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656B1 - 폴리티올 화합물 및 그로 부터 수득한 광학재료 및 광학제품 - Google Patents

폴리티올 화합물 및 그로 부터 수득한 광학재료 및 광학제품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656B1
KR0133656B1 KR1019900022002A KR900022002A KR0133656B1 KR 0133656 B1 KR0133656 B1 KR 0133656B1 KR 1019900022002 A KR1019900022002 A KR 1019900022002A KR 900022002 A KR900022002 A KR 900022002A KR 0133656 B1 KR0133656 B1 KR 0133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thio
iso
group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2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993A (ko
Inventor
오오꾸보 쓰요시
느구엔 자우
오까다 레이스께
Original Assignee
스즈끼 데쯔오
호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즈끼 데쯔오, 호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즈끼 데쯔오
Publication of KR910011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6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52Polythio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two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39/08Six-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8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8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385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sulfur
    • C08G18/3876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sulfur containing mercapto group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lymers With Sulfur, Phosphorus Or Metals In The Main Chain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Lens Barrels (AREA)
  •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Atoms (AREA)
  •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res, And Optical Fiber Bundles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티올 화합물 및 이로부터의 광학 재료에 관한 것이다. 광학 재료의 생산에 사용되는 폴리티올 화합물은 굴절률 및 아배수를 증가시키는 견고한 1,4-디티안고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광학 재료에 고내열성 및 우수한 광학적 물성 뿐만 아니라 우수한 기계적 물성도 부여한다.

Description

폴리티올 화합물 및 그로 부터 수득한 광학재료 및 광학제품
제1도는 및 제2도는 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폴리티올 화합물의1H-NMR 스펙트럼 차트 및 IR 스펙트럼 차트.
본 발명은 폴리티올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광학재료 및 광학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티올 화합물은, 예를 들면 광학재료로 유용한 원료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폴리티올 화합물로 부터 수득한 광학 재료는 고굴절률 및 저분산을 나타내거나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가지며, 플라스틱 렌즈, 프리즘, 광섬유, 정보 기록용 기판, 착색 필터, 적외선 흡수필터 등과 같은 광학 제품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우기, 고굴절률을 나타내는 특징 때문에 상기 광학 재료는 컵, 꽃병과 같은 장식품 등에 유용하다.
플라스틱은 경량(輕量)이고, 일정 수준까지는 견고하며, 유리에 비해 염색이 용이하게 때문에, 최근까지 각종 렌즈를 생산하기 위한 광학 용도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폴리에틸렌 글리콜 비스 알릴 카르보네이트(CR-39) 및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PMMA)가 통상 플라스틱 재료의 사용된다. 그러나, 이들 플라스틱 재료들은 굴절률이 겨우 1.50 정도이기 때문에, 도수가 높아짐에 따라 플라스틱 재료로 만든 렌즈는 두께가 두꺼워진다. 결과적으로, 플라스틱의 경량의 우수성이 상실될 뿐만 아니라 이 재료로 만든 안경의 심미성이 악화되는 불리함이 있다. 특히, 이 재료는 만든 오목 렌즈는 렌즈의 가장자리 두께가 두꺼워지고 복굴절 및 색수차가 생기는 불리함이 있다. 따라서, 비중이 낮다는 플라스틱의 성질의 잇점을 가지거나 렌즈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색수치가 낮고, 고굴절률 및 저분산을 나타내도록 플라스틱 재료를 개량함이 요망된다. 상기 목적을 위한 재료로서, 테트라클로로-m-크실릴렌디티올 또는 1,3,5-트리머캅토벤젠과 디이소시안네이트 화합물의 중합체가 JP-A-63-46213에 개시되어 있다.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티오프 로피오네이트와 디이소시안네이트 화합물의 중합체가 JP-A-64-26622에 개시되어 있다. 더욱이, 페네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티오프로피오네이트와 비닐 화합물의 중합체가 JP-A-63-309509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JP-A-63-46213에 기재된 티올 화합물은 굴절률리 높더라도 아배수(Abbe's number)가 낮고, 이로부터 수득한 중합체 역시 아베수가 낮고 내후성이 불량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JP-A-64-26622 및 JP-A-63-309509에 기재된 티올 화합물은 아베수는 높으나 굴절률이 낮고, 이로부터 수득한 중합체는 굴절률이 낮고 내열성이 열등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결점을 극복할 수 있는 신규 티올 화합물 및 신규 광학 재료 및 이를 출발물질로하여 제조한 광학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만들어졌으며, 본 발명의 신규 티올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I )을 가진다.
(식중, X는 -(CH2CH2S)n2-H이며, n1은 1~5의 정수이며, n2는 0~2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신규 광학 재료는, 최근 하나의 폴리티올 화합물(a1)을 함유하는 성분 (A)와 분자내 최소 2개의 비닐기를 가지는 화합물(b1), 분자내 최소 2개의 이소(티오) 시안네이트기를 가지는 화합물(b2) 및 분자내 최소하나의 비닐기와 최소 하나의 이소(티오) 시안네이트를 가지는 화합물(b3)의 최소한 종류를 함유하는 성분(B)를 중합시켜 수득한 중합체를 포함한다. 부연하면, 상기 “이소(티오)시안네이트기”는 이소시상네이트기 및 티오시안 네이트기 모두를 의미한다. 본 발명을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신규 폴리티올 화합물은, 상기 일반식( I )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고리황화물인 1,4-디티안 고리를 가진다는 특징이 있다. 1,4-디티안 고리는 폴리티올 화합물의 굴절률 및 아베수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러한 풀리티올 화합물은 중합체의 굴절률 및 아베수를 증가시킨다. 폴리티올 화합물 내의 1,4-디티안 고리는 견고하다. 따라서,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 폴리티올 화합물은 중합체에 고내열성 및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부여한다.
일반식( I )에서, n1는 1~5의 정수로 한정되고, n2는 0~2의 정수로 한정된다. 그 이유는 하기와 같다. n1이 0일때, 폴리티올을 화합물을 이용해 제조한 중합체는 부서지기 쉽고 내충격성이 저하된다. 반면, n1이 6 이상일 때, 폴리티올 화합물은 굴절률이 감소하고, 이를 이용해 제조한 중합체는 굴절률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내열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n2가 3 이상일 때, 이 폴리티올 화합물을 이용해 제조한 중합체는 내열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폴리티올 화합물이 X가 수소원자(n2=0)이고 n1=1인 일반식( I )의 화합물일 때, 하기 도표에 표시한 방법에 따라 이를 합성할 수 있다.
즉, 디알릴디술피드를 브롬과 반응시켜 생긴 고리 이량체 브롬화합물을 티오우레아와 반응시켜 이소티우로늄염을 만든다. 이 염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가수분해시킨 후, 염산으로 산성화하여, 목적으로 폴리티올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합성 방법이 상기에 기재되고, X는 수소원자(n2=0)이며 n1=1인 폴리티올 화합물 이외의 일반식( I )의 폴리티올 화합물의 예는 하기와 같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일반식( I )의 폴리티올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학재료는 하기에서 설명한다. 이 광학 재료는 최소 하나의 폴리티올 화합물(a1)을 함유하는 성분(A) 및 분자내 최소 2개의 비닐기를 갖는 화합물(b1), 분자내 최소 2개의 이소(티오) 시안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b2) 및 분자내 최소 하나의 비닐기 및 최소 하나의 이소(티오) 시안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b3)의 최소한 한 종류를 함유하는 성분(B)를 중합시켜 수득한 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반식( I )의 화합물(a1)은 성분(A)에 함유되어 있고, 상기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목적하는 중합체의 물리적 성질 등을 개량하기 위하여, 성분(A)는 일반식( I )의 화합물(a1) 이외에도, 분자내 머캅토기 및 수간기의 총수가 2 이상이 되는 방법으로 머캅토기(들) 및 또는 수산기(들)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a2)를 함유할 수 있다. 화합물(a2)의 구체적 예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 1,2-에탄디티올, 1,3-프로판디티올, 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메탄,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 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 스머캅토아세테이트 2-머캅토 에탄올, 2,3-디머컵프로판올, 1,2-디히드록시-3머캅토프로판, 4-머캅토페놀, 1,2-벤젠디티올,1,3-벤젠디티올, 1,4-벤젠디티올, 1,3,5-벤젠트리티올, 1,2-디머캅토메틸벤젠, 1,3-디머캅도메틸벤젠, 1,4-디머캅토메틸벤젠, 1,3,5-트리머캅토메틸벤젠, 톨루엔-3,4-디티올 및 4,4'-디히록시페닐술피드가 있다.
성분(A)의 총량을 기준으로 한 일반식( I )의 화합물(a1)의 양은 0,1~100몰%이고, 바람직하게는 10~100몰%이다.
성분(B)에 함유된, 비닐기를 함유하는 화합물(b1)의 구체적 예로는 디비닐벤젠, 에틸렌글로콜디 (메트) 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 아클릴레이트, 우레탄-변성(메트) 아크릴레이트, 에폭시-변성(메트) 아크릴 레이트 및 폴리에스테르-변성(메트) 아크릴레이트가 있다. 이들 변성된 아크릴레이트는 분자내에 최소 2개의 (메트) 아크릴옥시기를 함유한다(부가하여, 상기 “(메트) 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와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나타내고, “(메트) 아크릴옥시기”는 아크릴옥시기와 메트 아크릴옥시기를 나타낸다).
성분(B)에 함유된, 이소(티오) 시안네이트기를 함유하는 화합물(b2)위 구체적 인 예로는 크실릴렌디이소(티오) 시안네이트, 33'-디클로로디페닐-4,4'-디이소(티오) 시안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티오) 시안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티오) 시안네이트, 2,2',5,5'-테트라클로로-디페닐-4'4-디이소(티오) 시안네이트 및 톨릴렌디이소(티오)시안네이트가 있다. 더욱이, 최소 하나의 사이클로헥실고리를 가지는 화합물(b2)의 예로는 비스(이소(티오)시안네이토메틸) 사이클로헥산, 비스(4-이소(티오) 시안네이토사이클로헥실) 메탄, 비스(이소(티오) 시안네이토메틸사이클로헥실) 메탄,사이클로헥산디이소(티오) 시안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티오) 시안네이트, 2,5-비스(이소(티오) 시안네이토메틸) 비사이클로[2,2,2] 옥탄, 2,5-비스(이소 (티오) 시안네이토메틸) 비사이클로[2,2,1] 헵탄, 2-이소(티오) 시안네아토메틸-3-(3-이소(티오) 시안네이토프로필)-5-이소(티오) 시안네이토메틸-비사이클로[2,2,1]-헵탄, 2-이소(티오) 시안네이토메틸-3-(3-이소(티오) 시안네이토프로필)-6-이소(티오) 시안네이토-메틸비사이클로[2,2,1] 헵탄, 2-이소(티오) 시안네이토 메틸-2-[3-이소(티오) 시안네이토 프로필]-5-이소(티오) 시안네이토메틸-비사이클로[2,2,1]-헵탄, 2-이소(티오) 시안네이토메틸-2-(3-이소(티오) 시안네이토-프로필)-6-(2-이소 (티오) 시안네이토메틸)-비사이클로[2,2,1]-헵탄, 2-이소(티오) 시안네이토 메틸-3-(3-이소(티오) 시안네이토프로필)-6-(2-이소(티오) 시안네이토에틸)-비사이클로[2,2,1]-헵탄, 2-이소(티오) 시안네이토메틸-3-(3-이소(티오) 시안네이토프로필)-6-(2-이소(티오) 시안네이토 에틸)-비사이클로[2,2,1]-헵탄, 2-이소(티오) 시안네이토메틸-2-(3-이소(티오) 시안네이토프로필)-5-(2-이소(티오) 시안네이토에틸)-비사이클로[2,2,1]-헵탄 및 2-이소(티오) 시안네이트 메틸-2-(3-이소(티오) 시안네이토 프로필)-6-(2-이소(티오) 시안네이토에틸)-비사이클로[2,2,1]-헵탄이 있다.
더욱이, 성분(B)에 함유된, 비닐기 및 이소(티오) 시안네이트기를 함유하는 화합물(b3)의 예로는 2-(메트) 아크릴옥시에틸이소(티오) 시안네이트 및 (메트) 아크릴로일이소 (티오) 시안네이트가 있다.
성분(B)가 비닐기(들)을 함유할 때, 성분(A)의 모든 중합 관능기들은 머캅토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A)가 수산기를 함유할 때, 중합체의 중합도는 증가하지 않고, 수득한 중합체의 기계적 물성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재료의 제를 위해, 상기 성분 (A) 및 (B) 이외의 단량체를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내후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UV흡수제, 산화방지제, 착색방지제, 형광 염료 등의 첨가제를 필요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중합 반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촉매도 또한 필요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기과산화물, 아조화합물 및 염기성 촉매는 머캅토기와 비닐기간의 반응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오르가노틴 화합물과 아민 화합물은 머캅토기 도는 수산기와 이소(티오) 시안네이트기간의 반응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폴리티올 화합물을 사용하여 광학재료를 제조하는 일례는 하기와 같다.
상기 성분(A), 성분(B), 첨가체 및 촉매의 균일 화합물을 공지의 주형 중합법에 의해 가열 및 경화시킨다. 즉, 균일 혼합물을 한 쌍의 유리재 또는 금속제 주형과 수지제의 가스켓(gasket)의 조합으로 만들어진 주형 조립품에 주입하고, 가열 및 경화시킨다. 이 경우, 성형된 수지를 꺼내어 용이하게 하기 위해, 주형에 미리 주형 분리 처리를 하거나 주형 분리제를 성분(A) 및 (B)의 혼합물에 투여할 수 있다. 중합 온도는 상용하는 화합물에 따라 다르다. 통상, -20℃~+150℃이고, 중합시간은 0.5~72시간이다. 본 발명의 광학 재료는 물이나 유기 용매중에 통상의 분산 염료로 염색될 수 있고, 이 경우 염색을 용미하게 하기 위해 담체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수득한 재료는 하기와 같이 한정되지는 않을지라도, 플라스틱 렌즈 등과 같은 광학 제품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기재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는 본 발명을 실시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물성의 평가)
실시예에서 수득한 폴리티올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해 제조한 중합체 및 비교예에서 수득한 중합체의 물성을 하기와 같이 평가한다.
굴절률(nD) 및 아베수 (νD) : 아타고사(Atagosha) 재 아베 굴절계 3T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외관 : 육안 관찰한다.
내후성 : 선샤인 카본 아크 램프(sunshine carbon arc Iamp)가 장치된 기후계(weatherometer)에 200시간 방치한 플라스틱 렌즈와 처리전의 렌즈의 색조를 비교한다. 평가 기준은 거의 변화 없음(○) 및 황변(×)로 나타낸다.
내열성 : 리가쿠사(Rigakusha) 제조 TMA 장치로 0.5mmø 핀을 이용해 10gf 하중하에 TMA 측정하고, 10℃/min의 온도 상승 속도에서 수득한 차트(chart)의 피크 온도를 기준으로 내열성을 평가한다.
광학 변형(Optical strain) : 시리에렌(Schlielen) 법에 의해 육안 관찰한다. 변형이 없으면 ○으로, 변형이 있으면 ×로 표시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폴리티올 화합물로서 2,5-디머캅토메틸-1,4-디티안(X=H(n2=0) 및 n1=1인 일반식( I )의 화합물)의 제조
25.0g(0.157몰)의 브롬을 780mℓ의 디클로로메탄에 녹아 있는 22.9g(0.57몰)의 디알릴디술피드 용액에 -78℃에서 1시간 적가한다. 생성 혼합물의 온도를 -20℃까지 상승시키고, 이 온동에서 8시간 혼합물을 교반한다. 그 후 감압하에서 디클로로메탄을 제거하고 남은 잔여물에 100mℓ의 에탄올 및 23.9g(0.314몰)의 티오우레아를 부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5시간 환류시킨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회수한 후, 에탄올로 수차례 세정하여 건조시킨다. 침전물을 73mℓ의 물에 분산시켜 생긴 분산액을 질소분위기하에 환류시키는 동안에, 15%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64.2g을 1시간 적가한다. 그 후, 생성 혼합물을 1시간 더 환류시킨다. 냉각시킨 후, 6N-염산으로 산성화시키고 벤젠으로 추출한다. 감압하에서 생성 추출물로부터 벤젠을 제거한 잔여물을 2×10-2mmHg에서 증류시켜 끓는 점이 121.5℃인 분획 22.6g(수율 68%)을 수득한다. 이 분획의 굴절률은 1.646이고 아베수는 35.2이다. 이 신규 폴리티올 화합물의 구조를 결정하는 분석 결과는 하기와 같다.
원소분석
¹H-NMR(용매 : CDC13, 내부 표준 물질 : TMS)
δ(ppm)=1.62(t, 1H)
2.88~3.14(m, 5H)
IR 2545cm-1(티올의 νSH)
도면 1은 상기 신규 폴리티올 화합물의 ¹H-NMR 스펙트럼 차트이고, 도면 2는 그것의 IR 스펙트럼 차트이다.
실시예 2
본 발명은 폴리티올 화합물로서 2,5-비스(2-머캅토에틸티오메틸)-1,4-디티안(X=CH2CH2SH(n2=1) 및 n1=1인 일반식( I )의 화합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2,5-디머캅토메틸-1,4-디티안 21.2g(0.1몰)을 1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58.7g에 녹인다. 100mg의 벤질트리 메틸암모늄 클로리드의 존재하에 200mℓ 벤젠에 18.0g(0.3몰) 티이란올 용해시켜 제조한 용액을 상기 혼합물에 가한다. 생성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반응시킨 후, 0℃에서 교반하면서 물상(water phase)의 pH 1이 될 때까지 농축 염산을 가하고, 벤젠상을 분리하고, 잔여물을 물로 세척하고, 벤젠을 증류시켜 목적하는 생성물인 2,5-비스(2-머캅토에틸티오메틸)-1,4-디티안 24.6g(수율 74%)을 수득한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폴리티올 화합물로서, 2,5-비스(3-머캅토프로필)-1,4-디티안(X=H(n2=0) 및 n1=3인 일반식( 1 )의 화합물)의 제조
브롬 25.0g(0.157몰)을 -78℃에서 디클로로메탄 780mℓ에 디알릴디술피드 22.9g(0.157몰)을 녹인 용액에 1시간 부가한다. 그리고, 혼합물의 온도를 -20℃까지 상승시키고, 이 온도에서 8시간 교반한 후, 감압하에 디클로로메탄을 제거한다. 건조 테트라히드로푸란 300mℓ을 잔여물에 가하여 생성된 혼합물을 -10로 냉각하고, 교반하면서 1.0M-비닐 마그네슘 브롬미드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329mℓ를 이 혼합물에 적가한다. 그 후, 상기 혼합물을 0℃에서 2시간, 실온에서 12시간 교반한다. 이 반응 혼합물을 물에 붓고 벤젠으로 추출하고 감압하에 벤젠을 증류시켜 제거한다. 생성 잔여물을 벤젠 200mℓ에 용해시키고, 황화수소를 이 혼합물에 불어 넣어, 실온에서 4시간 반응시킨다. 감압하에 벤젠을 증류시켜 목적 산물인 2,5-비스(3-머캅토프로필)-1,4-디티안 25.7g(수율 61%)를 수득한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광학 재료의 제조
2,5-디머캅토메틸-1,4디티안(표 1에서 S-1로 표시됨) 0.1몰, m-크실릴렌디이소시안네이트(표 1에서 XDI로 표시됨) 0.1몰 및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표 1에서 DBTDL로 표시됨) 1×10-5몰의 혼합물을 균일하게 교반하여, 렌즈 성형용 유리제 주형 조립품에 주입한다. 이 혼합물을 50℃에서 10시간, 그 후 60℃에서 5시간, 그 이상으로 120℃에서 3시간 가열하게 중합시켜 렌즈 형상의 중합체를 수득한다. 표 1에서 중합체의 각종 물성을 나타낸다. 표 1과 같이, 실시예 4의 중합체는 무색 투명하고, 굴절귤(nD)이 1.66으로 매우 높고, 아베수도 32(저분산)로 높다. 더욱이 이 중합체는 내후성 및 내열성(97℃)이 우수하고, 광학 변형이 없다.
실시예 5~21
본 발명의 다른 광학 재료의 제조
표 1에 나타난 단량체 조성물을 사용하여 중합 조건이 적당히 변하는 거 이외에는 실시예 4의 공정을 반복하여, 렌즈 형상의 중합체들을 수득한다. 표 1에는 실시예 4에서 수득한 중합체 뿐만 아니라 이들 중합체들의 물성도 나타나 있다. 표 1과 같이, 실시예 5~21의 중합체들도 또한 무색 투명하고, 굴절률도 1.58~1.66으로 매우 높으며 아베수도 32~42(저분산)으로 높다. 더욱이, 이들 중합체들은 내후성 및 내열성(94~128℃)이 우수하고, 광학 변형이 없다. 특히 실시예 4~10 및 20~21에서 수득한 중합체들은 아베수가 32~38이며, 같은 범위의 아베수를 가지는 통상의 중합체들 보다 굴절률이 1.62~1.66으로 훨씬 높다.
더욱이, 실시예 12~19에서 수득한 중합체는 굴절률이 1.58~1.62이며, 같은 범위의 굴절률을 가지는 통상의 중합체들보다 아베수가 38~43으로 더 높다.
비교예 1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표 1에서 PETMP로 표시됨) 0.1몰 m-크실릴렌 디이소시안네이트(표 1에서 XDI로 표시됨) 0.2 몰 및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표 1에서 DBTDL로 표시됨)1×10-4몰의 혼합물을 균일하게 교반하여, 렌즈 성형용 유리재 주형 조립물에 주입한다. 이 혼합물을 50℃에서 10시간, 그 후 60℃에서 5시간 그 이상으로는 120℃에서 3시간 가열하게 중합시켜 렌즈 형상의 중합체를 수득한다. 표 1은 중합체의 각종 물성을 나타낸다. 표 1과 같이, 상기 비교예의 중합체는 무색 투명하고, 광학 변형이 없다. 그러나, 상기 중합체의 nD/νD는 1.59/36 만큼 낮고 내열성이 86℃정도로 열등하다.
비교예 2 및 3
표 1에서 나타난 단량체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외에는 비교예 1의 공정을 반복하여, 렌즈 형상의 중합체를 수득한다. 표 1은 비교예 1에서 수득한 중합체와 실시예 4~21에서 수득한 중합체들의 물성 뿐만 아니라 이들 중합체들의 각종 물성을 나타낸다. 표 1과 같이, 비교예 2의 중합체는 굴절률이 1.67로 높고 내열성(94℃)이 좋다 그러나, 이 중합체는 내후성이 열등하고 광학 변형을 보인다. 비교예 3의 중합체는 무색투명하고, 광학 변형을 보이지 않으며 내후성이 좋다. 그러나, 이 중합체는 굴절률이 1.53으로 낮고, 내열성이 65℃ 정도로 열등하다.
표 1의 약자표
XDI : m-크실릴렌디이소시안네이트
EDT : 에탄디올
PETMA :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머캅토아세테이트
EDMA :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PETMP :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DVB : 디비닐벤젠
4-MP : 4-머캅토페놀
TMP : 트리메틸프로판
1,2-DHB : 1,2-디히드록시벤젠
DMB : 디머캅토벤젠
TG : 3-머캅토-1,2-디히드록시프로판
DPMDI :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안네이트
DHPS : 4,4'-디히드록시페닐술피드
IPDI : 이소포론디이소시안네이트
H6-XDI : 1,3-비스(이소시안네이트)사이클로헥산
H6-MDI : 비스(4-이소시안네이트사이클로헥실)메탄
MEI : 2-메트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안네이트
TDI : 톨릴렌디이소시안네이트
DBTDL :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DMTDCI : 디메틸틴디클로리드
DBTDCI : 디부틸틴디클로리드
ADVN : 아조비스디메틸발레로니트릴
1,3,5-TMB : 1,3,5-트리머캅토벤젠
DAPE : 디알릴리딘펜타에리트리롤
본 발명의 신규 폴리티올 화합물은 1,4-디티안고리로 인해 고굴절률 및 고아베수를 가지고, 분자내 최소 2개의 비닐기를 가지는 화합물, 분자내 최소 2개의 이소(티오)시안네이트기를 가지는 화합물 및 분자내에 취소 하나의 비닐기와 취소 하나의 이소(티오)시안네이트기를 가지는 화합물의 최소 한 종류와 쉽게 중합하여 중합체를 수득한다. 상기 중합체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광학재료는, 중합체의 주사슬(main chain)에 1,4-디티안고리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고굴절률 및 고아베수를 가지고 또한 내열성, 내후성 및 투명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학 재료는 안경, 카메라 등의 렌즈, 프리즘, 광섬유, 광디스크와 자기디스크 등에 사용할 기록 매체 기판 및 착색 필터와 UV 흡수 필터 등과 같은 광학 제품에 사용하기에 적당하다.
더욱이, 상기 재료는 또한 컵, 꽃병 등과 같은 특징적인 고굴절률을 이용하는 장식물에 유용하다.

Claims (9)

  1. 하기 일반식( I )을 가지는 폴리티올 화합물
    (식중, X는 -(CH2CH2S)n2-H이며, n1은 1 5의 정수이며, n2는 0 2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일반식들로 표시되는 화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한 폴리티올 화합물.
  3. 하기 일반식( I )을 가지는 폴리티올 화합물 (a1)을 적어도 함유하는 성분(A),
    (식중, X는 -(CH2CH2S)n2-H이며, n1은 1 5의 정수이며, n2는 0 2의 정수이다.) 및 분자당 최소 2개의 비닐기를 가지는 화합물(b1), 분자당 최소 2개의 이소(티오) 시안네이트기를 가지는 화합물(b2) 및 분자당 최소 하나의 비닐기와 최소 하나의 이소(티오) 시안네이트기를 가지는 화합물(b3)의 최소한 한 종류를 함유하는 성분(B)를 중합하여 수득한 중합체를 포함하는 광학재료.
  4. 제3항에 있어서, 폴리티올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들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광학 재료.
  5. 제3항에 있어서, 성분(A)가 화합물(a1)과 더불어, 분자당 머캅토기와 수산기의 총수가 2이상인 정도로 머캅토기(들), 수산기(들) 또는 이들 2개의 기(들)을 가지는 화합물(a2)를 함유하는 광학 재료.
  6.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화합물(b2)가 최소하나의 사이클로헥실고리를 가지는 광학 재료.
  7. 제3항 내지 제5항중의 어느 한 항에서 열거한 광학재료를 함유하는 광학 제품.
  8. 제7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렌즈의 광학 제품.
  9. 제6항에서 열거한 광학 재료를 함유하는 광학 제품.
KR1019900022002A 1989-12-28 1990-12-27 폴리티올 화합물 및 그로 부터 수득한 광학재료 및 광학제품 KR01336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3298-1989 1989-12-28
JP34329889 1989-12-28
JP343298/89 1989-12-28
JP2281089A JPH065323B2 (ja) 1989-12-28 1990-10-19 ポリチオール化合物を用いて得られた光学材料及び光学製品
JP281089-1990 1990-10-19
JP281089/90 1990-10-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993A KR910011993A (ko) 1991-08-07
KR0133656B1 true KR0133656B1 (ko) 1998-04-23

Family

ID=18360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2002A KR0133656B1 (ko) 1989-12-28 1990-12-27 폴리티올 화합물 및 그로 부터 수득한 광학재료 및 광학제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2) JPH065323B2 (ko)
KR (1) KR01336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150B1 (ko) 2018-06-21 2019-11-1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티올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5182B2 (ja) * 1988-02-17 1997-05-28 三井東圧化学株式会社 高屈折率光学素子及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該方法により得られる光学素子並びにプラスチックレンズ
US5700368A (en) * 1995-05-25 1997-12-23 Baker Hughes Incorporated Treatments to reduce aldol condensation and subsequent polymerization in caustic acid gas scrubbers
AU755212B2 (en) 2000-10-26 2002-12-05 Hoya Corporation Optical product, asymmetric disulfide compound used therefor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asymmetric disulfide compound
JP4076760B2 (ja) 2001-11-28 2008-04-16 Hoya株式会社 エピスルフィド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160581A (ja) 2001-11-28 2003-06-03 Hoya Corp チオール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08869B2 (ja) 2002-11-13 2012-08-22 日本曹達株式会社 金属−酸素結合を有する分散質、金属酸化物膜、及び単分子膜
DE602004024307D1 (de) 2003-06-09 2010-01-07 Hoya Corp Transparenter formkörper
WO2005087829A1 (ja) * 2004-03-12 2005-09-22 Mitsui Chemicals, Inc. ポリウレタン系重合性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光学用樹脂の製造方法
JP2005338109A (ja) * 2004-05-24 2005-12-08 Mitsui Chemicals Inc 硫黄原子含有樹脂光学材料
JP2005345684A (ja) * 2004-06-02 2005-12-15 Mitsui Chemicals Inc 硫黄原子含有樹脂からなる光学材料
JP2006003624A (ja) * 2004-06-17 2006-01-05 Mitsui Chemicals Inc 硫黄原子含有樹脂からなる光学材料
JP4822495B2 (ja) * 2004-11-05 2011-11-24 三井化学株式会社 ポリチオールの製造方法
DE602006019280D1 (de) * 2005-08-18 2011-02-10 Mitsui Chemicals Inc Polymerisierbare zusammensetzung auf basis von polythiourethan und daraus erhaltenes optisches harz
JP5060036B2 (ja) * 2005-09-29 2012-10-31 Hoya株式会社 ポリチオールオリゴマーの製造方法
WO2007049658A1 (ja) * 2005-10-28 2007-05-03 Ube Industries, Ltd. ジチアンジチオール誘導体及びその製法
WO2008026727A1 (fr) 2006-08-31 2008-03-06 Hoya Corporation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résine de polythiouréthane
JP5429930B2 (ja) * 2008-09-05 2014-02-26 Jsr株式会社 高アッベ数及び優れた耐熱性を有する高屈折率材料
JP5549253B2 (ja) * 2009-03-03 2014-07-16 宇部興産株式会社 エン・チオール硬化物及びその製造方法
TWI509774B (zh) * 2009-05-19 2015-11-21 Murata Manufacturing Co A semiconductor switching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switching device
JP2012177056A (ja) * 2011-02-28 2012-09-13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高屈折率を有する重合体
CN106977900A (zh) 2013-09-30 2017-07-25 豪雅镜片泰国有限公司 塑料透镜
TWI619707B (zh) * 2013-12-11 2018-04-01 Mitsubishi Gas Chemical Co Novel thiol compound and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using the same
JPWO2020004534A1 (ja) * 2018-06-29 2021-06-24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光学部材用硬化物および光学部材
EP3816200A4 (en) * 2018-06-29 2022-03-16 Hoya Lens Thailand Ltd. 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OPTICAL ELEMENT, OPTICAL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OPTICAL ELEMENT
KR20200004689A (ko) 2018-07-04 2020-01-1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광학 재료용 티올 화합물의 제조방법
KR102302997B1 (ko) * 2019-12-18 2021-09-16 이근수 용해도 특성이 향상된 유기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150B1 (ko) 2018-06-21 2019-11-1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티올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993A (ko) 1991-08-07
JPH06192250A (ja) 1994-07-12
JPH03236386A (ja) 1991-10-22
JPH075585B2 (ja) 1995-01-25
JPH065323B2 (ja) 1994-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3656B1 (ko) 폴리티올 화합물 및 그로 부터 수득한 광학재료 및 광학제품
US5403938A (en) Polythiol compound, and optical material and product produced therefrom
AU2002301988B2 (en) Thiol compou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optical product comprising the same
EP0972772B1 (en) Polyisocyanate compounds,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optical materials using the same
JP2942400B2 (ja) ポリイソシアネート化合物、それを用いて得られた光学材料及び光学製品
JP2998982B2 (ja) ポリイソシアネート化合物、それを用いて得られた光学材料及び光学製品
JPH0665193A (ja) ポリイソシアネート化合物、それを用いて得られた光学材料及び光学製品
JP3221141B2 (ja) 環状スルフィド化合物、それを用いて得られる光学用樹脂及び光学製品
EP0976728B1 (en) Polyisocyanate compou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optical resin material comprising the same
JP2896261B2 (ja) ビニル化合物、それを用いて得られた光学材料用重合体及び光学製品
EP0976727B1 (en) Polyisocyanate compou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optical resin materials using the same
JP3953791B2 (ja) チオール化合物を用いてなる光学製品
JP2997244B1 (ja) ポリイソシアネート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3029603B2 (ja) 光学製品
JP4091227B2 (ja) 有機ゲルマニウム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898119B2 (ja) ポリイソシアネート化合物、それを用いて得られた光学材料及び光学製品
JP3174760B2 (ja) 光学製品
JP2001172287A (ja) ゲルマニウム含有イソシアネート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044648A (ja) 光学製品
JP2000026459A (ja) ポリイソシアネート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044530A (ja) ポリイソシアネート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79256A (ja) ポリイソシアネ―ト化合物を用いて得られた光学材料及び光学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8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