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2731B1 -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 - Google Patents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731B1
KR0162731B1 KR1019960700132A KR19960700132A KR0162731B1 KR 0162731 B1 KR0162731 B1 KR 0162731B1 KR 1019960700132 A KR1019960700132 A KR 1019960700132A KR 19960700132 A KR19960700132 A KR 19960700132A KR 0162731 B1 KR0162731 B1 KR 0162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ocking
game machine
television game
steer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0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3644A (ko
Inventor
겐지 도사끼
마사노리 구도
Original Assignee
이라마지리 쇼우이찌로
가부시끼가이샤 세가 인터프라이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01551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187359A/ja
Application filed by 이라마지리 쇼우이찌로, 가부시끼가이샤 세가 인터프라이지즈 filed Critical 이라마지리 쇼우이찌로
Publication of KR960703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3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7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63F13/245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game, e.g. steer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2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local area network [LAN] connections
    • A63F13/327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local area network [LAN] connections using wireless networks, e.g. Wi-Fi® or picon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03Driving vehicles or craft, e.g. cars, airplanes, ships, robots or tan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8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responding to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for affecting ambient conditions, e.g. for vibrating players' seats, activating scent dispensers or affecting temperature or light
    • A63F13/285Generating tactile feedback signals via the game input device, e.g. forc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2Video game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be hand-held while play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37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for converting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into a haptic signal, e.g. using forc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62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to a type of game, e.g. steering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2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 A63F2300/204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the platform being a handheld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4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platform network
    • A63F2300/404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platform network characterized by a local network connection
    • A63F2300/405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platform network characterized by a local network connection being a wireless ad hoc network, e.g. Bluetooth, Wi-Fi, Pico n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17Driving on land or water; Fl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텔레비전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에 관한 것으로, 카 레이스의 게임 등에 이용되고, 구조가 소형이며 단단하여 최적의 위치에서 고정하여 조작할 수 있다. 그 특징은 좌우 한 쌍의 파지부를 갖는 핸들의 중심부와 파지부를 잇는 상측 포스트의 표면상이며, 파지로부터 손을 떼지 않고 그 엄지가 미치는 범위에 게임의 조작 신호를 발신하는 버튼 스위치를 각각 복수개 설치하고, 또 핸들 중심부의 이면측에 파지부 근방에 작용점을 갖는 시프트 레버를 좌우 한 쌍 설치한다. 그리고, 이런 핸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체 케이싱의 측면을 플레이어의 대퇴부로 협지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연직 방향과 전후 방향으로 연장시키고, 또 핸들의 각도 위치와 높이 위치를 조정 가능한 구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텔레비전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가정용 텔레비전 게임기에 케이블 또는 무선을 거쳐서 연결되어 플레이어가 조작하는 핸들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종래의 자동차, 비행기, 선박 등의 탈것의 조종을 시뮬레이트하는 텔레비전게임기(1)는 인스톨되는 게임·카트리지 내의 게임·프로그램에 따라서 텔레비전(2)에 케이블을 거쳐서 영상과 음성의 신호를 보냄으로써 게임을 텔레비전(2) 상에 전개시키고 있다. 자동차의 레이스 게임용 핸들 조작 장치(3)는 텔레비전 게임기(1)에 접속되고 드라이브 조작 신호를 텔레비전 게임기(1)에 출력하여 게임을 제어하는 것이다.
핸들 조작 장치(3)에서는 본체(4)가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상당하고, 그 본체(4)의 경사 상방을 향해 돌출하여 설치된 스티어링축(5)의 선단에 핸들(스티어링)(6)이 부착되어 있다.
게임중, 플레이어는 이 핸들 조작 장치(3)를 조작하면 되며,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7) 상에 놓고 사용해도 좋고, 바닥 위에 직접 놓고 사용해도 좋다. 또, 소파 등의 의자에 앉아서 조작하는 경우에는 플레이어의 무릎 위에 놓고 사용된다. 그리고, 통상 플레이어는 본체(4)에 설치된 버튼 스위치나 시프트 레버(도시 않음)를 사용하면서, 핸들(6)을 조작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핸들 조작 장치는 그 조작성이 나쁘고,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문제점은 핸들 조작 장치에 설치되는 각종 스위치의 위치에 대한 것이다. 즉, 모니터 화면을 보면서 핸들 조작을 행하고, 자동차, 비행기, 선박 등의 탈것의 조종을 시뮬레이트하는 텔레비젼 게임기에 있어서, 핸들 조작 장치에는 통상, 주행 방향을 지시하는 핸들 이외에 각종 스위치류가 장치의 본체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 비행기의 조종간을 본뜬 것에서는, 조장간의 상단에 누름 버튼 스위치를 한 개 설치한 것, 혹은 조종간의 뒤쪽에 버튼 스위치를 배치한 것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런 텔레비젼 게임기에서는 방향 지시 조작 이외에 악셀이나 브레이크, 시프트 기어 체인지, 혹은 공격이나 방어, 또는 시점의 변경 등을 행할 수 있는 스위치 조작이 필요해진다. 통상, 이런 스위치류는 상기 종래예와 같이 핸들 조작 장치(3)의 장치 본체(4) 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게임 진행중에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핸들(6)로부터 손을 떼어서 조작해야 하며, 신속한 대응이 불가능하고 조작성이 나쁘다.
그래서, 한 손으로 핸들을 잡고 다른 손을 미리 스위치류에 대어두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운전 자세가 부자연스럽게 되며, 조종 방법이 소홀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 조종간식 핸들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버튼 스위치를 한 개 구비한 것이 있으나, 복수 종류의 스위치를 조종간을 잡으면서 선택 조작하는 것은 없고, 조작 스위치를 다수 필요로 하는 게임에는 적합치 않다.
또, 스위치가 시각에 들지 않는 위치에 있는 것은 스위치가 한 개이면 문제는 없으나, 복수 스위치가 있을 때는 눈으로 확인할 수 없고 오조작의 원인이 된다.
제2 문제점은 자동차 레이스용 게임에 많이 이용되는 기어의 시프트 레버에 관한 것이다. 즉, 종래는 시프트 레버에 상당하는 조작 스위치는 장치 본체(4)측에 설치되고 있었다.
그러나, 게임 중에 시프트 레버를 조작하려면 핸드(6)로부터 손을 떼어서 조작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시프트 조작에 시간적 손실이 있다. 그 때문에 재빠른 조작이 요구되는 카 레이스 게임 등에서는 플레이어는 게임의 진행 스피드에 충분히 대응할 수가 없다.
그래서 게임 센터 등에 놓여지는 대형 게임기에는 진짜 레이싱 카를 모방하여 핸들에 시프트 레버를 설치한 예가 있다. 이는 시소형 시프트 레버, 소위 버터플라이 시프트로서, 시프트 업과 시프트 다운을 동시에 조작할 수 없는 구조이다.
이런 버터플라이 시프트는 구조상 대형이며, 그만큼 핸들 주위를 복잡하게 하여 외관도 좋지 않다.
또, 가능한 한 소형화가 요구되는 가정용 핸들 조작 장치에 조립하려면 대형 버터플라이 시프트는 적절치 않다.
세째 문제점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 조작 장치(3)를 테이블(7)에 얹어서 게임을 행하는 경우, 카 레이스 게임 등에서는 핸들(6)의 조작을 가능한 한 재빨리 행할 필요가 있으나, 플레이어가 게임에 열중하면 쓸데 없는 힘이 핸들(6)에 걸리고, 핸들 조작 장치를 이동시켜 버리는 일이 일어난다는 점이다.
핸들 조작 장치(3)가 이동되어 버리면 핸들(6)에 의한 방향 제어는 불가능해지며, 게임 진행상 어쩔수 없이 자주 게임 정지를 당하게 된다.
그래서, 플레이어는 항상 핸들 조작 장치(3)가 움직일 수 없도록 주의하면서 핸들(6)의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으며, 게임에 전념할 수 없다.
핸들 조작 장치(3)를 바닥에 놓고 플레이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 무릎에 얹어서 플레이하는 경우에는 핸들 조작 장치(3)의 지지 상태 자체가 불안정하고, 점점 장치의 이동을 회피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게임에 전념할 수 없다.
이와 같이 게임 이외의 쓸데 없는 데 신경을 써야 하는 것은 플레이어가 게임에 열중하는 것을 방해하게 되며, 게임을 진실로 즐길 수가 없다.
네째 문제점은 핸들(6)의 위치에 관한 것이다. 즉, 텔레비전 게임기용 핸들조작 장치(3)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핸들(6)은 표준적인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핸들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면, 플레이어 자신이 표준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나 조종 자세가 특수한 플레이어 등의 경우에는 핸들(6)의 조작이 곤란한 일이 있다.
종래, 게임의 진행 과정에 있어서 현장감을 내기 위해 핸들(6)에 진동을 일으키거나 하는 것이 있으며, 그 때, 핸들을 상하로 요동시키거나 전후로 신축 가능하게 한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런 것은 진동을 일으키기 위한 것이며, 진동이 없는 통상의 경우에는 핸들은 표준 위치로 복귀되어 있으며, 항상 플레이어에게 적합한 위치에 핸들이 있지는 않다.
[발명의 개시]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소형이면서 간단한 구조로서 상기 여러가지 조작성의 결점을 해결한 가정용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들을 잡은 채 복수의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확실하게 조작할 수 있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텔레비젼 게임기에 조작 수단으로서 이용되는 핸들 조작 장치에 있어서, 소정 파지부를 갖는 핸들이며, 이 핸들 정면에서 상기 파지부를 잡은 손의 엄지가 핸들을 잡은 채 이동할 수 있는 위치에 복수의 버튼 스위치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결과, 플레이어는 핸들을 잡은 채 엄지로 복수의 버튼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성이 우수하고, 재빠른 조작이 요구되는 텔레비젼 게임에 적합하며, 플레이어는 조작에 익숙해짐으로써 게임을 유리하게 전개하고 보다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복수의 버튼 스위치는 핸들의 정면에 위치하여 플레이어의 시각 내에 있으며, 스위치 조작을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며,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 핸들이고 파지부를 한 쌍 갖는 핸들에서는 각 파지부에 대해 복수의 버튼 스위치를 배치함으로써, 더욱 복잡하고 고도한 스위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발명에서는 핸들의 정면의 중앙 또는 중앙 부근에 게임 중은 사용하지 않는 스위치, 예를 들면 게임 스타트용 스위치 등을 배치한다. 이에 의해, 이런 스위치는 핸들로부터 손을 떼고 조작해야 하므로, 오조작의 방지도 된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이고 핸들 주위가 간단하고 가정용 텔레비젼 게임기의 핸들 조작 장치에 가장 적합한 시프트 기구를 구비한 텔레비젼 게임기의 핸들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텔레비젼 게임기에 사용되는 핸들 조작 장치에 있어서, 핸들의 좌우의 소정 위치에 각각 파지부를 설치하고, 이 핸들의 뒤쪽 소정 위치에 좌우 한 쌍의 시프트 레버를 배치하고, 그 좌우 시프트 레버는 상기 좌우의 파지부 근방에 각각 작용점을 갖고, 상기 한 쌍의 파지부를 잡은 좌우 손의 손가락이 작용점에 작용함으로써 작동하고, 한 쪽 시프트 레버의 작동은 기어의 시프트 업을, 다른 쪽 시프트 레버의 작동은 기어의 시프트 다운을 지시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핸들 조작 장치는 핸들의 뒤쪽에 설치된 시프트 레버가 좌우 독립으로 작동하는 구조이므로, 소형이고 핸들 주위가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고, 가정용 핸들 조작 장치에 가장 적합하. 그리고, 가정 내에서 플레이하는 텔레비젼 게임에서도 플레이어는 실제의 레이싱 카의 조종과 같은 조작 감각을 맛볼 수 있다.
좌우 시프트 레버가 동시에 작동 상태에 있을 때, 어느 한 쪽의 시프트 레버의 작동을 유효하게 하고 다른 쪽 시프트 레버의 작동을 무효로 되도록 시프트 레버로부터의 신호의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시프트 레버의 오조작을 작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고정할 수 있으므로, 버튼 스위치나 시프트 레버를 핸들 뒤쪽에 설치한 핸들 조작 장치의 조작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레이어가 핸들 조작 장치를 간단하고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고, 핸들 조작 장치의 이동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없고, 게임에 전념할 수 있는 텔레비젼 게임기의 핸들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텔레비젼 게임기에 사용되는 핸들 조작 장치에 있어서, 핸들의 스티어링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체 케이싱의 좌우측부가 플레이어의 좌우 대퇴부에 의해 협지하기 쉽도록 연직 방향 및 거의 전후 방향으로 전개한 측변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레이어가 기체 케이싱을 그 좌우 대퇴부로 협지하여 고정할 수 있으므로, 핸들 조작에 있어서 핸들 조작 장치의 불필요한 이동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없으며, 게임에 전념할 수 있고 게임을 충분히 즐길 수 있다.
또, 상기 기체 케이싱의 저면에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 깔판을 연장 돌출시킴으로써, 플레이어가 기체 케이싱을 좌우 대퇴부로 협지하는 동시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 돌출한 깔판을 좌우 대퇴부가 상방으로부터 밀어 붙일 수 있으며, 보다 확고하게 기체 케이싱을 고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레이어에게 가장 적합한 위치에 핸들을 움직일 수 있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의 핸들 위치 조정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텔레비젼 게임기에 사용되는 핸들 조작 장치에 있어서, 핸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티어링 칼럼과, 상기 스티어링 칼럼을 틸팅 가능하게 피봇하는 기체 케이싱과,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소망 위치에서 임시 멈춤할 수 있는 임시 멈춤 수단과,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을 금지하는 로크 수단을 구비한 핸들 위치 조정 기구를 제공한다.
이 로크 수단이 로크 해제 상태에 있으면, 스티어링 칼럼은 임시 멈춤 수단에 의해 틸팅 가능하고 또 임시 멈춤 상태에 있으며, 자유로이 핸들과 함께 틸팅하고, 적당한 기울기로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로크 수단을 로크 상태로 함으로써, 핸들의 기울기를 최적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임시 멈춤 수단에 있어서는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저벽 외면이 가상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곡면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홈이 주위 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기채 케이싱으로부터 연장 돌출된 탄성 변형에 의해 선단의 걸림 돌기가 하방으로 변위 가능한 걸림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홈의 하나에 결합함으로서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 위치가 임시 멈춤된다. 상기 로크 수단에 있어서는 상기 기체 케이싱에 설치된 틸팅 로크 부재의 조작으로 상기 틸팅 로크 부재의 작동부가 상기 걸림 돌기가 하방으로부터 접촉 분리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틸팅 로크 부재의 작동부가 상기 걸림 돌기에 접촉한 경우에, 상기 걸림 돌기의 하방으로의 변위를 금지하여 로크 상태로 되며, 상기 틸팅 로크 부재의 작동부가 상기 걸림 돌기로부터 떨어진 경우에, 상기 걸림 돌기의 하방으로의 변위를 허용하여 로크 해제 상태가 된다.
이런 구성에 의해 틸팅 로크 부재를 조작하여 로크 해제 상태로 하면, 걸림 돌기의 하방으로의 변위가 허용된다. 이 상태에서 스티어링 칼럼을 틸팅하면, 선단의 걸림 돌기가 걸림 부재의 탄성 변형에 의해 스티어링 칼럼의 홈으로부터 빠지고, 홈 사이의 원통면을 넘어 다른 홈에 결합하고, 스티어링 칼럼은 임시 멈춤된다.
이와 같이 로크 해제 상태에서는 스티어링 칼럼을 핸들과 함께 자유로이 틸팅하고 적당한 위치에서 임시 멈춤할 수 있다. 또, 틸팅 로크 부재를 조작하여 로크 상태로 하며, 걸림 돌기의 하방으로의 변위가 금지되므로, 걸림 도기는 스티어링 칼럼의 홈으로부터 빠지지 않고 결합하고, 핸들의 기울기는 고정된다.
또,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텔레비젼 게임기에 사용되는 핸들 조작 장치에 있어서 핸들과 일체의 스티어링 축이 신축 가능한 동시에 소망 위치에서 임시 멈춤할 수 있는 임시 멈춤 수단과, 상기 스티어링축의 신축을 금지하는 로크 수단을 구비한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의 핸들 위치 조정 기구를 제공한다.
로크 수단이 로크 해제 상태에 있으면, 스티어링축은 임시 멈춤 수단에 의해 신축 가능하고 또 임시 멈춤 상태에 있으며, 스티어링축은 핸들과 함께 자유로이 신축하고 적당한 높이의 위치에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로크 수단에 의해 로크 상태로 함으로써 핸들의 상하 위치를 최적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이 임시 멈춤 수단에 있어서는 스티어링축의 표면에 축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한 홈이 축방향에 따라서 복수개 형성되고, 이 스티어링축이 축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끼워지고 일체로 회전하는 통형 걸림 부재의 단부에 선단의 내측으로 도출한 걸림 갈고리를 직경 확장 방향으로 탄성 변형에 의해 변위 가능한 걸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갈고리가 상기 스티어링축의 홈의 하나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스티어링축의 신축 위치가 임시 멈춤된다. 상기 로크 수단에 있어서는 상기 통형 걸림 부재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환형 신축 로크 부재의 조작으로 상기 신축 로크 부재의 작동부가 상기 걸림 부재의 걸림편에 외측으로부터 접촉 분리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통형 걸림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스티어링 칼럼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신축 로크 부재의 작동부가 상기 결합 부재의 걸림편에 접촉한 경우에, 상기 걸림편의 직경 확장을 금지하여 로크 상태로 된다. 또, 상기 신축 로크부재의 작동부가 상기 결합 부재의 걸림편으로부터 떨어진 경우에, 상기 걸림편의 직경 확장을 금지하여 로크 상태로 된다. 또, 상기 신축 로크 부재의 작동부가 상기 걸림 부재의 걸림편으로부터 떨어진 경우에 상기 걸림편의 직경 확장을 허용하여 로크 해제 상태로 된다.
신축 로크 부재를 조작하여 로크 해제 상태로 하면, 결합 갈고리의 직경 확장 방향의 변위가 허용된다. 이 상태에서 스티어링축을 신축하면, 걸림편의 탄성 변형에 의해 단부의 걸림 갈고리가 스티어링축의 홈으로부터 빠짐 홈의 사이의 측면을 넘어서 다른 홈에 결합하고, 스티어링축은 임시 멈춤된다.
이와 같이 로크 해제 상태에서는 스티어링축을 핸들과 함께 자유로이 신축하고 적당한 위치에서 임시 멈춤할 수 있다. 또, 신축 로크 부재를 조작하여 로크 상태로 하면, 걸림 갈고리의 직경 확장 방향의 변위가 금지되므로 걸림 갈고리는 스티어링축의 홈으로부터 빠지지 않고 결합하고, 핸들의 상하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핸들의 틸팅 위치 조정 구조와 핸들의 신축 위치 조정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핸들의 틸팅과 신축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들이 좌우 소정 위치의 상측에 복수의 버튼 스위치를 설치하고, 뒤쪽에 시프트 레버 한 쌍을 설치하고, 핸들을 잡으면서 이들 버튼·스위치와 시프트 레버를 엄지와 다른 손가락을 조작할 수 있다. 또, 그 조작성을 향상하기 위해 핸들 조작 장치의 기체 케이싱은 플레이어의 좌우 대퇴부에 협지하여 확실히 고정된다. 또, 핸들의 상하, 회전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버튼·스위치나 시프트 레버의 조작을 하면서 핸들을 조작하는 것을 또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첨부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준비된 것이며, 오로지 본 발명의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들 첨부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도는 종래의 핸들 조작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핸들 조작 장치의 배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핸들 조작 장치의 상면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핸들 조작 장치의 측면도이다.
제5도는 제2도, 제3도 및 제4도의 핸들의 우측 파지부를 잡고 있는 오른손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프트 레버를 도시하기 위한 핸들의 일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7도는 제6도의 핸들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제8도는 제6도의 시프트 레버의 동시 작동 처리 회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핸들 조작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틸팅 로크 상태를 도시하며, 기체 케이싱을 단면으로 도시한 핸들 조작 장치의 측면도이다.
제11도는 제10도의 임시 멈춤 상태를 도시하는 핸들 조작 장치의 측면도이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신축 조정 기구의 스티어링축, 신축 로크 부재, 걸림 통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13도는 제12도의 신축 로크 상태를 도시하는 핸들 조작 장치의 단면도이다.
제14도는 제12도의 신축 임시 멈춤 상태를 도시하는 핸들 조작 장치의 단면도이다.
제15도는 제12도의 신축 로크 부재(38)의 이면도이다.
제1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핸들 조작 장치의 센터링 기구를 도시하는 일부 생략한 측면도이다.
제17도는 핸들을 우로 꺾은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센터링 기구의 측면도이다.
제18도는 핸들을 좌로 꺾은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센터링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이다.
제1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핸들 조작 장치의 핸들의 평면도이다.
제2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핸들 조작 장치의 평면도이다.
제21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핸들 조작 장치의 사시도이다.
제22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핸들 조작 장치의 배면도이다.
제2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시프트 레버를 도시하기 위한 핸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24도는 제23도의 핸들의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핸들 조작 장치의 개략]
제2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핸들 조작 장치의 배면도, 상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핸들 조작 장치는 가정용 텔레비젼 게임기에 접속하여 사용된다. 종래예의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텔레비젼 게임기(1)는 텔레비젼(2)에 영상과 음성 신호를 보내고 게임을 진행시킨다. 본 실시예의 핸들 조작 장치(3)는 카 레이스 등의 드리이브 게임용으로 사용되고, 텔레비젼 게임기(1)에 케이블(16)을 거쳐서 접속되고 드라이브 조작 신호를 텔레비젼 게임기(1)에 출력하여 게임의 진행을 제어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핸들 조작 장치(3)는 텔레비젼 게임기(1)에 무선으로 드라이브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플레이어는 핸들 조작 장치(3)를 조작하면 되며,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4) 상에 놓고 사용해도 좋고, 바닥에 직접 놓고 사용해도 좋다.
그리고, 플레이어는 카 레이스 등의 드라이브 게임 소프트 카트리지를 텔레비젼 게임기(1)에 장착하여 핸들 조작 장치(3)의 핸들(14)을 잡고 게임을 스타트시킨다.
플레이어의 전방의 텔레비젼(2)에는 카 레이스 게임의 경우 운전석으로부터 본 코스가 다른 경쟁차와 함께 비추어지고, 드라이브 조작에 따라서 영상이 변화하여 플레이어는 마치 카 레이스를 행하고 있는 것처럼 운전 플레이를 즐길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핸들 조작 장치(3)의 기본적인 구성을 이하에 설명한다.
핸들 조작 장치(3)의 기체 케이싱(10)은 전방벽(10a)이 훨씬 후방으로 경사져서 세워 설치되고, 그 상단 모서리로부터 후방으로 경사 하향으로 경사서 상부벽(10b)이 벽을 겸해서 저부벽에 이르기 까지 형성되고, 좌우를 측벽(10c, 10c)이 덮고 있다.
좌우의 측벽(10c, 10c)에는 후방으로 감에 따라서 서로 가까와져 있다.
측벽(10c, 10c)의 하단 모서리는 수평으로 좌우 방향으로 연장 돌출하고, 상부벽(10b)의 후단 모서리는 더욱 수평으로 후방으로 연장 도출되어 한 장의 깔판(10d)을 형성하고 있다. 깔판(10d)은 이미 직사각형 형상을 하고, 표면은 주름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이런 기체 케이싱(10)의 하면은 저부판(11)으로 덮여 있다.
그리고, 경사진 상부벽(10b)의 중앙 개구에 통형의 스티어링 칼럼(12)이 끼워지고, 이 스티어링 칼럼(12) 내에 스티어링축(13)이 끼워져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방으로 돌출한 스티어링축(13)의 상단에 핸들(14)이 일체로 부착되어 있다.
핸들(14)은 좌우 방향으로 전개하고 단부 모서리부에 파지부(14a, 14a)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파지부(14a)는 핸들 중앙부(14d)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상측, 하측 포스트(14b, 14c)를 거쳐서 설치되어 있다. 각 파지부(14a)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측 포스트(14b)의 상에 누름 버튼 스위치(15)가 세 개씩 배치되어 있다. 또, 핸들(14)의 배면축에 작용부가 핸들 중앙부(14d)와 파지부(14a) 사이의 원호형 개구(14e)에 위치하도록 카 레이스 게임에 있어서 차의 기어를 제어하는 시프트 레버(125, 126)가 설치되어 있다. 또, 핸들 중앙부(14d)의 상부에는 또 다른 누름 버튼(19)이 설치되어 있다.
또, 스티어링 칼럼(12)으로부터는 텔레비젼 게임기(1)에 접속되는 케이블(16)이 연장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핸들 조작 장치(3)는 이상과 같은 외관을 갖고 있으며, 기체 케이싱(10)은 상기 형상은 하고 있으므로, 사용할 때는 나중에 제9도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소파 등의 의자에 착석한 플레이어의 좌우 대퇴부 사이에 핸들 조작 장치(3)를 놓고 기체 케이싱(10)의 좌우 측벽(10c, 10c)을 좌우 대퇴부로 끼우고 동시에 좌우로 연장된 깔판(10d)상에 각각 대퇴부를 얹어서 의자와의 사이에 끼워서 본 핸들의 조작 장치(3)를 고정시킨다.
[핸들 조작 장치의 버튼· 스위치]
제5도에 우측 파지부(14a)를 오른손이 잡은 상태를 도시한다. 파지부(14a)는 엄지를 제외하고 네 개의 손가락과 엄지의 뿌리 부분에 의해 확실히 잡을 수 있고, 자유로와진 엄지의 이동 범위 내에서 특히 엄지의 배(지문부)가 무리 없이 이동하는 위치에 세 개의 누름 버튼·스위치(15)가 배열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좌측의 세 개의 누름 버튼 스위치도 마찬가지로 왼손이 파지부(14a)를 잡은 상태에서 엄지의 배가 이동하는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플레이어는 좌우 파지부(14a)를 양손으로 각각 잡아 조종할 수 있는 상태인 채 좌우의 손의 엄지로 각각 세 개의 누름 버튼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누를 수 있다.
한 편, 핸들 중앙부(14d)의 상부의 누름 버튼 스위치(19)는 손을 파지부(14a)로부터 떼지 않으면 누를 수가 없다.
이들 누름 버튼 스위치(15, 19)는 모두 보통의 자세의 운전자의 시각에 드는 핸들(14)의 정면에 있다. 게다가, 좌우 세개의 버튼·스위치(15)는 좌우 파지부(14a) 사이에서 상측 포스트(14b)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플레이어의 시계 내에서 파지부로부터 손을 떼지 않고 엄지로 누를 수 있다.
이제, 카 레이스 게임을 적용한 일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게임은 악셀, 브레이크 이외에 기어 체인지, 점프 등의 조작이 가능한 동시에 텔레비젼 화면의 영상을 각종 시점에서 본 영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상 운전자가 운전석으로부터 정면을 똑바로 본 시점, 후방을 본 시점, 운전자 이외의 시점에서 상방의 경사 후방에서 본 시점, 여러가지 시점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우측의 세 개의 누름 버튼 스위치(15) 중, 가장 우측의 누름 버튼 스위치는 악셀 스위치이며, 중앙의 누름 버튼 스위치는 브레이크 스위치, 좌측 누름 버튼 스위치는 점프 스위치이다. 모두 게임 중에 빈번히 조작하는 스위치이며, 오른손이 파지부(14a)를 잡은 채 오른손의 엄지가 이 세 개의 누름 버튼 스위치(15)를 선택적으로 누를 수 있다.
한 편, 좌측 세 개의 누름 버튼 스위치(15) 중 가장 좌측의 누름 버튼 스위치가 예를 들어 기어 체인지 스위치이며, 뒤의 두 개의 누름 버튼 스위치는 시점을 바꾸는 스위치이다. 왼손이 파지부(14a)를 잡은 채, 왼손의 엄지가 이 세 개의 누름 버튼 스위치(15)를 선택적으로 누를 수 있다.
또, 핸들 중앙부(14d)의 상부에 설치된 누름 버튼 스위치(19)는 게임 스타트 스위치이다.
따라서, 플레이어는 핸들 중앙부(14d)의 누름 버튼 스위치(19)를 눌러서 게임을 스타트시키면서 양손으로 각각 파지부(14a)를 잡고, 텔레비젼 화면의 영상을 보면서 핸들(14)을 조작하여 조종하고, 핸들의 파지부(14a)로부터 양손을 떼지 않고 조종하면서 양손의 엄지로 각각 좌우 세 개의 누름 버튼 스위치(15)를 선택적으로 눌러서 플레이할 수 있고, 조작성이 우수하며, 재빠른 조작이 가능하고, 숙련되면 게임을 보다 즐길 수 있다.
특히, 오른손 엄지는 레이스 상태에 맞추어 주행 속도를 바꾸거나 점프하거나 하는 등 빈번히 눌러지고, 가장 기량이 발휘되는 것이다.
왼손의 엄지가 누르는 기어 체인지 스위치는 비교적 빈번히 사용되지만 뒤의 누름 버튼 스위치는 시점을 변경하므로 자기 차가 몇번으로 어떤 레이스 전개로 되고 있는지 등의 정보를 얻기 위해 조작한다.
이들 엄지로 누르는 누름 버튼 스위치는 모두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선택 조작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이런 누름 버튼 스위치는 핸들의 파지부를 쥔 손의 엄지가 이동하는 범위 내에 있으므로 배치에 장소를 차지하지 않고 핸들 외주부를 소형으로 설계할 수 있다.
한 편, 중앙 누름 버튼 스위치(19)는 게임 중에 누를 필요는 없으므로 잘못 눌러지면 게임이 중단되거나 하여 상황이 나빠지기 때문에, 누를 때는 손을 핸들의 파지부로부터 떼어야 하게 하여 오조작을 방지하고 있다.
[핸들 조작 장치의 시프트 레버]
종래는, 핸들 조작 장치(3)의 기체 케이싱(10)에 각종 조작 스위치가 다수 배치되어 있고, 게임에 있어서의 차의 기어의 시프트를 지시하는 스위치도 기체 케이싱(10)에 설치되어 있었으나, 본 실시예의 핸들 조작 장치(3)에는 핸들(14)에 시프트 레버(125, 1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시프트 레버(125, 126)의 구동 기구를 제6도 및 제7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 제6도 및 제도는 우측 시프트 레버(126)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좌측 시프트 레버(125)도 같은 구조를 하고 있으며, 우측 시프트 레버(126)가 시프트 업을 지시하고 좌측 시프트 레버(1254)가 시프트 다운을 지시한다.
핸들(14) 자체는 표리(상하)로 반 분할하여 이루어진 케이싱(120a, 120b)을 맞추어 구성되는 것이므로, 양 케이싱(120a, 120b)은 대략 대칭인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뒤쪽 케이싱(120b)에서는 그 저벽(130)의 주위를 외주벽(131)으로 둘러싸고, 개구(14e)는 내주벽(132)에서 주변 제한되어 있다.
이 개구(14e)의 중앙측 내주벽(132)에 따라서, 저벽(130)의 일부가 내측(상방)으로 돌출하여 일단 오목한 직사각형상의 단차벽(133)이 형성되어 있다. 단차벽(133)의 전후는 내주벽(132)의 전후벽에 연속한 측벽을 갖지만, 그 중앙측은 전후로 연장되는 긴 형상을 한 수직으로 개방된 직사각형 입구(134)를 갖고 있다.
단차벽(133)에는 전후로 원형 구멍(135, 136)이 형성되고, 이 원형 구멍(135, 136)의 주위에 원통부(135a, 136a)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 후측 원형 구멍(136)의 주위에, 나사 구멍이 형성된 보스(137)과 핀(138)이 돌출되어 있다.
직사각형 입구(134)에 마주보는 위치에, 한 쌍의 베어링(139)이 저벽(130)으로부터 세워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한 쌍의 베어링(139)의 서로 대향한 직사각형 부재이며, 상단 모서리에 오목부(139a)가 형성되어 있다.
한 편, 이면측 케이싱(120a)에서는 이면측 케이싱(120b)과 대응하여 저벽(140)의 주위를 외주벽(141)으로 둘러싸고, 개구(14e)는 내주벽(142)으로 주위 제한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베어링(139)에 대응하여 전후 한 쌍의 억제편(143)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면측 케이싱(120b)의 단차벽(133)의 원통부(136a)에는 고무 접촉부(150)가 부착된다. 고무 접촉부(150)는 원추형상을 하고 있으며, 원추 선단부(150a)를 아래로 하여 원통부(136a)에 삽입하고, 주위 모서리의 플랜지(150b)를 원통부(136a)의 상단에 얹어서 지지되는 동시에, 그 위에 직사각형 판형 스위치 기판(151)이 덧대어진다.
스위치 기판(151)은 대칭인 각부에 원형 구멍(151a, 151b)을 갖고, 한 쪽 원형 구멍(151b)을 상기 핀(138)의 상단에 끼워 맞춤하고, 다른 쪽 원형 구멍(151a)을 보스(137)에 맞추어서 나사(152)를 나사 결합하여 스위치 기판(151)은 고무 접촉부(150)와 함께 케이싱(120b)에 고정된다.
스위치 기판(151)으로부터는 코드(151d)가 연장되어 있다.
또, 고무 접촉부(150) 대신에 택타일이나 마이크로 스위치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 접촉부(150)의 선단부(150a)는 원형 구멍(136)으로부터 하방으로 어느 정도 돌출하고 있으며, 이 선단부(150a)의 이면측에는 접촉 단자(150c)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접촉 단자(150c)에 대향하여 스위치 기판(151)에는 접촉 단자(151c)가 설치되어 있다. 고무 접촉부(150)의 선단부(150a)가 하방으로부터 눌리고, 탄성 변형에 의해 접촉 단자(150c)에 접촉시키면, 스위치는 온한다.
또, 단차벽(133)의 또 한 쪽의 원통부(135e)에는 스프링(153)이 끼워 설치된다.
이상과 같이, 고무 접촉부(150)나 스프링(153)이 설치되는 단차벽(133)의 하방에 시프트 레버(126)가 부착된다.
시프트 레버(126)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판을 3단으로 절곡한 형상을 하고 있다. 좌측을 기단측으로 하여 기단측으로부터 다른 쪽 선단측을 향해 순서대로 기단 수평부(126a), 경사 하방으로 절곡된 경사부(126b), 수평으로 절곡된 중앙 수평부(126c), 수직 하방으로 절곡된 수직부(126d), 수평으로 절곡된 선단 수평부(126e)가 형성되어 있다.
기단 수평부(126a)의 단부 모서리는 피봇축(127)이 고착되어 있으며, 전후로 돌출한 단부(127a, 127a)가 상기 베어링(139, 139)의 오목부(139a, 139a)의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고, 이 기단 수평부(126a) 로부터 경사부(126b)를 거쳐서 한 단 내려간 위치에서 꼭 케이싱(120b)의 저벽(130)에 맞닿는 위치에 중앙 수평부(126c)가 있으며, 이 중앙 수평부(126c)로부터 수직부(126d)를 거쳐서 저부벽(130)의 두께 만큼 내려간 위치에, 선단 수평부(126e)가 있다. (제7도 참조)
선단 수평부(126e)에는 상기 케이싱(120b)의 단차벽(133)의 원형 구멍(135, 136)에 대응하여 원기둥(128, 129)이 돌출하고 있으며, 그 더욱 외측에 전후로 긴 형상을 한 스톱퍼편(126f)이 설치되어 있다.
이런 시프트 레버(126)는 이면측 케이싱(120b)의 단부벽(133)의 아래로부터 기단 수평부(126a)를 직사각형 입구(134)에 삽입하고, 피봇축(127)의 양단부(127a, 127a)을 전후 베어링부(139, 139)에 삽입하면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수평부(126c)가 저부벽(130)에 얹혀지고, 수직부(126d)의 부분이 직사각형 입구(134)로부터 외부로 나오고, 선단 수평부(126e)는 저부벽(130)과 동일면을 이루고, 선단 수평부(126e)의 단부는 개구(14e)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원기둥(129)은 원형 구멍(136)으로부터 하방으로 노출한 고무 접촉부(150)의 선단부(150a)를 향해 세워져 있으며, 또 한 쪽 원기둥(128)은 원형 구멍(135)에 마주 보고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 스톱퍼편(126f)은 개구(14e)의 내주벽(132)의 내주부에 대향하고 있다.
원형 구멍(135)을 주변 제한하는 원통(135a)에 스프링(153)을 끼우고, 아래의 시프트 레버(126)의 선단 수평부(126e)까지 도달하게 하면 원기둥(128)이 스프링(153) 내에 삽입하여 스프링의 코어가 된다.
이런 상태의 이면측 케이싱(120b)에 이면측 케이싱(120a)을 맞추면, 각 외주벽(131, 141), 내주벽(132, 142) 끼리 합치하여 연속하게 된다. 그리고, 억제편(143, 143)이 베어링(139, 139)과 약간 어긋나서 겹치게 하여 시프트 레버(126)의 피봇축(127)의 단부(127a, 127a)를 위로부터 가볍게 누르고, 회전 가능하게 피봇축(127)의 위치를 고정한다.
이 때, 스프링(153)은 표면측 케이싱(120a)과 시프트 레버(126) 사이에 개재 장착되고, 시프트 레버(126)를 하방으로 가압하고 있다.
따라서, 시프트 레버(126)는 피봇축(127)을 중심으로 상하로 요동 가능하며,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는 스프링(153)에 가압되고, 제7도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의 이면측 케이싱(120b)과 동일면을 구성하여 연속하고 있지만, 시프트 레버(126)의 개구(14e)에 약간은 비어져 나온 선단 수평부(126e)의 단부(작용점)을 상방으로 밀면 제7도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 레버(126)는 스프링(153)에 대항하여 상방으로 요동하고, 원기둥(129)이 고무 접촉부(150)의 선단부(150a)를 밀어서 접촉 단자(150c)를 스위치 기판(151)의 접촉 단자(151c)에 접촉시키고 스위치를 온시킨다.
또, 스톱퍼편(126f)이 단차벽(133)에 맞닿아서 시프트 레버(126)의 필요 이상의 요동이 규제되고 있다.
이상은 우측의 시프트 레버(126)의 구동 기구에 대한 설명이었으나, 좌측의 시프트 레버(125)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실제 플레이어가 조작할 때는 핸들(14)의 좌우 파지부(14a)를 잡고, 핸들(14)의 회전 조작을 행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 시프트 레버(125, 126) 중 한 쪽 작용점에 엄지 이외의 손가락을 대어 상방으로 요동 조작한다.
시프트 업하였으면 우측의 시프트 레버(126)를 조작하고, 시프트 다운하였으면 좌측의 시프트 레버(125)를 조작하면 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우측과 좌측의 시프트 레버(126, 125)를 별도로 설치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좌우의 시프트 레버를 일체로 성형해도 좋다. 제23도와 제24도를 참조하여 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3도는 핸들(14)의 하측의 케이싱(120b)을 제거하여 분해하고, 하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한 편, 제24도는 제23도에 하측 케이싱(120b)을 부착한 상태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 시프트 레버(125, 126)가 도면중 170과 같이 일체 성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우측의 작용부(170)로부터 좌측의 작용부(170)까지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 시프트 레버(10)는 중앙부에 피봇축(171)이 형성되고, 상측 케이싱(120a)에 설치된 저어널부(172a)와 하측 케이싱(120b)에 설치된 저어널부(172b) 사이에 고정된다. 시프트 레버(170)의 좌우의 작용부(170r, 170l)는 상측 케이싱(120a)의 내주벽(142)과 하측 케이싱(120b)의 저벽(130) 사이의 개구부를 통해 각각 개구(14e)로 돌출하고 있다.
또, 시프트 레버(170)에 상측을 향해 돌출하여 형성된 스톱퍼편(173)은 상측 케이싱(120a)에 설치된 스톱퍼(174)에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제24도에 따르면, 좌측 작용부(170l)가 인상된 상태로 되어 있으며, 일체 성형을 위한 우측 작용부(170r)는 낮추어진 상태로 되어 있다.
상측 케이싱(120a)에는 좌우 리미트 스위치(178)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리미트 스위치(178)의 위치에 매치하도록, 시프트 레버(170)에는 스위치용 창(175)이 설치되어 있다. 또, 리미트 스위치(178)의 스위치 작용편(179)의 위치에 매치하도록 시프트 레버(170)에는 스위치 작용부(176)가 설치되어 있다. 제23도 및 제24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좌우 리미트 스위치(178)가 스위치용 창(175)에 삽입되고, 좌우 작용부(170r, 170l) 중 인상된 쪽의 스위치 작용부(176)가 리미트 스위치(178)의 스위치 작용편(179)을 누르고 스위치가 온된다.
이와 같은 일체 성형된 구조로 함으로써, 좌우의 시프트 레버가 동시에 인상되는 경우를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가정용 텔레비젼 게임기에 있어서도 핸들 이면측에 시프트 레버를 설치하고, 핸들로부터 손을 떼지 않고 시프트 체인지가 가능해지며, 실제의 레이싱 카 조종과 같은 조작 감각을 맛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좌우 시프트 레버의 작동을 독립한 소형 구조로 하고 있으므로, 가정용 텔레비젼 게임기에 가장 적합하며, 핸들 주위가 깨끗하고 외관도 좋다.
시프트 레버(125, 126)의 작용점은 선단 수평부의 단부 모서리 전체 부분이므로, 엄지 이외의 네 손가락의 어느 것이 접촉하면 시프트 레버는 작동하고, 플레이어는 조작하기 쉽고 조작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좌우 시프트 레버(125, 126)는 통상 동시에 조작되는 일은 없지만, 서로 독립하여 작동하므로, 잘못하여 동시에 조작하는 일도 있다. 그 때는 시프트업과 시프트 다운의 지시 신호가 동시에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소정의 처리가 필요해진다. 또, 제23도 및 제24도에 도시한 변형예의 경우에도 일체로 형성한 좌우의 시프트 레버는 플레이어가 통상 보다도 강한 힘으로 양자를 동시에 인상한 경우, 탄성 변형하여 양 시프트 레버가 동시에 작동하고, 지시 신호가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핸들 조작 장치(3)에는 좌우 시프트 레버(125, 126)가 동시에 작동 상태에 있을 때의 전기적인 처리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이 회로를 제8도에 도시한다.
좌측의 시프트 레버(125)의 시프트 다운 스위치(160)와 우측의 시프트 레버(126)의 시프트 업 스위치(161)가 일단을 접지하고, 타단을 전압 Vcc에서 풀업되고, 각각 OR게이트형 NAND게이트(126, 163)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각 NAND게이트(162, 163)의 출력 단자는 각각 AND게이트형 NAND게이트(164, 165)의 1입력 단자(I1, I4)에 접속되고, 각 출력단자(O1, O2)가 서로 다른 쪽 NAND게이트(164, 165)의 1 입력 단자(I3, I2)에 접속되어 있다.
NAND게이트(164)의 출력 단자(O1)가 시프트 다운을 지시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NAND게이트(165)의 출력 단자(O2)가 시프트 업을 지시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전압 레벨이 높은 경우를 1, 낮은 경우를 0이라 하면, 어느 스위치(160, 161)도 오프일 때는 NAND게이트(164, 165)의 1입력 단자(I1, I4)는 0이고, 각 출력 단자(O1, O2)는 1인 상태에 있다(출력은 0이고 지시 신호 있음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제, 한 쪽 스위치, 예를 들면 시프트 다운 스위치(160)가 먼저 온 하였다고 하면, NAND게이트(164)의 입력 단자(I1)가 1이 도며, 다른 입력 단자(I2)가 1이므로 출력 단자(O1)는 0이 되며, 시프트 다운의 지시 신호가 출력된다.
이 때, 다른 쪽 NAND게이트(165)의 입력 단자(I3)는 0이 되므로 나중에 시프트 업 스위치(161)가 온하여 동시 작동 상태로 되어 입력 단자(I4)가 1이 되어도 출력 단자(O2)는 1인 채 그대로이고 시프트 업의 지시는 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먼저 온한 스위치가 우선하여 유효하게 되며, 나중의 것은 무효이다.
상기와 같이, 스위치가 동시 작동 상태에 있을 때, 먼저 시프트 다운 스위치(160)를 오프로 하면, NAND게이트(164)의 입력 단자(I1)가 0이 되므로, 출력 단자(O1)는 1이 되며, 시프트 다운 지시는 없어진다. 동시에 다른 쪽 NAND게이트(165)의 입력 단자(I3)도 1이 되며, 입력 단자(I4)가 1인 상태에 있으므로, 출력 단자(O2)는 0이 되며, 시프트 업의 지시 신호가 출력된다.
즉, 동시 작동 상태에 있는 경우, 먼저 오프한 스위치는 무효로 하고, 후속하여 온하고 있는 스위치를 유효하게 한다. 이런 처리는 대개 플레이어의 의도에 맞는다.
따라서, 플레이어가 잘못하여 좌우 시프트 레버(25, 26)를 동시에 조작하는 일이 있어도 플레이어의 의도하는 바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조작성이 좋다.
[핸들 조작 장치의 기체 케이싱의 고정 구조]
본 실시예의 핸들 조작 장치(3)의 기체 케이싱(10)의 고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다시 제2도, 제3도 및 제4도로 복귀한다.
기체 케이싱(10)의 전방벽(10b), 측벽(10c), 깔판(10d)이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이므로, 본 핸들 조작 장치(3)를 사용할 때는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파(9)에 앉은 플레이어(p)의 좌우 대퇴부(pf) 사이의 소파(9) 상에 핸들 조작 장치(3)를 핸들(14)을 앞으로 해 둔다. 그리고, 기체 케이싱(10)의 좌우 측벽(10c)에 좌우 대퇴부를 맞대고, 기체 케이싱(10)을 협지하고, 동시에 좌우로 길게 나온 깔판(10d) 상에 각각 대퇴부를 얹어서 소파(9)와의 사이에서 협지하고, 본 핸들 조작 장치(3)를 고정시킨다.
깔판(10d)은 좌우 전방 단부(10dc)가 경사로 절결되어 있으므로(제3도의 파선 참조), 플레이어(p)의 무릎의 이면측이 닿는 일은 없고, 사용감이 양호하다. 또, 깔판(10d)이 표면은 주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미끄러지기는 어렵고, 핸들 조작 장치(3)는 대퇴부의 가압으로 확고하게 고정된다.
본 실시예의 핸들, 조작 장치(3)는 핸들(14)에 복수의 버튼 스위치(15)나 시프트 레버(125, 126)를 설치하여 핸들(14)를 쥔 상태에서 게임의 제어 조작이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기체 케이싱이 플레이어의 대퇴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면 그 조작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핸들 위치의 조정 기구]
본 실시예의 핸들 조작 장치(3)는 그 핸들(14)의 위치를 플레이어에 적합한 위치로 변경 조정할 수 있다. 다시, 제2도, 제3도, 제4도로 복귀하는 동시에 제10도 내지 제15도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그 조정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최초로, 스티어링 칼럼(12)의 경사 각도의 위치 조정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 케이싱(10)의 좌우 측벽(10c, 10c) 사이에 스티어링 칼럼(12)은 좌우 수평 방향을 지향하여 가설된 지지축(20)에 의해 중앙 근방의 약간 하방 근처 부근을 관통하여 틸팅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통형 스티어링 칼럼(12)의 저벽(12a)은 지지축(20)을 중심축으로 한 동일 원통벽을 이루는 동시에, 좌우 수평 방향으로 지향한 홈(21)이 원통 외주면의 주위 방향에 걸쳐서 3조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저벽(12a)의 외주면은 홈(21)의 경계 부분을 매끄러운 면으로 형성하고, 그 결과, 파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 편, 기체 케이싱(10)의 상벽(10b)의 스티어링 칼럼(12)이 끼워지는 개구부에 있어서, 걸림 부재(22)가 그 하측 개구 모서리로부터 일정 폭의 판형을 이루어 연장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부재(22)는 개구 모서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돌출한 다음 전방으로 굴곡하여 수평으로 연장하는 선단이 상방으로 만곡한 걸림 돌기(23)를 형성하고 있다.
이 전후 방향으로 긴 걸림 부재(22)는 탄성을 갖고, 선단의 걸림 돌기(23)는 탄성 변형에 의해 하방으로 변위 가능하다. 이런 결합 부재(22)의 걸림 돌기(23)가 스티어링 칼럼(12)의 저벽(12a)의 홈(21)에 결합하여 스티어링 칼럼(12)의 틸팅을 임시 멈춤할 수 있다.
기체 케이싱(10)의 전방벽(10a)의 하단 중앙부의 원형 구멍에 원통형 틸팅 로크 부재(25)가 저벽(11)의 상면에 따라 삽입되고, 전후 방향으로 지향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틸팅 로크 부재(25)가 기체 케이싱(10)의 전방벽(10a)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부분에 손잡이부(25a)가 형성되고, 기체 케이싱(10) 내에 삽입된 선단부에는 측방으로 돌출한 작동부(25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25b)는 상기 결합 부재(22)의 상방으로 만곡한 걸림 돌기(23)의 하면이 형성하는 요부에 끼움 가능하다.
제10도는 틸팅 로크 부재(25)가 로크 상태로 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로크 상태에서는 걸림 부재(22)의 걸림 돌기(23)가 스티어링 칼럼(12)의 저벽(12a)의 중앙 홈(21)에 결합하고, 또 틸팅 로크 부재(25)의 작동부(25b)가 상기 걸림 돌기(23)의 요부에 끼워져 있다. 작동부(25b)의 끼움으로 걸림 돌기(23)는 하방으로의 변위가 금지되어 있다. 따라서, 스티어링 칼럼(12)을 기울이려 해도 걸림 돌기(23)가 스티어링 칼럼(12)의 저벽(12a)의 하나의 홈(21)으로부터 빠지는 일이 없고 틸팅 위치를 고정하고 있으므로, 스티어링 칼럼(12)의 기울기를 바꿀 수는 없다.
이동 로크 부재(25)의 손잡이부(25a)를 약 90도 정도 선회하면, 틸팅 로크 부재(25)는 그 작동부(25b)와 함께 회전하고,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부(25b)의 걸림 돌기(23)에의 끼움은 해제되고, 걸림 부재(22)는 탄성 변형하여 걸림 돌기(23)를 하방으로 변위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스티어링 칼럼(12)은 걸림 돌기(23)에 의해 임시 멈춤 상태에 있으며,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칼럼(12)을 더욱 틸팅시키면, 걸림 돌기(23)는 걸림 부재(22)의 탄성 변형에 의해 결합하고 있던 홈(21)으로부터 빠져 나와 원통 주위면을 타고 넘어서 인접 홈(21)에 결합하고, 칼럼(12)의 경사 각도를 바꾸어 임시 멈춤 상태가 된다(제11도중 이점 쇄선 참조).
제11도는 이런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임시 멈춤 상태에 있을 때는 스티어링 칼럼(12)는 틸팅 가능하고, 3조의 홈(21)에의 걸림 돌기의 결합에 의해 스티어링 칼럼(12)을 3단으로 경사 각도를 바꿀 수 있다. 즉, 핸들(14)의 경사 각도를 3단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틸팅 로크 부재(25)를 회전하여 작동부(25b)를 걸림 돌기(23)에 끼워 맞춤 로크하면, 핸들의 경사 각도는 고정된다.
다음에, 핸들(14)의 전후 위치의 조정, 즉 스티어링축(13)의 신축 구조에 있어서, 제12도 내지 제15도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핸들(14)을 상단에 일체로 고착한 스티어링축(13)을 대략 사각 통형을 이루고,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축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지향한 홈(30)이 축방향에 걸쳐서 3조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티어링축(13)은 걸림 통 부재(31)에 끼워진다.
걸림 통 부재(31)는 하반부의 내측이 스티어링축(13)의 단면 형상과 대략 같은 사각형 구멍을 형성하고 있으며, 스티어링축(13)은 이 구멍에 끼워 맞추어 서로 축방향의 미끄럼을 허용하고, 또 일체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걸림 통 부재(1)의 상반부는 원통형을 이루고, 복수의 축방향의 절입에 의해 서로 대향하여 두 쌍의 걸림편(32, 34)이 형성되어 있다.
그 한 쪽 걸림편(32)은 내측을 향해 돌출한 걸림 갈고리(33)를 갖고, 다른 쪽 걸림편(34)은 외측을 향해 돌출한 걸림 갈고리(35)를 갖는다.
또, 걸림 통 부재(31)의 외주에는 중앙 보다 약간 아래쪽 부근에 환형 부재(36)가 끼워 부착되어 있다.
이 걸림 통 부재(31)의 상단부에, 환형의 신축 로크 부재(38)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이 신축 로크 부재(38)를 스티어링축(13)은 관통하고 있다.
신축 로크 부재(38)는 테이퍼진 주위벽(38a)과, 그 상단 모서리가 내측으로 직경 축소된 원환부(38b)로 이루어지며, 주위벽(38b)이 테이퍼져 있고, 그 주위벽(38a)의 일부에 서로 대향하여 절결(38c)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복수의 홈(38d)이 형성되어 있다. 한 편, 신축 로크 부재(38)의 내측은 그 하방으로부터 구조를 도시한 제15도에 의해 명백해진다. 즉, 주위벽(38a)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중심축에 평행인 네 개의 작동부(39)가 서로 대향하여 돌출 설치된다. 또, 중심축에 수직인 걸림부(40)가 원환부(38b)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지면의 상방으로 연장되는)벽(40a)을 거쳐서 설치되어 있다. 또, 걸림부(40)의 일단에 벽(40a)이 설치되는 데 대해 걸림부(40)의 타단측에는 작동부(39)에 평행하게 스톱퍼벽(40b)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결과, 원환부(38b), 벽(40b), 걸림부(40) 및 스톱퍼벽(40b)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되고, 나중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걸림 갈고리가 회전 가능하게 된다.
서로 대향하는 작동부(39) 사이의 거리 및 걸림부(40) 사이의 거리는 걸림 통 부재(31)의 외경 보다 약간 크고, 원환부(38a)의 내경은 걸림 통 부재(31)의 외경 보다 작고 스티어링축(13)의 외경 보다 크다.
따라서, 걸림 통 부재(31)의 상단에 덮어 씌워진 신축 로크 부재(38)에 있어서는 서로 대향하는 작동부(39) 사이 및 걸림부(40) 사이에 걸림 통 부재(31)의 환형으로 배열된 걸림편(32, 34)이 끼워진다. 걸림편(34)이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그 선단의 외측을 향한 걸림 갈고리(35)가 걸림부(4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결합된다. 걸림 갈고리(35)가 이 공간 내를 제15도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그 결과, 걸림 통 부재(31)에 대해 신축 로크 부재(38)를 회전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한 편, 걸림 통 부재(31)의 결합편(32)은 스티어링축(13)이 삽입되면 그 내측을 향한 걸림 갈고리(33)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 변형하고, 걸림 갈고리(33)가 홈(30)에 이르면 결합하고 걸림편(32)은 원래 원통형 부분으로 복귀한다.
이리하여 스티어링축(13)에 걸림 통 부재(31)에 삽입되고, 걸림 통 부재(31)의 상단에 신축 로크 부재(38)가 조립된 상태가 제13도 및 제14도에 도시되어 있다. 신축 로크 부재(38)의 작동부(39)는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편(32)(2점 쇄선으로 도시한다)의 선단 외주에 위치하는 로크 상태(이점 쇄선으로 도시한 상태)와, 신축 로크 부재(38)의 제15도 중의 화살표 A 방향의 회전으로, 작동부(39)가 결합편(32)의 선단 외주로부터 벗어난 로크 해제 상태가 있다.
제13도는 로크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걸림 통 부재(31)의 걸림편(32)의 선단의 걸림 갈고리(33)는 스티어링축(13)의 홈(30)에 결합하고, 걸림편의 외주에는 작동부(39)가 위치하여 걸림편(32)이 외측으로 개방되어 걸림 갈고리(33)의 홈(30)과의 걸림을 해제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따라서, 스티어링축(13)은 신축 불능으로 핸들(14)의 전후 위치(높이 위치)는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신축 로크 부재(38)를 제15도 중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고 로크 해제 상태로 하면, 걸림편(32)은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하고, 화살표 C와 같이 외측으로 개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핸들(14)을 잡아서 끌거나 밀거나 하여 스티어링 축(13)을 신축하면, 걸림편(32)이 탄성 변형하여 걸림 갈고리(33)가 홈(30)으로부터 벗겨지고, 제14도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홈 사이의 측면을 넘어서 다른 홈(30)에 결합하고, 임시 멈춤 상태가 된다. 제14도의 실선은 이 임시 멈춤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임시 멈춤 상태에서는 핸들(14)의 전후 위치를 자유로이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스티어링축(13)에 세 개의 홈(30)이 설치되어 있어서 전후로 3단계 위치를 바꿀 수 있다.
적당한 전후 위치에 스티어링축(13)이 임시 멈춤된 후에는 신축 로크 부재(38)를 화살표 A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작동부(39)를 결합편(32)의 선단 외주에 위치시키는 로크 상태로 한다. 또, 걸림 갈고리(35)가 벽(40a)과 스톱퍼벽(40b)으로 협지되어 있으므로, 화살표 B의 방향과 범위는 상기 설명과 같이 제한된다.
이리하여 핸들(14)의 전후 위치를 조정하고 고정할 수 있다.
[센터링 기구]
본 실시예의 핸들형 제어기(3)는 핸들을 뗀 때에 직진 센터 위치로 핸들이 자동적으로 복귀하는 센터링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이 센터링 기구에 대해 제16도 내지 제18도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제16도 내지 제18도에서는 스티어링 칼럼(12)을 이점 쇄선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스티어링 칼럼(12)의 내측에는 스톱퍼(50, 51)가 소정 지점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톱퍼(50, 51)는 스티어링축(13)과 일체로 회전하는 걸림 통형 부재(31)에 끼워 부착된 환형 부재(36)의 상하 면(36a, 36b)에 따른 위치에 있다.
한 편, 환형 부재(36)의 상하면(36a, 36b)에는 소정 위치에 도기(55, 56)가 돌출되어 있다.
제16도는 핸들(14)이 직진 센터 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하고 있으며, 스티어링 칼럼(12)측의 스톱퍼((50, 51)와 나란히 걸림 통 부재(31)측의 돌기(55, 56)가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환형 부재(36)의 외주에 토션 스프링(52)이 주위 설치되어 그 상단부(52a)가 스톱퍼(50)와 도기(55)에 맞닿고, 하단부(52b)가 스톱퍼(51)와 돌기(56)에 맞닿아서 약간 폐쇄 방향으로 가압력을 갖고 개재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14)을 우회전하면, 스티어링축(13)과 함께 걸림 통 부재(31)가 일체로 우회전하고, 돌기(55, 56)를 화살표 D와 같이 우측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토션 스프링(52)의 상단부(52a)는 스톱퍼(50)로 고정되고, 하단부(52b)는 돌기(56)에 눌려서 토션 스프링(52)이 개방되어가므로 핸들(14)에는 그 반력이 작용하고 핸들(14)을 원래대로 복귀시키려 한다.
한 편, 핸들(14)을 좌회전하면 이번에는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55, 56)는 화살표 E 방향으로 회전하고, 토션 스프링(52)의 하단부(52b)는 스톱퍼(51)로 고정되고, 상단부(52a)는 돌기(55)에 밀려서 토션 스프링(52)은 열리게 되므로 핸들(14)에는 그 반력이 작용하고, 역시 핸들(14)을 원래대로 복귀시키려 한다.
상기 핸들(14)의 반력은 조타 각에 따라 커진다.
따라서, 플레이어(p)는 핸들(14)을 회전시키면 그 조타각에 따른 반력을 느끼고, 손을 떼면 직진 센터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고, 실제로 자동차를 조종하고 있는 것과 같은 감각을 맛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핸들 조작 장치(3)는 이상과 같은 구조를 하고 있으며, 플레이어(p)는 핸들 조작 장치(3)를 대퇴부 사이에 끼워서 시트(4)에 착좌하여 기체 케이싱(10)을 고정한다. 그리고, 우선 틸팅 로크 부재(25)의 손잡이부(25a)를 조작하여 핸들(14)의 기울기를 고정하고 있던 로크를 해제하고 임시 멈춤 상태로 하여 핸들(14)과 함께 스티어링 칼럼(12)를 틸팅하여 가장 적합한 기울기로 조정하고, 다시 틸팅 로크 부재(25)를 조작하여 로크 상태로 하여 핸들(14)의 기울기를 고정한다.
다음에, 신축 로크 부재(38)를 회전하여 핸들(14)의 전후 위치를 고정하고 있던 로크를 해제하고 임시 멈춤 상태로 하여 핸들(14)과 함께 스티어링축(13)을 신축하여 가장 적합한 핸들의 전후 위치(높이 위치)를 조정하고, 다시 신축 로크 부재(38)를 조작하여 로크 상태로 하고 핸들(14)의 전후 위치를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핸들(14)의 기울기 및 전후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플레이어마다 최적의 핸들 위치로 설정하여 조종하기 쉽게 할 수 있고, 항상 게임을 가장 양호한 상태로 즐기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핸들(14)에 복수의 조작 버튼 스위치(15)와 시프트 레버(125, 126)를 설치한 경우, 플레이어에 최적의 핸들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으므로, 그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핸들에는 센터링 기구가 구비되어 있어서 실제로 자동차를 조종하고 있는 것과 같은 감각이 얻어지고 게임을 한층 즐겁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스티어링 제어는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통 부재(36)에 설치된 제어 원반(DISC)과, 그 근방에 설치된 광 발신·검지 장치(PD)에 의해 행해진다. 제어 원반(DISC)에는 그 주위에 복수의 구멍이 간헐적으로 설치되고, 그 구멍에 대해 광 발신·검지 장치(PD)가 원반의 한 쪽으로부터 발광하고, 반대측에서 수광 검지하고, 스티어링의 회전 방향과 각도를 검지한다.
제19도는 핸들(14)의 중앙부(14d)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버튼 스위치(19a, 19b)가 설치되어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핸들 중앙부(14d)는 게임 진행중에 사용하지 않는 조작 버튼 스위치로서 게임 개시 스위치와 게임 중단 스위치가 설치된다.
제20도와 제21도에는 또 자동 이륜차 등에 사용되는 봉형 핸들에 복수의 버튼 스위치를 설치된 예와, 조종간에 복수의 버튼 스위치를 설치한 예를 도시한다.
제20도는 핸들(250)의 평면도이며, 회전 지지축(251)으로부터 좌우로 연장되는 핸들(252, 253)의 각각 선단부에 차지부(254, 255)가 있다. 그리고, 각 파지부(254, 255)의 부착 뿌리부에 세 개씩 누름 버튼 스위치(256, 257)가 핸들 정면을 향해 배치되어 있다. 각 누름 버튼 스위치(256, 257)는 시각 내에 있으며, 파지부(254, 255)를 파지하면서 엄지로 선택적으로 누를 수 있다. 회전 지지축(251) 근방에는 또 누름 버튼 스위치(258)가 있다. 이상의 누름 버튼 스위치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 작용을 시킬 수 있다.
또,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종간(260)에 대해서도 그 파지부(261)의 상단에 세 개의 누름 버튼 스위치(262)를 배치하고, 파지부(261)를 쥐면서 엄지로 선택적으로 각 누름 버튼 스위치(262)를 누를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제22도는 제2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기체 케이싱(10)은 마찬가지 구조이지만, 핸들(14)이 좌우 한 쌍의 형상은 아니고, 단순히 원형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첫째, 본 발명은, 플레이어가 핸들을 쥔 채 엄지로 복수의 버튼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재빠른 조작이 요구되는 텔레비젼 게임에 적합하며, 조작이 숙련됨으로써 게임을 유리하게 전개하고 보다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이 복수의 버튼 스위치는 핸들의 정면에 있어서 플레이어의 시계 중에 있으므로, 스위치 조작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 핸들로서 파지부를 한 쌍 갖는 핸들에서는 각 파지부의 상측 포스트 상면에 복수의 버튼 스위치를 배치함으로써 더욱 복잡하고 고도한 스위치 조작을 재빨리 행할 수 있다.
또, 핸들의 정면의 중앙 또는 중앙 부근에, 게임중에는 사용하지 않는 스위치를 배치함으로써 이런 스위치는 핸들로부터 손을 떼어서 조작해야 하므로 오조작을 저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핸들의 이면측에 시프트 레버가 설치되고, 좌우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구조이므로, 소형화가 가능하고 핸들 주위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가정용 텔레비젼 게임기에 접속되는 핸들 조작 장치에 가장 적합하고, 가정 내에서 플레이하는 텔레비젼 게임에서도 실제의 레이싱 카의 조종과 같은 조작 감각을 맛볼 수 있다.
또, 좌우의 시프트 레버가 동시 작동 상태에 있을 때, 어느 한 쪽의 시프트 레버의 작동을 유효로 하고 다른 쪽 시프트 레버의 작동을 무효로 하도록 전기적으로 처리를 행함으로써 시프트 레버의 오조작이 가능한 한 플레이어의 의도하는 지시에 따르도록 자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세째, 본 발명은 핸들 조작 장치의 기체 케이싱을 플레이어가 좌우 대퇴부로 협지하고 고정할 수 있으므로, 핸들 조작에 있어서 장치의 이동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없고, 게임에 전념할 수 있고, 게임을 정말로 즐길 수 있다.
또, 상기 기체 케이싱의 저면에 따라 좌우측방에 깔판을 연장 돌출시킴으로써 플레이어가 기체 케이싱을 좌우 대퇴부로 협지하는 동시에 좌우 측방으로 연장 돌출한 깔판을 좌우 대퇴부가 상방으로부터 밀어 붙일 수 있고, 보다 확고하게 기체 케이싱을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 기구를 가짐으로써 핸들부에 복수의 버튼 스위치나 시프트 레버를 설치한 구조에서도, 안정되게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네째, 본 발명은 로크 수단이 로크 해제 상태에 있으면, 스티어링 칼럼은 임시 멈춤 수단에 의해 핸들을 틸팅 가능하고 또 임시 멈춤 상태에 있으며, 자유로이 스티어링 칼럼을 핸들과 함께 적당한 기울기로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로크 수단에 의해 로크 상태로 함으로써, 핸들의 기울기를 최적 위치에 고정할 수 있고, 핸들의 기울기를 최적으로 설정하여 조종을 하기 쉬운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로크 수단이 로크 해제 상태에 있으면, 스티어링축은 임시 멈춤 수단에 의해 신축 가능하고 또 임시 멈춤 상태에 있으며, 자유로이 스티어링축을 핸들과 동시에 신축하고 적당한 전후 위치에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로크 수단에 의해 로크 상태로 함으로써 핸들의 전후 위치를 최적 위치에 고정하고 조종하기 쉬운 상태로 할 수 있다.
상기 핸들의 틸팅 위치 조정 구조와 상기 핸들의 신축 위치 조정 기구를 동시에 구비함으로써 핸들의 틸팅과 신축을 조정할 수 있고, 조종성이 더욱 향상된다.

Claims (27)

  1. 텔레비젼 게임기에 조작 신호를 공급하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에 있어서, 회전 중심에 대해 좌우 대칭 위치에 한 쌍의 파지부를 갖는 회전 가능한 핸들(14)과, 상기 핸들의 정면에서 상기 파지부를 쥔 손의 엄지가 핸들을 쥔 채 이동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 상기 조작 신호를 부여하는 복수의 버튼 스위치(15)와, 상기 핸들의 정면의 중앙 또는 중앙 부근에 배치된, 게임 진행 중에는 게임의 조작에 사용하지 않는 스위치(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
  2. 텔레비젼 모니터에 접속되는 텔레비젼 게임기에 조작 신호를 공급하는 핸들 조작 장치에 있어서, 기체 케이싱(10)과, 상기 기체 케이싱에 지지되고, 소정 기울기를 갖고 설치되는 스티어링 칼럼(12)과, 상기 스티어링 칼럼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티어링축(13)과, 상기 스티어링축의 상단에 설치되는 핸들 중앙부(14d)와, 상기 핸들 중앙부로부터 좌우 반경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상측 포스트(14b)및 하측 포스트(14c)와, 상기 상측 포스트와 하측 포스트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좌우 파지부(14a)를 갖고, 상기 핸들 중앙부와 파지부 사이에 대략 원호형의 개구(14e)를 형성하는 핸들(14)과, 상기 좌우의 상측 포스트 상면측이며 상기 파지부 근방에 각각 설치되고 플레이어의 손이 상기 파지부를 쥔 상태로 그 엄지가 미치는 범위에 설치되고 조작 신호를 텔레비젼 게임기에 공급하는 복수의 버튼 스위치(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중앙부(14d)의 이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좌우 파지부(14a)의 근방이며 상기 개구(14e)로 돌출하는 좌우 작용부를 갖고, 플레이어의 손이 상기 파지부를 쥔 상태에서 그 어떤 손가락이 상기 작용부에 미치도록 설치되고, 조작 신호를 상기 텔레비젼 게임기에 공급하는 좌우 시프트 레버(125, 12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측 케이싱(120a)과 하측 케이싱(120b)으로 구성되고, 상기 핸들의 상측, 하측 케이싱(120a, 120b)의 사이로서 상기 상측, 하측 케이싱의 중앙에 설치된 피봇부(172a, 172b)에 의해 피봇되어 설치되고, 상기 피봇되는 중앙부와, 그로부터 상기 좌우의 파지부(14a)를 향해 연장되며 그 좌우 파지부 근방이며 상기 대략 원호형의 개구(14e) 내에 위치하는 좌우 작용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파지부를 쥔 좌우의 손의 손가락에 의해 인상됨으로써, 상기 핸들 내에 설치된 좌우 스위치를 제어하는 시프트 레버(17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케이싱(10)의 좌우측부(10c)가, 연직 방향 및 거의 전후 방향으로 전개한 측면도 갖고, 상기 기체케이싱(10)의 저면에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 깔판(10d)을 연장 돌출시키고, 플레이어의 좌우의 대퇴부에 의해 상기 기체 케이싱의 측면을 협지하여 유지하고 그 좌우 대퇴부에 의해 상기 깔판이 억제되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케이싱이 상기 스티어링 칼럼(12)을 틸팅 가능하게 피봇하고,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소망의 경사 각도로 임시 멈춤하는 임시 멈춤 수단(22)과,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을 금지하는 로크 수단(25)를 갖는 핸들 위치 조정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위치 조정 구조는, 상기 임시 멈춤 수단에 있어서는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저벽 외면(12a)의 가상 곡면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원통면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홈(21)이 주위 방향에 따라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기체 케이싱으로부터 연장 돌출되고 탄성변형에 의해 선단의 결합 돌기가 하방으로 변위 가능한 걸림 부재(22)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 부재의 걸림 돌기(23)가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홈의 하나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 위치가 임시 멈춤되는 것이며, 상기 로크 수단에 있어서는 상기 기체 케이싱에 설치된 틸팅 로크 부재(25)가 구비되고, 상기 틸팅 로크 부재(25)의 조작으로 작동부(25b)가 상기 걸림 부재의 걸림 돌기(23)가 하방으로부터 접촉 분리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상기 틸팅 로크 부재의 작동부(25b)가 상기 걸림 부재의 걸림 돌기(23)에 접촉한 경우에, 상기 걸림 돌기의 하방으로의 변위를 금지하여 로크 상태로 하고, 상기 틸팅 부재의 작동부(25b)가 상기 걸림 부재의 걸림 돌기(23)로부터 떨어진 경우에, 상기 걸림 돌기의 하방으로의 변위를 허용하여 로크 해제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축의 신축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소망의 위치에서 임시 멈춤하는 임시 멈춤 수단(33)과, 상기 스티어링축의 신축을 금지하는 로크 수단(39)을 갖는 핸들 위치 조정 구조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위치 조정 구조는, 상기 임시 멈춤 수단에 있어서는 상기 스티어링축(13)의 표면에 축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30)이 축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스티어링축이 축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삽입되고 일체로 회전하는 걸림 통형 부재(31)의 단부에, 선단이 내측으로 돌출한 걸림 갈고리(33)를 직경 확장 방향으로 탄성 변형에 의해 변위 가능한 걸림편(32)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갈고리가 상기 스티어링축의 홈의 하나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스티어링축의 신축 위치가 임시 멈춤되는 것이며, 상기 로크 수단에 있어서는 상기 걸림 부재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환상의 신축 로크 부재(38)의 조작으로 작동부(39)가 상기 걸림 부재의 걸림편(33)에 외측으로부터 접촉 분리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상기 결합 부재(31)가 회전 가능하게 스티어링 칼럼(12)에 지지되고, 상기 신축 로크 부재(38)의 작동부(39)가 상기 걸림 부재의 걸림편(33)에 접촉한 경우에 상기 걸림편의 직경 확장을 금지하여 로크 상태로 하고, 상기 신축 로크 부재(38)의 작동부(39)가 상기 걸림 부재의 걸림편(33)으로부터 떨어진 경우에, 상기 걸림편의 직경 확장을 허용하여 로크 해제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
  10. 텔레비젼 게임기에 조작 신호를 공급하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에 있어서, 핸들(14)의 좌우 쌍을 이루는 소정 위치에 각각 파지부(14a)를 설치하고, 상기 핸들의 이면측에 좌우 한 쌍의 시프트 레버(125, 126)를 배치하고, 상기 좌우 시프트 레버는 상기 좌우 파지부의 근방에 각각 작용점을 갖고, 상기 한 쌍의 파지부를 쥔 좌우의 손의 손가락이 작용점에 작용하여 서로 독립하여 작동하고, 한 쪽 시프트 레버의 작동은 기어의 시프트 업을, 다른 쪽 시프트 레버의 작동은 시프트 다운을 지시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시프트 레버(125, 126)는 핸들의 회전 중심측의 기단부(127)가 피봇되고, 원심 방향의 상기 파지부를 향해 연장하고, 선단부를 상기 파지부 근방에 위치하여 요동 작용점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게임용 핸들 조작 장치.
  12. 제10항에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시프트 레버(125, 126)가 동시 작동 상태에 있을 때, 어느 한 쪽의 시프트 레버의 작동을 유효로 하고, 다른 쪽의 시프트 레버의 작동을 무효로 하는 신호의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
  13. 텔레비젼 모니터에 접속되는 텔레비젼 게임기에 조작 신호를 공급하는 핸들 조작 장치에 있어서, 기체 케이싱(10)과, 상기 기체 케이싱에 지지되고, 소정 기울기를 갖고 설치되는 스티어링 칼럼(12)과, 상기 스티어링 칼럼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티어링축(13)과, 상기 스티어링축의 상단에 설치되는 핸들 중앙부(14d)과, 상기 핸들 중앙부로부터 좌우 반경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상측 포스트(14b)및 하측 포스트(14c)와, 상기 상측 포스트와 하측 포스트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좌우 파지부(14a)를 갖고, 상기 핸들 중앙부와 파지부 사이에 대략 원호형의 개구(14e)를 형성하며 상측 케이싱(120a)과 하측 케이싱(120b)으로 구성되는 핸들(14)과, 상기 핸들의 상측, 하측 케이싱(120a, 120b) 사이이며 상기 상측, 하측 케이싱의 중앙부에 설치된 저어널부(172a, 172b)에 의해 피봇되어 설치되고, 그 피봇되는 중앙부와, 그로부터 상기 좌우 파지부(14a)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좌우 파지부 근방이며 상기 대략 원호형 개구(14e) 내에 위치하는 좌우 작용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파지부를 쥔 좌우의 손의 손가락에 의해 인상됨으로써, 상기 핸들 내에 설치된 좌우 스위치를 제어하는 시프트 레버(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
  14. 텔레비젼 게임기에 조작 신호를 공급하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에 있어서, 핸들(14)의 스티어링(1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체 케이싱(10)의 좌우 측부(10c)가 플레이어의 좌우 대퇴부에 의해 협지하기 쉽도록 연직 방향 및 거의 전후 방향으로 전개한 측면을 구성하고 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케이싱(10)의 저면에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 깔판(10d)을 연장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14)은 좌우 쌍을 이루는 소정 위치에 각각 파지부(14a)를 갖고, 상기 핸들의 중앙부의 이면측에 좌우 한 쌍의 시프트 레버(125, 126)를 배치하고, 상기 좌우 시프트 레버는 상기 좌우 파지부의 근방에 각각 작용점을 갖고, 상기 한 쌍의 파지부를 쥔 좌우의 손의 손가락이 작용점에 작용하여 소정 조작 신호가 상기 텔레비젼 게임기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
  17. 텔레비젼 게임기에 조작 신호를 공급하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의 핸들 틸팅 위치 조정 구조에 있어서, 핸들(1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티어링 칼럼(12)과, 상기 스티어링 칼럼을 틸팅 가능하게 피봇하는 기체 케이싱(10)과,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소망 위치에서 임시 멈춤하는 임시 멈춤 수단(22)과,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을 금지하는 로크 수단(2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의 핸들 틸팅 위치 조정 구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멈춤 수단에 있어서는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저벽 외면(12a)이 가상 곡면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원통면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홈(21)이 주위 방향에 따라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기체 케이싱으로부터 연장 돌출되고 탄성 변형에 의해 선단의 결합 돌기가 하방으로 변위 가능한 걸림 부재(22)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 부재의 걸림 돌기(23)가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홈의 하나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 위치가 임시 멈춤되는 것이며, 상기 로크 수단에 있어서는 상기 기체 케이싱에 설치된 틸팅 로크 부재(25)가 구비되고, 상기 틸팅 로크 부재(25)의 조작으로 작동부(25b)가 상기 걸림 부재의 걸림 돌기(23)가 하방으로부터 접촉 분리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상기 틸팅 로크 부재의 작동부(25b)가 상기 걸림 부재의 걸림 돌기(23)에 접촉한 경우에, 상기 걸림 돌기의 하방으로의 변위를 금지하여 로크 상태로 하고, 상기 틸팅 부재의 작동부(25b)가 상기 걸림 부재의 걸림 돌기(23)로부터 떨어진 경우에, 상기 걸림 돌기의 하방으로의 변위를 허용하여 로크 해제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의 핸들 틸팅 위치 조정 구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저벽 외면(12a)이 상기 복수의 홈(21)의 형성에 의해 실질적으로 파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의 핸들 틸팅 위치 조정 구조.
  20. 제17항에 기재된 핸들 틸팅 위치 조정 구조를 갖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들(14)의 좌우 쌍을 이루는 소정 위치에 각각 파지부(14a)를 설치하고, 상기 핸들의 이면측에 좌우 한 쌍의 시프트 레버(125, 126)를 배치하고, 상기 좌우 시프트 레버는 상기 좌우 파지부의 근방에 각각 작용점을 갖고, 상기 한 쌍의 파지부를 쥔 좌우의 손의 손가락이 작용점에 작용하여 서로 독립하여 작동하고, 한 쪽 시프트 레버의 작동은 기어의 시프트 업을, 다른 쪽 시프트 레버의 작동은 시프트 다운을 지시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
  21. 제17항에 기재된 핸들 틸팅 위치 조정 구조를 갖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체 케이싱(10)의 좌우 측부(10c)가 플레이어의 좌우 대퇴부에 의해 협지하기 쉽도록 연직 방향 및 거의 전후 방향으로 전개한 측면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
  22. 텔레비젼 게임기에 조작 신호를 공급하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의 핸들 신축 위치 조정 구조에 있어서, 핸들(14)과 일체의 스티어링축(13)의 신축이 가능한 동시에 소망 위치에서 임시 멈춤할 수 있는 임시 멈춤 수단(33)과, 상기 스티어링축의 신축을 금지하는 로크 수단(39)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의 핸들 신축 위치 조정 구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멈춤 수단에 있어서는, 상기 스티어링 칼럼(13)의 표면에 축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연장된 홈(30)이 축방향에 따라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스티어링축이 축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끼워지고 일체로 회전하는 통형 걸림 부재(31)의 단부에 선단이 내측으로 돌출한 걸림 갈고리(33)를 직경 확장 방향으로 탄성 변형에 의해 변위 가능한 걸림편(32)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갈고리가 상기 스티어링축의 홈의 하나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스티어링축의 신축 위치가 임시 멈춤되는 것이며, 상기 로크 수단에 있어서는 상기 걸림 부재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환상의 신축 로크 부재(38)의 조작으로 작동부(39)가 상기 걸림 부재의 걸림편(33)에 외측으로 부터 접촉 분리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상기 걸림 부재(31)가 회전 가능하게 스티어링 칼럼(12)에 지지되고, 상기 신출 로크 부재(38)의 작동부(39)가 상기 걸림 부재의 걸림편(33)에 접촉한 경우에, 상기 걸림편의 직경 확장을 금지하여 로크 상태로 하고, 상기 신축 로크 부재(38)의 작동부(39)가 상기 걸림 부재의 걸림편(33)으로부터 떨어진 경우에, 상기 걸림편의 직경 확장을 허용하여 로크 해제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의 핸들 신축 위치 조정 구조.
  24. 제22항에 있어서, 기재된 핸들 신축 위치 조정 구조를 갖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들(14)의 좌우 쌍을 이루는 소정 위치에 각각 파지부(14 a)를 설치하고, 상기 핸들의 이면측에 좌우 한 쌍의 시프트 레버(125, 126)를 배치하고, 상기 좌우 시프트 레버는 상기 좌우 파지부의 근방에 각각 작용점을 갖고, 상기 한 쌍의 파지부를 쥔 좌우의 손의 손가락이 작용점으로 작용하여 서로 독립하여 작동하고, 한 쪽 시프트 레버의 작동은 기어의 시프트 업을, 다른 쪽 시프트 레버의 작동은 기어의 시프트 다운을 지시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
  25. 제22항에 기재된 핸들 신축 위치 조정 기구를 갖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체 케이싱(10)의 좌우측부(10c)가 플레이어의 좌우 대퇴부에 협지하기 쉽도록, 연직 방향 및 거의 전후 방향으로 전개한 측면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
  26. 제17항에 기재된 핸들 틸팅 위치 조정 구조와 제22항에 기재된 핸들 신축 위치 조정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
  27. 제18항에 기재된 핸들 틸팅 위치 조정 구조와 제23항에 기재된 핸들 신축 위치 조정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
KR1019960700132A 1994-05-20 1995-05-18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 KR01627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990094 1994-05-20
JP94-129899 1994-05-20
JP94-129898 1994-05-20
JP94-129900 1994-05-20
JP12989994 1994-05-20
JP12989894 1994-05-20
JP7015515A JPH08187359A (ja) 1995-01-05 1995-01-05 テレビゲーム用入力装置のハンドル位置調整構造
JP95-15515 1995-01-05
PCT/JP1995/000950 WO1995032038A1 (en) 1994-05-20 1995-05-18 Handle operating device for television game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3644A KR960703644A (ko) 1996-08-31
KR0162731B1 true KR0162731B1 (ko) 1998-12-01

Family

ID=27456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0132A KR0162731B1 (ko) 1994-05-20 1995-05-18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989123A (ko)
EP (1) EP0710496B1 (ko)
JP (1) JP2963768B2 (ko)
KR (1) KR0162731B1 (ko)
BR (1) BR9506241A (ko)
CA (1) CA2167510C (ko)
DE (1) DE69507767T2 (ko)
WO (1) WO19950320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6246B2 (ja) * 1994-08-02 2008-01-23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機用操作装置
RU2163159C2 (ru) 1995-05-10 2001-02-20 Нинтендо К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с аналоговым джойстиком (варианты)
AU734018B2 (en) 1995-10-09 2001-05-31 Nintendo Co., Ltd. Three-dimension image processing system
CN1239219C (zh) 1996-10-11 2006-02-01 索尼计算机娱乐株式会社 游戏机及其所用操作装置
US6641479B1 (en) * 1997-04-24 2003-11-0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Control unit and system utilizing the control unit
JP3655438B2 (ja) * 1997-07-17 2005-06-02 任天堂株式会社 ビデオゲームシステム
JP4035867B2 (ja) * 1997-09-11 2008-01-23 株式会社セガ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媒体
WO1999019036A1 (fr) * 1997-10-14 1999-04-22 Namco, Ltd. Organe de commande de machines a sous
JPH11342265A (ja) * 1998-06-01 1999-12-1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記録媒体及びエンタテインメントシステム
US6283859B1 (en) * 1998-11-10 2001-09-04 Lord Corporation Magnetically-controllable, active haptic interface system and apparatus
US6203432B1 (en) 1999-05-11 2001-03-20 Madcatz, Inc. System for adjusting the response characteristic of an electronic game input device
US6290228B1 (en) * 1999-05-11 2001-09-18 Mad Catz, Inc. Leg extensions for a lap-mounted computer game accessory
WO2000067865A1 (en) * 1999-05-11 2000-11-16 Mad Catz, Inc. Computer game accessory having a lap-shaped contour
US6743104B1 (en) 1999-11-18 2004-06-01 Nintendo Co., Ltd. Portable game machine
USD435603S (en) * 1999-11-24 2000-12-26 Radica China Limited Hand held electronic game
US20010008841A1 (en) * 2000-01-14 2001-07-19 Nobuhiro Komata Recording medium, computer and method operating car images on a screen of the computer
US20070281828A1 (en) 2000-03-21 2007-12-06 Rice Michael J P Games controllers
USD434086S (en) * 2000-05-09 2000-11-21 Nuby Interactive LLC Steering wheel game controller
WO2002011838A1 (en) * 2000-08-03 2002-02-14 Mattel, Inc. Handheld driving simulation game apparatus
US20020128064A1 (en) * 2001-03-06 2002-09-12 Sobota John F. Game controller
US20030067111A1 (en) * 2001-10-09 2003-04-10 Logitech Europe S.A. Game controller lap attachment device
US7798814B2 (en) * 2003-02-14 2010-09-21 Honda Motor Co., Ltd. Riding simulation system
US7086949B2 (en) * 2003-05-08 2006-08-08 Logitech Europe S.A. Convertible single-turn to multi-turn gaming steering wheel utilizing sliding stops
US7198269B2 (en) * 2003-05-08 2007-04-03 Logitech Europe S.A. Convertible single-turn to multi-turn gaming steering wheel
US7976385B2 (en) * 2004-05-11 2011-07-12 Mattel, Inc. Game controller with sensitivity adjustment
US7828157B2 (en) * 2004-11-24 2010-11-09 Michael L Thorsen Steering wheel stand for electronic game control
JP2006298241A (ja) * 2005-04-22 2006-11-02 Toyota Motor Corp 車両用表示装置
TWM278451U (en) * 2005-05-16 2005-10-21 Weistech Technology Co Ltd Controller of portable type game machine
WO2007048043A2 (en) * 2005-10-21 2007-04-26 Vtech Electronics North America, Llc Reconfigurable user input device for both left and right handed users
US20070287537A1 (en) * 2006-04-20 2007-12-13 Sysgration Ltd. Video game unit capable of simulating a real state of car racing
US20080070197A1 (en) * 2006-09-20 2008-03-20 Mattel, Inc. Interactive toy vehicle cockpit
JP5014898B2 (ja) * 2007-06-29 2012-08-29 Thk株式会社 ドライブシミュレータ用ステアリング及びドライブシミュレータ
EP2229225A2 (en) * 2007-11-13 2010-09-22 Aguirre Jorge Cristian Donoso Video game controller with a fan
TW201008620A (en) * 2008-08-22 2010-03-01 Kye Systems Corp Structure of manipulation input device
CN201291056Y (zh) * 2008-09-23 2009-08-19 光谱科技有限公司 一种游戏机用方向盘类操控设备
US20100081548A1 (en) * 2008-10-01 2010-04-01 Lawrence Labedz Exercise simulator and method for encouraging exercise
US8690154B2 (en) * 2009-06-27 2014-04-08 Greg John Owoc Safe and novel, lightweight hand-grip systems for manually spinning gaming wheels
JP5133315B2 (ja) * 2009-09-16 2013-01-30 株式会社日立ケーイーシステムズ ドライビングシミュレータ
FR2959942B1 (fr) * 2010-05-12 2013-06-14 Guillemot Corp Controleur de jeu a colonne de direction
US20120138381A1 (en) * 2010-12-02 2012-06-07 Sunpex Technology Co., Ltd. Steering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US8366547B2 (en) 2010-12-06 2013-02-05 Ignite Game Technologies, Inc. Racing car wheel and controls for use in a multimedia interactive environment
US8596638B2 (en) * 2011-02-08 2013-12-03 Greg John Owoc Rotatable hand grip system
US8641525B2 (en) 2011-06-17 2014-02-04 Ironburg Inventions Ltd. Controller for video game console
JP5149426B2 (ja) * 2011-06-21 2013-02-20 株式会社フォーラムエイト 運転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30082919A1 (en) * 2011-10-03 2013-04-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pertaining to automated functionality based upon detected interaction between devices
EP2888017B1 (en) 2013-05-22 2018-08-15 Ironburg Inventions Controller for a games console
WO2015004261A2 (en) 2013-07-10 2015-01-15 Ironburg Inventions Ltd Games controller and trigger therefor
JP6411773B2 (ja) * 2013-09-30 2018-10-24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ラジオコントロール送信機
US10328344B2 (en) 2013-10-11 2019-06-25 Valve Corporation Game controller systems and methods
US10029175B2 (en) 2013-11-29 2018-07-24 Ironburg Inventions Ltd. Controller for a games console
WO2015078994A1 (en) 2013-11-29 2015-06-04 Ironburg Inventions Games controller
US10258877B2 (en) 2014-01-22 2019-04-16 Ironburg Inventions Limited Games controller
WO2015118082A2 (en) 2014-02-05 2015-08-13 Ironburg Inventions Controller for a games console, tool and a method therefor
EP4074389A1 (en) 2014-05-12 2022-10-19 Ironburg Inventions Limited Games controller
WO2016110586A1 (en) 2015-01-09 2016-07-14 Ironburg Inventions Ltd Controller for a games console
US10232254B2 (en) 2015-04-30 2019-03-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ame controller with removable paddle accessory
US10232255B2 (en) 2015-04-30 2019-03-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addle accessory for a game controller
WO2017051151A1 (en) 2015-09-23 2017-03-30 Ironburg Inventions Ltd Games controller
US10427036B2 (en) 2015-09-24 2019-10-01 Ironburg Inventions Limited Games controller
EP3359269A1 (en) 2015-10-09 2018-08-15 Ironburg Inventions Games controller
WO2017089820A2 (en) 2015-11-27 2017-06-01 Ironburg Inventions Ltd Games controller and trigger therefor
WO2017216571A1 (en) 2016-06-14 2017-12-21 Ironburg Inventions Limited Games controller
US10406431B2 (en) 2016-08-11 2019-09-10 Valve Corporation Hand-held controller with a back shell and underlying force sensitive resistors
CN109803733A (zh) 2016-08-11 2019-05-24 铁堡发明有限公司 用于计算机的输入装置
US10722786B2 (en) 2016-08-11 2020-07-28 Valve Corporation Video game controller with unitary back shell for button control and battery access
JP1582433S (ko) * 2017-01-11 2017-07-31
CN110603081A (zh) 2017-03-15 2019-12-20 铁堡发明有限公司 用于游戏主机的输入设备
CN110740794A (zh) 2017-06-12 2020-01-31 铁堡发明有限公司 用于游戏主机的输入装置
JP6723295B2 (ja) 2018-07-05 2020-07-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の操作部構造、および鞍乗型車両
USD881283S1 (en) 2018-09-05 2020-04-14 Ironburg Inventions Limited Game controller
USD881125S1 (en) 2018-09-05 2020-04-14 Ironburg Inventions Limited Game controller motor set
USD889549S1 (en) 2018-09-05 2020-07-07 Ironburg Inventions Limited Game controller
USD889550S1 (en) 2018-09-05 2020-07-07 Ironburg Inventions Limited Game controller
USD881282S1 (en) 2018-09-05 2020-04-14 Ironburg Inventions Limited Game controller
CN110794819A (zh) * 2019-11-13 2020-02-14 深圳市路畅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手势按键融合的智能汽车无线驾驶控制系统
USD983269S1 (en) 2020-06-19 2023-04-11 Ironburg Inventions Limited Input apparatus for a games console
US11179629B1 (en) * 2020-07-13 2021-11-23 Timothy Frank Bernasch Steering wheel control device with integral legs
US20220342438A1 (en) * 2021-04-21 2022-10-27 Shenzhen Guli Technology Co., Ltd. Hall joystick
JP2022170086A (ja) * 2021-04-28 2022-11-10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ラジオコントロール送信機
US11426651B1 (en) * 2021-05-18 2022-08-30 Darryl Ingvard Jensen Lap joystick con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8825582A (en) * 1982-07-21 1984-02-23 J.I. Case Company Tilt-telescope steering wheel arrangement
US4494754A (en) * 1982-09-30 1985-01-22 Wagner Jr John R Apparatus for playing home video games
US4509383A (en) * 1982-12-01 1985-04-09 Championship Electronics (Usa) Inc. Joystick controller
JPS6255263A (ja) * 1985-09-04 1987-03-10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装置
JPH01119426A (ja) * 1987-11-02 1989-05-11 Toyota Motor Corp 車両用のシフトレバー位置調整装置
GB2220252A (en) * 1988-05-27 1990-01-04 Creative Devices Res Ltd Control device for data processing apparatus
US4887966A (en) * 1988-06-30 1989-12-19 Gellerman Floyd R Flight simulation control apparatus
JP2704642B2 (ja) * 1988-10-04 1998-01-26 株式会社タイトー ゲーム機械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H02264687A (ja) * 1989-04-04 1990-10-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運動遊戯装置
JPH087908Y2 (ja) * 1989-06-02 1996-03-06 株式会社タイトー ビデオゲーム用ハンド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10496A1 (en) 1996-05-08
CA2167510A1 (en) 1995-11-30
JP2963768B2 (ja) 1999-10-18
KR960703644A (ko) 1996-08-31
CA2167510C (en) 2002-02-12
EP0710496A4 (en) 1996-10-16
BR9506241A (pt) 1997-08-12
WO1995032038A1 (en) 1995-11-30
US5989123A (en) 1999-11-23
EP0710496B1 (en) 1999-02-10
DE69507767T2 (de) 1999-09-02
DE69507767D1 (de)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2731B1 (ko) 텔레비젼 게임기용 핸들 조작 장치
US9180367B2 (en) Operating device for game machine
JP2998096B2 (ja) ゲーム装置
EP0903659B1 (en) Actuating device for game machine
JPH10295937A (ja) ゲーム機用操作装置
US20060025217A1 (en) Ergonomically cofigurable video game controller
KR101596706B1 (ko) 동시조작형 전자식 변속레버 및 그 제어방법
US20050255918A1 (en) Game controller with sensitivity adjustment
EP1677307A2 (en) Changeable console face plate
KR20010101467A (ko) 수동식 제어기
JP2003236246A (ja) ゲーム機用操作装置
JPH039060Y2 (ko)
JP2907008B2 (ja) 複合操作手段を備えたコントロールパッド
JPH08187359A (ja) テレビゲーム用入力装置のハンドル位置調整構造
JP2002319331A (ja) レバースイッチ装置
JPH09244803A (ja) コントローラ
JP2006051383A (ja) コントローラ及びコントローラ用拡張ユニット
JP3105098U (ja) 分離式方向コントローラー
JPH10277266A (ja) ゲーム装置
WO2024105395A1 (en) Thumbstick adapter
JP3165853B2 (ja) 十字キーアダプタ装置及びコントローラ
JP2000267801A (ja) 信号入力装置
JP3178537U (ja) フィットネスバイク
JP4159072B2 (ja) ゲーム用入力装置及び入力用アタッチメント
CA2566693C (en) Game controller with sensitivity adjus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