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2535A - 건물 골격구조물 - Google Patents

건물 골격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2535A
KR20010012535A KR1019997010490A KR19997010490A KR20010012535A KR 20010012535 A KR20010012535 A KR 20010012535A KR 1019997010490 A KR1019997010490 A KR 1019997010490A KR 19997010490 A KR19997010490 A KR 19997010490A KR 20010012535 A KR20010012535 A KR 20010012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s
pillars
framework
reinforcement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0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바우자끄
Original Assignee
위바우 쟈끄
리빌드 월드 알비더블유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바우 쟈끄, 리빌드 월드 알비더블유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위바우 쟈끄
Publication of KR20010012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253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개, 세개, 또는 네개의 보(7, 8) 단부를 지지하는 가에 의존하여 L자 형상, T자 형상, 또는 십자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기둥(2, 3, 4, 5, 6)을 구비하는 건물 골격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서로 평행하게 정렬된 주보(7) 및 상기 정렬에 횡으로 배치된 횡보(8)는 기둥(2, 3, 4, 5, 6)의 날개부에 의해 보의 각 단부에서 지지되며, 상기 날개부의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향한다. 상기 횡보(8)의 하부 표면은 주보(7)의 하부 표면과 상부 표면의 중간 레벨에 위치한다. 상기 보(7, 8) 및 기둥(2, 3, 4, 5, 6)은 각 골격구조물 노드에서 조립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압축-인장 하중의 면에서 접하는 보 및 중첩된 기둥들의 연속성을 보장한다. 상기 바닥 요소(9)는 상기 주보(7)에 의해 지지된다.

Description

건물 골격구조물 { BUILDING FRAMEWORK }
본 발명은 미리 제작된 강화 콘크리트 요소를 현장에서 조립함으로써 형성되는 건물 골격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유럽 특허 제 EP-A-0,012,736 호는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고 대체로 곧은 프리즘 형상의 강철 건축 유니트를 개시한다. 각 건축 유니트는 바닥 요소 및 천정 요소를 구비하며, 이들 각각은 바닥이 개방되어 있고 프레임 및 프레임의 상단부에 연결된 수평 벽부로 형성된 박스 구조물 내에 놓인다. 상기 바닥 요소 및 천정 요소는 V자 형상 단면의 직립재를 사용하여 함께 결합된다. 넓고 평평한 강철 바아 (bar)로 만들어진 상기 프레임 및 직립재는 볼트를 이용하여 조립된다. 그리하여 건물은 그러한 건축 유니트의 병치 및 중첩에 의해 생성된다.
벨기에 특허 제 BE-A-884,971 호에 기재된 건물 골격구조물은 대체로 유럽 특허 제 EP-A-0,012,736 호에 따라 생산된 골격구조물과 아주 유사한 구조물을 갖지만, 미리 제작된 강화 콘크리트 요소로 만들어진다.
유럽 특허 제 EP-A-0,012,736 호 및 벨기에 특허 제 BE-A-884,971 호에 기재된 기술은 많은 이롭고 유리한 특징들을 나타낸다. 이 중에서 특히 써비스 덕트의 설치가 쉽다는 특징이 있다. 개방부는 V자 형상의 직립재에 의해 형성된 모퉁이에서 하부 및 상부 수평 벽부(바닥 및 천정)에 만들어진다. 그리하여 V자 직립재의 플랜지에 의해 경계지어지고 상기 직립재의 플랜지 단부에 놓여 있는 패널을 사용하여 닫힌 공간은 코너 덕트로 알려진 수직 써비스 덕트를 형성하며, 수직 써비스 파이프의 설치, 검사, 수정을 쉽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된 기술에 따라 생산된 건물 골격구조물은 때때로 그들의 사용을 제한하는 어떤 단점들을 나타낸다.
그리하여, 특히 유럽 특허 제 EP-A-0,012,736 호에 따른 골격구조물은 다른 금속 골격구조물에서도 그렇듯이 화재에 대해 보호하기가 어렵다. 문제는 금속 골격구조물은 화재 발생의 경우 변형하여 건물의 안정성을 위협한다는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벨기에 특허 제 BE-A-884,971 호에 따른 건물 골격구조물은 확실히 좋은 방화성을 제공하지만, 여전히 많은 단점들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이 골격구조물의 수평 벽부는 일체로된 강화 콘크리트 박스부로 형성된다. 이 벽부의 치수는 매우 큰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이 박스부는 무겁고 부피가 커서 적어도 어떤 나라 또는 지역에서는 이것들을 운반하는 것이 문제가 될 수도 있다. 또한 V자 형상의 직립재의 플랜지 두께 및 상기 박스부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보의 두께는 필수적으로 강철 구조로 달성될 수 있는 것보다 더 크다. 그러므로 이것은 직립재의 플랜지에 의해 형성된 모퉁이에서 생산될 수 있는 코너 덕트의 단면을 상당히 줄인다. 그러므로, 이 코너 덕트의 단면은 흙더미와 같은 일 이상의 비교적 큰 직경의 파이프가 코너 덕트를 통해 이동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공지 기술에 따라 생산된 골격구조물의 다른 단점 중에는 만족스러운 윈드 브레이싱(bracing)을 생성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량 생산하기 쉬운 간단한 형상의 미리 만들어진 강화 콘크리트 요소를 몇가지 선택하여 현장에서 조립함으로써 구성되는 건물 골격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본 발명은 특히 큰 건축상 유연성을 제공하며, 특히 기둥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게 하며 골격구조물을 형성하는 기둥과 보의 수를 줄일 수 있게 하며, 동시에 이동과 조작이 쉬운 미리 제작된 요소를 사용하는 건물 골격구조물을 생산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골격구조물 근처에 건물의 연속된 층을 관통하여 지나가며 이 기둥들을 따라 설치되는 수직 써비스 덕트를 만들기 쉬운 그런 건물 골격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골격구조물의 노드(node) 강성에 의해 부가의 윈드 브레이스 없이 빌딩에 매우 양호한 안정성을 제공하는 골격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요지는 다층 건물용 골격구조물인데, 상기 골격구조물은 기둥, 단부가 상기 기둥에 놓인 보, 및 상기 보 상에 놓인 바닥 요소를 구비하는 미리 제작된 강화 콘크리트 요소를 현장에서 조립함으로써 형성되며, 연속된 층에 놓인 상기 기둥들은 서로 수직 방향의 일직선에 배치된다.
이 골격구조물에서. 기둥은 대체로 L자 형상, T자 형상 또는 십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그러므로 기둥들이 각각 두개, 세개, 네개의 보 단부를 지지하는 데 기여하는 것에 따라 각각 두개, 세개, 또는 네개의 플랜지를 갖는다.
골격 구조물의 보는 건물의 각 레벨에서 서로 평행한 열로 배치된 주보(principal beam)와 건물의 각 레벨에서 주보들의 행간에 횡으로 배치된 횡보(transverse beam)를 구비한다.
주보 및 횡보는 그들의 각 단부를 통해 기둥의 한 플랜지 상에 놓이며, 이 플랜지 방향으로 수평하게 놓인다. 건물의 동일 레벨의 기둥에 놓인 보의 배치 및 치수는 횡보의 하부 표면이 주보의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 사이의 중간 레벨에 있도록 하는 배치이다. 조립 수단은 골격구조물의 각 노드에서 만나는 보와 기둥을 단단히 함께 연결하며, 이 연결은 인장 및 압축 하중의 면에서 접하는 보 및 중첩된 기둥 양자의 연속성을 보장한다.
바닥 요소는 주보 상에 놓인다. 개방부가 기둥의 플랜지에 의해 형성된 모퉁이에서 적어도 어떤 기둥 근처의 바닥 요소에 만들어져서 이 플랜지에 의해 형성된 모퉁이 내에 층에서 층으로 설치되는 수직 써비스 덕트를 만드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건물 골격구조물은 평면도에서 볼때, 다른 서로 평행한 선에 의해 직각으로 교차되는 다수의 상호 평행 직선으로 형성된 사각 격자 패턴에 기초한 삼각망 형태이다. 상기 기둥들은 이 선들의 교차점에 위치하며, 보 및 기둥의 플랜지는 이 격자 패턴의 선을 따라 배치된다.
이 격자 패턴의 사각형은 하나의 바닥 요소로 완전히 덮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격자 패턴 사각형은 두개 이상의 병렬로 배치되는 바닥 요소로 덮여서 그 크기 때문에 불편하거나 또는 제조, 이동, 및 조작이 힘든 바닥 요소의 사용을 피할 수 있다.
골격구조물은 골격구조물 요소를 미리 만들기에 다소 복잡하게 할지라도, 이 격자 패턴이 사각형과 달리(기울어지게) 만들어 질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의 동일한 레벨의 기둥에 놓인 보의 배치 및 치수는 횡보의 상부 표면이 주보의 상부 표면보다 더 높은 레벨에 있으며, 보(주보 및 횡보) 및 바닥 요소의 배치 및 치수는 바닥 요소의 상부 표면이 횡보의 상부 표면과 대략 같은 레벨에 위치한다.
한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주보의 높이는 횡보의 높이보다 더 높다.
한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일 이상의 기둥 플랜지는 플랜지가 교차하는 점 근처에서 이 플랜지의 나머지 부분보다 얇은 영역을 갖는다. 이 기둥의 특정 구조는 첨부된 도면에 대한 검토에 기재된 일정한 장점을 보인다.
골격구조물의 각 노드에서 보 및 기둥 사이의 단단한 연결은 여러 방법으로 달성될 수도 있다.
첫번째 방법에 따르면, 골격구조물의 노드에서 끝나는 보의 각 단부는 기둥의 플랜지 상에 직접 놓인다. 각 기둥의 상단부는 횡보의 단부를 지지하는 각 기둥의 플랜지의 상부 표면이 주보의 단부를 지지하는 기둥의 각 플랜지의 상부 표면의 레벨보다 위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주보 및 횡보는 미리 제작되어 골격구조물 내에 설치될 때, 각 단부에는 콘크리트 내에 심어지지 않는 보강재의 스타터 부분을 구비한다. 골격구조물의 각 노드에서 만나는 보들의 단부에서 보강재의 스타터 부분은 보의 단부들 사이 공간에 콘크리트를 부어 넣음으로써 함께 고정되며, 보와 함께 단단히 결합한다. 골격구조물의 노드의 각 상부 기둥의 하단부는 각각의 플랜지를 통해 이 노드에서 끝나는 보의 단부의 상부면 상에 놓이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특히, 노드에서 끝나는 수평 보의 상부 표면이 주보의 상부 표면보다 더 높을 때, 횡보에 놓이는 기둥의 각 플랜지의 하부 표면은 주보 상에 놓이는 각 플랜지의 하부 표면의 레벨보다 위에 위치한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이 방법에서, 보의 일부분들이 하부 기둥의 상부 표면과 상부 기둥의 하부 표면 사이에 삽입된다. 골격구조물의 각 노드에서 중첩된 기둥들 및 이 동일 노드에서 끝나는 보들은, 상부 기둥의 하부에 포함되어 있고 보의 적절한 곳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통과하며 하부 기둥의 상부에 포함되는 수직 연결 바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이 연결 바는 이 기둥들 및 이 수직 구멍들 내에 설치된다.
다른 방법에 따르면, 골격구조물의 각 노드에서 보와 기둥을 함께 단단히 결합하는 조립 수단은 보와 기둥의 각 단부에서 강화 콘크리트 보 및 기둥을 신장시키는 금속판을 구비한다. 보의 각 단부는, 이 보의 콘크리트에 심어진 금속 보강재에 고정되고 대체로 보의 축선을 따라 향해있는 수직 금속판에 의해 신장된다. 기둥의 각 단부는 각 플랜지에서 상기 기둥의 콘크리트에 심어진 금속 보강재에 고정되며 대체로 기둥 축선 및 플랜지를 보유하는 플랜지의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에 위치하는 수직 금속판에 의해 신장된다. 이 모든 금속판들은 골격구조물의 각 노드에서, 이 노드에서 끝나는 보의 단부에 의해 보유되는 상기 판들이 각각 볼트를 이용하여 이 보들을 보유하는 기둥의 상단부에 있는 판 및 바로 위에 놓인 기둥의 하단부에 있는 판에 고정될 수도 있는 그러한 것들이다.
금속판들은 많은 다른 방법으로 그것들을 보유하는 보의 금속 골격구조물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 하나의 다른 방법에 따르면, 보의 각 단부를 신장시킨 수직 금속판은 용접에 의해 이 보의 금속 보강재에 고정되며, 이 보강재의 일부분은 금속판의 일부분에 용접되며, 이 부분은 상기 보의 콘크리트에 심어진다.
또 다른 방법에 따르면, 보의 각 단부를 신장시킨 상기 수직 금속판은 자체가 보강재의 단부에 보의 축에 직각으로 용접된 금속판으로 구성된 슈에 용접됨으로써 보의 금속 보강재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이 슈는 보의 콘크리트 단부에 대해 적용된다.
상기 금속판은 보에 관하여 상술한 방법과 비슷한 방법으로 보를 보유하는 기둥의 금속 보강재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 다른 한 방법에 따르면, 기둥의 각 단부를 신장시킨 각 수직 금속판은 이 기둥의 금속 보강재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며, 이 보강재의 일부분은 금속판의 일부분에 용접되며, 이 용접 부분은 기둥의 콘크리트에 심어진다.
또 다른 방법에 따르면, 기둥의 각 단부를 신장시킨 수직 금속판은 자체가 기둥에 직각으로 보강재의 단부에 용접된 수평 금속판으로 구성된 슈에 용접됨으로써 이 기둥의 금속 보강재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이 슈는 상기 기둥의 콘크리트 단부에 대해 적용된다.
연결 바를 이용하여 골격구조물 요소를 함께 연결하기 위하여, 주로 침전물이 없는 몰타르로 구성될 수도 있는 베딩 화합물이 사용된다. 그러나, 다른 무기 또는 유기 베딩 화합물(예를 들어, 내열 경화성 수지에 기초한 베딩 화합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요지는 위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골격구조물을 구비하는 다층 건물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별한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수의 실시예의 비제한적 예시 방법에 의해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드러날 것이다.
도 1 은 위로부터 비스듬히 본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골격구조물의 일부분이 잘린 등각 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골격구조물 부분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 및 4 는 각각 도 2 의 선 III-III 및 IV-IV 에서 구조물의 상세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5 는 일부분이 잘린 확대된 등각 투시도이며, 전개도로서 보 및 골격구조물의 노드에서 조립될 수 있는 십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기둥의 단부를 도시하는데, 이 요소들은 위로부터 비스듬히 보여진다.
도 6, 7, 8 및 9 는 도 5 와 유사하며 골격구조물의 노드 생성의 연속된 단계를 도시하며, 도 9 는 또한 주보에 놓인 바닥 요소(잘린 부분으로 도시됨)를 도시한다.
도 10 은 도 9 에 도시된 노드와 같은 골격구조물의 노드의 도면이지만 위로부터 비스듬히 도시된 것이다. 이 도 10 은 또한 바닥 요소에 놓인 플로팅 슬랩 (floating slab) 요소(잘린 부분으로 도시됨)를 도시한다.
도 11 및 12 는 도 5 및 8 과 유사한 도면이지만, 두개의 주보, 한개의 횡보 및 두개의 T자 단면 기둥이 만나는 골격구조물의 노드를 도시한다.
도 13 및 14 는 도 11 및 12 와 유사한 도면이지만, 한개의 주보, 두개의 횡보 및 두개의 T자 단면 기둥이 만나는 골격구조물의 노드를 도시한다.
도 15 및 16 은 도 13 및 14 와 유사한 도면이지만, 한개의 주보, 한개의 횡보 및 두개의 L자 단면 기둥이 만나는 골격구조물의 노드를 도시한다.
도 17 은 도 7 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골격구조물의 노드에서 모두 만나는 두개의 주보와 두개의 횡보의 단부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며, 이 도 17 은 특히 이 보의 단부에 의해 보유되는 스타터(starter) 보강재의 형상 및 배치를 도시한다.
도 18 은 도 8 과 유사하지만 골격구조물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다.
도 19 는 도 18 의 선 XIX-XIX 에서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0, 21, 22, 23, 24, 25, 26 및 27 은 각각 도 5, 7, 8, 9, 11, 12, 15 및 16 과 유사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격구조물의 노드의 생성을 도시하며, 골격구조물의 각 노드에서 만나는 보 및 기둥의 단부들은 기둥 및 보의 이들 단부에 의해 보유되는 금속판과 함께 볼트 체결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도 28, 29, 및 30 은 본 발명에 따른 골격구조물 부분의 다른 세개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도 2 와 유사)이다.
도 31 은 4-플랜지 기둥(십자 형상의 단면을 가짐)의 수평면 상의 단면이며, 이 도면은 또한 기둥의 플랜지에 의해 형성된 모퉁이를 닫아서 수직 배관이 설치되는 수직 써비스 덕트를 형성하는 부착 패널을 도시한다.
도 32 및 33 은 도 31 과 유사한 단면이지만. 기둥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17 에 도시된 건물 골격구조물(1)은 기둥(2, 3, 4, 5, 6), 주보(7), 횡보(8), 및 바닥 요소(9)로 만들어진다. 이 강화 콘크리트 요소는 공장에서 미리 제조되는데, 이것은 치수에 있어서 양호한 정확도가 얻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모퉁이에 위치한 기둥(2 및 3)은 L자 형상의 단면을 구비하며, 각 기둥(2, 3)의 두 플랜지에 의해 형성된 직각은 건물의 안쪽을 향한다. 건물의 겉면을 따라 위치한 다른 기둥(4, 5)들은 T자 형상의 단면을 구비하며, T자의 하부 가지부를 형성하는 각 기둥(4, 5)의 플랜지는 건물의 안쪽을 향한다. 건물의 외곽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기둥(6)은 십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도 2 가 도시하듯이, 도 1 에 도시된 건물 골격구조물은 평면도에서 다른 서로 평행한 직선에 의해 직각으로 교차되는 3개의 서로 평행한 직선으로 형성된 사각형 격자 패턴에 기초한 삼각망 형태이다. 상기 기둥(2, 3, 4, 5, 6)들은 이 선들의 교차점에 놓인다. 보(7, 8) 및 상기 보들이 놓이는 기둥들(2, 3, 4, 5, 6)의 플랜지는 이 격자 패턴의 선들을 따라 배치된다. 주보로서 알려진 상기 보(7)는 상기 3개의 평행선을 따라 배치되며, 횡보로 알려진 상기 보(8)는 이 3개의 선에 수직한 선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주보(7) 및 상기 횡보(8)는 그들의 각 단부를 통해 기둥의 플랜지 상에 놓인다. 상기 보(7, 8)의 폭은 보가 놓이는 기둥 플랜지의 폭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주보(7)의 높이는 횡보(8)의 높이보다 높다. 건물의 동일 레벨의 기둥(2, 3, 4, 5, 6)에 놓이는 상기 보(7, 8)의 배치는 횡보(8)의 하부 표면이 주보(7)의 하부 표면과 상부 표면 사이의 중간 레벨에 있으며, 또한 이 동일 횡보(8)의 상부 표면은 주보(7)의 상부 표면보다 더 높은 레벨에 있는 배치이다(특히 도 3 내지 16 참조).
연속된 층에 위치하는 기둥(2, 3, 4, 5, 6)은 수직으로 서로 일렬로 배치된다. 골격구조물(1)의 각 노드에서 만나는 상기 기둥 및 보는 도 4 내지 17 에 도시된 고정 수단에 의해 단단히 함께 연결된다.
상기 바닥 요소(9)는 두 마주보는 엣지를 통해 주보(7) 상에 놓인다. 상기 바닥 요소들은 그런 방식으로 병렬로 놓여 연속 슬랩을 형성한다. 개방부(10)는 이 기둥들(2, 3, 4, 5, 6)의 플랜지에 의해 형성된 모퉁이의 기둥(2, 3, 4, 5, 6) 근처 바닥 요소(9)에 형성되어, 층에서 층으로 설치되는 수직 써비스 덕트가 이 플랜지에 의해 형성되는 모퉁이에 생성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보(7, 8)에 형성된 개방부(11)는 수평 파이프가 건물을 관통하여 통과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 수평 파이프는 도 4 에서 보여질 수 있듯이, 실질적으로 횡보(8)의 하부 표면 레벨에 위치한 임시 천정(12)에 의해 숨겨질 수도 있다.
도 5, 6, 7, 8, 9, 10 은 십자 형상의 단면의 두 기둥(6)이 만나는 골격구조물의 노드 및 이 노드에서 만나는 요소들이 함께 결합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특히 이 도면들은 횡보(8)를 지지하는데 기여하는 하부 기둥(6)의 플랜지가 상기 기둥(6)의 나머지 부분과 비교하여 윗방향의 신장부(13)를 구비함을 도시한다. 상기 보(7, 8)가 하부 기둥(6)의 상면에 자리를 잡으면, 횡보(8)의 하부면은 상기 주보(7)의 하부 표면과 상부 표면 사이의 중간 레벨에 존재한다. 또한, 이 횡보(8)의 상부 표면은 상기 주보(7)의 상부 표면보다 더 높은 레벨에 있기 때문에, 상기 상부 기둥(6)의 하부 단부는 상부 기둥(6)의 플랜지들이 상기 기둥(6)의 나머지와 비교하여 하방 신장부(14)를 구비하는 형상이어서 상부 기둥(6)의 각 플랜지는 주보(7) 또는 횡보(8) 상에 놓인다.
두개의 주보(7) 및 두개의 횡보(8)의 단부가 기둥(6)의 상단에 자리를 잡고나면(도 7 에 도시된 것처럼), 이 4 개의 보들은 함께 단단히 결합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스타터 보강재는 보(7, 8)의 단부에서 콘크리트로부터 돌출한다. 횡보(8)의 각 단부에는 콘크리트로부터 돌출하는 두개의 보강재(15)가 있는데, 하나는 보(8)의 상부 영역에, 다른 하나는 하부 영역에 존재하며, 이 각각의 두 보강재(15)는 스터럽(stirrup) 형상이며, 수평면에 대해 약간의 각을 이루는 평면에 배치된다.
상기 주보(7)의 단부가 보유하는 상기 스타터 보강재(16)는 상기 보강재(15)와 유사하지만, 각각은 스터럽의 옆 가지부 사이에 위치한 부가의 보강 바아(bar)를 구비하며, 이 부가의 보강 바아의 단부는 이 스터럽의 횡 바아에 용접된다.
도 17 은 평면도로 보(7, 8)의 단부가 기둥(6)의 상단면 상에 설치될 때 보강재(15, 16)의 배치를 도시한다. 상기 주보(7)가 올바르게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두 보(7)가 보유하는 스타터 보강재(16)가 다른 하나 위의 하나를 통과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 때문에 상기 주보(7) 중의 하나가 보유하는 상기 스타터 보강재는 윗쪽으로 약간 경사지며, 다른 주보(7)가 보유하는 스타터 보강재(16)는 약간 아래쪽으로 경사진다.
동일한 방법이 상기 횡보(8)가 보유하는 스타터 보강재(15)에 대하여 적용되는 것은 명백하다.
두개의 주보(7) 및 두개의 횡보(8)의 단부가 기둥(6)의 상면에 설치되고 나면, 콘크리트가 도 8 에 도시된 것처럼 보(7, 8)의 단부 사이의 공간에 쏟아 부어진다. 그리하여, 이 보들이 보유하는 보강재(15, 16)는 콘크리트 내에 심어지며, 이것은 상기 보(7, 8)를 함께 단단히 결합한다. 이 연결은 특히 인장 하중 및 압축 하중의 양자 모두에 관하여 같은 열에서 서로 접하는 두 보(7, 8) 사이의 연속성을 보장한다.
주보(7)의 하부 표면과 횡보(8)의 하부 표면 사이, 및 주보(7)의 상부 표면과 횡보(8)의 상부 표면 사이의 레벨의 오프셋 때문에, 횡보(8)의 하부 보강재(15)는 주보(7)의 하부 및 상부 보강재(16) 사이의 중간 레벨에 존재하며, 이 보강재(16)로부터 많이 떨어져 있으며, 횡보(8)의 상부 보강재(15)는 상기 주보(7)의 상부 보강재(16) 위에 존재하며, 이 상부 보강재(16)로부터 많이 떨어져 있다.
골격구조물의 각 노드에서 만나는 상기 주보(7) 및 횡보(8)가 콘크리트의 충진으로 함께 고정되며, 바닥 요소(9)는 도 8 에 도시된 것처럼 설치된다. 주보(7), 횡보(8), 및 바닥 요소(9)의 배치 및 치수는 바닥 요소(9)의 상부 표면이 대략 횡보(8)의 상부 표면과 같은 레벨에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바닥 요소(9)가 설치되고 나면, 연결 바아(17)가 하부 기둥(6)의 플랜지의 상부에 설치된 수직 박판(18)으로 주입되고, 상기 보(7, 8)의 적절한 지점에 형성된 수직 구멍(19)을 통해 통과한다.
그 다음, 상기 상부 기둥(6)의 플랜지의 하부에 설치된 수직 박판(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연결 바아(7)의 상부를 삽입함으로써 상부 기둥(6)이 설치된다.
상기 연결 바아(17)는 자명한 방법으로 기둥(6)의 단부에 포함된 구멍(19) 및 박판 안으로 설치된다. 이들 연결 바아(17)를 묻기 위해 무수축 유체 몰타르 또는 내열 경화성 수지와 같은 다른 적당한 베딩 화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연결 바아(17)를 사용한 이 연결에 의해, 중첩된 기둥(6) 사이의 연속성은 인장 및 압축 하중 양면 모두에 대해 보장될 수 있다.
상기 바닥 요소(9)가 설치되고 나면, 원할 경우, 플로팅 슬랩(20)(도 3, 4, 10 참조)이 바닥 위에 놓일 수도 있다. 이 플로팅 슬랩(20)은 유럽 특허 제 EP-A-0,750,709 호에 기재된 기술에 따라 제조되고 설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도 11 내지 16 은 두개의 T자 단면 기둥(4 또는 5)이 만나는 지점, 또는 L자 단면 기둥(2)이 만나는 지점에서 골격구조물 노드의 구조 및 그 제작을 도시한다. 이 골격구조물 노드의 구조 및 그 제작은 십자 형상의 단면의 두 기둥(6)이 만나는 골격구조물 노드의 요지에 관한 상기에 기재된 것과의 유사성에 의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8 및 19 는 도 1 내지 17 에 도시된 골격구조물과 비슷한 골격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또 다른 형태에서, 주보(7)의 보강재의 상부(21)는 이 보들을 미리 제조할 때 스타터(starter)로 남는다. 상기 바닥 요소(9)가 설치되면, 바닥 요소들은 엣지를 통해 이들 주보(7)의 이미 콘크리트로 덮인 부분 위에 놓인다. 부가의 수평 보강 바아(22)는 바닥 요소(9)에 형성된 개방부(23) 내에 주보(7) 방향에 직각으로 설치된다. 그 다음, 콘크리트가 서로 마주보는 바닥 요소(9) 사이의 공간에 쏟아 부어져서 주보(7)의 보강재 상부(21) 및 부가 보강 바아(22)를 묻는다. 그리하여 상기 바닥 요소(9)는 함께 단단히 결합되고, 주보(7)에 단단히 결합된다. 또한, 그렇게 만들어진 보(7)의 상부 표면은 도 3 내지 16 에 도시된 기술에서 보다 더 높다(즉, 바닥 요소(9)의 상부 표면의 레벨). 주보(7)의 똑같은 전체 높이 때문에, 그 하부 표면 또한 높을 것이며, 이것은 이 보(7)의 하부 크기를 줄일 것이다.
도 1 내지 19 에 도시된 각 골격구조물 노드에서, 보(7, 8)의 단부는 각 하부 기둥(2, 3, 4, 5, 6)의 상부 표면과 대응 상부 기둥(2, 3, 4, 5, 6)의 하부 표면 사이에 삽입된다.
도 20 내지 27 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골격구조물 노드를 도시한다.
도 20 내지 23 은 특히 십자 형상 단면의 두 기둥(6)이 만나는 지점에서의 골격구조물 노드와 이 노드에서 만나는 요소들이 이 실시예에서 함께 결합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이 경우, 주보(7)의 각 단부는 보(7)의 축선에 직각으로 보강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단부에 용접되는 금속 슈(25)에 용접되므로써 이 보(7)의 금속 보강재에 고정되는 수직 금속판(24)에 의해 신장된다.
이와 유사하게, 횡보(8)의 각 단부는 보(8)의 축선에 직각으로 보강재의 단부에 용접된 금속 슈(27)에 용접되므로써 이 보(8)의 금속 보강재에 고정되는 수직 금속판(26)에 의해 신장된다.
이와 유사하게, 기둥(6)의 각 단부는 각 플랜지 상에서 기둥(6)의 축선에 직각으로 보강재의 단부에 용접된 금속 슈(29)에 용접되므로써 이 기둥(6)의 금속 보강재에 고정되는 수직 금속판(28)에 의해 신장된다.
그러므로, 기둥(6)의 각 단부는 네개의 수직 금속 판(28)에 의해 신장된다. 이 판(28)들의 각각은 실질적으로 상기 기둥(6) 및 그것을 보유하는 플랜지의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의 방향으로 향한다.
유사한 방법으로, 보(7, 8)의 단부를 신장시키는 각 금속판(24, 26)은 실질적으로 그것을 보유하는 상기 보(7, 8)의 축선을 따라 향한다. 그러나 그러한 금속판(24, 26)은 정확히 그것을 보유하는 상기 보(7, 8)의 길이방향 수직 중간 평면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 아니고, 그 위치는 금속판의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옆으로 오프셋 된다. 이 배치 때문에, 각 보(7, 8)의 축선은 정확히 그것을 보유하는 기둥(6)의 축선을 향할 것이다.
이들 모든 금속판(24, 26, 28)에는 볼트 구멍(30)이 뚫린다. 이 판들(24, 26, 28)의 치수 및 배치와 볼트 구멍(30)의 배치는 보(7, 8)의 단부가 보유하는 각 판(24, 26)이 볼트를 사용하여 이 보들을 보유하는 기둥(6)의 상부 단부에 의해 보유되는 판(28) 및 바로 위에 놓여진 기둥(6)의 하부 단부에 의해 보유되는 판(28)에 고정될 수 있는 그런 배치이다.
그리하여 골격구조물의 노드가 형성되면, 횡보(8)의 하부 표면은 주보(7)의 하부 표면 및 상부 표면 사이의 중간 레벨이 되며, 상기 횡보(8)의 상부 표면은 주보(7)의 상부 표면 위의 레벨에 있게 된다. 상기 바닥 요소(9)가 주보(7) 상에 설치되면, 이 바닥 요소(9)의 상부 표면은 상기 횡보(8)의 상부 표면과 대략 같은 레벨이 된다.
도 24 내지 27 은 두개의 T자 단면 기둥(4)이 만나는 지점, 또는 두개의 L자 단면 기둥(2)이 만나는 지점에서 골격구조물 노드의 구조 및 그 제작을 도시한다. 이 골격구조물 노드의 구조 및 그 제작은 도 20 내지 23 에 도시된 것처럼 두개의 십자 형상의 단면의 기둥(6)이 만나는 골격구조물 노드의 요지에 관한 상기에 기재된 것과의 유사성에 의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20 내지 27 에 도시된 건물 골격구조물의 생산 방법은 많은 장점을 제공하는데, 특히 보통 건식 마무리 영역으로 알려진 것을 만들기 쉬움으로 인한 잘 알려진 장점을 제공한다. 이런 건설 기술에 의해 건물을 변경하거나 또는 증축하는 어떤 작업도 아주 쉬워진다는 것도 쉽게 이해된다. 분해될 건물의 골격구조물 요소를 분해하여 재사용하기가 쉬우며, 이것은 매우 유리한 점이다.
도 28, 29 및 30 은 본 발명에 따른 골격구조물 부품의 세 가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 개략도(도 2 와 유사함)이다.
도 28 은 건물 골격구조물의 두 부분이 서로에 대해 수평으로 오프셋 되어 있을 수도 있다. 골격구조물 일 부분의 주보(7) 열은 골격구조물의 다른 부분의 주보(7) 열에 대해 실제로 수평으로 오프셋 된다.
이와 유사하게, 건물 일부분의 골격구조물은 다른 부분의 골격구조물과 연직 방향으로 오프셋 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29 는 두개의 서로 평행한 복도가 있는 건물(예를 들어, 사무실 블록과 같은 건물)의 골격구조물 부분의 평면 개략도 이다. 이 골격구조물에서는, 건물의 모퉁이에서 L자 단면의 기둥(2, 3)(도 29 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제외하면 모든 기둥은 T자 단면의 기둥(4, 5)이다. 도 29 에 도시된 골격구조물에서, 건물 내부의 T자 단면 기둥(4, 5)의 사용은 기둥(4, 5)의 모퉁이에 수용된 수직 써비스 덕트 밖으로 나오는 케이블 및 파이프들을 복도의 각 측면에 위치한 방으로 분배하는 것을 쉽게 한다.
도 30 은 일련의 병렬 가정집의 골격구조물을 도시한다. 이 경우, 골격구조물의 모든 기둥들은 T자 단면의 기둥(5) 및 L자 단면의 기둥(2, 3)이다.
도 2, 28, 29 및 30 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골격구조물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이 허용하는 많은 변종의 몇가지 실시예에 불과하다는 것은 분명하다.
이 기술에 의해 제공된 여러 가능성을 조합함으로써, 내장 구성의 면과, 돌출 모퉁이 및 오목부를 가질 수도 있는 외관 형상의 면에서 극단적으로 벗어나는 건물을 짖는 것이 가능하다.
도 31 은 네개의 플랜지를 갖는 기둥의 수평 단면이다. 이 기둥(6)의 플랜지에 의해 형성된 모퉁이에 파이프(31)가 관통하는 수직 써비스 덕트가 설치된다.
이런 종류의 써비스 덕트는 기둥(6)의 두개의 인접 플랜지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부착된 패널(32)을 사용하여 닫힐 수도 있다. 부착된 패널(33)은 더 큰 단면의 써비스 덕트를 닫는데 사용될 수도 있으며, 부착된 패널(34)은 더 작은 단면의 써비스 덕트를 닫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2 는 도 31 과 비슷한 단면이지만, 십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기둥의 또다른 형태를 도시한다. 상기 기둥(35)의 두 플랜지는 플랜지가 교차하는 곳 근처에서 이 플랜지의 나머지 부분보다 얇은 영역을 나타낸다. 특히 이것은 예를 들어 전기 중계를 위한 어떤 부품과 같은 작은 직경의 파이프(36)용 수직 써비스 덕트를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작은 단면의 써비스 덕트는 부착된 패널(37)을 사용하여 닫힐 수도 있다.
도 33 은 도 31 및 32 와 비슷한 단면이지만, 십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기둥(38)을 도시하는데, 상기 기둥의 네개의 각 플랜지는 플랜지가 교차하는 곳 근처에서 이 플랜지의 나머지 부분보다 얇은 부분을 갖는다.
플랜지들의 교차하는 부근에서 기둥의 플랜지를 얇게 하는 것은 써비스 덕트가 예를 들어, 부착된 패널(32, 33 또는 34)에 의해 닫힐 때 (이 두께 감소 없이 얻을 수 있는 것보다) 큰 단면적의 써비스 덕트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도 31 내지 33 은 십자 형상의 단면을 도시하지만,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는 L자 형상 단면 또는 T자 형상 단면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골격구조물을 구비하는 건물은 가장 다양한 형상, 치수, 및 기능을 갖는다.
이 골격구조물의 많은 장점들은 기둥(2, 3, 4, 5, 6)의 특별한 형상 및 골격구조물 노드의 단단함 뿐만 아니라 주보(7)의 하부 표면 레벨과 횡보(8)의 하부 표면의 레벨 사이의 오프셋으로부터도 기인한다.
상기 주보(7)는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관을 따라 이 외관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주보(7)의 하부 표면이 상당히 낮은 레벨에 있기 때문에, 이 보(7)는 건물의 전면 및 후면에 만들어진 개방부(도어, 프렌치 도어, 및 창문을 위한)용 린텔 (lintel)을 형성할 수도 있다.
건물 내부에서, 주보(7)의 각 열은 내부 분리벽 열과 일직선상에 수직으로 위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주보(7)는 비교적 낮게 내려오므로, 이 내부 분리벽의 높이도 따라서 감소될 수 있으며, 이것은 단순함 및 절감을 제공해 준다. 또한, 이 주보(7)는 내부 분리벽에 만들어진 도어 또는 개방부용 린텔 또는 중간틀(transom)로서 작용한다.
상기 횡보(8)는 아래쪽으로 작은 부피를 갖는다. 그러므로 임시 천정을 사용하여 이 횡보(8)를 숨길 필요가 없다.
그러나, 요구되는 곳에는 임시 천정(12)이 설치될 수도 있는데, 대략 횡보(8)의 하부 표면 레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임시 천정(12)은 특히 천정과 임시 천정(12) 사이의 공간을 통해 통과하는 파이프가 숨어질 수 있게 한다. 천정과 임시 천정(12) 사이의 거리는 상당히 작지만, 아주 작은 단면의 파이프 및 전선만이 이 공간을 통해 통과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기 덕트 및 큰 단면의 파이프는 실제로 기둥(2, 3, 4, 5, 6) 플랜지의 모퉁이에 형성된 수직 덕트에 수용될 수 있다.
주어진 헤드룸(headroom)에 대해, 골격구조물의 보(7, 8)의 구조는 건물의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게 한다.
또한, 바닥 요소(9)는 건물 외관면을 따라 놓인 주보(7) 상에 놓이기 때문에 건물 외관면 방향에 직각으로 이 바닥 요소(9)에 있는 수평 공동의 형성을 관찰할 수 있다. 외팔보 형태의 발코니 또는 보우 윈도우(bow windows)를 지지하기 위한 보가 이들 공동에 장착될 수도 있다.

Claims (11)

  1. 기둥, 단부가 상기 기둥에 놓이는 보(beam), 및 상기 보 상에 놓인 바닥 요소를 구비하는 미리 제작된 강화 콘크리트 요소를 현장에서 조립함으로써 형성되며, 연속된 층에 위치한 상기 기둥이 수직으로 서로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다층 건물용 골격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기둥(2, 3, 4, 5, 6)은 실질적으로 L자 형상, T자 형상 또는 십자 형상의 단면이며, 따라서 각각 두개, 세개, 또는 네개의 보 단부를 지지하는데 기여하는 것에 따라 두개, 세개, 또는 네개의 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보들은 건물의 각 층에서 서로 평행한 열로 배치된 주보(7), 및 건물의 각 층에서 주보(7)의 열 사이에 횡으로 배치된 횡보(8)를 구비하며,
    상기 주보(7) 및 상기 횡보(8)는 그들의 각 단부를 통해 기둥(2, 3, 4, 5, 6)의 한 플랜지 상에 이 플랜지의 방향으로 수평으로 놓이며, 상기 건물의 동일 레벨의 기둥(2, 3, 4, 5, 6) 상에 놓인 상기 보(7, 8)의 배치 및 치수는 횡보(8)의 하부 표면이 주보(7)의 하부 표면 및 상부 표면 사이의 중간 레벨에 위치하는 그런 배치이며,
    조립 수단은 상기 골격구조물(1)의 각 노드에서 만나는 상기 기둥(2, 3, 4, 5, 6) 및 보(7, 8)를 함께 단단히 연결하며, 이 연결은 인장 및 압축 하중의 면에서 접하는 보(7, 8) 및 중첩된 기둥(2, 3, 4, 5,, 6) 양자의 연속성을 보장하며,
    상기 바닥 요소(9)는 상기 주보(7) 위에 놓이며,
    개방부(10)가 이 기둥(2, 3, 4, 5, 6)의 플랜지에 의해 형성된 모퉁이에서 적어도 어느 기둥(2, 3, 4, 5, 6) 근처의 바닥 요소(9)에 만들어져서 이 플랜지에 의해 형성된 모퉁이에서 층에서 층으로 이어지는 수직 써비스 덕트를 만들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격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동일 레벨의 기둥(2, 3, 4, 5, 6) 위에 놓인 보(7, 8)의 배치 및 치수는 횡보(8)의 상부 표면이 주보(7)의 상부 표면보다 높은 레벨에 있으며, 상기 보(7, 8) 및 바닥 요소(9)의 배치 및 치수는 상기 바닥 요소(9)의 상부 표면이 횡보(8)의 상부 표면과 대략 같은 레벨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격구조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주보(7)의 높이는 횡보(8)의 높이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격구조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둥(2, 3, 4, 5, 6)의 일 이상의 플랜지는 상기 플랜지들이 교차하는 지점 근처에서 이 플랜지의 나머지 부분만큼 두껍지 않은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격구조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골격구조물(1)의 각 노드에서는, 이 노드에서 끝나는 보(7, 8)의 각 단부가 기둥(2, 3, 4, 5, 6)의 한 플랜지 상에 직접 놓이며, 각 기둥(2, 3, 4, 5, 6)의 상단부는 횡보(8)의 단부를 지지하는 기둥의 각 플랜지의 상부 표면이 주보(7)의 단부를 지지하는 기둥의 각 플랜지의 상부 표면의 레벨 위에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보(7, 8)는 골격구조물(1)에 미리 제작되어 설치될 때 각 단부에서 콘크리트에 심어지지 않은 보강재의 스타터 부분(15, 16)을 구비하며, 상기 골격구조물(1)의 각 노드에서 만나는 보(7, 8)의 단부에서 보강재의 스타터 부분(15, 16)은 상기 보(7, 8)의 단부 사이의 공간으로 콘크리트를 쏟아 부어 함께 고정되어서 보(7, 8)를 함께 단단히 결합하며,
    상기 골격구조물 노드의 각 상부 기둥(2, 3, 4, 5, 6)의 하부 단부는 기둥의 각 플랜지를 통해 이 노드에서 끝나는 보(7, 8)의 단부의 윗면 상에 놓이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골격구조물의 각 노드에서 중첩된 기둥(2, 3, 4, 5, 6)과 이 동일 노드에서 끝나는 보(7, 8)는 하부 기둥(2, 3, 4, 5, 6)의 상부에 포함되고 상부 기둥(2, 3, 4, 5, 6)의 하부에 포함된 보(7, 8)의 적절한 지점에서 형성된 수직 구멍(19)을 통해 통과하며 이 기둥(2, 3, 4, 5, 6) 및 상기 수직 구멍(19)내에 설치된 수직 연결 바아(17)에 의해 함께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격구조물.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수단이 상기 강화 콘크리트 보(7, 8) 및 기둥(2, 3, 4, 5, 6)의 각 단부에서 신장하는 금속판(24, 26, 28)을 구비하며,
    보(7, 8)의 각 단부는 상기 보(7, 8)의 콘크리트 덩어리에 심어진 금속 보강재에 고정되며 실질적으로 상기 보(7, 8)의 축선을 따라 향하는 수직 금속판(24, 26)에 의해 신장되며,
    기둥(2, 3, 4, 5, 6)의 각 단부는, 각 기둥 플랜지에서 상기 기둥(2, 3, 4, 5, 6)의 콘크리트에 심어진 금속 보강재에 고정되고 실질적으로 기둥(2, 3, 4, 5, 6)의 축선 및 플랜지를 보유하는 플랜지의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에 위치하는 수직 금속판(28)에 의해 신장되며,
    이 모든 금속판(24, 26, 28)에는 볼트 구멍(30)이 천공되며, 이 금속판(24, 26, 28)의 치수 및 배치는 골격구조물의 각 노드에서, 이 노드에서 끝나는 보(7, 8)의 단부에 의해 보유되는 상기 판(24, 26)이 각각 이 보(7, 8)를 보유하는 기둥(2, 3, 4, 5, 6)의 상부 단부에 의해 보유되는 판(28)과 바로 위에 놓인 기둥(2, 3, 4, 5, 6)의 하부 단부에 의해 보유되는 판(28)에 볼트를 사용하여 고정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격구조물.
  7. 제 6 항에 있어서, 보(7, 8)의 각 단부를 신장하는 수직 금속판(24, 26)이 이 보(7, 8)의 금속 보강재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며, 이 보강재의 일부분이 금속판의 일부분에 용접되며, 이 용접부가 상기 보(7, 8)의 콘크리트에 심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격구조물.
  8. 제 6 항에 있어서, 보(7, 8)의 각 단부를 신장하는 수직 금속판(24, 26)은 상기 보(7, 8)의 축선에 직각으로 상기 보강재의 단부에 용접된 금속판으로 구성된 슈(25, 27)에 고정됨으로써 이 보(7, 8)의 금속 보강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격구조물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둥(2, 3, 4, 5, 6)의 각 단부를 신장하는 각 상기 수직 금속판(28)이 이 기둥(2, 3, 4, 5, 6)의 금속 보강재에 용접됨으로써 고정되며, 이 보강재의 일부분이 금속판의 일부분에 용접되며, 이 용접부가 상기 기둥(2, 3, 4, 5, 6)의 콘크리트에 심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격구조물.
  10.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둥(2, 3, 4, 5, 6)의 각 단부를 신장하는 상기 수직 금속판(28)이 상기 기둥(2, 3, 4, 5, 6)의 축선에 직각으로 보강재의 단부에 고정된 수평 금속판으로 구성된 슈(29)에 용접됨으로써 이 기둥(2, 3, 4, 5, 6)의 금속 보강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격구조물.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골격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건물
KR1019997010490A 1997-05-29 1998-04-09 건물 골격구조물 KR200100125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E9700468 1997-05-29
BE9700468A BE1011185A5 (fr) 1997-05-29 1997-05-29 Ossature de batiment.
PCT/BE1998/000051 WO1998054418A1 (fr) 1997-05-29 1998-04-09 Ossature de bati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2535A true KR20010012535A (ko) 2001-02-15

Family

ID=3890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0490A KR20010012535A (ko) 1997-05-29 1998-04-09 건물 골격구조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1) EP0985071A1 (ko)
JP (1) JP2002500712A (ko)
KR (1) KR20010012535A (ko)
CN (1) CN1258332A (ko)
AU (1) AU6912398A (ko)
BE (1) BE1011185A5 (ko)
BR (1) BR9809696A (ko)
CA (1) CA2291591A1 (ko)
HU (1) HUP0003576A2 (ko)
PL (1) PL337161A1 (ko)
SK (1) SK161099A3 (ko)
TR (1) TR199902906T2 (ko)
WO (1) WO1998054418A1 (ko)
YU (1) YU611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88293A1 (fr) * 2000-05-12 2001-11-22 Rebuild World Rbw, S.A. Ossature de batiment
BE1015141A3 (fr) 2002-10-14 2004-10-05 Rebuild World Rbw Sa Ossature de batiment.
CN1796096B (zh) * 2004-12-24 2011-09-21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模块化轻量高频平台
JP4781687B2 (ja) * 2005-02-15 2011-09-28 三井住友建設株式会社 建物の柱梁接合構造体の接合方法および建物の柱梁接合構造体
CN103122658B (zh) * 2012-11-26 2015-05-06 北京工业大学 一种工业化装配式多层钢框架结构及其施工方法
RU2581179C1 (ru) * 2014-09-30 2016-04-20 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Худяков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элементов
CN106270398B (zh) * 2016-08-30 2018-11-06 共享铸钢有限公司 一种水轮机叶片芯骨支架的焊接定位方法
AU2017101799B4 (en) * 2017-09-23 2018-04-05 J & S Joyce Pty Ltd Improvements in Building Construction
CN111094673B (zh) * 2018-05-30 2023-05-26 株式会社饭田产业 建筑物和其建筑工法
CN109339087B (zh) * 2018-10-08 2023-10-27 贺州通号装配式建筑有限公司 一种低层建筑的基础结构体系
CN116025081A (zh) * 2023-01-16 2023-04-28 上海市地震局 剪力墙与重型木的框架组合结构及其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56216C (de) * 1943-08-24 1952-11-20 Karl Eugen Dipl-Ing Leibbrand Stahlbeton-Skelett-Bauweise
FR1597020A (ko) * 1968-12-23 1970-06-22
DE2043889A1 (de) * 1970-09-04 1972-06-15 Fa. Josef Knapp IKM-Betonstein-Werk, 7553 Muggensturm Eingeschossiges Allzweckhaus
BE783698A (nl) * 1972-05-19 1972-09-18 Janssens Jacques Wijze op dewelke men een volledig geprefabriceerd gebouw monteren kan.
FR2211032A6 (ko) * 1972-12-18 1974-07-12 Maillard Henri
DE2307093A1 (de) * 1973-02-14 1974-08-22 Fritz Bothe Bauweise und bausatz aus fertigbauteilen fuer stahlbetonbauwerke
FR2233463A1 (en) * 1973-06-12 1975-01-10 Joubert Louis Prefabricated building construction - beam ends rest on cruciform shape heads of columns
GB1572843A (en) * 1977-03-10 1980-08-06 Kanagawa K Building and/or a building method using columns of cruciform section and beams
GR73603B (ko) 1978-12-11 1984-03-26 Wybauw Jacques
FR2464339A1 (fr) * 1979-08-28 1981-03-06 Wybauw Jacques Systeme de construction d'une ossature de batiment par assemblage d'elements prefabriques en beton
BE1008118A3 (fr) 1994-03-18 1996-01-23 Rebuild World Rbw Sa Dalle flottante, procede pour sa realisation et batiment comportant au moins une telle dalle flottan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54418A1 (fr) 1998-12-03
PL337161A1 (en) 2000-07-31
AU6912398A (en) 1998-12-30
CA2291591A1 (fr) 1998-12-03
BR9809696A (pt) 2000-10-03
TR199902906T2 (xx) 2000-02-21
CN1258332A (zh) 2000-06-28
EP0985071A1 (fr) 2000-03-15
JP2002500712A (ja) 2002-01-08
HUP0003576A2 (hu) 2001-02-28
SK161099A3 (en) 2000-06-12
YU61199A (sh) 2001-07-10
BE1011185A5 (fr) 199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20002C1 (ru) Каркас здания
US6393774B1 (en) Construction system for modular apartments, hotels and the like
UA82533C2 (uk) Будівництво великопролітних будинків із саморозкріпленням зі складених несучих стінових панелей і перекриттів
KR20010012535A (ko) 건물 골격구조물
CN106894504B (zh) 一种轻型装配式钢结构房屋及其建造方法
JP2004528497A (ja) 強化建築用パネルおよび三角柱
US5540020A (en) Building panel
JP7365130B2 (ja) 耐震シェルター
CA1078640A (en) Building system and precast module for use therein
DE10005872C1 (de) Raumzelle und aus gleichartigen Raumzellen zusammengesetztes Gebäude
US3466828A (en) Modular wall construction
RU2277619C2 (ru) Строительные панели, фундаментное строение, трехмерная стро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рехмерной строитель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способ утепления здания
JPH0235136A (ja) プレキャスト・プレストレスコンクリート造りの低層住宅及びその工法
JPS6314937A (ja) 鉄筋鉄骨複合柱
JP7178730B2 (ja) 躯体ユニット及び簡易構造物
JP3517352B2 (ja) 共同住宅
KR100414594B1 (ko) 스틸 하우스용 블록 및 그 시공방법
JP7330118B2 (ja) Rc造の躯体を有する建物の構築方法
KR200246526Y1 (ko) 스틸 하우스용 블록
JP2900937B1 (ja) 壁式rc構造物の施工方法
JP3802633B2 (ja) ユニット建物及びその施工方法
JP3153888B2 (ja) 両面吹き付け壁
JPH11303429A (ja) 共同住宅の構造
JP2783053B2 (ja) 壁式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
JPH0427077A (ja) コンクリート製組立型地下室付き住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