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570B1 - 디지탈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화상데이타 변배처리방법 및 회로 - Google Patents

디지탈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화상데이타 변배처리방법 및 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570B1
KR0120570B1 KR1019940009550A KR19940009550A KR0120570B1 KR 0120570 B1 KR0120570 B1 KR 0120570B1 KR 1019940009550 A KR1019940009550 A KR 1019940009550A KR 19940009550 A KR19940009550 A KR 19940009550A KR 0120570 B1 KR0120570 B1 KR 0120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rocessing
shift processing
shift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9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9980A (ko
Inventor
오향수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09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570B1/ko
Priority to JP08076395A priority patent/JP3694544B2/ja
Priority to FR9502868A priority patent/FR2719404B1/fr
Priority to DE19508994A priority patent/DE19508994B4/de
Priority to GB9508756A priority patent/GB2288945B/en
Priority to GB9508860A priority patent/GB2288946A/en
Publication of KR950029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9980A/ko
Priority to US08/760,256 priority patent/US59012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5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23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based on decimating pixels or lines of pixels; based on inserting pixels or lines of pix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04N1/393Enlarging or reducing
    • H04N1/3935Enlarging or reducing with modification of image resolution, i.e. determining the values of picture elements at new relative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디지털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화상데이타 변배처리방법 및 회로에서는 소량의 룩업테이블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상데이타의 축소 및 확대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넓은 범위의 변배율에 대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회로 구성을 단순화한 이점이 있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산출하므로 프로그램 변경에 따라 변배율을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지탈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화상데이타 변배처리방법 및 회로
제1도는 디지탈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종래의 화상데이타 변배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제2a,2b도는 디지탈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종래의 화상데이타 변배처리를 위한 동작상태표이다.
제3a-3c도는 디지탈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종래의 화상데이타 변배처리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및 동작파형도이다.
제4도는 디지탈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화상데이타 변배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제5도는 디지탈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화상데이타 변배처리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제6a-6k도는 제5도에 있어서 각 부의 동작파형도이다.
제7a도는 변배처리용 룩업테이블 데이터의 예이고, 제7b도는 변배처리용 데이터의 예이다.
제8도는 디지탈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화상데이타 변배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9도는 제8도에 있어서 표준변배처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10도는 제8도에 있어서 룩업테이블을 참조한 축소처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11도는 제8도에 있어서 룩업테이블을 참조한 확대처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12도는 제8도에 있어서 단순확대처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마이크로프로세서 102 : 롬
103 : 램 601,602 : 라인메모리
603 : 줌램 604 : 기입어드레스 카운터
605 : 줌 어드레스 카운터 606~614 : 버퍼
615 : D 플립플롭 AND1~AND4 : 앤드게이트
INV1~INV5 : 인버터 OR1,OR2 : 오아게이트
본 발명은 디지탈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화상데이타 변배처리의 방법 및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력된 화상데이타를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임의의 변배율에 따라서 변배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하결항소자(CCD)등과 같은 이미지 센서인 광전변환소자를 이용 디지탈하여 화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디지털 복사기 혹은 팩시밀리 등과 같은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원고문서의 화상을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는 기능 즉, 배율변환기능 혹은 변배기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정규화된 복사비율, 예를 들면 국제 표준 문서간의 확대 및 축소비율 뿐만 아니라 1% 단위까지의 확대 및 축소가 가능하도록 변배기능을 구현하고 있다.
종래의 화상의 확대 및 축소에 적용된 기술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화상데이타 출력동기신호(VCLK)를 이용하여 화상데이타를 화상메모리 예컨대 1라인분의 화상테이타를 저장하는 라인메모리에 기입할 때에는 입력 클럭을, 화상메모리로부터 화상테이타를 독출할 때에는 출력 클럭을 변배 비율에 맞게 제어하는 것이다. 즉, 화상테이타를 2배 확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화상메모리에 원래의 VCLK 속도로 입력된 화상테이타를 기입하고, 화상메모리로부터 2개의 VCLK 동안 같은 화상테이타를 독출함으로써 출력화상이 원고화상 크기의 2배가 된다. 한편, 1/2배로 축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화상메모리에 한 화소씩 건너뛴 화상테이타를 2개의 VCLK마다 기입하고, 화상메모리로부터 원래의 VCLK 속도를 화상테이타를 독출함으로써 출력화상이 원고 화상 크기의 1/2배가 된다.
그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일본 공개특허 소 59-39158에 개시된 기술로써, 이 기술에 의해 제2a도에 도시된 동작상태표를 수행하면 확대처리가 되고, 제2b도에 도시된 동작상태표를 수행하면 축소처리가 된다. 여기서 제2a도에 도시된 확대처리 동작상태표는 입력화소수에 따라 변배율을 순차적으로 가산하여 두고, 그 누적치의 소숫점 이하 부분에 대해서 다시 변배율 R을 가산하고, 이 계산결과의 정수 부분(K)을 조사하도록 한 것으로, 조사결과 K가 2 이상일 경우에는 그때 입력된 1화소의 화상데이타에 이어 (K-1)의 화소데이타를 추가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변배율에 대응한 확대처리가 수행된다. 한편, 제2b도에 도시된 축소처리 동작상태표는 확대처리와 같이 K값을 조사하여, K가 1에 도달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그때 입력된 1화소의 화상데이타를 제거하고 다음 입력된 1화소의 화상데이타를 출력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변배율에 대응한 축소처리가 수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변배처리방법을 이용하여 회로를 구현하면 매우 복잡해질 뿐 아니라 고속처리를 위한 타이밍조절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회로구현에 따른 비용부담이 커질뿐 아니라 변배율의 범위를 확장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는 일본 공개 특허 평 2-132963에 개시된 기술로서, 이는 제3a-3c도에 도시되어 있다. 우선 제3a도에 있어서, FiFo A,B는 각각 주주사방향, 1라인분의 용량을 갖는 메모리이며, 제3b도에서와 같이이 '로우' 논리상태일 때 메모리의 기입동작이,이 '로우' 논리상태일 때 메모리의 독출동작이 수행되고,이 '하이' 논리상태일 때 FiFo A의 출력이,이 '하이' 논리상태일 때 FiFo B의 출력이 하이 임피던스 상태가 되므로, 각각의 출력이 와이어드-오아(Wired-OR)가 취해져 Dout로 출력된다. 여기서 FiFo A,B는 제3c도에서와 같이 각각 내부에 WCK, RCK로 동작하는 기입 어드레스카운터와 독출 어드레스카운터에 의해 내부의 포인터가 진행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WCK에 시스템내의 화상데이타 출력동기신호인 VCLK를 솎아낸 클럭을 주고, RCK에서 VCLK를 솎아내지 않은 클럭을 주면 입력된 화상데이타는 축소처리가 되고, 이와 반대의 클럭을 주게 되면 확대처리가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종래의 화상데이타 변배처리방법은 라인메모리에 화상데이타를 기입하거나 독출하는 시점에서 화상데이타 출력동기신호를 제어하여 변배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회로 구성상 1% 단위의 변배처리가 안정적으로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회로의 구성이 복잡해지므로 일반적인 변배율(25%-400%)보다 확장된 범위의 변배처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회로의 구성을 많이 변경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지털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소용량의 룩업테이블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변배율을 변경할 때마다 룩업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원하는 변배율의 화상을 신속하게 출력하기 위한 변배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데이타 변배처리방법을 실현하는데 가장 적합한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량의 변배처리용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룩업테이블과 변배처리용 메모리를 구비하여 디지털 화상처리장치에 입력되는 화상데이타를 변배처리하여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변배율에 해당하는 화상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변배처리방법에 있어서, 초기 동작시 상기 입력된 화상데이타에 대하여 표준변배처리를 수행하는 표준변배처리과정 ; 사용자에 의해 변배율이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변배율을 100으로 제산하여 몫과 나머지를 산출하는 변배율제산과정 ; 상기 변배율제산과정에서 산출된 몫이 0보다 작은 경우 상기 룩업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축소처리를 수행하는 축소처리과정 ; 상기 변배율제산과정에서 산출된 몫이 0보다 크고 나머지가 0이 아닌 경우 상기 룩업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확대처리를 수행하는 제1확대처리과정; 상기 변배율제산과정에서 산출된 몫이 0보다 크고 나머지가 0이면 단순 확대처리를 수행하는 제2확대처리과정 ; 상기 과정들을 통해 계산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상기 변배처리용 메모리에 기입하는 데이터기입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 화상처리장치에 입력된 화상데이타를 변배처리하여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변배율에 해당하는 화상을 출력하기 위한 변배처리회로에 있어서, 복사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및 변배처리용 룩업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제1메모리 ;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된 룩업테이블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변배율에 해당하는 변배처리용 데이타를 산출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산출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변배처리용 데이타를 산출하는 도중에 상기 변배처리용 룩업테이블의 데이터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산출된 1라인분의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제2메모리 ; 주주사방향의 1라인분에 대한 화상데이타를 저장하는 제1,2라인 메모리 ;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변배처리를 실시하는 제3메모리 ; 변배처리하고자 입력되는 상기 주주사방향의 1라인분에 대한 화상데이타를 상기 제1,2라인메모리의 소정 어드레스에 기입하도록 화상동기신호클럭을 계수하는 제1카운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3메모리에 데이타를 기입하거나 주사동작중에 소정의 변배율에 대한 변배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3메모리의 데이터를 상기 제1,2라인메모리의 어드레스로 출력하기 위해 상기 화상동기신호클럭을 계수하는 제2카운터; 및 상기 제1,2라인메모리의 기입 및 독출동작이 교번적으로 수행되도록 라인동기신호를 분주하는 분주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4도는 디지털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화상데이타 변배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제1도 도시된 종래의 변배처리와 비교해 볼 때 각 변배율에 상관없이 라인메모리의 기입 데이터는 동일하고, 라인메모리의 독출데이타가 변배율에 따라 조정된다.
제5도는 디지털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화상데이타 변배처리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제5도에 도시된 회로도의 구성은, 크게 사용자가 지정한 변배율을 인식하여 실제 복사동작중에 처리할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한 변배처리용 데이터 산출수단과, 변배처리용 데이터 산출수단에서 산출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변배처리를 수행하는 변배처리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중 변배처리용 데이터처리수단은 변배처리용 룩업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제1메모리 예컨대 롬(102)과, 롬(102)에 저장된 룩업테이블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산출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1)와, 변배처리용 룩업테이블의 데이터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산출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제2 메모리 예컨대 램(103)으로 구성된다.
한편, 변배처리수단은 주주사방향의 1라인분에 대한 화상데이타 예를 들면, A4 용지 길이 방향 297mm에 대해 400DPI(Dot Per Inch)(=16pel/mm), 즉 16(pel/mm)×297(mm/line)=4752(pel/line) 화소분을 저장하는 제1,2라인메모리(601,602)와, 램(103)에 저장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변배처리를 실시하는 제3메모리 예컨대 줌램(603)과, 주주사방향 즉 전하결합소자(CCD)로부터 화상데이타가 출력되는 방향의 1라인분에 대한 화상데이타를 제1,2라인메모리(601,602)의 소정 어드레스에 기입하도록 화상데이타 출력동기신호(VCLK)를 계수하는 제1카운터 예컨대 기입어드레스카운터(604)와, 마이크로프로세서(101)에 의해 줌램(103)에 데이터를 기입하거나 주사동작중에 소중의 변배율에 대한 변배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줌램(603)의 데이터를 제1,2라인메모리(601,602)의 어드레스로 출력하기 위해 화상데이타 출력동기신호(VCLK)을 계수하는 제2카운터 예컨대 줌어드레스카운터(605)와, 제1,2라인메모리(601,602)의 기입 및 독출동작이 교번적으로 수행되도록 라인동기신호를 분주하는 분주기 예컨대 D 플립플롭(615)으로 구성된다.
또한, 변배처리수단에는 제1,2라인메모리(601,602)에 기입 및 독출어드레스가 지정될 수 있도록 통로역할을 하는 제1버퍼수단 예컨대 버퍼(607,608,609,610)와, 변배처리하고자 입력되는 화상데이타를 제1,2라인메모리(601,602)에 기입할 수 있도록 통로역할을 하는 제2버퍼수단 예컨대 버퍼(611,613)와, 제1,2라인메모리(601,602)로부터 독출되는 변배처리된 화상데이타를 출력하는 통로역할을 하는 제3버퍼수단 예컨대 버퍼(612,614)와, 줌램(603)의 데이터를 마이크로프로세서(101)가 기입 혹은 독출하도록 통로역할을 하는 제4버퍼수단 예컨대 버퍼(606)가 더 포함된다.
또한, 변배처리수단에는 제1인버터~제5인버터(INV1~INV5), 제1앤드게이트~제4앤드게이트(AND1~AND4)와 제1,2오아게이트(OR1,OR2)가 더 포함된다.
제6a~6k도는 제5도에 있어서 각 부의 동작파형도로서, 제6a도는 제,12,4,5인터버(INV1,2,4,5)와 D플립플롭(615)의 클리어단자(CLR)에 인가되는 주사신호(SCAN), 제6b도는 제2앤드게이트(AND2)와 D플립플롭(615)의 클럭단자(∠K)와 기입어드레스카운터(604)의 클리어단자(CLR)에 인가되는 라인동기신호, 제6c도는 D플립플롭(615)의 Q 단자에서 출력되는 인에이블신호(ENABLE), 제6d도는 D플립플롭(615)의단자에서 출력되는 반전된 인에이블신호, 제6e도는 제3인버터(INV3)에 인가되는, 제6f도는 제1,2오아게이트(OR1,2)와 제3앤드게이트(AND3)와 기입어드레스카운터(604)의 클럭단자(CK)에 인가되는 반전된 화상데이타 출력동기신호, 제6G도는 변배처리하고자 입력되는 화상데이타(DIN), 제6H도는 제 2 앤드게이트(AND2)에 인가되는제6I도는 제1,3앤드게이트(AND1,3)에 인가되는, 제6j도는 버퍼(606)의 DIR단자와 줌램(603)의단자와 제4앤드게이트(AND4)에 인가되는, 제6k도는 줌램(603)의단자에 인가되는을 각각 나타낸다.
제7a도는 변배율이 85%인 경우 변배처리용 룩업테이블 데이터의 예이고, 제7b도는 변배율이 185%인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101)에 의해 산출된 변배처리용 데이터의 일부분을 나타낸다.
제8도는 디지털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화상데이타 변배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제10단계는 초기 동작시 입력된 화상데이타에 대하여 표준변배처리를 수행하는 표준변배처리과정이고, 제20-40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변배율이 변경된 경우 변경된 변배율을 100으로 제산하여 몫과 나머지를 산출하는 변배율제산과정이고, 제50,60단계는 변배율제산과정에서 산출된 몫이 0보다 작은 경우 룩업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축소처리를 수행하는 축소처리과정이고, 제50,70,80단계는 변배율제산과정에서 산출된 몫이 0보다 크고 나머지가 0이 아닌 경우 룩업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확대처리를 수행하는 제1확대처리과정이고, 제50,70,90단계는 변배율제산과정에서 산출된 몫이 0보다 크고 나머지가 0이면 단순 확대처리를 수행하는 제2확대처리과정이고, 제100단계는 제10~90단계를 통해 계산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변배처리용 메모리에 기입하는 데이터기입과정이고, 제110,120단계는 기입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읽어들여 원래 데이터와 동일한지 여부를 검증한 후 주사동작을 수행하는 데이터검증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제9도는 제8도에 있어서 표준변배처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10도는 제8도에 있어서 룩업테이블을 참조한 축소처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룩업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변배처리용 데이터 중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변배율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데이터를 축소비율에 맞는 주주사방향의 1라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축소처리를 위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산출한다.
제11도는 제8도에 있어서 룩업테이블을 참조한 확대처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룩업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변배처리용 데이터 중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변배율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데이터를 확대비율에 맞는 주주사방향의 1라인 데이터로 변환하여 확대처리를 위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산출한다.
제12도는 제8도에 있어서 단순확대처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그러면 제4도 내지 제1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제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변배처리의 개념을 설명하면, 제4도의 (b)의 축소처리와 (c)의 확대처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라인메모리에 화상데이타를 기입할 경우에는 항상 화상데이타 출력동기신호(VCLK)에 의해 수행되고, 라인메모리에서 화상데이타를 변배처리함으로써 화상데이타의 축소 혹은 확대처리동작이 수행된다.
제5도를 참조하면, 1% 단위의 변배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룩업테이블은 롬(102)에 저장되어 있고, 마이크로프로세서(101)는 롬(102)에 저장된 룩업 테이블을 램(103)으로 읽어들여 사용자가 원하는 변배율에 해당하는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램(103)의 소정 영역에 저장한다. 즉, 마이크로프로세서(101)는 사용자가 선택한 변배율이 룩업테이블의 참조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롬(102)에서 룩업테이블을 독출하여 램(103)에 저장하며, 이때 룩업테이블이 저장될 램(103)의 저장영역은 최대 100Byte이면 충분하다.
마이크로프로세서(101)에 의해 1라인에 대한 화소수, 즉 400DPI일 경우 4752화소수 만큼의 변배처리용 데이터가 생성되면, 램(103)으로부터 변배처리용 데이터가 독출되어 줌램(603)에 기입된다.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서(101)는 줌램(603)에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기입할 때 어드레스버스를 이용한 랜덤 억세스가 아니라 메모리의 각 영역에 할당된 일정한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줌어드레스카운터(605)에서 발생되는 어드레스로 줌램(603)을 억세스한다. 또한, 변배처리용 데이터는 버퍼(606)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101)로부터 기입 및 독출이 가능하다.
상기 기술한 동작들은 주사신호(SCAN : 제6a도)가 '로우' 논리상태일 때 수행되는 것으로서, 줌데이타 다운로드부분에 해당하며, 여기서(제6h도)은 줌램(603)으로부터 데이터를 독출 혹은 기입할 때 어드레스를 0으로 정렬하기 위한 신호이다. 그리고,(6I도)과(제6J도)이 '로우' 논리상태가 되어 줌램(603)으로부터 데이타를 독출하고,(제6I도)과(제6k도)이 '로우' 논리상태가 되어 줌램(603)에 데이터를 기입할 수 있게 된다. 변배처리용 데이터가 줌램(603)에 기입되면 변배처리를 위한 준비동작은 모두 완료된다.
주사신호(SCAN:제6a도)가 '로우' 논리상태인 구간에서는 화상데이타가 출력되지 않고, 제1,2라인메모리(601,602)는 동작이 불활성인 상태이다.
주사신호(SCAN:제6a도)가 '하이' 논리상태가 되면 첫 번째 입력된 라인동기신호(: 제6b도)에 의해 인에이블신호(ENABLE : 제6c도)가 '하이' 논리상태, 반전인에이블신호(: 제6d도)가 '로우' 논리상태가 된다. 화상데이타 출력구간신호(: 제6e도)이 '로우' 논리상태가 되면 반전 화상데이타 출력동기신호(: 제6f도)에 따라서 화상데이타가 1화소 단위로 출력된다.
이때 버퍼(608)와 버퍼(612)가 활성화되므로 버퍼(608)를 통해 줌램(603)에서 출력되는 변배처리용 데이터가 제1라인메모리(601)에 어드레스로 공급되고, 이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변배처리된 화상데이타가 버퍼(612)를 통해 출력되는 화상데이타 독출모드로 동작한다. 여기서 제1라인메모리(601)의 어드레스값으로는 먼저 라인동기신호(: 제6b도)에 의해 0으로 정렬되고 반전 화상데이타 출력동기신호(: 제6f도)에 의해 트리거되어 계수하는 줌어드레스 카운터(605)의 출력값이 공급된다. 또한, 버퍼(609)와 버퍼(613)이 활성화되어 제2라인메모리(602)에는 기입 어드레스카운터(604)의 출력값이 제2라인메모리(602)의 어드레스로 인가되고, 화상데이타가 반전 화상데이타 출력동기신호(: 제6f도)에 동기되어 제2라인메모리(602)에 입력되므로 화상데이타 기입모드로 동작한다. 상술한 동작이 제6g도에서 제1상태(STATE 1)에 해당한다.
한편, 두 번째 라인동기신호(: 제6b도)가 입력되면, 인에이블신호(ENABLE : 제6c도)가 '로우' 논리상태, 반전인에이블신호(: 제6d도)가 '하이' 논리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1상태와는 반대로 제1라인메모리(601)는 버퍼(607)와 버퍼(611)가 활성화가 되어 기입 어드레스카운터(604)의 출력값이 제1라인메모리(601)의 어드레스로 인가되고, 화상데이타가 반전 화상데이타 출력동기신호(: 제6f도)에 동기되어 제1라인메모리(601)에 입력되므로 화상데이타 기입모드로 동작하고, 제2라인메모리(602)는 버퍼(610)와 버퍼(614)가 활성화되어 줌램(603)에서 출력되는 변배처리용 데이터가 어드레스로 인가되고, 변배처리된 화상데이타가 버퍼(614)를 통해 출력되므로 화상데이타 독출모드로 동작한다. 상술한 동작이 제6g도에서 제2상태(STATE 2)에 해당한다.
계속해서 입력되는 라인동기신호(: 제6b도)에 의해 제1라인메모리(601)와 제2라인메모리(602)가 제1상태와 제2상태를 교대로 반복하게 된다. 전체의 주사동작이 끝나면 주사신호(SCAN : 제6a도)는 '로우' 논리상태가 되어 변배율 변환 및 기타 다른 기능을 수행할 준비를 한다.
제8도 내지 제12도를 참조하여 룩업테이블을 이용한 변배처리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8도를 참조하여 전체적인 흐름을 설명하면, 제10단계에서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변배처리(100%)를 수행하고, 제20단계에서는 변배율의 변경요구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제20단계에서 변배율을 변경하지 않고 주사시작명령을 내리면 줌램(603)에 변배처리 데이터가 기입된다(제100단계), 한편 제20단계에서 변배율을 변경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으면 사용자가 설정한 변배율을 입력받고(제30단계), 변배율을 100으로 나누어(제40단계) 몫이 0보다 큰 값인지를 판단한다(제50단계).
제50단계에서 몫이 0보다 작으면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룩업테이블참조 축소처리를 수행하고(제60단계), 몫이 0보다 크면 나머지가 0인지를 판단한다(제50단계).
제70단계에서 나머지가 0이 아니면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룩업테이블참조 확대처리를 수행하고(제80단계), 나머지가 0이면 제 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확대처리를 수행한다(제90단계).
이들 처리가 완료되어 변배처리용 데이터가 정리되면 줌램(603)에 변배처리용 데이터의 기입동작이 수행된 후(제100단계) 줌램(603)에 기입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원래 데이터가 같은지를 검증하고(제110단계), 검증이 완료되면 주사동작을 수행한다(제120단계).
제9도를 참조하여 표준변배처리를 설명하면, 램(103)내의 변배처리용 데이터 저장영역(TEMP)을 Z_ADD에 설정하고,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한 기준데이터(VALUE)를 0으로 설정한 후(제12단계), Z_ADD에서 VALUE 값을 기입하고 Z_ADD와 VALUE 값을 1씩 증가시킨다(제14단계).
주주사방향 1라인분의 최대화소수(END)와 Z_ADD를 비교하여(제16단계), END가 Z_ADD보다 작으면 제14단계로 복귀하고, 크면 다음 처리를 수행한다.
제10도를 참조하여 룩업테이블참조 축소처리를 설명하면, 제8도의 제40단계에 의해 계산된 나머지를 이용하여 롬(102)에 저장되어 있는 룩업테이블의 실제 어드레스(L_DATA)를 계산한 후(제61단계), 램(103)내의 변배처리용 데이터 저장영역(TEMP)를 Z_ADD에 설정하고, LP_CNT에는 제8도의 제40단계에 의해 계산된 나머지값을 설정한다(제63단계).
제65단계에서는 제61단계에서 계산된 L_DATA로부터 Z_ADD로 룩업테이블의 값을 기입하고 L_DATA와 Z_ADD를 각각 1씩 증가시킨다.
제67단계에서는 LP_CNT를 1씩 감소시켜 0과 비교하여, LP_CNT 값이 0과 같지 않으면 제65단계로 복귀하고, 같으면 축소비율에 맞는 주주사방향 1라인의 최대화소수 만큼 데이터를 확장하고(제69단계) 다음 처리를 수행한다.
제11도를 참조하여 룩업테이블참조 확대처리를 설명하면, 제8도의 제40단계에 의해 계산된 나머지를 이용하여 롬(102)에 저장되어 있는 룩업테이블의 실제 어드레스(L_DATA)를 계산한 후(제811단계), 램(103)내의 변배처리용 데이터 저장영역(TEMP)을 Z_ADD에 설정하고,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한 기준 데이터(VALUE)를 0으로 설정하고, LP_CNT에는 제8도의 제40단계에 의해 계산된 나머지값을 설정하고, L_ADD에는 롬(102)의 해당 룩업테이블 데이터가 저장될 램(103)의 임의영역(TEMP1)을 설정한다(제812단계).
제813단계에서는 L_ADD에 제811단계에서 계산된 L_DATA 값을 기입하고 L_DATA와 L_ADD를 각각 1씩 증가시킨다.
제814단계에서는 LP_CNT를 1씩 감소시켜 0과 비교하여,LP_CNT의 값이 0과 같지 않으면 제813단계로 복귀하여 0이 될 때까지 반복하고, 같으면 LP_CNT에 제8도의 제40단계에 의해 계산된 몫을 설정하고 L_ADD에는 TEMP1를 설정한다(제815단계).
제816단계에서는 Z_ADD에 VALUE 값을 기입하고 Z_ADD를 1씩 증가시키고, LP_CNT를 1씩 감소시켜 0인가를 비교하여(제817단계), LP_CNT가 0이 아니면 제816단계로 복귀하고, 0이면 LP_CNT에 제8도의 제40단계에 의해 계산된 몫을 다시 설정하고(제818단계), L_ADD 값이 VALUE 값과 같은지를 비교한다(제819단계).
제819단계에서 L_ADD 값이 VALUE 값과 같지 않으면 제816단계로 복귀하고, 같으면 다음 룩업테이블 데이터를 읽어들이기 위해 L_ADD를 1씩 증가시킨다(제820단계). 다음 Z_ADD에 VALUE 값을 기입하고 Z_ADD와 VALUE 값을 1씩 증가시키고(제821단계), 현재의 L_ADD와 TEMP1의 감산결과가 제8도의 제40단계에 의해 계산된 나머지와 같은지를 판단하여(제822단계), 다르면 제816단계로 복귀하고, 같으면 지금까지 만들어진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확대비율에 맞는 주주사방향 1라인의 최대화소수 만큼 데이타를 확장하고(제823단계) 다음 처리를 수행한다.
제12도를 참조하여 단순확대처리를 설명하면, 램(103)내의 변배처리용 데이타 저장영역(TEMP)을 Z_ADD에 설정하고, 변배처리용 데이타를 산출하기 위한 기준데이터(VALUE)를 0으로 설정한 후(제91단계), LP_CNT에는 제8도의 제40단계에 의해 계산된 몫값을 설정한다(제92단계). 다음 Z_ADD에 VALUE 값을 기입하고 Z_ADD 값을 1씩 증가시킨다(제93단계).
제94단계에서는 LP_CNT를 1씩 감소시켜 0과 비교하여, LP_CNT 값이 0과 9같지 않으면 제93단계로 복귀하고, 같으면 VALUE 값을 1씩 증가시킨 후(제95단계), 주주사방향 1라인분의 최대화소수(END)와 Z_ADD를 비교하여(제96단계), END가 Z_ADD보다 작으면 제93단계로 복귀하고, 크면 다음 처리를 수행한다.
제8도 내지 제12도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변배처리방법을 제7a,7b도에 도시된 변배처리용 룩업테이블을 참조하여 85% 축소처리와 185% 확대처리를 설명하면, 룩업테이블에는 1~99%까지의 룩업테이블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저장되어 있으므로 먼저 85%에 해당하는 룩업테이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시작어드레스를 계산해야 한다. 룩업테이블 어드레스의 계산이 완료되면 제10도에 도시된 룩업테이블참조 축소처리에서는 룩업테이블 데이터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85%에 해당하는 시작어드레스에서부터 85개의 룩업테이블 데이터값을 변배처리용 데이터저장영역에 읽어들이고,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주사방향 1라인에 대한 변배처리용 데이터로 확장한다.
한편, 185% 확대처리에 있어서는 85%에 해당하는 룩업테이블 데이터를 램(103)의 임의 영역 TEMP1에 읽어들인 후, 100%에 대해서는 제12도에 도시된 단순확대처리를 수행하고, 85% 확대에 대해서는 제11도에 도시된 룩업테이블을 참조한 확대처리를 수행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탈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화상데이타 변배처리방법 및 회로에서는 소량의 룩업테이블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상데이타의 축소 및 확대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넓은 범위의 변배율에 대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회로 구성을 단순화한 이점이 있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산축하므로 프로그램 변경에 따라 변배율을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램을 이용하여 변배처리를 수행하므로 보다 안정된 변배처리가 이루어질 뿐 아니라 억세스 타임이 빠른 램으로 교체함으로써 고속처리가 요구되는 경우 용이하게 응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변배율을 변경하는 시점마다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산출하여 변배처리용 램에 기입한 후 다시 읽어들여 검증함으로써 메모리 소자의 동작 불량에 따른 불량 복사를 방지하여 복사에 소요되는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하드웨어의 동작상태를 점검할 수 있어 고장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소량의 변배처리용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룩업테이블과 변배처리용 메모리를 구비하여 디지털 화상처리장치에 입력되는 화상데이타를 변배처리하여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변배율에 해당하는 화상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변배처리방법에 있어서, 초기 동작시 상기 입력된 화상데이타에 대하여 표준변배처리를 수행하는 표준변배처리과정 ; 사용자에 의해 변배율이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변배율을 100으로 제산하여 몫과 나머지를 산출하는 변배율제산과정 ; 상기 변배율제산과정에서 산출된 몫이 0보다 작은 경우 상기 룩업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축소처리를 수행하는 축소처리과정 ; 상기 변배율제산과정에서 산출된 몫이 0보다 크고 나머지가 0이 아닌 경우 상기 룩업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확대처리를 수행하는 제1확대처리과정 ; 상기 변배율제산과정에서 산출된 몫이 0보다 크고 나머지가 0이면 단순 확대처리를 수행하는 제2확대처리과정 ; 상기 과정들을 통해 계산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상기 변배처리용 메모리에 기입하는 데이터기입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타 변배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테이블에는 1%~99%에 해당하는 변배처리용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타 변배처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기입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읽어들여 원래 데이터와 동일한지 여부를 검증하는 데이터검증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타 변배처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처리과정은 상기 룩업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변배처리용 데이터중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변배율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데이터를 축소비율에 맞는 주주사방향의 1라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축소처리를 위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타 변배처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확대처리과정은 상기 룩업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변배처리용 데이터중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변배율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독출하고, 도출된 데이타를 확대비율에 맞는 주주사방향의 1라인 데이터로 변환하여 확대처리를 위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타 변배처리방법.
  6. 디지털 화상처리장치에서 입력된 화상데이타를 변배처리하여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변배율에 해당하는 화상을 출력하기 위한 변배처리회로에 있어서, 복사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및 변배처리용 룩업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제1메모리 ;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된 룩업테이블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변배율에 해당하는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산출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산출하는 도중에 상기 변배처리용 룩업테이블의 데이터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산출된 1라인분의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제2메모리 ; 변배처리하고자 입력되는 주주사방향의 1라인분에 대한 화상데이타를 저장하는 제1,2라인메모리 ;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변배처리를 실시하는 제3메모리 ; 상기 주주사방향의 1라인분에 대한 화상데이타를 상기 제1,2라인메모리의 소정 어드레스에 기입하도록 화상동기신호클럭을 계수하는 제1카운터 ;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3메모리에 데이터를 기입하거나 주사동작중에 소정의 변배율에 대한 변배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3메모리의 데이터를 상기 제1,2라인메모리의 어드레스로 출력하기 위해 상기 화상동기신호클럭을 계수하는 제2카운터 ; 및 상기 제1,2라인메모리의 기입 및 독출동작이 교번적으로 수행되도록 라인동기신호를 분주하는 분주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타 변배처리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1,2라인메모리에 기입 및 독출어드레스가 지정될 수 있도록 통로역할을 하는 제1버퍼수단 ; 변배처리하고자 입력되는 화상데이타를 상기 제1,2라인메모리에 기입할 수 있도록 통로역할을 하는 제2버퍼수단 ; 상기 제1,2라인메모리로부터 독출되는 변배처리된 화상데이타를 출력하는 통로역할을 하는 제3버퍼수단 ; 및 상기 제3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기입 혹은 독출하도록 통로역할을 하는 제4버퍼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타 변배처리회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테이블에는 1%~99%에 해당하는 변배처리용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타 변배처리회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1메모리의 룩업테이블에 저장되어 잇는 변배처리용 데이터중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변배율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데이터를 축소비율에 맞는 주주사방향의 1라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축소처리를 위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타 변배처리회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1메모리의 룩업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변배처리용 데이터중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변배율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데이터를 확대율에 맞는 주주사방향의 1라인 데이터로 변환하여 확대처리를 위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타 변배처리회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처리를 위한 변배처리용 데이터는 단순확대처리와 상기 룩업테이블을 참조한 확대처리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타 변배처리회로.
KR1019940009550A 1994-04-30 1994-04-30 디지탈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화상데이타 변배처리방법 및 회로 KR0120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9550A KR0120570B1 (ko) 1994-04-30 1994-04-30 디지탈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화상데이타 변배처리방법 및 회로
JP08076395A JP3694544B2 (ja) 1994-04-30 1995-03-13 ディジタル画像処理装置に於ける画像データ変倍処理方法及び回路
FR9502868A FR2719404B1 (fr) 1994-04-30 1995-03-13 Procédé d'agrandissement/réduction de données d'image dans un système de traitement d'image numérique et circuit à cet effet.
DE19508994A DE19508994B4 (de) 1994-04-30 1995-03-13 Verfahren und eine Schaltung zum Vergrößern/Verkleinern von Bilddaten in einem digitalen Bildverarbeitungssystem
GB9508756A GB2288945B (en) 1994-04-30 1995-04-28 Method for enlargement/reduction of image data in digital image processing system and circuit adopting the same
GB9508860A GB2288946A (en) 1994-04-30 1995-05-01 Image enlargement/reduction method
US08/760,256 US5901274A (en) 1994-04-30 1996-12-05 Method for enlargement/reduction of image data in digital image processing system and circuit adop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9550A KR0120570B1 (ko) 1994-04-30 1994-04-30 디지탈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화상데이타 변배처리방법 및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9980A KR950029980A (ko) 1995-11-24
KR0120570B1 true KR0120570B1 (ko) 1997-10-29

Family

ID=19382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9550A KR0120570B1 (ko) 1994-04-30 1994-04-30 디지탈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화상데이타 변배처리방법 및 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694544B2 (ko)
KR (1) KR0120570B1 (ko)
DE (1) DE19508994B4 (ko)
FR (1) FR2719404B1 (ko)
GB (2) GB22889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8838A (en) * 1996-07-19 1998-11-17 Hewlett-Packard Company Down-scaling technique for bi-level images
US20100054621A1 (en) * 2008-08-26 2010-03-04 Qualcomm Incorporated Dual lookup table design for edge-directed image scaling
JP7316130B2 (ja) * 2019-07-16 2023-07-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6369A (ja) * 1983-12-30 1985-08-02 インタ−ナショナル ビジネス マシ−ンズ コ−ポレ−ション イメ−ジ縮小方法
JPH02132963A (ja) * 1988-11-14 1990-05-22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JPH02161872A (ja) * 1988-12-14 1990-06-21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の縮拡処理方式
JPH0682391B2 (ja) * 1989-03-15 1994-10-1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N画素をm画素に変換する装置
JP3056231B2 (ja) * 1989-09-12 2000-06-2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読取装置
JP2523222B2 (ja) * 1989-12-08 1996-08-07 ゼロッ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画像縮小/拡大方法及び装置
US5329614A (en) * 1991-02-07 1994-07-12 Unisy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larging gray scale images
US5335296A (en) * 1991-04-30 1994-08-02 Optigraphics Corporation Process for high speed rescaling of binary im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88945A (en) 1995-11-01
FR2719404B1 (fr) 1997-10-31
GB2288946A (en) 1995-11-01
DE19508994A1 (de) 1995-11-02
GB2288945B (en) 1998-07-22
GB9508756D0 (en) 1995-06-14
FR2719404A1 (fr) 1995-11-03
JPH07302331A (ja) 1995-11-14
JP3694544B2 (ja) 2005-09-14
DE19508994B4 (de) 2007-05-03
KR950029980A (ko) 1995-11-24
GB9508860D0 (en) 1995-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1274A (en) Method for enlargement/reduction of image data in digital image processing system and circuit adopting the same
JPH07311843A (ja) イメージ入力端末の走査速度をホスト・インターフェイスのクロック・レートに整合させるよう制御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4503469A (en) Picture image enlarging/reducing system
KR0120570B1 (ko) 디지탈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화상데이타 변배처리방법 및 회로
JP3983451B2 (ja) ディジタル信号のサンプリング周波数変換装置
KR19990015530A (ko) 화상데이터의 변배처리방법
JP2829930B2 (ja) 画像処理装置
JP2860985B2 (ja) 原稿読み取り装置
JPS59128862A (ja) 拡大・縮小装置
JP3529208B2 (ja) 画像処理装置
JP3698196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入力装置
JP3788566B2 (ja) 密度変換装置
KR100374581B1 (ko) 디지탈 화상의 축소방법 및 장치
JP2870804B2 (ja) 画像処理装置
KR930006938B1 (ko) 팩시밀리에 있어서 화상신호의 원고 크기 확대회로
JPH07212568A (ja) 画像形成装置
KR100262547B1 (ko) 복합기의주주사방향확대/축소방법
KR19990038518A (ko) 화상데이터의 변배처리방법 및 그 회로
KR100196865B1 (ko) 팩시밀리에서의 해상도 변환 장치
JP3502885B2 (ja) 画像拡大・縮小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クロック生成回路
JP3092579B2 (ja) 画像データ回転処理方法及び画像データ回転処理装置
KR920001619B1 (ko) 화상처리장치
JPH0723214A (ja) 画像処理装置
JPS6326070A (ja) 画像処理装置
JPH09121278A (ja) 画像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