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280B1 - 현상카트리지,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카트리지의 보수방법 - Google Patents

현상카트리지,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카트리지의 보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280B1
KR101064280B1 KR1020070025432A KR20070025432A KR101064280B1 KR 101064280 B1 KR101064280 B1 KR 101064280B1 KR 1020070025432 A KR1020070025432 A KR 1020070025432A KR 20070025432 A KR20070025432 A KR 20070025432A KR 101064280 B1 KR101064280 B1 KR 101064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harging member
waste toner
charging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5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4141A (ko
Inventor
이준희
장건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5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280B1/ko
Priority to US11/941,210 priority patent/US7680434B2/en
Priority to CN2008100016362A priority patent/CN101266453B/zh
Priority to EP08100169.5A priority patent/EP2026144B1/en
Priority to RU2008107794/28A priority patent/RU2471219C2/ru
Priority to BRPI0800471-4A priority patent/BRPI0800471A2/pt
Publication of KR20080084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4Details of parts of process cartridge, e.g. for charging, transfer, cleaning,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1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mean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process cartridge, e.g. attachment, positioning of parts with each other, pressure/distance regul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5Pivotable subunit conn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9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harging

Abstract

본 발명은 현상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현상카트리지는 감광매체를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및 감광매체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부재를 포함하며, 메인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전부재 프레임을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은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을 포함하며, 대전부재 프레임은 메인 프레임의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돌기를 포함한다.
현상카트리지, 대전부재, 대전부재 모듈, 프레임 기준 홈, 프레임 기준 돌기

Description

현상카트리지,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카트리지의 보수방법{Developing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aintenance method of a developing cartridg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현상카트리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카트리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현상카트리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대전부재가 설치된 도 2의 현상카트리지의 대전부재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대전부재 프레임을 선 Ⅴ-Ⅴ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제전부재, 대전롤러, 대전롤러 클리너가 설치된 대전부재 프레임을 포함하는 현상카트리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현상카트리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폐토너 프레임의 일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9는 도 7의 현상카트리지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카트리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현상카트리지 110, 210; 메인 프레임
111, 211; 감광매체 113, 213; 현상롤러
115, 215; 토너공급롤러 117; 토너규제부재
119, 219; 토너저장공간 120, 220; 폐토너공간
130, 230; 폐토너 클리너 133, 233; 체결부재
137, 237; 클리너 기준 돌기 141, 241; 프레임 기준 홈
150, 250; 대전부재 프레임 151, 251; 프레임 기준 돌기
153, 253; 레이저 빔 구멍 160, 260; 대전부재
161; 대전롤러 163; 대전부재 홀더
167; 탄성부재 170; 대전부재 클리너
180; 제전부재 201; 현상 프레임
202; 폐토너 프레임 203, 204; 좌측판, 우측판
234; 고정 구멍 236; 클리너 기준 구멍
300; 화상형성장치 310; 본체 프레임
320; 인쇄매체 공급유닛 340; 전사롤러
360; 정착유닛 380; 노광유닛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개선된 구조의 현상카트리지,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카트리지의 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나 복사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매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현상한 후,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함으로써 인쇄를 수행한다.
근래에는 이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의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도록 감광매체와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수단을 하나의 유닛으로 만든 현상카트리지가 널리 사용된다.
도 1에는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현상카트리지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현상카트리지(1)는 하부 프레임(10)과 상부 프레임(20)을 포함한다.
하부 프레임(10)에는 노광유닛(미도시)으로부터 발광된 레이저 빔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11)가 설치된다. 감광매체(11)의 일측에는 감광매체(11)의 표면을 소정 전압으로 대전시키는 대전롤러(13)가 설치된다. 또한, 대전롤러(13)의 일측으로는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롤러(15)가 감광매체(11)와 접하며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현상롤러(15)의 일측에는 토너규제부재(17)와 토너공급롤러(16)가 설치되어 있다. 토너공급롤러(16)는 하부 프레임(10)의 토너저장공간(18)에 저장된 토너를 현상롤러(15)로 공급한다. 토너규제부재(17)는 현 상롤러(15)의 표면과 접하며 토너공급롤러(16)에 의해 현상롤러(15) 표면으로 이송된 토너를 박층화하여 토너층을 형성한다. 하부 프레임(10)에는 감광매체(11)를 중심으로 토너저장공간(18)과 반대쪽에 폐토너공간(19)이 마련된다. 따라서, 감광매체(1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폐토너는 폐토너공간(19)에 저장된다.
상부 프레임(20)은 하부 프레임(10)의 상측에 조립되며, 하부 프레임(10)의 상측을 막는 뚜껑 내지는 커버의 기능을 한다. 상부 프레임(20)에는 노광유닛에서 발광된 레이저 빔이 통과하는 레이저 빔 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에 의한 현상카트리지(1)는 인쇄시에 감광매체(11)에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즉, 인쇄 명령이 수신되면, 노광유닛에서 발광된 레이저 빔이 레이저 빔 구멍(21)을 통해 감광매체(11)로 입사하여 감광매체(11)의 표면에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그러면, 토너공급롤러(16)로부터 토너를 공급받은 현상롤러(15)가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현상한다. 감광매체(11)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전사롤러(미도시)에 의해 인쇄매체로 전사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현상카트리지(1)는 감광매체(11)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모든 부품들, 즉 감광매체(11), 대전롤러(13), 현상롤러(15), 토너공급롤러(16) 등이 모두 하부 프레임(10)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부품들이 모두 하부 프레임(10)과 같이 하나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현상카트리지(1)를 유지/보수하거나, 재생하는 것이 불편하다.
예를 들면, 대전롤러(13)나 폐토너 클리너와 같은 부품이 훼손되었을 경우에 대전롤러(13)나 폐토너 클리너만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유지비용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현상카트리지(1)의 경우에는 대전롤러(13)나 폐토너 클리너만을 교체할 수 없기 때문에 현상카트리지(1)를 전체로 교체하여야만 하였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의 유지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또한, 대전롤러(13)나 폐토너 클리너의 교체가 가능한 경우에도 그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교체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대전부재를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현상카트리지,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카트리지의 보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감광매체를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감광매체를 대전시키는 대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전부재 프레임;을 포함하는 현상카트리지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메인 프레임은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을 포함하며,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은 반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돌기는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에 대응되는 반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전부재는 대전롤러; 및 일단은 상기 대전롤러의 축을 지지하며, 타단은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대전롤러 홀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대전롤러 홀더와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은 상기 대전부재를 청소하는 대전부재 클리너 또는 상기 감광매체를 제전하는 제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현상카트리지는 상기 감광매체에서 폐토너를 제거하며, 복수 개의 클리너 기준 구멍이 형성된 폐토너 클리너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복수 개의 클리너 기준 구멍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클리너 기준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폐토너 클리너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복수 개의 클리너 기준 구멍이 형성된 폐토너 브라켓; 및 상기 폐토너 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감광매체로부터 폐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프레임에는 사용자가 상기 폐토너 브라켓을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감광매체를 포함하는 현상 프레임; 상기 감광매체에서 제거된 폐토너를 저장하는 폐토너 프레임; 상기 감광매체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폐토너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전부재 프레임; 및 상기 현상 프레임과 폐토너 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현상 프레임과 폐토너 프레임을 결합 하는 좌측판 및 우측판;을 포함하는 현상카트리지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폐토너 프레임은 상기 감광매체에서 폐토너를 제거하며, 복수 개의 클리너 기준 구멍이 형성된 폐토너 클리너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폐토너 프레임은 상기 복수 개의 클리너 기준 구멍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클리너 기준 돌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폐토너 클리너는 상기 폐토너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복수 개의 클리너 기준 구멍이 형성된 폐토너 브라켓; 및 상기 폐토너 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감광매체로부터 폐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폐토너 프레임에는 사용자가 상기 폐토너 브라켓을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인쇄매체 공급유닛; 감광매체에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화상을 형성하며, 상술한 특징을 갖는 현상카트리지; 상기 감광매체와 접하며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인쇄매체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인쇄매체에 상기 감광매체에 형성된 화상을 전사하는 전사롤러; 및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를 배출하는 배지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 프레임에서 대전부재가 설치된 대전부재 프레임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새로운 대전부재 프레임을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현상카트리지의 보수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메인 프레임에서 대전부재 프레임을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에 설치된 대전부재, 대전부재 클리너, 제전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보수하는 단계; 및 보수가 끝난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을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현상카트리지의 보수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을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할 때,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에 형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돌기를 상기 메인 프레임에 형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에 삽입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 프레임에서 대전부재가 설치된 대전부재 프레임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메인 프레임의 복수 개의 클리너 기준 돌기로부터 폐토너 클리너를 분리하는 단계; 새로운 폐토너 클리너에 형성된 복수 개의 클리너 기준 구멍을 상기 복수 개의 클리너 기준 돌기에 맞추어 상기 메인 프레임에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을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현상카트리지의 보수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폐토너 클리너를 상기 메인 프레임에 조립할 때, 사용자는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을 이용하여 손으로 상기 폐토너 클리너를 잡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카트리지의 메인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대전부재 프레임이며,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에는 한 쌍의 대전롤러 홀더의 일단이 힌지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대전롤러 홀 더의 타단에는 대전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대전부재 프레임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일단은 대전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타단은 대전부재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대전롤러 홀더이며,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은 현상카트리지의 메인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이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면, 상기 한 쌍의 대전롤러 홀더는 상기 대전롤러가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감광매체에 접촉하도록 하는 대전롤러 홀더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대전부재 프레임에 힌지 결합된 한 쌍의 대전롤러 홀더에 의해 회전 지지되는 대전롤러이며,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은 현상카트리지의 메인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이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면, 상기 대전롤러는 상기 한 쌍의 대전롤러 홀더에 의해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감광매체에 접촉하는 대전롤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현상카트리지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 고, 도 3은 도 2의 현상카트리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카트리지(100)는 메인 프레임(110)과 이 메인 프레임(110)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대전부재 프레임(150)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110)은 감광매체(111), 현상롤러(113), 토너공급롤러(115), 폐토너 클리너(130)를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110)은 대략 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110a)에는 대전부재 프레임(150)이 조립되는 대전부재 조립구멍(110b)이 마련된다. 또한, 대전부재 조립구멍(110a)의 일측의 메인 프레임(110)의 상면(110a)에는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14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메인 프레임(110)의 상면(110a)에 2개의 프레임 기준 홈(141)이 마련되며, 프레임 기준 홈(141)은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 기준 홈(141)의 형상은 일 예일 뿐이며, 프레임 기준 홈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감광매체(111)는 원통 형상으로 메인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노광유닛(380, 도 10 참조)에서 발광된 레이저 빔에 의해 소정의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감광매체(111)는 메인 프레임(110)의 하면에 형성된 감광매체 구멍(110d)을 통해 감광매체(111)의 일부가 메인 프레임(110)의 외부로 노출된다.
현상롤러(113)는 감광매체(111)의 일측의 메인 프레임(110)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토너를 감광매체(111)로 이동시킨다. 현상롤러(113)의 일측으로 메인 프레임(110)에는 토너규제부재(117)가 현상롤러(113)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설치 된다. 토너규제부재(117)는 토너공급롤러(115)에 의해 현상롤러(113)의 표면에 이송된 토너를 박층화하며, 대전시킨다.
토너공급롤러(115)는 현상롤러(113)의 일측의 메인 프레임(110)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토너저장공간(119)에 저장된 토너를 현상롤러(113)로 이동시킨다.
토너공급롤러(115)의 일측의 메인 프레임(110)에는 소정 양의 토너가 저장되는 토너저장공간(119)이 형성된다. 토너저장공간(119)에는 토너가 굳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교반기(미도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토너 클리너(130)는 토너 화상이 인쇄매체로 전사된 후 감광매체(111)의 표면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하는 것으로서, 현상롤러(113)와 반대쪽에서 감광매체(111)와 접촉하도록 메인 프레임(110)에 설치된다. 폐토너 클리너(130)는 폐토너 브라켓(131)과 클리닝 블레이드(132)를 포함한다.
폐토너 브라켓(131)은 메인 프레임(110)에 볼트와 같은 체결요소(133)로 고정된다. 따라서, 폐토너 브라켓(131)에는 체결요소(133)가 끼워지는 복수 개의 고정 구멍(도 8의 234 참조)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폐토너 브라켓(131)의 양단에 2개의 고정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메인 프레임(110)에는 고정 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요소(133)가 체결되는 2개의 나사 구멍(도 8의 235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폐토너 브라켓(131)은 복수 개의 클리너 기준 구멍(도 8의 236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복수 개의 클리너 기준 구멍은 폐토너 브라켓(131)을 체 결요소(133)로 메인 프레임(110)에 결합할 때, 폐토너 브라켓(131)이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폐토너 브라켓(131)의 2개의 고정 구멍의 근처에 2개의 클리너 기준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메인 프레임(110)에는 클리너 기준 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2개의 클리너 기준 돌기(137)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클리너 기준 돌기(137)는 대략 핀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술한 메인 프레임(110)의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14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클리너 기준 돌기(137)의 상측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폐토너 브라켓(131)의 클리너 기준 구멍을 메인 프레임(110)의 클리너 기준 돌기(137)에 삽입하는 것이 편리하다. 또한,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141)은 폐토너 브라켓(131)을 조립할 때 사용자가 폐토너 브라켓(131)을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프레임 기준 홈(141)을 이용하여 폐토너 브라켓(131)을 손으로 잡고 체결요소(133)로 폐토너 브라켓(131)을 메인 프레임(110)에 결합하면 조립작업이 매우 편리하다.
클리닝 블레이드(132)는 폐토너 브라켓(131)에 고정되며, 감광매체(111)의 표면과 접촉하여 페토너를 제거한다. 따라서, 클리닝 블레이드(132)는 감광매체(111)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폐토너를 제거할 수 있는 고무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폐토너 클리너(130)가 폐토너 브라켓(131)과 클리닝 블레이드(132)로 구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폐토너 클리너(미도 시)는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복수 개의 클리너 기준 구멍과 고정 구멍은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된 폐토너 클리너에 형성된다.
폐토너 클리너(130)의 일측의 메인 프레임(110)에는 폐토너 클리너(130)에 의해 감광매체(111)로부터 제거된 폐토너를 저장하는 폐토너공간(120)이 형성된다. 따라서, 폐토너공간(120)은 감광매체(111)를 중심으로 토너저장공간(119)의 반대쪽에 형성된다.
대전부재 프레임(150)은 메인 프레임(110)의 상면(110a)에 형성된 대전부재 조립구멍(110b)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대전부재 프레임(150)은 감광매체(110)의 표면을 소정 전압으로 대전시키는 대전부재(160)를 포함한다. 따라서, 대전부재 프레임(150)과 대전부재(160)는 하나의 모듈 내지는 유닛을 형성한다.
대전부재 프레임(150)은 상술한 대전부재 조립구멍(110b)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메인 프레임(1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141)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돌기(15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2개의 프레임 기준 홈(141)에 대응되는 2개의 반원형의 프레임 기준 돌기(15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돌기(151)와 프레임 기준 홈(141)은 대전부재 프레임(150)이 메인 프레임(110)에 대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대전부재 프레임(150)에는 노광유닛(380, 도 10 참조)에서 발광된 레이저 빔이 통과하는 레이저 빔 구멍(153)이 형성된다. 레이저 빔 구멍(153)은 대전부재 프레임(150)에 설치되는 대전부재(160)가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만일, 도 6과 같이 대전부재 프레임(150)에 대전부재 클리너(170)와 제전부재(180)가 더 설치되는 경우에는 레이저 빔 구멍(153)은 이들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대전부재(160)는 대전롤러(161)와 한 쌍의 대전롤러 홀더(163)를 포함한다.
대전롤러(161)는 감광매체(111)의 표면과 접촉하면서, 감광매체(111)의 표면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것으로서, 대전롤러(161)에 소정의 전압을 공급하는 대전롤러 전원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대전롤러 홀더(163)는 대전롤러(161)의 축(161a)을 양단에서 지지하여 대전롤러(161)가 대전부재 프레임(150)에 대해 소정 각도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각 대전롤러 홀더(163)의 일단에는 대전롤러의 축(161a)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축 구멍(162)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대전부재 프레임(150)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 구멍(165)이 형성된다. 대전부재 프레임(150)에는 힌지 구멍(165)이 삽입되는 힌지 축(169)이 형성된다. 따라서, 대전롤러(161)는 힌지 축(169)을 중심으로 대전부재 프레임(150)에 대해 소정 각도 회동할 수 있다.
한편, 대전롤러 홀더(163)와 대전부재 프레임(150)의 사이에는 도 5와 같이 탄성부재(167)가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67)는 감광매체(111)가 회전할 때, 대전롤러(161)가 감광매체(111)와 안정적으로 접촉을 유지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탄성부재(167)로 코일 스프링을 사용한다. 이때, 대전롤러 홀더(163)에는 탄성부재(167)를 고정할 수 있는 탄정부재 고정부(168)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전부재 프레임(150)에는 도 6과 같이 대전부재(160)의 표면을 청소하는 대전부재 클리너(170)와 감광매체(111)에 잔류하는 전압을 제거하는 제전부재(180)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즉, 대전부재 프레임(150), 대전부재(160), 대전부재 클리너(170), 제전부재(180)를 하나의 모듈 내지는 유닛으로 형성하여 현상카트리지(100)의 메인 프레임(110)에서 일체로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대전부재 클리너(170)와 제전부재(180)는 대전부재(160)와 독립적으로 대전부재 프레임(150)에 대해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카트리지(100)를 보수하는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현상카트리지(100)를 보수하는 것은 대전부재 프레임(150)과 대전부재(160)를 통째로 교체하는 경우 및 대전부재 프레임(150)에 설치된 대전부재(160)만을 교체하는 경우, 또는 도 6과 같이 대전부재 프레임(150)에 설치된 대전부재(160), 대전부재 클리너(170), 제전부재(180) 중 어느 하나만을 교체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먼저, 하나의 모듈을 이루는 대전부재 프레임(150)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메인 프레임(110)에서 대전부재(160)가 설치된 대전부재 프레임(150)을 분리한다. 다음으로 새로운 대전부재(160)를 구비한 대전부재 프레임(150)을 상기 메인 프레임(110)에 고정한다. 대전부재 프레임(150)을 메인 프레임(110)에 고정할 때, 대전부재 프레임(15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돌기(151)를 메인 프레임(1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141)에 삽입하여 조립한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돌기(15)와 프레임 기준 홈(141)을 이용하여 대전부재 프레임(150)을 메인 프레임(110)에 조립하면, 조립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대전부재 프레임(150)에 설치된 대전부재(160) 등을 보수하는 경우에는 메인 프레임(110)에서 대전부재 프레임(150)을 분리한다. 그 후, 분리된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150)에 설치된 대전부재(160), 대전부재 클리너(170), 제전부재 (180)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보수한다. 즉,대전부재 프레임(150)에 설치된 대전부재(160), 대전부재 클리너(170), 제전부재(180)의 상태를 점검하고, 이상이 있는 부품은 교체한다. 이때, 대전부재(160), 대전부재 클리너(170), 제전부재(180)가 대전부재 프레임(150)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 경우에는 분리 및 조립이 매우 용이하다.
대전부재(160), 대전부재 클리너(170), 제전부재(180)의 보수가 끝났으면, 분리하였던 대전부재 프레임(150)을 메인 프레임(110)에 다시 고정한다. 이때, 대전부재 프레임(15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돌기(151)를 메인 프레임(1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141)에 삽입하여 조립한다.
다음으로, 메인 프레임(110)에 설치된 폐토너 클리너(130)를 교체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메인 프레임(110)에서 대전부재(160)가 설치된 대전부재 프레임(150)을 분리한다. 이어서, 메인 프레임(110)의 복수 개의 클리너 기준 돌기(137)로부터 폐토너 클리너(130)를 분리한다. 폐토너 클리너(130)가 볼트와 같은 체결요소(133)로 메인 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먼저 체결요소(133)를 푼 후에 폐토너 클리 너(130)를 분리한다.
다음으로, 새로운 폐토너 클리너(130)를 메인 프레임(110)에 조립한다. 이때, 폐토너 클리너(13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클리너 기준 구멍(도 8의 236 참조)을 메인 프레임(1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클리너 기준 돌기(137)에 맞추어 조립하면 조립이 매우 용이하다.
폐토너 클리너(130)를 메인 프레임(110)에 체결요소(133)로 고정할 경우에, 메인 프레임(1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141) 중의 어느 하나를 통해 사용자가 손으로 폐토너 클리너(130)를 잡을 수 있기 때문에, 폐토너 클리너(130)를 메인 프레임(110)에 고정하는 것이 편리하다.
폐토너 클리너(130)의 고정이 완료되면, 대전부재 프레임(150)을 메인 프레임(110)에 다시 고정한다. 이때, 대전부재 프레임(15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돌기(151)를 메인 프레임(1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141)에 삽입하여 조립하면 편리하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현상카트리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현상카트리지(200)는 현상 프레임(201), 폐토너 프레임(202), 대전부재 프레임(250), 좌측판(203) 및 우측판(20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현상 프레임(201), 폐토너 프레임(202), 좌측판(203) 및 우측판(204)이 상술한 실시예의 메인 프레임(110)을 형성한다. 즉, 현상 프레 임(201), 폐토너 프레임(202), 좌축판(203) 및 우측판(204)을 조립하면, 상술한 실시예의 현상카트리지(100)의 메인 프레임(110)에 상응하는 메인 프레임(210)을 형성하게 된다.
현상 프레임(201)은 감광매체(211)가 설치되며, 감광매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토너를 수용한다. 또한, 현상 프레임(201)에는 감광매체(211)로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롤러(213), 토너공급롤러(215), 토너규제부재가 설치되며, 소정 양의 토너가 저장되는 토너저장공간(219)이 형성된다. 토너저장공간(219)에는 교반기가 설치될 수 있다. 감광매체(211), 현상롤러(213), 토너공급롤러(215), 토너규제부재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현상카트리지(100)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현상 프레임(201)은 감광매체(211), 현상롤러(213), 토너공급롤러(215) 등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현상 프레임(201)의 상면(201a)을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폐토너 프레임(202)은 감광매체(211)에서 제거된 폐토너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폐토너 클리너(230)와 폐토너공간(220)을 포함한다. 폐토너 프레임(202)에는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241)과 복수 개의 클리너 기준 돌기(237)가 형성된다.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241)은 대전부재 프레임(25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기준 돌기(251)가 삽입되는 것으로서, 대전부재 프레임(250)을 조립할 때 기준이 된다.
복수 개의 클리너 기준 돌기(237)는 도 8과 같이 폐토너 클리너(23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클리너 기준 구멍(236)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폐토너 클리너(230)의 조립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241)과 클리너 기준 돌기(237)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현상카트리지(100)의 프레임 기준 홈(141) 및 클리너 기준 돌기(137)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폐토너 클리너(230)에는 도 8과 같이 폐토너 클리너(230)를 폐토너 프레임(202)에 고정하는 고정 구멍(234)이 형성되고, 폐토너 프레임(202)에는 이 고정 구멍(234)에 대응되며 체결요소(233)가 체결되는 나사 구멍(23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고정 구멍(234)과 나사 구멍(235)이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있다.
대전부재 프레임(250)은 감광매체(211)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부재(260)를 포함하며, 폐토너 프레임(202)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대전부재 프레임(250)은 좌측판(203)과 우측판(204)에 의해 폐토너 프레임(250)에 고정된다. 이때, 대전부재 프레임(25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돌기(251)를 폐토너 프레임(202)에 형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241)에 삽입하여 대전부재 프레임(250)이 폐토너 프레임(202)에 대해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대전부재 프레임(250)과 대전부재(260)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현상카트리지(100)의 대전부재 프레임(150) 및 대전부재(160)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좌측판(203)과 우측판(204)은 현상 프레임(201)과 폐토너 프레임(202)을 하나로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현상 프레임(201)과 폐토너 프레임(202)이 좌측판(203)과 우측판(204)에 의해 결합되면 도 9와 같이 하나의 메인 프레임(210)을 형성하게 된다. 좌측판(203)과 우측판(204)은 각각 현상 프레임(201)과 폐토너 프 레임(202)의 좌측과 우측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현상 프레임(201)과 폐토너 프레임(202)을 결합한다. 좌측판(203)과 우측판(204)은 감광매체(211)의 축, 현상롤러(213)의 축, 토너공급롤러(215)의 축을 양단에서 지지하여 현상 프레임(201)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현상카트리지(200)는 메인 프레임(210)이 현상 프레임(201), 폐토너 프레임(202), 좌측판(203) 및 우측판(204)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는 것 외에는 작용 및 현상카트리지의 보수방법이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현상카트리지(10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카트리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에 대해 첨부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300)는 본체 프레임(310), 인쇄매체 공급유닛(320), 이송롤러유닛(330), 노광유닛(380), 현상카트리지(370), 정착유닛(350), 및 배지유닛(360)을 포함한다.
본체 프레임(310)은 화상형성장치(300)의 외관을 형성하며, 그 내측에 인쇄매체 공급유닛(320), 이송롤러유닛(330), 현상카트리지(370), 전사롤러(340), 정착유닛(350), 및 배지유닛(360)이 설치된다.
인쇄매체 공급유닛(320)은 본체 프레임(310)의 내측에 설치되며, 복수 매의 인쇄매체(P)를 적재한다. 인쇄매체 공급유닛(320)의 선단에는 적재된 인쇄매체(P)를 한 장씩 픽업하여 공급하는 픽업롤러(321)가 설치된다.
이송롤러유닛(330)은 적어도 한 쌍의 이송롤러를 포함하며, 인쇄매체 공급유 닛(320)에서 픽업된 인쇄매체(P)를 전사롤러(340)와 감광매체(111) 사이로 이동시킨다.
노광유닛(380)은 현상카트리지(370)의 상측에 설치되며,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레이저 빔을 발광한다.
현상카트리지(370)는 노광유닛(380)에서 발광된 레이저 빔에 의해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현상하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카트리지(100)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사롤러(340)는 현상카트리지(370)의 감광매체(111)와 접촉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감광매체(111)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인쇄매체 공급유닛(320)으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P)로 전사되도록 한다.
정착유닛(350)은 가압롤러와 가열롤러를 포함하며, 가압롤러와 가열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매체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에 정착시킨다.
배지유닛(360)은 정착유닛(350)을 통과하며 정착이 완료된 인쇄매체를 화상형성장치(300)의 외부로 배출한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화상형성장치(30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현상카트리지(370)에 대해서는 도 3에 도시된 현상카트리지(10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300)는 인쇄명령을 수신하면, 현상카트리지(100)의 대전부재(360)에 전압을 인가하여 감광매체(111)의 표면을 소정 전압으로 대전시키고, 감 광매체(111)를 회전시킨다.
이와 거의 동시에 노광유닛(380)이 동작하여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레이저 빔을 발광한다. 노광유닛(380)에서 발광된 레이저 빔은 현상카트리지(100)의 대전부재 프레임(150)에 형성된 레이저 빔 구멍(153)을 통해 감광매체(111)로 입사되어 대전부재(160)에 의해 대전된 감광매체(111)의 표면에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감광매체(111)가 회전을 계속하면, 감광매체(11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현상롤러(113)와 마주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현상롤러(113)의 표면에는 대전된 토너층이 형성되어 있다. 즉, 토너공급롤러(115)에 의해 토너저장공간(119)에 저장된 토너가 현상롤러(113)로 공급되고, 현상롤러(113)가 회전하면, 현상롤러(113)의 표면으로 이송된 토너는 토너규제부재(117)에 의해 일정 두께의 토너층으로 박층화되며 대전된다. 따라서, 감광매체(111)가 회전하여 정전잠상이 현상롤러(113)와 마주하는 위치에 오면, 현상롤러(113)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층의 토너가 감광매체(111)의 표면으로 이동하여 정전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현상한다.
한편, 인쇄명령이 수신되면, 인쇄매체 공급유닛(320)은 인쇄매체(P)를 한 장 픽업하여 이송롤러유닛(330)으로 이송한다. 픽업된 인쇄매체(P)는 이송롤러유닛(330)에 의해 현상카트리지(100)의 감광매체(111)와 전사롤러(340) 사이로 진입한다.
인쇄매체(P)가 현상카트리지(100)의 감광매체(111)와 전사롤러(340) 사이로 진입하면, 회전하는 감광매체(111)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인쇄매체(P)로 전사된다.
감광매체(111)가 회전을 계속하면, 토너 화상이 인쇄매체(P)로 전사된 후 감광매체(111)의 표면에 잔류하는 폐토너는 폐토너 클리너(130)에 의해 제거된다. 감광매체(111)에서 제거된 폐토너는 메인 프레임(110)에 형성된 폐토너공간(120)에 저장된다.
감광매체(111)가 회전을 계속하여 폐토너가 제거된 부분이 대전부재(160)와 마주하는 위치로 오면 대전부재(160)에 의해 다시 소정 전압으로 대전된다. 만일, 폐토너 클리너(130)와 대전부재(160) 사이에 제전부재(180)가 설치된 현상카트리지(100)의 경우에는 제전부재(180)에 의해 감광매체(111)의 표면에 잔류하는 전압이 완전히 제거된다.
소정의 전압으로 대전된 감광매체(111)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며, 인쇄매체(P)에 토너 화상을 전사하게 된다.
현상카트리지(100)의 감광매체(111)로부터 토너 화상이 전사된 인쇄매체(P)는 정착유닛(350)으로 이동된다. 인쇄매체(P)가 정착유닛(350)의 가압롤러와 가열롤러의 사이를 통과하는 동안에 토너 화상이 인쇄매체(P)에 정착된다.
토너 화상이 정착된 인쇄매체(P)는 배지유닛(360)을 통해 화상형성장치(3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카트리지는 대전부재가 대전부재 프레임에 설치된 하나의 대전부재 모듈 내지는 유닛으로 형성되 고, 대전부재 모듈은 메인 프레임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대전부재를 교체하거나 보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대전부재 모듈을 메인 프레임에서 분리하면 되므로, 대전부재를 쉽게 교체하거나 보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카트리지는 대전부재, 대전부재 클리너, 제전부재를 대전부재 프레임에 설치하여 하나의 모듈 내지는 유닛으로 할 수 있으며, 대전부재, 대전부재 클리너, 제전부재가 대전부재 프레임에 대해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대전부재, 대전부재 클리너, 제전부재의 유지/보수나 교체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현상카트리지는 대전부재가 모듈로 되어 있으므로 대전부재를 교체하기 위해 현상카트리지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현상카트리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카트리지의 유지/보수비가 절감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카트리지는 폐토너 클리너를 메인 프레임에 조립할 때, 복수 개의 클리너 기준 구멍과 클리너 기준 돌기를 사용하므로 조립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카트리지는 메인 프레임에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이 형성되고, 대전부재 프레임에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대전부재 프레임을 메인 프레임에 조립하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현상카트리지의 보수가 편리하다.
또한,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과 프레임 기준 돌기에 의해 대전부재 프레 임이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현상카트리지가 흔들리는 경우에도 대전부재 프레임이 메인 프레임에 대해 미끄러져 이동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노광유닛에서 발광된 레이저 빔이 통과하는 레이저 빔 구멍의 위치가 변하여 레이저 빔이 차단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행할 수 있는 단순한 구성요소의 치환, 부가, 삭제,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

Claims (36)

  1. 감광매체, 토너저장공간, 상기 토너저장공간의 토너를 상기 감광매체로 공급하는 현상롤러, 상기 감광매체에서 폐토너를 제거하는 폐토너 클리너 및 상기 감광매체에서 제거된 폐토너를 저장하는 폐토너공간을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감광매체를 대전시키는 대전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전부재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대전부재는, 대전롤러; 및
    일단은 상기 대전롤러의 축을 지지하며, 타단은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대전롤러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을 포함하며,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은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돌기는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에 대응되는 반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롤러 홀더와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은 상기 대전부재를 청소하는 대전부재 클리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은 상기 감광매체를 제전하는 제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매체에서 폐토너를 제거하며, 복수 개의 클리너 기준 구멍이 형성된 폐토너 클리너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복수 개의 클리너 기준 구멍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클리너 기준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클리너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복수 개의 클리너 기준 구멍이 형성된 폐토너 브라켓; 및
    상기 폐토너 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감광매체로부터 폐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는 사용자가 상기 폐토너 브라켓을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
  11. 감광매체, 토너저장공간, 상기 토너저장공간의 토너를 상기 감광매체로 공급하는 현상롤러를 포함하는 현상 프레임;
    상기 감광매체에서 제거된 폐토너를 저장하는 폐토너 프레임;
    상기 감광매체를 대전시키는 대전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폐토너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전부재 프레임; 및
    상기 현상 프레임과 폐토너 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현상 프레임과 폐토너 프레임을 결합하는 좌측판 및 우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대전부재는 대전롤러; 및
    일단은 상기 대전롤러의 축을 지지하며, 타단은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대전롤러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프레임은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을 포함하며,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은 상기 폐토너 프레임의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은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돌기는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에 대응되는 반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
  14. 삭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롤러 홀더와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은 상기 대전부재를 청소하는 대전부재 클리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은 상기 감광매체를 제전하는 제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프레임은 상기 감광매체에서 폐토너를 제거하며, 복수 개의 클리너 기준 구멍이 형성된 폐토너 클리너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폐토너 프레임은 상기 복수 개의 클리너 기준 구멍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클리너 기준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클리너는 상기 폐토너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복수 개의 클리너 기준 구멍이 형성된 폐토너 브라켓; 및
    상기 폐토너 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감광매체로부터 폐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프레임에는 사용자가 상기 폐토너 브라켓을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
  21.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인쇄매체 공급유닛;
    감광매체에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화상을 형성하며, 상기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내지 제 13 항, 제 15 항 내지 제 2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상카트리지;
    상기 감광매체와 접하며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인쇄매체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인쇄매체에 상기 감광매체에 형성된 화상을 전사하는 전사롤러; 및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를 배출하는 배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삭제
  23. 토너저장공간과 폐토너공간이 형성된 메인 프레임에서 대전롤러를 회전지지하는 한 쌍의 대전롤러 홀더가 힌지 결합된 대전부재 프레임을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에 설치된 대전롤러, 대전부재 클리너, 제전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보수하는 단계; 및
    보수가 끝난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을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의 보수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을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할 때,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에 형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돌기를 상기 메인 프레임에 형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의 보수방법.
  25. 토너저장공간과 폐토너공간이 형성된 메인 프레임에서 대전롤러를 회전지지하는 한 쌍의 대전롤러 홀더가 힌지 결합된 대전부재 프레임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메인 프레임의 복수 개의 클리너 기준 돌기로부터 폐토너 클리너를 분리하는 단계;
    새로운 폐토너 클리너에 형성된 복수 개의 클리너 기준 구멍을 상기 복수 개의 클리너 기준 돌기에 맞추어 상기 메인 프레임에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을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의 보수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을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할 때,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에 형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돌기를 상기 메인 프레임에 형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의 보수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클리너를 상기 메인 프레임에 조립할 때, 사용자는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을 이용하여 손으로 상기 폐토너 클리너를 잡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의 보수방법.
  28. 감광매체, 토너저장공간, 상기 토너저장공간의 토너를 상기 감광매체로 공급하는 현상롤러, 상기 감광매체에서 폐토너를 제거하는 폐토너 클리너 및 상기 폐토너를 저장하는 폐토너공간을 포함하는 현상카트리지의 메인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대전부재 프레임이며,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에는 한 쌍의 대전롤러 홀더의 일단이 힌지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대전롤러 홀더의 타단에는 대전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부재 프레임.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롤러 홀더와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부재 프레임.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은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메인 프레임은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돌기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부재 프레임.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은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돌기는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 기준 홈에 대응되는 반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부재 프레임.
  32.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에는 상기 대전롤러를 청소하는 대전부재 클리너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부재 프레임.
  33.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에는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메인 프레임에 설치된 감광매체를 제전하는 제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부재 프레임.
  34. 일단은 대전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타단은 대전부재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대전롤러 홀더이며,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은,
    감광매체, 토너저장공간, 상기 토너저장공간의 토너를 상기 감광매체로 공급하는 현상롤러, 상기 감광매체에서 폐토너를 제거하는 폐토너 클리너 및 상기 폐토너를 저장하는 폐토너공간을 포함하는 현상카트리지의 메인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이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면, 상기 한 쌍의 대전롤러 홀더는 상기 대전롤러가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감광매체에 접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롤러 홀더.
  35. 대전부재 프레임에 힌지 결합된 한 쌍의 대전롤러 홀더에 의해 회전 지지되는 대전롤러이며,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은,
    감광매체, 토너저장공간, 상기 토너저장공간의 토너를 상기 감광매체로 공급하는 현상롤러, 상기 감광매체에서 폐토너를 제거하는 폐토너 클리너 및 상기 폐토너를 저장하는 폐토너공간을 포함하는 현상카트리지의 메인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이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면, 상기 대전롤러는 상기 한 쌍의 대전롤러 홀더에 의해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감광매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롤러.
  36. 감광매체와 상기 감광매체에서 제거된 폐토너를 저장하는 폐토너공간을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감광매체를 대전시키는 대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전부재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대전부재는 대전롤러; 및
    일단은 상기 대전롤러의 축을 지지하며, 타단은 상기 대전부재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대전롤러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
KR1020070025432A 2007-03-15 2007-03-15 현상카트리지,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카트리지의 보수방법 KR101064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432A KR101064280B1 (ko) 2007-03-15 2007-03-15 현상카트리지,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카트리지의 보수방법
US11/941,210 US7680434B2 (en) 2007-03-15 2007-11-16 Developing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aintenance method of developing cartridge
CN2008100016362A CN101266453B (zh) 2007-03-15 2008-01-04 显影盒,具有该显影盒的成像装置及显影盒的维护方法
EP08100169.5A EP2026144B1 (en) 2007-03-15 2008-01-07 Developing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aintenance Method of Developing Cartridge
RU2008107794/28A RU2471219C2 (ru) 2007-03-15 2008-02-28 Картридж проя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содержащее этот картридж, и способ обслуживания картриджа проявления
BRPI0800471-4A BRPI0800471A2 (pt) 2007-03-15 2008-02-29 cartucho de revelaÇço, aparelho de formaÇço de imagem tendo o mesmo, e mÉtodo de manutenÇço de cartucho de revelaÇç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432A KR101064280B1 (ko) 2007-03-15 2007-03-15 현상카트리지,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카트리지의 보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141A KR20080084141A (ko) 2008-09-19
KR101064280B1 true KR101064280B1 (ko) 2011-09-14

Family

ID=39762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5432A KR101064280B1 (ko) 2007-03-15 2007-03-15 현상카트리지,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카트리지의 보수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80434B2 (ko)
EP (1) EP2026144B1 (ko)
KR (1) KR101064280B1 (ko)
CN (1) CN101266453B (ko)
BR (1) BRPI0800471A2 (ko)
RU (1) RU2471219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4263A (ko) * 2008-03-31 2009-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현상기
CN101916063B (zh) * 2010-07-22 2013-03-20 珠海赛纳打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感光元件盒
JP5967970B2 (ja) * 2012-02-20 2016-08-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311410B2 (ja) * 2014-03-31 2018-04-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の製造方法
JP6233288B2 (ja) * 2014-12-12 2017-11-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582972B2 (ja) * 2015-12-25 2019-10-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CN107247396A (zh) * 2017-06-20 2017-10-13 珠海横琴大鑫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打印机硒鼓
CN108873658A (zh) * 2018-07-02 2018-11-23 中山市三润打印耗材有限公司 处理盒的组装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2616A (ko) * 1996-10-07 1998-07-25 미따라이후지오 현상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JP3347476B2 (ja) * 1993-06-30 2002-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方法
KR20050106653A (ko) * 2004-05-06 2005-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상장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KR20070024215A (ko) * 2005-08-26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3897A (en) * 1979-10-31 1983-11-08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Electrostatic copying apparatus
JP3039693B2 (ja) * 1991-03-01 2000-05-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888087B2 (ja) * 1993-04-13 1999-05-10 カシオ電子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ユニット
US6026259A (en) * 1996-12-26 2000-02-15 Minolta Co., Ltd. Contact-type eras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JP3472108B2 (ja) * 1997-10-01 2003-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5890035A (en) * 1997-11-14 1999-03-30 Xerox Corporation Charging device module for use with print cartridge
JP2000242063A (ja) * 1999-02-18 2000-09-0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4151563A (ja) * 2002-10-31 2004-05-2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2005043537A (ja) * 2003-07-25 2005-02-1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906251B2 (ja) * 2003-08-29 2012-03-28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352228A (ja) * 2004-06-11 2005-12-22 Ricoh Co Ltd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搭載した画像形成装置
JP3969407B2 (ja) * 2004-07-29 2007-09-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509062B2 (en) * 2004-08-16 2009-03-24 Ricoh Compan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forming capable of effectively recycling image forming unit
JP4418336B2 (ja) * 2004-09-28 2010-02-17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7424250B2 (en) * 2005-12-28 2008-09-09 Xerox Corpor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removing latent image ghosts photoreceptors
US7860428B2 (en) * 2006-05-16 2010-12-28 Fuji Xerox Co., Ltd. Detachable holding portions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7476B2 (ja) * 1993-06-30 2002-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方法
KR19980032616A (ko) * 1996-10-07 1998-07-25 미따라이후지오 현상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20050106653A (ko) * 2004-05-06 2005-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상장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KR20070024215A (ko) * 2005-08-26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66453B (zh) 2012-03-14
EP2026144A2 (en) 2009-02-18
RU2471219C2 (ru) 2012-12-27
BRPI0800471A2 (pt) 2008-11-18
KR20080084141A (ko) 2008-09-19
CN101266453A (zh) 2008-09-17
EP2026144B1 (en) 2018-07-18
RU2008107794A (ru) 2009-09-10
US7680434B2 (en) 2010-03-16
US20080226340A1 (en) 2008-09-18
EP2026144A3 (en)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4280B1 (ko) 현상카트리지,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카트리지의 보수방법
US7039339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8014511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used therein
KR101615652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US7088939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11449001B2 (en)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295731B2 (en) Develop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4077565A (ja) 着脱部材、現像器、プロセス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4091126A (ja) 給紙カセ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RE42125E1 (en) Development bias connector with integral bearing support
KR100927141B1 (ko) 회전체 지지장치, 이를 구비한 현상카트리지와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카트리지 조립방법 및 분해방법
US8543034B2 (en) Electrophotographic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artridge
EP0917019B1 (en) System of process cartridges with variable size toner storage room
JP2004299817A (ja) 画像形成装置本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EP0917026B1 (en) Process cartridge
JP2003241618A (ja) 画像形成装置
EP0918263B1 (en) Charging device module for use with print cartridge
JP4428328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280041B1 (ko) 현상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3958314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5091792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11194698A (ja) 電子写真装置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5106914A (ja) クリーニング装置
KR20070047615A (ko) 현상카트리지
JPH0790674B2 (ja) 製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