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2758B1 - 촬상장치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2758B1
KR100202758B1 KR1019950026055A KR19950026055A KR100202758B1 KR 100202758 B1 KR100202758 B1 KR 100202758B1 KR 1019950026055 A KR1019950026055 A KR 1019950026055A KR 19950026055 A KR19950026055 A KR 19950026055A KR 100202758 B1 KR100202758 B1 KR 100202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amera
circuit
case
camera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6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9615A (ko
Inventor
와까바야시마나부
아이자와이와오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도무
Publication of KR960009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2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27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영상촬영장치로서 비디오카메라, 전자뷰파인더 또는 디스플레이로서 직시형의 평면디스플레이 및 기억 또는 기록장치로서 반도체메모리 또는 VTR을 구비한 비디오카메라, 평면디스플레이 및 기록장치일체형의 휴대용의 촬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비디오카메라가 수평방향축 둘레로 회전해서 표시기기부와 대략 동일방향을 향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도립상을 전기적으로 정립화함과 동시에 비디오카메라부의 소형화에 의해서 비디오카메라회전기구의 경량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비디오카메라와 표시기기인 액정디스플레이 또는 기록기기사이에 화상배열 변환회로를 마련하고, 케이스에 비디오카메라부의 각도위치를 검출하는 스위치를 마련하고 또, 비디오카메라부를 촬상소자와 렌즈로 구성하고 케이스의 가장자리에 가장자리와 평행한 축둘레로 회전이 자유롭게 축받이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비디오카메라의 각도에 의해서 일의적으로 화상배열변환회로를 동작시키므로, 발생하는 도립상은 자동적으로 정립화하고 또, 비디오카메라부를 필요최소한의 부품으로 구성해서 케이스의 가장자리로 회전가능하게 축받이하였으므로, 케이스와의 회전결합부를 소형, 경량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비디오카메라부의 각도조절을 엄지와 식지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촬상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의 촬상장치의 앞면에서 본 외관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의 촬상장치의 배면에서 본 외관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A-A의 단면도.
제4도는 비디오카메라의 외관사시도.
제5도는 제1도의 B-B의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부분확대도.
제7도는 제5도의 부분확대사시도.
제8도는 마찰기구의 조립도.
제9도는 제6도의 부분확대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촬상장치의 앞면외관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촬상장치의 앞면외관사시도.
제12도는 제11도의 배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C-C의 단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동작설명도.
제15도는 제13도의 동작설명도.
제16도는 제13도의 동작설명도.
제17도는 제12도의 D-D의 단면사시도.
제18도는 제12도의 D-D의 단면도.
제19도는 제18도의 동작설명도.
제20도는 제18도의 동작설명도.
제21도는 제18도의 동작설명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제3의 실시예의 회로블럭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촬상장치의 앞면에서 본 사시도.
제24도는 제17도의 E-E의 단면도.
제25도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의 회로블럭도.
본 발명은 영상촬상장치로서 비디오카메라, 전자뷰파인더 또는 디스플레이로서 직시형의 평면디스플레이 및 기억 또는 기록장치로서 반도체메모리 또는 VTR을 구비한 비디오카메라, 평면디스플레이 및 기록장치일체형의 휴대용의 촬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촬영자가 평면디스플레이로 모니터하면서 비디오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촬상장치로서는 일본국 특허공고공보 평성 4-6154호에 개시된모니터 TV를 갖는 카메라일체형 VTR이 있다. 이 카메라일체형 VTR은 VTR부와 모니터 TV부를 케이스에 수납해서 일체로 해서 구성하고, 비디오카메라부를 케이스의 우측면에 대략 중앙부분에 상기 측면과는 직각의 각도를 갖는 수평방향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축받이한 것이다. 이 카메라일체형 VTR은 오른손으로 장치전체를 지지하던가 또는 왼손으로 케이스를 들고 모니터부가 촬영자와 정면으로 마주 보도록 유지하고, 오른손으로 비디오카메라부를 들고, 이 비디오카메라부를 모니터부에 대해서 틀어서 방향을 바꾸는 것에 의해 비디오카메라의 기울기를 바꾸어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이다. 또, 성천열남(星川悅男) 등에 의한고화질 MS무비 VL-HL1(샤프기보 제54호 1992년 11월 pp6770)에는 좌측에 VTR과 액정디스플레이를 일체로 하여 양자를 서로 회전가능하게 축받이한 촬상장치가 게재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촬상장치는 비디오카메라부를 180도 회전시켜서 모니터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촬영자 자신이 자신을 촬영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비디오카메라는 촬영자의 전방에 있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천지(天地)가 정상으로 촬영되도록 세트되어 있다. 따라서, 비디오카메라를 수평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키면, 표시영상 또는 기록영상은 천지가 역인 영상이 표시 또는 기록된다. 기록영상을 천지정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우선 비디오카메라를 촬영자 자신을 향하게 하고, 계속해서 모니터를 수평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켜서 촬영자 자신을 향하게 하면 좋다. 이 때, 모니터의 표시가 천지가 역으로 되므로, 모니터의 수직방향주사를 반전시켜서 종래, 모니터의 좌측상부에서 개시하고 있었던 주사를 이번에는 모니터의 우측하부에서 개시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하를 역전시켜 천지정상인 표시영상을 얻고 있었다.
모니터의 수평방향주사를 상하 반전시키고 있으므로, 비디오카메라와 모니터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있을 때에는 언제라도 모니터에는 천지정상인 영상이 표시된다. 즉, 비디오카메라를 전치정상으로 유지하고 모니터를 수평축을 중심으로 180도 반전시켜도, 모니터에는 천지정상인 영상이 표시된다. 반대로 모니터를 천지정상으로 유지하고, 비디오카메라를 수평축을 중심으로 180도 반전시켜도, 모니터에는 천지정상인 영상이 표시된다. 즉, 비디오카메라를 뒤집어도 또 모니터를 뒤집어도 모니터에는 항상 천지정상인 영상이 표시된다. VTR 등의 기록기기로의 기록을 고려하면 비디오카메라를 천지정상으로 유지하고, 모니터를 뒤집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촬영시에는 촬영자는 모니터를 일정의 각도를 유지하고(통상 모니터화면은 촬영자에 대해서 정면으로 마주 본다.), 비디오카메라의 각도를 바꾸어서 피사체를 추적하는 사용방법이다. 따라서, 촬영자 자신을 촬영하는 경우에도 그 연장이라고 고려해서 모니터는 그 상태에서 비디오카메라를 180도 회전시켜서 촬영하는 경우가 있어 기록기기에 천지가 역인 영상을 기록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일본국 특허공고공보 평성4-6154호나 성천논문에 개시한 종래예에 있어서, 비디오카메라부는 VTR이나 모니터부와 동일하던가 그것에 가까운 크기이고, 비디오카메라부에 VTR부와 모니터 TV를 회전가능하게 축받이한 것으로, 비디오카메라부를 들고 촬영하는 형태이다. 성천논문의 pp70에는 카메라부와 VTR액정모니터부를 결합하는 회전부가 개시되어 있고, 메카홀드프레임 등의 유지부재를 필요로 하고 있는 바와 같이 대형의 비디오카메라부에 중량이 있는 VTR부와 모니터TV를 회전이 자유롭게 축받이하고 있으므로, 이 축받이하고 있는 걸어맞춤부에 강도가 필요하고, 이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형태의 대형화와 중량증가를 초래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상 천지정상인 영상을 모니터에 표시 또는 기록기기에 기록할 수 있는 촬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메라와 모니터의 걸어맞춤부를 소형, 경량으로 구성한 촬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스내에 비디오카메라가 모니터측으로 향한 것을 검출해서 신호를 전환하는 신호전환수단을 마련하고 카메라회로와 영상표시수단 및 기록수단사이에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과 라이트 어드레스 발생회로 및 리드 어드레스 발생회로로 이루어지는 화상배열 변환회로를 배치한다. 또, 비디오카메라를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케이스에 축받이하였다. 또, 천지식별가능한 문자 또는 도형을 모니터에 항상 표시한다. 또, 비디오카메라부를 렌즈와 촬상소자로 구성하고, 모니터가 수납되어 있는 케이스의 가장자리부에 회전가능하게 축받이하였다.
화상배열 변환회로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과 라이트 어드레스 발생회로 및 리드 어드레스 발생회로로 이루어진다. RAM에 기억된 영상신호의 리드순서는 리드 어드레스 발생회로의 어드레스 발생순서에 의해서 결정되고, 라이트 어드레스 발생회로의 순서와 동일하면, 천지정상인 영상이 리드되고, 라이트 어드레스 발생회로의 순서와 반대이면, 천지가 역인 영상이 리드된다. 따라서, 모니터장치를 천지정상으로 유지하고, 비디오카메라를 수평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비디오카메라가 수평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해서 모니터측을 향하였을 때에 신호전환수단이 리드 어드레스 발생회로의 어드레스 발생순서를 라이트 어드레스 발생회로의 순서와 역전시키므로, 표시 및 기록되는 영상신호의 천지가 반전되어 천지가 쩡상인 영상이 모니터에 표시 또는 기록기기에 기록된다.
비디오카메라를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케이스에 축받이하였으므로, 비디오카메라를 촬영자측 즉, 모니터와 동일한 방향을 향하게 해도 비디오카메라는 수직방향의 축둘레로 수평으로 회전해서 모니터측으로 향하므로, 표시영상 또는 기록영상은 천지가 역으로 되지 않아 항상 정상인 영상이 표시 또는 기록된다.
상하좌우 비대칭의 문자 또는 도형이 항상 모니터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모니터를 180도 반전시켜서 비디오카메라와 동일방향을 향하게 한 경우는 모니터는 수직주사방향이 반전하여 천지가 정상인 영상과 문자 또는 도형이 표시되고 또, 기록기기에도 천지가 정상인 영상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대로, 비디오카메라를 180도 반전시켜서 동일방향을 향하게 한 경우는 비디오카메라에서의 천지가 역인 신호와 문자도형 발생회로에서의 천지가 정상인 신호가 중첩되어 모니터에서 수직주사방향이 반전되므로, 모니터에는 천지가 정상인 영상과 천지가 역인 문자 또는 도형이 표시되고, 또 기록기기에도 천지가 역인 영상이 기록된다. 모니터에 표시된 천지가 역인 문자 또는 도형에서 촬영상태가 비정상인 것이 리드되어 비디오카메라의 방향을 원래로 되돌리고, 모니터를 180도 회전시켜야만 하는 것이 식별된다.
좌우비대칭의 문자 또는 도형은 모니터의 수평주사방향을 반전시켜서 경상화하였을 때에 문자 또는 도형은 경상의 문자 또는 도형으로 되므로, 표시영상이 경상인 것을 식별할 수 있다.
비디오카메라부를 소형으로 구성해서 케이스의 가장자리와 평행한 축둘레로 회전가능하게 축받이한 것에 의해 걸어맞춤부의 강도가 작아도 되어 걸어맞춤부를 소형, 경량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엄지 또는 식지로 비디오카메라의 각도를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1을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다. 제1도는 촬상장치(1)의 앞면(2a)가 보이는 외관사시도이고, 제2도는 배면(2b)가 보이는 외관사시도이다.
촬상장치(1)은 케이스(3)의 상부가장자리부(4)의 우측에 비디오카메라부(5)를 회전가능하게 축받이하고, 케이스(3)의 내부에 액정디스플레이(6)을 수납하고, 케이스(3)의 앞면(2a)에는 선택버튼(7) 및 커서키(8)이 배치되고, 케이스(3)의 좌측면(9)는 전원스위치(10) 및 배터리커버(11)이 마련되고, 케이스(3)의 우측면(12)에는 카드슬롯(13)이 있고, PCMCIA카드(14)가 삽입접속된다. 케이스(3)의 배면(2b)에는 케이스(3)을 조립하기 위한 6개의 나사구멍(15)가 있다. 비디오카메라부(5)는 카메라케이스(16)의 표면에 미끄럼방지용의 로렛트(17)이 파여지고, 촬상구멍(18)이 뚫려있다. 커서키(8)은 액정디스플레이(6)의 하면상에 표시된 항목(19)에 커서(20)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제1도는 비디오카메라부(5)를 앞면(2a)를 향하게 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조작자 또는 앞면(2a)측에 있는 물체를 액정디스플레이(6)의 화면상에 표시한다. 케이스(3)의 상부 가장자리부(4)의 오른쪽 비디오카메라부(5)를 상부 가장자리부(4)와 평행한 회전방향(21)에 회전가능하게 축받이하였으므로, 왼손으로 케이스(3)을 지지해서 액정디스플레이(6)을 보기 쉬운 각도로 유지하고, 오른손의 엄지와 식지로 비디오카메라부(5)를 잡고 회전시켜 비디오카메라부(5)의 촬영각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커서키(8)을 사용해서 커서(20)을 목적의 항목(19)에 중첩시키고, 선택버튼(7)을 눌러 그 표시된 기능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항목(19)의카메라로 커서(20)을 이동해서 선택버트(7)을 눌러 카메라의 기능을 선택하면, 촬상장치(1)은 비디오카메라로서 기능한다. 그렇게 하면, 비디오카메라부(5)에 전원이 들어가 촬상된 영상은 액정디스플레이(6)에 표시된다. 이때, 액정디스플레이(6)은 전자파인더로서 기능한다. 커서(20)을 항목(19)의모니터로 이동하면, 비디오카메라부(5)의 전원은 끊겨 이미 내부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의 표시로 전환된다. 커서(20)을 항목(19)의워드프로세서로 이동하면 휴대용촬상장치(1)은 워드프로세서로서 기능하고,퍼스컴으로 이동하면 컴퓨터로서 기능하고,메모로 이동하면 전자수첩으로서 기능한다.
PCMCIA카드(14)는 예를 들면 업계표준인 JEIDA/PCMCIA(Japan Electronic Industry Development Association/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 Association) 규격에 규정되어 있는 카드 성능 및 카드치수를 갖는 것이다. 이 규격에 의한 카드치수는 타입가 세로85.6, 가로54, 두께3.3, 타입2가 세로85.6, 가로54, 두께5이하이다. 또, 커넥터의 핀수는 타입1 및 타입2 모두 68핀이다. 표준형의 커넥터형상을 채용할 수 있는 것은 촬상장치(1)을 가종 사양의 컴퓨터기기 또는 전화기기에 접속해서 데이터나 정보의 수수를 가능하게 한다.
제2도는 비디오카메라부(5)를 회전해서 배면(2b)를 향하게 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통상의 촬영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상태에서 비디오카메라(22)는 정립하여 있고, 표시영상 및 기록영상 모두 정립하고 있으므로, 문제는 없다. 선택버튼(7)은 셔터버튼으로서 기능하고, 액정디스플레이(6)에 표시된 영상을 정지화상으로서 기록한다.
제3도제8도에 촬상장치(1)의 내부구조를 도시한다.제3도는 제1도의 A-A의 단면도이다. 비디오카메라부(5)의 카메라케이스(16)에는 촬영구멍(18)이 뚫려 있고, 카메라케이스(16)의 주위에는 로렛트(17)이 파여 있다. 카메라케이스(16)의 내부에는 비디오카메라(22)가 도립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비디오카메라(22)가 도립하고 있는 것에 의해서 발생하는 촬영영상을 정립시켜서 표시 또는 기록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비디오카메라(22)는 셔터(23)과 렌즈케이스(24), 렌즈(25), 수정필터(26), 촬상소자(27), 부착판(28) 및 카메라회로기판(29)가 배치되고, 셔터(23)이 열리면 촬영구멍(18)을 통해서 광이 들어오고, 렌즈(25)에 의해서 피사체의 상이 촬상소자(27)에 결상한다. 수정필터(26)은 므와레의 저감이나 적외선영역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카메라회로기판(29)는 부착판(28)에 나사(30)으로 고정되고, 부착판(28)은 카메라케이스(16)에 나사(제6도참조)로 고정된다. 카메라케이스(16)은 케이스앞부(31)과 케이스뒷부(32)로 구성되고, 케이스앞부(31)과 케이스뒷부(32)는 고리(33) 및 (34)에 의해서 끼워넣는 구조로 되어 있고, 케이스앞부(31)과 케이스뒷부(32)에 각각 일체성형된 기둥(35), (36)에 나사(37)에 의해서 결합된다. 케이스(3)의 내부에는 액정패널(38) 및 회로기판(39)가 배치되어 있다. 회로기판(39)는 비디오카메라(22)부(5)의 신호처리회로, 액정패널(38)의 구동회로, 시스템회로 및 전원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4도는 비디오카메라(22)의 외관사시도이다. 비디오카메라(22)는 셔터(23), 렌즈케이스(24), 부착판(28) 및 카메라회로기판(29)로 이루어진다. 셔터(23)은 2개의 날개(40), (41) 및 모터(42)로 이루어진다. 2개의 날개(40), (41)은 모터(42)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하고, 조리개의 역할도 한다. 셔터(23)은 나사(43)에 의해서 렌즈케이스(24)에 고정되어 있다. 또, 부착판(28)도 나사(44)에 의해서 렌즈케이스(24)에 고정되어 있다.
제5도는 제1도의 B-B의 단면도이다. 케이스(3)의 내부에는 회로기판(39), 케이스(3)의 좌측에는 배터리(45)가 배치되고, 케이스(3)의 상부가장자리부(4)의 오른쪽에는 비디오카메라부(5)가 회전가능하게 축받이되어 있다. (10)은 전원스위치, (15)는 6개의나사구멍, (46)은 PCMCIA카드(14)의 호스트커넥터이다.
제6도는 제5도의 부분확대도로서, 비디오카메라부(5)의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카메라케이스(16)은 한쪽의 끝부에 통부(47)과 다른쪽의 끝부에 축(48)을 갖는다, 통부(47)은 케이스(3)에 뚫린 구멍(49)에 끼워맞춰지고, 축(48)은 케이스(3)에 뚫린 오목부(50)과 끼워맞춰져서 회전가능하게 축받이된다. 통부(47)내를 유연성기판(51)이 통과한다. 유연성기판(51)의 한쪽끝은 카메라회로기판(29)에 땜납에 의해 결선되고, 다른쪽끝은 회로기판(39)상의 커넥터(52)에 결선된다.
카메라케이스(16)의 축(48)의 주위는 오목부(53)이 형성되고, 그 옥목부(53)에는 마찰기구(54)가 축(48)과 동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통부(47)에는 스페이서(55)가 삽입되고, 케이스(3)에 대해서 카메라케이스(16)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7도는 제5도의 부분확대사시도이다. 카메라회로기판(29)에는 유연성기판(51)이 땜납결선되고, 촬상소자(27)이 부착판(28)을 거쳐서 납땜되어 있다. 유연성기판(51)은 카메라회로기판(29)와 회로기판(39)상의 커넥터(52)를 접속한다. 유연성기판(51)의 중간부에는 코일부(56)이 형성되고, 코일형상으로 비틀려 있다. 비디오카메라부(5)가 회전해도 유연성기판(51)이 비틀려 절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제8도는 마찰기구(54)의 조립사시도이다. 마찰기구(54)는 슬립링(57a), (57b) 및 물결판스프링(58)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슬립링(57a), (57b) 및 물결판스프링(58)은 3개 모두 금속판이고, 슬립링(57a), (57b)에는 회전방지용의 고려(59), (60), (61), (62)가 마련되어 있고, 물결판스프링(58)은 물결형상으로 되어 있다. 슬립링(57a), (57b)는 2개 모두 중앙에 구멍(63), (64)가 뚫려있고, 축(48)에 끼워넣어진다. 물결판스프링(58)은 구멍(65)가 뚫려있고, 축(48)에 끼워넣어진다.
제9도는 제6도의 부분도에서 마찰기구(54)의 조립상태의 확대도이다. 고리(59), (60)은 카메라케이스(16)에 형성된 바닥이 있는 가늘고 긴 오목부(70), (71)에 끼워맞춰지고, 고리(61), (62)는 케이스(3)에 마련된 바닥이 있는 가늘고 긴 오목부(70), (71)에 끼워맞춰진다. 물결판스프링(58)은 슬립링(57a), (57b)사이에 샌드위치형상으로 끼워지고, 슬립링(57a)와 (57b)를 확대하는 것과 같이 압력을 부여해서 카메라케이스(16)의 축방향의 덜컹거림을 흡수하고 카메라케이스(16)의 회전에 적절한 마찰력을 부여해서 원활한 회전과 정지력을 발생시켜서 간편한 프리스톱기구를 구성한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촬상장치(1)의 외관사시도이다. 촬상장치(1)은 케이스(3)의 상부가장자리부(4)의 왼쪽에 비디오카메라부(5)를 회전가능하게 축받이하고, 케이스(3)의 내부에 액정디스플레이(6)을 수납하고, 케이스(3)의 앞면(2a)에는 선택버튼(7) 및 커서키(8)을 배치하고, 케이스(3)의 좌측면(9)는 전원스위치(10) 및 배터리커버(11)을 마련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케이스(3)을 왼손으로 유지하면서 비디오카메라부(5)의 각도를 왼손엄지와 식지로 회전해서 촬영각도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한손으로 촬영할 수 있다. 또, 비디오카메라부(5)를 액정디스플레이(6)의 바로 위의 상부가장자리부(4)에 회전가능하게 축받이해서 위치시키면(즉, 상기 실시예1의 비디오카메라부(5)의 배치위치와의 실시예2의 비디오카메라부(5)의 배치위치의 중간위치), 촬영자 본인을 액정디스플레이(6)에 표시할 때에 시차를 가장 작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1도 및 제12도에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1도는 촬상장치(1)의 앞면(2a)가 보이는 외관사시도이고, 제12도는 촬상장치(1)의 배면(3)의 정면도이다. 촬상장치(1)은 케이스(3)의 상부가장자리부(4)의 오른쪽에 비디오카메라부(5)를 상부가장자리부(4)와 평행한 회전방향(21)에 회전가능하게 축받이하고, 케이스(3)의 내부에 액정디스플레이(6)을 수납하고, 케이스(3)의 앞면(2a)에는 선택버튼(7) 및 커서키(8)을 배치하고, 케이스(3)의 배면(3)에는 VTR(74)를 내장하고, 촤측부에 배터리(75)를 배치한 것이다. 제11도는 비디오카메라부(5)를 앞면(2a)을 향하게 한 상태를 도시하고, 조작자 또는 앞면(2a)측에 있는 피사체를 액정디스플레이(6)의 화면상에 표시한다. 제12도는 비디오카메라부(5)를 회전해서 배면(2b)를 향하게 한 상태를 도시하고, 통상의 촬영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3도는 제12도의 C-C의 단면도이다. 비디오카메라부(5)는 케이스(3)에 시계방향(76) 및 반시계방향(77)로 회전가능하게 축받이되어 있고, 제13도는 비디오카메라부(5)의 촬영구멍(18)을 배면(2b)방향을 향하게 한 것이다. 카메라케이스(16)에는 주위에 로렛트(17)이 파여 있어 미끄러짐이 방지된다. 카메라케이스(16)내부에는 비디오카메라(22)가 정립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3)의 내부에는 회로기판(78)이 배치되어 있다.
제14도는 제13도의 동작설명도이다. 제14도는 비디오카메라부(5)를 반시계방향(77)로 회전해서 촬영구멍(18)을 앞면(2a) 방향을 향하게 한 것이다. 카메라케이스(16)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비디오카메라(22)는 도립상태로 된다. 이대로의 상태에서는 도립영상이 VTR(74)에 기록된다. 또, 액정디스플레이(6)에는 천지가 역인 영상이 표시된다. 이들의 도립상을 정립상으로 기록 또는 표시하기 위해서는 메모리를 사용해서 실행한다. 도립상을 정립상으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5도는 제13도의 동작설명도이다. 비디오카메라부(5) 시계방향(76)으로 회전시켜 촬영구멍(18)이 케이스(79)에 접해서 닫히면, 재생모드로 되어 VTR(74)가 동작해서 촬영을 마친 영상의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제16도는 제13도의 동작설명도이다. 비디오카메라부(5)를 시계방향(76)으로 더욱 회전시켜 촬영구멍(18)을 바로 아래를 향하게 하면 비디오전원이 끊긴다. 이 때, 촬영구멍(18)은 케이스(79)에 접해서 완전하게 닫힌다. 촬영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는 이와 같이 렌즈부를 갖는 촬영구멍과 케이스를 대향시키는 것에 의해 렌즈부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렌즈부를 보호하는 커버가 불필요하게 된다.
제17도는 제12도의 D-D의 단면사시도이고, 전원 및 영상 상하도립 전환스위치 배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통부(47)의 둘레에는 3개의 스위치(80), (81), (82)가 배치되어 있다. 스위치(80), (81), (82)는 판(83)에 나사(84), (85), (86)으로 고정되어 있다. 통부(47)에는 돌기(87)과 2개의 오목부(88), (89)가 형성되어 있다. 판(83)에는 2개의 날개(90), (91)이 마련되어 있고, 선단이 쐐기 형상으로 된 6각기둥(92)가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6각기둥(92)는 판(83)의 일부인 스프링(93)에 의해서 통부(47)로 그 선단을 꽉 누르고 있고, 통부(47)의 오목부(88), (89)에 끼워 넣어져 클릭스톱기능을 발생시키고 있다. 판(83)은 2개의 나사(94), (95)에 의해서 케이스(3)에 고정되어 있다. 제17도에 있어서, 돌기(87)은 스위치(81)을 누르고 있고, 재생모드인 것을 나타낸다. 제18도는 제17도의 동작설명도이고, 돌기(87)이 스위치(80)을 눌러서 전원OFF의 상태를 나타낸다. 또, 돌기(87)은 케이스(3)에 마련한 제1의 스톱퍼(96)에 맞닿아서 비디오카메라부(5)가 그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고, 6각기둥(92)의 선단은 오목부(88)에 끼워 넣어져 클릭스톱기능을 발생시키고 있다.
제19도는 제17도의 평면도이다.
돌기(87)이 스위치(81)을 눌러서 비디오전원만 ON의 상태를 나타낸다. 또, 6각기둥(92)의 선단은 오목부(89)에 끼워 넣어져 클릭스톱기능을 발생시키고 있다.
제20도는 제17도의 동작설명도이고, 돌기(87)이 스위치(82)를 눌러서 스위치(82)가 ON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는 촬영자 자신을 촬영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즉, 제11도와 같이 비디오카메라부(5)의 촬영구멍(18)이 바로 앞을 향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 때, 비디오카메라(22)는 앞면(2a)를 향하고 있지만,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디오카메라(22)는 도립상태에 있다. 비디오카메라(22)가 도립상태이면, 촬영한 영상은 액정디스플레이(6)에는 천지가 역인 영상이 표시되고, VTR(74)에도 마찬가지로 천지가 역인 영상이 기록되어 버린다. 스위치(82)는 비디오카메라(22)가 도립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제21도는 제17도의 동작설명도이고, 돌기(87)이 제2의 스톱퍼(97)에 맞닿아서 비디오카메라부(5)의 지나친 회전을 방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돌기(87)은 스위치(82)를 누르고 있고, 촬영영상이 도립상태인 것을 검출하고 있다.
제22도는 본 발명의 제1제3의 실시예의 회로블럭도이다.
수광렌즈, 고체촬상소자, 고체촬상소자 드라이브회로 등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헤드(100)에서 광전변환신호(101)을 얻고 이것을 카메라회로(102)에 입력한다. 카메라회로(102)는 카메라신호 처리회로, 동기신호 발생회로 등으로 이루어지고, 광전변환신호(101)에서 TV신호형식의 영상신호(103)을 생성한다. 점선부로 둘러싸인 카메라헤드(100)과 카메라회로(102)가 본 발명의 비디오카메라이다.
영상신호(103)은 다음에 화상배열변환회로(104)에 입력된다. 화상배열변환회로(104)는 RAM(Random Access Memory)(105), 라이트 어드레스 발생회로(106) 및 리드 어드레스 발생회로(107)등으로 이루어진다. 영상신호(103)은 화상배열변환회로(104)의 RAM(105)에 기억된다. 여기서, 카메라회로(102)에서는 동기신호(108)에 동기해서 라이트 어드레스 발생회로(106)에서 소정의 순서로 출력되는 메모리 어드레스신호(109)에 의해서 영상신호(103)이 RAM(105)상의 소정의 메모리어드레스에 기억된다. RAM(105)에 일단 기억된 영상신호(103)은 다음에 동기신호(108)에 동기해서 리드 어드레스 발생회로(107)에서 출력되는 메모리 어드레스신호(110)에 의해서 RAM(105)에서 리드된다.
영상신호(103)이 도립영상이 아니고, 정상의 영상인 경우, 즉 도립상이 얻어졌다고 하는 것을 검출하지 않을 때에는 화상배열변환회로(104)의 리드 어드레스 발생회로(107)의 메모리어드레스의 발생순서를 라이트 어드레스 발생회로(106)의 메모리어드레스의 발생순서에 따라서 발생시킨다.
영상신호(103)이 도립영상일 때에는 도립상을 정립상으로 변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립상이 얻어졌는지 아닌지는 비디오카메라부(5)의 회전각도에 의해 검출된다. 제1도, 제3도, 제10도, 제11도에 도시한 상태로 비디오카메라부(5)가 회전하였을 때, 즉 비디오카메라부(5)의 촬영구멍(18)이 케이스(3)의 앞면(2a)와 대략 정면으로 마주 보고 있을 때에는 도립영상의 영상신호(103)이 얻어진다. 이 때, 제14도, 제20도, 제21도에 도시한 스위치(82)가 돌기(87)로 눌러지는 것에 의해 영상신호(103)이 도립영상인 것을 검출한다. 스위치(82)가 돌기(87)로 눌러져 도립상인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리드 어드레스 발생회로(107)의 어드레스발생의 순서를 전의 라이트 어드레스 발생회로(106)의 순서와 역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라이트한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영상신호(111)이 리드된다. 그래서 예를 들면, TV신호의 1필드분의 영상신호(103)을 RAM(105)에 기억하고, 다음의 필드기간에 역전해서 리드하면, 상하좌우가 반전한 영상신호(111)이 얻어진다. 또, 역순한 TV신호를 얻기 위해서는 2필드분의 영상신호(103)을 기억하는 RAM(105)를 구비해서 어떤 필드의 영상신호를 라이트함과 동시에 1필드 기간전에 라이트된 신호를 리드하도록 구성하면 좋다.
또, 리드 어드레스 발생회로(107)은 일반적으로 카운터를 구비하지만, 이 카운터를 공지의 업다운 카운터구성으로 하면, 카운트방향을 스위치수단(112)에 의해서 업과 다운으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리드 어드레스의 발생순서를 라이트 어드레스 발생순서와 동일 또는 역전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영상신호(111)은 출력단자(117)을 거쳐서 영상모니터부(113), 영상기록부(119), 영상신호출력부(120)으로 출력된다.
이 때, 스위치수단(112)를 마련한 경우에 대해서 기술한다. 스위치수단(112)는 2계통 있고, 연동하고 있다. 그 1개는 전원회로(115)와 접속해서 화상배열변환회로(104)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116)과 RAM(105)의 출력단자(117)이고, 다른 1개는 화상배열변환회로(104)의 전원을 OFF하는 단자(118)과 카메라회로(102)의 출력을 화상배열변환회로(104)를 바이패스해서 직접영상 모니터부(113), 영상기록부(119) 또는 영상신호출력단자(120)으로 출력하는 단자(121)이다.
정상의 영상일 때에는 스위치(112)는 출력단자(121), 화상배열변환회로(104)의 전원을 OFF하는 단자(118)측으로 되어 화상배열변환회로(104)를 통과하지 않은 영상신호(103)이 출력된다. 이와 같은 스위치수단(112)의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영상반전하지 않는 경우 즉, 영상신호(103)이 정립상인 경우에는 화상배열변환회로(104)를 동작시키지 않으므로, 전력의 절약이 도모된다. 제14도, 제20도, 제21도에 도시한 스위치(82)가 돌기(87)에 의해 눌러져 영상신호(103)이 도립영상인 것을 검출하면, 도시하지 않은 마이컴 등에 의해 스위치수단(112)를 단자(117), (116)측에 접속한다. 상술한 에에서는 도립상인지 아닌지를 검출해서 화상변환수단의 라이트 어드레스 발생회로(106)의 메모리어드레스의 발생순서를 제어하고 있었다.
그러나, 스위치수단(112)를 마련한 경우에는 라이트 어드레스 발생회로(106)의 메모리어드레스의 발생순서를 항상 라이트 어드레스 발생회로(106)의 메모리어드레스의 발생순서와 역으로 구성하고, 메모리어드레스의 순서를 전환하지 않고 스위치수단(112)를 전환하는 것에 의해서도 정상인 영상이 얻어진다. 이와 같이 통상 영상신호가 도립상인 촬영자 자신을 촬영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도립상이 아닌 정립상이 얻어진다.
또, 영상모니터부(113)에 표시되는 영상에 한해(영상기록부(119)로의 기록은 제외함), 정립화한 영사을 또 좌우반전시켜서 경사으로 하는 것은 촬영자의 선택에 맡겨두어도 좋다. 이 경우는 케이스표면에실상경상선택버트(도시하지 않음)을 마련해 두고, 이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서 실행된다.
영상모니터부(113)으로서 브라운관 모니터를 사용하면, 편향코일의 접속을 스위치수단(114)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상하, 좌우의 반전이 가능하다. 영상모니터부(113)으로서 액정모니터를 사용한 경우, 공지의 액정디스플레이는 소림준개(小林駿介) 편저컬러액정디스플레이산업도서주식회사발행 1990년 12월 pp162-163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그 수평 또는 수직주사는 시프트레지스터회로에 의해 실행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수평 또는 수직으로 주사방향이 다른 2계통의 시프트레지스터를 장비하고 이것을 전환해서 사용하는 구성으로 하면 용이하게 상하, 좌우의 반전이 가능하다. 표시영상을 좌우반전하는 것은 경상의 생성이다. 이 때, 영상모니터부(113) 화면상에 표시된 문자 또는 도형이 경상문자이면, 표시영상이 경상인 것이 일목요연하게 된다. 문자/도형발생회로(122)는 도트패턴화된 문자 또는 도형을 기억하는 리드전용메모리(ROM : Read Only Memory)와 리드 어드레스 발생화로로 구성된다. ROM의 리드주사의 방향변경은 예를들면, 리드 어드레스 발생회로의 카운터를 업다운 카운터 구성으로 해서 업카운터/다운카운터를 전환하는 등 공지의 디지털회로기술로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ROM에 미리 원하는 반전한 문자 또는 도형을 기억시켜 두고, 반전하지 않은 문자 또는 도형으로 전환해서 출력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23도 및 제24도에 본 발명의 실시예4를 도시한다. 제23도는 촬상장치(201)의 앞면(202)가 보이는 사시도이다. 촬상장치(201)은 케이스(203)의 우측가장자리부(204)에 비디오카메라부(205)를 우측가장자리부(204)와 평행한 축둘레, 즉 회전방향(206)으로 회전가능하게 축받이하고, 케이스(203)의 내부에 액정디스플레이(207)을 수납하고, 케이스(203)의 앞면(20)에는 선택버튼(208) 및 커서키(209)가 배치되고, 케이스(203)의 좌측가장자리면(210)에는 전원스위치(211) 및 배터리커버(212)가 마련되고, 케이스(203)의 우측가장자리부(204)에는 카드슬롯(제2도 참조)가 있고, PCMCIA카드(213)이 삽입접속된다. 비디오카메라부(205)는 카메라케이스(214)의 표면에 미끄럼방지용의 로렛트(215)가 파여져 있고, 촬상장치(216)이 뚫려 있다. 제23도는 비디오카메라부(205)를 앞면(202)를 향하게 한 상태를 도시하고, 조작자 또는 앞면(202)측에 있는 피사체를 액정디스플레이(207)의 하면상에 표시한다. 케이스(203)의 우측가장자리부(204)에 비디오카메라부(205)를 회전가능하게 축받이하였으므로, 왼손으로 케이스(203)을 지지하여 액정디스플레이(207)을 보기 쉬운 각도로 유지하고, 오른손의 엄지 또는 식지로 비디오카메라부(205)를 회전해서 비디오카메라부(205)의 촬영각도를 자유롭게 설정 할 수 있다.
제24도는 제23도의 E-E의 단면도이다. 카메라케이스(214)의 내부에는 비디오카메라(217)이 배치되고, 케이스(203) 내부에는 액정패널(218) 및 회로기판(219)가 배치되어 있다. 카메라케이스(214)는 상부에 축(220)을 갖고, 하부에 통부(221)을 갖는다. 축(220)은 케이스(203)에 뚫은 오목부(222)와 끼워맞춰지고, 통부(221)은 케이스(203)에 뚫린 구멍(233)에 끼워맞춰져서 회전가능하게 축받이된다. 통부(221)에는 스페이서(224)가 삽입되어 케이스(203)에 대해서 카메라케이스(214)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측(220)근방에는 오목부(225)가 형성되고, 마찰기구(226)이 삽입배치되고, 케이스(203)에 대해서 카메라케이스(214)에 삽입배치되고, 케이스(203)에 대해서 카메라케이스(214)에 적절한 마찰력을 부가해서 원활한 프리스톱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마찰기구(226)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의 실시예의 제8도 또는 제9도에서 설명한 구성을 사용한다. 통부(221)내를 유연성기판(227)이 통과한다. 유연성기판(227)의 한쪽끝은 카메라기판(228)에 땜납으로 결선되고, 다른쪽 끝은 회로기판(219)상의 커넥터(229)에 결선된다. 유연성기판(227)에는 코일부(230)이 있고, 비디오카메라부(205)가 케이스(203)에 대해서 회전하여도 유연성기판(227)이 비틀려 절단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비디오카메라부(205)를 액정디스플레이(207)의 바로 옆의 측면가장자리부(204)로 회전가능하게 축받이해서 위치시키면(즉, 상기 제1의 실시예의 비디오카메라부(205)의 배치위치와 제2의 실시예의 비디오카메라부(205)의 배치위치의 중간위치), 촬영자 본인을 액정디스플레이(207)에 표시할 때에 시차를 가장 작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는 비디오카메라부(205)가 수평으로 회전하므로, 비디오카메라부(205)가 케이스의 앞면(202) 또는 배면(231) 중 어느쪽으로 향하여도 비디오카메라(217)은 정립하고 있다. 따라서, 제1의 실시예제3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영상 상하반전수단이 필요가 없다. 그러나, 모니터에 표시한 영상만(영상기록부(119)로의 기록은 제외함)을 좌우반전시켜서 경상을 생성시키고자 하는 경우도 있다. 영상인 상태로 할지 아니면 경상으로 할지는 촬영자의 판단에 맡긴다. 이 경우는 케이스표면에실상경상선택버튼(도시하지 않음)을 마련해 두고, 이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실행된다.
제25도는 모니터에 표시되는 실상을 경상으로 변환하는 회로블럭도이다. 수광렌즈, 고체촬상소자, 고체촬상소자 드라이브회로 등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헤드(100)에서 광전변환신호(101)을 얻고, 이것을 카메라회로(102)에 입력한다. 카메라회로(102)는 카메라신호 처리회로, 동기신호 발생회로 등으로 이루어지고, 광전변환신호(101)에서 TV신호형식의 영상신호(103)을 생성한다. 점선부로 둘러싸인 카메라헤드(100)과 카메라회로(102)가 본 발명의 비디오카메라이다. 영상신호(103)은 영상모니터부(113)에 입력됨과 동시에 직접 영상기록부(119)에 입력된다. 영상모니터부(113) 및 문자/도형발생회로(122)에는 전환수단(123)이 접속되어 있다. 전환수단(123)에는 영상모니터부(113)에 있는 수평/수직 각각 2계통의 시프트레지스터 중 수평방향의 주사를 전환해서 좌우반전시키는 스위치수단(124)와 수직방향의 주사를 전환해서 상하반전시키는 스위치수단(125)가 있다. 스위치수단(124)는 전원(115)의 단자(126)과 접속해서 수평방향의 주사를 반전시켜 경상을 생성함과 동시에 문자/도형발생회로(122)에서 경상의 문자 또는 도형을 발생시켜 영상모니터부(113)에 표시한다. 스위치수단(124)를 접지단자(127)에 접속하면, 전환수단(123)의 전원은 OFF로 되고, 영상모니터부9113)의 수평방향 시프트레지스터는 통상의 주사를 실행하고, 문자/도형발생회로(122)는 통상의 문자 또는 도형을 생성하여 표시한다(스위치수단(125)는 전원(115)의 단자(128)과 접속해서 수직방향의 주사를 반전시켜 상하반대의 영상을 생성함과 동시에 문자/도형발생회로(122)에서 상하반전한 문자 또는 도형을 발생시켜 영상모니터부(113)에 표시한다. 스위치수단(125)를 접지단자9129)에 접속하면 전환수단(123)의 전원은 OFF로 되고, 영상모니터부(113)의 수직방향 시프트레지스터는 통상의 주사를 실행하고, 문자/도형발생회로(122)는 통상의 문자 또는 도형을 생성하고 표시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1] 비디오카메라와 영상표시부 또는 영상기록부 사이에 랜덤 액세스메모리(RAM)와 라이트 어드레스 발생회로 및 리드 어드레스 발생회로로 이루어지는 화상배열변환회로를 삽입하였으므로, 케이스를 회전시키지 않아도 용이하게 정립상을 얻을 수 있다. 즉, 비디오카메라의 각도위치에 따라서 신호처리를 실시하므로, 천지가 역인 영상신호가 입력되어도 자동적으로 화상배열변환회로가 작용해서 정립상으로 할 수 있고, VTR 등의 기록기기에 실수로 도립상을 기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 상하비대칭의 문자 또는 도형을 항상 모니터에 표시시키고 있으므로, 표시되어 있는 문자 또는 도형에서 촬영상태가 정상인지 또는 비정상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즉, 비디오카메라를 움직이지 않고 모니터를 180도 회전시켜서 비디오카메라와 동일방향을 향하게 한 경우는 모니터의 수직주사방향이 반전하고, 모니터에는 천지가 정상인 영상과 문자 또는 도형이 표시된다. 또, 기록기기에도 천지가 정상인 영상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모니터를 기준으로 비디오카메라를 180도 반전시켜서 모니터와 동일방향을 향하게 한 경우는, 비디오카메라에서의 천지가 역인 신호와 문자도형발생회로에서의 천지가 정상인 신호가 중첩되어 모니터에서 수직주사방향이 반전되어, 모니터에는 천지가 정상인 영상과 천지가 역인 문자 또는 도형이 표시된다. 이 경우, 영상은 천지가 정상이어도 문자 또는 도형이 천지가 역이므로, 비정상인 촬영상태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또, 기록기기에도 천지가 역인 영상이 기록된다. 이와 같이 모니터에 표시된 천지가 역인 문자 또는 도형에서 촬영상태가 비정상인 것이 리드되고, 비디오카메라의 방향을 원래로 되돌려서 모니터를 180도 회전시켜야만 하는 것이 식별된다.
[3] 좌위대칭의 문자 또는 도형을 항상 모니터에 표시시키고 있으므로, 모니터의 수평주사방향을 반전시켜서 경상화하였을 때에 문자 또는 도형은 경상의 문자 또는 도형으로 되므로, 표시영상이 경상인 것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4] 비디오카메라부를 소형으로 구성해서 케이스의 가장자리와 평행한 축둘레로 회전가능하게 축받이하였으므로, 비디오카메라의 케이스로의 걸어맞춤부의 강도가 작아도 되어 걸어맞춤부를 소형, 경량으로 구성할 수 있다.
[5] 비디오카메라를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케이스에 축받이하였으므로, 비디오카메라를 촬영자측 즉, 모니터와 동일한 방향을 향하게 해도(비디오카메라는 수직방향의 축둘레와 수평으로 회전해서 모니터측을 향하므로)표시영상 또는 기록영상은 천지가 역으로 되지 않아 항상 정립한 영상이 표시 또는 기록된다. 따라서, 비디오카메라를 수평축둘레로 회전시킨 경우에 필요로 한 상하반전회로가 불 필요하게 된다.
[6] 대략 4각형의 케이스의 가장자리에 가장자리와 평행한 축둘래로 회전가능하게 축받이하고, 비디오카메라 케이스의 표면에 로렛트를 팠으므로, 엄지 또는 식지 등으로 비디오카메라부를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7] 비디오카메라부를 회전해서 촬영구멍을 케이스로 덮을 수 있으므로, 소위 렌즈커버가 필요없다. 또, 촬영구멍이 케이스로 덮혀저 있을 때는 비사용시이므로, 비디오카메라부의 회전에 전원스위치 또는 모드 스위치를 겸할 수 있고, 비디오카메라부를 회전한다고 하는 1개의 동작으로 촬영에서 비디오재생까지 가능하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8] 비디오카메라를 케이스의 상부가장자리부 또는 측면가장자리부에서 모니터의 대략 중앙에 위치시켰으므로, 비디오카메라를 촬영자를 향하게 해서 촬영자본인을 촬영하는 경우, 촬영자를 모니터중앙에 표시하는 가장 시차를 적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비디오카메라와 수평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비디오카메라를 축지지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촬상장치로서, 상기 비디오카메라는 렌즈, 상기 렌즈에 의해서 결상한 광을 광전변환하여 광전변환신호를 생성하는 카메라헤드 및 상기 광전변환신호에서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카메라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전원회로, 상기 카메라회로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랜덤액세서메모리, 상기 랜덤액세스메모리에 대해서 라이트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라이트어드레스 발생회로 및 상기 램덤액세스메모리에 대해서 리드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리드 어드레스 발생회로를 갖는 화상배열 변환회로 및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상기 케이스에 대한 회전각도위치에 따라서 상기 화상배열 변환회로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리드 어드레스 발생회로의 어드레스의 발생순서 및 상기 라이트 어드레스 발생회로이 어드레스의 발생순서와 동일한 순서로 발생시킬지 역전시켜 발생시킬지를 전환하는 신호전환수단을 포함하는 촬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내에 있어서 상기 화상배열 변환회로가 출력하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모니터를 더 포함하는 촬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내에 있어서 상기 화상배열 변환회로가 출력하는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레코더를 더 포함하는 촬상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카메라와 상기 모니터부 사이에 상기 신호전환수단에 따라서 리드주사의 방향 변경이 실행되는 리드어드레스 발생회로 및 문자정보를 기억한 리드전용 메모리로 구성되는 문자/도형 발생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부에 상기 문자/도형 발생회로에서 출력된 천지 또는 좌우 식별 가능한 문자 또는 도형이 표시되는 촬상장치.
  5. 비디오카메라와 수평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비디오카메라를 축지지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촬상장치로서, 상기 비디오카메라는 렌즈, 상기 렌즈에 의해서 결상한 광을 광전변환하여 광전변환신호를 생성하는 카메라헤드 및 상기 광전변환신호에서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카메라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전원회로, 상기 카메라회로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랜덤액세서메모리, 상기 랜덤액세스메모리에 대해서 라이트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라이트어드레스 발생회로 및 상기 램덤액세스메모리에 대해서 리드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리드어드레스 발생회로를 갖는 화상배열 변환회로, 상기 화상배열 변환회로가 출력하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모니터 및 상기 비디오 카메라의 상기 케이스에 대한 회전각도위치에 따라서 상기 화상배열 변환회로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회로와 상기 모니터부를 직접 접속하는 상기 카메라회로와 상기 모니터부 사이에 상기 화상배열 변환회로를 삽입해서 접속하는 경우를 전환하는 신호전환수단을 포함하는 촬상장치.
  6. 비디오카메라와 수평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비디오카메라를 축지지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촬상장치로서, 상기 비디오카메라는 렌즈, 상기 렌즈에 의해서 결상한 광을 광전변환하여 광전변환신호를 생성하는 카메라헤드 및 상기 광전변환신호에서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카메라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전원회로, 상기 카메라회로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랜덤액세서메모리, 상기 랜덤액세스메모리에 대해서 라이트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라이트어드레스 발생회로 및 상기 램덤액세스메모리에 대해서 리드어드레스를 발생회로의 어드레스의 발생순서와는 역전된 순서의 리드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리드어드레스 발생회로를 갖는 화상배열 변환회로, 상기 화상배열 변환회로가 출력하는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레코더 및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상기 케이스에 대한 회전각도위치에 따라서 상기 화상배열 변환회로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회로와 상기 레코더를 직접 접속하는 경우와 상기 카메라회로와 상기 레코더 사이에 상기 화상배열 변환회로를 삽입해서 접속하는 경우를 전환하는 신호전환수단을 포함하는 촬상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환수단은 상기 화상배열 변환회로와 상기 전원회로와의 접속을 단속하는 촬상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환수단은 상기 화상배열 변환회로와 상기 전원회로와의 접속을 단속하는 촬상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카메라와 상기 모니터부 사이에 상기 신호전환수단에 따라서 리드주사의 방향 변경이 실행되는 리드어드레스 발생회로와 문자정보를 기억한 리드전용 메모리로 구성되는 문자/도형 발생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부에 상기 문자/도형 발생회로에서 출력된 천지 또는 좌우 식별 가능한 문자 또는 도형이 표시되는 촬상장치.
  10. 모니터부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모니터부에 의해서 결정되는 상기 케이스의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비디오카메라를 구비하는 촬상장치로서, 상기 비디오 카메라는 렌즈, 상기 렌즈에 의해서 결상한 광전변환하여 광전변환신호를 생성하는 카메라헤드 및 상기 광전변환신호에서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카메라회로를 포함하는 촬상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내에 있어서 화상배열 변환회로가 출력하는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레코더를 더 포함하는 촬상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상기 케이스에 대한 회전각도위치에 대응해서 신호를 전환하는 신호전환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부에는 수평주사방향을 반전할 수 있는 수평방향 주사수단을 갖고, 상기 신호전환수단은 상기 수평방향 주사수단을 전환하는 촬상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카메라와 상기 모니터부 사이에 상기 신호전환수단에 따라서 리드주사의 방향 변경이 실행되는 리드어드레스 발생회로와 문자정보를 기억한 리드전용 메모리로 구성되는 문자/도형 발생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모니터부에 상기 문자/도형 발생회로에서 출력된 천지 또는 좌우 식별 가능한 문자 또는 도형이 표시되는 촬상장치.
  14. 모니터부를 포함하는 장방형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장자리부와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비디오카메라를 구비하는 촬상장치로서, 상기 비디오카메라는 렌즈, 상기 렌즈에 의해서 결상한 광을 광전변환하여 광전변환신호를 생성하는 카메라헤드 및 상기 광전변환신호에서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카메라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회전에 의해 상기 렌즈가 상기 케이스의 면과 대향하는 촬상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부는 상부가장자리부인 촬상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부는 측면가장자리부인 촬상장치.
KR1019950026055A 1994-08-26 1995-08-23 촬상장치 KR1002027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01747 1994-08-26
JP20174794A JP3183056B2 (ja) 1994-08-26 1994-08-26 撮像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615A KR960009615A (ko) 1996-03-22
KR100202758B1 true KR100202758B1 (ko) 1999-06-15

Family

ID=16446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6055A KR100202758B1 (ko) 1994-08-26 1995-08-23 촬상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03706A (ko)
JP (1) JP3183056B2 (ko)
KR (1) KR100202758B1 (ko)
CN (1) CN105212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56217A1 (en) * 1996-04-03 2003-08-21 Nikon Corporation Information input apparatus
MY126353A (en) 1996-05-14 2006-09-29 Sony Corp Image pickup apparatus with adjustable image pickup posture
JP4001958B2 (ja) 1996-08-19 2007-10-31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H1065948A (ja) * 1996-08-21 1998-03-06 Hitachi Ltd 液晶表示付き電子カメラ
JPH10164404A (ja) * 1996-12-04 1998-06-19 Sharp Corp 撮像装置
DE69810172T2 (de) * 1997-02-28 2003-04-30 Ricoh Kk Digitale Kamera mit synchronisierten Linsen- und Blitzgerätbewegungen
US6786420B1 (en) 1997-07-15 2004-09-0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Data distribution mechanism in the form of ink dots on cards
US6618117B2 (en) 1997-07-12 2003-09-09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mage sensing apparatus including a microcontroller
US6624848B1 (en) 1997-07-15 2003-09-2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Cascading image modification using multiple digital cameras incorporating image processing
US6879341B1 (en) 1997-07-15 2005-04-12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Digital camera system containing a VLIW vector processor
US6690419B1 (en) 1997-07-15 2004-02-10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Utilising eye detection methods for image processing in a digital image camera
US6948794B2 (en) 1997-07-15 2005-09-27 Silverbrook Reserach Pty Ltd Printhead re-capping assembly for a print and demand digital camera system
US7110024B1 (en) 1997-07-15 2006-09-19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Digital camera system having motion deblurring means
KR100274623B1 (ko) * 1997-12-23 2000-12-15 윤종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
GB2335758A (en) * 1998-03-20 1999-09-29 Umax Data Systems Inc Lens adjustment mechanism in a digital system
JP3948003B2 (ja) * 1998-05-20 2007-07-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JP4099736B2 (ja) * 1998-06-30 2008-06-1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2000020163A (ja) * 1998-06-30 2000-01-2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
AUPP702098A0 (en) 1998-11-09 1998-12-0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mage creation method and apparatus (ART73)
US6845913B2 (en) * 1999-02-11 2005-01-25 Flir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arcode selection of themographic survey images
AUPQ056099A0 (en) * 1999-05-25 1999-06-1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A method and apparatus (pprint01)
US6716103B1 (en) * 1999-10-07 2004-04-06 Nintendo Co., Ltd. Portable game machine
GB2357209B (en) * 1999-12-07 2004-04-14 Hewlett Packard Co Hand-held image capture apparatus
JP2002073207A (ja) * 2000-08-29 2002-03-12 Sony Corp カメラ搭載の携帯型情報端末
US7466992B1 (en) 2001-10-18 2008-12-16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7127271B1 (en) 2001-10-18 2006-10-24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7107081B1 (en) 2001-10-18 2006-09-12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KR100447098B1 (ko) * 2001-11-29 2004-09-04 박명선 조리용 가스버너의 연소장치
US20030117497A1 (en) * 2001-12-21 2003-06-26 Claus Nicolaisen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camera
US20030179314A1 (en) * 2002-02-15 2003-09-25 Nikon Corporation Camera
JP3781016B2 (ja) * 2002-06-18 2006-05-3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カメラ、撮影方向取得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056383A (ja) * 2002-07-18 2004-02-19 Fujitsu Ltd 携帯型電子機器および撮像装置
JP4131805B2 (ja) * 2002-07-24 2008-08-13 富士通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KR20040032724A (ko) * 2002-10-09 2004-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캠코더
KR100480282B1 (ko) * 2002-10-23 2005-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축 회전성 카메라 렌즈 모듈
KR100487616B1 (ko) * 2002-11-29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표시화면 영상 반전 스위치장치
US8229512B1 (en) 2003-02-08 2012-07-24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241128B1 (en) 2003-04-03 2012-08-14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JP2004350206A (ja) * 2003-05-26 2004-12-09 Sharp Corp 撮像機器
US20050062847A1 (en) * 2003-06-17 2005-03-24 Johnston Francis Alan Viewing device
KR100826242B1 (ko) * 2003-07-25 2008-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형 화상 촬영장치
US8090402B1 (en) 2003-09-26 2012-01-03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7917167B1 (en) 2003-11-22 2011-03-29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CN1902909B (zh) * 2004-01-08 2011-02-02 新世代株式会社 适配器、卡盒、计算机系统以及娱乐系统
US8041348B1 (en) 2004-03-23 2011-10-18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JP4431447B2 (ja) * 2004-06-09 2010-03-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JP4628045B2 (ja) * 2004-08-31 2011-02-09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WO2006103595A2 (en) * 2005-03-30 2006-10-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rotary camera unit
US8208954B1 (en) 2005-04-08 2012-06-26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20060289768A1 (en) * 2005-04-22 2006-12-28 Frank Vallese Portable infrared camera
US20070081804A1 (en) * 2005-10-07 2007-04-12 Universal Scientific Industrial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unit
TWI310906B (en) * 2006-09-27 2009-06-11 Asustek Comp Inc Image catching module and portable computer having the same
US8559983B1 (en) 2007-05-03 2013-10-15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7890089B1 (en) 2007-05-03 2011-02-15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676273B1 (en) 2007-08-24 2014-03-18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639214B1 (en) 2007-10-26 2014-01-28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472935B1 (en) 2007-10-29 2013-06-25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744720B1 (en) 2007-12-27 2014-06-03 Iwao Fujisaki Inter-vehicle middle point maintaining implementer
US8543157B1 (en) 2008-05-09 2013-09-24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which notifies its pin-point location or geographic area in accordance with user selection
US8340726B1 (en) 2008-06-30 2012-12-25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452307B1 (en) 2008-07-02 2013-05-28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JP2010273021A (ja) * 2009-05-20 2010-12-02 Sony Corp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
WO2011053315A1 (en) * 2009-10-30 2011-05-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ideo display systems
TW201217662A (en) * 2010-10-28 2012-05-01 Hon Hai Prec Ind Co Ltd Mounting apparatus
JP5115621B2 (ja) * 2010-12-24 2013-01-0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モード切替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970470B (zh) 2010-12-21 2015-07-08 卡西欧计算机株式会社 摄像装置
TWI428684B (zh) * 2011-09-13 2014-03-01 Wistron Corp 攝影機旋轉機構及可攜式電子裝置
JP6318628B2 (ja) * 2013-08-14 2018-05-09 株式会社リコー 表示端末、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表示端末の制御方法、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EP3048601A1 (en) * 2015-01-22 2016-07-27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displaying video frames on a portable video capturing device and corresponding device
JP6118974B2 (ja) * 2015-03-04 2017-04-26 株式会社ユピテル 車載機器
CN207196002U (zh) 2017-09-25 2018-04-06 深圳市商汤科技有限公司 认证设备
JP6365962B1 (ja) * 2018-04-26 2018-08-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携帯端末
CN113163086B (zh) * 2021-04-07 2023-04-07 惠州Tcl云创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显示设备的智能拍摄配件结构
CN113784023B (zh) * 2021-08-09 2023-06-30 深圳市天视通视觉有限公司 一种位置确定方法、装置、摄像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18015B1 (en) * 1987-11-25 1995-02-01 Fuji Photo Film Co., Ltd. Video camera
JPH01292321A (ja) * 1988-05-20 1989-11-24 Canon Inc 液晶ファインダー
JPH046154A (ja) * 1990-04-23 1992-01-10 Kawasaki Steel Corp 炭素成形体の製造方法
CA2101040C (en) * 1992-07-30 1998-08-04 Minori Takagi Video tape recorder with a monitor-equipped built-in camera
JP3148473B2 (ja) * 1992-07-30 2001-03-19 シャープ株式会社 接続体
JP2807616B2 (ja) * 1992-07-30 1998-10-08 シャープ株式会社 モニタ付きカメラ一体型記録装置
JP3217193B2 (ja) * 1993-06-30 2001-10-09 サン−ゴバン ビトラージュ 複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4080A (zh) 1996-10-23
CN1052128C (zh) 2000-05-03
US5903706A (en) 1999-05-11
JP3183056B2 (ja) 2001-07-03
JPH0865566A (ja) 1996-03-08
KR960009615A (ko)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2758B1 (ko) 촬상장치
US6295088B1 (en) Portable display device
US7375759B2 (en) Digital image capturing apparatus capable of capturing images from different directions
JP2000101879A (ja) 撮像装置
JP3266092B2 (ja) 電子カメラ
JP2001051752A (ja) カメラ搭載携帯型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JPH08223492A (ja) 携帯用撮像装置またはその撮像素子
JPH0664164B2 (ja) カメラ付電子腕時計
JP2807616B2 (ja) モニタ付きカメラ一体型記録装置
JP3282622B2 (ja) 電子カメラ
JP3044231B2 (ja) 電子カメラ
JP3706750B2 (ja) 撮像装置
TW201725439A (zh) 攝像裝置及攝像方法
JPH1013722A (ja) カメラ
JP2003005266A (ja) カメラ
KR20050012963A (ko) 폴더형 화상 촬영장치
JP3347048B2 (ja) モニタ付きカメラ一体型記録装置
KR100262533B1 (ko) 디지털 스틸 카메라
JP4868715B2 (ja) 電子撮像装置
JP3398075B2 (ja) 電子式カメラ
JP2007006241A (ja) デジタルカメラ
JP4256037B2 (ja) 電子カメラ記録再生装置
JP2003046817A (ja) 撮像装置
JPH10178570A (ja) 電子カメラ
JP3903622B2 (ja) 電子撮像装置及びカメラ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