주인의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 선택MUX,
    리모컨으로부터 송화전용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마이크 선택MUX로 출력하는 입력 적외선 인터페이스부,
    상기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와 통신하여 방문자의 확인, 마이크신호의 선별전달, 텔레비전 수상기의 제어를 실행하는 제2의 MICOM 및
    상기 제2의 MICOM에 의해 외부입력의 선택/복구,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의 전원 켜기/끄기의 제어 신호만을 전달하여 텔레비전 수상기의 적외선LED를 구동시키는 출력 적외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용 AC전원을 AC/DC 변환하여 상기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의 동작 전원과 상기 비디오폰 유닛의 동작 전원에 모두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MICOM은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입력된 마이크 신호를 디코딩하는 음성코덱 기능을 수행하고 D/A컨버터를 통해 상기 마이크선택MUX에 입력시켜 상기 비디오폰 메인 제어기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KR1020060098743A 2006-10-11 2006-10-11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KR200800327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743A KR20080032788A (ko) 2006-10-11 2006-10-11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743A KR20080032788A (ko) 2006-10-11 2006-10-11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2788A true KR20080032788A (ko) 2008-04-16

Family

ID=39573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8743A KR20080032788A (ko) 2006-10-11 2006-10-11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3278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005B1 (ko) * 2010-11-11 2013-01-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1380611B1 (ko) * 2012-07-16 2014-04-04 (주) 코콤 월패드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티브이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KR20160030825A (ko) * 2014-09-11 2016-03-21 (주)다산지앤지 벽면 매립형 오픈 월 패드 및 시스템
KR20160138761A (ko) 2015-05-26 2016-12-06 주식회사 안랩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보안 관리 장치 및 보안 관리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005B1 (ko) * 2010-11-11 2013-01-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1380611B1 (ko) * 2012-07-16 2014-04-04 (주) 코콤 월패드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티브이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KR20160030825A (ko) * 2014-09-11 2016-03-21 (주)다산지앤지 벽면 매립형 오픈 월 패드 및 시스템
KR20160138761A (ko) 2015-05-26 2016-12-06 주식회사 안랩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보안 관리 장치 및 보안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88307A1 (en) Wireless door intercom apparatus and system comprising same
CN101317386A (zh) 具有多媒体功能的视频对讲机
KR20080032788A (ko)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US202100447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ideo Intercom Transmission of Images
KR20060083557A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KR100749556B1 (ko) 모니터 기능이 구비되는 무선 제어장치에 연동되는 텔레비전 어댑터
KR101254966B1 (ko) 로비폰 장치 및 로비폰 장치에서의 자동문 원격 제어 방법
JP2000244619A (ja) モニターテレビ増設型住宅情報盤及びモニターテレビ増設型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0165967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EP3881531A1 (en) Internal unit for door phone or video door phone systems, with voice assistant functions
JP2719850B2 (ja) 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システム
JPH098931A (ja) 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システム
KR200189196Y1 (ko) 텔레비젼을 이용한 비디오폰 자동확인장치(An Apparatus For Confirming Automatically Vedeo Phone To Use TV)
JPH04133588A (ja) 映像モニタシステム及び集合住宅の映像モニタシステム
KR20100020109A (ko) 양방향 화상통화가 가능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JP3244528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0932530B1 (ko) 자동전환장치를 가지는 공동현관 출입통제 시스템
JP2574317B2 (ja) ホ−ムオ−トメ−シヨンシステム
KR20000054086A (ko) 무선 인터폰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동작방법
KR100368953B1 (ko) 착탈이동 가능한 가정용 무선 제어 시스템
KR20100009173A (ko) 홈 미디어 연동장치 및 방법
KR100226131B1 (ko) 인터폰 내장 텔레비젼
JP2001238273A (ja) ホーム機器制御装置及び該ホーム機器制御装置の操作端末
KR20100036755A (ko)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KR100946169B1 (ko) 오에스디 제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