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2963A - 폴더형 화상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폴더형 화상 촬영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2963A
KR20050012963A KR1020030051665A KR20030051665A KR20050012963A KR 20050012963 A KR20050012963 A KR 20050012963A KR 1020030051665 A KR1020030051665 A KR 1020030051665A KR 20030051665 A KR20030051665 A KR 20030051665A KR 20050012963 A KR20050012963 A KR 20050012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camera unit
image
main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1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6242B1 (ko
Inventor
이동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1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6242B1/ko
Priority to JP2004104294A priority patent/JP4045255B2/ja
Priority to US10/838,373 priority patent/US20050018067A1/en
Priority to CNA200410061827XA priority patent/CN1578409A/zh
Priority to EP04103091A priority patent/EP1517546A3/en
Publication of KR20050012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2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6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62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04N1/212Motion video recording combined with still video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저장매체가 장착되는 본체와; 본체의 일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그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촬영된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디스플레이패널과 포개진 상태로 함께 회전되거나,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패널과 동축적으로 설치되며, 화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부를 가지는 카메라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화상촬영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폴더형 화상 촬영장치{Polder typ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본 발명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와 디지털 캠코더의 기능을 일체화한 폴더형 화상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스틸 카메라(DSC ; Digital Still Camera)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영상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카드와 같은 기록매체에 저장한다. 즉, 촬영된 영상을 필름 등에 기록하지 않고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하여 스캐너 등을 통하지 않고 직접 컴퓨터에 디지털 이미지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퍼스널 컴퓨터와의 호환성이 높아 편집 및 수정이 간편하고, 외부 컴퓨터와 연결하여 찍은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일반 카메라와 같은 구조를 갖고 있어 휴대가 간편하다. 즉,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렌즈장치와, 메모리장치와, 신호변조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 등을 구비한다. 그런데, 이러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영상을 기록하는 기록매체의 용량 등의 이유로 주로 정지화상을 촬영하는데 주로 사용한다. 즉, 일부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으나, 장시간 촬영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특히, 동영상을 촬영하고 재생시 음향을 함께 기록하고 재생하는 장치가 없으므로 실질적으로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저장 및 재생하기에는 부적합하다. 이러한 점을 충족하기 위해, 테이프와 같은 기록매체에 촬영되는 피사체의 화상 및 음향 등을 기록 및 재생하는 기록/재생장치 예컨대, 캠코더(Camcoder)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상기 캠코더는 렌즈장치와, 신호변환장치와, 촬영된 영상을 기록/재생하는데크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 등을 구비한다. 이러한 캠코더는 주로 카세트 테이프를 기록매체로 하며, 그 카세트 테이프를 데크장치에 장착하고 촬영된 동영상을 기록하게 된다. 또한, 캠코더는 마이크장치와 스피커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장착된 카세트 테이프에다 1시간 이상의 촬영이 가능하다. 이러한 캠코더도 정지화상을 촬영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나, 상술한 디지털 스틸카메라의 화질에 비해 떨어지므로, 주로 동영상을 촬영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캠코더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보다 많은 기능을 가지고 복잡한 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고 고가인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런데, 지금까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스틸 카메라와 캠코더 각각의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제품을 도두 구입해야 했다. 따라서, 소비자에게는 경제적인 부담이 많았다. 또한, 구입 후에도 각각의 특징적인 기능이 있으므로, 두 제품을 휴대해야 할 경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현재 시중에서 널리 보급되고 있는 소위 '듀오캠'이라는 디지털스틸 카메라와 디지털 비디오카케라가 일체화된 영상촬영장치를 출원한바 있다. 이 듀오캠은 데크를 가지는 본체와,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카메라유닛 및 본체에 설치되는 LCD 패널 등을 기본 구조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카메라유닛에는 디지털 스틸카메라용 렌즈와 비디오카메라용 렌즈가 각각 반대쪽에 설치되어, 카메라유닛을 회전시키면서 촬영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구성을 가지는 영상촬영장치는 카메라유닛과 LCD 패널이 독립적으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 카메라유닛을 소정 자세로 위치시키고, 이와 별도로 LCD 패널을 위치 조정해야 하는 등의 어려움이 재기되고 있다.
또한, 카메라유닛을 회전시킬 때, 그 카메라유닛과 본체 사이에 손가락이 끼는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여지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렌즈부와 LCD 패널이 일체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폴더형 화상촬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내지 도 3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화상 촬영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상태에서 카메라유닛이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5a는 도 1의 디스플레이패널에 마련된 로킹후크를 발췌해 나타내 보인 도면.
도 5b는 도 1의 카메라유닛에 마련된 로킹홈을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도면.
도 6은 카메라유닛이 디스플레이패널이 포개진 상태로 본체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디스플레이패널과 카메라유닛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본체 20..디스플레이패널
30..카메라유닛 40..메모리스틱
50..배터리 60..테이프 카세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화상촬영장치는, 저장매체가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그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촬영된 화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과 포개진 상태로 함께 회전되거나,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패널과 동축적으로 설치되며, 화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부를 가지는 카메라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상면에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인입되게 마련되며, 그 안착부에는 복수의 기능 조작키가 마련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한 쌍의 축부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각 축부의 서로 마주하지 않는 단부에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이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각 축부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 상기 카메라유닛의 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카메라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회전축과 동축적으로 결합되는 제1축부와, 상기 제1축부의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축부; 및 상기 제2축부에 결합되며, 상기 카메라부를 수용하는 유닛본체;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는, 동영상을 포함한 화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부와; 정지영상을 포함한 화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카메라부의 촬영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카메라유닛이 포개진 상태로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패널과 카메라유닛을 로킹시키는 로킹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로킹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마련된 후크부재와; 상기 후크부재에 대응되도록 상기 카메라유닛의 측면에 형성된 로킹홈;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로킹홈은, 상기 카메라유닛의 제1 및 제2면 중 어느 한쪽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포개진 상태에서도 상기 로킹후크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각 면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로킹홈은 상기 각 면에 대응되게 한 쌍이 마련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화상촬영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화상촬영장치는, 저장매체가 장착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일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디스플레이패널(20)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0)에 포개진 상태로 움직임 가능한 카메라유닛(30)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10)는 상면에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0)이 안착되게 인입형성된 안착부(11)가 형성된다. 안착부(11)에는 각종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키(11a)가 마련된다. 이중에서 도면부호 11b는 줌(zoom) 동작을 위한 노브를 나타낸다. 또한, 본체(10)의 측면에는 메모리스틱(40)이 장착되는 메모리스틱 장착부(12)가 마련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0)의 배면에는 배터리(50)가 안착되는 배터리 장착부(14)가 인입되게 마련된다. 그리고, 본체(10)의 배면에는 동영상을 포함한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60)가 장착되는 데크장치(15)가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데크장치(15)의 구성은 일반적인 캠코더 등을 통해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한 쌍의 축부(16,17)가 동축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축부(16,17)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본체(10)에 고정된다. 상기 축부(16,17)의 서로 마주하지 않는 단부에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각 축부(16,17)의 양단에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축(16a)이 마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0)은 상기 지지축(16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패널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일면에 설치되어 촬영된 화상을 디스플레이 해주는 LCD(23)를 구비한다. 상기 LCD(23)가 본체(10)의 상면 즉, 상기 안착부(11)에 마주하도록 몸체(21)의 일면에 마련된다. 이 디스플레이패널(20)은 상기 안착부(11)를 덮도록 위치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상면에 대해 소정 각도 자세를 유지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패널 몸체(21)의 일측에는 한 쌍의 축부(21a)가 마련된다. 상기 축부(21a)가 지지축(16a)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유닛(30)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0)과 포개진 상태로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카메라유닛(30)은 유닛본체(31)의 제1면(31a)에 노출되게 마련되는 제1카메라부(32)와, 상기 제1면(31a)에 대향되는 제2면(31b)에 노출되게 마련되는 제2카메라부(33)를 가진다. 상기 제1카메라부(32)는 동영상을 포함한 화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용 카메라부이고, 제2카메라부(33)는 정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용 카메라부이다. 각 카메라부(32,33)는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유닛(30)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0)의 회전중심과 동축적으로 결합되는 제1축부(35)와, 상기 제1축부(35)의 축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축부(36)를 가진다. 상기 제1축부(35)는 상기 본체(10)의축부들(16,17)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재개된다. 이와 같이, 제1축부(35) 및 제2축부(36)에 의해 카메라유닛(30)은 서로 직교하는 2개의 축 각각에 대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카메라유닛(30)은 제1축부(35)를 중심으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0)과 함께 같은 방향 회전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유닛(30)은 제2축부(36)를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디스플레이패널(20)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유닛(30)의 카메라부들(32,33)의 방향을 바꾸어서 촬영방향 및 촬영모드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축부(35,36)의 기술구성은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유닛(30)이 디스플레이패널(20)과 함께 일체가 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카메라유닛(30)과 디스플레이패널(20)을 결합하는 로킹유닛(70)을 구비한다. 상기 로킹유닛(70)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0)의 일측 테두리에 설치되는 후크부재(71)와, 상기 후크부재(71)에 대응되게 상기 카메라유닛(30)의 외측에 형성되는 로킹홈(73)을 구비한다. 상기 후크부재(71)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패널(20)의 패널몸체(21)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후크부재(71)는 후크돌기(71a)를 구비하여 상기 로킹홈(73)에 로킹결합된다.
상기 로킹홈(73)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한 쌍이 카메라유닛(30)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즉, 카메라유닛(30)의 회전상태 즉, 제1면(31a)과 제2면(31b) 중에서 어느 면이 디스플레이패널(20)과 마주하여 포개지더라도, 서로 로킹결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로킹홈(73)이 마련된다. 그리고, 각 로킹홈(73)은유닛본체(31)의 제1 및 제2면(31,31b) 각각에서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화상촬영장치의 사용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을 살펴보면, 본체(10)의 상면에 마련된 안착부(11)에 디스플레이패널(20)이 안착되어 그 본체(10)의 상부를 덮은 상태로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패널(20)의 상부에 카메라유닛(30)이 포개져서 함께 본체(10)의 상부를 덮고 있다.
상기 상태에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패널(20)과 카메라유닛(30)을 함께 회전시켜서 본체(10)의 상면에서 이격시킨다. 이 경우, 상기 로킹유닛(70)에 의해 카메라유닛(30)과 디스플레이패널(20)이 결합된 상태이므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본체(10) 위의 조작키(11a)와 상기 노브(11b)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즉, 한 손으로 본체(10)를 잡고 디스플레이패널(20)을 통해 촬영되는 화상을 보면서 촬영하게 된다.
이와 같이 화상을 촬영하다가, 촬영보드를 바꾸고 싶을 때, 즉, 동영상을 촬영하다가 디지털 스틸 영상을 촬영하고자 할 경우 또는 그 반대일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유닛(70)을 해제시켜서 디스플레이패널(20)로부터 카메라유닛(30)을 소정 각도 이격시킨다. 그런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유닛(30)을 180도 각도 회전시켜서 원하는 촬영모드에 대응되는 카메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다시 디스플레이패널(20)과 카메라유닛(30)을 로킹시킨 상태로 화상을 촬영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패널(20)과 카메라유닛(30)을 폴더형으로 형성함으로서, 조작이 간단하고 구성이 심플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제품의 소형화 및 슬림화가 가능하게 되어 차세대 디지털 전자제품으로서 요구되는 디자인상의 간결함과 편리성 등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유닛(30)이 디스플레이패널(20)과 분리되어 제2축부(36)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된 상태에서도 화상을 촬영할 수 있게 모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자세나 손의 자세를 바꾸지 않고도 여러 각도의 화상을 자연스럽게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폴더형 화상촬영장치에 따르면, 카메라유닛과 디스플레이패널이 포개진 상태로 함께 회전 가능한 폴더타입이다.
따라서, 카메라유닛 및 디스플레이패널의 자세변환에 따른 동작이 용이하고, 소형화 및 슬림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카메라유닛이 디스플레이패널에 대해 독립적으로 2개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촬영자의 자세와는 무관하게 여러 각도의 화상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저장매체가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그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촬영된 화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과 포개진 상태로 함께 회전되거나,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패널과 동축적으로 설치되며, 화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부를 가지는 카메라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화상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면에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인입되게 마련되며, 그 안착부에는 복수의 기능 조작키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화상촬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한 쌍의 축부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각 축부의 서로 마주하지 않는 단부에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이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화상촬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축부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 상기 카메라유닛의 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화상촬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회전축과 동축적으로 결합되는 제1축부와,
    상기 제1축부의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축부; 및
    상기 제2축부에 결합되며, 상기 카메라부를 수용하는 유닛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화상촬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동영상을 포함한 화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부와;
    정지영상을 포함한 화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카메라부의 촬영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화상촬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카메라유닛이 포개진 상태로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패널과 카메라유닛을 로킹시키는 로킹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화상촬영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마련된 후크부재와;
    상기 후크부재에 대응되도록 상기 카메라유닛의 측면에 형성된 로킹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홈은, 상기 카메라유닛의 제1 및 제2면 중 어느 한쪽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포개진 상태에서도 상기 로킹후크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각 면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홈은 상기 각 면에 대응되게 한 쌍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화상형성장치.
KR1020030051665A 2003-07-25 2003-07-25 폴더형 화상 촬영장치 KR100826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665A KR100826242B1 (ko) 2003-07-25 2003-07-25 폴더형 화상 촬영장치
JP2004104294A JP4045255B2 (ja) 2003-07-25 2004-03-31 フォルダ型画像撮影装置
US10/838,373 US20050018067A1 (en) 2003-07-25 2004-05-05 Folder typ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CNA200410061827XA CN1578409A (zh) 2003-07-25 2004-06-25 折叠型图像拍摄装置
EP04103091A EP1517546A3 (en) 2003-07-25 2004-06-30 A dual mode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665A KR100826242B1 (ko) 2003-07-25 2003-07-25 폴더형 화상 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2963A true KR20050012963A (ko) 2005-02-02
KR100826242B1 KR100826242B1 (ko) 2008-04-29

Family

ID=34074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1665A KR100826242B1 (ko) 2003-07-25 2003-07-25 폴더형 화상 촬영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018067A1 (ko)
EP (1) EP1517546A3 (ko)
JP (1) JP4045255B2 (ko)
KR (1) KR100826242B1 (ko)
CN (1) CN157840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2724A (ko) * 2002-10-09 2004-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캠코더
KR100794786B1 (ko) 2003-05-02 2008-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전달유닛과 힌지장치 및 영상 촬영장치
KR100725539B1 (ko) * 2005-07-05 200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촬영장치
IE86454B1 (en) * 2008-11-18 2014-11-05 Ash Technologies Res Ltd A handheld viewing device
JP6218317B2 (ja) * 2013-10-18 2017-10-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回動部材の回動軸収容構造、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3822A (en) * 1987-11-06 1991-08-27 Canon Kabushiki Kaisha Video camera apparatus
JPH05130493A (ja) * 1991-09-09 1993-05-25 Aiwa Co Ltd カメラ装置
JPH05110978A (ja) * 1991-10-17 1993-04-30 Konica Corp 動画・静止画記録装置
JP3183056B2 (ja) * 1994-08-26 2001-07-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撮像装置
JPH08139980A (ja) * 1994-11-08 1996-05-31 Canon Inc 撮像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6359649B1 (en) * 1995-04-04 2002-03-19 Canon Kabushiki Kaisa Video camera integrated with still camera
JP2950751B2 (ja) * 1995-05-23 1999-09-20 三星電子株式会社 スチルカメラ一体型ビデオカメラ
JP3417226B2 (ja) * 1996-08-22 2003-06-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モニター付きビデオカメラ
JPH114401A (ja) * 1997-06-13 1999-01-06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的撮像装置
JP3516328B2 (ja) * 1997-08-22 2004-04-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通信端末装置
JP3850120B2 (ja) * 1997-10-30 2006-11-29 京セラ株式会社 デジタル電子カメラ
KR100274623B1 (ko) * 1997-12-23 2000-12-15 윤종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
JPH11261869A (ja) * 1998-03-13 1999-09-24 Fuji Photo Film Co Ltd 電子カメラ
JP2000270069A (ja) * 1999-03-16 2000-09-29 Canon Inc デジタルカメラ付き携帯情報端末
JP3546784B2 (ja) * 1999-12-14 2004-07-28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
KR200187429Y1 (ko) 2000-01-31 2000-07-01 주식회사성언전자 폴더형 디지털 카메라
JP3819671B2 (ja) * 2000-04-28 2006-09-13 三菱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一体型ハンドセット電話機及び撮像装置一体型携帯情報機器
JP2002176478A (ja) * 2000-09-29 2002-06-21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電話機
JP4583657B2 (ja) * 2001-05-09 2010-11-1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JP3778490B2 (ja) * 2001-06-15 2006-05-24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カメラ付き折畳式携帯機器
JP2003018261A (ja) * 2001-06-29 2003-01-17 Casio Comput Co Ltd 携帯型端末機
JP3671883B2 (ja) * 2001-08-15 2005-07-13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記録再生装置
JP2003060765A (ja) * 2001-08-16 2003-02-28 Nec Corp カメラ付き携帯通信端末
KR100442598B1 (ko) * 2001-09-06 200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성 렌즈 하우징 장착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폴더형단말기
JP2003087756A (ja) * 2001-09-07 2003-03-20 Minolta Co Ltd テレビジョン電話機
JP2003131755A (ja) * 2001-10-24 2003-05-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型通信端末装置
JP4313560B2 (ja) * 2001-10-31 2009-08-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電話
JP3686860B2 (ja) * 2001-11-06 2005-08-24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携帯電話機
KR20040003342A (ko) * 2002-07-02 2004-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 통신용 단말기
KR20040032724A (ko) * 2002-10-09 2004-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캠코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45255B2 (ja) 2008-02-13
JP2005045766A (ja) 2005-02-17
KR100826242B1 (ko) 2008-04-29
CN1578409A (zh) 2005-02-09
EP1517546A2 (en) 2005-03-23
US20050018067A1 (en) 2005-01-27
EP1517546A3 (en) 200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260676A (ja) 折畳式カメラ装置および折畳式携帯電話機
US7405751B2 (e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photographic mode based on position of camera unit
JP2006287288A (ja) 画像記憶装置付カメラ
JP2002062578A (ja) カメラ撮影用ホルダ
JPH10271374A (ja) 電子カメラ
KR20040099874A (ko) 복합촬영장치 및 방법
KR100826242B1 (ko) 폴더형 화상 촬영장치
JPH10200799A (ja) 電子撮像装置
JP3282622B2 (ja) 電子カメラ
JP4044570B2 (ja) 撮像装置
US20050157209A1 (e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3005266A (ja) カメラ
JPH10126654A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US20070092237A1 (en) Upright camcorder with a dual lens assembly
EP1411717A2 (en) Camera apparatus
JP3600719B2 (ja) ビデオカメラ
JPH10191117A (ja) 電子カメラ装置
JP4371353B2 (ja) 電子カメラ装置
JP2002077687A (ja) カメラ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4873062B2 (ja) 軸体回転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JP4424041B2 (ja) 軸体回転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JP2006333221A (ja) 撮像装置
JP4150304B2 (ja) ビデオカメラ
JPH10178570A (ja) 電子カメラ
KR19990019564A (ko) 화상 표시 장치 분리형 디지탈 스틸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