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6016B1 - 터보 차저 오일 순환장치 - Google Patents

터보 차저 오일 순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6016B1
KR100206016B1 KR1019960063699A KR19960063699A KR100206016B1 KR 100206016 B1 KR100206016 B1 KR 100206016B1 KR 1019960063699 A KR1019960063699 A KR 1019960063699A KR 19960063699 A KR19960063699 A KR 19960063699A KR 100206016 B1 KR100206016 B1 KR 100206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turbocharger
discharge
line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3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5514A (ko
Inventor
마세현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63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6016B1/ko
Publication of KR19980045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6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60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2Arrangements of lubrican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2Arrangements of lubricant conduits
    • F01M2011/021Arrangements of lubricant conduits for lubricating auxiliaries, e.g. pumps or turbo char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ercharger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터보 차저 정체시 오일을 터보 차저 내에 정체시켜 재기동시 터보 차저의 마찰손실을 저감시키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터보 차저 오일 순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보 차저 오일 순환장치는 터보 차저에 오일을 공급하도록 엔진의 윤활계통과 터보 차저를 연결하는 오일 공급 라인, 상기 오일 공급 라인으로 공급된 오일로 터보 차저를 윤활시킨 후 오일펜으로 배출시키도록 터보 차저와 오일 펜을 연결하는 오일 배출 라인, 터보 차저 정체시 터보 차저에 공급되었던 오일의 배출을 방지케 하여 재기동시 터보 차저의 윤활을 담당할 수 있도록 상기 오일 공급 라인과 오일 배출 라인에 상호 제어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오일 배출 차단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터보 차저 오일 순환장치
본 발명은 터보 차저 오일 순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보 차저 정체시 오일을 그 내에 정체시켜 재기동시 터보 차저 윤활부의 마찰손실을 저감시키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터보 차저 오일 순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젤엔진에 사용되는 터보 차저는 배기측에 설치되는 블로워와 흡기측에 설치되는 터어빈을 샤프트로 연결하고 이 샤프트를 저널 베어링으로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샤프트는 엔진의 윤활계통과 연결되어 강제 급유되어야 원활한 작용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터보 차저 오일 순환장치로 엔진 윤활계통의 오일 라인으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저널부로 순환 공급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터보 차저 오일 순환장치는 엔진 기동시에 터보 차저로 공급되었던 오일이 엔진 정지로 터보 차저 정체시 오일 펜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 재기동시에는 터보 차저 내부 오일 부족으로 마찰손실을 증대시키고 이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보 차저 정체시 오일을 터보 차저 내에 정체시켜 재기동시 터보 차저의 마찰손실을 저감시키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터보 차저 오일 순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보 차저 오일 순환장치는 터보 차저에 오일을 공급하도록 엔진의 윤활계통과 터보 차저를 연결하는 오일 공급 라인, 상기 오일 공급 라인으로 공급된 오일로 터보 차저를 윤활시킨 후 오일펜으로 배출시키도록 터보 차저와 오일 펜을 연결하는 오일 배출 라인, 터보 차저 정체시 터보 차저에 공급되었던 오일의 배출을 방지케 하여 재기동시 터보 차저의 윤활을 담당할 수 있도록 상기 오일 공급 라인과 오일 배출 라인에 상호 제어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오일 배출 차단수단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터보 차저 오일 순환장치는 오일 배출 수단이 터보 차저 정체시 터보 차저 내부에 공급되었던 오일을 터보 차저내에 정체시켜 재기동시 윤활작용 가능케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터보 차저 오일 순환장치의 엔진 기동 상태를 도시한 윤활 계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터보 차저 오일 순환장치의 엔진 정지 상태를 도시한 윤활 계통도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터보 차저 오일 순환장치의 엔진 기동 상태를 도시한 윤활 계통도로서, 엔진(E)측에서 공급되는 오일을 터보 차저(1)로 공급하거나 터보 차저(1)에 공급된 오일을 차단시킬 수 있는 구성을 이루고 있다.
즉, 터보 차저(1)는 엔진(E)의 윤활계통과 오일 공급 라인(3)으로 연결되고, 오일 펜(F)과 오일 배출 라인(5)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오일 공급 라인(3)과 오일 배출 라인(5)은 바이 패스 라인(7)에 의하여 터보 차저(1)를 바이패스하여 오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터보 차저(1) 정체시 터보 차저(1)에 공급되었던 오일의 배출을 방지케 하여 재기동시 터보 차저(1)의 윤활을 담당할 수 있도록 오일 배출 차단수단으로 솔레노이드 밸브(9)와 릴리이프 밸브(11)가 상호 제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9)는 엔진(E)의 윤활계통으로부터 오일을 공급받아 오일 공급 라인(3)과 바이 패스 라인(3)으로 동시에 공급하거나, 오일 공급 라인(3)으로 공급되는 오일을 차단시키고 바이 패스 라인(7)으로 공급되었던 유압을 배출시킬 수 있는 스풀밸브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릴리이프 밸브(11)는 상기 바이 패스 라인(7)으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하여 제어되어 오일 배출 라인(5)으로 배출되는 오일을 오일 펜(F)으로 배출시키거나 차단시킬 수 있는 스풀밸브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9)와 릴리이프 밸브(11)는 통상적인 유압 회로에 사용되는 스풀 밸브의 구조를 갖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터보 차저 오일 순환장치를 구비한 엔진(E)을 기동시키면, 엔진(E)의 윤활 계통과 연결된 오일이 솔레노이드 밸브(9)로 공급된다.
그리고 엔진(E) 기동과 동시에 솔레노이드 밸브(9)가 작동하게 되고, 그러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E)의 윤활 계통으로부터 오일이 오일 공급 라인(3)과 바이 패스 라인(7)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바이 패스 라인(7)으로 공급된 오일은 릴리이프 밸브(11)를 도면에서 보아 좌측으로 작동시켜 오일 배출 라인(5)을 오일 펜(F)에 연결시키므로 오일 공급 라인(3)으로 공급되는 오일은 터보 차저(1)를 윤활시키고 오일 펜(F)으로 배출된다.
그러나 엔진(E)이 정지하게 되면, 엔진(E) 정지와 동시에 솔레노이드 밸브(9)가 비작동하게 되고, 그러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E)의 윤활 계통으로 부터 공급되던 오일이 오일 공급 라인(3)과 바이 패스 라인(7)으로 공급되지 못하고 차단된다.
따라서 바이 패스 라인(7)으로 공급된 오일이 솔레노이드 밸브(9)를 통하여 배출되어 릴리이프 밸브(11)가 도면에서 보아 우측으로 작동되어 오일 배출 라인(5)과 오일 펜(F)의 연결을 차단시킨다.
결국 솔레노이드 밸브(9)에 의하여 오일 공급 라인(3)이 차단되고, 릴리이프 밸브(11)에 의하여 오일 배출 라인(5)이 차단되므로 이 2라인(3,5)사이에 위치하는 터보 차저(1)에 공급되었던 오일은 공급되었던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엔진(E) 재기동시 터보 차저(1)의 윤활 작용에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보 차저 오일 순환장치는 오일 배출 수단으로 터보 차저 정체시 터보 차저 내부에 공급되었던 오일을 터보 차저내에 정체시켜 재기동시 윤활작용 가능케 하므로 터보 차저의 마찰손실을 저감시키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터보 차저에 오일을 공급하도록 엔진의 윤활계통과 터보 차저를 연결하는 오일 공급 라인, 상기 오일 공급 라인으로 공급된 오일로 터보 차저를 윤활시킨 후 오일펜으로 배출시키도록 터보 차저와 오일 펜을 연결하는 오일 배출 라인, 터보 차저 정체시 터보 차저에 공급되었던 오일의 배출을 방지케 하여 재기동시 터보 차저의 윤활을 담당할 수 있도록 상기 오일 공급 라인과 오일 배출 라인에 상호 제어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오일 배출 차단수단을 포함하는 터보 차저 오일 순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오일 배출 차단수단은 터보 차저를 바이 패스하여 오일 공급 라인과 오일 배출 라인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바이 패스 라인, 상기 오일 공급 라인과 바이 패스 라인으로 오일을 동시에 공급하거나 오일 공급 라인을 차단시키고 바이 패스 라인의 오일을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하여 바이 패스 관로로 공급 및 배출되는 오일에 의하여 터보차저에서 오일 펜으로 배출 및 차단되는 오일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릴리이프 밸브를 포함하는 터보 차저 오일 순환장치.
KR1019960063699A 1996-12-10 1996-12-10 터보 차저 오일 순환장치 KR100206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699A KR100206016B1 (ko) 1996-12-10 1996-12-10 터보 차저 오일 순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699A KR100206016B1 (ko) 1996-12-10 1996-12-10 터보 차저 오일 순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514A KR19980045514A (ko) 1998-09-15
KR100206016B1 true KR100206016B1 (ko) 1999-07-01

Family

ID=19486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3699A KR100206016B1 (ko) 1996-12-10 1996-12-10 터보 차저 오일 순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60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064B1 (ko) 2001-08-03 2012-11-06 가부시키가이샤 아키타 파인 블랑킹 브이지에스 타입 터보 차저에서의 구성요소부재의제조방법,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구성요소부재, 이구성요소부재를 적용한 브이지에스 타입 터보 차저의 배기가이드 어셈블리 및 이 배기 가이드 어셈블리를 장착하여이루어지는 브이지에스 타입 터보 차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064B1 (ko) 2001-08-03 2012-11-06 가부시키가이샤 아키타 파인 블랑킹 브이지에스 타입 터보 차저에서의 구성요소부재의제조방법,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구성요소부재, 이구성요소부재를 적용한 브이지에스 타입 터보 차저의 배기가이드 어셈블리 및 이 배기 가이드 어셈블리를 장착하여이루어지는 브이지에스 타입 터보 차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514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336513A (ja) エンジン用潤滑システム
CN109057908B (zh) 一种润滑系统及润滑方法
US5894825A (en) Engine lubrication system
RU1802852C (ru)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 с масл ным охлаждением
DE102010060319A1 (de) Kühlsystem
DE112015005126T5 (de) Kühlungsregelungsvorrichtung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und Kühlungsregelungsverfahren dafür
US5682851A (en) Oil system for an engine that includes an auxiliary priming pump
KR100206016B1 (ko) 터보 차저 오일 순환장치
JP2009097390A (ja) エンジンの油圧制御装置
JPH0893490A (ja) ターボチャージャの潤滑装置
JPH06159029A (ja) エンジンの油圧制御装置
JPS55101729A (en) Lubricating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equipped with exhaust turbocharger
SU981640A1 (ru) Система смазки двигател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
JP2005105886A (ja) エンジンのオイル供給装置
KR20040039736A (ko) 자동변속기용 오일 온도 조절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900003236Y1 (ko) 터어보 챠져의 윤활 보조장치
JPH0571327A (ja) 内燃機関の潤滑装置
KR19980027897A (ko) 터보차저의 소착방지를 위한 오일공급장치
JPS6310290B2 (ko)
KR200240260Y1 (ko) 엔진 오일의 적정량 공급장치
JP2020186680A (ja) 油圧制御装置
KR100301895B1 (ko) 차량의터보차져윤활장치및제어방법
JPS6210407Y2 (ko)
KR19980047348A (ko) 터보 차저 오일 공급 구조
KR20160103434A (ko) 복수의 isg기능 호환이 가능한 유압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