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6771B1 - 감열 등사 인쇄원지용 필름 - Google Patents

감열 등사 인쇄원지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6771B1
KR100196771B1 KR1019920015509A KR920015509A KR100196771B1 KR 100196771 B1 KR100196771 B1 KR 100196771B1 KR 1019920015509 A KR1019920015509 A KR 1019920015509A KR 920015509 A KR920015509 A KR 920015509A KR 100196771 B1 KR100196771 B1 KR 100196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rinting
thermal
thickness
particle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5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4095A (ko
Inventor
요시노리 사또
요시투구 후나다
요시타까 호우세끼
고지 나구라
Original Assignee
하라다 야스오
미쓰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007591A external-priority patent/JP3163670B2/ja
Application filed by 하라다 야스오, 미쓰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라다 야스오
Publication of KR930004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6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67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 B41N1/24Stencils; Stencil materials; Carriers therefor
    • B41N1/245Stencils; Stencil materials; Carri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hermo-perforable polymeric film heat absorbing means or release coating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9Silic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1In terms of molecular thickness or light wave leng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8Monolayer with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7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weight per unit area [e.g., gms/sq cm, lbs/sq f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열 등사인쇄원지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 필름은, 평균 입경 0.05~2.0㎛의 미립자를 0.1~5.0wt% 함유하고 융점이 170~230℃이며 두께가 0.5~2.5㎛이고 100~160℃에서 종횡 평균 열수축응력의 최대치가 500~1500 g/mm2인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감열 등사인쇄원지용 필름은 취급성, 열천공 감도, 인쇄시의 해상도, 계조성 및 꼬임 방지성이 우수하므로, 공업적 가치가 매우 우수하다.

Description

감열 등사 인쇄원지용 필름
본 발명은 감열 등사 인쇄원지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성과 천공(원지 작성) 감도가 우수하고, 인쇄할 때의 해상도와 계조성이 양호하며, 원지 작성시에 꼬임이 생기는 문제가 없는 감열등사 인쇄원지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감열등사 인쇄용 원지로는, 폴리에스테르 등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다공성 박엽지를 접합한 것을 사용해왔다. 이런 용도로 사용된 필름은 다음과 같은 특성이 요구된다.
(1)열천공 감도(원지 작성)가 양호할 것. 즉, 필름은 소량의 열에너지에 용융되고, 인쇄시의 화상이 선명하도록 적절한 크기의 천공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열수축을 가져야 한다.
(2)다공성 박엽지를 적층하고 인쇄하는 동안 작업에 충분히 견디는 강도와 탄성율을 가질 것.
(3)선명한 계조성을 줄 수 있을 것. 즉, 원지로서 필름을 사용할 때, 열천공으로 형성될 구멍 주위에서 용융될 수 있는 필름은 인쇄시의 계조성이 선명하지 않기 때문에 부적당하다. 이런 필름은 천공되는 부분과 천공되지 않는 부분사이를 확실히 구별시키는 열천공 특성을 가져야 한다.
또한 전술한 요건에 덧붙여, 필름 제조시의 생산성이 우수해야한다. 특히, 필름의 연신성이 양호하여 파단 등의 문제가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또한, 권취성과 슬릿(slit)성이 양호하여 권치할 때 꼬이거나 불규칙하게 감기지 않아야 한다.
종래, 이런 용도로 2축 연신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이용되어 왔는데, 열적 특성을 규정함으로써 인쇄 특성을 개량한 필름(특개소 62-149496호 공보), 또는 열수축 특성을 규정한 필름(특개소 62-282983호 공보)등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들 역시 상기 요건들을 모두 만족시킨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깊이 연구한 결과, 특정 융점과 열 수축응력을 갖는 미립자를 함유하는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감열등사인쇄원지용 필름으로 적당하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요지는, 평균 입경이 0.05~2.0㎛인 미립자를 0.1~5.0wt% 함유하고 융점이 170~230℃이며 두께가 0.5~2.5㎛이고 100~160℃에서 종횡 평균 열수축응력의 최대치가 500~1500g/mm2인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 등사인쇄원지용 필름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폴리에스테르란 단어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을 주요 산 성분으로 하고 알킬렌 글리콜을 주요 글리콜 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를 의미한다.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으로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등을 들 수 있다. 글리콜로는, 에틸렌 글리콜, 트리메틸렌 글리콜, 테트라메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폴리에스테르는 1종류의 디카르복시산과 1종류의 글리콜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일 수도 있지만, 3종류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공중합체가 더 바람직하다. 공중합 가능한 성분으로는, 디에틸렌 글리콜, 폴리알킬렌 글리콜, 아디프산이나 세바스산 등의 디카르복시산, p-히드록시벤조산등의 옥시카르복시산을 들 수 있다.
여하튼간에, 필름으로 할 경우, 그 융점이 170~230℃, 바람직하게는 170~220℃, 더 바람직하제는 190~210℃의 범위내에 있도록 적절히 수지의 조성을 선택한다. 융점이 230℃를 넘으면, 천공에 필요한 열에너지가 너무 많고 천공 감도가 악화된다. 융점이 170℃ 미만이면, 인쇄화상의 계조성이 악화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폴리에스테르의 고유 점도는 통상 0.40 이상이지만, 0.50~1.0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고유 점도가 0.40 미만이면, 필름의 생산성이 나쁘고 강도가 불충분하다.
본 발명에 사용된 필름의 유리 전이점은 60℃이상이 되어야 좋다. 유리 전이점이 60℃ 미만이면, 원지작성시의 가열 공정에서 원지가 말리기 쉽다.
본 발명의 필름 두꼐는 0.5~2.5㎛ 범위에 있어야 바람직하지만, 1.0~2.0㎛ 범위가 더 바람직하다. 필름의 두께가 얇을수록, 열전달 거리가 단축되고 천공시에 필요한 열에너지가 감소되며, 천공성이 향상되고, 인쇄시의 해상도와 인자(印字) 품위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필름 두께가 0.5㎛ 미만이면, 인자가 불명해지고 농담(濃淡)얼룩이 생기며, 더욱이 필름을 제조할 때 생산성과 권취성이 악화된다. 두께가 2.5㎛를 초과하면, 천공성이 약화되어 인쇄할 때 얼룩이 생긴다.
본 발명의 필름은, 필름 제조시의 권취성, 적충과 인쇄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름 표면을 조면화(粗面化)하고, 필름의 용융으로 인해 가열 헤드에 필름이 접합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적절한 윤활성이 부여된다. 특히, 평균 입경이 0.05~2.0㎛인 미립자를 0.1~5.0wt%, 바람직하게는 0.1~0.3wt% 함유시켜 필름의 표면을 적절히 조면화한다. 미립자로는,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탄산바륨, 황산칼슘, 황산바륨, 인산칼슘, 인산리튬, 인산마그네슘, 플루오르화리튬, 산화알루미늄, 산화규소, 산화티탄, 카올린, 탈크, 카본블랙, 질화규소, 질화붕소, 및 특공소 59-5216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은 가교 고 중합체를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들 입자들은 단일 성분일 수도 있고 또는 2 성분 이상의 배합물일 수도 있다. 2 성분 이상을 이용하는 경우, 평균 입경과 함유량은 전술한 범위내에 있어야 한다. 입경이 0.05㎛ 미만이거나 함유량이 0.1wt% 미만이면, 필름 표면의 조면화가 부족하다. 입경이 2.0㎛를 초과하거나 함유량이 5.0wt%를 초과하면 필름 표면의 조면화가 지나치게 높아서 열전달 및 천공시에 얼룩이 생겨 해상도가 나빠지고 인자의 품위성이 악화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적절히 조면화된 표면을 갖는 필름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작업성과, 인쇄시의 해상도 및 인자 품위성을 고도로 만족시키려면 필름 표면의 중심선 평균 조도(粗度)(Ra)가 0.015~0.5㎛, 바람직하게는 0.02~0.3㎛ 범위에 있도록 조건들을 선택한다.
본 발명의 필름은 매우 얇지만, 종횡방향 양쪽의 인장탄성율을 공히 300kg/mm2이상, 바람직하게는 350kg/mm2으로 하는 필름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성과 인쇄시의 내구성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필름은 특정의 열수축응력을 가져야 한다. 즉, 종횡 평균 수축응력의, 최대치가 100~160℃의 범위에서 500~1500g/mm2이고 바람직하게는 550~1000g/mm2이다. 이 최대치가 500g/mm2미만이면, 충분한 크기의 천공을 얻을 수 없다. 즉, 천공 감도가 악화된다. 최대치가 1500g/mm2를 초과하면, 원지를 제조할 필름이 현저하게 꼬인다. 종횡 열수축응력은 100~160℃ + 30℃의 범위내에서 500g/mm2를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의 종횡 평균 열수축율은 100℃에서 15~50%이고 150℃에서 30~50%이어야 바람직하다.
이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겠다. 폴리머를 압출기로 알려진 주지의 용융압출장치에 공급하고, 그 폴리머의 융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한다. 이어서, 용융된 폴리머를 슬릿 형태의 다이를 통해 압출하여 회전 냉각 드럽상에서 폴리머의 유리 전이온도 이하의 온도까지 급냉고화시킨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비정질 상태의 미배향 시트가 얻어진다. 이 경우, 시트와 회전냉각 드럼을 밀착시키기 위해 필름이나 드럼표면에 액체를 도포하는 액체도포 밀착법 및/또는 정전인가 밀착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전인가 밀착법은 다음과 같이 실시된다. 통상, 주행중인 시트상에 시트의 이동 방향(기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선형 전극을 연신하고, 그 전극에 5~10V의 직류전압을 인가하여, 시트에 정전하를 인가함으로써 드럼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킨다. 액체도포 밀착법은 다음과 같이 실시된다. 회전냉각 드럼의 표면 전체나 일부(예컨대, 양단부)에 액체를 도포하여, 드럼과 필름을 밀착하게 한다. 이들 양 방법은 병용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시트를 2축 방향으로 연신하여 필름화한다.
연신 조건들은 다음과 같다. 전술한 미연신 시트를 50~120℃, 바람직하게는 50~110℃의 온도범위에서, 롤러형이나 폭출기형의 연신기에 의해 3.7~7배, 바람직하게는 3.5~7배로 연신한다. 그 뒤, 제 1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50~125℃, 더 바람직하게는 55~125℃의 온도범위에서 3~7배, 바람직하게는 3.5~7배, 더 바람직하게는 4~7배로 시트를 연신하여 2축으로 배향된 필름을 얻는다. 각각의 연신은 2 단계 이상에서 행해질 수 있다. 이 경우, 최종적인 연신 배율은 상기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신된 필름의 면적이 미연신 시트 면적의 10~40배 되도록 동시에 2축 연신을 할 수도 있다.
이렇게 얻어진 필름을 열처리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열처리를 하기 전에 종방향 및/ 또는 횡방향으로 필름을 더 연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15배 이상 시트를 연신하고, 연신후의 열처리를 하지 않거나, 또는 연신율 30% 이내이거나 연신하지 않은채 1초 내지 10분 동안 130℃이하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필름 재료로 사용된 폴리에스테르 전량에 대하여 10wt% 정도 이하의 다른 폴리머(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폴리페틸렌 술파이드,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윤활제, 대전방지제, 염료, 안료 등의 첨가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이렇게 얻어진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공지의 접착제를 이용해 박엽지에 적충된다. 따라서, 우수한 열천공성을 갖고, 인쇄시의 해상도와 계조성이 우수한 열 등사인쇄원지가 제조된다.
이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요지를 넘지 않는한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서 이용된 물성 측정법을 설명한다.
(1) 미립자의 평균 입경
(주)도진제작소(島津製作所) 제품의 원심침강식 입도분포 측정장치 SA-CP3형을 이용해 스톡스의 저항법칙을 기본으로한 침강법으로 입자의 크기를 측정한다. 측정된 입경(등가 구형 직경)의 분포값의 대표치(50%값)를 평균 입경(d50)으로 한다.
(2)종횡 평균 열수축율
샘플 필름 띠를 무장력 상태에서 소정의 온도(100℃와 150℃)에서 오븐을 넣어둔채, 열처리 전후에 필름 샘플의 길이를 측정하고, 다음 공식에 의해 열수축울을 계산한다.
필름의 종방향과 횡방향을 따라 각각 5개 지점에서 측정을 하고 그 평균치를 구한다.
(3)융점과 유리 전이점(Tg)
세이꼬 전자공업(주) 제품의 차동 열량계 SSC580DSC 형을 이용해 측정한다. DSC측정조건은 다음과 같다. 샘플 필름 10mg을 DSC 장치에 장착하고, 10℃/min 의 속도로 가열하며, 0~300℃의 범위에서 측정하여, 융점을 융해 흡열 피크로서 측정한다. 샘플을 300℃에서 5분간 유지한 뒤 액체질소에서 급냉하고, 다시 10℃/min의 속도에서 0~200℃의 범위로 가열해 유리 전이점을 측정한다. 유리 전이점은 비열의 변화에 따라 DSC 곡선이 굴곡할 때 베이스 라인에 평행이동하는 형태로 감지된다. 이런 굴곡점 이하의 온도에서의 베이스 라인의 접선과 굴곡되는 부분의 기울기가 굴곡 범위내에서 최대로 되는 점의 접선의 교점을 굴곡의 개시점으로 하고 이 온도를 유리 전이점으로 한다.
(4)중심선 평균 조도
(주)소판연구소(小版硏究所) 제품의 표면조도 측정기 SE-3F를 이용해 다음과 같이 중심선 평균 조도를 측정했다. 필름 단면곡선으로부터 중심선 방향으로 기준 길이 L(2.5mm)을 갖는 부분을 취했다. 이 부분의 중심선을 x축으로 하고, 두꼐 방향을 적당한 배율의 y축으로 하여, 그 데이터를 y=f(x)의 함수로 표시하였다. 다음 식에 따라 계산된 값은 그 단위가 ㎛이다. 제각기 길이가 2.5mm인 샘플 필름 표면으로부터 10개의 단면곡선을 취했다. 중심선 평균 조도를 측정하고 그 평균치를 계산했다. 촉침의 선단 반경은 2㎛이며, 하중은 30mg이고, 컷오프(cutoff)치는 0.08mm였다.
(5)종횡 평균 열수축응력
필름을 폭 10mm의 조각으로 절단한다. 그 일단을 하중 검출기의 척에 고정하고 타단을 고정 척에 고정했는데, 2개의 척 사이의 간격은 50mm이다. 초기 하중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렇게 장착된 필름을 소정의 온도의 오일욕에 침지하여 10초간까지의 최대 응력치를 측정했고, 침지 전의 필름 단면적으로부터 열수축응력을 산출했다. 오일욕의 온도는 100,110,120,130,140,150 및 160℃ 였고, 각각의 온도에서 필름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각각 다른 5개 지점에서 측정하여 평균치를 구했다.
(6)감열 등사인쇄원지에 대한 실용 특성
필름에 박엽지를 적충하여 원지를 제작했다. 가열 헤드로부터 문자화상 및 16단계의 계조화상을 통해 원지에 0.09mJ 및 0.12mJ의 에너지를 인가함으로써 인쇄원지를 제작했다. 제작된 원지의 필름측으로부터 현미경으로 계조화상부의 천공 상태를 관찰한다. 다음의 항목들을 평가했다.
(i) 천공 감도
○ - 원하는 천공을 확실히 행하였고, 그 천공의 크기도 만족할만 했다.
△ - 부분적으로 천공이 되지 않았고 몇몇 천공들의 크기는 불충분하지만 실용은 가능하다.
× - 천공되지 않은 부분이 여러곳이었고 천공의 크기도 불충분했다. 실용상 지장있음.
(ⅱ) 계조성
○ - 소정의 천공이 확실히 행해지고, 고농도부에 양호한 계조성이 보장되었음.
△ - 고농도부에 약간 계조성이 약화되었고 저농도부에 천공 얼룩이 생겼음.
× - 고농도부에는 거의 모든 필름이 제거되었고 4~7 단계에서 계조성이 인식되지 않았음.
(ⅲ) 인자 품위성
○ - 인자(문자)가 양호했고 농담 얼룩과 번짐이 없었음.
△ - 약간의 농담 얼룩과 번짐이 관찰되었고 인자가 아주 선명하지는 않았음
× - 농담 얼룩이나 번짐이나 스크래치가 분명히 나타났음
[실시예 1]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79부, 디메틸 이소프탈레이트 21부, 에틸렌 글리콜 64부 및 탄산칼슘 1수화물 0.11부를 반응기에 집어넣어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시켰다. 반응개시 온도를 180℃로 하였고, 메탄올을 증류시키면서 반응온도를 상승시켰다. 4시간 후, 온도가 230℃까지 올라갔고 에스테르 교환반응이 실질절으로 종료했다.
이어서 트리에틸 포스페이트 0.07부를 첨가한 뒤에, 평균 입경이 1.2㎛인 실리카입자 0.2부와 삼산화안티몬 0.04부를 첨가하였다. 통상의 공정대로 중축합 반응을 행하였다. 이 반응은, 온도를 점차적으로 상승시키고 압력을 상압으로부터 점차 감소시키면서 행하였다. 2시간 후, 온도는 270℃로 되었고 압력은 0.3mmHg로 되었다. 중축합 반응을 개시한 후 5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반응을 정지하고, 질소 가압하에 폴리머를 생산하였다. 얻어진 공중합에스테르(A)의 고유점도는 0.68이었다.
구해진 공중합에스테르(A)를 표면 온도를 40℃로 설정한 회전냉각 드럼으로 280℃에서 압출하고 정전인가 냉각법을 이용하여 급냉고화한다. 따라서, 두께가 26㎛이고 실질적으로 비정질인 시트를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시트를 종방향으로 80℃에서 4.1배, 횡방향으로 95℃에서 4.5배로 연신했다. 마지막으로, 이 시트를 100℃에서 6초동안 열처리하여 두께 1.5㎛의 2축 배향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공중합에스테르(A)와 마찬가지로, 평균 입경 0.3㎛의 산화티탄 입자를 0.3wt% 함유하고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를 18몰%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B)를 제조했다. 그 고유 점도는 0.67이었다.
이렇게 얻어진 공중합에스테르(B)를 원료로 하여, 열처리 온도를 130℃한 것만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두께 1.6㎛의 2축 배향 필름을 제조했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평균 입경 1.2㎛의 구형 실리카 입자를 0.4wt%를 함유하고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 단위가 17몰%인 공중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C)를 제조했다. 그 고유 점도는 0.66이었다.
이렇게 얻어진 공중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C)를 원료로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두께 26㎛이고 실질적으로 비정질인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이 시트를 종방향으로는 80℃에서 2.9배 및 75℃에서 1.4배로 2단계로 연신하고, 횡방향으로는 95℃에서 4.5배로 연신한 뒤, 100℃에서 5초간 열처리하여, 두께 1.5㎛의 2축 배향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사용된 폴리에스테르(A)를 이용해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 21몰%를 배합한 공중합에스테르(D)를 제조했지만 실리카 입자는 배합하지 않았다. 이 공중합 에스테르로부터, 두께 1.5㎛의 2축 배향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은 본 발명의 요건인 미립자를 함유하지 않았기 때문에 윤활성이 현저히 악화되고 두루마리 형태로 권취하기가 곤란했다.
[비교예 2]
실시예 3과 동일한 원료를 이용해 두께 1.5㎛의 2축 배향 필름을 제조했지만, 열처리는 170℃에서 실시했다.
[비교예 4]
평균 입경 1.2㎛인 실리카 입자를 0.2wt% 함유하고 고유점도 0.69이며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 단위 8몰%를 함유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코폴리머를 이용해 두께 1.6㎛의 2축 배향 필름을 제조했다.
[비교예 4]
평균 입경 1.2㎛인 실리카 입자를 0.15wt% 함유하고 고유 점도 0.64이며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 단위 35몰%를 함유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코폴리머를 이용해 두께 1,4㎛의 2축 배향 필름을 제조했다.
[비교예 5]
압출기로부터 코폴리머를 압출하는 양을 증가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두께 3㎛의 2축 배향 필름을 제조했다.
이렇게 얻어진 필름들을 통상의 방법대로 다공성 박엽지에 제각기 접합시켜 감열등사인쇄원지를 작성했다. 이들 원지를 이용해, 등사인쇄를 하였다.
이들 등사원지의 물성과 등사인쇄 특성을 표1 및 표2에 요약하였다.
실시예 1~3의 필름은 본 발명의 요건들을 만족하였고, 따라서 필름 제조시 및 원지 작성시의 취급성이 우수했다. 이 필름으로 제조된 인쇄원지들은 열천공 감도가 우수했고, 양호한 등사 인쇄 특성을 보여주었다.
반면에 비교예 4의 필름은 열수축응력이 낮았고, 비교예 3의 필름은 융점이 높았으며 비교예 4, 5의 필름들은 150℃에서 열수축율이 낮았다. 따라서, 이들 필름의 열천공 감도는 좋지 않았다.
본 발명의 감열 등사인쇄원지용 필름은 취급성, 열천공 감도, 인쇄시의 해상도, 계조성 및 꼬이지 않는 성질이 우수하므로, 본 발명의 공업적 가치는 매우 높다.

Claims (3)

  1. 평균 입경 0.05~2.0㎛의 미립자를 0.1~5.0wt% 함유하고 융점이 170~230℃이며 두께가 0.5~2.5㎛이고 100~160℃에서 종횡 평균 열수축응력의 최대치가 500~1500 g/m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 등사인쇄원지용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평균 입경 0.05~2.0㎛의 미립자를 0.1~3.0 wt% 함유하고 융점이 170~220℃이며 두께가 1.5~2,0㎛이고 100~160℃에서 종횡 평균 열수축응력의 최대치가 550~100 g/mm2인 2축 배향 플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 등사인쇄원지용 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평균 입경 0.05~2.0㎛의 미립자를 0.1~3.0wt% 함유하고 융점이 190~210℃ 이며 두께가 1.5~2.0㎛이고 100~160℃에서 종횡 평균 열수축응력의 최대치가 550~100g/mm2인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 등사인쇄원지용 필름.
KR1019920015509A 1991-08-30 1992-08-27 감열 등사 인쇄원지용 필름 KR1001967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007591A JP3163670B2 (ja) 1991-07-23 1991-08-30 感熱孔版印刷原紙用フィルム
JP91/220075 1991-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095A KR930004095A (ko) 1993-03-22
KR100196771B1 true KR100196771B1 (ko) 1999-06-15

Family

ID=16745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5509A KR100196771B1 (ko) 1991-08-30 1992-08-27 감열 등사 인쇄원지용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360665A (ko)
EP (1) EP0529632B1 (ko)
KR (1) KR100196771B1 (ko)
CA (1) CA2076442A1 (ko)
DE (1) DE69207678T2 (ko)
MX (1) MX920499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7716B2 (ja) * 1993-04-28 2002-07-24 三菱化学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株式会社 高感度感熱孔版印刷原紙用フィルム
DE69402381T2 (de) * 1993-08-17 1997-11-20 Diafoil Hoechst Co Ltd Polyesterfilm für höchst wärmeempfindliches Originalblatt für Schablonendruckverfahren
FR2722138B1 (fr) 1994-07-07 1996-09-20 Bourrieres Francis Pochoir de serigraphie et procede pour le realiser
US5932320A (en) * 1996-10-29 1999-08-03 Mitsubishi Polyester Film Corporation Polyester film for decorative plate or decorative shee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1752B2 (ja) * 1985-10-31 1995-07-05 ダイアホイルヘキスト株式会社 感熱孔版印刷原紙用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US5106681A (en) * 1987-02-12 1992-04-21 Diafoil Company, Limited Polyester films, magnetic recording media and film capacitors produced therefrom
JPS63227634A (ja) * 1987-03-18 1988-09-21 Toray Ind Inc 感熱孔版印刷原紙用フイルム
JPH0645271B2 (ja) * 1987-05-19 1994-06-15 東レ株式会社 感熱孔版印刷原紙用フィルム
JPH0747645B2 (ja) * 1988-04-19 1995-05-24 帝人株式会社 熱可塑性重合体フィルム
JPH0296167U (ko) * 1989-01-12 1990-07-31
JP2507612B2 (ja) * 1989-07-06 1996-06-12 帝人株式会社 感熱孔版印刷原紙用フィルム
JPH0639538B2 (ja) * 1989-12-14 1994-05-25 ダイアホイルヘキスト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5188881A (en) * 1990-06-21 1993-02-23 Ricoh Company, Ltd. Thermosensitive stencil pa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095A (ko) 1993-03-22
CA2076442A1 (en) 1993-03-01
DE69207678D1 (de) 1996-02-29
MX9204992A (es) 1993-03-01
EP0529632A1 (en) 1993-03-03
US5360665A (en) 1994-11-01
EP0529632B1 (en) 1996-01-17
DE69207678T2 (de) 199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6771B1 (ko) 감열 등사 인쇄원지용 필름
KR100316727B1 (ko) 고감열성등사원지용필름
EP0617087B1 (en) Film for high heat-sensitive stencil paper
JPH0832499B2 (ja) 転写フィルム用耐熱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235211B2 (ja) 高感度感熱孔版印刷原紙用フィルム
JP3411720B2 (ja) 感熱記録受容体用二軸配向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163670B2 (ja) 感熱孔版印刷原紙用フィルム
JP2000195765A (ja) コンデンサ―外装用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705549B2 (ja) 感熱孔版原紙用フィルム
JP3750828B2 (ja) 熱転写用リボン
JP3499950B2 (ja) ペーパーレス感熱孔版印刷原紙用フィルム
JP3035935B2 (ja) 感熱孔版印刷原紙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411633B2 (ja) 高感度感熱孔版印刷原紙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948181A (ja) 高感度感熱孔版印刷原紙用フィルム
JP3047441B2 (ja) 感熱孔版印刷原紙用フィルム
JPH04224925A (ja) 感熱孔版印刷原紙用フィルム
JP3361152B2 (ja) 高感度感熱孔版印刷原紙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411724B2 (ja) 感熱記録受容体用積層フィルム
JP2599459B2 (ja) 感熱孔版印刷原紙用フィルム
JPH09164782A (ja) 高感度感熱孔版印刷原紙用フイルム
JPH02206591A (ja) プリンター用転写材
JPH07276844A (ja) 高感度感熱孔版印刷原紙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7156570A (ja) 高感度感熱孔版印刷原紙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7276839A (ja) 高感度感熱孔版印刷原紙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7242075A (ja) 高感度感熱孔版印刷原紙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