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5905B1 - 토너 공급 용기를 위한 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토너 공급 용기를 위한 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5905B1
KR100585905B1 KR1020030076556A KR20030076556A KR100585905B1 KR 100585905 B1 KR100585905 B1 KR 100585905B1 KR 1020030076556 A KR1020030076556 A KR 1020030076556A KR 20030076556 A KR20030076556 A KR 20030076556A KR 100585905 B1 KR100585905 B1 KR 100585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toner
supply container
covering member
ton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6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8862A (ko
Inventor
후지따아끼요시
누마가미아쯔시
우에노다까히또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8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4Reconditioning of the developer unit,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unit, e.g. resealing of the unit before refilling with ton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고, 프레임,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 장치에 의해 사용될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 현상제 수용부 내로 현상제를 충전하는 현상제 충전 개구, 현상제 충전 개구를 폐쇄하는 캡핑 부재 그리고 캡핑 부재를 덮으며 프레임에 용접함으로써 고정되는 캡 덮음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를 위한 재생 방법은 용접부에서 프레임으로부터 캡 덮음 부재를 분리함으로써 프레임으로부터 캡 덮음 부재를 해제하는 캡 덮음 부재 해제 단계와, 현상제 충전 개구를 개방하도록 캡핑 부재를 해제하는 캡핑 부재 해제 단계와, 현상제 충전 개구로써 현상제를 충전하는 현상제 충전 단계와, 캡핑 부재에 의해 현상제 충전 개구를 폐쇄하는 캡핑 부재 장착 단계와, 프레임에 캡 덮음 부재를 장착하는 캡 덮음 부재 장착 단계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 프레임, 현상제, 현상제 수용부, 캡 덮음 부재

Description

토너 공급 용기를 위한 재생 방법{REMANUFACTURING METHOD FOR TONER SUPPLY CONTAINER}
도1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일반적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적절하게 연결된 조합의 개략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외부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수평 길이 방향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수직 길이 방향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의 사시도.
도7은 토너 공급 용기 및 토너 공급 용기를 지지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측면 상의 레일의 사시도.
도8은 토너 출구 커버의 이동을 도시하도록 토너 공급 용기의 길이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부터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의 측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의 토너 출구 셔터 및 그 인접부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10은 그 구조를 도시하도록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의 토너 출구 커버(폐쇄) 및 출구 밀봉 테이프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11은 그 구조를 도시하도록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의 토너 출구 커버(개방) 및 출구 밀봉 테이프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13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14는 토너 공급 용기의 캡핑 부재 덮음 부재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크림핑에 의해 토너 공급 용기의 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중간 전사 유닛
7: 광전도성 드럼
8: 대전 수단
10: 프로세스 카트리지
12: 토너 공급 용기
20, 21: 안내 레일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현 상제 공급 용기를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세 입자 형태의 토너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위한 현상제로서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여기에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방법들 중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예로서, 전자 사진 복사기, 전자 사진 프린터(레이저 비임 프린터, LED 프린터 등), 팩시밀리기, 워드 프로세서 등이 있다.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의 토너의 양이 소비로 인해 임계 수준까지 감소된 때, 주 조립체에는 토너 공급 용기의 사용에 의해 토너가 제공된다.
토너는 극히 작은 입자의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비산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다음의 방법은 토너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화상 형성 장치에 토너를 공급하는 방법들 중 하나로서 알려져 있다. 즉, 토너 공급 용기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위치되고, 토너는 토너 목적지의 토너 입구로 분배되도록 토너 출구, 즉 토너 공급 용기에 제공된 작은 구멍으로부터 약간씩 배출된다.
전술된 형태의 토너 공급 방법의 경우에, 토너가 단지 중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배출되는 것은 어렵다. 그러므로, 어떤 종류의 토너 운반 수반이 필요하다.
토너 공급 용기 내의 토너를 효율적으로 운반하기 위해, 토너 공급 용기에는 토너 운반 수단 외에 토너 교반 수단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것과 같은 토너 공급 용기로서, 예컨대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11-073000호에 개시된 토너 공급 용기가 있다.
이러한 형태의 토너 공급 방법은 적절하게 토너를 공급하는 데뿐만 아니라 현상 장치 내의 토너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 효과적이다. 2 성분 현상제가 채용될 때 소정 수준으로 토너와 캐리어 사이의 비율을 유지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7-261524호는 토너 공급 용기를 위한 또 다른 구조의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장치에 따르면, 토너 공급 용기에는 현상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용기를 장착하거나 그로부터 해제할 때 사용되는 핸들이 제공된다. 핸들은 용기의 토너 입구를 밀봉 상태로 유지하는 캡핑 부재를 덮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이에는 토너 공급 용기의 포획부와 결합되는 클로 등이 제공된다. 전술된 것과 같은 이러한 토너 공급 용기를 재생하는 방법들 중 하나에 따르면, 캡핑 부재를 덮고 있는 핸들은 캡핑 부재에 접근하기 위해 제거된다.
전술된 토너 공급 용기의 경우에, 그 내의 토너는 화상 형성 작업 중 연속적으로 소비되고, 토너 공급 용기 내의 토너의 양이 임계 수준 즉 토너 공급 용기를 구매한 사용자에게 품질이 만족스러운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한 수준 이하까지 소비에 의해 감소됨에 따라, 토너 공급 용기는 상업적 가치를 잃게 된다.
프레임 그리고 토너 공급 용기의 교반 부재 등의 다양한 내부 구성 요소의 사용을 더욱 양호하게 하기 위해 재생함으로써 그 내의 토너가 소모된 토너 공급 용기 즉 그 상업적 가치를 잃은 토너 공급 용기를 상업적으로 경쟁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여기에서, 현상제는 토너 및 캐리어의 혼합물뿐만 아니라 토너도 의미한다.
일반적인 현상제 공급 용기 재생 방법들 중 하나에 따르면, 만료된 서비스 수명을 갖는 현상제 공급 용기는 현상제의 신규 공급으로써 재충전되고, 현상제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캡핑 부재 및 캡핑 부재 커버의 조합으로써 재밀봉된다. 이러한 방법으로써, 현상제 공급 용기가 사용으로 인해 그 상업적 가치를 잃더라도, 재사용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경쟁 가능한 토너 공급 용기로서 재생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이미 사용된 토너 공급 용기의 구조 구성 요소 특히 현상제 공급 용기의 프레임, 내부 교반 부재, 현상제 운반 수단,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대응 부품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수단을 갖는 메모리 요소, 구동력을 전달하는 결합 부재 등은 더욱 효율적으로 재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현상제 용기를 재생하는 다음의 모든 방법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1) 재생될 현상제 공급 용기로부터의 구성 요소만 사용하여, 이미 사용된 현상제 공급 용기를 재생하는 현상제 용기 재생 방법.
(2) 예컨대 서비스 수명이 만료된 구성 요소, 손상된 구성 요소 등과 같이 재사용될 수 없어 신규 구성 요소 또는 다른 이미 사용된 현상제 용기로부터의 구성 요소로 교체될 구성 요소를 제외한, 재생될 현상제 공급 용기로부터의 구성 요소만 사용하여, 이미 사용된 현상제 공급 용기를 재생하는 현상제 용기 재생 방법.
(3) 다수회 사용된 현상제 공급 용기로부터 제거된 다양한 구성 요소가 분류되고, 다수개의 상업적으로 경쟁 가능한 현상제 공급 용기가 분류된 구성 요소 중으로부터 선택된 재사용 가능한 구성 요소의 혼합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현상제 용기 재생 방법.
(4) 예컨대 서비스 수명이 만료된 구성 요소, 손상된 구성 요소 등과 같이 재사용될 수 없어 신규 구성 요소 또는 다른 그룹의 이미 사용된 현상제 용기로부터의 구성 요소로 교체될 구성 요소를 제외한, 다수회 사용된 현상제 공급 용기로부터 제거된 다양한 구성 요소가 분류되고, 다수개의 상업적으로 경쟁 가능한 현상제 공급 용기가 분류된 구성 요소 중으로부터 선택된 재사용 가능한 구성 요소의 혼합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현상제 용기 재생 방법.
부수적으로, 전술된 구성 요소는 현상제 공급 용기의 각각의 구조 구성 요소 즉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현상제 공급 용기의 부품을 의미한다. 이는 현상제 공급 용기가 분해될 수 있는 최소 섹션 또는 최소 작동 유닛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토너 공급 용기를 재생하는 간단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생된 토너 공급 용기가 운반되면서 또는 이와 유사한 상황에서 토너가 재생된 토너 공급 용기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토너 공급 용기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 내의 토너의 양이 임계 수준 즉 사용자에게 품질이 만족스러운 화상이 형성될 수 없는 수준 이하까지 감소된 후 바꿔 말하면 토너 공급 용기가 그 상업적 가치를 잃은 후 이미 사용된 토너 공급 용기를 상업적으로 경쟁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토너 공급 용기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미 사용된 토너 공급 용기의 열적으로 크림핑된 부분을 제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토너 공급 용기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레임, 현상 장치에 의해 사용될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저장부, 현상제가 현상제 저장부 내로 충전되는 현상제 입구, 현상제 입구를 밀봉하는 캡핑 부재 그리고 캡핑 부재를 덮는 캡핑 부재 덮음 부재를 포함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토너 공급 용기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프레임으로의 캡핑 부재 덮음 부재의 용접이 원상태로 복귀되는 캡핑 부재 덮음 부재 제거 단계와, 캡핑 부재가 현상제 입구를 개방하도록 제거되는 캡핑 부재 제거 단계와, 현상제가 현상제 입구를 통해 현상제 공급 용기 내로 충전되는 현상제 충전 단계와, 현상제 공급 용기의 현상제 입구가 캡핑 부재로 밀봉되는 캡 부착 단계와, 캡핑 부재 덮음 부재가 프레임에 부착되는 캡핑 부재 덮음 부재 부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연계하여 취해진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다음의 설명을 고려하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의 설명에서, 실시예에서의 구조 구성 요소의 치수, 재료 및 형상 그리고 그 위치 관계 등은 특히 지적되지 않으면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말아야 한다.
실시예의 다음의 설명에서, 길이 방향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내로 장착되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이는 기록 매체(2)가 운반되는 방향에 교차(대략 수직)하고, 전자 사진 광전도성 드럼[이하, 광전도성 드럼(7)]의 축선에 평행하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좌측 및 우측은 기록 매체(2)가 운반되는 방향의 관점에서 상류측으로부터의 좌측 및 우측을 의미한다. 나아가, 카트리지의 상부 및 저부측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적절하게 위치된 카트리지의 상부 및 저부측을 의미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의 설명]
우선, 도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전자 사진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특히, 이는 컬러 레이저 비임 프린터 즉 전자 사진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일 형태의 일반적인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컬러 레이저 비임 프린터)의 화상 형성부는 4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0Y, 10M, 10C 및 10K)(각각 황색, 마젠타색, 시안색 및 흑색 성분에 대응)를 채용하고, 이들의 각각은 드럼(이하, 광전도성 드럼)의 형태로 전자 사진 광전도성 부재를 갖는다. 화상 형성부는 평행하게 배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정렬된 4개의 노광 수단(레이저 비임 광학 주사 시스템)(1Y, 1M, 1C, 1K)을 갖는다. 4개의 노광 수단(1Y, 1M, 1C, 1K)은 각각 4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0Y, 10M, 10C 및 10K)와 대략 수직으로 정렬된 프로세스 카트리지(10Y, 10M, 10C, 10K)의 위에 위치된다.
전술된 화상 형성부의 아래에는 주 조립체 내로 기록 매체(2)를 이송하는 이송 수단과, 광전도성 드럼(7)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전사되는 중간 전사 벨트(4a) 그리고 중간 전사 벨트(4a) 상의 기록 매체(2) 상으로 전사 벨트(4a) 상에 토너 화상을 전사하는 제2 전사 롤러(4d)가 배치된다.
화상 형성 장치에는 기록 매체(2) 상으로 전사된 토너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5)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외부로 기록 매체(2)를 배출하여 축적시키는 배출 롤러(3h, 3j)도 제공된다.
기록 매체(2)는 예컨대 1매의 기록지, OHP 시트, 직물 등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는 무세척기 장치이다. 이와 같이, 전사 잔여 토너 즉 전사 후 광전도성 드럼(7) 상에 남아 있는 토너는 현상 수단에 의해 안내된다. 그러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10Y, 10M, 10C, 10K)에는 전사 잔여 토너의 회수 및 저장을 위한 전용 세척기가 제공되지 않는다.
다음에, 화상 형성 장치의 다양한 부분의 구조를 논리적인 순서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송부]
이송부(용지 이송 수단)는 화상 형성부로 기록 매체(2)를 운반하는 부분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복수개의 기록 매체(2)를 보유하는 이송 카세트(3a)와, 이송 롤러(3b)와, 2매 이상한 기록 매체(2)가 동시에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지연 롤러(3c)와, 안내부(3d)와, 한 쌍의 정렬 롤러(3g)를 포함한다.
이송 롤러(3b)는 화상 형성 작업과 동기로 회전 구동되어, 이송 카세트(3a) 의 외부로 실질적으로 1매씩 기록 매체(2)를 취하여 이러한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이송한다. 기록 매체(2)는 안내부(3d)에 의해 안내되면서 운반 롤러(3e, 3f)에 의해 정렬 롤러(3g)로 운반된다.
기록 매체(2)의 해제 직후에, 정렬 롤러(3g)의 회전은 중지되고, 정렬 롤러(3g)는 재차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기록 매체(2)가 한 쌍의 정렬 롤러(3g)들 사이의 닙부와 충돌됨에 따라, 이러한 지점에서 경사지더라도, 경사지지 않는다.
화상 형성 작업 중, 정렬 롤러(3g)는 후속 전사 공정 중 기록 매체(2)와 토너 화상을 정렬시키기 위해 대기 상태로 기록 매체(2)를 유지시키도록 정지 상태로 유지되고 중간 전사 벨트(4a)를 향해 기록 매체(2)를 운반하도록 회전되는 순서를 반복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도2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적절하게 연결된 조합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각각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0Y, 10M, 10C, 10K)에서, 대전 수단(8) 및 현상 수단은 광전도성 드럼(7)의 주연면 주위에 일체로 배치된다. 이들 프로세스 카트리지(10Y, 10M, 10C, 10K)는 사용자에 의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00)(이하,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고, 광전도성 드럼(7)의 서비스 수명이 종료될 때 교체되어야 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0)의 수명이 그 종료에 도달되었는 지를 결정하는 방법 에 대해, 광전도성 드럼(7)의 회전은 계산되고, 회전의 누적수가 소정치를 초과할 때, 사용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의 서비스 수명이 그 종료에 도달되었다고 경고를 받는다.
본 실시예의 광전도성 드럼(7)은 그 고유 극성이 음인 유기 광전도성 부재이다. 이는 대략 30 ㎜의 직경을 갖는 기부재로서의 중공 알루미늄 실린더, 기부재의 주연면 상에 코팅된 일반 광전도성 물질의 층 그리고 광전도층 상에 코팅된 최외곽층으로서의 전하 주입층을 포함한다. 이는 본 실시예에서 대략 117 ㎜/초인 소정 공정 속도로 회전 구동된다.
전하 주입층은 결합제로서의 절연 수지 그리고 결합제 내에 분산된 전기 전도성 물질 예컨대 SnO2의 미세 입자의 혼합물의 코팅층이다.
광전도성 드럼(7)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가 주 조립체(100) 내로 삽입되는 방향의 관점에서 광전도성 드럼(7)의 후방 단부(도4 참조) 즉 광전도성 드럼(7)의 전단부에 견고하게 부착된 드럼 플랜지(7b) 그리고 광전도성 드럼(7)이 구동되지 않는 전방 단부에 견고하게 부착된 드럼 플랜지(7d)가 제공된다. 광전도성 드럼(7)에는 드럼 플랜지(7b, 7d)의 중심을 관통하는 드럼 샤프트(7a)도 제공된다. 드럼 샤프트(7a)는 드럼 플랜지(7d)와 함께 회전되도록 플랜지(7d)에 연결된다. 바꿔 말하면, 광전도성 드럼(7)은 드럼 샤프트(7a)의 축에 대해 회전된다.
드럼 샤프트(7a)의 전방 단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의 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된 케이스(7c)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베어링(7e)에 의해 회전 지지된다.
[대전 수단]
본 실시예의 대전 수단은 접촉 형태의 대전 방법 중 하나를 채용한다. 이는 대전 부재로서 대전 롤러(8a)를 채용한다.
도2를 참조하면, 대전 롤러(8a)는 그 금속 코어(8b)의 길이 방향 단부에서 한 쌍의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는 한 쌍의 압축 스프링(8d)에 의해 광전도성 드럼(7)을 향해 가압되도록 유지되고, 이는 소정 크기의 접촉 압력이 광전도성 드럼(7)과 대전 롤러(8a) 사이에서 유지되도록 광전도성 드럼(7)의 주연면과 접촉되도록 유지된다. 이는 광전도성 드럼(7)의 회전에 의해 회전된다.
대전 롤러(8a)를 세척하는 세척 유닛(8c)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대전 롤러 세척 유닛(8c)은 대전 롤러(8a)에 평행하게 대전 롤러(8a)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세척 필름(8e)을 갖는다. 세척 필름(8e)은 대전 롤러(8a)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로 왕복으로 이동 가능한 지지 부재(8f)에 그 긴 모서리 중 하나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세척 필름(8e)은 그 긴 자유 모서리부가 대전 롤러(8a)의 주연면에 대해 접촉 닙부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지지 부재(8f)가 외부 구동 수단에 의해 세척 필름(8e)의 길이 방향으로 5 ㎜ 만큼 왕복 이동됨에 따라, 대전 롤러(8a)의 주연면은 필름(8e)에 의해 마찰된다. 결과적으로, 대전 롤러(8a)의 주연면에 부착된 오염물(토너의 미세한 입자, 외부 첨가물 등)은 제거된다.
부수적으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는 무세척기 형태이다. 다음에, 무 세척기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무세척기 시스템]
도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무세척기 시스템의 개요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무세척기 시스템의 경우에, 전사 잔여 토너 즉 전술된 토너 화상 전사 후 광전도성 드럼(7) 상에 남아 있는 토너는 대전부(a) 및 노광부(b)를 통해 광전도성 드럼(7) 상의 잠상이 현상 수단에 의해 현상되는 것과 동시에 전사 잔여 토너가 현상 수단에 의해 회수되는(광전도성 드럼이 세척되는) 현상부(c) 내로의 광전도성 드럼(7)의 후속 회전에 의해 추가로 운반된다.
광전도성 드럼(7)의 주연면 상의 전사 잔여 토너는 노광부(b)를 지나 이동되므로, 광전도성 드럼(7)의 주연면은 그 상의 전사 잔여 토너의 존재로써 노광된다. 그러나, 전사 잔여 토너는 양이 매우 작아, 노광 공정에 상당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
부수적으로, 극성의 관점에서, 전사 잔여 토너는 정상적으로 대전된 토너 입자와 반대로 대전된 토너 입자(반대 토너 입자)의 혼합물이고, 대전량의 관점에서, 이는 완전히 대전된 토너 입자와 불충분하게 대전된 토너 입자의 혼합물이다. 이들 반대로 대전된 토너 입자 및 불충분하게 대전된 토너 입자는 종종 대전 롤러(8a)에 부착되어, 대전 롤러(8a)를 오염시킨다. 오염이 허용 가능한 수준을 초과하면, 광전도성 드럼(7)이 부적절하게 대전되는 것이 가능하다.
광전도성 드럼(7)의 주연면 상의 잠상이 현상 장치에 의해 현상되는 것과 동시에 광전도성 드럼(7)의 주연면 상의 전사 잔여 토너가 현상 장치에 의해 만족스 럽게 제거되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 현상부(c)로 운반될 광전도성 드럼(7)의 주연면 상의 전사 잔여 토너의 극성이 양이고, 전사 잔여 토너의 전기 대전의 양이 현상 장치에 의해 광전도성 드럼(7) 상의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수치에 동일할 것이 필요하다. 반대로 대전된 토너 입자 그리고 불충분하게 대전된 토너 입자는 현상 수단에 의해 광전도성 드럼(7)의 주연면으로부터 제거될 수 없으므로, 회수될 수 없어, 불량 품질의 화상의 형성을 유발시킨다.
근년에 들어, 사용자 요구는 다양화되었다. 다양화된 사용자 요구 중 하나는 높은 인쇄비를 갖는 화상 예컨대 연속의 긴 인쇄 작업을 필요로 하여 상당량의 전사 잔여 토너를 한번에 발생시켜 전술된 문제점을 악화시키는 사진 화상을 인쇄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 광전도성 드럼(7)의 길이 방향의 관점에서 광전도성 드럼(7) 상의 전사 잔여 토너 입자를 균등하게 재분배하는 전사 잔여 토너(잔여 토너 화상) 재분배 수단(8g)은 광전도성 드럼(7)의 회전 방향의 관점에서 전사부(d)의 하류측 상에 배치된다. 나아가, 모든 전사 잔여 토너 입자가 정상적으로 대전되게 즉 음으로 대전되게 하기 위해, 음 극성으로 반대로 대전된 토너 입자를 대전시키는 토너 대전 제어 수단(8h)은 광전도성 드럼(7)의 회전 방향의 관점에서 토너 재분배 수단(8g)의 하류측과 대전부(a)의 상류측 사이에 배치된다.
토너 재분배 수단(8g)의 구비로써, 광전도성 드럼(7) 상에 어떤 패턴으로 남아 있는 전사 잔여 토너 입자는 전사부(d)로부터 토너 대전 제어 수단(8h)으로 운반되고, 광전도성 드럼(7)의 주연면을 가로질러 균등하게 재분배되므로, 그 양이 상당하다고 하더라도 광전도성 드럼(7)의 주연면에 부착된 패턴을 잃는다. 그러므로, 토너 입자가 토너 대전 제어 수단(8h)의 어떤 부분 상에 집중되는 문제점은 제거되어, 그에 의해 모든 전사 잔여 토너 입자의 극성이 정상화되도록 반대로 대전된 잔여 토너 입자가 토너 대전 제어 수단(8h)에 의해 정상적으로 대전되는 것을 보장한다. 그러므로, 대전 롤러(8a)로의 전사 잔여 토너의 부착은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전사 잔여 토너 입자가 광전도성 드럼(7) 상에 남아 있는 패턴을 반영한 고스트 화상의 형성도 방지된다.
본 실시예의 토너 재분배 수단(8g) 및 토너 대전 제어 수단(8h)은 적절한 정도의 전기 전도성을 갖는 브러시의 형태이고, 광전도성 드럼(7)과 접촉되도록 위치되며, 그 브러시부는 광전도성 드럼(7)의 주연면과 접촉된다.
이들 수단(8g, 8h)은 도시되지 않은 구동력원에 의해 광전도성 드럼(7)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 배열의 구비로써, 토너 재분배 수단(8g) 및 토너 대전 제어 수단(8h)은 광전도성 드럼(7)의 축 방향의 관점에서 동일한 범위의 광전도성 드럼(7)의 주연면과 접촉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광전도성 드럼(7)의 주연면의 소정 부분이 토너 대전 제어 수단(8h)의 동일한 부분에 의해 항상 접촉되는 것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토너 대전 제어 수단(8h)을 가로지른 전기 저항의 불규칙성이 토너 대전 제어 수단(8h)의 일부분을 대전 성능이 초과되게 하고, 다른 부분이 대전 성능이 불충분하게 하더라도, 광전도성 드럼(7)의 주연면의 어떤 영역 상의 전사 잔여 토너 입자가 과도하게 대전되어 그에 의해 그 영역에 밀착되는 문제점 및/또는 불충분하게 대전된 전사 잔여 토너 입자 가 대전 롤러(8a)의 주연면 상의 어떤 영역에 부착되는 문제점은 방지되거나 완화된다.
[노광 수단]
본 실시예에서, 전술된 광전도성 드럼(7)은 레이저 노광 수단(1Y, 1M, 1C, 1K)에 의해 노광된다. 구체적으로, 화상 형성 신호가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노광 수단으로 보내짐에 따라, 레이저광의 비임(L)은 광전도성 드럼(7)의 주연면의 균일하게 대전된 부분을 주사하는 방식으로 광전도성 드럼(7) 상으로 화상 형성 신호가 조절되면서 노광 수단으로부터 투사되어, 광전도성 드럼(7)의 주연면의 균일하게 대전된 부분 상의 다수의 지점을 선택적으로 노광시킨다(도2 참조). 결과적으로, 화상 형성 정보에 따른 정전 잠상이 광전도성 드럼(7)의 주연면 상에 형성된다.
레이저 노광 수단(1Y, 1M, 1C, 1K)은 솔리드 레이저 요소(도시되지 않음), 다각형 미러(1a), 집속 렌즈(1b), 반사 미러(1c) 등을 포함한다. 작동에서, 솔리드 레이저 요소는 입력된 화상 형성 신호에 응답하여 광학 신호 발생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온 및 오프된다. 솔리드 레이저 요소로부터 조사된 레이저광의 비임(L)은 광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비임으로 콜리메이터 렌즈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변환되고, 높은 주연 속도로 회전되는 다각형 미러(1a) 상으로 투사된다. 결과적으로, 광의 평행한 비임은 주사 방식으로 진동된다. 다음에, 이는 집속 렌즈(1b) 및 반사 미러(1c)에 의해 추가로 투사되어, 광전도성 드럼(7)의 주연면 상에 광의 진동 스팟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광의 스팟이 진동됨에 따라, 광전도성 드럼(7)의 주연면은 제1 주사 방향으로 노광되고, 광전도성 드럼(7)이 회전됨에 따라, 이는 제2 주사 방향으로 노광된다. 결과적으로, 광전도성 드럼(7)의 주연면 상의 다수의 지점은 노광된 지점 및 노광되지 않은 지점의 분포가 화상 형성 신호 순서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노광되거나 노광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바꿔 말하면, 감소된 전위 수준을 갖는 지점(노광된 지점) 그리고 정상 전위 수준을 갖는 지점(노광되지 않은 지점)이 형성되어, 이들 사이의 명암 대비는 화상 형성 정보에 따라 정전 잠상을 발생시킨다.
[현상 장치]
현상 수단으로서 현상 장치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는 2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접촉 형태의 현상 장치(2성분 자성 브러시 형태의 현상 장치)이다. 도2를 참조하면, 카트리지(10)는 현상제 담지 부재로서의 현상 슬리브(10a) 그리고 현상 슬리브(10a)의 중공부 내에 배치된 자성 롤러(10b)를 포함한다. 현상 슬리브(10a)는 그 주연면 상에 캐리어 및 토너의 혼합물인 현상제의 층을 보유한다. 카트리지(10)는 현상 슬리브(10a)로부터 소정 거리로 현상 슬리브(10a)의 주연면의 인접부 내에 배치된 조절 블레이드(10c)도 포함한다. 현상 슬리브(10a)가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얇은 층의 현상제가 현상 슬리브(10a)의 주연면 상에 형성된다.
도4를 참조하면, 현상 슬리브(10a)에는 저널부(10a1) 즉 현상 슬리브(10a)의 길이 방향 단부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끼워진 한 쌍의 링 형상의 스페이서(10k)가 제공된다. 스페이서(10k)의 구비로써, 현상 작업 중, 단지 현상 슬리브(10a)의 주연면 상에 형성된 현상제층이 광전도성 드럼(7)에 접촉되도록 소정 간극이 현상 슬리브(10a)와 광전도성 드럼(7) 사이에서 유지된다. 현상 슬리브(10a)는 소정 주연 속도로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방향 즉 광전도성 드럼(7)의 회전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본 실시예의 토너는 고유 극성이 음이고 평균 입자 직경이 6 ㎛인 토너이다. 본 실시예의 자성 캐리어는 포화 자화도가 205 emu/㎤이고, 평균 입자 직경이 35 ㎛이다. 현상제 내의 토너와 캐리어의 중량비는 6:94이다.
현상제가 순환되는 현상제 저장부(10h)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구획벽(10d)에 의해 분할된 2개의 챔버를 갖는다. 현상제 저장부(10h)는 각각 구획벽(10d)의 양측 상에 배치된 교반 나사(10eA, 10eB)를 갖는다.
도4를 참조하면, 토너가 현상제 공급 용기로부터 현상제 공급부(10h)로 공급됨에 따라, 토너는 교반 나사(10eB)의 후방 단부(우측 단부) 상으로 낙하되고, 교반되면서 길이 방향의 관점에서 이러한 장치의 전방(좌측 단부)으로 운반된다. 다음에, 이는 현상제 저장부(10h)의 전방벽과 구획벽(10d) 사이의 간극을 통해 이동되고, 교반 나사(10eA)에 의해 길이 방향의 관점에서 현상제 저장부(10h)의 후방으로 운반된다. 다음에, 이는 현상제 저장부(10h)의 후방벽과 구획벽(10d) 사이의 간극을 통해 이동된다. 바꿔 말하면, 현상제는 현상제 저장부(10h) 내의 교반 나사(10eB, 10eA)에 의해 반복적으로 순환된다. 전방측은 현상 슬리브 구획판(25)이 존재하는 측면을 의미하고, 후방측은 후방벽(23)이 존재하는 측면을 의미한다.
이 때, 2성분 자성 브러시 현상 방법 및 현상제 순환 시스템을 채용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0Y, 10M, 10C 또는 10K)의 사용으로써 가시 화상으로 광전도성 드럼(7)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공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현상 슬리브(10a)가 회전됨에 따라, 현상제 저장부(10h) 내의 현상제는 자성 롤러(10b)의 픽업 폴에 의해 현상 슬리브(10a)의 주연면에 픽업되어 보유되고, 추가로 운반된다.
현상 슬리브(10a)의 주연면에 보유된 후 운반되면서, 현상제의 본체는 현상 슬리브(10a)의 주연면에 직각으로 배치된 현상 블레이드(10c)에 의해 두께가 조절된다. 결과적으로, 얇은 층의 현상제가 현상 슬리브(10a)의 주연면 상에 형성된다. 얇은 층의 현상제가 자성 롤러(10b)의 현상 폴에 위치가 대응하는 현상부에 도달됨에 따라, 현상제층은 자력에 의해 상부까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광전도성 드럼(7)의 주연면 상의 정전 잠상은 현상제층의 상부에서 토너에 의해 가시 화상으로 현상된다. 부수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정전 잠상은 역으로 현상된다.
현상부에서 운반되어 통과된 후, 현상 슬리브(10a)의 주연면 상의 얇은 층의 현상제는 현상 슬리브(10a)의 후속 연속 회전에 의해 현상제 저장부 내로 진입되도록 형성된다. 현상제 저장부에서, 현상제층은 운반 폴의 척력 자기장에 의해 현상 슬리브(10a)의 주연면으로부터 분리되어 현상제 저장부 내로 낙하되도록 형성된다. 바꿔 말하면, 이는 현상 수단 하우징 내의 현상제 베드로 복귀된다.
현상 슬리브(10a)로, DC 전압 및 AC 전압의 조합이 도시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 인가된다. 본 실시예에서, -500 V의 DC 전압 그리고 주파수가 2,000 ㎐이고 최대 대 최대 전압이 1,500 V인 AC 전압의 조합이 단지 광전도성 드럼(7)의 주연면의 노광된 지점을 현상하도록 인가된다.
일반적으로, 2성분 현상 방법에서, AC 전압의 인가는 현상 효율을 증가시켜, 높은 품질의 화상을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반면에, AC 전압의 인가는 흐린 화상의 형성을 초래하기 쉽다. 그러므로, 흐린 화상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현상 슬리브(10a)로 인가되는 DC 전압의 전위 수준과 광전도성 드럼(7)의 주연면의 전위 수준 사이의 어떤 크기의 전위 수준의 차이를 형성하는 것이 통상의 관례이다. 구체적으로, 광전도성 드럼(7)의 주연면의 노광된 지점의 전위 수준과 광전도성 드럼(7)의 주연면의 노광되지 않은 지점의 전위 수준 사이에 있는 전위 수준의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토너가 정전 잠상의 현상에 의해 소비됨에 따라, 현상제의 토너 함량은 감소된다. 본 실시예에서, 토너 함량을 검출하는 센서(10g)가 현상제 교반 나사(10eB)의 주연면의 인접부 내에 배치된다. 현상제의 토너 함량이 소정 수준의 아래로 감소된 것으로 센서(10g)에 의해 검출됨에 따라, 프로세스 카트리지(10)에 토너 공급 용기(12)로부터의 토너를 공급하는 명령이 토너 공급 작업을 개시하도록 내려진다. 이러한 토너 공급 작업은 소정 수준으로 현상 장치 내의 현상제의 토너 함량을 유지시킨다.
[토너 공급 용기]
다음에, 도1 내지 도3 및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12)를 설명하기로 한다.
토너 공급 용기(12Y, 12M, 12C, 12K)는 기록 매체 운반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각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Y, 10M, 10C, 10K)의 위에 위치된 기록 매체 운반 방향으로 정렬된다. 이들은 그 전방측으로부터 이러한 장치의 주 조립체(100) 내로 장착된다(도3 참조).
도2 및 도5를 참조하면, 토너 공급 용기(12Y, 12M, 12C, 12K)는 각각 프레임(12r) 그리고 토너를 저장하는 토너 공급부(12x)를 갖는다. 토너 저장부(12x)는 프레임(12r) 내에 있다. 토너 저장부(12x) 내에, 교반 샤프트(12c)에 견고하게 고정된 교반판(12b) 그리고 운반 부재로서의 나사(12a)가 배치된다. 토너 공급 용기(12)의 저부벽에는 토너가 배출되는 현상제 해제 구멍을 갖는 토너 출구(12f)가 제공된다.
나사(12a) 및 교반 샤프트(12c)는 그 길이 방향 단부에 의해 토너 공급 용기(1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나사(12a)에는 나사(12a)의 일 단부에 부착된 구동 결합부(암형 결합부)(12e1)가 제공되고, 교반 샤프트(12c)에는 교반 샤프트(12c)의 일 단부에 부착된 구동 결합부(암형 결합부)(12e2)가 제공된다. 구동 결합부(암형 결합부)(12e1, 12e2)는 각각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동 결합부(수형 결합부)(24a, 24b)를 통해 전달된 구동력을 수용하여, 그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나사(12a)는 나사(12a)의 길이 방향의 관점에서 토너 출구(12f)의 일측 그리고 타측 상에 위치되고 반대 방향으로 꼬인 2편의 나선형 리브를 포함한다(도5 참조). 나사(12a)는 구동 결합부(수형 결합부)(24b)의 회전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회전된다. 결과적으로, 토너는 토너 출구(12f)를 향해 운반되고, 대응 프로세스 카트리지(10Y, 10M, 10C 또는 10K) 내로 토너 출구(12f)의 토너 해제 구멍(12f3b)을 통해 자유롭게 낙하된다. 바꿔 말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10Y, 10M, 10C 또는 10K)에는 토너가 공급된다.
현상제 전달 부재(12b)의 회전 반경의 관점에서 교반판(12b)의 각각의 부분의 주연 모서리 즉 최외곽 모서리는 교반 샤프트(12c)에 대해 소정 각도로 형성된다(도5 참조). 이와 같이, 교반판(12b)의 각각의 부분이 토너 공급 용기(12)(12Y, 12M, 12C 또는 12K)의 내부면 구체적으로 토너 공급부(12x)의 내부면에 대해 마찰됨에 따라, 그 주연 모서리부는 그 기부에 대해 활형으로 굽혀진다. 구체적으로, 교반판(12b)의 각각의 부분의 주연 모서리부는 나선형으로 꼬인다. 이와 같이, 교반 샤프트(12c)가 회전됨에 따라, 토너 공급 용기(12)(12Y, 12M, 12C 또는 12K) 내의 토너는 교반판(12b)의 나선형으로 꼬인 모서리부와 접촉되어, 교반 샤프트(12c)의 길이 방향으로 운반된다.
토너 공급 용기(12)(12Y, 12M, 12C 또는 12K) 내의 토너의 양이 감소되는 방식을 이론화하기 위해, 토너는 전술된 현상제 출구(12f)의 인접부로부터 우선 배출되어, 토너 공급 용기(12) 내의 토너의 본체 내에 역 원추형 구멍을 형성하고, 토너는 토너 공급 용기(12)의 전체 범위로부터 균일하게 공급되지 않는다. 전술된 바와 같은 불균일한 토너 감소는 일정한 속도로 토너 공급 용기(12)로부터 토너를 배출하는 데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토너는 전술된 바와 같이 토너 출구(12f)로 교반판에 의해 운반된다. 그러므로, 토너는 일정한 속도로 배출된다.
각각의 현상 공급 용기(12)(12Y, 12M, 12C 또는 12K)에는 토너 공급 용기 및 현상 장치의 주 조립체를 지연시키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IC 메모리 유닛(12t)이 제공되어, 주 조립체측 상의 통신 제어 기판(31)과 토너 공급 용기(12)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12)는 2성분 현상 방법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 또는 현상 카트리지뿐만 아니라 단성분 현상 방법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 또는 현상 카트리지에도 토너를 공급할 수 있다. 나아가, 토너 공급 용기(12) 내에 저장될 분말은 토너에 제한될 필요가 없다. 예컨대, 이는 물론 소위 현상제 즉 토너 및 자성 캐리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도6 내지 도9는 그 후방 단부의 아래로부터의 토너 공급 용기(12)의 사시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토너 공급 용기(12)의 프레임(12g)에는 토너 공급 용기(12)가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삽입될 때 안내부로서 기능을 하는 한 쌍의 안내부(12g1)가 제공된다. 토너 공급 용기(12)에는 토너 공급 용기(12)의 저부에 위치된 토너 출구(12f)의 개구를 덮는 토너 출구 커버(12f1)도 제공된다. 출구 커버(12f1)의 래칭부(12f1a)는 토너 공급 용기(12)의 레일(12h)과 결합된다(도8 참조).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의 토너 공급 용기(12)의 장착 전, 토너 출구 커버(12f1)는 토너 공급 용기(12)의 토너 출구(12f)의 개구를 덮는 제1 위치에 있다.
토너 공급 용기(12)가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삽입됨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0)의 안내 레일(20) 그리고 토너 공급 용기(12)의 안내부(12g1)는 서로에 대해 활주된다. 토너 공급 용기(12)의 이러한 삽입 중, 토너 공급 용기의 삽입 방향의 관점에서 토너 출구 커버(12f1)의 전단부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안내 레일(20)의 돌출부(20a)와 접촉된다. 토너 공급 용기(12)가 토너 출구 커버(12f1)와 돌출부(20a) 사이의 접촉 지점으로부터 추가로 삽입됨에 따라, 토너 출구 커버(12f1)는 토너 공급 용기(12)의 주 조립체가 추가로 삽입된다고 하더라도 돌출부(20a)에 의해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바꿔 말하면, 토너 출구 커버(12f1)는 토너 공급 용기(12)의 레일(12h)을 따라 토너 공급 용기(12)의 주 조립체에 대해 토너 공급 용기의 삽입 방향의 관점에서 후방으로 이동된다. 결국, 출구 커버(12f1)는 토너 공급 용기(12)가 카트리지(10)와 연결되게 하는 카트리지(10)와 접촉되도록 위치된 출구 커버 보유 부재(12f2)를 노광시키는 제2 위치에 도달된다.
다음에, 도8을 참조하여, 토너 공급 용기의 삽입의 전술된 태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8은 토너 공급 용기(12)의 주 조립체에 대해 토너 출구 커버(12f1)의 위치의 변화를 도시하도록 토너 공급 용기(12)의 길이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부터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12)의 측면도이다. 토너 공급 용기(12)의 삽입의 진행으로써, 출구 커버(12f1)는 도8의 상부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8의 중앙에 도시된 위치로 그리고 도8의 저부에 도시된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된다.
돌출부(20a)와 접촉된 후, 토너 출구 커버(12f1)는 각각의 레일(12h)의 제1 섹션(12h)을 따라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활주된다. 다음에, 이는 각각의 레일(12h) 의 제2 섹션(12h2)을 따라 활주되어, 그에 의해 보유 부재(12f2)를 완전히 노출시킬 때까지 상향 방향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10)로부터 떨어져 이동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실제로,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의 토너 공급 용기(12)의 삽입 중, 토너 출구 커버(12f1)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사실상, 이는 레일(12h)의 제2 섹션(12h2)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간단하게 상향으로 후퇴된다.
도10 등을 참조하면, 토너 공급 용기(10)의 저부벽에, 토너 공급 용기(12) 내의 토너를 배출하는 토너 출구(12f)가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출구(12f)는 용기의 후방측 즉 구동력이 나사(12a)로 전달되는 측면 상에 있다.
토너 공급 용기(12)의 저부벽에는 토너 출구(12f)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출구 셔터(12f3) 그리고 토너 출구 셔터(12f)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그리고 카트리지(10)의 토너 입구와 토너 공급 용기(12)의 토너 출구(12f)를 연결하는 기능을 갖는 셔터 보유 부재(12f2)가 제공된다. 이러한 보유 부재(12f2)는 토너 배출 구멍(12f5)이 제공된다.
전술된 구조 배열의 구비로써, 토너는 토너 출구(12f)를 통해 배출되고, 셔터(12f3)의 구멍 그리고 보유 부재(12f2)의 토너 배출 구멍(12f5)을 통과한 후 카트리지(10)로 공급된다.
도9는 토너 공급 용기(12)의 후방 단부 아래로부터의 셔터(12f3)가 개방 위치에 있는 토너 공급 용기(12)의 출구 커버(12f1) 및 셔터(12f3)의 확대 사시도이다. 시각적 이해의 용이를 위해, 토너 공급 용기의 삽입 방향의 관점에서 토너 공 급 용기(12)의 후단측으로부터의 토너 출구 커버(12f1)의 우측 절반부 그리고 보유 부재(12f2)의 우측 절반부는 제거되어 있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12f3)에는 중심 구멍(12f3a)이 제공되고, 그 축선에 대해 셔터(12f3)가 회전된다. 셔터(12f3)에는 중심 구멍(12f3a)의 축선에 대해 대칭으로 위치된 2개의 구멍(12f3b) 그리고 셔터(12f3)의 회전 위상의 관점에서 인접한 구멍(12f3b)으로부터 45˚ 떨어지고 카트리지(10)의 돌출부가 셔터(12f3)를 회전시키도록 끼워지는 4개의 슬롯(12f3c)도 제공된다.
보유 부재(12f2)에는 셔터(12f3)가 핀(12f2a)에 대해 회전되도록 보유 부재(12f2)가 셔터(12f3)를 회전 지지하는 핀(12f2a), 토너가 공급되는 관통 구멍(12f2b) 그리고 보유 부재(12f2)의 길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된 긴 구멍(12f2c)이 제공된다. 보유 부재(12f2)는 수직 방향으로 토너 공급 용기(12)에 대해 약간 이동하게 되도록 토너 공급 용기(12)에 부착된다.
셔터(12f3)와 토너 출구(12f) 사이에 밀봉 부재(12f6)가 배치된다(도10 및 도11). 밀봉 부재(12f6)는 출구(12f)의 인접부와 셔터(12f3) 사이에서 밀봉하여, 셔터(12f3)가 회전될 때 토너가 외향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토너 공급 용기(12)에는 전술된 셔터 보유 부재(12f2)를 덮거나 노출시키도록 용기(12)에 부착되는 출구 커버(12f1)도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커버(12f1)는 용기의 주 조립체에 대해 토너 공급 용기의 삽입 방향의 관점에서 후향으로 후퇴될 수 있는 토너 공급 용기(12)의 레일(12h)에 래칭된 다음에 상향으로 후퇴된다.
화상 형성 장치 내로의 토너 공급 용기(12)의 장착 전, 셔터(12f3)의 구멍(12f3b)은 출구(12f)로부터 회전 위상이 90˚ 벗어난 제1 위치에 있다. 그러므로, 구멍(12f5)은 차단 상태로 유지된다. 커버(12f1)는 커버(12f1)가 보유 부재(12f2)를 덮는 위치에서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 등에 의해 유지된다.
토너 공급 용기(12)가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삽입됨에 따라, 카트리지(10)가 제공된 도시되지 않은 판은 셔터(12f3)의 전술된 슬롯(12f3c) 내로 끼워져, 토너가 배출되게 하도록 셔터(12f3)를 90˚ 회전시킨다.
도10 및 도11은 각각 그 폐쇄 및 개방 상태를 도시하도록 토너 공급 용기의 후방 단부 아래로부터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12)의 셔터(12f3), 커버(12f1) 및 그 인접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용이한 시각적 이해를 위해, 토너 공급 용기 삽입 방향의 관점에서, 커버(12f1), 보유 부재(12f2) 및 셔터(12f3)의 우측 반부가 생략되었다.
커버(12f1) 및 셔터(12f3)가 폐쇄된 도10을 참조하면, 출구(12f)의 인접부에 부착된 밀봉 부재(12f6)가 도시되어 있다. 출구(12f)의 개구는 프레임(12g)의 저부면에 부착된 일편의 박리 가능한 테이프(12f4)로 밀봉된다. 출구(12f)를 밀봉한 후, 테이프(12f4)는 출구(12f)의 인접부 내의 소정 지점에서 절첩되고, 보유 부재(12f2)의 구멍(12f2d)을 통해 연장되며, 커버(12f1)에 고정된다.
토너 공급 용기(12)가 전술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삽입됨에 따라, 커버(12f1)는 출구(12f)를 노출시키는 방향으로 레일(12h)을 따라 토너 공급 용기(12)에 대해 이동된다. 이와 같이, 테이프(12f4)는 절첩선으로부터 시작하여 저부벽으로부터 박리되어, 출구(12f)를 노출시킨다.
[전사 수단]
전사 수단으로서의 중간 전사 유닛(4)은 광전도성 드럼(7)으로부터 중간 전사 유닛(4) 상으로 층으로 순차적으로 전사된 복수개의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2) 상으로 한번에 전사(2차 전사)하는 유닛이다.
도1을 참조하면, 중간 전사 유닛(4)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주연 속도로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시계 방향으로 이동되는 중간 전사 벨트(4a)가 제공된다. 중간 전사 벨트(4a)는 대략 940 ㎜의 원주 길이를 갖는 순환 벨트이고, 3개의 롤러 즉 구동기 롤러(4b), 벨트 지지 전사 롤러(4g) 및 종동기 롤러(4c)의 주위에 현수된다.
중간 전사 벨트(4a)의 루프 내에서, 전사 대전 롤러(4fY, 4fM, 4fC, 4fK)는 전사 대전 롤러(4fY, 4fM, 4fC, 4fK)와 대응하는 광전도성 드럼(7) 사이의 중간 전사 벨트(4a)의 존재로써 대응하는 광전도성 드럼(7)에 대향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각각의 전사 대전 롤러는 대응하는 광전도성 드럼(7)의 중심을 향해 가압되도록 유지된다.
전사 대전 롤러(4fY, 4fM, 4fC, 4fK)에는 도시되지 않은 고전압원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고, 중간 전사 벨트(4a)의 외향면 상으로 대응하는 광전도성 드럼(7) 상에 토너 화상을 순차적으로 전사(1차 전사)하기 위해 중간 전사 벨트(4a)의 루프의 내향측으로부터 토너와 반대인 극성으로 중간 전사 벨트(4a)를 대전시킨다.
2차 전사부에서, 전사 부재로서의 제2 전사 롤러(4d)는 제2 전사 롤러(4d)와 벨트 지지 전사 롤러(4g) 사이의 중간 전사 벨트(4a)의 존재로써 벨트 지지 전사 롤러(4g)에 대향하여 중간 전사 벨트(4a) 상에 가압되도록 유지된다. 제2 전사 롤러(4d)는 도1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다. 전사 중, 바이어스는 제2 전사 롤러(4d)로 연속적으로 인가되므로, 중간 전사 벨트(4a) 상의 토너 화상은 기록 매체(2) 상으로 전사된다.
중간 전사 벨트(4a) 및 제2 전사 롤러(4d)는 개별적으로 구동된다. 기록 매체(2)가 제2 전사부 내로 진입됨에 따라, 소정 바이어스가 제2 전사 롤러(4d)에 인가된다. 결과적으로, 중간 전사 벨트(4a) 상의 토너 화상은 기록 매체(2) 상으로 전사(2차 전사)된다.
전사 공정 중, 기록 매체(2)는 다음의 공정을 수행하는 정착 장치(5)로 제2 전사 롤러(4d)와 중간 전사 벨트(4a)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소정 속도로 도1의 좌측 방향으로 운반된다.
화상 형성 장치(100)에는 중간 전사 벨트(4a)의 표면과 접촉되어 위치되거나 그로부터 떨어져 이동될 수 있고 기록 매체가 전사 공정 중 운반되는 방향의 관점에서 중간 전사 벨트(4a)의 하류 단부의 인접부 내의 소정 위치에 있는 세척 유닛(11)이 제공된다. 세척 유닛(11)은 2차 전사 잔여 토너 즉 2차 전사 후 중간 전사 벨트(4a) 상에 남아 있는 토너를 제거한다.
세척 유닛(11) 내에서, 2차 전사 잔여 토너를 제거하는 세척 블레이드(11a)가 배치된다. 세척 유닛(11)은 도시되지 않은 피벗축에 대해 피벗될 수 있도록 화상 형성 장치(100)의 주 조립체에 부착된다. 세척 블레이드(11a)는 세척 블레이드(11a)의 세척날이 중간 전사 벨트(4a)의 이동 방향의 관점에서 세척 블레 이드(11a)의 기부에 대해 상류측 상에 있도록 경사진 중간 전사 벨트(4a) 상에 가압되도록 유지된다. 세척 유닛(11) 내로 유입된 후, 2차 전사 잔여 토너는 제거된 토너 빈(도시되지 않음)으로 나사(11b)에 의해 운반되어 그 내에 저장된다.
[정착부]
프로세스 카트리지(10) 내의 현상 수단에 의해 광전도성 드럼(7)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중간 전사 벨트(4a)에 의해 기록 매체(2) 상으로 전사된다. 정착 장치(5)는 정착되지 않은 토너 화상 즉 기록 매체(2) 상으로 방금 전사된 화상을 열적으로 정착시킨다.
또한, 도1을 참조하면, 정착 장치(5)에는 기록 매체(2)에 열을 인가하는 정착 롤러(5a) 그리고 정착 롤러(5a)에 대해 기록 매체(2)를 가압하는 가압 롤러(5b)가 제공된다. 이들 롤러(5a, 5b)는 모두 중공이다. 각각의 롤러는 그 중공부 내에 히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이들은 회전 구동됨에 따라 기록 매체(2)를 함께 운반한다.
바꿔 말하면, 토너 화상을 담지하고 있는 기록 매체(2)는 정착 롤러(5a) 및 가압 롤러(5b)에 의해 운반되는 중에, 열 및 압력이 롤러에 의해 기록 매체(2) 및 토너 화상에 인가된다. 결과적으로, 토너 화상은 기록 매체(2)에 정착된다. 정착 후, 기록 매체(2)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상부 상의 분배 트레이(6) 내로 2쌍의 배출 롤러(3h, 3j)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0)의 주 조립체의 외부로 배출되어, 그 내에 축적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토너 공급 용기의 장착]
다음에, 도2, 도3 및 도5를 참조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프로세스 카트리지(10) 및 토너 공급 용기(12)를 장착하는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에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방 패널 내에 위치되어 자유롭게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는 도어(27)가 제공된다. 작업자가 전방으로 도어(27)를 개방함에 따라, 프로세스 카트리지(10Y, 10M, 10C, 10K)가 삽입되는 개구(100a) 그리고 토너 공급 용기(12Y, 12M, 12C, 12K)가 삽입되는 개구(100b)는 노출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0Y, 10M, 10C, 10K)가 삽입되는 개구(100b)에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드럼 샤프트 위치 설정판(25)이 제공된다. 이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10Y, 10M, 10C, 10K)를 삽입하거나 제거할 때, 이러한 드럼 샤프트 위치 설정판(25)은 개방되고 폐쇄되어야 한다.
도2를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10Y, 10M, 10C, 10K)를 안내하는 4쌍의 안내 레일(21) 그리고 토너 공급 용기(12Y, 12M, 12C, 12K)를 장착할 때 토너 공급 용기를 안내하는 4쌍의 안내 레일(20)이 제공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0Y, 10M, 10C, 10K) 및 토너 공급 용기(12Y, 12M, 12C, 12K)가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장착되는 방향은 각각 광전도성 드럼(7)의 축선 그리고 나사(12a)의 축 방향에 평행하고, 안내 레일(21, 20)이 연장되는 방향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0Y, 10M, 10C, 10K) 및 토너 공급 용기(12Y, 12M, 12C, 12K)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방측으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삽입되 고, 안내 레일(21, 20)을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깊게 활주된다.
도4를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10Y, 10M, 10C, 10K)가 화상 형성 장치(100)의 가장 깊은 단부에 도달됨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0)의 드럼 위치 설정 샤프트(26)는 드럼 플랜지(7b)의 중심 구멍 내로 진입된다. 결과적으로, 광전도성 드럼(7)의 후방 단부의 회전축은 화상 형성 장치(100)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된다. 동시에, 드럼 플랜지(7b)는 구동 결합부(10m)와 결합되어, 광전도성 드럼(7)이 회전 구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의 후방벽(23)에는 각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Y, 10M, 10C, 10K)를 정확하게 위치 설정하는 4개의 카트리지 지지 핀(22)이 제공된다. 각각의 카트리지 지지부(22)는 삽입된 프로세스 카트리지(10)의 프레임(10f)의 리세스(9d1) 내로 진입되어, 그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10)의 프레임(10f)은 화상 형성 장치(100)에 대해 그 위치가 정확하게 고정된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방측 상에, 회전 개방되거나 폐쇄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10Y, 10M, 10C, 10K)의 지지 케이스(7c)가 견고하게 결합되는 드럼 샤프트 위치 설정판(59)이 배치된다. 전술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삽입 순서를 통해, 광전도성 드럼(7)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10Y, 10M, 10C, 10K)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된다.
바꿔 말하면, 드럼 샤프트(7a), 드럼 플랜지(7b) 및 지지 케이스(7c)는 주 조립체(100)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10Y, 10M, 10C, 10K)를 위치시키는 위치 설정부를 구성한다.
비교로서, 도5를 참조하면, 토너 공급 용기(12)(12Y, 12M, 12C, 12K)가 가장 깊은 단부로 삽입됨에 따라, 이러한 장치의 주 조립체(100)의 후방벽(23)으로부터 돌출된 지지 핀(22a)은 토너 공급 용기(12)의 프레임(12g)의 후방벽(12r)으로부터 돌출된 중공 원통부(12r1) 내로 진입된다. 프레임(12g)의 후방벽(12r)에 평행한 단면도의 관점에서, 중공 원통부(12r1)는 수직 방향으로 길다. 그러므로, 지지 핀(22a)이 원통부(12r1) 내로 진입됨에 따라, 토너 공급 용기(12Y, 12M, 12C 또는 12K)의 위치는 수평 방향의 관점에서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후방벽(23)으로부터 돌출된 지지 핀(22b)은 토너 공급 용기(12)의 프레임(12g)의 후방벽(12r)으로부터 돌출된 중공 원통부(12r2) 내로 진입되어, 토너 공급 용기(12)(12Y, 12M, 12C 또는 12K)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된 과정을 통해, 토너 공급 용기(12)(12Y, 12M, 12C 또는 12K)의 프레임(12r)은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동시에, 핀(22a, 22b)이 대응하는 구멍 내로 진입되는 것과 동시에, 구동 결합부(암형)(12e1, 12e2)는 각각 구동 결합부(수형)(24a, 24b)와 결합되어, 나사(12a) 및 교반 샤프트(12c)가 회전 구동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토너 공급 용기의 삽입 방향의 관점에서 이러한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대해 토너 공급 용기의 위치 설정에 대해, 이러한 장치의 주 조립체(100) 내의 토너 공급 용기 슬롯의 상부벽(23b)에는 판 스프링(29)이 제공되고, 토너 공급 용기(12)의 상부벽에는 용기 위치 설정부(30)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12)가 토너 공급 용기 슬롯 내로 삽입됨에 따라, 판 스프링(29)은 용기 위치 설정부(30) 내로 스냅 결합되어, 용기 삽입 방향의 관점에서 토너 공급 용기(12)를 정확하게 위치 설정할 뿐만 아니라 카트리지(10)의 토너 입구(10i)에 대한 토너 공급 용기(12)의 토너 출구(12f)를 그 탄성에 의해 가압한다.
요약하면, 토너 공급 용기(12)(12Y, 12M, 12C 또는 12K)는 지지 핀(22a, 22b) 및 구멍(12r1, 12r2)의 조합에 의해 이러한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되고, 토너 공급 용기(12)를 구동시키는 힘은 각각 구동 결합부(암형)(12e1, 12e2) 및 구동 결합부(수형)(24a, 24b)의 조합에 의해 전달된다.
[토너 공급 용기를 위한 재생 방법]
다음에,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12)를 위한 토너 공급 용기(12)의 분해를 포함하는 재생 방법을 첨부 도면 특히 도9 내지 도1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에는 용기의 길이 방향 단부들 중 하나 내에 위치된 토너 입구(12j)가 제공된다. 이러한 토너 입구(12j)는 캡핑 부재(12i)로써 폐쇄된다. 본 실시예에서, 토너 공급 용기(12)에는 캡핑 부재(12i)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캡핑 부재 덮음 부재(12q)도 제공되어, 캡핑 부재(12i)가 사용자에 의해 실수로 제거되는 문제점 또는 이와 유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캡핑 부재를 해제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본 실시예의 캡핑 부재 덮음 부재(12q)는 용접(열 크림핑)에 의해 토너 공급 용기(12)의 주 조립체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 수단을 사용하는 이유들 중 하나는 토너 공급 용기(12)를 조립하는 공정을 단순화하고 연결 부재를 제거함으로써 즉 구성 요소 개수를 감소시킴으로써 토너 공급 용기 가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 다. 토너 공급 용기(12)에 연결 클로 등을 제공하는 대신에 용접을 사용하는 또 다른 이유는 우연히 낙하되거나 이와 유사한 상황에서 토너 공급 용기(1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토너 공급 용기(12)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캡핑 부재 덮음 부재를 제거하는 단계)
도12 및 도13을 참조하면, 토너 공급 용기(12)에는 각각의 돌출부(12k)의 팁부가 열적으로 크링핑된 상태[돌출부(12k)의 팁부가 열적으로 변형됨)로 각각 캡핑 부재 덮음 부재의 구멍(12q1) 내에 끼워진 한 쌍의 돌출부(12k)가 제공된다. 바꿔 말하면, 캡핑 부재 덮음 부재(12q)는 각각의 돌출부(12k)의 팁부를 열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토너 공급 용기(12)의 길이 방향 단부들 중 하나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캡핑 부재 덮음 부재(12q)가 토너 공급 용기 유닛(12z)에 견고하게 부착되게 유지하는 돌출부(12k)가 크림핑되는 형상은 도14에 도시되어 있다. 캡핑 부재 덮음 부재(12q)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크링핑부(12k1)[용융 후의 응고된 돌출부(12k)의 팁부] 즉 캡핑 부재 덮음 부재(12q)의 구멍(12q1)의 상부 모서리와 접촉되는 돌출부(12k)의 변형된 팁부(12k1)가 엔드 밀 커터, 커터, 니퍼 등의 사용으로써 제거되거나 파괴되는 방법 또는 크림핑부(12k1)를 가열함으로써 크림핑부(12k1)를 변형시키면서 캡핑 부재 덮음 부재(12q)와 토너 공급 용기(12)의 단부벽(12r3) 사이에 협소한 팁을 구비한 공구 예컨대 평탄 헤드 스크류 드라이버를 위치시킴으로써 구멍(12q1)의 외부로 돌출부(12k)가 상승되는 방법이 있다. 전술된 방법들 중 하나의 사용으로써, 크림핑부(12k1)만을 제거하거나 파괴하는 것이 가능하여, 캡핑 부재 덮음 부재(12q)가 토너 공급 용기 유닛(12z)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는 상태로 캡핑 부재 덮음 부재(12q) 그리고 돌출부(12k)의 잔여부(12k2)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는 돌출부(12k)의 최종 상단부가 캡핑 부재 덮음 부재(12q)의 외향면과 높이가 동일해지도록 크림핑부(12k1)가 절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캡핑 부재 덮음 부재(12q)와 토너 공급 용기(12)의 단부벽(12r3) 사이에 협소한 팁을 구비한 공구 예컨대 평탄 헤드 스크류 드라이버를 강제로 위치시킴으로써 크림핑부(12k1)를 파괴하면서 토너 공급 용기 유닛(12z)으로부터 떨어져 상승되게 하는 방법이 있다.
부수적으로, 크림핑부(12k1)가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크림핑부(12k1)가 보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부착된 라벨링 부재(12u)로 덮일 때, 전술된 캡핑 부재 덮음 부재 제거 공정은 이러한 라벨링 부재(12u)의 제거 후 수행되어야 한다.
(캡핑 부재를 제거하는 단계)
도13을 참조하면, 캡핑 부재(12i)는 토너 공급 용기(12)의 토너 입구(12j) 내에 폐쇄됨으로써 토너 공급 용기(12)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캡핑 부재 제거 공정에서, 캡핑 부재(12i)는 단순히 인출된다.
(토너 공급 용기를 세척하는 단계)
캡핑 부재(12i)의 제거 후, 토너 공급 용기(12)는 세척되고, 토너 공급 용기(12)의 토너 저장부(12x) 내에 남아 있는 소량의 토너는 제거되어야 한다. 비교적 큰 토너 입구(12j)의 개구 내의 캡핑 부재(12i)가 없으면, 토너 저장부(12x) 내에 남아 있는 토너를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다.
토너 공급 용기를 세척하는 공정에서, 토너는 토너 저장부(12x)의 외부로 진공되거나, 압축 공기로써 취입된다. 압축 공기는 그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면서 토너 공급 용기(12) 내로 보내질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토너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더욱 신속하게 토너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토너 공급 용기의 토너 출구를 밀봉하는 단계)
토너 공급 용기(12)의 토너 출구(12f)를 밀봉하는 공정에서, 우선, 출구(12f)의 인접부 내의 구성 요소는 분해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우선, 도9 내지 도11에 도시된 출구 커버(12f1)가 토너 공급 용기 유닛(12z)으로부터 제거되고, 보유 부재(12f2)가 제거된다. 다음에, 출구(12f)의 인접부는 진공, 압축 공기로의 취입 또는 알코올 등으로의 와이핑 등의 세척 방법의 사용으로써 세척된다.
세척 후, 테이프(12f4)는 토너 출구(12f)를 밀봉하는 방식으로 토너 공급 용기(12)에 부착된다. 테이프(12f4)를 부착하는 방법으로서, 일반적인 접착제, 고온 용융 접착제, 양면 접착 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테이프(12f4)는 토너 공급 용기(12)에 열적으로 용접될 수 있다.
출구(12f)의 밀봉 후, 토너 공급 용기(12)를 분해하도록 수행된 공정들은 역순으로 수행된다. 즉, 출구 셔터(12f3)는 도10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12f4)가 절첩되고 출구 셔터(12f3)와 밀봉 부재(12f6) 사이에 개재되도록 위치되고, 보유 부재(12f2)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12f4)의 이중 절첩부가 보유 부재(12f2)의 구멍(12f2d)을 관통하는 상태로 토너 공급 용기(12)와 결합된 다. 다음에, 테이프(12f4)의 이중 절첩부의 단부는 출구 커버(12f1)에 고정된다.
(토너 공급 용기에 토너를 충전하는 단계)
토너 공급 용기(12)의 세척 후, 토너는 토너 입구(12j)를 통해 토너 공급 용기(12) 내로 충전된다.
(캡핑 부재를 재부착하는 단계)
캡핑 부재(12i)를 재부착하는 단계에서, 캡핑 부재(12i)는 입구(12j)를 밀봉하도록 토너 공급 용기(12)의 토너 입구(12j) 내로 폐쇄된다.
(캡핑 부재 덮음 부재를 재부착하는 단계)
캡핑 부재(12i)의 부착 후 수행된 캡핑 부재 덮음 부재(12q)를 재부착하는 단계에서, 캡핑 부재 덮음 부재(12q)는 안내부로서의 토너 공급 용기(12)의 각각의 돌출부(12k) 그리고 위치 설정 기준으로서의 토너 공급 용기(12)의 단부벽(12r3)을 사용하면서 접착제, 접착 테이프 그리고 한 세트의 연결 부재 중 2개 이상의 고정 수단의 사용으로써 토너 공급 용기(1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부수적으로, 돌출부(12k)의 단부(12k2)가 토너 공급 용기(12)의 분해 중 파괴되거나 손실되더라도 바꿔 말하면 돌출부(12k)가 위치 설정부로서 완전히 기능하지 않더라도, 캡핑 부재 덮음 부재(12q)는 위치 설정 수단으로 캡핑 부재 덮음 부재(12q)의 측면(12q11 내지 12q16) 그리고 위치 설정 수단으로서 토너 공급 용기 프레임(12r)의 측면(12r11 내지 12r14)을 사용하여 토너 공급 용기 프레임(12r)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고, 접착제, 접착 테이프 그리고 한 세트의 연결 부재 중 2개 이상의 고정 수단의 사용으로써 토너 공급 용기 프레임(12r)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 다.
(라벨을 부착하는 단계)
도12를 참조하면, 캡핑 부재 덮음 부재(12q)를 재부착하는 단계에서, 토너 공급 용기(12)에 토너를 재충전하는 단계 중 토너 공급 용기(12) 내로 충전된 토너와 동일한 색상을 갖는 라벨(12u)은 캡핑 부재 덮음 부재(12q) 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라벨(21u)의 위치 설정으로써, 라벨(12u)의 색상에 따라 토너 공급 용기(12) 내의 토너의 색상을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보 저장 수단 내의 정보를 재기록하거나, 신규 정보 저장 수단 및 그 내의 기록 정보로 원래의 정보 저장 수단을 교체하는 단계)
도1 및 도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IC 메모리 유닛(12t)이 비접촉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저장 수단으로서 채용된다.
토너 공급 용기(12)를 재생할 때, IC 메모리 유닛(12t)은 토너 공급 용기(12)에 부착된 IC 메모리 베드(12t1)로부터 제거되고, 필요한 정보가 IC 메모리 유닛(12t) 내로 기록되며, IC 메모리 유닛(12t) 내의 정보는 신규 정보로 교체된다. 다음에, IC 메모리 유닛(12t)은 양면 테이프, 접착제 등의 사용으로써 IC 메모리 베드(21t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부수적으로, IC 메모리 베드(12t1)로부터 IC 메모리 유닛(12t)을 제거하는 전술된 공정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꿔 말하면, IC 메모리 유닛(12t) 내의 정보는 토너 공급 용기(12)로부터 IC 메모리 유닛(12t) 또는 IC 메모리 베드(12t1)를 제거하지 않고 재기록될 수 있다. 또한, 신규 IC 메모리 유닛으로 원래의 IC 메모리 유닛을 교체하여 신규 IC 메모리 유닛 내로 필요한 정보를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IC 메모리 유닛(12t) 내로 필요한 정보를 기록하는 이러한 공정은 임의의 시간 즉 이러한 공정과 전술된 공정들 중 임의의 공정 사이에 순서 관계에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전술된 바에 의해 명확하겠지만, 본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 재생 방법은 토너 공급 용기에 토너를 재충전함으로써 수집된 이미 사용된 토너 공급 용기를 재사용하기 위한 것이고, 구조 구성 요소 예컨대 토너 공급 용기 프레임, 토너 공급 용기 프레임 내에 배치된 교반 부재 및 토너 운반 부재,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와 통신하는 통신 수단을 갖는 메모리 요소, 토너 공급 용기의 구동력 등을 수용하는 결합 부재가 더욱 효율적으로 재생될 수 있는 간단한 토너 공급 용기 재생 방법의 구현예들 중 하나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변형예이다.
(실시예 1)
토너 입구(12j)를 밀봉하는 캡핑 부재(12i) 그리고 캡핑 부재(12i)를 덮는 캡핑 부재 덮음 부재(12q)를 포함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토너 공급 용기(12)를 위한 재생 방법에 있어서, 토너 공급 용기의 주 조립체에 캡핑 부재 덮음 부재(12q)를 부착하도록 열적으로 변형(열적으로 크림핑)되는 토너 공급 용기의 부분을 파괴하거나 제거함으로써 토너 공급 용기의 주 조립체로부터 캡핑 부재 덮음 부재(12q)가 제거되는 제1 단계와, 캡핑 부재(12i)가 토너 입구(12j)를 개방하도록 제거되는 제2 단계와, 현상제(토너 또는 토너 및 캐리어의 혼합물)가 토너 입구(12j)를 통해 현상제 공급 용기 내로 충전되는 제3 단계와, 토너 입구(12j)가 캡핑 부재(12i)로 밀봉되는 제4 단계와, 캡핑 부재(12j)를 덮는 캡핑 부재 덮음 부재(12q)가 부착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실시예 2)
토너 공급 용기 프레임의 열적으로 변형된 돌출부와 접촉되는 캡핑 부재 덮음 부재(12q)의 부분을 덮는 부재[라벨(12u)]를 갖는, 토너 공급 용기를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재생 방법에 있어서, 제1 단계에서, 라벨(12u)은 열적으로 변형된 부분을 노출시키도록 박리되고, 열적으로 변형된 부분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실시예 3)
캡핑 부재 덮음 부재(12q)가 토너 공급 용기의 주 조립체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열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토너 공급 용기의 주 조립체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토너 공급 용기를 위한 본 발명이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재생 방법에 있어서, 제1 단계에서, 열적으로 변형된 부분은 토너 공급 용기의 주 조립체로부터 캡핑 부재 덮음 부재를 제거하도록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실시예 4)
토너 공급 용기를 위한 본 발명의 제1, 제2 또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재생 방법에 있어서, 제2 및 제3 단계 사이에 토너 공급 용기의 내부를 세척하는 단계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실시예 5)
주 조립체에는 주 조립체 내의 토너를 배출하는 토너 출구[토너 출구(12f)]가 제공되는, 토너 공급 용기를 위한 본 발명의 제1, 제2 또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재생 방법에 있어서, 제2 및 제3 단계 사이에 토너 출구를 밀봉하는 단계[예컨대, 토너 공급 용기의 주 조립체에 테이프(12f4)를 부착하는 단계]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실시예 6)
토너 공급 용기를 위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재생 방법에 있어서, 제5 단계에서, 캡핑 부재 덮음 부재는 결합제, 접착 부재, 한 세트의 연결 부재 중 하나 이상의 수단의 사용으로써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실시예 7)
토너 공급 용기를 위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재생 방법에 있어서, 제5 단계에서 부착된 캡핑 부재 덮음 부재(12q)에는 제3 단계에서 토너 공급 용기 내로 충전된 토너의 색상을 지시하는 마커[예컨대, 토너 공급 용기 내의 토너에 색상이 동일한 라벨(12u)]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실시예 8)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통신 수단[통신 제어 칩(31)]과 (물리적 접촉 없이)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수단(통신 안테나)을 포함하는 정보 저장 요소[IC 메모 리 유닛(12t)]를 갖는 토너 공급 용기를 위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7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재생 방법에 있어서, 원래의 저장 요소가 원래의 저장 요소로부터 그 내의 정보가 상이한 저장 요소로 교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본 발명은 여기에 개시된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기재된 세부 사항에 제한되지 말아야 하고, 본원은 개선을 위한 목적 또는 다음의 첨부된 청구의 범위의 범주 내에서 변형예 또는 변화예를 포함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전술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겠지만, 본 발명은 토너 공급 용기를 재생하는 간단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토너 공급 용기가 운반되면서 또는 이와 유사한 상황에서 토너가 토너 공급 용기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토너 공급 용기 재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미 사용된 토너 공급 용기 즉 그 내의 토너의 양이 임계 수준 즉 사용자를 만족시킬 정도로 품질이 충분한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한 수준 이하까지 소비로 인해 감소되기 때문에 그 상업적 가치를 잃은 토너 공급 용기를 상업적으로 경쟁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토너 공급 용기를 재생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기에 개시된 구조와 관련되어 설명되었지만, 언급된 상세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본 출원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또는 개선의 목적 범위내일 수 있는 변형예 또는 변화예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12)

  1.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현상제 공급 용기를 위한 재생 방법이며,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는 돌출부가 구비된 프레임과,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 장치에 의해 사용될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로 현상제를 충전하는 현상제 충전 개구와, 상기 현상제 충전 개구를 폐쇄하는 캡핑 부재와, 상기 캡핑 부재를 덮는 캡 덮음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캡 덮음 부재는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는 결합 구멍을 가지고 상기 돌출부의 자유 단부를 용융시켜 열 크림핑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재생 방법은,
    열 크림핑의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캡 덮음 부재를 해제하는 캡 덮음 부재 해제 단계와,
    상기 현상제 충전 개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캡핑 부재를 해제하는 캡핑 부재 해제 단계와,
    상기 현상제 충전 개구에 의해 현상제를 충전하는 현상제 충전 단계와,
    캡핑 부재에 의해 상기 현상제 충전 개구를 폐쇄하는 캡핑 부재 장착 단계와,
    상기 캡 덮음 부재 해제 단계에서 열 크림핑부가 제거된 돌출부에 상기 결합 구멍을 결합시켜 상기 프레임에 상기 캡 덮음 부재를 장착하는 캡 덮음 부재 장착 단계를 포함하는 재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용접부는 스티커 부재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캡 덮음 부재 해제 단계에서 열 크림핑부는 스티커 부재를 제거함으로써 열 크림핑부가 노출된 후 제거되는 재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핑 부재 해제 단계와 상기 현상제 충전 단계 사이에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세척하는 세척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재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현상제 수용부로부터 현상 장치 내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 개구가 제공되고, 상기 재생 방법은 상기 캡핑 부재 해제 단계와 상기 현상제 충전 단계 사이에 상기 현상제 공급 개구를 밀봉하는 공급 개구 밀봉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재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덮음 부재 장착 단계에서, 상기 캡 덮음 부재는 접착 재료, 접착 부재 및 체결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장착되는 재생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덮음 부재 장착 단계에서, 상기 캡 덮음 부재에는 상기 현상제 충전 단계에서 충전된 현상제의 색상의 인식을 허용하는 지시부가 제공되는 재생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에는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통신 수단과 통신 가능한 통신 수단을 갖는 저장 요소가 제공되고, 상기 재생 방법은 상기 저장 요소를 상이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요소와 교체하는 저장 요소 교체 공정을 더 포함하는 재생 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덮음 부재 해제 단계에서, 상기 열 크림핑부는 상기 캡 덮음 부재의 표면을 따라 제거되는 재생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덮음 부재 해제 단계에서 열 크림핑부는 엔드 밀 커터, 커터 또는 니퍼에 의해 제거되는 재생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덮음 부재 해제 단계에서 공구가 상기 프레임과 상기 캡 덮음 부재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열 크림핑부를 제거하도록 캡 덮음 부재 해제 방향으로 이동되는 재생 방법.
  12.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덮음 부재 해제 단계에서, 열 크림핑부는 가열되고, 상기 캡 덮음 부재는 캡 덮음 부재 해제 방향으로 이동되는 재생 방법.
KR1020030076556A 2002-10-31 2003-10-31 토너 공급 용기를 위한 재생 방법 KR1005859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18296 2002-10-31
JP2002318296A JP4047135B2 (ja) 2002-10-31 2002-10-31 トナー補給容器の再生産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862A KR20040038862A (ko) 2004-05-08
KR100585905B1 true KR100585905B1 (ko) 2006-06-07

Family

ID=32089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6556A KR100585905B1 (ko) 2002-10-31 2003-10-31 토너 공급 용기를 위한 재생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68141B2 (ko)
EP (1) EP1416333B1 (ko)
JP (1) JP4047135B2 (ko)
KR (1) KR100585905B1 (ko)
CN (1) CN10035171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5232B2 (en) * 2003-11-06 2008-03-18 Nokia Corporation Automatic personal playlist generation with implicit user feedback
JP4711221B2 (ja) * 2005-05-26 2011-06-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
JP4823836B2 (ja) * 2006-09-29 2011-11-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内蓋及びそれを用いた現像剤収容体、並びにその現像剤収容体の閉塞方法及び内蓋の取り外し方法
JP4498407B2 (ja) 2006-12-22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JP4948382B2 (ja) 2006-12-22 2012-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感光ドラム取り付け用カップリング部材
CN101236384B (zh) * 2007-02-01 2011-03-09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激光打印机用碳粉容器再生方法
JP4905689B2 (ja) * 2007-02-21 2012-03-28 村田機械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5311854B2 (ja) 2007-03-23 2013-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現像装置、及び、カップリング部材
US7853173B2 (en) 2007-10-27 2010-12-14 Wazana Brothers International Excess toner evacuation process
JP5328230B2 (ja) 2008-06-10 2013-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8061826B2 (en) * 2008-07-31 2011-11-22 Static Control Component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remanufacturing an imaging cartridge
JP5198211B2 (ja) * 2008-10-14 2013-05-1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コンテナの再生方法
JP4370540B1 (ja) * 2009-03-11 2009-11-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像形成剤収容容器、画像形成装置、像形成剤収容容器の装着方法、及び像形成剤収容容器の取り外し方法
EP2230560B1 (en) 2009-03-20 2017-07-05 Clover Technologies Group, LLC Excess toner evacuation process from a toner cartridge
CN102597887B (zh) * 2009-09-04 2014-06-18 株式会社理光 调色剂容器和成像设备
JP5483101B2 (ja) * 2009-09-04 2014-05-07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5482138B2 (ja) * 2009-11-19 2014-04-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トナー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2980656B1 (en) * 2010-06-11 2020-10-14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storage device, removable device, developer container,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1893840B (zh) * 2010-06-11 2012-09-05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激光成像处理盒之充电辊再生方法
US9207574B2 (en) * 2011-03-31 2015-12-08 Ricoh Company, Ltd. Powder material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and powder material replenishing method
JP2013174652A (ja) * 2012-02-23 2013-09-05 Canon Inc カートリッジ
JP6136650B2 (ja) * 2013-06-28 2017-05-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EP2829441B1 (en) * 2013-07-24 2016-05-11 U-Shin Deutschland Zugangssysteme GmbH Electrical steering column lock for locking a steering column of a motor vehicle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assembling the housing of an electrical steering column lock
CN104339870B (zh) * 2013-08-09 2017-11-10 珠海艾派克微电子有限公司 耗材芯片组、成像盒组及信息存储方法
CN104417071B (zh) * 2013-09-06 2017-11-07 珠海艾派克微电子有限公司 存储器组、成像盒及更换盒芯片的方法
JP2019003137A (ja) * 2017-06-19 2019-01-10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851627B2 (ja) * 2017-08-30 2021-03-31 エネックス株式会社 使用済みトナーカートリッジの再生方法
KR20200022783A (ko) * 2018-08-23 2020-03-04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현상제 유입구를 막는 마개를 갖는 현상 카트리지
CN112424699B (zh) * 2018-08-30 2023-11-10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打印颗粒供应阀
US10955794B2 (en) * 2019-03-08 2021-03-23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and remanufacturing method of cartridge
US11061363B1 (en) 2020-11-27 2021-07-13 Jiangxi Yibo E-Tech Co. Ltd. Storage component disassembly tooling and method of disassembling storage component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57839B (ko) * 1993-07-14 1995-09-21 Canon Kk
JP3320191B2 (ja) 1994-03-18 2002-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の再生方法
ES2143534T3 (es) 1993-12-28 2000-05-16 Canon Kk Cartucho revelador y metodo de rehabilitacion del mismo.
US5943528A (en) 1995-04-28 1999-08-24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accommodating container with a gripping cover feature usable with a process cartridge, a process cartridge using the same, and an apparatus using the process cartridge
JP3533269B2 (ja) * 1995-08-25 2004-05-31 光洋精工株式会社 車両の位置検知システム
US5729795A (en) * 1996-09-19 1998-03-17 Genicom Corporation Reconditioning of electrostatographic cartridges
JP3472054B2 (ja) * 1996-12-27 2003-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磁気シール取り付け方法
JP3368205B2 (ja) * 1997-06-19 2003-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542473B2 (ja) * 1997-10-30 2004-07-1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235269B2 (ja) * 1997-10-30 2009-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618984B2 (ja) * 1997-11-11 2005-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6144820A (en) * 1998-04-17 2000-11-07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with a sealing member having an insulating layer and a conductive portion
JP2000075631A (ja) * 1998-08-31 2000-03-14 Canon Inc 現像装置、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441980B2 (ja) * 1998-08-31 2003-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3347677B2 (ja) * 1998-10-29 2002-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収納容器の分解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分解方法
JP3847985B2 (ja) * 1998-11-04 2006-11-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の再生方法
JP4377995B2 (ja) * 1999-08-02 2009-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6173128B1 (en) * 1999-08-27 2001-01-09 Xerox Corporation Remanufacturing system for replaceable modules in a digital printing apparatus
JP2002062735A (ja) * 2000-06-09 2002-02-28 Canon Inc 現像装置
JP4573972B2 (ja) 2000-09-01 2010-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2296884A (ja) * 2001-03-30 2002-10-09 Canon Inc 現像剤搬送部材、現像剤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16333A1 (en) 2004-05-06
US6968141B2 (en) 2005-11-22
KR20040038862A (ko) 2004-05-08
JP2004151521A (ja) 2004-05-27
US20040131383A1 (en) 2004-07-08
EP1416333B1 (en) 2017-07-19
JP4047135B2 (ja) 2008-02-13
CN1501193A (zh) 2004-06-02
CN100351713C (zh) 200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5905B1 (ko) 토너 공급 용기를 위한 재생 방법
KR0156752B1 (ko) 토너 용기의 개구 재밀봉 방법 및 밀봉 부재와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생 방법
US7174122B2 (en)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683953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supply container removably mountable in image forming apparatus
US6564029B2 (en) Cartridge having developer supply opening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able therewith
KR0136218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생 방법과 프로세스 카트리지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Remanufacturing Method for Process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99593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6968147B2 (en) Process cartridge whose sealing tape is removed when mounted to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the cartridge is mounted
US20020085854A1 (en) Process cartridge, electric contact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P0833225A1 (en) Clean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KR100523775B1 (ko) 현상제 공급 장치용 재생 방법
US6865357B2 (en) Drive transmission mechanism for transmitting drive to processing means and cartridge provided with same
US11360427B2 (en) Cartridge and remanufacturing method of cartridge
US6763210B2 (en) Method of refilling used developing cartridge
JP3241859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3542509B2 (ja) 磁気シール部材、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0777864A (ja) 現像剤収納容器及び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7160175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4004943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