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0273B1 - 과부하클러치 - Google Patents

과부하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0273B1
KR100220273B1 KR1019950050304A KR19950050304A KR100220273B1 KR 100220273 B1 KR100220273 B1 KR 100220273B1 KR 1019950050304 A KR1019950050304 A KR 1019950050304A KR 19950050304 A KR19950050304 A KR 19950050304A KR 100220273 B1 KR100220273 B1 KR 100220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rings
load carriers
overload clutch
torqu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0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3891A (ko
Inventor
바네만 라이너
텐펠데 베른트
비벨링 라인하르트
Original Assignee
라이너 라이헤르트
케이티알 쿠푸룽스테크니크 게엠베하
알폰스 제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너 라이헤르트, 케이티알 쿠푸룽스테크니크 게엠베하, 알폰스 제거 filed Critical 라이너 라이헤르트
Publication of KR960023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3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2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3/00Automatic clutches
    • F16D43/02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 F16D43/20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torque, e.g. overload-release clutches, slip-clutches with means by which torque varies the clutching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7/00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 F16D7/04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of the ratchet type
    • F16D7/042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of the ratchet type with at least one part moving axially between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7/00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 F16D7/04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of the ratchet type
    • F16D7/042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of the ratchet type with at least one part moving axially between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 F16D7/044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of the ratchet type with at least one part moving axially between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the axially moving part being coaxial with the rotation, e.g. a gear with face tee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7/00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 F16D7/04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of the ratchet type
    • F16D7/06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of the ratchet type with intermediate balls or rollers
    • F16D7/08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of the ratchet type with intermediate balls or rollers moving axially between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Abstract

허브를 갖춘 구동기를 포함하는 구동측으로부터 피구동기를 포함하는 피구동측으로 토크를 전달하고 제한하는 클러치, 한 압력링은 구동측상에 위치하고, 제2압력링은 피구동측상에 위치한다. 압력링들은 각각 서로 마주보는 측방표면을 포함한다. 측방표면들중 적어도 하나는 그 안에 형성된 함입부들을 갖는다. 잠금 스프링요소는 허브를 둘러싸고 함입부들과 확실한, 분리할 수 있는, 능동연결을 한다. 능동연결은 확실히 맞물리어서 압력링들 사이에 토크를 전달하고 분리되어서 압력링들 사이에 전달된 토크를 제한한다.

Description

과부하클러치
제1도는 볼(ball)모양의 하중전달체와 함께 이용되고 수용구멍을 가진 판스프링 및 구속요소의 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판스프링 및 구속요소의 확대단면도.
제3도는 대칭으로 배열된 수용구멍들을 가지고 제1도에 도시된 판스프링 및 구속요소의 정면도.
제4도는 비대칭으로 배열된 수용구멍들을 가지고 제1도에 도시된 판 스프링 및 구속요소의 정면도.
제5도는 개방된 과부하클러치를 형성하도록, 제1도의 판스프링 및 구속요소를 부착한 상태의 횡단면도.
제6도는 폐쇄된 과부하클러치를 형성하도록, 제1도의 판스프링 및 구속요소를 부착한 상태의 횡단면도.
제7도는 하중전달요소로서 볼(ball)모양의 구름체와 연결되는 판스프링의 수용구멍을 확대한 단면도.
제8도는 하중전달요소로서 볼(ball)모양의 구름체와 연결되고 판스프링내부에 형성된 컵(cup)모양 오목부의 확대단면도.
제9도와 제10도는 예비인장상태로 판스프링을 부착할 때 판스프링 및 구속요소의 횡단면도.
제11도는 외측 및 내측 원주상에서 마주보는 방향으로 물결모양을 이루는 주름구조들을 가진 판스프링 및 구속요소의 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된 판스프링의 정면도.
제13도는 제11도 및 제12도의 판스프링이 부착된 상태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판스프링 2,3 : 수용구멍
2a,3a :요홈 5 : 하중전달체
7,8 : 비드(bead) 16 : 구형헤드
20,21 : 압력링 22,23 : 요홈
24 : 조절나사 26 : 압력링
본 발명은 토크(torque)를 전달하기 위한 스프링 탄성 압력요소들을 이용하여 구동장치로부터 피동장치로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에 관련된다. 클러치는 구동측 및 피동측상의 압력링들과, 이들 사이에서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 압력링들과 완전히 결합하는 한 개 이상의 구속요소들을 포함한다.
한계토크를 초과한 후에,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하고 완전결합 또는 불완전결합하는 운동부품들을 이용하는 과부하 클러치(overload clutch)들에 의해 구동력전달시 과도하게 큰 토크발생이 방지된다.
불완전결합하는 운동부품들이 특수 마찰코팅부들과 끼워맞춤되고, 이들은 축방향 탄성하중들에 의해 서로에 대해 가압된다. 설정된 한계토크가 초과된 후에, 정지마찰력은 충분한 양의 토크를 전달하기에 더 이상 불충분하다. 운동부품들이 서로에 대해 회전운동하고 잔류 토크와 적응하며, 정지마찰력은 미끄럼마찰력으로 변환하며, 이때 미끄럼마찰력은 정지마찰력보다 작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계속적으로 잔류토크를 유지하면서 클러치가 미끄럼운동한다.
구속요소들에 의해 운동부품들의 완전결합이 이루어진다. 구속요소들의 오목부내에 배열되는 구름운동체들이 공지되어 있고, 돌출구조를 이루는 운동부품의 원주부분중 일부분이 접촉상태의 또다른 운동부품의 오목부가 결합한다. 압력링과 같은 운동부품은 정해진 크기의 초기 탄성인장력을 받는다. 동시에 탄성하중에 대하여 압력링들은 축방향운동이 가능하다. 조절가능한 한계토크에 도달될때, 운동부품들이 오목부로부터 빠져나오고, 인접한 오목부내부로 미끄러져 들어갈때까지, 압력링들은 서로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한 개이상의 구속요소들이 축방향으로 운동한다. 과부하상태가 지속되는 동안 상기 과정이 반복된다. 그결과 한계 토크값을 초과하는 동안에, 구속정지 및 구속해제과정이 지속된다.
전체적으로 과부하클러치들의 공지된 설계는 제조비용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기술적 비용지출을 요구한다. 따라서 경제적인 이유에서 과부하 클러치의 적용이 항상 유리한 것은 아니다. 마찰코팅부를 가진 클러치들이 상당히 정확하게 한계토크값으로 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미끄럼운동과정에 의해 소산되어야 하는 상당량의 열이 발생된다. 구름운동체를 이용해 제조되는 완전 결합의 과부하클러치는 구조적으로 길이가 더 커져서, 유극(play)제거의 문제가 중요해진다. 또한 이물질 누적에 대해 상당한 정도의 둔감도를 가지고 유극없이 토크가 전달되는 것이 매우 중요해진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에 따르면, 서로 마주보는 한 개이상의 횡방향표면들이 압력링들에 제공되고, 클러치의 보쓰(boss)를 고정하고 고정기능을 가지는 한 개 이상의 구속요소와 오목부들 또는 돌출부가 완전히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 완전결합하며, 한계토크값에 대해 분리되는 완전결합부를 가지며, 토크를 전달 및 제한하는 클러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용이하게 제조가능한 단순설계의 클러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스프링요소들에 의해 조절가능한 접촉압력은 한계토크값을 설정하고, 동시에 스프링요소들은 완전한 구속요소로서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스프링요소들은 운동부품들사이의 접촉압력을 발생시키고 완전한 구속이 이루어지게 한다. 그결과 설치부품들의 개수가 적어지고, 중략이 적어지며 더욱 단순한 구조가 형성된다. 제조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조립품의 구성이 더욱 단순해져서, 전체 비용면에서 유리해진다.
두가지 크기의 판스프링(plate spring)구속요소들이 한 개의 제조용 다이(die(내에서 제조된다면, 제조과정이 최적화될 수 있다. 한계토크값이 조절너트에 의해 설정됨에 따라, 구동측 및 피동측상에서 압력링의 오목부들내부에 하중전달체들이 단순히 삽입되기 때문에, 조립상태에서 유극제거가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서로 나사체결되는 운동부품 및 스프링요소들의 일체구성에 의해, 구성부품들의 개수가 적어지고 구조는 단순해진다. 구조상 길이가 더욱 짧아지는 것이 중요하다. 발생열량의 증가는 무시할 정도로 작아서, 열축적의 위험이 없어지고, 양호한 열소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 개의 다이내에서 특수한 판스프링들을 제조하는 것과 같이, 구동측 및 피동측의 압력링들이 구속플랜지로서 한 개의 몰드(mold)내에서 생산 가능하여,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두 개의 압력링들내에서 구속요홈들이 정확하게 정렬된다. 구속요소들로서 스프링을 직접 이용하여, 토크가 더욱 정확하게 정렬된다.
허브(hub)를 가진 구동장치를 포함한 구동측으로부터, 피동장치를 포함한 피동측으로, 토크를 전달하고 제한하는 본 발명의 클러치(clutch)에 의해 상기 목적들 및 다른 목적들이 달성된다. 클러치는 구동측의 압력링 및 피동측의 압력링을 포한한다. 각각의 압력링들은 서로 마주보는 횡방향 표면들을 포함한다. 한 개이상의 횡방향표면들이 요홈을 가지며, 상기 요홈은 상기 횡방향표면내에 형성된다. 구속기능의 스프링요소가 허브를 둘러싸고, 상기 요홈들과 탈착가능하게 완전 결합상태를 이룬다. 압력링들 사이에서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 완전결합상태가 이루어지고, 압력링들사이에서 전달된 토크를 제한하기 위해 완전 결합상태가 분리된다. 요홈들과 결합하기 위해 구속기능의 스프링요소는 돌출부를 가진다. 구속기능의 스프링요소는 비드(bead)를 가진 링(ring)모양의 판스프링이다.
압력링들중 한 개의 압력링 및 구속기능의 판스프링사이에 배치되고, 구름운동체들로 구성된 하중전달요소들이 클러치에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구속기능의 판스프링 및 압력링사이에 배치되고 볼록한 돌출부를 가지는 강성의 하중전달체가 클러치에 구성된다. 압력링들중 한개의 압력링상에 위치하는 구형 또는 반구형의 헤드(head)들을 가진 볼트가 상기 하중전달체로 구성된다. 구름운동체를 수용하기 위해 구속기능의 판스프링들은 판스프링내에 형성되고 카운터싱킹(counter sinking) 수용구멍들 또는 요홈들을 포함한다.
압력링들중 한 개가 허브 플랜지(hub flange)로서 구성된다. 구속기능을 가진 여러개의 스프링 요소들이 서로에 대해 배치된다. 구속기능의 스프링요소는 직사각형 이외의 단면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하기 상세한 설명들로부터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및 특징들이 분명해진다.
제1도, 2도 및 제3도에 판스프링(plate spring)(1)이 도시되고, 원형 또는 타원형이 선호되고 서로다른 반경들을 가진 수용구멍(2,3)들이 상기 판스프링(1)에 제공된다. 카운터싱킹(counter sinking)작업에 의해 압력링(20,21)들을 마주보는 수용구멍(2,3)들의 단부에 원추형의 요홈(2a,3a)들이 제공될 수 있다. 제5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것처럼, 수용구멍(2,3)들이 구름운동하는 볼(ball)모양의 하중전달체(5)와 결합된다. 하중전달체(5)는 토크(torque)전달을 위한 전달부재로서 작용한다. 단계적인 결합작용을 허용하고 한 개의 수용구멍으로부터 다음 수용구멍까지 구속해제되도록, 서로 동일한 간격을 가지고 대칭구조를 이루거나 서로 다른 간격을 가지고 비대칭구조를 이루며 수용구멍(2,3)들이 배열가능하다. 비대칭적인 간격구조에 의해, 압력링(21)들은 완전한 회전운동을 한 후에야 판스프링과 다시 결합가능하다.
구름운동하는 볼모양의 하중전달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구멍들을 가진 판스프링의 부착상태가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다. 제5도의 클러치는 개방상태이고, 제6도의 클러치는 폐쇄상태이다. 압력링(21)은 나사가 체결되는 링(ring)모양의 커버(cover)(27)를 가지고, 상기 커버(27)는 토크를 전달하고, 커버의 내측원주부에서 원형의 씰(seal)(25)에 의해 압력링(26)과 씰링상태를 이룬다. 압력링(26)은 허브플랜지(hub flange)로서 설계된다. 상기 커버(27)에 제공된 구멍(31)들에 의해 구동되는 장치가 연결된다.
제7도의 확대도에 있어서, 볼(ball)모양의 하중전달체(5)를 수용하기 위해 카운터싱킹된 요홈(2a,3a)을 가진 각각의 수용구멍(2,3)들이 제공된다. 판스프링(1)의 탄성하중에 의해 요홈(2a,3a)을 가진 수용구멍(2,3)들이 하중전달체(5)에 압축되고, 각각의 압력링(21) 및 압력링(20)에 구성된 각각의 요홈(22)및 요홈(23)내부에 상기 하중전달체(5)들이 배열된다. 과부하(overload)가 작용할때, 하중전달체(5)들은 판스프링(1)으로부터 서로 떨어져 구름운동한다. 클러치허브(clutch hub)의 사용수명은 전적으로 경화된 하중전달체들 및 경화된 판스프링들의 마모상태에 의해 결정된다. 판스프링들 및 하중전달체들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구름운동에 의해 마모상태가 최소화된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구성부품들이 간단히 대체될 수 있다. 허브플랜지 또는 압력링상에는 경화표면이 필요하지 않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되고 고정가능한 조절나사(24)에 의해 구속해제모멘트(moment)가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다. 과부하클러치의 제조시, 단순한 회전식 부품들이 이용될 수 있다. 과부하클러치를 위한 판스프링을 위하여,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판스프링들의 특성을 이용가능하다.
판스프링(1)에 구성되는 컵(cup)모양의 오목부(10)들이 구름운동을 하는 볼(ball)모양의 하중전달체들을 수용하고, 또한 완전결합에 의해 구속된다. 구속해제과정에서, 컵모양을 이루는 오목부(10)들의 경사면변화는 구속해제하중의 점진적인 변화를 야기하고, 이것은 특정한 적용예에서 유리할 수 있다. 제5도 및 제6도의 과부하클러치와 유사한 설계가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된다. 클러치의 하중전달부품과 판스프링사이에서 하중전달부재들로서 볼(ball)을 이용하는 대신에, (제10도의) 반원형 헤드(head)(6) 또는 (제9도의)구형 헤드(16)를 가진 리벳(rivet) 또는 볼트(bolt)들과 같은 강성요소들이 이용된다. 반원형 헤드(6)의 증가된 마찰작용에 의해서 구속해제모멘트가 증가된다.
서로 다른 반경들에 위치하고 비드(bead)(7,8)들을 가진 또다른 판스프링(4)이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된다. 판스프링(4)의 비드(7,8)들이 각각의 압력링(20) 및 압력링(21)의 수용구멍(28,29)들과 결합하는 적용예가 제13도에 도시된다. 압력링(21)은 축방향으로 예비인장력을 받는다. 클러치 허브(clutch hub)(30)로부터 판스프링(4)을 통해 압력링(21)으로 토크가 전달될 수 있도록, 압력링(20)은 구동측에서 압력링의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에 압력링에 나사체결되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피동장치에 토크가 전달된다.
서로다른 한계토크값들을 얻기 위하여, 서로에 대해 지지되고 판모양을 가지며 패키지(package)형태를 이루고 박판구조를 가지는 복수개의 스프링구속요소들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프링폭의 끼워맞춤식 설계이외에, 서로다른 단면형상을 가진 연장개구부를 통해 천공되는 반경방향 절단부를 제공하고, 직사각형 모양이외의 스프링단면을 형성하기 위한 준비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다수의 다른 설계들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들은 다수의 서로다른 공학적 해결방법들중 일부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될지라도,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것처럼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수의 변형예 및 수정예들이 실시될 수 있다.

Claims (7)

  1. 허브를 가지고 구동측을 구성하는 구동장치로부터 피동측을 구성하는 피동장치로 토크를 전달 및 제한하는 과부하클러치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횡방향표면을 가지는 구동측상의 압력링(20)과 피동측상의 압력링(21)으로 한 쌍의 압력링들이 구성되고, 구동장치의 허브를 둘러싸고 상기 압력링(20,21)들 사이에 위치하는 링모양의 판스프링(1)이 구성되며, 상기 판 스프링91)이 내측 원주부 및 외측 원주부를 가지고, 상기 압력링(20,21)들 상에 배열된 복수개의 하중 전달체(5,6)들이 구성되며, 토크전달상태로부터 하중전달체(5,6)들을 판스프링(1)과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이 구성되고, 상기 결합수단을 판스프링(1)의 내측원주부 및 외측 원주부에만 위치하고, 수용구멍(2,3)들 및 비드(7,8)들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하중전달체(5,6)들은 상기 판 스프링(1) 및 압력링(20,21)들 사이에서 탈착가능한 결합 상태를 형성하고, 상기 압력링(20,21)들 사이에서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하중전달체(5,6)들은 결합상태를 이루고, 토크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하중전달체(5,6)들은 분리상태를 이루며, 상기 결합상태로부터 또 다른 결합상태가 형성될때까지, 상기 압력링(20,21)들은 서로에 대해 회전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클러치.
  2. 제1항에 있어서, 또한 압력링(20,21)들내에 복수개의 요홈(22,23)들이 구성되고, 하중전달체(5)들은 압력링(20,21)들내에서 요홈내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클러치.
  3. 제2항에 있어서, 하중 전달체(5)들은 구름운동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클러치.
  4. 제3항에 있어서, 하중 전달체들을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은 상기 구름 운동체들을 수용하기 위한 카운터싱킹(counter sinking)된 복수개의 수용구멍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클러치.
  5. 제3항에 있어서, 하중전달체와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은 상기 구름운동체들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요홈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클러치.
  6. 제1항에 있어서, 하중전달체들은 압력링들위에 배열된 볼록한 돌출부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클러치.
  7. 제1항에 있어서, 하중전달체(6)들은 헤드를 가진 볼트들이고, 상기 볼트들은 상기 압력링들중 한 개에 장착되고, 상기 헤드는 구형 헤드 및 반구형헤들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클러치.
KR1019950050304A 1994-12-16 1995-12-15 과부하클러치 KR1002202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445017A DE4445017A1 (de) 1994-03-12 1994-12-16 Überlastkupplung
DEP4445017.6 1994-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891A KR960023891A (ko) 1996-07-20
KR100220273B1 true KR100220273B1 (ko) 1999-09-15

Family

ID=6536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0304A KR100220273B1 (ko) 1994-12-16 1995-12-15 과부하클러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00196A (ko)
EP (1) EP0717210B1 (ko)
JP (1) JP2694131B2 (ko)
KR (1) KR100220273B1 (ko)
DE (3) DE4445017A1 (ko)
TW (1) TW3024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45279C1 (de) * 1995-12-05 1997-07-10 Krone Bernhard Gmbh Maschf Mähmaschine
JP3412495B2 (ja) * 1997-03-13 2003-06-03 株式会社デンソー 動力伝達装置
DE19815999B4 (de) * 1997-08-25 2006-03-16 Ktr Kupplungstechnik Gmbh Überlastkupplung mit an Außen- und Innenumfang vorgesehenen Materialaussparungen
US6055885A (en) * 1997-09-16 2000-05-02 Shea; Chung-Shien Door operator with detachable electric motor
JP3904301B2 (ja) * 1997-09-25 2007-04-11 サンデン株式会社 動力伝達機構
FR2785953B1 (fr) * 1998-11-17 2000-12-29 Fillon Pichon Sa Installation pour l'agitation du contenu, tel que de la peinture, de pots melangeurs
DE29912154U1 (de) 1999-07-12 1999-11-25 Trw Repa Gmbh Reibkupplung
US6425837B1 (en) * 2000-03-13 2002-07-30 Sanden Corporation Power transmission
DE10017688A1 (de) * 2000-04-08 2001-10-11 Rohs Voigt Patentverwertungsge Federelement, insbesondere für Torsionsschwingungsdämpfer
US6447397B1 (en) * 2000-10-13 2002-09-10 Weasler Engineering, Inc. Detent torque overload clutch
JP2002227875A (ja) * 2001-01-31 2002-08-14 Moric Co Ltd トルクリミッタ
US7574935B2 (en) * 2002-09-30 2009-08-18 Ulrich Rohs Transmission
EA007706B1 (ru) * 2002-09-30 2006-12-29 Ульрих Рос Передат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4988198B2 (ja) * 2002-09-30 2012-08-01 ロース,ウルリヒ 回転変速機
US6886678B2 (en) 2003-05-02 2005-05-03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Clutch assembly for electric motors to prevent back drive
DE102004058809A1 (de) * 2004-12-07 2006-06-08 Robert Bosch Gmbh Handwerkzeugmaschine mit einer Drehmomentbegrenzungseinheit
JP2008025629A (ja) * 2006-07-18 2008-02-07 Toyota Motor Corp 動力伝達装置
WO2008034435A2 (de) * 2006-09-21 2008-03-27 Jenoptik Laser, Optik, Systeme Gmbh Drehbarer handgriff für eine fotokamera
CN101485553B (zh) * 2008-01-18 2011-09-21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自动翻盖装置
US8672110B2 (en) 2010-09-29 2014-03-18 Actuant Corporation Automatic torque overload clutch
DE102015010975A1 (de) * 2015-08-26 2017-03-02 Waggonbau Graaff Gmbh Handbremse für einen Güterwagen
EP3264433A1 (en) * 2016-06-27 2018-01-03 ABB Schweiz AG Overload clutch for medium voltage switchgears and kinematic chain arrangement for medium voltage switchgears
DE102016211921A1 (de) * 2016-06-30 2018-01-04 Robert Bosch Gmbh Werkzeugmaschinenvorrichtung
JP6870168B2 (ja) * 2017-03-29 2021-05-12 株式会社アイシン トルクリミッタ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96059A (en) * 1919-08-25 1924-06-03 Lanzetta Anthony Clutch
US2571879A (en) * 1946-07-25 1951-10-16 Hil Jon Safety Crown Corp Overload release coupling
US2716875A (en) * 1953-03-20 1955-09-06 Hill Charles Watch winding means
US2802354A (en) * 1954-12-06 1957-08-13 Gen Motors Corp Coupling
US3192740A (en) * 1963-06-07 1965-07-06 Robertshaw Controls Co Friction clutch
US3228209A (en) * 1964-03-18 1966-01-11 Richard A Hersey Torque limiting flexible coupling
GB1325679A (en) * 1969-11-26 1973-08-08 Paragon Plastics Ltd Torque limiting device
DE2238851B2 (de) * 1972-08-07 1979-08-30 Hoechst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crolein und/oder Acrylsäure unter Vermeidung von Nachreaktionen bei der katalytischen Oxidation von Propylen und/oder Acrolein
US4046237A (en) * 1975-09-11 1977-09-06 Lipe-Rollway Corporation Clutch with torque limiting brake
CH623899A5 (en) * 1977-07-13 1981-06-30 Richiger Charles Safety clutch
DE2741912C3 (de) * 1977-09-17 1981-10-15 Klaus 5620 Velbert Stein Sicherheits-Ausrückkupplung für den Antrieb der rotierenden Bürsten von Bodenpflegemaschinen
DE2904683C2 (de) * 1979-02-08 1982-08-19 Jean Walterscheid Gmbh, 5204 Lohmar Überlastkupplung
SU872845A1 (ru) * 1979-11-11 1981-10-1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Г-4805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а муфта
SU870788A1 (ru) * 1980-01-04 1981-10-07 За вители А.П.Шовкун и О.И.Дуб: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а муфта
SU956851A1 (ru) * 1980-10-17 1982-09-07 Предприятие П/Я Р-6324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а муфта
DE3208182A1 (de) * 1982-03-06 1983-09-08 Ludwig Ing.(Grad.) 8751 Kleinwallstadt Jakob Drehmomentbegrenzungskupplung
DE3503749A1 (de) * 1985-02-05 1986-08-14 ATEC-Weiss KG, 4426 Vreden Ueberlastkupplung
DE3622624A1 (de) * 1986-07-05 1988-01-14 Man Nutzfahrzeuge Gmbh Zahnradangetriebener als kolbenverdichter ausgebildeter luftpresser mit ueberlastkupplung
FR2663135B1 (fr) * 1990-06-11 1992-10-09 Fillon Pichon Sa Dispositif limiteur de couples pour centre modulaire de melangeage, notamment pour peintures et produits analogues.
DE4222574A1 (de) * 1991-09-13 1993-03-18 Girguis Sobhy Labib Ueberlastkupplung
JPH06221343A (ja) * 1993-01-25 1994-08-09 Fuji Electric Co Ltd トルク制限装置
DE9404184U1 (de) * 1994-03-12 1994-07-28 Kupplungstechnik Gmbh Überlastkupp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17210B1 (de) 1999-10-13
JPH08166023A (ja) 1996-06-25
JP2694131B2 (ja) 1997-12-24
EP0717210A1 (de) 1996-06-19
DE4445017A1 (de) 1995-09-14
US5700196A (en) 1997-12-23
DE29510741U1 (de) 1995-12-14
DE59507044D1 (de) 1999-11-18
KR960023891A (ko) 1996-07-20
TW302423B (ko) 199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0273B1 (ko) 과부하클러치
EP1111261B1 (en) Multi-plate dry clutch having hub movement limiting means
KR101779789B1 (ko) 토크 제한 공차링
WO2006085613A1 (ja) 皿ばね
US4437553A (en) Freewheeling clutch assembly
US11047432B2 (en) Freewheel
JPH0545874Y2 (ko)
US4684002A (en) Device for adjusting a clearance of a twin clutch
KR19990063090A (ko) 클러치 디스크
US5690553A (en) Resilent element having an elastic portion and seat portions for use in a vibration damping device
US3802541A (en) Driven disc assembly for a friction clutch
US4742901A (en) Device for adjusting a clearance of a twin clutch
US4373620A (en) Elastomeric energizer for sprag clutch
US6712188B2 (en) Oneway clutch device
KR100391471B1 (ko) 자동 변속기 다판 클러치의 리턴 스프링
JPH0115728B2 (ko)
JPS62151630A (ja) 摩擦クラツチの被駆動板
US5857548A (en) Clutch assembly having a clutch cover attachable to a flywheel via an intermediate member to provide radially reduced dimensions
US9217478B2 (en) Release mechanism for friction clutch
JP3005155B2 (ja) クラッチ押圧組立体
KR100210115B1 (ko) 다판 클러치
RU1772446C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а фрикционна муфта
KR0112535Y1 (ko) 클러치디스크의 로션스프링 장착시이트
JP3732037B2 (ja) トルク伝達構造
JP2996590B2 (ja) 乾式多板クラ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