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0966B1 - 판재 형상 교정 장치와 그것을 갖춘 프레스 브레이크 장치 및 판재 형상 교정 방법 - Google Patents

판재 형상 교정 장치와 그것을 갖춘 프레스 브레이크 장치 및 판재 형상 교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0966B1
KR0160966B1 KR1019900015852A KR900015852A KR0160966B1 KR 0160966 B1 KR0160966 B1 KR 0160966B1 KR 1019900015852 A KR1019900015852 A KR 1019900015852A KR 900015852 A KR900015852 A KR 900015852A KR 0160966 B1 KR0160966 B1 KR 0160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orce
press brake
carriage
ap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5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5935A (ko
Inventor
싸르토리오 프랑코
Original Assignee
아마다 미쯔아끼
가부시끼 가이샤 아마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마다 미쯔아끼, 가부시끼 가이샤 아마다 filed Critical 아마다 미쯔아끼
Publication of KR910005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0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09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10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grippers
    • B21D43/105Manipulators, i.e. mechanical arms carrying a gripper element having several degrees of freed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press brakes without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Straightening Metal Sheet-Like Bodies (AREA)

Abstract

길이가 길고 만곡된 판재(W)를 굽힘가공, 폴딩가공, 플랜징가공 및 성형가공하는 프레스 브레이크 시스템(1)과 판재(W)를 처리하는 판재 핸들링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프레스 브레이크 시스템(1)은 길이가 길고 만곡된 판재(W)를 교정하는 수단(28,36,136,228,236)과, 작용면(B)에서 굽힘라인(A)을 따라 상호협동하는 펀치(14)와 매트릭스(16)를 포함하는 브레이크(12)로 구성되며, 판재 핸들링 장치는 길이가 길고 만곡된 판재(W)를 교정하는 수단(28,36,136,228,236)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교정수단은 중앙부(3) 또는 길이방향 에지(2,4)의 단부(5)에 굽힘라인(A)에 수직한 방향 및 하중면(C)내에 힘을 인가하는 강제수단(36,136,236)과 상기 힘에 대하여 판재가 이동할 수 없도록 판재(W)를 고정하는 고정수단(28,228)를 포함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따라 시스템은 적절한 굽힘가공 또는 플랜징가공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굽힘라인을 따라 일정한 폭의 플랜지를 갖는 판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판재 형상 교정 장치와 그것을 갖춘 프레스 브레이크 장치 및 판재 형상 교정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판재 조작 장치를 구비한 프레스 브레이크 장치의 개략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브레이크 장치 또는 판재 조작 장치에 의하여 굽혀진 또는 조작된 판재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에서 화살표 III방향에서 본 힘 인가 수단의 일부 단면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화살표 V 방향에서 본 측면도.
제6도 및 제7도는 제3도의 VI-VI선 및 VII-VII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
제8도는 제1도의 화살표 VIII방향에서 본 평면도.
제9도는 제8도의 화살표 IX 방향에서 본 부분의 일부 확대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브레이크 장치에 사용되는 다른 힘 인가 수단의 평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XI-XI선에 따른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브레이크 장치에 사용되는 또 다른 판재 형상 교정 수단의 평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화살표 XIII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스 브레이크 장치 2 : 오목한 길이 방향 에지
4 : 볼록한 길일 방향 에지 6 : 아암(arm)
10 : 조작 장치 12 : 프레스 브레이크
14 : 펀치(punch) 16 : 매트릭스(matrix)
20,40 : 캐리지(carrage) 24 : 크로스 부재
28 : 파지 헤드 30,72 : 접촉부
46 : 모터 50,68,76,80,228,280 : 센서
62 : 스러스트 부재(thrust member) 66 : 피스톤
78 : 노브(knob) 136,236 : 힘 인가 수단
본 발명은 선형 굽힘 영역에서 상호 협동하여 작동면에서 적어도 하나가 다른 하나쪽으로 대향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펀치와 매트릭스를 구비하고, 금속 판재, 특히 길고 만곡된 판재를 굽힘 가공(bending), 폴딩 가공(folding), 플랜징 가공(flanging), 성형 가공(forming)하는 프레스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만곡된 판재의 형상을 교정하는 장치 및 방법과 그러한 만곡된 판재를 조작하는(handling)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굽힘 가공 프레스는 길이가 긴 금속 판재를 파지(gripping)하여 그것을 상기 작동면에 거의 수직하는 공급면을 따라 펀치와 매트릭스 사이에 삽입시키는 파지 수단을 포함하는 금속 판재 조작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프레스는 이탈리아 공화국 특허출원 제 67224-A-88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브리에크 장치는 길이가 긴, 특히 양측의 길이비가 크고(예컨데1:10) 사각형인 금속 판재의 굽힘 가공에 사용된다.
첨부한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브레이크 장치 또는 판재 조작 장치에 의해 구부려지는 또는 조작되는 금속 판재(W)의 가능한 형상을 실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금속 판재의 절단과 관련된 기술적인 문제점으로 인해, 금속 판재는 일반적으로 제2도의 파선과 같이 오목한 길이 방향 에지(edge, 2)와 볼록한 길이 방향 에지(4)가 형성된 바람직하지 못한 만곡된 형상을 갖는다. 도면에는 이해를 위하여 보다 과장되게 도시하였다. 이론적인 형상과 실제적인 형상과의 최대 차이(F)는 전체 길이(L)가 약 4m일 때 일반적으로 0.2 와 2mm 사이이다.
이러한 만곡으로 인하여, 금속 판재(W)의 길이 방향 에지들(2,4)이 굽혀질 때, 금속 판재(W)의 중앙부와 에지부 사이에는 플랜지의 폭에 변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만곡된 판재의 형상을 교정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배제하거나 적어도 제한하는 프레스 브레이크 장치와 판재 조작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판재가 공급되는 공급면에서 굽힘 선(bending line)에 수직한 방향으로 힘을 인가함으로써 만곡된 판재의 형상을 교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프레스 브레이크 장치 또는 판재 조작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교정 수단은 판재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판재에 길이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는 힘 인가 수단과, 판재가 움직이지 않도록 인가한 힘에 대항하여 판재를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힘 인가 수단은 굽힘 가공에 수행될 때 만곡된 판재의 형상을 교정하고 정렬하기 위하여 고정 수단과 상호 협동한다.
이와 같이 설계된 본 발명의 장치에 따르면, 적절한 굽힘 가공을 수행하여 일정한 폭의 플랜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직교 좌표축(X-Y-Z)과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브레이크 장치(1)를 도시하고 있다. 판재(W)를 조작하는 장치(10)는 판재를 프레스 브레이크(12)에 공급하는데 사용되며, 프레스(12)는 굽힘 선(A)을 따라 상호 협동하는 상부 다이(die), 즉 펀치(14)와 하부 다이, 즉 매트릭스(16)를 필수 구성요소로 하고 있다.
펀치(14)는 고정되어 있으나, 매트릭스(16)는 B로 표시된 작동면을 따라 펀치(14)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조작 장치(10)는, 공지된 방식으로 작동면(B)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바닥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 및 안내 비임(beam, 18)을 포함하고 있다. 캐리지(20)는 상기 비임(18)상을 미끄럼 운동하도록 설치되며 X축 방향으로 비임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캐리지(20)는 Y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횡방향 가이드(22)를 지탱하고 있는데, 상기 횡방향 가이드(22)는 Z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또한 상기 횡방향 가이드(22) 위에는 크로스 부재(cross member, 24)가 미끄럼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크로스 부재(24) 위에는 두 개의 아암(26)이 X축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아암(26)은 조작되는 판재(W)의 짧은 축의 에지(6)를 단단히 파지하기 위한 공지된 형태의 파지 헤드(28)를 각기 지탱하고 있다.
판재(W)는 오목한 길이 방향 에지(2)를 프레스 브레이크(12) 측으로 향하게 한채, 작동면(B)에 직교하는 공급면(C)에서 프레스 브레이크(12)로 공급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12)는 굽힘 선(A)에 평행하게 고정된 한 쌍의 접촉부(abutment, 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접촉부(30)에는 각기 위치 센서(32)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센서(32)에는 판재(W)의 오목한 길일 방향 에지(2)가 접촉한다. 센서(32)들은 공지된 방식으로 크로스 부재(24) 구동용 액츄에이터(도시 안됨)에 연결되어, 판재(W)의 오목한 길이 방향 에지(2)가 굽힘 선(A)과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오목한 길이 방향 에지(2)를 굽힘 선(A)과 평행하게 위치시키는 크로스 부재(24) 배향용 유니트(unit)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배향용 유니트의 구조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전술한 이탈리아 공화국 특허출원 제 67224-A/88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작 장치(10)는 보조 스러스트(thrust) 장치(36)를 구비하고 있는데, 스러스트 장치(36)는 판재(W)에 힘을 인가하는 힘 인가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스러스트 장치(36)는 조작 장치(10)의 크로스 부재(24)에 고정된 베이스 구조체(38)를 포함하고 있다. 이 베이스 구조체(38) 상에는, Y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캐리지(40)가 미끄럼 운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캐리지(40)는 그것에 고정되어 있는 너트(nut, 42)에 의해 구동되는데, 이 너트(42)는 베이스 구조체(3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크류(screw, 44)와 맞물려 있다. 스크류(44)는 전기모터(46)에 의하여 이붙이 벨트(toothed belt, 48)를 통하여 회전한다. 베이스 구조체(38)는 그 양단에 한 쌍의 근접 센서(50,52)를 구비하는데, 이 센서(50,52)는 캐리지(40)가 행정 한계 위치에 있는 때를 검출하여 전기 모터(46)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40)는 Y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3개의 안내 로드(56)를 구비하는데, 이 3개의 안내 로드(56) 상에는 아암(60)의 단부(58)가 미끄럼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아암(60)은 그 자유단(free end)에 스러스트 부재(62)를 구비하는데, 스러스트 부재(62)는 이후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것처럼, 판재(W)의 볼록한 길이 방향 에지(4)의 중앙부와 상호 협력하게 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러스트 부재(62)는 Z축에 평행한 축(D)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아암(60)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스러스트 부재(62)는 V자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그것의 베이스 벽(64)에는 판재(W)의 볼록한 길이 방향 에지(4)가 지지된다. 피스톤(66)은 근접 센서(68)와 마주보고서 스러스트 부재(62)의 중앙부에서 미끄럼 운동가능하다(근접 센서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함). 피스톤(66)과 센서(68) 사이에는 나선형 스프링(70)이 배치되어 있다.
제7도에서 알 수 있듯이, 캐리지(40)에 고정된 접촉부(72)와 아암(60)의 단부(58) 사이에는 나선형 스프링과 같은 탄성 수단(74)이 배치되며, 이 탄성 수단은 안내 로드(56)의 하나와 동축관계에 있다. 근접 센서(76)가 또한 단부(58)와 접촉부(72) 사이에 위치하며, 그 위치는 노브(knob, 78)에 의하여 Y축 방향으로 변화 가능하다. 아암(60)의 단부(58)가 센서(76)와 통신하게 될 때, 센서(76)는 단부(58)의 존재를 감지하여 전기 모터(46)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프레스(12)는 전술한 두 접촉부(30)들 사이의 중앙에 배치된 제3 고정 접촉부(80)를 구비한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80)는 로드(84)를 가진 유체 액츄에이터(82)를 포함하고 있으며, 로드(84)의 단부면은 피스톤(88)의 구형(spherical) 헤드(86)에 대해서 작용한다. 제9도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구성에 있어서, 피스톤(88)의 단부면(90)은 접촉부들(30,80)의 단부면과 평행하는 직선(E)의 후방에 위치한다. 직선(E)은 센서(32)들의 단부를 통과하며, 센서(32)들은 직선(E)이 접촉부(30,80)의 단부에 평행하고 그 결과 굽힘 선(A)(제8도)에 평행하는 것을 보장한다. 액츄에이터(82)를 작동시킴으로써, 피스톤(88)은 제9도의 파선(broken outline)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 위치에서, 피스톤(88)의 단부면(90)은 직선(E)과 정렬된다.
전술한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제어 유니트(도시 안됨)에 의하여 구동되는 조작 장치(10)는 그것은 파지헤드(28)로 판재(W)를 파지하여 공급면(C)를 따라서 펀치(14)와 매트릭스(16) 사이에 삽입한다. 조작 장치(10)는 전술한 오목한 길이 방향 에지(2)를 센서(32)에 맞닿게 되도록 이동시켜서, 굽힘 선(A)에 평행한 직선(E)과 상기 에지가 정렬되도록 한다.
다음에, 액츄에이터(82)가 작동되어, 피스톤(88)의 단부면(90)이 직선(E)과 정렬되어 진다. 다음에, 전기 모터(46)가 작동되어 캐리어(40) 및 스러스트 부재(62)를 Y축 방향으로 전진시킨다. 스러스트 부재(62)는 판재(W)의 볼록한 길이 방향 에지(4)와 접촉하게 된다. 볼록한 길이 방향 에지(4)가 스러스트 부재(62)의 베이스 벽(64)과 맞닿기 직전에, 판재(W)의 볼록한 길이 방향 에지(4)에 의하여 추력을 받는 피스톤(66)이 스프링(70)을 압축하면서 센서(68)쪽으로 이동한다. 센서(68)가 피스톤(66)의 존재를 감지하게 되면, 센서(68)은 짧은 시간동안 전기 모터(46)를 스위치 오프(switch off)하므로, 스러스트 부재(62)가 판재(W)의 볼록한 길이 방향 에지(4)와 맞닿기 전에 캐리지(40)의 이동이 느려지게 된다. 센서(68)는 판재(W)가 스러스트 부재(62)와 정확히 맞닿았는지를 감지하는 또 다른 기능도 가지고 있다.
센서(68)에 의하여 전원 공급이 차단된 후, 전기 모터(46)에 다시 전원이 공급되면 캐리지(40)는 프레스(12)를 향하여 계속 이동한다. 그러나, 스러스트 부재(62)가 판재(W)의 볼록한 길이 방향 에지(4)와 접촉하게 될 때, 아암(60)은 정지하게 된다. 캐리지(40)와 아암(60)의 단부(58)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의 결과에 따라, 스프링(74)은 하중을 받게되어 아암(60)에 화살표 G 방향으로(제3도 및 제4도 참조) 힘을 전달한다. 따라서, 동일한 크기의 힘이 스러스트 부재(62)에 의하여 판재(W)에 전달된다.
이러한 힘은 공급면(C)내에 작용하여 판재(W)의 만곡을 보상한다. 스러스트 부재(62)에 의하여 힘이 인가됨에 따라, 판재(W)의 오목한 길이 방향 에지(2)는, 최대로 교정되는 경우, 중앙 접촉부(80)의 면(90)과 접촉하게 된다. 아암(60)의 단부(58)가 위치 센서(76)와 통신하게 될 때, 센서(76)는 전기 모터(46)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따라서, 조정 노브(78)로 센서(76)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스러스트 부재(62)에 의하여 판재(W)에 전달되는 하중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최적의 힘의 크기는 판재(W)의 크기와 재질에 따라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스러스트 부재(62)에 의하여 힘이 인가되는 동안, 판재는 조작 장치(10)의 파지 헤드(28)에 의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스러스트 부재에 의하여 인가되는 힘의 대부분은 판재(W)를 통하여 파지 헤드(28)로 전달되고, 다시 크로스 부재(24)로 전달된다. 따라서, 스러스트 부재(62)에 의해 인가되는 힘은 조작 장치(10)의 구동 유니트(drive unit)에 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전달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32)에 의해 달성되는 판재(W)의 정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제1도 내지 제9도에는 스러스트 부재(62)가 설치된 스러스트 장치(36)를 구비하는 힘 인가 수단(36)이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힘 인가 수단은, 둘 이상의 스러스트 부재(62)가 설치된 스러스트 장치 또는 하나 이상의 스러스트 부재(62)가 설치된 다수개의 스러스트 장치(3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브레이크 장치 또는 판재 조작 장치의 실시예의 전술한 설명에서, 판재(W)는 그것의 오목한 길이 방향 에지(2)가 프레스 브레이크(12)쪽으로 향한채로 공급면(C)에 위치되고, 판재의 볼록한 길이 방향 에지(4)의 중앙부의 적어도 일 부분에서 힘 인가 수단에 의하여 힘을 받는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판재를 그것의 볼록한 길이 방향 에지(4)가 프레스 브레이크(12)쪽으로 향한 채로 공급면(C)에 위치시키고, 판재의 오목한 길이 방향 에지(2)의 2개의 단부(5)가 둘 이상의 힘 인가 수단에 의하여 힘을 받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판재(W)를 그 중앙부(3)의 적어도 일 부분에서 고정하는 고정 수단과, 상기 고정 수단의 근처에 볼록한 길이 방향 에지(4)의 중앙부(3)가 맞닿게 되는 센서 수단(30,32)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재(W)의 정렬은 전술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제10도 및 제11도에는, 프레스 브레이크 장치에 사용되는 또 다른 힘 인가 수단(136)이 도시되어 있다. 힘 인가 수단(136)은, 예컨대 프레스 브레이크의 부재(25)로서 굽힘 선(A)에 평행한 직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부재(제8도 참조)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판재(W)를 끌어당겨 교정한다. 힘 인가 수단(136)은 캐리지(40)와 베이스 구조체(38)를 포함한다. 베이스 구조체(38)는 부재(25)의 거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 구조체(38) 위에 설치된 캐리지(40)는 Y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캐리지(40)는 그것에 고정되어 있는 너트(42)에 의해 구동되는데, 너트(42)는 베이스 구조체(38)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스크류(44)와 맞물려 있다. 스크류(44)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전기 모터(도시안됨)에 의하여 회전운동한다.
캐리지(40)는 한 쌍의 핀서(pincer,140)와 실린더(120)를 가지고 있다. 실린더(120)의 피스톤(도시 안됨)은 작동 수단(도시 안됨)에 의하여 작동된다. 피스톤이 작동되면, 피스톤 로드(122)가 돌출하여 하부 핀서(144)를 밀게 된다. 따라서, 상부 핀서(142)는 단부가 브래킷(bracket,112)에 고정되어 있는 핀(114)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핀서(142,144)들의 전방부는 판재(W)의 오목한 길이 방향 에지(2)를 파지하기 위하여 단단히 닫혀진다. 제11도는 핀서(140)들이 닫혀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피스톤의 작동이 해체되면, 핀서(140)들의 전방부는 나선형 스프링(102)의 작동에 의해 개방된다.
힘 인가 수단(136)을 사용하는 프레스 브레이크 장치에 의한 굽힘 가공 중에, 판재(W)는 적절한 수단에 의해, 판재(W)의 오목한 길이 방향 에지(2)가 프레스 브레이크와 마주보고 또한 상기 에지(2)의 단부(5)들이 접촉부(228)의 고정 수단과 접촉한 채로 프레스 브레이크로의 공급면(C)내에 위치하게 된다. 판재(W)를 위치시킨후, 모터, 전동 벨트, 스크류(44)와 너트(42) 등의 캐리지 구동 수단을 작동시킴으로써 캐리지(40)는 오목한 길이 방향 에지(2)로 이동하게 되며, 그 다음, 핀서(140)들의 전방부가 개방된다. 그 뒤 캐리지는 다시 어느 정도 전진되고, 핀서들의 전방부는 서로 단단히 닫혀져 오목한 길이 방향 에지(2)의 중앙부(3)를 파지하게 된다. 그 다음, 캐리지 구동 수단이 작동되고, 힘 인가 수단(136)의 판재(W)를 잡아 당기게 된다. 두 접촉부(228)는 판재 고정 수단으로서 작용하여, 힘 인가 수단(136)에 의하여 인가된 힘에 대항하여 판재(W)를 고정시킨다. 힘 인가 수단(136)은 접촉부(228)들과 상호 협동하여 판재(W)를 교정하고 정렬시킨다. 판재(W)가 바르게 교정되었을 때, 볼록한 길이 방향 에지(4)는 두 접촉부(228)의 중간에 위치하는 또 다른 접촉부(280)(제12도 참조)의 상면과 접촉하게 된다. 접촉부(280)의 상면은 굽힘 선(A)에 평행한 직선(E)과 정렬된다.
제10도 및 제11도에서, 판재(W)를 잡아당기는 힘의 강도를 조정하는 노브(78), 근접 센서(76)와 나선형 스프링(74)을 구비하고 있는 수단은 생략되어 있다. 그러나, 힘 인가 수단(136)은, 예컨대, 캐리지(40)와 베이스 구조체(38) 사이에 그러한 힘의 강도 조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2도 및 제13도에는, 다른 선택적인 힘 인가 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이 힘 인가 수단은 접촉부(280)에 고정되어 있는 브래킷(240)에 설치되는 전자석(electric magnet,236)을 포함한다. 접촉부(280)는 프레스 브레이크의 부재이거나 프레스와는 독립된 부재일 수 있는 부재(25)에 고정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판재(W)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고정 수단(228)에 대하여 위치된다. 전력이 전자석(236)에 공급되면, 전자석은 판재(W)를 끌어당겨 교정한다. 판재(W)가 바르게 교정될 때, 볼록한 길이 방향 에지(4)는 두 접촉부(228) 중간에 위치하는 또 다른 접촉부(280)의 상면과 접촉하게 된다. 접촉부(280)의 상면은 굽힘 선(A)에 평행한 직선(E)과 정렬된다.
제10도 내지 제13도와 관련한 전술한 설명에서, 판재(W)의 오목한 길이 방향 에지(2)를 잡아당기는 각각의 힘 인가 수단(136 및 236)은 프레스 브레이크 근처의 부재(25)에 설치된다. 그러나, 물론, 본 발명에서 판재(W)를 잡아 당기는 이들 힘 인가 수단(136 및 236)의 하나를 제1도에 도시된 크로스 부재(24)에 부착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 경우에, 판재는 볼록한 길이 방향 에지(4)가 프레스 브레이크(12)와 마주보는 상태로 공급면(C)내에 위치되고, 오목한 길이 방향 에지(2)의 단부(5)들은 한 쌍의 파지 헤드(28) 또는 다른 적절한 고정 수단에 의하여 고정된다. 고정 수단은 판재(W)를 정렬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스러스트 장치(36)를 부재(24)에 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의 원리, 실시예들의 형태, 상세한 구성은 변화될 수 있다.

Claims (18)

  1. 평판형 판재를 굽힘 가공하기 위한 굽힘 선(A)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한 펀치(14)와 매트릭스(16)를 구비하는 프레스 브레이크 장치(1)에 있어서, 만곡된 평판형 판재(W)의 표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는 힘을 인가하여 상기 판재(W)의 만곡된 형상을 교정하는 판재 형상 교정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브레이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 형상 교정 장치(28,36,136,228,236)는 상기 판재(W)의 만곡된 형상을 보상하기 위하여 공급면(C)내에서 상기 굽힘 선(A)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판재(W)의 길이 방향 에지(2,4)의 적어도 일 부분(3,5)에 힘을 인가하는 힘 인가 수단(36,136,236)과, 상기 힘에 대항하여 상기 판재(W)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 (28,22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브레이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 형상 교정 장치(28,36,136,228,236)는 프레스 브레이크 장치의 공통 부재(24,25) 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브레이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W)의 길이 방향 에지(2,4)와 접촉하여, 교정되고 굽혀질 판재(W)의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30,32,8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브레이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힘 인가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석(236)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브레이크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판재(W)와 접촉하여 상기 인가되는 힘에 대항하여 판재(W)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재(228)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브레이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228)는 프레스 브레이크 장치의 백게이지(back gage)로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브레이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힘 인가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석(23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브레이크 장치.
  9. 평판형 판재(W) 형상 교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재(W)를 그것의 제1 에지의 영역에서 고정하는 고정 수단(28,228)과, 상기 판재(W)의 표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힘 인가 수단(36,136,236)을 구비하는데, 상기 힘 인가 수단(36,136,236)은 힘 인가 수단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판재(W)의 제2 에지에 힘을 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수단(62)을 포함하고, 상기 힘은 상기 판재(W)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그리고 상기 제2 에지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형상 교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28,228)과 상기 힘 인가 수단(36,136,236)은 상기 장치의 공통 부재(24,25) 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형상 교정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힘 인가 수단(36,136)은, 작동면(B)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힘 인가 부재(62,140)가 설치되어 있는 캐리지(40)와, 상기 캐리지를 상기 수직한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수단(38,42,44,46,48)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형상 교정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탄성 수단(74)을 구비하며, 상기 인가된 힘은 상기 탄성 수단(74)을 통해서 상기 캐리지(40)의 미끄럼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형상 교정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힘 인가 부재(62,140)와 상호 협력하여, 상기 캐리지(40)를 작동하는 수단(38,42,44,46,48)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위치 센서(7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형상 교정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40)에 대한 상기 위치 센서(70)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조정 수단(7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형상 교정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힘 인가 수단(36)은, 작동면(B)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캐리지(40)와, 상기 캐리지(40)를 상기 수직한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수단(38,42,44,46,48)을 포함하며, 상기 캐리지(40)에는 힘 인가 부재(62)를 그것의 자유 단부에서 지지하는 아암(60)이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힘 인가 부재(62)는 Z축에 평행한 축(D)을 중심으로 아암(60)의 단부와 관절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형상 교정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힘 인가 부재(62)는 상기 판재(W)의 길이 방향 에지(2,4)와 맞물리는 베이스 벽(64)을 가진 V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형상 교정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수단(66,68)은 힘 인가 부재(62)의 베이스 벽(64)상에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 벽(64)이 상기 판재(W)의 길이 방향 에지(2,4)와 접촉하게 되는 때를 감지하면, 상기 캐리지(40)를 동작시키는 수단(38,42,44,46,48)으로의 전원 공급을 짧은 시간동안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형상 교정 장치.
  18. 프레스 브레이크에 의한 굽힘 가공 중에 길이가 길고 만곡된 판재(W)의 형상을 교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가되는 힘에 대항하여 상기 판재(W)를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 단계와; 상기 판재의 만곡 형상을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판재의 길이 방향 에지(2,4)의 적어도 일 부분(3,5)에 힘을 인가하는데, 상기 힘은 판재의 길이 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는 방향을 가지며, 또한 상기 힘은 상기 판재(W)의 수평면에 평행하고 상기 길이 방향 축을 통과하는 평면내에 있는 힘 인가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형상 교정 방법.
KR1019900015852A 1989-09-29 1990-09-29 판재 형상 교정 장치와 그것을 갖춘 프레스 브레이크 장치 및 판재 형상 교정 방법 KR01609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67834A/89 1989-09-29
IT8967834A IT1232449B (it) 1989-09-29 1989-09-29 Dispositivo manipolatore di pezzi di lamier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935A KR910005935A (ko) 1991-04-27
KR0160966B1 true KR0160966B1 (ko) 1999-01-15

Family

ID=11305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5852A KR0160966B1 (ko) 1989-09-29 1990-09-29 판재 형상 교정 장치와 그것을 갖춘 프레스 브레이크 장치 및 판재 형상 교정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117670A (ko)
JP (1) JP3178830B2 (ko)
KR (1) KR0160966B1 (ko)
AT (1) AT399303B (ko)
CH (1) CH681513A5 (ko)
DE (1) DE4030777A1 (ko)
FR (1) FR2652521B1 (ko)
GB (1) GB2236268B (ko)
IT (1) IT1232449B (ko)
SE (1) SE507464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6465A (en) * 1994-11-22 1996-12-24 Alcini; Raymond R. Press brake controller positioning system
US6269677B1 (en) 1999-12-28 2001-08-07 Abb T&D Technology Ltd. Press brake back gauge finger
EP3457863A4 (en) * 2016-05-19 2020-01-08 Decafino, Inc. Caffeine adsorbing material, caffeine adsorbing system, decaffeinat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for removing caffeine from solutions
CN106984673A (zh) * 2017-06-04 2017-07-28 长葛市汇达感光材料有限公司 一种感光材料横向矫正装置
US10882208B2 (en) 2018-11-13 2021-01-05 Shane Fiore Portable lumber adjust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115434A1 (ko) * 1974-09-20 1975-10-05
US3908435A (en) * 1974-12-02 1975-09-30 Dana Corp Edge bending press
FR2382957A1 (fr) * 1977-03-08 1978-10-06 Cit Alcatel Dispositif de securite pour presse plieuse
US4357821A (en) * 1980-08-11 1982-11-09 Fowler Joseph M Gauge and workpiece holder for a forming machine
JPS5850128A (ja) * 1981-09-19 1983-03-24 Mitsubishi Heavy Ind Ltd フレ−ムベンダの制御方法
JPS6023050Y2 (ja) * 1981-12-16 1985-07-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折り曲げ機
US4426873A (en) * 1982-04-16 1984-01-24 Canron Corporation Deflection compensating means for press brakes and the like
EP0115602A1 (de) * 1983-01-06 1984-08-15 Hämmerle AG Vorrichtung zum Manipulieren von Werkstücken
AT378701B (de) * 1983-10-04 1985-09-25 Haemmerle Ag Einrichtung zur handhabung von blechtafeln
DE3407445A1 (de) * 1984-02-29 1985-09-12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Positioniervorrichtung fuer automatisch bestueckbare biegepresse
DE3533235C2 (de) * 1985-09-18 1997-03-20 Trumpf Gmbh & Co Biegepresse
EP0250803A3 (de) * 1986-05-30 1989-04-12 Hämmerle AG Manipulator für in einer Blechbearbeitungsmaschine zu verformende Blechstücke
JP2504472B2 (ja) * 1987-07-01 1996-06-05 株式会社 アマダメトレックス 板材加工機のバックゲ−ジ装置
IT1219110B (it) * 1988-03-15 1990-05-03 Prima Ind Spa Dispositivo manipolatore di pezzi di lamiera per una pressa piegatrice e procedimento per la fabbricazione di pezzi profilati di lamiera mediante piegatura alla pressa
JPH0263610A (ja) * 1988-08-26 1990-03-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プレスブレーキ
US4986101A (en) * 1990-05-25 1991-01-22 Eaton Corporation Process and apparatus for reforming brake sho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H681513A5 (ko) 1993-04-15
GB2236268B (en) 1993-11-17
GB2236268A (en) 1991-04-03
FR2652521B1 (fr) 1995-03-17
IT8967834A0 (it) 1989-09-29
KR910005935A (ko) 1991-04-27
IT1232449B (it) 1992-02-17
GB9020922D0 (en) 1990-11-07
JP3178830B2 (ja) 2001-06-25
AT399303B (de) 1995-04-25
US5117670A (en) 1992-06-02
JPH03264120A (ja) 1991-11-25
DE4030777A1 (de) 1991-04-11
SE507464C2 (sv) 1998-06-08
ATA194790A (de) 1994-09-15
FR2652521A1 (fr) 1991-04-05
SE9003059L (sv) 1991-03-30
SE9003059D0 (sv) 1990-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0314A (en) Stapler with improved stapling precision
JP2617695B2 (ja) テーブル上での平らな加工物の横の合わせのための装置
EP0407443B1 (en) Bending apparatus
KR0160966B1 (ko) 판재 형상 교정 장치와 그것을 갖춘 프레스 브레이크 장치 및 판재 형상 교정 방법
JP2005096408A (ja) 折り曲げ形加工装置
KR930007659B1 (ko) 평판재의 위치 결정장치
US5794481A (en) Device for bending or curving hollow-section strips
JP2652822B2 (ja) 光ファイバーの整列方法および装置
US4714034A (en) Button feeding device for button attaching machines
EP1057579B1 (en) Device for butt laser welding of metal sheets (tailored blanks), having magnetic rollers for moving the sheets to the welding position and magnetically active clamps for clamping the sheets
EP0228551B1 (en) Workpiece advancing apparatus
JPH0133350B2 (ko)
KR0136598B1 (ko) 굽힘장치
KR100594338B1 (ko) 시트를 가공 기계의 진입부 안으로 위치 정렬 시키기 위한장치
US5112210A (en) Bending machine
JPH0768322A (ja) 中空枠縁に曲げ部分を形成する曲げ方法及び曲げ装置
CA1251030A (en) Device for assembling return bend to coil
CN216126478U (zh) 一种折弯机
EP1057580A1 (en) Device for butt laser welding of metal sheets (tailored blanks), having a locating template which is offset relative to the welding axis
US6283352B1 (en) Apparatus for a stepwise feeding of a strip-like workpiece
US4109554A (en) Feed guide attachment for band saw machines
JP4134890B2 (ja) シート材の切断方法および切断装置
JPH03180215A (ja) 折曲げ加工機
CN212525732U (zh) 一种智能数控折弯机
EP0679455A1 (en) Auxiliary machining device, particularly partial bending and shearing in a programmmable sheet bending bra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