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0417B1 - 찢는실링부재,현상장치및프로세스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찢는실링부재,현상장치및프로세스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0417B1
KR100190417B1 KR1019940019578A KR19940019578A KR100190417B1 KR 100190417 B1 KR100190417 B1 KR 100190417B1 KR 1019940019578 A KR1019940019578 A KR 1019940019578A KR 19940019578 A KR19940019578 A KR 19940019578A KR 100190417 B1 KR100190417 B1 KR 100190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lexible tape
developer
supply opening
seal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9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6545A (ko
Inventor
후지와라야스오
Original Assignee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따라이 하지메
Publication of KR950006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0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04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4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a sealing film to be ruptured or cu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a sealing member to be ruptured or cu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개구를 밀폐하기 위한 실 필름과 실 필름의 표면을 따라 연장한 가요성 테이프를 포함하고, 실 필름의 평균 비중이 0.65 g/cc 이상 0.9 g/cc 이하이고, 단 상기 평균 비중의 측정 방법은 JIS K6758에 의한 것이며, 상기 가요성 테이프를 당김으로써 상기 실 필름은 파단되고, 상기 개구는 개봉되는 화상 형성 장치용 형성제를 수납하기 위한 현상제 수납 용기의 개구를 개봉가능하게 밀폐하기 위한 찢는 실링 부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찢는 실링 부재, 현상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찢는 실링(tearable sealing) 부재의 평면도
제2도는 찢는 실링 부재를 현상제 용기에 부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필름(cover film)의 단면도.
제4도는 내부 압력이 찢는 실링 부재에 가해질 때의 단면도.
제5도는 커버 필름 베이스 부재의 갈라짐(crack)을 도시한 도면.
제6도는 찢는 실링 부재의 개방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
제7도는 커버 필름의 응고 및 파열(응집성 없음)을 도시하는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찢는 실링 부재의 단면도.
제9도는 찢는 실링 부재의 뒤틀림양(curling amount)을 도시한 도면.
제10도는 찢는 실링 부재의 뒤틀림양을 도시한 도면.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어 테이프(tear tape)의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어 데이프(tear tape)의 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찢는 실링 부재를 사용하는 프로세스 카
트리지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내의 현상제 용기의 사시도.
제15도는 제13도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내의 현상제 용기의 단면도.
제16도는 제13도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내의 필름 제거 부분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감광 드럼 33 : 대전 롤러
34 : 현상 장치 43 : 방전 롤러
44 : 방전 트레이 45 : 레이저 주사 광학 시스템 유니트
46 : 반사미러 101 : 혼
102 : 실바(seal bar) C,D : 실런트 층
F : 플랜지 G : 찢는 실링 부재
K : 커버 필름 S : 실링 표면
T : 테어 데이프 Y : 현상제 용기
본 발명은 찢는 실링 부재(tearable sealing member),현상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process cartridge)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CAD 등과 같은 정보 장치용 프린터, 또는 팩시밀리 머신을 포함하는 소형 머신과, 사무용 정전 복사기 등과 같은 대형 머신과 같은 전자사진 유형의 여러가지 화상 형성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들 중 어느 것이나, 현상제는 한 가지 또는 다른 방법을 통해 수납되고, 이 현상제를 사용하여 화상 형성 동작이 행해 진다.
일례로서 상술한 프린터는 착탈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사용될 수 있다.
일단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되면, 현상제가 현상 슬리이브에 공급되고 이어서 내부에 수납된 현상제가 모두 사용될 때까지 카트리지내의 현상제 용기로부터 현상제교반 장치(developer stirring device)를 동작시킴으로써 점차 감광 드럼에 공급된다.
복사기 등에 사용되는 현상제 용기로는 보충형 용기와 고정형 용기가 있다. 상기 보충형의 경우에는, 현상제 용기가 복사기의 메인 어셈블리에 내장되며 한번에 용기의 총 용량만큼 채워지고, 고정형의 경우에는 현상제 용기가 복사기의 메인 어셈블리에 장착되어 내부에 고정되어 유지됨으로, 현상제가 모두 사용될 때까지 프로세스 카트리지에서와 같이 현상제 교반 수단을 동작시킴으로써 현상 장치에 현상제가 단계적으로 공급된다.
어떠 형태든 운반 도중 또는 사용하지 않는 기간 동안 현상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현상제 공급용 개구부에 실링 부재가 제공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또는 고정형 용기의 경우에는, 필링 부재(peeling member)가 사용된다.
이 경우, 필름 또는 테이프 형태의 실링 부재가 카트리지 또는 고정형 용기의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접합된다. 현상제가 메인 어셈블리에 공급될 때, 실링 부재를 외측으로 당겨 현상제 용기를 개방시킴으로써, 용기에 수납되어 있는 현상제가 개구부를 통해 메인 어셈블리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필링 부재는 이지 필(easy peel) 필름형과, 미합중국 특허 제4,931,83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커버 필름 및 테어 테이프로 구성된 찢는 실링 부재형을 포함한다.
찢는형은 다음과 같은 면에서 장점이 있다 .
(1) 개방에 필요한 힘이 작으므로 조작성이 우수하다.
(2) 커버 필름이 용기에 부착되어 유지되고 현상제를 재보충하는 동안 제거되지 않는다. 따라서, 커버 필름이 용기에 견고하게 접합됨으로써, 현상제가 누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3) 응고되어 파열된 접합 재료의 작은 조각이 개방시 현상제 속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 용기로부터 현상 장치로의 현상제의 공급은 테어 테이프의 폭을 적절히 바꿈으로써 제어되거나 조정될 수 있다.
이들 장점을 이용하기 위해, 커버 필름과 테어 테이프의 재료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부터, 다음과 같은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커버 필름용으로서, 베이스 재료로서 일축으로 배향된 폴리에틸렌 필름, 일축폴리프로필렌 필름, 이지 테어링을 고려할 때 개구부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일축발포 폴리프로필렌 필름(예를 들면, 일본의 미쯔이 토아쯔 플라스틱 회사에서 구입할 수 있는 Sunypearl SPMC)를 사용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테어 테이프용으로서, 베이스 재료로서 이축 배향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예를 들면, 일본 후지모리 공업사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테어 테이프(Tear Tape)) 등을 사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본 발명은 추가의 개선점을 제공하도록 의도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찢는 실링 부재, 찢는 실링 부재를 사용하는 현상제 용기, 및 테어링의 안정성이 달성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찢는 실링 부재, 찢는 실링 부재를 사용하는 현상제용기,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으로, 낙하 등과 같은 것으로 인한 충격시에도 현상제의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찢는 실링 부재, 찢는 실링 부재를 사용하는 현상제 용기,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으로, 찢는 실링 부재의 뒤틀림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찢는 실링 부재, 찢는 실링 부재를 사용하는 현상제용기,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으로, 찢는 실링 부재의 강도가 충분하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찢는 실링 부재, 찢는 실링 부재를 사용하는 현상제 용기,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공되며, 커버 필름의 베이스 부재의 평균 비중은 0.65 g/cc 이상이고, 완전한 필름의 형태인 커버 필름 베이스 부재는 커버 필름으로부터의 보플(fuzz)의 발생을 개방시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종방향 테어링(tearing)안정성을 가져온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찢는 실링 부재, 찢는 실링 부재를 사용하는 현상제 용기,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공되며, 낙하하는 경우에서와 같이 현상제용기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커버 필름이 비배향 방향으로 쉽게 파열되지 않도록 커버 필름의 베이스 부재의 파단 강도는 비배향 방향에서 1kg/mm 이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찢는 실링 부재, 찢는 실링 부재를 사용하는 현상제 용기,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공되며, 커버 필름과 테어 테이프(접합)사이의 열 용착시에 커버 필름이 심각한 정도로 뒤틀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커버 필름의 베이스 부재의 열 수축율은 소정의 범위로 제한되므로, 커버 필름/테어 테이프 유니트는 개구부를 한정하는 부재 상에서 정확히 용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찢는 실링 부재, 찢는 실링 부재를 사용하는 현상제 용기,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공되며, 커버 필름의 베이스 부재의 평균 비중 및 비배향 방향의 강도 및 열 수축율은 테어링 안정화, 압력에 대한 내구성 및 작은 열 뒤틀림 특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여러가지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다음 설명을 통해서 더욱 자명해 질 것이다.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찢는 실링 부재의 일반적인 구성)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찢는 실링 부재(G)는 일체화된 커버 필름(K)과 일체화된 커버 필름(K)의 폭보다 더 작은 폭을 갖는 테어 테이프(T)의 형태를 갖는다. 확실한 밀봉을 위하여, 커버 필름(K)에 양면에 약1-2mm만큼 실링 폭이 큰 실링 부분(J)이 제공된다.
제2도는 찢는 실링 부재(G)를 현상제 용기(Y)의 개구부에 인접한 플랜지(F)의 실링 표면(S)상에 밀봉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열 압축 접합에 의해 밀봉이 실시될 때, 혼(horn:101)의 실바(seal bar:102)는 1 내지 3초 동안 1.5 kgf/cm2- 5kgf/cm2로 약 110℃ - 130 ℃에서 압축된다. 테어 테이프(T)와 중첩되는 실링 표면(8)의 단측(short side) 부분은 테어 테이프(T)의 두께만큼 다른 부분 보다 더 열압축 접합된다. 따라서, 스텝(103)이 테어 테이프의 두께에 대응하는 실바(102)의 단측에 제공된다.
밀봉 동작시에, 균일한 열 압축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용기(Y)와 실 바(102)사이에서 평행 상태가 유지된다. 평행 상태가 충분하지 않으면, 유니트(G)의 실링표면(S)에 추가의 응력이 가해져서 결국 실링 표면의 내측 에지(S')에 의한 낙하 및 충격에 의해서 필름이 찢어져서 토너가 누출될 가능성이 있다.
(커버 필름)
제3도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의 커버 필름(K)에 대해 설명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필름(K)는 베이스 재료(A) 및 실런트 층(sealant layer:C)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A)의 재료)
베이스 부재(A)의 재료는 용기의 개구부에 대해 층분한 밀봉 특성을 갖고 한방향으로 용이하게 찢어지는 일축 배향된 필름 또는 시트(seat)일 수 있다. 이 재료의 예는 일축 배향된 폴리에틸렌 필름, 일축 배향된 폴리프로필렌 필름, 배향 및 발포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을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A)의 강도)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찢는 실링 부재(G)가 용기에 부착된 후에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마켓(market)으로 운송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운송 도중, 낙하,다른 충격 또는 압력 등을 받기 쉽다.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당한 부하를 받게 되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력이 실바(102)의 내측 에지에서 커버 필름 베이스 부재(A)에 남아 있을 수 있는 에지 부분(15)에서 밀봉이 깨져, 결과적으로 현상제가 누출되기 쉽다.
커버 필름 베이스 부재(A)가 밀봉된 에지 부분에 기인하는 응력의 방향이 종방향 테어링(tearing)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축 배향되므로, 비배향된 방향으로 쉽게 찢어 진다 (파단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커버 필름 베이스 부재(A)의 강도가 고려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자외 실험의 결과, 커버 필름의 베이스 부재(A)의 파단 강도(破斷强度:rapture strength)는 양호하게는 비배향된 방향으로 1.5kg/mm 이상, 3kg/mm 이하이며, 더 양호하게는 1.3kg/mm이상, 3kg/mm 이하이어야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파단 강도는 10mm 폭에서 JlS K1702 하에서 측정되었다.
(베이스 부재(A)의 필름 두께)
최근에, 50cm 등과 같은 넓은 개구를 갖는 현상제 용기가 개발되었다. 개구부의 영역이 증가함에 따라, 실링 필름은 충격 등에 의해 큰 부하를 받기 쉽다. 이러한 측면에서, 커버 필름 베이스 부재(A)의 필름 두께는 양호하게는 130μm 이상 150μm 이하이다.
상술한 두께의 커버 필름 베이스 부재(A)를 사용하는 것은 현상제 용기의 개구부 폭이 30cm 이상일 때, 현상제 누출에 대해 효과적이며, 특히, 개구부 폭이 50cm 이상일 때가 보다 효과적이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자는 커버 필름(K)를 찢기 위해 되접혀있는 테어 테이프(T)의 단부(T')를 잡아당겨서, 토너가 용기(Y)로부터 현상 장치 내로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종방향으로 안정되게 찢어지고 커버 필름의 보플(fuzz)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 필름 베이스 부재(A)는 종 방향 테어링 안정성을 가지면서 120μm 이상 및 140μm 이하의 두께를 갖는 배향성 발포 폴리프로필렌 필름(oriented foamed polypropylene film)등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부재(A)의 평균 비중)
배향성 발포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경우에, 평균 비중, 즉, 팽창 비율의 역수는 양호하게는 0.6g/cc 이상 및 0.9g/cc이하이고, 더 양호하게는 0.65g/cc 이상 및 0.8g/cc이하이다. 평균 비중의 측정은 JIS K6758 하에서 행해졌다.
커버 필름 베이스 부재(A)의 평균 비중이 0.6g/cc 이하이면, 커버 필름 베이스부재(A)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시에 Q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응고 및 파열(접합성이 없음)되고, 보플 W가 함께 발생한다.
(베이스 부재(A)의 열-압축 비율)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필름(K)는 이하에 기술될 테어 테이프(T)와 일체화되어 찢는 실링 부재를 구성한다. 커버 필름(K)의 베이스 부재(A)의 열 수축율이 높으면, 찢는 실링 부재(G)는 일체화를 위한 열 압축 접합시,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틀릴 수 있다. 뒤틀림이 발생될 때, 실링 부재(G)는 용기의 개구부를 정확하게 밀봉할 수 없다. 제2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찢는 실링 부재는 테어 테이프(T)가 커버 필름(K)의 한 측면을 따라 연장하는 제1 부분(T1)과 제1 부분(Tl)의 단부(T3)이 되접혀져 있는 커버 필름(K)의 반대쪽 측면의 제2 부분(T2)을 포함한다. 조작자가 테어 테이프의 제2 부분(T2)을 잡아 당기면, 커버 필름(K)는 제2 부분(T2)의 측면 에지를 따라 찢어진다.
본 발명자의 실험 및 조사의 결과, 커버 필름 베이스 부재(A)의 열 수축율이 배향 방향에서 1% 이상 및 10 %이하이고, 비배향 방향에서 0.1% 이상 및 3%이하이면, 뒤틀림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열 수축율의 측정을 위해, 찢는 실링 부재는 120℃의 기어형 핫 에어(hot air)오븐에 15분 동안 배치되고, 그 후에 열 수축율이 측정되었다.
(실런트 층(C)의 물질 및 두께)
실런트 층(C)는 열 밀봉(열압축 접합)에 의해 테어 테이프 (T)의 실런트 층(D)에 용착되어 일체화되는 폴리에틸렌 실런트이다. 이것은 제한적이지는 않지만,비닐 아세테이트 수지나 이오노머(ionomer) 수지를 사용하는 열 밀봉이며, 부수적으로, 물질이 본 분야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되면, 임펄스 밀봉이나 고주파 용접이 사용될 수도 있다.
실런트 층(C)으로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의 몇 내지 몇십 퍼센트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실런트가 사용되는 경우에, 실런트 층의 두께는 접합 강도 등을 고려하여 양호하게는 10-30μm이고, 더 양호하게는 15μm 이상 및 25μm이하다.
(테어 데이프)
제11도를 참조하여, 이 실시예의 찢는 실링 부재를 구성하는 테어 테이프(T)를 설명한다. 테어 테이프(T)는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B) 및 베이스 부재(D)의 앞면 및 뒷면에 실런트 층(D)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B)]
베이스 부재(B)의 재료는 커버 필름(K)이 쩟어질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나타내고, 특히, 인장 강도는 커버 필름(K)의 인장 강도의 3배 이상이다.
이들의 재료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나일론 등의 수지 물질의 필름 또는 시트 부재, 양호하게는 20μm 이상 및 40μ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이축 배향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실런트 층(D))
실런트 층(D)는 커버 필름의 실런트 층(C)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다. 커버 필름(K)와 테어 테이프(T)의 일체화를 위한 열 압축 용착시 실런트 층 (C, D)가 쉽게 용착되어 접합되므로, 동일한 물질이 바람직하다.
실런트 층(D)으로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의 몇 내지 몇십 퍼센트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실런트가 사용되는 경우에, 필름 두께는 접합 강도 등을 고려할 때 양호하게는 20-40μm이고, 더 양호하게는 25μm 내지 35μm이다.
(나일론 층(N))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어 테이프(T)는 베이스 부재(B)와 실런트 층(D) 간의 열 밀봉시 완충층으로서 작용하는 나일론 층(N)을 갖추고 있다.
나일론 층(N)의 두께는 양호하게는 10 내지 20μm이고, 더 양호하게는 13 내지17μm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가 설명되는데, 여기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찢는 실링 부재(G)가 다양한 프린터에 사용할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용의 실링 부재로서 사용된다.
(화상 형성 장치)
제어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는 반도체 층, 시준 렌즈, 다각형미러, f-θ 렌즈 및 경사 보정 메카니즘 등을 포함하는 레이저 주사 광학 시스템 유니트(45)에 공급된다. 비디오 신호는 반도체 층에 공급되고, 이에 따른 레이저 빔은 시준 렌즈에 의해 시준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다각형 미러에 입사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레이저 빔은 반사 미러(46)을 경유하여 감광 드럼(30)의 노출 부분(31) 상으로 주사식으로 투사된다.
반도체 레이저에 의해 감광 드럼(30)의 감광 표면을 주사하기 위한 타이밍을 검출하기 위해, 즉, 비디오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타이밍을 검출하기 위해, 레이저빔을 검출하기 위한 빔 검출기(도시되지 않음)가 드럼(30)의 감광 표면의 주사 개시전의 선정된 위치에 배치되고, 비디오 신호가 빔 검출기로부터의 신호에 동기하여 공급된다.
감광 드럼(30) 주위에는, 대전 롤러(33), 노출 스테이션(31), 현상 장치(34), 이송 롤러(36) 및 클리너(36)이 배치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에 현상제가 수납되고,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장치의 메인 어셈블리(100)에 착탈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카세트(37) 상에 적층된 기록 물질은 도시되지 않은 CPU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공급 롤러(38)에 의해 공급되고, 다시 감광 드럼(30) 상의 현상된 화상과 동기하여 적절한 타이밍에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registration roller:39)에 의해 공급된다. 화상은 기록 물질 상에 전사되며, 가이드(40)을 따라 전사된 화상이 고착 롤러(41)에 의해 고착되는 고착 장치로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방전 롤러(43)에 의해 방전 트레이(44)로 방전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Z))
프로세스 카트리지(Z)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4도를 참조하면, 카트리지(Z)의 현상제 용기(Y)는 교반 플레이트(1), 교반샤프트(2) 및 교반 암(4)를 포함하는 현상제 교반 수단, 충전 포트(10), 현상제 배출포트(12), 교반 샤프트 회전 수단(7), 교반 샤프트(2)의 활주 부분(2') 및 베어링(5)를 포함한다.
제15도를 참조하면, 용기(Y)는 교반 부재가 현상제 용기(Y)에 조립된 후의 밀봉을 위한 커버(13) 및 현상제 배출 포트를 밀봉하기 위한 찢는 실링 부재(G)에 의해 밀폐된다.
그 후에, 현상제 용기는 초음파 결합 등에 의해 감광 드럼(30) 등을 포함하는 드럼 용기와 프로세스 카트리지(Z) 내에서 일체로 된다. 카트리지(Z)는 메인 어셈블리(100)에 장착되고, 그 후에, 현상제(T)가 감광 드럼(30)쪽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이 실시예에 따른 찢는 실링 부재가 당겨진다.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개구부 상으로의 현상제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 부재(G)용의 용기(Y)의 배출구(H)에서, 발포 폴리우레탄 물질 등의 단부 실(end seal)(M)이 드럼 용기의 단부 부분(200)과 현상제 용기(Y)의 단부 부분(300) 사이의 드럼 용기에 결합된다.
단부 실(M)은 드럼 용기와의 일체화에 의해 2-5 mm 사이의 두께로부터 약 1/2 내지 1/3 정도로 압축되어, 개방 후의 현상제의 누출을 방지한다.
그러나, 단부 실(M)을 제공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방에 요구되는 필링(peeling) 힘이 증가되고, 또한, 찢는 실링 부재(G)의 커버 필름(K)의 양 단부 부분이 단부 실(M)과 마찰되어 보플이 발생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문제의 소지가 있다. 커버 필름(K)의 실런트 층(C) 및 테어 테이프(T)의 실런트 층(D)가 완전하게 용착되어 접합되지 않았다면, 커버 필름(K)는 몇몇의 경우에 테어 테이프(T)의 테어링 폭보다 2-3 mm 더 넓게 찢어진다.
이러한 상태가 발생하면, 보플이 발생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커버 필름(K)의 실런트 층(C) 및 테어 테이프(T)의 실런트 층(D)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물질이다.
(실험예)
본 실시예에 따른 찢는 실링 부재는 상술한 구조를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Z)에 사용되고, 뒤틀림 특성 검사, 압력 내구력 검사,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낙하 검사 및 테어링 안정성 검사가 행해졌다.
(실험1)
120 및 140μm의 두께를 갖는 4개의 베이스 부재(A)가 커버 필름 (K)로서 준비되고,20μm의 두께를 갖는 동일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실런트 층(C)가 각각의 베이스 부재에 건식 적층(dry-laminated)되었다.
비교 예로서, 베이스 부재의 열 수축율이 상술한 범위의 밖에 있는 동일한 부재가 준비되었다.
부재의 명세는 다음과 같다.
[표 1]
제12도에 도시된 층 구조를 갖는 테어 데이프(T)를 다섯개의 각 커버 필름상에 열 밀봉시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개의 찢는 실링 부재(G)와 비교예1을 위한 하나의 실링 부재를 만들었다.
테어 테이프(T)는 두께가 38μm인 이축 배향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베이스 부재(B),두께가 30μm인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실런트 층(D), 및 두께가 15μm인 완충 층으로서의 드론 나일론 층(drawn nylon layer)으로 구성되어 있다.
열적 실링 조건은 115℃, 2.8kg/cm2, 및 3초이다.
이렇게 제조된 찢는 실링 부재(G)의 뒤틀림양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배향 방향에서 뒤틀림양ℓ로 측정되었다.
그 결과가 표 2에 도시되어 있다.
[표 2]
커버 필름(K)의 크기는 27.00 x 210mm이었고, 테어 테이프(T) 크기는 16.5 x 550mm이었다.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열적 수축율이 비배향 방향에서 3.5%인 비교예 1에서는 실시예 1-4와 비교하여 비배향 방향에서 매우 큰 뒤틀림양 ℓ을 나타내었다.
또한, 표 2는 배향 방향에서의 뒤틀림양 ℓ'을 도시한다. 표 2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비교예 1에서 배향 방향의 열적 수축율은 18.5%로 실시예 1-4와 비교하여 매우 큰 뒤틀림양 ℓ'를 나타내었다.
5개의 샘플은 18.5 x 200mm의 개구부를 갖는 현상제 용기에 열 밀봉되었다.
실시예 1-4에 따른 찢는 실링 부재(G)의 경우에는 정확한 열 밀봉이 용이하게 수행되었지만, 비교예의 실링 부재는 정확한 열 밀봉이 용이하지 않았다. 따라서, 뒤틀림 제한을 위한 특정한 지그(jig)를 사용한 뒤틀림 제한 공정에 의해서만 정확한 밀봉이 가능하여 그로 인해서 제조 비용이 상승된다.
만약 열적 수축율이 배향 방향에서 1% 이상 10%이하이고 비배향 방향에서 0.1%이상 3%이하라면 열 밀봉 조작은 문제없이 용이하게 수행된다.
(실험 2)
실험 1과 비슷하게,3 개의 베이스 부재(A)는 커버 필름(K)으로서 120μm와 140μm의 두께를 갖는다. 두께가 20μm인 동일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실런트층(C)이 각각 건식 적층되었다. 비교예에서와 같이, 상술한 범위와의 비배향 방향에서의 파단 강도를 갖는 커버 필름 베이스 부재가 준비되었다.
명세는 다음과 같다.
[표 3]
4 개의 커버 필름과 제12도의 층 구조를 갖는 테어 테이프(T)를 함께 열 밀봉하여 실시예를 사용하는 찢는 실링 부재(G)와 비교예2의 하나의 실링 부재를 만들었다.
테어 테이프(T)는 실험 1에서와 같이, 두께가 38μm인 이축 배향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형태의 베이스 부재(B), 두께가 30μm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실런트층(D), 및 두께가 15μm인 마찰층으로서의 드론 나일론 층(drawn nylon layer)(N)으로 구성된다.
열 밀봉 조건은 115℃, 2.8kg/cm2, 및 3초이었다.
커버 필름(K)과 테어 데이프(T)의 크기는 실험 1에서와 동일하였다.
4 개의 찢는 실링 부재를 50cm의 개구부 폭을 갖는 현상제 용기(Y) 상에 열밀봉한 후, 압력 내구력이 측정되었다.
용기(Y)는 폴리스티렌 재료로 만들어졌고, 현상제 용기(Y)에 대한 열 밀봉조건은 140℃,5.0kg/cm2, 및 5.5초이었다.
열적 실 바(2)와 용기(Y)의 실링 표면 사이의 올바른 평형 상태를 확인 한후 열 밀봉 조작이 행해졌다.
압력 내구력 시험에서, 가장자리 구멍에서 커버 필름이 비배향 방향으로 찢어질 때까지 0.05kgf/cm2의 증가분으로 압력이 증가되었고, 5초동안 압력이 유지되었다.
그 결과가 표 4에 도시되어 있다.
[표 4]
표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압력 내구력은 비교예의 약1.4배이다.
현상제 용기 상에 4 개의 찢는 실링 부재를 열 밀봉한 후, 동일한 양의 현상제를 각각에 채우고, 각각을 초음파 결합을 통해 드럼 용기에 접합시켜 4 종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Z)를 만들었다.
카트리지(Z)를 동일한 방법으로 밀봉하여,150cm의 높이에서 낙하시켜 현상제 누출을 검사하였다.
한 곳의 코너,3 곳의 단부 및 6 곳의 표면의 순으로 낙하 시험이 행해졌다.
표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5-7에서는 어떠한 문제도 관찰되지 않았지만, 비교예 2에서는 커버 필름(K)이 단부에서 찢어져 현상제가 누출되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버 필름 베이스 부재(A)의 파단강도가 비배향 방향에서 1.5kg/mm이상 3kg/mm이하인 본 실시예에 따른 찢는 실링부재는 매우 강한 압력 내구력을 나타내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운반하는 동안의 낙하 충격시에도 현상제 누출을 방지한다.
특히, 넓은 개구부를 갖는 현상제 용기의 경우, 밀봉은 특히 효과적이다.
(실험 3)
두께가 120μm와 140μm인 3개의 베이스 부재(A)가 실험 1에서와 같이 커버 필름(K)으로서 준비되었다. 두께가 20μm인 동일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실런트 층(C)을 건식 적층하여 2 종류의 커버 필름(K)을 제조하였다.
비교예로서, 상술한 범위외에 평균 비중을 갖는 2 개의 커버 필름 베이스 부재가 제조되었다.
베이스 부재의 명세는 다음과 같다.
[표 5]
제12도의 층 구조를 갖는 4 개의 커버 필름과 테어 테이프(T)를 열 밀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 부재(G)와 비교예 3과 4의 실링 부재를 제조하였다.
테어 테이프(T)는 실험 1과 같이, 두께가 38μm인 이축 배향된 폴리에스테르필름의 베이스 부재(B), 두께가 30μm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실런트 층(D), 및 두께가 15μm인 완충층으로서의 드론 나일론 층(N)으로 구성되었다. 열 밀봉조건은 115℃, 2.8kg/cm2, 및 3초이었다.
커버 필름(K)과 테어 테이프(T)의 크기는 실험 1에서와 동일하였다.
4 종류의 찢는 실링 부재를 현상제 용기 상에 열 밀봉한 후, 이것을 잡아당겨 실링 부재를 제거하였다. 그 후, 접합 강도[180도 필링(peeling)], 선단과 종단 간의 테어링 폭 팽창, 및 테어링 안정성(보플 발생)을 측정하였다.
열 밀봉 조건은 실시예 5-7에서와 동일하였다.
그 결과가 표 6에 도시되어 있다,
[표 6]
표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 강도(180도 필링)와 폭 팽창은 4 개의 실링 부재에서 동일하다. 그러나, 테어링 안정성에 대해서는 비교예에서는 보플이 발생되는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아무런 보플도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커버 필름 베이스 부재(A)의 평균 비중이 0.6g/cc이상이고 0.9g/cc이하일 때 테어링 안정성이 보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찢는 실링 부재는 균형있는 필름 뒤틀림 특성, 테어링 특성 및 필름 강도를 가지며, 현상제 용기와 프로세스 카트리지도 동일한 것을 이용한다. 본 발명은 특히, 현상제 용기의 개구부 폭이 30cm이상 일때, 더욱 바람직하게는 50cm이상일 때 바람직하다.
0.6g/cc이상의 커버 필름 베이스 부재의 평균 비중에 의해, 커버 필름 베이스 부재가 완전한 필름의 형태를 갖추고 있으므로, 찢어진 부분에서의 보플의 발생이 방지되어 종방향 테어링을 보장한다.
1kg/mm이상의 커버 필름 베이스 부재의 파단 강도에 의해, 비배향 방향으로 쉽게 찢어지지 않으므로, 커버 필름이 종방향으로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현상제 용기에 가해진 낙하 및 충격에 의해 비배향된 방향으로 커버 필름이 찢어져 현상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커버 필름 베이스 부재의 열적 수축율은 소정의 범위로 한정되어 있고, 커버필름과 테어 테이프 간의 열 용착시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커버 필름과 테어 테이프로 구성되는 실링 부재가 정확하게 열 용착될 수 있다.
상술한 평균 비중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비배향 방향의 파단 강도와 열적수축율, 종방향 테어링 안정성, 압력 내구력 및 뒤틀림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제까지, 상술한 구조를 참조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세부 사항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청구 범위내에 속하는 모든 변형 또는 변화를 포함하려고 할 작정이다.

Claims (31)

  1. (2회 정정) 전자 사진(electrophotographic) 화상 형성 장치용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현상제 수납 용기의 공급 개구(supply opening)를 개봉 가능하게 밀폐하기 위한 찢는 실링 부재(tearable sealing member)에 있어서,
    상기 공급 개구를 밀폐하기 위한 일축 배향된(uniaxial oriented) 필름을 포함하는 실 필름(seal film), 및
    상기 실 필름의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가요성 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일축 배향된 필름의 평균 비중은 JIS K6758하에서 측정했을때 0.65g/cc 이상 0.8g/cc 이하이고, 상기 배향 방향에서의 열적 수축율은 15분 동안 120℃의 핫 에어 오븐(hot air oven)에서 가열한 후에 측정했을 때 1.0% 이상 10.0% 이하이며,
    상기 가요성 테이프를 당김으로써 상기 실 필름이 찢어지고, 상기 공급 개구가 개봉(ope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찢는 실링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축 배향된 필름은 일축 배향된 합성수지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찢는 실링 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축 배향된 필름은 일축 발포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찢는 실링 부재.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테이프의 인장 강도는 상기 실 필름의 인장 강도의 3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찢는 실링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테이프는 상기 실 필름의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부분과, 되접혀진 후에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실 필름의 다른면에 배치되는 제2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찢는 실링 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테이프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실 필름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찢는 실링 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테이프의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실 필름은 상기 가요성 테이프의 실런트층(sealant layer)과 상기 실 필름의 실런트층 사이에 열 용착에 의해서 서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찢는 실링 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테이프는 이축(biaxial) 배향된 폴리에스터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찢는 실링 부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 층은 폴리에틸렌 실런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찢는 실링 부재.
  10. (2회 정정)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용 현상 장치에 있어서,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개구를 갖고 있고 현상제를 수납하는 현상제용기,
    및 상기 공급 개구를 개봉 가능하게 밀폐하기 위한 찢는 실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찢는 실링 부재는 상기 공급 개구를 밀폐하기 위한 일축 배향된 필름을 포함하는 실 필름, 및 상기 실 필름의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가요성 테이프를 구비하며,
    상기 일축 배향된 필름의 평균 비중은 JIS K6758하에서 측정했을때, 0.65g/cc 이상 0.8g/cc 이하이고, 상기 배향 방향에서의 열적 수축율은 15분동안 120℃의 핫 에어 오븐에서 가열한 후에 측정했을때 1.0% 이상 10.0% 이하이며,
    상기 가요성 테이프를 당김으로써 상기 실 필름이 찢어지고 상기 공급 개구가 개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일축 배향된 필름은 일축 배향된 합성 수지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축 배향된 필름은 일축 발포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3. 제10항,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테이프의 인장 강도는 상기 실 필름의 인장 강도의 3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테이프는 상기 실 필름의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부분과, 되접혀진 후에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실 필름의 다른 면에 배치되는 제2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테이프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실 필름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테이프의 제1 부분과 상기 실 필름은 상기 가요성 테이프의 실런트 층과 상기 실 필름의 실런트 층 사이에 열 용착에 의해서 서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테이프는 이축 배향된 폴리에스터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층은 폴리에틸렌 실런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9. (2회 정정)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화상 베어링(bearing) 부재, 및 현상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 장치는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개구를 가지며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현상제 용기,및
    상기 공급 개구를 개봉 가능하게 밀폐하기 위한 찢는 실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찢는 실링 부재는 상기 공급 개구를 밀폐하기 위한 실 필름, 및
    상기 공급 개구를 밀폐하는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가요성 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찢는 실링 부재는 상기 공급 개구를 밀폐하기 위한 일축 배향된 필름을 포함하는 실 필름, 및
    상기 실 필름의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가요성 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일축 배향된 필름의 평균 비중은 JIS K6758하에서 측정했을때 0.65g/cc 이상 0.8g/cc 이하이고, 상기 배향 방향에서의 열적 수축율은 15분 동안 120 ℃의 핫 에어 오븐 (hot air oven)에서 가열한 후에 측정했을때 1.0% 이상 10.0% 이하이며, 상기 가요성 테이프를 당김으로써 상기 실 필름이 찢어지고, 상기 공급 개구가 개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대전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납용기에는 상기 현상제를 상기 현상제 수납용기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 포트 및 상기 현상제 수납 용기내의 현상제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일축 배향된 필름은 일축 배향된 합성 수지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일축 배향된 필름은 일축 발포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4. 제19항,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테이프의 인장 강도는 상기 실 필름의 인장 강도의 3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테이프는 상기 실 필름의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부분과, 되접혀진 후에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실 필름의 다른면에 배치되는제2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테이프의 제1 부분은 상기 실 필름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테이프의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실 필름은 상기 가요성 테이프의 실런트층(sealant layer)과 상기 실 필름의 실런트 층 사이에 열 용착에 의해서
    서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테이프는 이축(biaxal) 배향된 폴리에스터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 층은 폴리에틸렌 실런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0. (2회 정정) 기록 물질 위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a)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메인 어셈블리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장착 수단, 및
    b) 상기 기록 물질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화상 베어링 부재, 및
    현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 장치는 상기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개구를 가지며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현상제 용기, 및
    상기 공급 개구를 개봉 가능하게 밀폐하기 위한 찢는 실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찢는 실링 부재는 상기 공급 개구를 밀폐하기 위한 실 필름, 및
    상기 공급 개구를 밀폐하는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가요성 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찢는 실링 부재는 상기 공급 개구를 밀폐하기 위한 일축 배향된 필름을 포함하는 실 필름, 및 상기 실 필름의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가요성 데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일축 배향된 필름의 평균 비중은 JIS K6758하에서 측정했을때 0.65g/cc 이상 0.8g/cc 이하이고, 배향 방향에서의 열적 수축율은 15분 동안 120℃의 핫 에어 오븐 (hot air oven)에서 가열한 후에 측정했을때 1.0% 이상 10.0% 이하이며,
    상기 가요성 테이프를 당김으로써 상기 실 필름이 찢어지고, 상기 공급 개구가 개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31. (2회 정정)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착달 가능하며 현상 장치를 가진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현상제가 공급될 수 있는 공급 개구를 가지며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현상제 용기,
    평균 비중이 JIS K6758하에서 측정했을 때 0.65g/cc 이상 0.8g/cc 이하이며 상기 배향 방향에서의 열적 수축율이 15분 동안 120。C의 핫 에어 오븐에서 가열한 후에 측정했을 때 1.0% 이상 10.0% 이하인 일축 배향된 발포 수지 물질의 기재(base material)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 개구를 밀페하기 위한 실링 필름,
    상기 실링 필름을 찢기 위한 가요성 데이프로서, 상기 실링 필름상에 상기공급 개구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며 일단부가 단부 개구(end opening)를 통해서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연장되는 가요성 테이프, 및
    상기 현상제 용기로부터 현상제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 실링 부재로서, 상기 공급 개구의 에지(edge)를 따라 제공되며 상기 공급 개구가 제공되는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면에 압축 및 접촉되는 탄성 실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 필름은 상기 탄성 실링 부재에 대하여 활주가능(slidable)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KR1019940019578A 1993-08-10 1994-08-09 찢는실링부재,현상장치및프로세스카트리지 KR1001904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693393A JP3308671B2 (ja) 1993-08-10 1993-08-10 シール部材、現像剤容器、そして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93-216933 1993-08-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545A KR950006545A (ko) 1995-03-21
KR100190417B1 true KR100190417B1 (ko) 1999-06-01

Family

ID=16696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9578A KR100190417B1 (ko) 1993-08-10 1994-08-09 찢는실링부재,현상장치및프로세스카트리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09606A (ko)
EP (1) EP0638851B1 (ko)
JP (1) JP3308671B2 (ko)
KR (1) KR100190417B1 (ko)
CN (1) CN1059968C (ko)
DE (1) DE69419465T2 (ko)
HK (1) HK10120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3828A (en) * 1994-09-14 1996-06-04 De Kesel; Jan Seal for a toner cartridge assembly
GB2321219B (en) * 1994-05-11 1998-08-26 Jan De Kesel Seal for a toner cartridge assembly and a process of re-charging a toner cartridge using such a seal
GB2289238B (en) * 1994-05-11 1998-08-26 Kesel Jan De Seal for a toner cartridge assembly
US6552780B1 (en) * 1995-01-10 2003-04-22 Steven Bruce Michlin Flexible tear-seal; seal material and method for toner hopper compartment
JP3776958B2 (ja) 1995-09-11 2006-05-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トナー容器用蓋材フィルム及びトナー容器
US6097907A (en) * 1996-10-02 2000-08-01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container, process cartridge, developer sealing member and sealing method
JP3486551B2 (ja) * 1998-03-20 2004-01-1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6539187B2 (en) * 2001-07-10 2003-03-25 Jan De Kesel Tearable sealing member
US6782220B2 (en) * 2002-02-08 2004-08-24 Cf Technologies Sealing member for toner cartridge
JP2004013085A (ja) * 2002-06-11 2004-01-15 Canon Inc トナー容器
AU2003264313A1 (en) * 2003-09-09 2005-03-29 Zhiyun Huang An improved toner-cartridge sealing strip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347331B2 (ja) * 2005-11-08 2009-10-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DE102009041341A1 (de) * 2009-05-19 2010-11-25 Huhtamaki Forchheim Zweigniederlassung Der Huhtamaki Deutschland Gmbh & Co. Kg Leicht zu öffnende Verpackung
CN104678734B (zh) * 2013-12-02 2022-05-06 纳思达股份有限公司 处理盒的修复方法、修复后得到的处理盒及修复用的密封拉条
DE102015104086B4 (de) * 2015-03-18 2019-05-16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Pflegemittelkartusche
CN111405802A (zh) * 2020-04-17 2020-07-10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过线装置及电控盒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2385A (en) * 1975-03-14 1977-12-13 Eastman Kodak Company Toner handling apparatus
JPH0658569B2 (ja) * 1987-07-13 1994-08-03 コニカ株式会社 現像剤容器
JP2629945B2 (ja) * 1988-02-24 1997-07-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US5080745A (en) * 1990-05-29 1992-01-14 Leslie Paull Toner bin seal and sealing method
JP2584517Y2 (ja) * 1990-10-12 1998-11-05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
DE69103164T2 (de) * 1990-12-07 1995-03-09 Costa G Chitouras Verfahren zum wiederverschliessen einer toner-kartusche.
JP2989028B2 (ja) * 1991-03-20 1999-12-1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
US5585895A (en) * 1991-12-19 1996-12-17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with it
US5258814A (en) * 1992-06-10 1993-11-02 Davies Wilkins L Toner cartridge seal
US5335831A (en) * 1993-04-30 1994-08-09 Lexmark International, Inc. Insertable toner hopper sealing strip
JPH06324568A (ja) * 1993-05-17 1994-11-25 Fuji Xerox Co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38851B1 (en) 1999-07-14
JP3308671B2 (ja) 2002-07-29
JPH0756428A (ja) 1995-03-03
EP0638851A2 (en) 1995-02-15
HK1012050A1 (en) 1999-07-23
US5909606A (en) 1999-06-01
DE69419465D1 (de) 1999-08-19
DE69419465T2 (de) 1999-12-16
KR950006545A (ko) 1995-03-21
CN1105458A (zh) 1995-07-19
EP0638851A3 (en) 1995-08-23
CN1059968C (zh) 2000-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0417B1 (ko) 찢는실링부재,현상장치및프로세스카트리지
JP2989028B2 (ja) 現像剤容器
TWI554850B (zh) A developer storage container, a developer storage unit, a process cartridge, an electronic phase image forming apparatus
TWI488013B (zh) 顯影劑收納容器、顯影劑收納單元、處理匣、電子成相圖像形成裝置
US20130164039A1 (en) Developer accommodating containe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TWI516883B (zh) 顯影劑收納單元,處理匣及電子成相圖像形成裝置
EP2733543A1 (en) Developer storage containe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EP1783563B1 (en) Developer supply container with a shutter
JP2014149511A (ja) 現像剤収納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495916B2 (ja) シール部材及びトナー容器
JP4323852B2 (ja) トナー補給容器の製造方法
US20190113865A1 (en) Developer accommodating member, developer accommodating unit,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710385B2 (ja) トナー補給容器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571906B2 (ja) 現像剤補給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9897970B2 (en) Developer container,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2002833A (ja) 粉体収納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216098B2 (ja) イージーピールフィルム、現像剤収納容器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218485B2 (ja) 画像形成装置の現像剤容器
JP3165705B2 (ja) 現像剤収納容器及び現像剤収納容器用シール部材
JPH0339763A (ja) 現像剤供給容器
JPH07209976A (ja) トナー収納装置及び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814430B2 (ja) トナー補給容器
JPH08146745A (ja) 現像剤収納容器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376358B2 (ja) 現像剤補給容器
JP2003173075A (ja) 現像剤補給容器の製造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