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5188B1 - 가스기기의 점화시의 화력조정기구 - Google Patents

가스기기의 점화시의 화력조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5188B1
KR100205188B1 KR1019960013158A KR19960013158A KR100205188B1 KR 100205188 B1 KR100205188 B1 KR 100205188B1 KR 1019960013158 A KR1019960013158 A KR 1019960013158A KR 19960013158 A KR19960013158 A KR 19960013158A KR 100205188 B1 KR100205188 B1 KR 100205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fire
burner
extinguishing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3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1849A (ko
Inventor
케이이치 미즈야
마사노리 시미즈
Original Assignee
강성모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모,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강성모
Publication of KR960041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1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1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23N1/007Regulating fuel supply using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20Non-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on arrival at the combustion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7/00Ignition devices associated with bur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목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 버너가 큰 화력으로 점화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제조코스트 및 장착 스페이스의 증대를 저지할 수 있는 점화시의 화력조정기구의 제공.
[구성]
화력의 조정이 가능한 버너(B)와 점,소화기구(100)와 상기 버너(B)에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가스유로(11)에 설치된 메인밸브(M)와 가스유로(11)에 설치되는 동시에 점,소화기구(100)의 동작에 연동하여 메인밸브(M)를 개폐시키기 위한 작업봉(5)과 점화조작시에 있어서 작동봉(5)을 점화위치에 설정하고 점화조작종료후는 작동봉(5)을 연소위치로 변위시키며 소화조작시에는 작동봉(5)을 소화위치에 복귀시키는 작동봉(5)의 푸시,푸시기구(30)을 구비한 가스기기에 부설되는 것으로서 작동봉(5)이 점화위치에 설정되었을 때만 가스유로(11)를 유로저항을 증대하는 저항증대수단(17)으로 이루어지며 점화시에 있어서의 버너(B)의 화력을 중간화력으로 유지한다.

Description

가스기기의 점화시의 화력조정기구
제1도는 가스기기의 연소조정장치의 단면도이다.
제2도는 가스기기의 연소조정장치의 단면도이다.
제3도는 가스기기의 연소조정장치의 단면도이다.
제4도는 푸시, 푸시기구의 바닥면도이다.
제5도는 가스기기의 연소조종장치의 사시도이다.
제6도는 레이블풍로의 사시도이다.
제7도는 다른 실시예의 가스기기의 연소조정장치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밸브 보디 2 : 화력조정밸브
3 : 스위치기구 4 : 조작레버
5 : 작동봉(작동부재) 6 : 복귀레버
11 : 가스유로 15 : 죄임부
17 : 저항증대수단 23 : 니들핀
30 : 푸시, 푸시기구(위치설정기구) 31 : 가이드 틀
32 : 스위치본체 57 : 칼라형상부
100 : 점, 소화시구 200 : 화력증감기구
300 : 점화시의 화력조정기구 B : 풍로버너
M : 메인밸브(개폐밸브) S : 안전밸브(개폐밸브)
A1 : 소화위치 A2 : 점화위치
A3 : 연소위치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점화시에 있어서 버너의 화력을 용이하게 또한 안전한 레벨에 자동설정하는 화력조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레이불 풍로 등의 가스기기에서는 버너의 점화 및 소화를 행하기 위한 점.소화기구와 연료가스유량을 조정하여 버너의 화력을 증감시키기 위한 화력조정기구가 설정되어 있다. 점, 소화조작은 조작성의 관점으로부터 점,소화단추등 점화손잡이 전후방향의 누름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많으나 손잡이의 회동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가스기기도 존재한다. 화력조정기구의 조작은 화력을 약→중→강 또는 이 반대로 연속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슬라이드식의 조작레버가 설치되고 이 조작레버의 앞끝에 부착된 화력조정용의 조작손잡이를 좌우방향등에 슬라이드 조작하여 이루어진다.
가스기기에 있어서는 방전불꽃등의 점화원으로 연료가스와 연소용 공기와의 혼합기체에 착화시키는 직접(다이렉트)착화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직접착화를 원할, 확실하게 행하기 위해서는 버너의 화력은 점화시에 중간화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최근 대화력버너의 사용이 요망되어 있고 고령자나 요리복 등 소매가 있는 의복을 입고 있는 사용자에 있어서 점화시의 화력이 너무 크면 소매 등에 불이 붙을 염려도 있다. 이 때문에 종래보다 점화조작에 연동하여 화력조정을 위한 조작레버를 점화에 적합한 중간화력위치에 강제적으로 자동설정시키는 점화시의 화력조정기구가 다수 제안되어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종래의 점화시의 화력조정기구는 점,소화기구와 화력조정밸브와의 사이에 링크기구를 설치하고 점화시의 화력이 과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링크기구의 구조가 복잡하며 코스트 및 장착 스페이스의 증대를 초래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버너가 대화력으로 점화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제조코스트 및 장착스페이스의 증대를 저지할 수 있는 점화시의 화력조정기구의 제공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중간화력이란 강한 화력과 약한 화력과의 사이의 점화에 적절한 소정범위내의 화력을 의미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약한 화력으로부터 강한 화력사이에서 화력의 조정이 가능한 버너와 이 버너를 점화 또는 소화시키기위한 점,소화기구와 상기 버너에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가스유로에 설치된 개폐밸브와 상기 가스유로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점,소화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개폐밸브를 개폐시키기위한 작동부재와 점화 조작시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를 점화위치에 설정하고 점화조작종료 후는 상기 작동부재를 연소위치에 변위시키며 소화조작시에는 상기 작동부재를 소화위치로 되돌리는 상기 작동부재의 위치설정기구를 구비한 가스기기에 부설되는 것으로서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점화위치에 설정되었을 때만 상기 가스유로의 유로저항을 증대하는 저항증대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점화시에 있어서의 연료가스유량을 상기 버너의 화력이 중간화력으로 되는 유량으로 제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시의 화력조정기구.
청구항2 기재의 점화시의 화력조정기구는 상기 점,소화기구는 수동조작으로 왕복이동하는 스위치기구이며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가스유로 및 상기 개폐밸브가 설치된 밸브보디내에 찔러 넣어지는 동시에 상기 스위치기구에 연동하는 작동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3 기재의 점화시의 화력조정기구는 상기 스위치기구는 가이드틀과 이 가이드 틀내에 전후이동이 자유롭게 끼워 넣어진 스위치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저항증대수단은 상기 스위치 본체에 연동하는 상기 작동봉에 설치된 칼라 형상부와 상기 밸브보디내에 설치된 죄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4 기재의 점화시의 화력조정기구는 상기 위치설정기구는 상기 점,소화기구의 소화위치조작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를 점화위치에 왕복이동시키고 상기 조작의 정지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를 중간의 연소위치에 복귀이동시키며 재차 상기 조작을 행함으로써 상기 작동부재를 상기 중간의 연소위치로부터 원래의 소화위치에 복귀이동시키는 푸시,푸시기구 인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5 기재의 점화시의 화력조정기구는 상기 점,소화기구는 수동조작으로 왕복이동하는 스위치기구이며 상기 푸시,푸시기구는 상기 스위치 기구에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6 기재의 가스기기는 상기 점화시의 화력조정기구를 구비한다.
[발명의 작용 및 효과]
본 발명은 점화시의 화력조정기구를 버너에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가스유로에 설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점화시의 화력조정기구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 비교하여 기기의 체격증대 및 기구의 복잡화를 방지하면서 점화시의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청구항 2-5의 구성에서는 가스기기의 연료가스의 밸브기구를 그대로 이용하여 점화시의 화력조정기구를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6의 가스기기는 낮은 코스트로 점화시의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실시예]
제1도-제3도는 풍로버너(B)의 점,소화기구(100), 화력증감기구(200) 및 점화시의 화력조정기구(300)를 포함하는 연소조정유니트(U)를 도시한다. 이 연소조정유니트(U)는 제6도에 도시한 테이블풍로(T)의 내부에 장착된다. 테이블풍로(T)의 앞면에는 점, 소화기구(1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점,소화단추(10)(제5,6도에 도시)가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앞쪽에 가압되어서 전후방향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점, 소화단추(10)의 윗쪽에는 화력증감기구(2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식 조작손잡이(20)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식 조작손잡이(20)의 슬라이드위치는 제6도에 있어서 우측단이 약화력, 중간이 중화력, 좌측단이 강화력으로 되어있다.
제1도-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점,소화기구(100)는 내부가 연료가스의 가스유료(11)로 되어있고 어느것이나 개폐밸브인 안전밸브(S) 및 메인밸브(M)가 설치되는 동시에 전후방향에 수평적으로 배열설치된 통형상의 밸브보디(1)를 구비한다. 밸브보디(1)의 앞부(도시좌측부)의 윗면에는 화력증감기구(200)가 설치된 화력조정밸브보디(2B)가 세로로 체결되어 있다.
화력조정밸브보디(2B)는 통형상을 나타내며 내공의 상단부에는 가스유량을 조정하여 버너(B)의 화력을 증감시키기위한 화력저정밸브(2)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보디(1)의 전단면에는 점,소화단추(10)에 의해 작동하는 스위치기구(3)가 체결되어 있다.
화력조정밸브보디(2B)의 상단에는 화력조정밸브(2)의 밸브개도를 증감시켜 버너(B)의 화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작레버(4)가 좌우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조작레버(4)는 이 실시예에서는 화력조정밸브보디(2B)의 상단면에 체결된 바닥없는 상자형상의 브래킷(41)의 상벽면에 지점(42)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조작레버(4)의 전담부에는 상기 슬라이드식 조작손잡이(20)가 고착되어 있고 횡방향에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버너(B)의 화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스위치기구(3)는 나사에 의해 밸브보디(1)의 전단면에 체결되고 단면 대략 십자형의 가이드면을 형성하는 가이드틀(31)과 이 가이드틀(31)내에 전후이동이 자유롭게 끼워 넣어진 스위치본체(32)를 구비한다.
스위치본체(32)는 정면형상이 대략 십자형으로 되어있고 봉형상기부(33), 봉형상기구(33)로부터 윗쪽으로 돌출설치된 날개형의 레버작용부(34), 봉형상기부(33)로부터 좌우방향으로 돌출설치된 마이크로스위치작동부(35)를 가진다. 스위치기구(3)의 하부후단에는 스위치기구(3)의 소화위치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스위치본체(32)를 점화위치에 왕복이동시키고 상기 조작의 정지에 의해 스위치본체(32)를 중간의 연소위치에 복귀이동시켜 재차 상기 조작을 행함으로써 스위치본체(32)를 상기 중간의 연소위치로부터 원래의 소화위치에 복귀이동시키기위한 위치설정기구인 푸시,푸시기구(30)가 설치되어 있다.
푸시, 푸시기구(30)는 봉형상기부(33)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뻗어 설치되고 제4도의 (A) 및 (B)에 도시한 변형하드캠홈(3A)이 아래변에 설치된 캠판(3B)을 가진다. 가이드틀(31)에는 하부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뻗어 설치된 직4각형 단면의 통부(3C)가 뻗어 설치되고 상기캠판(3B)이 미끄럼 움직임이 자유롭게 끼워 넣어져 있다. 통부(3C)의 후단에는 상기 캠판(3B)의 캠홈(3A)내를 미끄러져 움직이는 계지대(3D)가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계지대(3D)는 이 계지대(3D)의 후단부(3E)가 금속선륜(3F)에 의해 통부(3C)의 후단부(3G)에 지지되고 전단(3H)이 갈고리형상으로 절곡되고 통부(3C)의 아래면에 형성된 옆틈새(31)로부터 변형하트캠홈(3A)에 찔러 넣어져 있다.
변형하트캠홈(3A)은 계지대(3D)의 앞끝(3H)이 스위치기구(3)의 점화,소화조작에 따라 제4도의 (C)화살표시와 같이 이동하여 소화위치 A1, 소화위치 A2, 연소위치 A3의 각 위치에 설정된다.
스위치본체(32)는 가이드틀(31)과의 사이에 끼워 장착된 스프링(37)에 의해 전방(도시좌측)에 가압되어 왔다. 가이드틀(31)의 좌측면에는 마이크로스위치(도시않음)가 부착되고 상기 마이크로스위치 작동부(35)의 위치변경에 따라 개폐한다. 스위치본체(32)는 제3도에 도시한 돌출위치(소화위치)로부터 압입되면 제1도에 도시한 압입위치(점화위치)에 달한다.
이 상태로 압입을 개방하면 제4도에 도시한 변형하트캠홈(3A)에 의한 푸시,푸시기구(30)에 의해 제2도에 도시한 중간위치(연소위치)에 걸리게 되고 중간위치로부터 재차 압입되면 제3도에 도시한 원래의 돌출위치(소화위치)로 복귀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푸시,푸시기구(30)에 의해 스위치기구(3)의 스위치본체(32)를 소정위치에 유지하며 개폐밸브인 메인밸브(M)를 개폐시키기 위한 작동부재를 이 스위치본체(32)에 연동시키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푸시, 푸시기구(30)는 변형하트캠홈(3A) 대신에 하트캠홈을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며 위치설정기구는 푸시, 푸시기구(30) 의외의 구성으로 스위치본체(32)를 점화위치에 왕복이동시키고 상기 조작의 정지에 의해 스위치본체(32)를 중간의 연소위치에 복귀이동시켜 재차 상기 조작을 행함으로써 스위치본체(32) 상기 중간의 연소위치로부터 원래의 소화위치에 복귀이동시키는 것이라도 무방하다.
밸브보디(1)의 축구멍은 후방부(도시우측부)에 안전밸브(S)의 전자석(12)이 끼워 부착되어 연료가스의 가스유로(11)로 되어있다.
밸브보디(1)의 후방부(도시우측부)에는 아래쪽으로 개구한 유입구(13)가 설치되고 전방부에는 윗쪽으로 개구한 화력조정밸브보디(2B)에 연통된 유출구(14)가 형성되어 있다.
가스유로(11)내에는 선단이 스위치본체(32)의 봉형상기부(33)의 선단(도시우측끝)에 맞닿고 스위치기구(3)의 동작에 연동하여 안전밸브(S) 및 메인밸브(M)의 밸브체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재로서의 작동봉(5)이 전후방향의 왕복이동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다. 작동봉(5)은 스프링(51)에 의해 앞방향으로 가압되고 스위치본체(32)에 연동하여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한다.
가스유로(11)의 유출구(14)가 설치된 부분은 죄임부(15)를 통하여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메인밸브구(16)로 되어있고 작동봉(5)에 바깥끼움되어 상기 스프링(51)이 배설된 칼라형상 메임밸브체(52)와 함께 메인밸브(M)를 형성하고 있다. 메인밸브(M)와 유입구(13)와의 사이에는 죄임벽(52)이 형성되어 안전밸브구(55)로 되어있다. 적동봉(5)의 후방부에는 안전밸브(S)의 칼라형상 안전밸브체(56)가 안전밸브스프링과 함께 바깥끼움되고 작동봉(5)이 앞측(도시좌측)에 위치했을 때 안전밸브구(55)를 닫는다.
화력조정밸브보디(2B)의 내강은 가스통로(21)로 되어있고 가스통로(21)의 상단부에는 화력조정밸브(2)의 밸브체(22)가 미끄럼움직임이 자유롭게 끼어 넣어져 있다. 밸브체(22)의 밸브구멍은 풍로버너(B)에 연료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유출로(24)에 연결되어 있다. 밸브체(22)는 상단부가 화력조정밸브보디(2B)의 상부에 노출되어 있고 노출부에는 밸브체(22)를 회동시키기 위한 니들핀(23)이 직교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다.
니들핀(23)은 화력조정밸브보디(2B)의 상관으로부터 옆쪽으로 뻗고 상기 상자형상의 브래킷(41)의 우측벽에 설치되어 캠홈으로서 작용하는 경사슬릿(40)을 통하여 외부에 돌출하고 있다. 경사 슬릿(40)은 니들핀(23)의 회동량을 밸브체(22) 축방향의 이동량으로 변환하여 화력조정밸브(2)의 밸브개도를 증감시킨다.
니들핀(23)이 상단(앞측단)에 설정되어 있을때 화력조정밸브(2)의 밸브개도는 최대로 되며 버너(B)의 화력은 최강으로 된다. 니들핀(23)이 하단(끝측단)에 설정되어 있을 때 화력조정밸브(2)의 밸브개도는 최소로 되며 버너(B)의 화력은 최약으로 된다.
점화시의 화력조정기구(300)는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작동봉(5)의 중간에 형성된 칼라형상부(57) 및 상기 죄임부(15)로 이루어지는 저항증대수단(17)과 푸시,푸시기구(30)로 이루어지며 조작레버(4)가 강화력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점화시의 버너(B)화력을 중간화력으로 유지한다. 즉, 스위치본체(32)가 압입되면 작동봉(5)이 제1도에 도시한 최후부에 설정되고 칼라형상부(57)와 죄임부(15)가 근접하여 가스유로(11)를 반개상태로 죈다.
이로인해 연료가스유량이 죄여져서 버너(B)의 대화력에서의 착화는 저지되어 중간화력으로 연소한다. 스위치 본체(32)의 가압조작을 해제하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작동봉(5)은 중간의 연소위치에 복귀하고 칼라형상부(57)와 죄임부(15)는 떨어지기 때문에 가스유로(11)의 저항증대작용을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죄임부(15)는 메인밸브(M)의 메인밸브구(16)와는 별도로 축구멍에 형성해도 무방하며 가스유로(11)의 저항증대수단(17)은 안전밸브(S)의 죄임벽(54)와 작동봉(5)에 형성된 대직경부(도시않음)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화력조정밸브보디(2B)의 우측에는 조작레버(4)가 약화력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스위치기구(3)의 조작에 연동하여 조작레버(4)를 강제적으로 중간화력으로 되돌리기 위한 복귀레버(6)가 지점(61)을 중심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복귀레버(6)는 하단에 상기 레버작용부(34)에 접촉하는 역점경사면(62)이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니들핀(23)에 결합된 작용슬릿(63) 및 조작레버를 구동하기 위한 작용팔(64)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레버(4)는 상기 브래킷(41)의 상벽면에 지점(42)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레버기판(43)과 이 레버기판(43)으로부터 전방에 단차(44)를 통하여 연장된 앞측연장부(45)에 연결된 레버본체(7)와 레버기판(43)과 레버본체(7)와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조인트(8)로 이루어진다.
레버기판(43)의 지점(42) 좌측편에는 상기 작용팔(64)과 맞물리는 절결홈이 형성된 포크형상부(46)(제5도에 도시)로 되어있고, 상기 니들핀(23)의 선단에 결합되어 있다. 앞측 연장부(45)의 앞끝으로부터는 역ㄴ자형의 클릭(47,47)이 아래쪽으로 돌출설치되어 레버본체(7)가 부착되어 있다. 레버본체(7)는 판금을 프레스성형하여 형성되고 폭이 좁은 선단계지부(71), 폭이 넓은 중간부(72), 폭이 좁은 전단부(73)로 이루어진다. 브래킷(41)의 전면벽에는 단차가 있는 절결이 형성되어 레버본체의 선단계지부(71)가 찔러 넣어져 있다. 스프링조인트(8)는 슬라이드식 조작 손잡이(20)를 들어올려(제5도참조) 레버본체(7)를 10도정도 경사시킨 경우에만 선단계지부(71)가 단차의 결합으로부터 벗겨져서 조작레버(4)를 중간화력위치로부터 약화력위치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고 있다.
조작레버(4)가 제6도에 있어서 우단측의 강화력위치 또는 좌단측의 약화력위치에 설정되어 있을 때 니들핀(23)은 상단측위치(제1도참조) 또는 하단측위치에 유지되어서 화력조정밸브(2)는 대개도 또는 소개도로 되어있다. 또 스위치기구(3)가 조작되어 있지 않을 때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안전밸브(S) 및 메인밸브(M)는 닫혀진다.
다음에 이 가스기기의 연소조정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점화시에 있어서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조작레버(4)가 강화력위치에 설정되고 니들핀(23)이 상위에 위치하고 있을 때 점, 소화 단추(10)를 누르면 스위치본체(32)가 압입된다. 이때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봉형상기부(33)는 작동봉(5)을 압입하여 메인밸브(M) 및 안전밸브(S)를 열고 마이크로 스위치작동부(35)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ON하여 버너(B)에 부설된 스파커(P)로 불꽃방전을 발생시킨다.
이결과 칼라형상부(57)와 죄임부(15)와의 틈새가 좁혀지고 가스유량이 제한되어서 점화시에 있어서 버너(B)의 화력을 점화에 적합한 중간화력위치의 화력으로 자동적으로 설정되어 점화가 안전하게 이루어진다. 점화된 버너(B)의 화염에 의해 버너(B)에 부설된 열전대(N)(제1도 참조)의 기동전력으로 안전밸브(S)의 전자석(12)이 자석화되어 안전밸브(S) 및 메인밸브(M)가 개변상태로 유지되어 연소가 지속된다. 푸시,푸시기구(30)는 제4도의 (A)에 도시한 실선의 소화위치로부터 2점쇄선의 점화위치에 이동한다.
점, 소화단추(10)의 누름조작을 정지하여 개방하면 스위치본체(32)는 전방으로 복귀하고 푸시,푸시기구(30)에 의해 제4도의 (B)에 도시하는 중간위치에 유지되며 칼라형상부(57)와 죄임부(15)와의 틈새는 넓어져 가스유량을 제한하는 작용은 없어진다. 연소중에 점, 소화단추(10)를 누르면 푸시,푸시기구(30)가 해제되어 스위치본체(32)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점화전 값으로 복귀한다. 이로인해 메인밸브(M) 및 안전밸브(S)가 닫혀져 버너(B)의 연소는 정지된다.
또 점화시에 있어서 조작레버(4)가 약화력위치에 설정되고 니들핀(23)이 하위에 위치하고 있을 때 점,소화단추(10)를 누르면 스위치본체(32)가 압입되어 복귀레버(6)가 좌회전방향으로 구동된다. 이로인해 니들핀(23)은 뒤쪽으로 이동되어 조작레버(4)는 강화력위치의 방행으로 움직여진다.
이경우에 있어서도 저항증대수단(17)에 의해 가스유량이 버너(B)의 화력은 점화에 적절한 중간화력위치의 화력에 자동적으로 설정되어 점화가 안전하게 이루어진다.
개폐밸브를 개폐기키기 위한 작동부재는 작동봉이외라도 무방하며 연료가스의가스유로(11)의 저항증대수단(17)은 점,소화기구가 조작되었을 때 가스유량을 죄일수 있는 임의의 기구가 채택된다.
제7도는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압식의 점,소화기구(100)대신에 회동식의 점,소화기구(400)를 채택하고 있다. 점,소화기구(400)는 면절취부가 있는 전단(9A)에 다이얼형상 손잡이(도시않음)가 부착되고 후단에 슬릿(9B)이 형성된 회동축(91)을 구비한다. 작동봉(5)의 전단과 회동축(91)의 후단과의 사이에는 전단에 상기 슬릿(9B)과 결합하는 핀(92)이 설치되고 후단에 작동봉(5)의 전단과의 연결통(93)이 배열설치된 원통캠(94)이 있는 운동방향전환기구(95)가 설정되어 있다.
이 회동식의 점,소화기구(400)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점화조작전은 제7도의 a에 도시한 바와같이 작동봉(5)은 앞측(도시좌측)에 설정되어 있다. 점화를 행하기 위하여 손잡이를 돌려서 회동축(91)을 회동시키면 원통캠(94)의 작용으로 연결통(93)은 도시우측으로 가압되고 작동봉(5)은 스프링(96)을 통하여 도시우측으로 변위하여 안전밸브(S)의 칼라형상 안전밸브체(56)를 전자석(12)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작동봉의 칼라형상부(57)와 가스유로(11)의 내주벽(18)은 이 발명의 저항증대수단(17)을 구성하고 있고 가스유로(11)를 조인다. 가스유량이 제한되어서 점화시에 있어서 버너(B)의 화력은 점화에 적합한 중간화력위치의 화력에 자동적으로 설정되어 온 점화가 안전하게 이루어진다. 이 상태로 착화가 이루어져 점화조작을 종료하면 제7도의 c에 도시한 바와같이 조작봉(5)은 점화조작전의 위치로 복귀하고 칼라형상부(57)는 가스유출구(14)의 전방에 설정되기 때문에 가스유로(11)의 저항증대작용을 갖지 않는다.

Claims (6)

  1. 약한 화력으로부터 강한 화력사이에서 화력의 조정이 가능한 버너와 이 버너를 점화 또는 소화시키기 위한 점,소화기구와 상기 버너에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가스유로에 설치된 개폐밸브와 상기 가스유로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점,소화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개폐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한 작동부재와 점화조작시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를 점화위치에 설정하여 점화조작종료후에는 상기 작동부재를 연소위치에 변위시키고 소화조작시에는 상기 작동부재를 소화위치에 복귀시키는 상기 작동부재의 위치설정기구를 구비한 가스기기에 부설되는 것으로서,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점화위치에 설정되었을 때만 상기 가스유로의 유로저항을 증대하는 저항증대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점화시에 있어서의 연료가스유량을 상기 버너의 화력이 중간화력으로 되는 유량으로 제한하는 것을 특장으로 하는 점화시의 화력조정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소화기구는 수동조작으로 왕복이동하는 스위치기구이며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가스유로 및 상기 개폐밸브가 설치된 밸브보디내에 찔러 넣어지는 동시에 상기 스위치기구에 연동하는 작동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의 점화시의 화력조정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기구는 가이드틀과 이 가이드틀내에 전후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넣어진 스위치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저항증대수단은 상기 스위치본체에 연동하는 상기 작동봉에 설치된 칼라형상부와 상기 밸브보디내에 설치한 죄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의 점화시의 화력조정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기구는 상기 점, 소화기구의 소화위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를 점화위치에 왕복이동시키고 상기 조작의 정지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를 중간의 연소위치에 복귀이동시키며 재차 상기 조작을 행함으로써 상기 작동부재를 상기 중간에 연소위치로부터 원래의 소화위치에 복귀이동시키는 푸시,푸시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의 점화시의 화력조정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점,소화기구는 수동조작으로 왕복이동하는 스위치기구이며 상기 푸시,푸시기구는 상기 스위치기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스기기의 점화시의 화력조정기구
  6.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점화시의 화력조정기구를 구비한 가스기기의 점화시의 화력조정기구.
KR1019960013158A 1995-05-09 1996-04-26 가스기기의 점화시의 화력조정기구 KR1002051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10882 1995-05-09
JP07110882A JP3128468B2 (ja) 1995-05-09 1995-05-09 ガス機器の点火時の火力調整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1849A KR960041849A (ko) 1996-12-19
KR100205188B1 true KR100205188B1 (ko) 1999-07-01

Family

ID=14547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3158A KR100205188B1 (ko) 1995-05-09 1996-04-26 가스기기의 점화시의 화력조정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128468B2 (ko)
KR (1) KR100205188B1 (ko)
CN (1) CN1104593C (ko)
TW (1) TW2890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01667B2 (ja) * 2011-04-14 2015-04-15 コンビ株式会社 連係操作機構
JP5441992B2 (ja) * 2011-11-25 2014-03-12 リンナイ株式会社 火力調節装置
CN104653819B (zh) * 2015-03-03 2017-03-01 虞上海 新型燃气阀
CN107577284A (zh) * 2016-07-04 2018-01-12 鸿富锦精密电子(天津)有限公司 安装机构
CN111434988A (zh) * 2019-01-15 2020-07-21 黄振明 一种带有主煤气自锁的燃气大锅灶电点火系统
CN114738800A (zh) * 2022-04-24 2022-07-12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智能燃气灶的控制方法及其智能燃气灶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81298B2 (en) * 1985-06-05 1989-02-16 Rinnai Corporation Fluid control device
JPS6467530A (en) * 1987-09-09 1989-03-14 Kanbishi Denki Seizo Gas control valve operating device
JP2575060Y2 (ja) * 1991-05-20 1998-06-25 パロマ工業株式会社 ガスこんろのガス量調節装置
JP2691657B2 (ja) * 1992-05-01 1997-12-17 リンナイ株式会社 燃焼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28468B2 (ja) 2001-01-29
CN1147614A (zh) 1997-04-16
TW289078B (ko) 1996-10-21
JPH08303774A (ja) 1996-11-22
KR960041849A (ko) 1996-12-19
CN1104593C (zh) 2003-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5188B1 (ko) 가스기기의 점화시의 화력조정기구
KR100575238B1 (ko) 가스렌지
KR0170832B1 (ko) 가스 기기의 연소조정장치
KR0170833B1 (ko) 가스 기기의 연소조정장치
JPH0821625A (ja) ガス器具の点火装置
KR0157357B1 (ko) 가스기기의 연소제어장치
KR0170831B1 (ko) 가스 기기의 연소조정장치
JP3128470B2 (ja) ガス機器の燃焼調整装置
JP3128469B2 (ja) ガス機器の点火時の火力調整機構
KR0181632B1 (ko) 가스기구의 화력조절장치
JPH0480520A (ja) ガス調理器具およびガス器具安全装置
KR910006084Y1 (ko) 가스콕크
JPH0712328A (ja) 調理用ガスバーナに対するガス開閉装置及びガス調理器
JPH09196371A (ja) ガス器具のガス量調節装置
JPH0311583Y2 (ko)
KR930007450B1 (ko) 버너의 연소제어장치
KR930004257Y1 (ko) 가스기구에 있어서의 가스제어장치
JP3128474B2 (ja) ガス機器の燃焼調整装置
KR900003848Y1 (ko) 휴대용 가스토오치
JPS62131114A (ja) ガス器具栓装置
JP3073441B2 (ja) ガバナ弁を備えたガス機器
KR200244553Y1 (ko) 휴대용가스레인지의초기점화를위한가스공급장치
JPH0138458Y2 (ko)
KR200257647Y1 (ko) 가스렌지의 타이머장치
KR900000928Y1 (ko) 가스연소기용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