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8518A - 화상데이터의 변배처리방법 및 그 회로 - Google Patents

화상데이터의 변배처리방법 및 그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8518A
KR19990038518A KR1019970058303A KR19970058303A KR19990038518A KR 19990038518 A KR19990038518 A KR 19990038518A KR 1019970058303 A KR1019970058303 A KR 1019970058303A KR 19970058303 A KR19970058303 A KR 19970058303A KR 19990038518 A KR19990038518 A KR 19990038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rocessing
shift
image
lookup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8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향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58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8518A/ko
Publication of KR19990038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518A/ko

Links

Landscapes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복사기 혹은 팩시밀리 등과 같은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화상처리장치에서 입력된 화상데이터를 사용자에 의해 지정한 임의의 변배율에 따라 원하는 변배율의 화상을 원할하게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화상데이터의 변배처리방법 및 그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초기 동작시 표준변배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준비하는 표준변배처리데이터 생성과정과, 사용자에 의해 변배율이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변배율을 100으로 제산하여 몫과 나머지를 산출하는 변배율제산과정과, 상기 변배율제산과정에서 산출된 몫이 0보다 작으면 상기 룩업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축소처리를 수행하는 축소처리데이터생성과정과, 상기 변배율제산과정에서 산출된 몫이 0보다 크면 상기 룩업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확대처리를 수행하는 확대처리데이터생성과정 및 상기 과정들을 통해 계산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상기 변배처리용 메모리에 기입하는 데이터기입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에 따르면 소량의 룩업테이블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상데이터의 축소 및 확대를 수행하므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넓은 범위의 변배율에 대응할 수 있고,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산출하므로써 프로그램 변경에 따라 변배율을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데이터의 변배처리방법 및 그 회로
본 발명은 화상데이터의 변배처리방법 및 그 회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디지털 복사기 혹은 팩시밀리 등과 같은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화상처리장치에서 입력된 화상데이터를 사용자에 의해 지정한 임의의 변배율에 따라 원하는 변배율의 화상을 원활하게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화상데이터의 변배처리방법 및 그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하결합소자(Charge Coupled Device)라고 하는 이미지 센서와 광전변환을 이용하여 원고화상에 반사되어 나오는 광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는 스캐너, 디지털 복사기 혹은 팩시밀리 등과 같은 디지털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원고의 화상을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는 기능 즉, 변배기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디지털 화상처리장치에서는 정규화된 복사비율, 예를 들면 국제표준문서간의 확대 및 축소비율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지정한 25%-400%의 변배율에 따라 1%단위까지의 확대 및 축소가 가능하도록 변배기능을 구현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상데이터 변배처리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1)와,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102)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램(103) 및 라인메모리(104),(105)들을 중심으로 기입 어드레스 카운터(107), 줌램 어드레스 카운터(108), 줌램(106), 어드레스 버퍼(109), 화소데이터 입출력제어부(110), 보간출력부(111)로 구성된다.
여기서, 라인메모리(104),(105)들은 화소데이터 입력버스와 화소데이터 입출력제어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는 화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들이며, 두 메모리 중 한쪽이 써넣기 상태일 경우, 다른 한쪽은 읽어내기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화소데이터 입출력제어부(110)는 이 두 화소데이터 저장메모리의 써넣기 또는 읽어내기 상태에 따라 적절한 타이밍으로 화소데이터의 입출력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부분이다.
화소데이터의 써넣기 및 읽어내기 동작과 관련하여 기입 어드레스 카운터(107)는 라인메모리(104),(105)에 화소데이터 입출력제어부(110)를 통하여 입력된 화소데이터를 써넣을 때 저장될 어드레스를 지정하기 위한 것이며, 줌램 어드레스 카운터(108)는 줌램에 저장되어 있는 변배처리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어내기 위한 어드레스 발생기이고, 줌램(106)은 1%단위의 변배율에 대응한 마이크로프로세서(101)에 의해 생성된 변배처리데이터 및 보간데이터를 일정한 규칙에 따라 합성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어드레스 버퍼(109)는 입력된 화소데이터를 저장하는 라인메모리(104),(105)의 어드레스로, 화소데이터를 써넣는 시점에서는 기입 어드레스 카운터(107)에서 제공되는 어드레스가 연결되도록 하고, 화소데이터를 읽어내는 시점에서는 줌램(106)에서 출력되는 변배처리용데이터가 라인메모리의 어드레스로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간출력부(111)는 1%단위의 확대/축소시 변배율에 따라 해당 화소데이터로서 출력되어야 할 화소데이터를 줌램(106)에서 출력되는 변배처리데이터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보간데이터를 산출하여 적절한 형태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마이크로프로세서(101)는 롬(102)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전체적인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고, 롬(102)은 제어에 관한 프로그램, 변배처리를 위한 룩업테이블 데이터 및 제어 관련 데이터들이 저장되어 있다. 램(103)에는 시스템 동작시 변수로서 작용하는 데이터의 저장 및 변배처리데이터의 산출시 임시데이터의 저장영역으로 활용된다.
그런데 이런 종래의 변배처리시스템에서 줌램은 일예로서 A4원고(210mm×297mm)횡의 주주사방향에 대하여 400DPI의 해상도로 한라인을 읽어 들인다면, 변배처리데이터는 주주사방향의 최대화소수인 4752(16×297)개를 액세스하기 위한 13비트의 어드레스와 확대/축소시 화소데이터를 보간하여 출력하고자 할당하는 보간번호 2비트를 포함한 15비트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줌램의 구성에 필요한 메모리량은 최소한 4752화소×15비트=71,280비트(실제 회로구성시 8KB×2)가 되며, 변배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는 2바이트의 폭을 갖는 데이터버스 구조로 되어 있어서 법용 메모리칩을 사용하면 2개의 칩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회로구성은 8비트의 데이터버스 구성을 가지고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나 디바이스의 경우 데이터의 기입 및 독출에 있어서 부가적인 처리가 필요하여 버퍼등 회로소자를 많이 사용하게 되어 회호기판의 크기도 커질뿐만 아니라 복잡한 회로구성으로 인하여 시스템 동작시 타이밍제어에도 불안정한 요소로 동작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변배율을 변경할때마다 소량의 변배처리용 데이터가 저장된 룩업테이블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변배율의 화상을 원활하게 출력하여 적절한 변배처리에 의한 출력화상을 얻도록 하는 디지털 화상데이터의 변배처리방법 및 그 회로를 제공함으로서 줌램의 양을 최소화하고 주변회로를 간단히 구성함에 따라 커스텀 칩의 설계시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회로구성을 최소화하여 1%단위의 변배처리를 효율적으로 처리함과 동시에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상데이터 변배처리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화상처리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상세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배처리에 관한 전체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
도 6은 룩업테이블 데이터의 일예를 도시한 표
도 7a,b,c는 본 발명의 변배처리데이터 생성에 관계되는 데이터 저장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표로서,
a는 ROM 영역
b는 RAM 영역
c는 ZOOM RAM이다.
도 8a,b,c,d는 본 발명의 변배처리데이터 생성시 사용되는 메모리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표로서,
a는 룩업테이블 데이터의 저장영역으로서, YM:ROM내의 참조 LUT 데이터 저장영역의 참조번호 M에 해당하는 룩업테이블데이터의 시작번지
b는 PA영역으로서, PA:RAM내의 룩업테이블데이터 저장영역
c는 PB영역으로서, PB:RAM내의 zoom data 저장영역
d는 PC영역으로서 PC:RAM내의 1라인 확장 변배처리데이터 저장영역이다.
도 9a,b는 보간데이터의 생성기준표로서,
a는 축소시 보간테이터의 생성기준표
b는 확대시 보간데이터의 생성기준표이다.
도 10a,b,c는 축소처리용 데이터의 일예를 도시한 표로서,
a는 룩업테이블의 데이터
b는 83% 축소시 변배처리용 데이터
c는 183% 확대시 변배처리용 데이터
도 11은 본 발명의 표준변배처리를 위한 신호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축소처리 데이터 생성과정을 위한 신호 흐름도
도 13a,b,c,d,e는 본 발명을 위한 신호 흐름도로서,
a는 확대 처리를 위한 신호 흐름도
b는 100%∼199%의 변배율처리를 위한 신호 흐름도
c는 200%∼299%의 변배율처리를 위한 신호 흐름도
d는 300%∼399%의 변배율처리를 위한 신호 흐름도
e는 400% 변배율처리를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1라인 확장 처리를 위한 신호 흐름도
도 15a내지k는 도 4에서의 설명을 위한 신호파형도
도 16a,b는 183%, 83% 변배처리시 출력형태의 일예를 나타낸 표로서,
a는 83% 축소시의 데이터
b는 183% 확대시의 데이터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01:마이크로프로세서 302:롬
303:램 304:제 1라인메모리
305:제 2라인메모리 306:줌램
307,401∼408:버퍼 308:기입어드레스카운터
310:독출어드레스카운터 312:화소데이터입출력제어부
313:보간처리출력부 409:디 플립플롭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소량의 변배처리용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룩업테이블과 변배처리용 메모리를 구비하여 디지털 화상처리장치에 입력되는 화상데이터를 변배처리하여 사용자가 지정된 변배율에 해당하는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변배처리방법에 있어서, 초기 동작시 표준변배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준비하는 표준변배처리 데이터 생성과정과, 사용자에 의해 변배율이 변경된 경우 변경된 변배율을 100으로 제산하여 몫과 나머지를 산출하는 변배율제산과정과, 상기 변배율제산과정에서 산출된 몫이 0보다 작은 경우 상기 룩업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축소처리를 수행하는 축소처리데이터 생성과정과, 상기 변배율제산과정에서 산출된 몫이 0보다 큰 경우 상기 룩업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확대처리를 수행하는 확대처리데이터 생성과정과, 상기 과정들을 통해 계산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상기 변배처리용 메모리에 기입하는 데이터기입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디지털 화상처리장치에서 입력된 화상데이터를 변배처리하여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변배율에 해당하는 화상을 출력하는 변배처리회로에 있어서, 복사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및 변배처리용 룩업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제 1 메모리와, 상기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룩업테이블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변배율에 해당하는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산출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산출하는 도중에 상기 변배처리용 룩업테이블의 데이터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산출된 한 라인분의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제 2 메모리와, 변배처리하고자 입력되는 주주사방향의 한 라인분에 대한 화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2 라인메모리와, 상기 제 2 메모리에 저장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변배처리를 실시하는 제 3 메모리와, 상기 주주사방향의 한 라인분에 대한 화상데이터를 상기 제 1,2 라인메모리의 소정 어드레스에 기입하거나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 3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입/독출할 수 있도록 화상동기신호출력 또는 제어신호를 계수하는 제 1 카운터와, 주사동작중에 소정의 변배율에 대한 변배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 1,2 라인메모리의 어드레스로 출력하기 위해 상기 화상동기신호클럭을 계수하는 제 2 카운터와, 상기 제 1,2 라인메모리에서 출력되는 화상데이터와 줌램에 저장되어 있는 보간처리 데이터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지정한 변배율에 맞는 화상데이터를 보간하여 출력하는 보간처리출력부 및 상기 제 1,2 라인메모리의 기입 및 독출동작이 교번적으로 수행되도록 라인동기신호를 분주하는 분주기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탈 화상처리시스템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냈다. 여기서 CCD센서부(201)는 램으로부터 방사된 광이 원고의 농도에 따라 반사된 반사광을 집광하여 센서에 입력되고, 입력된 광의 세기에 비례한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반도체 소자이며, CCD센서부에서 출력된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로서 이 신호를 데이터로서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A/D변환부(202)를 거쳐 램프의 광학적 특성, 센서의 개체차등을 보정하는 쉐이딩 보정부(203)를 거쳐 R,G,B로 출력되는 신호를 감법혼색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프린터의 토너특성에 맞추는 농도변환부(204)에 따라 R,G,B신호는 Y,M,C,K의 신호로 변환된다. 이렇게 변환된 신호는 사용자가 정한 임의의 변배율에 따라 변배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되는 변배처리부(205)를 거쳐 최종적으로 프린터부(206)에 디지털 신호가 출력되어 출력화상을 얻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용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롬(302)과, 상기 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전체적인 시스템 제어를 담당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301)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프로그램 수행도중 저장이 필요한 변수나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303)과, 입력된 화소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 라인메모리(304) 및 제 2 라인메모리(305)와, 변배처리용 보간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줌램(306)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데이터 버스를 통해 상기 줌램을 액세스하는 동안 데이터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버퍼(307)와, 상기 줌램의 기입 또는 독출시 및 제 1,2 라인메모리에 화소데이터의 기입시점에 어드레스를 공급하는 기입어드레스 카운터(308)와, 상기 제 1,2 라인메모리에 화소데이터의 독출시점에 어드레스를 공급하는 독출어드레스 카운터(31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기입어드레스 카운터 및 독출어드레스 카운터에 적절한 클럭신호를 제공하는 클럭 조정부(309),(311)와, 상기 제 1,2 라인메모리가 번갈아서 읽기/쓰기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입력된 화소데이터의 입출력 방향을 제어하여 처리하는 화소데이터 입출력 제어부(312)와, 상기 화소데이터 입출력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화소데이터를 입력받아 줌램에서 출력되는 보간데이터에 의해 적절히 보간처리하여 출력하는 보간처리출력부(313)와, 상기 제 1,2 라인메모리가 번갈아서 일기/쓰기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해당 어드레스를 제공하여 적절한 읽기/쓰기 동작이 수행되도록 어드레스를 제공하는 어드레스버퍼(314)로 구성된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상세 회로도로서, 크게 나누어 사용자가 지정한 변배율을 인식하여 실제 복사동작중에 처리할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한 변배처리용 데이터 산출수단과, 상기 변배처리용 데이터 산출수단으로부터 산출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변배처리를 수행하는 변배처리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변배처리용 데이터 처리수단은 변배처리용 룩업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제 1메모리 예컨데 롬(302)과, 상기 롬에 저장된 룩업테이블 데이터를 이용하여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산출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301)와, 변배처리용 룩업테이블 데이터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산출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제 2메모리 예컨데 램(303)으로 구성된다.
상기 변배처리수단은 주주사방향의 1라인분에 해당하는 화상데이터, 예를 들면, A4용지의 횡방향의 길이 297mm에 대해 400DPI(Dot Per Inch = 약 16dot/mm)의 해상도로 화소를 추출하면 16(pixel/mm) × 297(mm/line)= 4752(pixel/line)화소의 화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2 라인메모리(304,305)와, 램(303)에 저장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변배처리를 실시하도록 작용하는 제 3메모리 예컨데 줌램(306)과, 주주사방향 즉, 전하결합소자(CCD)로부터 화상데이터가 출력되는 방향의 1라인분에 대해 화상데이터를 제 1,2 라인메모리(304,305)의 소정 어드레스에 기입하도록 화상데이터 출력동기신호(VCLK)을 계수하거나, 마이크로프로세서(301)에 의해 줌램(306)에 데이터를 기입하거나 스캔동작중에 소정의 변배율에 대한 보간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줌램(306)의 데이터를 보간처리출력부(313)로 출력하기 위해 화상데이터 출력동기신호(VCLK)을 계수하는 제 1카운터 예컨데 기입드레스카운터(308)와, 제 1,2 라인메모리(304,305)의 독출동작시 적절한 어드레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보간데이터 및 화상데이터 출력동기신호(VCLK)를 계수하여 어드레스로 제공하는 독출어드레스 카운터(310)와, 제 1,2 라인메모리(304),(305)의 기입 및 독출동작이 교번적으로 수행되도록 기입어드레스와 독출어드레스를 번갈아 제공하는 어드레스버퍼(314)와, 상기 어드레스버퍼(314)에는 다수개의 버퍼(401,402,403,404)들로 구성되며, 제 1,2 라인메모리(304),(305)의 기입 및 독출동작이 교번적으로 수행되도록 라인 동기신호를 분주하는 분주기 예컨데 D플립플롭(409)으로 구성된다.
또한 변배처리수단에는 변배처리하고자 입력되는 화상데이터를 제어하는 화소데이터 입출력 제어부(312)와, 상기 화소데이터 입출력 제어부(312)에는 제 1,2 라인메모리(304,305)에 기입할 수 있도록 통로역할을 하는 다수의 제 1버퍼수단 예컨데 버퍼(405,407)와 제 1,2 라인메모리로부터 독출되는 변배처리된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데 통로역할을 하는 제 2버퍼수단 예컨데 버퍼(406,408)들로 구성되며, 줌램(306)의 데이터를 마이크로프로세서(301)가 기입 혹은 독출하도록 통로역할을 하는 제 3버퍼수단 예컨데 버퍼(307)와, 기입어드레스 카운터(308)에서 제공되는 어드레스에 따라 줌램(306)에서 출력되는 보간데이터와 상기 제 2버퍼수단을 통하여 출력되는 화소데이터를 입력받아 지정된 변배율에 따른 보간데이터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보간처리출력부(313)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변배처리수단에는 제 1인버터(INT1), 제 1∼5논리합소자(AND1∼AND5), 제 1논리곱소자(NAND1), 제 6,7논리합소자(OR1,OR2)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의 변배처리에 대한 흐름도를 참조하여 전체적인 동작을 살펴보면, 디지털 복사기 또는 칼라 스캐너, 칼라 팩시밀리등과 같은 디지털 화상처리장치의 전원을 인가하면 디지털 화상처리장치는 변배율에 대해서 기본 배율인 표준변배처리(100%)를 위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준비한다(단계501). 준비된 변배처리용 데이터는 도 4의 줌램(306)에 일정한 규칙에 따라 써넣어진 다음(단계502), 다시 읽어들여 본래 데이터와 비교하는 검증동작을 거친다(단계503). 이과정으로 기본적인 변배처리동작의 준비는 완료되고, 다음에는 변배율 변경 요구가 있는지(단계504) 아니면 스캔 스타트 요구가 있는지를 판단하여(단계505), 변배율 변경요구가 있으면 해당 요구에 따라 다음 동작을 수행하고(단계506∼510), 스캔스타트 요구가 있으면 스캔동작을 수행하게 된다(단계511).
변배율 변경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변배율을 입력받아(단계506) 이 변배율을 100으로 나누어 몫과 나머지를 구한다(단계507). 여기서 구해진 몫이 0보다 큰가를 확인하여 작으면 입력된 변배율은 축소의 경우에 해당하므로 룩업테이블 데이터를 참조한 축소처리용 데이터를 산출하고(단계509), 몫이 0보다 큰 경우에는 룩업테이블을 참조한 확대처리데이터 산출과정을 수행한다(단계510). 변배처리용 데이터 산출과정이 완료되면 변배처리용 데이터의 다운로드(단계502) 및 검증과정(단계503)을 거쳐 다음 동작에 대비한다. 다음에 스캔스타트 신호가 입력되면 생성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사용하여 변배처리동작이 수행되어 변배처리에 대한 동작은 완료된다(단계511).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체적인 동작은 입력된 변배율에 따른 변배처리를 위해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생성하여 변배처리용 램에 써넣는 동작과 실제 스캔동작시 변배처리용 램에 의해 변배처리 동작이 실제로 수행되는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변배처리를 위한 변배처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은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수행되고 실제 변배처리동작은 하드웨어에 의한 처리동작에 따라 이루어진다.
다음은 변배처리동작중 먼저 변배처리를 위한 변배처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을 도 6에서 도 16까지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임의의 변배율(zoom rate)은 100 × Q(몫) + R(나머지)과 같이 일괄적인 표현이 가능하다. 이때 Q는 100%에 대한 정수배의 배율을 가리키는 것이며, R은 0에서 99까지의 1%단위의 배율을 가리키는 것이다. 본 방식에 의한 변배처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도 6표와 같은 룩업테이블을 이용한다. 룩업테이블은 25 ∼ 400%의 변배처리를 1%단위로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서, 1에서99까지의 참조번호가 붙은 데이터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고, 확대(즉, 변배율이 100%보다 큰 경우)시에는 25에서 99까지의 참조번호중 참조번호 R에 해당하는 룩업테이블 데이터를 참조한다. 참조번호1에서 참조번호99까지는 변배율(zoom rate)의 R에대한 변배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기준값에 해당하며, 참조번호 R에는 R개의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앞에서 언급한 룩업테이블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적용한다. 즉, for(ref-num = 1;ref-num < 100;ref-num++)
j=(float)(100.0/ref-num);
for(k=1;k < ref-num+1;k++)
lut data=(int)(j * k)-1;
fprintf(fp,"%02XH",lut-data);의 프로그램을 적용한다. 참조번호1에서 참조번호99까지의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참조번호를 변수(ref-num)로 설정하고, 100을 이 변수값으로 나누어 중간값(j)을 산출한 다음 중간값에 1부터 변수(ref-num)값까지의 범위에서 순차적으로 1씩 증가한 값을 곱하여 룩업테이블데이터(lut-data)를 생성하여 file 형태로 저장한다. 즉 이 프로그램이 수행되면 참조번호1부터 참조번호99까지의 룩업테이블이 형성되고, 룩업테이블데이터의 개수는 참조번호R에 대해서 R개의 데이터로 구성된다.
도 6은 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생성된 룩업테이블데이터의 예로서 참조번호1, 참조번호2, 참조번호3, 참조번호51, 참조번호83, 참조번호99에 대한 룩업테이블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앞에서 생성된 룩업테이블데이터는 도 4의 롬(302)에 도 8a와 같은 구성으로 저장되어 있다. 도 4의 롬(302)은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소자로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영역, 룩업테이블 데이터가 저장된 영역, 기타 제어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룩업테이블데이터가 저장된 영역의 구성은 도 8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참조번호1에서 참조번호99까지의 데이터 집합들이 순서적으로 나열된 형태이며, 이 영역의 시작번지는 lut로 지정되어 있고, 참조번호M에 대해서는 도 8a에서와 같이 데이터의 시작번지YM을 기준으로 M개의 데이터가 순서적으로 나열되어 있는 형태이다. 또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임시영역으로 사용되는 도 4의 램(303)은 도 8a,b,c에서와 같이 PA, PB, PC의 영역으로 나누어서 사용되고, PA영역은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참조번호(ref-num)에 대해 ref-num개의 룩업테이블 데이터가 저장될 영역으로 시작번지는 TEMP2로 지정되어 있고 최대 100바이트의 크기이면 충분하다. PB영역은 PA영역으로 읽어들인 데이터를 기준으로 지정된 변배율에 해당하는 만큼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영역으로서 도 8c와 같은 구성으로 시작번지는 TEMP1로 지정되어 있고 최대크기는 400바이트이면 충분하다. PC영역은 PB영역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주주사방향 한 라인을 변배처리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기 위한 영역으로서 시작번지는 TEMP로 지정되어 있고 주주사방향의 최대화소수까지 확장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 A4원고를 400DPI로 독취하는 경우에는 최대 5000×2바이트면 충분하다. 변배처리용 데이터가 최종적으로 저장되는 도 4의 줌램(306)은 도 8d이며, 도 8c의 램영역의 PC와 같은 크기를 갖는 영역으로 PC영역의 데이터가 최종적으로 변배처리 동작을 위해 저장되는 영역이다.
다음은 도 5의 표준변배처리과정(단계501)을 도 1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램(303)내의 PC영역을 지정하여 어드레스를 하나씩 증가시켜 가며, 보간번호 00H를 할당한다. 보간번호 00H는 해당위치에서 입력된 화소데이터가 그대로 출력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처리를 주주사방향의 최대화소수 max에 도달할때까지 진행시키면 표준변배처리에 대한 변배처리데이터 산출동작은 완료된다.
다음은 도 5의 축소처리 데이터 생성과정(단계509)을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9a와 같이 축소처리시 할당되는 보간번호에 대해 설명하면, 100% 처리시 입력된 화소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하도록 하는 보간번호 0, 50% 처리시 입력된 두 개의 연속된 화소데이터를 평균하여 화소동기클럭의 두배인 2VCLK당 하나의 보간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할당하는 보간번호 1, 33%처리시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세 개의 화소를 각각 A,B,C라 하면, (A+B+2C)/4의 계산에 의해 산출되는 화소데이터를 화소동기클럭의 세배인 3VCLK당 하나의 보간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할당하는 보간번호 2, 25%처리시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네개의 화소를 각각 A,B,C,D라 하면, (A+B+C+D)/4의 계산에 의해 산출되는 화소데이터를 화소동기클럭의 네배인 4VCLK당 하나의 보간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할당되는 보간번호 3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보간번호 0,1,2,3을 적절히 혼합하여 처리함에 따라 1%단위의 축소처리가 가능하다. 이를 도 1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축소처리 데이터 생성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지정된 변배율에 따른 참조번호를 인식하여 롬(302)내의 룩업테이블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시작번지(L-DATA=R(R-1)/2값을 계산하여 그 번지(L-DATA)에서부터 참조번호(R)만큼의 기준데이터를 읽어내어 줌램(306)내의 일정영역(Pa영역)에 저장한다. 이 동작이 완료되면 램(303)의 Pa영역의 연속된 두 기준데이터의 차(NUM)를 구하여 그 결과(NUM)가 음의 값이면 보간데이터 생성동작이 완료된 것으로 최대화소수만큼 확장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음의 값이 아니면 보간데이터 생성절차에 따라 일정한 규칙을 가진 보간데이터 생성과정이 수행된다.
다음은 도 5의 확대처리 데이터 생성과정(단계510)을 도 9b 및 도 13a∼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확대처리시 할당되는 보간번호에 대해서 설명하면, 입력된 화소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하도록 하는 보간번호 0, 입력된 두 개의 화소데이터를 각각 A,B라 했을 때, (3A+B)/4의 계산에 의해 산출된 화소데이터를 화소동기신호 VCLK에 동기하여 해당 시점에 출력하도록 한 처리에 보간번호 1, (A+B)/2의 계산에 의해 산출된 화소데이터를 화소동기신호 VCLK에 동기하여 해당 시점에 출력하도록 한 처리에 보간번호 2, (A+3B)/4의 계산에 의해 산출된 화소데이터를 화소동기신호 VCLK에 동기하여 해당 시점에 출력하도록 한 처리에 보간번호 3으로 구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보간번호 0,1,2,3을 적절히 혼합하여 해당 화소동기클럭에 동기하여 출력함에 따라 1%단위의 확대처리가 가능하다. 여기서 도 13의 신호 흐름도를 참조하여 확대처리 데이터 생성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지정된 변배율에 따른 참조번호를 인식하여 롬(302)내의 룩업테이블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시작번지(L-DATA=R(R-1)/2)값을 계산하여 그 번지(L-DATA)에서부터 참조번호(R)만큼의 기준데이터를 읽어내어 램(303)내의 일정영역(Pa영역)에 저장한다. 이 동작이 완료되면 도 5의 단계507의 계산에 의해 구해진 몫(Q)의 값이 얼마인지를 판단한다.
만일 Q가 1이면 변배율은 100∼199%의 범위에 속하므로도 13b에서 나머지(R)이 0인지를 판단하여 0이면 보간처리데이터로서 0값을 최대화소수(max)만큼 써 넣어준다. 나머지(R)이 0이 아니면 룩업테이블 데이터를 참조하여 룩업테이블에 값이 존재하면 2와 0을 써넣어주고, 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0을 써넣어준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생성된 데이터 수가 변배율과 같아질 때 까지 수행한다. 이 과정이 종료되면 최대화소수(max)만큼 확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다음에 Q가 2이면 변배율은 200∼299%의 범위에 속하므로 도 13c에서 나머지(R)이 0인지를 판단하여 0이면 보간처리데이터로서 2와 0값을 최대화소수(max)만큼 써넣어준다. 나머지(R)이 0이 아니면 룩업테이블데이터를 참조하여 룩업테이블에 값이 존재하면 3, 1 및 0을 써넣어주고, 갑쇼이 존재하지 않으면 2와 0을 써넣어준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생성된 데이터 수가 변배율과 같아질 때 까지 수행한다. 이 과정이 종료되면 최대화소수(max)만큼 확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다음에 Q가 3이면 변배율은 300∼399%의 범위에 속하므로 도 13d에서 나머지(R)가 0인지를 판단하여 0이면 보간처리데이터로서 3, 1 및 0값을 최대화소수(max)만큼 써넣어준다. 나머지(R)이 0이 아니면 룩업테이블 데이터를 참조하여 룩업테이블에 값이 존재하면 3, 2, 1 및 0을 써넣어주고, 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3, 1 및 0을 써넣어준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생성된 데이터 수가 변배율과 같아질 때 까지 수행한다. 이 과정이 종료되면 최대화소수(max)만큼 확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다음에 Q가 4이면 변배율은 400에 속하므로 도 13e에서 보간처리데이터로서 3, 2, 1 및 0값을 최대화소수(max)만큼 써 넣어준다. 이 과정이 종료되면 최대화소수(max)만큼 확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램(303)내의 Pb영역에 생성되어 있는 지정 변배율 만큼의 보간데이터를 기준으로 주주사방향의 최대화소수(max)만큼의 보간데이터로 확장해야 한다. 이 과정을 도 1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램(303)의 Pb영역에 생성된 보간데이터를 Pc영역에 반복하여 저장하므로써 처리가 완료된다.
한편 도 16a,b는 도 10b,c에서의 실제 변배처리동작 수행시 화소동기클럭(VCLK)의 출력에 동기하여 출력되는 보간데이터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6a 는 83%축소시 출력되는 화소데이터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16b는 183%확대시 출력되는 화소데이터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생성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제 변배처리동작을 하는 과정을 대해서 도 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a에서k는 도 4의 각부의 신호파형도로서, 도 15a는 인버터(INT1)와 D플립플롭(409)의 클리어단자(CLR)에 인가되는 주사신호(SCAN), 도 15b는 제 1논리소자(AND1)와 D플립플롭(409)의 클럭단자(CLK)에 인가되는 라인동기신호(/LSYNC), 도 15c는 D플립플롭(409)의 Q단자에서 출력되는 인에이블신호(ENABLE), 도 15d는 D플립플롭(409)의 /Q단자에서 출력되는 반전된 인에이블신호(/ENABLE), 도 15e는 인버터(INT1)에 인가되는 화상데이터 유효신호(/VDEN), 도 15f는 제 6 및 제 7논리합소자(OR1,OR2)와 제 3 및 제 4논리합소자(AND3, AND4)에 인가되는 반전된 화상데이터 출력동기신호(/VCLK), 도 15g는 변배처리 대상의 입력화상 데이터(DIN), 도 15h는 제 2논리합소자(AND2)에 인가되는 줌어드레스 클리어를 위한 클리어신호(/CS1CLR), 도 15i는 제 1 및 제 3논리합소자(AND1,AND3)에 인가되는 줌램선택신호(/CS1), 도 15j는 줌램(603)의 입력인에이블(/WE)단자에 인가되는 줌램 써 넣기 유효신호(/CS1WR), 도 15k는 버퍼(307)의 방향설정(DIR)단자와 제 5논리합소자(AND5)에 인가되는 줌램 읽어내기(/CS1RD)신호를 각각 나타낸다.
한편 도 5에 있어서, 1%단위의 변배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룩업테이블은 롬(302)에 저장되어 있고, 마이크로프로세서(301)는 롬(302)에 저장된 룩업테이블을 램(303)으로 읽어들여 사용자가 원하는 변배율에 해당하는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램(303)의 소정영역에 저장한다. 즉, 마이크로프로세서(301)는 사용자가 선택한 변배율에 따라 롬(302)에서 룩업테이블을 독출하여 램(303)에 저장하며, 이때 룩업테이블이 저장될 램(303)의 저장영역은 최대 100바이트이면 충분하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1)에 의해 1라인에 대한 화소수, 즉, A4 400DPI일 경우 4752화소수 만큼의 변배처리용 데이터가 생성되면, 램(303)으로부터 변배처리용 데이터가 독출되어 줌램(306)에 기입된다.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서(301)은 먼저 기입어드레스카운터(308)의 어드레스를 초기화하기 위해 도 15h의 /CS1CLR신호를 발생시켜 기입어드레스카운터(306)의 값을 0으로 만든다.
다음에 램(303)에서 읽어들인 데이터는 버퍼(307)를 통해 줌램(306)에 제공하고, 이때 도 15i,j와 같은 신호에 의해 줌램(306)이 /CS1에 의해 인에이블되고 /CS1WR신호에 의해 데이터가 써넣어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램(303)의 Pc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변배처리용 데이터가 다 써질때까지 반복하여 변배처리용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완료 한다(도 5의 단계502). 다음에는 다운로드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검증하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301)는 다시 도 15h의 신호를 발생시켜 어드레스를 초기화하고 이번에는 도 15i,k와 같이 줌램(306)을 인에이블하는 /CS1신호와 줌램에서 데이터를 읽어넣기위한 신호 /CS1RD를 발생시켜 양방향버퍼(307)를 통해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읽어들여 램(303)에 저장되어 있는 변배처리용 데이터와 비교하여 검증처리를 수행한다(도 5의 단계503). 이때 제 1,2라인메모리(304,305)와 버퍼(401,402,403,404)는 인에이블, /인에이블신호가 하이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동작이 정지된 상태이고, 기입어드레스카운터(308)의 클럭으로는 /CS1이 사용되어줌램(306)어드레스 발생기로만 동작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변배처리용 데이터의 다운로드 및 검증을 거쳐 에러가 없으면 변배처리를 위한 준비동작은 완료된다. 이 과정에서 도 15a의 스캔신호는 "로우"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스캔준비동작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변배처리를 위한 준비동작이 완료되고나서 도 15a의 스캔스타트 신호가 "하이" 상태로 되어 스캔동작이 시작되면 도 15h∼k의 신호는 모두 "하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줌램(306)의 데이터가 손상되지 않도록 조치를 한다.
도 15b와 같이 주주사방향의 시작을 알리도록 발생되는 라인동기신호(/LSYNC)에 의해 기입어드레스카운터(308)와 독출어드레스카운터(310)는 초기화되고, D플립플롭(409)은 도 15c(ENABLE), 도 15d(/ENABLE)와 같은 신호를 출력한다. 먼저 인에이블신호가 "하이" 인 상태에서 이 신호에 의해 버퍼(401,403,405,407)는 무효화되고, /인에이블신호가 "로우" 인 상태에서 이 신호에 의해 버퍼(402,404,406,408)가 유효화되어, 제 1라인메모리(304)는 출력인에이블(/OE)상태가 "로우" 가 되어 라인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데이터가 버퍼(406)를 통해 출력되고, 제 2라인메모리(305)는 화상데이터가 버퍼(407)를 통해 제공되면서, 써넣기신호(/WE)가 화상동기신호(/VCLK)에 의해 제공되므로 입력된 화상데이터는 화상동기신호(/VCLK)의 상승에지에서 순차적으로 제 2라인메모리(305)에 저장된다. 이때 라인메모리(305)는 출력인에이블(/OE)상태가 로우가 되어제 2라인메모리(305)에 저장되어 있던 화상데이터가 버퍼(408)를 통해 출력된다. 이때 기입어드레스카운터(308)와, 독출어드레스카운터(310)에 입력되는 클럭은 화소동기신호(/VCLK)이다.
이와 같은 두가지의 동작이 스캔동작신호(SCAN)가 "하이" 인 동안에 발생되는 라인동기신호(/LSYNC)의 입력에 따라 교번적으로 수행되므로써 원고화상에 대해 사용자가 지정한 변배율에 따른 변배처리동작이 완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동작되는 본 발명은 디지털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소량의 룩업테이블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상데이터의 축소 및 확대를 수행하므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넓은 범위의 변배율에 대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회로 구성을 단순화한 이점이 있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산출하므로써 프로그램 변경에 따라 변배율을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램을 이용하여 변배처리를 수행하므로서 보다 안정된 변배처리가 이루어질 뿐 아니라 엑세스타임이 빠른 램으로 교체하므로써 고속처리가 요구되는 경우 용이하게 응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변배율을 변경하는 시점마다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산출하여 변배처리용 램에 기입한 후 다시 읽어들여 검증하므로써 메모리 소자의 동작 불량에 따른 불량 복사를 방지하여 복사에 소요되는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드웨어의 동작상태를 점검할 수 있어 고장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변배처리시 요구되는 메모리의 양을 최소화하여 구성함에 따라 커스텀IC를 설계하여 구현하는데 있어서 별도의 메모리를 사용할 필요없이 간단히 내장하여 원칩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므로써 커스텀IC 제작시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소량의 변배처리용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룩업테이블과 변배처리용 메모리를 구비하여 디지털 화상처리장치에 입력되는 화상데이터를 변배처리하여 사용자가 지정된 변배율에 해당하는 화상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변배처리방법에 있어서,
    초기 동작시 표준변배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준비하는 표준변배처리 데이터 생성과정과;
    사용자에 의해 변배율이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변배율을 100으로 제산하여 몫과 나머지를 산출하는 변배율제산과정과;
    상기 변배율제산과정에서 산출된 몫이 0보다 작으면 상기 룩업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축소처리를 수행하는 축소처리데이터생성과정과;
    상기 변배율제산과정에서 산출된 몫이 0보다 크면 상기 룩업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확대처리를 수행하는 확대처리데이터생성과정; 및
    상기 과정들을 통해 계산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상기 변배처리용 메모리에 기입하는 데이터기입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터의 변배처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배처리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룩업테이블을 생성하는데 소정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룩업테이블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터의 변배처리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테이블에는 1%∼99%에 해당하는 변배처리용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터의 변배처리방법.
  4. 제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롬에 저장된 룩업테이블데이터를 임의의 저장공간 램에 읽어들이고, 상기 램의 임의의 공간에 지정된 임의의 변배율에 대응한 변배처리가 가능하도록 변배처리 데이터를 해당 변배율크기만큼의 변배처리데이터로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터의 변배처리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배처리용 메모리에 기입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읽어들여 원래 변배처리용 데이터와 동일한지 여부를 검증하는 데이터검증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터의 변배처리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처리 데이터 산출과정은 상기 룩업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변배처리용 데이터중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변배율에 맞는 주주사방향 한 라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축소처리를 위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터의 변배처리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확대처리 데이터 생성과정은 상기 룩업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변배처리용 데이터중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변배율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데이터를 확대비율에 맞는 주주사방향의 한라인 데이터로 변환하여 확대처리를 위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터의 변배처리방법.
  8. 디지탈 화상처리장치에서 입력된 화상데이터를 변배처리하여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변배율에 해당하는 화상을 출력하기 위한 변배처리회로에 있어서,
    복사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및 변배처리용 룩업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제 1메모리와;
    상기 제 1메모리에 저장된 룩업테이블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변배율에 해당하는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산출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산출하는 도중에 상기 변배처리용 룩업테이블의 데이터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산출된 한 라인분의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제 2메모리와;
    상기 변배처리하고자 입력되는 주주사방향의 한 라인분에 대한 화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2라인메모리와;
    상기 제 2메모리에 저장된 변배처리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변배처리를 실시하는 제 3메모리와;
    상기 주주사방향의 한 라인분에 대한 화상데이터를 상기 제 1,2라인메모리의 소정 어드레스에 기입하거나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 3메모리에 데이터를 기입/독출할 수 있도록 화상동기신호출력 또는 제어신호를 계수하는 제 1카운터와;
    주사동작중에 소정의 변배율에 대한 변배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 1,2라인메모리의 어드레스로 출력하기 위해 상기 화상동기신호클럭을 계수하는 제 2카운터와;
    상기 제 1,2라인메모리와 제 2카운터에서 제공하는 어드레스에 의해 출력되는 화상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제 3메모리에서 출력되는 변배처리용 데이터에 따라 적절히 변환하므로써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변배율에 해당하는 보간데이터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보간처리출력부; 및
    상기 제 1,2라인메모리의 기입 및 독출동작이 교번적으로 수행되도록 라인동기신호를 분주하는 분주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터의 변배처리회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라인메모리에 기입 및 독출어드레스가 지정될 수 있도록 통로역할을 해주는 제 1버퍼수단과;
    변배처리하고자 입력되는 화상데이터를 상기 제 1,2라인메모리에 기입할 수 있도록 통로역할을 하는 제 2버퍼수단과; 및
    상기 제 3메모리의 데이터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기입 혹은 독출하도록 통로 역할을 하는 제 3버퍼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터의 변배처리회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처리를 위한 변배처리용 데이터는 단순확대처리와 상기 룩업테이블을 확대처리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터의 변배처리회로.
KR1019970058303A 1997-11-06 1997-11-06 화상데이터의 변배처리방법 및 그 회로 KR199900385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303A KR19990038518A (ko) 1997-11-06 1997-11-06 화상데이터의 변배처리방법 및 그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303A KR19990038518A (ko) 1997-11-06 1997-11-06 화상데이터의 변배처리방법 및 그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518A true KR19990038518A (ko) 1999-06-05

Family

ID=66086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8303A KR19990038518A (ko) 1997-11-06 1997-11-06 화상데이터의 변배처리방법 및 그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85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6346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rea designation function
US5901274A (en) Method for enlargement/reduction of image data in digital image processing system and circuit adopting the same
US471214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polating image signals
US5742406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5327258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20020085009A1 (en) Memor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KR19990038518A (ko) 화상데이터의 변배처리방법 및 그 회로
JP4564945B2 (ja) データ速度変換集積回路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687269B2 (ja) 画像処理装置
US5257120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0120570B1 (ko) 디지탈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화상데이타 변배처리방법 및 회로
JP2794260B2 (ja) デジタル画像処理システムの領域信号生成方法及び装置
KR19990015530A (ko) 화상데이터의 변배처리방법
JPH05207274A (ja) イメージ・ピクセルの可変角度スクリーニングを行うためのスクリーニング回路
JPH0640086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530211B2 (ja) 画像形成装置
JP2537192B2 (ja) 画像再生装置
JP3203024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5537222A (en) Image edit apparatus providing synchronization between image data and edit commands
JP2960732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374581B1 (ko) 디지탈 화상의 축소방법 및 장치
JPH07245694A (ja) 画像編集記録装置
JPH08156326A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JP3039657B2 (ja) 画像処理装置
JP2869973B2 (ja) 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