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0266B1 - 차체의 반송장치 - Google Patents

차체의 반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0266B1
KR100210266B1 KR1019960034308A KR19960034308A KR100210266B1 KR 100210266 B1 KR100210266 B1 KR 100210266B1 KR 1019960034308 A KR1019960034308 A KR 1019960034308A KR 19960034308 A KR19960034308 A KR 19960034308A KR 100210266 B1 KR100210266 B1 KR 100210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wheel
wheel
pair
members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4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0910A (ko
Inventor
다케시 스가하라
Original Assignee
이도 스스므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 스스므,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이도 스스므
Publication of KR970020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0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02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1/00Use of pick-up or transfer devices or of manipulators for stacking or de-stack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3/00Vehicle-manoeuvring devices separate from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체등, 유전가능한 좌우의 전륜(FW)과 유전가능한 후륜을 갖는 차체(M)를 각 차륜을 접지회전시키면서 일정반송경로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반송하는 반송장치에 관한 것이고, 전륜방향 규제수단(5)과, 전륜홀드수단(8)과, 이들 수단을 일체로 반송경로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차체(M)의 좌우 한쌍의 전륜(FW)의 측면(안쪽면 또는 외측면)에 전륜방향 규제수단(5)의 흔들림 방지부재(4R, 4L)를 접촉시켜 해당 전륜(FW)의 방향을 반송방향으로 규제시키고, 그리고 전륜홀드수단(8)의 후부홀드부재(7R,7L)를 좌우의 전륜(FW) 각각의 후측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전부홀드부재(6R, 6L)를 해당 전륜(FW)의 앞측에 위치시킨 상태로,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흔들림 방지부재(4R,4L) 및 전후 각 홀드부재(6R∼7L)를 반송경로에 따라서 일체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차체(M)를 반송방향으로 추진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차체의 반송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반송장치의 전체를 설명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제2도는 동반송장치전체의 평면도이다.
제3도는 동반송장치전체의 측면도이다.
제4도는 전륜홀드수단의 우측의 전부홀드부재와 좌측의 후부홀드부재를 나타내는 종단정면도이다.
제5도는 반송용 주행체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6도는 반송용 주행체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7도는 전륜방향 규제수단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8도는 전륜방향 규제수단의 출퇴기구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이다.
제9도는 전륜홀드수단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10도는 전륜홀드수단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11도는 플로팅 테이블을 나타내는 일부 절결평면도이다.
제12도는 동플로팅테이블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예컨대 자동차제조공장에서의 완성한 자동차의 반송라인이든지 검사라인, 보관라인 등에 있어서, 라인사이든지 장치사이등으로 자동차를 반송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각종 차체의 반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예를들면 반송라인을 구성하기 위해서 직렬상으로 배설된 각 콘베이어 장치사이든지, 콘베이어 장치와 승강용 리프터와의 사이등으로 자동차등의 차륜을 갖는 차체를 반송 하는 방법으로서는, ① 그 차체에 작업원이 올라타 운전 자주(自走)시키는 방법이든지, ② 반송용 파렛트상에 차체를 이송재치하여 해당 반송용 파렛트에 의해 차체를 반송하는 방법(예컨대, 일본실개소55-167921호의 마이크로필름이든지 일본 특개소60-19611호공보등에 기재된 방법), 또는 ③ 견인수단을 차체에 걸어맞춤시켜, 해당 견인수단에 의해 차체를 견인반송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기 방법 ① 에서는 차체의 반송장소에 운전작업원을 상주시키지 않으면 되지 않고 경비가 커진다. 방법 ② 에서는 차체를 반송용 파렛트상에 이송재치하기 위해서 큰 동력이 필요하고 장치도 대형이 된다. 또한, 차체의 종류에 따라 차륜위치나 들어 올림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이송재치수단의 기구든지 제어가 복잡하게 된다.
방법 ③의 경우에도 차체의 종류에 의해 견인수단의 걸어맞춤위치를 바꾸지 않으면 되지 않고, 장치전체가 복잡하게 되는 것 뿐만아니라, 견인되는 차체의 차륜의 방향이 반송 방향으로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정확히 또는 원활히 반송라인에 따라서 차체를 반송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라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들의 종래 방법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운전작업원이든지 큰 동력이 불필요하면서 차체를 정확히 또한 원활히 반송할 수 있는 차체의 반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에 의한 차체의 반송장치는 유전가능한 좌우의 전부차륜과 유전가능한 후부 차륜을 갖는 차체를 각 차륜을 접지회전시키면서 일정 반송경로에 따라서 이동시키는것에 의해 반송하는 반송장치로서 전륜방향 규제수단과, 전륜홀드수단과, 이들 수단을 일체로 반송경로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전륜방향 규제수단은 좌우의 전륜 각각의 측면에 해당 전륜의 자전을 허용하는 상태로 접촉하여 해당 전륜의 방향을 반송방향으로 규제하는 좌우 한쌍의 흔들림 방지부재를 갖는 것이고, 전륜홀드수단은 좌우의 전륜 각각의 후측 주변면에 해당 전륜의 자전을 허용하는 상태로 접촉하여 전륜을 뒤에서 미는 좌우 한쌍의 후부홀드부재와, 좌우의 전륜 각각의 앞측에 위치하여 전륜의 선행을 저지하는 좌우 한쌍의 전부홀드부재를 갖는 것이다.
이 구성의 반송장치에 의하면, 반송경로의 시단(始端)위치에 다른 반송수단으로 반송 되어온 차체의 좌우 한쌍의 전륜의 측면(안쪽면 또는 외측면)에 전륜방향 규제수단의 흔들림 방지부재를 접촉시켜 해당 전륜의 방향을 반송방향으로 규제시키고, 그리고 전륜홀드 수단의 후부홀드부재를 좌우의 전륜 각각의 후측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전부홀드 부재를 해당 전륜의 앞측에 위치시킨 상태로,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흔들림 방지부재 및 전후 각 홀드부재를 반송경로에 따라서 일체에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좌우의 전륜 각각이 후부홀드부재에 의해서 뒤에서 밀어, 차체가 반송방향으로 추진된다. 이때, 차체가 관성으로 후부홀드부재의 전진속도 보다도 일찍이 이동하는 것을 전륜의 앞측에 우치하는 전부홀드부재가 저지하고, 그리고 전륜의 방향이 반송방향에 대하여 좌우로 어긋나는 것을 해당 전륜의 측면에 접촉하고 있는 흔들림 방지부재가 저지하기 때문에 차체는 확실히 원활히 반송경로에 따라서 소정속도로 반송되는 것으로 된다.
물론 이때 차체의 전륜에 접하는 각 수단의 부재는 해당 전륜의 자전을 허용하는 것이기 때문이고 차체는 각 차륜의 자전을 따라 원활히 주행한다.
따라서, 차체를 운전 자주시키기 위한 운전작업원은 불필요하고, 물론 대중량의 차체를 별도의 반송용파렛트상에 이송재치시키는 경우에 필요한 큰 이송재치동력이든지 이송 재치장치도 불필요하다. 그리고 차체의 차륜을 반송상면에서 전동시키면서 해당 차체를 밀고 나갈수 있기 때문이고, 비교적 작은 추진력으로 대형 대중량의 차체라도 확실히 원활히 반송할 수가 있다. 더구나 차종에 의해서 좌우의 전륜의 직경이든지 간격이 변화 하더라도 전륜방향 규제수단의 흔들림 방지부재든지 전륜홀드수단의 전후 각 홀드부재는 이것들의 변화에 대응시켜 쉽고, 차종의 여하를 묻지 않고서 소기의 반송작용을 확실히 실행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효과는 이하에 첨부도면에 따라서 설명하는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부터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적합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체의 반송장치는 예를들면 자동차의 제조설비든지 검사설비, 승강설비, 보관설비등에 있어서의 자동차의 반송라인을 구성하는 각 콘베이어 사이의 갈아타는 개소든지 설비사이의 반송라인에 있어서, 차륜이 장착된 상태의 자동차차체(M)를 차체전부의 유전차륜, 즉 조타륜인 전륜(FW)을 눌러 반송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실시의 형태로서는 좌우의 차륜을 각각 지지하고 차체(M)를 반송하는 콘베이어 라인의 종단부로부터 소정의 출고위치까지 설치된 반송경로(L)상에서 상기와 같이 차체(M)를 반송하는 것으로 하고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 반송장치는 상기 반송경로(L)에 따라서 주행 가능한 반송용 주행체(3)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반송용 주행체(3)는 마루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1)의 양측부에 서로 대향하여 배설된 수직 평판상의 가이드 레일(2R,2L)에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전륜방향 규제수단(5)과 전륜홀드수단(8)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홈(1)은 콘베이어 라인을 구성하는 좌우 한쌍의 콘베이어 장치(RC, LC) 사이로부터 좌우로 분할되어 있는 반송마루의 면(F) 사이에 걸치고, 반송경로(L)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콘베이어 라인(좌우 한쌍의 콘베이어 장치(RC, LC))의 출구에는 차체(M)를 센터링하는 때에 사용하는 좌우 한쌍의 플로팅테이블(9)이 배설되어 있다.
상기 전륜방향 규제수단(5)은 차체(M)의 좌우의 전륜(FW)의 양안쪽면에 접촉가능한 로울러 이용의 흔들림 방지부재(4R,4L)를 가지고, 전륜홀드수단(8)은 차체(M)의 좌우의 전륜(FW)의 앞측에 위치하여 해당 전륜(FW)의 전방 이동을 규제하는 긴로울러 이용의 전부홀드부재(6R,6L)와, 상기 전륜(FW)의 뒤측에 위치하여 해당 전륜(FW)을 뒤에서 미는 긴로울러 이용의 후부홀드부재(7R,7L)를 가진다.
상기 반송용 주행체(3)는 전륜방향 규제수단(5)과 전륜홀드수단(8)을 일체로 반송경로(L)에 따라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이 되는 것으로,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것처럼, 대차부(3a)와 구동부(3b)로 부터 되어, 대차부(3a)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2R,2L)의 상단 레일면상을 전동하는 지지로울러(11)와, 상기 가이드레일(2R,2L)의 하단면에 접촉 하는 부상방지로울러(12)가 전후로 배치되고 또한 우측가이드 레일(2R)을 좌우양측에서 끼는 주행방향 규제로울러(13)가 전부에 설치된다.
구동부(3b)에는 제5도, 제6도에 도시한 것처럼, 우측가이드 레일(2R)의 안쪽면에 접촉하는 큰직경의 주행용 구동로울러(14)와, 해당 로울러(14)의 바로 옆으로 우측가이드 레일(2R)의 외측면에 접촉하는 전후방향복수개의 백업용 로우러(15)가 설치된다.
그리고, 구동부 프레임(16)에는 전후 한쌍의 슬라이드 가이드로드(17)가 가설되어 이 슬라이드 가이드로드(17)에 좌우수평방향으로 옆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가동프레임(18)에 구동유니트(19)가 탑재되어 이 구동유니트(19)의 수직한 출력축으로 상기 주행용 구동로울러(14)가 부착되고 상기 슬라이드가이드로드(17)에 고정된 스프링받이(17b)와 가동프레임(18)과의 사이로 해당 슬라이드가이드로드(17)에 유동가능하게 끼움된 압축 코일 스프링(17a)에 의해 상기 가동프레임(18)이 우측가이드레일(2R)측으로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주행용구동로울러(14)가 우측가이드 레일(2R)의 안쪽면에 압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백업용 로울러(15)는 구동부 프레임(16)에 브래킷(16a)을 통해 부착 되어 있다.
18a는 구동유니트(19)에 설치된 구동모터이고, 상기 주행용구동로울러(14)를 회전구동한다. 상기 구동모터(18a)든지 그 제어장치등 반송용 주행체(3)상의 전기기기에 대하는 급전은 케이블(도시하지않음)을 통해 행하여지지만 반송경로(L) 가 긴 경우등에서는 급전레일로부터 집전장치든지 무접촉 집전장치를 통해 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구동유니트(19)의 모터(18a)에 의해 주행용 구동로울러(14)를 정회전구동하는 것에 의해 반송용 주행체(3)를 가이드 레일(2R,2L)에 따라서 전진주행시켜, 상기 주행용구동로울러(14)를 유전구동하는 것에 의해 반송용 주행체(3)를 가이드 레일(2R,2L)에 따라서 후퇴주행시킬수 있다.
전륜방향 규제수단(5)은 제7도, 제8도에 도시한 것처럼, 각각 전후 한쌍의 로울러 이용의 흔들림 방지부재(4R,4L)를 구비하고 또한 리니어가이드(20)에 안내되어 좌우수평방향으로 이동자유자재인 좌우 한쌍의 옆으로 이동하는 가대(21R, 21L)와, 이들 옆으로 이동하는 가대(21R, 21L)를 동기하여 출퇴이동시키는 출퇴기구(22)와, 이 출퇴기구(22)를 통해 상기 옆으로 이동하는 가대(21R,21L)를 출퇴구동하는 실린더 이용의 출퇴구동장치(2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출퇴기구(22)는 랙·피니언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대차부(3a)에 설치된 지지 프레임(24)에는 입력피니언(25a)과 출력피니언(25b)이 같이 고정된 수직회전축(25)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출퇴구동장치(실린더)(23)의 피스톤 로드에 연결된 입력랙축(26)이 상기 지지프레임(24)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지지되어 해당 입력랙축(26)의 이빨부가 입력피니언(25a)에 결합하고 있다. 더욱이 옆으로 이동하는 가대(21R, 21L)의 각각의 연결된 좌우 한쌍의 출력랙축(27R,27L)이 상기 지지프레임(24)에 각각 좌우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지지되어 이들 양출력랙축(27R,27L)에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이빨부가 출력피니언(25B)에 각각 결합하고 있다.
28는 입력랙축(26)의 출퇴한계를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이다.
따라서, 출퇴구동장치(실린더)(23)의 피스톤 로드를 출퇴시키는 것에 의해, 입력랙축(26)을 통해 출력피니언(25b)이 회전하여, 2개의 출력랙축(27R,27L)이 서로 역방향으로 출퇴이동하여 옆으로 이동하는 가대(21R,21L)가 좌우대칭상으로 동기하여 출퇴구동된다.
이 결과 좌우 한쌍의 옆으로 이동하는 가대(21R,21L)가 구비하고 있는 각각 전후 한쌍의 흔들림 방지부재(로울러)(4R,4L)가 전륜(FW)의 차륜축보다 아래쪽의 안쪽면에서 전후 대칭위치에 각각 접촉하게된다.
상기 옆으로 이동하는 가대(21R,21L)에는 각각 전후 한쌍의 지지로드(29)가 좌우수평방향으로 출퇴자유로이 지지되어 이들 지지로드(29)의 외단부에 브래킷(30)을 통해 흔들림 방지부재(4R,4L)인 로울러가 회전이 자유롭게 피봇되어 있다. 그래서 지지로드(29)는 옆으로 이동하는 가대(21R,21L)와 브래킷(30)과의 사이에 개재된 압축코일 스프링(31)에 의해 좌우외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옆으로 이동하는 가대(21R,21L)가 좌우외향으로 진출 이동하여 흔들림 방지부재(로울러)(4R,4L)가 전륜(FW)의 안쪽면에 접촉 하면 이후, 압축코일 스프링(31)이 압축되어 옆으로 이동하는 가대(21R,21L)만이 흔들림방지부재(로울러)(4R,4L)에 대하여 진출이동하기 때문에, 이 동작을 브래킷(30)을 통해 검출하는 리미트스위치(32)를 이용하여, 흔들림 방지부재(4R,4L)가 전륜(FW)에 접촉한 것을 검출시켜 출퇴구동장치(실린더)(23)를 자동정지시킬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로서는 흔들림 방지부재(4R,4L)를 구비한 좌우 한쌍의 옆으로 이동하는 가대(21R,21L)는 랙·피니언에 의해 구성된 출퇴기구(22)에 의해 동기하여 서로 좌우 대칭상으로 접근이간운동하는 것이기 때문이고, 좌우의 전륜(FW)이 센터링위치에 대하여 좌우로 어긋나고 있는 경우, 흔들림 방지부재(4R,4L)의 안의 한 쪽만이 전륜(FW)에 접촉한 상태로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는 각 흔들림 방지부재(4R,4L)마다 병설된 리미트 스위치(32)의 동작상태로부터 판별할 수 있기 때문에, 좌우의 전륜(FW)이 센터링위치에 있는가 아닌가를 리미트 스위치(32)의 동작상태로 판별할 수가 있다.
상기 흔들림 방지부재(4R,4L)인 로울러는 제1도에 도시한 것처럼 전륜(FW)의 타이어안쪽면에는 접촉하지만 금속제의 휠은 접촉하지 않도록 상부 만큼 소직경이 되는 테이퍼 로울러가 채용되고 그리고 각 테이퍼 로울러의 회전축심의 연장선이 전륜(FW)의 차륜축(WS) 부근을 지나도록 각 테이퍼로울러가 기울여지고 있다. 또, 전륜(FW)의 차륜축(WS)은 차체(M)의 종류에 의해서 전륜(FW)의 타이어 직경이 다른것에 의해 높이가 변화하기 때문에 평균적인 타이어직경의 전륜(FW)에 있어서의 차륜축(WS)의 위치를 상정하여 상기와 같이 각 테이퍼 로울러의 회전축심의 경사가 설정된다.
이 실시형태로서는, 반송경로(L)가 콘베이어 장치(RC, LC)에 연속하는 직선경로이기 때문에 전후 한쌍의 각 흔들림 방지부재(4R 빛 4L)는 반송경로(L)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이들 흔들림 방지부재(4R,4L)가 안쪽면에 접촉하는 좌우 한쌍의 전륜(FW)은 반송경로(L)와 평행한 방향으로 규제되어, 차체(M)가 반송경로(L)에 따라서 직진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반송경로(L)가 수평방향으로 곡하고 있는 경우에는 전후의 흔들림 방지부재(4R,4L)를 각각 좌우가로방향으로 위치를 비켜놓고, 좌우 한쌍의 전륜(FW)의 방향을 반송경로(L)가 굽은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기울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후 한쌍의 흔들림 방지부재(4R 및 4L)를 따로따로 출퇴구동할 수 있는 액츄 에이터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반송경로(L)의 도중에서 이들 흔들림 방지부재(4R,4L)에 의해 방향이 규제되어 있는 좌우 한쌍의 전륜(FW)의 방향을 각 흔들림 방재부재(4R,4L)의 각 별도의 좌우이동에 의해 바꾸어, 차체(M)의 이동방향을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전륜홀드수단(8)은 제9도, 제10도에 도시한 것처럼, 긴로울러 이용의 전부홀드부재(6R,6L)와, 상기 전륜(FW)의 뒤측에 위치하여 해당 전륜(FW)을 뒤에서 미는 긴로울러 이용의 후부홀드부재(7R,7L)를 갖는 것이지만, 이들 각 홀드부재(6R,6L 및 7R,7L)는 각각 수직지지축(41R,41L 및 2R,42L)을 중심으로 90도 수평으로 회전시켜,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반송경로(L)와 평행한 대기위치(X)와 실선으로 나타내는 사용위치(Y)를 바꿀 수 있다. 이 위치전환은 전부홀드부재 회동장치(43)와 후부홀드부재 회동장치(44)에 의해서 행하여진다.
전부홀드부재 회동장치(43)는 반송용 주행체(3)의 대차부(3a)에 주행방향으로 따라서 배설된 리니어가이드(51)의 전부영역에 슬라이더를 통해 전후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가동대(52)와, 이 가동대(52)를 전후로 왕복이동시키는 실린더장치(5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전부홀드부재(6R,6L)를 구성하는 긴로울러는 수직지지축(41R,41L)의 주위에서 회전자유자재인 L 형 아암(54R,54L)의 외향 로울러지지부(56JR,56L)에 한족 지지상태로 피봇되어 해당 L 형 아암(54R,54L)의 전방에 연장하는 아암부(54a)의 단부와 상기 가동대(52)가 링크(55R,55L)에 의해서 연동연결되어 있다.
후부홀드부재 회동장치(44)는 상기 리니어가이드(51)의 후부영역에 슬라이더를 통해 전후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가동대(62)와, 이 가동대(62)를 전후로 왕복이동시키는 실린더장치(6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후부홀드부재(7R.7L)를 구성하는 긴로울러는 수직핀(42R,42L)의 주위에서 회전자유자재인 L 형 아암(64R,64L)의 외향 단부에 전후 방향지지축(66)에 의해 상하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로울러축받이(67R,67L)에 한쪽 지지상태로 피봇되어, 상기 L 형 아암(64R,64L)의 후방에 연장하는 아암부(64a)의 단부와 상기 가동대(62)가 링크(65R,65L)에 의해서 연동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후부홀드부재(7R,7L)는 반송마루의 면(F) 상에 있는 장해물에 대하여 상기 전후방향수평지지축(66)의 주위에서 윗쪽으로 피할수 있다.
상기의 전후 각 홀드부재회동장치(43,44)는 전부 및 후부홀드부재(6R,6L,7R,7L)가 사용위치(Y) 에 있을때, L 형 아암(54R,54L,64R,64L)의 전후방향아암부(54a,64a)가 각 가동대(52,62)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고, 그리고 각 링크(55R,55L,65R,65L)가 각 가동대(52,62)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각의 좌우옆으로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부 및 후부홀드부재(6R,6L,7R,7L)가 전륜(FW) 에서 받는 모멘트는 각 링크(55R,55L,65R,65L)의 압축응력에 의해서 받아내어지고, 각 가동대(52,62)를 이동시키는 작용력은 생기지 않는다. 즉, 각 가동대(52,62)를 왕복이동시키는 실린더장치(53,63)에는 전부 및 후부홀드부재(6R,6L,7R,7L)가 전륜(FW)에서 받느 모멘트는 작용하지 않는다. 이 결과, 특히 후부홀드부재(7R,7L)에는 중량이 200Kg이상인 차체(M)의 기동시에 큰 반력이 걸리지만 이것을 직접 후부홀드부재 회동장치(44)의 실린더장치(63)로 받아 지지할 필요가 없어지고, 해당 실린더장치(63)를 비교적 소용량의 소형의 실린더장치에 의해 구성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후부홀드부재(7R,7L)를 구성하는 긴 로울러에는 유단부측만큼 큰직경의 테이퍼 로울러를 사용하여, 좌우의 전륜(FW)에 접촉하여 뒷받침할 때, 그 뒤에서 미는 작용력의 방향이 약간 차체(M) 의 중심측에 기울도록 하고 있다.
또한, 후부홀드부재(7R,7L)를 구성하는 긴로울러의 대경유단부에는 더욱이 큰 직경을 받이 로울러(68R,68L)가 회전이 자유롭게 피봇되고 있다.
제1도에 나타내는 좌우 한쌍의 플로팅테이블(9)은 서로 동일구조의 것으로 제11도, 제12도에 도시한 것처럼, 반송마루의 면(F)에 설치된 좌우 한쌍의 피트(71)내에 각각 배설되어 있다. 즉, 피트(71)내에는 전후 한쌍의 리니어가이드(72)상에 슬라이더(72a)를 통해 테이블 본체(73)가 반송마루의 면(F)과 동일면상으로 좌우수평방향으로 옆으로 이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리니어가이드(72)사이에는 좌우방향의 가이드축(74)이 가설되고, 이 가이드축(74)에 이동가능하게 바깥에서 끼우는 좌우 한쌍의 스프링받이 시이트(76a,76b)를 각각 스토퍼(77a, 77b)에 접촉시키도록 양 스프링받이 시이트(6a,76b) 사이로 가이드축(74)에 압축코일 스프링(75)이 유도가능하게 끼움되어, 상기 테이블본체(73)의 하면에는 상기와 같이 각각 스톱퍼(77a,77b)에 받아내어지고 있는 상태의 스프링받이 시이트(76a,76b)의 외측면에 접촉하는 좌우 한쌍의 돌출부재(78a,78b)가 돌설되어 있다.
콘베이어장치(RC, LC)에 의해서 반송되어온 차체(M)(의 전륜(FW))가 센터링위치에 없는 경우, 상기 설명한 바와같이, 전륜방향 규제수단(5)의 출퇴기구(22)의 구성상, 좌우의 흔들림 방지부재(로울러)(4R,4L)의 어느 한편만이 전륜(FW)의 안쪽면에 접촉한 상태가 되고, 이 한쪽 닿음상태는 리미트 스위치(32)의 검출신호로부터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센터링위치에 없는 상태의 차체(M)가 보내어지고 전륜(FW)이 플로팅테이블(9)의 테이블본체(73)상에 갈아타면, 출퇴구동장치(실린더)(23)를 작동시켜 좌우의 흔들림 방지부재(4R,4L)를 외향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센터링위치보다도 안쪽으로 만나 흔들림 방지부재(4R 또는 4L)가 안쪽에 접촉하고 있는 한쪽의 전륜(FW)에서 차체(M)에 상기 흔들림 방지부재(4R 또는 4L)의 가압력이 작용하여, 차체(M)(좌우의 전륜(FW))가 테이블본체(73)와 동시에 센터링방향으로 옆으로 이동하게 된다.
차체(M)(의 좌우의 전륜(FW))가 센터링위치에 달하면, 좌우의 흔들림 방지부재(4R,4L)가 좌우의 전륜(FW)의 안쪽면에 각각 거의 같은 가압력으로 접촉한다.
이 상태는 각 리미트 스위치(32)에 의해 검출되고, 출퇴구동장치(실린더)(23)가 자동 정지된다.
상기의 센터링 작용시의 테이블본체(73)의 옆으로 이동시 그 옆으로 이동방향의 위쪽측에 있는 돌출부재(78a 또는 78b)가 스프링받이 시이트(76a 또는 76b)를 통해 스프링(75)을 압축하기 때문에, 센터링종료후에 전륜(FW)이 테이블본체(73)상에서 반송마루면(F)상에 이동할 때, 전륜(FW)과 동시에 옆으로 이동하고 있는 테이블본체(73)는 압축된 상기 스프링(75)의 복원력으로 원래의 위치에 자동적으로 옆으로 이동 복귀하게 된다.
또, 전륜(FW)이 플로팅테이블(9)의 테이블본체(73)상에 갈아탄때에 전륜방향 규제수단(5)의 출퇴구동장치(실린더)(23)를 재차 작동시키도록 설명하였지만, 콘베이어 장치(RC, LC)의 종단위치에 있는 차체(M)의 전륜(FW)에 대하여 전륜방향 규제수단(5)의 흔들림 방지부재(4R,4L)를 작용시킬 때, 리미트 스위치(32)의 검출신호로부터 전륜(FW)이 센터링 위치에 없는 것이 판명하고 있을때는 전륜방향 규제수단(5)의 출퇴구동장치(실린더)(23)를 작동시킨채로 전륜(FW)에 센터링 작용력을 작용시킨 채로 차체(M)를 전륜(FW)이 플로팅테이블(9)상에 갈아타는 위치까지 반송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반송장치를 사용한 차체(M)의 반송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콘베이어 장치(RC, LC)상에 좌우의 차륜이 싣어지고 소정속도로 반송되는 차체(M)는 사이드 브레이크든지 변속장치등이 자유상태이므로 모든 차륜이 유전가능한 상태에 있다. 또한, 조타기능이 있는 예컨대 전륜(FW)은 대강직진방향으로는 향해 있지만,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방향이 어느정도 어긋나고 있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차체(M)가 콘베이어 장치(RC, LC)의 종단부 소정위치에 도착한 것이 검출기(도시하지않음)에 의해 검출되면, 반송경로(L)의 시단위치(상기 콘베이어 장치(RC, LC)의 종단보다 위쪽측에 설정되어 있는)로 대기하고 있는 반송용 주행체(3)를 발진시켜, 콘베이어 장치(RC, LC) 상의 차체(M)와 동기하여 전진주행시키든가 또는 콘베이어 장치(RC, LC)를 정지시킨다. 걸리는 상태로, 전륜방향 규제수단(5)의 출퇴구동장치(23)를 작동시켜, 출퇴기구(22)를 통해 옆으로 이동하는 가대(21R,21L)를 외측에 진출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흔들림 방지부재(4R,4L)를 전륜(FW)의 안쪽면에 접촉시킨다. 동시에, 전륜홀드수단(8)의 전부 및 후부홀드부재 회동장치(43,44)를 구동하여 전부홀드부재(6R,6L) 및 후부홀드부재(7R,7L)를 대기위치(X) 에서 사용위치(Y)로 90도 회전시키고, 전륜(FW)의 전후위치에 돌출하게 한다. 콘베이어 장치(RC, LC)를 정지시키고 있는 경우는 여기서 반송용 주행체(3)의 전진주행을 개시시킨다.
콘베이어 장치(RC, LC)에 동기하여 반송용 주행체(3)가 전진주행하고 있을때는 차체(M)가 콘베이어 장치(RC, LC)의 종단부로부터 보내질 때 그리고 콘베이어 장치(RC, LC)가 정지하고 있어 반송용 주행체(3)만이 전진주행할 때는 해당 반송용 주행체(3)의 전진주행에 의해, 후부홀드부재(7R,7L)가 전륜(FW)의 후부에 접촉하여 전륜(FW)이 전방에 뒷받침된다. 이때, 후부홀드부재(7R,7L)는 전륜(FW)의 차륜축레벨보다도 아래쪽의 원호상 타이어 주변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하향의 뒷받침 반력을 받는 것으로 되지만, 이들 후부홀드 부재(7R,7L)의 유단부에 피봇되어 있는 받이 로울러(68R,68L)가 반송마루의 면(F) 상에 접촉하여 해당 하향의 뒷받침 반력 반송마루의 면(F)에서 받아내어지고, 상기 후부홀드부재(7R,7L)가 거의 수평자세에 유지되기 때문에, 후부 홀드부재(7R,7L)가 전륜(FW)의 아래쪽에 기어드는 일도 없고, 확실히 전륜(FW)을 뒷받침시켜 차체(M)를 추진시킬수 있고, 동시에 후부 홀드부재(R,7L)의 기초부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는 것도 없어진다.
또한, 이 후부홀드부재(7R,7L)는 유단부측만큼 큰직경의 테이퍼 로울러로부터 구성 되고 있기 때문에, 좌우의 전륜(FW)에 대하는 뒷받침 작용력의 방향을 반송방향과 평행하지 않고, 약간차체(M)의 중앙으로 기울는 수가 있고, 이것에 의해 안정적으로 차체(M)를 직진시킬수 있다. 더욱이, 후부 홀드부재(7R,7L)는 전후방향지지축(66)의 주위에서 윗쪽으로 요동할 수 있기 때문에, 반송마루의 면(F) 상에 장해물이 있더라도 윗쪽으로 요동하여 이것을 용이하게 타고 넘을 수 있다.
차체(M)가 센터링위치에 없는 경우는 차체(M)의 전륜(FW)이 콘베이어 장치(RC, LC) 상에서 플로팅테이블(9)의 테이블본체(73)상에 갈아탈때에,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출퇴구동장치(23)에 의한 센터링 작용력을 흔들림 방지부재(4R 또는 4L)를 통해 중앙측에 놓여 있는쪽의 전륜(FW)에 작용시키는 것에 의해, 테이블본체(73)와 동시에 차체(M)의 전부(전륜(FW)이 있는 측)를 옆으로 이동시켜 센터링할 수가 있다.
이 상태로 테이블본체(73)로부터 반송마루의 면(F) 상에 전륜(FW)이 뒤에서 밀어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차체(M)의 후부측(후륜이 있는 측)이 추종하여 옆으로 이동하여 차체(M)의 전체가 센터링되는 것으로 된다.
반송경로(L)의 종단(반송용 주행체(3)의 주행경로종단)에 차체(M)가 도착하면 반송용주행체(3)를 정지시켜 전륜방향 규제수단(5)의 출퇴구동장치(23)를 구동하여 옆으로 이동하는 가대(21R, 21L)를 안쪽으로 후퇴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흔들림 방지부재(4R,4L)를 전륜(FW)에서 안쪽에 후퇴이간시키고, 더욱이 전륜홀드수단(8)의 전부 및 후부홀드 부재회동장치(43,44)를 구동시켜, 전부홀드부재(6R,6L) 및 후부홀드부재(7R,7L)를 90도 수평 회전시켜 사용위치(Y) 에서 대기위치(X) 로 바꾼다. 이후 반송용 주행체(3)를 후퇴이동시켜 반송경로(L)의 시단위치에 되돌린다.
이하에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특징점을 열거한다.
1. 반송경로(L)의 차체전후륜 이동경로 사이의 중앙부에서 해당 반송경로(L)에 따라서 자주하는 반송용 주행체(3)를 전륜방향 규제수단(5)과 전륜홀드수단(8)을 반송경로(L) 에 따라서 일체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하여, 전륜방향 규제수단(5)의 좌우 한쌍의 흔들림 방지부재(4R,4L)는 전륜(FW)의 안쪽면에 접촉하는 사용위치와 전륜(FW)의 안쪽면에서 안쪽으로 이간한 대기위치와의 사이에서 좌우 옆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반송용 주행체(3)에 지지되고, 전륜홀드수단(8)의 좌우 한쌍의 후부홀드부재(7R,7L)와 좌우 한쌍의 전부 홀드부재(6R,6L)는 전륜(FW)의 전후의 사용위치(Y)와 전륜이동 경로로 부터 안쪽으로 도피한 대기위치(X) 와 위치전환 가능하게 상기 반송용 주행체(3)에 지지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륜방향 규제수단(5)의 좌우 한쌍의 흔들림 방지부재(4R,4L)와, 전륜홀드수단(8)에 있어서의 좌우 한쌍의 후부홀드부재(7R,7L)와 좌우 한쌍의 전부 홀드부재(6R,6L)를 1개의 반송용 주행체(3)에 의해 지지시킬 수 있고, 장치전체를 소형 또는 간단히 구성할 수가 있다.
2. 상기 구성 1에 있어서, 전륜홀드수단(8)의 좌우 한쌍의 후부홀드부재(7R,7L)와 좌우 한쌍의 전부홀드부재(6R,6L)는 각각 사용위치(Y)에 있을때의 내단부가 수직지지축(41R,41L)에 의해 수평회전가능하게 상기 반송용 주행체(3)에 피봇되어 전부홀드부재(6R,6L)는 사용위치(Y) 에서 전방안족으로 90도 회전하여 대기위치(X) 로 바꿔지고, 후부홀드부재(7R,7L)는 사용위치(Y) 에서 후방안쪽으로 90도 회전하여 대기위치(X) 로 바꿔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좌우 한쌍의 후부홀드부재(7R,7L)와 좌우 한쌍의 전부홀드부재(6R,6L)를 각각 좌우가로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차체전후륜 이동경로 사이의 대기위치로 퇴피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전후 각 홀드부재의 위치전환을 위한 기구가 간단 하고, 이들 전후 각 홀드부재의 길이를 좌우의 전륜사이의 간격의 큰 변화에도 대응 시켜 길게하는 것도 용이하게 된다.
3. 상기 구성 2에 있어서, 구동수단의 반송용 주행체(3)에, 전후 한쌍의 전후방향이동 가능한 구동용 가동대(52,62)가 설치되고, 전후 각 홀드부재(6R∼ 7L)의 내단피봇부에는 이들 각 홀드부재(6R∼7L)가 사용위치(Y) 에 있는때에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아암부(54a,64a)가 설치되고, 이들 아암부(54a,64a)와 전후 각 가동대(52,62)가 해당 가동대(52,62)의 전후이동에 의해 전후 각 홀드부재(6R∼7L)가 90도 수평회전하도록 링크 (55R∼65L)에 의해 연동연결되어, 적어도 후부홀드부재(7R,7L)와 후부가동대(62)의 연결 링크(65R,65L)는 후부홀드부재(7R,7L)가 사용위치(Y) 에 있을 때 좌우옆으로 향하게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대중량의 차체(M)의 기동시에 즉, 사용위치(Y)에 있는 후부홀드 부재(7R,7L)에 의해 전륜(FW)을 뒷받침할때에 작용하는 큰 반력을 상기 연결링크(65R,65L)의 압축응력으로 받아 지지할 수 있고, 후부가동대(62)를 전후이동시키는 방향으로는 작용시키지 않고 완료한다. 따라서, 해당 후부가동대(62)를 전후이동시키느 방향으로는 작용시키지 않고 완료한다. 따라서, 해당 후부가동대(62)를 전후이동 시키는 액츄에이터(상기 실시형태의 실린더장치(63))를 비교적 소용량을 소형의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성할 수가 있다.
4. 전륜방향 규제수단(5)의 좌우 한쌍의 흔들림 방지부재(4R,4L)는 전륜측면의 차륜축보다 아래쪽으로 또한 해당 차륜축에 대한 전후 2개소에 접촉하는 전후 한쌍의 로울러로 이루어지고, 이들 전후 한쌍의 로울러는 그 회전축심의 연장선이 전륜의 차륜축부근을 지나도록 기울어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륜측면의 차륜축에 대한 전후 2개소에 접촉하는 전후 한쌍의 흔들림 방지부재(로울러)(4R,4L)에 의해, 전륜(FW)의 방향을 확실히 규제할 수가 있고, 더구나 전륜(FW)의 측면에 접촉하고 있는 흔들림 방지부재(로울러)(4R,4L)에 의해서 해당 전륜의 자전저항이 커져 지나치게 차체의 원활한 추진에 지장을 주는 단점도 없다.
5. 전륜홀드수단(8)의 전후 각 홀드부재(6R,7L)는 좌우가로방향으로 긴 로울러로 이루어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단지 전륜의 자전저항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 뿐만 아니라, 해당 전후 각 홀드부재(긴로울러)(6R,7L)의 길이범위내이면 좌우의 전륜(FW)의 간격이 차종에 의해서 변하더라도 지장없게 전륜(FW)을 홀드하여 차체를 추진시킬 수 있다.
6. 전륜홀드수단(8)의 후부홀드부재(7R,6L)는 좌우가로방향으로 길게 또한 외단측만큼 큰직경이 되는 테이퍼상의 긴로울러로 이루어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해당 후부홀드부재(7R,7L)가 좌우의 전륜(FW)에 접촉하여 뒷받침할 때, 그 뒤에서 미는 작용력의 방향이 반송방향과 평행하지 않고, 약간 차체 (M)의 중심측에 기운 것으로 되고, 안정적으로 차체(M)를 직진시킬 수 있다.
7. 전륜홀드수단(8)의 후부홀드부재(7R,7L)는 내단부가 전후방향수평지지축(66)에 의해 상하 요동이 자유롭게 피봇되고, 외단부에는 접지회전가능한 로울러(68R,68L)가 피봇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후부홀드부재(7R,7L)가 전륜(FW)의 차륜축레벨보다도 아래쪽의 원호상 타이어 주변면에 접촉하여 뒤에서 미는 때에 받는 하향의 뒷받침 반력을 상기 받이 로울러(68R,68L)를 통해 반송마루의 면(F)에서 받아내어, 상기 후부홀드부재 (7R,7L)가 거의 수평자세로 유지되기 때문에, 후부홀드부재(7R,7L)가 전륜(FW)의 아래 쪽에 기어드는 것도 없고, 확실히 전륜(FW)을 뒷받침시켜 차체(M)를 추진시킬수 있음 과 동시에 후부홀드부재(7R,7L)의 기초부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는 것도 없어진다.
또한, 후부홀드부재(7R,7L)는 전후방향지지축(66)의 주위에서 윗쪽으로 요동할 수 있기 때문에, 반송마루의 면(F) 상에 장해물이 있더라도 윗쪽으로 요동하여 이것을 용이하게 타고 넘을 수 있다.
8. 전륜방향 규제수단(5)의 좌우 한쌍의 흔들림 방지부재(4R,4L)를 좌우대칭상으로 동기시켜 서로 접근 이간 이동시키는 출퇴기구(22)와, 해당 출퇴기구(22)를 통해 흔들림 방지부재(4R,4L)를 전륜(FW)의 측면으로 강비하는 출퇴구동장치(23)와, 차체의 좌우 한쌍의 전륜(FW)을 받는 플로팅테이블(9)을 구비하고, 이 플로팅테이블(9)은 좌우 가로방향으로 옆으로 이동가능한 테이블본체(73)와, 해당 테이블본체(73)를 중립 위치에 유지하는 스프링(75)을 가지고, 해당 테이블본체(73)상에 전륜(FW)이 실리고 있는 상태에서의 좌우 한쌍의 흔들림 방지부재(4R,4L)의 전륜가압작용에 의해, 해당 테이블본체(73)와 동시에 전륜(FW)을 좌우가로방향으로 센터링시킨다.
이 구성에 의하면, 차체(M)의 이동방향을 반송경로에 첨가하기 위해서 필요한 전륜 방향규제수단(5)의 좌우 한쌍의 흔들림 방지부재(4R,4L)를 이용하여, 플로팅테이블(9) 을 병용하는 것만으로 그 외에 특별한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서, 반송개시때 또는 반송 도중의 적당한 시기에 전륜(FW)의 센터링, 나아가서는 차체(M) 전체의 센터링을 할수 있다.

Claims (9)

  1. 유전가능한 좌우의 전부차륜과 유전가능한 후부차륜을 갖는 차체를 각 차륜을 접지회전시키면서 일정반송경로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반송하는 반송장치로서, 전륜방향규제수단과, 전륜홀드수단과, 이들 수단을 일체로 반송경로에 따라서 이동 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전륜방향 규제수단은 좌우의 전륜 각각의 측면에 해당 전륜의 자전을 허용하는 상태로 접촉하여 해당 전륜의 방향을 반송방향으로 규제하는 좌우 한쌍의 흔들림 방지부재를 가지고, 전륜홀드수단은 좌우의 전륜 각각의 후측 주변면에 해당 전륜의 자전을 허용하는 상태로 접촉하여 전륜을 뒤에서 미는 좌우 한쌍의 후부홀드부재와, 좌우의 전륜 각각 의 앞측에 위치하여 전륜의 선행을 저지하는 좌우 한쌍의 전부홀드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의 반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구동수단은 반송경로의 차체 전후륜이동 경로사이의 중앙부에서 해당 반송경로에 따라서 자주하는 반송용 주행체를 가지고, 전륜방향 규제수단의 좌우 한쌍의 흔들림 방지부재는 전륜안쪽면에 접촉하는 사용 위치와 전륜안쪽면에서 안쪽으로 이간한 대기위치와의 사이에서 좌우 옆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반송용 주행체에 지지되고, 전륜홀드수단의 좌우 한쌍의 후부홀드부재와 좌우 한쌍의 전부홀드부재는 전륜의 전후의 사용위치와 전륜이동경로로부터 안쪽으로 도피한 대기위치로 위치전환 가능 하게 상기 반송용 주행체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의 반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전륜홀드수단의 좌우 한쌍의 후부홀드부재와 좌우 한쌍의 전부홀드 부재는 각각 사용위치에 있을때의 내단부가 수직지지축에 의해 수평회전가능하게 상기 반송용 주행체에 피봇되고 전부홀드부재는 사용위치로부터 전방안쪽으로 90도 회전하여 대기위치로 전환되고 후부 홀드부재는 사용위치로부터 후방안쪽으로 90도 회전하여 대기위치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의 반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구동수단의 반송용 주행체에 전후 한쌍의 전후방향이동가능한 구동용 가동대가 설치되고, 전후 각 홀드부재의 내단축피봇부에는 이들 각 홀드부재가 사용위치에 있는 때에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아암부가 설치되고, 이들아암부와 전후 각 가동대가, 해당 가동대의 전후이동에 의해 홀드부재가 90도 수평회전하도록 링크에 의해 연동연결되고, 적어도 후부홀드부재와 후부가동대와의 연결링크는 후부홀드부재가 사용위치에 있을 때 좌우옆으로 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의 반송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륜방향 규제수단의 좌우 한쌍의 흔들림 방지부재는 전륜측면의 차륜축보다 아래쪽으로 또한 해당 차륜축에 대한 전후 2개소에 접촉하는 전후 한쌍의 로울러로 이루어지고, 이들 전후 한쌍의 로울러는 그 회전 축심의 연장선이 전륜의 차륜축부근을 지나도록 기울어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의 반송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륜홀드수단의 전후각홀드부재는 좌우 가로방향으로 긴로울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의 반송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륜홀드수단의 후부홀드부재는 좌우가로 방향으로 길게 또는 외단측만큼 큰직경이 되는 테이퍼상의 긴로울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의 반송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륜홀드수단의 후부홀드부재는 내단부가 전후방향수평지지축에 의해 상하요동이 자유롭게 피봇되고, 외단부에는 접지회전 가능한 로울러가 피봇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의 반송장치.
  9.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륜방향 규제수단의 좌우 한쌍의 흔들림 방지부재를 좌우대칭상으로 동기시켜 서로 접근이간 이동시키는 출퇴기구와, 해당 출퇴기구를 통해 흔들림 방지부재를 전륜측면에 가압하는 출퇴구동장치와, 차체의 좌우 한쌍의 전륜을 받는 플로팅테이블을 구비하고, 이 플로팅테이블은 좌우가로방향으로 옆으로 이동 가능한 테이블본체와, 해당 테이블본체를 중립위치에 유지하는 스프링을 가지고, 해당 테이블본체상에 전륜이 실리고 있는 상태에서의 좌우 한쌍의 흔들림 방지부재의 전륜가압작용에 의해, 해당 테이블본체와 동시에 전륜을 좌우 가로 방향으로 센터링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의 반송장치.
KR1019960034308A 1995-10-27 1996-08-20 차체의 반송장치 KR1002102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79527 1995-10-27
JP27952795A JP3194349B2 (ja) 1995-10-27 1995-10-27 車の搬送方法およ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910A KR970020910A (ko) 1997-05-28
KR100210266B1 true KR100210266B1 (ko) 1999-07-15

Family

ID=17612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4308A KR100210266B1 (ko) 1995-10-27 1996-08-20 차체의 반송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651319A (ko)
JP (1) JP3194349B2 (ko)
KR (1) KR100210266B1 (ko)
CN (1) CN1053149C (ko)
CA (1) CA2180509C (ko)
DE (1) DE69616231T2 (ko)
TW (1) TW36598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7891A (ko) * 2015-04-15 2017-12-13 눅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고정식 차량 보안 검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9596A (en) * 1993-06-24 1999-09-28 Nintendo Co., Ltd. Airline-based video game and communications system
US6147696A (en) * 1993-06-24 2000-11-14 Nintendo Co. Ltd. Electronic entertainment and communication system
US5581270A (en) * 1993-06-24 1996-12-03 Nintendo Of America, Inc. Hotel-based video game and communication system
US5851098A (en) * 1994-09-16 1998-12-22 Maurer Sohne Gmbh & Co. Kg System for accommodating temporarily storing and output of movable objects
DE19809515C2 (de) * 1998-03-05 2002-10-31 Daimler Chrys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pplizieren von selbsthaftender Schutzfolie auf Karosserien
ITMO20010065A1 (it) * 2001-04-09 2002-10-09 Giuliano Srl Dispositivo per spostare automaticamente i veicoli lungo le corsie diponti sollevatori
JP5103733B2 (ja) * 2005-12-14 2012-12-19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コンベア装置
CN100579837C (zh) * 2006-12-31 2010-01-13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自驱动拖车系统和使用该系统的车辆辐射成像检查方法
CN104340627B (zh) * 2013-07-23 2017-03-01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车辆拖动装置、车辆双模式通过系统和检查系统
US9974577B1 (en) 2015-05-21 2018-05-22 Nuvasive, Inc. Methods and instruments for performing leveraged reduction during single position spine surgery
CN105015648A (zh) * 2015-07-17 2015-11-04 南京金龙客车制造有限公司 一种工艺小车
CN105835847B (zh) * 2016-04-27 2017-11-10 中国人民解放军第三军医大学第三附属医院 一种移车器
CN105730417B (zh) * 2016-05-12 2017-11-10 蒙城县弘文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车辆维修举升定位装置
CN105905552B (zh) * 2016-07-06 2019-03-01 太原科技大学 一种火车轮轴及转向架的自动传输装置
CN106114474B (zh) * 2016-07-30 2018-08-03 庄永和 一种防汽车浸水机器人
CN106965635A (zh) * 2017-02-17 2017-07-21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牵引装置及牵引方法
CN108071254B (zh) * 2017-11-23 2024-01-30 广东省智能制造研究所 导轨式自动运输车及自动停车场
CN108974826B (zh) * 2018-08-28 2023-02-03 昆明鼎承科技有限公司 用于棒状物输送转存的方法
US10933933B2 (en) * 2018-11-02 2021-03-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utonomous vehicle guidance system and method
CN109720310A (zh) * 2019-01-18 2019-05-07 刘虎 一种移车器和移车器的工作方法
CN109941180A (zh) * 2019-03-22 2019-06-28 北京德威佳业科技有限公司 一种agv小车
CN109910727A (zh) * 2019-03-22 2019-06-21 北京德威佳业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agv小车的抱夹装置
AT525627B1 (de) * 2021-12-15 2023-06-15 Avl List Gmbh Fahrzeugprüfstand und Verfahren zum Aufnehmen eines Fahrzeugs auf einem Fahrzeugprüfstand
CN114987995B (zh) * 2022-04-27 2023-12-26 宁波郎泰机械有限公司 一种便于上下料的汽车轮毂制造用转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53680A (en) * 1962-04-19 1964-03-25 Gilbert Pet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ehicle transfer devices
US3407750A (en) * 1965-12-06 1968-10-29 Abex Corp Railroad car handling apparatus
US3832953A (en) * 1972-08-30 1974-09-03 Passpoint Corp Conveyor for wheeled vehicles
US4194449A (en) * 1977-01-03 1980-03-25 Breau Arisma J Double dolly
DE2721313A1 (de) * 1977-05-12 1978-11-23 Hauhinco Maschf Anlage zum manipulieren von waggons in einem richtungsgleis
DE3132177A1 (de) * 1981-08-14 1983-02-24 Gebr. Hofmann Gmbh & Co Kg Maschinenfabrik, 6100 Darmstadt "foerdersystem fuer fahrzeuge"
NZ225514A (en) * 1987-07-24 1990-10-26 Ian Arthur Royle Apparatus for moving vehicle or aircraft by engagement with a wheel of the vehicle
US5133264A (en) * 1991-01-22 1992-07-28 Belanger, Inc. Floor mounted automobile convey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7891A (ko) * 2015-04-15 2017-12-13 눅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고정식 차량 보안 검사 시스템
KR102282221B1 (ko) * 2015-04-15 2021-07-26 눅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고정식 차량 보안 검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149C (zh) 2000-06-07
JP3194349B2 (ja) 2001-07-30
CA2180509C (en) 2003-06-17
TW365981U (en) 1999-08-01
JPH09118277A (ja) 1997-05-06
CN1150573A (zh) 1997-05-28
US5651319A (en) 1997-07-29
KR970020910A (ko) 1997-05-28
CA2180509A1 (en) 1997-04-28
DE69616231D1 (de) 2001-11-29
DE69616231T2 (de) 200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0266B1 (ko) 차체의 반송장치
US8424669B2 (en) Work transport apparatus and method
CN112958933A (zh) 车身自动化焊接生产线
CN106586358B (zh) 储物机构及其搬运装置、存取方法
CN216472070U (zh) 一种可调节的双向背分式agv
JPH05170325A (ja) 可動体使用の搬送設備
EP0770541B1 (en) Car body carrier
CN112958980A (zh) 用于自动化焊接的车身侧围和底板夹具总成
JP3194348B2 (ja) 車の搬送方法および装置
JP3298386B2 (ja) 車のストレージ設備
CN219566637U (zh) 一种rgv小车
JP3261445B2 (ja) 搬送設備
CN220115432U (zh) 一种链板输送装置
KR0133931Y1 (ko) 플로팅 테이블을 갖춘 원주형상물 반송차
CN113914688B (zh) 一种双塔立体智能停车库
JP2858619B2 (ja) コイル搬送用中継装置
JP3931837B2 (ja) 移動体使用の搬送設備
JPH01203105A (ja) コンテナ移送装置
JPH07108673B2 (ja) 自走体使用の搬送設備
KR200227123Y1 (ko) 열연코일자동이송장치
JPS6265822A (ja) 台車式搬送装置
JP3772719B2 (ja) 仕分け設備
SU1168448A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JPH0327019Y2 (ko)
JP2767156B2 (ja) 移動体使用の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