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4581B1 - 디지탈 화상의 축소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 화상의 축소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4581B1
KR100374581B1 KR1019960020605A KR19960020605A KR100374581B1 KR 100374581 B1 KR100374581 B1 KR 100374581B1 KR 1019960020605 A KR1019960020605 A KR 1019960020605A KR 19960020605 A KR19960020605 A KR 19960020605A KR 100374581 B1 KR100374581 B1 KR 100374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uction
pixel data
memory
address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0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3916A (ko
Inventor
오향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20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4581B1/ko
Publication of KR980003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3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5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04N1/393Enlarging or reduc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95Matching the image with the size of the copy material, e.g. by calculating the magnification or selecting the adequate copy material size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화상 축소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축소율에 해당하는 참조번호와 축소율(n)에 따라서 n개의 데이타를 참조하도록 작성된 룩업테이블을 참조하여 산출된 축소율에 따른 화소데이타의 축소처리시 필요한 처리번호와 독출어드레스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 기입동작과 독출동작이 서로 교번적으로 수행되며, 축소하고자 하는 원고문서에 대한 스캔동작이 개시되면 1 라인분의 화소데이타를 해당 기입어드레스에 기입하고, 기입동작이 완료되면 제1메모리얘 의해 지정되는 독출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데이타가 독출되는 제2 및 제3메모리; 및 해당 축소율에 따라서 상기 제2 및 제3메모리로 부터 출력되는 데이타에 대하여 처리번호에 해당하는 소정의 계산식을 이용하여 면적추출처리를 수행하는 면적추출 처리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축소율에 따라서 소정의 계산식에 의한 면적추출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축소화상의 화질을 개선하고, 룩업테이블을 이용하고 화소데이타 출력동기클럭에 동기한 병렬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디지탈 화상의 축소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디지탈 복사기 등과 같이 전하결합소자(Charge Coupled Device:CCD)와 같은 광전변환소자를 사용하여 원고에서 반사된 광량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신호처리하는 디지탈 화상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지정한 임의의 축소율에 대해 개선된 화질의 축소화상을 얻기 위한 디지탈 화상 축소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탈 화상처리장치에서는 원고 문서의 화상을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는 기능, 이른바 배율 변환(또는 변배) 기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 중 원고화상을 축소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전하결합소자(CCD)로 부터 화소동기클럭에 동기되어 출력되는 화소데이타의 주주사방향 1 라인분에 해당하는 화소수를 연속된 메모리 공간에 저장하여 두었다가 원고 화상을 1/2배 혹은 1/3배 축소할 경우, 메모리공간에 저장된 화소데이타를 두개 혹은 세개의 화소동기클럭마다 읽어냄으로써 원하는 축소율의 출력화상을 얻는 방법이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사용자가 지정한 1% 단위의 축소율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이 있다. 이 경우, 해당 축소율에 대해서 추출해야 할 원고화상의 화소를 지정하기 위해서 축소율을 연속적으로 더해가는 가산기를 이용하여 해당 화소번지를 산출하고, 해당 화소값을 선택하여 추출함으로써 해당 축소율에 맞는 출력화상을 얻는 방법이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축소율에 따라 소정수를 누적가산하여 정해진 값을 넘으면 캐리신호를 발생하고, 캐리신호가 발생한 시점에서 입력된 화상 데이타를 1화소분 추출하거나, 소정의 알고리즘을 이용한 계산에 따라 미리 추출 화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맵핑 패턴을 만들어 두고, 논리게이트를 통하여 필요 화소를 추출하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방법들은 한 라인에 해당하는 화소데이타를 저장하였다가 읽어내는 시점에서 읽어내는 클럭을 적절하게 변환함으로써 원하는 축소율로 화소데이타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축소율에 따라 화소를 단순히 추출하여 출력함으로써 축소화상에 가는 선이나 점 등이 나타나지 않거나 직선이나 원과 같은 경사가 있는 화상에 대해서는 축소율이 높아질수록 계단형태의 무의(jagged edge)가 발생하고 모아레(moire) 무늬가 나타나 결과적으로 축소화상의 화질을 열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면적추출(area sampling)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원고 화상에 대해서 임의 축소율의 화상을 얻고자 할 때, 축소화상의 해당 화소 위치에 있는 원고 화상의 화소 데이타의 데이타값을 어떻게 출력할 것인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추출된 화소값을 출력하고자 할 때, 추출되는 화소 데이타값을 인접한 주변 화소값을 이용하여 소정의 계산식에 따라 산출해냄으로써 화질을 개선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들은 화소데이타 처리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실시간 처리가 요구되는 시스템에는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축소율에 따라서 소정의 계산식에 의한 면적추출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축소화상의 화질을 개선하고, 룩업테이블을 이용하고 화소데이타 출력동기클럭에 동기한 병렬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실시간 처리가 가능한 디지탈 화상 축소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디지탈 화상 축소방법을 실현하는데 가장 적합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 화상 축소방법은
(a) 축소율에 해당하는 참조번호와 상기 축소율(n)에 따라서 n개의 데이타를 참조하도록 구성된 룩업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
(b) 상기 축소율에 따른 화소데이타의 축소처리시 필요한 처리번호와 독출어드레스를 상기 룩업테이블을 참조하여 산출하여 제1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c) 축소하고자 하는 원고 문서에 대한 스캔동작이 게시되면, 1 라인분의 화소데이타를 제2메모리 혹은 제3메모리의 해당 기입어드레스에 기입하는 단계;
(d) 상기 제2메모리 혹은 제3메모리에 대한 기입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독출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상기 제2 또는 제3메모리로 부터 독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서 출력되는 데이타에 대하여 상기 처리번호에 해당하는 소정의 계산식을 이용하여 면적추출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 화상축소장치는
축소율에 해당하는 참조번호와 상기 축소율(n)에 따라서 n개의 데이타를 참조하도록 작성된 룩업테이블을 참조하여 산출된 상기 축소율에 따른 화소데이타의축소처리시 필요한 처리번호와 독출어드레스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
기입동작과 독출동작이 서로 교번적으로 수행되며, 축소하고자 하는 원고 문서에 대한 스캔동작이 개시되면 1 라인분의 화소데이타를 해당 기입어드레스에 기입하고, 기입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제1메모리에 의해 지정되는 상기 독출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데이타가 독출되는 제2 및 제3메모리; 및
해당 축소율에 따라서 상기 제2 및 제3메모리로 부터 출력되는 데이타에 대하여 상기 처리번호에 해당하는 소정의 계산식을 이용하여 면적추출처리를 수행하는 면적추출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 화상 축소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로서, 제1 및 제2화소데이타 저장메모리(106,107)의 기입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화소데이타 기입 카운터(101), 축소처리메모리(103)의 독출어드레스와 기입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독출/기입카운터(102), 축소율에 해당하는 참조번호와 축소율(n)에 따라서 n개의 데이타를 참조하도록 작성된 룩업테이블을 참조하여 산출된 축소율에 따른 화소데이타의 축소처리시 필요한 처리번호와 독출어드레스를 저장하는 축소처리 메모리(103), 화소데이타 기입카운터(101)에서 공급되는 기입어드레스와 축소처리 메모리(103)부터 공급되는 독출어드레스를 제1 및 제2화소데이타 저장메모리(106,107)의 동작모드에 따라 제1 및 제2화소데이타 저장메모리(106,107)에 공급하는 제1 및 제2어드레스버퍼(104,105), 기입동작과 독출동작이 서로 교번적으로 수행되며, 축소하고자 하는 원고 문서에 대한 스캔동작이 개시되면 1 라인분의 화소데이타를 해당 기입어드레스에 기입하고, 기입동작이 완료되면 축소처리 메모리(103)에 의해 지정되는 독출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데이타가 독출되는 제1 및 제2화소데이타 저장메모리(106,107), 제1 및 제2화소데이타 저장메모리(106,107)의 동작 모드에 따라서 화소데이타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화소데이타 입출력제어부(108), 화소데이타 입출력제어부(108)로 부터 출력되는 데이타에 대하여 처리번호에 해당하는 소정의 계산식을 이용하여 면적추출처리를 수행하는 면적추출 처리부(109)로 구성된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면적추출처리부(109)의 세부블럭도로서, 입력된 화소동기클럭을 2 주기(2D) 만큼 지연시켜 클럭처리부(202)에 출력하는 제1지연기(201)와, 입력된 화소데이타를 축소율에 대응하도록 처리하여 화소동기클럭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1클럭처리부(202)와, 제1클럭처리부(202)에서 산출된 화소데이타와 화소동기클럭의 타이밍조절을 위해 화소동기클럭을 1.5 주기(1.5D) 지연하는 제2지연기(203)와, 입력된 화소데이타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래치버퍼(204,205,206)와, 축소율에 대응하여 소정의 타이밍으로 연산처리되는 화소데이타를 래치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래치신호(LAT1∼LAT4)를 생성하는 2진카운터(207), 3진카운터(208), 4진카운터(209) 및 제2클럭처리부(210)와, 화소데이타 입력라인을 통하여 첫번째 입력된 화소데이타와 두번째 입력된 화소데이타를 가산하는 제1전가산기(211)와, 제1전가산기(211)로 부터 출력되는 9비트 데이타 중 상위 8비트만을 제2클럭처리부(210)에서 생성된 제1래치신호(LAT1)에따라 래치하는 제4래치버퍼(212)와, 제4래치버퍼(212)에서 출력된 데이타와 화소데이타 입력라인을 통해 입력된 세번째 화소데이타를 가산하는 제2전가산기(213)와, 제2전가산기(213)에서 출력된 9비트 데이타 중 상위 8비트만을 제2클럭처리부(210)에서 생성된 제2래치신호(LAT2)에 따라 래치하는 제5래치버퍼(214)와, 화소데이타 입력라인을 통하여 세번째 입력된 화소데이타와 네번째 입력된 화소데이타를 가산하는 제3전가산기(215)와, 제3전가산기(215)로 부터 출력되는 9비트 데이타 중 상위 8비트만을 제2클럭처리부(210)에서 생성된 제3래치신호(LAT3)에 따라 래치하는 제6래치버퍼(216)와, 두 화소의 평균값을 저장하는 제4래치버퍼(212)와 또 다른 두 화소의 평균값을 저장하는 제6래치버퍼(216)의 출력값을 가산하는 제4전가산기(217)와, 제4전가산기(217)에서 출력된 9비트 데이타 중 상위 8비트만을 제2클럭처리부(210)에서 생성된 제4래치신호(LAT4)에 따라 래치하는 제7래치버퍼(218)와, 화소동기클럭과 함께 입력된 처리번호를 입력하여 각 값에 대한 신호로 구별해 주는 디코더(219)와, 디코더(219)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화소동기클럭 한 주기(ID)동안 지연시켜 래치클럭 생성을 위한 2진카운터(207), 3진카운터(208)와 4진카운터(209)에 클리어 신호로 인가하는 제3지연기(220)와, 제3지연기(220)의 출력신호를 다시 화소동기클럭의 2.5주기(2.5D)동안 지연시켜 출력하는 제4지연기(221)와, 제3래치버퍼(206), 제4래치버퍼(212), 제5래치버퍼(214)와 제7래치버퍼(218)로 부터 입력된 화소데이타가 출력될 수 있도록 제4지연기(221)로 부터 출력되는 화소데이타 유효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제1 내지 제4버퍼(222,223,224,225)로 구성된다.
한편, 축소처리 메모리(103)의 구성을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축소처리 메모리(103)는 어드레스당 16비트의 크기를 가지고 있고, 최상위 2 비트는 처리번호를 나타내 주는 구간이며, 나머지 14 비트는 제1 또는 제2화소데이타 저장메모리(106 또는 107)의 어드레스를 저장한다. 축소처리 메모리(103)의 크기는 처리하고자 하는 해상도에 따라서 주주사방향 한 라인에 대한 최대화소수(max)와 같은 크기이면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룩업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타를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축소율에 따라 처리할 때 참조하는 데이타는 각각 참조번호로 구분되며, 참조번호 1번의 데이타부터 참조번호 99번까지의 데이타가 연속적으로 롬(ROM)에 저장되며, 축소율(n)에 대해서 n개의 데이타를 참조하여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축소율에 따른 축소처리를 하기 위해서는 축소율에 해당하는 참조번호의 데이타를 찾아내야 하는데, 이때는 연속된 데이타의 해당 참조번호의 시작 데이타를 어드레스로 계산하여 찾아낸다. 예를 들면, 참조번호 1의 시작 데이타 어드레스는 1-1=0 즉, 0번지에서 부터 시작하여 한개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고, 참조번호 2의 시작 데이타 어드레스는 2-1=1 즉, 1번지에서 부터 시작하여 두개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고, 참조번호 3의 시작 데이타 어드레스는 3*(3-1)/2=3 즉, 3번지에서 부터 시작하여 세개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고, 참조번호 n의 시작 데이타 어드레스는 n*(n-1)/2이고, n*(n-1)/2 이후 n개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면 제1도와 같은 구성요소를 갖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 화상축소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 있어서, 화소데이타 기입카운터(101)는 화소데이타 입출력제어부(108)를 통하여 입력되는 화소데이타를 제1 혹은 제2화소데이타 저장메모리(106 혹은 107)에 기입하는데 필요한 어드레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독출/기입 카운터(102)는 룩업테이블을 참조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미도시)로 부터 생성된 축소처리용 데이타를 축소처리 메모리(103)에 기입하거나 독출하기 위한 기입 혹은 독출어드레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축소처리 메모리(103)는 축소처리용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축소처리용 데이타를 저장할 때는 독출/기입 카운터(102)에 의해 지정되는 번지에 해당 축소처리용 데이타가 저장되고, 제1 및 제2화소데이타 저장메모리(106,107)에서 축소처리를 위한 데이타를 읽어내는 상태일 경우에는 축소처리 메모리(103)로 부터 독출되는 축소처리용 데이타가 제1 및 제2어드레스 버퍼(104,105)를 거쳐 제1 및 제2화소데이타 저장메모리(106,107)의 일정 번지를 지정한다. 이때, 축소처리용 데이타는 마이크로프로세서(미도시)에 의해 산출되어지며, 그 과정을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디지탈 화상을 임의의 축소율 n으로 축소하고자 한다면, 상기 n*(n-1)/2 식에 의해 참조번호 n에 해당하는 데이타의 시작어드레스를 계산하여야 한다. 계산 결과 참조번호 n의 데이타 시작어드레스의 데이타를 Yn이라 가정한다. 제601단계와 제602단계에서는 사용하고자 하는 변수(a,b,d)를 초기화한 다음,참조번호(n)의 첫번째 데이타(Yn)와 두번째 데이타(Yn+1)를 읽어내어 두 값의 차(b1)를 구한다(제603단계).
제604단계에서는 제603단계에서의 계산에 필요한 두 값이 참조번호(n)에 해당하는 데이타에 포함되는 값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두 값의 차(b1)가 0보다 작은가를 검사하여, 0보다 작으면 이 값은 참조번호(n)에 대한 데이타 범위를 벗어난 것이므로 참조번호(n)에 대한 데이타를 유지하면서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부가적인 연산이 이루어진다(제605단계). 한편, 제603단계에서의 연산결과가 0보다 작지않으면 이는 참조번호(n)의 테이타이면서 연속된 두 데이타의 차이므로 제606단계에서 처리번호(b2)를 계산한다.
축소처리 메모리(103)의 어드레스(Pa)의 내용은 제1 또는 제2화소데이타 저장메모리(106 또는 107)의 어드레스(a)와 처리번호(b2)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데, 처리번호(b2)는 최상위 2 비트에 저장된다. 제608단계에서는 i가 b1보다 작은가를 검사하여, i가 b1보다 작은 경우, 제607단계에 의해 제603단계에서의 결과값(b1)의 숫자만큼 제1 또는 제2화소데이타 저장메모리(106 또는 107)의 어드레스(a)를 증가시킨다(제609단계). 한편, 제608단계에서 i가 b1보다 같거나 큰 경우에는, 참조번호(n)의 데이타에 대한 어드레스 포인터인 변수(d)의 값이 0인지를 판별하여(제610단계), 0이 아니면 연속적인 두개의 참조데이타값에 대한 처리이므로 각각의 어드레스 포인터(b,d)의 값을 1씩 증가시켜(제612단계) 제613단계로 이행한다. 제610단계에서 0일 경우에는 참조번호(n)의 처음 데이타와 마지막 데이타의 연산이 이루어진 상황이므로 상위 어드레스 포인터(d)는 1 증가시키고 하위 어드레스 포인터(b)는 0으로 만들어 준다(제611단계).
제613단계에서는 제1 또는 제2화소데이타 저장메모리(106 또는 107)의 어드레스(a)가 축소율(n)에서 부터 주주사 방향의 최대화소수(max)보다 큰가를 판단하여 작거나 같으면 제603단계부터 반복수행하고, 크면 본 흐름도를 종료한다.
제6도에 도시된 흐름도에 의해 산출된 축소처리용 데이타는 축소처리 메모리(103)에 제3도에서와 같이 어드레스(0)에서 부터 최대화소수(max)까지 순차적으로 상위 두 비트의 데이타영역에는 처리번호(b2)를, 하위 14비트의 영역에는 화소데이타 저장메모리번지(a)를 저장한다.
다시 제1도로 돌아가서, 제1 및 제2어드레스 버퍼(104,105)는 제1 및 제2화소데이타 저장메모리(106,107)의 동작상태에 따라 기입 또는 독출어드레스를 제공한다.
제1 및 제2화소데이타 저장메모리(106,107)는 A4 크기의 원고에 대한 횡방향 길이 즉, 297mm 한 라인에 대한 400DPI(즉, 16DOT/mm)의 화소수(297mm*16DOT/mm=4752DOT)의 데이타를 입력하기 위한 메모리로서, 토글 형식으로 기입동작과 독출동작이 교대로 수행된다.
화소데이타 입출력제어부(108)는 제1 및 제2화소데이타 저장메모리(106,107)의 기입/독출 상태에 따라 화소데이타가 입력 또는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고, 면적추출처리부(109)는 해당 축소율에 해당하는 축소처리에 따라 출력되는 화소데이타를 면적추출 처리하여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즉, 스캔동작이 시작되면, 먼저 제1화소데이타 저장메모리(106)의 화소데이타 기입동작이 개시되며, 이때 어드레스는 화소데이타 기입카운터(101)에서 13비트의 어드레스가 제1어드레스 버퍼(104)를 통하여 제1화소데이타 저장메모리(106)에 제공되고, 화소데이타는 화소데이타 입출력제어부(108)를 통하여 제공된다. 제1화소데이타 저장메모리(106)의 기입동작이 완료되면 제1화소데이타 저장메모리(106)에는 축소처리 메모리(103)로 부터 제1어드레스 버퍼(104)를 통해 13비트의 어드레스가 제공되고, 해당 어드레스에서 독출되는 데이타는 화소데이타 입출력제어부(108)와 면적추출처리부(109)를 거쳐 보정된 화상데이타로 되어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면적 추출 처리는 축소처리 메모리(103)의 상위 두 비트에서 출력되는 처리번호(b2)에 따라 제어된다. 제1화소데이타 저장메모리(106)가 축소처리 메모리(103)에서 출력되는 축소처리용 데이타에 따라 독출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동안, 제2화소데이타 저장메모리(107)에는 화소데이타 기입카운터(101)로 부터 제2어드레스 버퍼(105)를 통해 제공되는 어드레스에 따른 화소데이타 기입동작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면, 제1 및 제2화소데이타 저장메모리(106,107)는 한 쪽의 메모리에 화소데이타가 화소데이타 기입카운터(101)의 어드레스와 화소데이타 입출력제어부(108)의 제어에 따라 기입되고 있는 동안, 다른 쪽의 메모리는 축소처리 메모리(103)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와 화소데이타 입출력제어부(108)의 제어에 따라 독출동작이 수행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스캔동작이 진행되는 동안 주주사 방향의 라인 단위로 독출/기입 동작을 번갈아서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축소 화상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5도와 같은 계산식을 이용하여 면적추출 처리부(109)에 면적추출처리를 수행한다. 먼저, 100% 출력을 기준으로 한 화소데이타의 출력은 '구분 (5-1)'로 가정한다. 50%의 축소화상에 대해서는 '구분 (5-2)'에서와 같이 연속된 두 화소의 평균값을 구해서 두 화소마다 한번씩 출력한다. 33%의 축소화상에 대해서는 '구분 (5-3)'에서와 같이 연속된 세 화소의 평균값을 구해서 세 화소마다 한번씩 출력한다. 그러나, 이는 가산기만으로 구현하기 어려우므로 약간 변형하여 '구분 (5-4)'와 같은 방법을 제안한다. 즉, '구분 (5-4)'에서는 두개의 화소를 더하고 세번째 화소값을 두배로 하여 더하고 4로 나눈다. 25%의 축소화상에 대해서는 '구분 (5-5)'에서와 같이 연속된 네 화소의 평균값을 구해서 네 화소마다 한번씩 출력한다. 따라서, '구분 (5-2)', '구분 (5-4)', '구분 (5-5)'를 적절히 적용함에 따라 25%∼99%까지의 1% 단위의 축소가 가능하다.
다음은, 제7도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화상 축소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제1 또는 제2화소데이타 저장메모리(106 또는 107)에 '실시예0'와 같은 화소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제6도의 흐름도에 의해 산출되어 축소처리 메모리(103)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 축소처리 메모리 내용이다. 한편, '실시예0'에서 ㉮는 번지, ㉯는 데이타를 나타내고, '실시예1' 내지 '실시예6'에서 ㉰는 보간버호, ㉱는 번지를 각각 나타낸다.
'실시예1'은 50% 축소에 대한 처리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처리번호 1은 제5도에서 '구분 (5-2)'애 나타난 계산식을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속된 두개의 화소값을 더하여 평균을 구한 다음, 두 화소마다 한번씩 출력되도록 한다. 제2도의 면적추출 처리부(109)에서 살펴보면, 제1 및 제2래치버퍼(204,205)를 통해 입력되는 화소데이타를 제1전가산기(211)에서 더하여 2로 나누고, 소정 시점에서 제2클럭처리부(210)에서 발생하는 제1래치신호(LAT1)에 의해 제4래치버퍼(212)로 평균값을 래치한 후 출력버퍼(223)에 공급한다. 이후, 소정 시점에서 화소데이타 유효신호로 출력버퍼(223)를 동작시켜 처리된 화소데이타를 출력하도록 한다.
'실시예2'에서는 33% 축소에 대한 처리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처리번호 2은 제5도에서 '구분 (5-4)'에 나타난 계산식을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도의 면적추출 처리부(109)에서 살펴보면, 제1 및 제2래치버퍼(204,205)를 통해 입력되는 화소데이타를 제1전가산기(211)에서 더하여 2로 나누고, 소정 시점에서 제2클럭처리부(210)에서 발생하는 제1래치신호(LAT1)에 의해 제4래치버퍼(212)로 평균값을 래치한다. 이어서, 세번째 입력되는 화소데이타의 상위 7비트와 제4래치버퍼(212)에 래치된 두 화소의 평균값을 다시 더하는 제2전가산기(213)의 출력 중 상위 8비트만을 취하여 제2클럭처리부(210)에서 발생하는 제2래치신호(LAT2)에 의해 제5래치버퍼(214)로 래치한 후 출력버퍼(224)애 공급한다. 이후, 소정 시점에서 화소데이타 유효신호로 출력버퍼(224)를 동작시켜 처리된 화소데이타를 출력하도록 한다.
'실시예3'에서는 25% 축소에 대한 처리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처리번호 3은 제5도에서 '구분 (5-5)'에 나타난 계산식을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도의 면적추출 처리부(109)에서 살펴보면, 제1 및 제2래치버퍼(204,205)를 통해 입력되는 첫번째와 두번쩨 화소데이타를 제1전가산기(211)에서 더하여 2로 나누고, 소정 시점에서 제2클럭처리부(210)에서 발생하는 제1래치신호(LAT1)에 의해제4래치버퍼(212)로 평균값을 래치한다. 이어서, 세번째와 네번째 입력되는 화소데이타를 제3전가산기(215)에서 더하여 2로 나누고, 소정 시점에서 제2클럭처리부(210)에서 발생하는 제3래치신호(LAT3)에 의해 제6래치버퍼(216)로 평균값을 래치한다. 제4가산기(217)에서는 제4래치버퍼(212)에 래치된 데이타와 제6래치버퍼(216)에 래치된 데이타를 더하여 2로 나누고, 소정 시점에서 제2클럭처리부(210)에서 발생하는 제4래치신호(LAT4)에 의해 제7래치버퍼(218)로 평균값을 래치한 후 출력버퍼(225)에 공급한다. 이후, 소정 시점에서 화소데이타 유효신호로 출력버퍼(225)를 동작시켜 처리된 화소데이타를 출력하도록 한다.
'실시예4'에서는 51%∼99% 축소에 대한 처리를 나타낸 것으로서, 처리번호 0과 처리번호 1을 조합한 형태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즉, 51%의 축소처리에서는 첫번째 화소의 출력값으로 제1 또는 제2화소데이타 저장메모리(106 또는 107)의 화소데이타값이 그대로 출력되는 경우이다. 그 이후는 처리번호 1에 해당하는 동작을 계속하게 된다. 처리번호 0의 동작은 래치버퍼들(204,205,206)을 통해 지연된 화소데이타와 지연기들(201,203)과 제1클럭처리부(202)를 거쳐 소정 시간동안 지연된 화소동기클럭에 맞추어 화소데이타 유효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버퍼(222)로 화소데이타가 출력된다.
'실시예5'에서는 34%∼49% 축소에 대한 처리를 나타낸 것으로서, 처리번호 1과 처리번호 2를 조합한 형태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즉, 34%의 축소처리에서는 첫번째와 두번째 화소의 출력값이 처리번호 1과 같은 형태로 처리되어 연속된 두 화소의 평균값이 두 화소에 한번 출력되고, 나머지는 처리번호 2에 의해 처리된다.
'실시예6'에서는 26%∼32% 축소에 대한 처리를 나타낸 것으로서, 처리번호 2과 처리번호 3을 조합한 형태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즉, 26%의 축소처리에서는 첫번째, 두번째와 세번째 화소의 출력값이 처리번호 2과 같은 형태로 처리되어 연속된 두 화소의 평균값과 세번째 화소값을 더하여 2로 나눈 값이 세 화소에 한번 출력되고, 나머지는 처리번호 3에 의해 처리된다.
본 발명은 화상의 주주사 방향, 즉 전하결합소자(CCD)로 부터 화상데이타가 출력되는 방향의 화소에 대한 축소처리에 관한 것이며, 부주사 방향, 즉 주주사 방향에 직각인 원고 독취용 장치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는 모터의 속도 제어 또는 기타의 적절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 화상 축소방법 및 장치는 축소율에 따라서 소정의 계산식에 의한 면적추출처리를 수헹함으로써 축소화상의 화질을 개선하고, 룩업테이블을 이용하고 화소데이타 출력동기클럭에 동기한 병렬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실시간 처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면적 추출 처리의 실현을 위해 시스템 제어용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여 간단히 축소율에 따른 추출처리를 위한 추출처리 데이타를 산출해 냄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고속처리가 가능하므로 디지탈 복사기, 디지탈 칼라 복사기, 칼라 스캐너, 칼라 팩시밀리등의 변배처리 하드웨어로서 적용하는데 매우 유리하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 화상 축소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면적추출 처리부의 세부블럭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축소처리 메모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 있는 룩업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5도는 제2도에 도시된 면적추출 처리부에서 사용되는 축소율에 따른 추출데이타의 계산식을 나타낸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 화상 축소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출력화소값을 나타낸 테이블.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화소데이타 기입카운터 102 ... 독출/기입 카운터
103 ... 축소처리 메모리
104,105 ... 어드레스 버퍼
106,107 ... 화소데이타 저장메모리
108 ... 화소데이타 입출력제어부 109 ... 면적추출 처리부

Claims (13)

  1. (a) 축소율에 해당하는 참조번호와 상기 축소율(n)에 따라서 n개의 데이타를 참조하도록 구성된 룩업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
    (b) 상기 축소율에 따른 화소데이타의 축소처리시 필요한 처리번호와 독출어드레스를 상기 룩업테이블을 참조하여 산출하여 제1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c) 축소하고자 하는 원고 문서에 대한 스캔동작이 개시되면, 1 라인분의 화소데이타를 제2메모리 혹은 제3메모리의 해당 기입어드레스에 기입하는 단계;
    (d) 상기 제2메모리 혹은 제3메모리에 대한 기입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독출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상기 제2 또는 제3메모리로 부터 독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서 출력되는 데이타에 대하여 상기 처리번호에 해당하는 소정의 계산식을 이용하여 면적추출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화상 축소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와 (d) 단계에서는 상기 제2메모리와 제3메모리가 스캔동작이 진행되는 동안 주주사방향의 라인 단위로 기입동작과 독출동작이 서로 교번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화상 축소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는 상기 축소율(n)에 해당하는 참조번호(n)의 시작 데이타 어드레스인 n×(n-1)/2 이후 n개의 데이타를참조번호(1)에서 부터 참조번호(99)까지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룩업테이블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화상 축소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는 50% 축소처리인 경우 연속된 두 화소의 평균값을 구하여 두 화소마다 한번씩 출력하고, 33% 축소처리인 경우 연속된 두 화소값과 두배로 한 세번째 화소값을 더하여 4로 나눈 값을 세 화소마다 한번씩 출력하고, 25% 축소처리인 경우 연속된 네 화소의 평균값을 구하여 네 화소마다 한번씩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화상 축소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게에서는 상기 50% 축소처리, 33% 축소처리와 25% 축소처리를 혼용하여 25%∼99%까지의 1% 단위의 축소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화상 축소방법.
  6. 축소율에 해당하는 참조번호와 상기 축소율(n)에 따라서 n개의 데이타를 참조하도록 작성된 룩업테이블을 참조하여 산출된 상기 축소율에 따른 화소데이타의 축소처리시 필요한 처리번호와 독출어드레스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
    기입동작과 독출동작이 서로 교번적으로 수행되며, 축소하고자 하는 원고 문서에 대한 스캔동작이 개시되면 1 라인분의 화소데이타를 해당 기입어드레스에 기입하고, 기입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제1메모리에 의해 지정되는 상기 독출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데이타가 독출되는 제2 및 제3메모리; 및
    해당 축소율에 따라서 상기 제2 및 제3메모리로 부터 출력되는 데이타에 대하여 상기 처리번호에 해당하는 소정의 계산식을 이용하여 면적추출처리를 수행하는 면적추출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화상 축소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메모리의 독출어드레스와 기입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독출/기입 카운터;
    상기 제2 및 제3메모리의 기입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화소데이타 기입 카운터;
    상기 화소데이타 기입카운터에서 공급되는 기입어드레스와 상기 제1메모리로 부터 공급되는 독출어드레스를 상기 제2 및 제3메모리의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제2 및 제3메모리에 공급하는 제1 및 제2어드레스버퍼; 및
    상기 제2 및 제3메모리의 동작 모드에 따라서 화소데이타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화소데이타 입출력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화상 축소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축소율에 해당하는 참조번호와 상기 축소율(n)에 따라서 n개의 데이타를 참조하도록 구성된 룩업테이블을 저장하는 롬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화상 축소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테이블에는 상기 축소율(n)에 해당하는 참조번호(n)의 시작 데이타 어드레스인 n×(n-1)/2 이후 n개의 데이타가 참조번호(1)에서 부터 참조번호(99)까지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화상 축소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처리 메모리의 크기는 처리하고자 하는 해상도에 따른 주주사방향 1 라인에 대한 최대화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화상 축소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처리 메모리는 어드레스당 16비트의 크기를 가지며, 최상위 2 비트는 처리번호, 나머지 14 비트는 상기 제1 및 제2화소데이타 저장메모리의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화상 축소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면적추출 처리부에서는 50% 축소처리인 경우 연속된 두 화소의 평균값을 구하여 두 화소마다 한번씩 출력하고, 33% 축소처리인 경우 연속된 두 화소값과 두배로 한 세번째 화소값을 더하여 4로 나눈 값을 세 화소마다 한번씩 출력하고, 25% 축소처리인 경우 연속된 네 화소의 평균값을 구하여 네 화소마다 한번씩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화상 축소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면적추출 처리부에서는 상기 50% 축소처리, 33% 축소처리와 25% 축소처리를 혼용하여 25%∼99%까지의 1% 단위의 축소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화상 축소장치.
KR1019960020605A 1996-06-10 1996-06-10 디지탈 화상의 축소방법 및 장치 KR100374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0605A KR100374581B1 (ko) 1996-06-10 1996-06-10 디지탈 화상의 축소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0605A KR100374581B1 (ko) 1996-06-10 1996-06-10 디지탈 화상의 축소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916A KR980003916A (ko) 1998-03-30
KR100374581B1 true KR100374581B1 (ko) 2004-05-06

Family

ID=37416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0605A KR100374581B1 (ko) 1996-06-10 1996-06-10 디지탈 화상의 축소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458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916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89164B1 (en) Pixel density converting apparatus
US5075788A (en) Image quality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density-correcting plural areas of different types
JPH05260287A (ja) 画像伸縮装置の改良
US5901274A (en) Method for enlargement/reduction of image data in digital image processing system and circuit adopting the same
KR930022822A (ko) 화상배율 변환방법 및 그 장치
US863051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resizing matching data supply speed
KR100374581B1 (ko) 디지탈 화상의 축소방법 및 장치
JP2829931B2 (ja) 画像処理装置
JPH0779422B2 (ja) 画像拡大縮小装置
US5774234A (en) Image data processing apparatus
JP2860985B2 (ja) 原稿読み取り装置
KR100211838B1 (ko) 화상이미지 축소장치
JP3400838B2 (ja) 原稿読み取り装置の地肌補正回路
JP2829930B2 (ja) 画像処理装置
JP2887840B2 (ja) 画像読取り装置
JP2714140B2 (ja) 画素密度変換装置
JPS62252268A (ja) 原稿画像を拡大縮小処理する画像処理装置
JP2714141B2 (ja) 画素密度変換装置
JPH0622128A (ja) 画像処理装置
JPH05227414A (ja) 画像処理装置
JP2000222567A (ja) 画像処理装置
JPH06311341A (ja) 画像入力装置
JPH08111774A (ja) 画像読取装置
JPH0420071A (ja) 画像処理装置
JPH06268850A (ja) 画像変換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