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0700B1 - 중통형 낚싯대(an interline fishing rod) - Google Patents

중통형 낚싯대(an interline fishing r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0700B1
KR100230700B1 KR1019950018714A KR19950018714A KR100230700B1 KR 100230700 B1 KR100230700 B1 KR 100230700B1 KR 1019950018714 A KR1019950018714 A KR 1019950018714A KR 19950018714 A KR19950018714 A KR 19950018714A KR 100230700 B1 KR100230700 B1 KR 100230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fishing rod
support protrusion
fishing
lin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8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0667A (ko
Inventor
무네키 오카다
가즈야 모리모토
Original Assignee
시마노 요시조
가부시기가이샤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816991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3070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요시조, 가부시기가이샤시마노 filed Critical 시마노 요시조
Publication of KR960020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0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0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07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2Fishing rods with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hollow rod
    • A01K87/005Fishing rods with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hollow rod comprising internal line gui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낚싯줄에 대한 접촉저항을 충분히 작게 함과 동시에, 낚싯줄 및 낚싯줄의 지지구조의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인다.
낚싯대(14)와 낚싯줄 지지돌조(40)를 구비하고 있다. 낚싯대(14)는 합성수지와 강화섬유를 포함하는 섬유강화수지로서 이루어지고, 내부에 낚싯줄 통로(15)가 있으며 통형상을 이룬다. 낚싯줄 지지돌조(40)는 낚싯대(14)와 함께 섬유강화수지로 일체로 성형되어 낚싯줄 통로(15)의 내면에 나선띠 형상으로 배치되고,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상변각부에 호형상부(45)를 가진다. 낚싯줄 지지돌조(40)에는 낚싯줄 지지돌조(40)의 내부에 배치되고 낚싯줄 지지돌조(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향된 강화섬유(44)가 있다.

Description

중통형(中通形) 낚싯대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중통형 낚싯대의 정면도.
제2도는 낚싯대의 확대 단면도.
제3도는 낚싯줄 지지 돌조(突條)의 확대 단면도.
제4도는 낚싯대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제조 도중(a) 및 제조후(b)의 단면도.
제5도는 다른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제조도중의 단면도.
제6도는 다른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제조후의 단면도.
제7도는 다른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제조후의 단면도.
제8도는 다른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제조후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통형 낚싯대 12 : 그립부
14 : 낚싯대 15 : 낚싯줄 통로
16 : 도입구 18 : 낚싯줄 안내부
20 : 릴 30 : 낚싯줄
40 : 낚싯줄 지지돌조 44 : 강화섬유
45,46 : 호형상부 100 : 맨드릴
110 : 이형제 112,116 : 이형용 테이프
114 : 돌조테이프
120∼126, 130∼134, 140∼146, 150∼153 : 프리프레그층
본 발명은, 낚싯대의 내부에 낚싯줄을 통과시키는 중통형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중통형 낚싯대는, 낚싯줄을 빼내고 감아들일 때에, 낚싯대의 내부에 설치된 낚싯줄 통로로 낚싯줄이 통과한다.
이 때, 낚싯줄이 낚싯줄 통로의 내면과 접촉해서 미끄럼운동 저항을 받게 되어, 낚싯줄 빼내기나 감기가 부드럽게 되지 않을 염려가 있다.
그리하여, 이러한 미끄럼운동 저항을 작게 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평 4-341133호 공보에는, 단면이 원형인 선형상체의 안내링을 낚싯줄 통로의 안 둘레에 일부가 돌출하는 상태로 심어두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선형상체를 나선형상으로 배치하여 두는 기술도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단면이 원형인 선형상체에 의해 낚싯줄을 지지함으로써 미끄럼운동 저항을 감소시키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서는 선형상체의 일부가 낚싯대에 심어져 있을 뿐이므로, 낚싯줄로부터 가해지는 힘으로 선형상체가 낚싯대로 부터 벗어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즉 단면이 원형인 선형상체와 단면이 원형인 낚싯줄이 점 접촉을 하기 때문에, 접촉점에 큰 응력이 발생하여 선형상체가 벗어나기 쉽게 된다. 또 큰 응력이 생기면 선형상체 혹은 낚싯줄이 닳아서 끊어지거나 낚싯줄의 내구성이 손상된다는 문제도 생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로서, 일본국 실개평 5-88259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섬유강화수지로 낚싯대를 제조할 때에 사용하는 맨드릴에, 수지테이프를 나선형상으로 감아두고, 그 위에 프리프레그를 감아서 소성하여, 제조된 낚싯대의 내면으로부터 수지테이프를 제거함으로써, 낚싯대의 내면에 나선띠 형상의 요철을 형성한다. 이 나선띠 형상의 요철중, 볼록부를 낚싯줄의 지지구조로서 이용한다.
이 기술에서는, 낚싯줄의 지지구조인 나선띠 형상의 볼록부가 낚싯대와 같은 재질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볼록부가 낚싯대로부터 잘 벗어나지 않으며 내구성이 우수하게 된다. 볼록부의 선단면에는 어느 정도의 면적이 있으므로 낚싯줄과의 접촉면적이 적당히 있으며, 볼록부와 낚싯줄에 과대한 접촉응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나선띠 형상의 볼록부를 사용하는 기술에서는, 나선띠 형상의 볼록부의 배치형상에 따라, 낚싯줄의 지지기능에 큰 차이가 생긴다. 볼록부의 형상에 따라, 낚싯줄에 대한 접촉저항이 과대하게 되거나, 낚싯줄이 손상되기 쉬워진다. 또 낚싯대와 일체로 성형된 볼록부라도, 낚싯줄로부터 가해지는 접촉 저항력이 과대해지거나, 장기간 사용하면 낚싯대의 본체부분에서 벗겨지거나 변형되는 일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싯줄에 대한 접촉저항을 충분히 작게 함과 동시에, 낚싯줄 및 낚싯줄의 지지구조의 손상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높이는데 있다.
본 발명의 중통형 낚싯대는, 낚싯대와 낚싯줄 지지돌조를 구비하고 있다. 낚싯대는 섬유강화수지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낚싯줄 통로가 있다. 낚싯줄 지지돌조는 낚싯대와 함께 섬유강화수지로 일체로 형성되어 낚싯줄 통로의 내면에 나선띠 형상으로 배치되며,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서 상변각부(角部)에 호형상부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중통형 낚싯대는, 낚싯줄 지지돌조의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하변각부에 호형상부를 더욱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중통형 낚싯대는, 낚싯줄 지지돌조를 형성하기 위한 섬유강화수지와 상기 낚싯대를 형성하기 위한 섬유강화수지는 다른 제조공정에 의한 섬유강화수지이다.
본 발명의 중통형 낚싯대는, 낚싯줄 지지돌조의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하변의 폭이 0.6∼1.2mm이다.
본 발명의 중통형 낚싯대는, 낚싯줄 지지돌조의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높이가 0.2∼0.6mm이다.
본 발명의 중통형 낚싯대는, 낚싯줄 지지돌조의 나선띠 형상인 리드각이 50도 이하이다.
본 발명의 중통형 낚싯대는, 낚싯줄 지지돌조를 구성하는 섬유강화수지가 연사로 이루어진 강화섬유를 가진다.
본 발명 중통형 낚싯대는, 낚싯줄 지지돌조를 구성하는 섬유강화수지가 수지에 대한 강화섬유의 체적 함유율이 50∼70%이다.
본 발명의 중통형 낚싯대에서는, 나선띠 형상을 이루는 낚싯줄 지지돌조가 낚싯대와 함께 섬유강화수지로서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낚싯줄 지지돌조를 다른 부재로 구성하는데 비하여 제조가 용이하며, 더우기 낚싯줄로부터의 접촉저항력이 가해져도 낚싯줄 지지돌조가 벗겨지거나 손상이 잘 되지 않는다.
낚싯줄 지지돌조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이므로, 단면이 직사각형인 경우 등에 비하여 기계적 강도 및 내변형성이 높아져서 낚싯줄 지지돌조의 박리나 손상이 방지된다. 또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상변의 평탄면에 낚싯줄이 접촉하여 낚싯줄과의 접촉길이가 적절히 확보되므로, 점접촉의 경우에 비하여 접촉장소에 생기는 응력이 작아진다. 그 결과 접촉장소의 마모가 적어져, 과대한 응력으로 낚싯줄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단면이 사다리꼴인 상변각부에 호형상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각부에 낚싯줄이 접촉해서 낚싯줄이 손상되거나, 반대로 각부가 없어지는 등을 방지한다. 또 낚싯줄 지지돌조와 낚싯줄의 접촉이 부드럽게 되므로, 접촉저항이 감소되어 낚싯줄 빼내거나 감아올리는 것도 행하기 쉽다.
본 발명의 중통형 낚싯대에서는, 낚싯줄 지지돌조의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하변각부에 호형상부가 형성되어 있다. 낚싯줄 지지돌조에 낚싯줄로부터의 접촉 저항력이 가해지면, 상기 하변각부에 큰 응력이 생기므로, 이 큰 응력이 생기는 하변각부에 호형상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응력집중이 완화되어, 낚싯줄 지지돌조의 기계적 강도가 높아져서 내구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중통형 낚싯대에서는, 낚싯줄 지지돌조의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하변의 폭이 0.6∼1.2mm이므로, 낚싯줄 지지돌조와 낚싯대의 연결부분 면적이 적절히 확보되고, 낚싯줄 지지돌조의 강도 및 내구성이 향상된다. 하변의 폭이 너무 좁으면, 낚싯줄 지지돌조의 강도 및 내구성이 저하한다. 반대로 하변의 폭이 너무 넓으면, 그에 따라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상변의 폭도 증가되므로, 낚싯줄과의 접촉저항이 증가하여 낚싯줄을 빼내고 감아올리는 것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중통형 낚싯대에서는, 낚싯줄 지지돌조의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서 높이가 0.2∼0.6mm이므로, 낚싯대의 낚싯줄 통로 내면으로부터 적당한 거리를 두고 낚싯줄을 양호하게 지지 가능하다. 낚싯줄 지지돌조가 너무 높으면, 낚싯줄 통로의 내부 공간이 좁아져서 낚싯줄의 통과가 어려워진다. 또 빼내기식 낚싯대의 경우에는, 각 단의 낚싯대에 그보다도 전방의 낚싯대를 수용하므로, 낚싯대의 내부공간이 좁으면 각 단의 낚싯대 수용에 지장이 생긴다. 낚싯줄 지지돌조가 너무 낮은 경우, 젖은 낚싯줄이 통과하면 낚싯줄 지지돌면 사이의 낚시줄 통로 내면과 낚싯줄의 사이에 수분이 차서 낚싯줄의 이동에 대하여 저항력이 생기게 되어, 낚싯줄을 빼내고 감아올리는 것이 어렵게 된다. 낚싯줄이 젖어 있지 않아도, 이동하는 낚싯줄이 흔들리는 등으로 낚싯줄 통로의 내면과 접촉하여, 낚싯줄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중통형 낚싯대에서는, 낚싯줄 지지돌조의 나선띠 형상의 리드각이 50도 이하이므로, 낚싯줄의 통과가 부드럽게 행해진다. 리드각이 너무 크면 낚싯줄과의 접촉 길이가 길어져서 접촉저항이 증가한다. 특히 낚싯줄이 젖어있는 경우, 접촉부분에 존재하는 수분이 저항력을 발생시키므로, 접촉 길이가 늘어날수록 접촉저항이 증가한다. 또한 제조기술상, 큰 리드각으로 낚싯줄 지지돌조를 제작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의 중통형 낚싯대에서는, 낚싯줄 지지돌조를 구성하는 섬유강화수지의 강화섬유가 연사이므로, 낚싯줄과의 접촉에 의해 낚싯줄 지지돌조가 마모되어 강화섬유가 노출되어도, 손거스러미가 잘 생기지 않는다. 또 제조시에 강화섬유 감기작업에서 보풀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중통형 낚싯대에서는, 낚싯줄 지지돌조를 구성하는 섬유강화수지가 수지에 대한 강화섬유의 체적 함유율이 50∼70%이므로, 내마모성이 높고 충분한 강도를 발휘할 수 있다. 강화섬유의 체적 함유율이 50%미만에서는 내마모성이 낮아지며, 70%를 넘으면 낚싯줄 지지돌조를 구성하는 섬유강화수지와 낚싯대의 본체부분을 구성하는 섬유강화수지와의 밀착성이 떨어진다.
[실시예]
제1도에 도시한 중통형 낚싯대(10)에는, 중통형 낚싯대(10)를 조작하기 위한 그립부(12)와, 그립부(12)의 선단측에 연결된 낚싯대(14)가 있다. 낚싯대(14)는 섬유강화수지로 성형되어 있다. 그립부(12)에는 낚싯줄(30)을 감는 릴(20)이 장착되어 있다. 낚싯대(14)는 통형상이며 낚싯대 아랫쪽에 낚싯줄(30)의 도입구(16)가 형성되어 있다. 낚싯대(14)의 선단에는 관 형상의 낚싯줄 안내부(18)가 있다. 릴(20)로부터 끌려나온 낚싯줄(30)은 도입구(16)로부터 낚싯대(14)의 내부로 들어가고, 낚싯줄 안내부(18)에서 외부로 끌려나온다.
제2도에서와 같이, 낚싯대(14) 내부에는 낚싯줄 통로(15)가 있다. 낚싯줄 통로(15)의 내면에는 나선띠형상의 낚싯줄 지지돌조(40)가 낚싯대(14)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제3도에서와 같이, 낚싯줄 지지돌조(40)는 단면이 사다리꼴을 이루고, 폭이 넓은 하변이 낚싯줄 통로(15)의 내면측에 접속되며, 폭이 좁은 상변이 낚싯줄 통로(15)의 중심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낚싯줄 지지돌조(40)의 상변각부에는 호형상부(45)가 형성되어 있다. 낚싯줄 지지돌조(40)의 하변각부에도 호형상부(46)가 형성되어 있다.
낚싯줄 지지돌조(40)는, 그 내부에 다수의 강화섬유(44)가 줄지어 심어져 있다. 강화섬유(44)는 연사로 이루어진다. 강화섬유(44)는 나선형상을 이루는 낚싯줄 지지돌조(40)의 나선방향과 대략 평행이 되도록 배향(配向)되어 있다. 강화섬유(44)로서 티라노섬유(SIC섬유)라고 불리우는 강화섬유가 사용된다. 이 티라노섬유는 Si, C, O원소를 주성분으로 하여 Ti, B, N원소를 함유하고 있다. 이 섬유를 섬유지름 8,5μm에서 0.8K X 4선 꼬기(160턴 꼬기)로 사용한다.
낚싯줄 지지돌조(40)의 각 부의 치수로서, 하변의 폭 W2가 0.6∼1.2mm로 설정되어 있다.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이기 때문에 상변의 폭 W1은 하변의 폭 W2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높이 H는 0.2∼0.6mm로 설정되어 있다. 나선띠 형상의 리드각 θ(제1도 참조)가 50도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상변각부의 호형상부(45)는 반경 R1=0.05∼2mm의 원호이며, 하변각부의 호형상부(46)는 반경 R2=0.05∼2mm의 원호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낚싯줄 지지돌조(40)를 낚싯대(14)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일본국 실개평 5-88259호 공보에 개시된 제조기술이 적용된다. 이 제조공정에서, 낚싯대(14)를 제조하기 위한 맨드릴에 감아 두는 수지테이프의 폭, 두께, 감기 리드각 등의 조건, 혹은 프리프레그의 특성, 프리프레그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와 강화섬유의 특성 등을 조정함으로써, 상기한 낚싯줄 지지돌조(40)의 형상 구조가 형성된다.
다음에, 구체적인 제조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조예 1]
제4도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맨드릴(100)의 바깥둘레에 왁스 등으로 이루어진 이형제(110)를 도포한다. 이형제(110) 상에, 폴리프로필렌수지로서 이루어진 이형용 테이프(112)를 조밀하게 감는다. 이형용 테이프(112)의 바깥둘레에, 성형하고자 하는 낚싯줄 지지돌조(40)의 형상에 대응하는 돌조테이프(114)를 소정의 피치로서 간격을 두고 나선형상으로 감는다. 돌조테이프(114)는 천을 기본재로 하는 테이프이다. 돌조테이프(114) 위에 상기와 같은 이형용 테이프(116)를 치밀하게 감는다. 이형용 테이프(116)의 바깥둘레에는 돌조테이프(114)의 바깥둘레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이 사다리꼴인 나선돌조가 형성된다. 돌조테이프(114)는 감기전의 상태에서는 단면이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으나, 맨드릴(100)에 팽팽하게 감기거나 이형용 테이프(116)로 가압되는 등에 의해 맨드릴(100) 측으로 눌려서, 사다리꼴 형상으로 변형되어 있다. 그리고 사전에 단면이 사다리꼴로 성형된 돌조테이프(114)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형용 테이프(116) 상에, 여러 층의 프리프레그층(120∼126)을 배치한다. 프리프레그층(120∼126)은 탄소섬유 등의 강화섬유를 수지에 함침시킨 시이트형 상의 프리프레그를 가느다란 테이프 형상으로 재단한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사용하여, 이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치밀하게 감아서 형성한다.
가장 내층의 프리프레그층(120)은, 프리프레그 테이프로서 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강화섬유가 배향된 것을 사용하고,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돌조테이프(114)의 나선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감는다. 그 결과 프리프레그층(120)의 강화섬유의 배향은 맨드릴(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돌조테이프(114)의 나선방향과 대략 일치하게 된다.
제 2 프리프레그층(122)은 강화섬유가 테이프 폭방향으로 배향된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사용하거나, 강화섬유가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프리프레그 시이트를 길이방향이 맨드릴(100)의 축방향을 따르도록 감아서 제작한다. 그 결과 프리프레그층(122)은 강화섬유가 맨드릴(100)의 축방향으로 배향된 상태가 된다.
제 3 프리프레그층(124) 및 제 4 프리프레그층(126)은, 제 2 프리프레그층(122)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제작한다. 강화섬유는 맨드릴(100)의 축방향으로 배향된다.
이와 같이 하여, 4층의 프리프레그층(120∼126)이 배치된 후, 그 바깥둘레에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나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이루어진 보형(保形)용 테이프(도시생략)를 감아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소성을 한다. 소성 후에 바깥둘레의 보형용 테이프를 박리시키고, 안쪽 둘레의 이형용 테이프(112), 돌조테이프(114) 및 이형용 테이프(116)를 벗기면, 제4도의 (b)와 같은 낚싯대(14)가 얻어진다.
낚싯대(14)의 안쪽 둘레에는 단면이 원형상인 낚시줄 통로(15)가 형성되고, 낚시줄 통로(15)의 안쪽 둘레면에는 단면이 사다리꼴인 나선형상의 낚싯줄 지지돌조(40)가 형성된다. 제4도의 (b)에는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각 프리프레그층(120∼126)을 분리하여 표시하고 있으나, 소성후의 낚싯대(14)에서는 각 프리프레그층(120∼126)은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낚싯줄 지지돌조(40)의 단면형상은, 사다리꼴인 동시에 상변 및 하변의 각부가 호형상으로 된다. 이것은 돌조테이프(114)나 이형용 테이프(116)의 요철형상의 각부가 약간 둥글거나, 프리프레그층(120)의 수지가 성형될 때에 수지의 특성으로 각부가 둥글게 되기 때문이다. 돌조테이프(114)의 각부를 원호형상으로 형성해 두지 않아도, 낚싯줄 지지돌조(40)에 호형상부(45,46)을 형성하는 것은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폴리프로필렌수지로서 이루어진 이형용 테이프(112)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형용 테이프(112)의 표면에는 약간의 계면활성제가 붙어있다. 이 계면활성제가 낚싯대(14)의 안쪽 둘레면에는 낚싯줄 지지돌조(40)사이의 골 부분의 표면을 친수성으로 만든다. 그 결과 낚싯줄 지지돌조(40) 사이의 골부분에서 물방울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배수가 양호하게 행해지게 된다.
[제조예 2]
상기 제조예 1과 기본적인 공정은 같으며, 상이점을 주로 설명한다.
제5도와 같이, 맨드릴(100) 바깥둘레에 이형제(110)를 도포한다. 이 이형제(110) 상에 직접 돌조테이프(114)를 나선형상으로 감는다. 돌조테이프(114) 바깥둘레에 이형용 테이프를 통하지 않고 직접 프리프레그층(120∼126)을 배치한다. 그 후의 공정은 상기 제조예 1과 같다.
상기 제조예 2에서는, 제조예 1에 비해 이형용 테이프(112, 116)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간략화 된다. 단 돌조테이프(114)와 프리프레그층(120)이 직접 접촉하므로, 돌조테이프(114)로서 박리성이 좋은 것을 사용한다.
성형시에 프리프레그층(120) 안쪽 둘레면의 일부가 이형제(110)와 접촉하고 있으므로, 제조후의 낚싯줄 지지돌조(40) 선단에도 이형제(110)가 부착한 상태가 되어, 발수성(撥水性)이 향상된다.
또, 돌조테이프(114)에 표면처리를 행함으로써, 돌조테이프(114)가 접촉하는 프리프레그층(120)의 표면, 즉 낚싯줄 지지돌조(40) 사이에 생기는 골 부분의 낚시줄 통로(15) 표면을 친수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친수성을 가지는 낚시줄 통로(15)의 골부분을 따라 물이 흐르게 되므로 낚시대(14)내부에 침입한 물의 배수가 양호하게 이루어진다.
[제조예 3]
기본적인 공정은 제조예 2와 같다.
제6도와 같이, 낚싯대(14)를 프리프레그층(130∼134)으로 구성한다. 내층의 프리프레그층(130)은 낚싯줄 지지돌조(40)의 나선방향을 따라 강화섬유가 배향하고 있다. 외층의 프리프레그층(134)은 낚싯대(14)의 축에 대하여 대략 직각방향, 즉 둘레방향으로 강화섬유가 배향되어 있다. 중간층의 프리프레그층(132)은 낚싯대(14)의 축방향을 따라 강화섬유가 배향되고 있음과 동시에, 내외층의 프리프레그층(130,134)에 비하여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간층(132)의 두께를 내외층(130,134)의 두께의 3배 정도로 할 수 있다.
[제조예 4]
기본적인 공정은 제조예 2와 같다.
제7도와 같이, 낚싯대(14)를 프리프레그층(140,142,144,146)과 각 프리프레그층(140∼146)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유리크로스층(141,143,145)으로서 구성한다.
가장 내층의 프리프레그층(140)은 낚싯줄 지지돌조(40)의 부분에만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맨드릴(100)에 이형제(110)를 도포하고, 그 위에 돌조테이프(114)를 나선형상으로 감은 후에, 돌조테이프(114)의 틈새부분을 메꾸도록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감는 것에 의해 프리프레그층(140)이 형성된다. 프리프레그층(140)의 강화섬유의 배향은 돌조테이프(114)의 나선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프리프레그층(140)과 돌조테이프(114)의 바깥둘레면에 구성되는 평탄면에 유리크로스층(141)을 배치한다. 유리크로스층(141…)과 프리프레그층(142…)을 교대로 겹쳐 쌓아서 배치한다. 가장 내층의 프리프레그층(140)을 제외한 프리프레그층(142…)은, 낚싯대(14)의 축방향을 따라 강화섬유가 배향되어 있다.
각 프리프레그층(140…)의 층 사이에 유리크로스층(141…)을 개재시킴으로써, 낚싯대(14)의 축방향으로 강화섬유가 배향되어, 가시가 일어나기 쉬운 프리프레그층(142…)의 가시발생을 저지할 수 있다.
[제조예 5]
기본적인 공정은 제조예 2와 같다.
제8도와 같이, 낚싯대(14)를 프리프레그층(150∼153)으로 구성한다.
내부층의 프리프레그층(150)과 제3층의 프리프레그층(152), 낚싯대(14)의 둘레방향을 따라 강화섬유가 배향되어 있으며, 제2층의 프리프레그층(151)과 외층의 프리프레그층(153)은 낚싯대(14)의 축방향을 따라 강화섬유가 배향되어 있다. 외층의 프리프레그층(153)은 다른 프리프레그층(152…)에 비하여, 약 3∼5배 정도의 두께로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층 구성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굽힘강도가 높은 낚싯대(14)를 얻을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a) 중통형 낚싯대(10)의 구조는, 도시한 실시예 이외에 통상적인 중통형 낚싯대와 같은 구조를 적절히 조합해서 구성할 수 있다.
릴(20)이나 그립부(12), 도입구(16), 낚싯줄 안내부(18) 등의 구조도, 통상적인 중통형 낚싯대와 같은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
(b) 낚싯대(14) 및 낚싯줄 지지돌조(40)를 구성하는 섬유 강화수지의 재료는 통상적인 낚싯대에 이용되는 재료가 사용된다. 낚싯줄 지지돌조(40)에 심는 강화섬유(44)는, 낚싯대(14)를 구성하는 섬유강화수지에서의 강화섬유와 같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c) 낚싯줄 지지돌조(40)의 단면형상 및 치수는, 상기 실시예의 조건을 모두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일부의 형상 및 치수를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d) 낚싯줄 지지돌조(40)는 낚싯대(14)의 전체길이에 걸쳐 설치해도 좋고, 낚싯줄(30)의 지지에 필요한 일부 장소에만 설치하여도 좋다. 낚싯줄 지지돌조(40)의 형상이나 치수를 낚싯대(14)의 장소에 따라 변경하여 둘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낚싯줄 지지돌조(40)와 종래의 낚싯줄 지지구조를 병용할 수도 있다.
(e) 낚싯줄 지지돌조(40)를 포함하는 낚싯대(14)를 구성하는 섬유강화수지의 수지로서는, 에폭시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가 사용된다. 또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강화섬유로서는 탄소섬유나 보론섬유 등, 통상적인 섬유강화수지에 이용되고 있는 강화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f) 낚싯대(14)의 제조방법은, 상기한 각 제조예 이외에, 각 제조예에 제시된 재료나 층 구성 및 제조공정을 적절히 조합하여 구성할 수가 있다. 또 상기 각 제조예에는 제시되어 있지 않은, 이미 알려진 낚싯대 제조기술을 조합시킬 수도 있다.
(g) 제조시에 사용하는 이형제(110,118)로서는, 상기한 왁스 이외에, 실리콘 등의 통상적인 이형제가 사용된다.
(h) 제조시에 사용하는 돌조테이프(114)는, 천이나 합성수지, 고무 등의 재료를 조합해서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아세테이트포에 열경화성 고무계 점착제를 도포한 것이 사용된다.
(i) 제조공정으로서, 상기한 소성에 의해 낚싯대(14) 및 낚싯줄 지지돌조(40)가 성형된 후에, 필요에 따라 낚싯줄 지지돌조(40)의 이면을 연마해서 낚싯줄 지지돌조(40)의 형상을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통형 낚싯대는, 상기와 같은 낚싯줄 지지돌조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낚싯줄에 대한 접촉저항이 충분히 작아져서, 낚싯줄의 원활한 빼내기와 감기가 가능하다. 또 낚싯줄 지지돌조의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통형 낚싯대는, 낚싯줄 지지돌조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하변각부에 호형상부를 가지므로, 낚싯줄 지지돌조의 강도를 높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통형 낚싯대는, 낚싯줄 지지돌조의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하변의 폭이 0.6∼1.2mm이므로, 낚싯줄 지지돌조의 강도를 높이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통형 낚싯대는, 낚싯줄 지지돌조의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높이가 0.2∼0.6mm이므로, 낚싯줄을 양호하게 지지하여 낚싯줄의 부드러운 빼내기 및 감기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통형 낚싯대는, 낚싯줄 지지돌조의 나선띠 형상의 리드각이 50도 이하이므로, 낚싯줄을 양호하게 지지해서 낚싯줄의 부드러운 빼내기 및 감기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통형 낚싯대는, 낚싯줄 지지돌조의 내부에 배치된 강화섬유가 연사이므로, 낚싯줄 지지돌조의 내구성이 증가되고 제조도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중통형 낚싯대는, 섬유강화 수지로 이루어진 낚싯줄 지지돌조가, 합성수지에 대한 강화섬유의 체적 함유율이 50∼70%이므로, 낚싯줄 지지돌조의 강도를 높이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5)

  1. (정정) 섬유강화수지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낚싯줄 통로를 가지는 낚싯대와, 상기 낚싯대와 함께 섬유강화수지로써 일체로 성형되어 상기 낚싯줄 통로의 내면에 나선띠 형상으로 배치되고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상변각부에 호형상부를 가지는 낚싯줄 지지돌조를 구비한 중통형 낚싯대.
  2. (정정) 제1항 있어서, 상기 낚싯줄 지지돌조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하변각부에 호형상부를 더욱 가지는 중통형 낚싯대.
  3. (정정)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지지돌조를 형성하기 위한 섬유강화수지와 상기 낚싯대를 형성하기 위한 섬유강화수지는 다른 제조공정에 의한 섬유강화수지인 중통형 낚싯대.
  4. (정정)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지지돌조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하변의 폭이 0.6∼1.2mm인 중통형 낚싯대.
  5. (정정)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지지돌조가, 단면이 사다리꼴 인 높이가 0.2∼0.6mm인 중통형 낚싯대.
  6. (정정)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지지돌조가, 나선띠 형상의 리드각이 50도 이하인 중통형 낚싯대.
  7. (정정)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지지돌조를 구성하는 상기 섬유강화수지가, 연사로서 이루어진 강화섬유를 가지는 중통형 낚싯대.
  8. (신설)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지지돌조를 구성하는 상기 섬유강화수지가, 수지에 대한 강화섬유의 체적 함유율이 50∼70%인 중통형 낚싯대.
  9. (신설) 섬유강화수지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낚싯줄 통로를 가지는 낚싯대와, 상기 낚싯대와 함께 섬유강화수지로써 일체로 성형되어 상기 낚싯줄 통로의 내면에 나선띠 형상으로 배치되고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하변각부에 호형상부를 가지는 낚싯줄 지지돌조를 구비한 중통형 낚싯대.
  10. (신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지지돌조를 형성하기 위한 섬유강화수지와 상기 낚싯대를 형성하기 위한 섬유강화수지는 다른 제조공정에 의한 섬유강화수지인 중통형 낚싯대.
  11. (신설)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지지돌조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하변의 폭이 0.6∼1.2mm인 중통형 낚싯대.
  12. (신설)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지지돌조가, 단면이 사다리꼴 인 높이가 0.2∼0.6mm인 중통형 낚싯대.
  13. (신설)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지지돌조가, 나선띠 형상의 리드각이 50도 이하인 중통형 낚싯대.
  14. (신설)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지지돌조를 구성하는 상기 섬유강화수지가, 연사로서 이루어진 강화섬유를 가지는 중통형 낚싯대.
  15. (신설)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지지돌조를 구성하는 상기 섬유강화수지가, 수지에 대한 강화섬유의 체적 함유율이 50∼70%인 중통형 낚싯대.
KR1019950018714A 1994-12-27 1995-06-30 중통형 낚싯대(an interline fishing rod) KR1002307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4808A JP2740638B2 (ja) 1994-12-27 1994-12-27 中通し竿
JP94-324808 1994-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667A KR960020667A (ko) 1996-07-18
KR100230700B1 true KR100230700B1 (ko) 1999-11-15

Family

ID=18169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8714A KR100230700B1 (ko) 1994-12-27 1995-06-30 중통형 낚싯대(an interline fishing rod)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189255B1 (ko)
JP (1) JP2740638B2 (ko)
KR (1) KR1002307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29200A3 (en) * 1996-09-15 1999-02-03 Daiwa Seiko Inc. Interline fishing rod
US7210264B1 (en) * 2005-10-14 2007-05-01 Demetris Stanley P Combined telescopic wading staff and fishing pole
KR101682242B1 (ko) * 2009-03-30 2016-12-05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CN103039413B (zh) * 2009-03-30 2016-01-20 大和精工株式会社 钓线导向件
CN102204523B (zh) * 2010-03-31 2014-10-29 古洛布莱株式会社 钓线引导件和制造钓线引导件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8152A (en) * 1987-02-05 1993-02-23 Ryobi Ltd. Tubular structures for fishing rods or the like
JPH078194B2 (ja) * 1988-06-02 1995-02-01 ダイワ精工株式会社 中通し竿用釣糸案内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367554A (ja) * 1989-08-04 1991-03-22 Bieichiyou Nogyo Kyodo Kumiai 食品の製造方法
JP3062284B2 (ja) * 1991-05-16 2000-07-10 株式会社シマノ 中通し竿及びその製造方法
JP3054623B2 (ja) * 1991-06-05 2000-06-19 株式会社シマノ 竿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3109169B2 (ja) * 1991-09-30 2000-11-13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光源装置
JPH05276853A (ja) * 1992-04-02 1993-10-26 Ryobi Ltd 中通し釣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522412Y2 (ja) * 1992-07-14 1997-01-1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中通し釣竿
JP2533224Y2 (ja) * 1992-04-30 1997-04-23 株式会社シマノ 管状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172980A (ja) 1996-07-09
US6189255B1 (en) 2001-02-20
KR960020667A (ko) 1996-07-18
JP2740638B2 (ja) 1998-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4629B2 (en) Pass-through fishing r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6543178B2 (en) Intra-line fishing rod
KR100230700B1 (ko) 중통형 낚싯대(an interline fishing rod)
US5488797A (en) Inter-line fishing rod
US5338604A (en) Fishing rod sto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3445927B2 (ja) 中通し竿及びその製造方法
EP0885561B1 (en) Inter-line fishing rod
JP4271289B2 (ja) 竿
JP3374951B2 (ja) 中通し釣竿
GB2248729A (en) Flexible reinforced tubes for cable bend strain relief
JP4183842B2 (ja) 釣竿
JP3553365B2 (ja) 釣竿
JPH0588259U (ja) 管状体
JP4040771B2 (ja) 釣竿
US5806231A (en) Pass-through fishing rod
JP3801555B2 (ja) 中通し釣竿
JPH05276855A (ja) 穂先竿
JP3801554B2 (ja) 中通し釣竿
JP3534376B2 (ja) 中通し釣竿
JPH10165053A (ja) 釣竿の製造方法
JPH08228642A (ja) 中通し釣竿
JP2000166427A (ja) 管状体
JPH09187194A (ja) 中通し竿用穂先竿
JPH1094347A (ja) 中通し釣竿とその製造方法
JPH0928238A (ja) 中通し釣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