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866B1 - 휘일체어겸용 에스칼레이터 - Google Patents

휘일체어겸용 에스칼레이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866B1
KR0131866B1 KR1019930024661A KR930024661A KR0131866B1 KR 0131866 B1 KR0131866 B1 KR 0131866B1 KR 1019930024661 A KR1019930024661 A KR 1019930024661A KR 930024661 A KR930024661 A KR 930024661A KR 0131866 B1 KR0131866 B1 KR 0131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ps
wheel chair
special
wheel
esca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4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1333A (ko
Inventor
요시오 오기무라
메구미 오오구보
Original Assignee
사또 후미오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074329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56964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9415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29383A/ja
Priority claimed from JP516066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0447A/ja
Application filed by 사또 후미오,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사또 후미오
Publication of KR940011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8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1/00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 B66B31/006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for conveying hand carts, e.g. shopping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8Carrying surfaces
    • B66B23/12Step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무한형태로 연결된 복수의 스텝과 상기 스텝들을 위한 주행로를 갖는 메인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스텝들이 휘일체어를 탑재하기 위한 복수의 특수스텝들을 포함하고, 또 주행로에 설비되고, 휘일체어탑재운전모드를 위한 제1상태로 특수스텝들의 형태를 바꾸고 상기 특수스텝들의 형태를 통상운전모드를 위한 제2상태로 복귀시키는 작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특수스텝들의 각각이 기어형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장치가 상기 기어형 로터와 맞물기 위한 맞물리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형 로터들의 각각이 상기 특수스텝들중의 하나의 스텝의 형태를 휘일체어 탑재운전모드시에 주행로에서 상기 스텝들이 주행하고 있을 때에 제1상태로 바꾸게 하기 위하여 맞물리는 부재와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맞물리는 부재가 베이스가 상기 기어형로터와 맞물리게 하기 위하여 특정피치로 베이스 위에 평행으로 배치된 복수의 핀을 포함하고, 기어형로터와 첫째로 맞물리는 핀이 상기 기어형로터로부터 변위가능하게 베이스 위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된 휘일체어 겸용 에스컬레이터

Description

휘일체어겸용 에스칼레이터
제1도는 본 발명의 에스컬레이터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기어형로터와 맞물리는 부재간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제조(a)는 제1도의 X-X선상의 단면도
제2도(b)는 제1도의 Y-Y선상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에스컬레이터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기어형로터와 맞물리는 부재간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에스컬레이터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기어형로터와 맞물리는 부재간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통상 운전시(normal operation)의 특수스텝들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휘일체어 탑재 운전시 (wheelchair loading operation)의 특수스텝들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휘일체어 탑재 운전시의 특수스텝들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의한 통상 운전시의 특수스텝들의 외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휘일체어 탑재 운전시의 특수스텝들의 외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점검구멍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
제11도(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휘일스톱 시스템을 갖는 스텝의 단면도
제11도(b)는 제11도(a)의 휘일스톱 시스템을 더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휘일스톱 시스템을 갖는 스텝의 휘일스톱이 전진한 경우의 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휘일스톱 시스텝을 갖는 스텝의 휘일스톱위에 휘일체어가 있는 경우의 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에스컬레이터용 제어회로도
제15도는 종래 기술의 휘일체어 겸용 에스컬레이터의 개략도
제16도는 제15도의 종래 기술의 에스컬레이터의 통상 운전시의 특수스텝들과 작동장치의 구성도
제17도는 제15도의 종래기술의 에스컬레이터의 휘일체어 탑재 운전상태로 바꿀때의 특수스텝들과 작동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18도는 제15도의 종래기술의 에스컬레이터의 휘일체어 탑재 운전시의 경사부의 주행로상의 특수스텝들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19도는 제15도는 종래기술의 에스컬레이터의 통상 운전시의 경사부의 주행로상의 특수스텝들의 상태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제20도는 제15도의 종래기술의 에스컬레이터의 휘일체어 탑재운전시의 경사부의 주행로상의 특수스텝들의 상태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정상인용은 물론 신체장애인을 위한 휘일체어들을 수송할 수 있는 휘일체어 겸용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일반용 에스컬레이터들은 그 스텝들의 깊이 방향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신체장애인들을 수평으로 안전하게 수송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무한배치된 다수의 스텝들의 일부분에 특수스텝들이 포함된 에스컬레이터 시스템들이 고려되었다. 이들 에스컬레이터의 특수스텝들은 휘일체어탑재 운전시(wheelchair loading operation)에 그들의 구성을 기계적으로 바꾸어 넓혀진다.
따라서, 휘일체어탑재를 위하여 깊이 방향이 길이가 긴 공간을 확보할 수있다.
휘일체어겸용 에스컬레이터를 제15도-제20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제15도에서 1은 상하층 탑승장들(2,3)간에 위치하는 메인프레임(통상 트러스라고 칭한다)이다. 4는 신체장애인이 앉는 휘일체어이고, 5는 수행인이다. 6은 탑승장(2) 가까이 설비된 수행인 호출버튼이고, 7은 에스컬레이터의 난간에 설비된 휘일체어 탑재운전을 위한 절환 스위치들이고, 8도는 휘일체어 운전버튼들이다.
제15도에서 9는 가이드 레일들 등을 사용하여 메인프레임(1)에 구성된 주행로상에 무한으로 배치 주행되는 다수의 스텝들이다. 몇 개의 스텝들(9)로 형성되는 밟는 판들이 상하층의 수평로 부분에서 서로 같은 높이가 되고 각각의 스텝(9)의 밟는 판은 상하층간의 경사부에서 주행되도록 상이한 높이를 갖는 계단을 형성하게 설계되어 있다.
여기서 다수의 스텝들(9)에 있어서 10은 제1특수스텝이고, 11은 제2특수스텝이고, 12는 제3특수스텝이다. 이들 스텝들의 휘일체어 탑재에 사용된다. 13은 특수스텝들(10,11,12)을 휘일체어 탑재 운전시에 휘일체어를 탑재 할 수 있는 제1상태로 또는 통상의 운전을 위한 제2상태로 복귀되도록 그들의 구성을 바꾸게 하는 작동장치이다.
이들 제1,제2 및 제3특수스텝들(10,11,12)이 절환스위치(7)에 의해서 휘일체어 탑재 운전상태로 되었을 때에. 먼저 제1특수스텝(10)이 작동장치에 의해서 작동되고 그런후 제2특수스텝(11)이 작동장치에 의해서 작동되고, 그리고 그 내부에 설비된 연결시스텝(22)이 제3특수스텝(12)에 맞물리고 연결시스템(22)이 제3특수스텝(12)에 맞물리고 연결시스템에 의해서 연결된 제3특수스텝(12)이 에스컬레이터의 경사부위에 제2특수스텝(12)에 의해서 지지되어 2개의 스텝으로 된 휘일체어 탑재를 위한 수평공간이 확보되게 설계되어 있다.
특수스텝들 (10,11,12) 및 작동장치(13)를 제16-20도를 참조하여 더 설명하겠다.
먼저 작동장치(13)는 스텝들 (9-12)을 위한 주행로인 메인프레임(1)에 설비되어 있고, 상하이동기구(13a)에 의해서 상하이동이 가능한 맞물리는 맞물리는 부재로써 랙(rack)(13b)을 구비하고 있다.
또, 제1-3 특수스텝(10,11,12)에는 각각 피니온들 (14a,14b,14c)이 설비되어 있고, 그들은 그들이 내부하측에 장착되고, 랙(13b)과 맞물려 회전하는 운전동력 입력을 위한 기어형로터들이다.
그와 동시에 그들에게는 피니온들 (14a,14b,14c)과 각각 연결된 스텝들 내부의 구동기구들을 구동시키는 구동기들(15a,15b,15c)이 설비되어 있다. 통상적인 운전시에는 이들 피니온들 (14a,14b,14c)은 랙(13b)과 맞물리지 않고, 제16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작동장치(13)의 하부위치로 물러나 있다. 휘일체어탑재 운전시에는 상하층의 수평로부를 주행하는 동안에 피니온들(14a,14b,14c)은 제17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작동장치(13)의 상하이동기구(13a)에 의해서 상승된 랙(13b) 과 맞물려 회전하고, 따라서 구동기들(15a,15b,15c)이 피니온들(14a,14b,14c) 과 각각 연결운동으로 운전된다.
먼저 특수스텝(10)에는 부분적으로 경사지울 수 있는 경사스텝부(16)와 그것을 둘러쌓는 고정스텝부(17)가 설비되어 있다.
제16도는 나타낸 것과 같이, 통상 운전시에는 경사스텝부(16)에 장착된 구동기(15a)로부터 볼6 (18a)가 튀어나와 고정스텝부(17)의 보지기(19a)와 맞물린다. 그리하여 경사스텝부(16)와 고정스텝부(17)가 하나의 수평면으로써 일체로 된다. 휠체어 탑재운전시에는 상기 작동장치(13)의 랙과 맞물린 피니온(14a)의 회전에 의해서 구동기(15a)가 볼트(18a)를 후퇴시켜 제17도에 나타낸것과 같이 보지기(19a)에서 벗어난다. 그리고 경사부 주행시에 경사스텝부(16)가 제18도를 나타낸 것과 같이 그 형태를 경사회전축(20) 둘레에 경사진 상태로 바꾼다.
제2특수스텝(11)에는 연결시스템이 설비되어 있어 제3 특수스텝(12)의 밟은 판을 연결하여 지지하여 2개의 스텝폭의 깊은 밟는 판을 경사부 주행시에 형성된다.
이 연결시스텝(22)은, 구동기(15b)의 정.역회전으로, 기어(21)를 거쳐서 랙기어식 연결봉(포크)(22a)을 전후진시켜서 제3특수스텝(12)의 가동스텝부(23)를 연결하여 지지하거나 연결을 해제시킨다.
제3특수스텝(12)에는 제2특수스텝(11)의 연결시스템에 의해서 지지되는 가동스텝부(23)와 팬터그래프의 링크(25)를 거쳐서 상승하강 하도록 가동스텝부(23)를 안내하고, 지지하는 고정스테부(24)가 설비되어 있다. 통상 운전시에 제16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볼트(18c)는 고정스텝부(24)에 장착된 구동기(15c)에 의해서 돌출하여 가동스텝부(23)의 보지기(19c) 와 맞물린다. 그리하여, 가동스텝부(23)와 고정스텝부(24)가 일체로 된다. 휘일체어탑재 운전시에는, 제17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구동기(15c)는 작동장치(13)의 랙(13b)과 맞물려 있는 피니온(14c)의 회전에 의해서 볼트(18c)를 후퇴시켜 보지기(19c)로부터 벗어나게 한다. 이와 동시에, 제2특수스텝(11)에서 전진한 연결시스템의 연결봉(포크)(22a)에 의해서 가동스텝부(23)가 연결되어 지지된다. 제18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가동스텝부(22)는 경사부에서도 링크(25)의 상향이동에 의해서 같은 높이로 되게 설계되어 있다.
또, 휘일스톱들(36)은 제3특수스텝(12)에 설비되어 휘일체어(4)의 탑재중에 휘일체어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들 휘일스톱들(36)은 구동기(15c)에 의해서 밟는 판으로부터 튀어나왔다. 그안으로 들어갔다 한다.
제19도는 및 제20도는 제1-3특수스텝들(10,11,12)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제19도는 통상 운전시의 경사부상의 주행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제20도는 휘일체어탑재 운전시의 경사부상의 주행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스컬레이터에 있어서는, 통상 운전상태로부터 휘일체어 탑재 운전상태로 절환할 때에, 제17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주행(상,하층의 수평통로부를)중에 작동장치(13)의 승강기구(13a)가 동작되어 맞물리는 부재인 랙(13b)을 상승시킨다. 연속적으로 주행해오는 제1-3 특수스텝들(10,11,12)을 위한 동장동력을 입력하기 위한 기어형로터들인 피니온들(14a,14b,14c)이 연속적으로 랙(13b)과 맞물려 회전한다. 특수스텝들(10,11,12)은 각각 피니온들(14a,14b,14c)에 연결된 구동기를(15a,15b,15c)에 의해서 동작되어 그들의 형태를 휘일체어를 탑재가능하게 바꾼다. 그러나 이때에 피니온들(14a,14b,14c)의 각각이 랙(13b)과 맞물릴 때에 톱니 끝이 서로 충돌하여 2개의 기어들의 맞물림이 일치되어 않으면 과도한 힘이 발생한다. 랙의 톱니위를 접동하는 피니온의 톱니 끝들에 의해서 정확하게 맞물리는 상태로 이동할 때에 큰 잡음과 함께 충격이 발생한다. 이것은 동작기구의 보호에 나쁜 영향을 주고 운전자나 휘일체어 사용자에 불안감을 갖게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휘일체어 겸용 에스컬레이터에 있어서는 특수스텝이 형태가 바뀌거나 연결시스템이 동작되지 않을 때에 안전시스템을 동작시켜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키게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어떻게 각 특수스텝에 고장이 생겼는지를 판단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에스컬레이터의 트러스(1)내에 들어가 점검을 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렇게 하는데 작업성이 나쁘고 위험을 초래한다는 문제점들을 갖는다.
본 발명의 초점인 상기 스텝구성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제3특수스텝내에 설치된 휘일스톱기구에 있다.
종래 기술에 제안된 휘일스톱기구로써는 일본국 특공소 63-17438호 공보 및 일본국 특공소 63-51956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다.
설명하지 않았으나, 이들은 둘다 기계적으로 튀어나오는 휘일스톱들에 관한 것이다. 그들의 방법들에 있어서는 휘일스톱기구들에 의해서 구동력이 가해질 때에 휘일스톱들이 특정높이로 튀어나오고 그들의 원위치로 기어들어간다.
그러나 이들 종류의 휘일스톱기구들을 다음 문제점을 갖고 있다.
즉, 휘일체어 등의 어떤 이유등으로 휘일스톱기구에 직접 탑재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상기 휘일체어기구들에 의해서 다음 상태가 일어날 수 있다. 즉, 휘일스톱들이 휘일체어를 위로 밀거나 휘일체어의 무게 때문에 그들이 움직이지 못하는 과부하상태로 되거나, 휘일체어 기구가 파손될 수 있다. 이들 상태들은 허용되지 않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휘일체어 탑재운전상태로 전환될 때에 주행로상에서 특수스텝쪽의 기어형로터와 작동장치의 맞물리는 부재간의 원할한 맞물림이 개시되어 큰 잡음과 충격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조용하고 고도로 안전하게 휠체어를 탑재하는데 적합한 휘일체어겸용 에스컬레이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휘일체어겸용 에스컬레이터의 운전고장이 발생했을 때에 원인판단, 관찰 및 점검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설계된 휘일체어 겸용 에스컬레이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휘일체어 등의 휘일스톱 위에 탑재된 때에도 이것을 검출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켜 휘일체어등이 위험에 처하진 않는 동시에 기구들이 보호되게 설계된 휘일체어겸용 에스컬레이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무한형태로 연결된 복수의 스텝과, 이들 스텝을 위한 주행로를 포함하는 메인프레임을 포함하고, 이들 스텝들은 휘일체어 탑재용의 복수의 특수스텝을 포함하고, 휘일체어 탑재 운전을 위한 제1상태 또는 통상적인 운전을 위한 제2상태로 특수스텝들의 형태를 바꾸거나 복귀시키기 위하여 주행로상에 설비된 작동장치를 포함하고, 각 특수스텝은 기어형로터를 포함하고, 작동장치는 기어형로터와 맞물리는 부재를 포함하고, 스텝들이 휘일체어 탑재 운전시에 주행로를 주행할 때에 각 기어형로터는 특수스텝들 중의 하나의 스텝의 형태를 제1상태로 바뀌게 하기 위하여 맞물리는 부재와 맞물려 회전하고, 이 맞물리는 부재가 기어형로터와 맞물리게 하기 위하여 베이스와 특정피치로 평행으로 배치된 복수의 핀을 포함하고, 첫 번째로 기어형로터와 맞물리는 핀은 기어형로터로부터 변위될 수 있도록 베이스위에 배치되어 있는 휠체어겸용 에스컬레이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에 의하면, 무한형태로 연결된 복수의 스텝과 이들 스텝을 위한 주행로를 갖는 메인프레임을 구비하고, 이들 스텝은 휘일체어를 탑재하기 위하여 적어도 2개의 인접하는 특수스텝을 포함하고, 또 휘일체어 탑재 운전을 위한 제1상태로 특수스텝들의 형태를 바꾸거나 통상적인 운전을 위한 제2상태로 그들의 형태를 복귀시키는 주행로상에 설비된 작동장치를 포함하고, 특수스텝들중의 제1특수스텝이 이들 특수스텝중의 제2특수스텝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시스템을 포함하고, 제1특수스텝의 연결시스템이 휘일체어 탑재 운전시에 이들 스텝들이 주행로를 주행할 때에 휘일체어를 탑재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제1특수스텝과 제2특수스텝을 연결하기 위하여 작동장치에 의해서 작동되는 연결봉을 포함하고, 제1특수스텝이 연결봉의 동작을 체크하는 점검구멍을 갖는 밟는 판을 포함하는 휘일체어겸용 에스컬레이터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무한형태로 연결된 복수의 스텝과 이들 스텝을 위한 주행로를 갖는 메인프레임을 포함하고, 이들 스텝은 휘일체어탑재용 복수의 특수스텝을 포함하고, 또 휘일체어 탑재 운전을 위한 제1상태로 특수스텝들의 형태를 바꾸거나 통상적인 운전을 위한 제2상태로 그들의 형태를 복귀시키기 위한 주행로상에 설비된 작동장치를 포함하고, 특수스텝들중의 제1특수스텝이 이들 특수스텝중의 제2특수스텝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시스템을 포함하고, 제1특수스텝의 연결시스템이 휘일체어 탑재 운전시에 이들 스텝들이 주행로를 주행할 때에 휘일체어를 탑재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제1특수스텝과 제2특수스텝을 연결하기 위하여 작동장치에 의해서 작동되는 연결봉을 포함하고, 제1특수스텝이 연결봉의 동작을 체크하는 점검구멍을 갖는 밟는 판을 포함하는 휘일체어겸용 에스컬레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무한형태로 연결된 복수의 스텝과 이들 스텝을 위한 주행로를 갖는 메인프레임을 포함하고, 이들 스텝은 휘일체어탑재용 복수의 특수스텝을 포함하고, 또 휘일체어 탑재 운전을 위한 제1상태로 특수스텝들의 형태를 바꾸거나 또는 통상의 운전을 위한 제2상태로 그들의 형태를 복귀시키기 위한 주행로상에 설비된 작동장치를 포함하고, 특수스텝들중의 하나의 스텝이 휘일체어 탑재 운전시에 주행로에서 스텝들이 주행할 때에 휘일체어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밟는 판과 작동장치에 의해서 작동되어 밟는 판 밖으로 돌출하는 휘일스톱을 포함하고, 특수스텝들중의 하나의 스텝이 휘일체어 탑재 운전시에 스텝들의 주행로를 주행하고 있을 때에도 과부하가 휘일스톱에 가해질 때에 휘일스톱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부하 흡수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휘일체어겸용 에스컬레이터가 제공된다.
상기 구성의 에스컬레이터를 사용할 경우에 휘일체어 탑재 운전상태로의 절환시에 특수스텝들쪽의 기어형 로터들과 주행로쪽의 작동장치의 핀-랙인 맞물리는 부재의 핀들이 맞물리기 시작하고, 로터의 톱니가 맞물리는 부재의 제1핀과 충돌하여도 변위될 수 있어서 충돌이 약하게 되어 조용하고, 원활한 맞물림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큰 잡음과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서 휘일체어 탑재 운전중에 연결봉들을 갖는 특수스텝의 밟는 판에 설비된 점검구멍을 통하여 연결봉들의 동작을 점검할 수 있다. 정비검사중에 연결봉의 전진 후퇴가 원활한지의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휘일체어 겸용 에스컬레이터에는 다수의 스텝들중의 적어도 하나의 스텝에 휘일스톱들을 갖고, 순환식으로 연결이동되는 특수스텝들이 설비되어 있다.
본 발명은 안전을 위하여 휘일체어의 적합하지 않는 탑재위치로 인하여 휘일체어의 무게와 같은 과부하가 발생할 때의 휘일스톱들을 갖는 특수스텝들에 설비된 과부하 흡수시스템에 의해서 과부하를 흡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본 발명의 특징과 이점들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품에 동일 부호를 부여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하에 설명하겠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휘일체어겸용 에스컬레이터의 제1실시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는 휘일체어탑재용 특수스텝들(10,11,12)에 설비된 동력입력을 위한 기어형 로터(30)와 주행로에 위치된 작동장치(13)의 맞물리는 부재(31)만 나타나 있다.
기어형 로터들(30)이 피니온들(14a,14b,14c)대신에 나타나 있고, 맞물리는 부재(31)가 랙(13b)대신에 나타나 있다.이들이외의 전체구성은 제15도-제20도의 것과 같으므로 생략했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맞물리는 부재(31)는 U형 단면을 갖는 옆으로 긴 4각 베이스(32)와 베이스(32)의 凹부에 특정피치를 갖고 서로 평행으로 배치된 다수의 핀들(33)로 된 핀-랙 구조를 갖고 있다. 핀들(33)의 각각은 롤러핀이다. 핀들(33)은 모두 회전자재하게 장착되어 있다.
랙기어의 톱니 대신에 롤러핀들(33)이 사용되는 이 종류의 핀-랙 맞물리는 부재에 물리기 위하여, 종래 기술의 피니온들(14a,14b,14c)대신에 기어형 로터(30)로써 스프로켓이 사용되었다.
종래 기술의 랙가 피니온 대신에 핀-랙 및 스프로켓이 사용되는 경우에 맞물림이 원활하고 파괴되기 쉽지 않다. 또 정비성과 내환경성에 대한 이 점들이 우수하다. 그러나 스프로켓(30)과 핀-랙형 맞물리는 부재(31)중의 롤러핀들(33)로 된 선이 물리기 시작할 때에 스프로켓과 롤러핀의 맞물림이 일치되지 않으면 스프로켓 톱니의 끝들과 롤러핀들이 충돌할 것이다. 따라서 스프로켓과 롤러핀들 모두에 과돠한 힘이 발생되고, 스프로켓의 톱니끝이 정확한 맞물리는 상태로 이동하는데 있어서 롤러핀들 위를 미끌려 갈 때에 큰 잡음을 동반하여 충격이 발생한다.
여기서 그 방지대책으로는 핀-랙형 맞물리는 부재(31)의 다수의 롤러핀들(33)중의 첫째로 기어형 로터(스프로켓)(30)과 물리는 핀(33a)이 판스프링 등의 스프링부재(34)를 거쳐서 베이스(32)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어서 기어형 로터(3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 종류의 구성으로 휘일체어 탑재 운전상태로의 절한시에 특수스텝들쪽의 기어형 로터(30)가 주행로쪽의 작동장치의 맞물리는 부재인 핀-랙(31)의 롤러핀과 맞물리기 시작할 때에 로터(30)의 톱니가 맞물리는 부재(31)의 제1핀(33a)와 충돌한다. 그러면 제1핀(33a)은 스프링부재(34)에 의해서 충돌에서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조용하고 원활한 맞물림을 충돌을 최소화하여 달성할 수 있다. 그리하여 큰 잡음과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휘일체어 탑재에 적합한 조용하고 고도의 안전성을 갖는 에스컬레이터를 얻을 수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기어형로터(스프로켓)(30)는 맞물리는 부재(31)에서 떨어지는 도피이동을 할 수 있도록 맞물리는 부재(31)와 첫째로 접촉하는 위치로 안내되고 지지된다. 즉, 기어형로터(스프로켓)(30)와 안내롤러(35)모두가 연결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거쳐서 수직축선상에서 서로 일정간격(A)을 유지하고 있다. 스프로켓은 특수스텝 내부에 장착되어 특정 스트로크로 횡방향(전진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경사진 凹면(32b)이 핀-랙형 맞물리는 부재(31)의 베이스(32)의 후면의 전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스프로켓인 기어형로터(30)의 톱니가 맞물리는 부재(31)의 제1롤핀과 충돌할 때에,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롤러핀(33a)이 스프링작용에 의해서 충돌에서 피해진다.
이와 동시에, 로터(3)는, 가이드롤러(35)와 함께 가이드롤러(35)와 凹면(32b)간의 간격만큼 롤러핀(33a)으로부터 피하는 C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충돌이 더욱 억제되어 더욱 조용하고 원할한 맞물림이 달성된다. 이와 동시에 베이스(32)의 후면(32a)위를 굴러 가이들롤러(35)의 안내하에 전진 이동함으로써 제2롤러핀 및 후속롤러핀들(33)과 확실하게 맞물린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기어형 로터(30)와 맞물리는 핀-랙형 맞물리는 부재(31)의 제1롤러핀인 롤러핀(33a)을 작은 양인 거리 D만큼 다른 롤러핀들(33)보다도 멀리 기어형 로터(30)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사전에 지지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롤러핀(33a)과 기어형 로터(30)간의 충돌이 감소되는 동시에, 충돌이 발생하여도 제1핀(33a)이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스프링부재(34)의 스프링작용에 의해서 충돌을 피한다. 따라서 충돌이 억제되어 더 조용한 맞물림을 달성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휠체어겸용 에스컬레이터의 전체 구성은 제15도와 같아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그 특수스텝의 실제 구성들과 그들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5도는 특수스텝들이 작동되지 않을 때인 통상 운전시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제6도는 특수스텝들이 작동되어 휘일체어 탑재를 위하여 동작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지지판(26)이 연결봉들(22a)의 상면에 설비되어 있다. 각 지시판(26)은 길이방향으로 백색지지판(26a), 적색지지판(26b) 및 청색지지판(26c)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10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점검구멍(29)이 지지판들(26)상부의 밟는 판(27)의 클리트들(cleats)(28)의 홈내에 설비되어 있어 지시판(26)상의 홈내에 설비되어 있어 지시판(26)상의 색의 차이를 볼 수 있다.
제7도는 특수스텝들(10,11,12)이 작동되고, 휘일체어를 탑재하 수 있는 상태로 경사부를 주행하고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8도 및 제9도는 특수스텝들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제8도는 통상 운전상태이고, 제9도는 휘일체어를 수송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휘일체어 탑재용 공간이 특수스텝들(10,11,12)에 의해서 확보된다.
제8도는 통상 운전상태에 있어서 주로 청색지시판(26c)의 청색을 점검구멍들(29)을 통하여 볼 수 있다. 그리하여 수행인(5)이 연결봉들(22a)이 정확히 후퇴되었음을 이 점검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9도에 나타낸 휘일체어 탑재 운전상태에서는 주로 백색지시판들(26a)의 백색을 점검구멍들(29)을 통하여 볼수 있어 연결봉들(22a)의 정확한 연결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점검구멍들(29)을 통하여 적색판들(26b)의 적색을 볼 수 있을 때에 연결봉들(22a)의 연결 또는 후퇴동작이 정확하게 행해지지 않으면, 도시하지 않은 안전시스템에 의해서 에스컬레이터가 정지된다. 이 때문에 수행인은 에스컬레이터의 정지원인을 즉시 판단할 수 있고, 단시간 내에 정지를 리세트시키는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 주기적 점검 및 정비 주기중에 트러스(1)에서 특수스텝들의 내부기구의 동작을 점검하는데 대한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고, 점검구멍들(29)을 통하여 지시판들(26)의 동작을 점검하는 것만으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효율과 안전 모두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11도-제1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이들 도면중 제15도-제20도의 부품과 동일 부품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들이 설명을 간단화하였다. 제11도(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휘일스톱 시스템을 갖는 스텝의 단면을 나타내고, 제11도(b)는 과부하흡수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제11도에서 36은 휘일스톱이고, 37은 휘일스톱 가이드롤러이고, 38은 휘일스톱(36)과 맞물리는 피니온이고, 39는 피니온(38)과 맞물리는 스퍼기어이고, 40은 스퍼기어(39)의 축이고, 41은 스퍼기어(39)의 축과 동일축에 고착된 베벨기어이고, 42는 베벨기어(41)와 맞물리는 베벨기어이다. 43은 베벨기어축(44)에 장착된 과부하 흡수시스템이고, 허브(43a), 마찰판(43b), 스프링(43c), 압판(43d) 및 너트(43e)로 구성되어 있다. 기어휘일(45)은 마찰판들(43b)사이에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46은 기어휘일(45)과 맞물리는 스퍼기어이다.
제12도는 휘일스톱이 전진된 경우를 나타내고, 제13도는 휘일스톱(36)위에 휘일체어가 탑재된 경우를 나타낸다.
제12도 및 제13도에서 36a는 휘일스톱(36)의 하부를 라이저(49)하측 보다도 더 아래고 연장되어 있는 검출기아암이다. 48은 검출기아암(36b)의 이동로내에 에스컬레이터 트러스(1)에 설비된 리미트스위치이다.
제14도는 에스컬레이터 제어회로의 요부를 나타내고 있다. 50은 에스컬레이터 기동스위치이고, 51은 정지스위치이다. 52는 에스컬레이터 기동릴레이고, 52a는 자기보지용 상시-개 접점들이다. 53은 휘일체어 운전스위치이고, 54는 휘일체어 운전종료 스위치이고, 55는 휘일체어 운전릴레이 이고, 55a는 릴레이(55)의 자기보지용 상시-개 접점들이다. 55b는 상시-폐로 하고, 휘일체어탑재 운전시에만 개방하는 접점들이고, 48b는 리미트스위치(48)의 상시-폐 접점들이다.
이 실시예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하겠다.
제11도-제14도에 있어서, 휘일스톱(36)에 하중에 걸리지 않을 때에 스퍼기어들(45,46)이 피니온(14a)에 가해진 구동입력에 의해서 회전한다. 허브(43a)는 스퍼기어(45)와 마찰판(43b)간의 마찰에 의한 회전력으로 회전된다. 이 회전력을 베벨기어(42),베벨기어(41), 축(40), 스퍼기어(39) 및 피니온(38)으로 전달된다. 검출기아암(36a)은 상승되므로 에스컬레이터가 이 상태로 전진하여도 리미트스위치(48)는 동작하지 않는다.
휘일체어등이 휘일스톱(36)위에 있으면 구동력이 피니온(14c)에 공급되어도 스퍼기어와 마찰판들(43b)간에 슬립이 생겨 휘일스톱(36)이 돌출되지 않는다. 그때에 제13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휘일스톱(36)의 검출기아암(36a)이 하부위치에 있어 에스컬레이터가 전진할 때에 이 검출기아암(36a)이 리미트스위치(48)를 동작시킨다.
이때의 에스컬레이터의 정지동작을 제1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에스컬레이터는 기동스위치(50)에 의해서 기동되고 기동릴레이(52)가 여자되어 자기보지회로가 접점들(52a)에 의해서 형성된다. 휘일체어 동작스위치(53)가 휘일체어 탑재운전으로 절환하기 위하여 폐로 되면 휘일체어 동작릴레이가 여자된다. 이렇게하여 회로(A)의 상시-폐 접점들(55b) 이 개방되어 휘일체어 동작이 개시된다. 이때에 리미트스위치(48)가 상기와 같이 동작하여 그 접점들(48b)이 개방되면 기동릴레이(52) 단전되어 에스컬레이터가 정지된다.
에스컬레이터가 통상 운전시에 그 상태는 제13도와 같다. 즉 리미트스위치(48)가 항상 동작되고 있다. 그러나 이때에 회로(B)의 휘일체어동작 릴레이(55)가 단전되어 회로(A)의 상시-페 접점들(55b)이 폐로 상태로 남아 있다. 그리하여 접점들(48b)이 개방되어도 기동릴레이(52)는 단전되지 않아 에스컬레이터의 운전이 계속될 수 있다.
이와같이 이 실시예가 적용되면 휘일스톱에 과부하가 가해질 때에 과부하흡수시스템에 의해서 휘일스톱이 돌출되게 하는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설계되고, 또 그러한 때에, 에스컬레이터가 자동적으로 정지되게 동작하도록 만들 수 있다.
그리하여 높은 안전도를 갖는 휘일체어 겸용 에스컬레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므로 휘일체어 탑재 운전상태로 절환될 때에, 특수스텝들쪽이 기어형로터들과 주행로쪽의 작동장치의 맞물리는 부재간의 원활한 맞물림이 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큰 잡음과 충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조용하고 고도의 안전도를 갖는 휘일체어 탑재에 적합한 에스컬레이터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발명을 사용하면 원인판단 효율이 향상되고, 에스컬레이터의 성능이 나쁠때의 관찰과 점검효율이 향상되고, 주기적점검 및 정비중에 작업성과 안전도가 향상된 에스컬레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발명을 사용하면 휘일스톱위에 휘일체어가 탑재된 경우에 휘일체어가 위로 밀리거나 뒤집히지 않고 또는 과부하로 되지 않으며, 또 휘일스톱 구동기구가 휘일스톱의 강제돌출로 파손되는 일이 없다. 또, 휘일스톱 돌출동작이 발생되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에스컬레이터가 정지될 수 있다. 따라서 휘일체어 사용자와 에스컬레이터 시스템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각종 개변이 상기 기수들의 도움으로 가능함이 명백하다. 따라서 첨부한 청구범위에서 여기에 특정적으로 설명한 것과 상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무한 형태로 연결된 복수의 스텝들; 상기 스텝들을 위한 주행로를 포함하는 메인프레임(1); 휘일체어 탑재를 위하여 상기 스텝들중에 포함된 복수의 특수 스텝(10,11,12); 및 상기 주행로에 설비되고, 상기 특수스텝들(10,11,12)의 형태를 휘일체어 탑재 운전을 위한 제1상태로 바꾸고, 상기 특수스텝들(10,11,12)의 형태를 통상의 운전을 위한 제2상태로 복귀시키는 작동수단(13)을 구비하고; 상기 특수스템들(10,11,12)의 각각이 기어형 로터(30)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수단(13)이 상기 로터(30)와 맞물리는 부재(31)을 포함하고, 상기 휘일체어 탑재 운전시에 상기 주행로에서 상기 스텝들이 상기 주행로를 주행할 때에 상기 특수스텝들(10,11,12)중의 하나의 스텝의 형태를 상기 제1상태로 바꾸기 위하여 상기 맞물리는 부재(31)과 맞물려 상기 기어형 로터(30)가 회전되고;상기 맞물리는 부재(31)가 베이스(32)와 상기 기어형로터(30)와 맞물리게 하기 위하여 특정피치로 상기 베이스(32)위에 평행으로 배치된 복수의 핀(33)들을 포함하고, 상기 기어형로터(30)와 첫째로 맞물리는 상기 핀(33a)이 기어형로터(30)로부터 변위가가능하게 상기 베이스(32)위에 배치된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일체어 겸용 에스컬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리는 부재(31)가 스프링부재(34)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어형 로터(30)와 첫째로 맞물리는 상기 핀(33a)이 상기 스프링링부재(34)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32)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일체어겸용 에스컬레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형 로터(30)가 상기 맞물리는 부재(31)로부터 떨어지게 피하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맞물리는 부재(31)와 첫째로 접촉하는 위치로 안내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일체어 겸용 에스컬레이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리는 부재(31)의 상기 베이스(32)에서, 경사진 凹면이 상기 맞물리는 부재(31)와 상기 첫째로 접촉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일체어겸용 에스컬레이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형 로터(30)와 첫째로 맞물리는 상기 핀(33a)이 상기 다른 핀(33)들보다도 약간 더 뒤로 물러난 위치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일체어겸용 에스컬레이터
  6. 무한형태로 연결된 복수의 스텝들; 상기 스텝들을 위한 주행로를 포함하는 메인프레임(1); 휘일체어를 탑재하기 위하여 상기 스텝들중에 포함된 인접하는 적어도 2개의 특수스텝(11,12)들; 상기 주행로에 설비되어, 상기 특수스텝들(11,12)의 형태를 휘일체어 탑재 운전을 위한 제1상태로 바꾸거나, 통상의 운전을 위한 제2상태로 복귀시키는 작동수단(13)과; 상기 특수스텝들중의 제1특수스텝(11)이 상기 특수스텝들중의 제2특수스텝(12)과 맞물리기 위한 연결수단(22)을 포함하여; 상기 휘일체어 탑재 운전시에 상기 주행로에서 상기 스텝들이 주행하고 있을 때에 상기 휘일체어를 탑재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특수스텝(11)중의 상기 연결수단(22)이 상기 작동수단(13)에 의해서 작동되고, 상기 제1 및 제2특수스텝들(11,12)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봉(22a)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봉(22a)의 동작을 점검하기 위하여, 상기 제1특수스텝(11)이 그안에 점검구멍(29)을 갖는 밟는 판(27)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일체어겸용 에스컬레이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22)은, 싱기 연결봉(22a)의 상면에 설비되어 상기 점검구멍(29)을 통하여 상기 연결봉(22a)의 동작을 점검할 수 있는 지시판(2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일체어겸용 에스컬레이터
  8. 무한형태로 연결된 복수의 스텝; 상기 스텝들을 위한 주행로를 포함하는 메인프레임(1); 휘일체어를 탑재하기 위하여 상기 스텝들중에 포함된 복수의 특수스텝; 상기 주행로에 설비되어, 상기 특수스텝들의 형태를 휘일체어 탑재 운전을 위한 제1상태로 바꾸거나, 통상의 운전을 위한 제2상태로 복귀시키는 작동수단(13)을 포함하며; 상기 특수스텝중의 하나의 스텝(12)이 상기 휘일체어 탑재 운전시에 상기 주행로에서 상기 스텝들이 주행하고 있을 때에 상기 휘일체어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밟는 판(27)과 상기 밟는 판(27)으로 돌출하는 상기 작동수단(13)에 의해서 작동되는 휘일스톱(36)을 포함하고, 상기 특수스텝들중의 상기 하나의 스텝(12)이, 상기 휘일체어 탑재 운전시에 상기 주행로에서 상기 스텝들이 주행하고 있을 때에도, 과부하가 상기 휘일스톱(36)에 가해질 때에 상기 휘일스톱(36)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과부하 흡수수단(4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일체어겸용 에스컬레이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휘일스톱(36)에 상기 과부하가 가해질 때에 상기 휘일겸용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키는 정지수단(4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일체어겸용 에스컬레이터
KR1019930024661A 1992-11-18 1993-11-18 휘일체어겸용 에스칼레이터 KR01318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307432 1992-11-18
JP30743292A JPH06156964A (ja) 1992-11-18 1992-11-18 車いす兼用エスカレーター
JP11941593A JPH06329383A (ja) 1993-05-21 1993-05-21 車椅子兼用エスカレータ
JP93-119415 1993-05-21
JP93-160665 1993-06-30
JP5160665A JPH0710447A (ja) 1993-06-30 1993-06-30 エスカレ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333A KR940011333A (ko) 1994-06-21
KR0131866B1 true KR0131866B1 (ko) 1998-04-11

Family

ID=27313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4661A KR0131866B1 (ko) 1992-11-18 1993-11-18 휘일체어겸용 에스칼레이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353907A (ko)
EP (1) EP0599556A3 (ko)
KR (1) KR01318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9049A (ko) * 2014-05-30 2015-12-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에스컬레이터의 장애인 탑승모드 전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2773A (en) * 1994-11-30 1998-09-08 Pingel; Nathan W. Handicap accessible stair
AU737547B2 (en) * 1997-06-17 2001-08-23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Passenger Transportation conveyor apparatus
ES2323442B1 (es) 2008-01-14 2010-03-16 Jesus Sanchez Piñeiro Escalera mecanica.
US10954102B2 (en) 2017-01-26 2021-03-23 Otis Elevator Company Diagnostic step for a passenger conveyor
US10414632B1 (en) * 2019-05-13 2019-09-17 Constanza Terry Escalator system for facilitating the transport of good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2487A (ja) * 1983-08-30 1985-03-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スカレ−タ装置
JPS60223782A (ja) * 1984-04-19 1985-11-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スカレ−タ装置
JPS61178391A (ja) * 1985-01-31 1986-08-11 三菱電機株式会社 身体障害者用エスカレ−タの安全装置
KR920007805B1 (ko) * 1988-06-09 1992-09-17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휠체어 승용계단이 부가된 에스컬레이터
JP2570392B2 (ja) * 1988-06-30 1997-01-08 三菱電機株式会社 車椅子乗用踏段付エスカレータ
JPH01275397A (ja) * 1989-03-10 1989-11-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スカレータ装置
JP2695677B2 (ja) * 1989-05-31 1998-01-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装置
WO1991003417A1 (en) * 1989-09-07 1991-03-21 Masao Kubota Conveying machine
JP2508346B2 (ja) * 1990-02-27 1996-06-19 三菱電機株式会社 車椅子乗用ステップ付エスカレ―タ装置
JP2573740B2 (ja) * 1990-11-08 1997-01-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装置
DE4301665C2 (de) * 1992-01-23 1996-11-14 Toshiba Kawasaki Kk Rolltreppeneinricht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9049A (ko) * 2014-05-30 2015-12-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에스컬레이터의 장애인 탑승모드 전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99556A3 (en) 1994-06-08
EP0599556A2 (en) 1994-06-01
US5353907A (en) 1994-10-11
KR940011333A (ko) 1994-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65424B (zh) 一种平层防误移自锁电梯
JP3474870B2 (ja) 昇降機
US5435428A (en) Escalator apparatus
JP2004352506A (ja) エレベータ設備に保護帯域を形成するためのバッファを備えたエレベータ設備および保護帯域形成方法
US5234078A (en) Collapsing stair lift
KR0131866B1 (ko) 휘일체어겸용 에스칼레이터
KR960006519B1 (ko) 에스칼레이터 장치
KR920007805B1 (ko) 휠체어 승용계단이 부가된 에스컬레이터
JP2570392B2 (ja) 車椅子乗用踏段付エスカレータ
KR100622395B1 (ko) 자기부상열차 선로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 난간구조물
EP0749932A2 (en) Dual-purpose escalator for wheelchair
EP0749933A2 (en) Dual-purpose escalator for wheelchair
JP3261135B2 (ja) エスカレータ用踏段プラットホーム
JPH07179285A (ja) 車用踏段付エスカレータ装置
JP2569204B2 (ja) エスカレータ装置
JP2529758B2 (ja) エスカレ―タ装置
JP2509366B2 (ja) エスカレ―タ装置
JP7324434B1 (ja) エレベータ
JP2572169B2 (ja) エスカレータ装置
JP3046440B2 (ja) エスカレータ装置
JP2552753B2 (ja) エスカレータ装置
JP2768214B2 (ja) エスカレータの車止め装置
JP2744148B2 (ja) エスカレータ装置
JP2527254B2 (ja) エスカレ―タ装置
JP2509367B2 (ja) エスカレ―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