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305B1 - 자기 기록 매체용 결합제 및 자기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자기 기록 매체용 결합제 및 자기 기록 매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305B1
KR0127305B1 KR1019890007109A KR890007109A KR0127305B1 KR 0127305 B1 KR0127305 B1 KR 0127305B1 KR 1019890007109 A KR1019890007109 A KR 1019890007109A KR 890007109 A KR890007109 A KR 890007109A KR 0127305 B1 KR0127305 B1 KR 0127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obetaine
binder
magnetic recording
urethane resin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7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8921A (ko
Inventor
히로유키 시라키
카쯔히로 히라타
Original Assignee
우메모토 요시마사
다께다 야쿠힝 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메모토 요시마사, 다께다 야쿠힝 코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우메모토 요시마사
Publication of KR900018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8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3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6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 G11B5/70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 G11B5/70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bonding ag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6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 G11B5/70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 G11B5/70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bonding agent
    • G11B5/702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bonding agent containing polyesters, polyethers, silicones, polyvinyl resins, polyacrylresins or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6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 G11B5/70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 G11B5/70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bonding agent
    • G11B5/702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bonding agent containing a polyurethane or a polyisocyan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0Magnetic fe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10T428/264Up to 3 mils
    • Y10T428/2651 mil or 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10T428/31609Particulate metal or metal compound-contai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자기 기록 매체용 결합제 및 자기 기록 매체
본 발명은 자기(magnetic) 테이프 및 자기 디스크와 같은 자기 기록 매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결합제와, 상기 결합제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되는 자기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니트로셀룰로오스,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비닐 클로라이드-비닐아세테이트-비닐 알콜 공중합체 등이 자기 기록 매체용 결합제로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고성능의 자기 기록 매체를 제조하기 위해 자화능이 더 크고 입도가 더 미세한 자성 분말(磁性粉末)을 사용하는 최근의 경향으로 인해, 전술한 결합제들로는 충분한 분산성, 표면 평활성 및 내구성을 거의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초미립형 자성 분말의 사용 방법에 대처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결합제 성분으로서 설폰산 금속염 원자단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일본국 특허 공개 제57-3134호), 또는 설폰산 금속염 원자단 함유 폴리우레탄 수지(일본국 특허 공개 제58-41565호)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친수성의 극성기를 가진 상기 설폰산 금속염 원자단 함유 결합제는 극성기를 함유하지 않은 결합제에 비해 실로 향상된 분산성을 갖고 있지만, 아직까지 그 분산성은 만족스럽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여 자성 분말을 분산시키는 탁월한 능력이 있고 표면 평활성 및 내구성면에서 우수한 자성층을 제공하는 결합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연구 결과로서, 본원 발명자들은 설포베타인 함유 우레탄 수지가 초미립자 자성 분말까지도 우수하게 분산시켜 우수한 표면 평활성 및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이러한 발견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다음 사항에 관한 것이다.
1. 설포베타인 함유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자기 기록 매체용 결합제와,
2. 설포베타인 함유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자기 기록 매체용 결합제에 결합된 자성층이 있는 자기 기록 매체.
상기 수지 중의 설포베타인 부분(들)의 함량은 약 1 내지 1,000당량/106g이다.
우레탄 수지는, 예를 들면 폴리히드록시 화합물(들)을 폴리이소시아네이트(들)과 반응시킴으로써 생성시킬 수 있고, 상기 폴리히드록시 화합물(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설포베타인 함유 폴리히드록시 화합물(들)로 치환시킴으로써 상기 우레탄 수지 내에 설포베타인을 도입시킬 수 있다. 설포베타인 함유 폴리히드록시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히드록시기가 2개 이상인 3차 아민(예 : N-메틸디에탄올아민, N-메틸디에탄올아민-에틸렌 옥사이드 부가 생성물, N-메틸 디에탄올아민-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 생성물, 아닐린-에틸렌 옥사이드 부가 생성물, 아닐린-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 생성물 등)과 하기 일반식의 설톤(sultone)(예 : 1,3-프로판설톤 등)으로부터 얻어진 반응 생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Figure kpo00001
상기 식에서, -R-는 탄소 원자 수가 1 내지 20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개인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기이며, n은 2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의 정수이다.
또한, 설포베타인 함유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이 폴리히드록시 화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설포베타인 함유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상기 반응에서 얻어진 설포베타인 함유 폴리히드록시 화합물(들), 설포베타인 부분을 갖지 않은 글리콜 성분(들) 및 카르복실산 성분(들)로부터 통상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에스테르화 반응에 사용되는 설포베타인 부분을 갖지 않는 글리콜 성분으로서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비스페놀 A-에틸렌 옥사이드 부가 생성물, 비스페놀-A-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 생성물, 수소화 비스페놀 A-에틸렌 옥사이드 부가 생성물, 수소화 비스페놀 A-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 생성물,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및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을 들 수 있다. 트리올 및 테트라올(예 : 트리메틸올 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린 및 펜타에리트리톨) 등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예 :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1,5-나프탈산), 방향족 히드록시카르복실산(예 : p-히드록시 벤조산 및 p-(히드록시에톡시)벤조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예 : 숙신산, 아디핀산, 아젤라인산, 세바신산 및 도데칸디카르복실산), 그리고 트리- 및 테트라카르복실산(예 : 트리멜리트산, 트리메신산 및 피로멜리트산)을 들 수 있다.
전술한 설포베타인 함유 우레탄 수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히드록시 화합물 중에서, 분자량이 500 내지 30,000인 장쇄(長鎖)의 디올과 분자량이 약 60 내지 400인 단쇄(短鎖)의 글리콜로 이루어진 혼합물이 설포베타인 부분을 갖지 않는 폴리히드록시 화합물로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장쇄의 디올로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디올, 폴리카르보네이트 디올 및 폴리에테르 디올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폴리에스테르 디올의 예로서는, 다염기산(예 : 아디핀산, 숙신산, 아젤라인산, 세바신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또는 테레프탈산)과 다가 알콜(예 : 1,4-부탄디올, 1,3-부탄 디올,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트리메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1,6-헥산디올 또는 네오펜틸 글리콜)의 중축합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폴리에스테르 디올, 그리고 락톤(예 : ε-카프로락톤)의 개환(開環) 중합 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락톤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에스테르 디올을 들 수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 디올로서는, 예컨대 1,6-헥산디올과 디에틸 또는 디페닐 카르보네이트의 중축합 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디올이 적합하다. 폴리에테르 디올로서는, 폴리에틸렌 에테르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에테르 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 및 이들의 공중합된 폴리에테르 글리콜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분자량이 60 내지 400인 단쇄 디올의 예로서는,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1,4-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시클로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비스페놀 A-에틸렌 옥사이드 부가 생성물, 비스페놀 A-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 생성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올이외에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3-메틸-1,3,5-펜탄트리올과 같은 트리올을 사용할 수 있다. 단쇄 디올의 비율은 분자량 및 장쇄 디올의 종류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장쇄 디올 1몰에 대하여 약 0.1 내지 10몰이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폴리히드록시 화합물과 반응시킬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방향족, 지방족, 지환족 또는 아랄리파틱(araliphaatic)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일 수 있다. 적합한 예를 들자면,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예 : 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ω,ω'-디이소시아네이토디메틸시클로헥산, 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ω,ω'-디이소시아네이토디메틸 벤젠, 메틸시클로헥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상기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들의 중합체와, 과량의 상기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활성 수소 함유 저분자량 화합물(예 :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트리메틸올 프로판, 헥산트리올, 글리세린, 소르비톨, 펜타에리트리톨, 피마자유, 에틸렌 디아민, 헥사메틸렌 디아민,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물, 암모니아 또는 우레아), 또는 활성 수소 함유 고분자량 화합물(예 : 각종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아크릴릭 폴리올 및 이들의 뷰렛 또는 알로파네이트 유도체)와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설포베타인 함유 우레탄 수지는, 1종 이상의 설포베타인 함유 폴리히드록시 화합물, 또는 1종 이상의 설포베타인 함유 히드록시 화합물과 1종 이상의 설포베타인 부재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의 혼합물을 1종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와, 용매 중에서 또는 용매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중의 NCO기/폴리히드록시 화합물 중의 OH기의 비율로 환산하여 약 0.7 내지 1.2/1의 혼합비로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설포베타인 함유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은 우레탄 수지 중의 설포베타인 함량이 약 1 내지 1000당량/106g이 될 수 있을 정도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포베타인 함량이 1당량/106g 이하일 경우, 우레탄 수지는 경우에 따라 강자성 분말의 분산성에 대해 충분한 효과를 발생할 수 없다. 한편, 상기 함량이 1000당량/106g 이상일 경우에는, 분자간 또는 분자내 응집이 쉽게 발생하여 분산성에 대해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 반응을 실시함에 있어서, 옥탄산주석(Ⅱ), 디라우르산디부틸주석, 3차 아민 등과 같은 공지의 우레탄 결합 형성 촉매를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은 불활성 용매, 예를 들면 방향족 용매(예 : 톨루엔, 크실렌 또는 벤젠), 케톤 용매(예 :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또는 시클로헥산온), 할로겐화 탄화수소(예 : 디클로로메탄 또는 1,1,1-트리클로로에탄), 아세테이트 용매(예 : 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 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또는 부틸 아세테이트), N,N-디메틸 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디-n-부틸 에테르 중에서 수행할 수 있다. 용매는, 고형분 함량이 약 20 내지 80중량%가 되는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설포베타인 함유 우레탄 수지는 필요에 따라 상기 반응에서 사용된 용매로 희석시킬 수 있다. 우레탄 수지는 분자량이 약 5,000 내지 200,000, 바람직하게는 약 10,000 내지 100,000이고, 분자 내의 설포베타인 부분의 존재 때문에 자성 분말에 대한 친화도가 크게 향상되므로 만족할 만한 정도로 큰 자화량(磁化量)을 나타내는 초미립형 자성 분말(들)까지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우레탄 수지는 전술한 수지 2종 이상의 혼합물 또는 전술한 수지 1종 이상과 또 다른 수지 또는 기타 수지와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기타의 수지로서는, 염화점 150℃ 이상, 평균 분자량 10,000 내지 200,000 및 중합도 약 200 내지 2,000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는데, 그 예를 들자면 비닐 클로라이드-비닐리덴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비닐 클로라이드-아크릴로 니트릴 공중합체,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중합체,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비닐리덴 클로라이드-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부타디엔 및 기타 합성 고무형 열가소성 수지이다. 또한, 그 밖의 예로는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 멜라민 수지, 알키드 수지, 실리콘 수지, 반응성 아크릴 수지, 에폭시-폴리아미드 수지, 니트로셀룰로오스-멜라민 수지, 고분자량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 초기 중합체의 혼합물, 메타크릴레이트 염 공중합체와 디이소시아네이트 초기 중합체의 혼합물,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 저분자량 글리콜/고분자량 디올/트리페닐메탄 트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 폴리아민 수지, 이들의 혼합물 및 열경화성 수지와 반응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수지 중에서 강자성 분말을 우수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수지들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들은 1개 또는 그 이상의 카르복실, 설폰산 금속염,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아미노 및/또는 4차 암모늄염 원자단을 함유할 수 있다.
강자성 분말을 그와 같이 하여 얻은 자기 기록 매체용 결합제에 분산시키고, 필요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은 용매에 용해시켜서, 그 결과로 형성된 조성물을 비자성 지지체에 도포하면 자성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 사용되는 강자성 분말로서는, 강자성 산화철 입자, 코발트 첨가 강자성 산화철 입자, 강자성 이산화크롬, 강자성 합금 분말, 육방형(hexagonal) 아철산바륨 미립자, 질화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자성층은 결합제 및 강자성 미세 분말 외에도, 분산제, 윤활제, 연마제, 대전 방지제, 방청제, 경화 촉매 등과 같은 첨가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분산제로는, 탄소 원자 수가 12 내지 18개인 지방산(R-COOH, 이때, R는 탄소 원자 수가 11 내지 17개인 알킬 또는 알케닐기임), 예를 들면 카프릴산, 카프린산,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엘라이딘산, 리놀린산, 리놀렌산, 또는 스테아롤산, 상기 지방산의 금속 비누염, 즉 알칼리 금속(Li,Na,K 등)의 염 또는 알칼리토 금속(Mg,Ca,Ba)의 염, 상기 지방산의 플루오르함유 에스테르 유도체, 상기 지방산의 아미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알킬-포스페이트 에스테르, 트리알킬-폴리올레핀옥시-4차 암모늄염(이때, 알킬은 탄소 원자 수가 1 내지 5개이고, 올레핀은 에틸렌, 프로필렌 등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탄소 원자 수가 12개 이상인 고급 알콜 및 이의 설페이트 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윤활제로는 실리콘 오일[예 : 디알킬폴리실록산(이때, 알킬은 탄소 원자 수가 1 내지 5개임), 디알콕시폴리실록산(이때, 알콕시는 탄소 원자 수가 1 내지 4개임), 모노알킬모노알콕시 폴리실록산(이때, 알킬은 탄소 원자 수가 1 내지 5개, 알콕시는 탄소 원자 수가 1 내지 4개임), 페닐폴리실록산 및 플루오로알킬 폴리실록산(이때, 알킬은 탄소 원자 수가 1 내지 5개임), 전기 전도성 미분말(예 : 그래파이트), 무기 미립자(예 : 이황화몰리브덴 및 이황화텅스텐), 플라스틱 미분말(예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및 폴리테트라플루오에틸렌, α-올레핀 중합체, 상온에서 액체인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말단 탄소원자에 결합된 n-올레핀 이중 결합이 있고, 탄소 원자 수가 약 20개인 화합물). 탄소 원자 수가 12 내지 20개인 1 염기 지방산 및 탄소 원자 수가 3 내지 12개인 1가 알코올로 구성된 지방산 에스테르 및 플루오로카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연마제로서는 통용되는 연마 재료, 예를 들면 용융 알루미나, 실리콘 카바이드, 산화크롬(Cr2O3), 코런덤, 인조 코런덤, 다이아몬드, 인조 다이아몬드, 가네트, 에머리(주성분 : 코런덤 및 마그네타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대전 방지제로서는 전기 전도성 미분말(예 : 카본블랙 및 카본블랙그래프트 중합체), 천연 계면 활성제(예 : 사포닌),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예 : 알킬렌 옥사이드계 계면 활성제, 글리세린계 계면 활성제 및 글리시돌계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예 : 고급 알킬아민, 4차 암모늄염, 피리딘 및 기타 헤테로시클릭 화합물 및 포스포늄염), 산성기(예 : 카르복실산, 설폰산, 인산, 설페이트 에스테르 또는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원자단)를 함유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쪽성 계면 활성제(예 : 아미노산, 아미노설폰산, 아미노알콜의 설페이트 또는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청제로서는 인산, 설파미드, 구아니딘, 피리딘, 아민, 우레아, 크롬산 아연, 크롬산칼슘, 크롬산스트론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증기상의 부식 억제제(아민, 아미드 또는 아미드의 무기산염 또는 유기산염), 예컨대 디시클로헥실아민 나이트라이트, 시클로헥실 아민 크로메이트, 디이소프로필아민 나이트라이트, 디에탄올아민 포스페이트, 시클로헥실암모늄 카르보네이트, 헥사메틸렌디아민, 카르보네이트, 프로필렌디아민 스테아레이트, 구아니딘 카르보네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나이트라이트 및 모르폴린 스테아레이트 등이 향상된 방청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자기 기록 매체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자성(磁性) 페인트 조성물 중에 경화제 성분으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가끔 배합된다.
상기 경화제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이소시아네이트기가 2개 이상인 저분자량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이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전술한 우레탄 수지의 제조에 사용 가능한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중합체, 과량의 상기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활성 수소 함유 저분자량 화합물(예 :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헥산트리올, 글리세린, 소르비톨, 펜타에리트리톨, 피마자유, 에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물, 암모니아 또는 우레아), 또는 활성 수소 함유 고분자량 화합물(예 : 각종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아크릴 폴리올)의 반응에 의해 얻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뿐만 아니라 이들의 뷰렛(biuret) 또는 알로파네이트(allophanate) 유도체가 적합하다. 이들은 분자량이 약 150 내지 7,000이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불활성 용매, 예를 들면 방향족 용매(예 : 톨루엔, 크실렌 또는 벤젠), 케톤 용매(예 :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또는 시클로헥산온), 할로겐화 탄화수소(예 : 디클로로메탄 또는 1,1,1-트리클로로에탄), 아세테이트 용매(예 : 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 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또는 부틸 아세테이트), N,N-디메틸 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디-n-부틸 에테르 용매 중의 용액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일반적으로 고형분 함량이 약 20 내지 80중량%가 될 수 있을 정도의 양으로 사용된다.
상기 우레탄 수지/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비는 특정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당 약 3 내지 80중량부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 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우레탄 수지의 제조와 관련하여 언급된 촉매들이 사용될 수 있다.
비자성 지지체 물질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예 :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2,6-나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예 :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셀룰로오스 유도체(예 :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비닐 수지(예 :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및 플라스틱류(예 :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및 폴리아미드이미드)를 들 수 있다. 특수한 경우에 있어서, 알루미나, 구리, 주석 및 아연과 같은 비자성 금속, 또는 이들을 함유한 비자성 합금, 유리, 도자기 및 자기를 비롯한 세라믹 및 종이류(예를 들면, 바리타로 피복되거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에틸렌-부텐 공중합체와 같은 α-폴리 C2-10-올레핀으로 피복되거나 적층된 종이)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비자성 지지체는 필름, 테이프, 시이트, 디스크, 카드, 드럼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피복층 조성물은 건조 후의 필름 두께가 약 0.1 내지 50㎛가 될 정도의 양으로 비자성 지지체에 도포된다.
친수성 극성기인 설포베타인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우레탄 수지는 자성 분말에 대해 친화도가 가일층 향상된다. 그러므로, 이것을 결합제로서 사용함으로써 입도가 초미립성이며 자화량이 큰 자성 분말의 우수한 분산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제는 자기 테이프 및 자기 디스크와 같은 자기 기록 매체의 제조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설포베타인 함유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의 합성예
1. 교반기, 온도계 및 환류 응축기가 구비된 반응 용기에 벤젠 120.15g, N-메틸디에탄올아민 119.16g 및 1,3-프로판설톤 61.07g을 투입하였다.
그 혼합물을 35℃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생성된 백색 결정질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테트라하이드로 푸란으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켜 백색 결정체(A) 118.2g을 얻었다.
FT-NMR 분석(400MHz) 결과, 생성물(A)는 하기 구조식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kpo00002
2. 교반기, 온도계 및 부분 환류 응축기가 구비된 반응 용기에 아디핀산 182.6g, 이소프탈산 207.6g, 에틸렌 글리콜 95.0g, 1,6-헥산디올 233.9g 및 상기 방법(1)에 의해 얻은 생성물(A) 24.13g을 투입하였다. 온도 160∼220℃에서 에스테르화 반응을 실시하여 OH가가 187인 폴리에스테르 폴리올(B)를 얻었다.
3. 아디핀산 329.8g, 이소프탈산 374.9g, 에틸렌 글리콜 179.0g, 네오펜틸 글리콜 292.6g 및 상기 생성물(A) 4.82g을 사용하여 상기 방법(2)에 따라 반응시켜서, OH가가 114인 폴리에스테르 폴리올(C)를 얻었다.
4. 아디핀산 329.8g, 이소프탈산 374.9g, 에틸렌 글리콜 171.9g, 네오펜틸 글리콜 286.9g 및 상기 생성물(A) 24.13g을 사용하여 상기 방법(2)에 따라 반응시켜 OH가가 110인 폴리에스테르 폴리올(D)를 얻었다.
우레탄 수지의 합성예
1. 교반기, 온도계 및 환류 응축기가 구비된 반응 용기에 아디핀산과 1,4-부탄디올로부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OH가=115.3) 262.8g, 폴리에스테르 폴리올(B) 138g, 비스페놀 A-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 생성물(OH가=311.7) 46.8g,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150g, 메틸 에틸 케톤 697.2g, 톨루엔 697.2g 및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0.2g을 투입하였다. 내용물을 80℃에서 점도가 일정하게 될 때까지 교반시켜 본 발명에 따른 우레탄 수지(Ⅰ)을 마련하였다. 생성된 우레탄 수지는 설포베타인 함량이 35당량/106g이고, 분자량은 33,000이었다.
2. 폴리카르보네이트 디올(Daicel의 Placcel CD210 ; OH가=107.6) 521.4g, 폴리에스테르 폴리올(B) 300g, 트리메틸올프로판 8.9g, 1,4-부탄디올 48.2g, TDI-80 163.5g,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128.1g, 메틸 에틸 케톤 585g, 톨루엔 585g 및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0.23g을 사용하여 상기 방법(1)에 따라 반응시켜 우레탄 수지(Ⅱ)를 얻었다. 설포베타인 함량은 40당량/106g이고, 분자량은 1,500이었다.
3. 폴리에스테르 폴리올(C) 500g, 1,4-부탄디올 9.7g, TDI-80 104.5g, 메틸 에틸 케톤 716.8g, 톨루엔 716.8g 및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0.2g을 사용하여 상기 방법(1)에 따라 우레탄 수지(Ⅲ)을 얻었다. 생성물은 설포베타인 함량이 16당량/106g이고, 분자량은 68,000이었다.
4. 폴리에스테르 폴리올(D) 510g, 1,4-부탄디올 4.95g, 비스페놀 A-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 생성물(OH가=311.7) 19.8g, 메틸 에틸 케톤 745.8g, 톨루엔 745.8g 및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0.21g을 사용하여 상기 방법(1)에 따라 우레탄 수지(Ⅳ)를 얻었다. 생성물은 설포베타인 함량이 78당량/106g이고, 분자량은 58,000이었다.
실시예 1∼4
Co 함유 γ-Fe2O3400중량부
우레탄 수지(Ⅰ),(Ⅱ),(Ⅲ),(Ⅳ) 50중량부(고체로서)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50중량부
비닐 알콜 공중합체(UCC'S VAGH)
스테아르산 4중량부
스테아르산 부틸 4중량부
메틸 에틸 케톤300중량부
메틸 이소부틸 케톤300중량부
톨루엔300중량부
상기 조성물을 분산시키기 위해 48시간 동안 볼밀(ball mill)에서 혼련시킨 다음, 필터에 통과시키고, 폴리 이소시아네이트(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 생성물 ; Takenate E-31 ; Takeda Chemical Industries의 제품) 25중량부를 보충 첨가하였다. 전체 조성물을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형성된 자성 페인트를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한 후, 자기장 내에서 연신 처리하여 건조시킨 후 수퍼-캘린더 처리하고 2일 동안 60℃에서 경화시켰다. 몇가지 성질의 측정 결과가 하기 표 1에 나타나 있다.
비교 실시예 1
극성기가 없는 우레탄 수지(Ⅴ)를 상기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우레탄 수지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들의 방법을 반복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나 있다.
비교 실시예 2
설폰산나트륨염 부분이 30당량/106g인 우레탄 수지(Ⅵ)를 상기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우레탄 수지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들의 방법을 반복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나 있다.
Figure kpo00003
(1) 표면 광택도
광택계(Suga Shikenki)에 의해 제작됨) 상에서의 반사광의 양을 근거로 하여 측정한 것.
(2) 직각도(Squareness)
진동 시료형 자력계(Toei Kogyo에 의해 제작됨) 상에서 측정한 것.
상기 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설포베타인 함유 우레탄 수지를 사용하면, 자성 분말의 분산성이 더욱 우수해지며, 제조된 자기 기록 매체는 가일층 개선된 표면 특성과 자기 특성을 갖는다는 것이 밝혀지게 되었다.

Claims (8)

  1. 설포베타인 함량이 약 1 내지 1,000당량/106g인 설포베타인 함유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자기 기록 매체용 결합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수지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일부가 설포베타인 함유 폴리히드록시 화합물로 대체된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것인 자기 기록 매체용 결합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포베타인 함유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은 히드록시기가 2개 이상인 3차 아민과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설톤의 반응 생성물인 것과 자기 기록 매체용 결합제.
    Figure kpo00004
    상기 식에서, -R-는 탄소 원자 수가 1 내지 20개인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기이며, n은 2 내지 20의 정수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포베타인 함유 우레탄 수지는 연화점이 150℃ 이상, 평균 분자량이 10,000 내지 200,000 및 중합도가 약 200 내지 2,000인 열가성 수지와 혼합하여 사용되는 것인 자기 기록 매체용 결합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비닐 아콜 중합체인 것인 자기 기록 매체용 결합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포베타인 함유 우레탄 수지는 경화제인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혼합하여 사용되는 것인 자기 기록 매체용 결합제.
  7. 설포베타인 함유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자기 기록 매체용 결합제에 의해 결합된 자성층을 가진 것이 자기 기록 매체.
  8. 제7항에 있어서, 건조 후의 필름 두께가 약 0.1 내지 50㎛가 되는 양의 설포베타인 함유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결합제를 비자성 지지체에 피복하여 제조되는 것인 자기 기록 매체.
KR1019890007109A 1988-05-27 1989-05-27 자기 기록 매체용 결합제 및 자기 기록 매체 KR01273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30970 1988-05-27
JP130970/1988 1988-05-27
JP13097088 1988-05-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921A KR900018921A (ko) 1990-12-22
KR0127305B1 true KR0127305B1 (ko) 1997-12-29

Family

ID=15046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7109A KR0127305B1 (ko) 1988-05-27 1989-05-27 자기 기록 매체용 결합제 및 자기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401571A (ko)
EP (1) EP0343576B1 (ko)
JP (1) JP2802389B2 (ko)
KR (1) KR0127305B1 (ko)
AU (1) AU616516B2 (ko)
CA (1) CA1338676C (ko)
DE (1) DE6891720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8228A (ja) * 1988-10-18 1990-04-20 Konica Corp 磁気記録媒体
JP2660589B2 (ja) * 1989-12-18 1997-10-08 日本ポリウレタン工業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用ポリウレタン樹脂バインダーの製造方法
JP2651729B2 (ja) * 1989-12-29 1997-09-10 日本ポリウレタン工業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用ポリウレタン樹脂バインダーの製造方法
US5415941A (en) * 1990-12-25 1995-05-16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Magnetic recording medium comprising magnetic particles and a specified polyurethane resin
JPH04286716A (ja) * 1991-03-15 1992-10-12 Teijin Memory Media Kk 可撓性磁気ディスク
US5652320A (en) * 1994-10-11 1997-07-29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Polymer containing N-sulfoamino group, fiber formed therefrom, and magnetic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e same
US5654480A (en) * 1995-05-19 1997-08-05 Rhone-Poulenc Surfactants & Specialties, L.P. Recovery and reuse of surfactants from aqueous solutions
US6013185A (en) * 1997-09-25 2000-01-11 Rhodia Inc. Recovery and reuse of nonionic surfactants from aqueous solutions
DE10064889A1 (de) 2000-12-23 2002-07-18 Agfa Gevaert Nv Aufzeichnungsmaterial mit negativ arbeitender, strahlungsempfindlicher Schicht, die Zusätze zur Förderung der Entwickelbarkeit enthält
JP3927469B2 (ja) * 2002-08-12 2007-06-06 日本電産株式会社 自動平衡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9808560B2 (en) 2013-03-01 2017-11-07 University of Pittsburgh—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Biodegradable, non-thrombogenic elastomeric polyurethanes
WO2023224879A1 (en) * 2022-05-16 2023-11-23 Trustees Of Tufts College Cross-linkable and charged zwitterionic polymers and membranes compri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11912A (en) * 1965-04-21 1968-11-19 Eastman Kodak Co Novel polymers and their use in photographic applications
JPS523815B2 (ko) * 1974-04-10 1977-01-31
JPS5329188B2 (ko) * 1974-04-10 1978-08-18
US4152485A (en) * 1977-08-05 1979-05-01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Magnetic recording medium
JPS58108595U (ja) * 1982-01-16 1983-07-23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作業用機械
JPS58179936A (ja) * 1982-04-14 1983-10-21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磁気記録媒体
DE3303156A1 (de) * 1983-01-31 1984-08-02 Hoechst Ag, 6230 Frankfurt Weichmacherhaltige polyvinylbutyralfolien mit reduziertem haftvermoegen an glas
US4507458A (en) * 1983-04-14 1985-03-26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Urethane acrylate compositions
JP2557615B2 (ja) * 1983-09-16 1996-11-27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GB8402801D0 (en) * 1984-02-02 1984-03-07 Ici Plc Dispersion
JPS626429A (ja) * 1985-07-02 1987-01-13 Sony Corp 磁気記録媒体
JPH0740345B2 (ja) * 1985-10-15 1995-05-01 ソニー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
AU2280888A (en) * 1987-10-12 1989-04-13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Polyurethane resins having mercapto groups, use in magnetic recording medium
JPH01223624A (ja) * 1988-03-02 1989-09-06 Hitachi Maxell Ltd 磁気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8917208T2 (de) 1995-01-05
EP0343576B1 (en) 1994-08-03
KR900018921A (ko) 1990-12-22
AU616516B2 (en) 1991-10-31
EP0343576A3 (en) 1990-12-05
EP0343576A2 (en) 1989-11-29
AU3483489A (en) 1989-11-30
DE68917208D1 (de) 1994-09-08
JPH0256719A (ja) 1990-02-26
JP2802389B2 (ja) 1998-09-24
US5401571A (en) 1995-03-28
CA1338676C (en) 1996-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74128B2 (ko)
KR0127305B1 (ko) 자기 기록 매체용 결합제 및 자기 기록 매체
US5081213A (en) Heterocyclic thione functional polyurethane polymers and their use in magnetic recording media
US4898922A (en) Urethane resins
JPS6224854B2 (ko)
JPH0719355B2 (ja) 磁気記録媒体
JP2531158B2 (ja) 磁気記録媒体
JP2615574B2 (ja) 磁気記録媒体
JP2576101B2 (ja) 磁気記録媒体
JP2576102B2 (ja) 磁気記録媒体
JPH0680528B2 (ja) 磁気記録媒体
JP2576103B2 (ja) 磁気記録媒体
JPS6262428A (ja) 磁気記録媒体
JPH0736214B2 (ja) 磁気記録媒体
JPS6265230A (ja) 磁気記録媒体
JPH0740345B2 (ja) 磁気記録媒体
JPS63142518A (ja) 磁気記録媒体
JPS6262422A (ja) 磁気記録媒体
JPS6273419A (ja) 磁気記録媒体
JPS6240615A (ja) 磁気記録媒体
JPS63142519A (ja) 磁気記録媒体
JPS63142517A (ja) 磁気記録媒体
JPS6273418A (ja) 磁気記録媒体
JPH02177016A (ja) 磁気記録媒体
JPH0731799B2 (ja) 磁気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