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967B1 - 자동거래장치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거래장치 감시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967B1
KR0140967B1 KR1019930024083A KR930024083A KR0140967B1 KR 0140967 B1 KR0140967 B1 KR 0140967B1 KR 1019930024083 A KR1019930024083 A KR 1019930024083A KR 930024083 A KR930024083 A KR 930024083A KR 0140967 B1 KR0140967 B1 KR 0140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information
automatic transaction
automatic
coll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4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0244A (ko
Inventor
겐지로우 아이시마
이찌로 요꼬야마
신이찌 스또
Original Assignee
고스기 노부미쓰
오끼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스기 노부미쓰, 오끼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고스기 노부미쓰
Priority to TW82109750A priority Critical patent/TW239201B/zh
Publication of KR940020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0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9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자동거래장치의 지폐의 보급 또는 회수를 자동적으로 하고, 자동거래장치의 가동율과 자금운용효율의 향상 및 금융기관의 고객서비스의 향상을 도모한다.
예비용 일괄 수납고(17)를 수납하는 집중금고(22)를 설치하고, 이 예비용 일괄 수납고(17)과 자동거래장치(1)내의 일괄 수납고(16)와를 자동적으로 교환하는 리프터(25)를 설치한다.
자동거래장치(1)의 운용상태 및 지폐잔량상태는 감시 장치(13) 또는 점내 감시 단말(21)에서 감시하고 있고 교환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에 자동거래장치(1)의 일괄 수납고(16)는 집중금고(22)내의 예비용 일괄 수납고(17)와 교환된다.

Description

자동거래장치 감시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자동거래장치 감시 시스템을 표시하는 개략 구성도.
제2도는 실시예의 자동거래장치 감시 시스템을 표시하는 시스템 블록도.
제3도는 실시예의 집중금고를 표시하는 외관도.
제4도는 집중금고의 기구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5도는 실시예의 수수유닛을 표시하는 사시도.
제6도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동거래장치를 표시하는 외관도.
제7도는 자동거래장치를 나타내는 외관도.
제8도는 자동거래장치를 표시하는 외관도.
제9도는 자동거래장치를 표시하는 개략 블록도.
제10도는 지폐입출금기를 표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자동거래장치13:감시장치
20:개인 식별용 장치21:점내 감시 단말
22:집중 금고23:집중금고 주 제어부
24:카세트 수납부25:리프터
26:점내감시 단말 제어부
본 발명은 은행 등의 금융기관 등에 설치되고, 다양한 종류의 현금을 일괄수납하고, 장치 본체에 대해서 착탈가능한 일괄수납고를 가지며, 입금, 출금, 기장, 잔액조회, 불입, 대체 등의 창구업무를 고객과 대화형식으로 자동처리하는 자동거래장치와 복수대의 자동거래장치의 운용상태 및 매체(지폐) 잔량상태를 감시하는 자동거래장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거래장치는 금융기관 등에 있어서, 입금, 출금, 기장, 잔액조회, 불입, 대체 등의 창구업무를 고객과 대화 형식으로 자동처리하는 것이다. 내부는 취급하는 매체 및 역할에 의하여 유닛으로 구분되고, 주 제어부에 의하여 시스템적으로 제어된다. 일예로서, 어떤 자동거래장치의 전면측에서 본 경우의 외관도를 제7도에 표시하고, 제8도에 후면에서 본 경우의 외관도를 나타낸다.
양 도면에 있어서, 1은 자동거래장치본체이며, 카드 리더 프린터(4), 지폐 입출금기(5), 경화 입출금기(6) 및 통장 기장기(7)의 각 유닛을 실장하고, 고객 조작 표시부(8)와 내부 조작부(9)를 갖는다.
제9도는 자동거래장치(1)의 개략 블록도이다. 동도에 있어서 10은 주 제어부이고, 거래의 진행관리 및 상위 시스템의 호스트 컴퓨터 및 단말로 송신하는 데이터의 생성 및 자동거래장치(1)에 실장되는 각 유닛의 제어 등 자동거래장치(1) 전체의 중추이다. 카드 리드 프린터(4)는, 카드형상의 자기기록매체의 자기 정보기록부 데이터의 판독 및 기입 및 명세표에 대해서 거래내용의 인자를 행한다.
지폐 입출금기(5)는, 입금 지폐의 감별, 계수 및 출금지정 매수의 지폐를 계수하고 출금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에서, 지폐 입출금기(5)에 대해서 제10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10도는, 지폐 입출금기(5)를 표시하는 개략 측면도이다.
지폐 입출금기(5)에는, 신속하게 지폐를 출금하기 위하여 금전의 종류마다 나누어진 금전의 종류별 카세트(15a∼15c)가 준비되고, 거래에 사용되는 지폐는 상기 금전의 종류별 카세트(15a∼15c)에 수납된다. 또, 상기 종류별 카세트(15a∼15c)에 대해서 지폐를 장전 및 회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일괄 수납고(16)가 준비되어 있다. 일괄 수납고(16)는, 금전의 종류에 구별없이 정리하여 지폐를 셋트하고, 지폐 입출금기(5)에 장착하면 자동적으로 각 종류별 카세트(15a∼15c)로 금전의 종류를 구별하여 장전한다. 이때에 지폐매수도 계수하기 위하여 지폐 입출금기(5)에 장전된 지폐 매수를 파악할 수 있다. 또, 어느 하나의 종류별 카세트(15a∼15c)가, 더 이상 수납할 수 없을 정도를 지폐가 있는 상태가 되면, 그 종류별 카세트에서 일괄 수납고(16)로 잉여분의 지폐를 회수한다. 이때에 그 지폐 매수를 계수하기 위하여 지폐 입출금기(5)에서 꺼낸 지폐 매수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괄 수납고(16)는 지폐를 하나의 카세트로 취급하는 동시에, 지폐의 출입을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거래장치(1)에 있어서의 지폐의 재고를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지폐 입출금기(5)에는, 종류별 카세트(15a∼15c)에 대해서 지폐를 풀어내고, 장전을 하는 기구부(5a), 감별부(5b), 접객 드럼(5c), 지폐 수송로(5d) 및 리젝트 수납고(5e)가 설치되어 있다.
제9도에 있어서, 6은 경화 입출금기이고, 입금 경화의 감별, 계수 및 지정 매수의 경화를 계수하고 출금하는 기능을 갖는다. 7은 통장기장기이고, 통장으로의 거래내용의 인자 및 통장의 자기 정보기록부로의 데이터의 판독과 기입을 행한다. 또 내용이 열린 페이지에 다 기록할 수 없게 된 경우 등에 자동적으로 페이지를 넘기는 오토턴 페이지기구를 갖는다.
8은 고객조작 표시부이고, 고객이 비밀번호입력 및 금액 입력 등 각종의 조작을 하는 부분이고, 입력키나 유도문헌을 표시하는 CRT(2)(제7도) 및 CRT(2) 상부에 배치되고, 표시화면에 대해서 고객이 어디를 눌렀는가를 검지하는 터치패널(3)(제7도) 등으로 구성된다.
9는 내부조작부이고, 은행원 및 보수원을 대상으로 한 각종 조작, 예를 들면 자동인출장치(1)의 운용상황 및 실행중의 거래내용, 장해발생시의 상황 등의 각종 정보의 표시 및 전원의 ON/OFF 및 리셋트지시, 보수동작의 실행 지시 등의 동작지시를 한다. 내부 조작부(9)는, 제8도에 표시와 같이 장치 도어(door)에 실장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내부조작부 도어에 의하여 덮혀져 있다.
11은 감시계 인터페이스부이고, 자동거래장치(1)의 운용 상태 및 지폐 잔량상태 등의 정보를 상위에 통지한다거나, 상위에서 통지받은 동작지시를 접수하는 데이터 출입구이다. 감시계 인터페이스부(11)의 상위는, 금융기관 등이 보유하는 감시 장치(13)이고, 일반으로 감시 센터라고 불려지는 거점을 설치하여, 그 거점에 복수대 설치된다. 감시 장치(13)와 영업점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거래장치(1)는 공중 회선 및 전용선을 통해서 접속된다.
12는 계정계 인터페이스부이고, 거래를 하는데에 필요한 고객정보나 현금의 입출 등의 거래정보의 수수를 상위와 행하는 데이터 입출력구이다. 계정계 인터페이스부(12)의 상위는 금융기관 등이 보유하는 계정계 호스트 컴퓨터(14)이고, 관할하는 광범위한 에리어의 영업점에 설치되는 복수의 자동거래장치(1)의 거래정보의 수집을 통괄하여 행하고 있다. 계정계 호스트 컴퓨터(14)와 영업점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거래장치(1)와는 공중회선 및 전용선 등을 통해서 접속된다.
자동거래장치 감시 시스템은, 자동거래장치(1)에, 상기 감시계 인터페이스부(11)에 접속되어, 감시 장치(13)에 있어서 금융기관의 각 영업점에 설치된 복수대의 자동거래장치(1)의 운용상황을 통괄하여 감시하는 시스템이고, 예를 들면, 지폐, 경화, 영수증, 통장, 저어널(journal) 등의 취급매체의 유무, 장해 발생종별 및 발생일시, 장해 발생된 거래종별 및 그 고객 정보 등 계정계 시스템으로 관리할 수 없는 내용을 정보로서 취득한다. 이 자동거래장치 감시 시스템은, 특히 행원이 영업점에 있지 않는 폐점후나 휴일 등에, 원격지에 있어서 자동거래장치(1)의 운용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고, 장해나 매체 절단 등이 발생한 경우에, 그 상황을 보아 경비회사나 메이커서비스에 연락할 수 있다. 감시 장치(13)에서 수집 및 표시하는 정보는,
1. 장해발생정보. 장해발생의 연 월 일 시 분으로 내용을 표시하는 에러코드의 표시 및 운용상태 정보.
2. 장해 발생후. 그 상태가 정상으로 복구한 연 월 일 시 분과 운용상태 정보.
3. 지폐, 경화, 명세표, 저어널, 통장, 불입카드 등 자동거래장치(1)가 취급하는 매체의 엔드 혹은 니어엔드 통지.
4. 지폐, 경화, 명세표, 저어널, 통장, 불입카드 등 자동거래장치(1)가 취급하는 매체의 풀 혹은 니어풀 통지.
5. 거래의 취급상황을 표시한다. 장해발생 혹은 운용에 맞추어, 자동거래장치(1)의 취급거래를 제한한 경우, 제한하고 있는 거래를 표시한다.
6. 전원 투입 상태(ON/OFF의 상태)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엔드는 각각의 매체수납부에 매체가 없어진 것을 의미하고, 니어엔드는 사전에 자동거래장치(1)에서 정한 잔량에 달한때에 통지하고, 매체가 곧 종료하는 것을 표시하는 것이다. 또, 풀은 각각의 매체 수납부에 있어서 그 수납량에 달한 것을 의미하고, 니어풀은 사전에 자동거래장치(1)에서 정해진 수납량에 달한때에 통지하고, 매체가 곧 수납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들의 정보는, 감시 장치(13)측에서 자동거래장치(1)에 대해서 정기적으로 정보를 요구한다거나, 혹은 자동거래장치(1)에서 점내 감시 단말 및 감시 장치(13)에 사상발생 등을 트리거에 적극적으로 통지함으로서 수수가 행해진다.
또, 점내 감시 단말 및 감시 장치(13)에서 자동거래장치(1)에 대해서 리세트 및 전원의 ON/OFF 및 거래제한의 지시 등 운용에 관계되는 동작지시를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자동거래장치 감시 시스템에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문제점이 해결되어 있지 않았다.
첫째로, 종래의 자동거래장치에 있어서, 매체의 보급 및 회수는 간이화되었지만, 그 작업은 매체 단절 혹은 매체과다가 발생한 장치의 설치장소에서 행하여야 한다. 그리고 매체의 보급 및 회수작업은 금융기관의 담당자나 경비 회사 혹은 메이커 서비스의 담당자의 사람의 손에 의지하고 있는 것이 현상이다. 특히 금융기관의 휴일에 자동거래장치를 운용하는 것이 일반화된 현재, 자동거래장치의 장해 발생시의 대응과 함께 매체의 보급 및 회수작업을 경비 회사 혹은 메이커 서비스에 위탁한다거나, 일부의 금융기관 담당자를 출근시켜서 대응하고 있다.
이 사실은 장해 대응 요원 이외에, 매체 단절 혹은 매체 과잉에 대응을 고려하여 사람을 준비해야 하는 것을 의미하고, 위탁비용 및 휴일출근의 인건비 등 런닝코스트면에서 문제가 있다. 또, 영업점외에서 캡슐부스 등의 무인 운용이 행하여 지고 있는 장소에도 동일하다고 말할 수 있다.
둘째로, 매체의 보급 및 회수작업을 경비 회사 혹은 메이커 서비스에 위탁하는 경우는, 금융기관 외부의 인간에게 대량의 지폐를 맞기는 꼴이 되고, 이러한 외부의 사람이 지폐에 접촉하는 기회가 있으므로, 범의의 예방적 면에서 안전하다고 할 수 없다.
셋째로, 종래의 자동거래장치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자동거래장치의 매체단절 혹은 매체 과다를 검지해도, 경비회사 및 메이커 서비스와의 연락시간 및 담당자의 이동시간 동안은 자동거래장치는 다른 대처가 불가능하고, 사람이 부족한 경우 등에는 정지 상태 그대로 방치되는 꼴이 된다. 이 사실은, 자동거래장치의 정지시간을 증가시키는 원인의 하나이며, 자동거래장치의 효율적 운용을 기대할 수 없을 뿐만아니라, 정지한 자동거래장치의 내부의 지폐가 실제의 거래에 사용되는 기회가 적어지기 때문에, 자금운용면에서도 효율이 악화한다. 또, 자동거래장치의 정지하는 기회를 증가시키는 것은 이용하는 고객에 대한 서비스의 저하를 초래하는 데에도 연계된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자동거래장치 및 자동거래장치 감시 시스템의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자동거래장치의 외부에서 자동적으로 매체를 보급 혹은 회수하는 수단과, 원격지에서 관리, 제어하는 수단을 가지므로, 자동거래장치의 매체의 보급 혹은 회수를, 사람의 손을 거치지 않고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자동거래장치의 가동효율과 자금운용효율의 향상 및 금융기관의 고객 서비스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안전면에서 뛰어난 자동거래장치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폐를 수납하고, 착탈가능한 일괄 수납고를 갖는 자동거래장치에 대해서 운용상태 및 지폐 잔량상태를 감시하는 자동거래장치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지폐를 수납하고 자동거래장치에 장착가능한 예비용 일괄 수납고를 보관하는 집중금고와, 자동거래장치에 대해서 일괄 수납고의 적재 및 배출을 하는 제1의 적재 배출 수단과, 집중금고에 대해서 일괄 수납고의 적재 및 배출을 하는 제2의 적재 배출수단과, 자동거래장치에서 배출된 일괄 수납고를 상기 집중금고로 반송하는 동시에, 상기 집중금고에서 배출된 예비용 일괄 수납고를 해당하는 자동거래장치까지 반송하는 수단과, 자동거래장치의 운용상태 및 지폐 잔량상태를 표시하는 정보를 수납하는 제1의 정보 수집 수단과, 상기 제1의 적재 배출수단, 상기 제2의 적재 배출수단 및 상기 반송 수단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정보를 수집하는 제2의 정보 수집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의 정보 수집 수단에 의하여 수집한 정보에 의거하여 자동거래장치에 있어서의 일괄 수납고의 교환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이 교환을 요한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집중금고, 상기 반송수단, 제1 및 제2의 적재 배출 수단을 구동하여 해당하는 자동거래장치의 일괄 수납고와 예비용 일괄 수납고를 교환하는 제어 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거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거래장치의 운용상태 및 지폐 잔량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제1의 정보 수집 수단에 의하여 수집된다. 또, 제1, 제2의 적재 배출 수단 및 반송 수단의 동작 상태는, 제2의 정보 수집 수단에 의하여 수집된다. 수집된 정보는 판정 수단으로 보내지고, 판정 수단에서는 이들의 정보에 의거하여 일괄 수납고의 교환이 필요한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교환이 필요하다고 판정된 경우, 제어 수단은 집중금고, 반송 수단, 제1, 제2의 적재 배출 수단을 구동하여 해당하는 자동거래장치의 일괄 수납고와 집중금고내의 예비용 일괄 수납금고를 교환한다. 이에 의하여 일괄 수납고의 자동적인 교환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공통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집중금고를 갖는 자동거래장치 감시 시스템을 표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제2도는 본 실시예의 집중금고를 갖는 자동거래장치 감시 시스템을 표시하는 시스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자동거래장치 감시 시스템은, 자동거래장치에 접속된 감시 시스템, 감시 시스템에 접속된 집중금고 및 자동거래장치에 접속된 계정계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도면에 있어서, 22는 집중금고이고 점내 감시 단말(21) 혹은 감시 장치(13)에서의 동작 지시에 의하여 일괄 수납고의 교환작업과, 예비용으로 준비된 일괄 수납고의 수납, 관리를 하는 유닛을 총칭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집중금고(22)에 대해서 제3도, 제4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집중금고를 나타내는 외관도, 제4도는 집중금고의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23은 주 제어부이고, 집중금고(22)의 전체 관리를 하고, 점내 감시 단말(21) 및 감시 장치(13)와의 인터페이스 제어 및 점내 감시 단말(21) 및 감시 장치(13)에서 통지되는 동작 지시(n번의 예비용 일괄 수납고(17)를 n번의 자동거래장치(1)로 가지고 가라고 하는 내용)을 리프터(25)로의 동작 명령(반송하는 XY 좌표치나 동작의 시퀀스 제어라고 하는 메가콘트롤 명령)으로 변환하여 통지한다거나 카세트 수납부(24)에서의 정보수집 등을 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주 제어부(23)는 집중금고(22)가 설치되는 부근의 벽이나 대(臺)의 위에 설치되고, 예를 들면 정보의 표시나, 카세트 수납부(24)에 예비용 일괄 수납고(17)를 셋트하는 때 등에 매뉴얼 조작으로 리프터(25)를 작동할 수 있도록 표시부(33) 및 조작부(34) 및 점내 감시 단말(21)과의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인터페이스부(32), 리프터(25)와의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광통신부(37a)를 가지며, 카세트 수납부(24)의 위치 검출부(35) 및 일괄 수납고 인터페이스부(36)와 접속되어 있다.
24는 카세트 수납부이고, 복수의 예비용 일괄 수납고(17)를 정리하여 수납한다. 카세트 수납부(24)에 있는 위치검출부(35)는, 카세트 수납부(24)에 수납되는 예비용 일괄 수납고(17)가 각 수납위치에 셋트되어 있는가의 여부 및 그 셋트 상태가 바른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복수의 광센서 및 마이크로 스윗치 등의 ON/OFF 상태로 검출한다.
36은 일괄 수납고 인터페이스부이고, 수납된 지폐매수 등 여러 가지의 정보를 기억하는 것이 가능한 일괄 수납고를 사용하는 경우, 일괄 수납고에 수납된 지폐매수를 관리하기 위한 등에 시스템측에서 일괄 수납고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읽어넣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지폐매수를 계수하면서 자동적으로 예비용 일괄 수납고(17)로 지폐를 충전하고, 충전한 지폐 매수를 그 일괄 수납고(17)에 기입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하면, 지폐의 매수 관리가 더욱 정확해지고, 지폐를 직접 취급할 수 있는 사람을 더욱더 한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5는 리프터이고, 예비용 일괄 수납고(17) 혹은 자동거래장치(1)에 탑재되는 일괄 수납고(16)를 횡행(X방향) 및 승강(Y방향)하여, 목적의 위치로 반송한다. 또, 자동거래장치(1) 혹은 카세트는 카세트 수납부(24)에 대해서, 일괄 수납고를 수수한다.
39는 X방향 구동부이며, 리프터(25)를 횡행하기 위한 모터 및 감시 센서 등의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구성된다.
40은 X방향 위치 검출부이고, 횡행 레일(46)(제4도에 표시)상 혹은 그 부근에 배치된 위치 검출용의 표시를 검출하여 혹은 구동계로서 펄스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는 그 펄스수를 카운트하여, 리프터(25)의 X방향에서 존재하는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고, 그 정보는 X방향의 구동제어 및 리프터(25)의 상태감시에 사용된다. 위치 검출용의 표시는, 횡행 레일(46)상에 하나 또는 복수의 구멍을 제어에 필요한 위치에 설치한다거나, 바코드시일 및 광센서와 같은 검출 수단을 제어에 필요한 위치에 설치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41은 Y방향 구동부이고, 리프터(25)에 실장되는 수수유닛(47)(제4도에 표시)을 승강하는 모터 및 감시센서 등의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구성된다.
42는 Y방향 위치 검출부이고, 승강 가이드레일(48)(제4도에 표시)상 또는 그 부근에 배치되는 위치 검출용의 표시를 검출하고, 혹은 구동계로서 펄스모터를 사용하는 경우는 그 펄스수를 카운트하여, 수수유닛(47)의 Y방향에서 존재하는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고, 이 정보는 Y방향의 구동제어 및 수수유닛(47)의 상태감시에 사용된다. 위치 검출용의 표시는, 승강 가이드레일(48)상에 하나 또는 복수의 구멍을 제어에 필요한 위치에 설치한다거나 바코드시일 및 광센서와 같은 검출 수단을 제어에 필요한 위치에 설치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43은 수수유닛 구동부이고, 제5도에 표시한 바왁 같은 기구를 동작시키는 모터나 센서 등의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구성된다. 제5도는 본 실시예의 수수유닛을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44는 조작부이고, 위험회피를 위한 긴급정지 스윗치나 보수 등에 있어서의 리프터(25)의 단체 조작용 스윗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37b는 리프터(25)에 있어서의 광 통신부이고, 동작명령이나 상태 정보 등을 집중금고(22)의 주 제어부(23)와 송수신한다. 리프터(25)의 광 통신부(37b)와 주 제어부(23)측의 광 통신부(37a)는, 횡행 레일(46)과 평행으로 또한 직선상으로 배치하므로서 리프터(25)가 횡행레일(46)상의 어느곳에 있어도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38은 구동계 제어부이고, 상술한 리프터(25)에 있어서의 각 구동부를 광 통신부(37a,37b)를 통해서, 집중금고(22)의 주 제어부(23)에서 통지되는 동작 명령에 따라서 제어한다.
49는 전원부이고, 집중금고(22)의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전원 조작부(50)에 의하여 ON/OFF를 제어하고 있다.
45는 급전레일이고, 횡행레일(46)에 평행하여 설치되고, 횡행레일(46)상을 이동하는 리프터(25)에 일정한 전원을 공급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자동거래장치(1)에는, 계정계 시스템과 감시 시스템의 2개의 시스템이 접속된다. 거래 데이터 및 고객정보를 취급하는 계정계는, 공중회선망을 통하고, 계정계 시스템의 중추인 계정계 호스트 컴퓨터(14)에 접속된다. 18은 회선단말이고, 공중회선과 구내 통신망과의 통신을 가능케하기 위하여, 프로토콜의 변환 및 구내측에 접속된 복수대의 자동거래장치(1)의 통신제어를 한다.
감시 장치(13)는, 금융기관의 감시센터 등 영업점에서 떨어진 지역에 설치되고 복수의 점포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거래장치(1)의 장해의 발생 및 매체 잔량상태 등을 통괄적으로 감시하고 있다.
19는 집선 어뎁터이고, 하나의 영업점에 있어서 복수대의 자동거래장치(1)이 결선을 송수신의 타이밍의 감시를 포함하여 하나로 정리하고, 회선망을 통해서 접속된 감시 장치(13)에 발생한 연 월 일 시 분과 함께 자동거래장치(1)의 운용상태 및 매체 잔량상태를 통지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집선어뎁터(19)에서, 영업점에 설치되는 점내 감시 단말(21)에도 동일한 정보를 통지할 수 있도록, 점내 감시 단말용의 인터페이스부를 설치하고 있다.
21은 점내 감시 단말이고, 감시 장치(13)와 동일한, 자동거래장치(1)의 운용상태 및 매체 잔량상태의 감시와 집중금고(22)의 동작제어 및 감시를 한다. 즉, 자동거래장치(1)에 수납되어 있는 지폐의 잔량을 감시하고, 교환시기의 판정을 하고, 집중금고(22)에 대해서 동작지령을 한다거나, 집중금고(22)로부터 회신되는 리스폰스 등에서 동작상태를 관리하는 등의 처리를 한다. 이들 일련의 감시처리는, 제어부(26)에서 행하고, 수집된 정보는, 음극선관 혹은 액정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되는 표시부(31)에 표시한다. 또, 동작 지시정보나 각종 설정 정보를 조작자가 입력하는 경우는 조작부(30)에 의하여 행한다. 기억부(29)는 IC 메모리 및 자기 기억 매체로 구성되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보존하고자 하는 정보를 기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기억부(29)내, 전원이 오프되어도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가 소실되지 않는 에리어를 사용하여 교환시기의 판정을 행하기 위한 기준치를 보존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감시센터의 감시 장치(13)에서 집중금고(22)로 동작 지시를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점내 감시 단말(21)에 전문(電文)을 통지하므로서 점내 감시 단말(21)에서 집중금고(22)로 동작지시를 통지하게 된다. 단, 통상은 점내 감시 단말(21)이 매체 잔량상태나 운용상태를 감시하고 점내 감시 단말(21)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일괄 수납고의 교환을 지시하므로, 감시 장치(13)로부터 동작지시를 통지할 필요는 거의 없다.
자동거래장치(1)와의 통신은, 자동거래장치측 인터페이스부(28)에 의하여 전기 조건 등을 정비하고, 유선 혹은 무선으로 행한다. 또, 집중금고(22)와의 통신도, 집중금고(22)측 인터페이스부(27)에 의하여 전기 조건 등을 정비하고 유선 혹은 무선으로 행한다.
제6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동거래장치(1)를 표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51은 일괄 수납고(16)를 교환하기 위한 일괄 수납고 교환 도어이며, 52는 일괄 수납고 교환 도어(51)를 개폐하는 커플링부이다. 리프터(25)는 일괄 수납고(16)의 교환작업시, 이 커플링부(52)에 봉형상의 연결롯드를 끼워넣고, 이것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커플링부(52)에 연이어 움직이는 일괄 수납고 교환도어(51)가 열리는 동작을 시작하고, 일괄 수납고 교환 도어(51)가 모두 열리면, 일괄 수납고(16)의 교환작업을 개시한다. 교환작업 종료후, 커플링부(52)에 상술한 봉형상의 연결롯드를 끼워넣고, 일괄 수납고 교환 도어(51)의 닫기는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일괄 수납고 교환 도어(51)를 닫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점내 감시 단말(21) 또는 감시 장치(13)에서 수집하는 정보로서, 지폐 입출금기(5)의 지폐량 카운터 데이터가 또한 더하여져 있다. 지폐 입출금기(5)의 지폐량 카운터 데이터는, 집중금고(22)를 제어하기 위하여 거래에 의하여 지폐량이 변화할때마다, 혹은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자동거래장치(1)에 점내 감시 단말(21) 및 감시 장치(13)에 대해서 통지하고 있고, 지폐 입출금기(5)의 내부메모리내, 전원 오프라도 소실되지 않는 에리어에 입금, 출금, 보충, 회수, 페치(fetch) 등의 각 동작에 있어서 계수한 지폐매수를 관리하기 쉽도록 체계적으로 보존되어 있다. 점내 감시 단말(21) 및 감시 장치(13)에서는, 통지된 지폐량 카운터 데이터에 변화가 있는 경우, 그 변화한 새로운 값을 갱신하여 항상 최신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또, 변화가 있을 단계에서 최신의 지폐량 카운터 데이터에 있어서의 지폐 잔량과, 사전에 정해진 지폐 잔량의 기준치와 비교하여 (16)의 교환이 필요해 졌는가의 여부를 확인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점내 감시 단말(21) 및 감시 장치(13)에서는 또한 자동거래장치(1)에 대해서 보충 및 회수의 동작지시도 가능하다.
각각의 동작지시도 보충 혹은 회수하는 지폐의 종류 및 매수를 설정가능하고, (16) 혹은 지폐 입출금기(5)에 수납되어 있는 전부의 지폐를 보충 혹은 회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폐잔량의 기준치로서는, 이후의 거래를 운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저한도 매수와 수납 상한 매수를 설정하게 된다. 즉, 최저 한도 매수를 지폐 추가의 기준치로 하고, 지폐 입출금기(5)에 수납되어 있는 지폐량이 최저한도 매수 미만이 된 경우, 일정량 지폐가 수납되어 있는 예비용 일괄 수납고(17)와 자동거래장치(1)에 탑재되어 있는 일괄 수납고(16)를 교환하고 또, 지폐 입출금기(5)에 수납되어 있는 지폐량이 수납 상한 매수 이상이 된 경우, 비어있는 예비용 일괄 수납고(17) 혹은 지폐 입출금기(5)의 수납지폐를 회수하기에 충분히 여유가 있는 예비용 일괄수납고(17)와 자동거래장치(1)에 탑재되어 있는 일괄 수납고(16)를 교환한다. 이들의 지폐잔량의 기준치는 점내 감시 단말(21)의 시스템 설정용 프로그램 부분에서 영업점 운용자가 자동거래장치(1)마다 혹은 영업점
전체의 기준치로서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거래장치(1)에 모종의 장해가 발생하여 그 운용이 정지된 경우, 점내 감시 단말(21)에서는 예를 들면 이하에 표시하는 동작기준과 발생 상황을 참조하여 집중금고에 대한 동작지시를 결정한다.
1. 발생한 장해 상황이 자동거래장치(1)에 탑재되어 있는 일괄 수납고(16)의 불량에 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경우는, 예비용 일괄 수납고(17)와 장치(1)내의 일괄 수납고(16)의 교환을 행하고 동작 복구를 시도한다. 이때 일괄 수납고(16)는 일괄 수납고(16)에 수납되는 지폐매수가 사전에 정해진 기준 매수미만인 경우는, 지폐가 수납되어 있는 예비용 일괄 수납고(17)와 기준매수 이상인 경우는, 비어있는 예비용 일괄 수납고(17)와 교환한다.
2. 상기 1항에서 표시되는 현상에 의하여, 자동거래장치(1)에 탑재되어 있는 일괄 수납고(16)를 지폐가 수납되어 있는 예비용 일괄 수납고(17)와 교환해도 상황에 변화가 없는 경우는, 비어있는 예비용 일괄 수납고(17)와 교환된다.
3. 신속한 복구의 가능성이 없는 장해가 발생하지만, 지폐 입출금기(5)의 회수 동작이 실행 가능한 경우, 지폐 입출금기(5)에 수납되어 있는 일부 또는 전부의 지폐를 일괄 수납고(16)로 회수하고, 비어있는 예비용 일괄 수납고(17)와 교환한다.
4. 장해가 발생했지만, 즉각 지폐의 운용을 계속할 수 있는 경우는 교환작업은 실시되지 않는다.
5. 신속한 복구의 가능성이 없고 또한 회수동작이 실행불가능한 장해발생의 경우에, 일괄 수납고(16)에 지폐가 존재하면 그대로 비어 있는 예비용 일괄 수납고(17)와 교환한다.
6. 신속한 복구의 가능성이 없고, 또한 회수동작이 실행 불가능한 경우에, 일괄 수납고(16)에 지폐가 존재하지 않으면 교환작업은 실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운용상태에 대한 동작 기준치의 설정은, 점내 감시 단말(21)의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만들어 넣어져 있지만, 기억용량 및 조작성 등의 조건이 허락하면, 지폐잔량 기준치의 설정과 같이 영업점 운용자가 자동거래장치(1)마다 혹은 영업점 전체의 기준치로서 임의로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20은 개인 식별용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지폐량 카운터 데이터를 자동거래장치(1)에서 수집하기 때문에 현금의 입출 및 세밀한 검사 결과 등 비밀유지를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점내 감시 단말(21) 및 감시 장치(13) 및 이들을 연결하는 회선에서 악용될 위험성이 있다. 개인 식별용 장치(20)는, 상기 비밀유지를 필요로 하는 정보의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하여조작자 개인을 식별하기 위한 매체, 즉, 자기 기억부를 갖는 ID 카드나 IC 메모리 카드 혹은 키 등, 소유하는 것을 관리할 수 있는 매체에서, 조작자가 점내 감시 단말(21) 혹은 감시 장치(13)에 있어서 비밀유지를 필요로 하는 정보의 개시나 각종 수단의 조작을 허가된 사람인가의 여부, 혹은 조작자가 허락되어 있는 조작범위 등을 결정하는 정보를 얻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개인식별 수단으로서, 이하에 표시하는 3종의 수단이 고려된다.
1. 자기 기억부를 갖는 ID 카드를 개인 식별용 매체로 하고, ID 카드의 자기 기억부에 개인식별에 필요한 개인정보를 기억해둔다. 이 ID 카드를 점내 감시 단말(21) 혹은 감시 장치(13)에 접속된 개인 식별용 장치(20)에 삽입하면, 점내 감시 단말(21) 혹은 감시 장치(13)은 상기 정보를 읽어내고, 점내 감시 단말(21)에서는, 개인 정보를 통과하여 관리하는 감시 장치(13)에 읽어낸 정보를 송신한다(감시 장치(13)에 있어서는 스스로 처리한다.) 감시 장치(13)에서는 보내온 정보와 스스로가 통괄관리하는 개인 정보를 비교하고, 틀림이 없는가를 확인하고, 개인정보에 따라서 기억되어 있는 비밀번호를 읽어낸다. 점내 감시 단말(21)에서는, 개인 식별용 매체(ID 카드)에서 읽어낸 정보를 송신한 후, 비밀번호 입력화면을 표시하고, 조작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개인정보와 마찬가지로, 입력된 비밀번호를 감시 장치(13)로 송신한다. 감시 장치(13)에서는 보내온 비밀번호와 스스로가 통괄 관리하는 개인정보를 비교 확인함으로써 읽어낸 비밀번호를 비교 확인한다.
상기 2개의 확인이 정상이면 송신하여 온 점내 감시 단말(21)에 대해서, 조작자 식별결과 정상임을 회신한다. 만약 개인정보가 정상으로 확인되지 않은 경우는 사용불가 매체로서 ID 카드를 조작자에게 반환한다. 또, 비밀번호의 입력이 정상이 아니면 일련의 조작을 다시 하게 시키고, 규정회수내에 정상 조작이 행하여지면 조작을 허가하고 규정회수를 초과한 경우, 감시 장치(13)는 그 개인 정보에 대한 억세스를 금지한다. 이때, 사상이 발생한 단말번호 및 연 월 일 시 분, 개인정보, 입력된 비밀번호를 기억부(29)에 기억한다. 한번 금지된 개인 정보는, 감시 장치(13)측의 조작자에 의하여 그 금지가 해제되지 않는 한 사용할 수 없고, 감시 장치(13)측의 조작자는 상기 사상발생 상황을 확인한 후에 문제가 없으면 억세스 금지 상태를 해제한다. 점내 감시 단말(21) 혹은 감시 장치(13)는, 조작자 식별결과가 정상인 경우, 앞서 판독한 개인정보에서 조작자가 조작가능한 범위를 한정하고, 허가된 범위의 정보의 참조 및 조작을 조작자에게 해방한다. 또한, 점내 감시 단말(21)과 감시 장치(13) 사이에서 취하여진 정보는 모두 암호화되어 있다.
2. IC 메모리등 전기적으로 기억하는 기억부를 갖는 IC 메모리 카드를 개인 식별용 매체로 하고, IC 메모리카드의 기억부에 개인식별에 필요한 개인정보를 기록해 놓는다. 이 IC 메모리 카드를 점내 감시 단말(21) 혹은 감시 장치(13)에 접속된 개인 식별용 장치(20)에 삽입하면, 우선 IC 메모리 카드에 비밀코드가 기억되어 있는가를 확인하고, 기억되어 있는 경우는 그 비밀코드를 판독하고, 기억되지 있지 않는 경우는 사용 불가매체로서 조작자에게 반환한다. 상기 비밀코드는, IC 메모리 카드의 정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억부가 어떤 정해진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코드이고, IC 메모리 카드 통일 혹은 카드마다 할당된 코드이다. 점내 감시 단말(21) 혹은 감시 장치(13)는 판독한 비밀코드를 기억하는 코드와 비교 확인하고 정상이면, IC 메모리 카드의 기억부에 기억되는 개인 식별을 판독하다. 정상 아니면 사용 불가매체로서 조작자에게 반환한다. 개인정보의 비교확인 및 비밀번호의 비교확인은 전항의 ID 카드에서의 내용과 동일하다.
3. 하나 또는 복수의 키를 개인 식별용 매체로 하고, 상기 키에 의하여 ON/OFF하는 스위치를 설치하고, 점내 감시 단말(21) 혹은 감시 장치(13)에 접속한다. 하나의 키인 경우에는 그 키에 따르는 스윗치가 모두 ON된때, 복수의 키의 경우는, 사람의 조작가능한 범위가 극력 짧은 시간내에 최초에 키에 의하여 ON된 스위치에서 각각의 키에 따르는 스윗치가 모두 ON될때에, 개인 식별코드 및 비밀번호입력 화면을 표시한다. 조작자가 개인 식별코드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였으면 그 개인 식별코드 및 비밀번호를 감시 장치(13)으로 송신한다.
개인 식별코드 및 비밀번호를 통괄하여 관리하고 있는 감시 장치(13)에서는, 송신된 개인 식별코드 및 비밀번호가 관리되고 있는 중에 존재하는가의 여부를 확인하고, 존재하면 조작자 식별결과 정상을 회신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이상을 회신한다. 점내 감시 단말(21) 혹은 감시 장치(13)에서는, 조작자 식별결과가 정상인 경우는, 개인 식별코드에서 조작자가 조작가능한 범위를 한정하고, 허가된 범위의 정보의 참조 및 조작을 조작자에게 해방한다. 이상인 경우에는, 다시 개인 식별코드 및 비밀번호입력을 요구한다. 규정회수내에 정상조작이 행하여지면 조작을 허가하고, 규정회수를 초과한 경우, 감시 장치(13)는 그 개인 식별코드 및 비밀번호에 대한 억세스를 금지한다. 이때, 사상이 발생한 단말번호 및 연월일시분, 입력된 비밀번호를 기억부(29)에 기억한다. 한번 금지된 개인 식별코드 및 비밀번호는 감시 장치(13)측의 조작자에 의하여 해제되지 않는한 사용할 수 없고, 감시 장치(13)측의 조작자는 상기 사상발생상황을 확인한 후에 문제가 없으면 억세스 금지상태를 해제한다. 또한, 점내 감시 단말(21)과 감시 장치(13) 사이에 이루어진 정보는 모두 암호화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특징의 하나로서, 다음날의 운용에 필요한 지폐매수를 예상하는 기능이 있다. 이것은 지폐량 카운터 데이터를 점내 감시 단말(21) 혹은 감시 장치(13)에서 관리하고, 또한 업무의 종료시 등에 행하는 세밀한 검사를 점내 감시 단말(21) 혹은 감시 장치(13)에서 지시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기능이다. 다음날의 운용에 필요한 지폐매수의 산출은, 점내 감시 단말(21)의 기억부(29) 혹은 감시 장치(13)의 기억부에 이하의 정보를 기억해둠으로써 행하여진다.
1. 아침 업무개시시 혹은 세밀한 검사 실행직후의 지폐량 카운터 데이터. 그날의 모든 거래 혹은 세밀한 검사가 행하여지기까지의 사이에 입출된 지폐매수를 산출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고정 에리어에 기억되는 때마다 다시 기입한다(이하, 지폐량 비교 데이터라고 칭한다).
2. 당일의 모든 거래에서 입출된 지폐매수를 산출한 결과를, 과거연간에 걸쳐 매일 기억한다. 다음날의 운용에 필요한 지폐수를 예상하는 기초데이터로서 사용한다(이하, 지폐랑 기초 데이터라고 칭한다.)
당일의 모든 거래에서 입출된 지폐매수를 산출하는 타이밍은, 업무종료시 혹은 일자가 변경된때, 세밀한 검사 실행시 점내 감시 단말(21) 혹은 감시 장치(13)에서 산출하도록 지시를 받은 때 등에 행하여지고, 동일 일시에 산출된 데이터는 가산되어 지폐량 기초 데이터로 한다.
영업점에 있어서, 다음날의 운용에 필요한 지폐매수의 목표를 세운 경우에, 점내 감시 단말(21) 혹은 감시 장치(13)를 조작하면, 점내 감시 단말(21) 혹은 감시 장치(13)는 각 자동거래장치(1)의 지폐량 카운터 데이터를 집계하고, 그날의 모든 거래에서 입출된 지폐매수를 산출하여 표시한다. 산출된 결과는 점내 감시 단말(21) 혹은 감시 장치(13)의 기억부의 연월일마다 할당된 영역에서 해당하는 개소에 기억해둔다. 다음에, 다음날의 연월일에서 해당하는 연월일의 지폐량 기초 데이터를 호출하고, 과거 복수연간에 입출된 당일의 지폐매수의 평균치를 산출한다. 이때, 지폐량 기초 데이터가 0을 표시하는 것은 평균치의 산출 대상에서 제외한다. 산출된 평균치가 거래를 하는데에 필요한 최저 한도 매수 이상이면 그 평균치를 다음날의 운용에 필요한 지폐 매수로 하고, 산출된 평균치가 거래를 하는데에 필요한 최저한도 매수 미만인 경우는 최저한도 매수를 다음날의 운용에 필요한 지폐 매수로 한다. 최저한도 매수는, 집중금고(22)의 동작 기준이 될 기준치를 사용해도 좋고, 별도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1대의 자동거래장치에 1개의 일괄 수납고는 필요하지 않고, 설치되어 있는 자동거래장치의 수보다 적은 수의 일괄 수납고로 지폐의 운용이 가능하다. 또, 자동거래장치에 대한 지폐의 균일분배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5대의 자동거래장치에 2개의 일괄 수납고로 운용하는 경우, 통상, 자동거래장치의 지폐입출금기에는 일괄 수납고를 탑재하지 않고, 지폐의 과부족이 생긴 시점에서 예비용 일괄 수납고를 반송하고, 필요매수를 보충 혹은 회수하여 집중금고로 되돌린다고 하는 운용이 가능해지고, 또, 균일 분배하고 싶은 기준매수와 대상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의 본체 번호를 입력하면, 관리하는 각 자동거래장치의 지폐잔량에서 과부족 매수를 계산하고, 하나 또는 복수의 일괄 수납고를 해당하는 자동거래장치에 순차세트하여 계산한 매수의 보충 혹은 회수를 행함으로써 균일분배가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기대될 수 있다.
우선, 일괄 수납고를 교환함으로써 지폐의 장전/회수를 하도록 하였으므로, 자동적으로, 혹은 자동거래장치에서 떨어진 곳에서의 동작지시에 의하여 지폐의 장전/회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자동거래장치에 대응하는 금융기관의 담당자나 경비회사 혹은 메이커 서비스의 담당자의 노동력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담당인원의 삭감이 가능해진다.
또, 지폐의 과부족이 생겨도, 자동거래장치를 정지시키지 않고 자동거래장치의 외부에서의 지폐의 장전/회수가 가능해짐으로써, 자동거래장치의 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고객서비스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현금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지폐의 장전/회수가 가능해지고, 지폐를 직접 취급할 수 있는 사람을 한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안전성의 면에서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자동거래장치에 장해가 발생하여 취급이 정지상태가 되어도, 그 자동거래장치내의 지폐를 극력 또 다른 자동거래장치의 운용으로 돌릴 수 있으므로 자금 효율이 향상한다.
또한, 1대의 자동거래장치에 1개의 일괄 수납고를 필요로 하지 않고, 설치되어 있는 자동거래장치보다 적은 일괄 수납고로 지폐의 운용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자금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운용하는 자금량에 문제가 없다면, 자동거래장치에 대한 지폐의 균일분배도 가능하므로, 자동거래장치에 있어서의 지폐잔량의 과부족 발생이 매우 적어져 교환회수가 감소하고 담당인원의 삭감이 가능해진다.
또, 점내 감시 단말 또는 감시장치의 조작자의 개인식별을 행함으로써 비밀을 유지할 정보나 현금관리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지폐를 수납하고, 착탈가능한 일괄 수납고를 갖는 자동거래장치에 대해서 운용상태 및 지폐 잔량상태를 감시하는 자동거래장치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지폐를 수납하고, 자동거래장치에 장착가능한 예비용 일괄 수납고를 보관하는 집중금고와, 자동거래장치에 대해서 일괄 수납고의 적재 및 배출을 행하는 제1의 적재 배출 수단과, 집중금고에 대해서 일괄 수납고의 적재 및 배출을 행하는 제2의 적재 배출 수단과, 자동거래장치에서 배출된 일괄 수납고를 상기 집중금고로 반송하는 동시에 상기 집중금고에서 배출된 예비용 일괄 수납고를 해당하는 자동거래장치까지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자동거래장치의 운용상태 및 지폐잔량 상태를 표시하는 정보를 수집하는 제1의 정보 수집 수단과, 상기 제1의 적재 배출 수단, 상기 제2의 적재 배출 수단 및 상기 반송 수단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정보를 수집하는 제2의 정보 수집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의 정보 수집 수단에 의하여 수집한 정보에 의거하여 자동거래장치에 있어서의 일괄 수납고의 교환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이 교환을 요한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집중금고, 상기 반송 수단, 제1 및 제2의 적재 배출 수단을 구동하여 해당하는 자동거래장치의 일괄 수납고와 예비용 일괄 수납고를 교환하는 제어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결과 일괄 수납고가 교환을 요한다고 판정된 경우에 교환을 요하는 자동거래장치의 존재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교환 동작 지시를 입력하는 입력수단을 구비한 자동거래장치 감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이 일괄 수납고의 교환을 요한다는 판정을 한 경우에, 상기 제어 수단은 자동적으로 상기, 집중금고, 상기 반송수단, 제1 및 제2의 적재 배출 수단을 구동하여 해당하는 자동거래장치의 일괄 수납고와 예비용 일괄 수납고를 교환하는 자동거래장치 감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자동거래장치에 대해서, 장치내의 지폐를 일괄 수납고로 회수하는 것 및 지폐가 수납된 일괄 수납고로부터 장치내의 금고로 지폐를 보충하는 것을 지시하는 지시수단과, 회수 또는 보충한 지폐의 매수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이 자동거래장치에서 수집하는 수집 수단을 구비한 자동거래장치 감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정보 수집 수단은 자동거래장치가 취급한 지폐의 입출매수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매일 소정기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의 데이터와 자동거래장치내의 잔량 지폐 매수 데이터에 의거하여 다음날용으로 예비용 일괄 수납고에 수납할 지폐 매수를 산출하는 수단을 구비한 자동거래장치 감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개인 식별 정보와 감시 단말에 있어서의 조작허용범위를 결정하는 정보를 기억하는 카드상의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의 기억 정보를 읽어내는 판독 수단과, 판독한 정보와 입력된 식별용 코드에 의거하여 조작의 허가를 결정하는 수단과, 식별용 코드의 입력회수를 계산하고, 소정회수 이상 입력이 있는 경우, 이 사상이 발생한 단말 번호, 연 월 일 시 분, 개인식별 정보 및 입력된 식별용 코드를 기억하는 수단을 구비한 자동거래장치 감시 시스템.
KR1019930024083A 1993-02-02 1993-11-12 자동거래장치 감시 시스템 KR0140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82109750A TW239201B (en) 1993-02-02 1993-11-19 Monitoring system for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51893A JP3037011B2 (ja) 1993-02-02 1993-02-02 自動取引装置監視システム
JP93-15518 1993-0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244A KR940020244A (ko) 1994-09-15
KR0140967B1 true KR0140967B1 (ko) 1998-07-01

Family

ID=11891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4083A KR0140967B1 (ko) 1993-02-02 1993-11-12 자동거래장치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037011B2 (ko)
KR (1) KR01409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0002248L (sv) * 2000-06-16 2001-07-16 Nybohov Dev Ab Sedelhanteringssystem
GB2365610A (en) * 2000-08-02 2002-02-20 Ncr Int Inc Self-service terminal
JP4629251B2 (ja) * 2001-03-15 2011-02-09 株式会社三井住友銀行 Atm現金管理方法
JP4887957B2 (ja) * 2006-07-26 2012-02-2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貨幣補充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8193A (ja) * 1985-03-12 1986-09-16 株式会社東芝 紙幣処理システム
JPS6362092A (ja) * 1986-09-03 1988-03-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紙幣群管理方式
JP2726551B2 (ja) * 1990-05-31 1998-03-11 株式会社東芝 現金処理システム
JPH04128994A (ja) * 1990-09-20 1992-04-30 Nec Corp 現金還流装置
JPH04190483A (ja) * 1990-11-26 1992-07-08 Fujitsu Ltd 自動取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244A (ko) 1994-09-15
JPH06231341A (ja) 1994-08-19
JP3037011B2 (ja) 2000-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26551B2 (ja) 現金処理システム
JP4007842B2 (ja) 金融営業店における貨幣処理システム
JP3959322B2 (ja) 店舗における現金管理システム
JP2726552B2 (ja) 現金処理システム
KR0140967B1 (ko) 자동거래장치 감시 시스템
KR940005824B1 (ko) 자동거래시스템
JP2635194B2 (ja) 自動取引装置
JP3068769B2 (ja) 自動取引システム
JP2690291B2 (ja) 現金処理装置
JP4284514B2 (ja) Atmの遠隔管理方法、管理システム及びatm
JP3204928B2 (ja) 現金処理システム
JPH11213214A (ja) 電子錠管理システム
JPH0357094A (ja) 現金入出金装置
JP2983506B2 (ja) 現金統合管理システム
JP2714371B2 (ja) 現金処理システム
JP2834946B2 (ja) 自動取引装置
JPH03208197A (ja) 現金管理システム
JPH0684053A (ja) 自動取引装置
JP3124252B2 (ja) 自動取引装置
JP3050288B2 (ja) 現金統合管理システム
JPH08305929A (ja) 自動入出金装置およびその保守管理方法
JPH04111062A (ja) 自動取引装置
JPH04167090A (ja) 自動取引装置
JPH08339412A (ja) 自動取引装置
JPS60241164A (ja) 紙幣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