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149Y1 - 자동차의 범퍼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범퍼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149Y1
KR0126149Y1 KR2019950011527U KR19950011527U KR0126149Y1 KR 0126149 Y1 KR0126149 Y1 KR 0126149Y1 KR 2019950011527 U KR2019950011527 U KR 2019950011527U KR 19950011527 U KR19950011527 U KR 19950011527U KR 0126149 Y1 KR0126149 Y1 KR 01261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panel
bumper system
vehic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15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080U (ko
Inventor
안영휘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115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149Y1/ko
Publication of KR9600370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0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1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1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6Additional energy absorbing means supported on bumber beams, e.g. cellular structures o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범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임팩트 빔의 기능을 갖는 보강 패널을 차체에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즉, 테일 스커트 아웃터 패널과 테일 서커트 이너 패널 사이에 삽입되고 에너지 앱소버와 결합되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보강 패널을 구비함으로써, 중량을 줄이고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범퍼 시스템(Bumper system in a car)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범퍼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자동차 범퍼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범퍼 패쉬어 12 : 에너지 앱소버
13 : 테일 스커트 아우터 패널 14 : 테일 스커트 이너 패널
15 : 보강 패널 16 : 트렁크 도어
본 고안은 자동차의 범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임팩트 빔이 차체 일체형으로 형성된 범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제2도는 종래의 자동차 리어 범퍼(Reae bumper)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리어 범퍼 시스템은 범퍼의 외곽을 이루는 범퍼 패쉬어(Bumper fascia : 21), 상기 범퍼 패쉬어(21)의 내측에 부착되고 우레탄 발포 고무 등과 같은 포움(Foam)재로 이루어져서 차량의 충돌시에 1차적으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에너지 앱소버(Energy absorber : 22), 에너지 앱소버(22)에 부착되어 이차적으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임팩트 빔(23) 및 차체에 상기 임팩트 빔(23)을 결합시키면서 충격을 삼차로 흡수하는 스태이(stay : 24)로 이루어져 있다.
제2도에서, 미설명 부호 25는 트렁크 도어를 나타내고, 미설명 부호 26과 27은 테일 스커트 아웃터 패널(Tail skirt outer pannel)과 테일 스커트 이너 패널(Tail skirt inner pannel)을 각각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범퍼 시스템에 의하면, 별도의 임팩트 빔이 필요한 관계로 중량이 많이 나가고, 범퍼 패쉬어(21)에 상기 에너지 앱소버(22)와 임팩트 빔(23)을 조립한 후 스태이(24)로 이들을 차체에 결합시켜야 하기 때문에 원가 부담이 클 뿐만 아니라 작업 공수가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범퍼 시스템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중량을 줄이고, 조립 공수를 줄여서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의 범퍼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차 범퍼 시스템은, 차체 내에 즉 테일 스커트 아웃터 패널과 스커트 이너 패널 사이에 별도의 보강용 패널을 보강하여 이 보강용 패널이 임팩트 빔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데에 그 특징이 있다.
즉, 본 고안의 범퍼 시스템은 범퍼의 외부 골격을 이루는 범퍼 패쉬어, 상기 범퍼 패쉬어의 내측에 부착되어 차량의 충돌 시에 1차적으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에너지 앱소버 및 테일 스커트 아웃터 패널과 테일 서커트 이너 패널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에너지 앱소버와 결합되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보강 패널로 이루어져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자동차의 범퍼 시스템에 의하면, 테일 스커트 아웃터 패널과 테일 스커트 이너 패널 사이에 보강 삽입된 보강 패널이 임팩트 빔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량을 줄일 수 있고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범퍼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범퍼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범퍼 시스템은, 범퍼의 외부 골격을 이루는 범퍼 패쉬어(11), 상기 범퍼 패쉬어(11)의 내측에 부착되어 차량의 충돌 시에 일차적으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에너지 앱소버(12) 및 테일 스커트 아웃터 패널(13) 과 테일 서커트 이너 패널(14)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에너지 앱소버(12)와 결합되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보강 패널(15)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 테일 스커트 아웃터 패널(13)의 소재로는 예를 들면 1.5㎜ 고장력강을 사용하고, 테일 스커트 이너 패널(14)의 소재로 0.8㎜ 일반 박판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패널 구조의 보강 정도에 따라 2.5MPH(mile per hour)나 5.0MPH가 가능하다.
제1도에서 미설명 부호 16은 트렁크 도어를 나타낸다.
이러한 구조의 범퍼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보강 팬널(15)이 임팩트 빔의 역할을 대신하므로 별도의 임팩트 빔이 필요 없어서 중량을 줄이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임팩트 빔의 역할을 하는 상기 보강 팬널(15)이 차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구조여서, 범퍼 패쉬어(11)에 에너지 앱소버(12)이 미리 조립한 상태에서 그대로 차체에 결합수단으로 사용하여 조립하면 되므로, 조립 공수가 줄어 들게 된다.
제1도에서는 본 고안이 리어 범퍼에 적용된 경우만 도시하였지만, 프론트 범퍼에도 본 고안을 적용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그 일례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차체의 후방부위에 테일스커트아웃터패널(13)과 테일스커트 이너 패널(14)을 갖추고, 이 차체 후방부위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범퍼패쉬어(11)와, 이 범퍼패쉬어(11)의 내측에 부착된 에너지앱소버(12)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범퍼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테일스커트아우터패널(13)과 테일스커트이너패널(14)의 사이에 보강패널(15)이 설치되고, 이 보강패널(15)이 상기 테일스커트아웃터패널(13)을 매개로 상기 에너지앱소버(13)와 연결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범퍼시스템.
KR2019950011527U 1995-05-26 1995-05-26 자동차의 범퍼 시스템 KR01261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1527U KR0126149Y1 (ko) 1995-05-26 1995-05-26 자동차의 범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1527U KR0126149Y1 (ko) 1995-05-26 1995-05-26 자동차의 범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080U KR960037080U (ko) 1996-12-16
KR0126149Y1 true KR0126149Y1 (ko) 1998-10-15

Family

ID=19414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1527U KR0126149Y1 (ko) 1995-05-26 1995-05-26 자동차의 범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14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080U (ko) 199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1194A (en) Body structure for motor vehicle
KR100403294B1 (ko) 차량의 필러부 구조
KR100263127B1 (ko) 자동차의 필러 패널에 구비되는 충격 흡수 구조물
KR0126149Y1 (ko) 자동차의 범퍼 시스템
KR0135198Y1 (ko) 차량의 범퍼 보강구조
KR0144595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임팩트빔
KR100394706B1 (ko) 자동차의 리어범퍼 보강구조
KR200162982Y1 (ko) 해치백 차량의 리어 롱지튜디널 어셈블리
KR200160226Y1 (ko) 자동차의 센터 필러 구조
KR0184173B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0131508B1 (ko) 도어의 보강구조
KR19980044378U (ko)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한 자동차용 범퍼
KR20030016642A (ko)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차체보강구조
KR19980049862U (ko) 차량 범퍼용 알루미늄 빔
KR19980068035U (ko) 자동차의 필라트림
KR970026524A (ko) 자동차의 프론트 범퍼 보강구조
KR19980012349U (ko) 자동차의 사이드 임팩트 대응용 후면 필라부 강성보강구조
KR19980048416U (ko) 자동차 범퍼 구조
JP2001151056A (ja) 自動車の車体上部乗員保護構造
KR19990018797A (ko) 자동차용 범퍼 스테이
KR19980051041U (ko) 자동차용 루프의 헤드라이닝 보강구조
KR19980033262U (ko) 자동차 프론트사이드멤버 보강구조
KR19980011723U (ko) 차량용 범퍼
KR19990039027U (ko) 자동차의 범퍼 백 빔
KR19980055443A (ko) 자동차의 범퍼 스테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