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824B1 - 자동거래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거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824B1
KR940005824B1 KR1019910008988A KR910008988A KR940005824B1 KR 940005824 B1 KR940005824 B1 KR 940005824B1 KR 1019910008988 A KR1019910008988 A KR 1019910008988A KR 910008988 A KR910008988 A KR 910008988A KR 940005824 B1 KR940005824 B1 KR 940005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automatic
control device
control
automatic trans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8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0581A (ko
Inventor
아끼라 모리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10020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0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8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11Software architecture within ATMs or in relation to the ATM networ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ulti Process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거래시스템
도면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 1 도는 자동거래시스템의 개념도.
제 2 도는 자동거래장치의 외관사시도.
제 3 도는 자동거래장치의 개략적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 4 도는 거래제어장치의 외관사시도.
제 5 도는 거래제어장치의 개략적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 6 도는 거래제어장치간에 있어서의 조회상황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 거래제어장치 2 : 점내 LAN
3A, 3B, 3C : 자동거래장치 7A, 7B, 8A, 8B : 모뎀(modem)
9 : 계산기 센터 10A, 10B : NCU 모뎀
11 : 공중회성망 200 : 주제어부
201 : 표시부 204 : 단표인자부
209 : 데이터기억부 210 : 하드디스크장치
211, 212 : 모뎀 인터페이스부 213 : LAN 인터페이스부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은행등의 금융기관에 있어서 통화의 입출금거래를 자동적으로 실시하는 자동거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입출금장치등의 자동거래장치는 은행의 기계화코너에 다수 설치되어 자기카드 또는 자기통장등의 거래매체를 이용해서 자동적으로 현금(지폐)의 인출(출금) 또는 예입(입금)등의 거래를 이용자 자신의 조작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은행창구의 영업종료후에도 시간연장하여 가동하고 있고 또 백화점, 슈퍼마켓등의 점포내에 설치하는 무인운용등의 사용방식도 있어서 앞으로 점점 설치대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배경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각 자동거래장치는 서로 독립된 시스템으로 되어 있고 상호 백업하는 일은 없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자동거래장치의 제어수단인 제어프로그램을 교환하거나 제어수단에서 각종 데이터를 발취하거나 기입하기위해 제어수단의 동작을 정기시키면 자동거래장치 전체가 동작을 정지해 버린다.
이 때문에 자동거래장치의 거래를 실행하기 위한 각 부에 불합리가 없는데도 거래를 할수 없게 되어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일시적으로 제어수단의 동작을 정지할 때에는 또하나의 자동거래장치의 제어수단이 그를 대행하여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거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거래시스템은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소정의 거래를 실행하는 복수의 자동거래장치와, 이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서 상기 자동거래장치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1 및 제 2 제어수단과, 이들 제1 및 제 2 제어수단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제어수단은 자동거래장치의 제어가 불가능하게 되었을때 상기 접속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 2 제어수단에 대해 자동거래장치의 제어가 불가능하게 된 것을 통지하는 수단을 갖고, 상기 제 2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제어수단에서의 통지를 받으면 상기 접속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 1 제어수단에 의한 자동거래장치의 제어를 대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2가지의 자동거래장치의 제어수단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항상 서로의 자동거래장치의 가동상황에 대하여 서로 통지하고 제어수단의 동작을 일시정지하는 경우에는 또 한쪽의 제어수단에 대하여 자동거래장치의 제어를 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에 따라 제어수단의 동작을 일시정지할 때에는 또하나의 제어수단이 대행하여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자동거래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일없이 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동률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자동거래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즉 예를 들어 은행의 지점내에는 지점내의 자동거래장치류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거래제어장치(1A) (1B)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거래제어장치(1A) (1B)는 점내 LAN(로컬·에리어·네트워크) (2)에 접속되어 있다.
점내 LAN(2)에는 지점내의 자동거래장치류가 접속되어 있다.
점내 LAN(2)에 접속되어 있는 자동거래장치류에는 복수의 자동거래장치(입출금장치 ; ATM) (3A~3B)와 기장치(4), 잔고조회기(5)등이 있다.
또 점외에 설치된 자동거래장치(입출금장치 ; ATM (3C)는 점내에 설치된 LAN 접속아답터(6)를 통하여 점내 LAN(2)에 접속되어 있다.
이들 자동거래장치류는 점내 LAN(2)을 통하여 거래제어장치(1A) (1B)에 의해 집중제어, 운용관리된다.
거래제어장치(1A) (1B)는 전화회선을 통하여 호스트컴퓨터와 감시센터등에 접속되어 있다.
즉 거래제어장치(1A) (1B)에는, 모뎀(7A) (7B)이 접속되고 특정 회선에 의해 센터측 모뎀(8A) (8B)과 접속되고 계산기센터(9)와 접속된다.
계산기센터(9)에는 자동거래장치류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각 구좌마다의 거래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거래제어장치(1A) (1B)에서 송신되는 거래정보에 기인하여 해당 구좌의 거래기록의 갱신을 행하고 거래제어장치(1A) (1B)에 갱신결과에 기인하는 거래정보를 송출한다.
거래제어장치(1A) (1B)에는 또하나의 외부회선으로의 접속부가 있다.
즉 거래제어장치(1A) (1B)에는 NCU(네트워크·코트롤·유니트) 모뎀(10A) (10B)이 접속되고 공중회선망(11)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거래제어장치(1A) (1B)는 공중회선망(11)을 통하여 외부에 각종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공중회선망(11)을 통한 거래제어장치(1A) (1B)에서의 정보송출처에는 감시센터(12)가 있다.
감시센터(12)에서는 휴일등에 자동거래장치류가 무인가동하고 있을때 거래제어장치 (1A) (1B)에서의 정보에 기인하여 자동거래장치류의 운용상태를 감시한다.
또 필요에 따라서 자동거래장치류를 원격제어함에 따라 장해복구를 실시하거나, 복구할 수 없는 장해가 발생하거나, 자동거래장치류의 내부에 세트되어 있는 매체류의 보충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순회중의 패트롤차(13)에 지시를 내고 자동거래장치의 복구처리를 실시하게 한다.
패트롤차(13)에는 감시센터(12)에서 공중회선망(11)을 통한 무선시스템에 의해 지시가 내어진다.
패트롤차(13)는 항상 미리 결정된 지구를 순회하고 그 지구에 설치된 자동거래장치류를 유지관리한다.
패트롤차(13)를 호출하는 방법에는 상기 감시센터(12)에서 호출하는 방법과 거래제어장치 (1A) (1B)에서 공중회선망(11)을 통하여 직접 호출하는 방법이 있다.
거래제어장치 (1A) (1B)에서 직접 호출하는 방법이란 자동거래장치(3A~3B)등에 장해가 발생했을때 그 장해내용에 따라서는 감시센터(12)에서의 원격제어로는 장해복구를 할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자동거래장치내에 세트되어 있는 저널용지와 현금등의 보충이 필요하게된 경우와 시스템에러등이 발생하여 자동거래장치를 직접 매뉴얼로 조작하지 않으면 복구할 수 없는 장해가 발생한다.
이들 장해가 발생한 것이 자동거래장치에서 거래제어장치(1A) (1B)에 통지되면 거래제어장치(1A) (1B)는 그 통지된 장해보고에서 원격제어로는 장해복구를 할수 없어서 그 자리에서 패트롤차(13)를 호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거래제어장치(1A) (1B)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감시센터(12)에 장해를 보고함과 동시에 NCU 모뎀(10A) (10B)에 의해 공중회선망(11)을 통한 무선시스템을 경유하여 직접 패트롤차(13)에 장해복구의 지시를 낸다.
거래제어장치(1A) (1B)는 발생한 장해의 내용에 따라서 패트롤차(13)에 장해내용을 보고한다.
즉 거래제어장치(1A) (1B)는 장해내용에 따라서 미리 결정된 문자열을 송신한다.
이 문자열은 공중회선망(11)의 무선시스템을 통하여 패트롤차(13)에 통지된다.
패트롤차(13)는 이 문자열의 통지를 수신하면 패트롤차(13)내에 탑재되어 있는 표시기에 문자열로 하여 표시한다.
이에 따라 패트롤차(13)는 자동거래장치에서 발생한 긴급장해의 통지를 직접 수신할 수 있어서 신속하게 장해복구를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감시센터(12)에서 패트롤차(13)에 통지를 낼 필요가 없어진다.
특히 이 기능은 매체의 잔량이 적어진 경우의 니어앤드통지때에도 유효하다.
즉 매체의 잔량이 적어진 경우에는 그 잔량분으로 자동거래장치는 거래를 정상으로 속행할 수 있다.
그러나 매체의 잔량이 적기 때문에 일찌감치 보충이 필요하다.
그래서 니어앤드통지가 패트롤차(13)에 통지되면 패트롤차(13)는 그 자리에서 급행할 필요는 없지만 긴급 물건을 처리한 후와 순회경로를 변경함에 따라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게 된다.
거래제어장치(1A) (1B)는 공중회선망(11)에 의해 서비스센터(14)에 접속되어 있다.
서비스센터(14)는 자동거래장치류가 고장나서 수리가 필요한 경우와 고장을 예방하기 위해 정기적인 점검정비를 실시하는 서비스맨을 파견한다.
서비스센터(14)는 서비스맨을 파견하기전에 공중회선망을 통하여 각 자동거래장마다의 장해데이터를 수집한다.
즉 서비스센터(14)에서 공중회선망(11)을 통하여 거래제어장치(1A) (1B)에 대하여 장해데이터의 보고를 지시한다.
거래제어장치(1A) (1B)에는 각 자동거래장치마다의 장해발생상황이 거래데이터등의 자동상황데이터와 함께 기록되어 있다.
거래제어장치(1A) (1B)는 서비스센터(14)에서의 장해데이터 보고지시에 기인하여 기록되어 있는 장해데이터를 서비스센터(14)에 보고한다.
서비스센터(14)에서는 이 보고된 장해데이터에 기인하여 파견하는 서비스맨에 대하여 어떠한 유지작업을 해야하는지 지시함과 동시에 지참하는 부품등의 지급이 실시된다.
거래제어장치(1A) (1B)가 공중회선망(11)에 의하여 서비스센터(14)에 접속되어 있음에 따라 서비스센터(14)에 파견된 서비스맨을 고장수리하기 위한 매뉴얼을 서비스센터(14)에서 받을 수 있다.
즉 서비스센터(14)에는 항상 서비스맨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스텝이 주재하고 있고, 복잡한 장해로 서비스맨의 지식으로는 수리가 불가능한 경우등에 공중회선망을 통하여 수리작업의 지시를 실시할 수 있다.
즉 서비스센터(14)의 기술스텝을 필요에 따라서 지점에 파견한 서비스맨에 대하여 수리 매뉴얼을 보낸다.
이 수리매뉴얼은 서비스센터(14)에서 거래제어장치(1A) (1B)에 송출되면 또한 자동거래장치에 출력된다.
자동거래장치에서는 내장한 인자장치에 의해 수리매뉴얼을 인자하고 서비스맨에 대해 출력한다.
그런데 수리매뉴얼을 출력하는 인자장치가 고장나 있는 경우에는 매뉴얼을 출력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때에는 거래제어장치(1A) (1B)의 인자장치에 출력된다.
즉 거래제어장치(1A) (1B)는 서비스센터(14)에서의 수리매뉴얼을 수신하면 자동거래장치에서 보고되어 있는 장해내용에 기인하여 자동거래장치의 인자장치에 출력가능한지 판단한다.
만약 장해내용이 인자장치에 영향을 주지않는 내용(예를 들어 지폐의 잼등)인 경우에는 자동거래장치에 대해 수리매뉴얼을 송출하고 출력을 지령한다.
또 인자장치가 고장나서 수리매뉴얼의 출력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거래제어장치(1A) (1B) 자신의 인자장치에 출력한다.
그러나 이때 서비스맨은 자동거래장치의 수리를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수리매뉴얼이 출력된 것을 알수 없다.
그래서 거래제어장치(1A) (1B)는 자동거래장치의 고객조작안내장치등의 표시부에 수리매뉴얼이 거래제어장치(1A) (1B)로 출력되고 있는 것을 표시하고 서비스맨에게 통지한다.
이때 자동거래장치는 내장한 부저를 올리게하여 서비스맨에 대해 표시부를 참조하도록 유도한다.
여기에서 점내 LAN(2)에 접속되는 자동거래장치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도는 자동거래장치류중 자동거래장치(3A~3B)의 외관도이다.
본체(21)의 접객면측에는 대략 L자상의 고객조작부(103)가 형성되어 있고 그 수직면부에는 통장삽입구(22), 카드삽입구(23) 및 전표발행구(24)가, 또 수평면부에는 입출금구(25), 복수의 조작(26)을 지닌 CRT표시부(안내표시부) (27) 및 텐키등의 키보드(28)가 설치되어 있다.
제 3 도는 자동거래장치(3A~3B)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자동거래장치(3A~3B)는 점내 LAN(2)에 접속되지만 자동거래장치(3A~3B)의 내부에서는 LAN 아답터(101)가 있고 점내 LAN(2)의 접속부로 되어 있다.
LAN 아답터(101)는 점내 LAN(2)을 통하여 거래제어장치(1A) (1B)와 각종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LAN 아답터(101)는 자동거래장치(3A~3B)에 내장하는 각 처리부의 정보를 근거로 그들 정보를 일시 축적하고 거래제어장치(1A) (1B)와의 데이터송수신을 위해 데이터 편집기능을 지님과 동시에 점내 LAN(2)에 있어서의 데이터송수신순서(프로토콜)의 제어기능을 지니고 있다.
또한 자동거래장치(3A~3B)의 내부에는 거래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처리부를 내장하고 있다.
내장하고 있는 처리부에는 계원조작부(102), 고객조작부(103), 카드처리부(104), 명세표처리부(105), 통장처리부(106), 지폐처리부(107), 주화처리부(108)등이 있다.
계원조작부(102)는 은행원이나 보수원등 자동거래장치(3A~3B)를 관리하는 계원을 위한 조작, 표시기능을 지니고 있다.
즉 지폐나 주화를 자동거래장치(3A~3B)에 세트할 때와 자동거래장치(3A~3B)가 고장나서 복구, 수리등이 필요한때 계원등에 대하여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고 조작을 유도한다.
또한 계원이 필요한 조작을 할때 자동거래장치(3A~3B)에 대하여 조작의 내용을 지정하거나 조작에 필요한 정보의 키입력등 입력기능을 지니고 있다.
고객조작부(10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거래장치(3A~3B)을 이용하는 이용자(고객)에 대한 조작안내와 입력을 실시하는 부분이며, 자동거래장치(3A~3B) 조작면의 각종 표시(취급표시, 취급종목)와 CRT와 터치패널에 의한 조작안내와 조작입력등을 실시한다.
카드처리부(104)는 카드삽입구(23)에 삽입된 이용자가 지참하는 자기카드를 수납하여 그 자기정보를 판독한다.
이 판독한 자기정보는 LAN 아답터(101), 점내 LAN(2)을 통하여 거래제어장치(1A) (1B)로 송출된다.
또한 자기카드의 엠보스부등의 자기카드표면의 광학정보를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기능도 지니고 있다.
이 판독한 광학정보는 거래제어장치(1A) (1B)로 송출되고 자기카드의 사용기록으로서 전자적으로 기록된다(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후술하다)
또 카드처리부(104)에서는 불입거래에 있어서의 불입처를 지정입력하기 위한 불입카드의 발행, 수납도 실시된다.
명세표처리부(105)는 통장을 지참하지 않은 이용자에 대하여 거래기록을 인자한 거래명세표를 발행한다.
이 거래명세표에 인자하는 인자정보는 거래제어장치(1A) (1B)에서 편집되고 점내 LAN(2), LAN 아답터(101)를 통하여 명세표처리부(105)로 송출되어 온다.
통장처리부(106)는 통장삽입구(22)에 삽입된 이용자가 지참하는 통장을 수납하고 거래기록등을 인자하여 변환한다.
이 거래기록은 거래제어장치(1A) (1B)에 의해 계산기센터(9)에 기록되어 있는 해당구좌정보의 조회를 실시하여 통장인자정보를 수신한다.
또 통장처리부(106)는 통장의 표지에 부착되어 있는 자기 스트라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자기정보의 판독, 기입도 실시한다.
이에 따라 자기카드를 지참하지 않는 이용자라도 통장만 있으면 각종 거래가 가능하다.
또한 통장처리부(106)는 인자하는 통장의 페이지가 가득차게 되어 인자행이 없어졌을 때에는 자동적으로 페이지를 넘기는 페이지 넘김기구와 통장의 최종 페이지까지 사용해 버린 경우에는 새로운 통장을 자동적으로 발행하는 통장 발행 기능등도 지니고 있다.
지폐처리부(107)는 이용자가 예금이나 불입을 위해 지참한 지폐를 계수하고 수납하는 입금기능과 이용자에 대해 지불이나 잔돈으로서 지폐를 지불하는 출금 기능이 있다.
또 지폐처리부(107)에는 계원이 지폐를 장전하거나 보충할때 계수하면서 수납하는 장전기능과 자동거래장치(3A~3B) 내부의 현금의 실재장수를 체크하기 위한 정밀조사 기능이 있다.
이 장전기능과 정밀조사 기능에 의해 자동거래장치(3A~3B) 내부의 현금관리를 확실히 실시할 수 있다.
이들 현금의 세트상황은 LAN 아답터(101), 점내 LAN(2)을 통하여 거래제어장치(1A) (1B)로 송출된다.
이들 현금정보는 거래제어장치(1A) (1B)에 기록되고 자동거래장치류를 상호 효율있게 운용함과 동시에 효율적인 현금운용을 산출하여 계원에 대해 적절한 현금보충이나 추출을 지시한다.
주화처리부(108)는 주화에 대하여 지폐처리부(107)와 같이 입금/출금기능과 장전 정밀조사 기능을 지니고 주화에 관한 현금관리를 실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예를 들어 자동거래장치(3A)를 이용한 이용자에 의한 거래의 실행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례로서 자기카드에 의한 지불거래를 설명한다.
우선 거래제어장치(1A)는 점내 LAN(2)을 통하여 자동거래장치(3A)의 각 처리부에 대해 거래실행이 가능한지 조회를 낸다.
자동거래장치(3A)의 각 처리부는 그 장치의 각 부에 대하여 이상이 없이 거래에 필요한 내장 명세표와 현금등이 충분히 세트되어 있는 것을 자동적으로 체크하여 이상이 없으면 거래제어장치(1A)에 대해 「거래기능」의 회답을 돌려준다.
또한 거래제어장치(1A)는 특정회선에 의해 접속된 계산기센터(9)에 의해 취급개시의 허가를 신청한다.
계산기센터(9)에서 「거래허가」가 지령되면 거래제어장치(1A)는 자동거래장치(3A)가 「거래기능」상태이면 자동거래장치(3A)에 의한 취급을 개시한다.
즉 자동거래장치(3A)의 고객조작부(103)에 대해 취급중표시를 지령함과 동시에 고객조작부(103)의 CRT 시부에 대해 「어서 오십시오, 거래보턴을 눌러주십시오, ……」를 표시한다.
또한 카드처리부(104), 통장처리부(106)에 대해 카드와 통장의 수납허가를 지령한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자동거래장치(3A)가 거래취급 가능하며 희망에 따라서 예금, 지불, 불임등의 거래를 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똑같이 하여 자동거래장치(3B), 기장기(4), 잔고조회기(5)등의 자동거래장치류를 취급상태로 한다.
다음으로 거래제어장치(1A) (1B)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4 도는 거래제어장치(1A) (1B)의 외관도이다.
거래제어장치(1A) (1B)에는 플래즈마 디스플레이에 의한 표시부(201)가 있고 각 자동거래장치류의 가동상황등이 표시되어 있다.
또 표시부(201)의 하측에는 범용키(202)가 배치되어 있고 계원에 의한 통상의 업무에 있어서의 조작이나 표시부(201)의 표시내용의 전환등은 이 범용키(202)에 의해 입력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표시부(201)의 화면 하부에는 범용키(202)의 각 키마다의 위치에 대응하여 각 키의 기능이 표시되어 있다.
이 표시에 따라서 대응하는 키를 누름에 따라서 소정 기능의 선택이나 입력이 가능하다.
범용키(202)의 각 키마다의 기능은 필요에 따라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며 전환에 대응하여 표시부(201)의 화면 하부의 표시도 전환된다.
키보드(203)는 통상은 조작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특별한 경우 이 거래제어장치(1A) (1B)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조건을 바꿔 쓰거나 자동거래장치류에 대하여 특별한 지령을 내는 경우등에 이 키보드(203)를 유효하게 하고 이 키보드(203)에서 입력할 수 있다.
단표인자부(204)는 계원이 단표를 세트하고 필요한 인자정보를 인자하는 것이다.
이 단표에는 계원의 범용키(202)에 의한 조작에 의해 각 자동거래장치류의 가동상황과 현금과 매체등의 잔량정보가 인자된다.
카드판독부(205)는 계원이 지참하는 자기카드를 손으로 삽입하여 슬라이드함에 따라 자기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자기정보를 판독한다.
이 경우 그 자기카드등이 있으며 각각의 자기카드에 의해 표시부(201)에 표시되는 냉용과 조작가능한 메뉴등이 전환된다.
즉 자기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자기정보중 카드번호는 그 카드분류마다 미리 등록되어 있다.
그래서 거래제어장치(1A) (1B)는 판독한 카드번호를 해독함에 따라 카드분류를 인식할 수 있고 내장하는 프로그램을 그 카드분류에 따라 전환한다.
카드판독부(205)에서 판독한 자기카드는 카드유지부(206)에 보관된다. 자기카드가 이 카드유지부(206)에 보관되어 있는 사이에는 그 카드판독부(205)에서 판독한 자기정보를 유효하게 하여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거래제어장치(1A) (1B) 프로그램의 교체와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발취를 위해 프로피디스크부(207)가 편입되어 있다.
제 5 도는 거래제어장치(1A) (1B)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주제어부(200)는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주제어부(200)에는 전술한 표시부(201), 범용키(202), 키보드(203), 단표인자부(204), 카드판독부(205), 카드유지부(206), 프로피디스크부(207)가 접속됨과 동시에 주제어부(200)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프로그램기억부(208), 프로그램을 실행하면서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기억부(209)가 접속되어 있다.
또 주제어부(200)에는 불기발성 메모리로서 하드디스크장치(201)가 접속되어 있고 프로그램기억부(208)에 기입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기억부(209)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중 필요한 데이터가 기입된다.
또한 하드디스크장치(210)에는 각 자동거래장치류에서 실행되는 거래의 거래기록이 기입된다.
또 주제어부(200)에는 모뎀(7A)을 통하여 계산기센터(9)와 특정회선에 의해 접속하기 위한 모뎀인터페이스부(211), NCU 모뎀(10A)을 통하여 감시센터(12)와 패트롤차(13)와 서비스센터(14)와 공중회선(11)에 의해 접속하기 위한 모뎀인터페이스부(212)가 있다.
이들 모뎀인터페이스(211) (212)는 주제어부(200)의 지시에 기인하여 주제어부(200)에서 송출되는 데이터를 모뎀(7A)과 NCU 모뎀(10A)에 대해 소정순서에 따라서 출력제어하거나 모뎀(7A), NCU 모뎀(10A)을 통하여 계산기센터(9), 감시센터(12), 패트롤차(13), 서비스센터(14)에서 보내져오는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고 주제어부(200)로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또 주제어부(200)에는 점내 LAN(2)에 접속하기 위한 LAN 인터페이스부(213)가 접속되어 있으며 점내 LAN(2)에 접속된 자동거래장치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한다.
또한 주제어부(200)에는 외부인자부 인터페이스부(214)가 접속되어 있고 별도 설치되어 있는 인자장치에 대하여 내장하는 단표인자부(204)에서는 인자할 수 없는 대량의 인자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게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있어서 자동거래장치류에 의한 거래의 일례로서 예를들어 자동거래장치(3A)로 예금의 지불(출금)을 실시하고자 하는 이용자는 자기카드와 통장을 지참한다.
이용하는 우선 자동거래장치(3A)의 고객조작부(103)의 CRT 표시부(27)에 표시된 조작안내에 따라서 거래조작을 실시한다.
즉 고객조작부(103)의 터치패널에 의해 지불거래의 실행을 지정한다. 고객조작부(103)는 터치패널에 의해 지불거래가 지정된 것을 LAN 아답터(101), 점내 LAN(2)을 통하여 거래제어장치(1A)에 통지한다.
거래제어장치(1A)는 프로그램기억부(208)에 미리 기억하고 있는 거래프로그램에 따라서 지불거래를 개시한다.
즉 거래제어장치(1A)는 점내 LAN(2)을 통하여 자동거래장치(3A)의 고객조작부(103)에 대해 자기카드를 삽입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시킴과 동시에 자동거래장치(3A)의 카드처리부(104)에 대해 고객의 자기카드를 접수하여 자기카드에 관한 소정체크를 실시한 후 자기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자기정보를 판독하고, 정상이면 자기정보를 거래제어장치(1A)에 보고하도록 지령을 낸다.
카드처리부(104)는 고객으로부터 자기카드를 접속하여 그 자기정보를 판독하면 거래제어장치(1A)에 자기 정보를 보고한다.
다음으로 똑같이 해서 거래제어장치(1A)는 통장처리부(106)에 대해 통장의 접수를 지령한다.
만일 이용자가 통장을 지참하지 않은 경우 이용자는 고객조작부(103)의 터치패널에 의해 통장없음을 입력한다.
또한 거래제어장치(1A)는 자동거래장치(3A)의 고객조작부(103)에 대해 비밀번호와 지불금액의 입력을 실시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시키고 비밀번호가 지불금액을 입력시킨다.
이들 자기정보와 비밀번호등의 입력정보는 거래제어장치(1A)의 데이타 기억부(209)에 기억된다.
그리고 이들 정보의 입력이 종료하면 거래제어장치(1A)는 모뎀(7A)을 통하여 계산기센터(9)에 대해 거래정보를 송신함과 동시에 하드디스크장치(210)에 기억한다.
계산기센터(9)에서 거래허가를 수신하면 거래제어장치(1A)는 하드디스크장치(210)에 계산기센터(9)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억함과 동시에 자동거래장치(3A)의 지폐처리부(107)에 지폐의 지불을 지령하고, 또한 통장처리부(106)에 대해 통장으로의 거래정보인자를 지령한다.
또 통장을 지침하지 않은 이용자에 대해서는 명세표처리부(105)에 대해 거래기록을 명세표에 인자하여 이용자에게 방출하도록 지령한다.
이들이 정상으로 완료되면 이용자에 대해 자기카드, 명세표 및 통장을 방출함과 동시에 지폐(및 주화)를 방출하여 거래를 종료한다.
이상 똑같이 해서 예금(입금), 공공요금의 불입, 잔고조회, 통장기입등의 거래가 실행된다.
여기에서 거래정보의 하드디스크장치(210)로의 기억순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거래제어장치(1A)는 각 자동거래장치에서의 거래정보와 계산기센터(9)에서의 거래정보중 기록으로서 남아야만 하는 정보를 하드디스크장치(210)에 기억한다.
하드디스크장치(210)의 기억부는 복수로 분할하여 사용된다.
하드디스크장치(210)의 기억되는 정보에 각 자동거래장치마다의 거래기록은 물론이고 각 자동거래장치 마다의 지폐와 주화의 잔량 및 그 내역, 또한 자동거래장치류의 보수상황의 이력등이 있다.
이들 정보는 하드디스크장치(210)의 기억부가 각각의 정보마다 미리 분할되어 있고 각각의 정보마다 소정 기억부에 기억된다.
각 거래마다 거래정보가 하드디스크장치(210)에 기억되지만 이 정보는 거래가 완료되면 타이밍에서 동일한 점내 LAN(2)에 접속된 거래제어장치(1B)의 하드디스크장치(210)에도 기억된다.
이에따라 만일 거래제어장치(1A)의 하드디스크장치(210)에 장해가 발생하여 기억되어 있던 거래정보를 판독할 수 없게된 경우 거래제어장치(1B)의 하드디스크장치(210)에도 똑같은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거래제어장치(1B)의 정보에 기인하여 거래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거래정보는 거래도중에서 차례로 거래제어장치(1A)의 하드디스크장치(210)에 기억되지만 이 거래정보는 확실히 거래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한 시점에서 점내 LAN(2)을 통하여 거래제어장치(1B)의 하드디스크장치(210)에 전송된다.
즉 예를들어 자동거래장치(3A)에서 지불거래를 실행하는 경우 지폐처리부(107)에서 지폐추출중에 만일 지페잼이 발생하면 그 거래처리는 속행할 수 없다.
이와같은 경우 거래제어장치(1A)는 계산기센터(9)에 대해 거래의 소멸을 보고한다.
이와같은 거래도중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거래정보가 여러가지로 변화하고 증가해간다.
이들 정보가 발생할때마다 다른쪽 거래제어장치(1B)에 전송되어 있으면 점내 LAN(2)의 트래픽이 증가해 버린다.
점내 LAN(2)의 트래픽이 증가하면 자동거래장치(3A~3B)와 거래제어장치(1A) (1B) 사이의 데이타와 지령에 기다림이 발생하고, 특히 이용자의 조작에 대한 응답성이 나빠진다.
그래서 한쪽의 거래제어장치(1A)에서 거래가 실행되어 거래정보가 하드디스크장치(210)에 기억되지만 다른쪽의 거래제어장치(1B)에 거래정보가 전송되는 타이밍은 거래의 정보에 관한 모든것이 구비된 시점, 즉 모든 매체가 이용자에게 반환되어 이용자가 모든 매체를 빼낸 시점 이후에 거래제어장치(1A)에서 점내 LAN(2)을 통하여 거래제어장치(1B)에 전송된다.
이에따라 점내 LAN(2)의 트래픽량을 감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자동거래장치(3A~3B)의 응답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거래정보를 2개소(거래제어장치(1A)(1B))에서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장해등에 의해 데이터가 소멸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거래정보의 교환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똑같은 순서로 지폐와 주화, 명세표등의 자동거래장치에 세트되어 있는 각종 매체상황이나 자동거래장치마다의 취급종목등의 가동상황에 대해서도 항상 정보교환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거래제어장치와 자동거래장치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점내 LAN(2)에는 2개의 거래제어장치(1A) (1B)에 대해 복수대의 자동거래장치마다 관리하는 자동거래장치는 미리 결정되어 있다.
즉 각 거래제어장치마다 관리해야하는 자동거래장치가 등록되어 있고 각 자동거래장치에 있어서의 거래처리의 실행은 해당하는 거래제어장치에 의해 실행된다.
그런데 예를들어 서비스센터(14)에서 거래제어장치(1A)에 장해데이터등의 가동상황의 보고가 지령된 경우 거래제어장치(1A)는 관리하에 있는 자동거래장치의 가동상황을 NCU 모뎀(10A)을 통하여 서비스센터(14)에 보고한다.
이 가동상황은 장기간(1개월~3개월)에 걸쳐서, 또한 관리하의 복수대의 데이터이기 때문에 데이터량이 많고 보고를 개시하고부터 완료하기까지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이 사이에 거래가 실시되면 자동거래장치의 응답성이 나빠져 버린다. 그래서 거래제어장치(1A)는 또하나의 거래제어장치(1B)에 대해 관리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와같이 서비스센터(14)에서 이동상황의 보고지령이 오면 거래제어장치(1A)는 거래제어장치(1B)에 대해 점내 LAN(2)을 통해 자동거래장치의 관리를 일시적으로 이관하는 지령을 낸다.
전술한 바와같이 각 자동거래장치(3A~3B)의 거래운용상황은 2가지의 거래제어장치(1A) (1B) 사이에서 항상 교환되어 언제라도 동일한 정보를 지니고 있다.
그래서 거래제어장치(1B)는 언제라도 자동거래장치의 관리가 이관되면 그 자리에서 관리를 인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자동거래장치(3A)에서 거래가 실행되었을때 그때까지는 거래제어장치(1A)의 제어하에 거래처리를 실시해 왔지만, 이 이관이 실시된 후에는 거래제어장치(1B)에 제어되어 거래처리가 실행된다.
이에따라 거래제어장치(1A)가 서비스센터(14)에 대해 대량의 가동상황을 전송하고 있는 사이에도 자동거래장치(3A~3B)는 동작을 정지하는 일없이 거래처리를 속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일시적으로 한가지의 거래제어장치에 의해 관리되는 자동거래장치의 수는 2가지로 되어버리기 때문에 자동거래장치의 응답성이 나빠질 염려가 있다. 그런데 거래제어장치에 관리되는 자동거래장치의 수는 자동거래장치가 풀가동 했을 때에도 응답성에 지장없도록 준비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거래장치가 풀가동하지 않는 시간대를 선택하여 서비스센터(14)에서 지령을 냄에 따라 한가지의 거래제어장치에서도 충분히 응답성을 떨어뜨리지 않고 자동거래장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여기에서는 거래제어장치(1A) (1B)에서 서비스센터(14)에 대해 가동상황을 전송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와같이 자동거래장치의 관리를 또하나의 거래제어장치에 이관하는 경우에는 예를들어 거래제어장치에 신규 프로그램을 추가 편입하는 경우등 서비스센터(14)에서 거래제어장치에 추가하는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경우등에 대해서도 똑같이 거래제어장치가 프로그램의 전송, 교체를 실시하고 있는 사이 자동거래장치의 관리를 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거래제어장치(1A) (1B)는 서로 가동상황을 감시하고 있다.
즉 거래제어장치(1A) (1B)는 점내 LAN(2)을 통하여 소정시간마다 서로 상대에 대하여 정상으로 가동하고 있는 것을 조회한다.
이 조회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상대의 거래제어장치가 정상으로 가동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그런데 한번 조회를 의회하여 정상으로 판단한 후 소정시간 이내에 상대의 거래제어장치에서 거래정보등 정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정보가 전송되어 왔을 경우에는 그 시점에서 상대의 거래제어장치는 정상으로 가동하고 있다고 판단하다.
그리고 소정시간의 측정을 다시한번 설정한다.
따라서 소정시간 이내에 정상가동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정보가 상대의 거래제어장치에서 전송되어오는 경우에는 정상으로 가동하고 있는지 아닌지의 조회는 실시하지 않는다.
제 6 도에 거래제어장치간에 있어서의 조회상황에 대하여 나타낸다.
거래제어장치(1A)는 상대의 거래제어장치(1B)에 대해 가동조회를 의뢰한다.
거래제어장치(1B)는 정상응답을 반환함과 동시에 감시타이머를 스타트한다.
거래제어장치(1A)는 거래제어장치(1B)에서의 정상응답을 수신하면 감시타이머를 스타트한다.
거래제어장치(1A)는 감시타이머가 타임아웃이 되기전에 거래제어장치(1B)에서 거래정보를 수신하면 다시한번 감시타이머를 스타트한다.
거래제어장치(1A)는 거래제어장치(1B)에 대해 거래정보를 정상으로 수신한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수신응답을 거래제어장치(1B)에 반환한다.
거래제어장치(1B)는 수신응답을 받으면 감시타이머를 다시한번 스타트한다.
서로 거래처리등이 실행되지 않으면 거래제어장치(1A)의 감시타이머가 타임아웃이 된다.
그러면 거래제어장치(1A)는 거래제어장치(1B)에 대해 가동조회를 송출한다.
거래제어장치(1B)는 정상이면 정상응답을 거래제어장치(1A)에 반환함과 동시에 감시타이머를 스타트한다.
거래제어장치(1A)는 거래제어장치(1B)에서의 정상응답을 수신하면 거래제어장치(1B)는 정상이라고 판정한 후 감시타이머를 스타트한다.
여기에서 거래제어장치(1B)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한다.
거래제어장치(1A)는 감시타이머가 타임아웃이 되면 거래제어장치(1B)에 대해 가동조회를 송출한다.
그런데 거래제어장치(1B)는 이상이기 때문에 정상응답을 반환할 수 없다. 그리고 거래제어장치(1A)는 거래제어장치(1B)가 정상으로 가동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거래제어장치(1A)는 거래제어장치(1B)가 정상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거래제어장치(1A)의 표시부(201)에 거래제어장치(1B)가 이상인 것을 표시함과 동시에 거래제어장치(1B)가 관리하고 있는 자동거래장치의 제어를 실행한다.
이때 거래제어장치(1B)에 관리되어 있는 자동거래장치는 거래처리도중인 경우가 있다.
이때문에 거래제어장치(1A)는 제어를 개시함과 동시에 각 자동거래장치에 대해 내부에 매체가 잔류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조회한다.
만일 매체가 잔류하고 있는 경우에는 매체의 이용자로의 반환을 지령한다. 또 현금이 잔류하고 있는 경우에는 지폐처리부(107)와 주화처리부(108)에 대해 입금도중인지 출금도중인지를 조회한다.
입금도중인 경우에는 현금을 반환하고 출금도중인 경우에는 현금을 회수할 것을 지령한다.
그리고 매체를 반환함과 동시에 이용자에 대해 다시한번 거래를 실행하도록 지시한다.
이에따라 아용자는 거래도중에 그때까지 제어를 실시하고 있던 거래제어장치(1B)가 장해가 되어도 거래를 취소하고 다시한번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장해가 발생해도 정상으로 거래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자동거래시스템에 의하면 예를들어 2개의 자동거래장치 제어수단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항상 서로의 자동거래장치의 가동상황에 대하여 통지하고, 제어수단의 동작을 일시 정지하는 경우에는 또 한쪽의 제어수단에 대해 자동거래장치의 제어를 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에따라 제어수단의 동작을 일시 정지할 때에는 또 하나의 제어수단이 대행하여 제어할 수 있게되어 자동거래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일없이 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동률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2)

  1.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소정의 거래를 실행하는 복수의 자동거래장치(3A) (3B)와, 이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서 상기 자동거래장치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1 및 제 2 제어수단(1A) (1B)과, 이들 제1 및 제 2 제어수단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수단(2)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제어수단(1A)은 자동거래장치의 제어가 불가능하게 되었을때 상기 접속수단(2)을 통하여 상기 제 2 제어수단(1B)에 대해 자동거래장치의 제어가 불가능하게 된 것을 통지하는 수단(200) (213)을 가지며, 상기 제 2 제어수단(1B)은 상기 제 1 제어수단(1A)에서의 통지를 받으면 상기 접속수단(2)을 통하여 상기 제 1 제어수단(1A)에 의한 자동거래장치의 제어를 대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 2 제어수단(1) (1B)은 자동거래장치의 가동상황에 관한 데이터를 접속수단(2)을 통하여 교환하고 있고, 이 데이터에 기인하여 자동거래장치의 제어를 대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시스템.
KR1019910008988A 1990-05-31 1991-05-31 자동거래시스템 KR9400058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2-139578 1990-05-31
JP13957890A JP2868843B2 (ja) 1990-05-31 1990-05-31 自動取引システム
JP2-139578 1990-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581A KR910020581A (ko) 1991-12-20
KR940005824B1 true KR940005824B1 (ko) 1994-06-23

Family

ID=15248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8988A KR940005824B1 (ko) 1990-05-31 1991-05-31 자동거래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868843B2 (ko)
KR (1) KR940005824B1 (ko)
GB (1) GB22445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22329A (zh) * 2009-05-14 2012-04-18 德利多富国际有限责任公司 对银行自动提款机的运行进行中央监控的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90255A5 (de) * 1995-05-17 2000-06-15 Eduard Derksen Geldausgabevorrichtung.
US5984178A (en) 1996-11-29 1999-11-16 Diebold, Incorporated Fault monitoring and notification system for automated banking machines
US6279826B1 (en) * 1996-11-29 2001-08-28 Diebold, Incorporated Fault monitoring and notification system for automated banking
WO1999057691A1 (fr) * 1997-03-28 1999-11-11 Sanyo Electric Co., Ltd. Distributeur automatique
US6496753B1 (en) 1998-04-30 2002-12-17 Fuji Electric Co., Ltd.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KR100368532B1 (ko) * 2000-02-28 2003-01-24 삼성물산 주식회사 인터넷상의 거래 지원 시스템
JP2003050884A (ja) * 2001-08-08 2003-02-21 Nippon Chushajo Kyukyu Service Kk 機械式駐車場の保守管理システム
JP4846444B2 (ja) * 2006-05-17 2011-12-28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監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1746B2 (ja) * 1977-04-28 1984-08-03 オムロン株式会社 取引処理方式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22329A (zh) * 2009-05-14 2012-04-18 德利多富国际有限责任公司 对银行自动提款机的运行进行中央监控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111790D0 (en) 1991-07-24
KR910020581A (ko) 1991-12-20
JPH0434641A (ja) 1992-02-05
JP2868843B2 (ja) 1999-03-10
GB2244584A (en) 1991-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2340B1 (ko) 자동 거래장치
JPH0217827B2 (ko)
JP2726551B2 (ja) 現金処理システム
KR940005824B1 (ko) 자동거래시스템
US7234635B2 (en) Transaction degradation processing method for automated transaction apparatus, system for same, and administration server for same
JP2004164209A (ja) 自動取引システム
JP4469311B2 (ja) 警送ルート立案システム
JP3037011B2 (ja) 自動取引装置監視システム
JP3761927B2 (ja) 自動取引装置
JPH0562053A (ja) 自動取引装置
JPH0660101A (ja) 自動取引装置
JP6342321B2 (ja) 発券機およびサーバ
JP3204928B2 (ja) 現金処理システム
JPH04111062A (ja) 自動取引装置
JP3032095B2 (ja) 現金統合管理システム
JP2983506B2 (ja) 現金統合管理システム
JPH0430630B2 (ko)
JPH09153169A (ja) 自動取引装置の現金運用管理システム
JP3365546B2 (ja) 自動取引装置および自動取引装置システム
JP2714371B2 (ja) 現金処理システム
JPH0217826B2 (ko)
JPH0744637A (ja) 自動取引システム
JPH0416817B2 (ko)
JPH09171576A (ja) 現金統合管理システム
JPH01258065A (ja) 自動取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