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3264Y1 - 자동차 도어록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록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3264Y1
KR0113264Y1 KR2019950015682U KR19950015682U KR0113264Y1 KR 0113264 Y1 KR0113264 Y1 KR 0113264Y1 KR 2019950015682 U KR2019950015682 U KR 2019950015682U KR 19950015682 U KR19950015682 U KR 19950015682U KR 0113264 Y1 KR0113264 Y1 KR 01132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riker
inner panel
door loc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56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2065U (ko
Inventor
홍성호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156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3264Y1/ko
Publication of KR9700020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0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32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32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12Automatic locking or unlock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4Strike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록은 도어(3)의 측단에 피보트하게 장착된 로커 어셈블리(4)의 래치트(5)가 걸리게 되어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스트라이커(20)를 도어의 인너판넬(6)에 까지 측방으로 연장하여 충돌사고시 도어의 인너판넬(6)이 후방으로 밀려들어오는 것을 저지하여 충돌사고로 변형된 인너판넬(6)이 스트라이커(20)에 걸려 도어가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 안전을 향상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록
제1도는 종래 자동차 도어록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어부의 개략적인 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와 다른 형태의 종래의 자동차 도어록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어부의 개략적인 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록을 채용한 자동차 도어부의 개략적인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필라 2, 2', 20 : 스트라이커
3 ; 도어 4 : 로커 어셈블리
5 : 래치트 6 : 인너판넬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충돌에 의해 도어 판넬이 변형되더라도 탑승자가 차에서 나올 수 있게 도어가 용이하게 열리도록 된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은 제1도와 2도에 개략적으로 횡단면도로 도시한바와 같이, 사이드 바디의 필라(1)에 고정된 스트라이커(2, 2')와, 도어(3)에 내장되며 도면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위에서 아래로 피보트하여 스트라이커(2, 2')를 걸도록 구성된 래치트(5)를 구비한 로크 어셈블리(4)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도어록을 채용한 경우, 스트라이커(2, 2')가 도어의 인너판넬(6) 안쪽에, 즉 도면에서 블록형태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로커 어셈블리(4)에 완전히 들어오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자동차가 정면출동시 도어의 인너판넬(6)이 변형되어 도면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필라(1)쪽으로 밀려들어오면, 탑승자 또는 구조대가 도어(3)를 열려고 할 때 인너판넬(6)의 밀려들어온 부분이 스트라이커(2, 2') 측부에 부딪혀 더 이상 도어(3)가 열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구조대가 도어(3)를 절단기로 절단하고 탑승자를 구조해야 하며, 이런 경우 시간이 많이 지체되어 부상당한 탑승자를 치료해야 하는 시간을 놓치게 되어 생명을 잃을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충돌사고시 도어의 인너판넬이 변형되더라도 도어를 열 수 있도록 된 도어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록은 스트라이커의 전단부를 측방으로 연장시켜 자동차 충돌시 도어의 인너판넬이 스트라이커쪽으로 밀려들어오는 것을 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도어를 용이하게 열 수 있어 사고시 탑승자를 신속히 치료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록, 특히 스트라이커(20)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도어록 어셈블리(4)의 래치트(5)는 제1도와 2도의 종래 도어록에 사용한 것과 동일하다.
본 고안에 따라, 필라(1)에 고정되는 스트라이커(20)는 적어도 인너판넬(6)의 위치까지 측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로써, 자동차의 충돌사고시 인너판넬(6)이 후방으로 밀리더라도 제3도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20) 상단에 부딪혀 굽혀지게 된다.
따라서, 도어(3)를 열 때 변형된 인너판넬(6)이 스트라이커(20)에 의해 저지되지 않고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될 수 있어 도어(3)가 열리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록의 스트라이커(20)가 종래 기술의 것과 비교하여 단순한 것이라고 생각할지 모르나, 종래의 스트라이커(2, 2')는 충돌사고시 도어부분의 변형과 그에 따른 탑승자 보호에 미치는 영향을 간과하여 탑승자 안전에 심각한 문제가 있었음을 감안하면, 본 고안에 따라 종래 도어록의 로커 어셈블리(4)를 변형시키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필라에 고정되는 스트라이커(20)의 구조만 최소한으로 변경함에 따른 제작비 증가의 최소화와 함께 종래 도어록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여 탑승자 안전을 보장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하여 월등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 사이드 바디의 필라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와 도어에 내장되어 상기 스트라이커를 걸도록 피보트 가능하게 장착된 래치트를 구비한 로크 어셈블리를 지니는 자동차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20)는 그 전단부가 도어(3)의 적어도 인너판넬(6)의 위치에 까지 측방으로 연장되어 자동차 충돌사고시 후방으로 밀려들어오는 인너판넬(6)이 상기 스트라이커(20)의 전단부에 부딪혀 더 이상 진입되지 않도록 하여 충돌 사고로 인한 인너판넬(6)의 변형된 부분에 의한 도어 열림이 방해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록.
KR2019950015682U 1995-06-30 1995-06-30 자동차 도어록 KR01132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5682U KR0113264Y1 (ko) 1995-06-30 1995-06-30 자동차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5682U KR0113264Y1 (ko) 1995-06-30 1995-06-30 자동차 도어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065U KR970002065U (ko) 1997-01-24
KR0113264Y1 true KR0113264Y1 (ko) 1998-10-01

Family

ID=19417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5682U KR0113264Y1 (ko) 1995-06-30 1995-06-30 자동차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326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065U (ko) 199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13264Y1 (ko) 자동차 도어록
JPH0347085Y2 (ko)
KR100862257B1 (ko) 충돌시 자동차 도어 잠금 방지장치
KR0125721Y1 (ko) 자동차의 본넷 힌지구조
KR200144111Y1 (ko) 자동차용 도어 로크 스트라이커
KR200150751Y1 (ko) 차량용 도어 로킹 해제 방지구조
KR0125708Y1 (ko) 본넷트용 힌지브라켓트의 밀림방지구조
KR0119211Y1 (ko) 도어 로크 스트라이커 고정구
KR0140239Y1 (ko) 자동차용 본네트의 잠금장치
KR100376332B1 (ko) 차량의 정면충돌시 후드의 후방밀림을 방지하기 위한힌지어셈블리의 구조
KR100372417B1 (ko) 잠금 해제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도어
KR20010087451A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구조
KR20050058683A (ko) 자동차용 도어 래치 장치
KR970003661Y1 (ko) 승용차용 도어의 하부코너 보강구조
KR0176367B1 (ko) 자동차 전방충돌시 도어록킹 방지장치
KR19980047078U (ko) 자동차의 보닛용 힌지
KR0111715Y1 (ko) 승용차용 본네트의 힌지구조
KR0125716Y1 (ko) 자동차의 본넷 힌지 구조
KR0140612B1 (ko) 전방도어 로크 스트라이커 장착구조
JPH067993Y2 (ja) 車両のグロ−ブボツクス構造
JPS5810852Y2 (ja) フ−ドパネルのロック装置
KR200151995Y1 (ko) 차량 측면충돌시 승객보호용 안전장치
KR19980055697A (ko) 자동차 보닛의 열림방지구조
KR19980034644U (ko) 자동차의 정면 충격 흡수구조
KR0121636Y1 (ko) 차량의 도어 핸들레버 로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