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5326B1 - 비작용화된 폴리 (아릴렌 에테르) - Google Patents

비작용화된 폴리 (아릴렌 에테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5326B1
KR100215326B1 KR1019960027710A KR19960027710A KR100215326B1 KR 100215326 B1 KR100215326 B1 KR 100215326B1 KR 1019960027710 A KR1019960027710 A KR 1019960027710A KR 19960027710 A KR19960027710 A KR 19960027710A KR 100215326 B1 KR100215326 B1 KR 100215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poly
arylene ether
polymer
ar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7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6355A (ko
Inventor
프랭클린 버고인 쥬니어 윌리엄
말론 롭슨 로이드
니콜라스 브르티스 레이몬드
Original Assignee
마쉬 윌리엄 에프
에어 프로덕츠 앤드 케미칼스, 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쉬 윌리엄 에프, 에어 프로덕츠 앤드 케미칼스, 인코오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마쉬 윌리엄 에프
Publication of KR970006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5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53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hydroxy compounds or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G65/3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hydroxy compounds or their metallic derivatives derived from phenols
    • C08G65/4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hydroxy compounds or their metallic derivatives derived from phenols from phenols (I) and other compounds (II), e.g. OH-Ar-OH + X-Ar-X, where X is halogen atom, i.e. leaving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hydroxy compounds or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66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01L23/49894Materials of the insulating layer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3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01L23/5329Insulat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95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provided in the groups H01L2924/013 - H01L2924/0715
    • H01L2924/097Glass-ceramics, e.g. devitrified glass
    • H01L2924/09701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 [LTCC]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폴리(아릴렌 에테르), 이의 합성 방법, 및 전자장치 용도에서
집적 회로내의 스핀 코팅된 재료와 같은 저유전성 절연층으로서 이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다.
[ 화학식 1]
상기 식중, m = 0.2 대지 1.0 이고; n 은 1.0 - m 이며; Ar1, Ar2및 Ar3은 각각 하기 화학식 2a 내지 화학식 2j 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2 가의 아릴렌 라디칼이다:
[화학식 2a]
[화학식 2b]
[화학식 2c]
[화학식 2d]
[화학식 2e]
[화학식 2f]
[화학식 2g]
[화학식 2h]
[화학식 2i]
[화학식 2j]

Description

비작용화된 폴리(아릴렌 에테르)
본 발명은 중합체내에 활성화된 플루오르 치환체와 같은 임의의 작용기 또는 반응성 기를 전혀 함유하지 않는 폴리(아릴렌 에테르)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자장치 용도에 있어서 저유전성 절연층으로 유용한 비작용화된(non-functionalized) 폴리(아릴렌 에테르) 및 상기 폴리(아릴렌 에테르)를 함유하는 제품에 관한 것이다.
전자장치 제조산업에서는 집적 회로 및 관련 전자 장치에서 각종 회로간 및 회로의 층들 간의 절연층으로서 유전성 재료를 이용한다. 전자장치 제조 산업이 고밀도로 충전된 회로 패턴에 있어서 보다 미세한 회로 또는 선의 입체형태를 가진 더욱 콤팩트한 회로를 지향함에 따라서, 절연층의 유전상수 요건은 더욱 낮은 값을 갖도록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전자장치 제조 산업에서는 실리카계 층간 유전성 재료를 보다 낮은 유전상수를 가지는 물질로 대체할 필요가 있다. 실리카 및 이의 변형된 생성물은 3.0 내지 5.0, 대개는 4.0 내지 4.5 정도의 유전상수 값을 갖는다. 층간 유전성 재료로서 실리카에 대한 대체 물질로서 사용되는 중합체 재료는 1.9 내지 3.5 범위의 유전상수 값을 가질 수 있는데, 이 유전상수 값은 중합체 재료의 구조에 크게 좌우된다. 층간 유전성 재료로서 실리카를 완벽하게 대체하기 위해서, 중합체 재료의 성질은 전지장치 제조 산업에 있어서의 집적 회로 또는 마이크로칩에 대한 엄격한 제조 요건에 부합되어야 한다.
집적 회로에 대한 유전성 재료로서 각종의 중합체가 제안되어 이용된 바 있으며, 그러한 중합체 재료로서는 폴리이미드 및 불소화(fluorinated) 폴리(아릴렌 에테르)를 들 수 있다.
중합체 유전성 재료내의 플루오르의 존재를 이용하여 몇가지 결과를 달성하였다. 폴리이미드에 있어서, 플루오르 함유 치환체는 유전상수를 감소시키고, 친수성을 저하시키고, 광학적 투명성을 증가시키며, 유기 용매에 대한 폴리이미드의 용해도를 조절한다. 저유전성 재료에 대한 대체물로서 제안된 불소화 폴리(아릴렌 에테르)내에서 플루오르의 존재는, 중합체 전구물질내의 적절한 부위를 활성화시키므로써 불소화 폴리(아릴렌 에테르)의 합성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낮은 유전상수 값을 제공한다. 또한, 폴리이미드는 기체상 부산물로 분해되는 열에 불안정한 유도체로 변화되어 자체발포성 폴리이미드 유전성 재료를 제공하며, 이는 공기의 낮은 유전상수 값 1.00에 기인하여 낮은 유전상수를 갖는다.
네일 헨드릭스, 브래드 반 및 아론 스미스는 1995 년 2 월 21-22 일, DUMIC 컨퍼런스에서 발표한, Fluorinated Poly(aryl ether): Low Dielectric Constant, Thermally Stable Polymers for Sub-Half Micron IMD Applications, 페이지 283-289에서, 얼라이드 시그널에서 개발된 불소화 폴리(아릴 에테르)의 중합체가 유전상수가 낮은 층간 유전성 재료를 제공한다는 것을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불소화 폴리(아릴 에테르)는 낮은 유전상수를 가지며, 가공하는 동안 수분의 가스방출 및 흡착도가 극히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문헌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iF4는 약 540℃의 온도에서 중합체의 분해 생성물로서 검출되었다. 그러한 중합체의 대표적인 예가 미국 특허 제 5,115,082 호에 개시되어 있다.
프랭크 W. 머서 및 티모시 D. 굿맨이 1990 년 9 월, 매사츄세츠, 말보로에서 개최된 국제 전자 패키지 컨퍼런스의 회기중에 보고한 Development of Low Moisture Adsorbing Low Dielectric Constant Dielectrics for Multichip Module Fabrication, 페이지 1042-1062에서 다양한 폴리이미드를, 그 중합체 중량의 20% 이하까지 중합체를 플루오르화시키므로써 멀티칩 모듈용 유전성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플루오르-함유 기의 도입으로 말미암아 유전상수와 수분 흡착이 감소한다.
프랭크 머서, 데이비드 더프, 야누스 보토비츠 및 티모시 굿맨의 저서인 Polymer Material Science Engineering 제 66 권, 1992 년판, 페이지 198-199에 게재한 Low Dielectric Constant Fluorinated Aryl Ethers Prepared From Decafluoro biphenyl에서 5 종의 신규한 불소화 폴리(아릴 에테르)를 보고하고 있다. 중합체 제 2 번은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이 중합체는 전자장치 용도에 있어서 우수한 성질을 갖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프랭크 W. 머서 및 티모시 D. 굿맨의 저서인 Polymer Preparation(American Chemical Society Division of Polymer Chemistry), 제 32(2)권, 1991, 페이지 189-190에 게재된 Factors Affecting the Moisture Adsorption and Dielectric Constant of Fluorinated Aromatic Polymers에서는, 폴리이미드 및 불소화 폴리(아릴 에테르)의 유전 상수가 케톤, 설폰, 및 니트릴 기뿐만 아니라 이미드 연결기와 같은 극성 기의 존재에 좌우된다는 사실을 개시하고 있다. 보고된 중합체는 그 화학 구조내에 이러한 극성 기 또는 활성화된 플루오르 원자를 가진다. 극성 기의 존재는 유전 상수 및 수분 흡착에 대하여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레이켐 코오포레이션은 중합체 파라미터를 조절하기 위하여 가교되고/되거나
말단 캡핑될 수 있는 다양한 불소화 폴리(아릴 에테르)에 관하여 특허를 허여받았으며, 이 중합체는 집적 회로 제조에 사용되는 유전성 재료로서 바람직한 성질을 갖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이와 관련된 특허의 예로서는 미국 특허 제 5,108,840 호, 제 5,114,780 호, 제 5,145,936 호, 제 5,155,175 호, 제 5,173,542 호, 제 5,204,416 호, 제 5,235,044 호, 제 5,270,453 호, 및 제 5,179,188 호를 들 수 있다.
L.M. 롭슨, A.G. 판햄 및 J.E. 맥그라스는 저서인 ACS Polymer Preprints, 제 16(1) 권, 페이지 476-479, 1975에 게재한 Effect of Structure on the Dynamic Mechanical Behavior of Poly(Aryl Ethers)에서, 각종 폴리(아릴 에테르)의 합성법을 개시하고 있는데, 그중 일부는 설폰 연결기를 가지며, 다른 것들은 산소-연결기를 갖는다. 이들 중합체에 대한 구체적인 용도에 관해서는 제안된 바가 없다.
L.M. 롭슨, A.G. 판햄 및 J.E. 맥그라스는 저서인 Applied Polymer Symposium, 제 26 호, 1975, 페이지 373-385에 게재한 Synthesis and Dynamic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Poly(Aryl Ethers)에서, 설폰 연결기를 가진 폴리(아릴 에테르)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에테르 연결기 및 탄소-탄소 화학결합이 설폰 연결 단위 대신에 치환될 수 있음을 기술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 3,332,909 호는 다양한 2 가 (dihydric) 2핵 페닐기를 가지며 R과 R'가 1 내지 18 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탄화수소 라디칼일 수 있는 폴리아릴렌 폴리에테르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중합체는 필름 및 섬유 제품의 제조에 있어서 성형 및 주조된 제품에 유용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M.J. 쥬렉 및 J.E. 맥그라스는 저서인 Polymer Preprint, 제 28(11)권, 1987, 페이지 180-183에 게재한 The Synthesis of Poly(Arylene Ethers)via the Ullmann Condensation Reaction에서, 할로겐화 단량체와 2 가 페닐간의 제 1 구리 촉매-유도된 축합반응에 의해 폴리(아릴렌 에테르)를 생성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중합체는 폴리에테르 설폰류에 비하여 우수한 방사선 안정성 및 낮은 수분 흡착성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지만, 그밖의 유용성에 관한 기재는 없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제 1 구리 촉매를 이는 울만 축합반응에 의해 다양한 폴리(아릴렌 에테르)를 합성한 바 있다. 이러한 폴리(아릴렌 에테르)는 성형 또는 주조가능한 중합체로서의 유용성 이외에 특정한 용도가 개시된 적이 없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다양한 합성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으로서, 집적 회로 및 전자 장치에 대한 층간 유전성 재료에 있어서 저유전성 재료로서 유용한 불소화 폴리이미드 및 불소화 폴리(아릴렌 에테르)의 용도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2 가지 부류의 중합체는 중간 유전성 재료로서 완전하게 허용가능한 것은 아닌데, 폴리이미드의 경우에는 물 또는 비교적 높은 습도의 존재하에서 재료의 친수성 및 극성 기 때문에, 그리고 불소화 폴리(아릴렌 에테르)의 경우에는 고온에서의 잠재적인 불소화 부산물의 생성 가능성 및 불소화 기의 반응성, 특히 금속과의 반응성면에서 허용될 수가 없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불소화된 치환체 또는 상당한 정도의 극성 또는 반응성이 있는 작용기를 갖지 않음과 동시에 높은 상대습도 조건하에서 낮은 친수성, 높은 열 안정성 및 낮은 유전 상수를 제공하는 신규한 폴리(아릴렌 에테르)의 조성물을 제공하므로써, 실리카계 유전성 재료의 대체물로서 유용한 재료, 특히 중합체에 대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한다 .
도 1은 질소 대기하에 450℃에서 본 발명의 중합체(PAE-2 내지 PAE-4)와 종래 기술의 중합체(PAE-1)의 열 안정성을 시간의 함수로서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열 안정성은 중량 손실율(%)로서 측정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라서 합성되고 실시예 6에 따라서 가교된 중합체의 동적 기계적 성질을 도시한 그래프로서, 중합체 필름의 모듈러스를 온도증가에 대해 플롯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아릴렌 에
테르)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 식중, m = 0.2 내지 1.0이고: n은 1.0 - m이며: Arl, Ar2및 Ar3은 각각2 가의 아릴렌 라디칼이다.
Arl, Ar2및 Ar3은 각각 하기 화학식 2a 내지 화학식 2j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2a]
[화학식 2b]
[화학식 2c]
[화학식 2d]
[화학식 2e]
[화학식 2f]
[화학식 2g]
[화학식 2h]
[화학식 2i]
[화학식 2j]
m = 0.5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m = 0.5이고 n = 0.5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m = 1이고, Ar1은 비페닐(biphenyl) 디라디칼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m = 1이고, Ar1은 테르페닐(terphenyl) 디라디칼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구리 촉매의 존재하에 100℃ 내지 300℃ 범위의 고온에서 용매의 존재하에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 (또는 이 단량체와 디올 형태의 다른 인용된 아릴렌 단량체와의 배합물)의 알칼리 금속염과 Ar1및/또는 Ar3의 디할로겐화(dihalogenated) 아릴렌 하나 이상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생성된 폴리(아릴렌 에테르) 생성물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폴리(아릴렌 에테르)를 합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 식중, m = 0.2 내지 1.0이고; n은 1.0 - m이며; Arl, Ar2및 Ar3은 각각 하기 화학식 2a 내지 화학식 2j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되는 2 가의 아릴렌 라디칼이다.
[화학식 2a]
[화학식 2b]
[화학식 2c]
[화학식 2d]
[화학식 2e]
[화학식 2f]
[화학식 2g]
[화학식 2h]
[화학식 2i]
[화학식 2j]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은 Ar1및/또는 Ar3의 디할로겐화 아릴렌에 대하여 대략 화학양론적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을 적절한 용매중에서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과 반응시키고 물과 용매의 공비 증류에 의해서 형성된 물을 제거하므로써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의 알칼리 금속 염을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아릴렌 에테르) 생성물은 냉각 및 용매중에서의 침전에 의해 회수하는 것이 바림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i) 실리콘, 유리 또는 세라믹 기재, (ii) 상기 기재 표면상의 절연 재료로 된 다수의 층 또는 영역, 및 (iii) 인접한 절연 재료의 층들 사이에, 또는 절인 재료의 층 내부에 개재하며 금속 및 반도체 재료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전도성 재료로 된 하나 이상의 층 또는 영역을 포함하는 다층 전자 회로 제품으로서, 상기 절연 재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아릴렌 에테르)를 포함하는, 다층 전자 회로 제품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 식중, m = 0.2 내지 1.0이고; n은 1.0 - m이며; Ar1, Ar2및 Ar3은 각각 하기 화학식 2a 내지 화학식 2j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되는 2 가의 아릴렌 라디칼이다:
[화학식 2a]
[화학식 2b]
[화학식 2c]
[화학식 2d]
[화학식 2e]
[화학식 2f]
[화학식 2g]
[화학식 2h]
[화학식 2i]
[화학식 2j]
m = 0.5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m = 0.5이고 n = 0.5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m = 1이고, Ar1은 비페닐 디라디칼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m = 1이고, Ar1은 테르페닐 디라디칼이다.
본 발명은 또한 기재, 상기 기재상에 지지된 다수의 반도체 칩, 및 상기 반도체칩들을 전자적으로 접속시키며 전도성 재료로 된 다수의 층 또는 영역과 유전성 재료로 된 다수의 층 또는 영역을 포함하는 다층 상호 접속부를 포함하는 멀티칩 모듈로서, 상기 유전성 재료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폴리(아릴렌 에테르)를 포함하는, 멀티칩 모듈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 식중, m = 0.2 내지 1.0이고; n은 1.0 - m이며; Ar1, Ar2및 Ar3은 각각 하기 화학식 2a 내지 화학식 2j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되는 2 가의 아릴렌 라디칼이다.
[화학식 2a]
[화학식 2b]
[화학식 2c]
[화학식 2d]
[화학식 2e]
[화학식 2f]
[화학식 2g]
[화학식 2h]
[화학식 2i]
[화학식 2j]
m = 0.5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m = 0.5이고 n = 0.5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m = 1이고, Ar1은 비페닐 디라디칼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m = 1이고, Ar1은 테르페닐 디라디칼이다.
집적 회로에서 상호 접속부의 규모가 0.5 미크론 이하로 축소됨에 따라서, 비교적 유전상수가 높은 종래의 층간 유전성 재료는 상호접속부에 허용불가능한 정도의 커페시턴스를 제공하게 되었다. 따라서 집적 회로(IC) 산업 분야에서는 실리카계 층간 유전성(ILD) 재료를 유전 상수(ε) 값이 보다 낮은 재료로 대체할 필요성이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리카 및 이의 변형된 생성물은 3.0 내지 5.0 (대개 4.0-4.5) 정도의 ε 값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유기 중합체는 무기 산화물 및 질화물보다 상당히 낮은 유전 상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으므로, 장래 집적시키는 회로에 있어서 금속간 유전성 재료로서 유용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집적시키는 유기 중합체와 관련된 문제점들도 중대하다. 예를 들면 대부분의 유기 중합체의 열 안정성 및 열-산화 안정 성 은 너무 열등하여 최근에 통용되는 역추진식 라인(back-end-of-the-line) 처리 온도에서 집적회로에 사용할 수가 없다. 특정 부류의 중합체, 특히 폴리이미드 및 방향족 연결기를 주로 포함하거나 방향족 연결기만을 포함하는 기타 중합체들은 통용되는 역추진식 처리 온도를 견디기에 충분한 열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유전성 재료로서 추천할 만한 중합체에 있어서 다른 중요한 요건으로서 (a) 커패시턴스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는 낮은 유전 상수, 및 (b) 열 처리동안 수분의 극히 낮은 흡착 및/또는 가스방출 정도를 들 수 있다.
중합체 재료는 1.9 내지 3.5 범위의 ε 값을 가질 수 있으며, 그 값은 구조에 크게 좌우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용도 및 그 밖의 용도, 예를 들면 멀티 칩 모듈 패키지, 캡슐화 및 평판 디스플레이등의 용도에 대하여 현재 통용되는 중합체 재료보다 탁월한 신규 부류의 중합체 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아릴렌 에테르)는 우수한 열 안정성, 낮은 유전 상수, 낮은 수분 흡수성 및 낮은 수분 가스방출 성질의 탁월한 조합을 나타낸다. ILD로서 실리카를 대체하기 위해서는, 중합체 재료의 성질은 마이크로칩에 대한 엄격한 제조 요건에 부합되어야 한다.
하기 표 1은 IC 제조업자들에 의해 설정된 요건을 요약한 것이다.
[표 1]
IC 제조업자에 의해 설정된 낮은 ε 의 ILD에 대한 요건의 요약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비작용화된 폴리(아릴렌 에테르)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 식중, m = 0.2 내지 1.0이고; n = 1.0 - m이며; Ar1, Ar2및 Ar3은 각각 2 가의 아릴렌 라디칼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다:
[화학식 2]
상기 식중, m = 0.2 내지 1.0이고; n = 1.0 - m이며; Ar1및 Ar3은 각각 2 가의 아릴렌 라디칼이다.
하나 이상의 방향족 고리 구조를 나타내는 단량체 Ar1, Ar2및/또는 Ar3은 하기 화학식 2a 내지 2j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통상적으로, 중합반응 이전에 디할로겐화된 형태의 Ar1및 Ar3, 또는 잠재적으로 디히드록시 형태의 Ar2, 바람직하게는 디브롬화된 형태의 Ar1및 Ar3, 또는 잠재적으로 디히드록시 형태, 이의 칼륨, 나트륨 또는 리튬 염 형태의 Ar2이며, 이들 단량체의 혼합물은 디할로겐화 단량체 Ar1및/또는 Ar3와 잠재적으로 디히드록시 형태인 단량체 Ar2를 울만 축합반응에 의해 동시-에테르화시킬 수 있도록 선택되지만; 할로겐화 작용기 및 히드록시 작용기가 둘다 존재하는 디라디칼을 가질 수도 있음).
[화학식 2a]
[화학식 2b]
[화학식 2c]
[화학식 2d]
[화학식 2e]
[화학식 2f]
[화학식 2g]
[화학식 2h]
[화학식 2i]
[화학식 2j]
상기 각각의 화학식 2a 내지 2j에 상응하는 아릴렌 라디칼의 명칭은 다음과 같다. 화학식 2a = 페닐렌, 화학식 2b = 비페닐 디라디칼, 화학식 2c = 파라-테르페닐 디라디칼, 화학식 2d = 메타-테르페닐 디라디칼, 화학식 2e = 오르토-테르페닐 디라디칼, 화학식 2f = 나프탈렌 디라디칼, 화학식 2g = 안트라센 디라디칼, 화학식 2h = 페난트렌 디라디칼, 화학식 2i = 9,9-디페닐플루오렌의 디라디칼, 및 화학식 2j = 디벤조푸란의 4,4′-디라디칼.
본 발명의 중합체의 기본 반복 단위를 구성하는 그밖의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2k로 표시되는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이다:
[화학식 2k]
Ar1, Ar2및 Ar3를 변화시켜서 다양한 성질, 예컨대 결정도, 모듈러스, 인장강도등의 감소 또는 제거를 달성할 수 있는 한편,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 연결체는 높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진 중합체를 제공한다. 이러한 중합체는 본질적으로 화학적 불활성이며, 극성이 낮고 추가의 작용기 또는 반응성 기를 갖지 않으며, 불활성 대기중에서 400-450℃ 범위의 온도에 대하여 열적으로 안정하다.
상기한 기본적인 페닐 단량체 또는 다중 페닐 라디칼 또는 다핵 방향족 단량체, 뿐만 아니라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을 포함하는 디페놀에 부가하여, 본 발명의 중합체는 약 350℃ 이상의 온도에의 노출을 통해 자체 가교되므로써, 또는 중합체에 가교제를 제공하고 공지의 말단 캡핑제(예, 페닐에티닐, 벤조시클로부텐, 에티닐 및 니트릴)로 중합체를 말단 캡핑하므로써 가교될 수 있다.
중합체는 단일의 반복 단위, 예를 들면 전술한 페닐렌 또는 비페닐 디라디칼 및 화학식 2i 의 플루오렌 유도체 배합물중의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는 단독중합체이거나, 또는 중합체는 본 발명의 화학식 1 의 반복 단위와 함께 당분야에 공지된 기타 폴리올및 페닐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폴리(아릴렌 에테르) 중합체는 페닐렌(화학식 2a)와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의 에테르화 반응에 의한 공중합체 및 상기한 플루오레닐리덴 유도체(화학식 2k)에 의해 유사하게 에테르화된 비페닐 디라디칼(화학식 2b)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플루오레닐리덴 유도체(화학식 2k)로 에테르화된 화학식 2a 내지 2j의 화합물의 조합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반복 단위가 다른 유형의 중합체의 반복 단위와 배합되어 있는 공중합체에 있어서, 반복 단위의 60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몰% 이상은 본 발명의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중합체는 교번식(alternating),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합체는 화학적으로 불활성이며 마이크로전자 장치 제조에 그 중합체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작용기를 전혀 갖지 않는다는 점에서, 비작용성이다. 본 발명의 중합체는 아미드, 이미드 및 케톤과 같은 물의 흡착을 촉진하는 카르보닐 잔기를 갖지 않는다. 본 발명의 중합체는 플루오르, 염소, 브롬 및 요오드와 같은 금속 증착 공정에서 금속 공급원과 반응할 수 있는 할로겐을 갖지 않는다. 본 발명의 중합체는 상기 9,9-플루오레닐리덴 기(퍼페닐화됨)내의 연결 탄소 원자 또는 상기 화학식 2j 의 화합물의 산소원자를 제외하고는, 방향족 탄소를 주성분으로 한다.
본 발명의 중합체는 멀티칩 모듈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대개 실리콘, 유리 또는 세라믹으로 제조된 기재가 고밀도의 다층 상호 접속부들을 지지하고, 다양한 층들 사이에서 절연을 제공하는 유전성 재료는 본 발명의 중합체이다. 상호 접속 부상에는 반도체 칩이 장착되며, 이 칩들은 상호 접속부내의 전기 전도체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또한 기재는 예를 들면 전원(power) 및 접지를 위한 전기 전도체를 함유할 수도 있다. 납 테두리는 외부 회로에의 접속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다층 상호 접속부에 있어서, 전기 접속 층들은 본 발명의 중합체에 의해서 서로 분리된다. 또한 본 발명의 중합체는 각종의 전도체 영역들, 예를 들면 공통된 층내의 다양한 불연속 전도체들 사이를 분리시킬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 각종 층들 사이에서 비아(via)가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상호 접속부는 결합 패드에 의해서 집적 회로칩에 접속된다. 상기 비아는 적층된 지주형(pillar)의 설계로 될 수 있지만, 당해 기술분야에 통용되는 다른 설계, 예를 들면 계단식 또는 내포식(nested) 비아 설계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는 그밖의 멀티칩 모듈 설계는 종래 기술을 통해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폴리(아릴렌 에테르)는 단일의 집적 회로 칩과 관련된 상호 접속부에서 층간 유전체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집적 회로 칩은 통상 그 표면상에 폴리(아릴렌 에테르)유전체로 된 다수의 층 및 금속 전도체로 된 다수의 층을 갖는다.
또한 집적 회로 칩은 집적 회로의 동일한 층 또는 레벨에서 불연속된 전도체 영역들 또는 금속 전도체들 사이에 폴리(아릴렌 에테르) 유전체의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폴리(아릴렌 에테르) 중합체는 통상의 실리콘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 중합체는 전도체 재료로 된 층들사이에서 유전성 재료로서 사용된 실리콘을 함유하는 층상의 금속선 사이에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아릴렌 에테르)는 집적 회로 칩상에서 알파 입자에 대한 보호명으로 유효한 보호성 코팅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반도체 장치는, 패키지 또는 다른 인접한 재료내의 미량의 방사성 오염물질로부터 방출된 알파 입자가 활성 표면에 타격을 가할 경우 소프트 에러를 받아들이기 쉽다. 집적 회로는 본 발명의 폴리(아릴렌 에테르)로 된 보호성 코팅을 구비할 수 있다. 통상, 집적 회로 칩은 기재상에 장착되며 적절한 접착제에 의해서 적소에 유지된다. 본 발명의 폴리(아릴렌 에테르)로 된 코팅은 칩의 활성 표면에 알파 입자 보호층을 제공한다. 임의로, 예를 들면 에폭시 또는 실리콘으로 된 봉입 재료(encapsulant)에 의해서 추가의 보호 수단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아릴렌 에테르)는 회로판 또는 인쇄배선판에서 기재(유전성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아릴렌 에테르)로 제조된 회로판의 표면에는 각종의 전기 전도체 회로를 위한 패턴이 장착된다. 회로판은 본 발명의 폴리(아릴렌 에테르) 이외에도 각종의 강화 재료, 예를 들면 직물 비전도성 섬유, 예컨대 유리 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와 같은 회로판은 단면으로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면 또는 다층으로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폴리(아릴렌 에테르)의 필름 또는 코팅은 분무, 스핀 코팅 또는 캐스팅과 같은 용액 기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스핀 코팅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용매로는 2-에톡시에틸 에테르, 시클로헥산온, 시클로펜탄온, 톨루엔, 크실렌, 클로로벤젠, N-메틸 피롤리딘온,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메틸 이소부틸 케톤, 2-메톡시에틸 에테르, 5-메틸-2-헥산온, γ-부티로락톤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통상적으로, 코팅 두께는 약 0.1 내지 약 15 미크론 범위이다. 층간 유전성 재료로서 필름 두께는 2 미크론 이하이다.
첨가제를 사용하여 특정의 목적하는 성질을 증강시키거나 부여할 수 있음은 중합체 분야에 종래부터 공지된 사실이며, 그와 같은 첨가제로서는 안정제, 난연제, 안료, 가소제,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상용성 또는 비상용성 중합체를 배합하여 소정의 성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부착촉진제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폴리(아릴렌 에테르) 중합체를 적절한 기재에 부착시킬 수 있다. 그와 같은 촉진제로는 헥사메틸디실라잔을 들 수 있으며, 이것은 히드록실 작용기의 원인이 되는 수분 또는 습기에 노출되었고, 예컨대 이산화 실리콘과 같은 표면상에 존재할 수 있는, 이용가능한 히드록시 작용기와 상호작용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전자 장치 용도에 사용되는 중합체는, 특히 층간 유전성 재료의 경우에는 소량(일반적으로 1 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ppb 이하)의 이온성 불순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울만 축합반응에 의거한 합성 과정은 3 가지 주요한 잠재적인 오염물질 공급원을 가지며, 이는 울만 축합반응에 실행가능한 합성법으로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제거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들 오염물질 공급원은 구리 촉매, 히드록시 전구물질의 염으로부터 유래한 나트륨 및 아릴렌 전구물질로부터 유래한 할로겐(예, 브롬)이다. 본 발명에서 울만 축합반응을 이용해 필요한 정도의 순도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은 의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심각한 오염 문제를 최초로 해결한 적절한 정제 및 응결/추출 과정이 확인되었을 때, 울만 축합반응에 의해서 본 발명의 중합체를 고순도로 생성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폴리(아릴렌 에테르)는 우수한 고온 안정성을 나타낸다. 또한 이 중합체는 350 내지 450℃ 의 고온에서 가교될 수 있다. 고온에서의 가교 능력 때문에 본 발명의 폴리(아릴렌 에테르)는 마이크로전자 장치 용도에 있어서 특히 유용한데, 본 발명의 폴리(아릴렌 에테르)는 용액으로부터 신속하게 도포된 후에 가열에 의해서 내용매성 코팅으로 전환될 수 있기 때문이다.
폴리(아릴 에테르)는 울만 반응의 적절한 변경에 의해 직쇄의 고분자량 중합체로 제조된다. 울만은 구리 분말이 당해 반응에 의해서 방향족 에테르를 제조하기 위한 촉매임을 최초로 예시했다. 제 1 구리 이온이 활성 촉매이며 Cu0또는 Cu++는 활성이 없음도 지적되었다. 산화성 커플링 시스템에 있어서, 구리는 산화환원 방식으로 작용하여 교대로 Cu++상태와 Cu+상태 사이를 오가며, 반응은 비교적 저온에서 일어난다. 울만 반응의 메카니즘에 대한 연구 결과 Cu+가 활성의 화학종이며, 방향족 할라이드의 π 시스템과 배위되므로써 탄소-할로겐 개열을 촉진하는 것으로 결론지어졌다. 이러한 반응도식은 본질적으로 친핵성 방향족 치환반응이다. 울만 반응을 사용할 경우, 할라이드 치환 반응의 용이성은 I, Br Cl F의 순서이며, 이러한 순서는 폴리에테르 형성 반응에 있어서 활성화된 할라이드에 대해 관찰된 순서와 반대 순서이다. 울만 반응은 고온, 예컨대 180 내지 230℃ 의 고온을 필요로 한다. 용매가 불활성이고, 제조되는 폴리에테르에 대한 용매인 한 용매의 유형은 중요하지 않다. 이와는 달리, 활성 할라이드 반응을 사용할 경우, 용매의 종류가 중요한 인자이며, 낮은 반응 온도가 사용될 경우 소수의 용매에 국한된다. 그러므로, 비활성화된 아릴 할라이드의 친핵성 방향족 치환 반응은 울만 축합반응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Ar1및/또는 Ar3으로서 상기 화학식 2a 내지 2j에 나타낸 유형의 디할로겐화 폐닐계 화합물 1 종 이상을 사용하고, Ar2로서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 및 잠재적으로 디히드록시 형태의 화학식 2a 내지 2j 의 화합물의 알칼리 금속염을 사용하여 반응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리(아릴렌 에테르) 중합체의 반복 단위는 상기 화학식 2a 내지 2j로 표시되는 할로겐화 또는 알칼리금속염 디올 전구물질 형태의 다핵 방향족 화합물 또는 아릴렌 유도체 1 종 이상의 혼힙물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아릴렌 디라디칼상에 하나의 히드록시와 하나의 할로겐을 포함하는 방향족 구조를 전술한 바와 같은 합성 과정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를 다른 모노히드록시/모노할로겐화 구조 뿐만 아니라 디히드록시 및 디할로겐화 아릴렌 디라디칼과 조합시킬 수도 있다. 목적하는 분자량에 대한 핵심 인자는 물론 히드록시/할로겐 비율이 될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아릴렌 에테르)는 2 가의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의 이중 알칼리 금속염, 잠재적으로 상기 화학식 2a 내지 2j 의 화합물의 2 가 형태의 이중 알칼리 금속 염과,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2a 내지 2j로 표시되는 디브로모 아릴렌 유도체 1종 이상을 촉매인 제 1 구리 염 또는 제 1 구리 염 착물의 존재하에서 거의 동몰량으로 반응시키므로써 제조될 수 있다. 2 가의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 유도체의 임의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추가로 상기 화학식 2a 내지 2j 의 화합물의 2 가 형태의 임의의 알칼리 금속 염을 반응물질들중 하나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고분자량의 중합체를 얻기 위해서는 실질적으로 무수 조건하에 무산소 대기중에서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반응은, 2 가의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 유도체(또는 추가로 상기 화학식 2a 내지 2j 의 다른 2 가 화합물)의 알칼리 금속 염 및/또는 화학식 2a 내지 2j로 표시되는 디브로모아릴렌 유도체가 어느 정도 용해하는 불활성 희석제 중에서 수행된다. 적당한 용매로서는 볜조페논, 디페닐 에테르, 벤조니트릴, 알콕시 기가 1 내지 4 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디알콕시벤젠, 각각의 알콕시 기가 1 내지 4 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트리알콕시벤젠, 디페닐설폰,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설폰, 디에틸설폭사이드, 디에틸설폰, 디이소프로필설폰, 테트라히드로티오펜, 1,1-디옥사이드(테트라메틸렌 설폰 또는 설포란), 테트라히드로티오펜-1-모노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2 가의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 유도체의 이중 알칼리 금속 염은일반적으로 수화물 형태로 존재하며, 이것은 무수 조건을 확보하기 위해, 별도로 또는 반응 물질중에서 탈수시켜야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알칼리 금속 염은 2 가의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 유도체를 알칼리 금속,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알칼리 금속 수소화물,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알칼리 금속 탄산염 또는 알칼리 금속 알킬 화합물과 반응시킨 후에, 반응 물질로부터 물을 함유하는 공비혼합물을 증류 제거하므로써, 또는 유사한 기법에 의해서 물을 제거하여 무수 조건을 달성하는 것에 의해, 불활성 희석제 중에서 시추(situ)상에서 제조할 수 있다. 벤젠, 크실렌, 할로겐화 벤젠, 톨루엔 및 기타 불활성 공비혼합물을 형성하는 유기 액체가 이러한 목적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화학식 2a 내지 2j로 표시되는 다른 2 가의 화합물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유사한 처리가 적절하다.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제 1 구리 촉매는 제 1 구리 염, 예컨대 할로겐화 제 1 구리, 예를 들면 염화 제 1 구리, 브롬화 제 1 구리 또는 요오드화 제 1 구리일 수 있다. 할로겐화 제 1 구리가 매우 효과적이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만, 다른 제 1 구리 염, 예를 들면 아세트산 제 1 구리, 포름산 제 1 구리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 구리 촉매는 상기 제 1 구리 염을 착물형성 시약, 예를 들면 피리딘, 디메틸 아세트아미드, 퀴놀린, 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과 조합시키므로써 얻어지는, 전술한 제 1 구리 염의 착물일 수 있다. 착물형성 시약의 양은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지만, 통상 제 1 구리 염보다 과량이다.
화학식 2a 내지 2j 의 디브로모 아릴렌과 2가의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 유도체의 알칼리 금속 염(화학식 2a 내지 2j 의 디올이 추가되거나 추가되지 않음)간의 바람직한 반응은 등몰에서 진행한다. 디올과 디브로마이드의 비율을 변화시키므로써 분자량 분포를 변화시킬 수 있다.
실온 이상의 반응 온도, 일반적으로 100℃ 이상의 반응 온도가 바람직하다. 180℃ 내지 250℃ 의 반응 온도가 더욱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가 이보다 높으면 반응 물질, 중합체 및 사용된 용매가 변성되거나 분해될 수 있다.
중합체는 임의의 통상적인 방식으로, 예를 들면 반응 물질을 냉각하거나 또는 그 중합체가 불용성인 용매를 첨가하여 유발되는 침전에 의해 반응 물질로부터 회수하거나, 또는 고형의 중합체는 감압하에 또는 고온에서 용매를 스트리핑하므로써 회수할수 있다.
중합 반응은 각각의 커플링 반응에 의해 알칼리 금속 할라이드(대개는 브로마이드)를 형성하므로, 중합체 용액으로부터 그 염을 여과하거나 중합체를 세척하여 그 중합체에 이들 염이 거의 존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중합체에 대하여 다른 합성 기법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는바, 예를 들면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니켈 촉매 커플링 합성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I. 콜론등의 저서인 J. Poly. Sci., 파트 A, Poly. Chem. 제 28 권, 페이지 367-383(1990)을 참조할 수 있다.
제조된 구체적인 폴리(아릴렌 에테르)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5(PAE-2), 화학식 6(PAE-3) 및 화학식 7(PAE-4)로 표시된 바와 같다. 하기 화학식 4 의 PAE-1은 미국 특허 제 3,332,909 호에 개시된 조성물이며, 비교예로서 사용하였다.
[화학식 4]
[화학식 5]
[화학식 6]
[화학식 7]
등온 안정성 데이타(450℃) (표 4 및 도 1)의 비교 결과 폴리(아릴렌 에테르) PAE-1은 마이크로전자 장치에 있어서 층간 유전체 용도에 요구되며 PAE-2, PAE-3 및 PAE-4 가 나타내는 열 안정성을 갖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도 1은 질소중 450℃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중량 손실율(%)로서 열 안정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중합체의 열 안정성은 종래 기술의 중합체인 PAE-1에 비하여 현저하게 탁월하다.
표 3에 제시한 바와 같이, PAE-1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다른 폴리(아릴렌 에테르)에 비해서 훨씬 낮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다.
최근 보고된 논문(헨드릭스, N.H. ; 반, B. ; 스미스, A. ; Proceedings First International Dielectrics for VLSI/ULSI multilevel Interconnection Conference (DUMIC), 1995, 페이지 283-89)에서는, 고리 불소화된 폴리(아릴렌 에테르)가 고온에서 실리콘 표면과 반응하여 SiF4를 생성한다는 증거가 제공되었다. 또한 화학분야의 당업자라면 상기 불소화된 중합체가 마이크로칩 제조에 요구되는 고온하에서 구리, 알루미늄 및 텅스텐과 같은 금속과 반응한다는 사실을 예상할 것이다.
[실시예 1( 비 교 예 )]
딘-스타크(Dean-Stark) 트랩, 응축기, 질소 주입구, 기계적 교반기 및 온도계가 구비된 500 mL 의 3-목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33.624 g(0.1000 몰)의 2,2-비스-(4-히드록시페닐)-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판, 75 g 의 톨루엔, 및 100 g 의 벤조페논의 혼합물을 장입하였다. 그 혼합물을 질소 대기하에 교반시키면서 60℃로 가열하였다. 혼합물이 균질해진 후에, 16.000 g 의 수산화 나트륨 50.00 중량% 수용액(수산화 나트륨 0.2000 몰)을 10 분에 걸쳐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약 140℃로 가열하고, 물 공비혼합물을 수집하였다. 4 시간이 경과하여 완전한 탈수를 달성한 후에,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200℃로 증가시키고 톨루엔을 증류 제거하였다. 그 반응 혼합물을 80℃로 냉각시키고 31.202g(0.1000 몰)의 4,4'-디브로모비페닐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200℃로 가열하였다. 제조 직후의 15 mL 분량의 염화 구리(I)/퀴놀린 용액(약 0.15 g의 염화 구리(I) 함유, 1.00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7 시간동안 200℃로 유지시켰다. 이어서 10 g 분량의 브로모벤젠을 첨가하였다. 1 시간 경과후에, 반응 혼합물을 100℃로 냉각시키고, 톨루엔 200 g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1000 g의 메탄올중에 아세트산 25 g 의 급속 교반된 용액중에서 반응 혼합물을 급냉시켰다. 침전물을 분리시키고 비등수 2 L중에 8 시간동안 방치하였다. 먼저 침전물을 오븐(100℃)에서 건조시킨 후에, 테트라히드로푸란 300 g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중합체 용액을 여과한 후에 1 L 의 메탄올중에서 침전시켰다. 그 침전물을 수집하고 메탄올로 세척한 후에, 진공 오븐(100℃)에서 밤새 건조시켰다.
이와 같은 절차에 의해서 39.46 g 의 중합체 PAE-1을 수득하였으며, 이는 하기 표 2에 제시한 바와 같은 성질을 갖는다.
[실시예 2(비교예)]
촉매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의 절차를 반복하였다. 염화 구리(I)(3.00g, 0.223 몰)을 질소 블랭킷하에 함유된 증류 직후의 퀴놀린 20 g에 첨가하였다. 그 혼합물을 48 시간동안 25℃ 하에 교반시켰다. 데칸트법에 의해 분리시킨 10 mL 분량의 액체를 촉매로서 사용하였다.
상기 절차에 의해서 37.15 g 의 중합체 PAE-1을 수득하였으며, 이는 하기 표 2, 3 및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성질을 가졌다.
[실시예 3(단량체 B)]
50 mL 플라스크내에서, 3.00 g(0.223 몰)의 염화 구리(I)를 질소 블랭킷하에 함유된 증류 직후의 퀴놀린 20 g에 첨가하였다. 그 혼합물을 48 시간동안 25℃하에 교반시켰다. 데칸트법에 의해 분리시킨 10 mL 분량의 액체를 촉매로서 사용하였다.
딘-스타크 트랩, 응축기, 질소 주입구, 기계적 교반기 및 온도계가 구비된 500 mL 의 3-목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35.0421 g(0.1000 몰)의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 75 g 의 톨루엔, 및 100 g 의 벤조페논의 혼합물을 장입하였다. 그 혼합물을 질소 대기하에 교반시키면서 60℃로 가열하였다. 혼합물이 균질해진 후에, 16.000 g 의 수산화 나트륨 50.00 중량% 수용액(수산화 나트륨 0.2000 몰)을 10 분에 걸쳐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약 140℃로 가열하고, 물공비혼합물을 수집하였다. 4 시간이 경과하여 완전한 탈수를 달성한 후에,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200℃로 증가시키고 톨루엔을 증류 제거하였다. 그 반응 혼합물을 80℃로 냉각시키고 31.202 g(0.1000 몰)의 4,4'-디브로모비페닐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200℃로 가열하였다. 10 mL 분량의 염화 구리(I)/퀴놀린 촉매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그 반응 혼합물을 17 시간동안 200℃로 유지시켰다. 이 시간이 경과한 후에,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의 디나트륨 염의 대부분은 용액으로 전환되었다. 반응 혼합물에 0.15 g 분량의 건조 염화 구리(I)분말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이후 24 시간동안 200℃ 하에 유지시켰다. 10 g 분량의 브로모벤젠을 첨가하였다. 1 시간 경과후에, 반응 혼합물을 100℃로 냉각시키고, 톨루엔 200 g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1000 g 의 메탄올중에 아세트산 25 g의 급속 교반된 용액중에서 반응 혼합물을 급냉시켰다. 침전물을 분리시키고 8 시간동안 비등수 2 L 중에 방치하였다. 먼저 침전물을 오븐(100℃)에서 건조시킨 후에, 테트라히드로푸란 300 g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중합체 용액을 여과한 후에 1 L 의 아세톤중에서 침전시켰다. 그 침전물을 수집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 300 g에 용해시킨 후에 1 L 의 아세톤중에서 재침전시켰다. 중합체를 수집한 후에, 진공 오븐(100℃)에서 밤새 건조시켰다.
이와 같은 절차에 의해서 약 42 g 의 중합체를 수득하였으며, 이는 하기 표 2, 3 및 4에 제시한 바와 같은 성질을 갖는다. 그 중합체를 ICP-AES(유도 결합 플라즈마-원자 발광 분광분석)에 의해 분석한 결과, 건조 중합체내의 구리 및 나트륨 함량은 각각 3.40 ppm 미만 및 6.00 ppm 미만인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4(단량체 C)]
35.0421 g(0.1000 몰)의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과 38.8104g(0.1000 몰)의 4,4-디브로모테르페닐의 축합반응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3 의 일반적인 절차를 수행하였다. 총 41 시간의 반응 시간 경과후에, 본 실시예의 절차에의해서 약 36.8 g 의 중합체를 수득하였으며, 그 성질은 하기 표 2, 3 및 4에 제시했다.
50 mL 플라스크내에서, 3.00 g(0.223 몰)의 염화 구리(I)를 질소 블랭킷하에 함유된 증류 직후의 퀴놀린 20 g에 첨가하였다. 그 혼합물을 48 시간동안 25℃ 하에 교반시켰다. 데칸트법에 의해 분리시킨 10 mL 분량의 액체를 촉매로서 사용하였다.
딘-스타크 트랩, 응축기, 질소 주입구, 기계적 교반기 및 온도계가 구비된 500 mL 의 3-목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35.0421 g(0.1000 몰)의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 75 g 의 톨루엔, 및 100 g 의 벤조페논의 혼합물을 장입하였다. 그 혼합물을 질소 대기하에 교반시키면서 60℃로 가열하였다. 혼합물이 균질해진 후에, 16.000 g 의 수산화 나트륨 50.00 중량% 수용액(수산화 나트륨 0.2000 몰)을 10 분에 걸쳐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약 140℃로 가열하고, 물 공비혼합물을 수집하였다. 4 시간이 경과하여 완전한 탈수를 달성한 후에,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200℃로 증가시키고 톨루엔을 증류 제거하였다. 그 반응 혼합물을 80℃로 냉각시키고 38.8104 g(0.1000 몰)의 4,4-디브로모테르페닐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200℃로 가열하였다. 10 mL 분량의 염화 구리(I)/퀴놀린 촉매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그 반응 혼합물을 17 시간동안 200℃로 유지시켰다. 이 시간이 경과한 후에,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의 디나트륨 염의 대부분은 용액 상태로 되었다. 반응 혼합물에 0.15 g 분량의 건조 염화 구리(I)분말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이후 24 시간동안 200℃ 하에 유지시켰다. 10g 분량의 브로모벤젠을 첨가하였다. 1 시간 경과후에, 반응 혼합물을 100℃로 냉각시키고, 톨루엔 200 g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1000 g 의 메탄올중에 아세트산 25 g의 급속 교반된 용액중에서 반응 혼합물을 급냉시켰다. 침전물을 분리시키고 8 시간동안 비등수 2 L 중에 방치하였다. 먼저 침전물을 오븐(100℃)에서 건조시킨 후에, 테트라히드로푸란 300 g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중합체 용액을 여과한 후에 1 L 의 아세톤중에서 침전시켰다. 그 침전물을 수집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 300 g에 용해시킨 후에 1 L 의 아세톤중에서 재침전시켰다. 중합체를 수집한 후에, 진공 오븐(100℃)에서 밤새 건조시켰다. 그 중합체의 성질을 하기 표 2-4에 제시하였다.
[실시예 5(단량체 B/C)]
35.0421 g(0.1000 몰)의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과 15.6010g(0.0500 몰)의 4,4'-디브로모비페닐 및 19.4052 g(0.0500 몰)의 4,4-디브로모 테르페닐의 축합반응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3 의 일반적인 절차를 수행하였다. 총 41 시간의 반응 시간 경과후에, 본 실시예의 절차에 의해서 약 43.8 g 의 중합체 PAE-4를 수득하였으며, 그 성질은 하기 표 2, 3 및 4에 제시하였다.
50 mL 플라스크내에서, 3.00 g(0.223 몰)의 염화 구리(I)를 질소 블랭킷하에 함유된 증류 직후의 퀴놀린 20 g에 첨가하였다. 그 혼합물을 48 시간동안 25℃ 하에 교반시켰다. 데칸트법에 의해 분리시킨 10 mL 분량의 액체를 촉매로서 사용하였다.
딘-스타크 트랩, 응축기, 질소 주입구, 기계적 교반기 및 온도계가 구비된 500 mL 의 3-목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35.0421 g(0.1000 몰)의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 75 g 의 톨루엔, 및 100 g 의 벤조페논의 혼합물을 장입하였다. 그 혼합물을 질소 대기하에 교반시키면서 60℃로 가열하였다. 혼합물이 균질해진 후에, 16.000 g 의 수산화 나트륨 50.00 중량% 수용액(수산화 나트륨 0.2000 몰)을 10 분에 걸쳐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약 140℃로 가열하고, 물 공비혼합물을 수집하였다. 4 시간이 경과하여 완전한 탈수를 달성한 후에,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200℃로 증가시키고 톨루엔을 증류 제거하였다. 그 반응 혼합물을 80℃로 냉각시키고 15.6010 g(0.0500 몰)의 4,4'-디브로모비페닐 및 19.4052 g(0.0500 몰)의 4,4-디브로모테르페닐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200℃로 가열하였다. 10 mL 분량의 염화 구리(I)/퀴놀린 촉매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그 반응 혼합물을 17 시간동안 200℃로 유지시켰다. 이 시간이 경과한 후에,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의 디나트륨 염의 대부분은 용액 상태로 되었다. 반응 혼합물에 0.15 g 분량의 건조 염화 구리(I) 분말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이후 24 시간동안 200℃ 하에 유지시켰다. 10 g 분량의 브로모벤젠을 첨가하였다, 1 시간 경과후에, 반응 혼합물을 100℃로 냉각시키고, 톨루엔 200 g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1000 g 의 메탄올중에 아세트산 25 g 의 급속 교반된 용액중에서 반응 혼합물을 급냉시켰다. 침전물을 분리시키고 8 시간동안 비등수 2 L 중에 방치하였다. 먼저 침전물을 오븐(100℃)에서 건조시킨 후에, 테트라히드로푸란 300 g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중합체 용액을 여과한 후에 1 L 의 아세톤중에서 침전시켰다. 그 침전물을 수집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 300 g에 용해시킨 후에 1 L 의 아세톤중에서 재침전시켰다. 중합체를 수집한 후에, 진공 오븐(100℃)에서 밤새 건조시켰다.
[표 2a]
실시예 1-5에 대한 분자량 분포
[표 2b]
[표 3]
미경화된(열가소성) 중합체 및 경화된(열경화) 중합체의 동적 기계적 분석(DMA) 및 DSC에 의해 측정된, 실시예 2-5 의 폴리(아릴렌 에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Tg)
[표 4]
실시예 2-5에 대한 인장 모듈러스, 열 안정성, 및 수분 흡수율
표 3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 연결기(실시예 1,2 : 미국 특허 제 3,332,909 호)를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 연결기(실시예 3, 4 및 5)로 치환하면, 유리 전이 온도(Tg)가 90-100℃ 만큼 상승한다. 또한 표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기의 치환은 당해 중합체의 고온에서의 열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특성은 둘다 이 중합체를 마이크로칩내로 성공적으로 혼입시키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특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국 특허제 3,332,909 호에 교시된 조성물에 비해서 개선된 기술이다.
울만 에테르 합성법에 의해서 상기 중합체를 합성하는 방법은 분지쇄가 없는 직쇄의 중합체를 생성하며, 이는 상기 표 2에 게재된 Mw/Mn 값(2.66-3.98)에 의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실리콘 웨이퍼상의 금속 선들 사이의 틈새를 층전하는 면에 있어서 우수한 성공을 달성하기 위해서, 중합체 분자량 및 분지도에 대한 양호한 조절이 필요하다. 머서, F.; 더프, D.; 보토비츠, J.; 굿맨, T.의 저서인 Polym. Mater. Sci. Eng. (1992) 66, 페이지 198-99에 교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비스페놀과 데카플루오로비페닐의 축합반응을 통한 불소화 폴리(아릴렌 에테르)의 제조방법은 Mw/Mn 의 편차가 큰(3.02 내지 39.38) 중합체를 생성한다. Mw/Mn 값이 높다는 것은 중합체 쇄내의 분지를 나타내며, 이로부터 중합체는 작은 틈새를 충전시키기가 잠재적으로 곤란하다. 또한 불소화 폴리(아릴렌 에테르)에 대하여 보고된 높은 Mw/Mn 값은, 방향족 고리상에 남아있는 플루오르가 친핵 반응에 대하여 여전히 민감함을 시사한다. 고온하에서 이러한 플루오르와 실리카간의 반응은 헨드릭스, N.H.; 반, B.; 스미스, A.의 저서 (Proceedings First International Dielectrics for VLSI/ULSI multilevel Interconnection Conference (DUMIC), 1995, 페이지 283-89)에 보고된 바 있다. 또한, 금속 증착에 요구되는 조건하에서 상기 플루오르의 반응과 관련한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Mw/Mn 비율이 낮은 본 발명은 상기 머서등에 의해 교시된 조성물에 비해 개선된 것이다.
최종적으로, 표 4에 제공된 데이타는 본 발명의 중합체에 대해서는 수분 흡수율이 작음을 보여준다. 전형적으로, 폴리이미드의 수분 흡수율은 크고, 일반적으로는 1.5-3.0 중량% 정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이미드 조성물에 비해서도 개선된 것이다.
[실시예 6]
폴리(아릴렌 에테르)의 염 가교반응
테트라히드로푸란중에 용해시킨 실시예 3 의 중합체(PAE-2)의 10 중량% 용액을 유리판상에 놓인 11 cm 내경의 유리 링의 중공내에 배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킨 후에, 35 미크론 두께의 원형 필름이 형성되었으며, 이 필름은 온수(50℃)중에 넣는 것에 의해 유리판으로부터 쉽게 들어올릴 수 있다. 이어서 필름을 진공오븐(1.0 mmHg)내에 함유된 유리판상에 놓고 그 필름을 먼저 100℃에서 17 시간동안, 이어서 200℃에서 24 시간동안, 다음에는 280℃에서 24 시간동안 가열하므로써 무속박(free) 정치성(standing)자립성 필름에 잔류하는 용매를 제거하였다. 냉각시킨 후에, 필름은 유리판으로부터 쉽게 제거되었으며 열중량분석(TGA)에 의해 측정한 결과 0.1 중량% 의 잔류 용매를 함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 중합체 필름을 머플 로내애 함유된 Pyrex 유리판상에 놓았다. 질소 대기하에서, 필름을 15 분의 기간에 걸쳐 실온에서 350℃로 가열하였다. 그 필름을 1 시간동안 350℃로 유지시긴 후에 냉각시켰다. 필름을 Pyrex 유리판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는, 필름/유리를 비등수중에 4 시간동안 방치할 필요가 있었다. 이 시간이 경과한 후에, 필름은 유리판으로부터 유래한 매우 얇은 유리 시이트로 피복되었다.
중합체를 상기 방식으로 열 처리하면, 중합체의 어느 정도의 유동이 생기고, 또한 중합체가 유리에 부착했다. 유리에 대한 중합체의 부착 강도는 유리의 응집강도 보다컸다. 또한 이와 같은 중합체 필름의 열처리는 중합체 구조내에 가교반응을 일으켰으며, 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합체 유리 전이 온도(Tg) 이상의 온도에서의 필름의 상당한 인장 모듈러스 E'와, 테트라히드로푸란중에서 필름의 가용성이 없다는 점에 의해 입증된다. 도 2 에서, 25 내지 270℃(중합체의 Tg인 272℃ 이하)에서는 인장 모듈러스 E'가 2.0×1010dyne/cm2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350 내지 450℃ (중합체의 Tg인 272℃ 이상)에서는 인장 모듈러스 E'가 2.0×1010dyne/cm2이었다. E' 및 tanδ로부터 계산할 수 있는 E는 중합체의 손실 모듈러스이며, 이 또한 도 2에 나타내었다. E'/E 비율인 tanδ는 유리 전이 온도(Tg)를 측정하는데 유용하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291℃에서 발생하였다.
[실시예 7]
스핀 코팅법에 의한 실리콘 웨이퍼에의 폴리(아릴렌 에테르)적용
6 인치 실리콘 웨이퍼를 솔리테크 스핀 피복기의 스핀 물림쇠(chuck)상의 중앙에 배치하고 이면 진공에 의해 적소에 보호유지시켰다. 그 챔버를 패쇄한 후에, 대기를 시클로헥산온으로 포화시켰다. 실시예 3의 중합체(PLE-2)로부터 제조하여 시클로헥산온중에 용해시킨 10 중량% 중합체 용액 약 1.0 mL를 웨이퍼의 중앙에 놓았다. 웨이퍼를 500 rpm 하에서 5 내지 15 초동안 회전시켰다. 이 기간동안에, 10 중량% 중합체 용액의 완만한 정류 상태 흐름을 웨이퍼의 중앙에 첨가하였다(대략 총 5ml의 중합체 용액이 소요됨). 이어서 웨이퍼의 회전 속도를 2500-3500 rpm으로 증가시켰다. 이 속도를 15-40 초동안 유지시켰다. 그 시간 경과후에, 웨이퍼를 스핀장치로부터 제거하여 공기중에서 80-120℃로 설정된 고열판상에서 건조시켰다. 이어서 웨이퍼를 250-310℃로 설정된 진공 오븐(1.0 mmHg)에 넣어서 최종 미량의 용매를 제거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에 의해서 웨이퍼상에는 1-5 미크론 두께의 중합체가 균일하게 피복되었다. 이어서 웨이퍼를 400-450℃ 오븐내에 1 시간동안 질소 대기(1% 산소)하에 방치하므로써 코팅을 열에 의해 가교시켰다.
실시예 3 의 중합체(PAE-2) 및 실시예 5 의 중합체(PAE-4)를 각각 전술한 바와 같은 절차에 의해 별개의 실리콘 웨이퍼상에 스핀 코팅하고 120℃에서 2분동안 건조시켰다. PAE-2로 피복된 실리콘 웨이퍼는 2400A 의 필름 두께를 가졌으며, PAE-4로 피복된 실리콘 웨이퍼는 5000A 의 필름 두께를 가졌다. 이어서 PAE-2 필름에 대한 유전 상수(ε)을 매터리얼 디벨롭먼트 코오포레이션 모델 CSM/2 반도체 측정 시스템(수은 액적 전극을 가진 전류/전압 측정계)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PAE-2 중합체 필름의 유전 상수는 1 MHz 하에서 ε = 2.28 이었다. 이어서 2 가지 중합체로 피복된 웨이퍼를 석영관 로내에서 1 시간 반동안 450℃ 하에 열에 의해 경화시켰다. 2 가지중합체 필름에 대한 유전 상수를 측정하였다. PAE-2 중합체 필름은 1 MHz 하에서 ε = 2.41 의 유전 상수를 가졌으며, PAE-4 중합체 필름은 1 MHz 하에서 ε = 2.42 의 유전 상수를 가졌다.
본 발명의 폴리(아릴렌 에테르)는 (i) 특히 금속 전도체 재료와 반응할 수 있는 불소화된 치환체를 지니지 않거나 또는 (ii) 상당한 정도의 극성을 갖는 작용기를 갖지 않음과 동시에, 낮은 유전 상수, 우수한 열 안정성, 자체 가교성 및 높은 상대 습도 조건하에서의 낮은 친수성을 제공하는 신규한 폴리(아릴렌 에테르) 조성물을 제공하므로써, 실리카계 유전성 재료의 대용물로서 유용한 재료, 특히 중합체 재료로서 예외적인 탁월한 성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아릴렌 에테르)는 또한 용이하게 합성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몇가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

Claims (21)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비(非)작용성 반복 단위로 주로 구성되는 폴리(아릴렌 에테르):
    [화학식 1]
    상기 식중, m = 0.2 내지 1.0이고; n은 1.0 - m이며; Ar1, Ar2및 Ar3은 각각 하기 화학식 2a 내지 화학식 2j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되는 2가(divalent)의 아릴렌 라디칼이다:
    [화학식 2a]
    [화학식 2b]
    [화학식 2c]
    [화학식 2d]
    [화학식 2e]
    [화학식 2f]
    [화학식 2g]
    [화학식 2h]
    [화학식 2i]
    [화학식 2j]
  2.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폴리(아릴렌 에테르):
    [화학식 3]
    상기 식중, m == 0.2 내지 1.0이고; n = 1.0 - m이며; Ar1및 Ar3은 각각 하기 화학식 2a 내지 2h, 및 2j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2 가의 아릴렌 라디칼이다:
    [화학식 2a]
    [화학식 2b]
    [화학식 2c]
    [화학식 2d]
    [화학식 2e]
    [화학식 2f]
    [화학식 2g]
    [화학식 2h]
    [화학식 2i]
    [화학식 2j]
  3. 제 1 항에 있어서, m = 0.5 내지 1.0인 폴리(아릴렌 에테르).
  4. 제 1 항에 있어서, m = 1이고, Ar1은 비페닐인 폴리(아릴렌 에테르).
  5. 제 1 항에 있어서, m = 1이고, Ar1은 테르페닐(terphenyl)인 폴리(아릴렌 에테르).
  6. 제 1 항에 있어서, 가교된 폴리(아릴렌 에테르).
  7. 제 6 항에 있어서, 자체 가교된 폴리(아릴렌 에테르).
  8. 제 6 항에 있어서, 추가의 가교제에 의해 가교된 폴리(아릴렌 에테르).
  9. 제 1 항에 있어서, 말단 캡핑제에 의해 말단 캡핑되어 있는 폴리(아릴렌 에테르).
  10. 제 1 구리 촉매의 존재하에 100℃ 내지 300℃ 범위의 고온에서 용매의 존재하에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의 알칼리 금속 염, 및 임의로 Ar2의 2가(dihydric) 유도체의 알칼리 금속 염 하나 이상과, Ar1및/또는 Ar3의 디할로겐화 유도체 하나 이상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생성된 폴리(아릴렌 에테르) 생성물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비작용성 반복 단위로 주로 구성된 폴리(아릴렌 에테르)를 합성하는 방법:
    [화학식 1]
    상기 식중, m = 0.2 내지 1.0이고; n =1.0-m이며; Ar1, Ar2및 Ar3은 각각 하기 화학식 2a 내지 2j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2 가의 아릴렌 라디칼이다:
    [화학식 2a]
    [화학식 2b]
    [화학식 2c]
    [화학식 2d]
    [화학식 2e]
    [화학식 2f]
    [화학식 2g]
    [화학식 2h]
    [화학식 2i]
    [화학식 2j]
  11. 제 10 항에 있어서,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이 Ar1및/또는 Ar3의 디할로겐화 유도체에 대하여 대략 화학양론적인 양으로 존재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을 적절한 용매중에서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과 반응시키고 형성된 물을 물과 상기 용매의 공비 증류에 의해서 제거하므로써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의 알칼리 금속 염을 합성하는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폴리(아릴렌 에테르) 생성물을 냉각시키고 용매중에서 침전시키므로써 회수하는 방법.
  14. (i) 실리콘, 유리 또는 세라믹 기재, (ii) 상기 기재 표면상의 절연 재료로 된 다수의 층 또는 영역, 및 (iii) 인접한 절연 재료의 층들 사이에, 또는 절연 재료의 층 내부에 개재하며 금속 및 반도체 재료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전도성 재료로 된 하나 이상의 층 또는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절연 재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비작용성 반복 단위로 주로 구성되는 폴리(아릴렌 에테르)를 포함하는 다층 전자 회로 제품:
    [화학식 1]
    상기 식중, m = 0.2 내지 1.0이고; n = 1.0-m이며; Ar1, Ar2및 Ar3은 각각 하기 화학식 2a 내지 2j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2 가의 아릴렌 라디칼이다:
    [화학식 2a]
    [화학식 2b]
    [화학식 2c]
    [화학식 2d]
    [화학식 2e]
    [화학식 2f]
    [화학식 2g]
    [화학식 2h]
    [화학식 2i]
    [화학식 2j]
  15. 제 14 항에 있어서, m = 0.5 내지 1.0인 제품.
  16. 제 14 항에 있어서, m = 1이고, Ar1은 비페닐인 제품.
  17. 제 14 항에 있어서, m = 1이고, Ar1은 테르페닐인 제품.
  18. 기재, 상기 기재상에 지지된 다수의 반도체 칩, 및 상기 반도체칩들을 전자적으로 접속하며 전도성 재료로 된 다수의 층 또는 영역과 유전성 재료로 된 다수의 층 또는 영역을 포함하는 다층 상호 접속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전성 재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비작용성 반복 단위로 주로 구성된 폴리(아릴렌 에테르)를 포함하는, 멀티칩 모듈:
    [화학식 1]
    상기 식중, m = 0.2 내지 1.0이고; n = 1.0-m이며; Ar1, Ar2및 Ar3은 각각 하기 화학식 2a 내지 2j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2 가의 아릴렌 라디칼이다:
    [화학식 2a]
    [화학식 2b]
    [화학식 2c]
    [화학식 2d]
    [화학식 2e]
    [화학식 2f]
    [화학식 2g]
    [화학식 2h]
    [화학식 2i]
    [화학식 2j]
  19. 제 18 항에 있어서, m = 0.5 내지 1.0인 모듈.
  20. 제 18 항에 있어서, m = 1이고, Ar1은 비페닐인 모듈.
  21. 제 18 항에 있어서, m = 1이고, Ar1은 테르페닐인 모듈.
KR1019960027710A 1995-07-13 1996-07-10 비작용화된 폴리 (아릴렌 에테르) KR1002153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02,508 1995-07-13
US08/502,508 US5874516A (en) 1995-07-13 1995-07-13 Nonfunctionalized poly(arylene ethers)
US08/502,508 1995-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355A KR970006355A (ko) 1997-02-19
KR100215326B1 true KR100215326B1 (ko) 1999-08-16

Family

ID=23998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7710A KR100215326B1 (ko) 1995-07-13 1996-07-10 비작용화된 폴리 (아릴렌 에테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874516A (ko)
EP (1) EP0755957B1 (ko)
JP (1) JP2933125B2 (ko)
KR (1) KR100215326B1 (ko)
DE (1) DE69602318T2 (ko)
HK (1) HK1011700A1 (ko)
IL (1) IL118812A (ko)
SG (1) SG67356A1 (ko)
TW (1) TW342504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151B1 (ko) 2008-08-12 2013-05-14 에어 프로덕츠 앤드 케미칼스, 인코오포레이티드 퍼(페닐에티닐) 아렌 유도체를 포함하는 폴리머 조성물
KR20150086275A (ko) * 2012-10-22 2015-07-27 델스퍼 엘피 교차-결합된 유기 중합체 조성물
KR102593211B1 (ko) 2023-03-21 2023-10-24 조성호 게임용 발 마우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3733B1 (en) * 1997-12-12 2001-10-16 Alliedsignal Inc. Poly(arylene ether) homopolym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US6124421A (en) * 1997-12-12 2000-09-26 Alliedsignal Inc. Poly(arylene eth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US6060170A (en) * 1998-02-25 2000-05-09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Functional groups for thermal crosslinking of polymeric systems
US6093636A (en) * 1998-07-08 2000-07-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cess for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 using a matrix comprising porous high temperature thermosets
US6333141B1 (en) 1998-07-08 2001-12-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cess for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 using inorganic/organic matrix comprising polymers of three dimensional architecture
US6143643A (en) * 1998-07-08 2000-1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cess for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 using organosilicate insulative matrices
US6187248B1 (en) * 1998-11-19 2001-02-13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Nanoporous polymer films for extreme low and interlayer dielectrics
IL143207A0 (en) 1998-11-24 2002-04-21 Dow Chemical Co A composition containing a cross-linkable matrix precursor and a poragen, and a porous matrix prepared therefrom
US6399666B1 (en) 1999-01-27 2002-06-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sulative matrix material
US6380347B1 (en) * 1999-04-09 2002-04-3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Nanoporous polymers comprising macrocycles
US6652805B2 (en) 1999-07-02 2003-11-25 Holl Technologies Company Highly filled composites of powdered fillers and polymer matrix
US6742774B2 (en) 1999-07-02 2004-06-01 Holl Technologies Company Process for high shear gas-liquid reactions
US7538237B2 (en) * 1999-07-02 2009-05-26 Kreido Laboratories Process for high shear gas-liquid reactions
US6471392B1 (en) 2001-03-07 2002-10-29 Holl Technologies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materials processing
US6391082B1 (en) * 1999-07-02 2002-05-21 Holl Technologies Company Composites of powdered fillers and polymer matrix
US6171687B1 (en) 1999-10-18 2001-01-0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Infiltrated nanoporous materials and methods of producing same
JP2001181577A (ja) 1999-12-27 2001-07-03 Sumitomo Chem Co Ltd 多孔質有機膜形成用塗布液および多孔質有機膜の形成方法
US6468589B2 (en) * 2000-02-02 2002-10-22 Jsr Corporation Composition for film formation and insulating film
US6509415B1 (en) * 2000-04-07 2003-01-2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Low dielectric constant organic dielectrics based on cage-like structures
US6627669B2 (en) 2000-06-06 2003-09-3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Low dielectric materials and methods of producing same
US20040176488A1 (en) * 2000-06-06 2004-09-09 Shyama Mukherjee Low dielectric materials and methods of producing same
US6444715B1 (en) 2000-06-06 2002-09-0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Low dielectric materials and methods of producing same
DE10033111A1 (de) * 2000-07-07 2002-01-24 Siemens Ag Copolymere halbleitende Materialien auf der Basis von Oligo-Phenylen
WO2002006377A1 (en) * 2000-07-19 2002-01-24 Dow Global Technologies Inc. Spin-on-dielectric compositions with coating enhancer
EP1837902B1 (en) * 2000-08-21 2017-05-2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Use of organosilicate resins as hardmasks for organic polymer dielectrics in fabrication of microelectronic devices
US20020076543A1 (en) * 2000-12-19 2002-06-20 Sikonia John G. Layered dielectric nanoporous materials and methods of producing same
US6593155B2 (en) 2000-12-28 2003-07-15 Dow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cure and oxidation of spin-on dielectric polymers
WO2002068516A2 (en) * 2001-02-22 2002-09-0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Nanoporous low dielectric constant polymers
CN1643030A (zh) * 2001-04-06 2005-07-20 霍尼韦尔国际公司 低介电常数材料及其制备方法
US6830806B2 (en) * 2001-04-12 2004-12-14 Kreido Laboratories Methods of manufacture of electric circuit substrates and components having multiple electric characteristics and substrates and components so manufactured
DE10131536A1 (de) * 2001-06-29 2003-01-16 Infineon Technologies Ag Photovernetzbare Polymere als Beschichtungsmaterialien
KR20010079343A (ko) * 2001-07-07 2001-08-22 엄제식 플루오렌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기발광소자
CN100519623C (zh) * 2001-07-12 2009-07-29 旭硝子株式会社 含氟芳香族聚合物及其用途
JP2003041184A (ja) * 2001-07-31 2003-02-13 Sumitomo Chem Co Ltd 耐熱性ポリエーテル、熱硬化性ポリエーテル、およびポリエーテル膜形成用塗布液。
US20030066624A1 (en) * 2001-09-13 2003-04-10 Holl Richard A.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fer of heat energy between a body surface and heat transfer fluid
US6787246B2 (en) 2001-10-05 2004-09-07 Kreido Laboratories Manufacture of flat surfaced composites comprising powdered fillers in a polymer matrix
US20040247896A1 (en) * 2001-12-31 2004-12-09 Paul Apen Organic compositions
JP3847628B2 (ja) * 2002-01-09 2006-11-22 株式会社ワコム 低電圧駆動回路及び方法
US6716955B2 (en) * 2002-01-14 2004-04-06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Poly(arylene ether) polymer with low temperature crosslinking grafts and adhesive comprising the same
DE10228762A1 (de) * 2002-06-27 2004-02-05 Infineon Technologies Ag Dicarbonsäuren für Dielektrika mit Sperrwirkung gegen Kupferdiffusion
US20040005420A1 (en) * 2002-07-08 2004-01-08 Burgoyne William Franklin Fluid containment vessels with chemically resistant coatings
US7098360B2 (en) * 2002-07-16 2006-08-29 Kreido Laboratories Processes employing multiple successive chemical reaction process steps and apparatus therefore
CA2497615A1 (en) * 2002-09-11 2004-03-25 Kreido Laboratories Methods and apparatus for high-shear mixing and reacting of materials
US6787633B2 (en) 2002-09-13 2004-09-07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a poly(arylene ether)
US6818919B2 (en) * 2002-09-23 2004-11-16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Light emitting layers for LED devices based on high Tg polymer matrix compositions
US6846899B2 (en) * 2002-10-01 2005-01-25 Charter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td. Poly(arylene ether) dielectrics
EP1546629A2 (en) * 2002-10-03 2005-06-29 Kredo Laboratories Apparatus for transfer of heat energy between a body surface and heat transfer fluid
JP4243209B2 (ja) 2003-03-28 2009-03-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絶縁膜形成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絶縁膜
TW200505966A (en) * 2003-04-02 2005-02-16 Dow Global Technologies Inc Organosilicate resin formulation for use in microelectronic devices
US20040253442A1 (en) * 2003-06-11 2004-12-16 Ervin Mubarekyan Method of forming a nanoporous film and compositions useful in such methods
US7309833B2 (en) * 2003-07-29 2007-12-18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Photovoltaic devices comprising layer(s) of photoactive organics dissolved in high Tg polymers
US7652126B2 (en) * 2003-10-07 2010-01-26 General Electric Company Monomers and polymers comprising conjugated groups and methods for making thereof
US7741773B2 (en) * 2004-04-09 2010-06-22 Ifire Ip Corporation Thick film dielectric structure for thick dielectric electroluminescent displays
KR100640625B1 (ko) * 2005-01-04 2006-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평탄화된 금속층간절연막 형성 방법
US7919804B2 (en) * 2005-11-08 2011-04-05 Oracle America, Inc. Power distribution for high-speed integrated circuits
WO2007070801A2 (en) 2005-12-12 2007-06-21 Allaccem,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eparing antimicrobial films and coatings
JP2007291243A (ja) * 2006-04-25 2007-11-08 Jsr Corp フルオレン骨格を有する芳香族化合物およびスルホン酸基を有するポリアリーレン
US7919825B2 (en) * 2006-06-02 2011-04-05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Thin film transistors with poly(arylene ether) polymers as gate dielectrics and passivation layers
DK2125026T3 (en) 2007-02-21 2014-12-08 Allaccem Inc FORMATIONS BASED ON bridged POLYCYCLIC COMPOUNDS FOR INHIBITION AND RELIEF OF DISEASES
US20090026924A1 (en) * 2007-07-23 2009-01-29 Leung Roger Y Methods of making low-refractive index and/or low-k organosilicate coatings
US8153618B2 (en) * 2007-08-10 2012-04-10 Allaccem, Inc. Bridged polycyclic compound based compositions for topical applications for pets
US8188068B2 (en) * 2007-08-10 2012-05-29 Allaccem, Inc. Bridged polycyclic compound based compositions for coating oral surfaces in pets
US8153617B2 (en) * 2007-08-10 2012-04-10 Allaccem, Inc. Bridged polycyclic compound based compositions for coating oral surfaces in humans
US20090074833A1 (en) * 2007-08-17 2009-03-19 Whiteford Jeffery A Bridged polycyclic compound based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bone resorption
US20100004218A1 (en) * 2008-06-20 2010-01-07 Whiteford Jeffery A Bridged polycyclic compound based compositions for renal therapy
US20100016270A1 (en) * 2008-06-20 2010-01-21 Whiteford Jeffery A Bridged polycyclic compound based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cholesterol levels
EP2644654A1 (en) * 2010-11-24 2013-10-02 JSR Corporation Resin composition, insulating film, film forming method, and electronic component
JP5793326B2 (ja) * 2011-03-30 2015-10-14 大阪ガスケミカル株式会社 フルオレン骨格を有するポリエーテル樹脂
CA2853977C (en) 2011-11-18 2016-05-24 Greene, Tweed & Co. Crosslinking compounds for high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polymers
US9269623B2 (en) 2012-10-25 2016-02-23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Llc Ephemeral bonding
US9273215B2 (en) 2012-10-30 2016-03-01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Llc Adhesion promoter
US9127138B2 (en) 2013-01-28 2015-09-08 Delsper LP Anti-extrusion compositions for sealing and wear components
US9109075B2 (en) * 2013-03-15 2015-08-18 Delsper LP Cross-linked organic polymers for use as elastomers in high temperature applications
EP2799465A1 (de) * 2013-04-29 2014-11-05 Evonik Industries AG Verfahren zur Aufreinigung von Poly(arylenethern)
US9153357B1 (en) 2014-03-27 2015-10-06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Llc Adhesion promoter
CN108140846B (zh) 2015-09-24 2021-07-16 可隆工业株式会社 燃料电池用膜电极组件及其制造方法以及包括该组件的燃料电池系统
JP6637595B2 (ja) 2015-09-30 2020-01-29 コーロン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ク イオン伝導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むイオン交換膜、膜−電極アセンブリ及び燃料電池
US9773698B2 (en) 2015-09-30 2017-09-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n ultra low dielectric layer
TWI618097B (zh) * 2015-12-29 2018-03-11 聯茂電子股份有限公司 低介電材料
US20200172669A1 (en) * 2018-09-11 2020-06-04 Greene, Tweed Technologies, Inc. Crosslinkable Aromatic Polymer Compositions for Use in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CN110172144B (zh) * 2019-06-13 2021-11-30 苏州大学 一种聚烯丙基醚酯及其制备方法与应用
WO2022210068A1 (ja) 2021-03-30 2022-10-06 日産化学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積層体、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加工された基板の製造方法
KR20230165266A (ko) 2021-03-31 2023-12-05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적층체, 박리제 조성물 및 가공된 반도체 기판의 제조 방법
CN117157738A (zh) 2021-03-31 2023-12-01 日产化学株式会社 层叠体、剥离剂组合物以及经加工的半导体基板的制造方法
CN117083697A (zh) 2021-03-31 2023-11-17 日产化学株式会社 层叠体、剥离剂组合物以及经加工的半导体基板的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27233B (de) * 1963-07-11 1966-10-20 Bayer Ag Gleitmittel in Vinylpolymerisaten bei der Herstellung von Formkoerpern
US4806618A (en) * 1986-11-11 1989-02-21 Central Glass Company, Limited Aromatic polyethers having biphenylfluorene group
DE3725058A1 (de) * 1987-07-29 1989-02-09 Roehm Gmbh Thermoplastisch verarbeitbare polyarylenether mit 9,9-bis-(4'-hydroxyphenyl)fluoren
DE3804988A1 (de) * 1988-02-18 1989-08-31 Roehm Gmbh Hochtemperaturbestaendige aromatische polyether
JPH03165596A (ja) * 1989-11-25 1991-07-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多層積層板
US5114780A (en) * 1990-04-17 1992-05-19 Raychem Corporation Electronic articles containing a fluorinated poly(arylene ether) dielectric
US5270453A (en) * 1989-12-08 1993-12-14 Raychem Corporation Aromatic bistriazene compounds
US5173542A (en) * 1989-12-08 1992-12-22 Raychem Corporation Bistriazene compounds and polymeric compositions crosslinked therewith
US5108840A (en) * 1989-12-08 1992-04-28 Raychem Corporation Multilayer electronic circuit article having a poly(naphthyl ether) dielectric
US5145936A (en) * 1989-12-08 1992-09-08 Raychem Corporation Fluorinated poly (naphthyl ether)
US5155175A (en) * 1989-12-08 1992-10-13 Intellectual Property Law Dept. Crosslinkable fluorinated polyarylene ether composition
US5204416A (en) * 1990-04-17 1993-04-20 Raychem Corporation Crosslinked fluorinated poly(arylene ether)
US5179188A (en) * 1990-04-17 1993-01-12 Raychem Corporation Crosslinkable fluorinated aromatic ether composition
CA2080831C (en) * 1990-04-17 2001-10-16 Frank W. Mercer Crosslinkable fluorinated aromatic ether compositions
EP0479192A3 (en) * 1990-10-02 1992-10-07 Ciba-Geigy Ag Modified polyarylenether blockcopolymers
US5219978A (en) * 1991-02-08 1993-06-15 Hay Allan S Poly(arylene ether)from 9,9-bis(3,5-diphenyl-4-hydroxyphenyl)fluorene
DE4238261A1 (en) * 1991-11-15 1993-05-19 Ciba Geigy Ag Curable mixt. for coating, film, moulded prod. and composite, for high strength - contg. epoxy] resin with glycidyl] gps., polyarylene ether] contg. 4,4'-di:hydroxy-3,3'-di:phenyl bi:phenyl, and amino or phenolic hardener for sulphone] modifier
US5235044A (en) * 1992-09-09 1993-08-10 Raychem Corporation Compounds having oxadiazole and triazene moieties, crosslinkable polymers therefrom, and methods therefor
JPH08320534A (ja) * 1995-05-25 1996-12-03 Tokuyama Corp フォトクロミック硬化性組成物
US5658994A (en) * 1995-07-13 1997-08-19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Nonfunctionalized poly(arylene ether) dielectric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151B1 (ko) 2008-08-12 2013-05-14 에어 프로덕츠 앤드 케미칼스, 인코오포레이티드 퍼(페닐에티닐) 아렌 유도체를 포함하는 폴리머 조성물
KR20150086275A (ko) * 2012-10-22 2015-07-27 델스퍼 엘피 교차-결합된 유기 중합체 조성물
KR102197418B1 (ko) 2012-10-22 2020-12-31 델스퍼 엘피 가교된 유기 중합체 조성물
KR102593211B1 (ko) 2023-03-21 2023-10-24 조성호 게임용 발 마우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55957A1 (en) 1997-01-29
IL118812A0 (en) 1996-10-31
EP0755957B1 (en) 1999-05-06
IL118812A (en) 2000-11-21
KR970006355A (ko) 1997-02-19
HK1011700A1 (en) 1999-07-16
US5874516A (en) 1999-02-23
JP2933125B2 (ja) 1999-08-09
JPH09202824A (ja) 1997-08-05
DE69602318D1 (de) 1999-06-10
DE69602318T2 (de) 1999-10-14
SG67356A1 (en) 1999-09-21
TW342504B (en) 199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5326B1 (ko) 비작용화된 폴리 (아릴렌 에테르)
KR100215325B1 (ko) 무작용기 폴리 (아릴렌 에테르) 유전체
EP0939096B1 (en) Functional groups for thermal crosslinking of polymeric systems
EP0504265B1 (en) Crosslinkable fluorinated polymer compositions
US6172128B1 (en) Nanoporous polymers crosslinked via cyclic structures
EP1669389B1 (en) Crosslinkable fluoroaromatic prepolymer and use thereof
EP2313465B1 (en) Polymeric compositions comprising per(phenylethynyl) arene derivatives
CN100519623C (zh) 含氟芳香族聚合物及其用途
EP0524930B1 (en) Fluorinated poly(arylene ethers)
US6812311B2 (en) Highly stable packaging substrates
WO1991009071A1 (en) Electronic articles containing a fluorinated poly(arylene ether) dielectric
WO2003057749A1 (en) Organic compositions
JP2002356551A (ja) 新規ポリアリーレンエーテル、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Myung et al. SYNTHESIS AND PROPERTY MEASUREMENTS OF NOVEL POLYIMIDES FROM TRIFLUOROMETHYLPHENYL SUBSTITUTED PYROMELLITIC DIANHYDRI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