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218B1 -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생 방법과 프로세스 카트리지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Remanufacturing Method for Process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생 방법과 프로세스 카트리지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Remanufacturing Method for Process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218B1
KR0136218B1 KR1019940015393A KR19940015393A KR0136218B1 KR 0136218 B1 KR0136218 B1 KR 0136218B1 KR 1019940015393 A KR1019940015393 A KR 1019940015393A KR 19940015393 A KR19940015393 A KR 19940015393A KR 0136218 B1 KR0136218 B1 KR 0136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frame
opening
process cartridge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5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430A (ko
Inventor
야스오 후지와라
히데시 가와구찌
히로아끼 미야께
요시야 노무라
겐지 마쯔다
Original Assignee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Canon Kabushiki kaisha)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47270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3621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Canon Kabushiki kaisha) filed Critical 미따라이 하지메
Publication of KR950001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2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Manufacturing or assembling, recycling, reuse, transportation, packaging or stor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4Reconditioning of the developer unit,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unit, e.g. resealing of the unit before refilling with ton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987Remanufacturing,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53Process cartridge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Nonmetallic Welding Materials (AREA)
  • Dram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생 방법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현상제를 조절하기 위한 현상제 조절부를 가진 제1 프레임과 상기 현상제 조절부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화상 보유 부재 쪽으로 운반하는 현상제 운반 부재를 가진 제2 프레임으로 분해하여, 상기 제1 프레임의 개구를 노출시켜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제2 프레임으로 현상제의 이동을 허용하는 단계와, 개구를 밀봉하는 밀봉부와 개구를 개방하기 위해 잡아 당겨서 상기 밀봉부의 일부인 잔류부를 상기 개구 주위에 남긴 채 파열될 수 있게 하는 연장부를 갖고 있고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사용 완료된 덮개 부재로부터 발생하여 개구 주위에 잔류하는 잔류부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개구를 밀봉 하기 위해 신규 덮개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현상제 조절부에 신규 현상제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로세서 카트리지의 재생 방법과 프로세스 카트리지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
제1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포하하는 일반적 구조를 도시하는 레이저 프린터와 화상 형성 장치의 대표적인 예의 단면도.
제2도는 레이저 프린터의 외관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제4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관 사시도.
제5도는 저면에서 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관 사시도.
제6도는 상하부 프레임으로나뉘어진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제7도는 하부 프레임의 내부 사시도.
제8도는 상부 프레임의 내부 사시도.
제9도는 감광 드럼의 단면도.
제10도 a 및 b는 감광 드럼의 한 단부에 부착된 플랜지 기어부를 도시한 도면.
제11도는 드럼 접지 접점의 사시도.
제12도는 드럼 접지 접점의 사시도.
제13도는 분기 아암과 접촉하는 드럼 접지 접점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감광 드럼의 단부의 부분 절결도.
제14도는 분기 아암과 접촉하지 않는 드럼 접지 접점을 포함하는 실시예의 단면도.
제15도는 드럼 축에 인접한 구역의 확대 사시도.
제16도 a 및 b는 드럼 축을 프레임으로부터 인출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17도 a 및 b는 대전 롤러와 인접 기본 부품의 확대 측면도.
제18도는 대전 롤러와 인접 기본 부품의 확대 정면도.
제19도 a 및 b는 대전 롤러 베어링의 사시도.
제20도는 제3도의 A-A선에 따라 취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제21도는 제3도의 B-B선에 따라 취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제22도는 감광 드럼과 현상 슬리브 사이의 위치 관계와 현상 스리브 가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제23도 a 및 b는 각각 제22도의 AA-AA선 단면도 및 BB-BB선 단면도.
제24도는 종래의 슬리브 베어링이 미끄러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25도 a 및 b는 현상 슬리브와 슬리브 기어 사이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
제26도는 받침 시트의 선단 웨이브의 사시도.
제27도 a,b 및 c는 받침 시트의 부착 방법을 도시한 도면.
제28도 a 및 b는 받침 시트의 부착 방법을 도시한 도면.
제29도는 받침 시트의 사시도.
제30도는 받침 시트의 부착방법을 도시한 도면.
제31도는 클리닝 블레이드 지지 부재와 상부 프레임상에 제공된 리브 사이의 접촉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32도 a 및 b는 클리닝 블레이드 지지 부재와 상부 프레임상에 제공된 리브 사이의 접촉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33도는 토너의 평균 입경의 정상 분포 곡선.
제34도는 블레이드 침입량 및 블레이드 침입량 및 블레이드 설치 각의 크기를 설명하는 도면.
제35도는 블레이드 접촉 압력을 측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제36도는 블레이드 날과 토너 평균 입경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표.
제37도는 하부 프레임의 내부 평면도.
제38도는 상부 프레임의 내부 평면도.
제39도는 하부 프레임의 하면이 기록 매체를 안내하는 데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40도는 셔터 기구의 사시도.
제41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관 측면도.
제42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관 저면도.
제43도 a 내지 제43도 b는 셔터 축 유지 부재의 평면도 및 그 사시도.
제44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관 평면도.
제45도는 감광 드럼의 조립 결과를 도시한 도면.
제46도는 현상 슬리브의 단부에 토너가 부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47도는 현상 슬리브 설치면의 성형 형상을 도시한 도면.
제48도는 현상 블레이드와 클리닝 블레이드가 부착된 실시예의 단면도.
제49도는 클리닝 블레이드의 단부에 배치된 밀봉 부재의 평면도.
제50도는 클리닝 블레이드의 단부에 배치된 밀봉 부재와 감광 드럼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51도는 클리닝 블레이드의 단부에 배치된 밀봉 부재 상에 피복된 윤활제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52도는 현상 블레이드의 단부에 배치된 밀봉 부재의 평면도.
제53도는 현상 블레이드의 한 단부에 배치된 밀봉 부재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제54도는 감광 드럼을 프레임에 조립할 때 안내 부재가 부착되는 위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55도는 블레이드 지지 부재의 한 단부에 배치된 드럼 안내 부재의 단면도.
제56도 a 및 b는 클리닝 블레이드와 감광 드럼 사이의 접촉면의 윤활제를 도시한 개략도.
제57도는 감광 드럼 베어링과 현상 슬리브 베어링이 프레임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58도는 토너 저장 개구 상에 파열 테이프를 구비한 카버 필름이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59도는 파열 테이프를 잡아당기는 부분에 부착된 시일 부재의 확대 단면도.
제60도 a 및 제60도 b는 가각 프로세스 카트리지 조립-장착 라인과 프로세스 카트리지 분해-클리닝 라인의 개략도.
제61도는 화상 형성 장치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제62도는 화상 형성 장치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제63도는 화상 형성 장치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제64도는 화상 형성 장치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제65도는 화상 형성 장치 내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위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66도는 감광 드럼에 부착된 기어 및 전기 접점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개략도.
제67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상에 작용하는 힘을 도시한 도면.
제68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측의 돌기에 대한 회전 운동을 설명하는 도면.
제69도는 상부 뚜껑이 개방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70도는 상하부 프레임을 분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제71도는 감광 드럼의 한 단부에 부착된 플랜지 기어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 단면도.
제72도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축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 단면도.
제73도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베어링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74도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베어링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7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7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77도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78도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79도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80도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8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8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83도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84도는 셔터 기구를 개방 상태에서 로킹하는 로킹 기구를 구비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85도는 셔터 기구를 기초로 한 가압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장치용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제86도는 셔터 기구를 기초로 한 가압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장치용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제87도 a 및 b는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하는 초기 단계를 도시한 셔터 기구를 기초로 한 가압 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및 평면도.
제88도 a 및 b는 카트리지 주 조립체를 케이스로부터 인출하는 단계를 도시한 셔터 기구를 기초로 한 가압 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및 평면도.
제89도는 셔터 기구를 기초로 한 가압 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로킹 레버 기구의 평면도.
제90도 a, b 및 c는 셔터 기구를 기초로 한 가압 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로킹 레버의 자세를 도시한 도면.
제91도는 덮개 필름을 제거한 상태의 토너 저장소 개구를 도시한 사시도.
제92도 a 내지 b는 파열 테이프 및 덮개 필름의 층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제93도 a 및 b는 토너 저장소 개구에 인접한 잔여 필름을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제94도는 개구에 덮개 필름 또는 파열 테이프를 재장착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제95도는 개구에 덮개 필름 또는 파열 테이프를 재장착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제96도는 토너 저장소 또는 용기안에 토너를 공급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제 97도는 카트리지의 장착시에 카트리지의 전방 하부 부분의 결합 부분에 의해 전사 롤러의 하량 이동을 도시한 도면.
제98도는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부재와 프레임 장착부의 전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화상 형성 장치B : 프로세스 카트리지
1 : 장치 주 조립체2 : 설치 공간
3 : 광학 시스템4 : 카세트
5 : 기록 매체 반송 수단6 : 전사 수단(전사 롤러)
7 : 정착 수단 8 : 방출 트레이
9 : 감광 드럼10 : 대전 수단(대전 롤러)
11 : 노광 수단12 : 현상 수단
13 : 클리닝 수단14 : 상부 프레임
15 : 하부 프레임16 : 베어링 부재
17 : 전달 수단20 : 교반 기어
24 : 셔터 기구
본 발명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생 또는 재활용 방법과 프로세스 카트리지 그리고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는 레이저 비임 프린터, 광다이오드 프린터, 전자 사진 복사기, 팩시밀리, 워드프로세서등을 포함한다.
프린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 드럼이 그 위에 잠상이 형성되도록 빛에 선택적으로 노출되고, 잠상은 토너에 의해 토너 화상으로 가시화되고 토너화상은 기록 재료로 전사된다. 이러한 장치의 다양한 부품의 유지 보수는 전문 서비스맨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고 사용자는 불편을 겪게 된다.
불편을 피하기 위해 감광 드럼, 대전 수단, 현상 수단, 클리닝 수단 등이 하나의 카트리지로 일체화된다.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의 카트리지의 로딩에 의해 토너 공급과 사용 수명에 도달한 화상 보유 부재와 같은 부품 교환이 이루어져(프로세스 타트리지 시스템의) 용이한 유지 보수를 가능하게 한다. 프로세스 타트리지 시스템은 미합중국 특허 제3,985,436호, 제 4,500,195호, 제4,540,268호, 제 4,627,701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일정 주기로 서비스맨에 의해 보수 작업을 할 필요없이 간단히 카트리지를 교환함으로써 스스로 효과적인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토너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복사기 및 프린터 등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생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사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재생하여 효과적인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생 방법과 프로세스 카트리지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생 방법과 프로세스 카트리지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환경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생 방법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1]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 서명}
우선,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적 구조를 설명한다. 제1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구비한 레이저 프린터의 단면도로서 그 일반적 구조를 도시한다. 제2도는 이런 레이저 프린터의 외관 사시도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이 화상 형성 장치(A)는 장치의 주 조립체(1) 내의 카트리지 설치 공간(2)에 배치된 교환식 카트리지(B)를 포함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화상 보유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처리 수단을 포함한다. 장치의 주 조립체(1) 내에서, 광학 시스템(3)은 상부에 배치되어 있고 카세트(4)는 하부에배치된 카세트 장착 공간(1a) 내에 배치되어 있다. 광학 시스템(3)은 외부 장치 등에 의해 제공된 화상 정보를 보유하는 광 비임을 프로세스 카트리지(B)내의 화상 보유 부재 상에 투사하고, 카세트(4)는 기록 매체를 유지한다. 카세트(4)내의 기록 매체는 기록 매체 운반 수단(5)에 의해 하나씩 분배된다. 또, 장치의 주 조립체(1) 내에서, 장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화상 보유 부재에 마주하여 전사 수단(6)이 배치된다. 전사 수단은 화상 보유 부재 상에 형성된 화상을 전사하고 현상제(이하 토너라 함)에 의해 기록 매체 상에 현상시킨다. 기록 매체가 반송되는 방향에 대해 전사 수단(6)의 하류측에는 기록 매체 상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정착하는 정착 수단(7)이 배치된다. 토너 화상이 정착된 기록 매체는 반송수단(5)에 의해 장치의 상부에 배치된 방출 트레이(8)로 방출된다.
{화상 형성 장치}
다음에, 화상 형성 장치(A)의 구조를 광학 시스템(3), 기록 매체 반송 수단, 전사 수단(6) 및 정착 수단(7)에 대해 이 순서로 설명한다.
{광학 시스템}
광학 시스템은 외부 장치 등에 의해 제공된 화상 정보를 보유하는 광 비임을 화상 보유 부재에 투사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시스템은 장치의 주 조립체(1) 내에 배치된 스캐너 유니트(3e)와 미러(3f)를 포함하며, 상기 스캐너 유니트(3e)는 레이저 다이오드(3a), 다각형 미러(3b), 스캐너 모터(3c) 및 화상 형성 렌즈(3d)를 구비한다.
화상 신호가 컴퓨터나 워드 프로세서 같은 외부 장비에 의해 보내져 오면 레이저 다이오드(3a)는 화상 신호에 응답하여 발광하고, 방출된 광은 스캐너 모터(3c)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는 다각형 미러(3d)에 화상 비임으로서 투사된다.
다각형 미러(3b)에 의해 반사된 화상 비임은 화상 형성 렌즈(3d)를 통해 투사되고 미러(3f)에 의해 화상 보유 부재 상에 반사된다. 결국, 화상 형성에 따른 잠상이 화상 보유 부재 상에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스캐너 유니트(3e)는 약간 상향으로 경사져서 화상 형성 렌즈(3d)를 통해 전달된 광 비임이 미러(3f)를 향해 약간 상향으로 투사되도록 되어 있다. 레이저 비임의 투사 수단인 스캐너 유니트(3e)에는 레이저 비임 통로를 차단하여 레이저 비임이 뜻하지 않게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폐쇄 자세와 스캐너 사용중에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후퇴하여 레이저 비임 통로를 차단하지 않는 개방 자세를 취하는 레이저 셔터(3g)가 제공되어 있다.
(기록 매체 반송 수단)
기록 매체 반송수단(5)는 카세트 내에 수용된 기록 매체를 하나씩 화상 형성 스테이션으로 공급하고 또 정착 수단(7)을 통해 방출 트레이(8)로 반송한다. 카세트(4)는 장치 주 조립체(1)의 하부의 전체 길이에 거쳐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는 장치의 주 조립체(1)로부터 화살표 a방향으로 핸들(4a)에 의해 장치의 주 조립체(1)의 카세트 설치 공간(1a)으로 밀어넣어지거나 그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카세트(4)는 축(4b)에 대해 피봇하도록 스프링(4d)에 의해 상향 가압되는 장전판(4c)을 구비한다. 기록 매체가 이 장전판(4c)상에 장착되면 기록 매체 반송 방향에 대해 기록 매체의 선단은 분리 갈고리(4e)와 접촉한다.
카세트 장착 후에 카세트(4)내의 기록 매체는 상부로부터 하나씩 분리되어 회전 픽업 롤러(5a)에 의해 카세트로부터 반송되어 나온다. 카세트로부터 반송되어 나온 기록 매체는 역전 롤러(5b), 가이드(5c), 롤러(5d) 등을 구비한 제1역전 시트 통로를 통해 반송되어 화상 형성 스테이션으로 분배된다. 이때, 기록 매체는 화상 보유 부재 및 화상 형성 스테이션 내의 전사 롤러(6)에 의해 형성된 압력 닙으로 공급된다. 이 압력 닙에서, 화상 보유 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화상은 기록 매체 상에 전사된다. 토너 화상을 수용한 기록 매체는 카버 가이드(5e)에 의해 안내되고 정착 수단(7)으로 반송되어 토너 화상이 기록 매체 상에 정착된다. 정착 수단(7)을 통과한 후, 기록 매체는 릴레이 롤러(5f)를 거쳐 활 모양의 제2 역전 통로(5g)로 반송된다. 이 제2 역전 통로를 통과하는 동안, 기록 매체는 다시 역전되고 방출 개구(8a)로부터 한 쌍의 롤러 (5h, 5i)에 의해 스캐너 유니트(3e)와 장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B) 상방에 위치한 방출 트레이(8)로 방출된다.
이 실시예에서 기록 매체 반송 통로는 제1 및 제2 역전 통로에 의해 이루어지는 소위 S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런 배치는 이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감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화상 보유면을 하향으로 한 채 정상 순번대로 기록 매체를 방출 트레이(8)에 적충시킬 수 있다.
(전사 수단)
전사 수단(6)은 화상 형성 스테이션 내의 화상 보유 부재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 상에 전사한다. 이 실시예에서 전사 수단(6)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사 롤러(6)으로 구성된다. 전사 롤러(6)은 장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화상 보유 부재 상에 기록 매체를 가압한다. 기록 매체가 화상 보유 부재 상에 가압되는 상태에서 토너 화상에 반대의 극성을 갖는 전압이 전사 롤러(6)에 인가되어 화상 보유 부재 상의 토너 화상은 기록 매체 상에 전사된다.
전사 롤러(6)은 스프링(6b)로부터 압력을 받는 베어링(6a)에 의해 지지되어 화상 보유 뷰재 상에 가압된다. 기록 매체 반송 방향에 대해 전사 롤러(6)의 상류측에는 기록 매체가 화상 보유 부재와 전사 롤러(6) 사이의 닙으로 들어갈 때 기록 매체를 안정시키고 동시에 토너가 흩어지지 않도록 전사 롤러(6)의 표면을 보호하는 안내 부재(6c)가 제공되어 있다. 화상 보유 부재와 전사 롤러(6) 사이의 닙을 통과한 후 기록 매체는 수평 방향에 대해 약 20도 정도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하방으로 반송되어 화상 보유 부재로부터 확실히 분리될 수 있다.
(정착 수단)
정착 수단(7)은 전사 롤러(6)에 전압을 인가하여 기록 매체 상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정착시킨다. 그 구조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정착 수단(7)에서, 참고 부호 7a는 거의 반원형인 횡단면을 갖는 홈통형의 내열 필름 안내 부재를 가리킨다. 이 안내 부재(7a)의 하방에는 평판형 저열용량 세라믹 히터(7b)가 배치되고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연장된다. 또, 안내 부재(7a) 주위에는 내열 수지로 된 원통형(무한) 박막(7c)가 헐겁게 끼워져 있다. 이 필름(7c)는 세 개의 층, 즉 약 50㎛ 두께의 폴리이미드 베이스층, 약 4㎛ 두께의 초벌층, 그리고 약 10㎛두께의 불소 피복층으로 구성된다. 베이스층 재료는 인장 강도가 높으며 필름상에 가해지는 응력이나 마모를 견딜 만큼 충분히 두껍다. 이 초벌층의 PTFE, PFA 및 카본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전기적으로 도전성이다.
또, 안내 부재(7a) 하방에는 가압 롤러(7d)가 스프링(도시 않음)에 의해 제공된 일정 압력으로 세라믹 히터(7b)와 접촉하여 배치되고 그 사이에 박막(7c)가 개재된다. 다시 말하면, 세라믹 히터(7b)와 가압 롤러(7d)는 정착 닙을 형성하고 박막(7c)가 그 사이에 개재된다. 가압 롤러(7d)는 금속 코어와 유연성 실리콘 고물 구성되며, 실리콘 고무는 그 주위면이 불소 코팅 되어 있다.
세라믹 히터(7b)는 전기가 인가도면 발열하며, 중앙 제어부의 온도 제어 시스템에 의해 예정된 정착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가압 롤러(7d)는 제1도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을로 소정의 주위 속도로 회전한다. 가압 롤러(7d)가 회전 구동되면 원통형 박막(7c)는 롤러(7d)와 박막(7c) 사이의 마찰에 의해 세라믹 히터(7b)의 하향 대향면 상에 견고하게 접촉한 채 미끄러지면서 제1도에 화살표 방향으로 박막 안내 부재(7a) 주위를 소정 주위 속도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화상 전사 공정을 거친 후에 기록 매체는 정착 수단(7)로 반송되고 거기서 입구 가이드(7f)에 의해 온도 제어 세라믹 히터(7b)와 압력 롤러(7d) 사이에 형성된 정착 닙으로 안내된다. 정착 닙에서, 기록 매체는 회전 구동되는 원통형 박막(7c)와 가압 롤러(7d) 사이로 공급되고 서로 적층되는 식으로 박막(7c)를 사이에 개재시키고 세라믹 히터(7b)의 하향 대향면 상에 견고하게 가압된 채 박막과 함께 닙을 통해 통과한다.
정착 닙을 통과하면서, 기록 매체 상에 정착되지 않은 토너 화상은 박막(7c)를 통하여 세라믹 히터(7b)로부터의 열을 받아 토너 화상이 기록 매체 상에 열 정착된다. 정착 닙을 빠져 나온 후, 기록 매체는 회전 박막(7c)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고, 출구 가이드(7g)에 의해 안내되고, 릴레이 롤러(5f)에 의해 더욱 반송되고, 제2 역전 시트 통로(5g)를 통과하고, 방출 롤러 쌍(5h, 5i)에 의해 방출 트레이(8)로 방출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다음에, 화상 형성 장치(A)에 설치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각 부분의 구조를 설명한다. 제3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로서 그 구조를 도시한다. 제4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로서 그 구조를 도시한다. 제4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관 사시도이다. 제5도는 저부측에서 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관 사시도이다. 제5도는 저부측에서 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관 사시도이다. 제6도는 상하부로 분리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제7도는 카트리지의 하반부의 내부 사시도이다. 제8도는 상반부의 내부 사시도이다.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화상 보유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처리 수단으로 구성된다. 처리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화상 보유 부재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 수단과, 화상 보유 부재 상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 수단과, 화상 보유 부재 표면으로부터 잔류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수단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 실시예의 프로세서 카트리지(B)는 화상 보유 부재로서의 감광 드럼, 대전 수단(10), 토너(현상제)를 포함하는 현상 수단(12), 및 클리닝 부재(13)를 포함하며, 상기 감광 드럼(9)는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한 처리 수단의 나머지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들 처리 수단은 하우징 내에 일체로 설치되며 상하부 프레임 부재(14 및 15)로 이루어져서 장치의 주 조립체(1)에 장착하거나 그로부터 인출할 수 있는 교환식 카트리지를 형성한다.
상부 프레임 부재(14)에는 대전 수단(10), 노광 수단(11), 현상 장치(12)의 토너 저장 수단이 제6도와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되고, 하부 프레임 부재(15)에는 감광 드럼(9), 현상 수단(12)의 현상 슬리브 및 클리닝 수단(13)이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된다. 다음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각 부분의 구조를 감광 드럼(9), 대전 수단(10), 노광 수단(11), 현상 수단(12) 및 클리닝 수단(13)에 대해 이 순서로 상세히 설명한다.
(감광 드럼)
감광 드럼의 구조
본 실시예의 감광 드럼(9)은 외경이 24㎜이고 두께 0.8㎜인 알루미늄의 원통 부재로 된 도전성 베이스 부재(9a)와 상기 도전성 부재(9a)의 주위 표면에 감광층으로서 도포된 유기 반도체(OPC)를 포함한다. 감광 드럼(9)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로부터드럼(9)의 한 단부에 고정된 플랜지 기어에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화상 형성 동작을 위해 회전되고 이때 드럼(9)의 다른 단부는 개방된다.
플랜지 기어
플랜지 기어는 외측에 배치된 헬리컬 기어(9c1)과 내측에 배치된 스퍼어 기어(9c2)의 두 기어를 포함하며, 기록 매체 반송 방향에 대해 좌측(구동측)단부에 고정된다. 이 플랜지 기어(9c)는 사출 성형에 의해 플라스틱 재료로 일체로 제조된다.
플랜지 기어(9c)의 재료로는 본 실시예에서 미끄럼 성능을 갖는 폴리아세탈이 사용되고 있지만 보통의 폴리아세탈이나 불화 폴리카보네이트도 사용할 수 있다.
플랜지 기어(9c)에 대해, 외측의 헬리컬 기어(9c1)과 내측의 스퍼어 기어(9c2)는 직경이 다르며, 본 실시예에서 헬리컬 기어(9c1)의 직경은 내측 상의 스퍼어 기어(9c2)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 헬리컬 기어(9c1)은 스퍼어 기어(9c2)보다 폭이 넓고 잇수가 많으므로 플랜지 기어(9c) 상에 큰 부하가 걸리더라도 주 조립체로부터의 구동력은 확실히 전달되어 감광 드럼(9)를 회전하도록 하고 큰 구동력을 전달하여 이 기어(9c)와 결합된 기어를 안정되게 회전시킨다.
스퍼어 기어(9c2)는 주 조립체에 제공된 기어와 결합하여 반송 롤러를 회전 시키는 구동력을 전달한다.
이하에 대표적인 기어에 관한 데이타를 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 헬리컬 기어(9c1)의 외경(z1) : 약 28.9㎜
(2) 스퍼어 기어(9c2)의 외경(z2) : 약 26.1㎜
(3) 헬리컬 기어(9c1)의 치폭(z3) : 약 7.7㎜
(4) 스퍼어 기어(9c2)의 치폭(z4) : 약 4.3㎜
(5) 헬리컬 기어(9c1)의 잇수(z5) : 33
(6) 스퍼어 기어(9c2)의 잇수(z6) : 30
(7) 헬리컬 기어(9c1)의 모듈(z7) : 0.8
(8) 스퍼어 기어(9c2)의 모듈(z8) : 0.8
(9) 헬리컬 기어(9c1)의 나선각 및 방향 : 우측 14.6°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 기어(9c)는 나란히 배치되어 이뿌리 하방을 중공부로 한 사출 성형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는 두 개의 기어(9c1및 9c2)를 포함하므로 플랜지 기어(9c)는 반경 방향으로 작용되는 힘에는 약하고 구동력이 전달될 때 가해지는 부하에 의해 변형되기 쉽다.
따라서, 이런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플랜지 기어(9c)의 중공부(9c3)에 보강 부재(9c4)가 억지 끼워 맞춤된다. 보강 부재(9c4)는 내주는 물론 외주에도 중공부(9c3) 내에 억지 끼움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자가 행한 실험에 따르면 억지 끼움 강도는 0 내지 50㎛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좋다. 이는 억지 끼움 상태가 상술한 범위 이상으로 커지면 이끝원 직경이 팽창되고 또 다른 문제도 일으키게 되고 또 상술한 범위 이하이면 기어 강도를 증가시키는 데 효과적이질 못하기 때문이다.
드럼 기어(플랜지 기어(9c))의 피치에 대응하는 화상에 나타나는 피치 불균일은 플랜지 기어(9c)의 중공부(9c3) 내의 보강 부재(9c4)에 의해 제거될 수 있음을 실험으로부터 확인하였다.
다음에, 감광 드럼(9)를 플랜지 기어(9c)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감광 드럼(9)와 플랜지(9c)는 특별한 공구에 의해 플랜지 기어(9c)의 홈(9c5) 상의 부분(9a1)(두 위치)에서 감광 드럼(9a)의 단부를 크림핑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크림핑은 두 위치에서 행해지지만 크림핑 위치의 갯수는 두 개로만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기본적으로는 두 부품이 플랜지 기어(9c) 상에 가해지는 부하를 충분히 극복할 수 있을 정도로 견고하게 서로 고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고정 수단을 채택함으로써, 아교를 사용하여 신회성이 저하되었던 종래의 고정 수단을 보다 신뢰성 있는 기계적 고정 수단으로 대체할 수 있게 된다.
드럼 접지 접점
제9도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감광 드럼(9)는 드럼(9)의 내주면과 접촉하도록 도전성 접지 접점(18a)를 배치하여 접지한다. 이 접지 접점(18a)는 플랜지 기어(9c)가 부착되는 곳의 대향 되는 상부 내면 상에 감광 드럼(9)와 접촉하여 배치된다.
접지 접점(18a)는 스텐레스 강 스프링 재료, 인청동 스프링 재료 등의 도전성 재료로 제조되며 감광 드럼(9)를 회전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16)의 드럼을 구동하지 않는 쪽에 부착된다. 제11도를 참조하여 그 구조를 보다 상세히 기술하면, 베어링 부재(16) 상에 제공된 보스 주위에 억지 끼움하는 구멍(18a2)가 베이스(18a1)을 통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에는 두 개의 아암(18a3)이 연장되며 그 각 단부에는 반구형 돌기(18a4)가 제공되어 있다. 이들 돌기는 아암의 각기 다른 부분에 배치되어 제11도의 배면을 행해 돌출한다.
베어링 부재(16)을 감광 드럼(9)에 부착할 때 이 접지 접점(18a)의 돌기 (18a4)는 아암(18a3)의 탄성력에 의해 감광 드럼(9)의 내면 상에 가압된다. 감광 드럼(9)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두 곳 이상으로 하면(본 실시예서는 두 곳임), 접지 접점(18a)의 신뢰성이 개선되며 또 실제 접점이 반구형 돌기(18a4)가 되므로 감광 드럼(9)와 접촉점(18a) 사이의 접촉을 더욱 안정시키게 된다.
상술한 접지 접점(18a)의 경우에, 아암(18a3)의 길이는 동일하며 반구형 돌기(18a4)의 위치만이 다르지만 그 대신에 접지 접점(18a)의 아암(18a3)의 길이를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경할 수도 있다. 이런 배치 구조는 반구형 돌기 (18a4)와 감광 드럼(9)사이의 접촉점이 원주 방향으로 서로 변위되므로 드럼(9)의 종방향으로 감광 드럼(9)의 내면 상에 작은 결함 등이 연장되는 경우에도 양반구형 돌기(18a4)가 동시에 결함 상에 걸리게 되는 일은 없다 결국, 감광 드럼(9)는 더욱 신회성 있게 접지된다. 그러나, 이런 후자의 배치의 경우에 아암의 길이 차이는 두 아암(18a3) 사이의 아암 변형량이 달라지게 하여 돌기(18a4)가 감광 드럼(9)의 내면과 접촉하는 두 개의 접촉 위치 사이의 접촉 압력이 달라지게 되지만 이렇게 되면 아암(18a3) 사이의 굽힘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쉽게 수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접지 접점(18a)는 두 개의 아암(18a3)를 갖지만 아암(18a3)의 갯수는 세 개 이상으로 할 수도 있고 접지 접점(18a)가 감광 드럼(9)와 신뢰성 있게 접촉하는 한 제13도 및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 하나(분기 없이)로 할 수도 있다. 또, 반구형 돌기 등을 갖지 않는 접지 접점 (18a)이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접지 접점(18a)가 감광 드럼(9)의 내면에 접촉하는 접촉 압력이 너무 약하면 반구형 돌기(18a4)는 감광 드럼의 내면 상의 미세한 불균일 표면을 추종할 수 없게 되어 접촉 불량을 일으키게 되고 또 아암(18a3)이 진동하여 소음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런 접촉 불량 및 진동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접촉 압력을 증가시켜야 하며 접촉 압력의 증가가 적절치 못하면 드럼 내면이 반구형 돌기(18a4)에 의해 긁히게 되고 화상 형성 장치는 작동 기간을 길게 할 수가 없다. 이 때 반구형 돌기(18a4)가 이런 긁힘 부위에 닿게 되면 진동이 발생하고 때로는 접촉 불량이나 진동 소음을 유발한다.
이런 요인들을 염두에 두고 감광 드럼(9)의 내면과 드럼 접지 접점(18a) 사이의 접촉 압력은 10 내지 200g 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가 행한 실험에 따르면 접촉 압력이 10g 이하일 때는 감광 드럼(9)가 회전할 때 접촉 불량이 발생하게 되고 다른 전자 장치들을 방해하는 전자파를 발생시키며, 화상 형성 장치를 200g 이상의 접촉 압력으로 오랜 기간동안 사용하게 되면 감광 드럼(9)의 내면은 접지 접점(8a)이 미끄러지는 부분에서 긁히고 감광 드럼 회전시에 이상한 소음이나 접촉 불량을 발생하게 된다.
감광 드럼(9)의 내면 상태로 인해 소음 등이 완전히 제거될 수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래도 드럼 내면 중 접지 접점(18a)가 미끄럼하는 부위에 도전성 그리이스를 도포하면 긁힘이나 접촉 불량은 보다 확실히 방지된다.
접지 접점(18a)가 감광 드럼(9)의 내면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9) 내면의 상부측[전사 롤러(6)과는 직경 방향 대향 위치]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는 감광 드럼(9)가 구동될 때 전사 롤러를 향해 힘이 작용하고 이 힘은 전사 롤러(6)를 향한 이동 여유(또는 마모)로 변한다. 따라서, 두 부품간의 접촉은 드럼 내면의 상부측에 접촉하도록 접지 접점(18a)을 배치함으로써 보다 신뢰성이 증대된다.
드럼 축
제 9도를 참조하면 감광 드럼(9)는 구동측의 금속 드럼 축(9d)와 비구동측의 베어링 부재(16)의 베어링(16a)에 의해 회전 지지된다. 다음에, 제15도를 참조하면 드럼 축(9d)는 감광 드럼(9)를 둘러싸는 하부 프레임(15) 내에 형성된 축 구멍(15s)에 47㎛ 이하로 억지 끼움되며, 감광 드럼(9)의 단부에 고정되어 드럼(9)를 회전 지지하는 플랜지 기어(9c)의 축 구멍 내에 삽입된다. 드럼 축(9d)를 하부 프레임(15)의 축 구멍(15s)에 억지 끼움함으로써 드럼(9)는 하부 프레임(15)에 드럼 축(9d)를 고정하는 기계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배치 구조는 드럼 축을 고정하는 기계 나사 구멍이 너무 커지게 되어 하부 프레임(15)를 재사용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있고, 또 감광 드럼이 정밀 화상, 즉 고화질 화상을 제공하기 위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드럼 축(9d)의 공차가 감소된다.
드럼 축(9d)의 단부 표면 중 하나(프로세스 카트리지(B) 외부로 노출된 표면)에는 나사 구멍(9d1)이 천공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교환 중에 분리해 낼때 억지 끼움된 드럼 축(9d)를 제거하기 쉽게 한다. 드럼 축(9d)의 재료는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할 수 있다. 나사 구멍(9d1)은 암나사를 가지며 축(9d)의 방향과 평행으로 천공되고 축(9d)의 단부 표면의 대략 중심에 위치된다.
제16도를 참조하면, 드럼 축(9d)를 하부 프레임(15)로부터 인출해 내는 동작이 설명되어 있다. 드럼 축(9d)를 인출해 내기 위한 인출 공구(19)는 외경이 약 4㎜인 축(19a)와, 외경이 약 40㎜이고 두께 약 10㎜인 추(19b)와, 외경 약 10㎜인 스톱퍼(19a2)를 포함하며 상기 축(19a)는 한 단부(19a1)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추(19b) 내에 형성된 중앙 구멍을 통과하여 다른 단부에 스톱퍼(19a2)가 고정되어 있다. 이 인출 공구(19)의 나사부(19a1)을 하부 프레임(15)에 억지 끼움된 드럼축(9d)의 나사 구멍(9d1)에 삽입하고 추(19b)를 스톱퍼(19a2) 쪽으로 여러번 밀면 드럼 축(9d)는 하부 프레임(15)로부터 용이하게 인출된다. 나사부(9a1)은 수나사로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를 가진 나사 구멍(9d1)에 나사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 교환을 위해 카트리지를 분해할 때 사용되는 나사 구멍을, 카트리지 프레임의 구멍에 억지 끼움과 드럼 축에 나사 구멍으로 천공한 경우애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구멍 천공은 이 경우로 제한되지는 않고, 억지 끼움할 다른 부재에 천공하여 인출이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대전 수단)
대전 수단의 구성
대전 수단은 감광 드럼(9)의 표면을 대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7실시예에서 소위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149669/1988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접촉 대전 방식이 채택된다. 특히, 제3도를 참조하면 대전 롤러(10)은 슬라이딩 베어링 (10c)에 의해 상부 프레임(14) 내에 회전 지지된다. 이 대전 롤러(10)은 (금속 롤러 축(10b)(강철, SUS 등의 도전성 금속 재료로 된 코어)와, 롤러 축(10b) 상에 도포된 탄성 고무층(EPDM, NBR 등의 재료)과, 상기 탄성 고무층 상에 도포된 카본 분산 우레탄 고무층을 포함하거나 또는 금속 롤러 축(10b)와 카본 분산 성형 우레탄 고무층이 형성된다.
대전 롤러(10)의 롤러 축(10b)를 회전 지지하는 슬라이드 베어링(10c)는 누락 부분(제17도a) 없이 감광 드럼(9)(제17도b)를 향해 약간 미끄럼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베어링 안내 갈고리(14n)에 의해 유지된다. 또, 롤러 축(10b)를 회전 지지하는 슬라이드 베어링(10c)는 감광 드럼(9)를 향해 스프링(10a)에 의해 가압되어 대전 롤러(10)은 감광 드럼(9)의 표면과 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대전 롤러의 미끄럼 거리
전술한 바와 같이, 대전 롤러(10)은 감광 드럼(9)의 표면과 접촉하여 드럼(9)가 구동될 때 드럼(9)의 회전에 추종하여 회전된다. 감광 드럼(9)가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로부터 전달된 힘에 의해 구동되면 드럼(9)는 전사 롤러를 향해 가압된다. 다시 말하면, 감광 드럼(9)는 대전 롤러(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약간 변위된다. 특히, 감광 드럼(9)는 극히 적은 양이긴 하지만 구동측 보다 비구동측이 많이 변위된다. 이렇게 되면 대전 롤러(10)이 감광 드럼(10)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미끄럼하는 거리는 감광 드럼(9)이 변위하는 거리와 맞지 않는 일이 자주 있어서 감광 드럼(9)와 대전 롤러(10)는 분리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대전 롤러(9)가 반경 방향으로 감광 드럼을 향해 미끄러질 수 있는 거리는 전에 배해 크게 설정된다. 또, 대전 롤러(10)의 반경 방향 미끄럼 양은 종방향 좌우측이 다르게 설정된다. 특히, 비구동측(전원 공급측)에서의 슬라이딩 베어링의 미끄럼 거리는 구동측(전원 비공급측)보다 크게 설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17도를 참조하면 대전 롤러(10)에 있어서, 각 슬라이딩 베어링(10c)의 미끄럼양 β는 비구동측에서는 약 1.5㎜, 구동측에서는 약 1.0㎜이다. 또 이 실시예에서, 구동측 또는 비구동측의 각 슬라이딩 베어링 (10c)의 미끄럼양 β는 중간 지점과 맞닿음 면(10c3)까지 사이의 거리를 변경 즉, 단축하여 설정된다. 다시 말하면, 대전 롤러(10)을 상부 프레임(14)에 장착할 때 대전 롤러(10)의 종방향 축에 직각인 방향(반경 방향)의 대전 롤러(10)의 허용 운동량은 대전 롤러(10)의 한 쪽과 다른 쪽을 다르게 선택한다.
슬라이딩 베어링
대전 롤러(10)과 감광 드럼(9)는 이들이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 같은 부품을 포함하는 관련 부품의 공차 때문에 서로 약간 각도 변위된다. 따라서, 감광 드럼이 회전하면 감광 드럼의 회전에 예속되어 회전하는 대전 롤러(10)은 축방향으로 추력을 받게 되고 한 쪽으로 밀려서 롤러 축(10b)는 상부 프레임(14)의 측방에 맞닿는 일이 있고 맞닿는 부분은 마찰에 의해 깎이게 된다. 또, 카트리지 장전 중에 대전 롤러(10)의 롤러 축(10b)는 진동 등에 의해 상부 프레임(14)의 측벽에 맞닿게 되어 맞닿은 부분이 긁히는 일도 있다. 이런 사태가 발생하면 대전 롤러(10)의 롤러 축(10b)는 깎이거나 긁힌 부분에서 걸리는 일도 일어나며 이는 대전 롤러(10)과 감광 드럼(9) 사이의 접촉을 차단한다. 결국, 손상이 발생된다. 게다가, 깎이거나 긁힌 카트리지 프레임은 재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 제조나 재사용 중에 카트리지 프레임의 결함을 보완하기 위한 공정을 단순화하기 위해서는 대전 롤러(10)의 축 방향의 힘을 규제하는 드러스트 규제 수단을 상부 프레임(14)에 배치하지 않고 슬라이딩 베어링(10c)에 일체로 형성한다. 다시말하면 열쇠 모양으로 돌출된 스톱퍼(10c1)은 드러스트 규제 수단으로서 제18도 및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베어링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원 공급측(제19도b)의 슬라이딩 베어링(10c)는 다량의 카본 필러를 함유하는 도전성 수지 재료로 형성되고, 전원 비공급측(제19도a)의 것은 폴리아세탈(POM) 같은 비도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또, 프로세스 카트리지 낙하 등의 상황에서 미끄럼 안내 갈고리(14n)과 슬라이딩 베어링(10c)가 손상을 입지 않도록 갈고리(14)와 베어링(10c)는 감광 드럼(9)구동시에 대전 롤러(10)이 겪는 것보다 훨씬 큰 추력 방향의 힘을 받게 되고, 추력 방향에 대해 슬라이딩 베어링(10c)의 외측에 상부 프레임(14)로부터 하향 돌출하는 현수 부재(14p)가 제공된다.
대전 롤러(10)을 상부 프레임(14)에 조립하는 데 있어서는 우선 슬라이딩 베어링 안내 갈고리(14)가 슬라이딩 베어링(10c)를 지지하게 하고, 스프링(10a)를 사이에 개재시키고, 그 후 대전 롤러(10)의 롤러 축(10b)를 슬라이딩 베어링(10c)에 끼우면 된다. 이 상부 프레임(14)를 하부 프레임(15)와 결합시키면 대전 롤러(10)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 드럼(9) 상에 가압 되게 된다.
대전 롤러에 가해진 전압
화상형성 동작 중에 감광 드럼(9)의 표면은 감광 드럼(9)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대전 롤러(10)에 DC 전압에 AC 전압을 중첩시켜 합성한 진동 전압을 가하여 균일하게 대전할 수 있다.
대전 롤러에 가해진 전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대전 롤러(10)에 가해진 전압은 순수 DC 전압으로 할 수도 있으나 감광 드럼(9)를 균일하게 대전하기 위해서는 AC 전압을 DC 전압에 중첩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진동 전압을 가하는 것이 좋다. 특히, 순수 DC 전압을 인가할 때 대전이 개시되는 대전 개시 전압의 두 배 이상의 피크-대-피크 전압을 갖는 AC 전압을 DC전압에 중첩시켜서 구성되는 진동 전압을 대전 롤러(9)에 인가함으로써 대전 균일성이 향상된다(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149669/1988). 여기서, 진동 전압이라 함은 시간에 대한 주기의 변동치를 말하며 순수 DC 전압이 인가될 때 감광 드럼 표면의 대전이 개시되는 대전 개시 전압의 두 배 이상의 피크-대-피크 전압을 갖는 것이 좋다. 그 파형은 사인 파형으로 제한되지는 않으며, 대신에 구형파, 삼각형파 또는 펄스파 형태일 수도 있다. 그러나, 대전 소음 면에서, 고주파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사인 파형이 적합하다. 진동 전압도 DC 전압의 온/오프를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형성된 구형파 형태의 전압 등을 포함한다.
대전 롤러에의 전원 통로
다음에, 대전 롤러(10)에의 전원 통로에 대해서 기술한다. 제18도를 참조하면 도전성 대전 바이어스 접점(18c)의 한 단부(18c1)는 장치의 주 조립체측의 도전성 대전 바이어스 접촉 핀에 가압되고 이 대전 바이어스 접점(18c)의 다른 단부는 스프링(10a)에 접촉한다. 스프링(10a)는 롤러 축(10b)의 한 단부(전원측)를 회전 지지하는 슬라이딩 베어링(10c)와 접촉한다. 전력은 장치의 주 조립체측의 전원으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이 확립된 통로를 거쳐 대전 롤러(9)로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대전 롤러(10)의 전원측 슬라이딩 베어링(10c)는 다량의 카본 필러를 함유하는 도전성 수지 재료로 형성되므로 대전 바이어스는 전술한 전원 통로를 통해 신뢰성있게 인가될 수 있다.
(노광 수단)
노광 수단(11)은 대전 롤러(10)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 드럼(9)의 표면을 광학 시스템(3)으로부터의 광 비임에 노광시킨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4)에는 미러(3f)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 비임이 감광 드럼(9) 상에 투사되도록 하는 개구(11a)가 제공되어 있다.
(현상 수단)
현상 수단의 구조
제3도를 참조하면, 자성 토너를 사용하여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 수단(12)에는 토너를 저장하는 토너 저장소(12a)와, 이 토너 저장소(12a) 내에서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 공급 기구(12b)가 제공된다. 토너 저장소(12a)로부터 공급되어 온 토너는 현상 슬리브(12d)가 도면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될 때 복수의 자극을 갖는 롤러 자석을 구비한 현상 슬리브(12d)의 표면 상에 얇은 토너층을 형성한다. 토너 층이 현상 슬리브(12d) 상에 형성되는 동안 토너는 토너와 현상 슬리브(12d) 및 현상 블레이드(12e) 사이의 마찰에 의해 마찰 대전되어 감광 드럼(9) 상에 정전 잠상을 현상한다. 토너 층의 두께를 조절하는 현상 블레이드(12e)는 소정 압력으로 현상 슬리브(12d)의 표면을 내리 누르도록 하부 프레임 (15)에 부착된다.
현상 블레이드
현상 블레이드의 구조는 폴리우레탄이나 실리콘 고무 등의 가요성 재료를 성형한 판형 블레이드를 금속제 지지 부재(12e1)에 부착하고 상기 지지 부재(12e1)를 나사(12e2)로 정밀하게 위치된 하부 프레임(15)의 설치 부위에 부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현상 슬리브(12e)가 소정 압력으로 현상 슬리브를 문지르도록 되어 있다.
토너 공급 기구
제13도를 참조하면, 자성 토너 공급 기구(12b)는 축(12b3)에 대해 아암(12e2)가 진퇴 요동할 때 아암(12b2)에 연결된 공급 부재(12b1)이 토너 저장소(12b1)의 하면을 따라 화살표 B방향으로 진퇴 운동하게 하여 토너를 공급한다.
공급 부재(12b1), 아암(12b2) 및 축(12b3)은 폴리프로필렌(PP), 아크릴로부타디엔 스티렌(ABS), 고충격 폴리스티렌(HIPS) 등의 재료로 제조되며, 아암(12b2)와 축(12b3)은 일체로 형성된다.
공급 부재(12b1)은 단면 삼각형의 봉형 부재이며, 감광 드럼(9)의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다수의 공급 부재(12b1)이 서로 연결되어 토너 저장소(12a)의 전체 하면을 닦아 내도록 일체의 부재를 형성한다.
축(12b3)에는 한 쌍의 아암 부재(12b2)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들 각 아암 부재(12b2)는 토너 저장소(12a)의 각 측벽으로부터 축(12a3)의 종방향으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축(12a3)으로부터 하향 현수된다(제20도). 본 실시예에서, 아암 부재(12b2)는 토너 저장소(12a)의 각 측벽으로부터 15㎜ 이상 떨어져 배치되어 토너 저장소(12a) 내의 토너는 측벽과 아암 부재(12b2) 사이의 좁은 공간에 끼이게 되지 않는다. 또, 토너 저장소(12a)가 토너로 완전히 채워지면 토너 공급 부재(12b1)이나 아암 부재(12b2)에 대한 토너 저항이 커지지만 아암 부재(12b2) 사이의 거리를 좁히면 축(12b3)의 비틀림이 감소된다.
아암 부재(12b2)가 선회하는 축(12b3)의 한 단부는 토너 저장소(12a)의 측벽을 통과하여 회전 지지된 전달 부재(17)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토너 저장소(12a) 내의 U형 홈(12a1)의 하부에 의해 회전 지지되고 동시에 카버 부재(12f)의 리브(12f2)에 의해 상승이 방지된다(제20도). 전달 부재(17)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A)에 설치될 때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수단(17)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전달 수단(17)은 소정 각도 만큼 축(12b3)에 대해 아암 부재(12b2)를 선회시키는 구동력을전달한다. 이 전달 수단(17)은 후술하기로 한다.
공급 부재(12b1) 과 아암 부재(12b2)는 공급 부재(12b1)의 종방향으로 각각 하나의 공급 부재(12b1)에서 서로 떨어져 위치된 한 쌍의 돌기(12b4)를 아암 부재(12b2)에 형성된 긴 구멍(12b5)에 결합하여 연결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구조는 연결점이 거의 저항 없이 굽혀질 수 있도록 공급 부재와 아암 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게 되면, 아암 부재(12b2)가 화상 형성 동작 중에 소정 각도 선회할 때 공급 부재(12b1)이 제3도에 실선과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토너 저장소(12a)의 하면을 따라 화살표 b 방향으로 진동하고 토너 저장소(12a) 부근에 저장된 토너가 현상 슬리브(12d)를 향해 반송된다. 동시에, 공급 부재(12b1)의 횡단면은 거의 삼각 형상이기 때문에 토너는 공급 부재(12b1)의 경사면에 의해 부드럽게 스쳐지는 식으로 반송된다.
따라서, 자성 토너는 과잉 반송되어 현상 슬리브(12d) 부근에 끼이지도 않고 불충분하게 반송되어 고갈되지도 않는다. 결국, 현상 슬리브의 표면 상에 형성된 토너층은 쉽게 악화되지 않는다.
덮개 부재
토너 저장소(12a)의 상부 개구부는 개구부에 용접된 덮개 부재(12f)로 덮여 있다. 덮개 부재(12f)의 상부판 내면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향 돌기(12f1)이 제공되어 있다. 하향 돌기(12f1)의 하단과 토너 저장소(12a)의 하단 사이의 거리는 토너 공급 부재(12b1)의 삼각형 횡단면의 높이보다 약간 크게 설정 되어 있다. 따라서, 공급 부재(12b1)이 토너 저장소(12a)의 하면으로부터 상승 될 때 그 운동은 하향 돌기(12f1)에 의해 규제된다. 결국, 토너 공급 부재(12b1)은 토너 저장소(12a)의 하면과 하향 돌기(12f1) 사이에서 부유 승강하여 과도한 상승이 방지된다.
구동력 전달 수단
다음에, 토너 공급 기구(12b)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 수단을 설명한다. 제20도는 제3도에 도시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A-A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21도 역시 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B-B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 20도를 참조하면, 토너 공급 기구(12b)의 피봇점인 축(12b3)의 한 단부는 상부 프레임(14)의 토너 저장소(12a)의 측벽을 통과하여 회전 지지된 전달 부재(17)에 연결한다. 전달 부재(17)은 미끄럼 성능을 향상시키는 폴리아세탈(POM)이나 폴리아미드 같은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며 축(12b3)의 회전축에 대해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스냅식으로 프레임 부재(14)에 부착된다.
제21도에 도시한 구동력 전달 수단에 있어서, 감광 드럼(9)의 한 단부에 부착된 플랜지 기어(9c)의 헬리컬 기어 (9c1)은 현상 슬리브(12d)의 슬리브 기어 (12g)와 결합되고, 슬리브 기어(12g)는 교반 기어(20)과 일체로 형성되고 이 교반 기어(20)의 측면에 배치된 보스(20a)가 회전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격리되어 배치되며, 보스(20a)는 전달 부재(17)의 아암 부재(17a)에 형성된 긴 구멍과 결합된다. 이런 배치 구조를 채택하면 플랜지 기어(9c)가 도면 중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교반 기어(20)은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슬리브 기어(12g)를 통해 회전되어 전달 부재(17)이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교반 기어(20)의 보스(20a)에 의해 진퇴 선회하여 전달 부재(17)에 연결된 축(12b3)에 구동력을 전달하고 최종적으로 토너 공급 기구(12b)가 구동된다.
교반 기어의 위치 결정
교반 기어(20)의 회전축의 위치 결정은 하부 프레임(15)에 형성된 리브(15p)의 ∪자형 홈(15p1)에 교반 기어 (20)의 축(20b)를 끼워 맞추는 방법에 의존한다. 따라서, 교반기어(20)과 슬리브 기어(12g) 사이의 결합 정밀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하부 프레임(15)를 정밀하게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교반 기어(20)의 축(20b)의 상부측은 전달 부재(17)을 회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14)에 형성된 관통 구멍 하방에 제공된 오목 가이드(14i)에 의해 규제된다. 따라서, 상하부 프레임(14 및 15)를 결합하면 교반 기어(20)는 회전 지지되고 그 위치가 고정된다. 이런 배치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교반 기어(20)를 회전 지지하는 관통 구멍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지고 카트리지 프레임의 강도도 개선하게 되다.
현상 슬리브
다음에, 토너층이 형성되는 현상 슬리브(12d)를 설명한다. 현상 슬리브(12d)와 감광 드럼(9)는 사이에 미세 간극(약 200㎛ 내지 300㎛)을 두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 미세 간극을 두기 위해, 현상 슬리브(12d)보다 상술한 미소 간극 만큼 큰 외경을 갖는 접촉 링(12d1)을 현상 슬리브(12d)에 있어서 현상 슬리브(12d)의 각 축방향 단부를 향해 토너 층이 형성되는 범위 외부에 끼워져서 잠상이 형성되는 범위 이외에서 링(12d1)과 감광 드럼이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감광 드럼(9)과 현상 슬리브(12d) 사이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22도는 감광 드럼(9)와 현상 슬리브(12d) 사이의 위치 관계와 현상 슬리브(12d)에 압력을 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제23도 a는 제22도의 AA-AA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23도 b는 제22도의 BB-BB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2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너층이 형성되는 현상 슬리브(12d)와 감광 드럼(9)는 사이에 미소 간극(약 200㎛ 내지 400㎛)을 두고 마주하도록 위치된다.
이 때, 감광 드럼(9)의 한 단부는 하부 프레임(15)의 축 구멍(15s)에 억지 끼움된 드럼 축에 의해 회전 지지되고, 감광 드럼(9)의 한 단부에 부착된 플랜지 기어(9c)의 축 구멍을 통하여 끼워지며, 다른 단부도 상기 하부 프레임(15)에 고정식으로 끼워진 베어링 부재(16)의 베어링(16a)에 의해 회전 지지된다. 현상 슬리브(12d)에는 현상 슬리브(12d)의 각 축방향 단부를 향해 토너 층이 형성되는 범위 외측으로 상술한 미세 간극 만큼 큰 외경을 갖는 접촉 링(12d1)이 끼워져서 링(12d1)이 잠상 형성 범위 외부에서 감광 드럼과 접촉하게 된다.
현상 슬리브(12d)는 각 축 방향 단부를 향해 위치된 슬리브 베어링(12h, 12i)에 의해 회전 지지되며, 한 쪽(비구동축)의 슬리브 베어링(12h)는 축·방향에 대해 토너 층 현성 범위 외측의 접촉 링 내측에 배치되고, 다른 쪽(구동측)의 슬리브 베어링(12i)는 접촉 링((12d1) 외측은 물론 토너 형성 범위 외측에 위치된다.
이들 슬리브 베어링(12h, 12i)는 제22도에 화살표 방향으로 약간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하부 프레임(15)에 부착된다. 슬리브 베어링(12h, 12i)로부터 돌출되는 돌기에는 하부 프레임(15)의 벽에 가압하는 상태로 감광 드럼(9) 쪽을 향해 현상 슬리브(12d)를 가압하는 압력을 발생하는 압력 스프링(12j)가 부착되어 있다. 상술한 배치에 의해, 접촉 링(12d1)은 감광 드럼(9)과 접촉을 유지하고 현상 슬리브(12d)와 감광 드럼(9) 사이에 간극을 신뢰성 있게 유지하며, 또 플랜지 기어(9c)와 그 헬리컬 기어(9c1)이 결합된 현상 슬리브(12d)의 슬리브 기어(12g)에 구동력이 신뢰성 있게 전달된다.
현상 스리브의 미끄럼량
제24도를 참조하면, 스리브 베어링(12h, 12i)가 미끄럼 할 수 있는 양이 도시되어 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우선 현상 슬리브의 구동측에서, 구동력이 장치의 주 조립체측에 제공된 구동 모터로부터 플랜지 기어(9c)의 헬리컬 기어(9c1)에 전달되면 슬리브 기어(12g)의 헬리컬 기어(9c1)로 부터 작동 압력은 작동 압력각(본 실시예에서는 20°)으로 헬리컬 기어(9c1)의 상호 결합 피치원의 접선 및 슬리브 기어(12g)의 접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향된다. 따라서, 작동 압력은 제24도에 화살표 P 로 표시한 방향으로 (θ≒20°) 배향된다. 상술한 구조적 배치 관계에 의해, 이 작동 압력 P는 슬리브 베어링(12h)의 미끄럼 방향에 평행 및 수직인 성분 Ps와 성분 Ph로 나뉘어진다. 슬리브 베어링(12h)가 감광 드럼(9)의 회전 중심과 현상 슬리브(12d)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에 평행인 방향으로 미끄러지면 미끄럼 방향에 평행인 성분 Ps는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 드럼(9)로부터 멀어진다. 따라서, 감광 드럼(9)와 현상 슬리브(12d) 사이의 간극은 플랜지 기어(9c)의 헬리컬 기어(9c1)과 슬리브 기어(12g) 사이의 작동 압력으로 변화하려 하고, 이로써 현상 슬리브(12d) 상의 토너는 감광 드럼(9) 상으로 적절히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는 현상 성능을 악화시키기도 한다.
상술한 이유로 본 실시예에서는 플랜지 기어(9c)의 헬리컬 기어(9c1)으로부터 슬리브 기어(12g)에 구동력이 전달되는 방식을 고려하고, 또 제23도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슬리브(12d)의 구동측(슬리브 기어(12g)가 부착된 쪽)의 슬리브 베어링(12i)가 미끄러질 수 있는 방향을 제23도 a에 화살표 Q방향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배향시킨다. 다시 말하면, 플랜지 기어(9c)의 헬리컬 기어(9c1)과 슬리브 기어(12g) 사이의 작동 압력의 방향과 구동측 슬리브 베어링(12i)의 미끄럼 방향(화살표 Q방향)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ψ는 90°보다 약간 큰 각도(본 실시예에서 약 92°)를 취하도록 설정한다. 이런 배치 구조에 의해, 작동 압력 P의 수평 성분은 본 실시예에서 거의 제로로 감소되며 성분 Ps는 감광 드럼(9)를 향해 현상 슬리브(12d)를 약간 밀게 된다. 이 경우에 압축 스프링(12j)에 의해 현상 슬리브(12d) 상에 가해진 압력은 감광 드럼(9)와 현상 슬리브(12d) 사이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적절한 현상 동작이 수행되도록 스프링 압력의 크기α만큼 증가된다.
다음에, 현상 슬리브(12d)의 비구동측(현상 슬리브(12g)가 부착되지 않은쪽)의 슬리브 베어링(12h)의 미끄럼 방향을 설명한다. 구동측의 경우와는 달리, 비구동측은 외력을 받지 않으므로 제23도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 베어링(12h)의 미끄럼 방향은 감광 드럼(9)의 중심과 현상 슬리브(12d)의 중심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에 거의 평행하게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슬리브(12d)가 감광 드럼 상에 직접 가압되는 경우 현상 슬리브(12d)와 감광 드럼(9) 사이의 위치 관계는 현상 슬리브(12d)가 가압되는 방향을 구동측과 비구동측에서 차이를 둠으로써 항상 적절히 유지할 수 있고, 따라서 적절한 현상 동작이 수행된다.
또, 구동측의 슬리브 베어링(12i)의 미끄럼 방향은 비구동측의 슬리브 베어링(12h)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감광 드럼(9)의 중심과 현상 슬리브(12d)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에 거의 평행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측에서 플랜지 기어(9c)와 슬리브 기어(12g) 사이의 작동 압력 P의 미끄럼 방향 성분 Ps는 현상 슬리브(12d)를 감광 드럼(9)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힘을 작용하고, 이 때 비구동측에 비해 구동측의 압축 스프링(12j)의 압력을 성분 Ps와 같은 양 만큼 증가시켜 현상 슬리브(12d)가 성분 Ps를 보상하도록 가압될 수 있게 하기만 하면 된다. 다시 말하면, 압축 스프링(12j)에 의해 현상 슬리브(12d)의 비구동측에 가해진 압력 P1과 압축 스프링(12j)에 의해 구동측 상에 가해진 압력 P2 사이의 관계는 P2 = P1 + Ps 의 방정식을 만족하도록 설정하고, 현상 슬리브 (12d)는 항상 적절한 압력을 받게 하고 , 현상 슬리브(12d)와 감광 드럼(9)사이의 적절한 간극이 보장된다.
슬리브 베어링의 정지 돌기
현상 슬리브(12d)의 구동측의 슬리브 베어링(12i)의 상부에는 슬리브 베어링(12d)가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정지 돌기(12i1)이 제공되어 현상 슬리브(12d)를 장치에 조립할 때 현상 슬리브(12d)가 압축 스프링(12j)에 의해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 스프링(12j)의 가압 방향과 슬리브 베어링(12i)의 미끄럼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현상 슬리브(12d) 조립시에 압축 스프링(12j)의 힘에 의해 제23도의 시계 방향 회전 모멘트가 발생되고 따라서 정지 돌기(12i1)은 이 힘을 보상하기 위해 슬리브 베어링(12i)의 상부에 배치된다.
구동 부재측의 프레임 강도
슬리브 기어(12g)에 구동력이 전달되면 슬리브 기어(12g)는 하향력(제23도 a에서 화살표 P 방향)을 받게 되어 하부 프레임(15)는 슬리브 베어링(12i)를 통해 이 힘을 받게 되고, 따라서 하부 프레임(15)가 구동 부재측에 변형될 가능성이 있다. 이런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다음과 같은 구조가 제공된다.
첫째, 감광 드럼(9)의 드럼측(9d)를 지지하는 측벽과 현상 슬리브(12d)의 구동측을 지지하는 측벽을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일 부재로 연결하고 하부 프레임(15)의 구동 부재 부분(제7도의 우측 부분)을 거의 상자형으로 형성하여 하부 프레임(15)의 구동 부재 부분에 가해진 압력을 분산시키도록 하부 프레임(15)를 성형한다. 둘째, 상자형으로 형성된 프레임 부분의 강도는 하면(상술한 하향면에 해당하는 면) 상에 제21도에 도시한 다수의 리브(15p)를 제공함으로써 증가된다. 세째, 슬리브 베어링(15) 상에 작용된 상술한 하향력의 영향은 슬리브 베어링(12i)를 다른 쪽의 슬리브 베어링(12h)보다 하부 프레임(15)의 측벽에 가깝게 배치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조적인 배치를 함으로써, 특히 구동 수단(12)의 구동측에 해당하는 부분인 하부 프레임(15)의 구동 부재 부분의 프레임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세 가지 방법을 모두 채택하였지만 각각의 방법 자체만으로도 효과적임은 물론이다.
현상 슬리브에의 슬리브 기어의 연결
다음에, 슬리브 기어(12g)를 현상 슬리브(12d)에 연결하는 방법을 기술하기로 한다. 제25도는 현상 슬리브(12d)와 슬리브 기어(12g)의 연결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제25도 a를 참조하면, 슬리브 플랜지(12k)는 접착, 크림핑, 억지 끼움 등으로 외경 12㎜인 원통형 현상 슬리브(12d)의 한 단부(구동측)에 끼워 고정된다. 이 슬리브 플랜지(12k)는 접촉 스프링(12d1)의 게이트부(12d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부분(12k1)과 상기 부분(12k1)의 외경 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슬리브 베어링(12i)에 의해 회전 지지된 부분(12k2)와 슬리브 기어(12g)에 끼워지는 산과 골이 제공된 끼움 부분(12k3)의 세 개의 단차부(계단부)를 구비한다.
슬리브 플랜지(12k)의 직경 단차부(12k1)의 연장 길이는 접촉 링(12d1)의 게이트부(12d2)의 두께 보다 커서 현상 슬리브(12d)가 추력 방향으로 이동한 후에도 슬리브 베어링(12i)가 접촉 링(12d1) 상에 닿지 않는다. 슬리브 플랜지(12k)가 슬리브 베어링(12i)에 의해 회전 지지되는 부분(12k2)의 결합 직경은 약 6㎜ 내지 8㎜이다.
슬리브 기어(12g)에 끼워지는 산과 골을 가진 끼움 부분(12k3)은 직경 단차부(12k2)의 외경 보다 한 단계 작으며 두 개의 다른 부분, 즉 4㎜ 내지 5㎜의 작은 외주 직경을 갖는 골 부분(12k5)와 상기 골 부분(12k5) 보다 직경이 커서 상기 골 부분(12k5)로부터 돌출하는 산 부분(12k4)를 포함한다. 산 부분(12k4)의 돌출 높이는 약 0.7㎜, 그 폭은 약 2.0㎜이며, 산 부분(12k4)의 외주 D와 골 부분(12k5)의 외주 d는 동심이다. 슬리브 플랜지(12k)와 슬리브 기어(12)는 조정 가능하게 끼워져서(H-js 끼움), 끼움 부분(12k3)의 골 부분(12k5)는 중심 맞추기 및 체결용 위치에 선택되고 따라서 끼움 부분(12k3)의 산 부분(12k4)의 위치에서 유격이 있게 된다. 또, 슬리브 기어(12g)에는 슬리브 플랜지(12k)의 부분(12k3)과 결합되는 끼움 구멍(12g2)가 제공되고 또 보스부(12g1)이 제공되어 슬리브 플랜지(12k)의 부분(12k3)이 슬리브 기어(12g)에 끼워지는 길이는 기어 치폭보다 커진다. 따라서 허용 구동력이 증가된다.
슬리브 플랜지(12k)의 재료로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폴리아세탈(POM), 폴리부티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아미드(PA)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슬리브 기어(12g)용 재료로는 폴리아세탈(POM), 폴리부티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아미드(PA), 불화 폴리카보네이트(PC)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슬리브(12k)가 슬리브 기어(12g)에 끼워지는 부분(12k3) 상에 두 개의 산 부분이 제공되지만 서너개의 산 부분을 제공하더라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슬리브 기어(12g)를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하여 제조할때 두께를 네 개의 골을 갖게 하여 보다 균일하게 하여 제조 정밀도를 개선할 수도 있다. 또, 슬리브 플랜지(12k)는 슬리브 기어(12g)에 끼워져서 끼움 부분(12k3)의 골 부분(12k5)에서 조절 가능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하지만 조절 가능한 접촉은 산 부분(12k4)에서 하게 하고 골 부분(12k5)에 유격을 제공할 수도 있다.
(클리닝 수단)
클리닝 수단의 구조
클리닝 수단(13)은 감광 드러(9) 상의 토너 화상이 전사 수단(6)에 의해 기록 매체 상에 전사된 후에 잔류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제3도를 참조하면 이 세척 수단(13)은 감광 드럼(9) 상의 잔류 토너를 닦아 내기 위한 클리닝 블레이드(13a)와,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13a) 하방에 배치되어 감광 드럼(9)의 표면에 접촉되는 닦아 내어진 토너를 퍼내는 수용 시트(13b)와, 상기 수집된 폐토너를 저장하는 폐토너 저장소(13c)를 구비한다.
수용 시트
여기서, 수용 시트(13b)의 부착 방법을 설명한다. 수용 시트(13b)는 양면 접착 테이프로 폐토너 저장소(13c)상에 제공된 부착면(13d) 상에 부착된다. 그러나, 폐토너 저장소(13c)는 수지 재료로 된 하부 프레임(15)와 상부 프레임(14)에 의해 형성되고, 그 부착면(13d)는 완전한 평면은 아니다. 따라서, 양면 접착 테이프(13e)를 부착면(13d) 상에 부착하고 수용 시트(13b)를 상기 양면 접착 테이프(13e) 상에 간단히 부착하면 수용 시트(13b)의 선단(감광 드럼(9)과 접촉하는)은 참조 부호 U로 도시한 바와 같이 파형이 된다. 수용 시트 (13b)의 선단에 파형 U를 형성함으로써, 수용 시트(13b)는 감광 드럼(9) 의 표면에 밀착하지 못하게 되어 클리닝 블레이드(13a)에 의해 닦여진 토너를 신뢰성 있게 퍼내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파형 U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수용 시트(13b)의 선단에 인장을 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파형 U의 발생은, 폐토너 저장소의 하부에 위치한 부착면(13d)를 견인 공구로 하향으로 견인하여 부착면(13d)를 탄성적으로 굽어지게 하고 수용 시트(13d)를 부착한 후에는 견인을 멈추어 재료의 탄성으로 인해 부착 표면을 직선화하면서 수용 시트(13b)의 선단에 인장력이 가해지도록 수용 시트를 부착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소형화되어 감에 따라 수용 시트(13b)의 부착면(13d)의 크기도 작아지고 있다. 따라서, 부착면(13d)를 굽힌 상태에서 수용 시트(13d)를 부착하면 수용 시트(13b)는 제17도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하단부 (13b1)에서 하향으로 비어져 나오게 된다. 수용 시트(13b)가 부착면(13d) 하방으로 비어져 나오게 되면 기록 매체는 돌출하는 수용 시트(13b)에서 걸리게 되는 일이 있다.
또, 부착면(13d)를 굽힌 상태에서 수용 시트(13b)를 부착하면 양면 접착 테이프(13e)가 수용 시트(13b)의 하부측으로부터 하향으로 비어져 나오게 된다.
따라서, 만일에 이 상태에서 수용 시트(13b)를 부착 공구(22)에 의해 양면 접착 테이프(13e) 상에 가압되고 테이프(13e)의 돌출부는 제27도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 공구(22)에 부착하고 부착 공구(22)를 제거하면 양면 접착 테이프(13e)가 부착면(13d)로부터 박리되고 결국 수용 시트(13b)의 접착이 부적절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수용 시트(13b)의 하단부 형상은 제28도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면(13d)가 인장 공구(21)에 의해 인장된 상태에서 부착되는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한다. 다시 말하면 수용 시트(13b)는 종방향 양단부 보다는 종방향 중간부가 폭넓어지도록 제조된다. 이런 형상으로, 굽혀진 양면 접착 테이프(13e)는 수용 시트(13b)밖으로 비어져 나오지 않게 된다. 게다가, 부착표면(13d)를 직선화하기 위해 견인 공구(21)로 견인하는 것을 정지하고 수용 시트(13b)의 상단부에 인장을 줄 때 수용 시트(13b)의 하단은 부착면(13d)의 하부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수용 시트(13b)의 부적합한 부착이나 기록 매체가 수용 시트(13b)에 걸리는 일은 회피할 수 있다.
또, 수용 시트(13b)의 처리의 단순화 및 처리 공구 등의 사용 수명을 고려하면 수용 시트(13b)의 하단 형상은 선형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따라서, 제2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선형 구조를 사용하여 수용 시트(13b)의 폭을 수용 시트(13d) 하단 곡선을 따르는 종방향 중심을 향해 넓어지게 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 수용 시트(13b)를 위한 부착면(13d)를 굽히기 위해, 부착면 (13d)는 인장 공구(21)에 의해 인장되지만 제3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 시트(13b)의 부착면(13d)와 일체로 형성된 폐토너 저장소(13c) 내에 제공된 격벽판(13c1)의 상부를 압착 공구로 압착하여 수용 시트(13b)의 부착면(13d)를 굽힐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 수용 시트 부착면(13d)는 폐토너 저장소(13c)의 하부에 형성되지만 이런 형태의 구조를 가진 수용 시트를 폐토너 저장소(13c)와는 다른 금속판 같은 재료로 된 부재의 부착면 상에 부착하거나 또는 금속 판 부재를 폐토너 저장소(13c)에 조립할 수도 있다.
클리닝 블레이드
제3도를 참조하면 클리닝 블레이드(13a)는 폴리우레탄 고무(JISA경도: 60도 내지 75도) 같은 탄성 재료로 제조되고, 소위 냉간 압연 강철판 같은 금속판으로 된 지지 부재(13a1)에 일체로 고정된다. 클리닝 블레이드(13a)가 부착되는 지지 부재(13a1)은 감광 드럼(9)가 부착되는 하부 프레임(15)의 클리닝 블레이드 설치면에 나사 등으로 고정된다. 하부 프레임(15)의 클리닝 블레이드 설치면은, 클리닝 블레이드(13a)가 고정되는 지지 부재(13a1)이 설치될 때 클리닝 블레이드(13a)의 엣지부가 소정 정밀 접촉 압력 접촉 압력으로 감광 드럼(9)와 접촉 위치되도록 정밀하게 성형되어 있다.
주 대전 바이어스, 즉 AC전압에 상술한 DC전압을 중첩시킴으로써 발생된 전압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대전 롤러(10)에 가해지기 때문에 감광 드럼(9)는 이 AC성분(약 2KVP-P) 만큼 현미경적으로 진동을 일으킨다. 감광 드럼(9)의 현미경적 진동은 진동을 일으키는 클리닝 블레이드(13a)의 소위 스틱 슬립을 트리거 하기 쉽다. 스틱 슬립으로 인한 클리닝 블레이드(13a)의 진동은 크며, 이런 큰 진동은 지지 부재(13a1)이 부착되는 지지 부재(13a1)을 통하여 하부 프레임(15) 및 상부 프레임(14)에 전달되어 소음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클리닝 블레이드(13a)의 진동에 의해 발생한 소음을 억제하는 수단으로서, 제31도 및 제3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4) 내의 예정 위치에 리브(14j)가 제공되고 이 리브(14j)는 클리닝 블레이드(13a)가 고정되는 지지 부재(13a1)의 상면에 맞닿는다. 또, 폐토너 저장소(13c)로부터 폐토너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발포 우레탄 등으로 제조된 밀봉 부재(S1)이 리브(14j)에 부착되고 리브(14j)와 지지 부재(13a1) 사이에서 압축된다. 결국, 클리닝 블레이드(13a)의 진동은 밀봉 부재(S1)과 리브(14j)의 협동에 의해 억제되어 상술한 진동에 관한 소음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로부터 알 수 있듯이, 클리닝 블레이드(13a)의 지지 부재(13a1)은 밀봉 부재(S1)을 사이에 두고 상부 프레임(14)와 하부 프레임(15)에 의해 협지된다. 다시 말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립된다. 클리닝 블레이드(13a)는 지지 부재(13a1)을 하부 프레임(15)에 나사로 부착함으로써 하부 프레임(15)에 설치되고, 상부 프레임(14)와 하부 프레임(15)는 상부 프레임(14)와 하부 프레임(15) 사이에 지지 부재(13a1)을 압축하듯이 배치된다.
리브(14j)에서, 그 높이는 리브(14j)가 부착되는 지지 부재(13a1)의 상면과 상부 프레임(14)내면 사이의 제로 간극을 두도록 선택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 리브(14j)는 클리닝 블레이드(13a)의 종방향으로 중심 잡히고, 또 길이 LR은 약 180㎜ 이상으로 제조된다. 결국, 상부 프레임(14)는 약 0.5㎜ 내지 1.0㎜ 만큼 클리닝 블레이드(13a)의 반응에 의해 굽혀지지만 본 실시예에서 이 문제는 그 굽힘이 상부 프레임(14)의 형상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설계함으로써 쉽게 처리할 수 있다.
평균 토너 입경 및 블레이드 접촉 압력 사이의 관계
최근에, 화상의 질(화질)을 보다 향상시키려는 노력이 계속 있어 왔고, 따라서, 토너 입경은 이런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토너 입경이 점차 감소되어 왔다. 종래에는 평균 입경 약 9㎛인 토너가 사용되고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평균 입경 약 7㎛인 토너가 사용된다. 제33도의 정상 분포 곡선은 이런 토너의 토너 입경 분포를 도시한 것이다. 제33도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토너 입경이 감소할 수록 작은 토너 입자가 증가된다. 따라서, 클리닝 블레이드(13a)가 감광 드럼(9)에 접촉하는 접촉 압력은 토너 입자의 미세한 정도에 비례하여 증가시켜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토너가 클리닝 블레이드(13a)에 의해 미끄러져서 소위 클리닝 고장을 일으키기 쉽다. 또, 클리닝 블레이드(13a)에 의해 미끄러진 토너는 대전 롤러(10)에 의해 집합되고 드럼 표면 상에 용융된 토너가 감광 드럼(9)의 표면 상에 굳어진 채 남아 부적절한 대전을 이루기 쉬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클리닝 블레이드(13a)가 감광 드럼(9)와 접촉하는 압력은 토너 입경 감소에 따라 증가된다. 이하에, 클리닝 블레이드(13a)의 접촉 압력을 측정하는 방법과 본 발명의 출원인이 행한 내구성 실험 결과 블레이드 압력과 토너 입경을 변경해 가면서 정상 상태 하에서 5000부의 복사를 한 후 세척 능력, 대전 특성, 감광 드럼 상태를 살펴 보았다.
우선, 제3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 드럼(9)에 대한 클리닝 블레이드의 관입량λ와 설정 각도 ψ의 크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블레이드의 관입량 λ는 그 자체를 변형시키지 않고 감광 드럼(9)에 클리닝 블레이드(13a)의 선단이 들어가는 양을 가리키는 것이며, 접근각 ψ는 클리닝 블레이드(13a)의 선단과 감광 드럼(9) 사이의 접촉점에서 감광 드럼(9)의 접선과 클리닝 블레이드(13a)에 의해 형성된 각도를 의미한다.
상술한 정의를 기초로 하여 제35도를 참고로 블레이드의 접촉 압력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1㎝ 폭의 부재를 클리닝 블레이드(13a)로부터 절단해 내어 모터(56)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블레이드 마운트(57) 상에 고정하고 이클리닝 수단(13)의 조각을 약 20°내지 25°의 범위에서 선택한 예정 각도ψ로 부하 센서(58)과 접촉 위치시킨다. 그리고, 블레이드 마운트(57)은 소정 관입량λ와 동등한 양 만큼 부하 센서쪽으로 이동되고 부하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값은 증폭기(59)에 의해 증폭되어 전압계(60)을 통해 독출된다. 이렇게 독출된 전압은 미리 준비해 둔 단위 전압당 전형 부하를 가하여 센티미터당 선형 부하로 변환한다. 이렇게 얻은 값이 블레이드 접촉 압력이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전술한 블레이드 접촉 압력 측정 방법을 사용하여 내구성 시험을 행하였는데, 그 실험에서는 세척 능력, 대전 특성 및 감광 드럼 상태를 접촉 압력과 토너 입경을 변화시킴으로써 감광 드럼 상태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를 제36도에 도시하였다. 시험 중에, 대전 특성을 안정시키기 위해 약 1KV DC와 약 2KV AC전압의 중첩 전압을 대전 롤러에 인가하였다. 현상 시스템에 있어서는 단일 성분 자성 토너를 사용하는 역전 현상이었다. 이 시험에서 말하는 역전 현상이라 함은 잠상의 전압의 극성과 같은 대전 극성을 가진 토너에 의해 현상 된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 음의 극성으로 대전된 접촉 대전 수단에 의해 대전된 화상 보유 부재의 표면 상에 음의 극성을 갖는 잠상이 형성되고 동일한 음의 극성으로 대전된 토너에 의해 현상된다. 처리 속도는 약 20㎜/sec 내지 160㎜/sec 이었다.
제36도를 참조하면 시험 번호 1은 주된 조합, 즉 블레이드 접촉 압력이 15gf/cm이고 9㎛ 평균 직경을 가진 토너를 감광 드럼(9)에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기대하는 바와 같이, 세척 능력이 충분하기 때문에 특성 곡성과 감광 드럼 상태는 양호하였다.
시험 번호 2에서, 블레이드 접촉 압력은 15gf/cm이었고 평균 입경 7㎛인 토너를 사용하였다. 약 1000장의 복사가 완료된 후에 클리닝 고장이 발생하였고, 그 후 약 천 수백장의 복사가 완료된 후에 대전 고장이 발생하였다. 게다가, 클리닝 블레이드(13a)에 의해 미끄러진 토너는 대전 롤러(10)에 의해 인가된 중첩전압에 의해 발생한 진동에 의해 뭉쳐서 드럼 상에서 용융되었다.
시험 번호 3에서, 블레이드 접촉 압력은 20gf/cm이었고 평균 입경 7㎛인 토너를 사용하였다. 블레이드에 의해 미끄러진 토너의 양은 감소되었지만 세척 능력이 불충분하였다. 따라서, 클리닝 블레이드(13a)에 의해 미끄러진 토너는 감광 드럼(9)와 접촉하는 쪽의 클리닝 수단(13)의 표면에 축적되고, 2000회 복사 완료된 후 축적된 토너가 장치 작동 개시시에 블레이드 선단의 변형으로 인한 감광 드럼(9)에 의해 축출된다. 축출된 토너는 대전 롤러(10)에 접착되고 대전 고장을 일으킨다. 그러나, 대전 롤러(10)에 접착된 토너는 복수개의 복사가 연속된 후에는 점차 제거되며 대전 성능이 회복된다.
시험 번호 4에서, 블레이드 접촉 압력은 25gf/cm으로 증가하였고 평균 입경 4㎛인 토너를 사용하였다. 결과는 시험 번호 3과 거의 동일하였다.
시험 번호 5에서, 블레이드 접촉 압력은 25gf/cm으로 증가하였고 평균 입경 7㎛인 토너를 사용하였다. 토너의 미끄러짐 양은 거의 없었고 따라서 감광 수단에 부착되는 쪽의 클리닝 수단(13)에 전혀 부착되지 않았다. 5000부 정도의 내구성 한도 내에서 토너는 장치 동작 개시시에 클리닝 수단(13)에 거의 부착되지 않았으며 소위 클리닝 고장은 일어나지 않았다. 결국, 세척 능력, 대전 특성 및 감광 드럼 상태는 양호하였다.
시험 번호 6과 7에서, 접촉 압력은 25gf/cm에서 유지하였고 평균 입경 5㎛인 토너와 평균 입경 4㎛인 토너를 각각 사용하였다. 결과는 시험 5에서와 같았으며, 감광 드럼 상태는 물론 세척 능력과 대전 특성도 양호하였다.
시험 번호 8 및 10에서, 블레이드 접촉 압력의 상한은 평균 입경 7㎛인 토너를 사용하였을 때 측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접촉 압력을 60gf/cm 이하로 하면 화상과 관련된 문제점은 전혀 없었으나 블레이드 접촉 압력을 65gf/cm로 하면 드럼 표면은 거의 긁혀지고 약 4000장 복사 후에 이들 화상에 나타난 긁힘 자국으로 인한 줄무늬가 생겼다.
시험 번호 9 및 11에서, 블레이드 접촉 압력의 상한은 평균 입경 4㎛인 토너를 사용하였을 때 측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결과는 시험 번호 8 및 시험 번호 10과 결과는 동일하였으며 블레이드 접촉 압력이 60gf/cm인 경우에는 화상과 관련한 문제점은 전혀 없었으나 블레이드 접촉 압력이 65gf/cm인 경우에는 드럼 면이 거의 긁히고 약 4000부 정도 복사한 후 이들 긁힘에 의한 줄무늬가 화상에 나타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결과에 따라서 토너의 입경이 7㎛ 이하인 경우에는 블레이드 접촉 압력은 적어도 20gf/cm이 되도록 설정해야 하며 클리닝 고장을 학실히 방지하면서 만족스런 화상을 항상 제공하기 위해서는 블레이드 접촉 압력은 25gf/cm 내지 60gf/cm의 범위 내로 설정해야 한다. 이들 상한 및 하한을 고려하면 약 36gf/cm으로 블레이드 접촉 압력을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탄성 클리닝 블레이드(13a)는 평균 입경 4㎛ 내지 7㎛의 범위일 때클리닝 블레이드(13a)는 감광 드럼(9)과 25gf/cm 내지 60gf/cm의 접촉 압력으로 접촉 배치되는 식으로 하부 프레임(15) 상에 장착된다.
(상부 및 하부 프레임)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14 및 15)를 기술하기로 한다. 제6도를 참조하면 하부 프레임(15)측에는 감광 드럼(9) 이외에 현상 수단(12), 현상 블레이드(12e), 클리닝 수단(13)으로 구성되는 현상 슬리브(12d)가 배치된다. 한편, 상부 프레임(14)측에는 대전 롤러(10), 현상 수단(12)을 구성하는 토너 저장소(12a) 및 토너 공급 기구(12b)가 배치되어 있다.
제8도 및 제38도를 참조하면, 상부 및 하부 프레임(14 및 15)를 조합하기 위해 네 쌍의 갈고리(14)가 상부 프레임(14)이 일체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7도 및 제37도를 참조하면, 하부 프레임(15)에는 프레임(15)와 일체로 형성된 구멍(15a, 15b)가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및 하부 프레임(14 및 15)는 갈고리(14a)가 결합 구멍(15a, 15b)에 강제로 끼워져 결합되고, 갈고리(14a)와 결합구멍(15a)는 탄성 결합되고 필요에 따라 분해될 수 있다. 또, 연결을 견고히 하기 위해, 갈고리 (15c)와 결합 구멍(15d)가 제7도 및 제3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15)의 종방향 양단부를 향해 제공되고 제8도 및 제3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구멍(15d 및 15e)와 결합되는 결합 구멍(14b 및 14c)가 상부 프레임(14)의 종방향 단부를 향해 제공된다. 다시 제7도 및 제37도를 참조하면 위치 결정 돌기(15m)은 하부 프레임(15)의 종방향 단부를 향해 감광 드럼(9)가 배치되는 곳의 부근에 형성된다. 이들 돌기(15m)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4)를 연결했을 때 상부 프레임(14)를 통해 절결된 구멍(14g)를 관통하여 외부로 비어져 나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프레임(14 및 15)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구성하는 각종 부재를 별도로 결합하면 감광 드럼에 대해 특별히 위치되어야 하는 현상 슬리브(12), 현상 블레이드(12e), 클리닝 블레이드(13a) 등의 부재는 동일 프레임측(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프레임(15)측) 상에 배치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조립공정을 단순화하면서도 각 부재가 정밀하게 배치된다.
게다가, 본 실시예의 하부 프레임(15)에는 제7도 및 제3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단부 중 하나에 인접하여 배치된 결합 오목부(15n)이 제공되고 상부 프레임(14)에는 갈고리(14a)의 대략 중간점에 있는 오목부(15n)에 결합하도록 단부 중 하나에 인접 배치한 결합 돌기(14h)가 제공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의 하부 프레임(15)에는 제7도 및 제3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의 각 코너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된 한 쌍의 결합 오목부(15e)와 결합 돌기 (15f1) 및 결합 오목부(15f2)가 제공되어 있고 상부 프레임(14)에는 제8도 및 제3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4)의 각 코너 부분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한 쌍의 결합 오목부(15e), 결합돌기(15f1) 및 결합 오목부(15f2)와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 돌기(14d), 결합 오목부(14e1) 및 결합 돌기(14e2) 가 제공되어 있다. 결합오목부(15f2)에 인접하여, 결합 구멍(15f3)이 제공되고 결합 돌기 (14e2)에 인접하여 결합 구멍(15f3)과 결합하는 결합 갈고리(14e3)이 제공된다.
따라서, 상부 및 하부 프레임(14 및 15)를 서로 맞붙이면 결합 돌기(14h, 14d, 14e2, 15f1)은 각각 결합 오목부(15n, 15e, 15f2, 14e1)과 결합되고 또 결합 갈고리(14e3)은 결합 구멍(15f3)과 결합되어 상부 및 하부 프레임(14 및 15)가 견고하게 조합되어 비틀림력이 작용하더라도 조합된 상부 및 하부 프레임(14 및 15)가 서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결합 돌기, 결합 오목부, 결합 갈고리 및 결합 구멍은 이들이 상부 및 하부 프레임(14 및 15) 상에 작용되는 비틀림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는 한 전술한 바와는 다른 위치에 배치할 수도 있다.
제6도를 참조하면, 상부 프레임(14)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화상 형성장치(A)에서 분리할 때 외부 광, 먼지 등으로부터 감광 드럼(9)를 보호하는 셔터기구(24)가 제공되어 있다. 이 셔터 기구(24)의 구조적인 세부 사항을 이하에 설명한다.
하부 프레임(15)의 하면은 기록 매체를 운반하는 가이드로서의 기능을 한다.
여기서, 기록 매체를 운반하는 가이드로서의 기능을 하는 하부 프레임(15)의 하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39도를 참조하면 감광 드럼(9)와 전사 롤러(6) 사이에 형성된 닙 N의 상류측에 배치된 하부 프레임(15)의 하면의 가이드 부분(15h)은 닙 N의 위치에서 접선 N1방향에 대해 LA(LA =5.0㎜ 내지 7.0㎜) 만큼 기록 매체 P를 전향하도록 위치된다. 이 가이드 부분(15h)는 토너를 슬리브(12d)에 공급하는 데 필요한 공간과 현상 슬리브(12d)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부 프레임(15)의 하면의 일부분이기 때문에, 그 구조 및 위치는 적절한 현상 조건을 얻기 위해 결정되는 현상 슬리브(13d)의 위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이 표면을 접선 N1방향에 가깝게 배열하려 하면 하부 프레임(15)가 얇아져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강도에 관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하부 프레임(15)의 하면 하방에서, 기록 매체가 운반되는 방향에 대해 하류측에 배치된 클리닝 수단(13)의 하단(13f)의 위치는 클리닝 블레이드(13a), 수용시트(13b)등을 배치하는 방법에 따라 결정되고 하단부(13f)가 기록 매체 P를 방해하지 않도록 접선 N1으로부터 LB의 거리 (LB = 4.5㎜ 내지 8.0㎜)(본 실시예에서는 약 6.2㎜)를 갖는 위치에 선택된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서, 제39도에서 감광드럼(9)의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수직선과 감광 드럼(9)의 회전 중심과 전사 롤러 (6)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선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δ는 δ=10° 내지 30°(본 실시예에서는 약 20°)를 만족하도록 설정된다.
(셔터 기구)
기록 매체 상에 토너 화상을 전사하기 위해, 감광 드럼(9)는 하부 프레임(15) 상에 제공된 개구(15g)(제42도)를 통하여 전사 롤러(6)를 마주 보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카트리지(B)를 화상 형성 장치(A)로부터 분리해 낼 때 감광 드럼(9)가 노출된 채 남게 되면 감광 드럼(9)는 외부 광에 노출되어 오염되고 또 먼지가 감광 드럼(9)에 부착된다. 따라서, 프로세서 카트리지(B)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A)로부터 분리해 낼 때 외부 광, 먼지 등으로부터 감광 드럼(9)의 노출된 부분을 보호하는 셔터 기구(24)가 제공되어 있다. 이후에, 셔텨기구의 구조를 제40도 내지 4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셔터 기구의 구조
제40도를 참조하면, 셔터 기구(24)는 셔터 아암(24a), 셔터 링크(24b), 셔터부(24c), 축 수용기(24d, 24e) 및 비틀림 스프링(24f)를 포함하고, 또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하거나 그로부터 취출할 때 자동 개폐된다.
셔텨 아암(24a)는 금속 재료로 만들어지며, 제4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 수용기(24d, 24e1)(제 43도)에 의해 회전 지지된다. 이 셔텨 아암(24a)에 의해 셔터 링크(24b)는 회전 지지되며 셔터 링크(24b)의 회전 중심 부분(24b1)은 셔터 아암(24a)의 회전 규제부(24a2)에 의해 규제되어 셔터 링크가 화살표 d1 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셔터 링크(24b)에 의해, 셔터부(24c)는 회전 지지되며, 셔터부(24c)의 회전 중심 부분(24c1)은 셔터 링크(24b)의 회전 규제부(24b2)에 의해 규제되어 셔터부(24c)가 화살표 e1 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셔터 아암(24a)의 한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수용기(24d)에는 수용부(24d1)부터 돌출하는 돌기(24d2)(제43도)가 제공되어 있고, 이 돌기에 비틀림 스프링(24f)가 끼워진다. 비틀림 스프링(24f)의 한 단부는 축 수용기(24d)의 홈 (24d3)에 배치되고 다른 단부는 셔터 링크(24b)를 회전 지지하는 셔터 아암(24a)의 지지부(24a3)상에 놓여서 셔터 아암(24a)에는 제4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모멘트가 제공된다. 비트림 스프링(24f)로부터의 힘에 의해 가압되면 셔터 아암(24a)의 회전 규제부(24a2)는 화살표 d2 방향으로 셔터링크(24b)를 규제하고, 이어서 셔터 링크(24b)의 회전 규제부 (24b2)는 화살표 e2 방향으로 셔터부(24c)를 규제하여 제4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 기구(24)가 완전히 닫힌다.
이 실시예에서, 셔터부(24c)의 내면(감광 드럼(9)의 표면에 대향하는 면)은 셔터 기구(24)가 완전히 닫혀 셔터부(24c)가 감광 드럼(9)의 표면에 손상을 주는 것이 방지되는 상태에서 셔터부(24c)와 갑광 드럼(9)가 서로 접촉하더라도 미끄러지도록 성형된다. 또, 제4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 지지부(14k)는 하부 프레임(14)의 드럼 개구(15g)의 종방향 단부에 각각 제공되어 있다. 이 셔터 지지부 (14k)는 셔터 기구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셔터부(24c)가 감광 드럼(9)의 표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셔터부(24c)를 유지한다.
또, 셔터 기구는 상부 프레임(14)에 부착되고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특히, 셔터 아암(24a)의 축부(24a1)을 지지하는 축 수용기(24d, 24e)에는 각각 결합 갈고리 (24d4, 24e4)가 제공되어 있고, 셔터 기구 (24)는 현상측의 상면의 각 종방향 단부에서 상부 프레임(14)상에 제공된 결합 구멍(도시 않음)에 결합 갈고리(24d4, 24e4)를 결합하여 상부 프레임(14)에 결합된다.
축 수용기의 결합 갈고리의 결합량
셔터 기구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착 또는 분리할 때 개폐되어 상부 프레임(14)상의 셔터 기구를 수용하는 축 수용기(24d, 24e) 상에 작용된 힘은 셔터 기구(24)가 개폐될 때 변동되도록 되어 있다. 축 수용기 쌍(24d, 24e) 이외에는 축 수용기(24d)에만 셔터 기구를 폐쇄 방향으로 가압하는 비틀림 스프링(24f)가 끼워져 있기 때문에, 축 수용기(24d)상에 작용된 힘은 비틀림 스프링(24f)가 끼워지지 않은 다른 축 수용기(24e) 상에 작용되는 힘보다 커서 그 변형도 크다. 결국, 축 수용기(24d)의 결합 갈고리(24d4)의 결합량이 다른 축 수용기(24e)의 결합 갈고리(24e4)의 결합량과 동일하면 결합 갈고리(24d4)는 분리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결합 갈고리(24d4)의 결합량은 축 수용기(24e)의 결합 갈고리(24e4)의 결합량 보다 크게 하여 축 수용기(24d)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축 수용기(24d)의 한 쪽 상의 결합 갈고리(24d4)의 결합량은 다른 쪽 보다 크게 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축 수용기(24d, 24e)는 상부 프레임(14)의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비틀림 스프링(24f)는 한 쪽 단부, 즉 축 수용기(24d) 상의 한 단부에만 제공되며, 이 축 수용기(24d)의 경우에 축 수용기(24d)의 한 쪽의 결합 갈고리(24d4)의 결합량은 다른 쪽과는 다르며, 비틀림 스프링(24f)가 제공되지 않은 축 수용기(24e)의 경우에는 한 쪽의 결합 갈고리(24e4)결합량은 다른 쪽과 같다. 따라서, 축 수용기(24d 또는 24e)가 상부 프레임(14)와 결합을 유지하는 강도의 크기는 서로 다르다.
이하에 제시한 것은 본 실시예의 결합 갈고리(24d4, 24e4)의 결합량에 대한 구체적인 값의 예이다. 그 선택은 이 예에만 제한되지는 않으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1) 축 수용기(24d)의 한 쪽의 결합 갈고리(24d4)의 결합량 (D1) : 약 1.0㎜
(2) 축 수용기 (24d)의 다른 쪽 결합 갈고리(24d4)의 결합량 (D2) : 약 1.1㎜
(3) 축 수용기(24d)의 결합 갈고리(24d4)의 아암 길이 (D3) : 약 2.8㎜
(4) 축 수용기(24e)의 한 쪽의 결합 갈고리(24e4)의 결합량 (E1) : 약 1.0㎜
(5) 축 수용기(24e)의 다른 쪽 결합 갈고리(24e4)의 결합량 (E2) : 약 1.0㎜
(6) 축 수용기(24e)의 결합 갈고리(24e4)의 아암 길이 (E3) : 약 2.8㎜
셔터 기구의 회전 중심
셔터 기구(24)에서, 셔터 기구의 회전축인 셔터 아암(24a)의 축 부분(24a1)은 상부 프레임(14)의 현상측 상면에 상부 프레임(14)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이 축 부분(24a1)은 카트리지 장착시 등의 상황 하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당겨서 인장되어 손상을 입거나 변형되기 쉽게 된다. 또, 제42도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토너 저장소(12a) 내의 토너 공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카버 부재(12f) 상에 팽창부(12f3)가 제공된다. 셔터 기구의 회전 축인 축부분(24a1)은 팽창부(12f3) 상방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셔터 기구의 회전 범위는 증가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이런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커버 부재(12f)의 팽창부(12f3)에는 제4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홈(12f4)가 제공되고, 축 부분(24a1)은 이 홈(12f4)를 통하여 연장되고 카버 부재(12f)의 팽창부(12f3)의 상면 상방으로 비어져 나오지 않는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조립}
다음에, 상술한 구조를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조립 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하부 프레임에의 조립)
제45도를 참조하면 우선, 토너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 프레임(15)에서, 발포 폴리우레탄 등으로 된 방지 밀봉 부재(S4)를 양면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현상 슬리브 밀봉 베어링면(15i)상에 부착하고, 동일 재료로 된 밀봉 부재(S5)를 동일 방법으로 하부 프레임(15)의 종방향에 대해 클리닝 블레이드 설치면(15j)의 외측에 위치한 시트부(15j1) 상에 부착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 현상 슬리브 밀봉 베어링면(15i) 상에 부착되는 밀봉 부재용으로는 펠트 재료가 사용되며, 클리닝 설치면(15j)에 인접하여 위치한 스트부(15j1) 상에 부착되는 밀봉 부재로는 발포 우레탄이 사용된다. 토너 누설을 방지하는 밀봉 부재(S4 와 S5)는 외곽 형상을 가질 필요는 없다. 대신에 탄성 중합체로 고화될 수 있는 액체 재료를 프레임 내에 밀봉 부재를 안착시킬 위치에 형성된 오목부에 주입하여 성형할 수도 있다.
현상 슬리브(12d)는 밀봉 부재(S4)가 부착되는 하부 프레임(15) 내에 장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 슬리브(12d)의 단부로부터의 토너 누설은 밀봉 부재(S4)에 의해 방지되고, 제4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슬리브(12d)의 회전 방향(도면의 화살표 방향)과 이 슬리브 내에 배치된 롤러 자석(12d)의 자극 사이의 관계 때문에 토너는 제46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슬리브(12d)의 단부의 밀봉 부재(S4)부근에 부착되고, 따라서 밀봉 부재(S4)의 밀봉 성능은 제47도에 도시한 하부(15i1)에서 가장 높아져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슬리브 밀봉 베어링면(15i)는 현상 슬리브(12d)의 하부로부터 슬리브 밀봉 베어링면(15i)의 하부(15i1) 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가 다른 부분의 반경 R2 보다 작아지도록 성형된다. 다시 말하면, 두 반경 R1 및 R2의 관계는 R1 < R2이다. 이런 배치 구조에서, 현상 슬리브(12d)는 베어링(12h, 12i)를 통하여 하부 프레임(15)에 설치되고 밀봉 부재(S4)는 다른 부분 보다는 하부(15i1)을 따라 더욱 압축되며 현상 슬리브(12d)와 하부(15i1) 사이의 밀봉 압력을 증가시키고 밀봉 성능을 개선한다. 본 실시예에서 슬리브 밀봉 베어링면(15i)는 다른 부분 보다는 하부(15i1)을 따라 약 0.4㎜ 더 압축된다.
현상 슬리브(12e)가 부착되는 블레이드 지지 부재(12e1)과 클리닝 블레이드(13a)가 부착되는 블레이드 지지 부재(13a1)은 하부 프레임(15)의 대응 블레이드 설치면(15k, 15j)에 나사(12e2, 13a2)로 설치된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제4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12e2, 13a2)를 동일 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블레이드 지지 부재(12e1,13a1)을 위한 블레이드 설치면(15k, 15j)를 각각 거의 평행하게 형성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대량 생산하면 현상 블레이드(12e)와 클리닝 블레이드(13a)는 자동 기계 등에 의해 자동적으로 연속적으로 나사 결합된다. 이런 배치 구조에서, 스크루 드라이버 등을 위한 공간이 제공되어 양 블레이드(12e, 13a)의 효율은 증가될 수 있고, 또 하우징(프레임)을 형성하는 주형을 위한 개방 방향을 동일하게 하여 주형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프레임(15)은 제45도에 도시한 수직선에 대해 현상 블레이드 설치 베어링면(15k)와 클리닝 블레이드 설치 베어링면(15j)의 각도가 약 24°및 22°가 되도록 상기 양면이 거의 평행하도록 성형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양 블레이드(12e, 13a)를 자동 기계 등과 연속적으로 나사 결합하기 위해 블레이드 설치면(15k, 15j)에서 현상 블레이드(12e)와 클리닝 블레이드(13a)를 나사 체결하도록 제공되는 양 나사 구멍의 각도는 동일하게, 즉 제45도에 도시한 수평선에 대해 약 24°가 되도록 하여 한번에 천공할 수 있게 한다.
나사 결합 대신에 현상 블레이드(12e) 및 클리닝 블레이드(13a)는 제4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제 (12e4, 13a3)으로 하부 프레임(15) 상에 접착하여 부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이런 배치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양 블레이드(12e, 13a)는 동일 방향으로부터 접착할 수 있고, 나사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현상 블레이드(12e)와 클리닝 블레이드(13a)는 자동 기계 등에 연속적으로 접착할 수 있다.
클리닝 블레이드 단부의 밀봉
또, 발포 폴리우레탄 등으로 된 밀봉 부재(S6)는 제4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 설치면(15j)의, 클리닝 블레이드(13a)의 단부에 대응하는 하부에 부착된다. 밀봉 부재(S6)는 클리닝 블레이드(13a)에 의해 긁어내어진 토너가 블레이드(13a) 상의 측부로 이동하여 블레이드 단부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소형화에 의해 밀봉 부재(S6)의 하단부와 감광 드럼(9)과 밀봉 부재(S6) 사이의 접촉 영역 사이의 거리 LS(제50도)가 짧아지면 밀봉 부재(S6)는 감광 드럼(9)의 토오크와 진동에 의해 감광 드럼(9)에 의해 인출되기쉽고 또 일정 기간 사용후에 박리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S6)에 고밀도 폴리우레탄 시트(37)를 부착하여 제4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 드럼(9)와 밀봉 부재(S6)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킨다.
또, 클리닝 블레이드(13a) 상에 불화 폴리비닐리덴(PVDF), 불화 탄소, 실리콘 입자 등의 고체 윤활제를 피복하여 시동 기간 중에 감광 드럼(9) 상의 토너의 부족으로 인한 강한 접촉으로 발생되는 토오크 증가는 방지할 수 있고, 또 윤활제(38)은 제5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 부재(S6) 상에도 피복되어 드럼 단부와 밀봉 부재(S6) 사이의 마찰은 더욱 감소되어 밀봉 부재(S6)의 인출을 방지할 수 있다.
현상 슬리브 단부에서의 밀봉
제52도를 참조하면, 현상 슬리브(13)의 단부 부분과 하부 프레임(15)(제52도에서 밀봉 부재(S4)의 단부면) 사이에 형성된 간극(Lt)를 통해 토너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현상 슬리브(12d)의 간극(Lt) 부분 상의 토너 층을 긁어 내기 위해 현상 블레이드(12e)의 각 단부에는 밀봉 부재(7)이 제공된다. 이 밀봉 부재(7)은 제5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슬리브(12d) 상에 가압되는 현상 블레이드(12e)의 외관 형상을 따르도록 형상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현상 블레이드(12e)가 현상 슬리브 상에 가압하는 접촉 압력이 증가되지 않도록 한다. 이런 배치 구조에 의해, 밀봉 부재(S7)은 상부측(S71)에서 토너의 누설을 방지하고, 하부측(S72)로는 현상 슬리브(12d)의 단부 상의 토너를 긁어 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감광 드럼(9)는 블레이드(12e, 13a)가 부착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4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15)에는 안내 부재(15q1, 15q2)가 제공되어 있고, 안내 부재(15q1)는 클리닝 블레이드 지지 부재(13a1)의 감광 드럼(9)에 마주하는 면 상에 배치된다. 이들 부재는 모두 감광 드럼(9)의 종방향에 대하여 감광 드럼(9)의 화상 형성 범위(제54도에서 범위 Ld) 외측에 배치된다. 양 안내 부재(15q1, 15q2) 사이의 거리는 감광 드럼(9)의 외경 Rd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런 배치 구조를 사용하면, 감광 드럼(9)는 결국 제4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방향에 대해 양단부(화상 형성 범위 외측 부분)은 안내 부재(15q1, 및 15q2)에 의해 안내되는 상태로 부착된다. 다시 말하면, 감광 드럼(9)는 하부 프레임(15) 쪽으로 하향 회전되어 블레이드(13a)가 약간 휘어진 상태로 현상 슬리브가 약간 측방으로 빌린 상태로 된다.
상술한 단계를 따르지 않고 감광 드럼(9)를 먼저 배치하고 나중에 블레이드(12e, 13a) 같은 다른 부재를 설치하면 블레이드(12e, 13a) 등이 부착되는 동안 감광 드럼(9)의 표면에 손상을 줄 기회가 부여된다. 또, 현상 블레이드(12e) 및 클리닝 블레이드(13a)의 부착 위치 또는 감광 드럼(9) 상의 그 접촉 위치를 측정 하는 시험은 실행할 수가 없게 되어 불편하다. 또, 시동 기간 중에 일어나는 토너의 부족으로 인한 토오크 증가 및 블레이드(12e)와 현상 슬리브(12d) 사이 또는 블레이드(13a)와 감광 드럼(9) 사이의 강한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블레이드 박리를 방지하는 윤활제는 하부 프레임(15)에 양 블레이드 (12e, 13a)를 부착하기 전에 도포해야 하므로 조립 공정 중에 윤활제가 갑자기 고갈되는 단점을 낳기 쉽다.
그러나, 이런 단점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감광 드럼(9)을 나중에 배치함으로써 해소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현상 수단(12)과 프레임에 부착된 크리닝 수단(13)으로 자세 검사 같은 시험을 수행할 수 있고, 또 감광 드럼(9) 설치중에 화상 형성 범위에서 감광 드럼(9)가 긁히거나 흠이 생기는 것이 방지된다.
또, 현상 수단(12)와 클리닝 수단(13)을 프레임 상에 조립한 후에 이들에 윤활제를 도포할 수 있으므로 윤활제의 고갈이 방지되고 현상 블레이드(12e)와 현상 슬리브(12d) 사이 또는 클리닝 블레이드(13a)와 감광 드럼(9) 사이의 강한 접촉에 의해 방생되는 토오크 증가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 드럼 안내 부재(15q1, 15q2)는 하부 프레임(15)에 제공되어 하부 프레임(15)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별도의 부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런 배치 구조 대신에, 돌기(12e5, 13a4)는 제5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 드럼(9)를 하부 프레임(15)에 설치할 때 안내 역할을 하도록 감광 드럼(9)의 화상 형성 장치 외측의 블레이드 지지 부재(12e1, 13a1) 상의 종방향 양단부에 각각 제공될 수 있으며, 블레이드 지지 부재(12e1, 13a1)과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도의 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감광 드럼 삽입부의 설치
본 실시예에서, 감광 드럼(9)는 제45도에 도시한 클리닝 블레이드(13a)의 접촉면에 대해 예정 각도γ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삽입된다. 이는 거시적으로는 엣지를 포함하여 윤활제가 균일하게 도포된 것으로 보이지만 제46도 a에 현미경적구조로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13a)의 자유단의 엣지에 수십 미크론의 넓은 면이 윤활제로 코팅되지 않은 채로 남은 영역 Lc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감광 드럼(9)를 상술한 방법으로 설치하면 감광 드럼(9)가 클리닝 블레이드(13a)와 접촉한 후 블레이드(13a) 상의 윤활제(38)은 감광 드럼(9)의 진입에 따라 긁어내어지고 윤활제(38)가 도포되지 않은 Lc 부분에서만 분산된다. 결국, 드럼(9)이 완전히 설치된 시점에서, 윤활제(38)은 드럼(9)와 블레이드(13a) 사이의 전체 표면에 걸쳐 존재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9)는 블레이드(13)의 접촉면에 대해 여정 각도γ를 이루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실행된 시험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말해서 블레이드(13a)의 고무 경도가 60°이고, 동시에 관입량이 0.5㎜ 이상일 때, 또는 블레이드(13a)와 드럼(9) 사이의 접촉 압력이 15gf/cm 이상일 때에는 드럼(9)의 접근 각γ가 브레이드(13a)의 접촉면에 대해 45°이하이면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명백하다. 본 실시예에서 드럼(9)는 약22°의 각도γ를 유지하면서 설치된다.
드럼 축과 베어링 부재의 설치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 슬리브(12d), 현상 블레이드(12e) 및 클리닝 블레이드(13a)가 하부 프레임(15)에 조립 완료된 후에 지지 부재(9d4)를 지지하는 드럼축(9d)와 베어링 부재(16)은 제57도에 사시도 및 제22도에 단면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 드럼(9)의 각 단부에 부착되어 감광 드럼(9)는 하부 프레임(1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베어링 부재(16)은 미끄럼 성능을 가진 폴리아세탈 등에 재료로 제조되며, 감광 드럼(9)에 끼워지는 드럼 축 베어링부(16a), 슬리브 베어링부(16B) 및 D-절결 자석(12c)의 축단부가 끼워지는 D-절결 보어부(16c)를 포함하고 상기 세 부분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감광 드럼(9) 및 자석(12c)는 베어링들에 의해 지지되며, 베어링부(16a)는 원통형 감광 드럼(9)의 단부에 끼워지고, 자석의 단부는 D-절결 보어부(16c)에 끼워지며, 축 베어링 부재(16)은 하부 프레임(15)의 측벽에 고정적으로 끼워진다. 제57도를 참조하면, 베어링 부재(16)에는 도전성 접지 접점(18a)이 부착되고, 상기 도전성 접지 접점(18a)는 베어링 부재(16)이 감광 드럼(9)에 끼워질 때 감광 드럼(9)의 도전성(알루미늄) 베이스 부재(9a)와 접촉하게 된다(제10도). 또, 베어링 부재(16)에는 베어링 부재를 현상 슬리브(12d)에 부착할 때 도전성 부재(18d)와 접촉하게되고 현상 슬리브(12d)의 내면과 접촉하는 바이어스 전압 접점(18b)이 제공되어 있다.
감광 드럼(9)와 자석(12c)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일 부재의 베어링 부재(16)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양 부품(9, 12)의 위치 정밀도가 개선되고, 또 부품 갯수도 감소되어 조립 공정도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도 절감시킬 수 있다.
또, 감광 드럼(9)와 자석(12c)의 위치는 단일 부재를 사용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감광 드럼(9)와 자석(12c)는 보다 정밀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어서 감광 드럼(9) 표면 상에 자력이 균일하게 작용될 수 있게 되고 매끄럽고 정밀하면서도 선명한 화상을 창조할 수 있게 된다.
또, 베어링 부재(16)에 감광 드럼(9)을 접지하기 위한 드럼 접지 접점(18a)와 현상 슬리브(12d)에 바이어스를 인가하는 현상 바이어스 접점(18d)를 제공함으로써 부품들을 효과적으로 소형화할 수 있고, 나아가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 자체를 효과적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베어링 부재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할 때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지지되는 부분이 제공되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정밀하게 위치 될 수 있다.
제22도를 참조하면, 베어링 부재(16)에는 또 드럼 축(16d), 즉 원통형 외향돌기가 제공된다. 축 부분(16d)과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치의 주 조립체(A)에 설치할 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른 단부의 드럼축(9d)가 끼워지는 하부 프레임(15)의 축 구멍부(15s)는 카트리지 수납부(2)의 U자형 흠부(21a) 내에 안착되어 카트리지(B)의 자세가 고정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자세는 감광 드럼(9)에 직접 맞닿는 축 구멍부(15s)와 축 부분(16d)에 의해 고정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다른 부품의 처리 정밀도나 조립 공차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정밀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22도에 따르면, 자석(12c)의 다른 단부는 슬리브 플랜지(12k)의 오목부에 끼워지며, 상기 자석(12c)의 외경은 오목부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자석(12c)는 슬리브 플랜지(12k) 상에서 유격이 있도록 유지되며 이로써 블레이드 지지 부재(12e1)은 아연 도금 강판 같은 자성 금속판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자석은 자중에 의해 하부측에 유지되거나 그 자체의 자력에 의해 블레이드 지지 부재(12e1)을 향해 약간 변위된다.
슬리브 플랜지(12k)와 자석(12c) 사이에 유격의 존재를 허용함으로써 자석(12c)와 회전 미끄럼하는 슬리브 플랜지(12k) 사이의 마찰 토오크는 감소될 수 있고, 이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자체의 토오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부 프레임에의 설치)
한편, 상부 프레임(14)에서는, 우선,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베어링(10c)가 스프링(10a)를 통하여 베어링 미끄럼 안내 갈고리(14n)에 부착되고, 대전 롤러(10)은 슬라이딩 베어링(10c)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 토너 공급 기구(12b)를 토너 저장소(12a) 내에 부착하고, 제58도에 파열 테이프(25)를 가진 카버 피름(26)을 현상 슬리브(12d)에 토너 저장소(12a)로부터 공급되는 토너가 통과하는 개구(12a2)에 부착하여 이 개구(12a2)를 폐쇄하며, 카버 부재(12f)를 용접하고, 토너를 토너 저장소(12a) 내에 충전시킨 다음 토너 저장소(12a)를 밀봉한다. 다음에, 상부 프레임(10)의 현상측 상면에 셔터 기구(24)를 부착하여 셔터가 자유로이 개폐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셔터 기구(24)는 카버 부재(12f)의 홈(12f4) 내에 축부(24a1)을 배치하고, 축 수용기(24d 및 24e)로 축부 (24a1)의 종방향 단부를 낮춤으로써 부착된다(제44도).
파열 테이프
토너 카트리지(12a)의 개구(12a2) 상에 부착된 카버 필름(26) 상에 제공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파열 테이프(25)는 개구(12a2)의 종방향 단부(제58도의 우단부)로부터 다른 단부(제58도의 좌단부)까지 연장되고, 거기서 접혀서 개구(14f)를 통해 비어져 나오고 상부 프레임(14)의 후단부에 간극이 형성된다. 개구(14f)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A)에 설치될 때 파열 테이프(25)가 조작자를 향하게 배치되므로 작업 시야에 들어오게 되어 쉽게 알 수 있다(제44도). 또, 예를 들어 프레임 칼라가 흑색일 때 백색, 황색, 또는 오랜지색을 선택함으로써 프레임(14, 15)의 칼라와 더욱 대비되게 하여 이런 시각성을 개선할 수도 있다.
또, 조작자의 조작성을 개선하기 위해, 파열 테이프의 견인 방향(화살표 g2 방향)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에 설치되는 방향(화살표 g1방향)과 거의 반대되게 제조할 수 있다. 이런 배치 구조를 사용하면 조작자는 손을 바꾸지 않고도 예를 들어 왼손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잡고 오른손으로 파열 테이프를 자신 쪽으로 잡아당김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치의 주 조립체(A)에 설치할 수 있다. 또, 조작자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치의 주 조립체(A)에 설치한 후에도 파열 테이크를 잡아당기는 것을 기억하지 않더라도 조작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화상 형성 장치(A)로부터 인출한 후 손을 바꾸지 않고 파열 테이프(25)를 잡아당길 수 있다.
새로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사용할 때는 개구(14f)로부터 비어져 나온 파열 테이프(25)를 잡아당겨서 토너 저장소(12a)의 개구(12a2) 상에 부착된 카버필름(26)을 박리시켜 토너 저장소(12a) 내의 토너가 현상 슬리브(12d) 쪽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한 후 화상 형성 장치(A)에 설치할 수 있다.
(상부와 하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밀봉 부재)
다음에, 상부 프레임(14)와 하부 프레임(15) 사이의 연결부에 부착되는 밀봉 부재를 설명한다. 제37도 및 제38도를 참조하면, 밀봉 부재는 상부 프레임(14)와 프레임(15) 사이의 연결부에 부착된다. 상부 프레임(14) 상에는 밀봉 부재(S1, S2, S3))가 부착되고 하부 프레임(15) 상에는 밀봉 부재(S8, S9)이 부착된다.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14, 15) 사이의 연결부를 통한 토너의 누설은 이들 밀봉 부재에 의해 방지된다. 이 실시예에서, 클리닝 수단 측에서 상부 및 하부 프레임(14, 15)을 통한 토너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은 빌봉 부재(S1)이며, 현상 수단 측에서 프레임(14, 15) 사이의 연결을 통한 토너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은 밀봉 부재(S2, S3, S8 및 S9)이다.
상부 및 하부 프레임 사이의 연결부에 위치된 홈과 리브
전술한 바와 같이, 밀봉 부재는 상부 프레임(14)와 하부 프레임(15) 사이의 연결면에 부착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토너가 투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 부재(S1, S2, 및 S3)가 부착되는 상부 프레임(14)의 밀봉 베어링면에는 홈(14m)이 제공되고 밀봉 부재(S1, S2, 및 S3)에 대응하는 상부 프레임(14)의 표면에는 삼각형 리브(15r)이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및 하부 프레임(14, 15)가 서로 합체되면 밀봉 부재(S2, S2, 및 S3)은 제53도에 도시한 파형을 형성하도록 압축되어 상부 및 하부 프레임(14, 15) 사이의 연결부에 있는 밀봉 부재의 밀봉 성능이 개선된다. 이 경우에, 밀봉 부재의 일부만이 압축되기 때문에, 밀봉 부재로부터의 반응은 증가되기 어렵고, 따라서 상부 및 하부 프레임(14, 15)의 결합력이 감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조립 과정에서 밀봉 부재(S1, S2, 및 S3)를 사이에 두고 상부 및 하부 프레임(14, 15)를 서로 합체하면 상부 및 하부 프레임(14, 15)는 밀봉 부재(S1, S2, 및 S3)가 국부적으로 압축되면서 접합된다.
또, 외력(예를 들어 진동이나 충격)으로 인해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의 토너상에 압력이 작용하면 가압된 토너는 밀봉 부재(S1, S2, 및 S3)가 개재되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14, 15) 사이의 연결 부위에 침투하게 된다. 그러나 토너의 진행은 삼각형 리브(15r)의 존재와 이 삼각형 리브(15r)에 의해 국부적으로 압축되는 밀봉 부재(S1, S2, 및 S3)의 작용으로 방해받게 되고 따라서 토너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14, 15) 사이의 연결부로부터 누설되지 않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S1, S2, 및 S3)로서 몰트플레인(상표명) 등의 발포우레탄을 사용하고 있지만 탄성 중합체 내에 경화되는 액체 재료를 상술한 홈(14m)에 주입하여 그 자체가 밀봉 부재로 성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돌기의 구조에 대해서는, 그 단면 형상은 밀봉 부재를 국부적으로 압축할 수 있는 형상인 한 꼭 삼각형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 밀봉 부재 베어링면 상에 제공된 홈도 꼭 제공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기록 상으로는 밀봉 부재의 두께는 약 3㎜ 이지만 돌기의 높이를 약 0.5㎜가 되게 하고 두께를 약 1㎜로 압축할 수도 있다.
밀봉 부재의 경도
상부 및 하부 프레임(14, 15) 사이의 연결면 상에 부착된 밀봉 부재(S1, S2, 및 S3) 중에서 현상 부재 측에 위치한 밀봉 부재(S2, S3)은 클리닝 수단 측에 위치한 밀봉 부재(S1) 보다는 경하다. 이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현상 수단 측이 클리닝 수단측 보다 종방향으로 더 잘 휘어지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 클리닝 수단측의 밀봉 부재(S1)으로는 메쉬 60(#60)에 해당하는 밀봉 재료가 사용되고 현상 수단측의 밀봉 부재(S1, S2)에는 메쉬 120(#120)에 해당하는 밀봉 재료가 사용된다. 밀봉 부재(S1, S2, 및 S3)의 두께로는 약 3㎜의 두께를 갖는 것을 사용하고 상부 및 하부 프레임(14, 15) 결합시에 약 1㎜의 두께로 이들 밀봉 부재를 압축함으로써 필요한 밀봉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들 값은 밀봉 성능과 상부 및 하부 프레임(14, 15)을 결합하는 힘을 고려한 적정한 값이다.
파열 테이프의 볼록측 접점
상술한 바와 같이, 밀봉 부재(S8 및 S9)는 종방향 양단부가 하부 프레임(15) 및 현상 수단측에 부착된다. 이들 두 밀봉 부재(S8, S9)로부터, 파열 테이프(25)가 견인되는 쪽에 배치된 밀봉 부재(S8)은 카트리지 내로부터 시작하여 상부 및 하부 프레임(14, 15) 사이의 결합점(제59도에 일점 쇄선으로 도시한 위치)을 가로질러 굽힘 외곽선을 따라가면서 넓은 면적을 덮는 식으로 하부 프레임(15)의 굽힘면(15t) 상에 부착된다. 이런 배치 구조를 사용하면 조작자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부터 파열 테이프를 당기면 파열 테이프는 상부 프레임(4) 및 굽힘면(15t) 상에 넓게 부착된 밀봉 부재(58)의 대응 부분 사이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부터 벗겨내어진다. 따라서, 파열 테이프(25)는 볼록측이 밀봉 부재(58)과 항상 접촉하게 되어 밀봉 부재(S3)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견인하는 데 필요한 힘을 감소시키게 된다.
다시 말하면, 파열 테이프(25)는 굽힘 밀봉 부재(S8)의 호형 부분과 접촉하고 밀봉 부재(S8)의 엣지부에 접촉하지 않게 되며, 따라서 파열 테이프(25)는 잡아당길 때 밀봉 부재(S8)로부터 박리되지 않는다. 또, 파열 테이프(25)가 견인되는 방향은 파열 테이프가 부착되는 표면의 종방향과는 다르기 때문에 파열 테이프(25)는 잡아당길 때 탄성 밀봉 부재(S8)의 엣지와 접촉하지 않게 된다. 상술한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개구(12a2)를 밀봉하는 파열 테이프(25)는 개구(12a2) 상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어, 잡아당길 때 밀봉 부재(S8)의 엣지와 접촉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종 부품이 조립되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14, 15)는 결합 갈고리 및 결합 흠 등의 쌍을 결합하여 합체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조립공정이 완료된다. 여기서, 제60도 a를 참조하여 선적 라인을 설명하기로 한다.
하부 프레임(15)에 각종 부품을 조립한 후, 조립된 하부 프레임(15)를 검사한다(예를 들어 감광 드럼(9) 및 현상 슬리브(12d)의 위치 관계). 그후, 이 하부 프레임(15)를 대전 롤러(10) 등이 조립된 상부 프레임(14)와 합체시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완성하고 이 완성된 카트리지(B)를 일반 검사(전체 검사)에 통과시킨 후 선적한다. 이로써 라인이 단순화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설치 구조}
이하에 첨부 도면을 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화상 형성 장치(A)에 설치하는 방법을 기술하기로 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설치 가이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A)에 설치될 때, 상부 뚜껑(1B)는 장치의 주 조립체(1)의 상부에 위치한 축(1b4)에 대해 회전 개방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제61도에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장치의 주 조립체(1) 내에 제공된 카트리지 설치 공간(2) 내에 삽입된다. 이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제6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되면서 설치되고 축 구멍부(15S)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각 종방향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베어링 부재(16)의 축 부분(16d)와 카트리지 설치 방향에 대해 말단부(제 62도 우측)를 향해 비스듬히 상향으로 설치 공간(2)의 양 내면 상에 제공된 제1 안내부(2a)에 의해 안내되고, 설치 방향에 대해 하부 전방부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양 종방향 측면 상에 제공된 제2 결합부(15u, 14r)은 설치 공간(2)의 양 내면 상에 제공된 제2 안내부(2b)에 의해 안내된다.
돌기 부분인 제2 결합부(15u)는 감광 드럼(9) 상에 제공된 플랜지 기어(9c)와 같은 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2 결합부(15u)는 감광 드럼(9)의 축에 직각인 방향(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대한 전방)으로 하부 프레임(15)의 클리닝 수단측으로부터 약 2.7㎜ 돌출하며, 상기 클리닝 수단(13)은 감광 드럼(9)의 축에 평행으로 배치된다. 게다가, 결합부(15u)는 하부를 향한 테이퍼부(15u1)를 갖는 판형으로 되어 있다(제4도 및 제5도). 또, 결합부(15u)는 하부 프레임(15)의 클리닝측의 하면으로부터 약 6㎜ 하향 돌출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설치중에, 축 구멍부(15a)와 축부분(16d)에 관해 회전하는(반시계 방향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화상 형성 장치(A)를 향해 하향 전진 방향으로 미는 것도 해 보았으나 포로세스 카트리지(B)는 제2 결합부(15u, 14r)이 제2 안내부(2b)와 접촉하기 때문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하강하지 않았다. 이와는 반대로, 축 구멍부(15s)와 축부(16d)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피봇하는 식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하향 후방으로 밀어도 보았으나 제1 결합부(14q)가 안내부(2a)와 접촉하기 때문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더 이상 하강하지 않았다.
또, 제63도를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전사 롤러(6) 상을 통과하지만 제2 결합부(15u)는 전사 롤러(6)의 한 단부에 부착된 축부(6d)를 아래로 누르는 상태를 유지하고, 따라서 설치 방향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하부 전방부는 전사 롤러(6)등과 접촉하지 않게 되어 이들 부품을 손상시킬 우려가 없어진다. 이 경우에, 다른 단부에 배치된 제2 결합부(14r)은 안내 부재(3d)와 접촉된다. 여기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상입되면 제2 결합부(15u)는 전사 롤러(6)의 축부(6d)로부터 분해되어 전사 롤러(6)은 감광 드럼(9)상에 가압되는 스프링(6b)에 의해 상향 가압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안내부(2a, 2b)에 의해 안내될 때, 그리고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뚜껑(1b)가 폐쇄될 때 원활하게 삽입되며, 상기 축 구멍부(15s) 및 축부(16d)는 삽입 방향에 대해 제1 안내부(2a)의 최하측에 제공된 대략 U자형 홈부(2a1)에 끼워져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가 고정된다.
(카트리지 설치 중 셔터 기구의 동작)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는 감광 드럼(9)의 표면을 보호하는 셔터 기구(24)가 제공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 셔텨 기구(2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 A에 설치될 때 자동적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 카트리지 설치 중 셔터 기구(24)의 운동을 기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A)에 삽입될 때 셔터 아암(24a)의 지지부(24a3)에 인접하여 제공된 돌출부(24a4)(제40도)는 제62도에 도시한 위치에서 장치의 주 조립에 상면에 위치된 셔터 캠면(2c)와 접촉하게 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더욱 삽입하면 셔터 아암(24a)의 돌출부(24a4)는 셔터 캠면(2c) 상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고 셔터 링크(24a)와 셔터부(24c)도 우측으로 이동하여 하부 프레임(15)의 하부로부터 분리되어 제6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 드럼(9)의 표면을 노출시키게 된다. 이 때, 셔터 아암(24a)의 회전 규제부(24a2)에 의해 가해지는 회전 규제로부터 벗어나면 셔터 링크(24b)는 그 자중에 의해 셔터 아암(24a)의 지지부(24a3)로부터 현수되고 장치의 주 조립체의 내면과 접촉한 채 유지되지만 셔터부(24c)는 셔터 링크(24b)의 회전 규제부(242)에 의해 회전 규제로부터 해방되지 않은 상태로 위치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더욱 삽입하면, 셔터 아암(24a)의 돌출부(24a4)는 셔터 캠 면(2c) 상에서 우측 방향으로 데드 엔드 까지 계속 이동하고 좌측으로 다시 이동하려하여 자중에 의해 셔터 아암(24b)의 지지부(24a3)으로부터 현수되는 셔터 링크(24b)는 화상 형성 장치(A)의 내면에 접촉하는 지점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하려 한다. 셔터 링크(24b)가 수직으로 되도록 충분히 회전하면, 다시 말해서 셔터 링크(24b)와 함께 회전하던 셔터부는 장치의 주 조립체의 내면과 접촉하게 되어 셔터 링크(24b)의 회전 규제부(24b)에 의한 회전 규제로부터 해제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설치 후에 장치의 주 조립체의 상부 뚜껑(1b)가 폐쇄되면 셔터 기구(24)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이 되고, 감광 드럼(9)이 전사 롤러(9)과 접촉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셔터 기구(2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설치 중에 자동적으로 개방될 뿐 아니라 장치의 주 조립체의 내면의 윤곽에 따라 형상 및 이동이 변동된다. 게다가, 드럼으로부터 제거할 수도 있어서 공간을 절약하고 화상 형성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이룩할 수 있다.
(전기 접점 및 접촉 핀 사이의 관계)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는 감광 드럼(9)와 접촉하는 도전성 드럼 접지 접점(18a)와 현상 슬리브(12d)와 접촉하는 도전성 현상 바이어스 접점(18b)와, 대전 롤러(10)와 접촉하는 도전성 대전 바이어스 접점(18c)가 제공되어 있고, 이들은 하부 프레임(15)의 하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상술한 방법으로 장치의 주 조립체(A)에 설치되면 접점(18a, 18b, 18c)는 각각 제65도에 도시한 장치의 주 조립체측에 위치한 드럼 접지 핀(27a), 현상 바이어스 핀(27b) 및 대전 바이어스 핀(27c) 상에 가압된다.
제65도를 참조하면 접촉 핀(27a, 27b, 27c)의 구조에 있어서, 돌출하기는 하지만 전체가 돌출되지는 않고 또 홀더 카버(28)가 설치되는 회로 기판(28)의 배선패턴에 도전성 압축 스프링(30)으로 전기적 접속되도록 홀더 카버(28) 내에 끼워진다.
제66도를 참조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 내의 전기 접점의 위치 결정을 설명한다. 제66도는 감광 드럼(9)와 각 전기 접점(18a, 18b, 18c) 사이의 위치 관계를 개락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제6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점(18a, 18b, 18c)는 플랜지 기어(9c)가 부착되는 쪽(구동측)에 대항하는 쪽(비 구동측)에 배치되고 대전 바이어스 접점(18c)는 기록 매체 반송 방향에 대해 감광 드럼(9)의 하류층(클리닝 수단측)에 배치되고 드럼 접지 접점(18a)와 현상 바이어스 접점(18b)는 기록 매체 반송 방향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류측(현상 수단측)에 배치된다.
또, 장치의 주 조립체 상의 접점(18a, 18b, 18c)와 접촉 핀(27a, 27b, 27c) 사이의 접촉점은 화상 카트리지(B)가 삽입되는 방향(도면에서 화살표 방향)(제66도에서 y3 및 y4)으로 정렬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이들 접점은 대전 바이어스 접점(18c), 드럼 접지 접점(18a) 및 현상 슬리브(18b)의 순서로 장치의 주 조립체에 들어가고, 여기서, 대전 바이어스 접점(18c)는 드럼 접지 접촉 핀(27a)와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배치된 현상 바이어스 핀(27B)를 방해하지 않도록 위치되고, 드럼 접지 접점(18a)는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배치된 현상 바이어스 접촉 핀 (27b)를 방해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런 배치는 장치 내에 깊숙히 들어가는 접점들이 장치의 입구측에 가깝게 배치된 접촉 핀과 접촉하지 않도록, 그리고 접촉 고장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촉점을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삽입되는 방향에 정렬되지 않도록 배치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B) 착탈 중에 장치의 주 조립체 상의 접점들과 프로세스 카트리지(B) 상의 접점들 사이에 발생하는 방해를 회피할 수 있게 적절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의 주 조립체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소형화하기가 쉬워진다.
또, 접점 중에, 드럼 접지 접점(18a)와 현상 바이어스 접점(18b)는 감광 드럼(9)에 대해 현상 수단 측에 배치되고, 대전 바이어스 접점(18c)는 클리닝 수단측에 위치되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 내의 전극의 형상은 단순화시킬 수 있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특히, 현상 바이어스 접점(18b)는 드럼 접지 접점(18a) 보다 감광 드럼(9)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고 드럼 접지 접점(18a)의 노출 면적은 현상 바이어스 접점(18b)의 것 보다 크다. 또, 현상 바이어스 접점(18b)의 노출 면의 형상은 직각 평행 사변형 부품으로부터 반구형이 돌출한 형상이며, 드럼 접지 접점(18a)의 노출면의 형상은 장화 모양이다. 드럼 접지 접점(18a)의 노출 부분은 감광 드럼(9)에 마주하는 곳으로부터 감광 드럼(9)를 향해 외향 연장되며, 대전 바이어스 접점(18c)의 노출 부분은 굽혀진다. 현상 바이어스 접점(18b)와 드럼 접지 접점(18a)는 감광성 드럼(9)가 감광 재료로 도포되는 범위(제66도의 Z부분) 내에 배치된다.
또, 프로세스 카트리지(B) 내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전기 접촉점을 외측부분이 아닌 곳에 배치함으로써 이물질이 접점에 부착되어 외력에 의한 접점의 오염이나 변형시키는 일이 방지된다.
이하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점의 대표적인 크기 설정치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예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하다면 다른 크기의 것으로 할 수도 있다.
(1) 드럼축에 직각인 방향의 감광 드럼(9)와 드럼 접지 접점(18a) 사이의 거리(X1) : 약 3.9㎜
(2) 드럼축에 직각인 방향의 감광 드럼(9)와 대전 바이어스 접점(18c) 사이의 거리 (X2) : 약 15.5㎜
(3) 드럼축에 직각인 방향의 감광 드럼(9)와 현상 바이어스 접점(18b) 사이의 거리 (X3) : 약 23.5㎜
(4) 드럼축 방향의 감광 드럼(9)와 드럼 접지 접점(18a) 사이의 거리 (Y1) : 약 11.5㎜
(5) 드럼축 방향의 감광 드럼(9)와 대전 바이어스 접점(18c) 사이의 거리 (Y2) : 약 1.5㎜
(6) 드럼축 방향의 감광 드럼(9)와 현상 바이어스 접점(18b) 사이의 거리(Y3) : 약 3.1㎜
(7) 드럼 접지 접점(18a)의 측단부와 접촉 중심 사이의 거리 (x1) : 약 10.3㎜
(8) 드럼 접지 접점(18a)의 수직 길이 (y1) : 약 6.0㎜
(9) 대전 바이어스 접점(18c)의 수직 길이 (x2) : 약 12.4㎜
(10) 대전 바이어스 접점(18c)의 수직 길이 (y2) : 약 6.5㎜
(11) 현상 바이어스 접점(18b)의 수평 길이 (x3) : 약 7.0㎜
(12) 현상 바이어스 접점(18b)의 수직 단부와 접촉 중심 사이의 거리 (y3) : 약 6.1㎜
(13) 드럼 접지 접점(18a)의 외부 반경 (r1) : 약 3.0㎜
(14) 현상 바이어스 접점(18b)의 외부 반경 (r2) : 약 3.0㎜
(15) 현상 방이어스 접점(18b)의 접촉점과 드럼 접지 접점(18a)의 접촉점 사이의 편차(y3) : 약 5.0㎜
(16) 현상 바이어스 접점(18b)의 접촉점과 대전 바이어스 접점 (18c)의 접촉점 사이의 편차 (y4) : 약 7.5㎜
{프로세스 카트리지 수납 구조}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상술한 바와 같은 프로세스에 따라 안내부(2a, 2b)를 따라 삽입하고 상부 뚜껑(1b)을 닫을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제세가 안정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부 뚜껑(1b)가 폐쇄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카트리지 설치 공간(2)의 내면 상에 가압된다.
제65도에서, 상부 뚜껑(1b)에는 완충 스프링을 구비한 압력 발생 수단(1b1) 이내면의 소정 위치에 제공되고 그 회전 중심 부근에는 판 스프링(1b2)가 제공되어 상부 뚜껑을 개방할 때 판 스프링(1b2)가 설치될 프로세스 카트리지(B)와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런 구조를 채택하면 상부 뚜껑(1b)를 개방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한내부(2a, 2b)를 따라 조정 위치까지 삽입하면 상부 뚜껑(1b1)의 내면에 제공된 압력 발생 수단(1b1)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상면을 내리 누르게 되고, 동시에 상부 뚜껑의 아암부 (1b3)은 판 스프링(1b2)를 내리 눌러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상면을 누르게 된다.
결국, 축 구멍부 (15s)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축부(16)은 흠부(2a1) 내에 가압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가 고정되고, 동시에 레그부(15v1, 15v2)는 맞닿음부(2b1, 2b2)와 접촉하게 되어 위치 고정된다. 결국, 카트리지(B)의 회전이 규제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하부 프레임(15)의 레그부(15v1, 15v2)는 카트리지 삽입 방향(제5도)에 대해 하부의 구동측과 비 구동측의 두 위치에 제공되고, 맞닿음부(2b1, 2b2)는 제2 안내부(2b)상의 각 레그부(15v1, 15v2)에 대응하는 소정 위치에 제공되고, 두 맞닿음부(2b1, 2b2)는 같은 높이로 되어 있고, 두 레그부(15v1, 15v2)는 높이가 약간 다르도록 되어 있다. 특히, 구동측 상의 레그부 (15v1)은 비 구동측 상의 레그부(15v2) 보다 약 0.1㎜ 내지 0.5㎜ 만큼 크게 만들어지므로 구동측의 레그부(15v1)은 맞닿음부(2b1)과 항상 접촉하게 되고, 비구동측의 레그부(15v2)는 맞닿음부(12b2)로부터 약간 상승된 상태로 남게 된다. 따라서, 정상 조건 하에서, 장치의 주 조립체 내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는 세개의 위치,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B) 축 구멍(15a)의 위치와 축부(16d), 구동측 상의 레그부(15v1) 위치에 고정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 본체 전체가 장치 동작중 시계 방향으로 회전 모멘트를 받더라도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자세변경이 방지된다. 비 구동측 상의 레그부(15v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예를 들어 진동 등의 외력에 의해 변형될 때만 맞닿음부(12b2)와 접촉하여 스톱퍼로서의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상에 작용되는 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설치 후 에 상부 뚜껑(1b)가 폐쇄되면, 카트리지(B) 상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압력 발생 수단(1b1) 등에 의해 가해진 하향 압력 이외에도 상향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설치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안정시키기 위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 상에 작용된 하향 압력은 상향 압력 보다 크게 설정해야 한다.
상향력
프로세스 카트리지(B) 상에 작용되는 상향력은 전기 접촉 핀(27a, 27b, 27c)와 전사 롤러(6) 및 셔터 기구(24)에 의해 발생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 설치 중에, 전기 접촉 핀(27a, 27b, 27c)는 카트리지(B)의 하면에 노출된 전기 접점(18a, 18b, 18c) 상에 내리 눌려지고, 전사 롤러(6)은 감광 드럼(9) 상에 가압되게 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제65도 및 제6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접촉 핀의 스프링(30)으로부터의 힘 Fc1, Fc2, Fc3과 전사 롤러(6)의 스프링(6b)로부터의 힘 Ft에 의해 상향 가압된다(제1도). 또,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설치에 의해 개방된 셔터 기구(24)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24f)에 의해 폐쇄 방향으로 일정하게 가압되는 상태로 남는다. 이 힘 Fd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취출시에 견인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 상에 작용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힘 Fd의 수직 성분 Fd1및 Fd2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된다.
하향력
한편,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압력 발생 수단(1b1)로부터의 힘 Fs1, Fs2와 판 스프링(1b2)로부터 힘 Fs에 의해 하향 가압된다. 또, 자중 Fk1, Fk2및 Fk3과 감광 드럼(9)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의 회전에 의해 하향 가압된다.
특히. 제65도를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착할 때 감광 드럼(9)의 종방향 단부 중 하나에 부착된 플랜지 기어(9c)는 장치의 주 조립체(A)에 제공된 구동 기어(31)와 결합하여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한다. 이때, 양 기어(9c, 31) 사이의 작동 압력각의 방향은 수평선에 대해 θ = 1° 내지 6°의 각도로 하향 설정된다(본 실시예에서는 4°임). 따라서, 화상 형성 동작 중에 구동기어(31)과 플랜지 기어(9c) 사이의 작동 압력 Fg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하향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기어의 작동 압력 Fg를 수평선에 대해 하향으로 함으로써 프로세스카트리지(B)는 밀리지 않게 된다.
또, 작동 압력 각도를 수평선에 대해 하향으로 함으로써 조작자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완전히 삽입하지 않고(상부 뚜껑(1b)가 닫힐 수 있을 정도로) 상부 뚜껑(1b)를 폐쇄할 때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상부 뚜껑(1b)의 폐쇄가 감지된 후에 구동 모터가 회전하면 구동 기어(31)의 회전력에 의해 견인되고 축 구멍부(15)와 축부(16d)는 홈부(2a1) 내에 결합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적절히 설치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잘못 삽입하여 플랜지 기어(9c)와 구동 기어가 연결되지 못한 경우에, 프로세서 카트리지(B)는 장치의 주 조립체 A로부터 상방으로 비어져나오게 되어 상부 뚜껑(1b)가 폐쇄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포로세서 카트리지(B)가 부저절하게 삽입되었음을 인지하게 된다.
또,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동작 중에 제65도에 좌측 하향으로 비스듬하게 배향된 힘을 받게 되고, 축 구멍부(15s)와 축 부분(16d)는 상술한 작동 압력 때문에 홈(2a1) 내에 맞닿게 되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안정되게 유지된다. 그러나, 작동 압력각이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선에 대해 좌측 하향으로 비스듬히 설정되면 그 자세는 플랜지 기어(9c)가 구동 기어(31) 상에 올라타게 된다. 따라서, 하향 작동 압력각이 증가되면 플랜지 기어(9c)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설치중에 구동 기어(31)과 충돌하기 쉽다. 게다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제거 중에 견인에 앞서 들어 올려야만 하고 그렇지 않으면 양 기어(9c, 31)은 서로 충돌하기 쉬워서 그 분해에 방해가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스듬한 좌측 하향 작동 압력 각도θ는 약1°내지 6°정도가 바람직하다.
(상향력과 하향력 사이의 관계)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 상에 작용되는 상향력과 하향력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적절히 설치하고 각 접촉 핀을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대응 부품과 접촉하여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1) 프로세스 카트리지(B) 상에 작용되는 전체 압력이 하향 압력으로서 표시될 것.
(2) 구동측 상의 레그부(15v1)은 축 구멍부(15s) 및 축부(16)를 연결하는 축 주위에 피봇되고 상승되지 않을 것.
(3) 축 구멍부 (15s)와 축 부분(16d)가 양 레그부(15v1, 15v2)를 연결하는 축에 대해 피봇되어 상승되지 않을 것.
(4) 구동측의 축 구멍(15s)와 구동측 상의 레그부(15v1)이 비 구동측 상의 축 부분(16d)과 비 구동측 상의 레그부(15v2)를 연결하는 축에 대해 피봇되어 상승되지 않을 것.
(5) 비 구동측 축부(16d)와 비 구동측 레그부(15v2)는 구동측 상의 축 구멍부(15s)와 구동측 상의 레그(15v1)을 연결하는 축에 대해 피봇되어 상승되지 않을것.
(6) 구동측의 축 구멍부(15s)가 비 구동측 상의 축부(16d)와 구동측 상의 레그부(15v1)을 연결하는 축에 대해 피봇되어 상승되지 않을 것.
(7) 구동측 상의 축부(16d)가 구동측 상의 축 구멍부(15s)와 비 구동측 상의 레그부(15v2)를 연결하는 축에 대해 피봇되어 상승되지 않을 것.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 비 구동측 상의 레그부(15v2)는 맞닿음부(2b2) 상방으로 약간 들어 올려지기 때문에 조건 (7)은 배제할 수 있으므로 (1) 내지 (6)의 조건만 만족하면 된다.
특히, 조건(1)에 맞추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다음 관계식만 만족하면 된다.
Fs1+ Fs2+Fs3+ Fg1+ Fk1+ Fk2+ Fk3> Fc1+ Fc2+ Fc3+ Ft + Fd1+ Fd2
또, 제68도를 참고하면, 조건(3)을 만족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구동측 상의 레그부(15v1)의 지점 P 주위의 회전 모멘트가 다음 수식을 만족하게 하고 수식에서 M(T) 카트리지 토오크에 의해 발생된 반응력, 즉 도면에서 지점 P 주위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시계 방향 모멘트이다.
M(Fs1+ Fs2) + M(Fs3) + M(Fg1) + M(Fk1+ Fk2)
M(Fc1+ M(Fc2) + M(Fc3) + M(Ft) + M(Fd1+ Fd2) + M(T)
여기서 M( )는 모멘트이다.
마찬가지로, 조건 (1) 내지 (6)을 만족하게 되면 압력 Fs1 ,Fs2및 Fs3은 모든 조건을 만족하게 된다. 결국,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화상 형성 동작 중 장치의 주 조립체 내의 소정위치에 안정되게 유지된다.
{화상 형성 동작}
다음에, 제1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설치된 장치의 주 조립체(A)의 화상 형성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장치에 기록 개시 신호가 전해지면 픽업 롤러 (5a)와 반송 롤러(5b)가 구동되어 기록 매체는 분리 갈고리(4e)에 의해 카세트(4)로부터 분리되어 날개로 공급되고 , 반송 롤러(5b)에 의해 가이드(5c)를 따라 안내되고, 화상 형성 장치로 분배된다.
기록 매체의 선단부가 도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기록 매체의 선단부가 센서로부터 전사 닙부로 이동 되는 반송 타이밍과 동기하여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 화상이 형성된다.
특히, 감광 드럼(9)는 제1도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어 기록매체 반송 타이밍과 동기하게 되며, 이 회전에 응답하여 대전 바이어스가 대전 수단에 인가되어 감광 드럼(9)의 표면이 불균일하게 대전된다. 이 때, 화상 신호에 의해 변조된 레이저 비임이 광학 시스템(3)으로부터 감광드럼(9)의 표면 상에 투사되어 이 투사된 레이저 비임에 응답하여 드럼 표면 상에 잠상이 형성된다.
잠상이 형상됨과 동시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현상 수단(12)이 구동되어 토너 공급 기구(12b)가 현상 슬리브(12d) 쪽으로 토너 저장소(12g) 내의 토너를 공급하기 위해 구동되고 회전 현상 슬리브(12d) 상에는 토너 층이 형성된다. 감광 드럼(9) 상의 잠상은 토너에 의해 현상되어 감광 드럼(9)의 것과 같은 극성, 같은 전위량을 가진 전압을 현상 슬리브(12c)에 도포된다. 이 때, 토너와는 반대 극성을 갖는 전압을 전사 롤러(6)에 인가함으로써 감광 드럼(9) 상의 토너 화상은 전사 닙부로 반송되어 온 기록 매체 상에 전사된다.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 상에 전사시키는 감광 드럼(9)는 제1도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더 회전되지만, 감광 드럼(9) 상의 잔류 토너는 클리닝 블레이드(13a)에 의해 닦여내어진다. 닦여내어진 토너는 폐토너 저장소(13c) 내에 수집된다.
한편, 토너 화상이 전사된 기록 매체는 하면에 의해 안내되는 카버 가이드(5e)에 의해 안내되고 정착 수단으로 반송된다. 이 정착 수단에서, 기록 매체상의 토너 화상은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정착된다. 다음에, 기록 매체는 방출 릴레이 롤러(5f)와 시트 통로(5g)에 의해 역전되어 역전 만곡되면서 디컬링되고 방출 롤러(5h, 5i)에 의해 방출 트레이(8)에 의해 방출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제거 공정}
현상 수단 내의 토너량이 화상 형성 동작 중에 줄어들었음을 도시하지 않은 센서 등이 감지하게 되면 이 정보는 장치 주 조립체(A)의 표시부 등에 표시되어 조작자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교환해야 함을 인지하게 해 준다. 이하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교환을 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제거 공정을 설명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취출할 때는 우선 제6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뚜껑(1b)를 개방한다. 이 때, 압력 발생 수단(1b1)과 판스프링(1b2)는 상부 뚜껑(1b1)과 함께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부터 분리되어 압력 발생 수단(1b1) 및 판 스프링(1b2)에 의해 발생된 힘 Fs1+ Fs2+ Fs3가 사라진다. 결국,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자중에 의해 발생된 힘 Fk1+ Fk2만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 상에 작용된 하향력으로서 남게 된다.
이 시점에서, 접촉 핀(27a, 27b, 27c)에 의해 발생된 상향력 Fc1+ Fc2+ Fc3와 전사 롤러(6)에 의해 발생된 상향력 Ft, 그리고 셔터 기구(24)로부터의 상향력 Fd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자중에서 나오는 하향력 Fk1+ Fk2보다 약간 크게 배치하여 상부 뚜껑(1b) 개방시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약간 상승되게 하여 플랜지 기어(9c)와 구동 기어(31)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게 하고 축 구멍부(15s)와 축 부분(16d)는 홈부(2a1)으로부터 분리된다. 결국, 플랜지 기어(9c)와 구동 기어 (31) 사이의 작동 압력각이 수평선에 대해 비스듬히 하향으로 되더라도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원활하게 인출된다.
이와는 반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상부 뚜껑(1b)에 조립되어 있는 종래의 구조의 경우에는 작동 압력각이 수평선에 대해 비스듬히 하향으로 설정되면 상부 뚜껑(1b) 개방시에 플랜지 기어(9c)와 구동 기어(31)이 결합된 채 남게 된다. 결국,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원활하게 취출될 수 없다. 따라서, 구동기어(31)에는 일방 클러치 등을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부 뚜껑(1b)가 개방되면 플랜지 기어(9c)는 구동 기어(31)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되고, 일방 클러치를 제공할 필요성이 없어져서 부품 갯수를 감축할 수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상승되고 축 구멍부(15s)와 축 부분(16d)가 홈부(2a1)로부터 분리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셔터 기구(24)를 폐쇄하는 압력을 작용하는 스프링(24f)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카트리지 설치 공간(2)으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인출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비스듬히 상향으로 민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뚜껑(1b)가 개방되면 전사 롤러(6), 접촉 핀(27a, 27b, 27c), 및 셔터 기구(24)에 의해 발생된 상향력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제거 방향으로 약간 들어올리게 되므로 그 취출이 원활하고 용이하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생 공정}
전술한 바와 같이 제거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재생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 그 재생 공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토너 저장소(12a) 내의 토너가 고갈된 후에,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재생햐어 상부 및 하부 프레임(14, 15)를 분리하고토너를 토너 저장소(12a) 내에 재충전하게 되므로 자원을 절약할 수 있고 자연 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
특히, 제7도, 제8도, 제37도 및 제38도를 참조하면, 상부 및 하부 프레임(14, 15)는 결합 갈고리(14a)와 결합 개구(15a), 결합 갈고리(14a)와 결합 개구(15b), 결합 갈고리(14c)와 결합 개구(15d), 결합 갈고리(15c)와 결합 개구(14b), 결합 갈고리(14e3)과 결합 개구 (15f3)을 분해함으로써 분리될 수 있다. 제70도를 참조하면, 이런 분해 과정은 사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분해 공구(32)에 배치하고 로드(32a)를 튀어나오게 하여 결합 갈고리(14a)를 밀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분해 공구(32)를 사용하지 않고 결합 갈고리(14a, 14c, 15c 및 14e3)을 눌러서 분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은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및 하부 상 및 하부 프레임(14, 15)로 분해된다. 그 후에, 카트리지 내부에 잔류한 토너를 상부 및 하부 프레임(14, 15)로 공기 블라스트를 불어서 제거한다. 이 때 감광 드럼(9), 현상 슬리브(12) 및 클리닝 수단(13)은 토너에 직접 접촉되는 부품들이기 때문에 많은 토너 분말이 부착되어 있다. 이와는 달리, 대전 롤러(10)은 토너와 직접 접촉하지 않으며, 이에 의해 토너양이 비교적 적다. 이러한 이유로 대전 롤러(10)은 감광 드럼(9)와 클리닝 수단(13) 등에 비해 용이하게 세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전 롤러(10)이 감광 드럼(9), 현상 슬리브(12d) 및 클리닝 수단(13)을 구비한 하부 프레임(15)로부터 분리된 상부 프레임(14)안에 배치되며, 이에 따라 하부 프레임(15)로부터 분리된 상부 프레임(14)는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제60도 b에는 분해 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상부 프레임은 상부 및 하부 프레임(14, 15)로 분리된다. 이들은 별도로 세척된다. 상부 프레임(14)는 대전 롤러(10) 등으로, 그리고 하부 프레임(15)은 감광 드럼(9)와 현상 슬리브(12d) 그리고 현상 슬리브(12e)와 클리닝 블레이드(13a) 등으로 분해되어, 프레임은 각 부품별로 분해된다. 그 연후에 이들은 세척된다. 또한, 부품들이 제거된 후 상부 및 하부 프레임(14, 15)가 세척된다. 세척 작업 후에,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12a2)는 파열 테이프(25)를 가진 덮개 필름(26)을 부착하여 밀봉한다. 그 연후에 새로운 토너를 토너 저장소(12a)의 측면 상에 형성된 토너 충전입구(12a4)를 통해 공급된다. 토너 충전 입구(12a4)는 카버(12a3)으로 덮혀진다. 상부 및 하부 프레임(14, 15)는 결합 갈고리(14a)와 결합 개구(15a), 결합 갈고리(14a)와 결합 돌기(15b), 결합 갈고리(14c)와 결합 개구(15d), 결합 갈고리(15c)와 결합 개구(14b), 결합 갈고리(14e3)과 결합 개구(15f3)간의 탄성 결합에 의해 결합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재사용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세척 작업 후에, 검사자는 여러 부품들을 검사하고, 검사를 통과한 부품들은 재사용되며, 검사를 통과하지 못한 부품들은 새로운 (사용하지 않았던) 부품들로 교환된다. 이러한 부품들은 검사를 통과한 상부 및 하부 프레임(14, 15)에 조립된다. 부품의 재사용시에, 필요하다면 (예를 들어 기계 가공, 연마 연삭, 솔벤트 도포 등의) 기능 재충전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활용(Recycling) :
카트리지의 재활용 방법은(1) 수집, (2) 분류, (3) 분해, (4) 선택, (5) 세척, (6) 검사, (7) 재조립을 포함한다.
각 단계를 설명한다.
(1) 수집
사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사용자나 서비스맨 등의 협동 작업으로 수집소로 수집한다.
(2) 분류
여러 수집소에서 수집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재활용 설비로 이숑한다. 수집된 사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종류에 따라 분류한다.
(3) 분해
분류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분해하고 부품들을 제거한다. 이때, 에어건을 사용하여 손쉬운 세척 작업을 수해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분해시에, 제7도 및 제8도 그리고 제37도 및 제3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해 작업은 결합 갈고리(14a)와 결합 개구(15a), 결합 갈고리(14a)와 결합 개구(14b), 결합 갈고리(14c)와 결합 개구(15d), 결합 갈고리(15c)와 결합 개구(14b), 결합 갈고리(14e3)과 결합 개구(15f3) 사이의 분해 작업을 수행하여, 프레임을 상부 및 하부 프레임(14, 15)로 분해한다. 그 연후에, 프레임(14, 15)에 장착된 롤러와 같은 여러 부품을 제거한다.
(4) 선택
제거된 부품들을 검사하고, 재사용 가능한 부품과 (사용 수명이 지났거나 손상을 입은) 재사용 불가능한 부품으로 선택한다. 검사는 필요하다면 검사자의 육안 검사와 검사 공구를 사용하는 검사를 포함한다.
(5) 세척
검사를 통과한 부품만을 재사용될 카트리지용 부품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조심스럽게 세척한다. 이러한 부품의 세척을 위하여, 공기를 조심스럽게 취입하거나 알콜 등과 같은 솔벤트를 사용하여 퇴적된 토너 등을 씻어낸다. 이때, 감광 드럼(9)와 현상 슬리브(12d) 그리고 클리닝 수단(13)은 토너와 직접 접촉하며, 이에 따라 많은 토너 분말이 부착된다. 그러나, 대전 롤러(10)은 토너와 직접 접촉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이에 부착된 토너는 비교적 적다. 이러한 이유로 대전 롤러(10)의 세척은 감광 드럼(9)와 클리닝 수단(13)등의 세척보다 쉽다.
(6) 검사
검사를 통과하고 세척된 부품들은 재사용될 수 있을 만큼 기능이 충분히 회복되었는지를 검사자에 의해 검사한다.
(7) 재조립
프로세서 카트리지는 시험에 검사를 통과한 부품들과, 검사를 통과하지 못한 부품과 교한된 새로운 부품들을 사용하여 재조립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조립 작업 중, 토너 용기(12a)의 개구(12a2)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필름(26)의 장착 재방법 및 토너 용기(12a)에로의 토너 공급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제91도는 재조립 전 및 검사 후에 상기 프레임(14)의 사시도이다.
(커버 필름의 재정착)
새로운 또는 사용하지 않은 덮개 필름(26) 재장착 방법인, 개구(12a2) 주위의 장착면(12a5)에 새로운 덮개 필름(26)으로 제19도에서 도시된 상부 프레임(14)의 토너 용기(12a)의 개구(12a2)를 밀봉하기 위한 방법은 장착면(12a5) 상의 덮개 필름(26)을 재융착시키거나 또는 다시 붙이는 것 등을 포함한다.
카트리지 상용을 시작할 때, 사용자는 개구를 개방하기 위해 개구(12a2)를 밀봉하는 파열 테이프(25)를 당긴다. 덮개 필름(26) 및 파열 테이프(25)에 대하여 기술된 것이다.
제92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필름(26)은 기부 재료(26K1) 및 밀봉층 (26K2)로 구성된다. 기부 재료 (26K1)의 재질은 단축 배향 발포성 폴리프로필렌(uniaxial oriented foamed polyproylenc) 필름, 단축 배향 폴리에틸렌 필름, 단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 일 수 있으며, 이들은 개구를 충분히 밀봉하기에 효율적이며 한 방향으로 쉽게 파열된다. 밀봉층(26k2)는 장착면(12a5, 재질은 상부 프레임(14)와 동일)에 대해 충분한 융착을 보이며 파열 테이프(25)에 대해 충분한 유착을 보인다. 그 예로 폴리에틸렌 밀봉재, 빌닐 아세테이트 수지, 이오노며(ionomer) 수지 등이 있다.
제92 b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파열 테이프는 기부재료(25T1) 및 상부 및 하부 면 상에 밀봉층(25T2)로 구성된다. 기부재료(25T1)은 덮개 필름(26)을 파열하기에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며, 특히 덮개 필름(26)의 인장 강도의 3배보다 큰 인장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쌍축 배향(biaxiAl oriented) 폴리 에스테르 필름, 쌍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쌍축 배향 나이론 필름 등이 그 예이다. 밀봉 층(25T2)의 재료는 덮개 필름의 밀봉층(26K2)의 재료와 같다.
제92 c도는 접착제 덮개 필름(26) 및 파열 테이프의 층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다. 제91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파열 테이프(25)는 덮개 필름(26)의 면을 따라 연장된 제1 부분(25a), 및 제1 부분(25a)의 단부(25b)로부터 역으로 연장된 제2 부분(25c)로 구성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용을 시작하기 전에, 사용자는 제2 부분(25c)를 당기며, 그에 대해 덮개 필름(26)이 파열 테이프(25)의 제1부분(25a)를 따라 파열되어, 따라서 토너 용기(12a)로부터 현상 수단 내로 현상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를 제공한다.
(잔여 필름의 제거 후 덮개 필름의 재장착)
잔여 필름(25a)가 제거된 후, 토너 용기(12a)의 개구(12a2) 주위의 장착면(12a5) 상에 파열 테이프(25)를 갖는 덮개 필름(26)을 재융착하는데 대하여 설명 할 것이다.
제91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 후, 재조립 전 카트리지의 상부 프레임(14), 개구(12a2) 주위의 장착면(12a5)의 길이 방향 부분(12a6)는 파열 테이프(25)의 제거시 제거되지 않는 융착된 잔여 필름을 갖는다. 그들은 개구(12a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새로운 필름(26)이 충분한 밀봉 접촉을 이루면서 잔여 필름(26a) 상에 융착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잔여 필름(26)이 제거되고, 그리고 나서 새로운 덮개 필름(26)이 융착된다.
장착면(12a5)의 길이방향 부분(12a6)로부터 잔여 필름(26)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93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잔여 필름(26a)는 작업자에 의해 손으로 당져지고 벗겨지며, 부분(12a6) 상의 아직 남아있는 잔여 물질(덮개 필름(26)의 밀봉층 재료(26K2) 등)은 솔벤트 등이 묻혀진 스폰지(66) 등으로 닦여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계적 스크레이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솔벤트는 이소프로필알콜(IPA), 메탄올, 에탄올 등일 수 있다.
장착면(12a5) 상의 덮개 필름(26)을 융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새로운 카트리지를 제조하는 경우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밀봉(열 융착), 충격 밀봉, 또는 고주파 용접기 등이 사용 가능하다.
장착면(12a5)의 길이 방향 부분(12a6)로부터 잔여 필름에 제거된 후, 덮개 필름(26)은 깨끗한 장착면(12a5) 상에 사용된다. 융착 대신에, 접착 또는 본드 재료에 의해 개구(12a2) 주위의 장착면(12a5)에 덮개 필름(26)을 접착 등을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덮개 필름(26)의 밀봉 재료는 접착에 적합한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접착 테이프, 고융용점형(hot melt type) 밀봉재를 갖는 접착 테이프 등이 좋다. 예를 들어, 접착 테이프의 경우 작업자는 장착면(12a5)에 접착 테이프를 손으로 압박한다. 고융용점형 테이프의 경우, 유사한 작업에 가열기를 사용하는 작업자에 의해 수행된다.
고융용점형 재료는 약 40 내지 80℃에서 접착성을 보이도록 용융되나, 정상 온도에서는 매끄러운 면을 갖는다. 재료는 양호하게는 나일론 재료, 폴리에스테르 재료, 폴리올레핀 재료,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재료 또는 다른 열 가소성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접착 재료가 사용된 경우에, 잔여 필름 (26a)를 제거후 장착면(12a5)가 매끄럽지 않을 지라도, 덮개 필름(26)은 접착 재료의 양을 조절하여충분히 밀착하도록 장착면(12a5)에 장착될 수 있다.
(잔여 필름을 제거하지 않는 덮개 필름 재정착 방법)
잔여 필름(26)을 제거하지 않는 재장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제91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필름(26)의 잔여 부분(26a)는 토너 용기의 개구(12a2)의 장착면(12a5)의 길이 방향 부분(12a6) 상에, 파열 테이프(25)를 당길 때 제거되지 않고 남는다. 그들은 그 부분 상에 용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상태의 장착면(12a5)는 잔여 필름(26a)을 갖는 덮개 필름(26)이 제거된 짧은 측면 부분(12a7) 사이에 낮은 단 부분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새로운 덮개 필름(26)이 장착면(12a5)에 부착되면, 단 부분에 의해 덮개 필름(26)과 장착면(12a5) 사이에 작은 간극이 발생하고, 그 결과 그 간극을 통해 토너 용기로부터 토너가 누출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94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테이프 또는 고융용점형 밀봉재가 제공된 유사한 것 등과 같은 접착성을 갖는 필름(67)은 장착면(12a5)의 전 표면에 부착되고, 따라서 새로운 덮개 필름(26)이 부착되고, 따라서 새로운 덮개 필름(26)이 부착되고, 그에 의해 토너 누출이 방지된다. 장착면(12)에 덮개 필름의 재장착은 재조립 작업자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전용 공구로 수행될 수도 있다.
새로운 필름(26)이 제95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잔여 필름(26a)를 갖는 장착면(12a5) 상에 재융착될 때, 작은 크기의 열 밀봉 바아(68)이 간극(본 실시예에서는 약 0.1㎜) 에 상응하는 단 부분(68a)에 제공된다. 열 밀봉 바아(68)을 사용하여, 새로운 덮개 필름(26)이 장착면(12a5) 상에 융착된다.
(손쉬운 박리형(easy peel) 테이프를 카트리지의 재생 방법에 사용하는 방법)
새로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경우, 덮개 부재를 당기기 때문에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부재는 파열형인 것이 좋으며, 작업자는 손잡이를 당기므로 필요한 힘이 적을 수 있으며, 따라서 작동성이 매우 개선된다. 그러나, 파열 테이프형 덮개 부재는 비용이 많이 든다. 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간단하고 저렴한 구조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를 재생할 때, 덮개 부재는 파열형이 아니고 분리형이 사용되며, 테이프는 접착물에 대해 제거된다. 제98도는 간이 분리형 덮개 부재를 도시한다. 제98도는 개구 및 장착 부분을 밀봉하기 위한 덮개 부재의 분해 조립도이다. 본 도면에서, 상부 프레임(14)의 연장된 슬릿 개구(12a2)를 밀봉하기 위한 스트립형의 연성 밀봉 부재(soft sealing member, 100)이 도시되어 있다. 밀봉 부재(100)은 열 밀봉(열 융착), 충격 밀봉, 고주파 용접 또는 접착 재료에 의해 개구(12a2) 주위의 장착면(12a5)의 네 주연부에 손쉽게 박리되도록 부착된다. 접착 재료가 사용될 때, 작업자는 장착면(12a5)에 테이프를 압박하면 되므로 작업이 용이하다. 밀봉 재료의 한 단부는 연장되어 역전 부분(30a)에서 그 단부분이 역전된다. 역전부(100a)의 자유 단부(100b)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14 및 15)를 통해 연장되어, 연장되고 노출된 부분이 손잡이로서 사용된다.
사용시, 사용자는 손잡이 (100b)를 잡고 밀봉 부재(100)와 장착면(12a5) 사이의 접착력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당겨서, 그에 의해 밀봉 부재(100)이 길이 방향으로 개구(12a2)의 후방으로부터 장착면(12a5)에서 분리된다. 결국, 손잡이(100b)는 충분히, 당겨져, 역전 부분(100a)를 포함하는 밀봉 부재(100) 전체는 장치로부터 완전히 당겨진다. 따라서, 개구(12a2)가 개방되며, 그를 통해 토너가 제공된 개구(12a2)를 통해 토너 용기(12a)로부터 현상 수단(12) 내로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 박리형 덮개 부재는 파열형 덮개 부재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박리형 덮개 부재는 잔여 필름(26a)가 남아 있거나 제거되었거나 장착면 상에 앞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낮은 비용으로 재생될 수 있다.
장착면에 덮개 부재를 장착할 때, 견고한 플라스틱 판이 개구 지역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토너 용기(12a)로부터 현상 수단으로 이동하는 현상제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소정의 크기의 개구를 갖는 견고한 판(도시되지 않음)이 열 밀봉 등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장착면(12a5)에 장착될 수 있으며, 그 후 덮개 부재는 견고한 판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새로운 카트리지에 상기 견고한 판이 제공되면, 잔여 필름(26)은 그 위에 남는다. 이 경우 일지라도, 상기 실시예와 유사하게, 새로운 덮개 부재가 필름(26)이 남아 있거나 제거되어 장착면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새로운 덮개 부재에 대하여 언급하면, 그것은 파열형 또는 박리형일 수 있다.
(토너 공급 방법)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서 토너 용기(12a) 내로의 토너의 공급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제96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로 제조된 토너(5)는 호퍼(hopper) 공급 구멍(61)로부터 토너 호퍼(62)로 운송되어, 거기에 저장된다. 토너 호퍼(62)에 임시 저장된 토너(t)는 송곳(auger) 케이스(63)에서 송곳(64)의 회전에 의해 호퍼(62)로부터 방출된다. 이때, 송곳 스크루 회전이 제어되어, 그에 의해 토너(t)의 방출 속도가 용잉하게 제어된다.
따라서 방출된 토너(t)는 토너 공급 깔대기(funnel)을 통해 통과하는 토너 공급 구멍(12a4)를 통해 밀봉된 개구(12a2)를 갖는 토너 용기(12a)에서 저장된다.
토너(t)가 토너 용기(12a)의 충분한 정도로 공급된 후, 토너 공급 구멍(12a4)는 새로운 덮개 또는 플러그(12a3)로 폐쇄된다.
토너 공급 방법은 재사용될 카트리지에 한정되지 않으며 새로운 카트리지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깔대기(65)가 사용될 때, 토너(t)와 깔대기의 내부 표면 사이의 마찰 저항은 불소 처리에 의해 감소되며, 따라서 깔대기는 토너(t)로 쉽게 막히지 않는다. 그러므로, 깔대기가 막히지 않는한 토너 호퍼(62)로부터 토너(t)의 방출 속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토너 충전 비용을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이런 방식에서, 덮개 필름(26) 또는 밀봉 부재(100)이 제거되어, 그 후 토너용기는 토너로 충전된다. 따라서, 필요한 부분이 장착되고, 결합 갈고리 및 결합 개구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14 및 15)를 연결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재제조된다.
상부 및 하부 프레임(14 및 15)의 재결합시, 결합 갈고리(14)와 결합 개구 (15a), 및 결합 갈고리(14a)와 결합 돌기(15b) 등이 결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재사용 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결합 갈고리와 결합 개구 사이의 결합이 느슨해 진다. 구멍 또는 구멍들이 인정한 결합 갈고리 또는 결합 개구를 스크루에 의해 결합되도록 제공되고 또는 결합 갈고리에 의해 그에 동등한 결합을 제공하기 위해 위치 또는 위치들을 제공된다. 예를 들어, 상부 프레임(14)에 현상 수단(12)의 결합 갈고리(14a)에 인접하여, 스크루 구멍(14a1)에 각각에 제공되고, 따라서 구멍(15a1)은 하부 프레임(15)의 결합 구멍(15a)의 각각에 인접하여 제공된다. 또한, 프레임의 네 모서리에 인접하여, 결합 돌기(14d), 결합 홈(15e, 크리닝 수단 측면), 결합 돌기(15f1) 및 결합 돌기(14e2)와 결합 홈(14e1), 결합 홈(15f2, 현상 수단 측면)이 제광된다. 스크루 구멍이 그들을 통해 관통된다. 그러므로 결합 갈고리로 사용한 결합이 느슨하여질지라도, 구멍들은 스크루로 상부 및 하부 프레임(14 및 15)를 연결함에 의해 사용되며, 따라서 그들을 안전하게 결합한다.
재활용시, 롤러는 재조립되어, 재사용된다. 상부 또는 하부 프레임은 재사용될 수 없으며, 분쇄되어 재사용된다. 이때, 프레임(14 및 15)가 다른 재료로 제조되면, 분쇄된 후 재사용된 후에 그 기계적 성질은 열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14 및 15)는 예를 들어 고충격 내구성급의 폴리스티렌 재료와 같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된다. 그렇게 함에 의해, 그들이 모두 필릿(pellet)으로 분쇄될지라도 기계적 강도가 감소되지 않기 때문에 재활용 효율은 개선된다.
프레임 재료는 토너의 성분에 유사한 것이 좋다. 그렇게 함에 의해, 사용된 프레임이 완전히 세척될 수 없어서 프레임이 그 내부 면에 부착된 토너와 함께 분쇄될 지라도, 기계적 성질의 열화를 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다음에, 화상 형성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의 각종 부분의 다른 실시 대체가능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여기서 상술된 제1 실시예 내의 것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될 것이다.
(화상 보유 부재)
제1 실시예에서는 화상 보유 부재의 감광층으로는 유기 반도체(OPC)를 사용하였지만 재료는 이 예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재료는 비결정질 실리콘(A-Si), 셀렌(Se), 산화 아연(ZnO), 황화 카드뮴(CdS) 등일 수 있다.
플랜지 기어
제1 실시예에서, 구동력이 전달될 때 작용하는 부하에 의해 플랜지 기어(9c)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제9도에 도시한 플랜지 기어(9c)의 중공부(9c3) 내에 보강 부재를 억지 끼워맞춤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만족할 만한 강도를 얻을 수 있는 한 보강 부재(9c4)를 억지 끼워맞춤하는 대신에 플랜지 기어 자체에 리브 등을 추가하기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71도에 도시한 구조의 플랜지 기어는 이런 기어 중에 하나가 된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플랜지 기어(9c)는 플라스틱 재료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기어부의 하부 랜드 하방이 중공으로 된다. 이 중공부(9c3)에는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가 제공되어 기어의 정밀도에 오차가 생기기 쉽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플랜지 기어(9c)의 경우에, 벽(9c6)은 기어부의 하부 랜드 하방에 배치되며, 동시에 다수의 리브(9c7)이 상기 중공부(9c)에 제공된다. 이런 배치 구조에서, 플랜지 기어(9c)의 강도는 기어 정밀도를 악화시키지 않고 증가될 수 있다.
드럼 축
제1 실시예에서는 드럼 축(9d)의 단부면 상에 축 구멍부(15s)에 억지 끼움된 드럼 축(9d)를 분해하기 위한 동작을 단순화시키는 대표적인 수단으로서 나사 구멍(9d1)이 제공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 구조는 드럼 축(9d)를 취출하기 쉽게 하는 구성인 한 어떤 구성으로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72도 a에 도시한 하부 프레임(15)의 드럼 축(9d)와 축 구멍부(15s) 상에는 노치(9d2)를 제공하고, 플랜지부(9d3)의 외경(Rb)는 제72도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15)의 축 구멍부(15s)의 외경(Ra)보다 크게 하여 드럼 축(9d)이 용이하게 취출될 수 있게 한다. 또, 이 실시예에서, 나사 절삭 비용을 생략할 수 있고 이로써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대전 수단)
슬라이딩 베어링
제1 실시예에서는 제18도 및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전 롤러(10)의 추력 방향의 힘을 규제하는 드러스트 규제 수단으로서의 후크형 스톱퍼부(10c1)을 슬라이딩 베어링(10c) 상에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런 배치 구조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슬라이딩 베어링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드러스트 규제부만 설치하면 된다.
예를 들어, 제73도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을 스톱퍼부(10c1)로 사용되는 슬라이딩 베어링(10c)의 한 단부를 완전히 덮도록 일체로 형성하고, 제73도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톱퍼부(10c1)의 내벽 상에 돌출 리브(10c2)를 제공하여 대전 롤러(10)의 롤러축의 단부가 스톱퍼부와 접촉을 유지하면서 회전할 때 마찰 저항이 감소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 스톱퍼부는 드러스트 규제 수단으로서 대전 롤러(10)을 회전 지지하는 슬라이딩 베어링(10c) 상에 제공되지만 본 발명은 본 실시 예에 의해 국한되지는 않는다. 드러스트 규제 수단을 전사 롤러 등에 제공하더라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 실시예세서 채택하였던 대전 수단의 구조는 소위 접촉식 대전 방법을 이용하고 있지만, 알루미늄 외피 등의 금속제 외피를 삼면에서 덮도록 텅스텐 와이어 부근에 배치하고, 텅스텐 와이어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발생한 양이온 및 음이온을 감광 드럼 표면 상에 전사시키는 방법을 채택하여 균일하게 대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접촉식 대전 수단은 전술한 롤러형 이외에 블레이드형(대전 블레이드), 패드형, 블럭형, 로드형, 와이어형 등으로 할 수도 있다.
(현상 수단)
현상 방법에 있어서, 두 개의 부품으로 된 자석 브러시 형상 방법, 직렬 현상 방법, 터치 다운 현상 방법, 클라우드 현상 방법 등의 공지의 각종 현상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클리닝 수단)
클리닝 블레이드
제1 실시예에서는 리브(14j)는 클리닝 블레이드의 진동에 의해 발생된 소음을 억제하는 수단으로서 제31도 및 제3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4)의 내면 상의 적당한 위치에 제공되며, 이 리브(14j)는 밀봉 부재(S1)을 사이에 두고 블레이드 지지 부재(13a1)의 상면에 맞닿아 있도록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국한되지는않는다. 예를 들어, 리브(14j)는 그 배치 구조가 블레이드(13a)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한 블레이드(13a)를 지지하는 블레이드 지지 부재(13a1)을 지지하는 블레이드 경사면 상에 맞닿게 할 수도 있다.
또, 클로로프렌 고무 등으로 된 완충 부재(33)을 제7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리닝 블레이드(13a)이 부착되는 블레이드 지지 부재(13a1)과 상부 프레임(14) 사이에 협지시켜 배치하고 밀봉 부재(S1)이 완충 부재(33)에 인접 배치되어 폐토너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완충 부재(33)의 두께 측정치는 블레이드 지지 부재(13a1)의 상면과 상부 프레임(14)의 내면 사이의 간극 보다 약 0.5㎜ 내지 1.5㎜ 크고 그 종방향 길이는 약 150㎜ 내지 220㎜ 였다. 완충 부재(33)을 개재시킴으로써 상부 프레임(14)를 약 0.5㎜ 내지 1.0㎜ 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완충 부재(33)은 상부 프레임(14)를 구부릴 만한 강도의 힘으로 블레이드지지 부재(13a1)을 가압하여 클리닝 블레이드의 부착 미끄럼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억제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나오는 소음을 감소한다.
또, 완충 부재(33)은 제7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4)의 리브(14j)와 블레이드 지지 부재(13a1)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하고 본 실시예에 사용된 완충 부재(33)을 0.5㎜ 이하의 우레탄 고무로 하고, 두께가 약 0.3㎜ 감소되고 경도가 약 60°에 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클리닝 블레이드(13a)의 부착 미끄럼에 의해 발생되는 수십 헤르쯔 이상의 주파수의 미소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결국,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양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 상부 프레임(14)의 소정 위치에 제공된 리브(14j)는 제77도 및 제7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 지지 부재(13a)와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제77도에 도시한 리브(14j)는 블레이드 지지 부재(13a1)의 전체 상면을 거의 가로질러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제78도에 도시한 리브(14j)는 블레이드 지지 부재(13a1)의 거의 전체 표면적(상부 경사면)에 걸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이런 배치 구조는 클리닝 블레이드(13a)로부터 리브(14j)를 통하여 카트리지 프레임에의 진동 전달율을 증가시키지만 진동 물체 자체의 질량(카트리지 프레임의 질량)도 증가되어 클리닝 블레이드(13a)로부터의 진동은 카트리지 프레임 전체, 즉 보다 큰질량에 걸쳐 흡수된다. 따라서 블레이드(13a)의 진동은 감소될 수 있고 이 진동에 의해 발생된 소음도 감소된다.
또, 제79도에 도시한 배치 구조는 상부 프레임(14)에 카트리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34)를 클리닝 블레이드(13a)(리브(14j)일 수도 있음)의 근방에 제공하고 장치의 주 조립체 상의 상부 뚜껑(1b)에는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상부 뚜껑(1b)폐쇄시에 개구(34)를 통하여 블레이드 지지 부재(13a1)의 상면상에 맞닿는 접촉 부재(35)를 제공하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런 배치 구조는 접촉 부재(35)에 의해 전체 장치를 거쳐 클리닝 블레이드의 진동이 전달될 수 있게 하며, 진동되는 물체 자체의 질량은 더욱 증가되고 클리닝 블레이드(13a)로부터의 진동은 증가된 질량, 즉 전체 장치의 질량에 걸쳐 흡수되고, 블레이드(13a)의 진동이 감소되고, 나아가서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감소된다. 또, 접촉 밀폐성을 개선하기 위해, 고무 재료 같은 얇고 유연한 완충재를 상기 블레이드 지지 부재(13a1)과 접촉 부재(23) 사이에 개재시킬 수 있다.
제80도를 참조하면, 블레이드 지지 부재(13a1)은 카트리지 프레임 상에 나사 고정되며, 이는 경사면의 종방향 양단부 뿐만 아니라 상면의 종방향 양단부에도 나사 고정할 수 있다.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 배치 구조는 감광 부재(9)와 클리닝 블레이드(13a) 사이의 마찰력으로 발생한 수십 헤르쯔 이상의 주파수를 가진 미소 진동을 억제할 수 있어서 양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 제8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일 부재 클리닝 수단의 경우에 블레이드 지지 부재(13a1)을 상면 중앙에서 고정적으로 나사 체결하면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부 프레임(14)의 내면과 블레이드 지지 부재(13a1) 사이의 간극보다 약간 크고 카트리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14j)를 상부 프레임(14)의 내면 중앙에 제공하여 리브(14j)가 블레이드 지지 부재(13a1)을 가압할 때 발생하는 탄성 변형을 블레이드 지지 부재(13a1)의 상면을 누르는데 사용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런 배치 구조에서, 리브(14j)는 상부 프레임(14)의 탄성 변형에 의해 블레이드 지지 부재(13a1)의 상면을 누르고, 이 압력에 의해 클리닝 블레이드(13a)의 진동이 억제되고 진동에 의한 소음이 감소된다.
또, 폐토너 저장소(13c)의 하부와 블레이드 지지 부재(13a1)의 상부 사이의 간극보다 약간 큰 격벽(36)을 하부 프레임(15)의 폐토너 저장소(13c) 내에서 카트리지의 종방향 중앙부에 제공하면 전술한 실시예의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 하부 프레임(15)의 강도도 이 격벽(36)의 제공에 의해 개선된다.
상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을 채택함으로서 감광 드럼(9)와 클리닝 블레이드(13a)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발생된 수십 헤르쯔 이상의 주파수를 가진 미소 진동이 억제되고, 감광 드럼(9)와 클리닝 블레이드(13a)의 진동의 진폭은 실시예의 채택 이전에는 약 4㎛ 내지 5㎛이던 것이 실시예를 채택한 후에는 측정 오차 내의 범위인 0.01㎛ 이하로 저하되어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제거되고 양질의 화상이 얻어진다.
감광 드럼(9) 상의 잔류 토너를 클리닝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클리닝 수단을 블레이드, 털 브러시, 자석 브러시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프레임)
제1 실시예에서는 하부 프레임(15)의 현상측의 구동부는 거의 상자형으로 성형되며, 또 프레임의 국부적인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리브가 제공된다. 이 방법은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의 다른 부분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데도 적용할 수 있다.
(셔터 기구)
제1 실시예에서는 셔터 기구(24)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 장착시에 자동적으로 개방되고 카트리지 취출시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의해 자동적으로 폐쇄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존재할 때는 셔터 기구(24)가 스프링(24)에 의해 폐쇄 방향으로 가압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카트리지 설치 공간(2) 외부로 들어 올려지는 방향으로 가압되는데, 이것은 설계상 장점이 된다. 그러나, 비틀림 스프링(24)로부터의 압력이 너무 강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자세가 불안정해진다. 따라서, 셔터 부재(24) 개방시에 셔터 기구(24)를 로킹하도록 로킹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제84도를 참조하면 로킹 기구로서 압축 스프링(39a)에 의해 가압되는 레버(39b)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소정 위치에 제공되며, 이 레버는 셔터 기구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셔터부(24c) 상에 제공된 결합 구멍(24c2)에 결합한다. 이런 배치 구조를 채택함으로서 셔터 기구(24)는 개방 상태로 로크되므로 비틀림 스프링(24f)로부터의 압력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상승시키는 작용을 방지한다.
로킹된 셔터 기구는 제84도에 도시한 이젝트 버튼(40)에 의해 해제된다. 특히, 장치의 주 조립체에는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부착하는 방향으로 압축 스프링(40c)에 의해 가압된다. 이 이젝트 버튼(40)이 눌러지면, 버튼의 단부측에 위치한 가압 돌기(40a)는 레버(39b)를 밀어 넣어서 레버가 결합 구멍(24c2)로부터 분해되어 셔터 기구를 로킹 상태로부터 해제한다.
이젝트 버튼(40)에는 결합 갈고리(40b)가 제공되어 있다. 상부 뚜껑이 폐쇄되면, 이 결합 갈고리(40b)는 상부 뚜껑(1b) 상에 제공된 결합 후크(41)과 결합하여 상부 뚜껑(1b)를 폐쇄 상태로 로크한다. 한편, 이젝트 버튼(40)이 눌러지면, 결합은 해제되고 상부 뚜껑(1b)의 회전 중심에 제공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상부 뚜껑(1b)가 개방된다. 다시 말하면, 이젝트 버튼(40)이 가압되면 상부 뚜껑(1b)가 자동으로 개방되고 동시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스프링(24f)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카트리지 설치 공간(2)으로부터 부유하듯이 상승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취출이 용이해진다.
제85도 내지 제89도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드럼 셔터의 의해 제공되는 압력은 제1 실시예와는 전체적으로 다른 대체 가능한 구조에 의해서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 상기 대체 가능한 구조를 제85도 내지 제89도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85도의 프로세스 카트리지(42)는 장치의 잔방에 제공된 삽입 창문(44)을 통해 삽입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설치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42)와 화상 형성 장치 (43)은 제1 실시예와 같은 기능을 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42)가 카트리지 조립체(42a)와 셔터 기구로서의 기능을 하는 케이스(42b)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삽입 창문(44)은 폐쇄 방향으로 스프링(45)으로부터의 압력을 받고 이 얇은 판(46)은 삽입할 프로세스 카트리지(42)에 의해 밀려 개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42)는 플랜지부(42c)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전방면과 거의 같은 레벨이 될 때까지 삽입된다. 카트리지 주 조립체(42a)가 더욱 삽입되면, 케이스(42a)는 프로세스 카트리지(42)로부터 비어져 나온다. 결국, 카트리지 주 조립체(42a)의 전방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42)로부터 돌출된다. 이 때, 돌출된 카트리지 주 조립체(42a)의 전방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42)로부터 돌출된다. 이 때, 돌출된 카트리지 주 조립체(42a)는 도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해 감지되고, 도시하지 않은 모터와 결합된 기어(47)가 회전을 개시한다.
기어(47)은 카트리지 주 조립체(42a)의 상면에 제공된 래크(42a1)과 결합하며 카트리지 주 조립체(42a)는 기어(47)의 회전에 의해 케이스(42b)로부터 더욱 취출된다. 이 때, 이 카트리지 주 조립체 내에 수납된 감광 드럼의 축의 연장부가 화상 형성 장치(43) 내에 제공된 안내 흠(49)에 결합하여 이 안내 흠(49)에 의해 전방으로 안내된다.
제88도를 참조하면, 카트리지 주 조립체(42a)의 후방(제88도의 좌측)에 기 접점을 형성하는 접점(50)이 제공된다. 카트리지 주 조립체(42a)가 더욱 취출되면, 접점(50)은 화상 형성 장치(43) 측에 제공되어 스프링(51)으로부터의 하향력을 받는 접촉핀(52)와 접촉하게 된다. 이 때, 카트리지 주 조립체(42a)는 접촉핀(52)로부터 하향 압력을 받게 되고, 결국 카크리지 주 조립체(42a)의 후방부는 안내 홈(49)를 따라 약간 하강한다.
또, 프로세스 카트리지(42)를 삽입할때, 화상 형성 장치(43) 측에 제공된 축(53)은 케이스(42b)의 구멍(24b1)로 돌출된다. 이 축(53)은 레버(54)를 거쳐 압축 스프링(55)에 의해 구멍(42b1) 내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며, 레버(54)는 화상 형성 장치(43) 외부로 노출된다. 카트리지 주 조립체(42a)가 소정 지점을 벗어나서 더욱 취출되면, 축(53)은 카트리지 주 조립체(42a)의 측면 상에 제공된 오목부(42a2) 내로 하강되어 그 위치에서 카트리지 주 조립체(42a)는 카트리지 주 조립체(42a)를 케이스(42b) 내로 후퇴 견인하는 역할을 하는 인장 스프링(42d)의 압력에 대해 고정된다. 다시 말하면, 이 로크 상태에서, 인장 스프링(42d)의 힘은 마트리지 조립체(42a)가 정상 위치를 벗어나서 이동되지 못하게 되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42)는 화상 형성 장치 내에서 자세가 안정되게 된다.
레버(54)는 축(54a)에 대해 피봇 가능하며, 제89도에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면 축(53)은 인장 스프링(42d)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오목부(42a2)를 벗어나 밀려 나오게 되고 카트리지 주 조립체(42a)는 케이스(42b) 내로 후퇴 견인된다. 이런 후퇴 견인 동작 중에, 기어(47)과 래크(42a1)이 결합된 채로 남게 되므로 기어(47)은 카트리지 주 조립체(42a)가 케이스(42b) 내로 스냅식으로 후퇴 견인되지 못하게 하는 댐퍼 역할을 한다.
카트리지 주 조립체(42a)가 케이스(42b) 내로 후퇴 견인한 후, 카트리지 주 조립체(42a)는 제8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소정량 만큼 돌출하며 용이하게 취출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킹 스프링(42a)의 제공 이외에 카트리지 주 조립체(42a)를 케이스(42b) 내로 후퇴시키는 데 필요한 적절한 힘을 인장 스프링(42d)에 가하면 카트리지(42) 취출은 극히 용이해진다.
또, 이런 배치 구조를 채택하면, 레버(54)의 상태를 관찰함으로써 카트리지(42)의 설치 관련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특히, 제90도를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42)가 화상 형성 장치(43) 내에 있지 않을 때 레버(54)의 제서는 제90도 a에 도시한 바와 같고, 프로세스 카트리지(42)가 완전히 설치되고 축(53)이 오목부(42a2) 내로 하강하면 제90도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고, 카트리지(42)가 화상 형성 장치(43) 내에 부적절하게 설치되었으면 제90도 c와 같이 된다. 따라서, 레버(54)의 자세를 외부에서 관찰하기만 하여 카트리지 삽입 관련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구조 및 조립 공정}
클리닝 블레이드 단부의 밀봉
제1 실시예에서는 감광 드럼(9)의 단부와 클리닝 블레이드(13A)의 단부에 대응하는 블레이드 부착면(15j)의 하부 사이에 부착된 밀봉 부재(S6)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수단으로싸, 제4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밀도 폴리에틸렌 밀봉체(37)를 부착하거나 또는 실리콘 미립자 같은 윤활제(38)을 밀봉 부재(S6)에 도포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윤활제(38)로서는 폴리플루 오로비닐리덴 입자 등의 분말 금속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분말 윤활제를 밀봉 부재(S6)에 부착하는 방법으로서, 윤활제(38)은 밀봉 부재(S6)과 감광 드럼(9)의 단부 사이의 마찰력이 비교적 크지 않을 때 밀봉 부재(S6)상에 뿌려지기만 한다. 이는 드럼(9)가 사용 개시 전일 때 밀봉 부재(S6)의 표면은 거칠고 마찰이 크기 때문이며, 일정 기간 사용 후에는 밀봉 부재(S6)의 표면 거칠기는 감소되고 마찰도 감소된다.
또, 분말 윤활제(38)은, 이 분말 윤활제(38)을 휘발성 액체 내에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밀봉제(37) 내로 흡인한 후 액체는 증발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 밀봉체(37)을 통하여 분산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밀봉체(37)에 걸쳐 분산된 윤활제(38)이 감광 드럼(9)와 밀봉체(37) 사이의 접촉면에서 약간씩 노출되게 된다. 결국, 감광 드럼(9)와 밀봉체(37) 사이의 마찰은 장기간에 걸쳐 감소하게 되어 밀봉체(37)이 감광 드럼에 의해 끌려가거나 찢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감광 드럼 설치 방법
제1 실시예의 설명중에는 감광 드럼(9)의 설치 방법 중 하나가 제시되어 있는데, 그 방법은 카트리지 조립 공정 최기에 감광 드럼(9)와 클리닝 블레이드(13a) 사이의 접촉면 전체에 윤활제(38)을 개재시키기 위해 감광 드럼을 블레이드(13a)의 접촉면에 대해 45°미만의 각도 γ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안내되면서 삽입한다. 이 드럼 설치 방법은 재생 조립 공정에도 적용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사용되는 각종 부품의 사용 수명은 달라지기 쉽다. 감광드럼(9)의 사용 수명은 클리닝 블레이드(13a)보다는 짧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소모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주 조립체(42a)만 교환하여 재생할 수 있다. 드럼 교환 중에 감광 드럼(9)을 제거할 때, 잔류 현상제가 블레이드(13a)의 접촉면에 계속 부착되어 있게 되고 이 나머지 현상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감광 드럼(9) 제거시에 이 잔류 현상제는 감광 드럼(9) 표면과 블레이드(13a) 접촉면 사이에 분할되므로 블레이드(13a)에 부착되는 잔류 현상제의 양은 블레이드(13a)의 전체 접촉면을 충분히 덮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드럼 설치 방법을 사용하면 새로운 감광 드럼(9)를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삽입하고 블레이드(13a) 상의 잔류 현상제를 블레이드(13b)와 감광 드럼(9) 사이의 전체 접촉면 상을 덮도록 분배된다. 다시 말해서, 잔류 현상제는 두 부품 사이에 윤활제로서 개재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단색 화상 형성을 위한 공정 뿐 아니라 다색 화상(예를 들어 이색 화상, 삼색 화상, 전색 화상 등)을 형성하기 위한 두 개 이상의 현상 수단(12)가 제공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제까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보유 부재로서 잔자 사진 감광 부재 등과, 적어도 하나의 처리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실시예 이외에도 각종 카르리지 형상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화상 보유 부재와 대전 수단이 일체로 조립되거나, 화상 보유 부재와 현상 수단이 일체로 조립되거나, 화상 보유 부재와 클리닝 수단이 일체로 조립된 형식 등의 교환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형태로 수득할 수 있다. 또,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화상 보유 부재와 두 개 이상의 처리 수단이 일체로 결합된 교환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형태로 수득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상술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클리닝 수단이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일체로 결합되어 카트리지 형태를 이루는 것과,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일체로 결합된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클리닝 수단 중 적어도 하나가 카트리지 형태로 된 것, 또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일체로 조립된 적어도 하나의 현상 수단이 카트리지 형태로 된 것 등의 교환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용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 중 레이저 비임 프린터는 화상 형성 장치의 예로서 선택되지만 본 발명은 이런 선택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전자 사진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LED프린터, 워드 프로세서 등의 다른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한 손쉬운 재생 방법이 달성되고, 그 결과로 자원이 환경 문제를 피하거나 경감시키는 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파열형 덮개 부재가 제거도니 후에 박리형 덮개 부재가 장착되고, 이에 의해 프로세서 카트리지를 손쉽고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을 예시된 구조들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세부 상항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이하에 첨부된 청구 범위의 범쥐 내에서 또는 개선의 목적 내에서의 변경 사항도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59)

  1.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현상제를 조절하기 위한 현상제 조절부를 가진 제1 프레임과 상기 현상제 조절부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화상 보유 부재 쪽으로 운반하는 현상제 운반 부재를 가진 제2 프레임으로 분해하여, 상기 제1 프레임의 개구를 노출시켜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제2 프레임으로 현상제의 이동을 허용하는 단계와,
    개구를 밀봉하는 밀봉부와 개구를 개방하기 위해 잡아 당겨서 잔류부를 상기 개구 주위에 남긴 채 파열될 수 있게 하는 연장부를 갖고 있고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사용 완료된 덮개 부재로부터 발생하여 개구 주위에 잔류하는 상기 밀봉부의 일부인 잔류부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개구를 밀봉 하기 위해 신규 덮개 부재를 장착하는 단계와,
    현상제 조절부에 신규 현상제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잔류부는 솔벤트를 함유하는 섬유 재료로 문질러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솔벤트는 이소 프로필 알콜,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신규 덮개 부재는 접착 재료에 의해 상기 제1 프레임에 설치되어 개구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신규 덮개 부재는 열 융착에 의해 상기 제1 프레임에 설치 되어 개구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제3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규 덮개 부재는 박리시켜 개구를 개방할 수 있는 박리형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화상 보유 부재를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와 현상제 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프레임은 화상 보유 부재, 현상제 운반 부재 및 상기 화상 보유 부재로부터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 블레이드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 프레임은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부재는 드럼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화상 보유 부재와,
    현상제를 조절하기 위한 현상제 조절부를 구비한 제1 프레임과,
    현상제 조절부로부터 화상 보유 부재를 향해 공급된 현상제를 운반하는 현상제 운반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제2 프레임으로의 현상제의 이동을 허용하는 개구를 구비한 제2 프레임과,
    개구를 밀봉하는 사용 완료된 덮개 부재로부터 발생하여 개구 주위에 잔류하는 밀봉부의 일부인 잔류부를 제거하도록 상기 개구에 설치되며 개구를 밀봉하는 밀봉부와 개구를 개방하기 위해 잡아 당겨서 잔류부를 상기 개구 주위에 남긴 채 파열될 수 있게 하는 연장부를 갖고 신규 덮개 부재와,
    상기 현상제 용기에 담긴 현상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10. 제9항에 있어서, 잔류부는 솔벤트를 함유하는 섬유 재료로 문질러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솔벤트는 이소 프로필 알콜, 메타놀 또는 에탄올인 것을 특닝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2. 제9항에 있어서, 신규 덮개 부재는 접착 재료에 의해 상기 제1 프레임에 설치되어 개구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3. 제9항에 있어서, 신규 덮개 부재는 열 융착에 의해 상기 제1 프레임에 설치되어 개구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4. 제9항, 제11항, 제12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규 덮개 부재는 박리시켜 개구를 개방할 수 있는 박리형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화상 보유 부재를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와 현상제 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프레임은 화상 보유 부재, 현상제 운반 부재 및 상기 화상 보유 부재로부터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 블레이드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 프레임은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부재는 드럼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7. 화상 보유 부재와, 현상제를 조절하기 위한 현상제 조절부를 구비한 제1 프레임과, 상기 현상제 조절부로부터 화상 보유 부재를 향해 공급된 현상제를 운반하는 현상제를 운반하는 현상제 운반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제2 프레임으로 현상제의 이동을 허용하는 개구를 구비한 제2 프레임과,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사용 완료된 덮개 부재로부터 발생하여 개구 주위에 잔류하는 밀봉부의 일부인 잔류부를 제거하도록 상기 개구에 설치되며 개구를 밀봉하는 밀봉부와 개구를 개방하기 위해 잡아 당겨서 잔류부를 상기 개구 주위에 남긴 채 파열될 수 있게 하는 연장부를 갖고 있는 신규 덮개 부재와, 상기 현상제 용기 내의 현상제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수단과,
    상기 화상 보유 부재 상에 현상된 화상을 기록 재료 상에 전사하는 전사 수단과,
    상기 기록 재료를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사용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18.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현상제를 조절하기 위한 현상제 조절부를 가진 제1프레임과 상기 현상제 조절부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화상 보유 부재 쪽으로 운반하는 현상제 운반 부재를 제2 프레임으로 분해하여 상기 제1 프레임의 개구를 노출시켜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제2 프레임으로 현상제의 이동을 허용하는 단게와,
    개구를 밀봉하는 밀봉부와 개구를 개방하기 위해 잡아 당겨서 잔류부를 상기 개구 주위에 남긴 채 파열될 수 있게 하는 연장부를 갖고 있는 신규 덮개 부재를,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사용 완료된 덮개 부재로부터 발생하여 개구 주위에 잔류하는 밀봉부의 일부인 잔류부 상에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현상제 조절부에 신규 현상제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을 서로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생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신규 덮개 부재는 접착 재료에 상기 제1 프로임에 설치되어 개구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신규 덮개 부재는 열 융착에 의해 상기 제1 프레임에 설치되어 개구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8항 내지 제20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규 카바링 부재는 박리시켜 개구를 개방할 수 있는 박리형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화상 보유 부재를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와 현상제 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프레임은 화상 보유 부재, 현상제 운반 부재 및 상기 화상 보유 부재로부터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 블레이드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 프레임은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부재는 드럼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화상 보유 부재와,
    현상제를 조절하기 위한 현상제 조절부를 구비한 제1 프레임과,
    상기 현상제 조절부로부터 화상 보유 부재를 향해 공급된 현상제를 운반하는 현상제 운반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제2 프레임으로 현상제의 이동을 허용하는 개구를 구비한 제2 프레임과,
    개구를 밀봉하기 위해 사용 완료된 덮개 부재로부터 발생하여 개구 주위에 잔류하는 잔류부 상에 설치되며 개구를 밀봉하는 밀봉부와 개구를 개방하기 위해 잡아 당겨서 상기 밀봉부의 일부인 잔류부를 상기 개구 주위에 남긴 채 파열될 수 있게 하는 연장부를 갖고 있는 신규 덮개 부재와,
    상기 현상제 용기 내에 담긴 현상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25. 제24항에 있어서, 신규 덮개 부재는 접착 재료에 의해 상기 제1 프레임에 설치되어 개구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6. 제24하에 있어서, 신규 덮개 부재는 열 융착에 의해 상기 제1 프레임에 설치되어 개구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7.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규 덮개 부재는 박리시켜 개구를 개방할 수 있는 박리형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화상 보유 부재를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와 현상제 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프레임은 화상 보유 부재, 현상제 운반 부재 및 상기 화상 보유 부재로부터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 블레이드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 프레임은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부재는 드럼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0. 화상 보유 부재와, 현상제를 조절하기 위한 현상제 조절부를 구비한 제1 프레임과, 상기 현상제 조절부로부터 화상 보유 부재를 향해 공급된 현상제를 운반하는 현상제 운반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제2 프레임으로 현상제의 이동을 허용하는 개구를 구비한 제2 프레임과, 개구를 밀봉하기 위해 사용 완료된 덮개 부재로부터 발생하여 개구 주위에 잔류하는 잔류부 상에 설치되며 개구를 밀봉하는 밀봉부와 개구를 개방하기 위해 잡아 당겨서 상기 밀봉부의 일부인 잔류부를 상기 개구 주위에 남긴 채 파열될 수 있게 하는 연장부를 갖고 있는 신규 덮개 부재와, 상기 현상제 조절부 내의 현상제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상기 하상 보유 부재 상에 현상을 기록 재료 상에 전사하는 전사 수단과,
    상기 기록 재료를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사용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31.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현상제를 조절하기 위한 현상제 조절부를 가진 제1 프레임과 상기 현상제 조절부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화상 보유 부재 쪽으로 운반하는 현상제 운반 부재를 가진 제2 프레임으로분해하여 상기 제1 프레임의 개구를 노출시켜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제2 프레임으로 현상제의 이동을 허용하는 단계와,
    개구를 밀봉하는 밀봉부와 개구를 개방하기 위해 잡아 당겨서 상기 밀봉부의 일부인 잔류부를 상기 개구 주위에 남긴 채 파열될 수 있게 하는 연장부를 갖고 있는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사용 완료된 파열식 덮개 부재를 제거한 후에 신규 박리형 덮개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현상제 조절부에 신규 현상제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생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신규 덮개 부재는 접착 재료에 의해 상기 제1 프레임에 설치되어 개구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31항에 있어서, 신규 덮개 부재는 열 융착에 의해 상기 제1 프레임에 설치되어 개구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형 덮개 부재의 연장부는 밀봉부의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단부로부터 상기 밀봉부의 인접한 다른 면을 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파열형 덮개 부재의 연장부의 제2 부분을 잡아 당기면 밀봉부는 제1 부분을 따라 파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화상 보유 부재를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와 현상제 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프레임은 화상 보유 부재, 현상제 운반 부재 및 상기 화상 보유 부재로부터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 블레이드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 프레임은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부재는 드럼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화상 보유 부재와,
    현상제를 조절하기 위한 현상제 조절부를 구비한 제1 프레임과,
    상기 현상제 조절부로부터 화상 보유 부재를 향해 공급된 현상제를 운반하는 현상제 운반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제2 프레임으로 현상제의 이동을 허용하는 개구를 구비한 제2 프레임과,
    개구를 밀봉하는 밀봉부와 개구를 개방하기 위해 잡아 당겨서 상기 밀봉부의 일부인 잔류부를 상기 개구 주위에 남긴 채 파열될 수 있게 하는 연장부를 갖고 있고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사용 완료된 파열식 덮개 부재를 제거한 후에 장착되는 신규 박리형 덮개 부재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의 현상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에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38. 제37항에 있어서, 신규 덮개 부재는 접착 재료에 의해 상기 제1 프레임에 설치되어 개구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9. 제37항에 있어서, 신규 덮개 부재는 열 융착에 의해 상기 제1 프레임에 설치되어 개구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형 덮개 부재의 연장부는 밀봉부의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단부로부터 상기 밀봉부의 인접한 다른 면을 역방향으로 연장도는 제2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파열형 카바링 부재의 연장부의 제2 부분을 잡아 당기면 밀봉부는 제1 부분을 따라 파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1.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화상 보유 부재를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와 현상제 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프레임은 화상 보유 부재, 현상제 운반 부재 및 상기 화상 보유 부재로부터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 블레이드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 프레임은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부재는 드럼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3. 화상 보유 부재와, 현상제를 조절하기 위한 현상제 조절부늘 구비한 제1 프레임과, 상기 현상제 조절부부터 화상 보유 부재를 향해 공급된 현상제를 운반하는 현상제 운반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제2 프레임으로 현상제의 이동을 허용하는 개구를 구비한 제2 프레임과, 사용 완료된 파열형 카바링 부재를 제거한 후에 개구를 밀봉하기 위해 설치되고 개구를 밀봉하는 밀봉부와 개구를 개방하기 위해 잡아 당겨서 상기 밀봉부의 일부인 잔류부를 상기 개구 주위에 남긴 채 파열될 수 있게 하는 연장부를 갖고 있는 신규 파열형 덮개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의 현상제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상기 화상 보유 부재 상에 현상된 화상을 기록 재료 상에 전사하는 전사 수단과,
    상기 기록 재료를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 하게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사용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44.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현상제를 조절하기 위한 현상제 조절부 및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롤러를 가진 제1 프레임과 상기 현상제 조절부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 드럼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블레이드 쪽으로 운반하기 위한 현상 롤러를 가진 제2 프레임으로 분해하여, 상기 제1 프레임의 개구를 노출시켜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제2 프레임으로 현상제의 이동을 허용하는 단계와,
    개구를 밀봉하는 밀봉부와 개구를 개방하기 위해 잡아 당겨서 상기 밀봉부의 일부인 잔류부를 상기 개구 주위에 남긴 채 파열될 수 있게 하는 연장부를 갖고 있고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사용 완료된 덮개 부재로부터 발생하여 개구 주위에 잔류하는 잔류부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개구를 밀봉하기 위해 신규 카바링 부재를 장착하는 단계와,
    현상제 조절부에 신규 현상제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생 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의 후크를 상기 제2 프레임의 개구에 탄성 결합시켜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6. 현상제를 조절하기 위한 현상제 조절부와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롤러를 구비한 제1 프레임과,
    상기 현상제 조절부로부터 감광 드럼 쪽으로 공급된 현상제를 운반하기 위한 현상 롤러와 감광 드럼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또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제2 프레임으로 현상제의 이동을 허용하는 개구를 구비한 제2 프레임과,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사용 완료된 덮개 부재로부터 발생하여 개구 주위에 잔류하는 잔류부를 제거한 후에 설치되며 개구를 밀봉하는 밀봉부와 개구를 개방하기 위해 잡아 당겨서 상기 밀봉부의 일부인 잔류부를 상기 개구 주위에 남긴 채 파열될 수 있게 하는 연장부를 갖고 있는 신규 덮개 부재와,
    상기 현상제 조절부 내에 담긴 현상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의 후크를 상기 제2 프레임의 개구에 탄성 결합시켜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8. 현상제를 조절하기 위한 현상제 조절부와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롤러를 구비한 제1 프레임과, 상기 현상제 조절부로부터 감광 드럼 및 상기 감광 드럼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블레이드 쪽으로 공급되는 현상제를 운반하기 위한 현상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제2 프레임으로 현상제의 이동을 허용하는 개구를 구비한 제2 프레임과,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사용 완료된 파열형 덮개 부재를 제거한 후에 개구를 밀봉하기 위해 설치되고 개구를 밀봉하는 밀봉부와 개구를 개방하기 위해 잡아 당겨서 상기 밀봉부의 일부인 잔류부를 상기 개구 주위에 남긴 채 파열될 수 있게 하는 연장부를 갖고 있는 신규 파열형 덮개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현상제 조절부 내에서 담긴 현상제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상기 화상 보유 부재 상에 현상된 화상을 기록 재료 상에 전사하는 전사 수단과,
    상기 기록 재료를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사용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의 후크를 상기 제2 프레임의 개구에 탄성 결합시켜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0.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현상제를 조절하기 위한 현상제 조절부 및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롤러를 가진 제1 프레임과 상기 현상제 조절부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 드럼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블레이드 쪽으로 운반하기 위한 현상 롤러를 가진 제2 프레임으로 분해하여, 상기 제1 프레임의 개구를 노출시켜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제2 프레임으로 현상제의 이동을 허용하는 단계와,
    개구를 밀봉하기 위해, 개구를 밀봉하는 밀봉부와 개구를 개방하기 위해 잡아 당겨서 상기 밀봉부의 일부인 잔류부를 상기 개구 주위에 남긴 채 파열될 수 있게 하는 연장부를 갖고 있는 신규 덮개 부재를, 사용 완료된 덮개 부재로부터 나와서 개구 주위에 남아 개구를 밀봉하는 잔류부 상에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현상제 조절부에 신규 현상제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을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생 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의 후크를 상기 제2 프레임의 개구에 탄성 결합시켜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2. 현상제를 조절하기 위한 현상제 조절부와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롤러를 구비한 제1 프레임과,
    상기 현상제 조절부로부터 감광 드럼 쪽으로 공급된 현상제를 운반하기 위한 현상 롤러와 감광 드럼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또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제2 프레임으로 현상제의 이동을 허용하는 개구를 구비한 제2 프레임과,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사용 완료된 덮개 부재로부터 발생하여 개구 주위에 잔류하는 잔류부 상에 설치되며 개구를 밀봉하는 밀봉부와 개구를 개방하기 위해 잡아 당겨서 상기 밀봉부의 일부인 잔류부를 상기 개구 주위에 남긴 채 파열될 수 있게 하는 연장부를 갖고 있는 신규 덮개 부재와,
    상기 현상제 조절부 내에 담긴 현상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53. 현상제를 조절하기 위한 현상제 조절부와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롤러를 구비한 제1 프레임과, 상기 현상제 조절부로부터 감광 드럼 쪽으로 공급된 현상제를 운반하기 위한 현상 롤러와 감광 드럼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또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제2 프레임으로 현상제의 이동을 허용하는 개구를 구비한 제2 프레임과,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사용 완료된 덮개 부재로부터 발생하여 개구 주위에 잔류하는 잔류부 상에 설치되며 개구를 밀봉하는 밀봉부와 개구를 개방하기 위해 잡아 당겨서 상기 밀봉부의 일부인 잔류부를 상기 개구 주위에 남긴 채 파열될 수 있게 하는 연장부를 갖고 있는 신규 덮개 부재와, 상기 현상제 조절부 내에 담긴 현상제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상기 화상 보유 부재 상에 현상된 화상을 기록 재료 상에 전사하는 전사 수단과,
    상기 기록 재료를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사용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54.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현상제를 조절하기 위한 현상제 조절부 및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롤러를 가진 제1 프레임과 상기 현상제 조절부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 드럼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블레이드 쪽으로 운반하기 위한 현상 롤러를 가진 제2 프레임으로 분해 하여, 상기 제1 프레임의 개구를 노출시켜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제2 프레임으로 현상제의 이동을 허용하는 단계와,
    개구를 밀봉하는 밀봉부와 개구를 개방하기 위해 잡아 당겨서 상기 밀봉부의 입부인 잔류부를 상기 개구 주위에 남긴 채 파열될 수 있게 하는 연장부를 갖고 있는 개구를 밀봉하기 위해 사용 완료된 파열식 덮개 부재를 제거한 후에 신규 박리형 덮개 부재를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현상제 조절부에 신규 현상제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을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생 방법.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의 후크를 상기 제2 프레임의 개구에 탄성 결합시켜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6. 현상제를 조절하기 위한 현상제 조절부와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롤러를 구비한 제1 프레임과,
    상기 현상제 조절부로부터 감광 드럼 쪽으로 공급된 현상제를 운반하기 위한 현상 롤러와 감광 드럼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또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제2 프레임으로 현상제의 이동을 허용하는 개구를 구비한 제2 프레임과,
    개구를 밀봉하는 밀봉부와 개구를 개방하기 위해 잡아 당겨서 상기 밀봉부의 일부인 잔류부를 상기 개구 주위에 남긴 채 파열될 수 있게 하는 연장부를 갖고 있고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사용 완료된 파열식 덮개 부재를 제거한 후에 장착되는 신규 박리형 덮개 부재와,
    상기 현상제 조절부 내에 담긴 현상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의 후크를 상기 제2 프레임의 개구에 탄성 결합시켜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8. 현상제를 조절하기 위한 현상제 조절부와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롤러를 구비한 제1 프레임과, 상기 현상제 조절부로부터 감광 드럼 쪽으로 공급된 현상제를 운반하기 위한 현상 롤러와 감광 드럼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또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제2 프레임으로 현상제의 이동을 허용하는 개구를 구비한 제2 프레임과, 개구를 밀봉하는 밀봉부와 개구를 개방하기 위해 잡아 당겨서 상기 밀봉부의 일부인 잔류부를 상기 개구 주위에 남긴 채 파열될 수 있게 하는 연장부를 갖고 있고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사용 완료된 파열식 덮개 부재를 제거한 후에 장착되는 신규 박리형 덮개 부재와, 상기 현상제 조절부 내에 담긴 현상제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상기 화상 보유 부재 상에 현상된 화상을 기록 재료 상에 전사하는 전사 수단과,
    상기 기록 재료를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사용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의 후크를 상기 제2 프레임의 개구에 탄성 결합시켜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19940015393A 1993-06-30 1994-06-30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생 방법과 프로세스 카트리지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Remanufacturing Method for Process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01362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135493 1993-06-30
JP93-161354 1993-06-30
JP94-140076 1994-06-22
JP14007694A JP3347476B2 (ja) 1993-06-30 1994-06-22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430A KR950001430A (ko) 1995-01-03
KR0136218B1 true KR0136218B1 (ko) 1998-05-15

Family

ID=26472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5393A KR0136218B1 (ko) 1993-06-30 1994-06-30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생 방법과 프로세스 카트리지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Remanufacturing Method for Process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72300B1 (ko)
EP (1) EP0632342B1 (ko)
JP (1) JP3347476B2 (ko)
KR (1) KR0136218B1 (ko)
AT (1) ATE302963T1 (ko)
DE (1) DE69434466T2 (ko)
SG (1) SG7267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6338B2 (en) 2005-01-21 2007-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te toner pulverizing apparatus and toner cartridge with the same
KR100870530B1 (ko) * 2005-09-14 2008-11-26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조립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5413B2 (ja) * 1993-04-28 2002-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感光体ドラム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197112B2 (ja) * 1993-04-28 2001-08-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285417B2 (ja) * 1993-04-28 2002-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H07302034A (ja) * 1994-03-08 1995-11-14 Canon Inc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268162B2 (ja) * 1995-04-28 2002-03-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294465B2 (ja) * 1995-04-28 2002-06-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5943528A (en) * 1995-04-28 1999-08-24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accommodating container with a gripping cover feature usable with a process cartridge, a process cartridge using the same, and an apparatus using the process cartridge
JP3402872B2 (ja) * 1995-08-25 2003-05-0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6115570A (en) * 1998-09-21 2000-09-05 Xerox Corporation Ultrasonic weld rivet for process cartridge
JP3715808B2 (ja) * 1998-10-30 2005-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FR2809830B1 (fr) * 2000-05-12 2003-03-28 Fabrication & Recyclage Consom Procede de recyclage d'une cartouche laser
FR2809663A1 (fr) * 2000-05-12 2001-12-07 Fabrication & Recyclage De Con Procede de recyclage d'une cartouche laser
JP3320403B2 (ja) * 2000-06-28 2002-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3513488B2 (ja) * 2000-12-20 2004-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US6754460B2 (en) 2002-03-05 2004-06-22 Static Control Components, Inc. Method of remanufacturing a toner cartridge
US6697594B1 (en) 2002-09-13 2004-02-24 Lexmark International, Inc. Doctor blade support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6654577B1 (en) 2002-10-24 2003-11-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oner cartridge converter
JP4798946B2 (ja) * 2003-11-17 2011-10-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剤補給装置
JP4387932B2 (ja) * 2003-12-09 2009-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87933B2 (ja) * 2003-12-09 2009-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5222035A (ja) * 2004-01-09 2005-08-18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085518B2 (en) * 2004-03-23 2006-08-01 Konica Minolta Holdings, Inc. Adhesive material for process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035962B1 (ko) * 2004-08-18 2011-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카트리지 및 재생방법
JP4865341B2 (ja) * 2005-02-04 2012-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794892B2 (ja) * 2005-04-11 2011-10-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519311B2 (en) * 2006-04-19 2009-04-14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ssemblying method for developing apparatus
US7817946B2 (en) * 2006-09-07 2010-10-19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image developing method,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process cartridge
KR100807878B1 (ko) * 2006-11-09 2008-02-27 필엔필 주식회사 레이저프린터의 드럼 및 롤러 재생장치
KR101064280B1 (ko) * 2007-03-15 2011-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카트리지,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카트리지의 보수방법
US10169737B2 (en) * 2008-05-30 2019-0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verting assets for reuse during manufacturing
JP4565667B2 (ja) * 2008-09-29 2010-10-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84251B1 (ja) * 2009-03-11 2009-12-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541685B2 (ja) * 2010-02-12 2014-07-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839826B2 (ja) * 2011-04-22 2016-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の再生産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348210B2 (ja) * 2011-08-31 2013-11-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感光体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847507B2 (ja) * 2011-09-14 2016-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771797B2 (ja) 2011-11-29 2015-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039317B2 (ja) * 2012-08-31 2016-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48752B2 (ja) 2014-03-28 2017-12-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835980B2 (en) * 2015-04-20 2017-12-05 Static Control Components, Inc. Toner cartridge container and seal
JP6590534B2 (ja) 2015-05-29 2019-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109716241B (zh) 2016-08-26 2021-11-09 佳能株式会社 鼓单元、盒、电子照相成像装置和联接部件
JP2020012872A (ja) * 2018-07-13 2020-01-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5436A (en) 1974-06-25 1976-10-12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copying apparatus
JPS5788461A (en) 1980-11-22 1982-06-02 Canon Inc Picture formation device
US4575221A (en) 1982-05-20 1986-03-11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kit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4540268A (en) 1983-04-25 1985-09-10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k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uch kit
FR2620973A1 (fr) * 1987-09-29 1989-03-31 Wine Meyer Imprimerie Procede de nettoyage et de remplissage de cassettes pour imprimante a laser
JP2629945B2 (ja) * 1988-02-24 1997-07-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US4816877A (en) 1988-02-25 1989-03-28 Fred Keen Refillable toner cartridg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4862210A (en) 1988-02-25 1989-08-29 Access Computer Products, Inc. Replaceable seal assembly for toner cartidges and method of use
US4930684A (en) 1988-08-02 1990-06-05 Data Products Corporation Closure strip and method for remanufacturing a toner cartridge and toner cartridge
US4996566A (en) 1988-11-01 1991-02-26 Konica Corporation Multi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eparately removable and insertable assembly units
JP2612197B2 (ja) 1988-12-22 1997-05-21 新電元工業株式会社 電子写真装置
EP0453963B1 (en) 1990-04-27 1997-08-27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detachably mountable to image forming apparatus
US5080745A (en) 1990-05-29 1992-01-14 Leslie Paull Toner bin seal and sealing method
FR2664713B1 (fr) 1990-07-13 1994-07-29 Canon Kk Cartouche de traitement et appareil de formation d'images l'utilisant.
EP0485271B1 (en) * 1990-11-06 1997-07-23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able therewith
US5294960A (en) 1990-11-06 1994-03-15 Canon Kabushiki Kaisha Detachable two-frame process cartridg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EP0559810B1 (en) * 1990-12-07 1994-07-27 CHITOURAS, Costa G. Method for resealing a toner cartridge
US5110646A (en) * 1991-01-25 1992-05-05 James D. Prestel Process and materials for reconditioning a toner cartridge
JP2989028B2 (ja) 1991-03-20 1999-12-1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
US5223068A (en) 1992-01-27 1993-06-29 Raymond Baley Reconditioned and resealed toner cartridge, the method of making the same, and a table saw used in this method
US5184182A (en) 1992-03-04 1993-02-02 Michlin Steven B Copier and printer toner hopper sealing device
US5331373A (en) 1992-03-13 1994-07-1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mountable within it and method for attaching photosensitive drum to process cartridge
US5296902A (en) 1992-07-06 1994-03-22 Michlin Steven B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removable seal between the toner hopper and feed roller compartment of a toner cartridge assembly
US5267003A (en) 1992-08-11 1993-11-30 Olivetti Supplies, Inc. Toner cartridge refilling seal using magnetic materi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6338B2 (en) 2005-01-21 2007-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te toner pulverizing apparatus and toner cartridge with the same
KR100870530B1 (ko) * 2005-09-14 2008-11-26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조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72677A1 (en) 2000-05-23
EP0632342A2 (en) 1995-01-04
DE69434466T2 (de) 2006-01-19
US6272300B1 (en) 2001-08-07
DE69434466D1 (de) 2005-09-29
KR950001430A (ko) 1995-01-03
EP0632342A3 (en) 1995-12-13
JP3347476B2 (ja) 2002-11-20
JPH0798537A (ja) 1995-04-11
EP0632342B1 (en) 2005-08-24
ATE302963T1 (de) 200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6218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생 방법과 프로세스 카트리지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Remanufacturing Method for Process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0159052B1 (ko) 프로세서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시스템
KR0159133B1 (ko) 감광 드럼, 프로세서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KR0158922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US5650841A (en) 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usable therewith and toner seal mounting method for process cartridge
US5642187A (en) 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usable therewith and image forming system
KR100585905B1 (ko) 토너 공급 용기를 위한 재생 방법
US5697022A (en) 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usable therewith and process cartridge assembling method
KR0156752B1 (ko) 토너 용기의 개구 재밀봉 방법 및 밀봉 부재와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생 방법
US5870652A (en) Developer cartridge featuring a developer replenishment hole and removable cap having a gripping member for sealing the hole and a re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EP1217468A2 (en) Remanufacturing method for process cartridge
KR970001390B1 (ko)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이를 장착가능한 화상형성장치
EP0609632B1 (en) Method for connecting cylindrical member to engagement member, cylindrical membe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523775B1 (ko) 현상제 공급 장치용 재생 방법
JP3285416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シャッター取り付け方法
US20050141916A1 (en) Process unit,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3537307B2 (ja) 電子写真装置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装置
MXPA94003082A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