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5379B1 - 영상 신호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신호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5379B1
KR100195379B1 KR1019900012934A KR900012934A KR100195379B1 KR 100195379 B1 KR100195379 B1 KR 100195379B1 KR 1019900012934 A KR1019900012934 A KR 1019900012934A KR 900012934 A KR900012934 A KR 900012934A KR 100195379 B1 KR100195379 B1 KR 100195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ime base
base corrector
supplied
chro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2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5682A (ko
Inventor
다까오 다까하시
히로시 오까다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10005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5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5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H04N9/89Time-base error compen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TR등의 영상 신호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타임 베이스 보정기에 의하여 시간축 보정을 행하는 영상 신호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휘도 신호가 FM 변조되고, 크로마 신호가 저역 변환되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영상 신호를 재생하는 영상 신호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서 재생한 휘도 신호를 FM 복조한 후 타임 베이스 콜렉터에 공급하여 시간축을 보정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서 재생한 저역 변환 크로마 신호를 저역변환된 상태 그대로 상기 타임 베이스 콜렉터에 공급하여 시간축을 보정한 후 복조하도록 한 영상 신호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휘도 성분은 FM 변조하여 타임 베이스 콜렉터에 공급하고, 크로마 성분은 복조되지 않고 타임 베이스를 콜렉터에 공급하도록 하였으므로, 타임 베이스 콜렉터를 구성하는 메모리의 용량을 삭감할 수 있고, 크로마 성분의 변조에 의한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신호 재생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제2도는 한 실시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제3도 및 제4도는 각각 한 실시예의 설명에 제공하는 타이밍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제6도는 종래의 타임 베이스 보정기 주변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2' : 휘도 신호 처리 회로
20,20Y,20Y',20C,20C' : 타임 베이스 보정기
32 : 크로마 신호 처리 회로
본 발명은 VTR 등의 영상 신호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타임 베이스 보정기에 의하여 시간축 보정을 행하는 영상 신호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타임 베이스 보정기에 의하여 시간축 보정을 행하는 영상 신호 재생 장치에서, 재생한 휘도 신호를 FM 복조한 후, 타임 베이스 보정기에 공급하여 시간축을 보고, 재생한 크로마 신호를, 타임 베이스 보정기에 공급하여 시간축을 보정한 후 복조하도록 하여 양호한 시간축 보정이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서 실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타임 베이스 보정기를 구성하는 메모리의 기입 어드레스와 판독 어드레스의 위상차에 따라 재생계 서보 회로를 제어하도록 하여, 각 회로의 제어를 양호하게 할 수 있고 , 메모리 용량의 삭감 등을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재 영상 신호르 VTR에서 재생하는 경우, 재생 신호를 타임 베이스 보정기에 공급하여, 재생 신호의 시간축을 보정하여 지터를 제거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타임 베이스 보정기를 사용한 종래의 재생계 회로의 일예를 제6도에 나타내면, 회전 헤드 드럼 장치(1) 내의 자기 헤드(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자기 테이프(T)에서 재생한 영상 신호를 타임 베이스 보정기용 메모리(2)에 공급하다. 재생 영상 신호를 자동 주파수 제어 회로(3)에 공급하고, 재생 영상 신호에 동기한 기입용 클럭 신호(W)를 작성하고, 이 기입용 클럭 신호(W)에 의하여 재생 영상 신호를 메모리(2)에 가입시킨다. 그리고, 도면부호(4)는 발진기를 나타내고, 이 발진기(4)의 발진 신호를, 판독용 클럭 신호(R)로서 타임 베이스 보정기용 메모리(2)에 공급하고, 시간축 변동이 없는 안정된 영상 신호를 메모리(2)에서 출력 단자(5)에 출력시킨다. 이 경우, 발진기(4)가 출력하는 판독용 클럭 신호(R)를, 1/n 분주기(6)에 의하여 분주한 후, 회전 헤드 드럼 장치(1)의 드럼 모터(8)나 캡스탠 모터(도시되지 않음)을 제어하는 서보 제어 회로(7)에 제어 신호로서 공급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것에서, 회전 헤드 드럼 장치(1)나 캡스탠의 제어가 타임 베이스 보정기용 메모리(2)의 판독용 클럭 신호(R)에 의하여 행해지고, 타임 베이스 보정기용 메모리(2)로의 기입 주기와 판독 주기가 근사하고, 메모리(2)에서의 영상신호의 판독이 기입을 추월하지 않도록 되고, 안정된 시간축 보정을 할 수 있다.
여기서 타임 베이스 보정기용 메모리(2)에 기입되는 재생 신호의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면, 종래에는 재생 신호가 콤포지트 영상 신호로서 메모리에 기입되어 있었다. 이 방식은 휘도 신호와 크로마 신호가 안정된 인터리브 관계를 유지하고 있을 필요가 있으며, 주로 업무용 VTR에 사용되고 있는 것이고, 크로마 신호를 저역 변환하는 가정용 VTR에는 적용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저역 변환형의 VTR에서는 재생 신호에서 추출한 크로마 신호를 복조하여 베이스 밴드 신호로서 타임 베이스 보정기에 공급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크로마 신호의 신호 열화를 막기 위하여는 가능한한 복조 등의 신호 처리를 하지 않고 타임 베이스 보정기로 공급하는 쪽이 좋다.
한편, 테이프에서 재생한 고주파 신호의 상태로서 타임 베이스 보정기에 공급하도록 하면, 복조전이므로, 신호 열화가 적어 양호하지만, 재생 고주파 신호에 포함되는 휘도 성분은 고역까지 사이드 밴드가 넓혀저 있으므로, 타임 베이스 보정기용 메모리의 동작 주파수를 매우 높게 할 필요가 있으며, 회로 규모가 대규모로 되어 실용화가 곤란하였다.
제6도에 나타나듯이, 타임 베이스 보정기용 메모리에서의 판독 클럭 신호에 의하여 재생계 서보 회로의 제어를 행하도록 한 경우, 메모리가 필드 메모리(1필드분의 양상 신호 기억)과 같은 대용량 메모리이면, 여유가 충분히 있으므로 상술한 메모리에서의 영상 신호의 판독이 기입을 추월하는 사고가 방지되지만, 메모리의 용량을 적게하여 회로 규모를 적게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결점을 감안하여,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서 타임 베이스 보정기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영상 신호 재생 장치는 휘도 신호가 FM 복조되고, 크로마 신호가 저역 변환되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영상 신호를 재생하는 영상 신호 재상 장치에서, 기록 매체에서 재생한 휘도 신호를 FM 변조한 후, 타임 베이스 보정기에 공급하여 시간축을 보정하고, 기록 매체에서 재생한 크로마 신호(혹은 크로마 신호와 FM 변조된 음성 신호)를, 타임 베이스 보정기에 공급하여 시간축을 보정한 후, 복조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영상 신호 재상 장치는 예를들면 제1도에 나타나듯이, 기록 매체에서 발생한 휘도 신호를 FM 변조 회로를 포함하는 휘도 신호 처리 회로(12)에서 신호 처리한 후 타임 베이스 보정기(20Y)에 공급하고, 휘도 신호 처리 회로(12)에서 발생하는 크로마 신호 처리를 위한 제어 신호를, 타임 베이스 보정기(20C)를 거쳐 크로마 신호 처리 회로(32)에 공급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 신호 재생 장치는 예를들면 제5도에 나타나듯이 기록 매체에서 재생한 휘도 신호를 FM 복조한 후 타임 베이스 보정기(20Y')에 공급하고, 이 타임 베이스 보정지(20Y')에서 시간축 보정된 휘도 신호를, 드롭 아웃 보상 회로를 포함하는 소정의 휘도 신호 처리 회로(12')에 공급하고, 휘도 신호의 드롭 아웃 검출 신호를, 타임 베이스 보정기(20Y')를 거쳐 드롭 아웃 보상 회로에 공급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 신호 재생 장치는 예를들면 제2도에 나타나듯이, 기록 매쳉서 재생한 영상 신호의 시간축 보정용 타임 베이스 보정기(20)를 구성하는 메모리의 기입 어드레스와 판독 어드레스의 위상차에 따라 재생계 서보 회로의 제어 신호의 위상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보량이 많은 휘도 성분은 FM 복조하고 나서 타임 베이스 보정기에 공급하고, 정보량이 적은 크로마 성분은 복조되지 않고 타임 베이스 보정기에 공급하도록 하였으므로, 타임 베이스 보정기를 구성하는 메모리의 용량을 삭감할 수 있고, 크로마 성분의 복조에 의한 열화를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FM 변조된 음성 신호를 크로마 신호와 함께, 타임 베이스 보정기에 공급하도록 하였으므로, 영상 신호용의 타임 베이스 보정기를 사용하여 음성 신호의 와우 및 플러터(wow and flutter)의 개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타임 베이스 보정기에 의한 시간축 보정에서각 회로에서의 처리 타이밍이 벗어남이 발생하여도, 각 회로에 공급하는 각종 제어 신호도 타임 베이스 보정기에 의하여 타이밍의 벗어남이 보정되고, 각 회로가 양호한 타이밍으로서 작동하도록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타임 베이스 보정기를 구성하는 메모리의 기입 어드레스와 판독 어드레스의 위상차에 따라 재생계 서보 회로를 제어하도록 하였으므로, 용량이 적은 메모리를 사용하여도 판독 어드레스가 기입 어드레스를 추월하지 않고 양호한 시간축 보정이 행하여진다.
이하, 본 발명의 영상 신호 재생 장치의 한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4a도 내지 제4f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예는 휘도 신호가 FM 변조되고 크로마 신호가 저역 변환되어 기록되는 저역 변환형 VTR에 적용한 것이고, 제1도에서(11Y) 및 (11C)는 휘도 신호 입력 단자 및 크로마 신호 입력 단자를 나타내고, 비디오 테이프에서 재생한 휘도 신호(YRF) 및 크로마 신호(CRF)가 공급된다. 본 예에서는 영상 신호와 주파수 다중으로 FM 변조되어 기록된 음성 신호(AFM)의 재생도 행하도, 이 재생한 음성 신호(AFM)가 음성 신호 입력 단자(11A)에 공급된다.
그리고, 휘도 신호 입력 단자(11Y)에 얻어지는 휘도 신호(YRF)를, 휘도 신호 처리 회로(12)에 공급된다. 이 휘도 신호 처리 회로(12)에 공급되는 휘도 신호(YRF)는 리미터(13)를 거쳐 복조 회로(14)에 공급하여 FM 복조하고, 복조 신호를 디엠퍼시스 회로(15)에 공급하여 디엠퍼시스한다. 이 경우, 복조 회로(14)에서는 재생 신호의 고주파 레벨에서 드롭 아웃 검출을 행하고, 검출 신호를 후단의 빗살형 필터(17)에 공급한다. 그리고 이 디엠퍼시스한 신호를, 서브 엠파시스 회로(16)를 거쳐 빗살형 필터(17)에 공급하여, 이 빗살형 필터(17)에서 드롭 아웃 검출 신호에 의한 드롭 아웃 보상을 행하고, 재생 신호의 수직 상관을 검출하고, 수직 상관 검출 신호를 후술하는 크로마 신호용 타임 베이스 보정기(20C)를 거쳐 크로마 신호 처리 회로(32)에 공급한다. 디엠퍼시스 회로(15)의 출력 신호를, 동기 분리 회로(18)에 공급하여, 이 동기 분히 회로(18)에서 버스트 신호가 공급되는 주기를 검출하고, 버스트 플랙 신호를 후술하는 크로마 신호용 타임 베이스 보정기(20C)를 거처 크로마 신호 처리 회로(32)에 공급한다.
그리고 빗살형 필터(17)의 출력 신호를, 디엠퍼시스 회로(19)를 거쳐 휘도 신호용 타임 베이스 보정기(20Y)에 공급한다. 이 휘도 신호용 타임 베이스 보정기(20Y)는 후술하는 크로마 신호용 타임 베이스 보정기(20C)와 일체로 된 것이고, 본 예에서는 메모리를 사용한 디지털 타임 베이스 보정기로 하고 있다. 즉, 공급되는 신호는 티지탈 변환한 후 메모리에 기입되고, 이 기입된 신호는 안정된 판독 클럭 신호에 의하여 판독되고, 아나로그 변환하여 출력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타임 베이스 보정기(20Y)에서 출력되는 시간축 보정된 베이스 밴드의 휘도 신호(Y)는, 휘도 신호 출력 단자(33Y)에서 후단의 회로에 공급된다.
크로마 신호 입력 단자(11C)에서 얻어지는 저역 변환된 크로마 신호(CRF) 및 음성 신호 입력 단자(11A)에 얻어지는 FM 변조된 음성 신호(AFM)를, 혼합기(31)에 공급하여 혼합하고, 혼합 신호를 크로마 신호용 타임 베이스 보정기(20C)에 공급한다. 그리고 이 크로마 신호용 타임 베이스 보정기(20C)가 출력하는 시간축 보정된 신호를, 크로마 처리 회로(32)에 공급하는, 저역 변환된 상태에서의 복조 등의 신호 처리를 한 크로마 신호(C)를 얻고, 이 크로마 신호(C)를 크로마 신호 출력 단자(3C)에서 후단의 회로에 공급한다. 이 경우, 휘도 신호 처리 회로(12)측에서 타임 베이스 (20C)를 거쳐 공급시키는 수직 상관 검출 신호 및 버스트 플랙 신호에 의한 신호 처리가 크로마 신호 처리 회로(32)로서 행하여진다.
크로마 신호용 타임 베이스 보정기(20C)에서 출력되는 시간축 보정된 FM 변조 음성 신호(AFM')를, 출력 단자(33A)를 거쳐 음성 신호 처리 회로(도시되지 않음)에 공급한다.
여기서, 타임 베이스 보정기(20Y) 및 (20C)의 제어 회로를 제2도에 나타내면, 제2도에서 (20)은 휘도 신호용 타임 베이스 보정기(20Y)와 크로마 신호용 타임 베이스 보정기(20C)를 일체로 나타낸 것이고, 단자(21Y)에 얻어지는 베이스 밴드의 휘도 신호 및 단자(21C)에 얻어지는 저역 변환된 크로마 신호를, 이 타임 베이스 보정기(20)에 공급한다. 이때, 타임 베이스 보정기(20) 내의 메모리는 휘도 신호 및 크로마 신호를 5수평 주사 기간(5H)기억하는 용량을 가지고, 이 메모리로의 기입은 자동 주파수 제어 회로(도시되지 않음)에서 단자(20a)를 거쳐 공급되는 기입용 클럭 신호(W)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그리고 이 단지(20a)에 얻어지는 기입용 클럭 신호(W)를, 제1의 5H 카운터(23)에 공급하고, 제1의 5H 카운터(23)가 기입용 클럭 신호(W)를 5수평 주사 기간(5H)분 카운트하면, 기입 리셋트 시놓(WR)를 출력한다. 그리고 이 기입 리셋트 신호(WR)를, 타임 베이스 보정기(20)에 공급한다.
발진기(24)가 출력하는 판독용 클럭 신호(R)를, 타임 베이스 보정기(20)에 공급하고, 이 클럭 신호(R)에 의하여 메모리에 기입된 휘도 신호 및 크로마 신호를 판독하고, 휘도 신호 출력 단자(22Y) 및 크로마 신호 출력 단자(22C)에서 후단의 신호 처리 회로에 공급한다. 그리고 이 판독용 클럭 신호(R)를, 제2의 5H 카운터(25)에 공급하고, 제2의 5H 카운터(25)가 판독용 클럭 신호(R)를 5수평 주사 기간분(5H)카운트하면, 판독 리셋트 신호(RR)를 출력한다. 그리고, 이 판독 리셋트 신호(RR)를, 타임 베이스 보정기(20)에 공급한다.
본 예에서 제2의 5H 카운터(25)가 출력하는 판독 리셋트 신호(RR)를, 윈도우 펄스 발생 회로(26)에 공급하고, 이 윈도우 펄스 발생 회로(26)가 판독 리셋트 신호(RR)에 의하여 작성한 윈도우 펄스 신호를, 앤드 게이트 회로(27)의 한쪽 입력 단자에 공급한다. 이 경우 윈도우 펄스 신호로서는 약 2.5H마다 하이 레벨과 로우 레벨을 반복하는 신호로 된다. 그리고, 제1의 5H의 카운터(23)가 출력하는 기입 리셋트 신호(WR)를, 앤드 게이트 회로(27)의 다른쪽 입력 단자에 공급하고, 이 앤드 게이트 회로(27)의 논리적 출력을, 1/n 카운터(28)에 n값 제어 데이터로서 공급한다. 이 1/n 카운터(28)는 발진기(24)가 출력하는 판독용 클럭 신호(R)가 클럭 신호로서 공급되고, n값 제어 데이터에 의하여 n값(카운트 개시값)이 변화하는 것이고, 이 카운터(29)의 카운트 출력을, 출력 단자(20b)에서 재생계 서보 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제어 신호로서 공급한다.
여기서, 이 타임 베이스 보정기(20)의 제어 회로의 동작을 제3a도 내지 제3c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발진기(24)에서 출력되는 판독용 클럭 신호(R)에 의하여, 제2의 5H 카운터(25)에서 5H 주기로서 펄스가 입상하는 판독 리셋트 신호 RR(제3a도)가 출력된다. 그리고 이 판독 리셋트 신호(RR)에 의하여 제3b도에 나타나듯이 윈도우 펄스 신호가 윈도우 펄스 발생 회로(26)에서 출력된다. 즉 윈도우 펄스 신호는 판독 리셋트 펄스가 입상하여 다음의 판독 리셋트 펄스가 입상하기까지의 대략 중간에서, 2.5H 기간 하이 레벨로 되는 신호이고, 이 윈도우 펄스 신호와 기입 리셋트 신호WR(제3c도)의 논리적 출력이 1/n 카운터(28)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예를들면 제3c도에 나타나듯이, 윈도우 펄스 신호가 하이 레벨로 되어 있는 사이에, 기입 리셋트 펄스가 입상하면, 이 기입 리셋트 펄스가 1/n 카운터(28)에 공급된다. 그런데, 윈도우 펄스 신호가 로우 레벨로 되어 있는 사이에, 기입 리셋트 펄스가 입상했을 때에는 논리적 출력은 로우 레벨인채이고, 기입 리셋트 펄스가 1/n 카운터(28)에 공급되어 있지 않다. 이렇게 하여 1/n 카운터(28)에 앤드 게이트 회로(27)에서 신호가 공급되는 것이고, 1/n 카운터(28)에 기입 리셋트 펄스가 공급되어 있는 사이는 기입 리셋트 신호와 판독 리셋트 신호의 위상차가 크게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기입 리셋트 신호와 판독 리셋트 신호의 위상차가 1.25H 이하로 작게 되면, 1/n 카운터(28)에 n값 제어 데이터로서의 기입 리셋트 펄스가 공급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위상차가 작게 되면, 타임 베이스 보정기(20)를 구성하는 메모리에서의 신호의 판독이 기입을 추월할 염려가 있으므로, 1/n 카운터(28)의 카운트 개시값을 변화시켜, 재생계 서보 회로에 공급하는 제어 신호를, 윈도우 펄스 신호가 하이 레벨 기간에 기입 리셋트 펄스가 출력되도록 변화시키고, 기입 리셋트 신호와 판독 리셋트 신호의 위상차를 크게 한다.
이와같이 제어 회로를 구성한 것에서, 타임 베이스 보정기(20)를 구성하는 메모리로서, 휘도 신호와 크로머 신호를 5H 씩 기억(음성 신호는 크로마 신호와 주파수 다중으로서 기억) 가능한 만큼이 소용량을 사용하여도 메모리에서의 판독이 메모리로의 기입을 추월하는 사고가 방지되고, 양호한 시간축 보정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구성의 타임 베이스 보정기(20)가 조립되어 넣어진 본예의 VTR 동작에 대하여 제4a도 내지 제4f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예를들면 비디오 테이프에서 재생하여 단자(11Y)에 얻어지는 영상 신호(휘도 신호 YRF)를, 휘도 신호 처리 회로(12)에서 FM 복조하는 것이고, 제4a도에 나타나듯이 신호가 얻어진다. 이 재생한 영상 신호 중의 크로마 신호(CRF)로서, 단자(11C)에 제4b도에 나타나듯이 신호가 얻어진다. 이 경우 크로마 신호(CRF)에서 버스트 신호(b)가 포함되어 있으며, 휘도 신호 처리 회로(12)내의 동기 분리 회로(18)가, 이 버스트 신호(b)의 위치와 일치한 버스트 플랙 신호(제4c도)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4a도에 나타나듯이 휘도 신호는 타임 베이스 보정기(20Y)에 공급되어 시간축 보정된 휘도 신호(Y)가, 출력 단자(33Y)에 얻어진다. 이 경우, 타임 베이스 보정기(20Y)의 입력전의 휘도 신호(제4a도)와 출력 휘도 신호(제4d도)에는 메모리 기입에서 판독하기까지의 시간(t)만큼 벗어남이 생긴다(제4a도 내지 제4f도에서는 설명을 위하여(t)을 실제보다도 짧게 설정). 따라서 타임 베이스 보정기(20C)에서 출력되는 크로머 신호(제4e도)도 마찬가지로 하여 시간(t)만큼 지연된 것으로 한다. 여기서 타임 베이스 보정기(20C)의 출력 크로마 신호는 저역 변환된 상태의 재생 신호이므로, 크로마 신호 처리 회로(32)에서 복조시킬 필요가 있지만, 휘도 신호의 복조는 타임 베이스 보정기(20Y)에 입력전의 신호로서 행하므로, 휘도 신호 처리 회로(12)내에서 검출하는 버스트 플랙 신호 및 수직 상관 검출 신호도, 제4a,b도에 나타내는 휘도 신호, 크로마 신호와 타이밍이 일치한 것으로 된다. 그리고, 이 버스트 플랙 신호 및 수직 상관 검출 신호를 그대로 크로마 신호 처리 회로(32)에 공급하면, 시간(t)만큼 양 신호에 의한 처리 타이밍이 빠르게 되어 신호 처리가 혼란하여 버리지만, 본 예에서는 버스트 플랙 신호 및 수직 상관 검출 신호를 타임 베이스 보정기(20C)에 공급하여, 영상 신호와 동일의 시간축 보정을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크로마 신호 처리 회로(32)에 공급되는 크로마 신호(제4e도)와 버스트 플랙 신호(제4f도) 및 수직 상관 검출 신호(도시되지 않음)의 타이밍이 일치한다. 이 때문에 크로마 신호 처리 회로(32)에서의 버스트 플랙 신호 및 수직 상관 검출 신호에 의한 크로마 신호 처리가 타이밍의 어긋남 없이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버스트 플랙 신호 및 수직 상관 검출 신호는 각각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의 1비트 신호이므로, 타임 베이스 보정기용 메모리에 2비트분의 여유가 있으면, 양 신호를 시간축 보정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예의 구성에 의하면, 비디오 테이프에서 재생한 영상 신호에서 추출한 휘도 신호 및 크로마 신호는 타임 베이스 보정기(20Y),(20C)에 의하여 시간축이 보정되어 지터가 제거되고, 양호한 재생 신호가 얻어진다. 이 경우, 본 예에서는 정보량이 많은 휘도 신호를 FM 복조하여 타임 베이스 보정기(20Y)에 공급하도록 하였으므로, 휘도 신호용 타임 베이스 보정기(20Y)는 재생 고주파 신호와 같이 고역까지 연장된 신호를 취급할 필요가 없고, 타임 베이스 보정기용 메모리의 부담을 적게할 수 있다. 비교적 정보량이 적은 크로마 신호는 저역 변환된 재생 신호를 그대로 타이밍 베이스 보정기(20C)에서 시간축 보정하도록 하였으므로, 복조전에 시간축 보정이 행하여지고, 크로마 신호의 열화가 가장 적은 상태에서 시간축 보정이 행하여 진다. 그리고, 크로마 신호는 정보량이 휘도 신호보다도 적으므로, 저역변환된 상태의 재생 신호이어도, 타임 베이스 보정기용 메모리의 부담이 적다. 따라서 본 예에 의하면 적은 메모리 용량에 의한 간단한 구성의 타임 베이스 보정기이고, 열화가 적은 양호한 신호 처리를 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타임 베이스 콜레터의 메모리 기입, 판독 어드레스의 제어를 재생계 서보 회로와 관련하여 양호하게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타임 베이스 보정기용 메모리로서 몇 개의 라인분의 용량이 있으면 좋고, 필드 메모리와 같이 대용량 메모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메모리 용량의 대폭적인 삭감을 할 수 있고, 타임 베이스 보정기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크로마 신호에 FM 변조된 음성 신호를 혼합하여 타임 베이스 보정기로서 시간축 보정하도록 하였으므로, 재생한 음성 신호도 시간축 변동이 제거된 와우 및 플러터가 매우 적고 양호한 신호로 된다. 이 경우, 음성 신호는 크로마 신호와 혼합되어 타임 베이스 보정기에 공급되므로, 음성 신호용 메모리를 타임 베이스 보정기에 설치할 필요는 없다.
상술의 실시예에서는 휘도 신호 처리 회로(12)의 출력 휘도 신호를 타임 베이스 보정기로서 시간축 보정 하도록 하였지만, 휘도 신호를 FM 복조한 후이면, 다른 위치에서 시간축 보정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들면, 제5도에 나타나듯이, 휘도 신호 처리 회로(12')를 구성하는 복조 회로(14)의 출력 휘도 신호를, 휘도 신호용 타임 베이스 보정기(20Y')에 공급하고, 이 타임 베이스 보정기(20Y')에 의하여 시간축 보정된 휘도 신호를 휘도 신호 처리 회로(12')의 프리엠파시스 회로(15)에 공급하도록 한다. 이 경우에는 복조 회로(14)에서 검출한 드롭 아웃 검출 신호도, 타임 베이스 보정기(20Y')를 거쳐 빗살형 필터(17)에 공급하도록 하여 드롭 아웃 보상이 행하여지는 타이밍을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단, 제5예에서는 휘도 신호 처리 회로(12')내에서 버스트 플랙 신호 및 수직 상관 검출 신호를 검출하는 것이 시간축 보정후이므로, 이 버스트 플랙 신호 및 수직 상관 검출 신호는 크로마 신호용 타임 베이스 보정기(20C')를 거치지 않고, 직접 크로마 신호 처리 회로(32)에 공급하면 좋다. 그 외의 부분은 제1도 예의 회로와 마찬가지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하여 타임 베이스 보정기의 삽입 위치에 따라 타이밍이 벗어나는 각종 제어 신호를 타임 베이스 보정기로서 보정하도록 하면, 타이밍이 일치한 양호한 신호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예에 한하지 않고, 그외 여러 가지의 구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휘도 성분은 FM 변조하여 타임 베이스 보정기에 공급하고, 크로마 성분은 복조되지 않고 타임 베이스 보정기에 공급하도록 하였으므로, 타임 베이스 보정기를 구성하는 메모리의 용량을 삭감할 수 있고, 크로마 성분의 변조에 의한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FM 변조된 음성 신호의 시간축 보정이 도일 구성의 타임 베이스 보정기로서 행할 수 있다.
타임 베이스 보정기에 의한 시간축 보정에서 각 회로에서의 처리 타이밍의 벗어남이 발생하여도, 각 회로에 공급하는 각종 제어 신호도 타임 베이스 보정기에 의하여 타이밍의 벗어남이 보정되고, 각 회로가 양호한 타이밍에서 작동하도록 되고, 양호한 신호 처리를 할 수 있다.
타이밍 베이스 보정기를 구성하는 메모리의 기입 어드레스와 판독 어드레스의 위상차에 따라 재생계 서보 회로를 제어하도록 하였으므로, 몇 개의 라인 정도의 소용량 메모리를 사용하여도 판독 어드레스가 기입 어드레스를 추월하지 않고 양호한 시간축 보정을 할 수 있다.

Claims (5)

  1. 휘도 신호가 FM 변조되고, 크로마 신호가 저역 변환되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영상 신호를 재생하는 영상 신호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서 재생한 휘도 신호를 FM 복조한 후, 타임 베이스 보정기에 공급하여 시간축을 보정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서 재생한 저역 변환 크로마 신호를 저역 변환된 상태 그대로 상기 타임 베이스 보정기에 공급하여 시간축을 보정한 후, 변조 하도록 한 영상 신호 재생 장치.
  2. 휘도 신호가 FM 변조되고 크로마 신호가 저역변환되어, 음성 신호가 FM 변조되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영상 신호를 재생하는 영상 신호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서 재생한 휘도 신호를 FM 복조한 후, 타임 베이스 보정기에 공급하여 시간축을 보정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서 재생한 크로마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상기 타임 베이스 보정기에 공급하여 보정한 후, 복조하도록 한 영상 신호 재생 장치.
  3. 제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서 재상한 휘도 신호를 FM 변조하고 소정의 회로에서 신호 처리한 후 타임 베이스 보정기에 공급하고, 상기 소정의 회로에서 발생하는 크로마 신호 처리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타임 베이스 보정기를 거쳐 크로마 신호 처리 회로에 공급하도록 한 영상 신호 재생 장치.
  4. 제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서 재생한 휘도 신호를 FM 변조후에 타임 베이스 보정기에 공급하고, 그 타임 베이스 보정기에서 시간축 보정된 휘도 신호를 드롭 아웃 보상 회로를 포함하고 소정의 회로에 공급하고, 상기 휘도 신호의 드롭 아웃 검출 신호를 상기 타임 베이스 보정기를 거쳐 상기 드롭 아웃 보상 회로에 공급하도록 한 영상 신호 재생 장치.
  5. 기록 매체에서 재생한 영상 신호의 시간축을 타임 베이스 보정기에 의하여 보정하는 영상 신호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임 베이스 보정기를 구성하는 메모리의 기입 어드레스와 판독 어드레스의 위상치에 따라, 재생계 서보 회로의 조절 신호의 위상을 제어하도록 한 영상 신호 재생 장치.
KR1019900012934A 1989-08-25 1990-08-22 영상 신호 재생 장치 KR1001953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9815 1989-08-25
JP1219815A JP2864550B2 (ja) 1989-08-25 1989-08-25 映像信号再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682A KR910005682A (ko) 1991-03-30
KR100195379B1 true KR100195379B1 (ko) 1999-06-15

Family

ID=16741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2934A KR100195379B1 (ko) 1989-08-25 1990-08-22 영상 신호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285288A (ko)
EP (1) EP0414250B1 (ko)
JP (1) JP2864550B2 (ko)
KR (1) KR100195379B1 (ko)
DE (1) DE6902616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3382B2 (ja) * 1991-12-26 2000-09-0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画像情報再生装置の再生速度制御装置
KR950011664B1 (ko) * 1993-07-28 1995-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재생 시스템의 재생 에러 보정회로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41872B1 (en) * 1980-06-11 1985-02-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hase difference compensation between separately recorded luminance and chrominance signals
JPS5770099A (en) * 1980-10-20 1982-04-30 Seiko Epson Corp Gold brazing filler metal
JPS57115085A (en) * 1981-01-07 1982-07-17 Canon Inc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S57129595A (en) * 1981-02-05 1982-08-11 Sony Corp Reproducer of color video signal
JPS594279A (ja) * 1982-06-29 1984-01-11 Sony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
JPS5934785A (ja) * 1982-08-20 1984-02-25 Sony Corp 記録装置
US4485395A (en) * 1982-09-21 1984-11-27 Rca Corporation Misregistration prevention in two channel VTRS
JPS59221186A (ja) * 1983-05-31 1984-1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時間軸補正装置
JPS6141294A (ja) * 1984-08-02 1986-02-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再生装置
JPH0712229B2 (ja) * 1984-12-25 1995-02-08 ソニー株式会社 時間軸補正装置
JPS61256888A (ja) * 1985-05-09 1986-11-14 Canon Inc ビデオ信号記録装置
JPS623590A (ja) * 1985-06-28 1987-0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ラ−映像信号再生装置
JPS62224189A (ja) * 1986-03-26 1987-10-02 Hitachi Ltd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US4775899A (en) * 1986-04-11 1988-10-04 Ampex Corporation Apparatus for deskewing successively occurring blocks of data
JPS6342297A (ja) * 1986-08-08 1988-02-23 Hitachi Ltd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S6359195A (ja) * 1986-08-29 1988-03-15 Hitachi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3209391A (ja) * 1987-02-26 1988-08-30 Sharp Corp ビデオテ−プレコ−ダ
EP0292108B1 (en) * 1987-04-10 1994-12-28 Sony Corporation Time base correctors for image signals
JPS63312793A (ja) * 1987-06-15 1988-12-21 Sanyo Electric Co Ltd 時間軸補正装置
JPH0773367B2 (ja) * 1987-06-29 1995-08-0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記録情報再生装置
JPS6450692A (en) * 1987-08-20 1989-02-27 Canon Kk Recording device and reproducing device
JP2675817B2 (ja) * 1988-06-10 1997-11-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信号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14250B1 (en) 1996-03-27
EP0414250A2 (en) 1991-02-27
JP2864550B2 (ja) 1999-03-03
DE69026166T2 (de) 1996-08-08
DE69026166D1 (de) 1996-05-02
JPH0382292A (ja) 1991-04-08
KR910005682A (ko) 1991-03-30
EP0414250A3 (en) 1991-11-06
US5285288A (en) 199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5379B1 (ko) 영상 신호 재생 장치
US5179450A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time base compensation
US4644412A (en) Vide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S623590A (ja) カラ−映像信号再生装置
KR900001450B1 (ko) 기록 재생 장치
JP2502499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KR100255234B1 (ko) 다치신호의 기록 및 재생방법과 다치신호기록용 동기신호발생회로
JP2844765B2 (ja) ビデオ信号再生装置
JP2627299B2 (ja) 光学式記録再生方式
JP2614238B2 (ja) 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H0232834B2 (ko)
JPH033986B2 (ko)
JP2911145B2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H0528959B2 (ko)
JPS6148280A (ja) デ−タ再生装置
JPH0213519B2 (ko)
JPH0546756B2 (ko)
JPS6334770A (ja) 画像記録再生装置
JPH0628429B2 (ja) 映像信号の記録再生装置
JPS62239781A (ja) カラ−映像信号の再生記録方式
JPS5847761B2 (ja) 信号記録再生方法
JPS62224190A (ja)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H06311476A (ja) 磁気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JPS63209391A (ja) ビデオテ−プレコ−ダ
JPH01277364A (ja) 周波数多重信号の時間軸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