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498B1 - 코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코넥터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498B1
KR0149498B1 KR1019900007861A KR900007861A KR0149498B1 KR 0149498 B1 KR0149498 B1 KR 0149498B1 KR 1019900007861 A KR1019900007861 A KR 1019900007861A KR 900007861 A KR900007861 A KR 900007861A KR 0149498 B1 KR0149498 B1 KR 0149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line
belt
shaped transmission
housing
flat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7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9297A (ko
Inventor
마사도 미야하라
히로노리 스즈끼
Original Assignee
도모마쓰 겐고
후루가와 덴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모마쓰 겐고, 후루가와 덴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도모마쓰 겐고
Publication of KR900019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9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01R35/025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having a flexible conductor wound around a rotation axi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고정부재에 부착된 고정하우징과, 회전부재에 부착되어, 고정하우징과 회전가능하게 조합되는 가동하우징에 의해 구획된 스페이스에, 고정부재와 회전부재의 사이를 전기적 또는 광적으로 접속하는 신축성을 갖는 벨트형상전송선을 나선형상으로 감아서 수용한 코넥터장치, 벨트형상전송선과 가동 하우징과의 사이, 또는 벨트형상전송선과 고정하우징과의 사이, 회전축을 따라 축방향의 클리어런스를 벨트형상전송선의 중간부가 벨트형상전송선의 최소한 한쪽의 단부보다 작게되도록 설정하는 것으로 인하여 벨트형상전송선과 양 하우징과의 충돌에 기인하는 불쾌한 진동음의 발생을 억제한다.

Description

코넥터 장치
제1도는, 종래의 코넥터 장치의 종단면 구성도.
제2도는, 종래의 다른 구성에 관한 코넥터장치의 종단면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관한 코넥터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사용하는 코넥터장치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 있어서 코넥터 장치의 단면평면도.
제5도는, 제3도에 있어서 코넥터 장치에 사용하는 플랫케이블의 사시도.
제6도는, 제3도에 있어서 코넥터 장치의 종단면구성도.
제7도는, 제3도에 있어서 코넥터 장치에 사용하는 다른 상태의 플랫케이블의 단면사시도.
제8도는, 제3도에 있어서 코넥터 장치에 사용하는 광전송선의 단면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관한 코넥터장치에 사용하는 플랫케이블의 주요부사시도.
제10도는, 제9도의 플랫케이블을 전개하여 전체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11도는, 코넥터장치와 플랫케이블과의 관계를 표시하는 주요부단면정면도.
제12도는, 제9도에 표시된 플랫케이블의 다른 형상을 표시하는 평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코넥터장치의 종단면구성도.
제14도는, 제13도의 코넥터장치에 부착하는 스페이서의 단면도.
제15도는, 스페이서의 다른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벨트형상전송선(플랫케이블) 10c : 감김단면
20a : 내측원통축부 20 : 가동하우징
30 : 고정하우징 31 : 외측원통부
본 발명은, 회전회수가 한정되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두 개의 부재사이를 접속하는 전송체의 코넥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정된 회전회수내에서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고정부재와의 사이에서 전기신호, 광신호 혹은 전력을 전송하는 전송체의 코넥터 장치로서는, 예컨대. 제1도에 표시하는 자동차의 스테어링 장치에 사용하는 코넥터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코넥터장치는, 고정하우징(1)과 가동하우징(2)을 서로 회전 가능하게 조합시켜서 내부에 링형상의 공간을 구획하고, 이 링형상의 공간에 신축가능한 플랫케이블(3)이 수용된다.
플랫케이블(3)은, 한쪽 끝이 고정하우징(1)의 외측원통부(外筒部)(1a)에, 다른쪽 끝이 회전축으로 되는 가동하우징(2)의 내측원통축부(2a)에 각각 고정됨과 아울러, 가동하우징(2)의 플랜지부(2b)내벽과의 사이에 소정의 클리어런스(C1)를 가지고 나선 형상으로 감겨져 수용된다.
이로 인하여, 양 하우징(1),(2)은, 플랫케이블(3)을 단단히 죄어 감거나, 느슨하게 감는데 따라서 복수회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코넥터장치에 있어서는, 플랫케이블(3)이 하우징(1),(2)내에 느슨하게 감겨서 수용 되어 있는 점에서, 플랫케이블(3)은, 내측원통축부(內筒軸部)(2a)에 대하여 반경방향 뿐 만 아니라, 클리어런스(C1)부분 만큼 내측원통축부(2a)에 따른 축방향으로도 움직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차량의 주행에 수반하여, 양 하우징(1),(2)내에 수용된 플랫케이블(3)이 진동하며, 이 진동에 따른 내벽과의 충돌에 의하여 소위 박동음(bouncing noise)으로 불리는 충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한 클리어런스(C1)가 클수록, 플랫케이블(3)이 내벽에 충돌하는 속도가 크므로, 클리어런스(C1)를 크게 설정하면, 이 불쾌한 박동음도 크게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예컨대, 제2도에 표시하는 전기적 접속장치와 같이, 가동체(5)와 고정체(6)로 이루어지는 상대회전이 가능한 하우징내에 플랫케이블(7)을 수용하고, 이 플랫케이블(7)을 가동체(5) 혹은 고정체(6)의 어느 한쪽으로 누르는 돌기부(8a)를 보유하는 탄성체(8)를 배치한 코넥터 장치가 제안되어있다(실개소 62-124785, USP 4, 744, 763).
상기한 전기적 접속장치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불쾌한 박동음의 발생은 억제된다.
그런데, 대량으로 제조된 모든 제품이 어떠한 운전 상황하에서도, 플랫케이블(7)을 가동체(5)나 고정체(6)에 적당한 압력으로 누르게되는 높은 치수 정밀도를 설정하는 것은, 제조 비용을 고려할 때 경제적으로 매우 곤란하다.
따라서, 충분한 치수정밀도를 얻을 수 없게 되고, 탄성체(8)가 플랫케이블(7)에 과대한 압력을 부여했을 때에는, 단단히 감거나, 느슨하게 감는작동이 저해되고, 가동체(5)나 고정체(6)로 고정시키는 끝부분에서 플랫케이블(7)의 반전현상이 발생하며, 플랫케이블내의 도체의 단선 혹은 조작회전 토오크의 상승 등의 중대한 고장이 발생한다 (SAE Paper 89201).
본 발명의 목적은, 저렴한 수단에 의하여 플랫케이블(帶狀전송선)의 진동에 의한 불쾌한 박동음의 발생을 억제한 코넥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떠한 운전상황하에서도, 플랫케이블의 감김 및 풀림작동이 원활하게 실시되는 코넥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나선형상으로 감겨있고, 신축성의 벨트형상(帶狀) 전송선과, 상기한 벨트형상전송선의 한 끝이 고정되고, 회전축으로 된 내측원통축부를 보유하는 가동하우징과 상기한 전송선의 다른쪽 끝이 고정되는 외측원통부를 보유하는 고정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한 가동하우징과 고정하우징은, 상기한 벨트형상전송선을 수용하여, 서로 회전 가능하게 조합되며, 상기한 전송선은 단단히 감거나, 느슨하게 감는 것에 의하여 복수회(複數回)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한 코넥터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벨트형상전송선과 상기한 가동하우징과의 사이, 또는 상기한 벨트형상전송선과 상기한 고정하우징과의 사이, 상기한 회전축을 따라 축방향의 클리어런스를, 상기한 벨트형상전송선의 중간부가, 상기한 벨트형상전송선의 최소한 한쪽의 끝 부분보다 작게 되도록 설정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가동하우징 및 고정하우징 각각은, 상기한 벨트형상전송선의 감김(winding)단면의 하나에 대향하는 내면을 보유하고, 이들 내면의 최소한 한쪽에, 상기한 벨트형상전송선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면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벨트형상전송선은, 중간부의 폭이 최소한 한쪽의 단부의 폭보다도 넓게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가동하우징 및 고정하우징 각각은, 상기한 벨트형상전송선이 감김단면의 하나에 대향하는 내면을 보유하고, 이들 내면의 최소한 한쪽에, 스페이서가 부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된다.
종래에, 상기한 벨트형상전송선과 상기한 양쪽하우징과의 사이의 회전축방향의 클리어런스의 크기는, 벨트형상전송선의 폭방향의 치수정도(精度), 양쪽 하우징에 의하여 형성되는 링형상 공간이 대응하는 폭방향의 치수정도, 그리고 벨트형상전송선의 하우징에서 고정부의 치수정도나 부착각도의 정도를 고려하여, 경제적인 방법으로 대량 제조하여도, 그 제조오차로부터 벨트형상전송선의 자유로운 동작을 저해하지 않는 크기, 바람직하게는 0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벨트형상전송선의 하우징 고정부에서 일정거리(보통, 원호의 1/4원주정도)이상의 곳은, 벨트형상전송선이 신축성이어서 휘어지므로 하우징의 고정부 치수오차 및 부착각도 오차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 때문에, 벨트형상전송선의 하우징 고정부근처를 제외한 중간부에 있어서는, 상기한 클리어런스를, 벨트형상전송선의 폭방향 치수정도와 양쪽 하우징에 의하여 형성되는 링형상 공간의 폭방향 치수정도만을 고려한 클리어런스까지 작게 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의 기본구상이다.
이와 같이 하면, 벨트형상전송선의 고정부 근처에 있어서 클리어런스만이 종래와 동일하며, 그 이외부분인 중간부에 있어서 클리어런스를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벨트형상전송선의 폭방향에 위치하는 하우징 내벽으로 충돌속도가 큰 부분에서 대폭 작게되고, 박동음의 발생이 대폭 억제된다.
벨트형상전송선으로서는, 전기도체를 절연성소재로 피복한 전도선, 광파이버를 혼입한 광전송선 혹은 전기도체 및 광파이버를 일체로 혼입한 전송선 등을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본 발명의 상술한 내용 및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한층 명확하게 될 것이다.
아래에, 본 발명을 차량의 스테어링 장치용의 코넥트장치에 적용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고, 코넥터 장치는,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하듯이, 플랫케이블(10), 플랫케이블(10)의 한쪽 끝을 고정시키는 내측원통축부(20a)를 구비한 가동하우징(20), 상기한 플랫케이블(10)의 반대 측을 고정시키는 외측원통부(31)와 베이스플레이트(32)로 이루어지는 고정하우징(30)을 구비하고 있다.
플랫케이블(10)은, 전기신호, 전력 혹은 광신호를 전송하는 폭방향의 단면이 평평한 전송선으로, 예컨데, 제5도에 표시하듯이,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직사각도체(10a)를, 절연소성소재, 예컨대, 폴리에스테르필름(10b)으로 피복한 신축성있는 벨트형상전송선이다.
플랫케이블(10)의 양 끝에는, 제3도에 표시하듯이 복수의 전선(11a), (12a)을 설치한 몰드부(11), (12)에 의하여 외부접속단자에 접속된다.
그리고, 이 케이블(10)은,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하듯이 나선형상으로 느슨하게 감기며, 양하우징(20), (30)에 의하여 구획되는 링형상의 스페이스내에 수용된다(제4도 및 제6도 참조).
여기에 있어서, 플랫케이블은, 제7도에 표시하는 플랫케이블(13)과 같이, 평행으로 배치한 원형단면의 복수 도체(13a)를 절연성소재(13b)로 피복된 전도선이나, 제8도에 표시하듯이, 광신호를 전송하는 복수개의 광파이버(14a)를 피복제(14b)내로 혼입한 테이프파이버형상의 광전송선이어도 좋다.
또, 플랫케이블은, 도체와 광파이버를 절연성소재로 피복한 전도선과 광전송선을 조합한 것이라도 좋다.
가동하우징(20)은, 제3도에 표시하듯이, 양 하우징(20), (30)의 회전축으로 이루어진 내측원통축부(20a)와, 내측원통축부(20a)의 상단에서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뻗어있는 플랜지부(20b)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가동하우징(20)은, 내측원통축부(20a)에 스티어링샤프트(미도시)를 축방향으로 끼워넣고, 이 스티어링샤프트예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플랜지부(20b)에는, 몰드부(11)를 수용하여, 외부와 접속 가능하게 한 상자형상의 접속부(20c)가 형성되어 있다.
또, 플랫케이블(10)의 감김단면(10c)에 대향하는 플랜지부(20b)의 하면에는, 제6도에 표시하듯이, 플랫케이블(10)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면(20d)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면(20d)은, 내주측과 외주측이 낮고 플랫케이블(10)의 중간부측으로 대향하는 면이 감김단면(10c)과 평행하게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플랜지부(20b)의 하면과 감김단면(10c)과의 사이의 회전축으로 이루어지는 내측원통축부(20a)를 따라서 축방향의 클리어런수가 플랫케이블(10)의 중간부에 있어서, 양쪽하우징(20), (30)에 고정되는 양측 끝부보다 작게된다.
더욱이, 가동하우징(20)은 플랜지부(20b)의 외주상면 및 내측원통축부(20a)의 하단 외주에 각각 단부(段部)(20e), (20f)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하우징(30)은, 제3도 및 제6도에 표시하듯이, 외측원통부(31)와 베이스플레이트(32)로 구성되며, 도시하지 않은 차체측의 고정부재에 부착된다.
외측원통부(31)는, 제3도에 표시하듯이, 가동하우징(20)의 플랜지부(20b)의 외경보다 약간 큰 원통형상부재로서, 상단에는, 제6도에 표시하듯이, 반경방향 안쪽으로 튀어나온 플랜지부(31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31a)는, 하우징(20), (30)을 조합했을 때에, 플랜지부(20b)에 형성된 단부(段部)(20e)와 헐겁게 끼워진다.
또, 외측원통부(31)에는, 벽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접속부(31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속부(31c)는, 플랫케이블(10)의 타단측을 슬릿(31b)(제4도참조)에서 내부로 인입시켜, 소정의 리이드선(비도시)에 접속하는 것으로서, 이 접속부(31c)내에 플랫케이블(10) 타단의 몰드부(12)가 수용된다.
베이스플래이트(32)는, 외측원통부(31)와 외경이 동일하며, 중앙에는, 내측원통축부(20a)의 단부(20f)와 끼우는 개구(32a)가 형성되어 있다.
또, 베이스플레이트(32)는, 외측원통부(31)의 접속부(31c)에 대응하는 위치에, 몰드부(12)의 하부를 수용함과 아울러, 외부접속단자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원통(32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각 부재를, 제3도에 표시하듯이, 베이스플래이트(32), 플랫케이블(10), 가동하우징(20), 고정하우징(30)의 순으로 축방향을 따라서 조립하고, 플랫케이블(10)의 한 끝을, 내측원통축부(20a)에 엔드서포트(40)(제4도참조)와 함께 부착하여 고정시키고, 한쪽의 몰드부(11)를 접속부(20c)에. 다른쪽의 몰드부(12)를 접속부(31c) 및 접속원통(32b)에 수용하여, 코넥터장치가 조립된다.
본 실시예의 코넥터장치는, 이상과 같이, 가동하우징(20)의 플랜지부(20b)하면에 돌출면(20d)이 형성되고, 플랫케이블(10)의 중간부에 있어서, 플랜지부(20b)와의 사이의 축방향의 클리어런스가, 플랫케이블(10)을 양쪽하우징(20), (30)에 고정시키는 양단측보다 작다.
이 때문에, 차량의 주행에 수반되는 플랫케이블(10)의 진동이 억제되며, 불쾌한 박동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가령 발생하였다 해도, 느끼지 못할 정도의 작은음으로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플랫케이블을 변형하므로서, 하우징(20), (30)사이의 축방향의 클리어런스를 작게한 본발명 코텍터장치의 제2실시예를, 제9도 내지 제12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 있어서, 코넥터장치는, 플랜지부(20b)의 하면에 돌출면(20d)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양 하우징(20), (30)은 대략 마찬가지고 구성되어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플랫케이블(50)은, 제9도에 표시하듯이,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직사각도체(50a)가 폴리에스테르필름(50b)으로 피복되어 있고, 제10도에 표시하듯이, 양단부(50c), (50d)의 폭이 중간부(50e)보다도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플랫케이블(50)은, 제9도에 표시하듯이, 폭방향 양쪽의 여유(M2)가, 플랫케이블(10)의 여유(M1)(제5도참조)보다도 크게 되도록 넓은 폭으로 형성하고, 몰드부(51), (52)를 형성한 양 단부(50c),(50d)(제10도참조)를, 도면중에 파단선으로 표시하듯이 폭방향에 단상(段狀)으로 절제하여, 중간부(50e)를 폭 넓게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플랫케이블(50)은 제11도에 표시하듯이, 플랫케이블(20b)하면과의 사이의 축방향 클리어런스가, 양단부(50c), (50d)보다도 작게된다.
이것에 의하여, 차량의 주행에 수반하는 플랫케이블(50)의 진동이 억제되고, 불쾌한 박동음이 저감된다.
또, 플랫케이블(50)은, 하우징(20), (30)에 고정되는 양단부(50c), (50d)를 단상으로 절제하였지만, 제12도에 표시하듯이, 양단부(50c), (50d)를 중간부(50e)에 대하여 비스듬히 경사시켜, 그 폭이 양단에 향하여 점차로 좁게 되도록 형성하여도 좋다.
여기서, 코넥터장치는, 플랫케이블의 단단하게 감는것과 느슨하게 감는 것이 원활하게 실시되면, 상기한 제1 및 제2의 실시예를 조합하여, 하우징(20), (30)의 최소한 한쪽의 내면에 돌출면은 형성함과 아울러, 플랫케이블의 중간부 폭을, 하우징(20), (30)에 고정되는 양단부 폭보다도 넓은 폭으로 형성한 구성이라도, 마찬기지로, 불쾌한 박동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하우징(20)에 스페이서를 부착함에 의하여, 플랫케이블과 하우징(20), (30)과의 사이의 축방향 클리어런스를 작게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제13도 내지 15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코넥터장치는, 플랜지부(20b)의 하면에 돌출면(20d)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양 하우징(20), (30)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부재에는 도면의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코넥터장치는, 가동하우징(20)의 내면, 즉 플랫케이블(10)의 감김단면(10c)에 대향하는 플랜지부(20b)의 하면에, 링형상의 스페이서(60)를 부착한 것이다.
이 스페이서(60)는, 반경방향으로 절단된 단면형상이, 제14도에, 표시하듯이 사다리꼴형상으로, 나일론 등의 연질소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스페이서(60)를 가동하우징(20)의 플랜지부(20b)하면에 부착함에 의하여, 플랫케이블(10)의 중간부에 있어서, 가동하우징(20)의 플랜지부(20b)하면과의 사이의 축방향 클리어런스가, 플랫케이블(10)의 양단측보다도 작게됨과 아울러, 연질소재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60)에 의하여 차량의 주행에 수반하는 플랫케이블(10)의 진동이 완충된다.
이러한 플랫케이블(10)의 중간부에 있어서 클리어런스의 감소와, 스페이서(60)에 의한 플랫케이블(10)의 진동 완충에 의하여, 발생하는 불쾌한 박동음이 감소된다.
게다가, 스페이서(60)에 의하여 불쾌한 박동음이 차단되어, 코넥터장치의 외부로 나오지 않으므로, 한층 불쾌한 박동음이 저감된다.
제15도에 표시하는 스페이서(61)와 같이, 링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반경방향의 단면형상에 있어서, 폭방향 중앙부가 플랫케이블(10)의 감김단면(10c)으로 향하여 팽창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더욱이, 플랫케이블은, 복수의 분할편(片)으로 하며, 이들을 원주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어서 부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동하우징(20)의 플랜지부(20b)에 돌출면(20d)을 형성하거나, 스페이서(60)를 부착하므로서, 플랫케이블의 중간부와 양 하우징(20), (30)과의 사이의 축방향 클리어런스를 작게 하였다.
그런데, 예컨데,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하우징측, 즉 베이스플레이트(32)위에, 플랫케이블(10)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면을 형성하거나, 스페이서(60)를 베이스플레이트(32)의 윗면에 부착함에 의하여, 클리어런스를 작게하여도 좋다.

Claims (7)

  1. 나선형상으로 감겨고, 신축성을 보유하는 벨트형상전송선(帶狀佺送線)(10)과 상기한  트형상전송선의 한쪽 끝이 고정되며, 회전축으로 되는 내측원통축부(20a)를 보유하는 가동 하우징(20)과, 상기한 전송선의 다른쪽 끝이 고정되는 외측원통부(31)를 보유하는 고정하우징(30)을 구비하고, 상기한 가동하우징(20)과 고정하우징(30)은, 상기한 벨트형상전송선(10)을 수용하여, 서로 회전 가능하게 조합되고, 상기한 전송선을 단단히 감김과 느슨한 감김에 의하여 복수회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한 코넥터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벨트형상전송선(10)과 상기한 가동하우징(20)의 사이, 또는 상기한 벨트형상전송선(10)과 상기한 고정하우징(30)의 사이의, 상기한 회전축을 따라 축방향의 클리어런서를, 상기한 벨트형상전송선의 중간부가, 상기한 벨트형상전송선의 최소한 한쪽의 단부보다도 작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동하우징(20) 및 고정하우징(30) 각각은, 상기한 벨트형상전송선의 감김단면(10c)의 하나에 대향하는 내면을 보유하고, 이들 내면의 최소한 한쪽에, 상기한 벨트형상전송선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벨트형상전송선은, 중간부의 폭이 최소한 한쪽단부의 폭보다도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동하우징(20) 및 고정하우징(30) 각각은, 상기한 벨트형상전송선의 감김단면의 하나에 대향하는 내면을 보유하고, 이들 내면의 최소한 한쪽에, 스페이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한 벨트형상전송선은, 전기 신호 혹은 전력을 전송하는 전도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벨트형상전송선은, 광(광)신호를 전송하는 광전송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벨트형상전송선은, 전기신호 혹은 전력을 전송하는 전도선과 광신호를 전송하는 광전송선을 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장치.
KR1019900007861A 1989-05-31 1990-05-30 코넥터 장치 KR01494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37826A JP2507808B2 (ja) 1989-05-31 1989-05-31 コネクタ装置
JP1-137826 1989-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9297A KR900019297A (ko) 1990-12-24
KR0149498B1 true KR0149498B1 (ko) 1998-10-15

Family

ID=15207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7861A KR0149498B1 (ko) 1989-05-31 1990-05-30 코넥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256075A (ko)
EP (1) EP0401028B1 (ko)
JP (1) JP2507808B2 (ko)
KR (1) KR0149498B1 (ko)
CA (1) CA2017712C (ko)
DE (1) DE6901959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112333T2 (de) * 1990-10-16 1996-03-28 Sharp Kk Trommelwaschmaschine/-trockner.
JPH0711426Y2 (ja) * 1990-10-24 1995-03-1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のエンドサポート取付構造
JP2576602Y2 (ja) * 1991-06-28 1998-07-1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ブラシレス電気信号装置
CA2101040C (en) 1992-07-30 1998-08-04 Minori Takagi Video tape recorder with a monitor-equipped built-in camera
DE4233914A1 (de) * 1992-10-08 1994-04-14 Kabelmetal Electro Gmbh Vorrichtung zur Signalübertragung zwischen zwei Endstellen
DE4235055C2 (de) * 1992-10-17 1996-04-04 Daimler Benz Ag Gehäuse zur Aufnahme einer Kontaktspirale
US5495996A (en) * 1993-06-14 1996-03-05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Cable Reel
JPH076841A (ja) * 1993-06-18 1995-01-10 Sumitomo Electric Ind Ltd 電気信号伝達装置
JP2913244B2 (ja) * 1993-06-30 1999-06-2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ケーブルリール
US5460535A (en) * 1994-02-14 1995-10-24 Methode Electronics, Inc. Two-piece clockspring with lock and wire harness assembly
KR0140588B1 (ko) * 1994-03-09 1998-07-01 가다오까 마사다까 회전콘넥터
US5487667A (en) * 1994-03-11 1996-01-30 Methode Electronics, Inc. Automobile clockspring with vibration dampener
US5490793A (en) * 1994-03-11 1996-02-13 Methode Electronics, Inc. Automobile clockspring with vibration dampener
DE4422305C2 (de) * 1994-06-17 1996-06-20 Kostal Leopold Gmbh & Co Kg Elektrische Einrichtung
US5674082A (en) * 1995-02-21 1997-10-07 Niles Parts Co., Ltd. Rotary connector device
JPH08306458A (ja) * 1995-05-02 1996-11-22 Yazaki Corp 回転体と固定体との間の電気的接続装置
FR2734090B1 (fr) * 1995-05-09 1997-08-01 Magneti Marelli France Contacteur electrique tournant perfectionne a bruit de fonctionnement reduit
JP3112419B2 (ja) * 1996-06-06 2000-11-27 矢崎総業株式会社 相対回転部材間継電装置
JPH1022026A (ja) * 1996-06-28 1998-01-23 Yazaki Corp 相対回転部材間継電装置
DE19926278C1 (de) * 1999-06-09 2001-02-15 Kostal Leopold Gmbh & Co Kg Vorrichtung zum Übertragen von Energie
DE60043488D1 (de) * 1999-10-13 2010-01-21 Thomson Multimedia Sa Kabeltrommel und mit einer solchen Kabeltrommel ausgestattete Vorrichtung zum Übertragen mittels elektromagnetischer Wellen
DE19960205A1 (de) * 1999-12-14 2001-06-28 Alcatel Sa Vorrichtung zur Signalübertragung zwischen zwei Endstellen
US7619682B2 (en) * 2004-01-23 2009-11-17 Sony Corporation Turning hinge mechanism and image pick up device
US6948706B1 (en) 2004-05-13 2005-09-27 Methode Electronics, Inc. Clockspring with integral strain relief
US20050284689A1 (en) * 2004-06-23 2005-12-29 Michael Simpson Clockspring with sound dampener
JP2006120512A (ja) 2004-10-22 2006-05-11 Alps Electric Co Ltd 回転コネクタ
JP5224404B2 (ja) * 2010-03-30 2013-07-0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7259602B2 (ja) 2019-07-08 2023-04-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ワイヤーハーネス配索装置
CN112186526B (zh) * 2020-09-23 2022-09-16 华翔翔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监测高压开关柜
CN215732537U (zh) * 2021-07-23 2022-02-01 东莞市承越电子科技有限公司 单向随意拉数据线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423016D0 (en) * 1984-09-12 1984-10-17 Mcgeoch & Co Birmingham Ltd Wi Coupling device
JPS62124785A (ja) * 1985-11-25 1987-06-06 Mitsubishi Electric Corp レ−ザ装置
US4744763A (en) * 1986-04-15 1988-05-17 Furukawa Electric Co., Ltd. Connector device for a transmission line connecting two relatively rotating members
DE3641706A1 (de) * 1986-12-06 1988-06-16 Kabelmetal Electro Gmbh Vorrichtung zur stromuebertragung zwischen zwei relativ zueinander bewegbaren kontaktstellen
GB8725475D0 (en) * 1987-10-30 1987-12-02 Amp Holland Modular jack
JPH0636040Y2 (ja) * 1988-03-31 1994-09-2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ケーブル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9297A (ko) 1990-12-24
JPH034474A (ja) 1991-01-10
EP0401028A2 (en) 1990-12-05
DE69019595T2 (de) 1995-09-28
US5256075A (en) 1993-10-26
CA2017712C (en) 2000-03-14
JP2507808B2 (ja) 1996-06-19
CA2017712A1 (en) 1990-11-30
EP0401028B1 (en) 1995-05-24
DE69019595D1 (de) 1995-06-29
EP0401028A3 (en) 1992-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9498B1 (ko) 코넥터 장치
US5310356A (en) Transmission device used between two relatively rotatable components
EP0243047B1 (en) Connector device for a transmission line connecting two relatively rotating members
JP3676146B2 (ja) 回転コネクタ
EP1637403A1 (en) Rotary connector
EP0701927B1 (en) Arrangemen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rotating current contact to a stationary current source
US5882216A (en) Rotary connector
US5229544A (en) Rotary connector
GB2282014A (en) Cable connector
KR100454401B1 (ko) 회전커넥터
JP4004692B2 (ja) 回転コネクタ
KR100419490B1 (ko) 2개의터미널사이의신호전송장치
JPH0711426Y2 (ja) 回転コネクタのエンドサポート取付構造
JP3282862B2 (ja) 回転コネクタ
JPH0220791Y2 (ko)
JPH0644052Y2 (ja) ブラシレス電気信号伝達装置
JP3374113B2 (ja) 回転体と固定体間の伝送装置
JPH07169544A (ja) ケーブルリール
JP2702626B2 (ja) ケーブルリール
JP2999604B2 (ja) ケーブルリール
JPH10164745A (ja) スパイラルケーブル装置
JPH11273821A (ja) 回転接続装置
JP2628837B2 (ja) 回転体と固定体間の伝送装置
JPH07226275A (ja) ケーブルリール
JPH07177639A (ja) ケーブル用リ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