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4436B1 - 카세트 로우딩 기구 - Google Patents

카세트 로우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4436B1
KR0164436B1 KR1019900004273A KR900004273A KR0164436B1 KR 0164436 B1 KR0164436 B1 KR 0164436B1 KR 1019900004273 A KR1019900004273 A KR 1019900004273A KR 900004273 A KR900004273 A KR 900004273A KR 0164436 B1 KR0164436 B1 KR 0164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arm
inlet
engag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4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5109A (ko
Inventor
료 소가
Original Assignee
오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가 노리오
Publication of KR900015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5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4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4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1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43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438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with mechanism for subsequent vertical movement of the disc and opening mechanism of the cartridge shut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세트 로우딩 기구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로딩 기구(cassette loading mechanism)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일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III-III선을 따라 절취한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주요부의 저면도.
제5a도 내지 제5f도는 카세트 로우딩 기구의 동작을 a에서 f까지 차례로 도시한 개략 평면도.
제6도는 제5f도의 VI-VI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제7도는 제1도 주요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제8도는 카세트를 도중에서 인출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제9도는 카세트 언로우딩시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세트 2 : 기록매체
6 : 결합 오목부 32 : 이동핀
33 : 카세트 인입 아암 35 : 아암편
36 : 결합돌기 39 : 스톱퍼편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새로운 카세트 로우딩 기구((cassette loading mechanism)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기록매체를 수납하는 카세트 측면에 형성된 결합 오목부(engaging recess)의 카세트 인입 아암(cassette withdrawing arm)의 결합 돌출부가 맞물려 있으며 또한, 이 카세트 인입 아암이 인입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카세트를 소정 장착 위치로 인입하는 카세트 로우딩 기구에 있어서, 카세트 인입 아암의 결합 돌출부가 카세트의 결합 오목부에 맞물린 후에도 카세트를 인입 반대 방향으로 당기므로 결합 돌출부를 결합 오목부에서 이탈시킬 수가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카세트 로우딩 기구는 카세트 인입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핀에 카세트 인입 아암의 기단부를 회전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카세트 인입 아암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한 작은 아암편과 이 아암편의 선단부의 약간 전방에 위치한 스톱퍼편을 구비하며, 카세트 인입 아암의 결합 돌출부가 카세트의 결합 오목부와 맞물려서 카세트 인입 방향으로 가압 되었을 때 이 카세트 인입 아암과 결합 돌출부와의 사이에서 접촉점을 통과하는 접선과 수직한 선에서 카세트 인입 아암의 개구 반대측에 상기 이동핀이 위치되어 있으며, 카세트에 가해진 힘에 의해 이동핀이 카세트 인입 방향 반대측으로 이동 되었을 때 상기 아암편의 선단부가 상기 스톱퍼편에 접촉하여 결합 돌출부가 결합 오목부에서 빠져 나가는 방향으로 카세트 인입 아암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카세트의 결합 오목부에서 카세트 인입 아암의 결합 돌출부가 맞물린 후에도 카세트를 인입 반대 방향으로 당기면 그에 따라서 이동핀이 인입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카세트 인입 아암의 적은 아암편의 선단부가 스톱퍼편과 접촉되어 있으며 또한, 그 결합 돌출부가 카세트의 결합 오목부에서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카세트를 인출할 수가 있다.
[종래기술]
카세트를 디스크 방향으로 삽입하면 카세트 인입 아암의 결합 돌출부가 카세트의 결합 오목부와 맞물리며 이어서, 모터가 회전하고, 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캠기어에 의해 카세트 인입 아암이 인입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카세트가 인입되어서 장착 위치에 장착이 실행되도록 한 카세트 로우딩 기구가 일본국 특허공개 소와 63-71975호 공보에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카세트 로우딩 기구에 의하면, 카세트를 어느정도 까지 삽입하면 카세트가 장착 위치까지 자동적으로 끌려들어가는 잇점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술한 종래 카세트 로우딩 기구에 있어서는 일단 카세트 인입 아암의 결합 돌출부가 카세트의 결합 오목부에 맞물려서 모터가 회전을 시작하면 정규 이젝트 동작(regular ejecting operation)에 의하지 않는한 카세트를 끌어내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같은 사실은 카세트를 중간까지 삽입하여서 생각이 바뀌어 다른 카세트로 바구고 싶은 일은 종종 있는 일이며 이와 같은 때에, 상기 종래의 카세트 로오딩 기구로서는 상당히 자유롭게 사용하기가 좋지 않은 것으로 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카세트 로우딩 기구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카세트 인입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핀에 카세트 인입 아암의 기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여 카세트 인입 아암의 기단부에서 측방으로 돌출한 적은 아암편과, 이 아암편의 선단부의 약간 전방에 위치한 스톱퍼편을 구비하며 카세트 인입 아암의 결합 돌출부가 카세트의 결합 오목부와 맞물려서 카세트 인입 방향으로 부가되었을 때 이 카세트 인입 아암과 결합 돌출부와의 사이의 접촉점을 통과하는 접선과 수직한 선으로부터 카세트 인입 아암의 개구 반대측에 상기 이동핀이 위치하며 카세트에 가해진 힘에 의해 이동핀이 카세트 인입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아암편의 선단부가 상기 스톱퍼편에 맞대여서 결합 돌기부가 결합 오목부에서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카세트 인입 아암이 회전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카세트 로우딩 기구에 의하면 카세트의 결합 오목부에 카세트 인입 아암의 결합 돌출부가 맞물린 후에도 카세트를 인입 반대 방향으로 당기면 그것에 끌려서 이동핀이 인입 반대 방향쪽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카세트 인입 아암의 적은 아암편의 선단부가 스톱퍼편과 접촉하고 또한, 그 결합 돌출부가 카세트의 결합 오목부에서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카세트를 인출할 수가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카세트 로우딩 기구의 상세한 설명을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을 한다.
참조부호 1은 카세트이며, 평면 형상으로 약간 전후 방향으로된 편평한 상자 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중에 원판 형상을 한 광학 디스크(2)가 여유를 갖는 상태로 수납되어 있다.
참조부호 3은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한 셔터(shutter)이며, 도시하지 않은 탄성 수단(resilient means)에 의해 닫힌 위치(shut position)에 유지되어 있다. 그래서, 이 셔터(3)가 개방 위치로 이동하면 카세트(1)의 하부면에 형성된 억세스 구멍(access opening; 4)이 개방되고, 이 억세스 구멍(4)을 통해서 광학 디스크(2)의 기록면(2a)이 외부에 이르게 된다.
참조부호 5는 카세트(1)의 후단면에 형성된 홈이다.
참조부호 6은 카세트(1)의 우측면 후단부에 형성된 결합 오목부이며, 개구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폭이 넓어지도록 전후 양측면(6a, 6b)이 약15°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참조부호 7은 샤시이며, 후술하는 카세트 캐리어등은 샤시(7)에 지지되어 있다.
이 샤시(7)에는 상기 광학 디스크(2)를 탑재하여 회전하는 스핀들(8)과, 광학 디스크(2)의 기록면(2a)에 형성된 기록 트랙을 트레스하여 그 신호를 판독하는 광학 픽업(9)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샤시(7)에서는 4개의 안내핀(10, 10, ...)이 입설되어 있다.
또한, 샤시(7)에는 전후 방향으로 4개의 긴구멍(11, 11, ...)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긴구멍(11, 11, ...)의 후단 가장자리에서는 전방으로 또는 하방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경사편(12, 12, ...)이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13은 카세트 캐리어이며, 상기 샤시(7)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카세트 캐리어(13)는 전후 방향으로 약간 긴 장방형의 프레임 형상을 하고 있으며, 각 삽통구멍(14, 14, ...)에 샤시(7)가 입설된 안내핀(10, 10, ...)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또한, 4개의 인장 코일 스프링(tension coil spring; 15, 15, ...)이 샤시(7)와 카세트 캐리어(13)와의 사이에 평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카세트 캐리어(13)는 샤시(7)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되어 있다.
참조부호 16은 카세트 안내부이며, 카세트 캐리어(13)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안내레일(17)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안내 레일(17)의 전방 단부의 상면 다이는 연결판(1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참조부호 19는 셔터 개방 레버이며, 그 기단부가 카세트 캐리어(13)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토오션 스프링(20)에 의해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력을 가압하고 있다. 그래서, 스톱퍼(21)에 의해 제1도에 도시하는 자세 즉, 기단에서 전방으로 향해 약간 우측으로 경사진 자세로 유지하고 있다.
참조부호 22는 셔터 개방 위치(19)의 회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롤러이다.
그래서, 상기 카세트(1)가 카세트 안내부(16) 전방측에서 삽입되어지며, 셔터(3)의 좌측에 접한 위치에서 셔터 개방 레버(19)의 롤러(22)의 일부가 카세트(1)의 홈(5)에 끼워진 상태로 된다. 거기에서 또다시 카세트(1)가 속으로 삽입되어지며, 셔터 개방 레버(19)는 상기 자세에 있기 때문에, 카세트(1)의 후단에 의해 가압되어서 시계 반대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어서 롤러(22)가 셔터(3)의 좌단을 가압하면 우측으로 향해서 전동해간다. 그래서, 카세트(1)가 제5F도에 도시된 위치까지 삽입이 되면 셔터(3)가 개방 위치에 도달하고 상기 억세스 구멍(4)이 완전히 개방되어서 광학 디스크(2)에서 기록면(2a)이 광학 픽업(9)과 대면한다.
참조부호 23은 카세트 인입 기구(cassette withdrawing mechanism)이며, 카세트 캐리어(1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이동핀을 구비한 카세트 인입 레버, 카세트(1)의 결합 오목부(engaging recess; 6)와, 맞물리는 결합 돌출부(engaging convex tip)를 구비한 카세트 인입 아암과, 카세트 인입 레버를 고정하는 기구 등으로 형성된다.
참조부호 24는 카세트 인입 레버이며, 금속판의 평면 형상으로 대략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전방으로 향해서 돌출한 중앙편(25)과 이 중앙편(25)의 후단부에서 좌우로 각각 별도로 돌출한 좌측편(26) 및 우측편(27)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 측편(26, 27)의 기초는 전방측으로 향해 폭이 넓어지며, 이에 따라 이들 좌우편(26, 27)은 거의 3각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카세트 인입 레버(24)는 좌측편(26)의 거의 중간 부분이 축(28)에 의해 카세트 캐리어(13)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참조부호 29는 인장 코일 스프링이며, 중앙편(25)의 전방 단부와 카세트 캐리어(13)의 후방 단부와의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카세트 인입 레버(24)에는 시계 반대 회전 방향으로 회전력이 가압되어 있다.
참조부호 30은 후술하는 슬라이더에 입설된 스톱퍼핀이며, 카세트 캐리어(13)에 형성된 전후로 긴구멍(31)을 통해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래서, 카세트 인입 레버(24)의 좌측편(26)의 좌단부 앞가장자리는 스톱퍼편(30)의 후방측에 접촉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카세트 인입 레버(24)의 자세가 규정된다.
참조부호 32는 카세트 인입 레버(24)의 우측편(27)의 선단부에 입설도니 이동핀이며, 카세트 인입 레버(24)가 경사 이동하므로 거의 전후 방향으로 즉, 카세트 인입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참조부호 30은 카세트 인입 아암이며, 거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주부(34)와 이 주부(34)의 후단에서 우방으로 향해 돌출된 아암편(3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부(34)의 전단에는 좌측 방향으로 향해 돌출하는 결합 돌출부(36)가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주부(34)의 후단부가 카세트 인입 레버(24)에 설치된 전후 이동핀(3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참조부호 37은 인장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카세트 인입 레버(24)의 중앙편(25)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거의 중앙의 위치에서 우편으로 돌출된 스프링 걸이편(38)과 카세트 인입 아암(33)의 아암편(35)의 선단과의 사이에 장착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카세트 인입 아암(33)에는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력이 가압되고 있다. 그래서, 스톱퍼(39)의 아암편(35)의 선단 앞가장자리가 맞대이므로서 카세트 인입 아암(33)의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 범위가 규제되며, 카세트(1)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제1도에 도시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2개의 인장 코일 스프링(29, 37)의 인장력과의 관계는 인장 코일 스프링(37)의 그것이 인장 코일 스프링(29)의 그것에 비해서 상당히 약하게 설정되어 있다.
참조부호 40은 록크 레버이며, 중앙보다 약간 앞으로 치우친 부분이 축(41)에 의해 카세트 캐리어(1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토오션 스프링(42)에 의해 시계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가압하고 있다.
그래서, 록크 레버(40)의 후단에는 우측 가장자리와 후방 가장자리로 향해서 열린 결합 절결부(43)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전방 단부에는 피가압핀(44)이 입설되어 있다.
그래서, 록크 레버(40)가 거의 전후 방향으로 향한 자세로 그 후단의 결합 절결부(43)에 상기 스톱퍼핀(30)이 결합되어 이 스톱퍼핀(30)에 카세트 인입 레버(24)의 좌측편(26) 좌측 단부분 가장자리가 뒤측에 맞대인다. 그래서, 이 상태에서 각 부재의 위치를 초기 위치라 한다.
그리고, 이 초기 위치에서 록크 레버(40)가 시계 회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결합 절결부(43)가 스톱퍼핀(30)의 전방 측에서 도망가면 인장 코일 스프링(29)에 의한 카세트 인입 레버(24)의 시계 회전 반대 방향으로 회전을 저지하는 것이 없어지기 때문에, 카세트 인입 레버(24)가 시계 회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좌측편(26)이 스톱퍼편(30)을 전방으로 밀고가 또한, 이동핀(32)이 거의 후방으로 향해서 이동하여 이것에 끌어당겨서 카세트 인입 아암(33)이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래서, 이와 같은 동작은 스톱퍼핀(30)의 전방으로의 이동 한계까지 행해진다.
45는 슬라이더이며, 판금 재료로 후방편(46)과 좌우 양편(47, 48) 및 전방편(49)이 일체로 형성되어 평면 형상에서 거의 프레임 형상을 하고 있다.
슬라이더(45)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긴구멍(50, 50, ...)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카세트 캐리어(13)에 수직으로 설치된 3개의 안내핀(51, 51, ...)이 상기 긴구멍(50, 50, ...)에 삽통 또한, 빠지지 않도록 된 슬라이더(45)는 카세트 캐리어(13)의 하면에 겹친 상태로 카세트 캐리어(13)에 대해서 전후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스톱퍼핀(30)은 슬라이더(45)의 후편(46)에 입설되어 있다.
슬라이더(45)의 하면에는 4개의 합성수지제의 프레임 (52, 52, ...)이 아우트사이드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이들 프레임(52, 52, ...)의 후면은 하방으로 감에 따라서 전방으로 변위하는 경사면(52a, 52a, ...)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프레임(52, 52, ...)의 전방 단부 하면에는 코로(53, 53, ...)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54는 슬라이더(45)의 후편(46)의 하면에 고정된 피가압 블럭이며 그 전방 측면(55)이 피가압면으로 되어 있다. 이 피가압면(55)은 보다 앞측에 위치한 제1부분(55a)으로부터 뒤측에 위치한 제2부분 (55b)과 이들 사이를 완만한 오목곡면으로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55c)로 형성된다.
그래서, 이와 같은 슬라이더(45)는 카세트 캐리어(13)와 샤시(7) 사이에 끼워지므로 이 슬라이더(45)가 후퇴하고 있을 때 각 코로(53, 53, ...)는 샤시(7)의 상면에 탑재되고 이에 의한 카세트 캐리어(13)는 샤시(7)에 대해서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유지되며, 슬라이더(45)가 전진해서 상기 프레임(52, 52, ...)이 샤시(7)의 긴구멍(11, 11, ...)내로 떨어지면 카세트 캐리어(13)는 인장 코일 스프링(15, 15, ...)에 의해 샤시(7)측으로 끌어당겨진다.
또한, 56은 슬라이더(45)의 후편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래크(rack)이며, 57은 카세트 캐리어(13)에 고정된 덤퍼이며, 덤퍼(damper; 57)의 회전축(57a)에 고정된 피니언(58)이 슬라이더(45)의 상기 래크(56)와 이 맞물림되어 있다.
그래서, 각부가 상기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슬라이더(45)는 그 코로(53, 53, ...)가 샤시(7)의 상면에 탑재된 상태로 되며 그것이 록크 레버(40)의 결합 절결부(43)에 스톱퍼핀(30)이 결합되므로서 유지된다. 그래서, 록크 레버(40)가 초기 위치에서 시계 회전 반대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여 스톱퍼핀(30)에 대한 고정이 해제되면 인장 코일 스프링(29)의 인장력에 의해 카세트 인입 레버(24)가 시계 회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좌측편(26)에 의해 스톱퍼핀(30)이 전방으로 향해서 가압되고 이에 의해 슬라이더(45)는 카세트 캐리어(13)에 대해서 전진된다. 슬라이더(45)가 전진하면 곧이어서 코로(53, 53, ...)가 샤시(7)의 경사편(12, 12, ...)을 굴러내려가고 프레임(52, 52, ...)이 샤시(7)의 긴구멍(11, 11, ...)내로 입력되어서 카세트 캐리어(13)가 인장 코일 스프링(15, 15, ...)의 인장력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59는 언로우딩 기구이고 카세트 캐리어(1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캠기어(60)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61)로 형성하며, 캠기어(60)의 상면에는 편심 위치에 가압핀(62)이 입설되어 있다. 그래서, 캠기어(60)는 가압핀(62)이 거의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 있으며 언로우딩의 지령에 의해 1회전하여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즉, 언로우딩 지령이 나가면 모터(61)가 회전하며 이에 의한 캠기어(60)가 회전한다. 그래서, 캠기어(60)가 회전하면 가압핀(62)이 후퇴하여 슬라이더(45)의 피가압 블록(54)의 피가압면(55)의 제1부분(55a)을 가압해 가서, 결국 연결부(55c)의 제2부분(55b)과 접하면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갈 때 까지 1회전한다. 그래서, 슬라이더(45)는 그 피가압 블록(54)이 가압핀(62)에 의해 가압되므로 전진 위치에서 후퇴 위치로 되돌려진다.
다음에, 상기 카세트 로우딩 기구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각부가 제5a도에 도시한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카세트 안내부(16)의 카세트(1)를 삽입해 간다.
그러면 결국 셔터 개방 레버(19)의 롤러(22)가 카세트(1) 후단면의 홈(5)에 일부 끼워진다(제5b도 참조).
그리고, 카세트(1)가 카세트 안내부(16)내에 삽입되면 그에 따라, 셔터 개방 레버(19)는 시계 회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며 그 롤러(22)는 카세트(1)의 셔터(3)를 우측으로 눌러 열고 카세트(1)의 우측면의 전방 단부가 카세트 인입 아암(3)의 결합 돌출부(36)에 맞대여 이것을 누르기 때문에 카세트 인입 아암(33)은 인장 코일 스프링(37)의 인장력에 대항해서 약간 시계 회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결합 돌출부(36)가 카세트(1)의 우측면과 맞대인다 (제5c도 참조).
거기에서, 약간 카세트(1)가 밀어넣어지면 카세트 인입 아암(33)의 결합 돌출부(36)의 위치와 카세트(1)의 결합 오목부(6)의 위치가 일치하여 카세트(1)의 결합 오목부(6)에 카세트 인입 아암(33)의 결합 돌출부(36)가 맞물리고 그것과 거의 동시에 셔터 개방 레버(19)의 선단으로 기운 부분이 록크레버(40)의 피가압핀(44)에 맞대인다 (제5d도 참조).
또한, 카세트 인입 아암(33)의 결합 돌출부(36)가 카세트(1)의 결합 오목부(6)에 맞물렸을때 결합 돌출부(36)가 결합 오목부(6)의 후면(6a)에 접하는 점을 통과 해서 접선(63)에 수직한 선(64)으로부터 내측으로 즉, 좌측 이동핀(32)이 위치하고 있는 것이 필요하다(제7도 참조). 그렇지 않으면, 이동핀(32)이 후퇴하였을때에 카세트(1)를 인입할 수가 없다. 단, 이동핀(32)의 위치 관계가 이와 같으면 일단 카세트 인입 아암(33)의 결합 돌출부 (36)가 카세트 (1)의 결합 오목부(6)에 맞물려 버리면 이것을 강제적으로 벗길 수가 없으나 상기 카세트 로우딩 기구에서는 스톱퍼편(39)이 있기 때문에 결합 돌출부(36)가 결합 오목부(6)에 맞물린 후에도 카세트(1)를 뽑아 내는 방향으로 즉, 전방으로 향해서 끌어당기면 이에 의해 카세트 인임 아암(33)이 전방으로 당겨져서 이동핀(32)은 전진하나(카세트 인입 레버(24)가 인장 코일 스프링(29)의 인장력에 대항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카세트 인입 아암(33)의 아암편(35) 선단부는 스톱퍼편(39)에 맞대여서 전진할 수 없으며 따라서, 카세트 인입 아암(33)이 시계 회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결합 돌출부(36)가 결합 오목부(6)에서 벗어나게 된다(제8도 참조).
제5d도의 상태에서 카세트(1)가 약간 밀어 넣어지면 셔터 개방 레버(19)에 의해 록크 레버(4)의 피가압 핀(44)이 가압되어서 록크 레버(40)가 반시계 회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톱퍼핀(30)에 대한 고정이 해제된다(제5e도 참조).
스톱퍼핀(30)에 대한 고정이 해제되면 인장 코일 스프링(29)의 인장력에 의해 인입 레버(24)가 시계 회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에 의해 이동핀(32)이 후방으로 향해서 미끄럼 이동하고 이것에 끌어당겨져서 카세트 인입 아암(33)이 후방으로 향해 이동되므로 카세트 인입 아암(33)에 끌어당겨져서 카세트(1)가 내부까지 인입 된다(제5f도 참조). 이때, 이동핀(32)의 위치가 결합 돌출부(36)와 결합 오목부(6)와의 접선에 대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되어 있으므로 결합 돌출부(36)가 결합 오목부(6)에서 이탈해버리는 일은 없다. 그래서, 이것과 동시에 카세트 인입 레버(24)의 좌측편(26)에 의해 스톱퍼핀(30)이 전방으로 향해서 가압되기 때문에 슬라이더(45)가 전방으로 향해 이동되며 마지막에는 상기 프레임(52, 52, ...)이 샤시(7)의 긴구멍(11, 11, ...)내에 들어가 카세트 캐리어(13)가 샤시(7)에 근접한다.
카세트 언로우딩의 지령이 내려지면 모터(61)가 구동하여 캠기어(60)가 그 초기 위치에서 1회전된다.
그래서, 그 1회전 사이에 상기 가압핀(62)이 슬라이더(45)의 피가압 블록(54)의 피가압면(55)을 가압한다. 그래서, 피가압면(55)이 피가압핀(62)에 의해 가압되므로, 슬라이더(45)는 카세트 캐리어(13) 및 샤시(7)에 대해서 후퇴되어서 코로(53, 53, ...)가 샤시(7)의 한쪽 경사편(12, 12, ...)을 굴러가면 이것에 의해 카세트 캐리어(13)는 샤시(7)에서 이격된다. 이와 동시에, 스톱퍼핀(30)이 후퇴하여 카세트 인입 레버(24)의 좌측편(26)을 후방으로 향해 가압하므로 카세트 인입 레버(24)가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며 이동핀(32) 및 카세트 인입 아암(33)이 전방으로 이동되며 이에 의해, 카세트(1)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간다.
그래서, 스톱퍼핀(30)이 초기 위치에 온 곳에서 록크레버(40)가 토오션 스프링(42)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되어 그 결합 절결부(43)는 스톱퍼핀(30)의 전방측에 위치한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도 또, 가압핀(62)이 피가압면(55)의 제1의 부분(55a)를 가압하고 있으며 또한, 슬라이더(45)가 후퇴되고 따라서, 카세트 인입 레버(24)는 초기 위치에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것에 의해 카세트 인입 아암(33)은 그 아암편(35)의 선단부 스톱퍼편(39)과의 접촉점을 지지점으로 하여 약간 시계 회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그 결합 돌출부(36)가 카세트(1)의 결합 오목부(6)에서 이탈한다(제9도 참조). 그것에 의해 카세트(1)는 셔터 개방 레버(19)에 가압되는 토오션 스프링(20)의 힘에 의해 일부가 카세트 안내부(16)에서 돌출될 때 까지 전방으로 이동된다. 그래서, 가압핀(62)이 피가압면(55)의 제1부분(55a)에서 벗어나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면 스톱퍼핀(30)은 록크 레버(40)의 결합 절결부(43)와 결합하여 초기 위치에서 록크된다.
[발명의 효과]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명백함은 본 발명의 카세트 로우딩 기구는 기록매체를 수납한 카세트가 소정의 재생 동작을 하는 장치의 위치에 장착되는 카세트 로우딩 기구로서 카세트 인입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된 이동핀과, 기단부를 상기 이동핀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함과 동시에 카세트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 오목부와 맞물리는 결합 돌출부를 선단에 갖는 카세트 인입 아암과, 카세트 인입 아암의 기단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적은 아암편과, 상기 아암편의 선단의 약간 전방에 위치한 스톱퍼편을 구비하고, 카세트 인입 아암의 결합 돌출부가 카세트의 결합 오목부와 맞물려서 카세트 인입 방향으로 가압되었을 때 이 카세트 인입 아암과 결합 돌출부와의 사이에서 접촉점을 통과해 접선과 수직인 선에서 카세트 인입 아암의 개구 반대측으로 상기 이동핀이 위치하여 카세트에 가해진 힘에 의해 이동핀이 카세트 인입 방향 반대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아암편의 선단이 상기 스톱퍼편에 맞대여서 결합 돌출부가 결합 오목부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카세트 인입 아암이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카세트 로우딩 기구에 의하면 카세트의 결합 오목부에 카세트 인입 아암의 결합 돌출부가 맞물린 후에도 카세트를 인입 반대 방향으로 당기면 그것에 끌려서 이동핀이 인입 반대 방향쪽으로 이동하며 이것에 의해 카세트 인입 아암의 적은 아암편의 선단이 스톱퍼편에 접촉하며 또한, 그 결합 돌출부가 카세트의 결합 오목부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카세트를 뽑아낼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도시한 카세트 로우딩 기구에서는 모터가 여하한 위치에서 정지하여도 외부에서 슬라이더를 후퇴 시키므로서 카세트를 인출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서 도시한 카세트 로우딩 기구에서는 카세트의 위치에 의해 각 부가 기계적으로 동작하여 로우딩을 하므로 종래의 모터를 사용한 로우딩과 다르고, 카세트 위치의 검출과 로우디 동작의 개시 사이에 시간차이가 없으므로 카세트를 힘차게 밀어넣을 경우에도 카세트를 끌어넣지 않고 배출해 버리는 일은 없다.

Claims (1)

  1. 기록매체를 수납한 카세트를 소정 재생 동작을 실행하는 장착 위치에 장착하기 위한 카세트 로우딩 기구에 있어서, 카세트 인입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이동핀과, 기단부를 상기 이동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킴과 동시에 측면에 형성된 결합 오목부와 맞물리는 결합 돌출부를 선단부에 갖는 카세트 인입 아암과, 상기 카세트 인입 아암의 기단부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작은 아암편과, 상기 아암편 선단부의 약간 전방에 위치한 스톱퍼편을 구비하며, 상기 카세트 인입 아암의 결합 돌출부가 카세트의 결합 오목부와 맞물려서 카세트 인입 방향으로 가압되었을 때 상기 카세트 인입 아암과 결합 돌출부 사이의 접촉점을 통과하는 접선에 수직한 선에서 카세트 인입 아암의 개구 반대측에 상기 이동핀이 위치하며, 상기 카세트에 가해진 힘에 의해 이동핀이 카세트 인입 방향 반대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아암편의 선단부가 상기 스톱퍼편에 맞대여 결합 돌출부가 결합 오목부에서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카세트 인입 아암이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로우딩 기구.
KR1019900004273A 1989-03-31 1990-03-30 카세트 로우딩 기구 KR01644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0468 1989-03-31
JP1080468A JP2679231B2 (ja) 1989-03-31 1989-03-31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109A KR900015109A (ko) 1990-10-25
KR0164436B1 true KR0164436B1 (ko) 1999-03-20

Family

ID=13719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4273A KR0164436B1 (ko) 1989-03-31 1990-03-30 카세트 로우딩 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19358A (ko)
EP (1) EP0390211B1 (ko)
JP (1) JP2679231B2 (ko)
KR (1) KR0164436B1 (ko)
DE (1) DE6901748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6135B2 (ja) * 1989-09-25 1998-11-18 株式会社リコー 光ディスク駆動装置
JPH0650866Y2 (ja) * 1989-10-24 1994-12-21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装着装置
JPH0541060A (ja) * 1991-08-02 1993-02-19 Sony Corp 記録再生装置
US5406430A (en) * 1991-08-29 1995-04-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assette tape mount for use in a cassette tape recorder
DE69319660T2 (de) * 1992-05-22 1998-11-19 Sony Corp Ladegerät für Plattenkassette
JPH06251533A (ja) * 1993-02-25 1994-09-09 Sony Corp カートリッジ
JPH06338117A (ja) * 1993-05-28 1994-12-06 Sony Corp ディスク装置
US5590109A (en) * 1993-09-17 1996-12-3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Disc apparatus
US5768241A (en) * 1993-11-06 1998-06-16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Shutter operating mechanism for magneto-optical disk drive
US6243333B1 (en) 1993-11-06 2001-06-05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Magneto-optical disk drive
KR0184909B1 (ko) * 1993-12-28 1999-04-15 다무라 노리오 디스크 장치
JP3389934B2 (ja) * 1994-02-08 2003-03-2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バ
US5995469A (en) * 1994-07-13 1999-11-30 Mitsumi Electric Co., Ltd. Disk device having movable cartridge holder and a cam plate having a cam groove with three successive inclined cam groove portions
JPH09231738A (ja) * 1996-02-28 1997-09-05 Sony Corp スライドトレーにおける接地構造
JP3694381B2 (ja) 1997-01-23 2005-09-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US6271989B1 (en) * 1997-09-15 2001-08-07 Hans K. Tannert Method for inserting a removable disk cartridge into a disk drive
JP2005028774A (ja) 2003-07-07 2005-02-03 Fuji Photo Film Co Ltd 平版印刷版用原版および平版印刷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1467A (ja) * 1984-03-09 1985-09-28 Sony Corp デイスクカセツトの装着装置
JPS61149158U (ko) * 1985-03-06 1986-09-13
JPH0658752B2 (ja) * 1985-03-25 1994-08-03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マイクロフロツピデイスクドライブのカ−トリツジ着脱機構
JPS62109256A (ja) * 1985-11-08 1987-05-20 Alps Electric Co Ltd デイスク駆動装置
JPS62281155A (ja) * 1986-05-30 1987-12-07 Matsushita Commun Ind Co Ltd デイスク装置のロ−デイング装置
IT1203575B (it) * 1986-06-20 1989-02-15 Olivetti & Co Spa Cartuccia per un disco ottico di registrazione di dati sulle due facce e relativo dispositivo di lettura
US4746013A (en) * 1986-09-16 1988-05-24 Sony Corporation Disc cartridge with releasable locking means
JPH0687340B2 (ja) * 1986-09-16 1994-11-02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
JPS63113966A (ja) * 1986-10-31 1988-05-18 Sony Corp 記録再生装置の記録デイスク装填装置
JPH0610537Y2 (ja) * 1987-05-23 1994-03-16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260273A (ja) 1990-10-23
EP0390211B1 (en) 1995-03-08
EP0390211A3 (en) 1991-09-25
KR900015109A (ko) 1990-10-25
DE69017486D1 (de) 1995-04-13
EP0390211A2 (en) 1990-10-03
JP2679231B2 (ja) 1997-11-19
US5119358A (en) 1992-06-02
DE69017486T2 (de)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4436B1 (ko) 카세트 로우딩 기구
US5504730A (en) Disk cartridge loading mechanism for use in disk recording and/or regenerating device having a reduced thickness and reduced complexity
JPH0348765Y2 (ko)
EP0174111A2 (en) Shuttering mechanism for a cassette
US4636890A (en) Magnetic tape recorder
JPS6344392A (ja) 防塵ドア機構
JPS61180958A (ja)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KR100432600B1 (ko) 디스크카트리지의로딩장치
US4835638A (en) Disk cartridge loading and ejecting mechanism i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4651240A (en) Disk cartridge loading and ejecting mechanism in a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JPH1040622A (ja) ディスク駆動装置
JP3044889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826033B2 (ja) カートリッジローディング装置
JP2919107B2 (ja) カートリッジ自動装着装置
JP2978578B2 (ja) カートリッジ自動装着装置
JP2720514B2 (ja) スライダ部材の取付け機構
JPS6390058A (ja) 磁気記録装置
JP2521960Y2 (ja) 磁気デイスクカ−トリツジ装着脱機構
JP3076572U (ja) 磁気テープ装置
JPS5819732Y2 (ja) 磁気記録再生機のカセット収納装置
JP3430714B2 (ja) 光磁気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2811819B2 (ja) テーププレーヤ
JP3074876B2 (ja) 記録装置
JP2000021067A (ja) ディスク装置
JPS61296561A (ja) デイスク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