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6363B1 -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6363B1
KR100186363B1 KR1019960046448A KR19960046448A KR100186363B1 KR 100186363 B1 KR100186363 B1 KR 100186363B1 KR 1019960046448 A KR1019960046448 A KR 1019960046448A KR 19960046448 A KR19960046448 A KR 19960046448A KR 100186363 B1 KR100186363 B1 KR 100186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landing
main network
recept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6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7617A (ko
Inventor
왕광식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60046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6363B1/ko
Priority to IDP973455A priority patent/ID19200A/id
Priority to SG1997003761A priority patent/SG67996A1/en
Priority to JP28483497A priority patent/JP3170233B2/ja
Priority to CN97122835A priority patent/CN1079366C/zh
Priority to US08/953,435 priority patent/US6062343A/en
Publication of KR19980027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6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63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주네트워크를 통해 승강기와 군관리 제어장치간에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시스템에서 통신 부하율을 경감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종래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제어장치에 있어서, 승강기의 수와 군관리 제어장치는 승강기 제어장치의 수와 비교해 볼때 상대적으로 차지하는 비중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통신수단이 강구되어 있지 않아 주네트워크의 통신부하율이 증가되는 결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승강장 제어장치(24A-24N), (25A-25N)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 주기 단위로 집적화 처리한 후 주네트워크(NETm)를 통해 승강장 군관리 제어장치(21)나 승강기(22A-22K) 측으로, 송출하고, 군관리 제어장치(21)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소정주기 단위로 집적화 처리한 후 부네트워크(NETS)를 통해 승강장 제어장치(24A-24N), (25A-25N)측으로 송신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제어장치에 대한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제어장치에 대한 블록도.
제3도는 제2도에서 승강장 데이타 집적장치의 상세 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수신데이타 처리 신호 흐름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타의 집적화 신호 흐름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승강장신호의 집적화 신호 흐름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주네트워크 점유도를 비교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a)는 데이타를 집적화 하지 않은 경우의 주네트워크 점유도.
(b)는 데이타를 집적화 처리한 경우의 주네트워크 점유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레코드의 포맷도.
제9도는 5층, 상방향, A종부름을 예로한 통신 레코드의 포맷도.
제10도는 승강장 제어장치에서 송신하는 통신데이타의 예시 설명도.
제11도는 제10도와 같은 통신데이타를 집적화 처리한 예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군관리 제어장치 22A-22K : 승강기
23 : 승강장 데이타 집적장치 23A,23F : 데이타 수신부
23B, 23G : 데이타 송신부 23C : 데이타 집적 관리부
23D : 수신데이타 테이블 23E : 데이타 집적관리 테이블
24, 25 : 승강장 열 24A-24N, 25A-25N : 승강장 제어장치
본 발명은 하나의 주네트워크를 통해 승강기와 군관리 제어장치간에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시스템에서 통신 부하율을 경감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네트워크와 승강장 네트워크사이에 승강장 데이타 집적장치를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승강장 제어장치에서 발생한 통신 데이타들을 취합하여 통신하는데 적당하도록한 엘리베이터의신호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군관리 제어장치와 복수의 승강기간의 신호 전송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된 다수의 승강기(12A-12K)의 운행상태를 종합관리하고, 이를 근거로 각 승강기(12A-12K)의 운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군관리 제어장치(11)와; 하나의 승강장열(14)의 구성요소로서 각 승강장의 버튼 및 램프 등을 제어하는 승강장 제어장치(14A-14N)와; 또 다른 승강장열(15)의 구성요소로서 각 승강장의 버튼 및 램프 등을 제어하는 승강장 제어장치(15A-15N)와; 상기 승강장 제어장치(14A-14N),(15A-15N)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처리하여 주네트워크(NETm)를 통해 상기 군관리 제어장치(11)나 승강기(12A-12K)측으로 송출하는 증폭기(13A)(13B)로 구성된 것으로 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군관리 제어장치(11)는 수용된 다수의 승강기(12A-12K)의 운행상태를 종합관리하고, 홀부름이 발생될 때 그 운행상태 정보를 근거로 승강기(12A-12K) 중에서 서비스하는데 최적의 상태에 있는 승강기가 어느 승강기인지를 평가하여 최적의 승강기를 선정한 후 해당 승강기로 하여금 서비스 운행을 수행하도록 한다.
승강장 열(14)이나 승강장 열(15)에서 발생되는 송신데이타는 증폭기(13A)나 증폭기(13B)를 통해 소정 레벨로 증폭된 후 주네트워크(NETm)를 통해 상기 군관리 제어장치(11)나 승강기(12A-12K)에 전송된다. 여기서, 주네트워크(NETm)란 군관리 제어장치(11) 및 승강기(12A-12K)가 데이타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말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하나의 주네트워크(NETm)를 통해 군관리 제어장치(11)와 승강장 제어장치(14A-14N),(15A-15N)간에 데이타 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 주기내에 주네트워크(NETm)를 이용하는 횟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되는데, 왜냐하면 특정 주기내에서 통신을 유발하는 노드의 수는 군관리 제어장치의 수+승강기의 수+승강장 열에 접속된 승강장 제어장치의 수가 되기 때문이다.
예로써, 승강기의 수를 4대로 하고, 완전 이중계로 구성된 군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승강장 제어장치의 수가 192개(3×64 : 승강장 열의 수가 3이고, 층수가 64인 경우)라면 특정 주기내에 주네트워크(NETm)를 이용할 가능성이 있는 노드의 수가 198개(2+4+192)가 된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 승강장 열의 수가 하나 추가되면 주네트워크(NETm)를 이용할 가능성이 있는 노드의 수가 64개 증가된다.
이와 같이 종래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제어장치에 있어서, 승강기의 수와 군관리 제어장치는 승강기 제어장치의 수와 비교해 볼때 상대적으로 차지하는 비중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통신수단이 강구되어 있지 않아 특정 주기내에 상당히 많은 수의 노드가 주네트워크를 이용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주네트워크의 통신부하율이 증가되는 결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장 제어장치에서 발생한 데이타들로 인하여 주네트워크가 점유되는 시간이 최소화 되도록 하기 위하여, 주네트워크와 승강장 네트워크사이에 승강장 데이타 집적장치를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승강장 제어장치에서 소정 주기내에 발생한 통신 데이타들을 취합하여 한번에 통신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제어 방법은 승강장이나 주네트워크로 부터 입력되는 데이타를 수신처리하여 승강장 수신테이블이나 주네트워크 수신테이블에 저장하는 제1과정(SA1-SA5)과; 기 설정된 집적주기에 도달될 때 승강장 수신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승강장 데이타를 층, 방향, 부름종류별로 취합하여 소정의 데이타 포맷으로 주네트워크측으로 송신하고, 군관리 제어장치나 승강기에서 송출되어 주네트워크 수신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를 소정의 포맷으로 집적화 처리하여 승강장 제어장치측으로 송신하는 제2과정(SB1-SB5)으로 이루어진다.
제2도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제어장치의 일실시 예시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된 다수의 승강기(22A-22K)의 운행상태를 종합관리하고, 이를 근거로 각 승강기(22A-22K)의 운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군관리 제어장치(21)와; 하나의 승강장열(24)의 구성요소로서 각 승강장의 버튼 및 램프 등을 제어하는 승강장 제어장치(24A-24N)와; 또다른 승강장열(25)의 구성요소로서 각 승강장의 버튼 및 램프등을 제어하는 승강장 제어장치(25A-25N)와; 상기 승강장 제어장치(24A-24N), (25A-25N)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 주기 단위로 집적화 처리한 후 주네트워크(NETm)를 통해 상기 군관리 제어장치(21)나 승강기(22A-22K)측으로 송출하고, 상기 군관리 제어장치(21)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소정 주기 단위로 집적화 처리한 후 부네트워크(NETs)를 통해 상기 승강장 제어장치(24A-24N), (25A-25N)측으로 송신하는 승강장 데이타 집적장치(23)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제3도 내지 제11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 승강장 제어장치(24A-24N), (25A-25N)로 부터 송신된 데이타들이 부네트워크(NETs)를 통해 승강장 데이타 집적장치(23)에 공급되면, 그 승강장 데이타 집적장치(23)에서는 제3도에서와 같이 데이타 수신부(23F)를 통해 수신처리되어 데이타 집적 관리부(23C)에 입력되고, 이때, 그 데이타 집적관리부(23C)는 제4도의 수신데이타 처리 신호 흐름도에 따라 입력데이타를 처리하여 수신데이타 테이블(23D)에 저장하게 된다.
이후, 데이타 집적관리 테이블(23E)의 주기가 될때, 상기 데이타 집적 관리부(23C)는 제5도의 데이타 집적 흐름도를 기동시켜 승강장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타가 집적화 된 후 데이타 송신부(23B)를 통해 주네트워크(NETm)측으로 송신된다.
한편, 군관리 제어장치(21)나 승강기(22A-22K)에서 송신된 데이타들이 상기 주네트워크(NETm)를 통해 상기 승강장 데이타 집적장치(23)에 공급되면, 이들은 데이타 수신부(23A)에 의해 수신처리되어 상기 데이타 집적 관리부(23C)에 입력되고, 이때, 그 데이타 집적 관리부(23C)는 제4도의 수신데이타 처리 신호 흐름도에 따라 입력데이타를 처리하여 수신데이타 테이블(23D)에 저장하게 된다.
이후, 데이타 집적관리 테이블(23E)의 주기가 될때, 상기 데이타 집적 관리부(23C)는 제5도의 데이타 집적 흐름도를 기동시켜 상기 군관리 제어장치(21)나 승강기(22A-22K)로 부터 수신된 데이타가 집적화 된 후 데이타 송신부(23G)를 통해 승강장 제어장치(24A-24N),(25A-25N)측으로 송신된다.
여기서, 상기 제4도의 수신데이타 처리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데이타 수신부(23A)나 데이타 수신부(23F)에 의해 데이타 수신 플래그가 설정(set)되어 있는지를 검사하여(SA1)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그대로 복귀하고, 설정되어 있으면 즉, 데이타가 수신되었으면 데이타 송신측이 승강장측인지 주네트워크(NETm)측인지를 판단한다. (SA2, SA4)
상기의 판단결과 데이타 송신측이 승강장측 즉, 승강장 제어장치(24A-24N),(25A-25N)측으로 판명되면 상기 데이타 집적 관리테이블(23E)에 저장된 각 노드의 영역의 크기를 이용하여 수신 데이타 테이블(23D)상에서 승강장 수신테이블의 기록위치를 결정하고, 해당 영역에 수신된 데이타를 저장한다.(SA3)
그러나, 상기의 판단결과 데이타 송신측이 주네트워크(NETm)측 즉, 군관리 제어장치(21)나 승강기(22A-22K)측으로 판명되면 상기 데이타 집적관리테이블(23E)에 저장된 각 노드의 영역의 크기를 이용하여 수신 데이타 테이블(23D)상에서 주네트워크 수신테이블의 기록위치를 결정하고, 해당 영역에 수신된 데이타를 저장한다.(SA5)
또한, 상기 제5도의 데이타 집적화 처리과정을 살펴보면, 데이타 집적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하여(SB1)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그대로 복귀하고, 설정되어 있으면 즉, 데이타 집적관리 테이블(23E)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집적주기에 도달되면 승강장 제어장치(24A-24N)나 승강장 제어장치(24A-24N)로 부터 송출되어 수신데이타 테이블(23D)상의 승강장 수신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를 후술할 소정의 포맷으로 집적화 처리하여(SB2)주네트워크(NETm)측으로 송신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군관리 제어장치(21)나 승강기(22A-22K)에서 송출되어 수신데이타 테이블(23D)상의 주네트워크 수신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를 소정의 포맷으로 집적화 처리한 후 부네트워크(NETs)를 통해 승강장 제어장치(24A-24N), (25A-25N)측으로 송신한다(SB4, SB5). 여기서, 부네트워크(NETs)는 승강장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한편, 제6도를 참조하여 상기 제5도의 2단계(SB2)에서 언급된 승강장 신호의 집적화 처리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단계(SC1)에서는 수신 데이타 테이블(23D)을 검색하기 위하여 데이타 번호를 초기화 처리한 후 제2단계(SC2)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 데이타 테이블(23D)의 모든 데이타에 대해 집적화 처리가 수행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조건이 성립하지 않으면 제5도의 3단계(SB3)로 복귀하고, 조건이 성립되면 제3단계(SC3)로 진행하여 분석중인 수신데이타의 층, 방향, 부름층을 추출한다.
이후, 제4단계 (SC4)에서는 현재 처리하고자 하는 층이 이미 통신 레코드에 등록된 층인지를 검사하여 등록되지 않은 층이면 제5단계(SC5)로 진행하여 제8도에서와 같이 통신레코드의 데이타 포맷에 맞추어 신규층 정보를 생성한다.
그러나, 상기의 검사결과 등록된 층이면 제6단계(SC6)로 진행한 다음 이미 등록된 층정보와 비교하여 방향이 같고 부름의 종류가 같은지를 검사하게 되는데, 그 결과 조건이 성립되면 데이타를 새로이 생성하지 않고 기 생성된 층 데이타에 부름종류의 비트만을 설정한다.
그런데, 상기 제6단계(SC6)의 검사결과 조건이 성립되지 않으면 상기 제5단계(SC5)를 수행하여 신규층 정보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 경우 승강장 제어장치(24A-24N),(25A-25N)로 부터 수신한 데이타의 수와 주네트워크(NETm)로 송신되는 데이타의 수를 비교할 때 하나가 줄어드는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레코드 구성의 일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즉, 승강장측에서 송출된 신호들을 데이타 집적 관리부(23C)가 수집하여 집적화 한 다음 주네트워크(NETm)측으로 송출되는 통신 레코드의 데이타 포맷을 보인 것이다.
상기 통신 레코드는 K개의 승강장 부름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각각의 부름 정보는 상위의 8byte중 2bit는 상,하로의 운행방향성을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나머지 6bit는 부름의 종류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하위의 1byte는 부름이 발생한 층의 번호를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상기에서 제시된 부름의 종류란 승강장에 설치된 홀버튼의 종류를 의미하는 것으로, 승강장에는 다양한 홀버튼이 설치된다. 대표적인 예로써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지상 1.5M 높이에 설치된 버튼과 휠체어를 탄 사용자가 사용하는데 적당하도록 지상 0.9M 높이에 설치된 버튼을 들 수 있다.
군관리 시스템에서 상기와 같이 부름의 종류를 구별하는 이유는 일반 사용자들이 버튼을 눌러 서비스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들이 대체적으로 빨리 승차하게 되지만, 휠체어를 탄 신체장애자와 같은 사용자들은 승차시간이 비교적 느리기 때문에 버튼의 종류에 따라 구별되는 제어를 수행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제9도는 5층으로 상방향의 A종 부름이 발생한 경우를 예로하여 보인 통신 데이타의 포맷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해 주네트워크(NETm)의 점유도가 종래에 비해 월등히 낮아지는 것을 예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정1 : 200㎳ 이내에 발생할 수 있는 최대 홀부름의 수가 6개
가정2 : 4개의 홀부름이 발생하였고 발생한 층이 3층 상방향, 6층 하방향, 9층 상방향, 12층 상방향
가정3 : 1회 통신 소요시간 10㎳
종래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각 승강장 제어장치에서 발생한 데이타들이 주네트워크(NETm)로 직접 송신되므로 제7도의 (a)에서와 같이 주네트워크(NETm)에서 200㎳ 이내에 승강장 제어장치에 의해 4번(40㎳)의 송신동작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과정에서 상기 데이타 집적 관리부(23C)에 의해 수신 데이타 테이블(23D)의 승강장 데이타 영역에 제10도와 같이 데이타가 기록되고, 제2과정에서는 상기 데이타 집적 관리 테이블(23E)에 기 저장된 집적주기가 될때 제10도의 테이블이 집적화 처리되어 제11도와 같은 통신 데이타 레코드가 생성되며, 제3과정에서는 상기와 같이 작성된 데이타가 송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는 경우 200㎳ 이내에 승강장 제어장치(24A-24N), (25A-25N)에 의한 통신 횟수는 제7도의 (b)와 같이 1회(10㎳)로 줄어든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네트워크와 승강장 네트워크사이에 승강장 데이타 집적장치를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승강장 제어장치에서 소정 주기내에 발생되는 신호를 소정의 레코드 형식으로 취합하여 한번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네트워크가 불필요하게 자주 점유되는 것이 방지되어 통신 부하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승강장이나 주네트워크로 부터 입력되는 데이타를 수신처리하여 승강장 수신테이블이나 주네트워크 수신테이블에 저장하는 제1과정과; 기 설정된 집적주기에 도달될 때 승강장 수신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승강장 데이타를 층, 방향, 부름종류별로 취합하여 소정의 데이타 포맷으로 주네트워크측으로 송신하고, 군관리 제어장치나 승강기에서 송출되어 주네트워크 수신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를 소정의 포맷으로 집적화 처리하여 승강장 제어장치측으로 송신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과정은 주네트워크 또는 승강장측으로 부터 데이타가 수신되는지를 체크하여 데이타 수신플래그를 설정하는 제1단계와; 수신된 데이타의 송신측이 승강장인지를 확인하여 수신된 데이타를 승강장 수신테이블에 저장하는 제2단계와; 수신된 데이타의 송신측이 주네트워크인지를 확인하여 수신된 데이타를 주네트워크 수신테이블에 저장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2과정은 수신 데이타 테이블을 검색하기 위해 데이타 번호를 초기화 처리한 후 분석중인 수신 데이타의 층, 방향, 부름층을 추출하는 제1단계와; 현재 처리하고자 하는 층이 이미 통신 레코드에 등록된 층이 아니거나, 등록된 층이지만 운행방향 및 부름종류가 만족되지 않으면 통신 레코드의 데이타 포맷에 맞추어 신규층 정보를 생성하는 제2단계와; 현재 처리하고자 하는 층이 이미 통신 레코드에 등록된 층이고, 이미 등록된 층과의 운행방향 및 부름종류가 만족되면 기 생성된 층 데이타에 부름종류의 비트만을 설정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져 승강장으로부터의 수신데이타를 집적화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제어방법.
  4. 수용된 다수의 승강기(22A-22K)의 운행상태를 종합관리하고, 이를 근거로 각 승강기(22A-22K)의 운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군관리 제어장치(21)와; 각 승강장열(24),(25)의 구성요소로서 해당 승강장의 버튼 및 램프 등을 제어하는 승강장 제어장치(24A-24N),(25A-25N)와; 상기 승강장 제어장치(24A-24N),(25A-25N)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 주기 단위로 집적화 처리한 후 주네트워크(NETm)를 통해 상기 군관리 제어장치(21)나 승강기(22A-22K) 측으로 송출하고, 상기 군관리 제어장치(21)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소정 주기 단위로 집적화 처리한 후 부네트워크(NETS)를 통해 상기 승강장 제어장치(24A-24N),(25A-25N)측으로 송신하는 승강장 데이타 집적장치(2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승강장 데이타 집적장치(23)는 상기 주네트워크(NETm), 부네트워크(NETs)를 각기 통해 공급되는 신호를 각기 수신처리하는 데이타 수신부(23A),(23F)와; 상기 주네트워크(NETm) 부네트워크(NET8)측으로 각기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를 각기 송신처리하는 데이타 송신부(23B),(23G)와; 상기 데이타 수신부(23A),(23F)를 통해 각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 데이타 테이블(23D)상의 해당 영역에 각기 저장한 후 데이타 집적관리 테이블에 기록된 집적주기에 도달될 때 그 수신데이타 테이블(23D)상의 해당 영역에 각기 저장된 데이타를 근거로 소정의 통신 데이타 포맷을 형성하여 상기 데이타 송신부(23B),(23G)측으로 송출하는 데이타 집적 관리부(23C)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 제어장치(24A-24N),(25A-25N)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처리하기 위한 증폭기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제어장치.
KR1019960046448A 1996-10-17 1996-10-17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186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448A KR100186363B1 (ko) 1996-10-17 1996-10-17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IDP973455A ID19200A (id) 1996-10-17 1997-10-16 Alat dan metoda penggunaan pengendali pengiriman/penerimaan data sistim pengaturan kelompok pada lift
SG1997003761A SG67996A1 (en) 1996-10-17 1997-10-16 Apparatus for controlling data transmitting/receiving of group management system of elevator and method using the same
JP28483497A JP3170233B2 (ja) 1996-10-17 1997-10-17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システムのデータ送受信制御方法
CN97122835A CN1079366C (zh) 1996-10-17 1997-10-17 控制电梯组管理系统的数据发送和接收装置及其使用方法
US08/953,435 US6062343A (en) 1996-10-17 1997-10-17 Apparatus for controlling data transmitting/receiving of group management system of elevator and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448A KR100186363B1 (ko) 1996-10-17 1996-10-17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617A KR19980027617A (ko) 1998-07-15
KR100186363B1 true KR100186363B1 (ko) 1999-04-15

Family

ID=19477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6448A KR100186363B1 (ko) 1996-10-17 1996-10-17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62343A (ko)
JP (1) JP3170233B2 (ko)
KR (1) KR100186363B1 (ko)
CN (1) CN1079366C (ko)
ID (1) ID19200A (ko)
SG (1) SG679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850B1 (ko) * 2001-07-27 200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6652A (ja) * 2000-01-28 2001-07-3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情報通信システム
JP4476413B2 (ja) * 2000-02-21 2010-06-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用通信装置
KR100440428B1 (ko) * 2000-03-30 2004-07-1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통신장치
KR20030001046A (ko) * 2001-06-28 2003-01-06 (주)동광알파 승강기 모니터링 및 호출 시스템
WO2008051217A1 (en) * 2006-10-24 2008-05-0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ross-dispatching system with inter group relative system response (irsr) dispatching
SG144027A1 (en) * 2006-12-21 2008-07-29 Inventio Ag Method and system for modernisation of a lift installation
US8662255B2 (en) * 2008-09-15 2014-03-04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passenger requests during an elevator system modernization
KR101280496B1 (ko) * 2008-09-15 2013-07-01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현대화 동안에 승객 요청들을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EP2450303B1 (en) * 2009-06-29 2016-03-1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renewal method
JP7443678B2 (ja) * 2019-01-30 2024-03-06 富士電機株式会社 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の通信方法
US11313165B2 (en) * 2019-01-30 2022-04-26 Fuji Electric Co., Ltd.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erminal device for integrating and transmitting data
EP3988489A1 (en) * 2020-10-21 2022-04-27 KONE Corporation Elevator communication system
CN113406919B (zh) * 2020-09-22 2022-03-25 河南嘉晨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一种安全操控设备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1086A (en) * 1982-01-29 1984-02-14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JPS624179A (ja) * 1985-06-28 1987-01-10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装置
GB2208731B (en) * 1987-08-12 1991-10-16 Hitachi Ltd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in elevator equipment
US4995479A (en) * 1988-03-09 1991-02-26 Hitachi, Ltd. Display guide apparatus of elevator and its display method
JP2509359B2 (ja) * 1990-03-01 1996-06-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信号伝送装置
US5357064A (en) * 1992-12-21 1994-10-1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hall call cross-cancellation device
US5389748A (en) * 1993-06-09 1995-02-14 Inventio Ag Method and apparatus for modernizing the control of an elevator group
US5854454A (en) * 1996-09-16 1998-12-29 Otis Elevator Company Message routing in control area network (CAN) protoc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850B1 (ko) * 2001-07-27 200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152268A (ja) 1998-06-09
CN1180647A (zh) 1998-05-06
JP3170233B2 (ja) 2001-05-28
CN1079366C (zh) 2002-02-20
US6062343A (en) 2000-05-16
KR19980027617A (ko) 1998-07-15
ID19200A (id) 1998-06-28
SG67996A1 (en) 1999-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6363B1 (ko)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EP1761451B1 (en) Elevator arrangement
TW357511B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w-cost high-speed data services
KR100427147B1 (ko) 승강기 제어 시스템용 통신 장치
CN1187455A (zh) 电梯控制系统的通信装置
CN1148311A (zh) 无线电通信系统
CN111039108A (zh) 一种电梯物联网应用中信号覆盖的方法
MY128869A (en) Group controlled elevator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elevators
US6533075B2 (en) Elevator group supervisory control system for processing hall call information
DE3035965A1 (de) Datenuebertragungssystem
CN110950199B (zh) 一种基于互联网的智能电梯远程调度系统
JP3170539B2 (ja) エレベータのリニユーアル方法
JP4824326B2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S59126351A (ja) 遠方監視制御方式
JP2009046284A (ja) 群管理エレベータのリニューアル方法
JPS58202633A (ja) 光空間伝搬ネットワ−クシステム
EP4046951A1 (en) Elevato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JP2650766B2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装置
KR960003013B1 (ko) 엘리베이터의 정보전송장치
KR920007367B1 (ko) 그루프(群)관리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
CN215207887U (zh) 电梯设备、电梯控制装置及电梯控制系统
JPH099354A (ja) 移動端末制御方式
MY115400A (en) Apparatus for efficiently managing a plurality of elevators
JPH07250380A (ja) 無線端末のグループ呼出システム
JPH02284529A (ja) 配電線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