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0833B1 - 가스 기기의 연소조정장치 - Google Patents

가스 기기의 연소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0833B1
KR0170833B1 KR1019960010551A KR19960010551A KR0170833B1 KR 0170833 B1 KR0170833 B1 KR 0170833B1 KR 1019960010551 A KR1019960010551 A KR 1019960010551A KR 19960010551 A KR19960010551 A KR 19960010551A KR 0170833 B1 KR0170833 B1 KR 0170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ignition
point
fire extinguish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0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8246A (ko
Inventor
마사노리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최창선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나이또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선,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나이또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최창선
Publication of KR960038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8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0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08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23N1/007Regulating fuel supply using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조립 및 조절이 용이하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고, 형식에 대응하여 점화 위치의 설정을 원하는 형태에 맞추어 설계 변경이 가능한 점화시의 화력조정기구를 제공하기 위하여, 점화시의 화력조정기구(300)는, 하나의 지점을 갖고, 일단에 점, 소화 기구(100)의 동작에 연동하여 힘을 받는 힘점암(62)을 갖고, 타단에 조작레버(4)와 교차하여 배치되는 작용암(63)을 갖는 복귀레버(6)와, 조작레버(4)에 설치된 작용암(63)에 접촉하는 2개의 접촉자(64,65)를 갖고, 조작레버(4)가 중화력 위치 이외에 설정된 때, 작용암(63)이 접촉자(64,65)의 어느 일측을 가압하여 조작레버(4)를 중화력 위치로 회동시킨다.

Description

가스 기기의 연소 조정 장치
제1도는 가스 기기의 연소 조정 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가스 기기의 연소 조정 장치의 사시도.
제3도는 가스 기기의 연소 조정 장치의 단면도.
제4도는 가스 기기의 연소 조정 장치의 단면도.
제5도는 가스 기기의 연소 조정 장치의 단면도.
제6도는 가스레인지의 사시도.
제7도는 다른 실시예의 가스 기기의 연소 조정 장치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밸브몸체 2 : 화력조정밸브
3 : 스위치기구 4 : 조작레버
5 : 작동봉 6 : 복귀부재
23 : 니들핀 42 : 지점
61 : 지점 62 : 힘점암(힘점)
63 : 작용암(작용부) 64, 65 : 접촉자(한쌍의 팔부)
66 : V자형작용부 67 : 핀(접촉자)
100 : 점,소화기구 200 : 화력증감기구
300 : 점화시의 화력조정기구 B : 가스레인지
U : 연소조정유니트
본 발명은 점화 시에 있어서 버너의 화력을 점화가 용이하고 안전한 레벨로 자동 설정하는 화력 조정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가스레인지 등의 가스 기기에서, 버너의 점화 및 소화를 실시하기 위한 점,소화 기구와, 버너의 화력을 증감시키기 위한 화력 조정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점,소화 조작은 조작성의 관점에서 점,소화 버튼 등 점화놉의 전후 방향 누름 조작에 의하여 된 것이 많으나, 놉의 회전 운동 조작에 의해 이루어진 가스 기기도 존재한다.
화력 조정 조작은 화력을 약--중--강 또는 이들의 역으로 연속 조정하기 위한 슬라이드식 조작 레버가 설치되고, 이 조작 레버의 전단에 설치된 화력 조정용 조작놉을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도록 되어 있다.
가스기기에 있어서는, 방전화침의 점화원으로 연료 가스와 연소용 공기와의 혼합기에 착화시키는 직접(다이렉트)착화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이 직접 착화를 원활하고 확실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버너의 화력 점화 시에 중화력 이상의 화력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 요망된다.
또한, 근래 대화력 버너의 사용이 요망되고 있고, 고령자나 미숙자 등 기름기가 있는 의복을 입고 있는 사용자에 있어서는, 점화시의 화력이 커다란 위험의 원인이 되었다.
이 때문에, 종래부터 점화 조작에 연동 하여 화력 조정을 위한 조작 레버를 점화에 적합한 중화력 위치로 강제적으로 자동 설정시켜 주는 점화시의 화력 조정 기구가 다수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점화시의 화력 조정 기구는, 점화 조작에 연동하여 화력 조정을 위한 조작 레버를 통상의 중화력 위치에 이동시키기 위한 복귀 레버를 갖는다.
이 복귀 레버는 하나의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하고, 일단에 점화 조작에 의하여 동작되는 가동부재에 의하여 힘을 받는 힘점을 갖고, 타단에 상기 화력 조절을 위한 조작 레버를 구동하기 위한 작동 부재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여 점화 조작시에 있어서 조작 레버가 중화력 위치 이외에 설정되어 있으면, 점화 조작에 연동하여 회전 운동하는 복귀 레버의 작용으로 조작 레버는 강제적이며 자동적으로 버너의 화력이 중화력으로 되는 위치로 복귀시켜 원활하게 안전 점화가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점화에 적합한 중화력의 범위를 적당한 폭으로 원하는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 및 조절이 용이하고 내구성이 향상되며, 가스 기기의 형식에 대응하여 점화 위치의 설정을 원하는 상태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점화시의 화력 조정 기구를 구비한 가스 기기의 연소 조정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중화력이라는 것은, 강화력과 약화력과의 사이에 점화에필요한 최적인 소정 범위의 화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수동 조작에 의해 동작하는 점,소화 기구와, 지점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버너의 화력을 강화력에서 약화력까지 조정하기 위한 회동 슬라이드식의 조작레바와, 점화시에 상기 점,소화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조작 레버를 버너의 화력을 중심 위치로 설정시키기 위한 점화시의 화력 조정 기구를 구비한 가스 기기의 연소 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점화시의 화력 조정 기구는, 하나의 지점을 갖고, 일단에 상기 점,소화 기구의 동작에 의해 힘을 받는 힘점을 가지며, 타단에 상기 조작레버의 작용부를 갖는 복귀레버와, 상기 조작레버에 설치되고, 상기 작용부에 접촉하는 2개의 접촉자로 되고, 상기 조작레버가 중화력 위치 이외에 설정되어 있는 때, 점화시에 상기 점,소화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작용부가 상기 접촉자의 어느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조작레버를 중화력 위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가스 기기의 연소 조정 장치는, 상기 조작레버가 중화력 위치 이외에 설정되어 있는 때, 점화시에 점,소화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작용부가 상기 접촉자의 어느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조작레버를 2개의 접촉자가 동시에 상기 작용부에 접촉하는 중화력 위치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가스 기기의 연소 조정 장치는, 작용부는 상기 조작레버와 직교하게 배치된 횡방향의 작용암으로 되고, 상기 2개의 접촉자는 상기 조작레버의 양측에서 상기 작용암에 직교하도록 배치 설치된 한쌍의 팔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가스 기기의 연소 조정 장치는, 상기 점화시의 화력 조정 기구는, 하나의 지점을 갖고, 일단에 상기 점,소화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힘을 받는 힘점경사면을 가지고, 타단에 상기 조작레버와 교차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조작레버의 V자형 작용부를 갖는 복귀레버와, 상기 조작레버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V자형 작용부에 접촉하는 하나의 접촉자로 되고, 상기 조작레버가 중화력 위치 외에 설정되어 있는 때, 점화시에 상기 점,소화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V자형 작용부가 상기 접촉자를 가압하여 상기 조작레버를 상기 V자형 작용부의 중심인 중화력 위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가스 기기의 연소 조정 장치는, 상기 접촉자는 상기 조작레버에서 하방으로 직하하여 설치된 핀임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복귀레버의 타단에 작용부를 설치하고, 조작레버에 2개의 접촉자를 설치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 및 조절이 용이하고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2개의 접촉자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점화시의 중화력의 레벨 또는 폭을 가스 기기의 형식에 대응하여 간단하게 설계가 가능하다.
청구항 2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중화력을 1점으로 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3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2개의 접촉자를 조작레버의 연장부로 하여 형성함과 함께, 조작부를 복귀레버의 연장부로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구조를 간단하게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복귀레버의 타단에 V자형 작용부를 설치하고, 조작레버에 하나의 접촉자를 설치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 및 조절이 용이하여 내구성이 향상한다.
또한, V자형 작용부의 형상을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점화시의 중화력의 크기를 가스 기기의 형식에 대응하여 간단하게 설계가 가능하다.
청구항 5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V자형 작용부를 복귀레버의 연장부로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구조를 매우 간단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제1도 내지 제5도는 레인지 버너 B의 점,소화기구(100), 화력 증감 기구(200) 및 점화시의 화력 조정 기구(300)를 포함하는 연소 조정 유니트 U를 나타낸다.
이 연소 조정 유니트 U는, 제6도에 도시된 가스레인지 T의 내부에 장착된다.
가스레인지 T의 전면에는, 점,소화기구(1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점,소화 버튼(10)이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전방에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점,소화 버튼(10)의 상방에는 화력증감기구(2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식 조작놉(20)이, 좌우 상방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식 조작놉(20)의 슬라이드 위치는, 제6도에 있어서, 좌측 단이 약화력, 중간이 중화력, 좌측 단이 강화력으로 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소화기구(100)는, 내부에 안전밸브 S 및 메인벨브 M이 설치되고, 전후 방향에 수평적으로 설치된 통상의 밸브몸체(1)를 갖는다.
밸브몸체(1)의 전방부(도면의 좌측부)의 상면에는 화력증감기구(200)의 화력조정밸브몸체(2B)가 종으로 체결되어 있다.
화력조정밸브몸체(2B)는 통형상을 가지고, 내측의 상단부에는 화력조정밸브(2)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몸체(1)의 전단면에는 점,소화버튼(10)에 의해 작동하는 스위치기구(3)가 체결되어 있다.
화력조정밸브몸체(2B)의 상단에는, 화력조정밸브(2)를 동작시키고, 버너 B의 화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작레버(4)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조작레버(4)는 본 실시예에서는, 화력조정밸브몸체(2B)의 상단면에 체결된 바닥 없는 상자상의 브라켓트(41)의 상벽면에 지점(42)에 의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조작레버(4)의 전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드식 조작놉(20)이 고정되어 있다.
스위치기구(3)는, 스크류에 의해 밸브몸체(1)의 전단면에 체결되고, 단면 대략 +자형의 가이드면을 형성하는 가이드걸이(31)와, 이 가이드걸이(31)내에 전후 운동 가능하게 끼워진 작동자(32)를 갖는다.
작동자(32)는 정면 형상이 대략 +자형으로 되어 있고, 봉형상 기부(33), 봉형상 기부(33)로부터 상방에 돌출 설치된 레버작용부(34), 봉형상 기부(33)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마이크로스위치작동부(35)를 갖는다.
작동자(32)는, 가이드걸이(31)와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37)에 의해 전방(도면에서 좌측 방향)에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걸이(31)의 좌측면에는 마이크로스위치(도면에는 생략됨)가 설치되고, 상기 마이크로스위치작동부(35)의 변이에 따라 개폐된다.
작동자(32)는 제4도에 도시된 돌출 위치(소화 위치)에서 압입되면, 제3도 및 제5도에 도시된 압입 위치(점화 위치)에 도달한다.
이 상태로 압입을 개방하면, 도시되지 않은 하트캠 또는 변형 하트캠에 의해 푸시기구에 의해 중간 위치(연소위치)로 되고, 중간 위치로부터 재차 압입 하면 원래의 돌출 위치(소화 위치)로 복귀한다.
밸브몸체(1)의 축공(11)은, 후부(도면의 우측부)에 안전밸브 S의 전자석(12)이 압착되고, 내부는 연소가스통로(13)가 되어 있다.
밸브몸체(1)의 전방(도면의 좌측부)에는 하방에 개구된 유입구(14)가 설치되고, 후방부에는 상방으로 개구 되고 화력조정밸브몸체(2B)에 통하는 유출구(15)가 형성되어 있다.
축공(11)내에는 선단이 작동자(32)의 봉형상 기부(33)의 선단(도면의 우측단)에 접속한 작동봉(5)이, 전후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작동봉(5)은, 스프링(51)에 의하여 전방으로 힘을 받도록 설치되고, 작동자(32)에 연동하여 전후 방향으로 변위한다.
연료가스통로(13)의 유출구(15)가 설치된 부분은 반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밸브입구(16)를 이루고, 작동봉(5)에 끼워져 상기 스프링(51)이 설치된 메인밸브체(52)와 함께 메인벨브 M을 형성한다.
메인벨브 M과 유입구(14)와의 사이에는 조절벽(54)이 형성되고 안전밸브 S의 밸브입구(55)로 되어 있다.
작동봉(5)의 후방부에는, 안전밸브 S의 안전밸브몸체(56)가 안전밸브스프링과 함께 끼워지고, 작동봉(5)이 전방측(도면의 좌측)에 위치한 때 안전밸브입구(55)를 닫아 준다.
화력조정밸브몸체(2B)의 내측은 가스통로(21)로 되어 있고, 가스통로(21)의 상단부에는 화력조정밸브(2)의 밸브체(22)가 습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밸브체(22)의 밸브홀은 레인지버너 B에 연료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유출로(24)에 연결되어 있다.
밸브체(22)는 상단부가 화력조정밸브몸체(2B)의 상단에 노출되어 있고, 노출부에는 밸브체(22)를 회전운동 시키기 위한 니들핀(23)이 직교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니들핀(23)은, 화력조정밸브몸체(2B)의 상단으로 부터 측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자형 브라켓트(41)의 좌측벽에 설치되고 캠기구로 작용하는 경사슬릿트(40)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 되어 있다.
경사슬릿트(40)는 니들핀(23)의 회전 운동량을 밸브체(22)의 축방향 이동량으로 변환하여 화력조정밸브(2)의 밸브 개방도를 증감시킨다.
점화시의 화력조정기구(300)는, 화력조정밸브몸체(2B)의 좌측벽에는, 지점(61)으로 화력조정밸브몸체(2B)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판상의 복귀레버(6)를 갖는다.
복귀레버(6)의 하단에는, 상기 작동자(32)의 레버작용부(34)에 접하여 힘점으로 되는 띠판상이 힘점암(62)이, 화력조정밸브몸체(2B)의 전면측에 직각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횡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복귀레버(6)의 상단에는, 작용부로서 띠판상의 작용암(63)이, 화력조정밸브몸체(2B)의 전면측에 직각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횡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조작레버(4)는, 상기 브라켓트(41)의 상벽면에 지점(4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레버기판(43)과, 이 레버기판(43)에서 전방으로 단(44)을 통하여 연장된 전방측 연장부(45)에 연결된 레버본체(7)와, 레버기판(43)과 레버본체(7)와의 사이로 설치된 스프링죠인트(8)로 된다.
레버기판(43)의 우측방(지점(42)의 우측방)에는, 연장되고 대략 직각에 하방으로 절곡됨과 함께 홈이 형성된 포크상부(46)로 되어 있고, 상기 니들핀(23)의 선단에 결합되어 있다.
전방측 연장부(45)의 전단에서는 역 L자형 돌기(47)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레버본체(7)는 판금을 프레스 성형하여 형성하고, 폭이 좁은 선단 계지부(71), 폭이 넓은 중간부(72), 폭이 좁은 전단부(73)로 이루어진다.
스프링죠인트(8)는 레버본체의 중간부(72)의 좌측단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지벽부(81), 이 지벽부(81)의 전방단에서 횡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암부(82)로 된 스프링홀딩수단(83)을 갖는다.
레버기판(43)의 전방측 연장부(45)에는 단형창(84)이 형성되고, 레버본체의 중간부(72)에는, 내부에 상기 스프링죠인트(8)의 죠인트스프링(85)의 타단을 지지하기 위한, 대략 직각형으로 절개된 절기돌기(86)가 형성되어 있다.
절기돌기(86)는 단형창(84)을 통과하여 상방으로 돌출 되고, 죠인트스프링(85)의 일단이 걸어져 있다.
브라켓트(41)의 전면벽에는, 단(87)의 절결부(88)가 형성되고, 레버본체의 선단계지부(71)가 차입되어 있다.
스프링죠인트(8)는, 슬라이드식 조작놉(20)을 지지하고(제1도 참조), 레버본체(7)를 10도 정도 경사 시킨 경우에만, 선단계지부(71)가 단(87)의 결합에서 벗어나, 조작레버(4)를 중화력 위치에서 약화력 위치로 슬라이딩 가능해지는 작용을 갖는다.
조작레버(4)가 제6도에 있어서, 좌단측의 강화력 위치 또는 우단측의 약화력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때에 복귀레버(6)는 상단이 전방측에 경사한 위치(제1, 2, 3, 5도 참조)에 있고, 니들핀(23)은 최상 위치 또는 최하 위치로 유지되어 화력조정밸브(2)는 큰 개방도 또는 작은 개방도가 된다.
다음에는, 이 가스 기기의 연소 조정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점화시에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레버(4)가 약화력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때, 점,소화버튼(10)을 누르면, 작동자(32)가 압입 된다.
이때, 봉형상 기부(33)는 작동봉(5)을 누르고, 메인밸브 M 및 안전밸브 S를 개방하여, 마이크로스위치작동부(35)는 마이크로스위치를 온 하여 버너 B에 설치된 스파크 P(제2도 참조)로 방전 점화를 발생시킨다.
이 동작에 연동하여,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작용부(34)가 전방으로 돌출하여 있는 힘점암(62)에 접하거나, 또한 힘점암(62)을 이점쇄선의 위치까지 누르고, 복귀레버(6)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조작에 의하여,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레버(6)의 상단부의 작용암(63)에 의해, 띠판상의 접촉자(64)가 압압되고, 조작레버(4)는 2개의 접촉자(64,65)가 동시에 작용암(63)에 접하는 중화력 위치(점화 화력 위치)에 회동한다.
이때, 점화시에 점,소화버튼(10)에 의해 작동봉(5)의 압절 위치가 바뀌어도, 레버기판(43)에 대한 본체(7)가 상방으로 움직여 정확하게 중화력 위치로의 설정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중화력 위치가 하나의 점으로 되어 있으나, 중화력 위치는 일정한 폭을 갖고, 조작레버(4)가 강화력 위치로 설정되어 있는 때에는, 중화력 위치의 상위로 변이하고, 조작레버(4)가 약화력 위치로 설정되어 있는 때에는 중화력 위치의 하위로 변위하도록 하여도 좋다.
점화에 적당한 중화력 범위는 폭을 갖기 때문에, 이와 같이 중화력에 일정의 폭을 유지하는 구성은, 중화력이 하나의 점인 경우에 비교하여 조작성 등의 실용성이 우수하다.
화력조정레버(4)가 약화력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때에도, 동일한 형태로 작용암(63)에 의해 접촉자(65)가 눌러지고, 조작레버(4)는 중화력 위치로 회동한다.
이 결과, 점화시에 버너 B의 화력은 점화에 적합한 중화력 위치의 화력에 자동적으로 설정되고, 점화가 원활하게 된다.
점화된 버너 B의 화염에 의하여, 버너 B에 부설된 열전대 N(제2도 참조)의 기전력으로 안전밸브 S의 전자석(12)이 자화되어 안전밸브 S가 개방되어 연소가 지속된다.
점,소화버튼(10)의 누름 조작을 멈추면, 작동자(32)는 전방으로 복귀하고, 푸시기구에 의해 중간 위치로 계지 된다.
연소 중에 점,소화버튼(10)을 누르면, 푸시기구가 해제되고, 작동자(32)는 제5도에 도시된 점화 전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에 따라, 메인밸브 M 및 안전밸브 S가 닫히고, 버너 B의 연소는 정지한다.
제7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복귀레버(6)의 타단(상단)에 V자상 작용부(66)를 형성하고, 조작레버의 하면에 핀(67)을 돌출 형성한다.
V자형 작용부(66)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레버(6)의 상단을 연장한 V자 벽면에 있어도 좋고, V자형의 절결부에 있어도 좋다.
또한, 핀(67)은 도시된 바와 같은 레버본체(7)의 이외에, 별도의 형태로 고정된 환봉으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와 동일한 형태의 작용을 갖는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압압식의 점,소화기구를 이용하고 있으나, 회전 운동 식의 다이알 형상 놉과, 회전 운동을 축방향의 전후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구와의 조합을 이용하여도 좋다.

Claims (5)

  1. 수동 조작에 의해 동작하는 점,소화 기구와, 지점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버너의 화력을 강화력에서 약화력까지 조정하기 위한 회동 슬라이드식의 조작레버와, 점화시에 상기 점,소화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조작레버를 버너의 화력을 중심 위치로 설정시키기 위한 점화시의 화력 조정 기구를 구비한 가스 기기의 연소 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점화시의 화력 조정 기구는, 하나의 지점을 갖고, 일단에 상기 점,소화 기구의 동작에 의해 힘을 받는 힘점을 가지며, 타단에 상기 조작레버의 작용부를 갖는 복귀레버와, 상기 조작레버에 설치되고, 상기 작용부에 접촉하는 2개의 접촉자로 되고, 상기 조작레버가 중화력 위치 이외에 설정되어 있는 때, 점화시에 상기 점,소화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작용부가 상기 접촉자의 어느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조작레버를 중화력 위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기기의 연소 조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가 중화력 위치 이외에 설정되어 있는 때, 점화시에 점,소화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작용부가 상기 접촉자의 어느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조작레버를 2개의 접촉자가 동시에 상기 작용부에 접촉하는 중화력 위치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기기의 연소 조정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는 상기 조작레버와 직교하게 배치된 횡방향의 작용암으로 되고, 상기 2개의 접촉자는 상기 조작레버의 양측에서 상기 작용암에 직교하도록 배치 설치된 한쌍의 팔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기기의 연소 조정 장치.
  4. 수동 조작에 의해 동작하는 점,소화 기구와, 지점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버너의 화력을 강화력에서 약화력까지 조정하기 위한 회동 슬라이드식의 조작레버와, 점화시에 상기 점,소화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조작레버를 버너의 화력을 중심 위치로 설정시키기 위한 점화시의 화력 조정 기구를 구비한 가스 기기의 연소 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점화시의 화력 조정 기구는, 하나의 지점을 갖고, 일단에 상기 점,소화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힘을 받는 힘점경사면을 가지고, 타단에 상기 조작레버와 교차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조작레버의 V자형 작용부를 갖는 복귀레버와, 상기 조작레버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V자형 작용부에 접촉하는 하나의 접촉자로 되고, 상기 조작레버가 중화력 위치 외에 설정되어 있는 때, 점화시에 상기 점,소화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V자형 작용부가 상기 접촉자를 가압하여 상기 조작레버를 상기 V자형 작용부의 중심인 중화력 위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기기의 연소 조정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는 상기 조작레버에서 하방으로 직하하여 설치된 핀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기기의 연소 조정 장치.
KR1019960010551A 1995-04-10 1996-04-09 가스 기기의 연소조정장치 KR0170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83568 1995-04-10
JP07083568A JP3128466B2 (ja) 1995-04-10 1995-04-10 ガス機器の燃焼調整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246A KR960038246A (ko) 1996-11-21
KR0170833B1 true KR0170833B1 (ko) 1999-03-20

Family

ID=13806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0551A KR0170833B1 (ko) 1995-04-10 1996-04-09 가스 기기의 연소조정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128466B2 (ko)
KR (1) KR0170833B1 (ko)
CN (1) CN1110651C (ko)
TW (1) TW3095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9325B2 (ja) * 2002-06-10 2006-09-06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制御装置
JP5662014B2 (ja) * 2009-08-25 2015-01-28 株式会社ハーマン ガス燃焼機器の火力調節装置
JP5963812B2 (ja) * 2014-07-22 2016-08-03 リンナイ株式会社 火力調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7530A (en) * 1987-09-09 1989-03-14 Kanbishi Denki Seizo Gas control valve operating device
JP2575060Y2 (ja) * 1991-05-20 1998-06-25 パロマ工業株式会社 ガスこんろのガス量調節装置
TW233336B (ko) * 1993-02-26 1994-11-01 Rinnai K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285279A (ja) 1996-11-01
CN1140819A (zh) 1997-01-22
TW309582B (en) 1997-07-01
CN1110651C (zh) 2003-06-04
KR960038246A (ko) 1996-11-21
JP3128466B2 (ja) 2001-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0833B1 (ko) 가스 기기의 연소조정장치
KR0170832B1 (ko) 가스 기기의 연소조정장치
KR100205188B1 (ko) 가스기기의 점화시의 화력조정기구
KR0170831B1 (ko) 가스 기기의 연소조정장치
JP3128470B2 (ja) ガス機器の燃焼調整装置
KR0181632B1 (ko) 가스기구의 화력조절장치
JPH09196371A (ja) ガス器具のガス量調節装置
JP3128474B2 (ja) ガス機器の燃焼調整装置
KR0157357B1 (ko) 가스기기의 연소제어장치
JP3043276B2 (ja) 火力調整レバーを備えたガス機器
KR0157355B1 (ko) 가스기기의 화력증감기구
JP3580467B2 (ja) ガス機器のガス量調整装置
JP3073441B2 (ja) ガバナ弁を備えたガス機器
JP3034445B2 (ja) 火力調整レバーを備えたガス機器
JPH09310861A (ja) ガスコックおよびそのガスコックの操作装置
JP3650233B2 (ja) ガス機器
JP3127189B2 (ja) ガスコンロの器具栓
JP3128469B2 (ja) ガス機器の点火時の火力調整機構
JP3526116B2 (ja) ガスコンロの燃焼量調整装置
JPS643976Y2 (ko)
KR910008779Y1 (ko) 전자렌지의 출력절환 스위치장치
JPH11134985A (ja) 転倒スイッチ
JP2003004223A (ja) ガス器具用バルブ
KR910006084Y1 (ko) 가스콕크
JPS62131114A (ja) ガス器具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