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9068A - 현상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9068A
KR20060019068A KR1020040067530A KR20040067530A KR20060019068A KR 20060019068 A KR20060019068 A KR 20060019068A KR 1020040067530 A KR1020040067530 A KR 1020040067530A KR 20040067530 A KR20040067530 A KR 20040067530A KR 20060019068 A KR20060019068 A KR 20060019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developing roller
sealing member
regulating blade
t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1988B1 (ko
Inventor
김영민
이수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7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1988B1/ko
Priority to US11/199,208 priority patent/US7346291B2/en
Publication of KR20060019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9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lateral sealing at both sides of the donor member with respect to the developer carrying dir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6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potential of the developing electrod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regulating means, e.g. structure of doctor blad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53Structural details of heat elements, e.g. structure of roller or belt, eddy current, induction he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현상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현상장치는 밀폐부재와의 지지면적을 크게 하며, 규제블레이드 및 현상롤러에 접촉하도록 밀폐부재를 규제블레이드 및 현상롤러 쪽으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현상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Developer device and image-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현상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현상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밀폐부재가 감광드럼과 이격되면서 공간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상장치가 적용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5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Ⅴ-Ⅴ'를 따라 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0...현상장치 131...하우징
1311...상부케이스 1312...하부케이스
1314...고정부재 1315...지지부
133...감광드럼 1331...대전롤러
1332...클리닝블레이드 134...현상롤러
1341...규제블레이드 135...공급롤러
136...교반롤러 138...적재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신호에 대응하여 정전잠상을 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프린터 및 디지털복사기 등과 같은 전자사진방식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일정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현상장치를 이용하여 정전잠상을 소정 색상의 토너(toner)로 현상한 후 이를 용지에 전사 및 정착시켜 단색화상 또는 칼라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사용되는 현상제에 따라 습식과 건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로 대별된다.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액상의 캐리어에 분말상의 토너가 분산된 현상제를 사용한다. 건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분말상의 캐리어와 토너가 혼합된 이성분 현상제 또는 캐리어가 없는 일성분 현상제를 사용한다. 이하에서는 건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하여 설명하며, 편의상 현상제는 토너로 칭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정전잠상을 토너를 이용하여 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이 현상장치는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하나의 조립체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은 종래의 현상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현상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밀폐부재가 감광드럼과 이격되면서 공간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현상장치는 하부프레임(15)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감광드럼(9)과 접촉하면서 감광드럼(9)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화상을 현상하는 현상롤러(12d)와 현상롤러(12d)의 위쪽에 설치되어 현상롤러(12d)에 부착되는 토너의 두께를 규제하는 규제블레이드(12e)와 현상롤러(12d) 및 규제블레이드(12e)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현상롤러(12d) 및 규제블레이드(12e)와 하부프레임(15)의 사이를 밀폐시킴으로써 토너가 외부로 누출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밀폐부재를 구비한다.
밀폐부재는 현상롤러(12d)의 양단에 현상롤러(12d)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주밀폐부재(S4)와 주밀폐부재(S4)의 상측에 설치되는 보조밀폐부재(S7)로 이루어져 있다.
주밀폐부재(S4)가 현상롤러(12d)의 양단을 밀폐하는 경우에 규제블레이드(12e)가 현상롤러(12d)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주밀폐부재(S4) 및 보조밀폐부재(S7)는 규제블레이드(12e)의 측면과도 접촉한다. 그러므로, 주밀폐부재(S4)는 현상롤러(12d)의 표면 및 규제블레이드(12e)의 측면과도 접촉하고 있 다. 밀폐부재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외력에 의하여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
이때, 주밀폐부재(S4)를 현상롤러(12d)의 양단 및 규제블레이드(12e)의 양측에 설치할 때, 주밀폐부재(S4)는 규제블레이드(12e)의 끝단인 절곡부(12e')와 접촉하면서 마찰이 발생되어 화살표 B방향으로 소정거리 밀린다.
또한, 현상이 이루어지는 중에는 규제블레이드(12e)는 현상롤러(12d)의 표면에 부착되는 토너를 규제하기 위하여 현상롤러(12d)의 표면에 부착되는 토너의 두께에 따라 화살표 A방향으로 소정거리 왕복한다. 이때, 주밀폐부재(S4)를 화살표 B방향으로 미는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현상롤러(12d)와 주밀폐부재(S4)사이에는 이격공간(P)이 발생된다. 또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이격공간(P)이 발생될 수 있다.
규제블레이드(12e)에 의하여 현상롤러(12d)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토너가 이격공간(P)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어 화상형성장치를 오염시키거나 더 나아가서는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현상장치의 작동 중 또는 외부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현상롤러 및 규제블레이드와 밀폐부재의 접촉부위가 이격되면서 토너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현상장치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 스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현상롤러와 규제블레이드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토너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부재와, 상기 밀폐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밀폐부재와의 지지면적을 크게 하며, 상기 규제블레이드 및 상기 현상롤러에 접촉하도록 상기 밀폐부재를 상기 규제블레이드 및 상기 현상롤러 쪽으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상부케이스에 상기 하부케이스 쪽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현상롤러 및 상기 규제블레이드쪽으로 치우치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현상롤러에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롤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공급롤러의 상측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장치와, 상기 현상장치에 의하여 형성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전사장치와, 기록매체에 토너화상을 융착시키는 정착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장치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현상롤러와 규제블레이드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토너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부재와, 상기 밀폐부재를 고정시키며, 상기 밀폐부재와의 지지면적을 크게 하며, 상기 규제블레이드 및 상기 현상롤러에 접촉하도록 상기 밀폐부재를 상기 규제블레이드 및 상기 현상롤러 쪽으로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된 고정부재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상장치가 적용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5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Ⅴ-Ⅴ'를 따라 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0)의 하부에는 기록매체(S)를 적재한 카세트(11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는 기록매체(S)를 적재한 다목적급지대(12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카세트(110) 및 다목적급지대(123)의 상측에는 적재된 기록매체(S)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121)(12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픽업롤러(121)(124)에 의하여 픽업되어 이송롤러(122)에 의하여 이송되는 이송경로 상에는 기록매체(S)에 화상을 현상하고 그리고 전사하기 위한 현상장치(130) ,전사장치(132), 정착장치(160) 및 배지장치(17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현상장치(130)는 상기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인쇄신호에 대응하여 노광유닛(150)에 의하여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제인 토너를 이용하여 토너화상으로 현상한다.
상기 전사롤러(140)는 상기 현상장치(130)에 대향되어 접촉면을 통과하는 기록매체(S)를 상기 현상장치(130)쪽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현상장치(130)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S)에 전사시킨다.
상기 정착장치(160)는 기록매체(S)에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기록매체(S)에 융착시킨다.
상기 배지장치(170)는 상기 정착장치(160)를 통과하면서 토너화상이 융착된 기록매체(S)를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시켜 배지대(180)에 적재시킨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현상장치(130)는 상부케이스(1311)와 하부케이스(1312)가 결합하여 형성하는 하우징(131)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감광드럼(133), 현상롤러(134), 공급롤러(135), 교반롤러(136), 밀폐부재(137) 및 고정부재(1312)를 구비한다.
상기 감광드럼(133)은 금속제 드럼의 외주에 광도전성 물질층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감광드럼(133)은 상기 하부케이스(1312)에 회전 가능하며, 상기 하우징(131)에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균일한 전위를 가지도록 대전되어 있으며 그 상측에 설치되는 상기 노광유닛(150)에 의하여 화상정보에 해당되는 광을 조사받아 그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케이스(1311)에는 상기 노광유닛(150)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통과하여 상기 감광드럼(133)의 표면에 닿을 수 있도록 관통홀(13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감광드럼(133)의 외주면에는 대전롤러(1331)와 클리닝블레이드(1332)가 각각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대전롤러(1331)는 상기 감광드럼(133)의 외 주면과 접촉 상태로 회전하면서 전하를 공급하여 상기 감광드럼(133)의 외주면이 균일한 전위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 클리닝블레이드(1332)는 토너화상이 전사되고 상기 감광드럼(133)의 표면에 잔류하는 잔류물을 제거한다.
상기 현상롤러(134)는 상기 하부케이스(1312)에 회전 가능하게 상기 감광드럼(133)과 길이방향으로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감광드럼(133)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한다. 상기 현상롤러(134)의 상측에는 상기 현상롤러(134)의 표면에 부착되는 토너의 두께를 소정두께가 되도록 깎는 규제블레이드(134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규제블레이드(1341)는 상기 현상롤러(134)의 표면에 토너가 일정한 두께로 부착되도록 하여 상기 감광드럼(133)에 토너가 일정량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공급롤러(135)는 상기 감광드럼(133)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3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현상롤러(134)에 토너를 공급한다. 상기 공급롤러(135)의 회전방향은 상기 현상롤러(134)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이다.
상기 교반롤러(136)는 토너가 적재되는 적재부(138)의 하측에 상기 하부케이스(13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적재부(138)에 적재된 토너가 굳어지지 않도록 교반시킨다.
상기 밀폐부재(137)는 상기 적재부(138)의 양측, 즉, 상기 현상롤러(134), 공급롤러(135) 및 교반롤러(136)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상기 하부케이스(131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현상롤러(134), 공급롤러(135), 교반롤러 (136)와 상기 적재부(138)가 상기 하부케이스(1312)와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적재부(138)에 저장되는 토너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밀폐부재(137)의 일부분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상롤러(134)와 접촉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규제블레이드(1341)의 선단부(1342)가 끼워져 있다. 따라서, 상기 현상장치(130)가 작동 중, 즉, 상기 현상롤러(134)가 회전하거나 또는 상기 규제블레이드(1341)가 상기 현상롤러(134)에 부착되는 토너의 두께를 규제할 때 상기 규제블레이드(1341)의 선단부(1342)가 움직이면서 또는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대적으로 약한 상기 밀폐부재(137)의 일부분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314)는 상기 상부케이스(1311)의 하측에 상기 하부케이스(1312)쪽으로 돌출되어 소정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상기 밀폐부재(137)를 상기 하우징(131)의 바깥쪽 즉, 외주면쪽으로 탄성적으로 밀면서 고정한다.
상기 지지부(1315)는 상기 고정부재(1314)의 하측에 돌출되어 상기 현상롤러(134) 및 상기 규제블레이드(1341)쪽으로 치우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현상롤러(134) 및 상기 규제블레이드(1341)와 접촉하고 있는 상기 밀폐부재(137)의 일부분을 지지하고 한다.
상기 지지부(1315)는 상기 현상롤러(134) 및 상기 규제블레이드(1341)와 접촉하고 있는 상기 밀폐부재(137)의 일부분이 상기 현상롤러(134)가 회전하거나 또는 상기 규제블레이드(1341)가 상기 현상롤러(134)에 부착되는 토너의 두께를 규제할 때 또는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밀폐부재(137)의 일부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현상롤러(134) 및 상기 규제블레이드(1341)와 이격되는 것 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315)의 면적만큼 상기 고정부재(1314)가 상기 밀폐부재(137)를 지지하는 면적이 많아지므로 외부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밀폐부재(137)가 움직이는 것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밀폐부재(137)가 움직이면서 발생될 수 있는 상기 현상롤러(134) 및 상기 규제블레이드(1341)와의 이격을 방지함으로써 토너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315)는 상기 현상롤러(134) 및 상기 공급롤러(136)쪽으로 이동되는 토너를 가로막아 토너가 상기 밀폐부재(137)쪽으로 더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여 토너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315)는 상기 고정부재(1314)에 일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공급롤러(135)의 상측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현상롤러(134) 및 상기 규제블레이드(1341)와의 접촉에 의하여 이격이 발생되는 부분이 상기 공급롤러(135)의 상측에 상기 현상롤러(134) 및 상기 규제블레이드(1341)와 인접한 부분이므로, 이 부분을 상기 지지부(1315)가 지지함으로써 상기 현상롤러(134) 및 상기 규제블레이드(1341)와 접촉함으로써 발생되는 이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3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현상롤러(134) 및 상기 규제블레이드(1341)와 접촉하고 있는 상기 밀폐부재(137)의 일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상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외부의 충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토너의 유출을 막을 수 있으며,
둘째, 지지부가 토너가 현상롤러 및 공급롤러의 양측으로 이송되는 것을 차단하여 토너의 유출을 막을 수 있으며,
셋째,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때 지지부는 밀폐부재가 움직이지 않도록 밀폐부재를 지지함으로써 토너의 누출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현상롤러와 규제블레이드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토너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부재와, 상기 밀폐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밀폐부재와의 지지면적을 크게 하며, 상기 규제블레이드 및 상기 현상롤러에 접촉하도록 상기 밀폐부재를 상기 규제블레이드 및 상기 현상롤러 쪽으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상부케이스에 상기 하부케이스 쪽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현상롤러 및 상기 규제블레이드쪽으로 치우치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롤러에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롤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공급롤러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일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5.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장치와, 상기 현상장치에 의하여 형성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전사장치와, 기록매체에 토너화상을 융착시키는 정착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장치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현상롤러와 규제블레이드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토너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부재와, 상기 밀폐부재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밀폐부재와의 지지면적을 크게 하며, 상기 규제블레이드 및 상기 현상롤러에 접촉하도록 상기 밀폐부재를 상기 규제블레이드 및 상기 현상롤러 쪽으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상부케이스에 상기 하부케이스 쪽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현상롤러 및 상기 규제블레이드쪽으로 치우치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장치는 상기 현상롤러에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롤러를 더 구비하여,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공급롤러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일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40067530A 2004-08-26 2004-08-26 현상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KR100611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530A KR100611988B1 (ko) 2004-08-26 2004-08-26 현상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US11/199,208 US7346291B2 (en) 2004-08-26 2005-08-09 Toner sealing elements for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530A KR100611988B1 (ko) 2004-08-26 2004-08-26 현상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068A true KR20060019068A (ko) 2006-03-03
KR100611988B1 KR100611988B1 (ko) 2006-08-11

Family

ID=35943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530A KR100611988B1 (ko) 2004-08-26 2004-08-26 현상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346291B2 (ko)
KR (1) KR1006119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041B1 (ko) * 2006-09-28 2013-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668289S1 (en) * 2011-05-12 2012-10-02 Panasonic Corporation Process cartridge
USD666665S1 (en) * 2011-06-30 2012-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ing device for a laser printer
JP6465673B2 (ja) * 2015-01-29 2019-02-0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3996A (ja) 1993-04-28 1994-11-0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み立て方法及び現像装置
JPH0792887A (ja) * 1993-07-20 1995-04-07 Canon Inc シール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
JP3513488B2 (ja) 2000-12-20 2004-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KR100449723B1 (ko) 2002-05-29 2004-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실링수단을 갖는 현상장치
JP2005084533A (ja) * 2003-09-10 2005-03-31 Seiko Epson Corp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シール補助部材
JP4454402B2 (ja) * 2004-06-14 2010-04-21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041B1 (ko) * 2006-09-28 2013-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46291B2 (en) 2008-03-18
US20060045563A1 (en) 2006-03-02
KR100611988B1 (ko) 200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585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041250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eal members
EP2680086B1 (en) Developer storage body,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11988B1 (ko) 현상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EP2942671B1 (en) Developing unit,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60120769A1 (en) Developing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5128525A (ja) 電子写真方式の画像形成装置の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4844876B2 (ja) 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433274B2 (ja) ローラ支持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4560354B2 (ja) 画像形成装置
US2006012075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475682B2 (ja) 画像形成機
JP4467049B2 (ja) 現像装置と該現像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5332385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677556B1 (ko)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US20180231917A1 (en) Developing unit,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process cartridge
JP3914561B2 (ja) 画像形成機
JP3839466B2 (ja) 画像形成機
JP5150478B2 (ja) 現像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4151413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H07219342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現像装置
JP2006184523A (ja) 現像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6251824A (ja) 画像形成機
KR20060131530A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JP2006213524A (ja) 画像形成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