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6650B1 - 내진, 내풍, 내화성을 가지는 조립식 건축 패널 및 그로부터 형성된 구조물 - Google Patents

내진, 내풍, 내화성을 가지는 조립식 건축 패널 및 그로부터 형성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6650B1
KR100226650B1 KR1019960703253A KR19960703253A KR100226650B1 KR 100226650 B1 KR100226650 B1 KR 100226650B1 KR 1019960703253 A KR1019960703253 A KR 1019960703253A KR 19960703253 A KR19960703253 A KR 19960703253A KR 100226650 B1 KR100226650 B1 KR 100226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rame
members
building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3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6599A (ko
Inventor
로저 조지스 애보우-래치드
Original Assignee
로저 조지스 애보우-래치드
알. 에이. 알. 컨설턴츠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저 조지스 애보우-래치드, 알. 에이. 알. 컨설턴츠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로저 조지스 애보우-래치드
Publication of KR960706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6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6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66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07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for decorative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2Flat foundations without substantial excav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34Foundations for sinking or earthquake territ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04C2/0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reinforc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04C2/3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with a metal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of plastic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ying, e.g. plaster
    • E04F13/04Bases for plaster
    • E04F13/047Plaster carrying mesh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marble or other natural ston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04H9/0237Structural braces with damp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51Connections between closed section prof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63Connections to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81Details of wall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84Details of floor panels or 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9Structures with a sloping ro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8Earthquake withstanding she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Finishing Walls (AREA)
  • Floor Finish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Foundation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내진, 내화 및 내풍성을 가지는 조립식건축패널이 다수의 골조부재를 구비한다. 골조부재는 골보평면에 있는 골조를 형성하기 위해 연결되고, 골조는 패널의 주위를 규정하고, 주위는 패널의 내측부분을 경계짓는다. 골조부재중 적어도 몇 개는 패널의 내측부분 골조평면에 있어 내측으로 편향된다. 제 1 응고주입가능한 물질이 골조부재 사이의 골조 내측부분에서 주입된다. 가옥과 같이 3 차원 구조가 패널을 연결함에 의해 형성된다. 연결은 지진력을 흡수하고, 전 3 차원구조에 그것을 분산시키고, 편향골조부재는 개개의 패널에 미치는 잔류지진력을 흡수하기 위해 작용한다. 주입가능한 물질과 편향골조부재는 패널을 다각의 하중에 견디게 하고, 패널을 내화성있게 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내진, 내풍, 내화성을 가지는 조립식 건축 패널 및 그로부터 형성된 구조물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기초, 바닥, 외벽, 내벽 및 지붕 패널을 포함한 가옥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기초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기초 부분의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바닥 패널에 포함된 골조부재의 분해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정상부 골조부재 단부분의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단부분의 저면도.
제7도는 제5도에 도시된 단부분의 단면도(端面圖).
제8도는 제4도에 도시된 축부 골조부재의 단부분의 측면도.
제9도는 제8도에 도시된 단부분의 정면도.
제10도는 제8도에 도시된 단부분의 단면도.
제11도는 골조부재 사이에 절연물을 설치한 바닥 패널의 평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선 12-12를 따라서 자른 단면도.
제13도는 제11도의 선 13-13을 따라서 자른 단면도.
제14도는 수평, 수직 및 대각 인장철사부분을 나타내는 바닥 패널의 평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선 15-15를 따라서 자른 단면도.
제16도는 절연재를 덮는 그물망 부분을 가지는 바닥 패널의 평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선 17-17을 따라 자른 단면도.
제18도는 주입 콘크리트에 있어서 평면 부분과 리브부분의 형성을 도시한 바닥 패널 부분의 단면도.
제19도는 콘크리트의 제1 및 제2주입 부분을 도시한 바닥 패널부분의 단면도.
제20도는 완성된 바닥 패널의 평면도.
제2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내측 및 외측 패널과, 제3도에 도시한 기초를 갖춘 제20 도에 도시된 바닥 패널의 연결부를 도시한 분해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외측 패널에 포함된 골격 부재의 평면도.
제23도는 제 22도에 도시된 측부 골조부재 부분의 측면도.
제24도는 제23도에 도시된 골조부분의 정면도.
제25도는 제23도에 도시된 골조부분의 저면도.
제26도는 제22도에 도시된 정상부 골조부재 부분의 정면도.
제27도는 외측 패널을 조립할 때 제1조립단계를 도시한 평면도.
제28도는 골조부재가 절연부상에 놓여지는 제2조립단계를 도시한 평면도.
제29도는 인장 케이블이 골조부재 사이에 경유된 외측 패널을 조립할 때의 제3 조립한계를 도시한 평면도.
제30도는 그물망부분이 패널의 패널부분 위에 연결된 외측 패널을 조립할 때의 제4단계를 도시한 평면도.
제31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완성된 외측 패널의 평면도.
제32도는 제31도의 선 32-32를 따라 자른 완성된 외측 패널의 단면도.
제33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내측 패널에 포함된 골조부재의 평면도.
제34도는 제33도에 도시된 측부 골조부재 부분의 측면도.
제35도는 제34도에 도시된 골조부분의 정면도.
제36도는 제33도에 도시된 정상부 골조부재의 골조부분의 정면도.
제37도는 제36도에 도시된 골조부분의 단면도.
제38도는 제36도의 골조 부분을 갖춘 제34도의 골조부분의 연결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제39도는 골조부재 사이의 인장 케이블의 경유를 포함한 내측 패널을 형성할 때의 조립단계의 평면도.
제40도는 골조부재 사이의 그물망재의 연결부을 포함한 내측 패널을 형성할 때의 조립단계의 평면도.
제41도는 마무리 내측 패널의 평면도.
제42도는 제41도에 도시된 내측 패널의 선 42-42를 따라서 자른 단면도.
제43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따른 지붕 패널을 포함한 골조부재의 평면도.
제44도는 제43도에 도시된 정상부 골조부재의 골조부분의 측면도.
제45도는 제44도에 도시된 골조부분의 정면도.
제46도는 제43도에 도시된 정상부 골조부재의 연결부분의 측면도.
제47도는 제46도에 도시된 연결부분의 정면도.
제48도는 제43도의 측부 골조부재의 정단부분의 측면도.
제49도는 제48도에 도시된 정부 단부분의 정면도.
제50도는 골조부재가 절연재상에 배치된 지붕 패널을 형성할 때의 조립 단계의 평면도.
제51도는 인장 케이블이 골조부재 사이에 연결된 지붕 패널을 형성할 때의 조립 단계의 평면도.
제52도는 그물망재의 제1층이 골조부재 사이에 연결된 지붕 패널을 형성할 때의 조립 단계의 평면도.
제53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따른 완성된 지붕 패널의 단면도.
제54도는 본 발명의 제 5실시형태에 따른 완성된 지붕 패널의평면도.
제5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붕, 바닥 및 벽부분의 조립을 도시한 분해도.
제56도는 제55도의 선 56-56을 따라서 자른 단면도.
제57도는 제55도의 선 57-57을 따라서 자른 단면도.
제58도는 구조의 단위를 형성하기 위해 발명에 의한 패널의 사용을 도시한 고층 구조의 사시도.
제59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패널의 또 다른 사용을 도시한 출하용 용기의 사시도.
제60a도는 제59도의 용기 중앙부분의 단편 측면도.
제60b도는 제 60a도에 도시된 중앙부분의 단편 사시도.
제60c도는 부분 조립 상태에 있어, 제60a도와 제60b도에 도시된 중앙부분의 단편 사시도.
제60d도는 부분 완성 상태에 있어 제60a도와 제60c도에 도시된 중앙부분의 단편 사시도.
제60e도는 제59도에 도시된 용기의 모서리부분의 단편 사시도.
제60f도는 제60e도에 도시된 모서리부분의 단편 측면도.
제60g도는 부분 완성상태에 있어 제60e도로 제60f도에 도시된 모서리부분의 단편 사시도.
제60h도는 완성상태에 있어 제60e도, 제60f도에 도시된 모서리부분의 단편 사시도.
제61도는 제59도와 제60도에 도시한 용기로 출하된 구성부품으로 건설된 가옥의 평면도.
제62도는 제61도의 가옥의 측면도.
제63도는 건축학상의 마무리재를 패널에 고착하는 방법을 도시한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외측 패널의 층화(層化)도.
제64도(a)-(x)는 다양한 치수를 가지는 패널구성의 다수의 평면도.
제66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형태에 따른 만곡 모서리부를 갖는 바닥 패널에 포함된 골조부재의 평면도.
제67도는 골조부재가 절연재상에 놓인 제7실시형태에 따른 패널을 형성할 시의 조립단계의 평면도 .
제68도는 인장 케이블이 골조부재 사이에 연결된 제7실시형태에 따른 패널을 형성할 시의 조립단계의 평면도.
제69도는 그물망재의 제1층이 골조부재 사이에 연결된 제7실시형태에 의한 패널을 형성할 시의 조립단계의 평면도.
제70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형태에 의한 완성된 바닥 패널의 평면도.
제71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형태에 따른 만곡외벽패널에 포함된 골조부재의 평면도.
제72도는 제71도에 도시된 제1만곡 골조부재의 저면도.
제73도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의한 만곡 스타이로폼 슬래브의 정면도.
제74도는 제73도의 만곡 스타이로폼 슬래브가 그물망재의 층과 불투수성막에 놓여진 제8실시형태에 따른 패널을 형설할 시의 조립 단계의 평면도.
제75도는 인장케이블이 대향하는 만곡된 골조부재 사이에 경유되고, 그물망 및 불투성막을 패널의 단부 골조부재의 가장자리 둘레에 감은 제8실시형태에 따른 패널을 형성할 시의 조립단계의 평면도.
제76도는 그물망재의 제2층이 요상 내면을 형성하기 위한 골조부재 사이에 부설되고, 콘크리트지지 나무틀이 폼부재로 고착된 제8실시형태에 의한 패널을 형설할 시의 조립단계의 평면도.
제77도는 제76도의 77-77선을 따라 자른 패널의 단면도.
제78도는 만곡벽 패널의 단면도.
제79도는 완성된 만곡벽 패널의 평면도.
제80도는 본 발명의 제6, 제7, 제8실시예에 따른 만곡기초부분, 만곡부분을 가지는 바닥패널과 만곡 외벽부분을 가지는 구조의 모서리부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립식 가옥 12 : 건축 지점
14 : 기초 20 : 바닥 패널
22 : 외벽 패널 24 : 내벽 패널
26 : 바닥 패널 28 : 외벽 패널
30 : 내벽 패널 32 : 바닥 패널
34 : 외벽 패널 36 : 내벽 패널
38 : 지붕 패널 40 : 측부 기초부재
42 : 단부 기초부재 43 : 중앙 기초부재
58 : 덕트 60 : 콘크리트 토대부분
62 : 콘크리트 지지부분 70, 72 : 기초연결 플랜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집, 아파트, 사무소 건축 등의 3차원 구조물을 제작할시에 사용되는 내진, 내화, 내풍성을 가지는 조립식 건축패널에 관한 것이다. 발명에 따른 다수의 패널이 도시 및 기재되고, 또 그러한 패널을 제작하는 방법, 본 발명에 따른 3차원적 구조물의 예 및 3차원 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한 출하용 구성부품용에 특히 적합한 출하용기가 기재된다.
[조립식 패널]
조립식 건축 패널은, 일반적으로 미리 구축된 골조구조에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체결되는 건물 구성부품으로써 작용한다. 그러나 다수의 사람과 시간이 골조구조물을 미리 구축하고 조립식 패널을 수용하기 위한 구조물을 준비하는 데 필요하게 된다. 미리 구축된 골조와 조립식 패널 쌍방에서의 치수차는 긴 기간에 걸쳐 집적되고, 궁극적으로패널은 미리 구축된 골조에 적정하게 설치되지 않는다.
또, 종래의 조립식 패널은 통상 미리 구축된 골조의 외측에 체결되고, 그러한 패널을 양성적 바람하중에 견디게 할 수 있지만 폭풍우에 의해 발생하는 음성적 바람하중에는 견딜 수 없다.
음성적 하중에 있어 통상 외부에서 체결된 패널은 골조구조물로부터 떨어진다. 이것은 또 골조의 외측에 체결된 종래의 합판외장에서도 발생한다. 음성적 바람하중을 받는 그러한 선행기술의 조립식 패널의 예는 Huettemann의 미국특허 제 4,841,702 호와 Hitchin의 미국특허 제 4,937,993 호에 제시되어 있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것은 양음의 동적하중에 견딜 수 있는 건축패널 또는 건축체계이다.
[3차원 구조물]
많은 건축설계에서의 고려는 지진활동에 의해 생기는 지진력에 대한 건물의 내진성이다. 많은 종래의 건축설계로써 건물이 세워지는 토담을 위해 적절한 강화토대를 갖춘 고형체를 박아 넣은 콘크리트 기초가 있다. 연결된 일체벽 부분 형태의 건물골조는 고형체 기초상에 쌓아 올려지고, 합판외장 또는 조립식 패널이 골조에 연결된다(물론 합판외장과 조립식 패널은 상기 불합리한 점을 해결한다).
고형체 기초는 하나로 된 강성의 성격을 가지므로 지진력하에서 문제를 제시한다. 이것은 그러한 힘을 기초를 통해서 전달시키지만, 강성기초는 균열 또는 파괴없이 상기 힘을 흡수하므로 충분하게 탄력적이고 탄성적으로 작용할 수 없다. 기초에서의 균열 또는 파괴는 침수 및 기초를 통해서 전반되어 기초의 열화를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다.
또, 구조물의 골조의 일체벽 부분은 일반적으로 못으로 고정된 목재로 형성된다. 종종 지진력은 못으로 고정된 벽을 떨이지게 하는데 충분하고, 골조의 국소파손을 발생시켜 벽의 붕괴와 건물의 잠재적인 붕괴로 이어진다. 이 형식의 목재골조는 비교적 탄력적인 탄성구조물을 제시하지만, 일반적으로 골조부분 사이의 접합부는 그러한 하중하에서 골조부분을 함께 지지할 만큼 충분하게 강력하지 않고, 그래서 지진력은 하중의 공유에 도움을 주기 위해 골조의 다른 부분으로 적정하게 분산되지 않는다.
고층아파트 또는 사무소 건물은 충분히 탄력적인 탄성기초와 골조구조물, 및 지진력에 견디고 그것을 분산시킬 수 있는 벽패널 및 간막이를 결여한다. 그래서 고층아파트 및 사무소건물에 있어, 또는 사실상 그러한 힘에 노출되는 임의의 구조물에 있어 그러한 능력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진력에 견딜 필요성 이외에 최소의 노력요구로 신속하면서 용이한 구축이 가능한 건물구조를 만들 필요성이 존재한다. 현재, 종래의 용이하게 구축되는 건축구조는 구축지점에 수송될 트레일러 이동홈등의 조립식 구조이다. 그런 구조의 수송은 비용이 들고, 예를들면 선박에 있어 과대한 공간을 필요로 한다. 구조의 개개의 구성부품을 출하한 후 구조를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출하 또는 수송비용은 저하되고, 구조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필요조건은 저감되며, 구조자체를 구축하는 비용은 저하된다. 그래서 이들 이점을 기대할 수 있는 건물구성부품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송]
트레일러, 이동홈, 모듈러 가옥과 같이 종래 조립식 구조의 수송에 대해 품목은 통상 출하중 서로 겹쳐 쌓아진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들 구조는 자중만을 지지하도록 설계되고, 특히 이들이 반송되는 선박이 거친 바다를 항해하는 동안 다른 구조의 중량을 지지할 수 없다. 그래서 부가적인 구조지지물이 조립식구조를 겹쳐 쌓기 위해 필요되고, 혹은 겹쳐 쌓는 것은 제거되어져야 하므로 선박에서의 뱃짐공간이 비효율적으로 사용되게 된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것은 건물체계의 구성부품을 손상시킴없이 출하되고, 부가적인 구조를 필요로 하는 일없이 겹쳐 쌓으며, 선박에서의 뱃짐공간 또는 다른 수송모드의 효율적인 사용을 하는 조립식 건물체계이다.
[발명의 요약]
선행기술에서의 상기 문제는 다수의 골조부재를 구비한다. 내진,내화, 내풍성을 가지는 조립식 건물패널을 설치함으로써 처리된다. 골조부재는 골조평면에 있는 골조를 형성하기 위해 함께 연결되고, 골조는 패널의 주위를 규정하고, 주위는 패널의 내측부분을 경계짓는다. 골조부재중 적어도 몇 개는 일반적으로 골조평면에 있어 패널의 내측 부분을 향해 안쪽으로 편향된다. 제 1 응고 주입 가능한 물질은 골조 부재 사이의 골조내측부분에 주입된다.
바람직하게는 골조부재는 그들중 적어도 두 개 사이에 배설된 탄력적으로 확장가능한 인장링크에 의해 안쪽으로 편향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소성 인장링크는 골조부재 사이의 제 1 평면에 있는 수직부분과 골조부재 사이의 제 2 평면에 있는 대각부분을 가지고, 제 2 평면은 제 1 평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주입가능한 물질은 바람하중과 같이 주입가능한 물질에 과해진 하중이 인장링크에 전달되고, 이 때문에 패널의 골조부재에 전달되도록 수직 및 대각부분의 주위에 주입된다.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패널은 적어도 두개의 골조부재 사이에 가소성 그물망재 층을 포함하고, 골조부재를 내측에 편향시키므로 그들 사이에 장력을 가한다. 주입가능한 물질은 그 물질에 과해진 힘을 골조부재에 분산시키므로 가소성 그물망재의 주위에 주입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개의 대향된 골조부재가 동일 패널의 인접골조부재에 느슨하게 연결되고, 두 개의 대향된 골조부재는 적어도 인접부재 축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 인접골조부재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가옥과 같이 3차원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패널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된다. 패널의 연결은 각 패널 개개의 골조부재를 본질적으로 연결 하고, 이것에 의해 골조부재 사이의 공간을 점유하는 각 패널의 주입 가능한 물질에 의해 3차원 공간골조를 형성한다. 공간골조는 탄성적이면서 연성적이고, 따라서 전구조를 통해서 지진 및 풍력을 분산시켜 임의의 소정 위치에서의 힘의 집중을 저감시키고, 구조의 임의의 주어진 부재의 파손 가능성을 축소한다. 특히 패널의 연결은 지진력을 흡수해서 전 3 차원 구조에 분산시키고, 편향된 골조구조는 개개의 패널의 주입부분에 달하는 잔류 지진력을 흡수하기 위해 작용한다. 주입가능한 물질은 편향된 골조부재와 협동해서 음양의 동적 하중에 패널을 견디게 한다. 그러나 실지 최소량의 주입가능한 물질이 패널의 구조적 보전성을 높이는 전략 위치에서 사용된다. 주입가능한 물질은 또 패널을 보호하기 위해 작용하는 내화층을 만들고, 임의의 건축학적 마무리에 대한 뛰어난 기부를 만든다.
가옥과 같은 3차원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패널 및 구성부품의 수동은, 바람직하게는 궁극적으로 구조의 제작에 있어 사용을 예정된 다수의 패널을 연결함으로써 용기를 형성하는 것으로 달성되고, 구조를 형성하기에 필요한 잔여의 패널 및 구성부품을 배치하는 강성용기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구조의 패널중 적어도 몇 개는 구조를 조립하기 위해 필요한 잔여의 패널 및 구성부품을 수송하기 위해 사용된 용기의 벽부분으로써 작용한다. 이렇게 구조의 몇 개의 패널은 두 개의 다른 목적을 과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용기를 형성하는 것과 구성수품이 형성된 용기에 있어 수동될 구조의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다.
[건축구조와 조립식 패널]
[제 1 도]
제 1 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초 부재와 패널로 형성된 조립식 가옥이 건축 지점(12)에서 전체를 10으로 도시한다. 가옥은 일반적으로 14로 도시된 기초와, 제 1 다수의 조립식 제 1 바닥 패널(20)과, 제 1 다수의 조립식 외벽패널(22)과, 제 1 다수의 조립식 내벽 패널(24)과, 제 2 다수의 조립식 제 1 바닥 패널(26)과, 제 2 다수의 조립식 외벽 패널(28)과, 제 2 다수의 조립식 내벽 패널(30)과, 제 3 다수의 조립식 제 2 바닥 패널(30)과, 제 3 다수의 조립식 제 2바닥 패널(32)과, 제 3 다수의 조립식 외벽 패널(34)과, 제 3 다수의 조립식 내벽 패널(36)과, 다수의 조립식 지붕 패널(38)을 포함한다.
[기초]
제 2 도를 참조하면, 기초(14)가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도시되고, 각각 40, 42, 43으로 지정된 측부, 단부 및 중앙 기초 부재를 포함한다. 각 기초 부재는 콘크리트를 주입함에 의해 형성되고, 지면에 세우기 위한 토대 부분과 건축 구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분을 포함한다. 지지부분은 미리 조립된 중공 강빔의 주위에 주입된다. 각 기초 부재는 또한 측부, 단부 및 중앙 기초 부재가 상호 끼워 맞춰지는 걸림면(41)을 가지고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 측부 기초부재 ]
측부 기초 부재(40)는, 제 1 및 제 2 대향단부분(46,48)과 이들 사이에 배설된 중앙부분(50)을 가진다. 제 1 및 제 2 단부분(46,48)은 각각 제 1 및 제 2 단강관부분(52,54)을 갖지만, 중앙부분은 제 1 및 제 2 단부분 사이에 배설되어 이들에 용접된 비교적 긴 강관부분(56)을 가진다. 긴 부분(56)은 덕트(58)가 제 1 관부분(52)과 제 2 관부분 (54)사이에 형성되도록 짧은 부분과 연통하고 있다. 관부분이 녹아 부착될 때 단일 길이의 구조관이 형성된다. 덕트는 물, 전기 등의 유틸리티 도관을 지지하기 위해 기능한다.
[제 3 도]
제 3 도를 참조하면, 측부기초부재(40)가 강관부분을 위한 구조지지물을 형성하기 위해 강관부분(52,54,56)을 둘러 싸는 콘크리트 토대부분(60)과 콘크리트 지지부분(62)이 형성한다. 강관은 지지부분(62)에 있어 종방향으로 배설된다. 중공도관(64)은 토대부분(60)에 형성되고 스타일로폼과 같은 절연재(도시않음)로 충전되어 절연특성을 갖는 부재로 설치되어 콘크리트의 균열발생시에 습기침입을 방지한다. 절연재 또는 기초부재를 경랑으로 한다.
제 1 및 제 2 단부분(46과48)은, 제 3 도에 그부분(48)만이 도시되어있고, 각각 긴 강관부분(56) 및 제 2 강관부분(54)과 직접 연통하고 있고, 각각 제 1 및 제 2 수직 덕트 부분(66)과(68)을 갖는다. 제 1 및 제 2 수직 덕트부분은 바닥 패널과 벽패널을 기초부재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으로써 작용하고, 각각 기초연결 플랜지(70)과(72)을 갖는다. 중앙부분(50)은 또 제 1 및 제 2 단부분 사이의 대략 중간에 배설된 제 1 및 제 2 수직 덕트부분(74)와(76)을 갖고, 이들은 긴 강관부분 직접 연통하며 각각의 기초연결 플랜지(78)과(80)을 갖는다. 기초연결 플랜지(70,72,78,80)은 각각의 수직덕트로의 접근을 허용하고 연통하기 위한 각각의 개구(82)를 가지며, 각 플랜지는 바닥패널을 기초부재에 연결할 시 사용되는 체결부재를 수용가능하게 하기 위한 각각의 나사 개구(84)을 갖는다.
제 2 도와 제 3 도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단부분(46)과 (48)은 또한 측부기초 부재 각각의 단부 걸림면과 동일 평면에 있는 제 1 및 제 2 연결 플랜지(86)와 (88)을 가진다. 제 1 및 제 2 연결 플랜지(86)과 (88)은 측부기초 부재를 인접단부 기초부재(42)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중공관에 의해 형성된 수평 덕트는 각각의 걸림면(41)에서 접근 가능한 단부 개구(89)와 (91)을 가진다.
[단부 기초 부재]
제 2 도를 참조하면, 단부 기초부재(42)는 중공간관부분(90)을 포함하고 각각 토대 및 지지부분(92)와 (94)를 가지며, 제 3 도에 가장 잘 도시된 절연물 충전 도관(96)을 가짐에 있어 측부 기초 부재와 비슷하다. 다시 제 2 도를 참조하면, 단부 기초 부재는 또한 제 1 및 제 2 단부분(98)과 (100)을 가지고, 중공강관부분(90)에서 신장된 제 1 및 제 2 탄성변형 가능한 연결 플랜지(102)와 (104)가 굳게 연결되며 인접측부 기초 부재(86,88,142)와 협동하는 연결 플랜지와 끼워맞춰져서 볼트 부착된다.
[중앙 기초 부재]
제 2 도를 참조하면, 중앙 기초부재(44)는 중앙 부분(106)과 제 1 및 제 2 「 T 」 형상 단부분(108)과 (110)을 가진다. 중앙부분(106)은 긴 강관부분(112)에 대해서 직각으로 배설된 제 1 및 제 2 중공강 단부재(114)와 (116)으로 연결된 비교적 긴 중공 강관부분(112)를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중공강 부재(114)와 (116) 사이의 연통을 허용하도록 연결된다.
각 단부분(108)과 (110)은 각각 제 1, 제 2, 제 3 수직 덕트(118,120,122)을 가진다. 제 1 수직 덕트(118)는 긴 강관 부분(112)과 직접 연통하지만 제 2 및 제 3 수직 덕트는 제 1 (및 제 2) 강단부 부재(114)와 직접 연통한다. 제 1, 제 2, 제 3 덕트는 각각 덕트와 연통하는 개구(126)와 인접 바닥 부재를 중앙 기초 부재에 연결할 때 사용는 나사 파스너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 개구(127)를 갖춘 각각의 덕트 연결 플랜지(124)을 가진다.
중앙 부분(106)은 또한 제 1 및 제 2 단부분(108)과(110)사이의 대략 중간에 배설되고, 긴 강관 부분(112)과 직접 연통하는 제 1 및 제 2 수직 덕트 부분 (128)과 (130)을 가진다. 이들 덕트 부분은 또한 각각 기초 연결 플랜지(132)와(134)을 가진다. 기초 연결 플랜지는 각각의 수직 덕트와 연통하기 위한 각각의 나사 개구(138)를 가진다.
중앙 기초 부재는 또한 중앙 기초 부재를 인접 단부 부재(42)에 연결될 때에 사용되는 부재의 마주보는 측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연결 플랜지(149)와 (142)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기초 부재의 모든 강 구성 부품은 강 구성 부품이 기초 부분내에 강성 구조를 형성하도록 동일기초 부재의 인접 강 부재로 용접된다. 그리고 콘크리트 토대 부분과 벽부분은 도면에 그려진 개개의 기초 부재를 형성하기 위해 강성구조의 둘레에 형성된다. 원한다면 콘크리트 경화 과정은 부재를 노(爐)에 통과시키던지 또는 증기 사용에 의해 가속된다. 소망의 마무리와 방지가 또한 이 시점에서 부가된다. 그리고 개개의 기초 부재는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 건축 구조용 기초를 형성하기 위해 각 부재에 있어 탄성 변형이 가능한 연결 플랜지를 사용해서 연결한다. 연결플랜지는 또 기초부재의 강관부재를 연결함으로써 평탄한면에 있는 입체골조를 형성하고, 기초부재의 각각의 관부재는 입체골조부재로서 작용한다.
[바닥 패널]
[제 4 도]
제 4 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바닥 패널의 제작이 150, 152, 153, 154, 155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제 2, 제 3, 제 4, 제 5의 2 × 4 중공 강관 골조부재를 길이로 절단함에 의해 개시되지만, 강관은 소망구조의 하중의 필요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임의의 적절한 크기라도 상관없다. 강관 부재는 패널을 위한 골조부재로서 작용한다. 골조부재(152)와 (154)는 골조 한쌍의 인접측부를 형성하고, 골조부재(150) 와 (155)는 골조 한쌍의 대향측부를 형성하고, 대향측부의 쌍은 인접 측부의 쌍 사이에 배치된다. 골조부재(153)은 부재(152)와 (154)사이의 중앙 위치에서 골조부재(150)와(155)사이에 배설된다.
골조부재(150)와 (155)는 각각 대향단부분(156, 158, 160, 162)를 가진다. 단부분(156)만 설명하지만 단부분(158,160,162)도 마찬가지다.
[제 5 도, 제 6 도와 제 7 도]
제 5 도, 제 6 도, 제 7 도를 참조하면, 단 부분(156)이 매우 상세히 도시된다. 골조부재(150)은 종축(164), 외면(165), 내면(190), 단면(166)을 가진다. 외면(165)은 골조부재의 길이에 걸쳐서 최종적 패널의 바깥둘레를 형성한다. 내면(190)은 골조의 내측부분을 향해서 안쪽으로 면한다. 단면(166)에는 강 골조부재(150)의 단부분을 덮기 위한 판(168)이 고작된다. 판(168)은 세로 골조부재(150)내의 동등 길이의 중공 부분(180)으로의 접근 유도하는 제 1 및 제 2 사용 개구(176)과(178)을 가진다. 판은 또한 판과 이런 세로 골조부재를 인접 패널의 인접 부재로 체결시키기 위한 나사 파스너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182)와(184)를 가진다.
제 5 도를 참조하면 평행부재(170)가 종측(164)에 평행한 방향에서 배설된다. 평행부재(170)는 종골조부재(150)와 판(168)으로 용접된다. 판(168)과 평행부재(170)에 수직인 플랜지(172)는 평행부재(170)와 판(166)에 연결된다. 플랜지(172)는 전기 도관 및/또는 급수 도관(미도시)를 수용하기 위해 충분한 크기의 개구(174)를 가진다.
[제 6 도]
제 6 도를 참조하면, 내면(190)은 핀용기(186) 와 (188)을 가진다. 내면(190)에서의 용기(186)에 인접해서 각각의 예비 용접강 훅(196)이 체결된 제 1 다수의 강판(192)이 골조부재(150)를 따라서 종방향으로 제 1 훅 평면(308)에 배설된다. 제 4 도를 참조하면, 훅(196)은 골조부재(150)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위치한다.
다시 제 6 도를 참조하면, 각각의 훅(198)이 체결된 제 2 다수 강판(194)이 또한 골조부재(150)를 따라서 종방향으로 제 2 훅 평면(312)에 배설된다. 제 1 및 제 2 훅 평면(308)과 (312)는 평행하며 이격되고, 제 5 도의 종축(164)에 교차하는 횡으로 퍼지는 종평면(197)의 마주 보는 측에 대칭적이다.
제 7 도를 참조하면, 종평면(197)은 골조부재를 측부 1 부분(199)과 측부 2 부분(201)을 포함한 2개의 부분으로 분할한다. 이렇게 제 1훅평면(308)에 있는 훅(196)은 측부 1 부분에 있고 제 2 훅 평면(312)에 있는 훅(198)은 측부 2 부분에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측부 1 부분(199)은 궁극적으로 패널의「바닥」표면을 형성하고 측부 2 부분(201)은 궁극적으로 가옥의 아래에 있는 지면과 접한다.
[제 6 도와 제 7 도]
제 6 도와 제 7 도를 참조하면, 제 1 다수의 프리컷 굴곡 체어볼스터훅(204)가 내면(190)에 고착되고, 각각은 제 7 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대향부분(206)과 (208)을 가진다. 훅의 제 1부분(206)은 골조부재의 측부 1 부분(199)을 따라서 종 방향의 제 3훅 평면(301)에서 이격되게 배설된다. 제 3 훅 평면은 제 1 및 제 2 훅평면(308)과 (312)에 평행이고 또한 이들로부터 이된다.
제 1 및 제 2 대향 훅부분(212)과 (214)를 각각 가지는 제 2 다수의 프리컷트 굴곡 체아볼슬터 훅(210)은 또한 골조부재의 측부 2 부분(201)을 따라서 이격되게 배설된다. 제 1 훅부분(212)은 제 1, 제 2, 제 3 훅 평면(308, 310, 312)에 평행이고, 이격된 제 3 훅 평면에 배설된다.
제 4 도를 참조하면 부재(150)와 (155)는 상호 대칭이고 이로인해 골조부재(155)는 훅(196)과 체어볼스터 훅(204) (및 210, 미도시) 와 같은 배치를 가지게 된다.
또한 제 4 도를 참조하면, 측부 부재(152)와 (154)는 각각 제 1 및 제 2 단부분을 가지고, 단부분은 각각 216과 218로 지정된다. 단부분은 비슷하며 이 때문에 단부분(216)만 설명한다.
[제 8 도]
제 8 도를 참조하면, 골조부재(152)는 외면(220), 내면(222), 종측 (22)을 가지고, 종축(225)은 골조부재(150)의 중축과 동일 종평면(197)에 있다. 단부(226)는 단부분(216)에 형성되고 단면 평면(217)에 있다. 내면(222)에는 돌출부분(228)과 평행부분(229)을 가지는 횡 방향 산형부재(224)가 고착된다. 돌출부분(228)은 단면 평면(217)에서 신장되고 돌출부분(229)은 내면(222)에 용접된다.
[제 9 도]
제 9 도를 참조하면, 돌출부분(228)은 단면 평면(217)에 수직인 제 1횡방향 훅(230)을 가진다. 훅은 단면 평면(217)을 관통하는 제 1 생크(Shank) 부분(232)와 평행부분(229)에 평행하고 또한 인접하여 제 1 생크 부분(232)에 마주보는 제 1 훅부분(234)를 가진다. 제 1 훅부분 (234)는 골조부재의 측부 1 부분(221)에 인접해서 종평면(197)에 평행하고 이격된 제 5 훅 평면(340)에 있다. 제 5 훅 평면은 또한 제 1,제 2, 제 3, 제 4 훅 평면(308)(312)(320)(314)에 평행하고 그들로부터 이격된다.
또한 제 9 도를 참조하면, 단 부분(216)은 또한 제 1 훅(230)에 대향해서 산형부재의 부분에 있어 제 2 훅(236)을 가지고, 제 2 훅은 제 2생크부분(238)과 제 2 훅부분(240)을 가진다. 제 2 생크부분(238)은 제 1 생크부분(232)에 평행으로 배설되고 그곳에서 이격된다. 제 2 훅부분(240)은 골조부재의 측부 2 부분(223)에 인접해서 종평면(197)에 평행하고 이격된다. 제 6 훅 평면(341)에 있다. 제 6 훅 평면은 또한제 1, 제 2, 제 3 제 4, 제 5 훅 평면(308)(312)(310)(314)(340)에 평행이고 이들로부터 이격된다.
[제 9 도와 제 10도]
제 9 도는 제 10 도를 참조하면, 내면(222)의 측부 1 부분(221)에는 제 1 다수의 체어 볼스터 훅(242)이 고착된다. 체어 볼스터 훅(242)은 골조부재(152)를 따라서 종으로 이격되어 고착되고, 제 5 도, 제 6 도, 제 7 도에 있어 이전에 기재된 체어 볼스터 훅(204)과 마찬가지이다. 다시 제 9 도와 제 10 도를 참조하면, 훅(242)의 각각은 제 3훅평면 (310)에 있는 제 1 부분(244)을 가진다.
마찬가지로 내면의 측부 2 부분(223)에는 제 2 다수의 체어 볼스터훅(248)이 고착된다. 체어 볼스터 훅(248)은 또한 골조부재(152)를 따라서 종방향으로 이격되게 고착되고, 제 5 도, 제 6 도, 제 7도에서 도시한 전술한 체어 볼스터 훅(210)과 마찬가지이다. 다시 제 9도와 제 10 도를 참조하면, 훅(248) 각각은 제 4 훅 평면(314)에 있는 제 1 부분 (243)을 가진다.
다시 제 4 도를 참조하면, 골조부재(153)는 골조(152), (154)와 마찬가지이다. 단, 골조부재(153)는 2개의 측면(245)과 (247)을 가지고 훅부분이 각각 제 3 및 제 4 훅 평면(310)과 (314)에 있는 것과 같이 각각 다수 체어 볼스터 훅(260)이 배설된다. 또한 골조부재(153)는 각각 제 1 및 제 2 끝부분(262)과 (264)를 가지고, 4 개의 훅과 제 9 도와 제 10 도에서의 생크부분(232)과 (238)과 같은 신장 생크부분을 갖추며, 그중 2 개가 제 4 도에서 (266)과 (268)로 도시된다.
골조부재를 조립할 때 제 9 도와 제 10 도에 도시된 생크부분(232)과(238)은 제 6 도에 도시된 골조부재(150)의 용기(186)와 (188)에서 수용된다. 같은 형태의 삽입은 골조의 잔여 모서리부 각각에서 행해진다. 또한 제 4 도에서 (266)과 (268)의 2개가 도시된 4개의 훅부분은 종 골조부재(150)에서 대응하는 용기(미도시)내에 수용된다.
나사 또는 리벳은 골조부재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어진다. 각 접합부에서의 생크부분은 그들의 용기에 단지 느슨하게 보존되고, 대향부재(150)와 (155)는 인접 골조부재(152),(153),(154)의 종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되어진다. 이것은 최종 패널에 미치는 힘을 패널에 흡수시켜 지진에 의한 지진력, 폭풍, 화재로 인한 열응력 홍수에 의한 힘과 같이 동적인 힘을 흡수할 때에 패널을 유효히 하기 위해서 중요하다.
[제 11도]
제 11 도를 참조하면, 골조부재와 상기의 느슨하게 연결된 배치로 연결되어 골조 평면에 있는 골조를 형성한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골조부재는 패널 주위를 규정하고 주위는 패널의 제 1 및 제 2 내측부분(270)과 (272)를 경계짓는다. 패널의 한 측면에 있어 제 1 내측부분(270)내에 스타일로폼 제 1 예비 형성 또는 전주입 절연 슬래브(274)가 배설된다. 스타일로폼 슬래브는 골조부재(150),(152),(153),(155)사이에서 내측 부분내에 슬래브를 쾌적하게 끼워 맞추는 외측 수치를 가진다.
스타일로폼 슬래브는 다수의중요부(276),(278),(280),(282),(284),(286)을 가지도록 예비형성 또는 전주입된다. 슬래브는 또한 마주보는 측부 사이에 슬래브를 횡단하는 제 1 및 제 2 횡요부(288)와(290)을 가진다. 슬래브는 또한 슬래브에서「 X 」형상을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대각요부(292)와 (294)를 가진다. 요부는 패널 내측(296)을 궁극적으로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내측에 마주보는 외측(미도시)도 마찬가지로 형성된다.
[제 12 도]
제 12 도를 참조하면, 오목부(278)는 잔여 오목부를 표현하고 일반적으로 정정이 잘린 삼각형 형상이다. 각 요부는 제 1 및 제 2 경사 측면부 부분(298)과 (300)을 저부 부분(302)에 따라 연결된다.
골조부재(150),(152),(153),(155)에 인접해서 절연 슬래브의 4개의 측부 각각은 슬래브의 마주보는 측에서 바로 인접하는 요부의 대향하는 저부분 사이의 거리로서 두께를 규정한 돌출부분(304)을 형성한다. 두께는 제 12 도에서 (306)으로 지정되고 패널의 소망하는 절연 또는 「 R 」 치에 비례한다.
[제 13 도]
제 13 도를 참조하면, 돌출부분(304)의 두께(306)는 돌출부분이 부재(150)의 내면의 상방 및 하방 부분에서 제 1 및 제 2 다수 훅(196)과(198) 사이에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슬래브의 잔여 측부에서의 돌출부분은 인접 골조부재에서 대응하는 훅부재 사이에 수용된다. 제 1 및 제 2 다수 훅(196)과 (198)은 이렇게 골조에 관해 슬래브를 위치시키기 위한 역할은 한다. 결과적으로 훅(196)과 (198) 및 다른 골조부재에 있어 같은 모양의 훅이 각각의 골조부재의 종축 주변에 대칭적으로 위치하고 절연 슬래브가 패널 측부 1과 2사이의 중앙에 위치함을 보증한다.
[제 14 도]
제 14 도를 참조하면 턴 버클(316)이 요부(284)에 인접한 훅(196)에 연결된다. 단체(單體)의 탄력적으로 신장가능한 케이블(318)이 턴 버클(316)으로 연결되어 골조부재에 마주보는 골조부재(155)에서 훅(196)을 연이어 통하고 요부(284)에서 경유된다. 그리고 케이블은 요부 (282)에 인접하여 인접 훅(196)으로 요부(290)에서 경유되고, 또한 골조부재(150)에서 훅(196)으로 요부(282)에서 경유된다. 케이블은 패널의 제 1 모서리부(322)에 이르기까지 골조부재(150)와 (155) 사이에 같은 방식으로 경유된다. 훅(196)의 모든 것이 제 13 도에 가장 잘 도시된 제 1 훅 평면(308)에 있으므로 이렇게 경유된 인장 케이블(318)의 부분도 또한 제 1 훅 평면(308)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제 15 도]
제 15 도를 참조하면, 케이블이 모서리부(322)로 경유할 때 케이블은 훅(196)에서 상방으로 제 1 생크부분(232)에 경유된다. 여기에서 다시제 14 도를 참조하면, 케이블은 대각 오목부(292)에서의 대각 패스를 통하여 패널의 대각으로 마주보는 제 2 모서리부(324)에 경유된다. 모서리부(322)에서 제 1 생크부분(232)와 모서리부(324)에서 대응하는 제 1 생크부분(232)는 제 15 도에 도시된 제 5 훅 평면(340)에 있으므로 제 14 도의 대각 오목부(292)에서의 케이블은 또한 제 5 훅 평면(340)에 있다.
다시 제 14 도를 참조하면, 케이블은 그후 제 1 훅 평면(308)(제 4도에서 미도시)에 있는 인접 훅(196)으로 모서리부(324)에서 하방으로 경유되어 제 3 모서리부(326)에서 훅(196)으로 오목부(286)에서 배설된다. 오목부(286)에서 신장된 케이블은 이와 같이 제 1 평면(308)에 있다. 모서리부(326)에서 케이블은 제 5 훅 평면(340)에 있는 제 1 생크부분(232)로 또한 상방으로 경유된후 대각으로 마주보는 제 4 모서리부(328)에 대각 요부(294)에서 대각으로 배설되고 이것에 의해 케이블은 제 1 생크부분(232)로 체결된다. 케이블의 이 대각 신장부분은 또한 제 5 훅 평면(340)에 있다.
케이블에 장력을 주기 위한 체결 및 인장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턴 버클(316)은 케이블(318)에 약 6001bs의 장력을 주기 위해 체결되지만 장력은 패널에 부과되어질 것이 예기된 특별한 구조적 하중에 맞도록 증감된다.
케이블의 체결과 장력은 마주보는 골조부재(150)와 (155)를 안쪽 패널의 내측 부분(270)으로 편향시킨다. 케이블과 턴 버클은 이와 같이 패널이 내측 부분쪽으로, 일반적으로 골조 평면에서 골조부재중 적어도 몇 개를 내측에 편중시키기 위한 편향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케이블(318)은 종횡의 오목부내에 종횡 신장부분을 가지고 대각 오목부내에 대각 신장부분을 가지게 된다.
제 15 도를 참조하면, 종횡 신장부분은 제 1 평면(308)에 있지만 대각 신장부분은 제 2 평면(340)에 있고, 제 2 평면은 제 1 평면에서 이격된다. 일반적으로 제 1 및 제 2 평면 사이의 간격은 구조적 하중의 증대와 함께 증대하고 구조적 하중의 감소와 함께 감소된다.
스타일로 폼과 인장 케이블을 설치하는 같은 순서는 패널의 제 2 내측 부분(272)에 대해 지켜진다.
[제 16 도]
제 16 도를 참조하면, 철사 그물망(330)의 제 1 층이 내측부분(270)내에 삽입되듯이 절단되어 제 1, 제 2, 제 3 및 제 4 테두리 (332),(334),(336),(338)을 가진다. 철사 그물망(330)은 종래의 인장공구의 사용에 의해 장력이 가해지고, 적어도 2개의 골조부재 사이에서 그것을 조인다. 테두리(332),(334),(336),(338)은 골조부재(150),(152),(153),(155) 각각에 있어 제 3 평면(310)에 있는 체어 볼스터 훅부분에 연결된다.
[제 17 도]
제 17 도를 참조하면, 철사 그물망(330)의 제 1 층은 제 3 훅 평면(310)에 있고 잔여 평면에서 이격된다. 바로 인접하는 제 5 훅 평면 (340)에 있는 대각 케이블 부분은 그물망을 위한 지지물로서 작용한다. 고정용 철사(미도시)는 이후 단계중 그물망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그물망을 대각 케이블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시 제 16 도를 참조하면, 제 2 내측부분(272)는 또한 제 1 내측부분과 같은 철사 그물망재 그 자체의 제 1 층을 포함한다.
또한 제 16 도를 참조하면, 콘크리트 나무를 테두리 지지부재(343)이 골조부재로 연결되어 패널의 외주를 더욱 규정한다. 보존 부재는 리벳, 나사 또는 점용접을 이용하여 골조부재(150),(152),(154),(155)로 연결된다. 그후 콘크리트는 그물망(330)에 주입되어 스타이로 폼 슬래브에서의 오목부을 메우고 나무 테두리 지지부재(343)에 의해 경계지어진다.
패널의 구성에서 사용된 콘크리트는 사실상 임의의 혼합물이다. 혼합물에 있어 석고 대 모래의 비율은 패널이 사용된 특정 조건에 적합하도록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혼합물을 지진 활동 또는 포화에 의해 패널로 전해진 에너지를 흡수할 시 유익한 습기 침입과 탄력가소성을 방지하기 위한 능력을 합성 콘크리트로 전하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방수제를 포함한다. 패널이 Pacific Northwest에서 사용된 한실시형태에 있어 시멘트 대 자갈 대 모래 대 물 대 에폭시의 비율은 1 : 2 : 4: 1 : 0.05이다.
물 및 임의의 색 시멘트와 혼합한 대리석, 화강암, 결정화 모래칩이 마무리를 위해 적절하고 양호한 건축학적 기부를 생산하기 위해 혼합물에서 사용됨이 인정된다.
[제 18 도]
제 18 도를 참조하면, 콘크리트는 그물망을 통과하고 절연 슬래브 (276)와 같이 오목부에 유입되어 콘크리트는 인장 케이블(318)의 주위와 그물망(330)의 제 1 층 주위로 퍼진다. 콘크리트는 이렇게 일반적으로(342)로 도시한 평면부분과 복수의 리브 부분(344)을 가진다. 리브부분은 절연 슬래브의 오목부에 따라 규정된 횡, 종 및 대각 리브를 형성하기 위해 평면부분(342)에서 수직으로 배설된다. 요부는 실질적으로 마주보는 골조부재 사이에 배설되므로 콘크리트 리브도 마찬가지이다. 요부의 폭은 패널의 전강도를 높이기 위해 광폭되고 저부분이 광폭되면 제 1 및 제 2 경사부분의 기울기는 바람직하게는 저하된다. 효과적으로도 오목부의 형상은 단면 면적 및 단면 형상에서 최적화되어 패널의 강도를 최고화하고 주어진 하중에 대한 단면의 중립축 위치를 최적화한다. 콘크리트 리브는 하중이 패널에 가해졌을 때 정상적인 보강작용을 하는 인장 케이블의 부분을 메우고 평면부분은 마찬가지로 정(正)의 보강으로서 작용하는 그물망 제 1 층을 메운다. 케이블이 매워넣은 부분과 평면부분에서 그물망을 가지는 대각 리브는 또한 정의 하중이 패널의 중앙에 가해질 때 골조부재로 동적 및 정적 응력을 분산시키는 작용을 한다. 케이블과 그물망이 메워 넣은 부분은 부의 하중이 패널 중앙에 가해질 때 동적 및 정적 응력을 분산시킨다.
콘크리트는 골조부재 사이와 편향 수단의 주위에서 골조의 내측부분에 있어 주입되는 제 1 응고 주입 가능한 물질로서 작용하고, 응고주입 가능한 물질(콘크리트)에 주어진 하중은 편향수단에 의해 골조부재로 전달된다.
[제 19 도]
제 19 도를 참조하면, 패널의 측부 2 부분(201)은 측부 1 부분(199)과 같은 방법으로 마무리되고, 측부 1 부분에서와 비슷한 오목부을 포함하며, 제 2 턴 버클과, 제 2 수직부분(348)을 가지는 제 2 탄성 확장 가능한 인장 케이블과, 제 2 대각부분(350)을 포함하고, 제 2 수직부분은 제 2 평면(312)에 있고 제 2 대각부분은 제 6 훅 평면(341)에 있다. 제 2 케이블은 제 13 도의 훅(198)과 (234)의 주위에 제 1 케이블과 같은 방법으로 경유된다.
측부 2 부분(201)은 또한 제 4 훅 평면(314)에서 철사 그물망재(346)의 제 2 층을 포함한다. 측부 2 부분은 또한 제 2 콘크리트 지지 테두리(358)를 가지고, 콘크리트(360)은 그물망재(346)의 제 2 의 위에서 제 2 탄성 확장 가능한 케이블(348)과 (350)의 수직 및 대각부분의 주위를 절연재 제 2 측면에서 형성된 오목부 (288)로 주입된다.
제 2 측면에 있어서의 콘크리트는 이렇게 축부 1 부분(199)에서의 콘크리트와 마찬가지로 제 2 평면부분(362)와 평면부분에 수직인 다수의 리브(364)를 가진다.
측부 1 및 2부분에 있어서의 콘크리트는 패널의 설치에 적합하고 원하는 표면을 갖도록 마무리 되어진다. 측부 1 부분(199)는 가옥의 1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면 바람직하게는 타일 커텐, 카페트, 테러조우, 대리석 팁 등의 매끄러운 표면으로 마무리 되어진다. 설치 되었을 때 궁극적으로 지면에 접하는 측부 2 부분(201)은 매끄럽게 마무리될 필요는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종래의 방수화합물로 피복 밀봉된다.
[제 20 도]
제 20 도를 참조하면, 상기 단계에 의해 제조되어 완성된 바닥 패널은 일반적으로(370)으로 도시된다. 패널은 패널 주위를 형성하는 각각 제 1 및 제 2 대향 세로 테두리(372)와 (374), 각각 제 1 및 제 2 마주보는 가로 테두리(376)과 (378)을 가진다. 이들 테두리는 또한 각각(171),(173),(175),(177)로 지정된 패널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모서리부를 규정하다. 골조부재(150)과 (155)의 각 단부에 있어 평행부재(170)과 플랜지(172)는 패널 주위에서 돌출하여 패널을 끌어올려 조종하고 패널을 기초 부재와 벽 패널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평행부재(170)과 플랜지(172)는 인접 건축 패널의 협동하는 연결수단에 패널을 연결하기 위한 협동 연결수단으로서 작용한다. 평행부재와 플랜지는 강판에서 형성되므로 그것은 패널에 과해진 동적 힘을 받았을때 탄성 변형을 하도록 기능을 한다. 이 탄성 변형성을 위해, 평행부재와 플랜지는 지진력을 흡수하기 위한 기능을 하고 인접 골조 부재로의 평행부재와 플랜지의 견고한 연결에 의해 잔류하는 지진력은 골조를 통해서 인접 패널의 인접 골조부재로 전달된다.
[기초로의 바닥 패널의 연결]
[제 21 도]
제 21 도를 참조하면, 바닥 패널(370)은 기초부재와 연결되는 위치에 있다. 패널은 제 1 가로 테두리(376)가 측부 기초부재(40)에 인접하고 제 2 세로 테두리(374)가 단부 기초부재(42)에 인접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기초부재에 바닥 패널을 연결하기 전에 제 1 모서리부 연결 플랜지 (380)는 제 1 가로 테두리(376)와 제 2 세로 테두리(374)에 인접하는 평행부재(170)로 고착되고, 제 2 모서리부 연결 플랜지(382)는 제 2 가로 테두리(378)과 제 2 가로 테두리(374)에 인접하는 평행부재(170)로 고착된다. 이들의 모서리부 연결 플랜지는 용접에 의해 체결된다. 가옥의 외측에 접하는 패널의 제 2 가로 테두리(374)만이 모서리부 플랜지를 갖지 않는다. 내측에 접하는 제 1 가로 테두리는 그런 모서리부 플랜지를 갖지 않는다.
제 1 및 제 2 모서리부 연결 플랜지는 제 2 가로 테두리에 평행한 각각의 평행 플랜지 부분(384)와 (386), 제 2 가로 테두리에 수직인 직각 플랜지 부분(388)과 (390)을 가진다.
평행 플랜지 부분(384)와 (386)은 각각의 유틸리티 도관 개구(392)와(394)와 각각의 인접 파스너
개구(396)와 (398)을 가진다. 유틸리티 도관 개구(392)와 (394)는 유틸리티 공급도관(미도시)를 통과시킨다. 파스너 개구(396)와 (398)은 패널을 기초부재에 체결하기 위한 나사 파스너를 수용할 때에 사용된다.
기초부재에 대한 바닥 패널(370)의 설치는 플랜지(172)와 평행 플랜지 부분(384)이 각각 기초 연결 플랜지(70)와 (72) 정상부에 직접 수용되도록 기중기(미도시)를 사용해서 바닥 패널의 위치를 잡음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패널은 패널에서 돌출하는 잔여 플랜지가 아래의 대응하는 기초부재에 있어 대응하는 기초 연결 플랜지의 정상부에 직접 배설되도록 위치지어진다.
이 위치에서 플랜지(172)와 (384)에서의 유틸리티 공급 도관 개구는 기초 연결 플랜지(70)와 (72)에 있어 개구(82)와 축정열하고, 기초부재에서 강관의 내부와 연통한다. 마찬가지로 파스너 개구(176)와 (396)은 기초 연결 프랜지(70)와 (72)에서의 대응하는 나사 개구(84)와 축정렬한다. 패널에서 다른 플랜지의 다른 파스너 개구는 또 대응하는 기초부재 플랜지에서의 각각의 나사개구와 축정렬한다. 그후, 나사파스너는 특히 바닥, 벽패널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가옥의 덱크 부분이라면 패널을 기초부재에 확실하게 체결하기 위해 나사개구에 있어 사용된다. 그러나 벽 패널이 연결되면 나사 파스너는 이 시점에서 설치되지 않는다.
상기의 다른 바닥 패널은 모두 잔여 기초부재에서 돌출한 잔여덕트 플랜지에 연결된다. 가옥의 제 1 바닥(400)은 이렇게 기초부재에 연결된 다수의 바닥 패널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단일 바닥 패널 치수법은 8' × 8' 이다. 그러나 바닥 패널은 사실상 임의의 크기이다. 부분이 각각 402, 404(내측)과 406, 408, 410, 412(외측)으로 도시된 내벽 및 외벽 패널은(307)의 각각 모서리부에서 배설된 각각의 판(168)에 연결된다.
바닥패널(370)은 8'×8'의 크기이므로 내벽 및 외멱 패널 (402),(404),(406),(408)과 (412)의 설치는 적어도 8' × 16' 의 수치를 가지는 제 1 방을 규정하고, 내측 패널은 제 1 바닥 패널 제 1 세로 테두리(372)에 인접해서 설치되지 않는다. 대체(代替)적으로 내측패널은 이 위치에서 배설되어 이 경우 8' × 8' 의 수치를 가지는 방이 규정된다. 또한 대체적으로 방은 바닥 패널(370)의 제 3 모서리부(175)에서 판을 절단하고 내측 패널(402)의 설치를 생략함에 의해 바닥 패널의 가로 방향에서 커지게 된다.
내측 패널(402)의 설치의 생략은 인접 패널의 인접 가로측부 사이의 간격(414)을 남기지만 그러한 간격은 매끄러운 바닥 표면을 설치하기위해 실리콘과 같은 콘크리트 또는 불침투성 실런트로 충전된다. 리노리늄 또는 깔개류등 다양한 마무리재가 이 매끄러운 표면에 배치 된다. 바닥 패널의 내측 및 외측 패널의 특정한 연결을 기재하기 전에 이들 패널 각각이 기재된다.
[외측 패널]
[제 22 도]
제 22 도를 참조하면, 발명에 의한 외측 패널의 제작이 420, 422, 424, 426, 428, 430과 43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제 2, 제 3, 제4, 제 5, 제 6, 및 제 7의 2 × 4 중공강관 부재를 길이로 절단함에 의해 개시된다. 강관 부재는 패널을 위한 골조부재로서 작용하고 창개구 434 와 제 1, 제 2 및 제 3 패널 부분(436),(438)과 (440)을 설치하도록 배치된다.
골조부재(420)와 (432)는 각각의 마주 보는 단부분(442),(444)와 (446),(448)을 가진다. 단부분의 각각은 같은 형태이고 이 때문에 단부분(444)만이 기재되지만 각 단부분을 대표한다고 볼 수 있다.
[제 23 도]
제 23도를 참조하면, 골조부재(420)의 단부분(444)가 매우 상세히 도시된다. 골조부재(420)은 부재 중앙에 가로 축(450)을 가진다. 부재의 내면과 외면은 각각 일반적으로 452와 454로 도시되고 내면은 제 1 패널 부분(434)의 내측으로 향하고 외면은 패널에서 외측으로 향해 패널의 외주 부분을 형성한다. 골조부재(420)는 또한 제 24 도에 가장 잘 도시된 측부 1 면(456)과 측부 2 면(458)을 가진다. 측부 1 면은 궁극적으로 가옥 내측에 접하고 측부 2 면은 궁극적으로 가옥의 외측에 접한다.
[제 23 도, 제 24 도와 제 25 도]
제 23 도 제 24 도와 제 25 도를 참조하면, 골조부재(420)의 단부분(444)이 가로판(460)을 고착하고 있다.
판은 골조부재의 단부분을 덮기 위한 커버부분(462)를 가지고 패널의 내측부분으로의 내향 립부분(464)를 가진다. 커버 부분(462)는 골조 부재의 중공내측 부분(468)로의 접근을 허용하는 개구(466)를 가진다. 앞에서 설명한 바닥 패널과 마찬가지로 골조부재의 중공내측부분은 유틸리티 공급 도관을 경유시킨다.
제 23 도와 제 24 도를 참조하면, 단부분(444)는 또한 측부 1 면 (456)에서 제 1 가로 개구(470)와, 측부 2 면에서 제 2 가로 개구(472)와, 내면(452)에 있어 제 3 개구(475)와 각각 측부 1 면(456)과 측부 2 면(458)의 배후에서 용접된 제 1 및 제 2 너트(478)와 (480)에 의해 설치된 제 1 및 제 2 나사 개구(474,476)를 포함한다.
내면(452)은 부착부분(484)과 신장부분(486)을 가지는 직각부재(482)를 고착하고 있다. 부착부분은 내면에 용접되지만 신장부분(486)은 제1 패널 부분(436)의 내측쪽으로 내면에 수직으로 돌출한다. 신장부분은 측부 1 면(456)에 인접한 제 1 훅 평면(492)에서 배설된 훅부분(490)과 판(460)쪽으로 종축(450)에 평행하게 돌출하는 돌기 핀부분(491)을 가지는 훅(488)을 고착하고 있다.
내면은 또한 제 7 도에서 품목(204)과 (210)으로서 도시된 체어볼스터 훅과 같은 다수의 체어 볼스터 훅(494)을 고착하고 있다. 제 22 도를 참조하면, 체어 볼스터 훅 494는 골조부재(420)을 따라서 세로로 이격되게 배설되어 마주보는 단부분(442)과 (444)의 사이에 위치한다. 다시 제 24 도와 제 25 도를 참조하면, 체어 볼스터 골조는 측부 1 면(456)과 제 1 훅 판(492) 사이의 제 2 훅 판(498)에서 배설된 각각의 훅부분(496)을 가진다.
판(460)은 골조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다리부로서 작용하고 개구 (466),(470),(472)와 (475)는 골조부재의 내측의 유틸리티 공급도관으로 접근을 유도한다. 나사 개구(474)와 (476)은 합성 패널을 인접패널로 고착되기 때문이고 신장부분(486)은 동일 패널의 인접 골조부재와 협동하기 때문이다. 훅(488)은 패널을 보존하기 위해 인장 케이불과 협동하고 체어 볼스터 훅(494)은 제 2 훅 평면에서 철사 그물망을 보존한다.
다시 제 22 도를 참조하면, 골조부재(432)는 골조부재(420)와 같은 형태이기 때문에 더 설명하지 않았다.
그러나 골조부재(422)와 (426)은 골조부재(420)과 (432)과는 극소히 차이가 나며 이때문에 아래에 기재한다.
골조부재(422)와 (426)은 패널의 외주의 상방 및 하방 부분을 형성한다. 골조 부분(422)은 제 1 부분(506), 제 2 부분(508)과 제 3부분(510)으로 분할된다.
제 1 부분(500)과 (506)은 제 1 패널부분(436)의 일부를 형성하는 한편 제 2 부분(502)과 (508)은 제 2 패널부분(438)을 형성한다. 부재(422)의 제 3 부분(504)은 창개구(434)의 주위의 창틀 부분을 형성하고, 부재(426)의 제 3 부분(510)은 제 3 패널부분(440)의 틀부분으로서 작용한다. 창개구(434)에 인접한 부재(422)의 제 3 부분(504)을 제외하고 상기 각부분은(512)에서 도시된 각각의 다수의 체어 볼스터 훅과 (514)로 도시된 다수의 인장 케이블 훅을 가진다.
[제 26 도]
제 26 도를 참조하면, 체어 볼스터 훅(512)은 각각 제 2 평면(498)에 있는 각각의 훅부분(513)을 가진다. 또한 인장 케이블 훅(514)은 제 3 훅 평면(517)에 있는 각각의 훅부분(515)을 가진다. 제 3 평면(517)은 각각 제 1 및 제 2 평면(492)과 (498)에 평행하고 그들로부터 이격된다.
다시 제 22 도를 참조하면, 외측 패널은 또한 골조부재 (422),(424),(426)와 (432)의 중간에 배설된 골조부재(424),(428)와 (430)을 포함한다. 골조부재(424)와 (430)은 같은 형태이고 상호 대칭이므로 부재(424)만이 기재된다.
골조부재(424)는 골조부재(422)와 (426)사이에 배설된다. 부재(424)는 종축(519) 및 제 1 단부분과 제 2 단부분(520,522)을 가진다. 제1 단부분(520)은 제 24 도에 도시된 훅(488)과 동일한 제 1 훅 평면 (492)에 있는 훅부분(526)을 가진다. 다시 제 22 도를 참조하면 훅 (524)는 또한 종축(519)에 평행이고 부재의 단부분(520)을 통과해서 돌출하는 돌기 핀부분(528)을 가진다.
골조부재(424)의 제 2 단부분(522)은 단부분의 마주보는 측에 배설된 훅(524)과 같은 형태의 제 1 및 제 2 훅(530)과 (532)를 가진다. 이들의 각 훅은 또한 제 1 훅 평면(492)(제 22 도에서 미도시)에 있는 각각의 훅부분(534)과 (536)을 가지고 단부분(522)을 통과해서 돌출하는 각각의 돌출부분(538)과 (540)을 가진다.
직각 부재(542)는 골조부재(424)의 측부로 고착된다. 직각 부재는 제3 패널 부분(440)으로 내방에 돌출하는 돌출부분(546)을 가진다. 돌출부분(550)과 훅부분(552)을 가지는 상당히 다른 훅(548)을 돌출부분에 고착된다. 돌출부분(550)은 창개구(434)에 향해 종축(519)에 평행하도록 배설된다. 훅부분(552)은 제 3 패널부분(440) 방향으로 배설되어 제 1 훅 평면(492) (제 22 도에서 미도시)이 있다.
골조부재(424)는 제 1 및 제 2 단부분(520)과 (522) 사이에 배설된 제 1 중간부분(554)과 직각 부재(542)와 제 2 단부분(522) 사이에 배설된 제 2 중간부분(556)을 가진다. 제 1 중간부분은 다수 체어 볼스터 훅(558)을 그 길이를 따라서 이격되게 고착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중간부분(556)은 제 2 다수의 체어 볼스터 훅(560)을 가진다. 제 1 및 제 2 다수 체어 볼스터 훅은 제 2 훅 평면(498)(제 22 도에서미도시)에서 배설된 훅부분을 가진다.
골조부재(428)을 골조부재(424)와 (430) 사이에 배설되고 제 26 도에 가장 잘 보이는 제 3 훅 평면(517)에 있는 훅부분(미도시)을 가지는 다수의 훅(562)을 가진다. 또한 제 22 도와 제 26 도외에 골조부재 (428)는 제 2 훅 평면(498)에 있는 훅부분을 가지는 다수의 체어 볼스터 훅(564)을 가진다. 골조부재(428)은 도한 인접 골조부재(424)와 (430)의 돌기 핀부분(550)을 수용하기 위해 566 과 568 로 도시된 개구를 가진다. 또한 골조부재(422)와 (426)은 각각 골조부재(420), (424),(430)과 (532)의 돌기 핀부분(491),(528),(538),(540),(532), 와 (530)을 수용하기 위해 각각 개구 (570)을 가진다.
[제 27도]
제 27 도를 참조하면, 골조부재가 연결되기 전에 철사 그물망의 시이트는 외측 패널의 최종 형상에 대응하는 U 형상으로 절단된다. 증기장벽(574)도 같은 형상으로 절단되어 그물망재(572)의 정상부에 놓여진다. 제 1, 제 2 및 제 3 패널부분(578,580,582)을 가지는 스타일로폼 슬래브(576)는 증기 방벽(574)의 정방부에 부설된다. 제 1, 제2 및 제 3 패널부분(578),(580)과 (582)는 같은 형태이고 이 때문에 패널부분(578)만이 기재한다.
패널부분(578)은 각각 다수의 세로 오목한 부분(583)과 다수의 대각오목부(584)와 (586)을 포함한다. 패널부분은 또한 이하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각 골조부재(420)와 (424)을 수용하기 위해 오목하게 함몰된 세로 테두리 부분(588)과(590)을 가진다.
패널부분(580)과 (582)는 같은 구성을 가지고 각각 복수의 세로 오목부(596)와 복수의 대각 오목부(594,596)을 포함한다.
[제 28 도]
제 28 도를 참조하면, 골조부재(420,422,424,426,428,430)과 (432)는 스타일로 폼 슬래브(576)이 대응하는 오목부에 놓여진다. 각각의 골조부재에서 각각의 돌출부분(491,538과 540)은 골조부재(426)에서의 대응 개구(570)에서 수용된다. 그리고 골조부재(428)은 골조부재(424)와 (430)사이에 설치되고, 돌출부분(550)은 각각 부재(428)의 마주보는 단부분의 개구(566과 568)에서 수용된다. 마지막으로 부재(422)는 각각의 골조부재의 돌출부분(528)과 돌출부분(491)이 골조부재(422)에 있어 대응하는 개구(570)에서 수용되도록 골조부재(420,424,430과 432)에 인접하여 놓여진다. 이 때문에 이점에 있어 골조는 느슨하게 연결되어 도면 시이트의 평면에 평행하고 평탄한 골조 평면에 있다.
제작 과정의 이 시점에서 오목부(598)는 전선관(600)을 수용하기 위해 제 2 패널부분(580)의 중앙부분에 세로방향으로 절단된다. 전선관은 전기 상자(610)에 의해 골조부재(426)로 연결되어 표준 벽 소킷 커버를 수용하기 위해서 기능하는 제 2 전기상자(612)에서 종단된다. 전선관(600)은 골조부재(426)의 중공 내측부분과 연통하고, 이 때문에 골조부재(426)에 배설된 전기 공급도체는 전선관(600)을 통해 전기상자(612)로 경유되어 종래의 벽 소킷 (미도시) 으로 공급한다.
[제 29 도]
제 29 도를 참조하면, 제 1, 제 2 및 제 3 인장 케이블(614),(616),과 (618)은 각각의 패널부분의 종요부와 대각요부에서 경유된다. 분리턴버클(620),(622)와 (624)는 각각 인장 케이블(614),(616)과 (618)에 장력을 주기위해 사용된다. 인장 케이블(614)은 케이블 부분이 대각 요부에 있고, 케이블 부분이 세로 및 가로 오목 부분에 있도록 제 1 패널부분(436)에서 훅(530,526,488,514) 사이에 경유된다.
다시 제 26 도를 참조하면, 세로 오목부분(583 과 592)에서 인장 케이블 부분이 각각 제 3 훅 평면(517)에서 신장되지만 대각 오목부(586)와 (596)에서의 인장 케이블은 제 1 훅 평면(429)에 있다. 다시제 29 도를 참조하면, 제 1, 제 2 및 제 3 인장 케이블(617),(616)과(618)은 패널 내측 부분쪽으로 일반적으로 골조 평면에 있어 내방에 골조부재를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572와 574 ( 제 27 도 )에 도시된 그물망 재의 테두리 부분은 제 29 도에 있어 일반적으로 62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 골조부재 위에 구부러진다. 테두리 부분은 인접 골조부재에서의 체어 볼스터 훅(494),(512) 과 (562)로 훅으로 고정된다.
[제 30 도]
제 30 도를 참조하면, 가소성 그물망 재의 제 1, 제 2 및 제 3 개별직사각형편(628,630,632)이 각각의 제 1, 제 2 및 제 3 부분 (578),(580)과 (582)에 적합하도록 절단되어 그런 부분의 위에 놓여진다. 가소성 그물망 재의 단편의 각 부분의 테두리 부분은 각각의 인접 골조부재에서 체어 볼스터 훅의 인접 훅부분에 훅으로 고정된다. 다시 제 26 를 참조하면, 51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의 훅부분은 제2 훅평면(498)에 있고 이렇게 그물망 재는 또한 제 2 훅평면 (498) 에 있다.
다시 제 30 도를 참조하면, 콘크리트 지지 테두리(634)는 그 후 각각 제 1, 제 2 및 제 3 패널부분의 경계를 짓는 각각의 골조부재에 용접된다. 상기 콘크리트가 그물망을 통해서 흐르고 각 패널부분의 세로 및 대각 오목부에 유입하도록 그물망 재(628),(630)와 (632)상에 주입된다. 콘크리트는 주입되고 콘크리트의 지지 테두리(634)와 동일 평면에서 종료된다. 콘크리트는 이렇게 제 30 도의 도면 페이지의 평면에 평행한 마무리 평탄면(미도시)를 가진다.
[제 31 도]
제 31 도를 참조하면, 패널은 그 후 제 30 도에 그려진 위치에 대해 반전되고, 이에 따라 석고(636)층이 각각 제 1, 제 2 및 제 3 패널부분(436),(438)과 (440)을 덮는 철사 그물망(572)에 부착된다. 패널의 제조는 이렇게 완료된다.
그리고 창(638)이 창개구(434)에서 설치된다. 대체적으로 창(638)은 패널이 조립되어진 가옥을 형성할 때 설치된다.
마무리 외측패널은 각각 제 1, 제 2, 제 3 및 제 4 패널 연결부분 (642),(646),(648)과 (650)을 가지는 일반 직사각형 부분(640)을 포함한다. 제 23 도를 참조하면, 연결부분은 세로 골조부재(420과 432)의 대응하는 끝부분의 부분이다.
[제 32 도]
제 23 도를 참조하면, 세로 오목부(583)에서 신장된 인장 케이블 (616)부분이 제 3 평면(517)에 있고, 대각 오목부에 있는 인장 케이블 부분은 제 1 평면(492)에있고, 그물망(630)은 제 2 평면(498)에 있음을 알수있다. 평면(492),(498)과 (517) 각각은 평행하고 서로 이격된다.
또한 콘크리트는 그물망(630)과 인장 케이블(616)의 대각 부분이 배설된 평면부분(660)을 가진다. 662로 도시된 것과 같이 리브 부분 스타일로 폼 슬래브(576)의 세로 오목부와 대각 오목부에 대해 평면 부분(660)에 수직이다. 이것은 바닥 패널에 관해 기재된 바와 마찬가지이고 이렇게 외벽 패널은 정부의 하중에 견디는 능력을 갗춘 바닥패널의 동일 이점을 가진다.
[내측 패널]
[제 33 도]
제 33 도를 참조하면, 발명에 의해 내측 패널의 제작이 제 1, 제 2, 제 3 및 제 4 패널 골조부재(670,672,674,676)와 제1, 제 2, 제 3 및 제 4 문 골조부재(678,680,682,684)를 길이로 절단함에 의해 개시된다.
패널 골조부재(670과 672)는 같은 형태이고 패널 세로 테두리 부분을 형성한다. 패널 골조부재(674와 676)은 같은 형태이고 패널의 가로 테두리 부분을 형성한다.
골조부재(670과 672)는 각각 제 1 및 제 2 의 같은 단부분(686과 688)을 가진다. 단부분(686)은 각 단부분을 표현하고 이 때문에 기재되지만 잔여 단부분은 같은 형태이다.
[제 34 도]
제 34 도를 참조하면, 단부분(686)은 부재의 중앙에 세로축(690)을 가진다. 단부분은 각각 692와 694로 일반적으로 지정된 내면과 외면을 가진다. 내면(692)은 패널부분 방향으로 향하고 외면은 패널에서 외측으로 향해 패널의 외주 부분을 형성한다.
[제 35 도]
제 35 도를 참조하면, 단부분은 또한 측부 1 면(696)과 측부 2 면 (698)을 가진다. 측부 1 면은 궁극적으로 가옥의 제 1 방의 내측에 면하고 측부 2 면은 궁극적으로 가옥의 제 2 인접 방의 내측에 면한다.
단부분(686)은 제 23 도 제 24 도와 제 25 도에 도시된 단부분(444)과 같은 형태이다. 이에 관해 제 35 도를 참조하면 단부분은 각각 개구(470),(472)와 (475)와 같은 개구(700,702 와 703)을 가진다. 단부분은 또한 제 24 도의 나사 개구(474)와 (476)에 대응하는 제 1 및 제2 나사 개구(704)와 (706)을 가진다.
단부분(686)은 또한 단부분(686)을 덮는 돌출부분(709)을 가지는 단판(708)을 가짐에 의해 제 23 도, 제 24 도와 제 25 도에 도시된 단부분과 마찬가지이다. 면(692)는 직각 부재(710)을 고착하고 있다. 직각부재는 연결부분(712)과 돌출부분(714)은 면(696과 698)사이에 부재의 전폭에 걸쳐있다. 제 1 및 제 2 훅부재(716과 718)은 평행하게 이격되어 돌출부분(714)에 연결된다. 제 1 훅부재(716)는 제 1 훅 평면(722)에 있는 제 1 훅부분(720)을 가진다. 마찬가지로 제 2 훅(718)은 제 2 훅 평면(724)에 있는 훅부분(723)을 갖는다. 또한 훅(716)은 돌기 핀부분(726)을 가지고 돌기 핀부분은 제 1 훅 평면(722)에 평행하게 돌출한다.
마찬가지로 제 2 훅(718)은 돌기 핀부분(726)에 평행하고 또한 1 제 2 훅 평면(724)에 평행하므로 돌출부분(728)을 가진다.
골조부재는 또한 골조부재를 가로질러 배설된 다수의 체어 볼스터 훅(730)을 가진다. 체어 볼스터 훅은 각각 제 1 및 제 2 훅부분(732와 734)을 가진다. 제 1 훅부분은 제 3 훅 평면에 있고 한편 제 2 훅부 분(734)는 제 4 훅 평면(738)에 있다. 제 1, 제 2, 제 3 및 제 4 훅 평면(722, 724, 736과 738)은 평행하고 서로 이격된다.
다시 제 33 도를 참조하면, 골조부재(676과 674)는 각각의 마주보는 단부분(740과 742)을 가진다. 단부분(740과 742)는 같은 형태이고 이 때문에 단부분(740)만이 기재되지만 단부분(742)은 같은 형태이다.
[제 36 도]
제 36 도를 참조하면, 단부분(740)은 제 35 도에 도시한 훅(716 과 718)의 핀부분(726 과 728)을 수용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개구(744와 746)을 가진다. 다시 제 36 도를 참조하면 단부분(740)은 또한 골조부재를 횡단하는 판(748)을 포함하고 판은 종속된 제 1 및 제 2직립 골조부분을 가진다.
[제 37 도]
제 37 도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훅(750 과 752)은 각각 제 3 및 제 4 평행 이격 평면(758 과 760)에 있는 각각의 훅부분(754 와 756)을 가진다.
다시 제 36 도를 참조하면, 골조부재는 또한 제 1 및 제 2 훅부분( 764 와 766)을 가지는 다수의 체어 볼스터 훅(762)을 포함한다. 훅부분(764)은 제 5 훅 평면(768)에있고 제 2 훅부분은 제 6 훅 평면 (770)에 있다.
[제 38 도]
제 38 도를 참조하면, 단부분(686 과 740)은 전체를 772로 도시하도록 연결된다. 핀부분(726 과 728)(미도시)은 단부분(740)이 직각부재(710)의 돌출부분(714)에 얹어놓도록하고 각각 개구(744 와 746)(미도시)에 수용된다. 이 때문에 훅(720 과 752)은 상호 평행하고 또한 인접하게 배설된다.
[제 39 도]
제 39 도를 참조하면, 스타일로 폼 슬래브(774)는 골조부재(670,672,674와 676)에 의해 경계지어진 영역내에 삽입된다. 스타일로폼 슬래브는 다수의 세로 오목부(776,778,780,782,784,786,788)와, 제 1 및 제 2 대각 오목부(790,792), 및 가로 오목부(794,796)을 가진다. 턴 버클(798)은 골조부재(676)에서의 훅(752)에 연결된다. 탄성확장 가능한 가소성 인장 케이블(800)은 턴버클에 고착되어 오목부 (786,794,784,796,782,794, 780,796,778,794와 776)에서 경유된다. 케이블 그 후 골조부재(670)의 훅부분(720)으로 경유되고 패널의 대각으로 마주보는 모서리부에서 골조부재에서 대응하는 훅부분(720)으로 대각 오목부(790)에서 경유된다. 케이블은 그후 골조부재(674)의 훅(752)으로 경유되어 골조부재(676)에서 대응하는 훅(752)오목부(788)에서 패널을 세로로 경유된다. 그리고 케이블은 훅(752)에 곧 인접한 부재(672)에서의 훅부분(720)으로 경유되어 팰널의 대각으로 마주보는 모서리부에 있어 부재(670)에서의 훅부분(720)으로 대각 오목부(792)에서 경유된다. 턴 버클(798)은 골조부재(670,672,674와 676)가 패널의 내측부분으로 안쪽으로 이끌리게 케이블에 장력을 과하기 위해 조여진다. 골조부재(678,680,682 와 684)는 문 개구(802)을 형성하기 위해 용착되고 부재(678)는 골조부재(672)에 세로로 용접된다. 제 2 절연 슬래브(804)는 부재(670,680,682와 684)사이에 삽입된다.
[제 40 도]
제 40 도를 참조하면, 철사 그물망(806)의 제1층은 골조부재(670,672,674 와 676)사이에 배치된다. 그물망재 (806)의 테두리부분은 골조부재(670와 676)에서의 체어 볼스터 훅(730)의 제 1 훅부분(732)에 체결되어 부재(674와 676)의 체어 볼스터 훅(762)의 제 2 훅부분(766)으로 연결된다. 철사 그물망은 이렇게 골조부재에 고착된다. 철사 그물망(808)의 제 2 층은 각각 골조부재(678,680,682 와 684)로 연결된다. 그리고 콘크리트 지지 테두리(810)는 골조부재(670,672,674와 676)로 연결되어 패널 외주를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콘크리트지지 테두리(810는) 도어 개구(802)상에 제 2 지지 테두리를 형성하기 위해 골조부재(678,680,682 와 684)로 연결된다.
[제 41 도]
제 41 도를 참조하면, 상기의 콘크리트 혼합물은 그물망 재(806 과 808)의 제 2 및 제 2층상에 주입되어 각각 전체를 814와 816에서 도시한 매끄러운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마무리 지어진다.
콘크리트를 주입했을 때 패널은 아래와 같이 패널을 인접 패널과 바닥 및 천정 패널로 연결하기 위해 골조부재(670 과 672)(미도시) 각각 단부분에 대응하는 제1, 제 2, 제 3 및 제 4 연결부재(818,820,822와 824)를 가진다. 또한 이들의 부재(818~824)는 작업지점에서 패널을 끌어올려 취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패널은 제 41 도에 도시된 위치에 대해 반전되고 이로 인해 패널 측부 2 부분은 측부 1 부분과 마찬가지로 완성된다.
이 때문에 효과적으로 측부 1 부분을 형성할 때의 상기 단계가 측부 2 부분을 형성할 때 반복된다.
[제 42 도]
제 42 도를 참조하면, 발명에 의한 완성된 내측 패널의 단면이 일반적으로 826 으로 도시된다. 마무리 패널은 이렇게 패널의 측부 1 부분(828)에서의 철사 그물망(806)을 포함하고, 패널의 측부 2 부분(832)에 인접해서 또한 다른 철사 그물망(830)을 포함한다. 그물망(806)은 제 6 평면(770)에 있지만 그물망 부분(830)은 제 5 평면(768)에 있다. 상기와 같이 제 5 및 제 6 평면(768 과 770)은 평행하고 이격되어, 이로 인해 철사 그물망 부분(806 과 830)도 또한 평행하고 이격된다.
패널의 각측에 주입된 콘크리트는 각각 평면부분(834 와 835), 각각 리브부분(836 와 837)을 포함하고 리브부분은 스타일로 폼 슬래브(774)의 778로 도시된 함몰된 부분으로 유입하는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된다. 평면부분(834 와 835)은 각각 그물망 재(806 과 830)의 주위에 배설된다. 또한 평면부분은 측부 1 부분(828)에 수반된 가소성 케이블의 대각 부분(838 과 840)의 주위에 배설되고, 측부 2 부분(832)에서의 콘크리트 평면부분은 측부 2 부분(832)에서의 가소성 케이블의 대각 부분(840)의 주위에 배설된다. 마찬가지로 리브부분(836)은 측부 1 부분(828)에 대해서 842와 측부 2 부분(832)에 대해서 846에서 도시된 가소성 케이블의 세로부분의 주위에 배설된다. 케이블(838)의 대각부분은 제 2 평면(724)에 있지만 케이블(842)의 세로부분과 가로부분은 제 4 평면(760)에 있음은 분명하다. 제 2 평면과 제 4 평면(724와 760)은 평행하고 이격된다.
기재된 방법에서 즉 이간 평면에서 대각 부분과 세로 및 가로 부분을 사용해서 가소성 케이블을 경유시킴에 의해 패널은 정부의 동적 하중에 견디는 능력이 부여된다.
[지붕 패널]
[제 43 도]
제 43 도를 참조하면, 발명에 의한 지붕패널의 제작이 제 1, 제 2, 제 3, 제 4 및 5 패널 골조부재(850,852,853,854와 856)를 길이에 절단함에 의해 개시된다. 골조부재(850과 852)는 같은 형태이고 부재(854와 856)는 같은 형태이다. 모든 골조부재는 강관으로 형성되지만 원하는 하중을 견디는 기능을 하는 일분적으로 임의의 합금으로 형성된다.
골조부재(850)는 제 1 단부분(860)과 제 2 단부분(862)을 가진다. 골조부재는 또한 일반적으로 864로 도시된 주요 지붕 부분과 일반적으로 866으로 도시된 달아낸 부분을 가진다. 주요 지붕부분(864)과 내밈부분(866) 연결부분(868)에 의해 분리된다. 주요 지붕부분은 장력을 가한 탄력적인 가소성 케이블을 골조부재에 고착시키기 위한 다수의 훅(870)은 하기와 같이 철사 그물망을 고착하기 위한 다수의 체어볼스터 훅(872)을 가진다. 달아낸 부분은 또한 다수의 인장 케이블 훅(874)과 같은 목적의 체어 볼스터 훅(876)을 가진다. 골조부재(852)는 골조부재(850)와 같으므로, 골조부재(852)는 또한 같은 체어 볼스터 훅과 주요 지붕부분, 연결부분과 달아낸 부분을 포함하고, 이로 인해 이들의 구성부품은 부재(850)에서의 대응하는 구성부품과 동일한 번호로 라벨이 붙여진다.
골조부재(854)는 또한 제 1 및 제 2 의 마주보는 끝부분(878과 880)을 가지고, 다수의 체어 볼스터 훅(884)을 구비한 일반적으로 882로 지정된 중간부분을 가진다. 골조부재(856)는 골조부재(854)와 같은 형태이고 같은 구성부품을 가진다. 같은 구성부품은 골조부재(854)에서 지시된 것과 동일한 참조번호로 라벨이 붙여진다. 골조부재(858)는 또한 제 1 및 제 2 의 마주보는 단부분(886 과 888)을 가지고 지붕측(892)과 달아낸 측(894)을 구비한 중간부분(890)을 가진다. 지붕측(892)은 다수의 체어 볼스터 훅(896)을 부착하고 달아낸 측은 다수의 체어 볼스터 훅(898)을 부착한다.
[제 44 도와 제 45 도]
제 44 도와 제 45 도를 참조하면, 골조 부재(850)의 단부분(860)이 도시된다. 제 44 도를 참조하면 골조부재(850)는 외면(900)과 내면(902)을 가진다. 제 45 도를 참조하면 골조부재는 지붕측(904)와 천정측 (906)을 가진다. 단부분(860)은 수직에 관한 지붕의 경사를 결정하는 각도(908)에서 절단된다. 단부분(860)은 세로 부재(850)의 컷트면(910)에 용접으로 체결된 단판(912)을 포함한다. 단판(912)은 지붕측(904)과 동일한 평면이고 천정측(906)을 통과한 연결부분(914)를 가진다. 연결부분(914)은 볼트와 같이 코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916)를 가진다.
단부분은 또한 신장부분(920)을 가지는 평탄한 수평판(918)과 평탄한 연결부분(922)을 포함한다. 평탄한 연결부분(922)은 단부분(860)의 외면(900)에 고착된다. 평탄판은 판(912)에 직각인 축(924)을 가진다. 연결판(926)은 또한 신장부분(920)과 판(912)에 직각으로 배설되도록 신장부분(920)과 판(912)에 연결된다. 연결판은 볼크와 같은 코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하는 개구(928)를 가진다.
단부분은 또한 내면 902에 고착된 훅 판(930)을 포함한다. 제 1 훅 평면(936)에서 훅부분(934)을 배설한 훅(932)은 체어 볼스터 훅(872)에 가까이 인접해서 배설된다. 훅(932)은 제 43 도에 도시된 훅(870)에 대응한다.
단부분은 또한 면(902)에서 항쌍의 가로에 이격된 개구를 포함하고 개구는 938 과 940으로 각각 지정된다. 개구(938)는 천정측(906)에 인접해서 배설되지만 개구(940)는 지붕측(904)에 인접해서 배설된다.
[제 46 도와 제 47 도]
제 46 도와 제 47 도를 참조하면, 연결부분(868)이 매우 상세히 도시된다. 연결부분(868)은 지붕부분(864)과 달아낸부분(868)에서의 다수 체어 볼스터 훅 사이에 배설된 개공간(942)를 포함한다.
개공관은 제 43 도에 도시된 골조부재(858)의 단부분(886)에서 핀을 수용하기 위해 가로 및 세로에 이격된 개구(944,946,948과 950)를 포함한다. 다시 제 47 도를 참조하면 개구(944 와 950)에 가까이 인접하고 천정측(906)에 인접해서 판(952)이 천정측(906)에 고착된다. 경사부분(954)는 판(952)에 연결된다. 경사부분(954)은 4 × 4 의 강관부분을 포함한다. 신장부분(954)은 제 45 도의 각도(908)와 동일한 각도(956)에서 배설된다. 신장부분(954)은 신장부분(954)의 단부분을 덮기 위해서 단판(958)을 고착한다. 신장부분(954)은 또한 파스너를 수용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나사 개구(960 과 962)를 포함한다.
[제 48 도와 제 49 도]
제 48 도와 제 49 도를 참조하면, 골조부재(854)의 단부분(878)이 매우 상세히 도시된다. 단부분은 964로 지정된 지붕표면, 내면(966), 외면(968), 및 천정표면(970)을 포함한다. 제 49 도를 참조하면 단부분(878)은 연결부분(974)과 돌출부분(976)을 구비한 가로로 누운 산형부재(972)를 가지고, 돌출부분(976)은 내면(966)에 직각으로 돌출한다. 핀(978)은 지붕 표면(964)에 인접한 돌출부분(976)으로 고착된다. 핀부분(982)과 훅 부분(984)을 가지는 훅(980)은 또한 핀(978)에 평행하게 이격된 관계에서 돌출부분(976)에 연결된다. 핀(978)과 핀부분 (982)은 부재(854)의 세로 축(986)에 평행하다. 패널을 연결할 때에 핀 (978)과 핀부분(982)은 제 4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개구(940과 938)에서 수용된다.
[제 50 도]
제 50 도를 참조하면, 철사 그물망 재(988)의 시이트가 평탄하게 부설되고, 마무리 지붕 패널에 근사한 크기로 절단된다. 타르용지와 같은 막이 또한 사이즈로 절단되어 철사 그물망(988)상에 부설된다. 지붕부분(994)와 달아낸부분(996)을 가지는 제 1 스타일로 폼 슬래브(992)는 타르용지(990)상에 부설된다. 스타일로 폼 슬래브는 그 테두리를 따른 세로 오목부(998 과 1000)와 다수의 가로 오목부(1002,1004,1006,1008,1010,1012와 1014) 가진다. 또한 스타일로 폼은 제 1 및 제 2의 대각 오목부(1016 과 1018)를 가지고 제 3 및 제 4 대각 오목부( 1020 과 1022)을 가진다. 대각 오목부(1018 과 1016)은 지붕 부분(994)의 대각으로 마주보는 모서리부 사이에 배설된다. 대각 오목부(1020 과 1022)는 달아낸 부분(996)의 대각으로 마주보는 모서리부 사이에 배설된다.
스타일로 폼 (992)는 또한 골조부재(850,852,854,856과 858)이 수용되는 골조지지 오목부(미도시)을 가진다. 골조부재가 오목부에 배치될 때 제 49 도에 그려진 핀(978)과 핀부분(982)은 제 45 도에 그려진 개구(940 과 938)에서 수용된다. 마찬가지로 제 50 도에서의 골조부재(858)의 돌기 핀은 제 47 도에서 각각 개구(944,946,948 과 950)에서 수용되고 골조부재(856)에서의 돌기 핀은 끝부분(862)가 대응하는 개구(미도시)에서 수용된다.
[제 51 도]
제 51 도를 참조하면 턴 버클(1024)는 훅(870) 하나로 연결된다. 탄력적으로 확장가능한 인장 케이블(1026)이 턴 버클(1024)에 고착되어 케이블이 제 1 및 제 2 세로 오목부와 가로 오목부의 각각에 있는 복수의 부분을 가지도록 골조부재(850과 852)의 훅(870)사이에 경유된다. 또한 케이블은 대각 오목부(1016 과 1018)에서의 신장하는 부분(1030 과 1032)을 가진다.
마찬가지로 달아내는 부분은 훅(872)에 턴 버클(1034)에 연결시켜 탄력적으로 확장 가능한 가소성 케이블(1036)이 턴 버클(1034)에 체결된다. 케이블(1036)은 가로 및 세로 오목부에 있는 부분(1038)과 각각 대각선 오목부(1020 과 1022)에 있는 부분(1040 과 1042)을 가지도록 각각 골조부재(852 와 850)에서 훅(875 와 874)사이에 경유된다.
케이블을 체결함에 의해 타르용지(990)와 철사 그물망(988)의 테두리 부분이 각각 인접 골조부재(854,856,850 과 852)위에 구부러진다.
[제 52 도]
제 52 도를 참조하면, 패널은 또한 각각 그물망 부재 부분(1044 와 1046)의 제 1 및 제 2 부분을 포함한다. 제 1 부분(1044)은 골조부재(850 과 852)에 있어, 각각의 체어 볼스터 훅(872) 사이와 부재(854 와 858)에서의 체어 볼스터 훅(884 와 896)사이에 적합하도록 절단된다. 그물망 재(1046)의 제 2 층은 골조부재(850 과 852)의 달아낸 부분(866)에서의 체어 볼스터 훅(876)사이에 배설되도록 절단된다. 또한 제 2 철사 그물망은 각각 골조부재(858과 856)에서의 체어 볼스터 훅(898과 884)사이에 배설된다. 지붕 부분과 달아낸 부분의 양쪽을 구비하는 패널의 전둘레에 걸친 콘크리트 보존 테두리(1048)는 각각의 주위 골조부재(854,856,850과 852)에 고착된다.
상기 콘크리트 혼합물은 그후 콘크리트가 그물망 재 부분(1044)을 지나 스타일로 폼 슬래브의 지붕 및 달아낸 부분에서의 가로, 세로 및 대각 오목부로 유입되도록 그물망 재 부분(1044 와 1046)상에 주입된다. 지붕 패널의 천정측은 이렇게 완료된다. 그리고 패널은 제 523 도에서 그려진 위치에 관해서 반전되고, 콘크리트가 지붕 표면(미도시)를 형성하기 위해 철사 그물망(999, 미도시)상에 주입된다.
[제 53 도]
제 53 도를 참조하면, 지붕 패널부분이 단면으로 도시되고 천정측(1050)과 지붕측(1052)을 포함한다. 천정측은 패널의 전폭 및 전장에 걸친 평면 부분(1056)을 가지는 콘크리트를 포함하고 오목부(1002)에서의 평면부분에 수직인 리브 부분(1054)을 가진다. 스타일로 폼에서의 잔여 오목부는 또한 같은 리브 부분을 가진다. 그물망재 부분(1044)은 제 1 평면(1058)내에 배설되지만 가소성 케이블의 대각 부분은 제 2 평면(1060)에서 배설된다. 케이블(1026)의 세로 및 가로 부분은 제 3평면(1062)에 있다. 제 1, 제 2 및 제 3 평면은 평행이고 상호 이격된다. 제 3 평면(1062)에 있는 케이블(1026)은 이렇게 제 2 평면(1060)에 있는 케이블 부분(1032)에서 이격된다. 이것은 패널의 정부의 보강을 설치한다. 외측 그물망(999)은 제 4 평면(1064)에 있다. (106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는 패널이 지붕 표면을 형성하고 스타일로폼 슬래브(992)에서 형성된 최소 외측 오목부(1068)내에 메워 넣는다.
[제 54 도]
제 54 도를 참조하면, 발명에 의한 마무리 패널은 일반적으로 1070로 도시된다. 마무리 패널은 천정표면(1072)과, 제 1 및 제 2 피크 연속부분(1074,1076)과, 제 1 및 제 2 벽 연결부분(1078,1080)과, 제 1 및 제 2 홈통연결부분(1082 와 1084)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피크 연결부분(1074 와 1076)은 패널을 인접 패널에 연결하여 가옥의 지붕 피크를 형성한다. 제 2 피크 연결부분(1074 와 1076)은 골조부재(850 과852)의 단부분(860)에 대응한다. 마찬가지로 벽 연결부분(1078 과 108)은 제 46 도와 제 47 도에서 그려져 제 43 도에서 868 로 도시된 연결부분에 대응한다.
[패널의 연결]
다시 제 21 도를 참조하면, 제 3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외측 패널이 일반적으로 406과 408로 도시된다. 패널(406)의 제 3 및 제 돌출부분(646 과 648)은 각각 플랜지(382 와 380)와의 걸어 맞추기 위해 하방에 돌출한다. 패널(408)의 제 3 및 제 4 돌출부분은 플랜지(172)와 걸어 맞추기 위해 하방으로 돌출한다.
플랜지로의 외측 패널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1090과 1092로 도시된 W 형상 및 T 형상 코넥터가 각각 사용된다. W 형상 코넥터(1090)는 외측 패널에 서로 충돌함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부에서 사용되지만 T 형상 코넥터(1092)는 위치가 맞추어진 인접외측 패널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W 형상 코넥터는 제 1 및 제 2 평탄부분(1094와 1096), 및 (1098)에서 일반적으로 도시된 W 형상 벽부분을 포함한다. 평탄부분(1094와 1096)은 각각의 도관 개구(1100과 1102)와 각각의 나사 개구(1104와 1106)을 가진다. 벽부분은 각각 개구(1108와 1110)을 가진다.
마찬가지로 T 형상 코넥터는 제 1 및 제 2 평탄부분(1112와 1114) 및 특성 T 형상의 직립 벽부분(1116)을 가진다. 평탄부분의 각각은 각각의 도관개구(1118과 1120)와 각각의 연결 개구(1122와 1124)를 가진다. 또한 벽부분(1116)은 각각 제 1 및 제 2 평탄부분(1112와 1114)에 인접한 제 1 및 제 2 개구(1126과 1128)을 가진다.
외측 패널은 맨처음 W 형상 코넥터와 T 형상 코넥트를 모서리부와 측부로 각각 연결함에 의해 바닥 패널(370)로 연결된다. 패널(406과 408)은 위치에 배치되고 이로 인해 패널(406)의 연결부분(646과 648)은 각각 평탄부분(1114와 1094)상에 놓여진다. 마찬가지로 패널(408)의 연결부분(646과 648)은 각각 평탄부분(1096과 1112)상에 놓여진다.
구체적으로 패널(408)을 참조하면 연결부분(646)에서의 개구(474)는 각각 개구(1110 과 1126)로 정렬된다. 개구(474)가 나사 부착이므로 볼트가 개구(1110)를 지나 홀로 삽입되고 제 2 볼트는 개구(1126)를 통해 삽입되어 각각 패널의 마주보는 단부분에서 개구(474)와 나사가 맞추어 진다. 패널은 이렇게 W 형상 및 T 형상 코넥터로 고착된다.
모서리부의 경우에 바닥 패널(370)의 직립판(168)은 패널(408)의 연결부분(646)의 마주보는 측에서 대응하는 개구(474, 제 21 도에서 미도시)와 걸어 맞추는 개구(182)을 가진다. 볼트는 개구(182)을 통해서 수용되고, 연결부분(646)의 마주보는 측에서의 개구(476)와 나사가 맞추어 진다. 패널(408)의 마주보는 단부분은 같은 형태로 모서리부에 고착된다. 패널(406)은 같은 방법으로 바닥과 기초로 연결된다.
[내측 패널의 연결]
내측 패널은 외측 패널이 연결되면 같은 방법으로 바닥 패널에 연결된다. 제 41 도에 가장잘 도시된 내측 패널은 각각 하방에 돌출하는 연결부분(820 과 824)을 가진다. 하방에 돌출하는 연결부분(820 과 824) 각각은 각각의 나사 개구(704)을 가진다. 대응하는 개구(706) (미도시)는 제 3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분의 대향측에서 이용가능하다.
다시 제 21 도를 참조하면 내측 패널을 설치하기 위해 돌출부분(820과 824)은 인접 바닥 패널 각각의 판(168)사이에 형성된 용기(1130과 1132)에 놓여진다. 각각의 판은 내측 패널이 적정하게 배치되었을 때 개구(704 및 706)와 정열된 각각의 개구(182)을 가진다. 볼트와 같은 나사 파스너는 개구(182)을 통해서 삽입되고 개구(704 와 706)가 각각 나사가 맞추어져 내측 패널을 바닥 패널에 고착한다. 같은 순서는 다른 내측 패널을 바닥 패널에 고착하기 위해 실시된다.
하방에 돌출하는 연결부분(820 과 824)는 기초부재에서 개별 내측 패널로 도관을 경유하므로 제 34 도에서 700,702 와 703에서 가장 잘 도시된 개구를 가지게 된다.
다시 제 1 도를 참조하면 내측 및 외측 패널이 바닥 및 기초부재에 체결되어 가옥의 제 1 층계가 완성된다. 부가적인 외측 및 내측 패널은 가옥의 제 2 층(1141)을 형성하기 위해 제 1 층을 형성하는 패널에 고착된다.
제 31 도와 제 41 도를 참조하면 제 31 도에 도시된 외측 패널과 제 41 도에 도시된 내측 패널이 상방에 돌출하는 패널 연결부분을 가진다. 제 31 도에서의 외측 패널에 관해서 연결부분은 각각 642와 650으로 도시된다. 제 41 도에 도시된 내측 패널에 관해서 연결부분은 각각 812와 882 로 도시된다.
제 31 도와 제 41 도의 연결부분(642,650,818, 과 822)은 각각 제 3도에 도시된 수직 덕트 부분(66 과 76)이 같다.
따라서 문 패널 부재는 가옥의 제 1 층에서의 방의 천정으로 작용하고 가옥의 제 2 층의 바닥으로서 작용한다. 그러한 바닥 패널 부재는 제 21에서 그려진 바와 같이 바닥 패널(370)이 기초 부재에서 설치됨과 같은 방법으로 연결부재에서 설치된다. 제 1 도를 참조하면 제 2 복수의 조립식 외벽 패널(28)은 이렇게 제 1 계층(1129)의 패널상에 설치된다.
[제 55 도]
제 55 도를 참조하면, 제 2 다수의 조립식 외측 및 내측 패널(28 과 20)은 연결부분(642,650,818)의 배치를 형성하고, 배치는 제 3 도에 도시된 직립플랜지(70,72,124)와 마찬가지이다. 제 1 및 제 2 다수의 내측 및 외측 패널과 같은 부가적인 패널은 다수의 계층을 가지는 가옥 또는 구조를 창설하기 위해 이들 직립 연결부분(642,650,818 과 822)에 고착된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옥은 제 1 및 제 2 계층만을 포함하고 이로 인해 복수의 지붕 패널이 제 2 계층의 패널(28)상에 설치된다.
제 2 다수의 제 2 계층의 외측 패널(28)을 적소에 배치하고 제 3 바닥 패널(32)가 각각 연결부분(642,650,818과 822)에 고착된다. 제 3바닥 패널(32)는 외측 패널(28)과 내측 패널(30)에 의해 둘러 쌓인 방을 위한 천정으로서 작용한다. 그러나 제 3 바닥(32)은 가옥의 지붕 속 부분의 바닥 표면으로서 작용하는 상면(1140)을 가진다.
제 33 ~ 41 도에서 그려진 내측 패널과 같은 구성의 지붕속 패널(1142)은 연결분분(1144,1146,1148 과 1150)을 가진다. 이들의 연결부분은 제 41 도에 도시된 연결부분(818,820,822 와 824)과 같다. 지붕속 패널(1142)은 제 41 도의 내측 패널과 동일한 세로 수치를 가지지만 지붕속 패널(1142)은 제 41 도에 도시된 내측 패널의 수직 수치의 거의 반정도의 수치를 가진다. 그리고 제 54 도에 도시된 지붕 패널(1070)이 설치되고 제 2 피크 연결부분(1074 와 1076)(미도시)는 연결부분(1144와 1148)에 연결되며, 연결부분(1078과 1080)(미도시)는 제 2 계층 외측 패널(28)의 연결부분(650 과 642)에 연결된다.
[제 56 도]
제 56 도를 참조하면, 연결부분(1144)과 제 1, 제 2 및 제 3 나사 개구(1152,1154 와 1156)를 각각 가진다. 지붕 패널(1070 과 1158)을 설치하기 위해 판연결 부분(914)은 마주보는 측(1160 과 1162)에 대해 마주대어진다. 이 위치에서 각각의 지붕패널(1070 과 1158)의 연결판(926)은 각각의 플랜지 부분에서의 개구(928)가 정렬되도록 하고 연결부분(1144)의 정상부에서 수용된다. 이것은 볼트(1164)을 개구(928)통해서 삽입시켜 나사 개구(1156)에 있어 고착시킨다. 또한 판 연결부분(914)에 있어 개구(916)는 각각 제 1 및 제 2 나사 개구(1152 와 1154)와 정렬되어 제 1 및 제 2 볼트(1166 과 1168)를 나사 개구(1152와 1154)와 나사 맞추기시켜 지붕 패널을 적소에서 고착한다.
[제 57 도]
제 57 도를 참조하면 지붕 패널(38)의 연결부분(1078)을 설치하기 위해 수평부분(1172)과 제 1 및 제 2 수직부분(1174 와 1176)을 가지는 T 형상 코넥터(1170)는 제 3 바닥 패널(32)의 플랜지(172)의 정상부에 놓여진다. 수평수분(1172)은 플랜지부분(1172)은 플랜지부분(172)상에 올려두고 신장부분(954)의 판(958)은 수평부분(1172)상에 올려 놓는다. T 형상 코넥터(1170)와 신장부분(954)과 바닥 패널(32)을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설하고 개구(962)는 바닥(32)의 판(168)에서의 개구(182)와 정렬되고 이로인해 볼트(1178)는 개구(182)을 통해 삽입되어 나사 개구(962)와 나사가 맞추어진다. 마찬가지로 제 1 및 제 2개구(1180 과 1182)는 T 형상 부재(1170)의 제 1 및 제 2 수직부분 (1174 와 1176)에서 배설된다. 개구(1180)는 신장부분(954)에서의 나사 개구(960)와 정렬하고 이로 인해 볼트(1184)을 수용하도록 작용하고 신장부분(954)을 T 형상 코넥터(1170)에 고착하기 위해 나사 개구(960)을 구비한 볼트로 나사가 맞추어진다. 마찬가지로 개구(1182)는 패널(28)의 연결부분(642)에서 나사(1186)와 축 정렬한다.
또한 판(168)에서의 개구(182)는 연결부분(642)의 내측 부분에서의 나사 개구(1188)와 축 정렬되고, 이렇게 볼터(1190)는 개구(182)을 통해서 삽입되고 나사 개구(1188)에 나사가 맞추기 되어 제 3 바닥 패널(32)와 연결부분(642)으로 고착된다. 다른 지붕 패널도 마찬가지로 고착된다.
다시 제 1 도를 참조하면 가옥(10)이 복수의 패널의 조립에 의해 형성 된다. 작은 간격(1196)이 인접 패널 사이에 존재하고 이렇게 가옥의 전체 측부 또는 끝부분에 걸친 연속 벽부분은 제거된다. 오히려 가옥의 측부와 끝부분에 연결된 복수의 개별 패널 부분에서 형성된다. 이것은 패널을 상호에 관해 극소하게 이동시켜 결과적으로는 개별 패널에 의해 형성된 벽부분을 상호에 관해 이동시킨다. 연속 벽은 없으므로 그러한 이동은 벽의 표면에서 균열을 형성하지 않고 이렇게 벽이 구조적 보전성과 벽의 외관은 유지된다. 그러나 작은 간격(1196)이 존재하고, 조립 시점에서 실리콘과 같이 내화성 탄성 실런트 세라믹사 또는 팽창 가능한 탄성포를 충전시키고, 간격에 있어 기밀한 실(seal)을 유지하면서 패널을 상호에 관해 이동시킨다.
[조립 패널의 협동]
여기서 개시된 발명에 의한 구조는 지진력 또는 포탄폭파력에 의해 생선된 위기에 견디기에 특히 충분히 적합하다. 다시 제 2 도를 참조하면 가옥의 기초가 연결된 복수의 기초 부재에서 형성된다. 이것은 기초에서의 다수의 위치에 있어, 기초에서의 한 위치에 부과된 역률을 흡수하기 위해 도움이 되는 기초를 연성(延性)으로 한다. 인접 기초 부재 사이의 접합부는 그러한 모멘트를 흡수하기 위해 도움이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그러한 기초를 일부 모서리부에 인가된 모멘트가 그러한 모멘트를 흡수하는 무능력에 의해 기초를 균열 시키는 종래 일편의 강성연속 기초 설계에 대한 이점이다.
다시 제 1 도를 참조하면 각 패널 부재는 패널이 상기와 같이 연결된때 각 패널의 외주를 형성하는 고형 골조부재를 가지기 때문에 연결된 골조부재는 3차원 연성 입체 골조를 형성한다. 입체골조는 본질적으로 볼트 부착된 골조부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입체 골조부재는 견고하게 연결되지 않고 오히려 몇 갠가의 연성을 부여해 이렇게 기초를 통해 입체 골조로 지면을 이동하는 지진력 또는 포탄 폭발력 또는 건출물에 인접한 포화와 같이 입체 골조에 전달된 모멘트와 힘의 흡수를 설치한다.
이렇게 패널은 그러한 힘을 흡수하기 위해 상호에 관해서 미세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렇게 패널은 상호에 관해서 탄성적으로 작용한다. 벽 패널의 각각의 수평 부분은 본질적으로 핀에 의해 벽 패널의 수직 부분에 연결되어 수직 부재에 관한 수평 골조부재의 수직이동을 허용한다. 또한 각 패널에서의 인장 케이블이 골조부재를 안쪽에 각 패널의 내측 부분으로 편향시키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인장 케이블은 패널에서의 정부의 하중의 경우에 미세하게 확장 또는 수축하도록 작동하고, 이렇게 패널과 골조부재에 미치는 힘은 또한 인장 케이블의 가로 및 세로 부분으로 평행하게 이들로부터 이격된 평면에서의 대각 인장 케이블 사용에 의해 설치된다.
기초에서 영향을 미치는 지진력은 기초에서의 접합부에 의해 흡수된다. 잔류 모멘트 및 힘은 기초에 연결된 패널과 이렇게 연결 패널에 의해 형성된 입체 골조구조에 전달된다. 더 한층의 잔류력은 각 패널에서의 구조, 구체적으로 그물망 케이블과 콘크리트로 전달된다. 그물망과 케이블은 탄력성이고 잔류력 및 모멘트의 대부분을 흡수하기 위해 작용한다. 이렇게 패널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에 최종적으로 달하는 힘과 모멘트의 크기는 최소화되어 콘크리트 패널부분에서의 균열을 형성하는 위험을 축소한다. 가옥의 바닥, 벽 및 천정 표면은 이렇게 지진 활동 또는 주변의 포화 후조차도 사실상 균열이 가지 않는다.
또한 발명은 다양한 바람 조건에서 동적으로 안정된 구조를 제시한다. 구조는 다수의 패널로 이루어지므로 바람 효과가 작용하는 표면적은 종래의 가옥구조의 단체벽에 관해서 축소된다. 각 패널 자체는 장력과 압축에 견딜 수 있어 이로인해 내향력(정하력)과 외향력(부하중)을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살 표시(1192)의 방향에서의 내향력은 정하중을 외벽 패널에 미친다. 일반적으로 1194에서 지시된 패널의 중앙부분은 미세한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어 이것에 의해 패널의 측부 1부분과 측부 2부분에서 인장 케이블을 확장하고, 인장 케이블은 그러한 확장과 상응해서 힘을 흡수를 탄력적으로 저지한다. 화살 표시(1192)와 반대 방향에서 가해진 힘은 부의 하중을 표현하고 마찬가지로 흡수되어 패널의 중앙부분은 힘을 흡수하기 위해 미세히 외측으로 이동하지만 그후 그 원위치로 복귀한다.
상기의 패널 기초 부재 및 코넥터는 제 1 도에 도시된 가옥과 같은 3차원건축구조물을 신속 또한 효율적으로 건조된다. 패널은 조립되므로 패널의 전제조 과정은 공장에서 완료된다. 특히 콘크리트를 형성할 때에 사용된 골재는 같은 성질을 보증하도록 선택 제어되어 콘크리트는 제어 존건하에서 경화되며 연마, 도장 소성되고 또는 다른 건축학적 마무리가 적용된다.
또한 구조적 강 구성부품은 컴퓨터 제어 기술을 사용하여 정확히 절단 및 형성된다. 또한 구조가 건조될 작업 지점은 패널을 체결하기 위해 필요한 볼트 및 렌치, 패널을 적소에 끌어 올리기 위한 크레인 및패널이 원하지 않는 곳에서 돌출하는 연결 부분을 선택적으로 절단하기위해 절단 토치를 구비하면 된다. 또한 패널은 충분히 강건하고 종래의 출하용기 수치를 가지는 특별 설계된 출하용기로 쉽게 출하된다. 이렇게 조립식 패널은 공장에서 작업지점 으로 쉽게 수송된다.
[패널의 다른 용도]
[고층구조]
[제 58 도]
제 58 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패널을 한층 더 사용하면 종래의 고층 사무소 및 아파트 건축물 구조와 협동해서 실현된다. 종래의 고층 구조는 일반적으로 위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矩形) 배열에서 배치된 다수의 수직 칼럼(1200)과, 수직 칼럼에 따라서 다수의 수평으로 이간된 평면(1204,1206,1208,1210,1212,1214)에 있어 배치된 다수의 수평크로스 부재(1202)를 포함한다.
수직 칼럼(1200)과 수평 크로스 부재(1202)는 고층 건축의 주요구조적 구성 부품을 형성하며 종래의 설계이다. 구조적 지지성을 위해 크로스 부재의 수치를 정하고 평면의 적절한 간격에 의해 발명에 의한 외측 패널(1216), 내측 패널(1218) 및 바닥 패널(1220)은, 예를 들면 3 유니트 폭, 4 유니트 길이의 3 계층 고층 건축의 모듈(1222)을 형성하기 위해 연결되고 이 경우 각 유니트는 개별 아파트 또는 사무소이다.
고층 건축은 이렇게 모듈 형성으로 건축되어 종래 행해진 바와 같은 고층 건축의 각 콘크리트 바닥의 주입을 제거한다.
수직 칼럼 또는 크로스 부재에 인접해서 위치하는 개별 외측 또는 경계 패널은 각 패널에 수반된 열결수단을 사용해서 각각의 인접 수직 및 수평 부재(1200 과 1202)에 연결되고, 입체 골조는 각 패널의 골조부재와 고층건축의 수직 및 수평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비교적 큰 단체 입체 골조가 이렇게 형성되고, 입체 골조는 이간된 수직 평면 사이에 차용 가능한 유니트의 배열을 규정한다. 패널의 테두리 부분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패널에서의 돌출 부분은 연결 수단으로서 작용하고, 지진력하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되기 위해 동작하고, 입체 골조는 지진 활동 또는 포화에 의해 생성된 모멘트와 힘을 흡수하는 능력을 포함한다. 앞에서 설명한 이득 모두를 가진다. 또한 콘크리트 표면을 균열시킴없이 잔류 모멘트를 흡수하는 능력과 풍하 중력에 내구하고 분산시키는 능력을 포함한 패널의 이득 모두가 고층 건축에서 얻을 수 있다.
[출하 용기]
[제 59 도]
제 59 도를 참조하면 가옥을 형성하는 패널의 수송이 123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16' ×8' ×9' 출하 용기를 형성하기 위해 가옥의 바닥패널을 연결함에 의해 쉽게 달성되어 패널과 가옥의 다른 구성 부품은 용기내에 파선으로 도시된다. 바닥 패널은 그 7개가 1232, 1234, 1236, 1238, 1240, 1242와 1244로 도시된 8개의 용기 모서리부와 3개의 1248, 1250과 1252로 도시된 4개의 중앙 부분 코넥터를 형성하기 위해 연결된다.
[제 60a~h 도]
제 60a 도와 제 60b 도를 참조하면, 중앙 부분 코넥터(1248)가 도시된다. 제 1 및 제 2 바닥 패널(1256과 1258)은 수평평면에서 단부분을 맞대어 도시된다. 마찬가지로 제 3 및 제 4 바닥 패널(1260과 1262)는 수직 평면에서 단부분이 맞대어진다. 제 1 및 제 2 바닥 패널(1256과 1258)의 판부분(1264와 1266)은 제 1 및 제 2 바닥 패널의 각각의 하측에 대해 평탄하도록 각각 직각으로 구부러진다. 이것은 제 3 및 제 4패널의 각각의 테두리(1268과 1270)을 제 1 및 제 2 바닥 패널의 하측에 가까이 인접해서 위치시킨다. 이 구성으로 각각의 플랜지(1272와 1274) 및 평행부재(1276 과 1278)는 각각 제 1 및 제 2 바닥 패널의 단부분 테두리(1282와 1284) 사이에 형성되는 비교적 큰 상부 간격(1280)으로 맞추어진다. 판부분의 마주보는 부분(1286과 1288)은 수직상방으로 돌출된다.
마찬가지로 제 3 및 제 4 패널(1260과 1262)에서의 평행부재(1290과 1292) 및 플랜지(1294와 1296)은 맞추어져 측부 간격(1298)과 패널에서 수평 외측으로 돌출하는 판부분(1300과 1302)을 남긴다.
제 60c 도를 참조하면, 정부 중앙 목제 부재(1304)는 그 상면(1306)이 제 1 및 제 2 바닥 패널(1256 과 1258)의 인접 외면(1308 과 1310)과 거의 동일 평면이고, 그 단부분(1312)이 평행부재(1276 과 1278)과 거의 동일 평면이며, 플랜지(제 60a 도와 제 60b 도의 1272 와 1274)위에 놓여지도록 절결된다. 그리고 판부분(1286 과 1288)은 목제 부재 (1304)에 겹치고 상부 간격에서 고착하기 위해 직각으로 굽혀진다.
제 60d 도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판부분(1322 와 1324)은 상부 및 측부 간격을 가로 질로 제 1 및 제 2 바닥 패널(1256과 1258)과 제 3 및 제 4 바닥 패널(1260과 1262)에 각각 고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앞나사 부착 개구(미도시)가 각각 제 2 및 제 2 바닥 패널의 각각의 부분에서 설치되어 판부분(1322)을 바닥 패널(1256과 1258)에 고착되어 판부분(1324)을 바닥 패널(1260과 1262)에 고착하기 위한 볼트(1326)를 수용한다. 판은 바닥 패널을 굳게 고착한다.
제 60e 도와 제 60f 도를 참조하면 제 1 용기 모서리부가 일반적으로 1232 로 도시된다. 모서리부는 8' ×16'의 바닥 패널인 제 1 및 제 3패널(1256 과 1262)에 의해 형성된다. 이들의 팰널은 방형(方形) 형상의 8'×8' 의 크기의 제 5 바닥 패널(1328)로 연결된다. 제 5 바닥패널은 용기의 끝부분으로서 작용한다. 제 1 패널 제 1 판부분(1330)은 바닥 패널의 하측에 평행으로 굽혀져 제 3 패널(1262)의 테두리(1332)를 제 1 바닥 패널(1256)의 하측에 밀접하게 인접해서 위치시킨다. 제2 판부분(1334)은 직립으로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제 3 패널(1262)의 제 1 판부분은 파선으로 일반적으로 133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굽혀진다. 제 1 판부분은 제 3 패널(1262)의 내면에 평행하도록 굽혀지지만 제 3 패널(1262)의 제 2 판부분(1338)은 외측에 돌출한다. 이 구성에서 각각의 평행부재(1340 과 1342), 각각의 플랜지 부재(1344 와 1346)는 이간되어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제 5 바닥 패널(1328)은 제 1 및 제 2판부분을 가지고, 제 1 판부분은 제 60e 도에서 파선으로 1348로 도시되고 제 2 판부분은 제 60e 도와 제 60f 도에서 실선으로 1350으로 도시된다. 제 1 판부분(1348)은 제 1 패널(1256)아래에 배설되지만 제 2 판분분(1350)은 외측에 돌출된다. 또한 패널은 또한 패널(1328)의 테두리(1356)에 관해 수직 상방으로 돌출하는 평행부재(1352)와 플랜지 부재(1354)를 가진다. 이렇게 상부 테두리 간격(1358)과 측부 테두리 간격(1360)은 제 1 및 제 5 패널(1256,1328)과 제 3 및 제 5 패널(1262,1328)의 각각 경계면에서 형성된다.
제 60g 도를 참조하면, 상부 테두리 간격은 각각 제 1 및 제 5 패널의 평행 및 플랜지 부재(제 60e 도와 제 60f 도의 (1340, 1344와 1352, 1354))을 수용하기 위해 적절히 노치된 목제 상부 테두리 부재(1362)에 의해 충전된다. 이것은 상부 목제 부재(1362)의 제 1 및 제 2측부(1364 와 1366)을 제 1 및 제 5 패널 각각의 표면(1308 과 1368)과 동일 평면에 있도록 하고, 그 단면(1370)을 제 1 패널(1256)의 테두리표면(1372)와 동일 평면으로한다. 제 2 판부분(1334 와 1350)은 목제부재(1362)상에 굽혀져 그것을 적소에 고착한다.
마찬가지로 목제측 테두리 부재(1374)는 제 60 도에 도시된 평행한 플랜지 부재(1342 와 1346 )를 수용하기 위해 적절히 노치되어(미도시)되어 제 1 및 제 2 측면(1376 와 1378)은 제 60 도에 도시된 테두리 간격(1360)에 놓여질 때 각각 인접 표면(1380 과 1382)과 일반적 동일 평면에 있다. 다시 제 60 도를 참조하면 제 2 판부분(1338)은 목제 측 테두리 부재(1374)상에 굽혀져 그것을 위치에 고착한다.
제 60 도를 참조하면, 모서리부 코넥터가 일반적으로 1384로 도시된 다. 모서리부 코넥터는 제 60h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부분을 준비한 후 용기의 모서리 부분 위에 설치된다. 모서리부 코넥터는 제 1 직각 부재(1386)와 크레인 어댑터(1390)가 용접된 상부판 부재(1388)를 포함한다. 제 1 직각 부재(1386)는 각각 1392와 1394 로 지정된 제 1 및 제 2 부분을 가진다. 제 1 및 제 2 부분(1292 와 1394)는 제 1 부분(1392)이 표면(1366)에 평행인 것과 같이 가능하지만 제 2부분은 표면(1372)에 평행하도록 기능하는 것과 같이 주변 목제 부재에 삽입하는 럭 볼트(1400)과 테두리 표면(1372)에서의 예비 형성 나사 개구(미도시)와 제 5 패널(1328)과 제 3 패널(1262)에서의 예비 형성 나사 개구로 나사가 끼워지는 캐리지 볼트(1402)에 따라 각각의 인접표면에 고착된다.
상부 판 부재(1388)는 각각 목제 표면(1364)과 패널 표면(1310)에 얹어 놓여지는 제 1 및 제 2 부분(1404 와 1406)을 가진다. 제 1 부분 (1404)은 럭 볼트(1408)에 의해 목제 표면(1364)에 고착되지만 제 2 부분은 패널(1256)의 골조부재(파선으로 도시된 141 등)에서 나사 개구(미도시)와 협동하는 캐리지 볼트(1410)에 의해 제 1 패널로 고착된다. 직각 크레인 어댑터(1390)는 표면(1366)과 테두리 표면(1372)에 평행한 부분을 가지고 많은 출하항에서 볼 수 있는 종래의 용기 리프트 크레인을 모서리부에 걸어 맞춤시킨다.
다시 제 59 도를 참조하면, 잔여 용기 모서리부(1234,1236,1238,1240,1242와 1244)(및 미도시된 것)이 모서리부(1232)에 관해서 기재된 것과 같이 형성됨이 인정된다.
마찬가지로 잔여 중앙 부분 코넥터(1250,1252)(및 미도시된 것)는 중앙 부분 코넥터(1248)에 관해서 기재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이렇게 가옥의 바닥패널은 가옥을 건축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 부품의 모든것을 보존할 수 있도록 출하 용기를 형성하기 위해 유효하게 연결된다. 용기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바닥 패널은 또한 제 60c 도에서의 굽은판 부분(1264,1266,1286,1283,1300 과 1302)과 제 60 도에서의 1334,1336,1338 과 1350 을 바로 사용하던지 또는 잘라낸 후 가옥을 건축할 때에 사용된다.
다시 제 59 도를 참조하면, 용기는 이렇게 가옥을 형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여러가지 다른 패널 및 구성 부품이 다음 구성 부품 리스트에서 지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는 개방 『상자』를 형성한다.
[바닥]
2001 바닥 용기의 하측
2002 바닥 c/w 플래밍 연결, 용기의 하측
2003 바닥, 용기의 상측
2004 바닥, 용기의 상측
1256 바닥, 용기의 측면
1258 파티오, 용기의 측면
1260 파티오, 용기의 측면
1328 데크, 용기의 단부분
2010 데크, 용기의 단부분
[외벽]
2011 후좌 모서리 c/w창
2012 후좌 c/w 유리 문
2013 후 중심
2014 후좌 c/w창
2015 후좌 모서리 c/w창
2016 전좌 모서리 c/w창
2017 전좌 c/w창
2018 전중심 c/w광택 제거 창 및 문
2019 전우 c
2020 전좌 모서리 c/w창
2021 좌후 c/w창
2022 좌중심 c/w창
2023 좌전 c/w창
2024 좌후 c/w 유리 문
2025 좌중심 c/w창
2026 좌전 c/w창
[방]
2027 합각머리벽 좌우
2028 중앙좌
2029 합각머리 좌전
2030 합각머리벽 우후
2031 중앙부
2032 합각머리벽 좌전
[내벽과 격벽]
2033 전체높이벽
2034 8' 높이벽 c/w문
2035 2034와 2101 상의 벽
2036 전체높이벽
2037 전체높이벽 c/w 문
2038 전체높이벽
2039 8' 높이격벽 c/w 문
2040 2101 상의(a와b)간격
2041 전체높이벽
2042 전체높이벽
2043 2101상의 (a와 b) 간격
2044 8'높이격벽 c/w크로젯 문
2044 크로젯의 t. 상부
2045 8'고격벽 c/w크로젯 문
2045 크로젯의 t. 상부 캐비넷과 설비
2100 부엌 유니트
2101 욕실 유니트
2102 냉장고 / 냉동기
2103 세탁기 건조기
2104 열수가열기
용기는 이렇게 가옥을 건축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부품 모두를 포함한다. 각 모서리부에서의 크레인 어댑터(1390)는 주요 출하항 방파제에서는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종래의 용기 조종 설비를 사용해서 용기를 조종하고, 이로 인해 용기를 끌어 올리기 위한 조종 크레인과 협동하는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용기 자체가 강 골조와 콘크리트내측 부분을 구비하는 패널로 형성되므로 복수의 용기는 항해중 선박의 인양에 의해 용기를 손상시킬 우려가 없도록 외양 항해선의 갑판 또는 출하용 선적 물건에 있어 서로 중복된다. 전형적으로 가옥을 위한 기초부재는 따로 또로 출하되거나 가옥이 설치될 작업지점의 근처에서 제조된다.
[제 61 도와 제 62 도]
제 59 도에 도시된 용기가 작업지점에 수용될 때 용기내의 구성부품과 용기를 형성하는 패널은 발명에 의한 가옥을 형성하기 위해 조립 된다. 그래서 개시된 실시형때에 있어 가옥은 6인치 바닥 패널, 4.75인치 외벽 패널, 7인치 지붕 패널, 3인치 내벽 패널 및 2인치 내측 격벽을 사용해서 800평방 피이트 이상의 주거공간을 설치한다.
기초부재가 이미 출하되어, 지점에서 설치되었다고 가정하면 가옥은 상기와 같이 조립된다. 제 61 도의 평면도에서 가장 잘 나타남과 같이 출하 용기의 바닥 측부 단부와 상부(2001 ~ 2010)은 가옥의 바닥(2001 ~ 2005), 파티오(2006 과 2007)전면 포치(2008) 및 데크 (2009)을 형성하지만 용기의 내측에 있었던 구성부품은 가옥 자체를 형성한다. 발명은 이렇게 가옥을 건축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구성부품을 보존 할 수가 있는 출하 용기를 설치하여 용기 자체의 구성부품은 또한 최종 조립품을 통한 가옥의 구성부품을 형성한다. 이렇게 가옥 구성 부품을 위해 편리하고 강력한 출하 용기를 설치함과 동시에 재료와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이 이루어 진다.
각 패널에서 돌출부분은 인접패널과 함께 작동하는 연결수단으로 패널의 각각을 연결하기위한 연결수단으로서 작용한다. 상기와 같이 이들의 돌출수단은 패널에 과해지는 과혹한 힘하에서 탄성변형하기 위해 동작한다.
[대체물]
[제 63 도]
제 63 도를 참조하면, 상기 콘크리트에 전달된 순조로운 마무리에 대한 대체 마무리는, 그 하나가 3000으로 나타낸 다수개 예비형성된 종래의 직사각형 대리석 타일을 사용해서 형성된다. 타일은 종래 대리석타일 접착제로 고착된, 일반적으로 3002로 나타낸 다수개의 축을 미리 끼워 넣는다. 각 훅은 타일의 접착 또는 백 라이닝측에 점착된 평탄한 표면부분(3004)을 가진다. 돌출부분(3006)은 타일로부터 떨어진, 평탄한 표면부분에 수직이다. 돌출부분은 타일이 벽 패널에서 사용될때 바닥쪽의 아래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 훅부분(3008)에서 끝난다. 훅(3002)은 타일의 접착제와 훅부분(3008)사이의 거리가 제 63도에 3001로 지정된 콘크리트 두께와 거의 같게 예비 형성된다.
대리석 타일을 사용하기 위해 타일은 훅(3002)을 미리 끼워넣는다. 그리고 나서 콘크리트(3010)가 패널의 그물망(3012)상에 주입된 후, 그러나 콘크리트가 경화되기 전에 타일은 백라이닝 표면이 미경화 콘크리트의 표면에 놓이기까지 훅부분(3008)이 미경화 콘크리트로 돌출하게 콘크리트상에 놓여진다. 이 위치에서 훅은 그물망(3012)과 걸리지만, 타일의 접착제는 미경화 콘크리트에 접착한다. 그리고 패널은 콘크리트가 경화하는 동한 흐트러짐없이 놓인다. 경화 콘크리트는 훅의 주위에 단단하게 응고해서 훅(3002)을 그물망(3012)에 고착시키고, 타일은 패널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타일은 반드시 대리석일 필요는 없지만 암석, 화강함, 슬레이트, 외벽 붙임에 적절한 건축학적 마무리이다.
[제 64 도]
상기 실시형태에서, 패널은 8'* 8' 크기라 했지만 상기 8'* 8' 패널을 사용해서 이용가능한 것과 동일한 이득은, 여러가지 다른 치수의 패널에서 이용가능하다.
제 64 도에 나타낸 패널 전부는 8' 의 높이이다. 상기 이득을 달성할수 있는 최소의 실제패널 a 는 6 폭이고, 수직 인장 케이블만을 포함한다. 12 및 18 의 패널 b 와 c 는 같다. 2' - 3' 6 패널 d, e, f, g 는 각각 인장 케이블의 대각부분을 포함하지만, 각각은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X 형식보다는 반전 K 형식을 형성한다. 잔여 패널은 각각 대각 케이블의 적어도 하나의 X 형식을 포함하고, 몇 개의 패녈은 X 형식과 K 형식(m, n, q, s, u, w) 의 조합을 포함한다. 지시된 형식은 상기의 구조적, 지진 및 바람에 대한 이득을 달성하기 위해 지시된 패널 치수에 대해 바람직하다.
[만곡기초와 패널]
[제 65 도]
제 65 도를 참조하면, 만곡기초부분은 일반적으로 4000으로 나타낸다. 만곡기초부분을 사용하기 위해 단부 기초 아답터 부분(4002)과 측부 기초 아답터 부분(4004)이 사용된다. 단부기초 아답터 부분(4002)은 제 3 도에서 42로 지정된 기초부분과 같은 단부기초의 길이를 포함하지만, 제 1 및 제 2 직립연결부분(4008 과 4010)은 만곡기초부분(4000)에 인접해서 수직상방으로 신장 된다. 제 1 및 제 2 직립연결부분(4008 과 4010)은 제 3 도의 측부부재(40)에서 수직덕트 부분(74 와 76)이 같고, 이렇게 해서 각각의 도관과 나사개구(4016,4018과 4020,4022)를 가지는 각각의 판(4012 와 4014)을 가진다.
측부기초 아답터(4004)는 제 3 도에 나타낸 직각단부분(48)을 갖추지않는 것을 제외한 제 3 도의 측부기초부재(40)와 같다. 오히려 측부기초 아답터(4004)는 각각 제 1 및 제 2 직립홈부분(4026과 4028)을 가지는 직접적인 단부분(4024)을 가진다. 제 1 및 제 2 직립홈부분은 단부분(4024)에 관해 수직상방으로 신장되고, 홈부분은 상기 홈부분 (4008과 4010)이 같다.
제 1 및 제 2 홈부분(4026과 4028)은 각각 판(4030과 4032)에서 끝난다. 각 판은 각각의 도관과 나사개구(4034,4036과 4038,4040)를 가진다.
만곡기초부재(4004)는 반경 5피트의 원호를 따라 90도에 이른다. 부재는 단부기초 아답터부분(4002)과 측부기초 아답터부분(4004)의 각각의 단부분과 동일평면에서 서로 끼워지는 제 1 및 제 2 단부분(4042와 4044)을 가진다. 인접단부분은 제 3 도에 나타낸 연결 플랜지(86)와 같은 각각의 끼움 코넥터(4046 과 4048)를 사용해서 연결된다.
제 65 도를 참조하면, 단부기초 아답터부분(4002), 만곡기초부재(4000)과 측부기초 아답터(4004)는 각각 인접기초부재의 (제 3 도에서 56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도관과 연통하는 각각의 도관(4001,4003 과 4005)을 가진다. 이렇게 해서 전기공급 케이블은 여러가지 기초부재의 도관에서 경유되고, 개구(4016,4020,4034,4038)를 통해 접근된다. 이 때문에 전기공급은 판(4012,4014,4030,4032)에 연결된 패널에설치된다.
[만곡구석부를 가지는 바닥패널]
[제 66 도]
제 66 도를 참조하면, 만곡구석부분을 가지는 바닥패널의 다수를 골조부재가 일반적으로 5000으로 나타내진다. 다수의 골조부재는 제 1, 제 2, 제 3, 제 4 ,제 5, 제 6 골조부재(5002,5004,5006,5008,5010,5012)을 각각 포함한다. 골조부재(5002,5004,5006)는 제 4 도의 골조부재(150,152,153)와 같고, 이 때문에 더 기재하지 않는다. 골조부재(5008 과 5010)는 골조부재이지만 골조부재(5012)는 제 65 도에 나타낸 만곡기초부재(4000)의 곡률반경에 일치하는 5 피트의 반경(5014)을 가지는 90 도의 원호가 되도록 세로로 완곡된다.
다시 제 66 도를 참조하면, 골조부재(5012)는 제 1 및 제 2 단면(5016과 5018)을 서로 직각되게 배치하고 있다. 각 단부분은 인접골조부재(5008과 5010)에서 함께 작동하는 핀(5024과 5026)을 수용하기 위해 각각의 방사상 개구부(5020)과 5022를 가진다. 인접골조부재는 또 골조부재가 조립될 때 제 1 및 제 2 단면(5016과 5018)에 부딪치는 각각의 평탄한 단면(5028과 5030)을 가진다.
인접골조부재(5008)는 제 65 도에 나타낸 기초에 마무리 패널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1, 제 2, 제 3, 제 4 연결플랜지(5032,5034,5036,5038)를 가진다. 제 1 연결 플랜지(5032)는 제 5 도 제 6 도 제 7 도의 연결플랜지(172)와 같고, 골조부재(5008)의 세로축(5040)을 따라 패널로부터 외측에 돌출한다. 제 2, 제 3 ,제 4 연결플랜지(3034,3036,3038)은 제 1 연결플랜지와 같지만, 세로축(5040)을 횡단하는 구조을 가진다. 제 2 연결 플랜지에 인접해서 배설되지만, 제 3 및 제 4 연결 플랜지는 서로 인접하고 또 제 3 골조부재(5006)에 인접해서 배설된다.
제 5 골조부재(5010)는 또 횡방향의 연결 플랜지(5044 와 5046)를 가지고 , 제 4 도에서 204로 지시된 것과 같은 다수의 이격된 체어 볼스터 훅(5048)을 갖춘 내면을 가진다.
골조부재(5002, 5008, 5012)는 또 제 4 도에서 196으로 지시된 것과같은 다수의 이격된 인장 케이블훅(5050)을 가진다.
[제 67 도]
제 67 도를 참조하면, 골조부재(5002 - 5012)는 각각 제 1 및 제 2 내측부분(5052 와 5054)을 형성하기 위해 조립된다. 내측부분은 제 11 도에서 270과 272 로 나타낸 패널의 내측부분에서 슬래브와 같은 예비형성된 스타이로 폼(5056,5058)각각의 슬래브를 포함한다. 슬래브 (5056)는 내측부분(270)에서 나타낸 슬래브와 사실상 동일하고, 이 때문에 기재하지 않는다. 슬래브(5058)는 둥근 모서리부분(5060)을 제외한 내측부분(272)에서 슬래브와 같다. 슬래브(5058)는 가로, 세로, 만곡오목부를 가지고, 세로부분은 5062로 지시되고, 가로부분은 5064로 지시되고, 만곡오목부는 5056으로 지시된다. 슬래브는 또 각각 제 1 및 제 2 교차 대각 오목부(5068 과 5070)를 가진다. 제 1 대각 오목부는 만곡 오목부와 대향 모서리부 사이에 배설되고, 제 2 대각 오목부는 제 1대각 오목부를 횡단해서 대향모서리부 사이에 배설된다.
[제 68 도]
제 68 도를 참조하면, 제 1의 탄력적으로 확장가능한 가소성 인장 케이블(5072)이 제 11 도에 나타낸 것과 같게 해서 제 1 슬래브(5056)의 오목부에서 경유되고, 골조부분을 내측에 편향시키는데 도움된다. 제 2의 탄력적으로 확장가능한 가소성 인장 케이블(5074)은 오목부(5062,5064,5066,5068,5070)에서 경유되고, 골조부재(5002, 5008,5010,5012)을 함께 지지하는데 도움된다. 제 14 도에서 기재된 바닥패널과 같이 가로, 세로, 오목부에서 경유된 인장 케이블의 부분은 제 1 평면에 있지만 대각 오목부에서 경유된 부분은 제 11 도에 관해 기재된 케이블의 경유와 같게 해서 제 1 평면으로부터 이격된 제 2 평면에 있다.
[제 69 도]
제 69 도를 참조하면, 그물망재인 제 1 및 제 2 층(5076,5078)이 장력을 걸어 패널 각각의 제 1 및 제 2 내측부분에 면한 볼스터 훅 (5048)에 연결된다. 그물망재인 제 1 층은 제 16 도에서 나타낸 철사 그물망(330)과 같다. 그물망재인 제 1 및 제 2 층은 인장 케이블의 대각 부분이 경유되는 제 2 평면상의 제 3 평면에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도시안함)가 가로, 세로, 대각 오목부가 충전되는 것과 같이 그물망재 위에 주입 되고, 콘크리트는 매끄러운 평면을 가지도록 마무리 된다. 패널의 반전 측은 똑같이 마무리되고, 제 3 및 제 4 인장 케이블, 그물망의 제 3 및 제 4 층 콘크리트의 제 2 마무리 측면을 포함한다.
[제 70 도]
제 70 도를 참조하면, 발명에 의한 마무리 패널은 전체를 5082로 나타내고, 마무리 내면(5084)과 제 65 도에 나타낸 각각 대응하는 연결플랜지(124,124,4012,4014,80,4032,4030,80과 134)가 서로 끼워지는 돌출하는 연결플랜지(5032,5034,5036,5038,5042,5044,5046과 5086)을 가지고, 패널로터 돌출하는 연결플랜지와 기초로부터 돌출하는 플랜지는 기초 또는 패널에 있어 부과된 지진력하에서 탄성변형하도록 동작하고 함께 움직이는 연결수단으로써 작용한다.
[만곡외벽 패널]
[제 71 도]
제 71 도를 참조하면, 만곡외벽 패널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골조부재는 일반적으로 5088로 나타낸다. 다수의 골조부재는 제 1 및 제 2 만곡골조부재(5090과 5092), 제 1 및 제 2 단부재(5094 와 5096), 제 1, 제 2, 제 3, 제 4 중간골조부재(5098,5100,5102,5104)을 포함한다.
단부재(5094 와 5096)는 제 22 도의 부재(420,432)와 같지만 중간골조부재(5098,5100,5102,5104)는 제 66 도에 나타낸 부재(5006)와 같다. 이 때문에 이들의 부재는 설명하지 않는다. 제 1 및 제 2 만곡골조부재(5090 과 5092)는 서로 대칭이므로 제 1 만곡골조부재(5090)만이 기재된다.
[제 72 도]
제 72 도를 참조하면 , 제 1 만곡골조부재(5090)는 제 1, 제 2, 제 3, 제 4 중간부분(5118,5120,5122,5124)에 의해 각각 이격된 제 1, 제 2, 제 3, 제 4, 제 5 패널부분(5108,5110,5112,5114,5116)을 각각 가지도록 내향면(5106)을 가진다. 골조부재(5090)는 또 각각 제 1 및 제2 대향단 부분(5126 과 5128)을 가진다.
각 단부분(5126 과 5128)은 (제 71도의) 각각 대응하는 단부재(5094 와 5096)의 서로 끼워지는 단부분에서 각각의 핀(5134와 5136)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5130 과 5132)을 각각 가진다. 마찬가지로, 각 중간부재(5118,5120,5122,5124)는 제 71 도의 각각 대응하는 중간부재 (508,5100,5102,5104)의 단부분에서 핀(5146,5148,5150,5152)의 각각의 쌍과 서로 끼워지기 위한 개구(5138,5140,5142,5144)의 각각의 쌍의 가진다. 핀은 개구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만곡단부재를 중간부재와 단부재에 평행한 방향에서 이동시킨다.
패널부분(5108,5110,5112,5114,5116)은 같으므로 패널부분(5108)만 기재한다. 패널부분(5108)은 각각 제 1 및 제 2 이격 인장 케이블 훅(5154 와 5156)을 포함하고, 훅은 제 66 도에서 5050으로 나타낸 것과같다. 인장 케이블 훅(5154 와 5156)사이에 정렬된 세개의 이격된 체어 볼스터 훅(5158,5160,5162)가 위치한다.
[제 73 도]
제 73 도를 참조하면, 스타이로 폼의 만곡슬래브(5164)는 제 71 도의 만곡골조부재(5090 및 5092)와 동일한 만곡을 형성하고, 웨브부분(5166), 다수의 세로 오목부분(5170), 다수의 리브부분(5168)을 포함한다.
[제 74 도]
제 74 도를 참조하면, 만곡패널의 제조가 제도용 바닥에 평탄하게 놓인 그물망재인 시트로 개시된다. 타르용지(5174)와 같이 불투명성막이 그물망재(5172)상에 평탄하게 놓이고, 만곡 스타이로 폼 슬래브(5164)가 타르용지(5174)상에 놓인다.
[제 75 도]
제 75 도를 참조하면, 단부 및 중간골조부재(5094,5096,5098,5100,5102, 5104)가 오목부(5170)에 놓이고, 만곡골조부재(5090 과 5090)가 각각의 부재(5134 와 5136)가 만곡단부골조부재에서 대응하는 개구(5130 과 5132)에서 수용되게 그들에 대해서 설치된다. 그리고 나서 타르용지(5174)와 그물망재(5172)가 만곡 스타이로 폼 형상을 따르도록 상방으로 굽어지고, 막의 가장자리와 그물망재가 단부재(5094 와 5096), 만곡골조부재(5090 과 5092)을 감도록 단부재상에 굽어진다.
[제 76 도 와 제 77 도]
제 71 도, 제 72도, 제 76 도를 참조하면, 단일의 탄력적으로 가능한 인장 케이블(5176)이 각 패널 부분의 인장 케이블 훅(5154 와 5156)사이에 경유되고, 만곡골조부재(5090 과 5092)가 단부재(5094 와 5096)중간부재(5098 과 5104)에 대해 편하게 지지되게 턴벅클(5157)을 사용해서 탄력을 가한다.
그리고 그물망재의 다른 층(5178)이 제 77 도에 가장 좋게 보이도록 경유내측 평면(5180)이 그물망재에 의해 규정되게 단부재(5094,5096)과 만곡골조부재(5090 과 5092)사이에 연결된다. 제 76 도에 최량으로 나타낸 콘크리트 지지테두리(5182)는 패널의 내면 주위를 규정하는 테두리를 형성하기 위해 인접 골조부재에 리벳, 용접 또는 나사로 고정된다.
[제 78 도]
콘크리트는 리브(5184)사이에 콘크리트 웨브부분(5186)을 배설해서 콘그리트리브(5184)을 형성하기 위해, 스타이로 폼 슬래브의 요부(5170)에 유입되게 그물망재(5178)상에 주입된다. 리브의 콘크리트는 이렇게 해서 중간부재(5098,5100,5102,5104 및 인장 케이블(5176)의 주위에 다다른다. 콘크리트는 경화하도록 흐트러짐 없이 놓이고, 이것에 의해 매끈한 만곡내면(5188)이 형성된다. 매끈한 만곡외면(5190)은 제 1 그물망재(5172)에 의해 형성되고, 회반죽 또는 유사한 것으로 매끈하게 마무리한다.
[제 79 도]
제 79 도를 참조하면, 발명에 의한 마무리 만곡패널은 일반적으로 5192로 나타낸다. 패널은 각각의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연결부분(5194,5196,5198.5200)을 가진다. 연결부분은 제 31 도에 나타낸 연결부분(642,646,648,650)과 같고 이렇게 해서 각각 유틸리티 공급도관의 경유를 위한 각각의 개구와 인접패널 또는 기초부재로 패널을 고착하기 위한 나사 개구(5210)를 가진다.
[제 80 도]
제 80 도를 참조하면, 바닥패널은 만곡기초부재(4000), 단부기초 아답터 부분(4002)과 측부기초아답터(4004)에서 조립직전을 나타낸다.
바닥패널은 플랜지(5032,5034,5038,5046,5044,5042,5086)이 각각 대응하는 연결플랜지(123,4012,4014,4030,4032,80 과 134)가 서로 끼워진다. 만곡모서리부(4052)는 만곡기초부재(4052)는 만곡기초부재 (4000)에 인접해서 위치한다.
이어 제 1, 제 2, 제 3, 제 4 아답터 연결플랜지(5202,5204,5206,5208)이 각각 연결플랜지(5034,5036/5038,5046/5044,5042)위에 놓여진다. 그래서 만곡벽 패널(5000)이, 연결부분(5200과 5198)이 각각 연결플랜지(5204와 5206)가 끼워지는 것과 같이 기초위에 놓인다. 3피트의 길이를 가지는 제 1 및 제 2 인접벽 패널(5203과 5205)이 구조 모서리부를 완성하기 위해 또같이 해서 연결플랜지(5202,5204,5206,5208)상에 설치된다.
벽패널 연결부분(5198과 5200), 플랜지(5202,5204,5206,5208), 바닥패널 연결플랜지(5034,5036,5038,5042,5044,5046,5086) 및 대응하는 기초연결 플랜지(124,124,4012,4014,80,4032,4030,80과 134)가 가각 볼트를 사용해서 연결되고, 패널을 기초에 직각으로 고착된다. 이렇게 해서 패널과 기초 연결은 3차원 입체골조를 창설하고, 이 경우 각 패널의 개별골조부재가 입체골조에서 구조부재로서 작용한다. 기초와 패널부재로부터 돌출하는 코넥터는 각각 동적 힘을 흡수 또 분산시킬 수 있는 탄성변형 가능한 연결로써 작용한다.
최후로 벽, 바닥 또는 지붕패널은 사실상 임의의 기하학적 형상으로되고, 평탄면 또는 만곡면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가 기재되고 제시되었지만 그런 실시형태는 첨부한 청구항에서 해석된 바와 같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72)

  1. a) 다수의 골조부재와, b) 골조평면에 위치하는 골조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골조부재들을 연결하기 위한 골조부재 연결수단으로서, 상기 골조는 패널의 바깥가장 자리 형태를 이루는, 골조부재 연결수단과, c) 패널의 내측부분 쪽에 대략 상기 골조평면에 있어 안쪽에 상기 골조부재중 적어도 하나를 편향시키기 위한 평면 수단과, d) 상기 골조부재 사이와 상기 편향수단 주위에 골조 내측 부분에서 주입된 제 1 응고 주입 가능한 물질이고, 상기 응고주입 가능한 물질에서 과해진 하중이 상기 편향수단에 의해 상기골조부재로 전달된 제 1 응고주입 가능한 물질을 구비한 건축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편향수단이 상기 골조부재중 적어도 두 개 사이에 배설된 탄력적으로 확장가능한 인장링크를 포함하는 건축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편향수단이 상기 가소성 인장링크에 장력을 가하기 위한 인장수단을 포함하는 건축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인장수단이 턴 벅클을 포함하는 건출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편향수단이 적어도 두 개의 골조부재 사이에 배설된 제 1 인장 철사 그물망을 포함하는 건축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편향수단이 골조부재 사이에 배설된 탄력적으로 인장가능한 인장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가소성 인장링크가 제 1 평면에 있는 제 1 부분과 제 2 평면에 있는 제 2 부분을가지고, 제 2 평면은 상기 제 1 평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건축패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이 두 개의 대향하는 골조부재 에 일반적으로 수직이고, 이 경우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두 개의 대향 골조부재에 소정 각도를 이루는 건축패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수단이 적어도 두 개의 골조부재 사이에 배설된 제 1 인장 가소성 그물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그물망부재가 상기 제 1 및 제 2 평면으로부터 이격된 제 3 평면에 있는 건축패널.
  9. 제1항 에 있어서, 상기 골조부재의 적어도 두 개가 상기 골조 의 제 1 쌍의 대향측부를 형성하고, 이 경우 상기 골조부재의 적어도 두 개가 상기 골조의 한쌍의 인접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쌍의 대향 측부가 상기 인접측부의 쌍 사이에 배설된 건축패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부재 연결수단이 상기 인접측부의 쌍을 형성하는 상기 골조부재의 세로축에 평행한 방향에서 그 세로축에 관해 상기 대향측부의 쌍을 형성하는 건축패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측부의 쌍의 상기 골조부재가 부재의 세로축과 평행한 방향에서 돌출하는 각각의 핀을 가지고,이 경우 상기 대향측부의 쌍의 각 골조부재가 각각의 상기 핀을 수용하기 위한 각각의 핀용기를 가지는 건축패널.
  12. 제1항에 있어서, 주입가능한 물질이 상기 골조평면에 평행한 일반 평면부분과, 상기 평면부분에 수직으로 돌출하는 다수의 리브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리브는 실질적으로 상기 골조부재 사이에 배설되는 건축패널.
  13. 제2항에 있어서, 주입가능한 물질이 상기 골조평면에 평행 한 일반 평면부분과, 상기 평면부분에 수직으로 돌출하는 다수의 리브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리브는 실질적으로 상기 골조부재 사이에 배설되고, 상기 탄력적으로 확장가능한 인장링크가 상기 리브에 있어 배설되는 건축패널.
  14. 제8항에 있어서, 주입가능한 물질이 상기 골조부재에 평행 한 일반 평면부분과, 상기 평면부분에 수직으로 돌출하는 다 수의 리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리브는 실질적으로 상기 골조부재 사이에 배설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평면은 상기 리브에 교차하고, 상기 제 3 평은 상기 평면부분에 교차하고, 상기 탄력적으로 확장가능한 인장링크의 상기 제 1 및 제 2부분은 상기 리브내에 배설되고, 상기 인장 그물망는 상기 평면부분내에 배설되는 건축패널.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분에 있어 절연재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재는 주입가능한 물질이 주입될 때 상기 리브를 형성하기 위한 요부를 가지는 건축패널.
  16. 제13항에 있어서, 패널이 상기 내측부분에서 절연재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재는 상기 주입가능한 물질이 주입될 때 상기 리브를 형성하기 위한 요부를 가지는 건축패널.
  17. 제14항에 있어서, 패널이 상기 내측부분에서 절연재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재는 주입가능한 물질이 주입될 때 상기 리브를 형성하기 위한 요부를 가지는 건축패널.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부재가 훅을 가지고, 이 경우 확장가능한 인장링크가 상기 훅의 주위에 바퀴모양으로 되는 건축패널.
  19. 제1항에 있어서, 인접건축패널의 함께 움직이는 연결수단은 상기 패널에 과해진 힘하에서 탄성변형하도록 동작하는 건축패널.
  20. 제19항에 있어서, 협동연결수단이 상기 패널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분을 포함하는 건축패널.
  21. 제20항에 있어서, 돌출부분이 골조의 테두리 부분에 평행 한 방향이고, 상기 패널의 골조부분과 일체인 건축패널.
  22. 제20항에 있어서, 골조부분이 중공부분을 세로로 배설하고, 이 경우 돌출부분이 유틸리티 공급도관을 상기 중공부분에 있어 경유시키기 위한 개구를 가지는 건축패널.
  23. 제8항에 있어서, 돌출부분이 단부분과 패널을 인접패널에 고착하기 위해 단부분에 고착된 판을 가지고, 판은 유틸리티 공급도관의 통과를 위한 개구를 가지는 건축패널.
  24. 제8항에 있어서, 골조부분 사이에 배설된 제 2 의 탄력적으로 확장가능한 철사그물망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철사 그물망이 상기 제 1 그물망으로부터 이격되는 건축패널.
  25. 제24항에 있어서, 그물망재의 상기 제 2 층의 주위에 주입된 제 2 응고 주입가능한 물질을 포함하는 건축패널.
  26. 제26항에 있어서, 편향수단이 상기 골조부재중 적어도 두 개 사이에 배설된 제 2 의 탄력적으로 확장가능한 인장링크를 포함하는 건축패널.
  27. 제26항에 있어서, 편향수단이 상기 제 2 인장링크에 장력을 가하기 위한 제 2 인장수단을 포함하는 건축패널.
  28. 제27항에 있어서, 제 2 인장수단이 제 2 턴벅클을 포함하는 건축패널.
  29. 제8항에 있어서, 편향수단이 골조부재 사이에 배설된 제 2의 탄력적으로 확장가능한 인장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인장링크는 제 4평면에 있는 제 3 부분과 제 5 평면에 있는 제 4 부분을 가지고, 제 5 평면은 상기 제 4 평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제 4 평면은 제 1 및 제 2 평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건축패널.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부분이 두 개의 대향골조부재에 일반적으로 수직이고, 이 경우 상기 제 5 부분이 상기 두 개의 대향골조부재에 소정각도를 이루는 건축패널.
  31. 제1항에 있어서, 골조부재중 적어도 하나가 만곡되고, 건축패널이 일반적으로 평탄면에 있는 건축패널.
  3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평행한 골조부재가 만곡면에 있는 만곡패널을 형성하기 위해 똑같이 만곡되는건축패널.
  33. a) 골조평면에 있는 골조를 형성하기 위해 골조부재를 연결하는 단계와, b) 골조부재에 의해 경계지어진 내측부분 쪽에 대략 상기 골조평면에 있어 안쪽에 상기 골조부재중 적어도 몇 개를 편향시키는 단계와, c) 제 1 경화성 물질에 과해진 하중이 경화했을 시 상기 골조부재로 전달되도록 상기 골조부재 사이에 골조의 상기 내측부분에서 제 1 경화성 물질을 주입하는 단계를 갖춘 건축 패널을 작성하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주입 단계 전에 골조상에 제 1 철사그물 코를 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부설하는 단계가 패널골조의 대향측부에서 부재에 제 1 그물망재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부설하는 단계가 골조부재에 그물망 연 결훅을 고착하는 단계에 의해 선행되는 방법.
  37. 제34항에 있어서, 부설하는 단계가 패널의 대향측부에서 골조부재 사이의 그물망재의 제 1 층에 장력을 가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방법.
  38.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분에서 절연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요부를 갖춘 절연재를 예비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요부는 상기 절연재의 제 1 평면측에 있는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절연재를 예비형성하는 단계가 상기 패널의 측면에 있어 수직, 수평, 대각요부를 예비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요부는 골조부재 사이에 배설되는 방법.
  41. 제33항에 있어서 편향의 단계가 패널의 대향측부에서 두 개의 골조부재 사이의 제 1 의 탄력적으로 확장가능한 인장링크를 연결하고, 주입전에 제 1 링크에 장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주입 단계가 상기 제 1 인장링크 주위에 제 1 경화성 물질을 주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편향의 단계가 골조의 대향측부에서 골조부재사이에 제 2 의 탄력적으로 확장가능한 인장링크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하하는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주입 단계전에 골조의 모서리부에서 테두리 지지부재를 골조콘크리트 틀에 고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5. 제34항에 있어서, 골조위에 그물망재의 제 2 층을 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패널의 대향측부에서 골조부재에 그물망재의 제 2 층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연결단계가 그물토 체결훅을 골조부분에 고착하는 단계에 의해 선행되는 방법.
  48. 제45항에 있어서, 부설단계가 그물망제의 제 2 층에 장력으로 가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방법.
  49. 제45항에 있어서, 그물망제의 상기 제 2 층의 주위에 제 2 경화성 물질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0. a) 지면에 재치하기 위한 토대부분과 건축구조를 지지하기위한 지지부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된 응고주입가능한 재료와, b) 상기 토대부분과 유틸리티 공급설비를 지지하기 위한 상기 지지부재중 적어도 한쪽에 길이 방향으로 배설된 중공도관과, c) 상기 중공도관과 상기 유틸리티 공급설비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상기 지지부분에서의 개구부와, d) 상기 부재를 인접유사부재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이고, 연결수단은 지진력이 상기 부재에 과해졌을 시 탄성변형하도록 작동하는 연결수단을 갖춘 건축구조 기초부재.
  51. 제50항에 있어서, 부재가 각각 인접부재의 유사 걸림면과 끼우기 위한 걸림면을 가지는 건축구조 기초부재.
  52. 제51항에 있어서, 중공도관이 각각 상기 걸림면에 있어 접근가능한 제 1 및 제 2 단부 개구를 가지는 단길이의 구조관을 포함하는 건축구조 기초부재.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이 상기 구조관에 경직으로 연결 되고, 인접부재에서 함께 동작하는 플랜지와 걸리기 위해 상기 응고 주입가능한 부재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변형 가능한 플랜지를 포함하는 건축구조 기초부재.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가 상기 인접부재에서의 상기 플랜지에 볼트부착외는 건축구조 기초부재.
  55.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가 상기 중공도관에 대해 일반적으로 직각으로 고착되고, 또 연통하고 있는 직립길이의 구조관에 형성되고, 상기 부재의 상기 지지부분으로부터 돌출하고, 설립된 건축부재에 고착되도록 동작하는 건축구조 기초부재.
  56.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토대부분이 기초부재에 절연특성을 설치하기 위해 절연재를 함유하는 중공도관을 포함하는 건축구조 기초부재.
  57. a) ① 유틸리티 공급설비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토대부분과 상기 지지부분중 적어도 한쪽에 길이방향으로 배설된 중공도관과, ② 상기 중공도관과 상기 유틸리티 공급설비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상기 지지부분에서의 개구와, ③ 인접하는 유사재부재에 상기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이고, 힘이 상기 부재에 과해졌을 때 탄성변형하도록 동작하는 연결수단을 각각 구비한 다수의 기초부재와, b) 인접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각 부재에서 각각의 연결수단과 함께 동작하기 위한 다수의 코넥터를 포함하는 건축구조용기초.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재의 각각에서의 중공도관이 상호연통하고 있는 건축구조용 기초.
  59. 제57항에 있어서, 기초부재의 각각에서의 연결부재가 각각의 부재에서 각각의 중공도관에 경직으로 연결되고, 이 경우 기초부재의 연결이 입체골조를 형성하고, 기초부재의 각각의 중공도관이 입체골조부재로서 작용하는 건축구조용기초.
  60. 제59항에 있어서, 입체골조가 평탄면에 있는 건축구조용 기초.
  61. 그물코재의 주위에 주입된 주입가능한 재료에 의해 최종적으로 형성된 표면에 건축학적 마무리 요소를 고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그돌기가 상기 접착용 표면으로부터 떨거지게 상기 건축학적 마무리 요소의 접착용 표면으로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고착하는 단계와, b) 상기 주입가능한 재료가 응고하기 전에 상기 접착용표면이 상기주입 가능한 재료로의 표면에 놓이기 까지 상기 주입가능한 재료로의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삽입하는단계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걸리는 상기 그물망재와 함께 동작하는 단계와, c) 상기 주입가능한 재료를 적어도 하나의 돌기 주위에 응고시키고, 이것에 의해 상기 주입가능한 재료에 있어 상기 돌기를 견고하게 고착하고, 상기 건축학적 마무리 요소를 고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2. 제61항에 있어서, 삽입단계가 고착단계에 의해 선행되는 건축학적 마무리 요소를 고착하는 방법.
  63.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고착단계가 삽입 단계중 그물망에 걸려 지지되는 부분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형성하는 단계에 의해 선행되는 건축학적 마무리를 고착하는 방법.
  64. a) 다수의 건축패널이고, 각 패널은 ① 다수의 골조부재와, ② 골조평면에 있는 골조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골조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골조부재 연결수단이고, 골조가 패널의 주위를 규정하고, 주위가 패널의 내측부분을 경계짓은 골조부재 연결수단과, ③ 패널 상기 내측부분쪽, 상기 골조평면에 있어 안쪽에 상기 골조부재중 적어도 하나를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수단과, ④ 상기 골조부재 사이에 골조의 내측부분에 있어 주입 된 제 1 응고주입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는 다수의 건축패널과, b) 상기 건축패널을 연결하기 위한 패널 연결수단이고, 상기 패널에 과해진 힘 하에서 탄성변형하도록 동작하는 패널 연결수단과, c) 인접패널을 고착하기 위해 각 패널에서 각각의 연결수단과 함께 동작하기 위한 다수의 코넥터를 구비 한 3 차원적구조.
  65. 제64항에 있어서, 각 패널에서의 협동 수단이 각 패널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분을 포함하고, 돌출부분이 패널골조의 테두리 부분에 평행인 방향에있고, 패널중 적어 도하나의 골조부재와 일체인 3 차원건축구조.
  66. 제64항에 있어서, 인접의 패널의 골조가 상기 3 차원적 구조의 형상을 규정하는 강성 입체골조를 형성하는 3 차원적 건축구조.
  67. a) 이격된 수직평면에 있도록 정렬된 다수의 이격된 수직부재와, b) 상기 수직부재에 교차하는 다수의 이격된 수평면을 규정하기 위해 상기 수직부재에 연결되고, 또 수직부재 사이에 배설된 다수의 수평부재와, c) 상기 이격된 수평면 사이에 배설된 다수의 건축패널이고, 각패널은, ① 다수의 골조부재와, ② 골조평면에 있는 골조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골조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골조부재 연결수단이고, 골조가 패널의 주위를 규정하고, 주위가 패널의 내측부분을 경계짓는 골조부재 연결수단과, ③ 패널의 상기 내측부분쪽에 상기 골조평면에 있어 내측에 상기 골조부재중 적어도 하나를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수단과, ④ 상기 골조부재 사이와 상기 편향수단 주위에 골조의 상기 내측부분에 있어 주입된 제 1 응고 주입가능한 물질이고, 상기 응고 주입가능한 물질에 과해진 하중이 상기 편향수단에 의해 상기골조 부재에 전달되는 제 1응고 주입가능한 물질과, ⑤ 인접패널에 상기 각 패널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이고, 힘 하에서 탄성변형하도록 동작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다수의 건축패널을 구비하고, 패널은, 상기 이격된 수평면과 상기 이격된 수직 면 사이에 유니트의 배열을 규정하는 입체골조를 형성 하기 위해 연결되고 수직 및 수평부재에 인접하는 고층 건축물.
  68. 제67항에 있어서, 인접패널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과 입체골조를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이 수직기둥 수평부재에 인접한 패널로부터 돌출하는 각각의 돌출부분을 포함하는 고층건축물.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분이 패널의 골조부재의 테두리 부분에 평행한 방향이고, 이 경우 돌출부분이 상기 패널의 각각의 골조부재와 일체인 고층건축물.
  70. 3차원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건축패널이고, 패널은, ① 다수의 골조부재와, ② 골조평면에 있는 골조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골조부재 연결수단이고, 골조가 패널의주위를 규정하고, 주위가 패널의 내측부위를 경계짓는 골조부재 연결수단과, ③ 패널의 상기 내측부분 상기 골조평면에 있어 내측에 상기 골조부재중 적어도 하나를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수단과, ④ 상기 골조부재 사이와 상기 편향수단 주위에 골조의상기 내측부분에서 주입된 제 1 응고 주입가능한 물질이고, 상기 응고 주입가능한 물질에 과해진 하중이 상기 편향수단에 의해 상기 골조부재에 전달되는 제 1 응고 주입가능한 물질과, ⑤ 상기 패널의 각각을 인접하는 상기 패널의 협동연결 수단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이고, 상기 패널에 과해진 힘하에서 탄성변형하도록 동작하는 연결수단과, ⑥ 충분한 수의 패널 및 코넥터를 지지할 수 있는 수송 용기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패널중 적어도 몇 개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패널연결수단과 협동하고, 상기 수송용기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상기 충분한 수의 패널로 주택을 형성하는 다수의 코넥터를 포함하는 다수의 연결패널.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연결수단과 협동하는 다수의 코넥터가 상기 수송용기를 인상하기 위한 조종크레인과 협동하기 위한 협동수단을 포함하는 3 차원구조.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협동수단이 상기 조종크레인 의해 걸리도록 동작하는 크레인아답터를 포함하는 3 차원 구조.
KR1019960703253A 1993-12-20 1994-01-07 내진, 내풍, 내화성을 가지는 조립식 건축 패널 및 그로부터 형성된 구조물 KR1002266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989193A 1993-12-20 1993-12-20
US08/169,891 1993-12-20
US8/169891 1993-12-20
PCT/CA1994/000010 WO1995017560A1 (en) 1993-12-20 1994-01-07 Earthquake, wind resistant and fire resistant pre-fabricated building panels and structures formed therefro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6599A KR960706599A (ko) 1996-12-09
KR100226650B1 true KR100226650B1 (ko) 1999-10-15

Family

ID=22617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3253A KR100226650B1 (ko) 1993-12-20 1994-01-07 내진, 내풍, 내화성을 가지는 조립식 건축 패널 및 그로부터 형성된 구조물

Country Status (57)

Country Link
US (3) US5584151A (ko)
EP (3) EP1028207B1 (ko)
JP (5) JP3435513B2 (ko)
KR (1) KR100226650B1 (ko)
CN (3) CN1081710C (ko)
AP (3) AP688A (ko)
AT (3) ATE202609T1 (ko)
AU (2) AU675820B2 (ko)
BG (1) BG61621B1 (ko)
BR (1) BR9408386A (ko)
CA (3) CA2176481C (ko)
CO (1) CO4440463A1 (ko)
CU (1) CU22540A3 (ko)
CZ (3) CZ288791B6 (ko)
DE (4) DE69427592T2 (ko)
DK (3) DK1028198T3 (ko)
DZ (1) DZ1838A1 (ko)
EE (4) EE9900136A (ko)
EG (1) EG20876A (ko)
ES (3) ES2096538T3 (ko)
FI (1) FI962561A0 (ko)
GE (1) GEP20012521B (ko)
GR (2) GR970300002T1 (ko)
HK (3) HK1004491A1 (ko)
HR (2) HRP941009B1 (ko)
HU (1) HU220484B1 (ko)
ID (2) ID21663A (ko)
IL (3) IL140131A (ko)
IS (2) IS2111B (ko)
JO (1) JO1823B1 (ko)
LT (1) LT4155B (ko)
LV (1) LV11698B (ko)
MA (1) MA23402A1 (ko)
MX (1) MX9500214A (ko)
MY (1) MY125583A (ko)
NO (2) NO316392B1 (ko)
NZ (2) NZ259493A (ko)
OA (1) OA10300A (ko)
PE (1) PE40495A1 (ko)
PL (4) PL178853B1 (ko)
PT (3) PT736124E (ko)
RO (2) RO117197B1 (ko)
RU (1) RU2121044C1 (ko)
SA (1) SA94150397B1 (ko)
SG (1) SG52164A1 (ko)
SI (1) SI9420070B (ko)
SK (3) SK282169B6 (ko)
SV (1) SV1994000079A (ko)
TJ (1) TJ260B (ko)
TN (1) TNSN94135A1 (ko)
TR (1) TR28829A (ko)
TW (1) TW266248B (ko)
UA (1) UA28017C2 (ko)
UY (1) UY23877A1 (ko)
WO (1) WO1995017560A1 (ko)
YU (1) YU48959B (ko)
ZA (1) ZA94100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259493A (en) 1993-12-20 1997-10-24 R A R Consultants Ltd A building panel has members connected together to form a stressed frame, with a castable substance in the interior of the panel
US5706626A (en) 1995-12-14 1998-01-13 Mueller; Lee W. Pre-assembled internal shear panel
FR2743588B1 (fr) * 1996-01-17 1998-03-06 Mi Systeme de gros oeuvre pour la construction de batiments notamment des maisons individuelles
US5809732A (en) * 1997-08-08 1998-09-22 Ccc Group, Inc. M/bed block system
US8397454B2 (en) * 1997-11-21 2013-03-19 Simpson Strong-Tie Company, Inc. Building wall for resisting lateral forces
US6050038A (en) * 1998-09-11 2000-04-18 Fey; James M. Foundation system for supporting a superstructure
US6443666B1 (en) * 1998-09-16 2002-09-03 William H. Smith Reinforced concrete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216410B1 (en) 1999-01-11 2001-04-17 Kurt Evan Haberman Interlocking panel system
US6415557B1 (en) 1999-01-26 2002-07-09 Mccalley Richard M. Protective shelter
US6060006A (en) * 1999-02-11 2000-05-09 Savenok; Peter Method of manufacture of synthetic stone article
EP1226317B1 (en) * 1999-05-10 2005-11-23 James H Crowell Modular building system and use
EP1377717A1 (en) 2001-04-03 2004-01-07 James Hardie Research Pty Limited Fiber cement siding planks, methods of making and installing
US8082703B2 (en) * 2002-02-11 2011-12-27 Ei-Land Corporation Force-resisting devices and methods for structures
US7043879B2 (en) 2002-02-11 2006-05-16 Ei-Land Corporation Force-resisting devices and methods for structures
GB2387184A (en) * 2002-04-04 2003-10-08 Roxbury Ltd Foundation with service recesses for lightweight buildings
US8281535B2 (en) 2002-07-16 2012-10-09 James Hardie Technology Limited Packaging prefinished fiber cement articles
US8297018B2 (en) 2002-07-16 2012-10-30 James Hardie Technology Limited Packaging prefinished fiber cement products
US6843027B2 (en) 2003-01-14 2005-01-18 William R. Gaddie Cable system and method for wind-resistant buildings
US20040226231A1 (en) * 2003-02-27 2004-11-18 Dlubak Francis C. Blast resistant assemblies
US7073298B1 (en) 2003-12-08 2006-07-11 Toan Phan Solid shear panel for supporting a light-framed structure
US20050284073A1 (en) * 2003-12-12 2005-12-29 Leek William F Corrugated shearwall
US20050126105A1 (en) * 2003-12-12 2005-06-16 Leek William F. Corrugated shearwall
CA2555478A1 (en) * 2004-02-12 2005-08-25 Drehtainer Gmbh Spezial Container-Und Fahrzeugbau Building
US20080163582A1 (en) * 2004-02-27 2008-07-10 James Hardie International Finance B.V. Batten Mounting Water Management System
US20050257490A1 (en) * 2004-05-18 2005-11-24 Pryor Steven E Buckling restrained braced frame
US8001734B2 (en) * 2004-05-18 2011-08-23 Simpson Strong-Tie Co., Inc. Moment frame links wall
US7998571B2 (en) 2004-07-09 2011-08-16 James Hardie Technology Limited Composite cement article incorporating a powder coating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20060150538A1 (en) * 2004-12-27 2006-07-13 Thomas Gareth R Load-limiting device
FR2892736B1 (fr) * 2005-10-27 2010-03-12 Christian Ferriere Nouveau type de batiment et moyens pour sa realisation.
NZ571874A (en) 2006-04-12 2010-11-26 Hardie James Technology Ltd A surface sealed reinforced building element
US7712265B2 (en) * 2006-05-22 2010-05-11 Overmyer Jr Douglas Special cement-like coated mobile building and process to manufacture
US20080072505A1 (en) * 2006-09-25 2008-03-27 Chin-Lu Kuan Building seismic structure
US20110083379A1 (en) * 2007-08-14 2011-04-14 Peer Moshe Lavi Prefabricated sealed room assembly
DE102007057890A1 (de) 2007-11-29 2009-06-04 Hermann Preiss Bausystem für Hochbauten
CN101260781B (zh) * 2008-03-28 2011-01-12 深圳市红门科技股份有限公司 平移门的门体结构
US20100058675A1 (en) * 2008-09-10 2010-03-11 Conxtech, Inc. Building-insert module and associated methodology
EP2177349A1 (de) * 2008-10-15 2010-04-21 Sika Technology AG Wasserdichte Membran
WO2010096181A2 (en) * 2009-02-20 2010-08-26 Brian Spires Cladding having an architectural surface appearance
US8627623B2 (en) * 2009-02-25 2014-01-14 Michael Leonard Modular foundation system and method
ITMC20090103A1 (it) * 2009-05-08 2010-11-09 Fernando Quarchioni Tamponamento strutture intelaiate del tipo antisismico.
IT1395506B1 (it) * 2009-07-24 2012-09-28 B B Bonelli Building S R L Elemento di parete prefabbricato
CN101654925B (zh) * 2009-09-15 2011-03-16 清华大学建筑设计研究院 一种空间固模桁架混凝土建筑及其建造方法
US20110300318A1 (en) * 2010-06-02 2011-12-08 Scott Jewett Insulated panel system and structure
US8359793B2 (en) 2010-08-26 2013-01-29 Danny Chagai Zeevi Earthquake force absorption system
US8646225B2 (en) 2010-09-30 2014-02-11 Jerry Wirtz In-ground shelter
EP2472028B1 (en) * 2010-12-29 2017-12-13 VKR Holding A/S A method of installing a window arrangement comprising a number of neighbouring windows, and such a window arrangement
WO2012103133A1 (en) * 2011-01-26 2012-08-02 Paul Warner Dual-side unfoldable building modules
US20120222367A1 (en) * 2011-03-03 2012-09-06 Tornado Tech, LLC Above-Ground Shelter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US8739477B2 (en) * 2011-11-14 2014-06-03 Corefirst, Llc Modular safety system
CA2853511C (en) * 2011-12-14 2016-02-02 Marion Investments Ltd.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modular construction
RU2505649C2 (ru) * 2011-12-20 2014-01-27 Владимир Павлович Парамеев Способ выполнения внутренней отделки помещений и блоки для его выполнения
RU2485266C1 (ru) * 2012-01-23 2013-06-20 Сергей Исаакович Рубинштейн Конструкция поселения
US20150101263A1 (en) * 2012-05-14 2015-04-16 Nev-X Systems Limited Building foundation
CN104350207A (zh) * 2012-06-05 2015-02-11 查尔斯·考尔德·布雷 抗地面运动的模块化地基
CN102926575B (zh) * 2012-11-15 2015-09-09 北京筑福国际工程技术有限责任公司 混凝土结构或砌体结构住宅抗震屋
US9091112B2 (en) * 2013-03-04 2015-07-28 Scott R. Millman Security panels for covering window and door openings in building structures
CN103924659A (zh) * 2014-04-11 2014-07-16 北京工业大学 工业化装配式多、高层钢结构槽钢自复位预应力防屈曲人字形支撑体系
NZ624344A (en) 2014-04-30 2014-05-30 Ellsworth Stenswick Larry A seismic isolation system
US11207849B2 (en) * 2014-07-28 2021-12-28 Beyon 3D Ltd Computer controlled system for constructing an architectural component from an architectural materia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rchitectural component with the computer controlled system
US9194125B1 (en) * 2014-09-12 2015-11-24 Sergei V. Romanenko Construction component having embedded internal support structures to provide enhanced structural reinforcement and improved ease of construction therewith
US9523201B2 (en) * 2014-09-12 2016-12-20 Sergei V. Romanenko Construction components having embedded internal support structures to provide enhanced structural reinforcement for, and improved ease in construction of, walls comprising same
US9828767B2 (en) * 2014-10-27 2017-11-28 American Panel Tec Corp. Prefabricated lightweight steel wall tensioning system
CN106149880B (zh) * 2015-03-20 2020-10-09 万平华 采用新结构体系的组装房
CN104947794B (zh) * 2015-07-07 2018-09-04 林娟 一种可装、拆、迁、再装的铝合金与钢结构房子
GB2557250A (en) * 2016-12-02 2018-06-20 Proventia Emission Control Oy Mobile container system comprising standard-sized container
RU2651855C1 (ru) * 2017-03-03 2018-04-2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Юго-Западны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ЮЗГУ) Декоративная навесная панель с утеплителем
PL237155B1 (pl) * 2017-11-15 2021-03-22 Univ West Pomeranian Szczecin Tech Sposób wykonania nadproża metodą przyrostową
RU2678293C1 (ru) * 2018-02-19 2019-01-24 Ооо Фирма "Вефт" Монолитная звукоизоляционная стеновая конструкция
MX2020009264A (es) * 2018-03-05 2021-02-15 Fluxus Llc Sistema de construcción prefabricado.
CN110404483B (zh) * 2018-04-28 2021-11-30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一种石化裂解炉及其设计方法
US11274464B2 (en) * 2018-09-13 2022-03-15 Baker Engineering & Risk Consultants, Inc. Fragment-, overpressure-, radiation-, and toxic-resistant emergency safety shelter
CN109881919B (zh) * 2018-11-08 2021-05-14 傲浒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房建工程的临时住房
CN111335674B (zh) * 2018-11-08 2021-06-08 傲浒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房建工程上使用的防风抗震的临时住房
EP3884121A1 (en) * 2018-11-21 2021-09-29 Autotelic Holding LLC Core for building
CN109736427A (zh) * 2019-01-24 2019-05-10 浙江立恒建设有限公司 一种抗震房建结构
CN110593608B (zh) * 2019-08-29 2021-04-06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基于变化溶解度的集装箱活动房顶棚降温装置
US11332943B2 (en) 2019-10-08 2022-05-17 D.A. Distribution Inc. Wall covering with adjustable spacing
CN111485671B (zh) * 2020-04-16 2021-09-24 张峻华 一种避震安全仓用盖板中间十字横梁及其安装方法
WO2023018804A1 (en) 2021-08-12 2023-02-16 Plank Structural Systems LLC Foam filled structural plank building foundation with laminated reinforcement

Family Cites Families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22461A (en) * 1947-06-17 Method for manufacturing faced
US1378928A (en) * 1920-06-22 1921-05-24 Joseph R Witzel Building construction
US1721198A (en) * 1927-11-30 1929-07-16 Joseph Cahen Folding camp house
GB327584A (en) * 1929-04-16 1930-04-10 Owen Leonard Mcdermott Improvements in the manufacture of faced articles of cement, such as slabs, panels, cornices, mouldings and the like
US1891934A (en) * 1929-05-29 1932-12-27 St Louis Duntile Company Building foundation
US2049427A (en) * 1929-12-26 1936-08-04 Porcelain Tile Corp Tile mounting
US2022363A (en) * 1931-03-14 1935-11-26 Anthony J Vertuno Wall facing and wall-facing anchoring means
FR803888A (fr) * 1936-03-31 1936-10-10 Nouvel agencement des carreaux en faïence ou autres matières pour revêtements muraux et autres usages
US2147035A (en) * 1938-04-27 1939-02-14 William P Witherow Drainage system for basement walls
US2298184A (en) * 1941-05-31 1942-10-06 Rosenberg Herbert J Von Building and floor foundation
US2431615A (en) * 1942-10-10 1947-11-25 Clarence W Kraus Method of manufacturing building elements
US2507224A (en) * 1947-03-20 1950-05-09 James M Scanlon Snap fastener
US2562477A (en) * 1948-07-16 1951-07-31 Stark Ceramics Inc Bonding and glazing of concrete articles
FR983747A (fr) * 1949-03-28 1951-06-27 Carreaux de revêtement en matières plastiques, avec système permettant l'adhérence aux murs
US2762116A (en) * 1951-08-03 1956-09-11 Us Gasket Company Method of making metal-surfaced bodies
US2816323A (en) * 1953-04-22 1957-12-17 Charles G Munger Method of making plastic lined concrete pipe and joints therein
US3064392A (en) * 1953-09-22 1962-11-20 A & T Development Corp Concrete roof and wall structure
US2882712A (en) * 1955-06-16 1959-04-21 John A Carlson Preformed and bonded masonry wall structure
US2902721A (en) * 1955-08-08 1959-09-08 Gen Refractories Co Process of molding refractory brick
US3066449A (en) * 1958-12-02 1962-12-04 Nordberg Manufacturing Co Engine foundation and mounting assembly
US3142938A (en) * 1963-10-11 1964-08-04 Elwood L Eberhardt Wall structure
US3391507A (en) * 1963-12-03 1968-07-09 Doris D. Downing Building block for wall construction
FR1475808A (fr) * 1966-02-17 1967-04-07 Chausson Usines Sa Panneau préfabriqué de construction
NL6613900A (ko) * 1966-10-03 1968-04-04
US3494092A (en) * 1967-07-05 1970-02-10 Delp W Johnson Integrated folding slab construction
US3396453A (en) * 1967-09-08 1968-08-13 Int Minerals & Chem Corp Method of making a refractory brick
US3683579A (en) * 1970-08-27 1972-08-15 Jack M Beardsley Artificial stone facing construction and method therefor
US3724157A (en) * 1971-04-16 1973-04-03 O Miram Method of multi-level building construction
US3760540A (en) * 1971-09-08 1973-09-25 P Latoria Pre-cast concrete building panels
US3854256A (en) * 1972-05-19 1974-12-17 B Wilce Fabrication of furnace linings with support frame
NL7215562A (ko) * 1972-11-17 1974-05-21
US3950902A (en) * 1973-09-20 1976-04-20 Stout Robert K Concrete structure including modular concrete beams
US3874139A (en) * 1973-11-30 1975-04-01 Edmund A Landwoski Basement wall construction
DE2414440C3 (de) * 1974-03-26 1980-06-04 Heinrich Dipl.-Ing. 3300 Braunschweig Harden Tafelförmiges Stahlbeton-Bauelement für die Großtafelbauweise
IT1042089B (it) * 1974-09-11 1980-01-30 Marchot J Elemento di costruzione per pare ti divisorie portanti o muri portanti di edificio
US4058941A (en) * 1976-06-08 1977-11-22 Dominion Foundries And Steel, Limited Building construction
GB1559636A (en) * 1976-07-05 1980-01-23 Baupres Ag Building block
US4117639A (en) * 1977-06-29 1978-10-03 Butler Manufacturing Company Reinforced insulated concrete building panel
US4128982A (en) * 1977-12-09 1978-12-12 Weaver Daniel E Means and method of tiled surface construction
US4422997A (en) * 1978-12-14 1983-12-27 Alfred Machnik Method for making an insulated panel
US4394201A (en) * 1980-10-31 1983-07-19 Ernst Haeussler Concrete slab assembly, especially for building facades
GB2103259B (en) * 1981-08-07 1985-09-11 Platten Higgins Ian Holman Earthquake resistant foundation
DE3400404C2 (de) * 1984-01-07 1998-04-09 Stroer Gerhard Bauelement zur Herstellung von Gebäudeaußenwänden
US4578915A (en) * 1984-03-12 1986-04-01 National Gypsum Company Exterior wall
NZ212802A (en) * 1984-07-19 1989-03-29 William Graham Hitchins Framed and braced foam filled clad panel: side and transverse frame members merely butted together
ATE72858T1 (de) * 1984-11-08 1992-03-15 Sismo Int Vorgefertigte baueinheiten und gebrauch im hochbau.
US4625484A (en) * 1985-07-05 1986-12-02 High Tech Homes, Inc. Structural systems and components
DE3612132A1 (de) * 1986-04-10 1987-10-15 Bsg Brand Sanierung Gmbh Schott
JP2581909B2 (ja) * 1986-06-14 1997-02-19 積水ハウス 株式会社 軟弱地盤における基礎工法
US4774791A (en) * 1987-02-11 1988-10-04 Artex Precast Limited Stone slab mounting
US4768322A (en) * 1987-02-11 1988-09-06 Artex Precast Limited Stone slab mounting
NZ220693A (en) * 1987-06-15 1990-11-27 Cellate Ind Australia Pty Ltd Load bearing structural member of cementitious laminate with tensioned reinforcing
JPH01203550A (ja) * 1988-02-05 1989-08-16 Sumitomo Metal Ind Ltd 複合床パネル
US4841702A (en) * 1988-02-22 1989-06-27 Huettemann Erik W Insulated concrete building panel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048243A (en) * 1988-03-11 1991-09-17 Ward John D Earthquake restraint mechanism
US4920716A (en) * 1988-06-09 1990-05-01 Coffey Jess R Veneer construction and method of achieving same
CN1013603B (zh) * 1988-10-20 1991-08-21 日新制钢株式会社 建筑装饰镶板
US5065558A (en) * 1989-01-23 1991-11-19 Gibraltar World International, Ltd. Prefabricated modular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US4899513A (en) * 1989-01-25 1990-02-13 Morris Phillip L Anchor for simulated marble panels
IT1228022B (it) * 1989-01-30 1991-05-27 Zambelli Sergio Zambelli Benit Pannello prefabbricato in calcestruzzo con strato termicamente isolante o di alleggerimento.
US5119606A (en) * 1989-06-22 1992-06-09 Graham Tom S Insulated concrete wall panel
US5029423A (en) * 1989-10-24 1991-07-09 Kornylak Corporation Vibration resistant building construction
DE4005999A1 (de) * 1990-02-26 1991-08-29 Fischer Artur Werke Gmbh In bohrloecher mit hinterschneidung verankerbares befestigungselement
US5224799A (en) * 1990-10-03 1993-07-06 Parker Alton F Permanently installed building foundation form
US5168682A (en) * 1990-10-05 1992-12-08 Palle Rye Plastic liners for concrete structural elements and the elements and structures produced thereby
US5279088A (en) * 1992-01-17 1994-01-18 Heydon Building Systems International, Limited Wall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5279988A (en) * 1992-03-31 1994-01-18 Irfan Saadat Process for making microcomponents integrated circuits
JP2977367B2 (ja) * 1992-04-30 1999-11-15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ユニット式建物用の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基礎
US5367845A (en) * 1993-02-09 1994-11-29 Hartling; Robert H. System for building a structure
NZ259493A (en) 1993-12-20 1997-10-24 R A R Consultants Ltd A building panel has members connected together to form a stressed frame, with a castable substance in the interior of the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241049A (ja) 2001-09-04
EE04857B1 (et) 2007-06-15
US5584151A (en) 1996-12-17
SK79196A3 (en) 1997-07-09
LV11698B (en) 1997-06-20
TR28829A (tr) 1997-08-04
PL178128B1 (pl) 2000-03-31
YU48959B (sh) 2003-01-31
UY23877A1 (es) 1995-01-17
DK0736124T3 (da) 2001-10-29
PL178853B1 (pl) 2000-06-30
PL314460A1 (en) 1996-09-16
CZ179696A3 (en) 1997-02-12
GR3036601T3 (en) 2001-12-31
GR970300002T1 (en) 1997-02-28
RO117197B1 (ro) 2001-11-30
EP1028207A1 (en) 2000-08-16
SV1994000079A (es) 1995-07-21
EP1028198B1 (en) 2006-04-05
MY125583A (en) 2006-08-30
CA2257660A1 (en) 1995-06-29
AP9600828A0 (en) 1996-07-31
SK283856B6 (sk) 2004-03-02
IS7787A (is) 2005-04-06
FI962561A (fi) 1996-06-19
EP1028207B1 (en) 2004-04-21
CU22540A3 (es) 1999-03-31
LV11698A (lv) 1997-02-20
PT736124E (pt) 2001-12-28
EE9900138A (et) 2000-02-15
JP2004044385A (ja) 2004-02-12
KR960706599A (ko) 1996-12-09
LT96080A (en) 1997-01-27
HK1030644A1 (en) 2003-04-23
JP2001227058A (ja) 2001-08-24
CN1232707C (zh) 2005-12-21
CN1439779A (zh) 2003-09-03
CA2257661C (en) 1999-11-30
CZ290196B6 (cs) 2002-06-12
HK1030645A1 (en) 2003-04-23
HRP20030689B1 (en) 2006-04-30
BG61621B1 (bg) 1998-01-30
BR9408386A (pt) 1997-09-16
CA2176481A1 (en) 1995-06-29
HRP941009B1 (en) 2004-04-30
DE69433730D1 (de) 2004-05-27
PT1028207E (pt) 2004-09-30
JO1823B1 (en) 1995-07-05
US5785904A (en) 1998-07-28
NO962607L (no) 1996-06-19
HRP20030689A2 (en) 2004-08-31
DE69434694D1 (de) 2006-05-18
EP0736124B1 (en) 2001-06-27
HUT76578A (en) 1997-09-29
SK283514B6 (sk) 2003-08-05
CO4440463A1 (es) 1997-05-07
TW266248B (ko) 1995-12-21
ATE264967T1 (de) 2004-05-15
DE736124T1 (de) 1997-06-05
RU2121044C1 (ru) 1998-10-27
AP688A (en) 1998-10-16
SI9420070B (sl) 2004-06-30
UA28017C2 (uk) 2000-10-16
HK1004491A1 (en) 1998-11-27
CA2176481C (en) 1999-12-14
NZ314544A (en) 1998-06-26
CN1715572A (zh) 2006-01-04
YU74994A (sh) 1997-07-31
ZA9410068B (en) 1995-08-24
IL111974A (en) 2001-04-30
HRP941009A2 (en) 1996-12-31
AP9801326A0 (en) 1998-09-30
EP0736124A1 (en) 1996-10-09
ATE202609T1 (de) 2001-07-15
IS4242A (is) 1995-06-21
PL179062B1 (pl) 2000-07-31
AP534A (en) 1996-09-13
CN1081710C (zh) 2002-03-27
SK8597A3 (en) 2001-11-06
NO316392B1 (no) 2004-01-19
GEP20012521B (en) 2001-08-27
IS2111B (is) 2006-06-15
ES2096538T1 (es) 1997-03-16
OA10300A (en) 1997-10-07
HU9601079D0 (en) 1996-06-28
MA23402A1 (fr) 1995-07-01
JP2006029080A (ja) 2006-02-02
EE9900136A (et) 2000-02-15
SI9420070A (en) 1997-04-30
AU675820B2 (en) 1997-02-20
SA94150397B1 (ar) 2006-05-27
ES2261118T3 (es) 2006-11-16
AU691142B2 (en) 1998-05-07
CZ288791B6 (cs) 2001-09-12
WO1995017560A1 (en) 1995-06-29
IL111974A0 (en) 1995-03-15
CA2257660C (en) 2001-08-28
CA2257661A1 (en) 1995-06-29
SK8497A3 (en) 2003-11-04
MX9500214A (es) 1997-05-31
PL177816B1 (pl) 2000-01-31
JP3705796B2 (ja) 2005-10-12
LT4155B (en) 1997-05-26
BG100624A (bg) 1997-03-31
AP748A (en) 1999-06-30
AP9400709A0 (en) 1995-01-31
CN1137815A (zh) 1996-12-11
DK1028207T3 (da) 2004-08-02
PT1028198E (pt) 2006-08-31
TJ260B (en) 2000-05-12
PE40495A1 (es) 1995-11-19
NZ259493A (en) 1997-10-24
DK1028198T3 (da) 2006-08-14
ID21620A (id) 1995-06-22
US5862639A (en) 1999-01-26
JPH09507540A (ja) 1997-07-29
DE69427592D1 (de) 2001-08-02
EE9900137A (et) 2000-02-15
EE9600069A (et) 1996-12-16
AU1777397A (en) 1997-06-05
ES2096538T3 (es) 2001-11-16
JP3827065B2 (ja) 2006-09-27
DE69427592T2 (de) 2002-04-25
SK282169B6 (sk) 2001-11-06
JP3435513B2 (ja) 2003-08-11
RO115743B1 (ro) 2000-05-30
NO962607D0 (no) 1996-06-19
NO20025324D0 (no) 2002-11-06
AU5830694A (en) 1995-07-10
ES2219222T3 (es) 2004-12-01
CN100371544C (zh) 2008-02-27
EP1028198A1 (en) 2000-08-16
EG20876A (en) 2000-05-31
CZ290195B6 (cs) 2002-06-12
SG52164A1 (en) 1998-09-28
IL140131A0 (en) 2002-02-10
ATE322585T1 (de) 2006-04-15
ID21663A (id) 1995-06-22
NO20025324L (no) 1996-06-19
DE69434694T2 (de) 2007-01-25
IL140131A (en) 2005-11-20
DZ1838A1 (fr) 2002-02-17
TNSN94135A1 (fr) 1995-09-21
DE69433730T2 (de) 2005-03-31
FI962561A0 (fi) 1996-06-19
HU220484B1 (hu) 200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6650B1 (ko) 내진, 내풍, 내화성을 가지는 조립식 건축 패널 및 그로부터 형성된 구조물
US4545159A (en) Modular building system and building modules therefor
US3490186A (en) Modular building with curved precast concrete walls
KR20010012535A (ko) 건물 골격구조물
CN109372101B (zh) 一种装配式隔层布置混凝土桁架悬挑式建筑的装配方法
CN109372100B (zh) 一种装配式混凝土桁架剪力墙建筑的装配方法
CN112779991A (zh) 一种预制轻钢墙板组装房屋
CA1174428A (en) Modular-skeleton type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