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041B1 - 현상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0041B1 KR101280041B1 KR1020060095103A KR20060095103A KR101280041B1 KR 101280041 B1 KR101280041 B1 KR 101280041B1 KR 1020060095103 A KR1020060095103 A KR 1020060095103A KR 20060095103 A KR20060095103 A KR 20060095103A KR 101280041 B1 KR101280041 B1 KR 1012800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ner
- photosensitive medium
- main frame
- developing
- waste ton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47571 Visual impair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토너를 제거하여 수거할 수 있는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현상장치는 감광매체를 수용하고, 개방된 상면과, 감광매체의 일부가 노출되는 감광매체구멍이 형성된 하면을 포함하며, 감광매체의 양측으로 각각 토너와 폐토너를 수용할 수 있는 2개의 공간이 형성된 메인 프레임; 및 메인 프레임의 상면을 덮는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현상장치에 의하면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다.
현상장치, 메인프레임, 토너공간, 폐토너공간, 한 몸체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현상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현상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현상장치를 선 Ⅳ-Ⅳ에서 절단한 개략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현상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00'; 현상장치 110,110'; 메인 프레임 조립체
111,140; 메인 프레임 111f; 감광매체구멍
112; 감광매체 113; 현상부재
114; 토너규제부재 115; 대전부재
116; 토너공급부재 117; 클리닝부재
119; 실링부재 121; 토너 공간
122; 폐토너 공간 130; 커버
131; 빔구멍 142; 개방부
151,152; 측판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현상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에 소정의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인쇄명령에 따라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를 토너로 현상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장치를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 의한 현상장치의 일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현상장치(1)는 화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12)를 수용하는 메인 프레임 조립체(10), 감광매체(12)로부터 폐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조립체(20), 및 커버(30)를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 조립체(10)는 메인 프레임(11), 감광매체(12), 현상롤러(13), 토너규제부재(14), 좌/우측판(31,32), 및 실링부재(16)를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11)은 감광매체(12), 현상롤러(13), 토너규제부재(14)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양 측면은 개방되어 있다. 개방된 양 측면은 각각 좌/우측판(31,32)에 의해 밀폐되며, 좌/우측판(31,32)은 감광매체(12)와 현상롤러(13)를 회전 지지한다. 감광매체(12)는 메인 프레임(11)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 며, 감광매체(12)의 표면에는 노광유닛(미도시)에서 발광된 레이저 빔에 의해 소정의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감광매체(12)의 상측으로는 감광매체(12)를 대전시키는 대전롤러(15)가 설치된다. 현상롤러(13)는 감광매체(12)의 일측에 설치되며,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매체(12)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한다. 토너규제부재(14)는 현상롤러(13)와 접촉하도록 설치되며, 현상롤러(13)에 의해 공급되는 토너의 양을 일정하게 규제한다. 토너규제부재(14)와 메인 프레임(11)의 사이의 공간(17)에는 토너가 저장된다. 실링부재(16)는 메인 프레임(11)과 커버(30) 사이에 설치되며, 메인 프레임(11)에 저장된 토너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클리닝 조립체(20)는 클리닝 프레임(21)과 클리닝부재(cleaning member)(23)를 포함한다. 클리닝부재(23)는 클리닝 프레임(21)에 설치되며, 감광매체(12)의 표면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한다. 클리닝 프레임(21)은 클리닝부재(23)에 의해 제거된 폐토너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현상장치(10)가 화상을 형성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쇄가 시작되면, 대전롤러(15)에 의해 감광매체(12)의 표면이 소정 전압으로 인가된다. 감광매체(12)가 동력전달수단(미도시)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 대전된 감광매체(12)의 표면은 노광유닛(미도시)에서 발광된 레이저 빔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감광매체(12)가 계속 회전하면, 현상롤러(13)에 의해 공급되는 토너에 의해 정전잠상이 현상되어 소정의 화상을 형성한다. 이때, 토너는 현상롤러(13)의 일측의 메인 프레임(11)의 공간(17)에 저장되어 있다. 화상은 전사 유닛(미도시)에 의해 용지이송유닛(미도시)에 의해 공급되는 용지로 전사된다. 전사유닛에 의해 화상이 용지로 전사될 때, 토너의 일부가 용지로 전사되지 않고 감광매체(12)의 표면에 그대로 잔류하게 된다. 감광매체(12)에 잔류한 폐토너는 클리닝부재(23)에 의해 제거되어 클리닝 프레임(21)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폐토너가 제거된 감광매체(12)는 다시 대전롤러(15)에 의해 대전된 후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클리닝 조립체(20)를 포함하는 현상장치(1)는 전사 후에 감광매체(12)의 표면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하고, 다음 화상을 형성하기 때문에, 품질이 좋은 인쇄물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현상장치(1)는 폐토너를 제거하여 수납하는 클리닝 조립체(20)가 토너를 저장하며 공급하는 메인 프레임 조립체(10)와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토너가 저장되는 메인 프레임(11)과, 폐토너를 수용하는 클리닝 프레임(21)이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클리닝 조립체(20)는 메인 프레임 조립체(10)를 조립하는 공정과 별도의 조립공정을 통해 조립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현상장치(1)는 클리닝 조립체(20)를 형성하기 위해 메인 프레임(11)과 별도로 클리닝 프레임(21)을 제작하여야 하므로, 부품 수가 증가한다. 또한, 클리닝 조립체(20)는 메인 프레임 조립체(10)를 조립하는 공정과 별도의 공정을 통해 서브 조립한 후, 메인 프레임 조립체(10)와 조립하여야 하므로 조립 시간이 증가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현상장치(1)는 제조원가가 높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폐토너를 제거하여 수납할 수 있으면서,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현상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감광매체를 수용하고, 개방된 상면과, 상기 감광매체의 일부가 노출되는 감광매체구멍이 형성된 하면을 포함하며, 상기 감광매체의 양측으로 각각 토너와 폐토너를 수용할 수 있는 2개의 공간이 형성된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현상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현상장치는 상기 감광매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감광매체로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부재; 및 상기 현상부재와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토너규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부재, 토너규제부재,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토너 공간에는 토너가 있다.
또한, 상기 현상장치는 상기 현상부재와 반대쪽에 상기 감광매체로부터 폐토너를 제거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클리닝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클리닝부재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폐토너 공간에는 상기 감광매체에서 제거된 폐토너가 수거된다.
이때, 상기 클리닝부재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의해 지지 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커버 사이에는 실링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감광매체; 개방된 상면과, 상기 감광매체의 일부가 노출되는 감광매체구멍이 형성된 하면과, 상기 감광매체의 양단에 대응되는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개방부와, 상기 감광매체의 좌우에 형성된 2개의 공간을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개방부를 각각 밀폐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감광매체의 축을 회전 지지하는 좌/우측판;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을 덮는 커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감광매체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하도록 설치되는 클리닝부재;를 포함하는 현상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현상장치는 상기 감광매체의 일측에 상기 좌/우측판에 의해 회전 지지 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감광매체로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부재; 및 상기 현상부재와 접촉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는 토너규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부재, 토너규제부재,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토너 공간에는 토너가 저장된다.
또한, 상기 현상장치는 상기 현상부재와 반대 쪽에 상기 클리닝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클리닝부재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폐토너 공간에는 상기 감광매체에서 제거된 폐토너가 수거된다.
이때, 상기 클리닝부재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의해 지지 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방부는 상기 감광매체와 토너 공간이 노출되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현상장치는 상기 감광매체를 대전시키는 대전부재; 및 상기 현상부재로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공급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좌/우측판은 상기 대전부재의 축 및 토너공급부재의 축을 회전 지지한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커버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용지를 공급하는 급지장치; 인쇄데이터에 따른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현상장치; 상기 현상장치에 형성된 화상을 용지로 전사하는 전사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며의 목적은, 새로운 토너를 수용하는 제1부분, 폐토너를 수용하는 제2부분, 상기 제1부분에서 상기 제2부분으로 새로운 토너를 이송하며 새로운 토너가 폐토너가 되는 제3부분, 및 상기 제3부분에 설치되며 새로운 토너를 사용하여 정전잠상을 인쇄매체로 전사하는 감광매체를 포함하는 한 개의 몸체로 형성된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제2 및 제3부분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제3부분은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을 분리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는, 상기 제2부분과 제3부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폐토너를 상기 감광매체로부터 상기 제2부분으로 이동시키는 클리닝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는, 상기 감광매체의 양단 쪽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개방부; 및 상기 제1 및 제2개방부를 각각 분리 가능하게 덮는 제1 및 제2측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용지를 공급하는 급지장치; 인쇄데이터에 따른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새로운 토너를 수용하는 제1부분; 폐토너를 수용하는 제2부분; 상기 제1부분에서 상기 제2부분으로 새로운 토너를 이송하며, 상기 새로운 토너가 폐토너로 되는 제3부분; 및 상기 제3부분에 설치되며 새로운 토너를 사용하여 상기 인쇄데이터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용지로 전사하는 감광매체;를 포함하는 한 개의 몸체로 형성된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제2 및 제3부분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현상장치; 및 상기 화상을 상기 용지에 정착하는 정착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며의 목적은, 새로운 토너를 수용하는 제1부분, 폐토너를 수용하는 제2부분, 상기 제1부분에서 상기 제2부분으로 새로운 토너를 이송하며 새로운 토너가 폐토너가 되는 제3부분, 및 상기 제3부분에 설치되며 새로운 토너를 사용하여 정전잠상을 인쇄매체로 전사하는 감광매체를 포함하는 한 개의 몸체로 형성된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제2 및 제3부분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제3부분은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을 분리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는, 상기 제2부분과 제3부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폐토너를 상기 감광매체로부터 상기 제2부분으로 이동시키는 클리닝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는, 상기 감광매체의 양단 쪽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개방부; 및 상기 제1 및 제2개방부를 각각 분리 가능하게 덮는 제1 및 제2측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용지를 공급하는 급지장치; 인쇄데이터에 따른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새로운 토너를 수용하는 제1부분; 폐토너를 수용하는 제2부분; 상기 제1부분에서 상기 제2부분으로 새로운 토너를 이송하며, 상기 새로운 토너가 폐토너로 되는 제3부분; 및 상기 제3부분에 설치되며 새로운 토너를 사용하여 상기 인쇄데이터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용지로 전사하는 감광매체;를 포함하는 한 개의 몸체로 형성된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제2 및 제3부분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현상장치; 및 상기 화상을 상기 용지에 정착하는 정착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현상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100)는 메인 프레임 조립체(110)와 커버(130)를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 조립체(110)는 토너를 저장하며, 화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112)를 수용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 조립체(110)는 메인 프레임(111), 감광매체(112), 현상부재(113), 토너규제부재(114), 클리닝부재(cleaning member)(117), 및 실링부재(119)를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111)은 감광매체(112), 현상부재(113), 토너규제부재(114), 클리닝부재(117)를 수용할 수 있도록 대략 바닥이 있는 직사각의 통 형상으로 형성된 다. 즉, 메인 프레임(111)의 상면은 개방되며, 하면(111e)과 4개의 측면(111a,111b,111c,111d)을 구비한다. 여기서, 4개의 측면(111a,111b,111c,111d) 중 감광매체(112)와 평행한 2개의 측면(111a,111b)을 각각 전면, 후면이라 하고, 감광매체(112)를 회전 지지하는 2개의 측면(111c,111d)을 각각 좌측면, 우측면이라 한다. 즉, 도 3에서 감광매체(112)를 기준으로 우측에 있는 면(111a)을 전면, 좌측면(111b)을 후면, 전면(111d)에 위치한 면을 우측면이라 한다. 메인 프레임(111)의 하면(111e)은 토너를 수용하고, 감광매체(112)로 토너를 이송하는 현상장치(100)의 기능을 원활하게 발휘할 수 있도록 적절한 형상으로 성형된다. 또한, 메인 프레임(111)의 하면(111e)은 현상장치(100)가 설치되는 화상형성장치(200, 도 6 참조)의 구성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메인 프레임(111)의 하면(111e)에는 감광매체(111)의 일부가 노출되는 감광매체구멍(111f)이 형성된다. 감광매체구멍(111f)은 감광매체(111)가 길이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감광매체(111)는 감광매체구멍(111f)을 통해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메인 프레임(111)의 좌/우측면(111c,111d)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따라서, 메인 프레임(111)은 감광매체(112)를 중심으로 2개의 공간(121,122)으로 나누어진다. 메인 프레임(111)의 전면(111a)과 감광매체(112)의 사이의 공간(121)에는 토너가 저장되며, 저장된 토너를 감광매체(112)로 공급하는 현상부재(113)가 설치된다. 메인 프레임(111)의 후면(111b)과 감광매체(112) 사이의 공간(122)에는 폐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부재(117)가 설치되며, 클리닝부재(117)에 의해 감광매체(112)로부터 제거된 폐토너가 수거된다. 즉, 메인 프레임(111)은 하 나의 몸체로 형성되면서, 그 내측에는 토너를 수용하는 공간(121)과 폐토너를 수용하는 공간(122)이 분리되어 마련되어 있다.
현상부재(113)는 메인 프레임(111)의 내측에 감광매체(112)의 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현상부재(113)는 토너의 현상방식에 따라 감광매체(112)와 접촉하거나 떨어지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부재(112)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현상롤러를 사용한다.
토너규제부재(114)는 현상부재(113)와 접촉하도록 설치되며, 현상부재(113)에 의해 공급되는 토너 층의 높이를 규제하며, 토너와의 마찰력에 의해 토너를 대전시킨다. 토너규제부재(114)는 판재 형태로 형성되며, 토너규제부재 고정구(114a)에 의해 메인 프레임(111)의 좌/우측면(111c,111d)에 고정된다. 토너규제부재(114)와 현상부재(113)와 메인 프레임(111)의 전면(111a) 사이의 공간(121)(이하, 토너 공간이라 한다)에는 토너가 저장된다. 이때, 토너 공간(121)에는 토너의 공급을 위한 토너공급부재(116)와 토너를 교반하는 교반기(미도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너공급부재(116)는 토너 공간(121)의 하측에 현상부재(113)와 접촉하며 회전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리닝부재(117)는 현상부재(113)와 반대쪽으로 감광매체(112)의 표면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클리닝부재(117)는 판재 형태로 형성되며, 클리닝부재 고정구(117a)에 의해 메인 프레임(111)의 좌/우측면(111c,111d)에 고정된다. 클리닝부재(117)와 메인 프레임(111)의 후면(111b) 사이의 공간(122)(이하, 폐토너 공간이라 한다)에는 클리닝부재(117)에 의해 감광매체(112) 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폐토너가 수거된다. 폐토너 공간(122)에는 메인 프레임(111)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 개의 지지리브(122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상부재(113)와 클리닝부재(117)의 사이에는 대전부재(115)가 설치된다. 대전부재(115)는 감광매체(112)와 접촉하며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감광매체(112)의 표면을 소정 전압으로 대전시킨다.
감광매체(112), 현상부재(113), 토너공급부재(116), 대전부재(115)는 각각 메인 프레임(111)의 좌측면(111c)에 설치된 동력전달수단(미도시)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커버(130)는 메인 프레임(111)의 상면을 덮어 감광매체(112), 현상부재(113), 대전부재(115) 등을 보호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메인 프레임(111)의 상면과 커버(130)의 사이에는 실링부재(119)가 개재된다. 실링부재(119)는 토너 공간(121)의 상부와 폐토너 공간(122)의 상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메인 프레임(111)의 토너 공간(121)에 저장된 토너와 폐토너 공간(122)에 수거된 폐토너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커버(130)에는 노광유닛(230, 도 6 참조)에서 발광된 레이저 빔이 통과하여 감광매체(112)에 도달할 수 있도록 빔구멍(131)이 형성된다. 또한, 커버(130)의 내측에는 커버(130)가 메인 프레임(111)에 조립되었을 때, 토너규제부재(114)와 클리닝부재(117)를 지지하도록 제1 및 제2지지부재(133,134)가 형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100) 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인쇄가 시작되면, 대전부재(115)에 의해 감광매체(112)의 표면의 일부분이 소정 전압으로 대전된다. 감광매체(112)가 회전하면, 노광유닛(230, 도 6 참조)에서 출사된 레이저 빔이 커버(130)의 빔구멍(131)을 통과하여 감광매체(112)의 표면에 인쇄데이터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감광매체(112)가 계속 회전하면, 감광매체(112)에 형성된 정전잠상이 현상부재(113)와 마주하게 된다.
한편, 토너 공간(121)에 설치된 토너공급부재(116)는 회전하여 토너 공간(121)에 저장된 토너를 현상부재(113)의 표면으로 공급한다. 현상부재(113)가 회전하면, 현상부재(113)의 표면에 부착된 토너는 토너규제부재(114)에 의해 박층화되어 감광매체(112) 쪽으로 이동한다. 현상부재(113)가 회전하여 토너가 감광매체(112)와 마주하는 위치로 이송되면, 정전잠상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전기적인 힘에 의해 현상부재(113)의 토너가 감광매체(112)로 이동하여 정전잠상을 현상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감광매체(112)가 회전을 계속하면, 감광매체(112)에 형성된 화상은 감광매체구멍(111f)을 통해 메인 프레임(111)의 외부로 노출된다. 그러면, 감광매체(112)에 형성된 화상은 감광매체(112)의 아래에 설치된 전사유닛(240, 도 6 참조)에 의해 용지로 전사된다. 이때, 화상을 형성하는 토너 중 일부는 용지로 전사되지 않고 감광매체(112)의 표면에 잔류하여 폐토너를 이루게 된다.
감광매체(112)가 계속 회전하면, 이 폐토너는 클리닝부재(117)에 의해 감광매체(112)로부터 제거되어 폐토너 공간(122)에 수거된다. 감광매체(112)가 회전을 계속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대전부재(115)에 의해 감광매체(112)의 표면이 다시 대전되어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인쇄를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현상장치(100)는 메인 프레임(111)에 설치된 감광매체(112)의 양측으로 화상을 형성하는 토너가 저장되는 토너 공간(121)과 감광매체(112)로부터 제거된 폐토너가 수거되는 폐토너 공간(122)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감광매체(112)의 정전잠상을 현상하여 화상을 형성하고, 감광매체(112)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하여 수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현상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100')는 메인 프레임 조립체(110')와 커버(130)를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 조립체(110')는 토너를 저장하며, 소정의 화상을 형성하는 감광매체(112) 등을 수용한다. 이러한 메인 프레임 조립체(110')는 메인 프레임(140), 감광매체(112), 현상부재(113), 토너규제부재(114), 클리닝부재(117), 및 실링부재(119)를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140)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100)의 메인 프레임(111)과 유사하다. 다만, 메인 프레임(140)의 좌/우측면(140c,140d)에 개방부(142)(도 5에는 우측 개방부만 도시됨)가 형성된 것이 상술한 실시예의 메인 프레임(111)과 상이하다. 좌측 및 우측 개방부(142)는 감광매체(112), 현상부재(113), 토너공급부재(116), 대전부재(115), 및 토너 공간(121)이 노출되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좌측 및 우측 개방부(142)는 각각 좌측판(151)과 우측판(152)에 의해 밀폐된다. 따라서, 토너 공간(121)에 저장된 토너가 좌/우측 개방부(142)로 누출되지 않는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좌측 및 우측 개방부(142)는 폐토너 공간(122, 도 4 참조)까지 노출되는 크기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좌/우측판(151,152)은 감광매체(112)의 축(112a), 현상부재(113)의 축(113a), 토너공급부재(116)의 축(116a), 및 대전부재(115)의 축(115a)을 회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감광매체(112), 현상부재(113), 대전부재(115), 토너공급부재(116)는 메인 프레임(140)의 내측에 설치되며, 좌/우측판(151,152)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 된다. 다만, 토너규제부재(114)와 클리닝부재(117)는 메인 프레임(140)의 좌/우측면(140c,140d)에 의해 지지 된다. 이와 같이 메인 프레임(140)의 좌/우측면(140c,140d)에 개방부(142)를 형성하고, 별도로 성형된 좌/우측판(151,152)에 의해 밀폐하면서 감광매체(112), 현상부재(113), 대전부재(115), 토너공급부재(116)를 회전 지지하도록 구성하면, 현상장치(100')의 조립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감광매체(112), 현상부재(113), 대전부재(115), 및 토너공급부재(116) 사이의 간격을 더욱 정밀하게 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메인 프레임(140)의 좌/우측면(140c,140d)에 모두 개방부(142)를 형성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메인 프레임의 좌/우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만 개방부를 형성하고 측판으로 밀폐하는 구조로도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감광매체(112), 현상부재(113), 토너규제부재(114), 클리닝부재(117), 및 실링부재(119)의 구성 및 본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100')의 작용은 상술한 실시예 의 현상장치(10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현상장치를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200)는 급지유닛(210), 용지이송유닛(220), 현상장치(100), 전사유닛(240), 노광유닛(230), 정착유닛(250), 배지유닛(260)을 포함한다.
급지유닛(210)은 화상형성장치(200)의 가장 아래쪽에 설치되며, 급지카세트(211)에 저장된 용지를 픽업롤러(212)로 한 장씩 픽업하여 용지이송유닛(220)으로 공급한다. 용지이송유닛(220)은 급지유닛(210)으로부터 이송된 용지를 현상장치(100)의 감광매체(112)와 전사유닛(240) 사이로 이송한다.
현상장치(100)는 인쇄데이터에 대응되는 소정의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노광유닛(230)은 인쇄데이터에 대응되는 레이저 빔을 발광하여 현상장치(100)의 감광매체(112)에 소정의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전사유닛(240)는 현상장치(100)의 감광매체(112)와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감광매체(112)에 형성된 화상을 용지로 전사한다. 정착유닛(250)은 열과 압력을 사용하여 감광매체(112)와 전사유닛(240) 사이를 통과하는 동안 용지에 전사된 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킨다. 배지유닛(260)은 정착유닛(250)을 통과하면서 화상이 정착된 용지를 화상형성장치(200)의 외부로 배출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200)는 상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인쇄를 수행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필요한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급지유닛(210), 용지이송유닛(220), 전사유닛(240), 정착유닛(250), 배지유닛(260), 제어부, 및 전원부는 종래 기술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화상형성장치(200)의 제어부가 연결된 호스트로부터 인쇄명령을 수신하면, 급지유닛(210)의 픽업롤러(212)를 제어하여 급지카세트(211)에 적재된 용지를 한 장 픽업하여 용지이송유닛(220)으로 이송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는 노광유닛(230)을 제어하여 인쇄데이터에 대응되는 레이저 빔을 발광한다. 그러면, 레이저 빔에 의해 현상장치(100)의 감광매체(112)에 인쇄데이터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감광매체(112)가 회전하면, 현상부재(113)에 의해 공급되는 토너에 의해 정잔잠상이 현상되어 화상을 형성한다. 현상부재(113)가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매체(112)의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과정은 상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용지이송유닛(220)은 용지를 감광매체(112)와 전사유닛(240) 사이로 이송한다. 그러면, 전사유닛(240)은 감광매체(112)의 화상을 용지로 전사한다. 이때, 감광매체(112)의 표면에는 용지로 전사되지 않은 일부의 토너가 잔류하여 폐토너를 형성하게 된다. 이 폐토너는 클리닝부재(117)에 의해 감광매체(112)의 표면에서 제거되어 현상장치(100)의 폐토너 공간(122)에 수거된다.
화상이 전사된 용지가 정착유닛(250)을 통과하는 동안 화상은 용지에 정착된다. 그 후, 정착이 완료된 용지는 배지유닛(260)을 통해 화상형성장치(200)의 외부 로 배출되어 인쇄가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현상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메인 프레임에 폐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부재와 제거된 폐토너를 수거할 수 있는 폐토너 공간과 화상을 형성하는 토너가 저장되는 토너 공간이 함께 마련되므로, 감광매체로부터 폐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클리닝 조립체를 만들 필요가 없다. 따라서, 현상장치의 부품 수 및 조립 시간이 줄어들게 되고, 현상장치의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현상장치의 제조원가가 절감되므로, 화상형성장치의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행할 수 있는 단순한 구성요소의 치환, 부가, 삭제,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
Claims (19)
- 감광매체를 수용하고, 개방된 상면과, 상기 감광매체의 일부가 노출되는 감광매체구멍이 형성된 하면을 포함하며, 상기 감광매체의 양측으로 각각 토너와 폐토너를 수용할 수 있는 2개의 공간이 형성된 메인 프레임; 및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며,상기 메인 프레임은 한 개의 몸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감광매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감광매체로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부재; 및상기 현상부재와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토너규제부재;를 포함하며,상기 현상부재, 토너규제부재,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토너 공간에는 토너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현상부재와 반대쪽에 상기 감광매체로부터 폐토너를 제거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클리닝부재;를 포함하며,상기 클리닝부재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폐토너 공간에는 상기 감광매체에서 제거된 폐토너가 수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클리닝부재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의해 지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커버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 감광매체;개방된 상면과, 상기 감광매체의 일부가 노출되는 감광매체구멍이 형성된 하면과, 상기 감광매체의 양단에 대응되는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개방부와, 상기 감광매체의 좌우에 형성된 2개의 공간을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상기 개방부를 각각 밀폐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감광매체의 축을 회전 지지하는 좌/우측판;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을 덮는 커버; 및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감광매체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하도록 설치되는 클리닝부재;를 포함하며,상기 메인 프레임은 한 개의 몸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감광매체의 일측에 상기 좌/우측판에 의해 회전 지지 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감광매체로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부재; 및상기 현상부재와 접촉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는 토너규제부재;를 포함하며,상기 현상부재, 토너규제부재,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토너 공간에는 토너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현상부재와 반대 쪽에 상기 클리닝부재가 설치되며,상기 클리닝부재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폐토너 공간에는 상기 감광매체에서 제거된 폐토너가 수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클리닝부재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의해 지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개방부는 상기 감광매체와 토너 공간이 노출되는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감광매체를 대전시키는 대전부재; 및상기 현상부재로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공급부재;를 더 포함하며,상기 좌/우측판은 상기 대전부재의 축 및 토너공급부재의 축을 회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커버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 용지를 공급하는 급지장치;인쇄데이터에 따른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 5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상장치; 및상기 현상장치에 형성된 화상을 용지로 전사하는 전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새로운 토너를 수용하는 제1부분, 폐토너를 수용하는 제2부분, 상기 제1부분에서 상기 제2부분으로 새로운 토너를 이송하며 새로운 토너가 폐토너가 되는 제3부분, 및 상기 제3부분에 설치되며 새로운 토너를 사용하여 정전잠상을 인쇄매체로 전사하는 감광매체를 포함하는 한 개의 몸체로 형성된 메인 프레임; 및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제2 및 제3부분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며,상기 메인 프레임은 한 개의 몸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상기 제3부분은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상기 제2부분과 제3부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폐토너를 상기 감광매체로부터 상기 제2부분으로 이동시키는 클리닝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감광매체의 양단 쪽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개방부; 및상기 제1 및 제2개방부를 각각 분리 가능하게 덮는 제1 및 제2측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 용지를 공급하는 급지장치;인쇄데이터에 따른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새로운 토너를 수용하는 제1부분; 폐토너를 수용하는 제2부분; 상기 제1부분에서 상기 제2부분으로 새로운 토너를 이송하며, 상기 새로운 토너가 폐토너로 되는 제3부분; 및 상기 제3부분에 설치되며 새로운 토너를 사용하여 상기 인쇄데이터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용지로 전사하는 감광매체;를 포함하는 한 개의 몸체로 형성된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제2 및 제3부분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현상장치; 및상기 화상을 상기 용지에 정착하는 정착유닛;을 포함하며,상기 메인 프레임은 한 개의 몸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8 항에 있어서,상기 제2부분과 제3부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폐토너를 상기 감광매체로부터 상기 제2부분으로 이동시키는 클리닝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95103A KR101280041B1 (ko) | 2006-09-28 | 2006-09-28 | 현상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US11/684,324 US8081900B2 (en) | 2006-09-28 | 2007-03-09 | Develop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CN2007101373625A CN101154086B (zh) | 2006-09-28 | 2007-07-20 | 显影装置和具有该显影装置的成像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95103A KR101280041B1 (ko) | 2006-09-28 | 2006-09-28 | 현상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29277A KR20080029277A (ko) | 2008-04-03 |
KR101280041B1 true KR101280041B1 (ko) | 2013-07-01 |
Family
ID=39255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95103A KR101280041B1 (ko) | 2006-09-28 | 2006-09-28 | 현상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8081900B2 (ko) |
KR (1) | KR101280041B1 (ko) |
CN (1) | CN101154086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597513B2 (ja) * | 2016-08-04 | 2019-10-30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着脱式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89399A (ja) * | 2000-12-20 | 2002-07-05 | Canon Inc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
KR20060019068A (ko) * | 2004-08-26 | 2006-03-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현상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280261A (ja) | 1991-03-08 | 1992-10-06 | Inter Noba Kk | 乾式コピー用カートリッジ |
JP3270120B2 (ja) * | 1992-06-30 | 2002-04-02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JPH08160841A (ja) | 1994-12-08 | 1996-06-21 | Ricoh Co Ltd | 画像形成装置のサプライキット |
JP3471950B2 (ja) * | 1995-02-02 | 2003-12-02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JP4280261B2 (ja) | 2005-11-30 | 2009-06-17 |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 鉄道車両 |
-
2006
- 2006-09-28 KR KR1020060095103A patent/KR10128004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7
- 2007-03-09 US US11/684,324 patent/US808190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07-20 CN CN2007101373625A patent/CN101154086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89399A (ja) * | 2000-12-20 | 2002-07-05 | Canon Inc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
KR20060019068A (ko) * | 2004-08-26 | 2006-03-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현상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154086A (zh) | 2008-04-02 |
CN101154086B (zh) | 2011-08-31 |
US8081900B2 (en) | 2011-12-20 |
US20080080891A1 (en) | 2008-04-03 |
KR20080029277A (ko) | 2008-04-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722279B1 (en) | Process cartridge with attachable toner cartridge exerting a pressure to urge the developing roller towards the image carrier | |
KR100910692B1 (ko) | 전자사진 컬러 화상 형성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용 이동 부재 | |
KR100793960B1 (ko) | 프로세스 카트리지, 그것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및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방법 | |
JP5110866B2 (ja)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と画像形成装置 | |
JP4125007B2 (ja)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
US9274457B2 (en) | Developing cartridge | |
JP2008165026A (ja)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 |
JP2007199457A (ja) | 交換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08026828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10060613A (ja) | ドラム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
JP5024080B2 (ja) | 画像形成装置 | |
KR100927141B1 (ko) | 회전체 지지장치, 이를 구비한 현상카트리지와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카트리지 조립방법 및 분해방법 | |
US20110280623A1 (en) | Toner cartridge with waste toner stora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EP2012189B1 (en) | Developing Device, Waste Toner Collec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EP1731972B1 (en) | Developing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JP2007086393A (ja) | 画像形成装置 | |
KR101280041B1 (ko) | 현상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
JP6946017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11215406A (ja) | 画像形成装置 | |
JP6855020B2 (ja) | 粉体収納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08254848A (ja) | 給紙カセ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02268321A (ja) | 着脱可能な画像受容モジュール、そのモジュール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画像形成装置を用いたアップグレード、ダウングレードの方法 | |
US20160252849A1 (en) | Feeding device, clean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03173084A (ja) |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 |
JP6808807B2 (ja) | 画像形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