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2334B1 - 사계절용 타이어 트레드 - Google Patents

사계절용 타이어 트레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2334B1
KR100212334B1 KR1019910007473A KR910007473A KR100212334B1 KR 100212334 B1 KR100212334 B1 KR 100212334B1 KR 1019910007473 A KR1019910007473 A KR 1019910007473A KR 910007473 A KR910007473 A KR 910007473A KR 100212334 B1 KR100212334 B1 KR 100212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s
tread
extending
tire trea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7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9807A (ko
Inventor
그레이스 모리스
콘스탄트 마이클
Original Assignee
스위셔 케드린 엠
더 굿이어 타이어 앤드 러버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위셔 케드린 엠, 더 굿이어 타이어 앤드 러버 캄파니 filed Critical 스위셔 케드린 엠
Publication of KR910019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9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2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23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4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continuous circumferential ribs, e.g. zig-z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69Tie bars for linking block elements and bridging the gro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04Asymmetric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1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isolated elements, e.g.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81Blind or isolated grooves
    • B60C2011/0383Blind or isolated grooves at the centre of the tre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S152/03Slits in thre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S152/902Non-directional tread pattern having no circumferential rib and having blocks defined by circumferential grooves and transverse groo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S152/903Non-directional tread pattern having non-circumferential transverse groove following smooth curved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사계절용 타이어 트레드(11)는 곡선부와 상기 트레드의 각각의 횡방향 테두리(TE1)(TE2)가 인접한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개의 그로브(34)를 포함하는데, 상기 곡선부는 원주방향으로 대칭방향으로 연장한다. 축선 방향으로 이격된 지그 재그형 그로브(4 내지 8)는 ¼ 구간의 모든 지그 재그형 그로브가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그로브(36)의 소정부분과 일치되어지게 상기 트레드가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¼ 구간과 인접한 두개의 레그는 그들에 중앙부가 상기 지그 재그형 그로브의 나머지의 모든 ¼ 구간과 나란하게 일치하는 반이 막힌 짧막한 그로브(19)쪽으로 상기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그로브와 연결된다.
상기 다양한 그로브는 원주방향의 열(30 내지 35)에 배열되고 S자 또는 Z자 형상을 갖는 블록 요소를 규정하도록 한다. 상기 블록은 복수개의 슬롯트(50 내지 5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웃블록사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사계절용 타이어 트레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된 트레드를 구체화시킨 타이어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타이어의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트레드의 일부분에 대한 부분확대도.
제4도 및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 부분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제6도 내지 제9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트레드 부분의 부분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내지 8 :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지그-재그형 그로브
10,40 : 타이어 11 : 트레드
12,13,42,43 : 숄더부 14,15 : 측벽
16,17,46,47 : 비이드 20,21,24,25 : 블록
32,33 : 중앙열 31,34 : 중간열
30,35 : 숄더부열 36 :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그루브
37,38 : 곡선부 39 : 중앙부
TW : 트레드 폭 TE1,TE2 : 측면 에지
본 발명은 사계절용 타이어 트레드 및 상기 트레드를 포함하는 레이디얼 공기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타이어의 트레드부는 지면과 접촉되는 고무 요소를 한정하는 복수개의 그루브를 포함한다. 이러한 고무요소의 특정 크기 및 형상은 타이어의 전반적인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타이어는 일반적으로 예를들어, 겨울철의 강력한 견인력 또는 고속 주행과 같은 특정 성능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어떠한 특정한 성능을 달성하는 것은 다른 성능을 달성하지 못하게 한다. 예를들면, 타이어의 겨울철 성능을 양호하게 하면 핸들링(handling)이 감소되며, 타이어의 양호한 건조 견인력은 겨울철 성능을 감소시킨다.
사계절용 타이어의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서, 원주 방향으로 저 강성을 갖는 트레드 패턴이 선택되는데, 이는 이들이 사계절동안에 서로 필적될만한 작용을 하는 타이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즉, 저 마찰의 불안전 도로에서의 타이어 파지력(grip)이 향상되면서도, 건조한 고마찰의 도로면상에서의 타이어 주행성능은 여전히 양호하다.
따뜻한 계절에 사용되는 타이어에 요구되는 승차감, 소음 및 핸들링 특성을 유지하면서 타이어에 양호한 사계절 주행성능을 제공하는 트레드 패턴은, 예컨대 유럽 특허출원 제 0 139 606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유럽 특허출원에 기재된 트레드 보다 더 뛰어난 성능을 갖는 사계절용 타이어 트레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음 발생이 적고 탁월한 수막 성능을 갖는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노면 상태와는 상관없는 균일한 공기 타이어의 반응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들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바와같은 타이어 트레드에 의해 달성된다.
이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이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남없이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레이디얼 공기 타이어는 비드(bead)사이에 연장하는 카커스 보강코드가 타이어의 적도면(equatorial plane; EP)에 대하여 65°내지 90°사이의 코드 각도로 놓여있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사용된 적도면(EP)은 타이어의 회전축에 수직하고 타이어 트레드의 중심을 즉 타이어의 양측벽사이의 중간을 통과하는 면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반경방향은 타이어의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을 지칭하며, 축방향은 타이어의 회전축에 평행한 선 또는 방향을 지칭하고, 측방향은 타이어의 일측벽에서 타이어의 타측 벽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또한 그루브는 직선, 곡선 또는 지그재그 형태로 트레드내에서 원주방향 또는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늘고 긴 공간 영역을 의미한다. 트레드 패턴의 원주방향 및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그루브는 공통 부분들을 갖는다. 이러한 그루브들은 넓은 그루브, 좁은 그루브 또는 슬롯으로 구별되는데, 넓은 그루브는 트레드의 폭의 3이상의 폭을 가지며, 좁은 그루브는 트레드 폭의 약 0.8내지 3범위의 폭을 갖는다. 또한, 슬롯은 트레드 폭의 약 0.2내지 0.8범위의 폭을 갖는 그루브이다. 일반적으로 슬롯은 주조된 또는 기계가 공된 주형틀내에 삽입된 스틸 블레이드(steel blade)에 의해 형성되며, 매우 협소하기 때문에 한가닥의 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트레드 폭(TW)은 타이어의 자국으로부터 측정되는 데, 림에 장착되어 소정 부하를 받고 상기 부하에 대해 소정의 팽창압력으로 팽창될때의 트레드에 걸친 최대 축방향 거리고 규정된다. 다른 트레드 형상 또는 콤포넌트의 축방향 폭 및 기타 폭은 트레드 폭과 동일한 조건으로 측정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사용된 기타의 모든 타이어 치수는 그 소정 림상에 장착되어 어떠한 부하도 받지 않는 동안 소정 팽창 압력까지 팽창된 타이어를 지칭한다. 소정 타이어에 대해서, 설계 림, 팽창 및 부하는 타이어가 제조되는 해의 유럽형 타이어 및 림 기술 기구의 회보(YEARBOOK OF THE EUROPEAN TYRE AND RIM TECHNICAL ORGANIZATION) 또는 타이어 앤드 림 협회의 회보(TEARBOOK OF THE TIRE RIM ASSOCIATION)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새 타이어 및 재생 타이어는 물론 최소한 부분적으로 가황처리 되고 일체로된 그루브 및 돌출부의 패턴을 갖는 스트립 형태의 타이어 트레드에 적용된다.
제1,2 및 4도를 참조하면, 접지 트레드(ground contacting tread)(11)(41)를 갖는 레이디얼 카커스(radial carcass) 형태가 바람직한 공기 타이어(10)(40)가 도시되어 있다. 트레드는 한쌍의 숄더부(12,13);(42,43)에 접해 있으며, 상기 숄더부(12,13);(42,43)는 상기 트레드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측벽(14,15);(44,45)에 결합되며, 각각 비이드(16,17);(46,47)에서 종료된다.
특히, 제3도를 참조하면, 제1도 및 제2도에서 도시된 타이어 트레드를 구성하는 트레드의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트레드(11)는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5개의 지그-재그형 그루브(4,5,6,7, 및 8)를 갖는데, 상기 그루브는 트레드 표면에 걸쳐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트레드를 탄성 중합체 블록(20-25)의 6개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열(30-35)(이하, 중앙 열(32),(33), 중간 열(31)(34) 및 숄더부 열(30)(35)이라 칭함)로 분할한다. 타이어 자국을 측정해 보면,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그-재그형 그루브의 중심선의 축방향 평균 위치에 의해 경계가 지어지는 중앙 및 중간 열의 축방향의 폭(RW 2 내지 RW 5)은, 접지부의 트레드 폭(TW)의 약 10내지 20의 범위이다. 중앙 열(32)(33)은 중간 열(31)(34)보다 약간 작은 폭을 갖는다. 타이어의 자국을 측정해 보면, 접촉 영역에 포함된 숄더부 열의 축방향 폭(RW1),(RW6)은 트레드 폭의 약 15내지 25범위이다. 블록의 두 숄더부 열(30)(35)의 축방향 최외측 부분은 트레드 에지를 지나 측벽(14),(15)으로 연장하며, 주로 외관 즉 심미적 기능을 갖는다.
복수개의 그루브(36)는 타이어의 한 측면 에지(TE 1)로부터 반대 측면 에지(TE 2)까지 트레드(11)를 가로질러 연장한다.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그루브(36)는 타이어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반복적으로 배치되며, 타이어의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산업상 실시되는 바와 같이, 그 폭과 경사는 피치의 변화에 좌우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그루브(36)는 각각 가늘고 긴 구조의 S 자 형태로 되어 있으며, 측면 에지(TE 1)(TE 2)에 인접한 곡선부(37)(38)와 측면 그루브의 두 곡선부(37)(38)를 연결하는 선형 중앙부(39)를 포함한다. 측면 그루브의 선형 중앙부(38)는 타이어의 적도면에 대해 적어도 30°이며, 바람직하게는 35°내지 60°범위의 각도를 형성한다. 각 측방향 연장 그루브(36)의 곡선부(37)(38)는 원주방향으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며, 중앙면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각도를 증가시키도록 적도면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그루브의 배향 각도가 변경된다. 트레드의 각 측면 에지(TE 1)(TE 2)에서, 각각의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그루브의 곡선부(37)(38)는 타이어의 적도면에 평행한 면에 대해 적어도 70°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75°내지 85°범위의 각도로 배향되어 있다.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지그-재그형 그루브 및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그루브의 정확한 갯수는 타이어의 크기에 따라 변할 수 있다. 그러나,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3개의 그루브는 원하는 특성을 갖는 트레드를 얻는데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그루브(36)의 갯수는 37 내지 57개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정확한 개수는 타이어의 크기에 좌우된다. 예를들어 크기가 185 x 70 R 14인 타이어는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5개의 지그-재그형 그루브 및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52개의 그루브를 갖는다.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각 지그-재그형 그루브는 4번째 구간마다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S자 형상의 그루브와 일치한다.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그-재그형 그루브의 상기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S자 형상의 그루브와 일치하는 구간의 양측에 인접한 두 구간에 의해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그루브(36)가,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그-재그형 그루브와 4구간 간격으로 일치하는 단부가 막힌 짧은 그루브(19)에 연결된다. 단부가 막힌 짧은 그루브(19)는, 그 축방향 돌출부가 각각의 블록 열 즉,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지그-재그형 그루브의 양측면에 인접한 열 폭의 ½과 거의 같은 길이를 갖도록, 지그-재그 그루브의 양 측에 대해 측방향으로 연장한다. 거의라 함은 기준치로부터 20이하만큼 차이가 나는 값을 의미한다. 단부가 막힌 짧은 그루브(19)는 측방향 연장 그루브(36)의 인접부 방향을 따라서 직선 또는 약간 만곡될 수도 있다. 단부가 막힌 짧은 그루브(19)의 경사는 트레드 내에서의 위치에 좌우된다. 즉, 정중앙에 있는 단부가 막힌 짧은 그루브(19)는 타이어의 적도면에 대해 적어도 35°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50°내지 75°범위의 각도로 배향되지만, 축방향으로 최외측에 있는 단부가 막힌 짧은 그루브는 타이어의 적도면에 평행한 면에 대해 적어도 70°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80°내지 90°범위의 각도로 배향된다.
원주방향 및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그루브는 상기 단부가 막힌 짧은 그루브와 협력하여 각각의 열에 블록 요소(20 내지 25)를 한정하며, 모두 거의 동일한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 있어서, 블록요소는 타이어의 정면도에서 S자 형태로 나타난다. 적도면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됨에 따라 각각의 열내에 있는 블록요소의 축방향 범위가 증가된다. 블록요소내에서 단부가 막힌 짧은 그루브의 상대위치를 원주방향으로 반대 순서로 배열하면, 블록요소는 Z자 형상이 될 것이다. 즉, 이러한 트레드는 도면에 도시된 트레드의 대칭 형상이며 거의 동일한 성능 및 특성을 가질 것이다.
타이어의 코너링(cornering) 및 숄더부 배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험프(hump)로서 지칭된 탄성 중합체 브릿지(bridge)로 블록을 두개의 그룹으로 결합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같은 험프는 단부가 막힌 짧은 그루브(19)의 양측에 있는 숄더부 그루브(4)(8)에 포함된다. 즉, 험프(29)는 축방향 최외측의 S자 형상의 블록(25)(20)과 축방향으로 인접한 다음 블록(24)(21)사이에 각각 위치되어 있다. 험프(29)는 이웃한 블록의 반경방향 높이의 35내지 70인 반경방향 높이를 갖는다. 험프에 의해 연결된 원주 방향으로 오프셋된 인접한 S형상의 블록 요소와 타이어 숄더부의 S형상의 블록 요소의 특별한 조합은 트레드에 우수한 측방향 안정성을 부여한다고 여겨진다. 험프에 의해 발생된 상호 고정 효과에 기인하여, 인접한 블록들은 서로를 지지하여 코너링력을 보상한다. 험프는 또한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그루브가 측방향 힘에 의해 타이어 자국에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고 코너링시 향상된 수막 성능(aquaplaning performance)과 저소음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험프(29)는 또한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지그-재그형 그루브(6)내에, 블록의 중앙열(32)(33)의 S형상의 블록사이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타이어의 자국을 측정하여 보면, 서로 연결된 S형상의 블록요소의 열을 두 그룹으로 분리시키는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지그-재그형 그루브(5)(7)는 험프를 포함하는 지그 재그형 그루브(4)(6)(8)의 폭보다도 60내지 70정도 큰 폭을 갖는다.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그루브(36)와 지그 재그형 그루브(4 내지 8) 및 단부가 막힌 짧은 그루브(19)는, 타이어의 자국을 측정하여 보면, 트레드 폭(TW)의 1.5내지 4사이의 폭을 갖는다. 모든 그루브의 폭은 측정시 그루브의 중심선에 대해 수직하게 측정된다. 그루브의 총면적 대 그 사이에 있는 블록부의 총 면적이 적도면의 양 측에 대해 거의 동일하도록 트레드상에 정렬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블록부의 총면적은 트레드 표면의 67이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타이어의 겨울철 견인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직선형 슬롯(50 내지 53)이 블록(120 내지 125)에 제공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된 트레드 부분에 상당하는 트레브 부분의 참조부호는 제3도에 도시된 트레드 부분의 참조부호보다 100만큼 크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S형 블록은 블록의 한 에지부로만 연장하는 두 개의 슬롯과 블록의 대향 에지사이를 연장하는 두 개의 슬롯을 포함한다. 전자(52)(53)는 S형 블록의 각 극단에 위치되며, 후자(50)(51)(이후, 중앙 슬롯이라 지칭함)는 짧은 그루브(119)의 연장부내에 위치된다. 슬롯이 인접한 짧은 그루브의 중간과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그루브의 중간사이에서 연장하므로, 슬롯의 경사는 트레드 내에서의 그 위치에 따라 변한다. 정중앙 슬롯은 타이어의 적도면에 대하여 평행한 평면에 대해 적어도 30°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45°내지 70°범위의 각도로 배향되며, 축방향의 최외측 슬롯은 타이어의 적도면에 평행한 평면에 대해 적어도 70°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75°내지 85°범위의 각도로 배향된다.
슬롯은 종래의 형상을 가지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슬롯은 대개 각각의 블록을 둘러싸는 그루브의 반경방향 깊이에 상당하는 반경방향의 깊이를 갖지만, 본 발명의 목적상 다소 작은 반경방향 깊이를 갖는다. 제5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슬롯은 그루브의 반경방향 깊이의 60내지 90범위의 균일한 반경방향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트레드 구조는, 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지그-재그형 그루브(104)(106)(108)내의 험프(629)의 배열이, 제5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조와 상이한 점이다. 따라서, 185보다 큰 트레드 폭을 갖는 우수한 측방향 안정성의 고성능 타이어를 얻기위해,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지그-재그형 그루브(104)(106)(108)에 2구간 간격으로 두개의 험프를, 즉 중앙 슬롯의 양 측에 각각 하나의 험프를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험프는 각 구간 길이의 20내지 40범위의 길이와, 인접한 블록 높이의 60내지 90범위의 높이를 갖는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각 블록 요소는 블록의 대향 에지 사이를 연장하는 두개의 중앙 슬롯(150)(151)만을 포함한다. 슬롯은 각 블록을 둘러싸는 그루브의 반경방향 깊이의 70내지 100범위의 균일한 반경방향 깊이를 갖는다.
제8도에는, 제1측방향 부분상에 제4도에 도시된 트레드 구조를, 제2측방향 부분상에 제3도에 도시된 트레드 구조를 포함하는 비대칭 트레드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데, 두개의 측방향 부분은 적도면면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블록내의 슬롯은 각 블록을 둘러싸는 그루브 깊이의 60내지 90범위의 균일한 깊이를 갖는다.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지그-재그형 그루브(804)(806)(808)는 제6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험프를 구비한다. 이와같은 트레드 구조의 장점은 저소음을 가지며 젖은 노면상의 핸들링이 향상된다는 점이다.
제9도는 또다른 비대칭 트레드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측방향 부분상에 제7도에 도시된 트레드 구조의 것과 같은 슬롯을 갖는 블록을, 또한 제2측방향 부분상에 트레드의 제1측방향 부분을 거의 가로지르도록 배향된 슬롯을 갖는 블록(924)(925)(926)을 포함한다. 블록(924)(925)(926)내의 슬롯(954)(955)은 단부가 막힌 짧은 그루브의 단부에서 시작하여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인접 지그-재그형 그루브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한다. 제1 및 제2의 측방향 부분내의 슬롯은 각각의 블록을 둘러싸는 그루브의 반경방향 깊이의 60내지 90범위의 있는 반경방향 깊이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타이어 트레드는 상이한 특성을 갖는 블록열이 적도면에 의해 분리될 필요가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서 동일한 열에 위치된 블록은 동일한 배치 및 동일한 깊이를 갖는 동일한 수의 슬롯을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들면, 크기가 175/70 R 13의 강 벨트 레이디얼 카커스 타이어(steel belted radial carcass tire)는 약 132의 트레드 폭을 가지며, 블록 열들은 각각 약 24,23 및 19의 축방향 폭(RW1)(RW2)(RW3)을 갖는다. 또한, 피치의 비는 17,21 및 26이고, 트레드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52개의 피치를 포함한다.
그루브는 약 8.3의 반경방향 깊이를 가지며, 그 폭은 트레드내의 다른 그루브의 축방향의 위치와 피치값에 좌우된다.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그루브는 약 2.3 내지 4.8범위의 폭을 갖는다. 단부가 막힌 짧은 그루브는 약 2.5 내지 4.8범위의 폭을 갖는다.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지그-재그형 중앙 그루브(제6도의 106)는 약 2.9 내지 3.2범위의 폭을 가지며,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지그-재그형 중간 그루브(105 및 107)는 4.6 내지 4.8범위의 폭을 갖는다. 또한,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지그-재그형 최외측 그루브(104 및 108)는 약 2.8의 폭을 갖는다. 이와같은 값들은 단부가 막힌 짧은 그루브 또는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그루브와 일치하지 않는 지그-재그형 그루브 부분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험프는 제6도와 관련하여 기술된 바와같이 위치되고 약 4.15의 높이를 갖는다. 또한 블레이드도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위치 및 배향되며, 이들의 반경방향 깊이는 주위 그루브의 반경방향 깊이의 거의 80이다.
싱글 카커스 플라이는 폴리에스터 보강코드를 포함한다. 벨트 구조는, 인치당 약 24 단부(ends)의 밀도를 가지며 적도면에 대해 약 22°의 각도를 이루는 2 x 0.30의 고 인장강 케이블에 의해 보강된 두개의 싱글 절단 플라이(single cut plies)를 포함하며, 상이한 플라이내의 케이블의 각도가 서로 대칭된다.
트레드는 계수가 6 내지 7MPa 범위의 모듈러스(modulus), 60 내지 65 범위의 쇼어 A 경도, 약 600의 연신율 및 16 내지 18MPa 범위의 인장강도를 갖는 탄성중합체 합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특정한 대표적인 실시예가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없이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Claims (10)

  1. 탄성 중합체 물질이 타이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사계절용 타이어 트레드에 있어서, 지면과 접촉가능한 표면의 측면 에지를 한정하는 한쌍의 숄더부와; 각각의 측면 에지와 인접한 곡선부를 갖는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그루브와;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며 축방향으로 이격된 적어도 3개의 넓은 지그-재그형 그루브를 포함하며, 상기 곡선부는 가늘고 긴 S자 또는 Z자 형상을 갖도록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며 축방향으로 이격된 적어도 3개의 지그-재그 그루브 각각은 4번째 구간마다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그루브의 한 부분과 일치되고, 상기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그루브와 일치하는 각각의 구간에 인접한 두 구간에 의해 상기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그루브가 상기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지그-재그형 그루브와 4구간 간격으로 일치하는 단부가 막힌 짧은 그루브에 연결되며, 상기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그루브와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그루브 및 단부가 막힌 짧은 그루브들은 서로 협력하여 원주방향의 열내에 배열되고 S자 또는 Z자 형상을 갖는 블록요소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계절용 타이어 트레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폭의 15내지 25범위에 있는 일정 거리만큼 축방향으로 이격된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섯개의 지그-재그형 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계절용 타이어 트레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각 그루브는 35°내지 60°범위의 각도로 적도면을 가로지르는 선형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계절용 타이어 트레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그루브의 축방향 최외측에 있는 부분들은 상기 적도면에 평행한 평면에 대해 적어도 70°의 각도로 배향되고 상기 트레드의 측면 에지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계절용 타이어 트레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가 막힌 짧은 그루브는 상기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인접한 그루브의 곡률 반경을 따라 약간 만곡되어 있고, 상기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지그-재그형 그루브의 양측에 대해 상기 각각의 인접한 블록열의 축방향 폭의 대체로 ½만큼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계절용 타이어 트레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가 막힌 짧은 그루브의 정중앙 부분은 상기 적도면에 평행한 평면에 대해 적어도 35°의 각도로 배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계절용 타이어 트레드.
  7.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험프가 축방향 최외측 블록열의 각 블록과 인접한 다음 열의 이웃하는 블록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계절용 타이어 트레드.
  8.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험프가 상기 중앙열의 축방향으로 인접한 두개의 블록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계절용 타이어 트레드.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두개의 험프가 상기 단부가 막힌 짧은 그루브의 양측에 위치되며, 상기 험프는 상기 인접한 블록의 반경방향 높이의 35내지 70범위의 반경방향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계절용 타이어 트레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블록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계절용 타이어 트레드.
KR1019910007473A 1990-05-10 1991-05-09 사계절용 타이어 트레드 KR1002123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21,514 1990-05-10
US07/521,514 US5088536A (en) 1990-05-10 1990-05-10 All season type tire tre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807A KR910019807A (ko) 1991-12-19
KR100212334B1 true KR100212334B1 (ko) 1999-08-02

Family

ID=24077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7473A KR100212334B1 (ko) 1990-05-10 1991-05-09 사계절용 타이어 트레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088536A (ko)
EP (1) EP0455925B1 (ko)
JP (1) JP2968090B2 (ko)
KR (1) KR100212334B1 (ko)
AT (1) ATE121994T1 (ko)
AU (1) AU631987B2 (ko)
BR (1) BR9101823A (ko)
CA (1) CA2024201C (ko)
DE (1) DE69019140T2 (ko)
DK (1) DK0455925T3 (ko)
ES (1) ES2071801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07051A1 (de) * 1991-03-06 1992-09-10 Uniroyal Englebert Gmbh Fahrzeugluftreifen
DE4108745A1 (de) * 1991-03-18 1992-09-24 Sp Reifenwerke Gmbh Luftreifen
DE69304021T2 (de) * 1992-11-20 1996-12-19 Sumitomo Rubber Ind Verfahren zur Auswahl eines Laufflächenprofils, der ein Schräglaufen des Fahrzeuges verhindert
JP2864439B2 (ja) * 1992-12-16 1999-03-0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AT401370B (de) * 1992-12-24 1996-08-26 Semperit Ag Fahrzeugluftreifen mit einem laufflächenprofil
DE4326036A1 (de) * 1993-08-03 1995-02-09 Sp Reifenwerke Gmbh Lauffläche für Fahrzeugluftreifen
DE4403662C2 (de) * 1994-02-05 2001-04-19 Uniroyal Englebert Gmbh Fahrzeugreifen
CA2244198C (en) * 1996-01-25 2006-05-09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An on/off road radial pneumatic light truck or automobile tire
US5924464A (en) * 1996-03-29 1999-07-20 Michelin Recherche Et Technique, S.A. Tire having flow isolating grooves
IT1287154B1 (it) * 1996-11-12 1998-08-04 Pirelli Fascia battistrada di pneumatico,particolarmente per autoveicoli fuoristrada
USD387717S (en) * 1996-12-09 1997-12-16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tread
JP3363370B2 (ja) * 1998-02-12 2003-01-0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EP1107872B1 (en) * 1998-08-26 2002-06-19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An on/off-road tread
FI112339B (fi) * 1999-09-29 2003-11-28 Nokian Renkaat Oyj Ajoneuvon talvirengas, erityisesti raskaiden kuorma-autojen talvivetorengas
US6923231B2 (en) * 1999-12-01 2005-08-02 Pirelli Pneumatici S.P.A. Tire including blocks and transverse notches
US6378583B1 (en) 2000-02-28 2002-04-30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Heel and toe wear balancing
ATE354483T1 (de) * 2001-01-29 2007-03-15 Michelin Soc Tech Rollgeräusch reduzierende lauffläche
ATE369259T1 (de) * 2001-02-28 2007-08-15 Pirelli Reifenlauffläche für kraftfahrzeuge, insbesondere für wintereinsatz
US7270163B2 (en) * 2001-02-28 2007-09-18 Pirelli Pneumatici S.P.A. Tyre for a vehicle wheel including specific tread patterns
JP3682269B2 (ja) * 2002-05-09 2005-08-1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KR100573624B1 (ko) * 2003-11-17 2006-04-2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스노우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구조
JP4927312B2 (ja) * 2003-11-28 2012-05-0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EP1580032B1 (de) * 2004-03-26 2010-10-20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luftreifen
JP4530407B2 (ja) * 2004-07-20 2010-08-25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ATE502794T1 (de) 2006-12-21 2011-04-15 Pirelli Reifen für fahrzeugräder mit verbessertem profilmuster
JP5421800B2 (ja) * 2010-01-18 2014-02-1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DE102011052684A1 (de) * 2011-08-12 2013-02-14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luftreifen
US20150047763A1 (en) * 2012-03-27 2015-02-19 Ronald Hobart Thompson Wet and snow traction design for a tire tread and solution for pull under torque therefor
JP2014125102A (ja) * 2012-12-26 2014-07-07 Toyo Tire & Rubber Co Ltd 空気入りタイヤ
JP5913192B2 (ja) * 2013-05-15 2016-04-2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EP3086957B1 (en) 2013-12-23 2019-05-22 Pirelli Tyre S.p.A. Tyre for vehicle wheels having improved tread pattern
EP2918427B1 (en) * 2014-03-11 2018-08-29 Sumitomo Rubber Industries Limited Pneumatic tire
DE102014213660A1 (de) * 2014-07-14 2016-01-14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luftreifen
US10232669B2 (en) * 2014-11-27 2019-03-19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Heavy duty pneumatic tire
JP6699193B2 (ja) * 2016-01-21 2020-05-2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KR101859839B1 (ko) * 2016-10-17 2018-05-18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타이어
DE102016224369A1 (de) * 2016-12-07 2018-06-07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luftreifen
JP6878971B2 (ja) 2017-03-15 2021-06-0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JP6965671B2 (ja) * 2017-10-03 2021-11-1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JP7000836B2 (ja) * 2017-12-15 2022-01-1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JP7035550B2 (ja) * 2018-01-18 2022-03-15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7156337B2 (ja) * 2020-06-16 2022-10-1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US20220144018A1 (en) 2020-11-06 2022-05-1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with one or more recesses in the lateral grooves of at least one shoulder portion
USD953248S1 (en) * 2020-12-30 2022-05-31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Vehicle tire
US20230191846A1 (en) * 2021-12-17 2023-06-2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Winter tire tread patter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0503A (en) * 1977-11-17 1979-06-06 Bridgestone Corp Air-inflated tire for heavy load
US4353402A (en) * 1978-06-16 1982-10-12 Bandag Incorporated Slitted tire tread
US4262720A (en) * 1978-11-28 1981-04-21 Semperit Aktiengesellschaft Tread for a pneumatic tire
DE3138189A1 (de) * 1981-09-25 1983-04-14 Continental Gummi-Werke Ag, 3000 Hannover Fahrzeugluftreifen
US4779656A (en) * 1986-09-02 1988-10-25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neumatic tire
US4913208A (en) * 1988-01-21 1990-04-03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neumatic radial-ply tire having block pattern tread
EP0348335A3 (en) * 1988-06-20 1991-02-2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treads and ti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605491A (en) 1991-11-14
DE69019140D1 (de) 1995-06-08
KR910019807A (ko) 1991-12-19
ES2071801T3 (es) 1995-07-01
DE69019140T2 (de) 1995-11-02
AU631987B2 (en) 1992-12-10
JP2968090B2 (ja) 1999-10-25
BR9101823A (pt) 1991-12-17
CA2024201A1 (en) 1991-11-11
US5088536A (en) 1992-02-18
JPH04228307A (ja) 1992-08-18
DK0455925T3 (da) 1995-07-17
CA2024201C (en) 2000-05-02
ATE121994T1 (de) 1995-05-15
EP0455925A1 (en) 1991-11-13
EP0455925B1 (en) 1995-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2334B1 (ko) 사계절용 타이어 트레드
CA2039199C (en) Winter type tire tread
EP0456949B1 (en) Tread for a pneumatic tyre
KR100846166B1 (ko) 특히 눈 덮인 지면용의 차량용 광폭 트레드 타이어
EP0089306B1 (en) Tire tread
US6626215B2 (en) Pneumatic tire including long and narrow blocks with at least two sipes
CA2124608C (en) Radial pneumatic light truck or automobile tire
EP0466998B1 (en) Tire treads
EP0508090B1 (en) Pneumatic tire having a unique footprint
US9278580B2 (en) Pneumatic tire and mold
US5538060A (en) Pneumatic tire having tread portion including blocks
US5647926A (en) Winter automobile or light truck tire
EP0912355B1 (en) A convertible tread for a radial truck or trailer tire
EP1124697B1 (en) Motor vehicle tyre, particularly for lorries and the like
US6736175B2 (en) Motor vehicle tire, particularly for lorries and the like
EP0958152B1 (en) An improved winter automobile or light truck tire
US5211781A (en) Tire tread for large motor vehicles
CN112399923B (zh) 用于车辆车轮的轮胎
EP1021306B1 (en) Tread for a pneumatic tire
CN112423997B (zh) 用于车辆车轮的嵌钉轮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