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383B1 - 에어백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장치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24383B1 KR0124383B1 KR1019930018401A KR930018401A KR0124383B1 KR 0124383 B1 KR0124383 B1 KR 0124383B1 KR 1019930018401 A KR1019930018401 A KR 1019930018401A KR 930018401 A KR930018401 A KR 930018401A KR 0124383 B1 KR0124383 B1 KR 01243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bag
- lead
- air bag
- hinge
-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기반내에 장착되는 조수석용의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이며, 극히 간이한 수단의 부가에 의해, 승찾가 계기반(혹은 에어백리드)에 맞닿을때에 있어서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한 차량용 에어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써, 그 구성에 있어서, 차량(1)의 계기반(3)내에 장착되는 에어백모듀울(5)의 전개시에 개방작동되는 에어백리드(6)로 이루어지는 에어백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모듀울(5)의 외주벽을 구성하는 에어백케이스(8)의 에어백리드(6)쪽 상단부에, 승차자쪽에 돌출한 충격완화용의 플레이트(23)를 배치하고, 또한, 상기 에어백모듀울(5)와 상기 에어백리드(6)를 연결하는 힌지(18)에 그 측단면형상이 Z형상으로 된 충격완화수단(48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에어백장치의 장치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3에 관한 에어백를 구비한 차량의 앞부분 개략사시도.
제3도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에어백장치의 승차자가 맞닿을때의 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제4도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에어백장치의 장착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제5도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에어백장치의 장착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제6도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에어백장치의 장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7도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에어백장치에 있어서의 에어백리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 3,33 : 계기반
4,34 : 에어백장치 5,35 : 에어백모듀울
6,36 : 에어백리드 8,38 : 에어백케이스
9,39 : 에어백 18,48 : 힌지
22 : 노치 48a : 충격완화수단(리드쪽 장착부)
48b : 모듀울쪽장착부.
본원 발명은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계기반(Instrument panel)내에 장착되는 조수석용의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조수석승차자를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장치는, 승차자의 앞쪽에 위치하는 계기반내에 장착되게 되어 있다. 상기 에어백장치는, 에어백케이스내에 에어백 및 발화장치 등을 수납해서 구성되는 에어백모듀울과, 상기 에어백의 전개시에 개방작동되도록 계기반에 형성된 개구부를 덮는 에어백리드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에어백장치에 있어서는, 차량이 소정치이상으로 급감속하였을 경우에, 가속도센서가 작동해서 에어백모듈에 있어서의 에어백을 승차자의 앞쪽에 전개시키므로서 승차자를 보호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에어백장치가 작동하는 감속도보다도 작은 감속도로 차량이 감속되었을 경우라도, 승차자가 계기반(혹은 에어백리드)에 맞닿는 일이 있다. 그 경우를 고려해서, 에어백모듀울을 계기반의 깊숙한 곳에 배치해서 접촉을 방지하도록하면 레이아우트적으로 큰 스페이스를 필요로 한다.
그래서, 에어백케이스의 차폭방향 양쪽벽에, 승차자쪽이 개방된 다수의 노치(벤자리)를 형성해서 변형촉진부로 하고, 승차자가 계기반(혹은 에어백리드)에 맞닿았을 경우에 계기반(혹은 에어백리드)의 변형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에어백모듀울을 계기반의 내면에 근접한 배치를 가능하도록 한 것이 제안되고 있다(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 2-155855호 공보 참조).
그런데, 상기 공지예에 있는 바와 같이 에어백케이스의 차폭방향 양쪽벽에 다수의 노치를 형성하는 것의 경우, 변형촉진부로서 노치를 다수형성할 필요가 있으므로해서, 가공공수가 증대하는 동시에, 노치의 형상이나 에어백케이스의 재질의 선정에도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원 발명은, 상기한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극히 간이한 수단의 부가에 의해, 승차자가 계기반(혹은 에어백리드)에 맞닿을때에 있어서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차량의 계기반내에 장착되는 에어백모듀울과, 이 에어백모듀울의 전개시에 개방작동되는 에어백리드로 이루어진 에어백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모듀울의 외주벽을 구성하는 에어백케이스의 에어백리드쪽 상단부에, 승차자쪽으로 돌출하는 충격완화용의 플레이트를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본 발명의 제1발명의 에어백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에어백리드와 에어백모듀울 연결하는 힌지와 함께 상기 에어백케이스에 대해서 함께 죄는 상태로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3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차량의 계기반내에 장착되는 에어백모듀울과, 이 에어백모듀울의 상부에 대해서 힌지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전개시에 개방작동되는 에어백리드로 이루어진 에어백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에, 상기 에어백리드의 내면에 있어서의 차폭방향전체폭에 걸친 충격완화수단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4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제3발명의 에어백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화수단을 상기 힌지의 리드쪽 장착부로 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5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제3 혹은 제4발명의 에어백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에 있어서의 에어백모듀울에의 장착부를, 상기 충격완화수단의 중앙부로부터 뻗는 폭이 좁은 것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발명에서는, 상기 수단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작용을 얻을 수 있다.
즉, 차량이 에어백장치를 작동시키는 것보다 작은 감속도로 감속되었을 경우에도, 승차자가 계기반(혹은 에어백리드)에 맞닿는 일이 있으나, 그 경우, 계기반(혹은 에어백리드)이 변형함에 있어서 에어백케이스와 접촉하기전에 플레이트와 먼저 접촉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충격완화작용에 의해서 승차자의 운동에너지가 흡수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발명에서는, 상기 수단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작용을 얻을 수 있다.
즉, 에어백케이스에의 힌지의 장착과 동시에 플레이트의 장착도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3발명에서는, 상기 수단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작용을 얻을 수 있다.
즉, 차량이 에어백장치를 작동시키는 것보다 작은 감속도로 감속되었을 경우에도, 승차자가 에어백리드에 맞닿는 일이 있으나, 그 경우, 에어백리드가 변형함에 있어서 에어백모듀울과 접촉하기전에 충격완화수단의 충격완화작용에 의해서 승차자의 운동에너지가 흡수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제4발명에서는, 상기 수단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작용을 얻을 수 있다.
즉, 충격완화수단과 힌지를 일체성형할 수 있으므로서,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5발명에서는, 상기 수단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작용을 얻을 수 있다.
즉, 에어백리드의 차폭방향 단부쪽에 승차자가 맞닿았을때의 충격하중 완충 효과가 향상하는 동시에, 에어백리드의 개방작동시에 있어서의 저항이 작아진다.
본 발명의 제1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계기반내에 장착되는 에어백모듀울과, 상기 에어백모듀울의 전개시에 개방작동되는 에어백리드로 이루어지는 에어백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모듀울의 외주벽을 구성하는 에어백케이스의 에어백리드쪽상단부에, 승차자쪽으로 돌출한 충격완화용의 플레이트를 배치해서, 차량이 에어백장치를 작동시키는 것보다 작은 감속도로 감속되었을 경우에 승차자가 계기반(혹은 에어백리드)에 맞닿았을때, 그 맞닿는 힘에 의해 계기반(혹은 에어백리드)이 변형함이 있어서 에어백케이스와 접촉하기전에 플레이트와 먼저 접촉하도록 하였으므로, 상기 플레이트의 충격완화작용에 의해서 승차자의 운동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게 되고, 극히 간이한 수단을 부가하는 것만으로, 에어백케이스의 재질에 관계없이 극히 양호한 충격흡수작용을 얻을 수 있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 에어백장치의 작동시에 있어서는, 플레이트가 에어백전개를 원활하게 하는 가이드로서도 작용하기 때문에, 에어백의 원활한 전개를 확보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제2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발명의 에어백장치에 있어서, 플레이트를, 에어백리드와 에어백모듀울을 연결하는 힌지와 함께 에어백케이스에 대해서 함께 죄는 상태로 장착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에어백케이스에의 힌지의 장차과 동시에 플레이트의 장착도 행할 수 있게 되어, 조립작업성이 향상한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3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계기반내에 장착되는 에어백모듀울과, 이 에어백모듀울의 상부에 대해서 힌지를 개재해서 연결되고, 전개시에 개방작동되는 에어백리드로 이루어지는 에어백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에, 상기 에어백리드의 내면에 있어서의 차폭방향 전체폭에 걸친 충격완화수단을 형성해서, 차량이 에어백장치를 작동시키는 것보다 작은 감속도로 감속된 경우에 승차자가 에어백리드에 맞닿았을때, 그 맞닿는 힘에 의해 에어백리드가 변형함에 있어서 에어백모듀울과 접촉하기전에 충격완화수단의 충격완화작용에 의해서 승차자의 운동에너지를 흡수하도록 하였으므로, 극히 간이한 수단을 부가하는 것만으로, 에어백케이스의 재질에 관계없이 극히 양호한 충격흡수작용을 얻을 수 있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4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3발명의 에어백장치에 있어서, 충격완화수단을 힌지의 리드쪽 장착부로해서, 충격완화수단과 힌지를 일체성형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코스트다운 및 조립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5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3발명 혹은 제4발명의 에어백장치에 있어서, 힌지에 있어서의 에어백모듀울에의 장착부를, 충격완화수단의 중앙부로부터 뻗는 폭이 좁은 것으로해서, 에어백리드의 차폭방향 단부쪽에 승차자가 맞닿았을때의 충격하중완충효과가 향상되는 동시에, 에어백리드의 개방작동시에 있어서의 저항이 작아지도록 했으므로, 승차자의 안전확보를 확실히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에어백리드의 원활한 개방작동도 확보할 수 있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본원 발명의 몇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제1도 및 제2도에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에어백장치가 표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발명에 대응한 것이다.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차량(1)에 있어서의 차실내의 조수석(2)의 앞쪽에 위치하는 계기반(3)내에는 에어백장치(4)가 장착되어 있다. 이 에어백장치(4)는, 뒤에서 상술하나, 계기반(3)내에서 지지되는 에어백모듀울(5)과 이 에어백모듀울(5)의 전개시에 개방작동되는 에어백리드(6)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에어백리드(6)는 계기반(3)에 형성된 개구부(7)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에어백모듀울(5)은, 승자차쪽(환언하면, 차량뒤편쪽)이 개방된 에어백케이스(8) 내에 에어백(9), 인플레이이터(10), 발화장치(11)를 배치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차량이 급감속한 것을 검지하는 가속도센서(도시생략)로부터의 신호를 받아서 발화장치(11)가 작동하고, 이 발화장치(11)의 작동에 응답해서 작동하는 인플레이터(10)에 의해서 에어백(9)이 승차자쪽으로 팽창전개하므로서, 승차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에어백모듀울(5)은, 에어백케이스(8)의 바닥면에 설치된 장착다리(12),(12)를 계기반(3)을 개구부(7)의 하단부가장자리로부터 앞쪽으로 뻗어 설치하여 얻어진 장착시트(13)에 볼트(14),(14)를 개재해서 장착하고, 상기 장착시트(13)를 상기 볼트(14),(14)에 의해서 함께 죄여지는 블래킷(15)을 개재해서 스티어링지지멤버(16)에 장착하므로서 계기반(3)내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에어백리드(6)는, 상기 개구부(7)를 복개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개구부(7)의 전체를 덮는 리드주체(6a)와 리드주체(6a)의 대략 위절반부분을 덮는 보호커버부(6b)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드주체(6a)는 중실(中實)의 합성수지성형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보호커버부(6b)는 중공(中空)의 합성수지성형체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리드(6)는, 상기 에어백케이스(8)의 위면에 볼트(17)에 의해 일단부가 고정된 힌지(18)를 개재해서 에어백모듀울(5)에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힌지(18)는 리드주체(6a)의 내면을 따라서 아래쪽으로 뻗어 설치되어 있으며, 리드주체(6a)에 대해서 상하위치에서 볼트(19),(20)를 개재해서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에어백리드(6)와 에어백케이스(8)의 승차자쪽 하단부와는, 상기 힌지(18)의 하단부를 리드주체(6a)에 장착하고 있는 볼트(20)에 의해 함께 죄여진 합성수지제의 연결부재(21)를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21)에는, 에어백리드(6)의 개방작동시에 파단하기 쉽도록 노치(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에어백케이스(8)의 승차자쪽 개구부 가장자리(8a)가 차량앞쪽편을 향해서 상승기울기로 경사져 있다. 즉, 에어백케이스(8)의 승차자쪽 위부분과 에어백리드(6)와의 사이에는, 비교적 큰 공간이 형성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에어백케이스(8)의 승차자쪽 위부분에는, 승차자쪽을 향해서 돌출한 충격완화용 플레이트(23)가 힌지(18)을 장착하고 있는 볼트(17)에 의해 함께 죄는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23)는, 어느 정도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지고 또한 충격흡수성능을 가진 재료(예를들면 스프링강철 등의 탄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므로서, 본 실시예의 에어백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에어백장치(4)는, 차량(1)이 급감속했을때에 작동해서 승차자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차량(1)이 에어백장치(4)를 작동시키는 것보다 작은 감속도로 감속되었을 경우에도,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승차자 M이 계기반(3)(본 실시예의 경우, 에어백리드(6))에 맞닿는 일이 있다.
그 경우, 에어백리드(6)가 변형함에 있어서 에어백케이스(8)와 접촉하기 전에 플레이트(23)와 먼저 접촉하고, 상기 플레이트(23)의 충격완화작용에 의해서 승차자 M의 운동에너지가 흡수되게 된다. 따라서, 극히 간이한 수단(즉, 플레이트(23))을 부가하는 것만으로, 에어백케이스(8)의 재질에 관계없이 극히 양호한 충격흡수작용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실시예의 경우, 에어백케이스(8)에 대해서 힌지(18)와 플레이트(23)를 함께 죄는 상태로 장착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힌지(18)의 장착과 동시에 플레이트(23)의 장착도 행할 수 있게 되어, 조립작업성이 대폭적으로 향상하게 된다.
(실시예 2)
제4도에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에어백장치가 표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발명 및 제2발명에 대응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에어백케이스(8)의 승차자쪽 개구부가장자리(8a)의 상단부가 상향으로 접어구부려져 있다. 또 플레이트(23)의 승차자쪽단부도 상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에어백리드(6)는 중공의 합성수지체에 의해 구성되며, 힌지(18)는 에어백리드(6)의 상단부에만 연결되고, 에어백케이스(8)의 장착다리(12),(12)에 브래킷(15)이 직접 장착되어 있다. 그밖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에어백케이스(8)의 승차자쪽 개구부가장자리(8a)의 상단부 및 플레이트(23)의 승차자쪽단부가 동그스럼한 형상이 되기 때문에, 에어백(9)의 전개시에 있어서, 에어백(9)이 상할 염려는 없어진다. 그밖의 작용효과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3)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제2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차량(1)에 있어서의 차실내의 조수석(2)의 앞쪽에 위치하는 계기반(3)내에는 에어백장치(4)가 장착되어 있다. 이 에어백장치(4)는 뒤에서 상술하나, 계기판(3)내에 지지되는 에어백모듀울(5)과 이 에어백모듀울(5)의 전개시에 개방작동되는 에어백리드(6)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에어백리드(6)는 계기반(3)에 형성된 개구부(7)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에어백모듀울(35)은,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승차자쪽(환언하면, 차량뒤쪽편)이 개방된 에어백케이스(38)내에 에어백(39), 인플레이터(40)를 배치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차량이 급감속한 것을 검지하는 가속도센서(도시생략)로부터의 신호를 받아서 발화장치(도시생략)가 작동하고, 이 발화장치의 작동에 응답해서 작동하는 인플레이터(40)에 의해서 에어백(39)에 승차자쪽으로 팽창전개하므로서, 승차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에어백모듀울(35)은, 에어백케이스(38)의 바닥면에 설치된 장착다리(42),(42)에 볼트(43),(43)에 의해 장착된 브래킷(44)을 개재해서 스티어링지지멤버(45)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에어백리드(36)는, 상기 개구부(37)를 복개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중공(中空)의 합성수지성형체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리드(36)는, 상기 에어백케이스(38)의 상면에 볼트(46)에 의해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에어백리드(36)의 상부에 대해서 볼트(47)에 의해 고정된 힌지(48)를 개재해서 에어백모듀울(35)에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힌지(48)는, 제6도 및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리드(36)의 상부쪽에 장착되고, 상기 에어백리드(36)의 대략차폭방향 전체폭에 걸친 폭을 가지고, 또한 단면이 모자(hat)형상을 나타내는 리드쪽 장착부(48a)와, 이리드쪽 장착부(48a)의 차폭방향 중앙부로부터 에어백모듀울(35)쪽을 향해서 뻗고, 상기 리드쪽 장착부(48a) 보다 폭이 좁아진 모듀울쪽 장착부(48b)에 의해서 그 측단면형상이 대략 Z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리드쪽 장착부(48a)가 소성변형하므로서 충격완화수단으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힌지(48)의 리드쪽 장착부(48a)를 모듀울쪽 장착부(48b)와 동일폭으로 하고, 리드쪽 장착부(48a)의 차폭방향 양쪽에 별체구성의 충격완화수단을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한편, 상기 에어백리드(36)와 에어백케이스(38)의 승차자쪽 하단부는, 합성수지제의 연결부재(48)를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부재(49)에는, 에어백리드(36)의 개방작동시에 파단하기 쉽도록 노치(50)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에어백리드(36)의 차폭방향 양단부내면에는, 계기반(33)의 개구부(37)에 있어서의 차폭방향 양단개구부가장자리에 형성된 위치결정용돌기(도시생략)와 걸어맞추는 위치결정용구멍(52),(52)을 가진 플레이트(5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므로서, 본 실시예의 에어백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에어백장치(34)는, 차량(1)이 급감속하였을때에 작동해서 승차자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차량(1)이 에어백장치(34)를 작동시키는 것보다 작은 감속도로 감속되었을 경우에도, 승차자가 에어백리드(36)에 맞닿는 일이 있다.
그 경우, 에어백리드(36)가 변형함에 있어서 에어백케이스(38)와 접촉하기 전에 힌지(48)의 리드쪽 장착부(48a)의 충격완화작용에 의해서 승차자의 운동에너지가 흡수되게 된다. 따라서, 극히 간이한 수단을 부가하는 것만으로, 에어백케이스(38)의 재질에 관계없이 극히 양호한 충격흡수작용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실시예의 경우, 힌지(48)의 리드쪽 장착부(48a)를 충격완화수단으로서 작용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힌지와 충격완화수단을 일체성형하는 일이 가능해져서,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코스트다운 및 조립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경우, 힌지(48)에 있어서의 모듀울쪽 장착부(48b)를, 리드쪽 장착부(48a)의 중앙부로부터 에어백모듀울(35)쪽으로 뻗는 폭이 좁은 것으로 되어 있으므로, 에어백리드(36)의 차폭방향 단부쪽으로 승차자가 맞닿았을때의 충격하중 완충효과가 향상하는 동시에, 에어백리드(36)의 개방작동시에 있어서의 저항이 작아진다. 따라서, 승차자의 안전확보가 확실하게 행해지는 동시에, 에어백리드(36)의 원활한 개방작동도 확보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은, 상기 각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적당히 설계변형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5)
- 차량의 계기반내에 장착되는 에어백모듀울과, 이 에어백모듀울의 전개시에 개방작동되는 에어백리드로 이루어진 에어백장치러서, 상기 에어백모듀울의 외주벽을 구성하는 에어백케이스의 에어백리드쪽 상단부에는, 승차자쪽으로 돌출한 충격완화용의 플레이트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이트는 상기 에어백리드와 에어백모듀울을 연결하는 힌지와 함께 상기 에어백케이스에 대해서 함께 죄이는 상태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
- 차량의 계기반내에 장착되는 에어백모듀울과, 이 에어백모듀울의 상부에 대해서 힌지를 개재해서 연결되고, 전개시에 개방작동되는 에어백리드로 이루어진 에어백장치로서, 상기 힌지에는, 상기 에어백리드의 내면에 있어서의 차폭방향전체폭에 걸친 충격완화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화수단이 상기 힌지의 리드쪽 장치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에어백장치.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에 있어서의 에어백모듀울에의 장착부가, 상기 충격완화수단의 중앙부로부터 뻗는 폭이 좁은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4648092A JP3267689B2 (ja) | 1992-09-16 | 1992-09-16 | エアバッグ装置 |
JP92-246480 | 1992-09-16 | ||
JP25311292A JP3267690B2 (ja) | 1992-09-22 | 1992-09-22 | エアバッグ装置 |
JP92-253112 | 1992-09-2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06853A KR940006853A (ko) | 1994-04-25 |
KR0124383B1 true KR0124383B1 (ko) | 1997-12-01 |
Family
ID=26537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30018401A KR0124383B1 (ko) | 1992-09-16 | 1993-09-14 | 에어백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5419583A (ko) |
KR (1) | KR012438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012735A (en) * | 1994-06-13 | 2000-01-11 | Textron Automotive Company | Trim panel having air bag door |
DE4447045A1 (de) * | 1994-12-29 | 1996-07-04 | Ks Automobil Sicherheitstech | Befestigungs eines Airbag-Moduls |
US5503427A (en) * | 1995-03-30 | 1996-04-02 | Morton International, Inc. | Energy absorption cover for passenger-side airbag module |
US5664801A (en) * | 1996-03-13 | 1997-09-09 | Davidson Textron Inc. | Mounting system for airbag reaction canister |
US6142506A (en) * | 1998-09-14 | 2000-11-07 |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 Energy absorbing vehicle trim with airbag |
US6176511B1 (en) * | 1998-10-07 | 2001-01-23 | Trw Inc. | Air bag module |
DE19851975A1 (de) * | 1998-11-11 | 2000-05-18 | Daimler Chrysler Ag | Airbagmodulgehäuse |
US6485047B2 (en) * | 2001-03-12 | 2002-11-26 |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 Self-retaining automotive airbag plate |
US20040051280A1 (en) * | 2002-09-13 | 2004-03-18 |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 Air bag door |
US6942240B2 (en) * | 2003-01-15 | 2005-09-13 | Intier Automotive Inc. | Structural reinforcement member for an inflatable restraint module |
US7073817B2 (en) * | 2003-03-31 | 2006-07-11 | Tk Holdings, Inc. | Airbag module door assembly |
US6932378B2 (en) * | 2003-08-29 | 2005-08-23 | Key Safety Systems, Inc. | Passenger air bag module with cover coupling mechanism |
US7093847B2 (en) * | 2003-11-26 | 2006-08-22 | Takata Restraint Systems, Inc. | Instrument panel adapter for airbag mount |
US7210700B2 (en) * | 2004-08-24 | 2007-05-01 |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 Hinge mechanism for inflatable restraint apparatus |
JP4601388B2 (ja) * | 2004-10-20 | 2010-12-22 |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 エアバッグ取付部構造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03609B2 (ja) * | 1988-12-07 | 1996-06-05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エアバツグケ−ス |
JPH05648A (ja) * | 1991-03-29 | 1993-01-08 | Mazda Motor Corp | 自動車のエアバツグ装置 |
JPH04303051A (ja) * | 1991-03-29 | 1992-10-27 | Nissan Shatai Co Ltd | エアバッグ装置 |
JPH0524497A (ja) * | 1991-07-22 | 1993-02-02 | Mazda Motor Corp | 助手席エアバツグ装置のリツド構造 |
-
1993
- 1993-09-14 KR KR1019930018401A patent/KR012438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3-09-16 US US08/121,429 patent/US5419583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5419583A (en) | 1995-05-30 |
KR940006853A (ko) | 1994-04-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0124383B1 (ko) | 에어백장치 | |
US5564739A (en) | Side impact airbag module with soft cover | |
JPH09123863A (ja) | 脚部保護装置 | |
JPH02155855A (ja) | エアバッグケース | |
JP2745325B2 (ja) | 自動車用エアバック装置 | |
KR20030097137A (ko) | 차량용 커튼에어백의 고정장치 | |
JP3267690B2 (ja) | エアバッグ装置 | |
RU2412834C1 (ru) | Устройство подушки безопасности | |
JP3267689B2 (ja) | エアバッグ装置 | |
JP3366016B2 (ja) | エアバッグ構造 | |
JP3096832B2 (ja) |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 |
JP3313423B2 (ja) | 自動車のエアバッグ取付構造 | |
KR200141885Y1 (ko) | 자동차의 조수석에 구비되는 에어백의 충격흡수구조 | |
KR100587407B1 (ko) |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 | |
KR20090050243A (ko) | 하우징리스 타입 조수석 에어백 장치 | |
JP3050004B2 (ja) | エアバッグドア支持構造 | |
JPH06107100A (ja) | エアバッグ装置 | |
KR19980040189A (ko) | 자동차의 운전자보호용 조향핸들 | |
KR100187820B1 (ko) | 자동차의 조수석에 구비된 에어백 | |
KR19980030536U (ko) | 자동차의 에어백에 구비된 고정브라켓의 충격흡수구조 | |
KR0133623Y1 (ko) | 조수석 에어백 장착구조 | |
JPH03109147A (ja) | 自動車のニープロテクタ構造 | |
KR20050093976A (ko) | 차량의 무릎 보호장치 보강구조 | |
KR19980045194A (ko) | 차량용 에어백 장착구조 | |
KR19990021607A (ko) | 시트 내장형 에어백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911 Year of fee payment: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