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5159B1 - 가변용량형 경사판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가변용량형 경사판식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5159B1
KR100215159B1 KR1019960019590A KR19960019590A KR100215159B1 KR 100215159 B1 KR100215159 B1 KR 100215159B1 KR 1019960019590 A KR1019960019590 A KR 1019960019590A KR 19960019590 A KR19960019590 A KR 19960019590A KR 100215159 B1 KR100215159 B1 KR 100215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ash plate
hole
hinge mechanism
rotating shaft
ed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9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1954A (ko
Inventor
마사키 오타
요우이치 오카도메
히사카즈 고바야시
마사루 하마사키
Original Assignee
이소가이 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가이 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이소가이 지세이
Publication of KR970001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5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51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54Actuating elements
    • F04B27/1072Pivo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056Rotary to or from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Y10T74/18296Cam and slide
    • Y10T74/18336Wabble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판의 관통구멍을 간단하게 가공할 수 있으며 또한, 경사판을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는 가변 용량형 경사판식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회전축(6)은 경사판(9)의 관통구멍(10)에 삽입 통하며, 상기경사판(9)을 축선(L)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경사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관통구멍(10) 은 2개의 원추(A,B)에 따른 원추면(10α,β)을 구비하며, 양 원추면(10α,β)의 접속부위(K)에는 에지부(10γ)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축(6)에 대하여 경사판(9)은 에지부(10γ)에 의한 1점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6)에 대한 힌지 기구(11)를 통하는 경사판(9)의 지지는 2쌍의 가이드 핀(19α)및 가이드 구멍(20α)의 결합에 의한 2점 지지구성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가변 용량형 경사판식 압축기
제 1 도는 가변 용량형 경사판식 압축기의 종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A-A선을취한 단면도.
제 3 도는 관통 구멍의 일부를 과장하여 나타낸 주요부 확대 단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B-B선을 취한 단면도.
제 5 도는 관통구멍의 가공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 6a 도는 별도 실시예의 관통구멍 부근의 확대 종단면도.
제 6b 도는 별도 실시예의 관통구멍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회전축 8 : 회전 지지체의 래그 플레이트
9 : 경사판 10 : 관통구멍
10γ : 1점 지지구성을 이루는 에지부 11 : 힌지기구
12 : 편두 피스톤 19 : 2점 지지구성을 이루는 지지아암
20:연결편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경사판의 경사각을 조정하는 것에의해 토출용량이 변경되는 가변용량형 경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상기와 같은 압축기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일본 특허공개 소 63-205470호 공보 및 평 4-44111호 공보에 명시되어 있듯이 회전 지지체가 회전축에 장착되며, 동 회전축과 일체 회전된다. 경사판은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관통구멍에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 통해져 있다. 힌지 기구는 회전지지체와 경사판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경사판의 축선방향으로의 슬라이드를 동반하는 경사운동을 안내함과 함께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다. 요동판은 경사판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겹쳐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요동되는 경사판에 의해 미끄럼 접촉된 요동판이 요동되며, 요동판에 연결된 편두피스톤이 왕복운동되어 가스의 압축이 실행된다. 그래서 크랭크실내의 압력과 흡입압력과의 피스톤을 통한 차이압력에 따라서 경사판의 경사각을 조정하는 것에의해 토출용량이 변경된다.
여기에서, 상기 관통구멍은 경사판의 회전축에 대한 반경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함과 함께 경사판이 회전축의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드를 동반하여 경사이동 되는것을 허용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와같은 형상으로 하기위해 예를들면, 일본 특허공개 소63-205470호 공보에 명시된 압축기에 있어서는 리머등의 가공공구를 특정의 각도범위에서 머리를 흔드는 형상으로 이동시키는 가공방법이 채용되어 있다.
그런데, 가공공구를 회전시켜 특정의 각도범위에서 이동시키는 방법에서는 관통구멍을 정밀도 좋게 가공하고자 하면 공구의 이동각도의 조정에 복잡한 제어가 필요하며 가공 가격도 높아진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일본 특허공고 평4-44111호 공보에 명시된 기술이 존재한다. 상기 공보에 있어서 관통구멍은 그 양개구측에서 각각 중심부로 향해 좁은 지름으로 되는 원추에 따른 2개의 내면을 가지며, 양 내면이 회전축의 중심축에 대하여 직교한 면위에서 서로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2개의 내면을 원추에 따른 형상으로 하는것에 의해 가공공구를 회전시키는 경사판틀의 회전축선에 대하여 경사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일없이 관통구멍을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에 복잡한 제어등이 필요없이 간단하게 관통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일본 특허공고 평4-4411호 공보의 압축기에 있어서 힌지구성은 경사판에 마련된 1개의 브라겟이 갖는 힌지와 회전지지체에 마련된 1개의 탭이 갖는 긴구멍이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경사판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힌지기구를 통하는 경사판의 지지는 1개조의 힌지와 긴구멍과의 결합에의한 1점 지지구성이다.
여기에서 회전축에 대한 경사판의 회전 및 경사이동이 안정적으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힌지구조에 의해 1점으로 지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경사판이 적어도 회전축에 대하여 3점으로 지지될 필요가 있다. 그런점을 고러하면 관통구멍의 내주면에는 힌지기구와는 회전축의 축선을 통해 반대측의 1점(회전축과 경사판과의 각도 변경지점)에 추가하여 경사판의 치우침을 억제하기 때문에 회전축의 직경과 동일간격의 2개의 대향하는 맞닿음 부위가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공보의 기술에 있어서도 상술한 일본 특허공개 소 63-205470호의 기술과 마찬가지로 관통구멍의 내주면 전체에 정밀도가 요구되는 것에는 변화되는 일이 없이 예를들면 리머등을 이용한 가공과 비교하여 간단한 선반등에 의한 가공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하여도 정밀도가 요구되는 가공은 상대적으로 복잡한 가공으로 되는 것은 쉽게 상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경사판의 관통구멍을 간단하게 가공할 수 있으며, 또한 경사판을 안정하게 지지하는것이 가능한 가변 용량형 경사판식 압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1 항 발명에서는 회전축에 대하여 경사판은 힌지기구를 통해 2점이상으로 지지됨과 함께 관통구멍의 내주면의 1점으로 지지된 가변 용량형 경사판식 압축기 이다.
제 2 발명에서는 상기 관통구멍은 한쪽의 개구측에서 중심부로 향한 좁은 지름으로 되는 원추면으로되는 제 1 내주면과, 동일하게 다른쪽의 개구측에서 중심부로 향해 좁은지름으로 되는 원추면의 제 2 내주면에 의해 구성되며, 양 내주면의 접속부분에 형성된 에지부가 회전축에 맞닿는 것에 의해 경사판의 1점지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 3 발명에서는 제 1 내주면이 따르는 원추와, 제 2 내주면이 따르는 원추와는 함께 맞는다.
제 4 발명에서는 상기 에지부는 곡변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제 5 발명에서는 상기 힌지 기구는 경사판의 상사점 대응 부위근방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에지부는 힌지기구와는 회전축의 축선을 통해 반대측에 형성된 것이다.
제 6 발명에서는 상기 힌지기구는 경사판의 상사점 대응부위와 회전축의 축선등을 포함하는 평면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7 발명에서는 상기 힌지기구는 적어도 2개의 가이드핀과 상기 가이드핀이 갖는 구면부에 각각 결합되는 같은 수의 가이드 구멍에 의해 구성된 것이다.
[작용]
상기 제1 발명에 있어서는 회전축의 회전구동에 의한 경사판의 요동에의해 피스톤이 왕복 직선운동되어 가스의 압축이 실행된다. 또한 토출용량의 변경은 경사판의 경사각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피스톤의 스트로크량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경사판은 힌지기구를 통해 2점이상으로 지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회전축에 대한 경사판의 회전 및 경사이동이 안정적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상기 경사판이 적어도 회전축에 대하여 3점으로 지지될 필요가 있지만 힌지기구를 통해 2점이상으로 지지하는 경우에는 경사판의 기울어짐이 동일 힌지기구에 의해 억제되기 때문에 상기 경사판이 회전축에 대하여 3점 지지될 필요는 없게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회전축에 대한 경사판의 관통구멍을 거치는 지지를 1점 지지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회전축에 대하여 1점으로 지지구성 하고 있으며, 회전축에 대하여 1점으로 맞닿으면 좋은 관통구멍의 내부형상은 상기 1점에 있어서 힌지기구에 대하여 위치관계를 적정하게 설정하기 위한 정밀도 만이 요구된다. 그 때문에 상기 관통구멍의 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제 2 발명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은 한쪽의 개구측에서 중심부로 향하여 좁은 지름으로 되는 원추에 따른 제 1 내주면과 동일한 다른쪽의 개구측에서 중심부로 향해 좁은지름으로 되는 원추에 따른 제 2 내주면에 의해 구성되며, 양 내주면의 접속부분에 형성된 에지부가 회전축에 맞닿는 것에의해 경사판의 1점 지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원추에 따른 내주면은 리머등에의한 요동가공을 채용하지 않아도 예를들면, 선반등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가공할 수 있으며, 또한 관통구멍의 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제 3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내주면과 제 2 내주면이 합동인 원추에 따른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관통구멍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구멍의 제어가 간단하게 된다.
제 4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에지부는 곡변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에지부와 회전축과의 맞닿음부의 면 압력이 저하 하며, 상기 맞닿음부의 마모를 방지한다.
제 5 발명에 있어서는 경사판의 상사점 대응부위 근방에 마련된 힌지기구는 압축반력을 적정하게 받아 들인다. 또, 힌지기구와는 회전축의 축선을통해서 반대측에 형성된 에지부는 상기 압축반력의 분력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벗어나려고 하는 경사판의 이동을 확실히 규제한다.
제 6 발명에 있어서는 힌지기구가 경사판의 상사점 대응부위와 회전축의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압축반력이 바람직하게 지지되며, 경사판의 회전축에 대한 기울기, 즉 한쪽으로 치우침이 방지된다.
제 7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2개의 가이드 핀의 구면부와 상기 가이드핀과 같은 수의 가이드 구멍과의 결합에 의해 회전축에 대한 경사판의 힌지기구를 통하는 2점 이상에서의 지지가 이루어진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좌측을 전부, 우측을 후부로 한다.
제 1 도에 나타내듯이 전면하우징(1)은 실린더 하우징(2) 의 전부에 접합 고정되어 있다. 후면하우징(3)은 밸브 플레이트(4)를 통해 실린더 하우징(2) 의 후부에 접합 고정되어 있다. 후면하우징(3)에는 흡입실(3α)및 토출실(3β)이 구획형성 되어있다. 상기 전면하우징(1)과 실린더 하우징(2)에의해 형성된 폐쇄공간은 크랭크실(5)을 이루며, 상기 크랭크실(5)내에는 회전축(6)이 전면하우징(1)과 실린더 하우징(2)에 의해 베어링(7)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가설 지지되어 있다.
회전 지지체로서 래그 플레이트(8)는 상기 회전축(6)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경사판(9)은 그 중앙부에 관통구멍(10)을 가지며, 상기 회전축(6)이 관통구멍(10)에 삽입 통과 되는 것에의해 상기 경사판(9)은 회전축(6)의 축선(L)방향으로 미끄럼이동 가능하며, 경사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경사판(9)은 후술하는 힌지기구(11)를 통해 래그 플레이트(8)에 연결되며, 상기 힌지기구(11)에 의해 축선(⒯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 및 경사이동이 안내됨과 함께 회전축(6)과 일체회전 된다. 또한, 후술하지만,상기관통구멍(10)은 경사판(9)의 축선(L)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 및 경사 이동을 허용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실린더 보어(2α)는 상기 실린더 블록(2)에 형성되어 있다. 편두 피스톤(12)은 상기 실린더 보어(2α)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판(9)은 편두 피스톤(12)의 기단부에 형성된 오목부(12α)내에 진입한 상태에서 전후 1쌍의 슈(13)를 통해 편두 피스톤(12)을 계류하고 있다. 따라서, 경사판(9)의 회전운동이 슈(13)를 통해 편두 피스톤(12)의 왕복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며, 상기 편두 피스톤(12)이 ,실린더 보어(2α)내를 전후운동 한다. 상기에의해 흡입실(3α)에서 흡입밸브(4α)를 통해 실린더 보어(2α)내로 흡입된 냉매가스가 압축되며, 토출밸브(4β)를 통해 토출실(3β)로 토출된다.
압력 공급통로(14)는 토출실(3β)과 크랭크실(5)을 접속하며. 전자 밸브(15)는 상기 압력 공급통로(14)위에 개재되어 있다.상기 전자 밸브(15)의 솔레노이드(15o)가 여자 되는 것에의해 스풀(15β)이 포트(15γ)를 폐쇄한다. 또한, 솔레노이드(15o)가 소자 되는 것에의해 스풀(15β)이 포트(15γ)를 개방한다.
그리고, 상기 편두 피스톤(12)의 전후에 작용되는 크랭크실(5)내의 압력과 실린더 보어(2α)내의 압력과의 차이압력을 조정하여 경사판(9)의 경사각을 제어하여 피스톤(12)의 스트로크를 변경하는 것에의해 토출용량이 조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크랭크실(5)내의 압력은 전자 밸브(15)의 여자. 소자에 의한 압력 공급통로(14)의 개. 폐동작에 의해 제어된다. 즉, 압력 공급통로(14)가 페쇄된 상태에 있어서 크랭크실(5)내의 압력은 압력 방출통로(16)및 압력 방출구멍(17)을 통해 흡입실(3o)에 압력 방출되는 것만으로서상기 흡입실(3o)의 낮은 압력에 가까워 진다.
따라서, 제 1 도 및 제 3 도(2점 쇄선)에서 나타내듯이 경사판(9)의 경사각으로 유지되며, 토출용량은 크게된다. 또한, 압력 공급통로(14)가 개방된 상태에있어서는 토출실(3β)내의 높은 압력이 크랭크실(5)에 도입되며 상기 크랭크실(5)내의 압력상승에 의해 제3도에 나타내듯이 경사판(g)의 경사각이 최소경사각으로 이행된다. 따라서 토출용량은 작게된다.
또한, 상기 경사판(9)의 최대 경사각은 경사판(9)에 마련된 스톱퍼(9α)와 래그 플레이트(8)와의 맞닿음에 의해 규정되며, 또. 최소 경사각은 경사판(9)과 회전축(6)에 장착된 링(18)과의 맞닿음에 의해 규정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회전축(6)에 대하여 경사판(9)은 힌지기구(11)를 통해 2점으로 또 관통구멍(10)을 통해 1점으로 각각 지지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축(6)에 대한 경사판(9)의 회전 및 경사 이동이 안정적으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회전축(6)에 대하여 경사판(9)이 적어도 3점으로 지지되어 있지않으면 않되지만, 상기 경사판(9)의 회전축(6)에 대한 기울기 즉, 한쪽으로 치우침은 힌지기구(11)의 2점 지지에 의해 억제되기 때문에 회전축(6)에 대한 경사판(9)의 지지는 1점 에서도 문제는 없다.
제 2 도에 나타내듯이 각각 가이드 핀(19α)을 갖는 1쌍의 지지아암(19)은 경사판(9)의 전면에 있어서 경사판(9)의 상사점 대응부위(9β)와 축선(L)을 포함하는 평면(F)을 걸쳐 양측으로 대칭 설치되어 있다. 1쌍의 가이드 구멍(20o)을 갖는 연결편(20)은 상기 지지아암(19)에 대응하도록 하여 래그 플레이트(8)의 후면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핀(19α)의 구면부(19β)가 각각 가이드 구멍(20α)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경사판(9)의 축선(L)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 및 경사이동이 안내된다.
또한, 제 3 도 내지 제 5 도에 나타내듯이 관통구멍(10)은 양 개구측에서 각각 중심부로 향하여 좁은 구멍으로 이루어짐과 함께 축선이 상기 축선(L)과 일치하는 합쳐진 2개의 원추(A,B)에 따른 내주면(이하 원추면이라 칭함)(10α,β)를 구비하며, 양 원추면(10α.β)의 접속부분은 고리형상 영역(K)을 이루고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힌지기구(11)와 축선(L)을 통한 반대측에 위치되는 고리 형상 영역(K)의 부위를 에지부(10γ)로 하고 있다. 상기 에지부(10γ)는 제 3 도의 확대 원안에 나타내듯이 곡면 형상으로 처리가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에지부(10γ)를 포함하는 고리형상 영역(K)은 제 3 도내지 제 5 도에 있어서 확대하여 나타내듯이 회전축(6)보다 약간 큰 지름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원추(A,B)사이의 정상각은 제3도 및 제5도에 나타내듯 이 경사판(9)의 최소 경사각과 최대 경사각과의 사이의 이동에 있어서, 에지부(10γ)이외는 회전축(6)에 맞닿지 않는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살기 관통구멍(10)의 형성은 제5도에 나타내듯이 경사판틀(9A)을 도시생략의 척등으로 유지하며, 상기 틀(9A)을 회전중심(R)을 중심으로서 회전시키면서 바이트등의 가공공구(G)를 회전중심(R)방향에 대하여 경사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축(6)에 대하여 경사판(9)은 2쌍의 가이드 핀(19α)및 가이드 구멍(20α)에 의해 구성된 힌지기구(11)를 거치는 2점과 관통구멍(10)에 형성된 에지부(10γ)를 거친 1점의 합계 3점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판(9)의 회전 및 경사이동이 안정적으로 실행된다.
상기 구성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이룰수 있다.
① 관통구멍(10)의 내부면에 있어서 가공정도가 필요한 것은 경사판(9)및 힌지기구(11)에 대한 에지부(10γ)의 위치관계 뿐이다. 따라서 다른 내주면 부위는 경사판(9)의 슬라이드 이동 및 경사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내로 형성되면 좋으며. 내주면 전체에 정밀도가 요구되는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월등하게 관통구멍(10)의 가공이 간단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관통구멍(10)을 2개의 원추(A,B)의 조립형상으로 하는 것에의해 선반을 이용한 절삭가공등의 간단한 가공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들면 NC선반에서 바이트(G)를 제어하는 수치는 한쪽의 원추면(10α)을 가공하기 위한 수치의 부호를 반전시키는 정도의 변경으로 다른쪽의 원추면(10β)의 가공에 대응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이 간단하게 된다. 상술한 것은 압축기 전체의가공가격 저감으로 이어진다.
② 에지부(10γ)는 곡변형상으로 처리가 이루어져 있다.따라서, 상기 에지부(10γ)의 회전축(6)에 대한 맞닿음에 있어서 면 압력이 저하되며, 상기 에지부(10γ)와 회전축(6)과의 맞닿음에 의한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③ 힌지기구(11)는 경사판(9)의 상사점 대응부위(9β)의 양측에 배치되며, 에지부(10γ)는 축선(L)을 거쳐 힌지기구(11)와 반대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편두 피스톤(12)을 통해 경사판(9)에 작용되는 압축반력은 상기 힌지기구(11)에서 적정하게 받아들여 지며, 경사판(9)의 비틀림등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압축반력의 분력에의해 축선(L)에서 상사점 대응부위(9β)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경사판(9)은 에지부(10γ)에 의해 확실하게 규제된다. 따라서 경사판(9)의 경사이동 동작은 정해진 범위내에서 비틀림등을 발생하는 일 없이 실행되며, 확실한 용량변경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취지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하의 실시예를 이룰수 있다.
(1) 제 6a 도 및 제 6b 도에 나타내듯·이 관통구멍(10) 내주면에서 에지부(10γ)이외를 원통면으로 한다.
(2) 본 발명을 와블형 압축기, 즉 경사판에는 요동판이 대향되어 있으며, 상기 요동판에 미끄럼접합된 경사판의 요동에 의해 요동판에 연결된 피스톤이 왕복 직선운동되는 타입의 압축기에서 구체화 한다.
(3) 관통구멍(10)을 리머등으로 요동가공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관통구멍(10)에 거의 정밀도가 불필요 하기때문에 선반가공등과 비교하여 복잡한 리머가공 에서도 상기 리버의 미세한 각되 제어가 불필요 하며, 복잡함없이 관통구멍(10)을 가공할 수 있다.
(4) 래그 플레이트(8)측에 가이드 핀(19α)을 경사판(9)측에 가이드 구멍(20α)을 마련한다. 혹은 1개의 가이드 핀(19α)및 가이드 구멍(20α)을 경사판(9)측에 마련하여 그것들에 결합되는 다른 쪽의 가이드 핀(19α)및 가이드 구멍(20α)을 래그 플레이트(8)측에 마련한다. 또한 3쌍이상의 가이드 핀(19α)및 가이드 구멍(20α)을 구성하여 힌지기구(11)를 통해 경사판(9)의 지지를 3점지지 이상의 구성으로 한다.
(5) 힌지기구(11)를 예를들면, 핀-을 갖는 브라켓을 경사판(9)측에 마련하여 긴구멍을 갖는 탭을 래그 플레이트(8)측에 마련하고, 그리고, 핀과 긴구멍과의 결합에 의해 경사판(9)을 안내하도록 구성한다.
이하 상기 실시예에서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에 관하여 기재한다.
(1) 경사판(9)에는 슈(13)를 통해 피스톤(12)이 계류되어 있는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에 기재된 가변 용량형 경사판식 압축기.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면 요동판이 불필요하다.
(2) 경사판의 요동판이 대향되어 있으며, 상기 요동판에 미끄럼 접합된 경사판의 요동에 의해 요동판에 연결된 피스톤이 왕복 직선운동되는 구성의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변 용량형 경사판식 압축기. 상기와 같이 이루어져도 관통구멍을 복잡함 없이 가공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상기 구성의 청구항 제 1 항 또는 제 7 항의 발명에 의하면, 관통구멍의 가공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며, 더나가서는 압축기 전체의 가공 가격의 저감을 이룰 수 있다
청구항 제 2 항의 발명에 의하면, 더욱 가격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제 3 항의 발명에 의하면, 가공공구의 제어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며, 또한 가공 가격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제 4 항의 발명에 의하면, 에지부의 마모열화를 억제할 수 있으며, 관통구멍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의 발명에 의하면, 경사판의 지지가 더욱 안정된다.

Claims (7)

  1. 회전축(6)과 관통구멍(10)을 가지며, 관통구멍(10)에서 상기 회전축(6)에 경사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경사판(9)과, 상기 회전축(6)에 고정 장착된 지지체(8)와, 상기 회전 지지체(8)와 상기 경사판(9)과의 사이에 끼여 장착되며, 경사판(9)의 경사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핀(19α)과 가이드 구멍(20α)등을 구비한 힌지 기구(11)를 구비하며, 경사판(g)의 경사각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토출용량을 변화 시키는 가변 용량형 경사판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6)에 대하여 경사판(9)은, 힌지 기구(11)를 통해 2점 이상으로 지지됨과 함께, 관통구멍(10) 내주면의 1점(10γ)으로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형 경사판식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10)은, 한쪽의 개구측에서 중심부로 향해 좁은 지름인 원추면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내주면과, 동일하게 다른쪽의 개구측에서 중심부로 향해 좁은 지름인 원추면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내주면에 의해 구성되며,
    양 내주면의 접속부분에 형성된 에지부(10γ)가 회전축(6)에 맞닿는 것에의해 경사판(9)의 1점 지지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형 경사판식 압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주면을 따른 원추와. 제 2 내주면을 따른 원추는 합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형 경사판식 압축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부(10γ)는 곡변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장으로 하는 가변 용량형 경사판식 압축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기구(11)는 경사판(9)의 상사점 대응부위 근방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에지부(10γ)는 힌지 기구(11)와는 회전축(6)의 축선을 통해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형 경사판식 압축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기구(11)는 경사판(9)의 상사점 대응부위와 회전축(6)의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형 경사판식 압축기.
  7.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기구(11)는 적어도 2개의 가이드 핀(19α)과 상기 가이드핀(19α)이 갖는 구면부(19β)에 각각 결합되는 같은 수의 가이드 구멍(20α)에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형 경사판식 압축기.
KR1019960019590A 1995-06-08 1996-06-03 가변용량형 경사판식 압축기 KR1002151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42096 1995-06-08
JP7142096A JPH08338362A (ja) 1995-06-08 1995-06-08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954A KR970001954A (ko) 1997-01-24
KR100215159B1 true KR100215159B1 (ko) 1999-08-16

Family

ID=15307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9590A KR100215159B1 (ko) 1995-06-08 1996-06-03 가변용량형 경사판식 압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699716A (ko)
JP (1) JPH08338362A (ko)
KR (1) KR100215159B1 (ko)
DE (1) DE19622869A1 (ko)
TW (1) TW36155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6369B2 (ja) * 1996-08-02 2005-12-14 ボッシュ株式会社 倍力装置
JP3575213B2 (ja) * 1996-11-22 2004-10-1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圧縮機、斜板及び斜板の焼入れ方法
JPH10196525A (ja) * 1997-01-09 1998-07-31 Sanden Corp 斜板式圧縮機
JPH10196540A (ja) * 1997-01-10 1998-07-3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圧縮機
JPH10213064A (ja) * 1997-01-31 1998-08-11 Zexel Corp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JPH10266952A (ja) * 1997-03-25 1998-10-06 Zexel Corp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JP3832012B2 (ja) * 1997-03-31 2006-10-1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型圧縮機
JPH1182297A (ja) * 1997-09-08 1999-03-2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圧縮機
US6446587B1 (en) 1997-09-15 2002-09-10 R. Sanderson Management, Inc. Piston engine assembly
US6460450B1 (en) 1999-08-05 2002-10-08 R. Sanderson Management, Inc. Piston engine balancing
JPH11193781A (ja) * 1997-12-26 1999-07-2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型圧縮機
KR100558704B1 (ko) * 1999-03-20 2006-03-10 한라공조주식회사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JP2000320454A (ja) * 1999-05-13 2000-11-2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圧縮機
JP4431912B2 (ja) * 1999-09-09 2010-03-17 株式会社ヴァレオサーマルシステムズ 斜板式圧縮機
JP2001140755A (ja) 1999-11-17 2001-05-22 Sanden Corp 斜板式圧縮機
KR100389013B1 (ko) 2000-01-11 2003-06-25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피스톤식 압축기 및 그 조립방법
WO2001065071A2 (de) * 2000-03-03 2001-09-07 Luk Fahrzeug-Hydraulik Gmbh & Co. Kg Hubkolbenmaschine
JP2002013474A (ja) * 2000-06-28 2002-01-18 Toyota Industries Corp 可変容量圧縮機
KR100714088B1 (ko) * 2001-02-16 2007-05-02 한라공조주식회사 사판의 가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판식 가변용량 압축기
US7438029B2 (en) * 2004-03-18 2008-10-21 R. Sanderson Management, Inc. Piston waveform shaping
KR100605144B1 (ko) * 2004-07-20 2006-07-28 주식회사 두원전자 용량 가변형 양두 사판식 압축기
KR100572123B1 (ko) * 2004-07-20 2006-04-18 주식회사 두원전자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JP2008215169A (ja) * 2007-03-02 2008-09-18 Calsonic Kansei Corp 可変容量圧縮機
EP1970566A2 (en) * 2007-03-12 2008-09-17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4501083B2 (ja) * 2007-06-11 2010-07-1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圧縮機
JP6047307B2 (ja) * 2012-05-28 2016-12-21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可変容量圧縮機
JP6171875B2 (ja) 2013-11-13 2017-08-0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DE102019112237A1 (de) * 2019-04-12 2020-10-15 OET GmbH Hubkolbenkompresso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1234B2 (ja) * 1987-02-19 1990-07-12 Sanden Corp Shabanshikikahenyoryoatsushukuki
JP3066973B2 (ja) * 1990-06-11 2000-07-17 京セラ株式会社 データ入力処理方法
JP3078897B2 (ja) * 1991-10-17 2000-08-21 サンデン株式会社 斜板式可変容量型圧縮機
JP3125952B2 (ja) * 1993-04-08 2001-01-2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JP2917767B2 (ja) * 1993-09-24 1999-07-1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JP3503181B2 (ja) * 1994-04-28 2004-03-0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61556U (en) 1999-06-11
DE19622869A1 (de) 1996-12-12
JPH08338362A (ja) 1996-12-24
KR970001954A (ko) 1997-01-24
US5699716A (en) 1997-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5159B1 (ko) 가변용량형 경사판식 압축기
JP3125952B2 (ja)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US5318410A (e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970003251B1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US7972118B2 (en)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EP0793018B1 (en) Swash plate angle changing device for swash plate type piston pump motor
JP3178630B2 (ja) 可変容量型圧縮機
KR100404952B1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0255529B1 (ko) 압축기용 피스톤의 가공방법
JPH09137775A (ja) 容量可変斜板式コンプレッサ
JPS6361779A (ja) 可変容量形圧縮機
US6044751A (e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H11294321A (ja) 圧縮機のピストン支持構造
US5882179A (en) Compressor with bearing between the drive shaft and the swash-plate boss
JPH05172046A (ja) 揺動斜板式可変容量圧縮機
US20020083827A1 (en) Structure for supporting swash plate of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JPH0430385Y2 (ko)
JP3048090B2 (ja)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JPH07217531A (ja) 可変容量形液圧装置
JP3079663B2 (ja) 可変容量圧縮機
JP2000291541A (ja) 可変容量型圧縮機の設計方法及び製造方法
JPH04179873A (ja) 揺動斜板式可変容量圧縮機及び揺動斜板とピストンを係留するシューの加工方法
KR100558705B1 (ko)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JP2001132630A (ja)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JPH10246348A (ja) 圧力調整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