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3111B1 - 테이프의 주행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테이프의 주행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3111B1
KR0183111B1 KR1019940020806A KR19940020806A KR0183111B1 KR 0183111 B1 KR0183111 B1 KR 0183111B1 KR 1019940020806 A KR1019940020806 A KR 1019940020806A KR 19940020806 A KR19940020806 A KR 19940020806A KR 0183111 B1 KR0183111 B1 KR 0183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reel
driving mode
hub
puls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0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758A (ko
Inventor
한재성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20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3111B1/ko
Priority to JP7210779A priority patent/JP2869363B2/ja
Priority to US08/518,460 priority patent/US5659435A/en
Publication of KR960008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3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31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54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by stroboscope; by tachome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93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driving condition of record carrier, e.g. travel, tape tension

Landscapes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테이프 구동장치의 제어방법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테이프의 주행을 센서없이 제어함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테이프 삽입시 허브 크기를 판별하는 과정과, 판별한 허브 크기에 따라 테이프의 마지막 위치에서 릴의 1회전에 대응되는 기준펄스수를 계산하는 과정과, 테이프 주행 모드를 수행하며 현재의 릴 회전 주파수를 검출하는 과정과, 현재 릴 펄스수와 기준펄스수를 비교하며, 현재의 릴 펄스수가 작을시 테이프 주행을 위해 주행모드를 반복하는 과정과, 비교과정에서 현재의 릴 펄스수가 기준펄스수가 클시 테이프의 정지 위치로 판단하고 테이프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 대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테이프의 구동장치에서 센서없이 테이프의 마지막 위치를 검출하여 테이프의 주행을 정지시킴.

Description

테이프의 주행 제어방법
제1a도 및 제1b도는 종래의 테이프 구동장치에서 테이프의 시작 및 끝을 감지하는 센서들의 구성도.
제2도는 종래의 테이프 구동장치의 데크 취부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테이프의 시작 및 끝을 감지하는 장치의 구성도.
제4a도 및 제4b도는 릴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 및 반사판의 구성도.
제5도는 공급 릴과 감기 릴의 회전 주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라 테이프의 시작 및 끝을 감지하여 테이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1실시예의 흐름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라 테이프의 시작 및 끝을 감지하여 테이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2실시예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부 20 : 데크
21, 22 : 반사판 23 : 로딩센서
24 : 허브센서 31, 32 : 릴센서
41 : 캡스턴서보
본 발명은 테이프 구동장치의 테이프 주행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이프의 주행모드에 따른 릴의 회전주기를 분석하여 테이프의 시작 및 마지막 위치에서 테이프의 주행을 정지시킬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VCR(Video Cassette Recoder)등과 같은 테이프 구동장치에서는 테이프의 시작과 마지막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센서들을 사용하고 있다. 제1a도는 VCR에서 테이프의 시작 위치와 마지막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들의 구성으로서, 테이프의 중앙위치에서 카세트센서를 위치시키고, 공급 릴(supply reel) 측에 시작센서(start sensor)를 위치시키는 동시에 감기 릴(take up reel) 측에 끝센서(end sensor)를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제1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디오 테이프는 영상신호 등을 기록하는 자화 영역은 불투명하고, 그 이외의 테이프 영역은 투명한 리드 영역이 된다. 따라서 상기 비디오 테이프의 시작과 끝은 리드(lead) 영역이 된다.
상기 테이프의 시작과 끝을 감지하는 종래의 장치는 상기 제1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세트센서를 발광수단으로 구성하고, 시작센서 및 끝센서는 수광수단으로 구성하며 이들 두 센서들의 출력단을 시스템 제어부 측에 연결한다. 상기 카세트센서는 항상 발광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일단 테이프가 주행되면, 상기 시작센서 및 끝센서는 테이프의 자화영역 또는 리드영역에 따라 각각 다른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테이프가 자화영역에 있으면 상기 카세트센서에서 발생되는 광신호는 테이프에 의해 차단되며, 이로인해 상기 시작센서 및 끝센서는 오프되어 제어부로 Vcc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는 테이프의 주행을 제어한다. 그러나 상기 테이프가 리드영역에 있으면 상기 카세트센서에 발생되는 광신호는 테이프를 통해 상기 시작센서 및 끝센서로 공급되며, 이로인해 상기 시작센서 및 끝센서는 온되어 제어부로 접지전원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는 감지한 센서에 의해 테이프의 위치가 시작 또는 끝의 위치임을 인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테이프의 시작 및 끝 위치를 검출하는 종래의 장치에서는 3개의 센서를 사용하여야 하며, 이로인해 제품 원가의 상승요인이 되고 작업 공정을 복잡하게 했던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테이프 구동장치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들의 취부 위치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에서 상부 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취부되는 인쇄회로기판에 데크를 결합하는 경우, 센서들의 취부 위치에 의해 데크와의 조립성이 저하되어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프 구동장치에서 테이프 주행 모드에 따라 릴의 회전 주기를 분석하여 테이프의 시작 위치와 끝 위치를 검출하여 테이프의 주행을 정지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테이프 구동장치에서 허브의 크기를 판별하고 판별된 허브에 따른 릴의 회전 주기를 분석하여 테이프의 시작 위치 및 마지막 위치를 판별한 후 테이프의 주행을 정지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테이프 구동장치에서 허브 크기에 따른 테이프의 마지막 위치의 릴 회전주기를 테이블화하여 저장하고, 테이프 주행 모드시 릴의 회전주기를 저장중인 회전주기와 비교하면서 테이프의 시작 위치 및 마지막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테이프 구동장치에서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허브크기에 따른 릴의 회전주기를 결정하고, 테이프 주행 모드시 결정된 릴 회전주기신호와 현재의 릴 회전주기신호를 비교하면서 테이프의 시작 위치 및 마지막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테이프 주행 제어방법은, 테이프 삽입시 허브 크기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판별한 허브 크기에 따라 테이프의 마지막 위치에 릴의 1회전에 대응되는 기준펄스수를 계산하는 과정과, 테이프 주행모드를 수행하며 현재의 릴 회전 주파수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릴 회전주파수와 기준 회전주파수를 비교하며, 현재의 릴 회전주파수가 작을시 테이프 주행을 위해 상기 주행모드를 반복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현재의 릴회전주파수가 기준 회전주파수가 클시 테이프의 정지 위치로 판단하고 테이프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 대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중 동일한 부품들은 가능한한 어느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 테이프의 허브(HUB)에 따른 릴 회전 주파수의 값 등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테이프의 마지막 위치라는 용어는 테이프의 주행 방향에 따라 정방향 주행모드시 테이프의 끝 부분을 나타내며 역방향 주행모드시 테이프의 시작 부분을 나타낸다. 또한 허브라는 용어는 테이프의 용량에 따라 카세트의 중앙에 테이프가 감기지 않은 부분을 나타낸다. 따라서 테이프의 허브가 크다는 의미는 테이프의 용량이 작은 것(테이프가 적게 감긴 것)을 의미한다. 제1허브는 반경이 31.02mm인 허브를 나타내며, 제2허브는 반경이 13.06mm인 허브를 나타낸다. PT는 릴의 1회전 당 캡스턴 모터의 주파수 발생기(frequency generator)의 펄스 수가 된다. 따라서 상기 PT는 테이프 주행 모드에서 릴의 회전주파수를 의미한다.
데크(deck)는 반사판 21 및 22, 로딩센서(loading sensor)23, 허브센서(hub sensor)24를 포함한다. 상기 반사판 21은 공급릴에 장착되며 상기 공급릴과 같이 회전된다. 상기 반사판 22는 감기릴에 장착되며 상기 감기릴과 같이 회전된다. 상기 반사판21 및 22는 제4b도와 같이 불투명한 부분과 투명한 부분으로 나뉘어 이루어지며, 제4a도와 같이 후술하는 릴센서31 및 32의 발광수단 및 수광수단에 의해 감지된다. 상기 로딩센서23은 상기 데크내에 위치되며, 테이프가 삽입되어 로딩 완료될 시 온되어 로딩감지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로딩센서 23은 마그네트 스위치로 구현할 수 있다. 허브센서 24는 로딩된 테이프의 허브 크기를 감지하여 출력한다. 릴센서31 및 32는 제4a도와 같이 발광부와 수고아부로 구성되며,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는 반사판21 및 22의 회전에 따른 펄스 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릴센서31 및 32의 출력 펄스 신호는 릴의 회전신호가 된다. 캡스턴 서보41은 테이프의 주행 및 속도를 제어한다.
제어부10은 상기 각 구성 소자들의 출력을 수신한다. 상기 제어부10은 테이프의 시작 및 끝 위치를 검출한다. 상기 제어부10은 본 발명의 프로그램 및 릴의 회전주파수 정보들을 테이블화하여 저장하는 롬과,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타를 일시 저장하는 램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허브 크기에 따라 릴의 회전 주파수를 산출하기 위한 제1신경회로망 및 제2신경회로망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10은 테이프의 주행 모드시 상기 허브센서24로부터 테이프의 허브 크기를 판별한 후 판별한 허브 크기에 따른 기준회전주파수를 산출하고, 이후 테이프 주행모드를 수행하면서 현재의 릴 회전 주파수를 검출하여 기준 회전주파수를 비교하며, 현재의 릴 회전주파수가 작을시 테이프 주행을 위해 주행모드를 반복하고, 현재의 릴 회전주파수가 기준 회전주파수보다 클시 테이프의 정지 위치로 판단하고 테이프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 대기한다.
제4a도는 릴센서31 및 32와 반사판 21 및 22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제4b도는 반사판21 및 22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제5도는 테이프의 허브 크기와 릴의 회전 주파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라 테이프의 시작 위치 및 끝 위치를 검출하여 테이프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1실시예의 흐름도로서, 테이프 삽입시 허브 크기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판별한 허브 크기에 따라 테이프의 마지막 위치에서 릴의 1회전에 대응되는 기준펄스수를 계산하는 과정과, 테이프의 주행 모드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주행모드 검사과정에서 정상 주행 모드일 시 정상 주행 모드를 수행하며 현재의 릴 회전 주파수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릴 회전주파수와 기준 회전주파수를 비교하며, 현재의 릴 회전주파수가 작을시 테이프 주행을 위해 상기 주행모드를 반복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현재의 릴 회전주파수가 기준 회전주파수가 클시 테이프의 정지 위치로 판단하고 테이프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주행모드 검사과정에서 고속 주행 모드일 시 고속 주행 모드를 수행하며 테이프의 잔여 주행 시간이 설정된 시간까지 반복하는 과정과, 상기 테이프 잔여 주행 시간이 설정 시간일 시 정상 주행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정상 주행 모드로 진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제7도는 허브 크기에 따른 제1신경회로망 및 제2신경회로망을 구비하여 테이프의 시작 위치 및 끝 위치를 검출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흐름도로서, 테이프 삽입시 신경회로망의 변수인 전체시간 및 (전체시간)2을 계산하는 과정과, 허브의 크기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판별과정에서 제1허브일 시 제1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상기 계산한 변수들로 제1허브에 대한 테이프의 마지막 위치에서 릴의 1회전에 대응되는 기준펄스 수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판별과정에서 제2허브일시 제2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상기 계산한 변수들로 제2허브에 대한 테이프의 마지막 위치에서 릴의 1회전에 대응되는 기준펄스 수를 따라 테이프의 마지막 위치에서 릴의 1회전에 대응되는 기준펄스 수를 계산하는 과정과, 테이프의 주행모드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주행모드 검사과정에서 정상 주행 모드일 시 정상 주행 모드를 수행하며 현재의 릴 회전 주파수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릴 회전주파수와 기준 회전주파수를 비교하며, 현재의 릴 회전주파수가 작을시 테이프 주행을 위해 상기 주행모드를 반복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현재의 릴 회전주파수가 기준 회전주파수가 클시 정지 위치로 판단하고 테이프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주행모드 검사과정에서 고속 주행 모드일 시 고속 주행 모드를 수행하며 테이프의 잔여 주행 시간이 설정된 시간까지 반복하는 과정과, 상기 테이프 잔여 주행 시간이 설정 시간일 시 정상 주행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정상 주행 모드로 진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의 테이프 주행 제어 동작을 살펴본다.
테이프의 주행 모드는 정방향 주행모드와 역방향 주행모드가 있고, 릴은 테이프를 공급하는 공급릴과 공급되는 테이프를 감는 감기릴리 있다. 여기서는 편의상 정상 주행 모드에서의 동작으로 본 발명의 테이프 주행 제어 동작을 살펴본다.
먼저 상기 테이프의 허브 크기는 테이프의 자화영역의 길이에 따라 각각 다르다. 다시 말하면 테이프의 길이는 테이프의 재생시간을 다르게 한다. 따라서 재생 시간이 긴 테이프인 경우에는 테이프의 허브 크기는 작게 되며, 재생 시간이 작은 테이프인 경우에는 테이프의 허브 크기는 크게된다. 일반적으로 VHS 규격의 테이프에서 상기 허브 크기는 반경이 31.02mm와 13.06mm인 2가지를 사용한다. 여기서 31.02mm의 반경을 갖는 허브를 제1허브라 칭하고, 13.06mm의 반경을 갖는 허브를 제2허브라 칭한다.
상기 허브의 크기에 따라 마지막 위치에서 회전되는 릴의 회전시간이 다르게 된다. 즉, 제1허브의 크기를 갖는 테이프의 릴 회전시간은 제2허브크기를 갖는 테이프의 릴 회전시간보다 훨씬 길다.
상기와 같은 기준데이타를 이용하여 테이프의 주행을 제어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일반적으로 VCR에서 테이프를 주행시킬 때 캡스턴 모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릴측의 회전은 안정된 회전을 보인다. 그러나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릴 측의 회전 주기는 테이프의 길이에 따라 변하게 된다. 즉,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스턴 모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릴의 회전 주기는 릴에 감긴 테이프의 양에 따라 변하게 된다. 이때 릴에 감긴 테이프의 양은 허브의 중심에서의 반지름r과 같다. 상기 제3도는 전체 테이프가 모드 감기 릴 측에 감겼다고 가정한 경우로서, 동일한 테이프가 사용되면 테이프의 마지막 위치에서의 감기 릴 측의 회전 주기는 항상 일정하다. 또한 상기 제3도와 반대로 공급 릴 측에 테이프가 모두 감긴 경우에는 공급 릴의 회전 주기가 항상 일정하게 된다.
릴의 정확한 회전 주기를 검출하는 방법은 릴의 하부에 제4b도와 같은 반사판22, 23을 부착하고, 상기 반사판22, 23이 1회전하는 동안 캡스턴 모터의 주파수발생기(frequency generator) 출력을 계수한다. 즉, 상기 캡스턴 모터는 테이프의 주행을 제어하는 모터로서, 캡스턴 모터의 주파수 발생기는 테이프의 주행에 따른 구형 펄스(FG 펄스)를 발생한다. 따라서 제어부10가 상기 반사판22, 23의 구간 갯수를 알면, 릴센서31,32로부터 릴의 회전에 따른 펄스 수를 카운트하여 릴의 1회전을 알 수 있고, 릴의 1회전 동안의 캡스턴 모터의 주파수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FG 펄스 수도 카운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릴의 1회전 당 캡스턴 모터의 FG펄스 수를 PT라 칭한다.
상기 PT는 테이프의 마지막 위치 부분에서 테이프의 전체시간에 의존적이므로, 각 테이프의 종류별에 따른 마지막 위치에서 PT를 측정한 후, 측정 부분을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학습시킨다면 측정하지 않은 임의의 길이를 갖는 테이프가 사용되더라도 신경회로망에 의해 결정된 함수 추정으로 정확한 테이프의 마지막 부분에서의 PT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런 방법을 위해서는 각각 길이가 다른 테이프의 전체시간을 알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데, 이는 이미 상용 VCR에서 채용되고 있는 기능이다.
VHS 규격의 2개 허브 크기에 대한 각 시간별로 테이프의 마지막 위치에서 측정한 PT는 하기의 표1 및 표2와 같다.
상기 표1과 같은 제1허브의 데이타 및 표2와 같은 제2허브의 데이타를 신경회로망에 학습시키면 하기 표3 및 표4와 같은 데이타를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전체시간)2은 신경회로망의 입력 정보의 향상을 위해 추가한 항목이 된다.
여기서 상기 제1허브의 경우, 학습시키지 않은 데이타를 제1신경회로망에 입력시킨 결과 T-45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체시간이 47, (전체시간)2이 2209, PT가 7980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실제 T-45 테이프를 VCR에서 동작시킨 결과는 테이프의 마지막 위치에서 PT가 7981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서도 실제 VCR에서 동작시킨 결과와 동일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의 마지막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기준PT를 결정하는 방법은 상기 표1 및 표2와 같은 테이블(look up table)을 참조하여 PT를 설정하는 방법 및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PT를 설정하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상기 표1과 표2와 같이 VCR에서 테이프의 주행시간을 측정하여 설정한 PT들을 테이블화하여 이를 토대로 테이프의 마지막 위치를 판단하며, 제2실시예는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기준PT를 설정한 후 이를 토대로 테이프의 마지막 위치를 판단한다.
먼저 제6도를 참조하여 제1실시예의 동작을 살펴본다.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허브의 크기에 따라 상기 표1과 같은 제1허브테이블 및 상기 표2와 같은 제2허브테이블을 저장하며, 테이프 주행 모드가 수행되는 상태에서 현재의 릴 회전 주파수를 검출한 후 상기 허브테이블의 기준PT와 비교하면서 테이프의 마지막 위치를 판별한다. 상기 제1실시예의 동작은 먼저 테이프가 삽입되어 로딩완료되면, 상기 로딩센서23은 온되어 상기 제어부10으로 로딩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은 611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613단계에서 VCR에서 주행하는 전체시간을 계산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은 615단계에서 허브센서24의 출력을 수신하여 테이프의 허브 크기를 판별한다. 상기 허브센서24는 상기 로딩된 테이프의 허브 크기를 검출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10은 이 출력으로부터 로딩된 테이프가 제1허브 크기인지 또는 제2허브크기인지를 분석하게 된다. 상기 615단계에서 삽입된 테이프의 허브 크기가 제1허브인 경우에는 617단계에서 상기 표1과 같은 제1허브테이블에서 기준PT를 계산한다. 그리고 상기 615단계에서 삽입된 테이프가 제2허브를 갖는 경우에는 619단계에서 상기 표2와 같은 제2허브테이블에서 기준PT를 계산한다.
이후 621단계에서 주행모드를 검사하는데, 주행모드에는 재생모드(play mode) 및 탐색모드(search mode)와 같은 정상 주행모드 및 고속 정방향모드(fast forward mode:FF) 및 고속 역방향모드(rewind mode:REW)가 있다.
상기 621단계에서 정상 주행모드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부10은 623단계에서 캡스턴서보41을 제어하여 정상 주행모드를 수행하며, 625단계에서 릴센서31,32로부터 수신되는 펄스를 수신하여 현재의 PT를 계산한다. 상기 릴 펄스를 수신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제4b도와 같이 구성되는 반사판21 및 22는 상기 릴들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21 및 22는 제4a도와 같이 릴센서31 및 32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반사판21 및 22가 회전하면, 상기 릴센서31 및 32는 상기 반사판21 및 22의 투명부분과 불투명 부분이 위치될 때마다 펄스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릴 펄스를 카운트하여 1회전 주기의 소요시간을 측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정방향 주행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10은 릴센서32로부터 출력되는 감기릴의 회전 펄스를 수신한다.
상기와 같이 현재의 PT를 계산한 후, 제어부10은 627단계에서 계산된 현재의 PT와 테이블로 부터 리드한 기준PT를 비교한다. 이때 현재의 PT가 기준PT보다 작은 경우에는 아직 주행할 테이프가 남아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623단계로 되돌아가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위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면 테이프의 마지막 위치로 접근하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현재의 PT와 기준PT가 같아지거나 또는 상기 현재의 PT가 기준PT보다 커지는 시점이 되면, 상기 제어부10은 617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629단계에서 상기 캡스턴서보41을 제어하여 테이프의 주행을 정지시키고, 다음 키 입력을 대기한다.
또한 상기 주행모드가 고속 주행모드인 경우, 제어부10은 621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631단계에서 고속 주행모드를 수행한다. 이때 FF모드나 REW에서는 테이프의 주행이 고속으로 수행되어 PT를 계산할 수 없다. 따라서 고속 주행모드에서는 테이프의 주행 잔량이 일정시간 이하가 되면 정상 주행모드로 전환하여 PT를 계산한다. 여기서 잔여 설정 시간을 5분이라고 가정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은 고속 주행모드시 631단계 및 633단계를 수행하여 주행잔여시간이 5분이 될 때까지 고속 주행모드를 반복수행한다. 그리고 테이프의 주행 잔여시간이 5분으로 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은 633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635단계에서 탐색모드로 전환한 후 637단계에서 단색화면(blue 화면)으로 처리하며, 상기 623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탐색모드는 정상 주행모드로서, 4배속으로 화면을 탐색하는 모드에서는 PT를 산출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이 고속 주행모드에서 정상 주행모드로 천이되면, 상기 제어부10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현재의 PT를 산출하고, 산출한 PT와 기준PT를 비교하여 마지막 위치의 테이프인가를 검사하면서 테이프의 주행을 제어한다.
두번째로 제7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학습된 신경회로망을 제어부10이 프로그램으로 작성하는 방법과, 신경회로망의 입력인 전체시간을 1분 간격으로 하여 해당하는 PT를 쌍으로 하는 테이블을 구한 후, 이를 저장하여 수행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테이프 주행 모드가 수행되는 상태에서 신경회로망을 통해 기준PT를 구한 후, 현재의 릴 회전 주파수를 검출한 후 상기 기준PT와 비교하면서 테이프의 마지막 위치를 판별한다.
상기 제2실시예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테이프가 삽입될 시 714단계에서 삽입된 테이프의 전체시간 및 (전체시간)2을 계산한다. 그리고 716단계에서 허브의 크기를 판별한다. 이때 판별된 허브의 크기가 제1허브일 시 718단계에서 제1신경회로망 루틴을 이용하여 제1허브의 기준PT를 계산한다. 그리고 판별된 허브의 크기가 제2허브일 시 720단계에서 제2신경회로망루틴을 이용하여 제2허브의 기준PT를 계산한다. 여기서 상기 제1신경회로망 루틴을 이용하여 판별된 기준PT는 상기 표3과 같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2신경회로망 루틴을 이용하여 판별된 기준PT는 상기 표4와 같이 이루어진다.
이후의 722단계-738단계 동작은 상기 제1실시예의 동작과 동일하게 수행된다. 즉, 상기와 같이 기준PT를 계산한 후, 테이프가 주행되면 PT를 계속 관찰하면서 상기 기준PT와 비교하며, 기준PT와 같아지거나 커지는 시점에서 테이프의 마지막 위치로 판단하여 테이프의 주행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FF모드 및 REW모드에서는 PT를 측정할 수 없으므로, 주행 잔여시간이 5분이 되는 시점에서 탐색모드로 전환시킨 후 위와 같은 테이프 주행 제어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주행 제어방법은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테이프의 시작과 끝 위치에서 테이프의 주행을 정지시킬 수 있으며, 또한 테이프의 허브 크기에 따라 각각 안정된 테이프 주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허브 크기에 따른 테이프의 마지막 위치에서 릴의 회전에 대응되는 기준펄스수를 테이블화하여 저장하는 테이프 구동장치의 테이프 주행 제어방법에 있어서, 테이프 삽입시 허브 크기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판별한 허브 크기에 따라 테이프의 마지막 위치에서 릴의 1회전에 대응되는 기준펄스수를 계산하는 과정과, 테이프 주행모드를 수행하며 현재의 릴 회전 주파수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릴 펄스수와 기준펄스수를 비교하며, 현재의 릴 펄스수가 작을시 테이프 주행을 위해 상기 주행모드를 반복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현재의 릴 펄스수가 기준펄스수보다 클시 테이프의 정지위치로 판단하고 테이프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 대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주행 제어방법.
  2. 허브 크기에 따른 테이프의 마지막 위치에서 릴의 회전에 대응되는 기준펄스수를 테이블화하여 저장하는 테이프 구동장치의 테이프 주행 제어방법에 있어서, 테이프 삽입시 허브 크기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판별한 허브 크기에 따라 테이프의 마지막 위치에서 릴의 1회전에 대응되는 기준펄스 수를 상기 테이블에서 억세스하는 과정과, 테이프의 주행 모드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주행모드 검사과정에서 정상 주행 모드일 시 정상 주행 모드를 수행하며 현재의 릴 회전 주파수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릴 펄스수와 기준펄스수를 비교하며, 현재의 릴 펄스수가 작을시 테이프 주행을 위해 상기 주행모드를 반복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현재의 릴 펄스수가 기준펄스수가 클시 테이프의 정지 위치로 판단하고 테이프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주행모드 검사과정에서 고속 주행 모드일 시 고속 주행 모드를 수행하며 테이프의 잔여 주행 시간이 설정된 시간까지 반복하는 과정과, 상기 테이프 잔여 주행 시간이 설정 시간일 시 정상 주행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정상 주행 모드로 진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주행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정상 주행 모드가 재생 모드 및 탐색 모드이고, 고속 주행 모드가 고속 정방향 주행 모드 및 고속 역방향 주행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주행 제어방법.
  4. 허브 크기에 따른 제1신경회로망 및 제2신경회로망을 구비하는 테이프 구동장치의 테이프 주행 제어방법에 있어서, 테이프 삽입시 신경회로망의 변수인 전체시간 및 (전체시간)2을 계산하는 과정과, 허브의 크기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판별과정에서 제1허브일 시 제1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상기 계산한 변수들로 제1허브에 대한 테이프의 마지막 위치에서 릴의 1회전에 대응되는 기준펄스 수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판별과정에서 제2허브일 시 제2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상기 계산한 변수들로 제2허브에 대한 테이프의 마지막 위치에서 릴의 1회전에 대응되는 기준펄스 수를 따라 테이프의 마지막 위치에서 릴의 1회전에 대응되는 기준펄스 수를 계산하는 과정과, 테이프의 주행모드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주행모드 검사과정에서 정상 주행 모드일 시 정상 주행 모드를 수행하며 현재의 릴 회전 주파수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릴 펄스수와 기준펄스수를 비교하며, 현재의 릴 펄스수가 작을시 테이프 주행을 위해 상기 주행모드를 반복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현재의 릴 펄스수가 기준펄스수가 클시 테이프의 정지 위치로 판단하고 테이프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주행모드 검사과정에서 고속 주행 모드일 시 고속 주행 모드를 수행하며 테이프의 잔여 주행 시간이 설정된 시간까지 반복하는 과정과, 상기 테이프 잔여 주행 시간이 설정 시간일 시 정상 주행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정상 주행 모드로 진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주행 제어방법.
KR1019940020806A 1994-08-23 1994-08-23 테이프의 주행 제어방법 KR0183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0806A KR0183111B1 (ko) 1994-08-23 1994-08-23 테이프의 주행 제어방법
JP7210779A JP2869363B2 (ja) 1994-08-23 1995-08-18 テープの走行制御方法
US08/518,460 US5659435A (en) 1994-08-23 1995-08-23 Method for controlling tape run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0806A KR0183111B1 (ko) 1994-08-23 1994-08-23 테이프의 주행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758A KR960008758A (ko) 1996-03-22
KR0183111B1 true KR0183111B1 (ko) 1999-04-15

Family

ID=19390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0806A KR0183111B1 (ko) 1994-08-23 1994-08-23 테이프의 주행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659435A (ko)
JP (1) JP2869363B2 (ko)
KR (1) KR01831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8915B1 (ko) * 1996-06-27 1999-09-01 윤종용 비디오 테이프의 시작 및 끝부분 검출방법
US5801893A (en) * 1996-07-01 1998-09-01 Ford Motor Company Method for adaptively detecting tapewrap in cassette tape player
JP3112252B2 (ja) * 1996-09-06 2000-11-27 船井電機株式会社 リールセンサおよび終始端検出装置
JP2000268444A (ja) * 1999-03-17 2000-09-29 Mitsubishi Electric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
KR100378806B1 (ko) * 2000-07-07 2003-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브이씨알의 주행 제어방법
KR20170009018A (ko) 2015-07-15 2017-01-25 김윤혁 낚시채비
KR101753375B1 (ko) 2015-07-15 2017-07-04 김윤혁 낚시채비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낚시채비 제조방법 및 이들에 의해 제조된 낚시채비
KR101956441B1 (ko) 2017-02-17 2019-03-08 김윤혁 낚시바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0258A (ja) * 1982-08-12 1984-02-17 Sony Corp テ−プリ−ル駆動装置
JPS6313155A (ja) * 1986-07-02 1988-01-20 Mitsubishi Electric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の頭出し機溝
US4866547A (en) * 1988-04-01 1989-09-12 Rodal David R Circuit for detecting the end of a tape by counting reel revolutions
US5309300A (en) * 1991-08-06 1994-05-03 R-Byte, Inc. Beginning/end of tape detection system
JPH05250348A (ja) * 1992-03-06 1993-09-28 Sony Corp パターン認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869363B2 (ja) 1999-03-10
US5659435A (en) 1997-08-19
JPH08171751A (ja) 1996-07-02
KR960008758A (ko)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3111B1 (ko) 테이프의 주행 제어방법
KR100253152B1 (ko) 테이프의 주행 제어 장치 및 방법
KR0162609B1 (ko) 테이프 주행 제어방법
JP3746850B2 (ja) 不連続走行時の磁気テープの位置感知方法
KR100195616B1 (ko) 비디오 테이프의 시작 및 끝부분 검출방법
US5557483A (en) Tape end detection device
JPS5948468B2 (ja) 情報再生装置
KR100195615B1 (ko) 비디오 테이프의 시작 및 끝부분 검출방법
KR100218915B1 (ko) 비디오 테이프의 시작 및 끝부분 검출방법
KR100195614B1 (ko) 카세트의 허브크기 판별방법
US6612517B1 (en) Tape-like medium running device
JP2635625B2 (ja) 磁気テープ駆動装置
KR870003383Y1 (ko) 테이프단 검출 장치
JPH0612730A (ja) テープ端検出装置
JP2550951B2 (ja) 早送り・巻き戻し装置
JP3055795U (ja) テープエンド検出装置
JP3094455B2 (ja) 張力制御装置
KR930007934B1 (ko) 로직 카세트 플레이어에서의 모드별 헤드위치 감지방법
KR100222468B1 (ko) 브이씨알 테이프검출센서의 동작제어방법
JP2542798Y2 (ja) デジタルオーディオテープレコーダにおけるカセットハーフ検出装置
JPH02310849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5922263A (ja) カセツトテ−プレコ−ダ等におけるカセツト検知装置
JPH02216646A (ja) 磁気テープの端部検出装置
JPH11339344A (ja) テープの巻取り装置
JPH0877649A (ja) 磁気テープの端部位置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